KR102532996B1 -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996B1
KR102532996B1 KR1020200158546A KR20200158546A KR102532996B1 KR 102532996 B1 KR102532996 B1 KR 102532996B1 KR 1020200158546 A KR1020200158546 A KR 1020200158546A KR 20200158546 A KR20200158546 A KR 20200158546A KR 102532996 B1 KR102532996 B1 KR 10253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payment
limit
payment reques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437A (ko
Inventor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헥토파이낸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헥토파이낸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헥토파이낸셜
Priority to KR102020015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9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는 단계;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PAYMENT THROUGH MOBILE PAYMENT}
본 개시는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요청을 기반으로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하고, 제 2 계정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 및 제 1 계정과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결제 기술은 상거래 시 휴대폰을 통해 인증 후 결제를 진행하며, 익월 통신요금에 합산 청구되는 사후 지불 결제 방식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휴대폰 결제 기술은 구매자(예: 통신사 회원)와 판매자(예: 전자상거래 업체) 간에 휴대폰 결제 시스템을 통해 M월(예: 11월)에 전자상거래가 발생한 경우, 통신사 및 PG(Payment Gateway)사(예: 전자결제서비스 업체)에 의해 판매자에게 선정산이 M월(예: 11월)에 이루어지고, 통신사가 구매자에게 휴대폰 결제 금액 및 통신 요금의 합산액을 M+1월(예: 12월)에 청구하여 통신사와 구매자 간에 결제 납부가 이루어지며, 통신사가 수납액 중 휴대폰 결제 금액을 PG사에게 정산하는 방식으로 사후 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이용자 별로 부여되는 한도(예: 월 100만원까지)에 따라 휴대폰 소액 결제를 진행하기 때문에, 휴대폰 소액 결제를 주로 이용하는 주된 이용층의 경우, 한도가 부족할 때가 많아 이용에 불편함이 있고, 휴대폰 소액 결제를 주로 사용하지 않는 이용층의 경우에는 한도가 대부분 남더라도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없어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이용자가 휴대폰 결제를 위한 잔여 한도가 부족하거나 휴대폰 결제 대금일에 잔고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어 당장 휴대폰 결제가 어려운 등의 상황인 경우에는 구매를 포기하거나 신용카드 등과 같은 다른 결제 수단을 동원해야하는 한계가 있으며, 원하는 상품을 누군가에게 사달라고 요청하고 싶은 경우에도 그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절차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에, 상술한 단점 및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요청을 기반으로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하고, 제 2 계정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 및 제 1 계정과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은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는 단계;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계정으로부터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신 결제 요청 및 상기 수락 응답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계정과 연동된 통신사 서버에 상기 대신 결제 요청 및 상기 수락 응답에 따라 획득된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사 서버가 상기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를 관리하는 서버에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비용 지급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를 관리하는 서버에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비용 입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정되는 이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에 상기 이자를 가산한 비용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에 상기 이자를 가산한 비용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가 기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대신 결제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기설정 초기화 시점에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1 한도가 기설정값으로 초기화되는 경우,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에서 차감된 차감 한도에 기초하여 회수 한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1 한도가 상기 회수 한도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2 한도가 상기 회수 한도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 한도는 상기 차감 한도보다 크거나 같은, 방법.
