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988A -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988A
KR20210015988A KR1020210011682A KR20210011682A KR20210015988A KR 20210015988 A KR20210015988 A KR 20210015988A KR 1020210011682 A KR1020210011682 A KR 1020210011682A KR 20210011682 A KR20210011682 A KR 20210011682A KR 20210015988 A KR20210015988 A KR 2021001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osmetic
carrying unit
present
dischar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360B1 (ko
Inventor
최정선
이지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331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5234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1001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3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45D2200/1045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with one or more internal reservoirs, e.g. rupturable microcapsul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담지 유닛은 화장료를 담지하며, 제1담지체와; 상기 제1담지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제2담지체를 포함하는 담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담지체와 제2담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감겨져 있는 시트 형상이다.

Description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Carrier unit and Cosmetic good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특히,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또는 유리 용기 등에 충진되어 유통 및 보관되었다. 하지만 이들 용기들은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출시에도 간편하게 화장을 하거나 수정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가 편리한 화장용구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최근, 담지체에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켜 휴대가 간편하게 만든 화장용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장용구에서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담지체의 포어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담지체는 단일 성분이며 균일한 특성의 다공성 담지체를 사용하며 단일 성분의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 등록 제1,476,314호(2014년 8월 16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 유닛에 있어서, 제1담지체와; 상기 제1담지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제2담지체를 포함하는 담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담지체와 제2담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감겨져 있는 시트 형상인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담지체와 상기 제2담지체는 모두 시트 형상이며 서로 감겨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담지체는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배출면의 주변부까지 상기 제1담지체와 상기 제2담지체는 각각 적어도 2번 반복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와 상기 제2담지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배출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배출면의 주변부로 가면서 높이와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에 담지되어 있는 제1화장료와; 상기 제2담지체에 담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화장료와 다른 제2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 및 상기 제2담지체 사이에 위치하며 화장료 이동을 방지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 및 상기 제2담지체는 화장료 배출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는 상기 담지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담지체는 시트형상으로 제1담지체에 감겨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담지체는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배출면의 주변부까지 상기 제2담지체는 적어도 2번 반복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에 담지되어 있는 제1화장료와; 상기 제2담지체에 담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화장료와 다른 제2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 및 상기 제2담지체 사이에 위치하며 화장료 이동을 방지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 및 상기 제2담지체는 화장료 배출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는 권축을 가지는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화장료는 상기 제2화장료보다 점도가 낮을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는 화장료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담지체는 화장료 스틱 제형, 케익 제형 및 젤리 제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담지체를 수용하는 담지체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상기 담지 유닛과;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담지 유닛의 화장료가 배출되는 도포구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에서 담지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체”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매개체” 또는 “운반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담지 유닛”은 담지체와 담지체 케이스를 포함하며 담지체에는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나, “담지 유닛”은 담지체 케이스를 배제한 담지체 자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장료는 담지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 유닛의 “배출특성”이라 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복수의 담지체 자체의 재질, 복수의 담지체 자체의 물성(발포도, 강도, 화장료 담지능 등), 복수의 담지체 배출면의 표면 특성(색상, 모양, 높이 등), 복수의 담지체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 및/또는 복수의 담지체 간의 배치관계 등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담지 유닛(10)은 담지체(100)와 담지체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담지체(100)는 전체적으로 두꺼운 원판 형태이며, 사용자의 손 또는 도포구(40, 도 14 참조) 등으로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가진다.
담지체(100)는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로 이루어져 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시트 형상이며 서로 감겨져 있다.
서로 감겨져 있는 시트 형태로 인해, 도 3과 같이 배출면의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가는 동안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제(120)가 번갈아 가며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면의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가는 동안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2번 이상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서는 배출면의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가는 동안 제1담지체(110)-제2담지체(120)-제1담지체(110)와 같은 방식으로, 어느 하나의 담지체만 2번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과 달리 일부 구성요소간을 이격시켜서 도시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 사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격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다공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의 다공성 재질로는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 폼은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폼은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 