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756A - 전기 회로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회로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756A
KR20210015756A KR1020207029185A KR20207029185A KR20210015756A KR 20210015756 A KR20210015756 A KR 20210015756A KR 1020207029185 A KR1020207029185 A KR 1020207029185A KR 20207029185 A KR20207029185 A KR 20207029185A KR 20210015756 A KR20210015756 A KR 20210015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moving body
electric circuit
extinguish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나오 나카타니
유스케 콘도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39/006Opening by severing a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전기 회로의 차단 직후에 있어서 발생하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회로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 하우징(300)과, 하우징(300) 내에 배치되어 전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절단부(400)와, 상기 피절단부(400)를 절단하는 절단 부재(511)와, 하우징(300)의 제 1 단부(320) 측에 배치되는 동력원(P)을 구비한,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로서, 피절단부(400)를 내부에 삽입 통과시켜 수용함과 함께, 절단 부재(511)와, 상기 절단 부재(511)에 인접하는 제 1 소호 공간(X1)을 구비한 이동체(500)를 구비하고, 하우징(300)은 이동체(500)를 제 1 단부(320)와, 상기 제 1 단부(320)의 반대측의 제 2 단부(330)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부(310)를 구비하고, 이동체(500)는 동력원(P)에 의하여, 제 1 단부(320)로부터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이동체(500)에 구비된 절단 부재(511)가 피절단부(400)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동체(500)의 제 1 소호 공간(X1)은 이동체(500)가 이동했을 때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피절단부(400)의 분리편(420)과, 분리되지 않고 하우징(300) 내에 남는 피절단부(400)의 본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회로 차단 장치
본원 발명은, 주로 자동차 등의 전기 회로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 회로나, 전기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왔다. 자세하게는, 전기 회로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전기 회로의 일부를 절단하고, 물리적으로 전기 회로를 차단했다.
그리고, 이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1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700)에서는, 전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도체(710)를 하우징(720) 내의 절단실(721)에 삽입 통과시켜 수용해 두고, 펀치(730)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절단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펀치(730)는, 통 형상의 절단실(721) 내에서 유도체(710)를 횡단하도록 펀칭하는 것으로, 펀칭된 도전체(710)는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만, 유도체(710)가 펀칭된 직후는, 펀칭되어 분리된 도전체(710)와, 하우징 내에 남아 있는 도전체(710)의 거리가 가까워, 양자간에 아크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국제 공개 번호 W02015/117998
그래서,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전기 회로의 차단 직후에 있어서 발생하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회로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전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절단부와, 상기 피절단부를 절단하는 절단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제 1 단부측에 배치되는 동력원을 구비한, 전기 회로 차단 장치로서, 상기 피절단부를 내부에 삽입 통과시켜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절단 부재와, 상기 절단 부재에 인접하는 제 1 소호 공간을 구비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의 제 2 단부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상기 절단 부재가, 상기 피절단부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 1 소호 공간은, 상기 이동체가 이동했을 때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상기 피절단부의 분리편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내에 남는 상기 피절단부의 본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이동체 자체가 피절단부를 절단하는 절단 부재와, 제 1 소호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소호 공간은 절단 부재가 분리편을 절단하여 전기 회로를 차단한 직후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분리편과, 분리되지 않고 하우징 내에 남는 본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기 회로의 차단 직후에 있어서, 본체부에서 발생한 아크를 제 1 소호 공간 내로 방출하여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전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퓨즈로 이루어지는 피절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 1 단부측에 배치되는 동력원을 구비한, 전기 회로 차단 장치로서, 상기 피절단부를 내부에 삽입 통과시켜 수용함과 함께, 내부에 소호재를 충전한 제 1 소호 공간을 구비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의 제 2 단부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체의 제 1 소호 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피절단부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 1 소호 공간은, 상기 이동체가 이동했을 때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상기 피절단부의 분리편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내에 남는 상기 피절단부의 본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이동체 자체가 피절단부를 수용하여 절단하는 제 1 소호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소호 공간은, 분리편을 절단하여 전기 회로를 차단한 직후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분리편과, 분리되지 않고 하우징 내에 남는 본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기 회로의 차단 직후에 있어서, 본체부에서 발생한 아크를, 제 1 소호 공간 내로 방출하고, 상기 제 1 소호 공간 내의 소호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 이동체는, 서로 절연된 절연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단부를 향하여 더 이동했을 때에, 상기 절연 공간은, 상기 피절단부의 본체부에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이동체가 더 이동한 후에, 절연 공간이 하우징 내에 남는 피절단부의 본체부에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양측의 본체부에 고전압이 걸려, 본체부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상기 아크는 절연 공간 내에 갇혀 서로 절연되므로, 본체부 사이에서 아크가 연결되어, 전기 회로에 전류가 흘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절단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제 1 소호 공간과는 반대측에 제 2 소호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절단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제 1 소호 공간과는 반대측에 제 2 소호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분리편으로부터 제 2 단부를 향하여 진행되는 아크는 제 2 소호 공간 내로 방출되어 소호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통부의 외측에 소호재를 수납하는 제 3 소호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소호 공간은 상기 본체부를 내부에 삽입 통과시켜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제 3 소호 공간 내에 피절단부의 본체부를 삽입 통과시켜 수용하고 있으므로, 본체부에서 발생한 아크를 제 3 소호 공간 내의 소호재에 의하여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 피절단부의 본체부의 일부가 상기 제 3 소호 공간 내에서 구부러진 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피절단부의 본체부의 휨부가 제 3 소호 공간 내에서 구부러져 있으므로, 상기 휨부와 제 3 소호 공간 내의 소호재와의 접촉 면적은 증대하게 된다. 그 결과, 본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소호 성능이 높아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에 의하면, 전기 회로의 차단 직후에 있어서 발생하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다.
도 1(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측 하우징의 전체 사시도, (b)는 하측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측 하우징을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상측 하우징을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 (c)는 상측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이동체의 사시도, (b)는 이동체의 정면도, (c)는 이동체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피절단부의 사시도, (b)는 피절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를 조립된 상태에서의 A-A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가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가 더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피절단부의 전체 사시도, (b)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이동체의 사시도, (b)는 이동체의 정면도, (c)는 이동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를 조립된 상태에서의 B-B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가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이동체의 사시도, (b)는 이동체의 정면도, (c)는 이동체의 측면도이다.
도 15(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피절단부의 사시도, (b)는 피절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를 조립된 상태에서의 C-C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가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a)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이동체의 사시도, (b)는 해당 이동체의 정면도, (c)는 이동체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가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가 더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각 부재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우선,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하우징(300)을 구성하는 하측 하우징(100)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a)는 하측 하우징(100)의 전체 사시도, 도 1(b) 하측 하우징(100)의 평면도이다. 이 하측 하우징(10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대략 사각기둥체이며, 내부에 원통 형상의 하측 통부(110)와, 상기 하측 통부(110)의 주위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 3 소호 공간(X3)을 구비한다. 이 하측 통부(110)는 하측 하우징(100)의 상면(120)으로부터 하면(130)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이동체(5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하측 통부(110)의 내면(치환하면)은, 이동체(500)가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매끄러운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측 통부(110)의 상단의 일부에는, 후술하는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를 재치(載値)할 수 있도록, 본체부(430)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재치부(113)를 구비한다. 이 재치부(113)는 하측 통부(110)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재치부(113)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피절단부(400)를 양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또, 제 3 소호 공간(X3)은 하측 하우징(100)의 상면(120)으로부터 하면(130)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 형상을 하고 있고, 하측 통부(110)의 외측을 링 형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 제 3 소호 공간(X3)은 후술하는 소호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소호 공간(X3)은 하측 통부(1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측 통부(110)의 재치부(113)에 인접하는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크는, 피절단부(400)의 분리편(420)과의 경계인, 본체부(430)의 단부(431)를 기점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본체부(430)가 수용되는 개소인 재치부(113)에 인접하는 부분에, 제 3 소호 공간(X3)을 형성해 두면, 상기 제 3 소호 공간(X3) 내의 소호재가 아크를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하측 하우징(100)의 상면(120)에는, 후술하는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를 재치할 수 있도록, 본체부(430)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재치부(121)를 구비한다. 이 재치부(121)는 상면(120)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됨과 함께, 재치부(113)와 직선 형상으로 늘어서 있다. 그 때문에, 재치부(121)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피절단부(400)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 하측 하우징(100)의 상면(120)의 네 모서리에는 연결 구멍(B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 구멍(B1)은 후술하는 상측 하우징(200)의 연결 구멍(B2)과 상하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하우징(300)을 구성하는 상측 하우징(200)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a)는 상측 하우징(200)을 상면(220)측에서 본 사시도, 도 2(b)는 상측 하우징(200)을 하면(230)측에서 본 사시도, 도 2(c)는 상측 하우징(200)의 저면도이다.