또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특정 기간 동안 특정 횟수로 분할하여 사후 정산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분할 사후 정산 요청이 더 포함되고,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수락 응답이 상기 제 2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을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특정 횟수로 분할하여 상기 제 1 계정에 연동된 계좌에서 상기 제 2 계정에 연동된 계좌로 송금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는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고,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요청자는 부모, 지인 등에게 간편하게 대신 결제를 요청하여 필요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대신 결제자는 요청된 대신 결제를 수락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모바일 결제를 대신 해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결제 금액이 대신 결제자에게 청구됨에 따라, 익월에 결제 요청자의 계좌로부터 자동으로 입금 받는 사후 정산이 이루어져, 사용자들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사의 관점에서 별도의 추가 기능 없이도 일반적인 휴대폰 결제 프로세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신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대신 결제에 관심도가 높은 고객을 유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가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을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가 제 1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가 제 2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가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지원'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관련된 동작의 수행을 포함하는 의미로 폭넓게 해석될 수 있으며, 제한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일 예로, A서버가 B 동작을 수행하도록, C서버가 A서버를 지원하는 경우, A서버에 대한 C서버의 지원은 A서버가 B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서버는 A서버가 B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정보 제공, A서버가 B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전 동작, A서버가 B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한 수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공'은 대상이 특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시스템(1000)은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 하나 이상의 회원 디바이스(200) 및 하나 이상의 통신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결제를 통해 결제를 지원할 수 있고, 일 실시 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예: 서버,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전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통신사 사버(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온오프라인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와 연관된 컴퓨팅 장치로서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결제 지원 서비스에 가입한 개인 또는 법인에 의해 이용되는 컴퓨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원 디바이스(200)는 제 1 계정에 대응하는 제 1 회원 디바이스(210) 및 제 2 계정에 대응하는 제 2 회원 디바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제 1 계정은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 1 회원의 회원 계정을 나타내고, 제 2 회원 계정은 제 1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이 수신될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 2 회원의 회원 계정을 나타내며, 이러한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이용 상황에 따라 대신 결제를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될 수도 있고 대신 결제를 요청 받는 사용자가 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원 디바이스(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되거나,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와 같이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디바이스(200)는 결제 지원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서비스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결제 지원 방법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결제 지원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회원 디바이스(200)에 제공하고, 회원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결제 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예: 대신 결제 요청 내역, 대신 결제에 따른 결제된 내역, 대신 결제에 관한 청구서 등을 제공)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사 서버(300)는 제 1 계정 및 제 2 계정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통신사에 의해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회원 디바이스(2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기반으로 사후 지불 결제 방식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예: 휴대폰 소액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지원 시스템(1000)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지원 시스템(1000)은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서버(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110); 및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고, 제 2 계정에 대해서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결제 요청에 대해서 제 1 계정과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10)는 회원 디바이스(200)로부터 이하에서 기술되는 정보들을 수신하는 리시버를 포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예: 회원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이하에서 기술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모바일 결제를 통해 결제를 지원하는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부(110)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동작 전반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 메모리,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가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을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신 결제 