재질일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천연펄프, 수세미(loofah), 모시, 라미(식물), 아야테(ayate, 용설란 또는 야자나무의 거친 피륙), 조류(algae), 대나무(Bamboo), 사이잘(sisal), 사이잘 테리(sisal terry, 사이잘로 짠 천), 곤약, 텐셀TM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마닐라 삼(abaca fi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CH2=CH-CN 섬유를 주요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친환경 생분해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공성 재질, WEB구조, 권축 구조, 발포 및 WEB구조 또는 발포 및 권축 구조일 수 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동일한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거나, 서로 다른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형 조성물, 구체적으로 수중유중수(W/O/W)형 또는 유중수중유형(O/W/O)형 또는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 조성물, 분산형 조성물이거나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또는 수분산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 또는 고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고상 조성물일 경우, 분말과 같은 분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용 조성물, 메이크업 베이스용 조성물, 파운데이션용 조성물, 컨실러용 조성물, 립용 조성물, 립 라이너용 조성물, 아이브로우용 조성물, 아이섀도우용 조성물, 아이라이너용 조성물, 블러셔(blusher)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스킨 케어용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서로 다른 화장료 배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배출 특성은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화장료를 담지하여 얻을 수 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발포도 등의 물성이 다르다면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서로 다른 배출 특성을 가진다. 또한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의 형상 및 배치 방법을 통해서도 배출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담지체(100)는 담지체 케이스(200)에 수용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 및 이들에 담지되는 화장료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배출특성 역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타입이나 화장 습관 등을 감안하여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 및 이들에 담지되는 화장료를 선택하면 선택에 맞추어 담지 유닛(10)을 맞춤형으로 제조 및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같이 시트 형상의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를 서로 포개어 말아주면 도 2와 같은 담지체(10)가 형성된다. 이 때 화장료는 미리 각 담지체(110, 120)에 담지되어 있거나, 포개어 말아 준 뒤에 담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높이가 큰 시트를 사용하여 원담지체(100')를 만들고 원담지체(100')를 커팅하여 개별 담지체(100)를 만드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담지체(100)는 주변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즉 말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구성은 접착층 또는 물리적 고정수단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담지체(100)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한데, 이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제1담지체(110)가 제2담지체(120)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배출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제1담지체(110)의 높이가 주변부로 갈수록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배출면에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제1담지체(110) 및 제2담지체(120)은 주변부로 갈수록 얇아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배출면에서의 높이 변화와 두께 변화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출면에 특유의 형상을 형성하거나 배출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3개 이상의 담지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에서 담지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에 서로 다른 화장료가 담지된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 사이에는 화장료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130)이 위치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서 화장료가 담지된 상태에서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막(130)은 담지체(110, 120)보다 얇게 만들어 질 수 있으며, 화장료가 통과할 수 없는 재질, 예를 들어 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막(130)은 도 10과 같이 제조과정에서 별도로 마련되거나, 제1담지체(110) 또는 제2담지체(120)의 일면에 먼저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제1담지체(110)는 심지 형태이며, 구체적으로는 원통형상이다. 제2담지체(120)는 제1담지체(110)를 감싸고 있으며, 배출면의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가면서 2번 이상 반복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담지체(110)는 권축이 형성되어 있는 섬유 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권축이 형성되어 있는 섬유 파일을 사용하면 화장료 담지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섬유 파일은 항균 셀로로오스, 천연펄프, Loofah(수세미; 식물), 모시, 라미(식물), Ayate(용설란, 야자나무)거친 피륙, Algae, Bamboo, sisal(사이잘; 용설란과에 속하는 식물), sisal terry(사이잘로 짠 천), 곤약, 텐셀TM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ABACA FIBER(마닐라 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있으며,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CH2=CH-CN 섬유를 주요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친환경 생분해성) 중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서 제1담지체(110)는 제2담지체(120)보다 낮은 점도의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담지체(110)는 오일 성분을 담지하고 제2담지체(120)는 저점도 파운데이션을 담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정하게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다. 오일 성분은 보습 또는 윤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담지체(110)는 15,000~30,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액상 조성물로 구성되고 제2담지체(120)는 30,000~100,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담지체(110)와 제2담지체(120)에 담지되는 화장료 조합은 파운데이션, 스킨케어 제형, 썬, 하일라이트, 밤제형의 조합일수 있다. 상세하게는, 파운데이션-오일젤, 파운데이션-썬, 파운데이션-하일라이트, 파운데이션-밤제형 조합일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도 화장료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이 추가될 수 있다. 제조 시에 화장료는 먼저 충진되어 있거나, 제2담지체(120)를 제1담지체(110)에 만 후에 충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지 유닛에서 담지체의 사시도이다.
제1담지체(110)는 화장료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제2담지체(120)가 화장료를 둘러싸고 있다. 제2 담지체(120)에는 액상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담지체(110)의 화장료는 화장료 스틱 제형, 케익 제형 또는 젤리 제형일 수 있다. 화장료 스틱 제형, 케익 제형 및 젤리 제형은 유분산제형, 수분산 제형, O/W제형, W/O제형일수 있다.
화장료 스틱은 별도의 담지체 없이 화장료만으로 일정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말하며, 스킨케어 밤, 에센스 밤, 하이라티트, 컨투어링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담지체(120)는 자연스러운 커버력을 위한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스틱 제형, 케익 제형, 젤리 제형은 제형의 연속상이 오일을 의미한다.
화장료 스틱 제형, 케익 제형 및 젤리 제형 등의 성분 예시는 다음과 같다.