이 상측 하우징(20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대략 사각기둥체이며, 도 1에 나타내는 하측 하우징(100)과 쌍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에 원통 형상의 상측 통부(210)와, 상기 상측 통부(210)의 주위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 3 소호 공간(X3)을 구비한다. 이 상측 통부(210)는 상측 하우징(200)의 하면(230)으로부터 상면(220)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이동체(5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측 통부(210)의 내면(211)은, 이동체(500)가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매끄러운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 상측 통부(2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100)의 하측 통부(110)와 상하로 배치되고,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통부(310)를 구성하는 것이며, 상측 통부(210)의 내경은 하측 통부(110)의 내경과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동체(500)는, 통부(310) 내를 상하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측 통부(210)의 단부의 일부는, 후술하는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재치부(213)를 구비한다. 이 재치부(213)는, 상측 통부(210)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됨과 함께,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13)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재치부(213)는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13)에 재치된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춰진다.
또, 제 3 소호 공간(X3)은, 상측 하우징(200)의 하면(230)으로부터 상면(220)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 형상을 하고 있고, 상측 통부(210)의 외측을 링 형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 제 3 소호 공간(X3)은 소호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하우징(200)의 제 3 소호 공간(X3)은 하측 하우징(100)의 제 3 소호 공간(X3)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하측 하우징(100)과 상측 하우징(200)을 연결 고정하면, 하측 하우징(100)의 제 3 소호 공간(X3)과 상측 하우징(200)의 제 3 소호 공간(X3)이 서로 연이어 통하게 된다.
또, 상측 하우징(200)의 하면(230)은, 후술하는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패인 재치부(231)를 구비한다. 이 재치부(231)는, 하면(230)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됨과 함께, 재치부(213)와 직선 형상으로 늘어서 있다. 또, 재치부(231)는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2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재치부(231)는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21) 위에 재치된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춰진다.
또한, 상측 하우징(200)의 상면(220)의 일부에는, 동력원(P)이 수용되는 동력원 수납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력원 수납부(221)의 저면 측에는, 상측 통부(210)의 상면과 연이어 통하는 연통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동력원 수납부(221) 내에 수용된 동력원(P)으로부터 생긴 공기압 등의 동력이, 연통 구멍(222)을 통하여 상측 통부(210) 내에 전해져, 상측 통부(210) 내의 이동체(50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면(220)에는 관통 구멍(B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B3)은 상측 하우징(200) 내부의 제 3 소호 공간(X3)으로 연이어 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하우징(300)을 조립한 후에, 관통 구멍(B3)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제 3 소호 공간(X3)에 소호재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하우징(100) 및 상측 하우징(20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대략 사각기둥체로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절연성이 높고,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재료로 임의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이동체(500)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a)는 이동체(500)의 사시도, 도 3(b)는 이동체(500)의 정면도, 도 3(c)는 이동체(500)의 측면도이다. 이 이동체(500)는 상면(560)과 하면(520)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대략 원주체이다. 이동체(500)의 외경은 통부(310)의 내경 이하로 되어 있고, 또한, 이동체(500)의 외면(530)은 통부(310)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매끄러운 표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동체(500)는, 통부(310)의 내측을 간극없이 매끄럽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또, 이동체(500)의 하면(520) 측에는, 한쪽의 외면(530)에서부터 반대측의 외면(530)까지, 즉, 이동체(500)를 정면에서 배면까지 관통하는 관통부(5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부(540)는, 하벽(541), 측벽(542), 측벽(543), 및 상벽(544)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관통부(540)의 내부에는, 돌출부(510)가 상벽(544)으로부터 하벽(541)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510)의 근원 측에는, 외면(530)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제 1 소호 공간(X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부(540)의 절단 부재(511)와 하벽(541) 사이의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절단부(400)의 분리편(420) 및 본체부(430)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피절단부(400)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돌출부(510)의 선단측에는, 절단 부재(5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 부재(511)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절단부(400)의 분리편(420)의 표면에 당접하는 당접면(512)과, 상기 당접면(512)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분리편(420)의 측면(423)을 사이에 끼우는 협지면(5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소호 공간(X1)은, 절단 부재(511)를 사이에 끼워 분리편(420)의 반대측에 두고, 절단 부재(51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이동체(500)의 외면(530)보다도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 1 소호 공간(X1)에는 소호재를 임의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부재(511)와 하벽(541)의 사이의 제 2 소호 공간(X2)에도 임의로 소호재를 수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돌출부(510)와 측벽(542) 및 측벽(543)의 각각의 사이의 제 4 소호 공간(X4)에도 소호재를 임의로 수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절단 부재(511)에 당접하도록 배치된 피절단부(400)의 분리편(420)의 주위를 소호재로 둘러쌀 수 있다.
또, 이동체(500)의 상면(560) 측에는, 외면(530)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절연 공간(5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 공간(550)은, 외면(530)이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 공간(550)은, 하벽(551), 측벽(552), 측벽(553), 상벽(554), 및 후벽(555)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주보도록 배치된 절연 공간(550)끼리는 서로 후벽(555)으로 차단되어 있으며, 서로 절연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 공간(550)에는, 소호재를 수납하고 있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크를 가두어 차단하고 있다. 또, 절연 공간(550)과 관통부(540)는 서로 하벽(551) 및 상벽(544)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며, 서로 절연된 독립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절연 공간(550)과 제 1 소호 공간(X1)도, 서로 하벽(551) 및 상벽(544)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며, 서로 절연된 독립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500)는 합성수지제의 원주 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절연성이 높고,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재료로 임의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가 차단하는 전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절단부(400)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a)는 피절단부(400)의 사시도, 도 4(b)는 피절단부(400)의 평면도이다. 이 피절단부(400)는,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전체가 금속제의 도전체로 되어 있고, 양단에 전기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본체부(430)와, 대략 중앙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분리편(420)을 구비한다. 본체부(430)의 단부에는, 전기 회로와 접속할 때에 이용하는 접속 구멍(4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분리편(420)의 양측에는 분리편(420)이 절단되어 분리되기 쉽게 절삭 홈(4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편(420)의 표면(42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이동체(500)의 절단 부재(511)의 당접면(512)이 당접하고, 양측의 측면(423)에는 절단 부재(511)의 협지면(513)이 당접하게 된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5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동체(500)의 관통부(540)에 있어서, 절단 부재(511)와 하벽(541)의 사이에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를 삽입하고, 피절단부(400)의 분리편(420)이 이동체(500)의 절단 부재(511)를 마주 볼 때까지 피절단부(400)를 삽입 통과시켜 간다. 그러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의 내부에 피절단부(400)의 분리편(420)을 삽입 통과시켜 수용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이동체(500)를 하면(520)측으로부터 하측 하우징(100)의 하측 통부(110)에 삽입한다. 그러면,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가,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13)와 재치부(121)에 끼워지도록 재치되고, 이동체(500)가 하측 통부(110) 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측 하우징(200)의 상측 통부(210) 내에 이동체(500)의 상면(560)이 삽입되도록, 상측 하우징(200)을 하측 하우징(100)의 위에서부터 끼워 맞춰 간다. 그리고, 상측 하우징(200)을 하측 하우징(100)을 향하여 밀어 넣어 가면, 상측 하우징(200)의 재치부(213)와 재치부(231)가,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상하로 늘어선 연결 구멍(B1) 및 연결 구멍(B2)을 연결구 등에 의하여 연결 고정함으로써, 하측 하우징(100) 및 상측 하우징(20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00)은, 내부에 피절단부(400) 및 이동체(500)를 수용한 상태로 맞붙여진다.