요청은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계정에서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대신 수행해줄 것을 제 2 계정에 요청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4를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가 제 1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에 대응하는 제 1 회원 디바이스(210)로부터 대신 결제를 요청할 상대방인 제 2 계정의 계정 식별 정보(예: 제 2 계정의 ID, 휴대폰 번호 등), 결제 내용(예: 분할 결제 여부, 결제 금액, 상품 이름, 가맹점 이름 등), 사후 정산 여부 및 이자 제공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회원 디바이스(210)는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구매 과정에서 모바일 결제 수단으로서 타 계정을 이용한 대신 결제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타 계정과 연동하여 대신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회원 디바이스(210)는 디스플레이되는 계정 입력 필드(410)를 통해 대신 결제를 요청할 상대방 계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지인 연락처 목록 중 선택, 휴대폰 번호 입력 등)을 수신하고, 대신 결제 요청 내용 표시란(420)을 통해 대신 결제가 요청되는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 내용(예: 결제 금액, 가맹점 이름, 상품 이름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옵션 선택 필드(430)를 통해 사후 정산 여부(예: 결제 금액의 추후 상환) 및 이자 제공 여부(예: 추후 이자 가산하여 상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 입력(44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이들을 포함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제 1 회원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할 결제는 결제 금액 중 일부 금액인 제 1 금액의 결제를 제 1 계정에서 진행하고 나머지 금액인 제 2 금액을 제 2 계정에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회원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된 대신 결제 요청에 분할 결제 요청, 총 결제 금액 및 제 1 계정에서 결제할 제 1 금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 1 금액을 제 1 계정에서 결제하고 제 2 금액을 제 2 계정에서 결제하는 방식으로 분할 결제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제 2 회원 디바이스(220)에 전송하고, 제 2 회원 디바이스(220)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이 수신된 경우, 이후의 단계에서 제 1 계정을 이용하여 제 1 금액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 및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제 2 금액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각각 진행하고, 제 1 금액을 제 1 계정에 대해 청구하고 제 2 금액을 제 2 계정에 대해 청구하는 방식으로 분할 결제 및 분할 청구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가 기설정 제 1 값 이하인 경우에만 대신 결제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신 결제 요청의 수신 시점에 잔여하는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가 제 1 계정에 기설정된 요청 기준 한도(예: 30만원) 이하인 경우에만 이후의 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신 결제 요청이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제 1 회원 디바이스(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계정은 잔여 한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만 대신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시간 동안(예: 3개월 평균)의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누적 횟수, 모바일 결제 누적 금액, 대신 결제 요청 횟수 및 대신 결제 수락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설정 주기로(예: 매달) 요청 기준 한도를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사후 정산 여부 및 이자 제공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요청 기준 한도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후 정산하는 경우에는 사후 정산하지 않는 경우보다 요청 기준 한도를 크게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2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2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하는 것을 수락할지 여부(예: 수락, 거절)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수락 응답을 제 2 계정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5를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가 제 2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대신 결제 요청에 기초하여, 제 2 계정에 대응하는 제 2 회원 디바이스(220)에 제 1 계정으로부터 결제 내용(예: 결제 금액, 상품 이름, 가맹점 이름 등), 사후 정산 여부 및 이자 제공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신 결제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응답(예: 수락 응답, 거절 응답, 보류 응답)를 제 2 회원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제 2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이후의 단계 S320 내지 S340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가 요청된 결제 내용(예: 결제 금액, 상품 이름, 가맹점 이름 등) 및 현재 시점에서 잔여하는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예: 100만원)를 제 2 회원 디바이스(210)에 전송하고, 제 2 회원 디바이스(220)는 수신된 정보를 각각 대신 결제 요청 내용 표시란(510) 및 잔여 한도 표시란(520)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수락 입력(530), 거절 입력(530) 및 보류 입력(53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수락 응답, 거절 응답 및 보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제 2 회원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가 기설정 제 2 값 이상인 경우에만 대신 결제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 또는 수락 응답의 수신 시점에 잔여하는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가 기설정 수락 기준 한도(예: 50만원) 이상인 경우에만 이후의 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신 결제 요청 또는 수락 응답이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제 1 회원 디바이스(210) 또는 제 2 회원 디바이스(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시간 동안(예: 3개월 평균)의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누적 횟수, 모바일 결제 누적 금액, 대신 결제 요청 횟수 및 대신 결제 수락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설정 주기로(예: 매달) 수락 기준 한도를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사후 정산 여부 및 이자 제공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락 기준 한도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후 