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254A -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254A
KR20210017254A KR1020190096227A KR20190096227A KR20210017254A KR 20210017254 A KR20210017254 A KR 20210017254A KR 1020190096227 A KR1020190096227 A KR 1020190096227A KR 20190096227 A KR20190096227 A KR 20190096227A KR 20210017254 A KR20210017254 A KR 20210017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vibration
connector
support
soun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찬
Original Assignee
김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찬 filed Critical 김응찬
Priority to KR102019009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254A/ko
Publication of KR2021001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92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 H04R1/2896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음향장치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연결구(100)와, 연결구(100)에 마련된 관통공(106)을 관통하는 볼트가 그 윗면에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원추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부(104)와, 쐐기부(104)에 형성된 볼트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밑면 내측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102)와, 쐐기부(104)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음향장치의 하중을 지지하여 바닥면에 전달하는 받침구(112)와, 받침구(112)의 밑면과 접촉되면서 받침구(112)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114)를 포함하고, 연결구(100)는 중앙 부위에 직사각형 형상의 빈 공간에 해당하는 슬랫부(110)와, 음향장치와 볼트 결합되기 위해 볼트의 관통을 위한 결합공(108)이 더 포함되어 있고, 받침구(112)에는그 중앙 부위에 원형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쐐기부(104)가 일정한 위치에 놓여지고 또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A vibration reduction device for a speaker}
오늘날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취미 또는 여가 활동에 점차 많은 비용과시간을 들이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소위 마니아층들은 자신들의 여가 활동에 상당한 경제적 지출을 감수하는 경향이 뚜렷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향에 편승하여 일부 사람들 사이에서는 자신들의 여가 시간을 보다 안락하게 보내고자 하는 취지에서, 고가의 음향기기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수많은 음향 매니아들은 자신들의 음향기기에 대하여 음향의 품질을 고양시키기 위한 수단을 여러 모로 간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스피커시스템(Woofer Speaker System)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 내지는 방지하기 위한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피커시스템에서 저음 우퍼 스피커는 음향의 방향성이 없어 차단이 어렵고 모든 방향으로 울려 퍼지며, 특히 진동 전도가 큰 특성이 있다. 다가구 구조에서 층과 층으로 접하는 아파트 등의 실내에 저음 우퍼 스피커를 설치하면 스피커의 하부와 직접 닿아 연계되는 실내 바닥은 하부층의 천정과 닿아 실내공간과 연결되는 상태에 놓이고 이에 따라 공명 작용을 일으켜 특히 하부층 에서 큰 진동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우퍼 스피커의 진동이 바닥에 전해짐에 따라 일어나는 공진은 바닥을 진동시켜 공명 소음을 전달하는 것 외에 음질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DVD를 포함하여 다른 종류의 오디오 및 비디오의 음향 재생 목적으로 사용되는 홈시어터의 음향시스템은 고음질의 섬세한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어 보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홈시어터의 음향시스템은 보통의 경우 센터스피커, 전방 좌,우 스피커, 후방 좌,우 스피커, 저음 위주의 우퍼 스피커 시스템 등 6개의 스피커 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우퍼 스피커의 진동이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고 고음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진 및 저감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스피커의 진동이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고 고음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진 및 저감 장치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스피커와 오디오 밑에 대리석이나 방진 매트를 깔아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저감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리석을 이용하는 진동 방지는, 스피커의 진동 매질이 일차적으로 대리석에 전달되도록 하고 그 뒤 진동이 대리석과 닿아 있는 2차 구조물(바닥)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식이므로 스피커의 진동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었다.
방진 매트를 스피커가 닿는 바닥면 사이에 깔아 진동을 직접 흡수 저감하는 진동 방지도 마찬가지로, 진동을 방진 매트의 쿠션 작용으로 먼저 흡수하여 2차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것이지만, 미관이나 기능적으로 방진 매트의 두께를 무한정 크게 할 수 없어 진동 흡수에 한계가 있어 스피커의 진동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음향 및 음성 출력중 스피커 본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스피커 본체와 닿는 다른 구조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역으로 바닥면 등의 주변으로부터의 생활 진동이 스피커에게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도 포함됨) 공진 소음을 억제하고 공진에 의한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스피커 진동방지 장치에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져 왔다.