또한, 상측 하우징(200)의 동력원 수납부(221)에는, 동력원(P)이 장착되어 있다. 이 동력원(P)은, 전기 회로 중에 이상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검지했을 때에 외부로부터 이상 신호가 입력되면, 예를 들면, 동력원(P)의 내부의 화약을 폭발시키고, 그 폭발에 의한 공기압에 의하여, 이동체(500)를 통부(310) 내에서 순식간에 밀어 내어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동력원(P)은, 이동체(50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화약을 이용한 동력원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기존의 동력원을 이용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A-A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는 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하측 통부(110) 및 상측 통부(210)로 구성되는 통부(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 통부(310)는 하우징(300)의 제 1 단부(320)에서부터 제 1 단부(320)의 반대측의 제 2 단부(330)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500)는 동력원(P)이 배치된 제 1 단부(320)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통부(310)의 제 2 단부(330)측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는 분리편(420)을 절단하여 분리하면서, 제 2 단부(330)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동체(500)의 상면(560)은 동력원 수납부(221) 내에 장착된 동력원(P)에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력원(P) 내의 화약의 폭발에 의한 공기압은 연통 구멍(222)을 통하여 이동체(500)의 상면(560)으로 전달된다.
또, 피절단부(400)의 분리편(420)은 이동체(500)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수용되어 있고,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는 제 3 소호 공간(X3) 내부에 삽입 통과하여 수용되어 있다. 또, 제 2 소호 공간(X2)은 절단 부재(511)를 사이에 끼우고 제 1 소호 공간(X1)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소호 공간(X1) 및 제 3 소호 공간(X3)에는 입자 형상의 소호재(M)가 수납되어 있다. 또, 이동체(500)의 관통부(540)에는 소호재(M)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관통부(540)의 제 2 소호 공간(X2) 및 제 4 소호 공간(X4)(도 3 참조)에도 소호재(M)가 수납되게 된다. 또한, 도 6부터 도 8에서는, 제 1 소호 공간(X1), 제 2 소호 공간(X2), 제 3 소호 공간(X3), 및 제 4 소호 공간(X4) 내에, 소호재(M)가 충전되어 있지만, 도면상은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소호재(M)의 일부밖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에는 소호재(M)를 수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호재(M)를 수용하지 않아도 된다. 제 1 소호 공간(X1)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공간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430)의 단부(431)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제 1 소호 공간(X1) 내로 방출된다. 그리고, 아크는 제 1 소호 공간(X1) 내의 공중으로 나아갈 때에 에너지를 소비하고, 이윽고 소호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제 1 소호 공간(X1)에 소호재(M)를 수용하지 않아도, 제 1 소호 공간(X1)은 아크를 충분히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 2 소호 공간(X2), 및 제 4 소호 공간(X4) 내에, 소호재(M)를 수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호재(M)를 수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 제 2 소호 공간(X2), 제 3 소호 공간(X3), 또는 제 4 소호 공간(X4)에 소호재(M)를 수용하는 경우, 소호재(M)는 규사 등의 입자 형상의 고체의 소호재로 한정되지 않고, 질소 가스 등의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기체 형상의 소호재를 각 공간에 충전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사용 형태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500)가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등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는, 이상 신호가 동력원(P)에 입력되어, 동력원(P) 내의 화약이 폭발한다. 그러면, 그 폭발에 의한 공기압이 연통 구멍(222)을 통하여 순식간에 이동체(500)의 상면(560)에 전해진다. 그러면, 이 공기압에 의하여, 이동체(500)는 제 1 단부(320)로부터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힘차게 날아가,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순식간에 이동한다.
그러면, 이동체(500)의 절단 부재(511)는, 이동체(500)가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분리편(420)을 절단하여 본체부(430)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분리편(420)은 이동체(500)와 함께 제 2 단부(330)로 향하여 이동하고, 본체부(430)부터 떨어져 가는 것이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가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로 향하여 이동하면, 절단 부재(511)보다 상방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1 소호 공간(X1)이 본체부(430)와 마주보는 위치에까지 이동해 온다. 그 때문에, 이동체(500)의 절단 부재(511)가 분리편(420)을 절단한 직후에, 제 1 소호 공간(X1)은 분리편(420)과 본체부(4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체(500)의 절단 부재(511)가 분리편(420)을 절단한 직후에 있어서는, 분리편(420)과 본체부(430)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분리편(420)과 상기 분리편(420)과의 경계인 본체부(430)의 단부(431)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430)의 단부(431)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분리편(420)과 본체부(4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소호 공간(X1)으로 방출되어 소호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 내에는 소호재(M)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아크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동체(500)가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더 이동한 모습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500)가 더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가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이동하면, 제 1 소호 공간(X1)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 공간(550)이 본체부(430)와 마주보고 인접하는 위치에까지 이동해 온다. 그리고, 양측의 본체부(430) 사이에 고전압이 걸려, 본체부(430)의 단부(431)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상기 아크는 절연 공간(550) 내에 갇힌다. 양측의 본체부(430)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는 절연 공간(550) 내에 갇혀 서로 절연 되므로, 양측의 본체부(430) 사이에서 아크가 연결되어, 전기 회로에 전류가 흘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크가 절연 공간(550) 내에 갇혀 절연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절연 공간(550)이, 하벽(551), 측벽(552), 측벽(553), 상벽(554), 및 후벽(555)에 의하여 주위가 둘러싸인 오목하게 되어 있으므로(도 3을 참조), 한쪽 본체부(430)의 단부(431)에서 발생한 아크는, 절연 공간(550)으로 진행이 방해되어, 반대측의 본체부(430)를 향하여 진행될 수 없는 상태이다.