정산하는 경우에는 사후 정산하지 않는 경우보다 요청 기준 한도를 크게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또는 제 2 계정의 요청에 따라, 제 1 계정에 대한 본인 인증 및 제 2 계정에 대한 본인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에만 이후의 단계를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제 1 계정이 단계 S310 이전에 제 2 계정에 의해 대신 결제를 요청 가능하도록 허여된 특정 계정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대신 결제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320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2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이 수신되면, 대신 결제 요청 및 수락 응답에 따라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결제가 수행됨에 따라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결제 금액에 대응되는 비용만큼 차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 및 수락 응답에 따라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에서 결제 요청에 대한 비용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모바일 간편 결제에 따른 즉시 지급 방식인 경우,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를 관리하는 서버(미도시)에 제 1 계정에서 획득한 결제 요청에 대한 비용 지급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 및 수락 응답에 따라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고,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계정에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 소액 결제에 따른 선지급 후정산 방식인 경우,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에서 결제 요청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해당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의 선지급을 수행하고, 제 1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 제 2 계정의 수락 응답 및 선지급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2 계정과 연동된 통신사의 통신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사 서버(300)는 수신된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를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내역으로 저장하고, 제 2 계정의 잔여 한도(예: 100만원)에서 결제 금액(예: 10만원)을 차감하고, 해당 결제 요금이 추후에 제 2 계정에 청구되도록 모바일 결제 내역 및 청구 대상자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제 2 계정을 통해 모바일 결제가 이루어진 결제 내용(예: 결제 금액, 상품 이름, 가맹점 이름 등)을 포함하는 결제 결과 메시지를 제 1 회원 디바이스(210)에 전송하고, 해당 결제 내용 및 갱신된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예: 차감분, 잔여 한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결과 메시지를 제 2 회원 디바이스(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 및 수락 응답에 따라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1 한도와 제 2 계정의 모바일 한도인 제 2 한도를 연동하여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2 계정의 제 2한도를 차감할 때, 제 1 계정의 제 1 한도가 결제 금액에 대응하는 조정 한도 이상 잔여하는 경우, 제1 한도에서 조정 한도를 차감하여 기차감된 제 2 한도에 가산할 수 있고, 다른 예를 들면, 제 1 한도가 0 보다 크지만 조정 한도보다 작게 잔여하는 경우, 제1 한도를 모두 차감한 후 차감분만큼을 기차감된 제 2 한도에 가산할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한도 갱신을 통신사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2 계정에 대해서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 제 2 계정의 수락 응답 및 제 2 계정에서 대신 결제가 이루어진 결제 내역을 상호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해당 결제 내역에 따라 추후에 결제 요금이 제 2 계정에 청구되도록 계정별로 청구 대상자와 결제 금액을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2 계정과 연동된 통신사 서버(300)에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통신사 서버(300)가 해당 결제 내역에 대하여 추후에 결제 요금을 제 2 계정에 청구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후에 제 2 계정에서 해당 통신사에 결제 대금을 납부하는 납부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를 위한 비용의 선지급을 수행한 경우, 추후 통신사 서버(300)로부터 제 2 계정이 납부한 결제 대금을 기반으로 선지급 비용이 정산되는 정산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결제 요청에 대해서 제 1 계정과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단계에 따라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이 대신 결제를 수행한 제 2 계정에 청구되고,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시간 후에(예: 익월) 대신 결제를 요청한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로부터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에 결제 금액에 대응하는 비용이 송금되도록 하여 제 1 계정과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를 관리하는 제 1 서버(미도시)에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비용 지급 요청을 송신하고,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를 관리하는 제 2 서버(미도시)에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비용 입금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고,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서버와 제 2 서버는 동일 또는 상이한 외부 서버(예: 은행 서버)일 수 있고, 각 계정의 사용자에 의해 기등록된 계좌 및 설정에 기반하여 제 1 서버 및 제 2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비용 송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각 계정에 부여되는 가상 계좌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1 계정의 계좌에 충전된 디지털 머니를 이용하여 제 1 계정에서 제 2 계정으로 사후 정산을 수행하고, 다른 예를 들면, 제 1 계정의 계좌에 연동된 결제 수단(예: 신용 카드)를 통해 해당 결제 서버(예: 카드사 서버)와 연동하여 제 1 계정에서 제 2 계정으로 사후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사의 관점에서 단계 S320 내지 S330은 일반적인 휴대폰 결제 프로세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도 사용자들에게 대신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고객을 유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에 이자를 가산한 비용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고,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에 이자를 가산한 비용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자는 기설정 범위 내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결정되거나, 기설정 금리(예: 표준금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옵션 