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423A - 모바일을 통한 오프라인 실물기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을 통한 오프라인 실물기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423A
KR20210017423A KR1020190096646A KR20190096646A KR20210017423A KR 20210017423 A KR20210017423 A KR 20210017423A KR 1020190096646 A KR1020190096646 A KR 1020190096646A KR 20190096646 A KR20190096646 A KR 20190096646A KR 20210017423 A KR20210017423 A KR 20210017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obile device
mobile
scree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상
Original Assignee
박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상 filed Critical 박지상
Priority to KR102019009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423A/ko
Publication of KR2021001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4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63F13/23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infrared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52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a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모바일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각종 모바일 장치를 이용해서 오프라인 실물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은 게임화면과 같은 게임정보를 모바일 장치로 전송해 준다. 모바일 기기의 제스처 인식부가 사용자 제스처를 실물기기에 전달되어 모바일 스크린을 통해 실물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을 통한 오프라인 실물기기 제어 시스템 {Offline Physical Equipment Control System through Mobile}
본 발명은 화면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각종 모바일 장치를 이용해서도 실물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모바일 게임에서 모니터를 통해 실물기기 화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대부분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이동성이 제한되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에서 실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처럼 고성능/고사양의 컴퓨터 시스템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스마트폰으로 일반명칭화 된 디지털 장치가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 컴퓨터에서 구현되던 게임을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장치에서 즐기고자 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게임이 개발되거나 리뉴얼 되어 휴대용 스마트 기기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고 있다. 실물게임기기 (뽑기,일회용 셀카사진등)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조작해야하는데 시간적,장소적 제한으로 이용에 불편함이 많다.
한편, 보편적인 게임 사용자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 게임이 실행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를 통해 게임명령을 입력하여 게임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모바일을 통해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활동반경은 크게 제약된다.
무선 키보드나 무선 마우스와 같이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과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도 게임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있기는 하지만, 어차피 사용자가 게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게임화면이
보이는 곳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활동상의 제약은 그대로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게임 사용자가 게임이 실행되는 모바일 게임화면을 통해 실물기기를 제어함으로써 게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모바일 게임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은 사용자 제스쳐 등을 이용하여 휴대용 저장매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려 영상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즉각적이고도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이 신속히 제어되도록 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물화상기기의 제어방법은 비디오 카메라에 입사되는 피사체의 실물화상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부와 상기 디지탈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하는 콘츄롤부, 상기 메모리부를 거쳐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영상표시신호를 생성하여 영상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생성부, 상기 콘츄롤부에 사용자 키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표시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생성부의 출력신호와 합성되도록 출력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물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의 저장 및 저장된 화상데이터의 출력이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저장 및 판독지시에 의해 이루어지되 저장지시명령시 사용자가 지정하는 채널번호를 입력받아 해당영역에 저장하고, 판독지시명령시 사용자가 지정하는 상기 채널번호를 입력받아 해당영역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상기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실물기기 원격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게임프로그램이 실행하는 게임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게임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전송한 게임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게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게임 명령을 상기 게임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전송한 게임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게임 명령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임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게임명령 입력모드를 원격제어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프로그램은 상기 게임명령 입력모드가 원격제어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명령에 따라 상기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명령 입력모드가 원격제어모드로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 자체의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명령에 따라 상기 게임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프로그램의 원격 게임 제어 지원 방법은, 모바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어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장치를 통한 원격 게임 제어를 지원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프로그램의 원격 게임 제어 지원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게임 명령이 입력되는 경로에 관한 게임명령 입력모드를 원격제어모드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단계 상기 게임명령 입력모드가 원
격제어모드일 경우에는 실행중인 게임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게임정보 전송단계 상기 게임명령 입력모드가 원격제어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게임 명령을 수신하는 게임명령 수신단계 및
상기 게임명령 입력모드가 원격제어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게임 명령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 자체의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명령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명령 적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원격 게임 제어 지원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타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될수 있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 컴퓨터 시스템의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게임의 원격 제어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원격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게임 프로그램으로부터 게임정보를 수신하는 게임정보 수신단계; 상기 원격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게임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게임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게임정보 출력단계 상기 원격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장치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게임 명령을 입력받는 게임명령 입력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게임 명령을 상기 게임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게임명령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임명령 입력단계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 구비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인식할 수 있는 게임 명령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물화상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모바일의 화상영상을 통해 실물기기를 제어함으로써 게임이 실행되는 컴퓨터 시스템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게임 전용 원격제어기,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 각종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명령을 입력 하고, 게임을 원격으로 실물기기를 제어하면서 즐길 수 있다. 모바일 게임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은 사용자 제스쳐 등을 이용하여 즉각적이고도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이 신속히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제어가가능하고, 더 나아가 모바일 장치 환경에서 플레이될 수 있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보다 다양해 질 수 있도록할 수 있다.
게임은 모바일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것이며, 게임화면이나 사운드 등 모바일 기기에서 현재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게임정보가 모바일 장치를 통해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게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실물기기를 제어하는 게임을 즐길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물화상기기의 제어방법은 비디오 카메라에 입사되는 피사체의 실물화상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부와 상기 디지탈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하는 콘츄롤부, 상기 메모리부를 거쳐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영상표시신호를 생성하여 영상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생성부, 상기 콘츄롤부에 사용자 키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표시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영상신호생성부의 출력신호와 합성되도록 출력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물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의 저장 및 저장된 화상데이터의 출력이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저장 및 판독지시에 의해 이루어지되 저장지시명령시 사용자가 지정하는 채널번호를 입력받아 해당영역에 저장하고, 판독지시명령시 사용자가 지정하는 상기 채널번호를 입력받아 해당영역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상기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지시가 입력되면 저장하고자하는 상기 채널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를 통
해 출력하고, 상기 판독지시가 입력되면 판독하고자하는 상기 채널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물화상기기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촬상부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미도시)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영상을 CCD(미도시)에서 전기적 영상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디지탈카메라 프로세서에서 CCD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영상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메모리부는 시스템전반을 제어하는 콘츄롤부에 의해 통제되면서 촬상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다수로 분할된 메모리영역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는 요구에 의해 판독되어 출력한다.
영상신호 생성부는 모니터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스크린에 피사체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입력되는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변조한다.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는 콘츄롤부의 제어하에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표시열 및 기억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물화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정상적인 화상표시단계에서는 촬상부를 통해 출력되는 피사체의 영상데이터가 콘츄럴부의 제어하에 메모리부 및 영상신호생성부를 거쳐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동작된다. 정상 표시단계시 콘츄롤부는 현재 모니터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이 바뀌기 전까지 즉, 촬상부를 통해 새로운 화상데이터가 입력되기까지는 현재의 화상데이터가 메모리부에 유지되도록 메모리부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바일모티터를 통해 게임을 즐기며, 필요에 따라 컴퓨터시스템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게임 프로그램은 모바일 시스템에 설치되어 실행되고, 시스템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게임 명령이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게임명령에 따라 게임을 진행한다.
모바일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원격 제어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정보를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자체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
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명령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모바일 장치는 이동성 내지 휴대성이 있는 장치로서, 모바일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게임 전용 원격제어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들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는 게임의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게임을 원격 제어한다.
게임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게임은 인터넷망을 통해 게임 서버와 통신하면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게임일 수 있다.
온라인 게임의 예로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하여 가상공간에서 일정 임무(퀘스트)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을 들 수 있다.