또한, 절연 공간(550) 내에는, 소호재(M)를 수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공간(550) 내에 소호재(M)를 수용하면, 본체부(430)에서 발생한 아크에 의하여 소호재(M)가, 고온에 노출되어 탄화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탄화된 부분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되어, 아크가 절연 공간(550)으로부터 누설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절연 공간(550)으로부터 누출된 아크가, 이동체(500)의 외면(530)을 따라서 진행되어 가, 반대측의 본체부(430)에서 발생한 아크와 연결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절연 공간(550) 내에는, 소호재(M)를 수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절연 공간(550) 내에는, 아크에 의하여 탄화되지 않는 재료를 수납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에 의하면, 이동체(500) 자체가 피절단부(400)를 절단하는 절단 부재(511)와, 제 1 소호 공간(X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소호 공간(X1)은 절단 부재(511)가 분리편(420)을 절단하고, 전기 회로를 차단한 직후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분리편(420)과, 분리되지 않고 하우징(300) 내에 남는 본체부(430)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기 회로의 차단 직후에 있어서, 본체부(430)에서 발생한 아크를 제 1 소호 공간(X1) 내로 방출하여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 내에 소호재(M)를 수용한 경우는, 본체부(430)에서 발생한 아크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하여, 절단실(721) 내에 입자 형상의 고체의 소호재를 봉입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절단실(721) 내에 소호재를 봉입하면, 펀치(730)의 펀칭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있어, 절단실(721) 내에 소호재를 봉입하는 것은 곤란했다. 다만, 본원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소호재(M)를 통부(310) 내가 아니라, 절단 부재(511)와 함께 이동체(500) 자체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이동체(500)가 통부(310) 내에서 이동하여 분리편(420)을 절단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 분리편(420)은 이동체(500)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체(500)와 함께 이동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펀치의 펀칭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소호재(M)와 분리편(420)은 모두 이동체(500)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체(500)와 함께 이동하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이동체(500) 내에 소호재(M)를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은 이동체(500) 내부의 체적에 따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소호재(M)를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어, 아크의 소호 성능이 지극히 높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에 의하면, 이동체(500)가 더 이동한 후에, 절연 공간(550)이, 하우징(300) 내에 남는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를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양측의 본체부(430)에 고전압이 걸려, 본체부(430)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상기 아크는 절연 공간(550) 내에 갇혀 서로 절연되므로, 본체부(430) 사이에서 아크가 연결되어, 전기 회로로 전류가 흘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에 의하면, 절단 부재(511)를 사이에 끼워 제 1 소호 공간(X1)과는 반대측에, 제 2 소호 공간(X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분리편(420)으로부터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진행되는 아크는, 제 2 소호 공간(X2) 내로 방출되어 소호되는 것이다. 또한, 제 2 소호 공간(X2) 내에 소호재(M)를 수용한 경우는, 아크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다. 또, 제 2 소호 공간(X2)은 분리편(420)의 하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분리편(420)에서 발생한 아크는, 제 2 소호 공간(X2) 내의 소호재(M)에 의하여 광범위하게 걸쳐 소호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에 의하면, 제 3 소호 공간(X3) 내에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를 삽입 통과시켜 수용하고 있으므로, 본체부(430)에서 발생한 아크를 제 3 소호 공간(X3) 내의 소호재(M)에 의하여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분리편(420)과 본체부(430)의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는, 제 1 소호 공간(X1)에 의하여 소호할 수 있지만, 소호 성능을 높이는 경우는, 제 1 소호 공간(X1)을 확대하여 소호 면적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1 소호 공간(X1)을 넓히게 되면, 제 1 소호 공간(X1)을 포함한 이동체(500), 및 이동체(500)를 이동시키는 통부(310) 주변의 구조도 커져 버린다. 다만, 통부(310) 및 이동체(500)와 같은 구동 부분은,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성능이나 안전상, 가능한 한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동체(500)를 이동시키는 통부(310)의 외측에, 피절단부(400)의 본체부(430)를 수용하는 제 3 소호 공간(X3)을 구비한 것으로, 통부(310) 및 이동체(500)를 대형화하지 않고, 본체부(430)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소호 성능을 높였던 것이다.
또한, 도 1부터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에서는, 제 1 소호 공간(X1)의 상방의 인접하는 위치에 절연 공간(550)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절연 공간(550)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는, 제 1 소호 공간(X1)이 절연 공간(550)의 위치까지 연장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부터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후술한다.
<실시 형태 2>
그럼 다음으로, 실시 형태 2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A)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a)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A)의 피절단부(400A)의 전체 사시도, 도 9(b)는 도 8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단면도와 마찬가지로,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A)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A)의 구성은, 피절단부(400A)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A)의 피절단부(400A)는 중앙의 분리편(420A)과, 상기 분리편(420A)의 양측에 본체부(43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430A)의 일부가 분리편(420A)으로부터 상승하도록 구부러진 휨부(440A)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절단부(400A)의 휨부(440A)는 하우징(300A)의 제 3 소호 공간(X3A) 내에서, 제 3 소호 공간(X3A)이 펼쳐지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구부러져 있다. 그 때문에, 휨부(440A)와 제 3 소호 공간(X3A) 내의 소호재(MA)와의 접촉 면적은, 도 6에 나타내는 제 3 소호 공간(X3) 내에 직선 형상으로 삽입 통과하고 있는 본체부(430)와 소호재(M)와의 접촉 면적에 비해 증대하게 된다. 그 결과,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A)에서는, 본체부(430A)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소호 성능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도 9에서는, 피절단부(400A)의 휨부(440A)는 분리편(420A)으로부터 상승하여, 제 3 소호 공간(X3A)이 펼쳐지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구부러지는 형상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휨부(440A)는 소호재(MA)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제 3 소호 공간(X3A) 내에서 구부러져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실시 형태 3>
그럼 다음으로, 실시 형태 3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에 대하여, 도 10부터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0(a)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의 이동체(500B)의 사시도, (b)는 상기 이동체(500B)의 정면도, (c)는 이동체(500B)의 측면도이다. 또,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의 구성은, 이동체(500B)가 절연 공간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 하우징(300B)이 제 3 소호 공간(X3)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B)는 상면(560B)과 하면(520B)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대략 직방체이다. 또, 이동체(500B)의 상면(560B)측에서부터 하면(520B)측에 걸쳐, 한쪽의 외면(530B)에서부터 반대측의 외면(530B)까지, 즉, 이동체(500B)를 정면에서 배면까지 관통하는 관통부(540B)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부(540B)는, 하벽(541B), 측벽(542B), 측벽(543B), 및 상벽(544B)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관통부(540B)의 내부에는, 돌출부(510B)가 상벽(544B)으로부터 하벽(541B)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510B)의 선단측에는, 절단 부재(51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 부재(511B)의 하면은, 피절단부(400B)의 분리편(420B)의 표면에 당접하는 평탄한 당접면(512B)으로 되어 있다. 또, 돌출부(510B)의 근원측에는, 외면(530B)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제 1 소호 공간(X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소호 공간(X1B)은, 절단 부재(511B)로부터 상면(560B)을 향하여 연장되는 긴 형상의 공간이며, 그 내부에는 임의로 소호재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부재(511B)와 하벽(541B) 사이의 제 2 소호 공간(X2B)에도 소호재를 수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돌출부(510B)와 측벽(542B) 및 측벽(543B)의 각각의 사이의 제 4 소호 공간(X4B)에도 소호재를 수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절단 부재(511B)에 당접하도록 배치된 피절단부(400B)의 분리편(420B)의 주위를, 소호재로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B)에는 소호재(MB)를 수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호재(MB)를 수용하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소호 공간(X2B), 및 제 4 소호 공간(X4B) 내에, 소호재(MB)를 수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호재(MB)를 수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의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1은,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동체(500B)의 관통부(540B)에 있어서, 절단 부재(511B)와 하벽(541B)의 사이에 피절단부(400B)의 본체부(430B)를 삽입하고, 피절단부(400B)의 분리편(420B)이 이동체(500B)의 절단 부재(511B)를 마주 볼 때까지 피절단부(400B)를 삽입 통과시켜 간다. 그러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B)의 내부에 피절단부(400B)의 분리편(420B)을 삽입 통과시켜 수용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이동체(500B)를 하면(520B)측으로부터 하측 하우징(100B)의 하측 통부(110B)에 삽입한다. 그러면, 피절단부(400B)의 본체부(430B)가 하측 하우징(100B)의 재치부(121B)에 끼워지도록 재치되어, 이동체(500B)가 하측 통부(110B) 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측 하우징(200B)의 상측 통부(210B) 내에 이동체(500B)의 상면(560B)이 삽입되도록, 상측 하우징(200B)을 하측 하우징(100B)의 위에서부터 끼워 맞춰 간다. 그리고, 상측 하우징(200B)과 하측 하우징(100B)을 서로 연결 고정하면, 하측 하우징(100B) 및 상측 하우징(200B)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00B)은, 내부에 피절단부(400B) 및 이동체(500B)를 수용한 상태로 맞붙여진다.