선택 필드(430)를 통해 입력된 이자 제공 선택(예: 추후 이자 가산하여 상환) 및 이자(예: 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더 포함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제 1 회원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이 제 2 회원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된 경우, 결제 금액(예: 100,000원)이 이자(예: 2%)를 적용하여 회수 금액(예: 102,000원)을 결정하고,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에서 회수 금액만큼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로 송금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대신 결제 요청에 이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포함된 경우,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2 계정으로부터 제 1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하여 이자 변경을 요청하는 조정 응답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 2 계정의 조정 응답을 제 1 계정에 전송하여 조정 응답에 대한 수락 응답이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면 이후의 모바일 결제 진행 및 모바일 결제 한도 차감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으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특정 횟수로 분할하여 사후 정산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분할 사후 정산 요청을 더 포함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수락 응답이 제 2 계정로부터 수신된 경우, 결제 금액에 대응하는 비용(또는 이자가 가산된 비용)을 해당 기간 동안 해당 횟수로 분할하여 제 1 계정에 연동된 계좌에서 제 2 계정에 연동된 계좌로 송금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요청에 따라 사후 정산도 분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초기화 시점에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1 한도가 초기화되는 경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에서 차감된 차감 한도에 기초하여 회수 한도를 결정하고, 회수 한도에 기초하여 제 1 한도와 제 2 한도를 연동하여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매월 각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가 설정값(예: 100만원)으로 초기화될 때, 차감 한도에 따라 회수 한도를 결정하고,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1 한도를 회수 한도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고,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2 한도가 회수 한도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하거나, 또는, 이러한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통신사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수 한도는 차감 한도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차감 한도보다 기설정 비율만큼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설정 비율은 기설정 범위 내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회수 한도는 사후 정산 여부 및 이자 제공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후 정산하지 않는 경우가 사후 정산하는 경우보다 크게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신 결제를 요청한 결제 요청자는 대신 결제를 수행한 대신 결제자에게 익월에 자동 계좌 송금을 통해 결제 금액을 돌려주는 동시에 제 2 계정에서 차감된 모바일 결제 한도 또한 함께 돌려주는 방식으로 사후 정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사후 정산 여부에 대한 제 1 계정의 선택 입력을 더 포함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이 제 2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경우, 단계 S34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대신 결제 요청의 수신 과정에서 옵션 선택 필드(430)를 통해 사후 정산 안하는 것으로 선택되었고, 이에 대해 제 2 계정이 수락한 경우에는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다라, 제 1 계정은 상품을 선택하고 제 2 계정에 선물을 요청할 수 있고, 제 2 계정은 이를 수락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만 대신 수행하여 양자가 효율적인 방식으로 선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기간 동안 각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 횟수, 대신 결제 요청 가능한 금액,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횟수 및 수락 가능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의 설정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신 결제 요청의 기간별 횟수, 요청 금액, 요청 대상자 등과 대신 결제 수락의 기간별 횟수, 대신 결제 금액, 수락 대상자 등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시간 동안 제 2 계정에서 제 1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을 수락한 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 제 1 계정으로부터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하거나 제 2 계정으로부터 이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프로세스 단계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해 제 2 계정이 수락한 누적 횟수가 제 1 횟수(예: 0)일 때는 제 2 계정으로부터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추가 확인 및 본인 인증 과정을 포함하는 제 1 개수(예: 5개)의 단계들이 진행되고, 제 2 횟수(예: 두 번째) 이상일 때는 추가 확인이 생략된 제 2 개수(예: 4개)의 단계들이 진행되고, 제 3 횟수(예: 세 번째) 이상부터는 본인 인증 과정이 생략된 제 3 개수(예: 3 개)의 단계들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제 1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해 제 2 계정이 수락하는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수락 응답을 수신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프로세스 단계들 중 일부를 단계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각 계정의 대신 결제 내역 및 이에 대한 사후 정산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 계정이 타 계정 대신 결제하였거나 타 계정에 대신 결제를 요청하여 수행된 대신 결제에 관한 결제 일시, 결제 내용, 사후 정산 여부, 이자 제공 여부, 사후 정산 진행 상황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각 계정에 대응되는 회원 디바이스(200)의 요청에 따라 관련 정보를 실시간 갱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요청자는 부모, 지인 등에게 간편하게 대신 결제를 요청하여 필요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대신 결제자는 요청된 대신 결제를 수락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모바일 결제를 대신 해줄 수 있으며, 모바일 결제 금액(예: 휴대폰 결제 금액)이 대신 결제자에게 청구됨에 따라, 익월에 결제 요청자의 계좌로부터 자동으로 입금 받는 사후 정산이 이루어져, 사용자들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가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회원 