나아가 스피커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다른 구조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있어서, 스피커 본체와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직접적인 접촉을 최대한 회피하여 스피커 본체측 진동이 다른 매질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스피커 진동방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져 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스피커 등 음향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바닥면과 같은 다른 구조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내지는 감소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스피커 등의 음향자치 본체와 그 지지대 사엥에 직접적인 접촉을 최대한 회피하여 음향장치 본체측의 진동이 다른 매질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음향장치 받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바닥면이나 주변의 가타 구조물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진동 등을 저감 또는 차단하여 스피커 등의 음향장비를 통한 음향의 출력이 보다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력되는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그 설치 및 시공 등에 있어서 일반인이 매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부품의 간소화 및 조립상의 용이성을 확보하였고, 이로써 일반수요자가 직접 구매하여 가정에서 용이하게 얼마든지 설치가 가능한 것이어서 작업성(workability)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시공 전문가 등의 도움이 불필요하므로 설치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괴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디음과 같은 것을 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음향장치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연결구(100)와, 연결구(100)에 마련된 관통공(106)을 관통하는 볼트가 그 윗면에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원추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부(104)와, 쐐기부(104)에 형성된 볼트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밑면 내측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102)와, 쐐기부(104)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음향장치의 하중을 지지하여 바닥면에 전달하는 받침구(112) 및 받침구(112)의 밑면과 접촉되면서 받침구(112)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114)를 포함하고,
연결구(100)가 중앙 부위에 직사각형 형상의 빈 공간에 해당하는 슬랫부(110)를 포함하며, 동시에 연결구(100)는 음향장치와 볼트 결합되기 위해 볼트의 관통을 위한 결합공(108)이 포함되어 있으며,
받침구(112)에는그 중앙 부위에 원형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쐐기부(104)가 일정한 위치에 놓여지고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 의해 쇄기부가 받침구(1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하단부에 강구가 구비되어 바닥면과 점접촉되면서 바닥면과의 접촉 표면적이 최소화됨으로써 음향에너지에 의한 미세한진동이 바닥면으로 전달되면서 발생되는 소리의 울림 현상(공진 현상) 등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질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바닥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등을 저감 또는 차단하여 스피커를 통한 음의 출력이 보다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일반수요자가 직접 구매하여 가정에서 용이하게 얼마든지 설치가 가능한 것이어서, 시공 전문가 등의 도움이 불필요하므로 설치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100)와 다른 구성들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시스템이 음향장치에 결합된 상태에 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시스템이 음향장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향장치의 밑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음향장치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연결구(100)와, 원추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부(104)와, 쐐기부(104)에 형성된 볼트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밑면 내측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102)와, 상기 쐐기부(104)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음향장치의 하중을 지지하여 지면에 전달하는 받침구(112)와, 받침구(112)와 지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연결구(100)의 중앙 부위에 직사각형 형상의 빈 공간에 해당하는 슬랫부(1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연결구(100)에 음향장치와 볼트 결합되기 위해 볼트의 관통을 위한 결합공(108)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100)와 다른 구성들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100)의 사시도이다.
연결구(100)는 음향장치를 지지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음향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스피커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향장치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연결구(100)가 음향장치의 네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슬랫부(110)는 연결구(100)의 중앙 부위에 마련되어 이쓴 것으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구(100)는 음향장치의 밑면에 볼트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결합되는데, 음향장치가 놓이는 위치에 따라 연결구(10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슬랫부(110)의 적정한 위치에 볼트를 관통시켜 음향장치의 밑면과 연결구(100)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 슬랫부(110)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례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며, 타원형 또는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덮개부(102)는 연결구(100)에 마련된 관통공(106)을 통하여 쐐기부(104)와 결합된다. 덮개부(102)의 밑면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부(104)의 윗면에는 볼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쐐기부(104)의 볼트는 연결구(100)에 마련된 관통공(106)을 관통하여 덮개부(102)의 밑면에 형성된 너트에 결합된다. 이로써 연결구(100)에 덮개부(102) 및 쐐기부(104)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한편 덮개부(102)의 측면에는 회전시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미세한 홈(groove)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쐐기부(104)는 윗면에 볼트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구(100)를 관통하여 덮개부(102)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쐐기부(104)는 원추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음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바닥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쐐기부(104)는 금속 계열의 소재로서 강성이 매우 큰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끝단은 매우 첨예하게 형성되어 있다. 결구 쐐기부(104)는 후술하는 받침구(112)에 점접촉을 하게 된다. 쐐기부(104)가 받침구(112)에 점접촉을 하게 됨으로써 음향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바다면에 전해지거나 또는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생활 진동이 음향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덮개부(102)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부(104)에 볼트가 형성되어 있어 두 구성이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덮개부(102)의 밑면에 볼트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부(104)의 윗면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어 두 구성이 체결되는 것으로 하여도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문제가 되니 아니하는 것인 만큼, 이러한 변형례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결합공(108)은 음향장치와 연결구(100)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생략이 가능한 구성에 해당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시스템이 음향장치에 결합된 상태에 대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시스템이 음향장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향장치의 밑면을 도시한 것이다.