또한, 상측 하우징(200B)의 동력원 수납부(221B)에는, 동력원(PB)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측 하우징(100B)의 하측 통부(110B)와, 상측 하우징(200B)의 상측 통부(210B)는, 내부에 이동체(500B)를 수용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500B)의 형상에 맞추어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통 형상을 하고 있다. 또, 하측 통부(110B) 및 상측 통부(210B)의 주위에는, 제 3 소호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형성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B-B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B)는 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하측 통부(110B) 및 상측 통부(210B)로부터 구성되는 통부(310B)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 통부(310B)는 하우징(300B)의 제 1 단부(320B)에서부터 제 1 단부(320B)의 반대측의 제 2 단부(330B)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500B)는 동력원(PB)이 배치된 제 1 단부(320B)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B)는 분리편(420B)을 절단하여 분리하면서, 제 2 단부(330B)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소호 공간(X1B)에는 입자 형상의 소호재(MB)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500B)의 관통부(540B)에는 소호재(MB)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관통부(540B)의 제 2 소호 공간(X2B) 및 제 4 소호 공간(X4B)(도 10 참조)에도 소호재(M)가 수납되게 된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의 사용 형태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500B)가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등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는, 이상 신호가 동력원(PB)에 입력되어 동력원(PB) 내의 화약이 폭발한다. 그러면, 그 폭발에 의한 공기압이 연통 구멍(222B)을 통하여 순식간에 이동체(500B)의 상면(560B)에 전해지고, 이동체(500B)는 제 1 단부(320B)로부터 제 2 단부(330B)를 향하여 힘차게 날려 버려, 통부(310B) 내를 제 2 단부(330B)를 향하여 순식간에 이동한다.
그러면, 이동체(500B)의 절단 부재(511B)는 이동체(500B)가 제 2 단부(330B)를 향하여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분리편(420B)을 절단하여 본체부(430B)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분리편(420B)은 이동체(500B)와 함께 제 2 단부(330B)로 향하여 이동하고, 본체부(430B)로부터 떨어져 가는 것이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B)가 통부(310B) 내를 제 2 단부(330B)로 향하여 이동하면, 절단 부재(511B)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1 소호 공간(X1B)이 본체부(430B)와 마주보는 위치에까지 이동해 온다. 그 때문에, 이동체(500B)의 절단 부재(511B)가 분리편(420B)을 절단한 직후에, 제 1 소호 공간(X1B)은 분리편(420B)과 본체부(430B)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체(500B)의 절단 부재(511B)가 분리편(420B)을 절단한 직후에 있어서, 분리편(420B)과, 본체부(430B)의 단부(431B)와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해도, 본체부(430B)의 단부(431B)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분리편(420B)과 본체부(430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소호 공간(X1B) 내로 방출되어 소호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B) 내에는 소호재(MB)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아크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B)에 의하면, 이동체(500B) 자체가 피절단부(400B)를 절단하는 절단 부재(511B)와, 제 1 소호 공간(X1B)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소호 공간(X1B)은, 절단 부재(511B)가 분리편(420B)을 절단하고, 전기 회로를 차단한 직후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분리편(420B)과, 분리되지 않고 하우징(300B) 내에 남는 본체부(430B)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기 회로의 차단 직후에 있어서, 본체부(430B)에서 발생한 아크를 제 1 소호 공간(X1B) 내로 방출하여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B) 내에 소호재(M)를 수용한 경우는, 본체부(430B)에서 발생한 아크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하여, 절단실(721) 내에 입자 형상의 고체의 소호재를 봉입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절단실(721) 내에 소호재를 봉입하면, 펀치(730)의 펀칭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있어, 절단실(721) 내에 소호재를 봉입하는 것은 곤란했다. 다만, 본원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소호재(MB)를 통부(310) 내가 아니라, 절단 부재(511B)와 함께 이동체(500B) 자체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이동체(500B)가 통부(310B) 내에서 이동하여 분리편(420B)을 절단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 분리편(420B)은 이동체(500B)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체(500B)와 함께 이동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펀치의 펀칭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소호재(MB)와 분리편(420B)은 함께 이동체(500B)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체(500B)와 함께 이동하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이동체(500B) 내에 소호재(MB)를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B)은 이동체(500B) 내부의 체적에 따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소호재(MB)를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어, 아크의 소호 성능이 지극히 높다.
또, 제 1 소호 공간(X1B)은 절단 부재(511B)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대량의 소호재(MB)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500B)가 하방의 제 2 단부(330B)로 향하여 이동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도, 상하로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1 소호 공간(X1B)은 분리편(420B)과 본체부(430B)와의 사이에 확실히 위치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그럼 다음으로, 실시 형태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대하여, 도 14부터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A)의 피절단부(400A)와 같이, 휨부(440A)를 병용할 수도 있다.
우선,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체인 피절단부(400)를 물리적으로 절단하여, 전기 회로를 차단했다. 예를 들면, 전기 회로 중에, 비교적 낮은 이상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전기 회로를 차단했다면,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에 의하여, 피절단부(400)를 물리적으로 절단하면 좋다. 그 한편으로, 전기 회로 중에, 예를 들면, 비교적 높은 이상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전기 회로를 차단했다면, 전기 회로 중에 소정의 정격(定格)의 퓨즈를 접속하고, 이상 전류에 의하여 퓨즈를 용단 시키고, 전기 회로를 절단하면 좋다. 이와 같이, 전기 회로 중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와 퓨즈를 직렬 접속해 두고, 비교적 낮은 이상 전류가 흐른 경우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가 전기 회로를 절단하고, 비교적 높은 이상 전류가 흐른 경우는, 퓨즈가 용단되어 전기 회로를 절단했다. 또 만일,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전기 회로를 차단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에 직렬 접속된 퓨즈가 결국 용단되므로, 전기 회로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소정의 각 이상 전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에 의하여 절단되는 피절단부(400)와, 소정의 이상 전류에서 용단하는 퓨즈의 양쪽을 전기 회로에 직렬 접속하게 되면, 전기 회로 중에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와 퓨즈의 양쪽을 직렬로 늘어놓아 설치할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전기 회로나 주변 부재의 제조 비용의 증대나 설치 스페이스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실시 형태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는,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는 실시 형태 1부터 3의 발명이 해결하는 과제 「전기 회로의 차단 직후에 있어서 발생하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하는」것도 동시에 해결하고 있다.
그럼, 이하의 도 14부터 도 18에서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4(a)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의 이동체(500C)의 사시도, (b)는 상기 이동체(500C)의 정면도, (c)는 이동체(500C)의 측면도이다. 또,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구성과, 이동체(500C)의 구성 및 피절단부(400C)의 구성이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C)는 상면(560C)과 하면(520C)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대략 원주체이다. 이동체(500C)의 외경은 하우징(300)의 통부(310)의 내경 이하로 되어 있고, 또한, 이동체(500C)의 외면(530C)은 통부(310)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매끄러운 표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동체(500C)는 통부(310)의 내측을 간극없이 매끄럽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또, 이동체(500C)의 대략 중앙에는, 한쪽의 외면(530C)에서부터 반대측의 외면(530C)까지, 즉, 이동체(500C)를 정면에서 배면까지 관통하는 관통부(540C)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부(540C)는, 하벽(541C), 측벽(542C), 측벽(543C), 및 상벽(544C)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이 하벽(541C), 측벽(542C), 측벽(543C), 및 상벽(544C)으로 둘러싸여, 외면(530C)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공간이, 제 1 소호 공간(X1C)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소호 공간(X1C)에는, 후술하는 피절단부(400C)의 분리편(420C)을 삽입 통과시켜 수용할 수 있다. 또, 이 제 1 소호 공간(X1C) 내에는, 후술하는 소호재를 충전시키므로, 제 1 소호 공간(X1C) 내에 수용된 피절단부(400C)의 분리편(420C)의 주위를, 소호재로 완전히 둘러쌀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500C)에는, 피절단부(400C)의 분리편(420C)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이동체(500C)는 합성수지제의 원주 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절연성이 높고,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재료로 임의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가 차단하는 전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절단부(400C)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a)는 피절단부(400C)의 사시도, 도 4(b)는 피절단부(400C)의 평면도이다. 이 피절단부(400C)는,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전체가 금속제의 퓨즈로 구성되어 있고, 양단에 전기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본체부(430C)와, 대략 중앙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분리편(420C)을 구비한다. 본체부(430C)의 단부에는 전기 회로와 접속할 때에 이용하는 접속 구멍(410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분리편(420)의 중앙 및 양단에는, 절삭 홈(421C) 및 관통 구멍(424C)이 형성되고, 폭이 국소적으로 좁아진 용단부(42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단부(425C)는 전기 회로 중에 이상 전류가 흘렀을 때에, 발열하여 용단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퓨즈 기능을 구비한 피절단부(400C)의 두께는, 도 4에 나타내는 퓨즈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피절단부(400)와 비교하여 얇게 되어 있다. 피절단부(400C)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용단부(425C)의 두께도 얇아져, 이상 전류가 흘렀을 때에 용단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의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6은,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동체(500C)의 제 1 소호 공간(X1C)에 피절단부(400C)의 본체부(430C)를 삽입하고, 피절단부(400C)의 분리편(420C)이 이동체(500)의 제 1 소호 공간(X1C) 내에 수용될 때까지 피절단부(400C)를 삽입 통과시켜 간다.