디바이스(210)로부터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제 2 회원 디바이스(220)에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603에서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하는 것을 수락하는 수락 응답을 제 2 회원 디바이스(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대신 결제 요청 및 수락 응답에 기초하여 결제 프로세스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휴대폰 소액 결제에 따른 선지급 후정산 방식인 경우, 제 1 계정에서 결제 요청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의 선지급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2 계정과 연동된 통신사의 통신사 서버(300)에 제 1 계정의 대신 결제 요청, 제 2 계정의 수락 응답 및 선지급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여,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 차감 및 제 2 계정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통신사 서버(300)는 수신된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를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내역으로 저장하고,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예: 100만원)에서 해당 결제 금액(예: 10만원)을 차감하고, 해당 결제 요금이 추후에 제 2 계정에 청구되도록 모바일 결제 내역 및 청구 대상자를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통신사 서버(300)는 제 2 계정을 통해 수행된 모바일 결제 내역 및 제 2 계정의 갱신된 모바일 결제 한도를 포함하는 결제 결과를 제 2 회원 디바이스(220)에 전송하고, 단계 S608에서 기설정 청구 시점에 도래함에 따라 제 2 계정에 모바일 결제 금액에 대한 청구를 수행하고, 기설정 기간 동안의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계정이 타 계정을 대신하여 결제한 결제 금액을 제 2 계정에 함께 청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계정에서 해당 통신사에 결제 대금을 납부하는 납부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가 대신 결제를 위한 비용의 선지급을 수행한 경우, 기설정 정산 시점이 도래하면 통신사 서버(300)로부터 제 2 계정이 납부한 결제 대금을 기반으로 선지급 비용이 정산되는 정산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사후 정산 시점에 도래하면(예: 익월 설정일에) 제 1 계정과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고, 기설정 기간 동안 제 1 계정과 제 2 계정 간의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정 간에 주고 받아야할 순액을 산출하여 사후 정산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에서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로 사후 정산 금액의 송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사후 정산 금액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고,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사후 정산 금액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할 수 있다.
단계 S611에서 결제 지원 디바이스(100)는 사후 정산이 수행됨에 따라 각 계정에 대하여 사후 정산 금액, 계좌 잔고의 변동 사항, 사후 정산된 대신 결제 내용, 등을 포함하는 사후 정산 결과를 제 1 회원 디바이스(210) 및 제 2 회원 디바이스(220)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 및 조합은 일 실시 예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 조합, 분기, 기능 및 그 수행 주체가 추가, 생략 또는 변형된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결제 지원 시스템
100: 결제 지원 디바이스
110: 수신부 120: 프로세서
200: 회원 디바이스
210: 제 1 회원 디바이스 220: 제 2 회원 디바이스
300: 통신사 서버

Claims (10)

  1.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수신부가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계정 및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에 대한 한도 갱신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한도 갱신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기설정 초기화 시점에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1 한도가 기설정값으로 초기화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에서 차감된 차감 한도에 기초하여 회수 한도를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1 한도가 상기 회수 한도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2 한도가 상기 회수 한도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하고,
    상기 회수 한도는 상기 차감 한도 이상인 값으로 결정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 2 계정으로부터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신 결제 요청 및 상기 수락 응답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설정 시간 동안 상기 제 2 계정에서 상기 제 1 계정에 대한 대신 결제 요청 수락 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되는 수락 응답 프로세스 단계의 개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락 응답 프로세스 단계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신 결제 요청 수락 횟수가 제 1 횟수 이상인 경우 추가 확인 단계 및 본인 인증 단계를 포함한 제 1 개수의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신 결제 요청 수락 횟수가 제 2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추가 확인 단계가 생략된 제 2 개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갱신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신 결제 요청 수락 횟수가 제 3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추가 확인 단계 및 상기 본인 인증 단계가 생략된 제 3 개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갱신하고,
    상기 제 3 횟수, 상기 제 2 횟수 및 상기 제 1 횟수의 순서로 크고,
    상기 제 1 개수, 상기 제 2 개수 및 상기 제 3 개수의 순서로 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계정과 연동된 통신사 서버에 상기 대신 결제 요청 및 상기 수락 응답에 따라 획득된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사 서버가 상기 대신 결제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를 관리하는 서버에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비용 지급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를 관리하는 서버에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대한 비용 입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상기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부가 사후 정산 또는 이자 제공 및 이자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이 상기 이자 제공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자 비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계정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정되는 이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에 상기 이자를 가산한 비용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계정과 연동된 계좌의 잔고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에 상기 이자를 가산한 비용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자는 상기 제 2 계정으로부터 수락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이자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수신부에 상기 제 2 계정으로부터 상기 이자 비율에 대한 조정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조정 응답에 대응되는 이자 비율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 1 계정으로 제공되고,