받침구(112)는 쐐기부(104)에 점접촉되어 음향장치의 하중을 바닥면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받침구(112)는 강성이 매우 큰 강재로 이루어져 있어 쐐기부(104)로부터 오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게 된다. 한편, 받침구(112)의 중앙부에는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쐐기부(104)의 끝단이 받침구(112)의 중앙 근처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받침구(112)에는 그 중앙 부위에 원형의 오목한 홈(dimple)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쐐기부(104)가 일정한 위치에 놓여지도록 하고 또한 외부에서 어떠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쐐기부(104)가 받침구(11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홈(dimple)은 받침구(112)와 쐐기부(104)간에 점접촉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곡률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탄성체(114)는 받침구(112) 밑면과 접촉되면서 받침구(112)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탄성체(114)는 고무 또는 섬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받침구(112)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바닥면에 최소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서 음향장치에서 오는 진동 또는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차단시켜서(면진:免震) 상부 구조물과 하부 바닥면 사이의 진동의 전달을 차단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탄성체(114)는 플렉시블(flexible)한 고무 또는 섬유(textile)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탄성체(114)는 고무 재질이거나 섬유 재질이거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고무 재질의 층과 섬유 재질의 층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서로 다른 층을 적층함으로써, 2층의 구조 또는 3층의 구조 내지는 그 이상의 구조로 만들어서 진동의 흡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쐐기부(104)와 받침구(112) 간의 점접촉에 의한 진동 전달의 방지 작용에 더하여 탄성체(114)의 진동 흡수 기능이 더해짐으로써 음향장치와 바닥면 사이에 진동의 전달이 쌍방간에 최소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음향 및 음성 출력 중 스피커 본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스피커 본체와 닿는 다른 구조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공진 소음을 억제하고 공진에 의한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피커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바닥면 등의 주변 다른 구조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있어서 스피커 본체와 직접 접촉을 최대한 회피하여 스피커 본체측 진동이 다른 구조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동 저감장치은, 저음 우퍼 스피커뿐만 아니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장치에 있어서 음향에 따른 진동의 방지를 위한 스피커 등의 모든 음향 장비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시어터와 같은 가정극장용 음향시스템 뿐만 아니라 소극장용 음향시스템 등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며, 음향장치의 외관을 특별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하지 아니하고 일반수요자가 매우 용이하게 간단히 작업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를 스피커에 직접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설명되어 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스피커를 지지하거나 적재하는 하우징(housing)에도 얼마든지 그 적용 및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스피커가 마닥면에 직접 놓이지 아니하고 하우징에 내장되어져 놓여 지게 되는 경우에는 스피커 자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스피커가 적재된 하우징의 밑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개념적 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을 완전히 드러낼 것이며, 현재의 지식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다른 것들은 다양한 적용에서 추가의 연구없이, 그리고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를 수정 및/또는 적응시킬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적응 및 수정은 특정 실시예와 동등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이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 및 재료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의 분야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또는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연결구 : 100 덮개부 : 102
쐐기부 : 104 관통공 : 106
결합공 : 108 슬랫부 : 110
받침구 : 112 탄성체 : 114

Claims (2)

  1. 음향장치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연결구(100)와;
    상기 연결구(100)에 마련된 관통공(106)을 관통하는 볼트가 그 윗면에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원추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부(104)와;
    상기 쐐기부(104)에 형성된 볼트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밑면 내측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102)와;
    상기 쐐기부(104)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음향장치의 하중을 지지하여 바닥면에 전달하는 받침구(112); 및
    상기 받침구(112)의 밑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받침구(112)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구(100)는 중앙 부위에 직사각형 형상의 빈 공간에 해당하는 슬랫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구(112)에는그 중앙 부위에 원형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쐐기부(104)가 일정한 위치에 놓여지고 또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 재질 또는 섬유 재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두 개의 재질을 복합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KR1020190096227A 2019-08-07 2019-08-07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KR20210017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27A KR20210017254A (ko) 2019-08-07 2019-08-07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27A KR20210017254A (ko) 2019-08-07 2019-08-07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254A true KR20210017254A (ko) 2021-02-17

Family

ID=7473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227A KR20210017254A (ko) 2019-08-07 2019-08-07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2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3675B (zh) 座位电声转换
KR101712986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WO1996031083A1 (en) Compact full-range loudspeaker system
KR101890416B1 (ko) 층간 소음 방지 패드
KR100195535B1 (ko)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떨림 방지 장치
KR20210017254A (ko) 스피커 진동 저감 장치
KR20210017251A (ko) 음향장치의 받침 시스템
JPH0314505Y2 (ko)
KR100724735B1 (ko) 스피커용 진동방지 장치.
JP4900089B2 (ja) スピーカーの天井取付構造
JP3973482B2 (ja) 内壁構造
KR100415651B1 (ko) 음향 체감기
JP6251926B2 (ja) スピーカ装置
JP2008118166A (ja) 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これを備えた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多チャンネルステレオシステム
JP4898957B2 (ja) スピーカ装置
JPH0112461Y2 (ko)
JP3883168B2 (ja) 音響機器用スタンド、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スピーカースタンド
TWM584324U (zh) 電磁接觸器隔音系統盒
JPS5851689A (ja) 音声による共振防止装置
KR20050081590A (ko) 스피커 진동방지 장치 및 진동방지 받침대
JP5887205B2 (ja) 音響機器用傾倒システム
JP5332917B2 (ja) 音響再生装置
JPH0513112Y2 (ko)
KR200396509Y1 (ko) 시공이 간편한 음향블럭
WO2022056952A1 (zh) 骨传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