화장료 스틱 제형 조성물
성분 함량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6.0
세레신 왁스 5.0
카르나우바 왁스 2.0
폴리옥시알킬렌 변성된 유기 폴리실록산 5.0
실리콘 처리된 탈크 14.0
실리콘 처리된 이산화티탄 10.0
실리콘 처리된 산화철(옐로우) 2.9
실리콘 처리된 산화철(레드) 1.0
실리콘 처리된 산화철(블랙) 0.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4.0
이온교환수 20.0
디프로필렌 글리콜 5.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오일젤 조성물
원료명 함량
Cetyl Ethylhexanoate 10.00
SUNFLOWER SEED OIL 20.00
(Olive) Fruit Oil 5.00
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 35.00
Vegetable Squalane 10.00
보존제 적량
Caprylic/Capric Triglyceride*Glycerin*Water*Sucrose Laurate 20.0
착향제 적량
하일라이트 조성물
원료명 함량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5.0
오조케라이트(Ozokerite ) 1.0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 15.0
디메치콘(Dimethicone ) 8.0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5.0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 ) 10.0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Stearyl Acrylate /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 2.0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
4.0
폴리메칠메타그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s) 5.0
안료 (Pigment ) 2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PE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9/19 Dimethicone ) 5.0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컨투어링 조성물
원료명 함량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3.0
오조케라이트(Ozokerite ) 1.0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 15.0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5.0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Stearyl Acrylate /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 4.0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 4.0
폴리메칠메타그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s) 5.0
안료 (Pigment ) 2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PE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9/19 Dimethicone ) 5.0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밤 제형 조성물
원료명 함량
비즈왁스(Bees wax) 1.5
멀티왁스(Multi wax) 1.0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 30.0
디메치콘(Dimethicone ) to 100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10.0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 ) 10.0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Stearyl Acrylate /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 2.0
디스테아르디모니움 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
3.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PEG/PE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 and PEG/PPG-19/19 Dimethicone ) 5.0
마이카(Mica) 5.0
안료 (Pigment )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화장용구(1)는 담지 유닛(10), 하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30), 도포구(40) 및 안착부(50)를 포함한다.
담지 유닛(10)의 담지체(100)에는 화장료가 담지되어 있으며, 담지체 케이스(200)는 하부 케이스(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도포구(4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납작한 원판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포구(40)는 손잡이띠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띠는 생략될 수 있다. 도포구(40)는 도포면을 통해 담지체(100)의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한다.
안착부(50)는 케이스(20, 30)가 닫힌 상태에서 도포구(40)를 안착시키며 화장료와 공기의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담지체 케이스(200)를 밀폐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안착부(5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의 화장용구(1)에서 각 구성요소의 개폐 및 연결을 위한 힌지 등의 구성은 생략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화장료를 담지하는 담지 유닛에 있어서,
    제1화장료로 이루어진 제1담지체와;
    상기 제1담지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제2담지체를 포함하는 담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담지체는 상기 제1담지체에 감겨져 있는 담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담지체는 시트 형상인 담지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는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배출면의 주변부까지 상기 제2담지체는 적어도 2번 반복되어 위치하는 담지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담지체는 상기 배출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배출면의 주변부로 가면서 높이와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하는 담지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담지체에 담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화장료와 다른 제2화장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담지체 및 상기 제2담지체 사이에 위치하며 화장료 이동을 방지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담지체는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2담지체는 상기 제1담지체의 측면에 감겨있는 담지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담지체는 화장료 스틱 제형, 케익 제형 및 젤리 제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지 유닛.
  9. 개폐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담지 유닛과;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담지 유닛의 화장료가 배출되는 도포구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0210011682A 2017-03-16 2021-01-27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37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82A KR102337360B1 (ko) 2017-03-16 2021-01-27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122A KR102252343B1 (ko) 2017-03-16 2017-03-16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0210011682A KR102337360B1 (ko) 2017-03-16 2021-01-27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122A Division KR102252343B1 (ko) 2017-03-16 2017-03-16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988A true KR20210015988A (ko) 2021-02-10
KR102337360B1 KR102337360B1 (ko) 2021-12-09

Family

ID=7886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82A KR102337360B1 (ko) 2017-03-16 2021-01-27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3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67Y1 (ko) *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476314B1 (ko) 2013-08-16 2014-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KR20150019782A (ko) * 2013-08-16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이드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60002023U (ko) * 2014-12-03 2016-06-14 (주)아모레퍼시픽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KR20200066158A (ko) * 2018-11-30 2020-06-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담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67Y1 (ko) *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476314B1 (ko) 2013-08-16 2014-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KR20150019782A (ko) * 2013-08-16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이드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60002023U (ko) * 2014-12-03 2016-06-14 (주)아모레퍼시픽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KR20200066158A (ko) * 2018-11-30 2020-06-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360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1358B2 (en) Foam having improved feeling during use
CA2862840C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ntaining urethane foam layer structure
US20200069536A1 (en) Urethane foam for use in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ES2727602T3 (es) Artículo impregnado con fibras y red de protección
KR102587332B1 (ko)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WO2013154391A1 (ko)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US10085540B2 (en)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including impermeable sheet
US10869533B2 (en) Applicator having improved contents transfer ability
KR20170012056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3281618A1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integrated sponge having layered structure
KR102337360B1 (ko)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252343B1 (ko)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24949B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1917217B1 (ko) 화장용 퍼프
KR102371201B1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200066158A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WO2018030696A1 (ko) 담지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US20240150556A1 (en) Eco-friendly structure containing natural fiber and regenerative fiber
KR20220086881A (ko) 제1 및 제2 화장료 조성물을 동시에 배출하기 위한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246769A (zh) 化妆料色相体现得到改善的载持体
KR20220058217A (ko) 화장료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