다음으로, 이동체(500C)를 하면(520C)측으로부터 하측 하우징(100)의 하측 통부(110)에 삽입한다. 그러면, 피절단부(400C)의 본체부(430C)가,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13)와 재치부(121)에 끼워지도록 재치되어, 이동체(500C)가 하측 통부(110) 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측 하우징(200)의 상측 통부(210) 내에 이동체(500C)의 상면(560C)이 삽입되도록, 상측 하우징(200)을 하측 하우징(100)의 위에서부터 끼워 맞춰 간다. 그리고, 상측 하우징(200)을 하측 하우징(100)을 향하여 밀어 넣어 가면, 상측 하우징(200)의 재치부(213)와 재치부(231)가 피절단부(400C)의 본체부(430C)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상하로 늘어선 연결 구멍(B1) 및 연결 구멍(B2)을 연결구 등에 의하여 연결 고정함으로써, 하측 하우징(100) 및 상측 하우징(20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00)은, 내부에 피절단부(400C) 및 이동체(500C)를 수용한 상태로 맞붙여 진다.
또한, 상측 하우징(200)의 동력원 수납부(221)에는, 동력원(P)이 장착되어 있다. 이 동력원(P)은, 전기 회로 중에 이상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검지했을 때에 외부로부터 이상 신호가 입력되면, 예를 들면, 동력원(P)의 내부의 화약을 폭발시키고, 그 폭발에 의한 공기압에 의하여, 이동체(500C)를 통부(310) 내에서 순식간에 밀어 내어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동력원(P)은, 이동체(500C)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화약을 이용한 동력원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알려진 동력원을 이용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의 내부 구조 및 사용 형태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를 조립된 상태에서의 C-C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C)는, 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하측 통부(110) 및 상측 통부(210)로 구성되는 통부(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 통부(310)는 하우징(300)의 제 1 단부(320)에서부터, 제 1 단부(320)의 반대측의 제 2 단부(330)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500C)는 동력원(P)이 배치된 제 1 단부(320)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통부(310)의 제 2 단부(330)측은 공동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C)는 분리편(420C)을 절단하여 분리하면서, 제 2 단부(330)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동체(500C)의 상면(560C)은 동력원 수납부(221) 내에 장착된 동력원(P)에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력원(P) 내의 화약의 폭발에 의한 공기압은, 연통 구멍(222)을 통하여 이동체(500C)의 상면(560C)으로 전달된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소호 공간(X1C), 및 제 3 소호 공간(X3)에는 입자 형상의 소호재(M)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피절단부(400C)의 분리편(420C)은 이동체(500C)의 제 1 소호 공간(X1C)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수용되어 있으므로, 피절단부(400C)의 용단부(425C)의 주위는 소호재(M)로 덮인 상태로 되어 있다. 또, 피절단부(400C)의 본체부(430C)는 제 3 소호 공간(X3) 내부에 삽입 통과하여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서는, 제 1 소호 공간(X1C) 전체, 및 제 3 소호 공간(X3) 전체에, 소호재(M)가 충전되어 있지만, 도면상은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소호재(M)의 일부밖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전기 회로 중에 비교적 높은 이상한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전기 회로에 접속된 피절단부(400C)의 용단부(425C)가 발열하여 용단된다. 그 때문에, 전기 회로는 차단되고, 과전류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또한, 피절단부(400C)의 용단부(425C)의 용단 시나 용단 후에, 남은 용단부(425C) 주변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용단부(425C) 주변의 소호재(M)에 의하여 아크는 효과적으로 소호되는 것이다. 또, 피절단부(400C)는 소호재(M)가 충전된 제 1 소호 공간(X1C) 내에 수용되어 있고, 피절단부(400C)는 제 1 소호 공간(X1C) 내에 있어서, 이동체(500C)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피절단부(400C)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합성수지제의 이동체(500C)가 탄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200)의 재치부(213)와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13)의 사이에는, 얼마 안되는 간극이 비어 있고, 상기 간극에 소호재(M)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간극 내에 있어서, 피절단부(400C)의 본체부(430C)의 주위에는 소호재(M)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본체부(430C)는 상측 하우징(200)의 재치부(213)와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13)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피절단부(400C)의 본체부(430C) 주변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상기 간극에 수용된 소호재(M)가 아크를 소호함과 함께, 상측 하우징(200)의 재치부(213)와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13)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절단부(400C)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아크의 발생 상황도 바뀌기 때문에, 아크의 발생 상황에 따라서는,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피절단부(400C)의 본체부(430C)가 상측 하우징(200)의 재치부(213)와 하측 하우징(100)의 재치부(113)에 각각 직접 접촉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전기 회로 중에 비교적 높은 이상한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퓨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피절단부(400C)가 용단되여 전기 회로를 차단하고 있다. 한편으로, 전기 회로에 퓨즈의 정격 이하의 과전류가 흐른 경우, 예를 들면, 전기 회로 중에 비교적 낮은 이상한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퓨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피절단부(400C)는 용단되지 않기 때문에, 도 18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의하여, 피절단부(400C) 자체를 물리적으로 절단하게 된다.
또한,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500C)가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비교적 높은 이상한 과전류의 경우는, 퓨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피절단부(400C)가 용단되어 전기 회로를 차단하고, 비교적 낮은 이상한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의하여, 피절단부(400C) 자체를 물리적으로 절단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퓨즈의 정격이나 동력원(P)에 입력하는 이상 신호의 설정 등을 바꿈으로써, 비교적 낮은 이상한 과전류의 경우는, 퓨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피절단부(400C)가 용단되어 전기 회로를 차단하고, 비교적 높은 이상한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의하여, 피절단부(400C)를 물리적으로 절단하여도 좋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퓨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피절단부(400C)가 용단될 때의 과전류를 소정의 제 1 과전류라고 칭하고,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의하여, 피절단부(400C) 자체를 물리적으로 절단할 때의 과전류를 소정의 제 2 과전류라고 칭한다. 그리고, 제 1 과전류 및 제 2 과전류는,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럼,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에 소정의 제 2 과전류가 흐르는 등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는, 이상 신호가 동력원(P)에 입력되어, 동력원(P) 내의 화약이 폭발한다. 그러면, 그 폭발에 의한 공기압이 연통 구멍(222)을 통하여 순식간에 이동체(500C)의 상면(560C)에 전해진다. 그러면, 이 공기압에 의하여, 이동체(500C)는 제 1 단부(320)로부터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힘차게 날아가,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순식간에 이동한다.