    상기 수신부에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상기 수락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2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이자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가 기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대신 결제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는,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특정 기간 동안 특정 횟수로 분할하여 사후 정산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분할 사후 정산 요청이 더 포함되고,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수락 응답이 상기 제 2 계정으로부터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결제 요청에 대응하는 비용을 상기 특정 기간 동안 상기 특정 횟수로 분할하여 상기 제 1 계정에 연동된 계좌에서 상기 제 2 계정에 연동된 계좌로 송금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결제 지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계정에서 획득된 결제 요청을 제 2 계정을 이용하여 대신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대신 결제 요청을 상기 제 1 계정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대신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를 차감하고, 상기 제 2 계정에 대해서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한 청구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결제 요청에 대해서 상기 제 1 계정과 상기 제 2 계정 간의 사후 정산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제 1 계정 및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에 대한 한도 갱신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기설정 초기화 시점에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1 한도가 기설정값으로 초기화되는 경우,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에서 차감된 차감 한도에 기초하여 회수 한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1 한도가 상기 회수 한도만큼 감소하도록 갱신하고, 상기 제 2 계정의 모바일 결제 한도인 제 2 한도가 상기 회수 한도만큼 증가하도록 갱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 한도는 상기 차감 한도 이상인 값으로 결정되는, 디바이스.
KR1020200158546A 2020-11-24 2020-11-24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3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546A KR102532996B1 (ko) 2020-11-24 2020-11-24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546A KR102532996B1 (ko) 2020-11-24 2020-11-24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37A KR20220071437A (ko) 2022-05-31
KR102532996B1 true KR102532996B1 (ko) 2023-05-17

Family

ID=8177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546A KR102532996B1 (ko) 2020-11-24 2020-11-24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9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056B1 (ko) * 2016-06-13 2017-09-26 김광우 모바일 신용 공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069A (ko) * 2017-02-24 201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대리 결제 시스템, 서버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20200120820A (ko) * 2019-04-12 2020-10-2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타인의 구매에 대한 대금의 대리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대리결제 서비스 서비스 서버
KR20200124397A (ko) * 2019-04-24 2020-11-03 이섬규 대리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056B1 (ko) * 2016-06-13 2017-09-26 김광우 모바일 신용 공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37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9319B1 (ja) 代金支払管理システム、及び代金支払管理方法
JP2018026183A (ja) 資金需要対応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事業者サーバ
KR20130133309A (ko) 크레딧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355505B2 (ja) 決済管理装置及び決済管理方法
JP2019191744A (ja) 活動資金のための出資公募システム
JP6499358B2 (ja) 決済管理装置及び決済管理方法
JP2022057371A (ja) 依頼プログラム、依頼装置及び依頼方法
JP2022042378A (ja) 電子的価値管理装置、プログラム、電子的価値管理方法
JP721219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532996B1 (ko) 모바일 결제를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512336A (zh) 兑换系统和汇款系统
JP2016224737A (ja) 引落処理装置および引落処理方法
KR102308024B1 (ko)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JP6817476B1 (ja) 価値交換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制御方法
JP2005174033A (ja) クレジットの支払システム
KR102509008B1 (ko) 모바일 결제 한도의 갱신을 통한 결제 지원 방법 및 디바이스
JP2021170202A (ja) 資金調達支援装置、資金調達支援方法、資金調達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資金調達支援システム
JP2015056044A (ja) 決済仲介システム、決済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20150076785A (ko) 국외 회원 대상 가맹점 청구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21018684A (ja) 前払式決済サービス装置
JP7129734B1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20210B1 (ko) 결제 수수료 차액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 서버
KR102605877B1 (ko) 가격변동 리스크 회피 가능한 가상화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7383331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097527B1 (ko) 광고비용 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