Claims (1)

  1. 청구항 1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게임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의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게임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전송한 게임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모바일장치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게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게임 명령을 상기 게임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전송한 게임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게임 명령에 따라 게임을 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의 원격 제어 방법.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게임 전용 플레이어, 또는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개인용 컴퓨터(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원격 제어 방법.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게임 전용 원격제어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Digital Assistan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원격 제어 방법.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정보는 상기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게임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원격제어 방법.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정보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화면에 출력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된 게임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원격 제어 방법.

    청구항 6
    게임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의 제스쳐인식부가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제스쳐가 인식되면, 상기 게임화면 제어부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1게임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하는 제2 게임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
    청구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쳐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터치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드래깅(dragging) 또는 터치인 모바일 게임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
    청구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모바일 기기의 틸팅에 해당하는,모바일 게임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
KR1020190096646A 2019-08-08 2019-08-08 모바일을 통한 오프라인 실물기기 제어 시스템 KR20210017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46A KR20210017423A (ko) 2019-08-08 2019-08-08 모바일을 통한 오프라인 실물기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646A KR20210017423A (ko) 2019-08-08 2019-08-08 모바일을 통한 오프라인 실물기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423A true KR20210017423A (ko) 2021-02-17

Family

ID=7473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646A KR20210017423A (ko) 2019-08-08 2019-08-08 모바일을 통한 오프라인 실물기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4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59651A (zh) 云游戏的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电子设备
CN112486386A (zh) 投屏方法、投屏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1010523B (zh) 一种视频录制方法及电子设备
CN113398590B (zh) 声音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938748A (zh) 视频播放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2269505A (zh) 音视频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704876A (zh) 虚拟对象互动模式的选择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10240A (ko) 유저 입력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게임 시스템, 전자 장치, 서버 및 게임 제어 방법
JP667379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23179375A1 (zh) 布局对象的操控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210017423A (ko) 모바일을 통한 오프라인 실물기기 제어 시스템
CN113797527B (zh) 一种游戏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3332721B (zh) 一种游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5501581A (zh) 一种游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5382201A (zh) 一种游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5193043A (zh) 一种游戏信息发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5193064A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14100121A (zh) 操作控制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N115999153A (zh) 虚拟角色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JP2016026513A (ja) 遊技装置
CN102096988A (zh) 运用可携式电子装置来进行操控动作的操控系统
CN113867873A (zh) 页面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TWI729323B (zh) 互動式遊戲系統
TWM449618U (zh) 用於互動遊戲的可設定手持式電子系統
TW201421283A (zh) 用於互動遊戲的可設定手持式電子系統的執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