그러면, 이동체(500C)가,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분리편(420C)을 절단하여 본체부(430C)로부터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소호 공간(X1C) 내부에는 소호재(M)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체(500C)가 이동하면, 분리편(420C)도 주변의 소호재(M)와 함께,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순식간에 강한 힘으로 밀려 나와, 본체부(430C)로부터 절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편(420C)은, 이동체(500C)와 함께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이동하고, 본체부(430C)로부터 떨어져 가는 것이다. 또한, 퓨즈로 구성된 피절단부(400C)는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 용단되기 때문에, 비교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절단 부재(511)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분리편(420C)을 충분히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 1 소호 공간(X1C) 내의 소호재(M)는, 규사 등의 입자 형상의 고체의 소호재로 한정되지 않고, 분리편(420C)을 절단할 수 있도록, 이동체(500C)가 이동했을 때의 힘을 분리편(420C)에 전달할 수 있는 재료이면, 임의의 소호재를 채용할 수 있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C)가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로 향하여 이동해도, 제 1 소호 공간(X1C)은 본체부(430C)와 마주보는 위치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동체(500C)가 분리편(420C)을 절단한 직후에, 제 1 소호 공간(X1C)은 분리편(420C)과 본체부(430C)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체(500C)가 분리편(420C)을 절단한 직후에 있어서는, 분리편(420C)과 본체부(430C)와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분리편(420C)과, 상기 분리편(420C)과의 경계인 본체부(430C)의 단부(431C)와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430C)의 단부(431C)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분리편(420C)과 본체부(430C)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소호 공간(X1C)으로 방출되고, 제 1 소호 공간(X1C) 내의 소호재(M)에 의하여 소호되는 것이다.
또, 이동체(500C)가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로 향하여 더욱 이동해도, 상하로 연장되는 제 1 소호 공간(X1C)은, 본체부(430C)와 마주보는 위치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측의 본체부(430C) 사이에 전압이 걸려, 본체부(430C)의 단부(431C)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상기 아크는 제 1 소호 공간(X1C) 내의 소호재(M)에 의하여 소호되고, 양측의 본체부(430C) 사이에 아크가 연결되어, 전기 회로에 전류가 흘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의 본체부(430C) 사이에 고전압이 걸려, 소호재(M)에서는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없는 경우는, 후술하는 도 22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절연 공간(550D)에 의하여 아크를 효과적으로 가두는 양태를 채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의하면, 이동체(500C) 자체가 피절단부(400)를 절단함과 함께, 소호재(M)를 충전한 제 1 소호 공간(X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소호 공간(X1)은 분리편(420)을 절단하여 전기 회로를 차단한 직후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분리편(420C)과, 분리되지 않고 하우징(300) 내에 남는 본체부(430C)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절단부(400)가 절단되어 전기 회로가 차단된 직후에 있어서 본체부(430C)에서 발생한 아크를 제 1 소호 공간(X1) 내의 소호재(M)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의하면, 소정의 제 1 과전류가 흘렀을 때는, 퓨즈로 구성된 피절단부(400C)가 용단되어 전기 회로를 차단할 수 있음과 함께, 소정의 제 2 과전류가 흘렀을 때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 의하여, 피절단부(400C) 자체를 물리적으로 절단하여 전기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퓨즈 기능을 구비한 피절단부(400C)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퓨즈와 전기 회로 차단 장치의 양쪽을 직렬로 늘어놓아 접속하는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지는 것이다.
또, 피절단부(400C)는, 소호재(M)가 충전된 제 1 소호 공간(X1C)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퓨즈로 구성되어 있는 피절단부(400C)가 소정의 제 1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었을 때에, 피절단부(400C)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제 1 소호 공간(X1C) 내의 소호재(M)가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에서는, 퓨즈 기능을 구비한 피절단부(400C)를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 내에 수용하는 양태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실시 형태 1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와, 퓨즈를 직렬로 접속하는 양태를 채용해도 좋고, 적당히 임의의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하여, 절단실(721) 내에 입자 형상의 고체의 소호재를 봉입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절단실(721) 내에 소호재를 봉입하면, 펀치(730)의 펀칭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있어, 절단실(721) 내에 소호재를 봉입하는 것은 곤란했다. 다만, 본원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소호재(M)를 통부(310) 내가 아니라, 이동체(500C) 자체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이동체(500C)가 통부(310) 내에서 이동하여 분리편(420C)을 절단하는 동작을 방해할 일이 없다. 또, 분리편(420C)은 이동체(500C)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체(500C)와 함께 이동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펀치의 펀칭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소호재(M)와 분리편(420C)은 모두 이동체(500C)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체(500C)와 함께 이동하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이동체(500C) 내에 소호재(M)를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소호 공간(X1C)은 이동체(500C) 내부의 체적에 따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소호재(M)를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어, 아크의 소호 성능이 지극히 높다.
<실시 형태 5>
 그럼 다음으로, 실시 형태 5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에 대하여, 도 19부터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 5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A)의 피절단부(400A)와 같이, 휨부(440A)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 도 19(a)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의 이동체(500D)의 사시도, (b)는 상기 이동체(500D)의 정면도, (c)는 이동체(500D)의 측면도이다. 또,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의 구성은 이동체(500D)가 절연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 형태 5에 따른 이동체(500D)의 절연 공간(550D)은 도 3에 나타내는 이동체(500)의 절연 공간(550)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어,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우선, 이 이동체(500D)는, 상면(560D)과 하면(520D)을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대략 원주체이다. 또, 이동체(500D)의 하면(520D)측에는, 한쪽의 외면(530D)에서부터 반대측의 외면(530D)까지, 즉, 이동체(500D)를 정면에서 배면까지 관통하는 관통부(540D)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부(540D)는, 하벽(541D), 측벽(542D), 측벽(543D), 및 상벽(544D)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이 하벽(541D), 측벽(542D), 측벽(543D), 및 상벽(544D)으로 둘러싸이고, 외면(530D)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공간이, 제 1 소호 공간(X1D)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소호 공간(X1D)에는, 후술하는 피절단부(400C)의 분리편(420C)을 삽입 통과시켜 수용할 수 있다. 또, 이 제 1 소호 공간(X1D) 내에는, 후술하는 소호재를 충전시키므로, 제 1 소호 공간(X1D) 내에 수용된 피절단부(400C)의 분리편(420C)의 주위를, 소호재로 완전히 둘러쌀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동체(500D)의 상면(560D)측에는, 외면(530D)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절연 공간(550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 공간(550D)은 외면(530D)이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 공간(550D)은, 하벽(551D), 측벽(552D), 측벽(553D), 상벽(554D), 및 후벽(555D)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주보도록 배치된 절연 공간(550D)끼리는 서로 후벽(555D)으로 차단되어 있고, 서로 절연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 공간(550D)에는, 소호재를 수납하고 있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크를 가두어 차단하고 있다. 또, 절연 공간(550D)과 제 1 소호 공간(X1D)은 서로 하벽(551D) 및 상벽(544D)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고, 서로 절연된 독립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럼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의 내부 구조 및 사용 형태에 대하여,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와 마찬가지로 조립될 수 있고, 도 17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C)의 이동체(500C)를 도 19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의 이동체(500D)로 치환하면,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의 조립은 완료된다. 그리고, 도 20은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전기 회로 차단 장치(600D)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7의 이동체(500C)를 이동체(500D)로 치환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D)는 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하측 통부(110) 및 상측 통부(210)로 구성되는 통부(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또, 제 1 소호 공간(X1D), 및 제 3 소호 공간(X3)에는 입자 형상의 소호재(M)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피절단부(400C)의 분리편(420C)은 이동체(500D)의 제 1 소호 공간(X1D) 내부를 삽입 통과하여 수용되어 있으므로, 피절단부(400C)의 용단부(425C)의 주위는, 소호재(M)로 덮인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0부터 도 22에서는, 제 1 소호 공간(X1D) 전체, 및 제 3 소호 공간(X3) 전체에, 소호재(M)가 충전되어 있지만, 도면상은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소호재(M)의 일부밖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전기 회로 중에 소정의 제 1 과전류(예를 들면, 비교적 높은 이상한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전기 회로에 접속된 피절단부(400C)의 용단부(425C)가 발열하여 용단되고, 전기 회로는 차단되어, 과전류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피절단부(400C)의 용단부(425C)의 용단 시나 용단 후에, 용단부(425C) 주변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용단부(425C) 주변의 소호재(M)에 의하여, 아크는 효과적으로 소호되는 것이다. 