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841A -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841A
KR20210016841A KR1020190095111A KR20190095111A KR20210016841A KR 20210016841 A KR20210016841 A KR 20210016841A KR 1020190095111 A KR1020190095111 A KR 1020190095111A KR 20190095111 A KR20190095111 A KR 20190095111A KR 20210016841 A KR20210016841 A KR 20210016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rminal
auxiliary
auxiliary circu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837B1 (ko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이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윤 filed Critical 이재윤
Priority to KR102019009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8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스위치; 상기 개폐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의 일방과 타방의 측면에 구비되는 주회로단자; 및 상기 주회로단자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며, 3핀 커넥터 단자로 구비되는 보조회로단자;를 포함하는 보조회로를 가진다.

Description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Circuit protector with Auxiliary circuit}
본 발명(Disclosure)은,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보조회로의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소형화 및 보조회로 단자 접속이 간편하게 한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송변전 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기기를 말한다.
또한 차단부가 절연물로 절연되어 조립된 차단기는 통상 사용 상태의 선로를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금속용기 외부의 전기조작장치 등에 의하여 원거리에서 개폐할 수 있고, 과부하 및 단락시 자동적으로 선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과 부하기기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차단기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설치하고,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접촉되게 하여 전류를 흐르게 할 뿐만 아니라, 차단기의 고장으로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신속히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촉자에서 분리하여 전류를 차단시키게 된다.
최근들어,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설치 대상 부하가 확대되고 있으며, 한정된 공간에 이를 설치하기 위해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보조회로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회로로서, 회로보호용 차단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태감시 장소까지 회로보호용 차단기와 연결된 선로가 연장된다.
한편, 보조회로의 설치를 위해서는, 3개의 선로(메인, NC, NO)가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일측에는 2개의 주회로 단자에 추가하여 3개의 보조회로 단자가 구비된다.
이들 단자가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하여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소형화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가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405호
본 발명(Disclosure)은, 보조회로의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소형화 및 보조회로 단자 접속이 간편하게 한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스위치; 상기 개폐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의 일방과 타방의 측면에 구비되는 주회로단자; 및 상기 주회로단자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며, 3핀 커넥터 단자로 구비되는 보조회로단자;를 포함하는 보조회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에서, 상기 주회로단자가 상기 케이스의 양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회로단자는 상기 주회로단자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에서, 상기 주회로단자는, 단자 나사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 나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체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에서, 상기 보조회로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개폐스위치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에서, 상기 보조회로단자는, 상기 3핀 각각의 길이 방향과 상기 단자 나사가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에서, 상기 보조회로단자는, 상기 3핀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고, 인접하는 상기 주회로단자와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핀 단자로 구비되는 보조회로단자를 이용하여, 보조회로단자가 차지하는 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서, 케이스의 소형화, 즉 케이스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의 제1 실시형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의 제1 실시형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는, 케이스(100), 개폐스위치(110), 주회로단자(120) 및, 보조회로단자(13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외관을 형성한다.
개폐스위치(110)는 케이스(10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다.
주회로단자(120)는 개폐스위치(110)를 사이에 두고, 케이스(100)의 일방과 타방의 측면에 구비되된다.
보조회로단자(130)는 주회로단자(120)가 배치되는 케이스(10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며, 3핀 커넥터 단자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보조회로단자(130)가 차지하는 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서, 케이스(100)의 소형화, 즉 케이스(100)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보호회로용 차단기에서는 보조회로단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주회로단자의 접속을 풀기 위해서는 보조회로단자의 접속을 모두 분리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회로용 차단기는, 보조회로단자(130)의 접속을 유지한 채 주회로단자(120)의 접속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에서, 주회로단자(120)가 케이스(100)의 양측 하부에 배치되고, 보조회로단자(130)는 주회로단자(12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에서, 주회로단자(120)는, 단자 나사로 구성되고 단자 나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체결, 분리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에서 보조회로단자(130)는, 케이스(100)의 상면에 개폐스위치(110)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이때, 보조회로단자(130)는, 바람직하게는 3핀 각각의 길이 방향과 단자 나사가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게 배치된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가 보조회로단자(130)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삽입, 제거하기 쉽다. 또한 보조회로단자(130)에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주회로단자(120)의 접속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조회로를 가지는 보호회로용 차단기에서 보조회로단자(130)는, 3핀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고, 인접하는 주회로단자(120)와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이에 따르면 보조회로단자(130)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그 커넥터에 연결된 선로가,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3핀 단자로 구비되는 보조회로단자(130)는, 3핀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케이스(100)의 폭 방향으로 점유하는 길이가 감소한다.
또한 보조회로단자(130)는, 주회로단자(120)와 세로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보조회로단자(130) 및 주회로단자(120) 각각에 접속되는 선로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스위치;
    상기 개폐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의 일방과 타방의 측면에 구비되는 주회로단자; 및
    상기 주회로단자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며, 3핀 커넥터 단자로 구비되는 보조회로단자;를 포함하는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회로단자가 상기 케이스의 양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회로단자는 상기 주회로단자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위치되는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회로단자는,
    단자 나사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 나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체결, 분리되는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로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개폐스위치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로단자는,
    상기 3핀 각각의 길이 방향과 상기 단자 나사가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게 배치되는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로단자는,
    상기 3핀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고, 인접하는 상기 주회로단자와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KR1020190095111A 2019-08-05 2019-08-05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KR10222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11A KR102229837B1 (ko) 2019-08-05 2019-08-05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11A KR102229837B1 (ko) 2019-08-05 2019-08-05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41A true KR20210016841A (ko) 2021-02-17
KR102229837B1 KR102229837B1 (ko) 2021-03-18

Family

ID=7473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111A KR102229837B1 (ko) 2019-08-05 2019-08-05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8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964A (ja) * 1992-10-19 1994-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KR20160114405A (ko) 2015-03-24 2016-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964A (ja) * 1992-10-19 1994-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KR20160114405A (ko) 2015-03-24 2016-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837B1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2486B2 (en) Gas-insulated medium-voltage switchgear assembly
TWI390813B (zh)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101445479B1 (ko) 스위치 기어
US6882257B2 (en) Earth Leakage Breaker
EP2805342B1 (en) Low-profile circuit breaker
US9312081B2 (en) Arcless fusible switch disconnect device for DC circuits
JP5844872B2 (ja) 配線用遮断器
EP3563459B1 (en) Circuit breaker system with an internal voltage limiter
KR102229837B1 (ko) 보조회로를 가지는 회로보호용 차단기
US6176717B1 (en) Electrical extension cord with immersion detection circuit interrupter safety protection
CN202917818U (zh) 布线用断路器
CN104183432B (zh) 一种预付费功能断路器
CN204303707U (zh) 断路器
JP2006014479A (ja) 回路保護装置
KR840001584B1 (ko) 휴대용 비상 안전장치
US5590018A (en) Arrangement of arrestors in a gas-insulated switchgear
EP3252795A1 (en) Voltage tap system for a fuse-holder base, fuse-holder base and measurement module incorporating said system
KR101649992B1 (ko) 초고압 차단기의 전자변 동결 보호장치
JP2000021548A (ja) 避雷器および分電盤
KR10143887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755501B1 (ko) 통합 수배전반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831850B1 (ko) 25.8kv 바이패스 가변 내장형 부하 개폐기
KR100479438B1 (ko) 기중차단기
KR200384332Y1 (ko) 피뢰기 및 변류기 내장형 지지애자
CN203165726U (zh) 一种配电箱开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