또, 피절단부(400C)는 소호재(M)가 충전된 제 1 소호 공간(X1D) 내에 수용되어 있고, 피절단부(400C)는 이동체(500D)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피절단부(400C)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합성수지제의 이동체(500D)가 탄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에 소정의 제 2 과전류(예를 들면, 비교적 낮은 이상한 과전류)가 흐르는 등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에는, 이상 신호가 동력원(P)에 입력되어 동력원(P) 내의 화약이 폭발한다. 그러면, 그 폭발에 의한 공기압이 연통 구멍(222)을 통하여 순식간에 이동체(500D)의 상면(560D)에 전해져,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순식간에 이동한다. 또한,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500D)가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러면, 이동체(500D)가,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분리편(420C)을 절단하여 본체부(430C)로부터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소호 공간(X1D) 내부에는 소호재(M)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체(500D)가 이동하면, 분리편(420C)도 주변의 소호재(M)와 함께,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순식간에 강한 힘으로 밀어 내어져, 본체부(430C)로부터 절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편(420C)은 이동체(500D)와 함께 제 2 단부(330)로 향하여 이동하여, 본체부(430C)로부터 떨어져 가는 것이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D)가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로 향하여 이동한 직후에는, 제 1 소호 공간(X1D)은, 본체부(430C)와 마주보는 위치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동체(500D)가 분리편(420C)을 절단한 직후에, 제 1 소호 공간(X1D)은, 분리편(420C)과 본체부(430C)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체(500D)가 분리편(420C)을 절단한 직후에는, 분리편(420C)과 본체부(430C)와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분리편(420C)과, 상기 분리편(420C)과의 경계인 본체부(430C)의 단부(431C)와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430C)의 단부(431C)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분리편(420C)과 본체부(430C)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소호 공간(X1D)으로 방출되고, 제 1 소호 공간(X1D) 내의 소호재(M)에 의하여 소호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동체(500D)가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더 이동한 모습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동체(500D)가 더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500D)가 통부(310) 내를 제 2 단부(330)를 향하여 더욱 이동하면, 제 1 소호 공간(X1D)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 공간(550D)이, 본체부(430C)와 마주보고, 인접하는 위치에까지 이동해 온다. 그리고, 양측의 본체부(430C) 사이에 고전압이 걸려, 본체부(430C)의 단부(431C)에서 아크가 발생해도, 상기 아크는 절연 공간(550D) 내에 갇힌다. 양측의 본체부(430C)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는, 절연 공간(550D) 내에 갇혀 서로 절연 되므로, 양측의 본체부(430C) 사이에서 아크가 연결되어, 전기 회로에 전류가 흘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절연 공간(550D) 내에는, 소호재(M)를 수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공간(550D) 내에 소호재(M)를 수용하면, 본체부(430C)에서 발생한 아크에 의하여 소호재(M)가 고온에 노출되어 탄화될 우려가 있고, 상기 탄화된 부분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되어, 아크가 절연 공간(550D)으로부터 누설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 절연 공간(550D) 내에는, 소호재(M) 대신에, 아크에 의하여 탄화되지 않는 절연 재료를 수납해도 좋다.
또, 본원 발명의 전기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예, 조합이 가능하고, 이들의 변형예, 조합도 그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300: 하우징
310: 통부
320: 제 1 단부
330: 제 2 단부
400: 피절단부
420: 분리편
430: 본체부
500: 이동체
511: 절단 부재
P: 동력원
X1: 제 1 소호 공간
M: 소호재

Claims (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전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절단부와, 상기 피절단부를 절단하는 절단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제 1 단부측에 배치되는 동력원을 구비한, 전기 회로 차단 장치로서,
    상기 피절단부를 내부에 삽입 통과시켜 수용함과 함께, 상기 절단 부재와, 상기 절단 부재에 인접하는 제 1 소호 공간을 구비한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의 제 2 단부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상기 절단 부재가 상기 피절단부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 1 소호 공간은, 상기 이동체가 이동했을 때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상기 피절단부의 분리편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내에 남는 상기 피절단부의 본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
  2.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전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퓨즈로 이루어지는 피절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 1 단부측에 배치되는 동력원을 구비한, 전기 회로 차단 장치로서,
    상기 피절단부를 내부에 삽입 통과시켜 수용함과 함께, 내부에 소호재를 충전한 제 1 소호 공간을 구비하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의 제 2 단부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체의 제 1 소호 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피절단부를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 1 소호 공간은 상기 이동체가 이동했을 때에, 절단되어 분리되는 상기 피절단부의 분리편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내에 남는 상기 피절단부의 본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절단 부재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제 1 소호 공간과는 반대측에, 제 2 소호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서로 절연된 절연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제 2 단부를 향하여 더 이동했을 때에, 상기 절연 공간은 상기 피절단부의 본체부에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통부의 외측에 소호재를 수납하는 제 3 소호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소호 공간은 상기 본체부를 내부에 삽입 통과시켜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절단부의 본체부의 일부가 상기 제 3 소호 공간 내에서 구부러진 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회로 차단 장치.
KR1020207029185A 2018-06-04 2019-04-19 전기 회로 차단 장치 KR20210015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6641 2018-06-04
JPJP-P-2018-106641 2018-06-04
PCT/JP2019/016751 WO2019235082A1 (ja) 2018-06-04 2019-04-19 電気回路遮断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756A true KR20210015756A (ko) 2021-02-10

Family

ID=6877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185A KR20210015756A (ko) 2018-06-04 2019-04-19 전기 회로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7062B2 (ko)
JP (1) JP6955528B2 (ko)
KR (1) KR20210015756A (ko)
CN (1) CN112106164A (ko)
DE (1) DE112019002824T5 (ko)
WO (1) WO2019235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3064B2 (ja) 2020-02-14 2024-01-15 株式会社ダイセル 電気回路遮断装置
JP2021174746A (ja) * 2020-04-30 2021-11-01 太平洋精工株式会社 電気回路遮断装置
AT524104B1 (de) * 2020-07-15 2022-07-15 Astotec Automotive Gmbh Pyrotechnischer Stromtrenner
CN113223905B (zh) 2020-12-11 2024-01-19 西安中熔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熔断兼机械力断开熔体式熔断器
JP7329850B2 (ja) * 2020-12-16 2023-08-21 太平洋精工株式会社 電気回路遮断装置
AT524939B1 (de) * 2021-07-15 2022-11-15 Astotec Automotive Gmbh Pyrotechnischer Stromtrenner
JP2023059048A (ja) * 2021-10-14 2023-04-26 株式会社ダイセル 電気回路遮断装置
JP7489109B2 (ja) 2021-10-28 2024-05-23 太平洋精工株式会社 電気回路遮断装置
JP2023143090A (ja) * 2022-03-25 2023-10-06 株式会社ダイセル 電気回路遮断装置
JP2024036990A (ja) * 2022-09-06 2024-03-18 株式会社ダイセル 電気回路遮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7998A2 (fr) 2014-02-04 2015-08-13 Autoliv Development Ab Coupe-circuit pyrotechniqu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4005631D1 (de) * 2003-02-04 2008-01-17 Delphi Tech Inc Pyromechanisches Trennelement
DE102004008120A1 (de) * 2003-02-26 2004-11-25 Dynamit Nobel Ais Gmbh Automotive Ignition Systems Pyromechanische Trennvorrichtung mit speziell geformter Stromleiterschiene
US7498531B2 (en) * 2003-03-12 2009-03-03 Delphi Technologies, Inc. Housing and a conducting rail for disconnecting a battery
EP1464544B1 (de) * 2003-04-03 2010-09-15 Delphi Technologies, Inc. Gehäuse mit Stromleiterschiene für eine Trennvorrichtung
JP5359982B2 (ja) * 2009-06-29 2013-12-04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の電気回路遮断装置
JP5263442B2 (ja) * 2011-11-28 2013-08-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切断装置
JP2013239412A (ja) * 2012-05-17 2013-11-28 Daikin Ind Ltd 回路切換装置
JP5874583B2 (ja) * 2012-08-29 2016-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導通遮断装置
JP5817685B2 (ja) * 2012-08-31 2015-11-18 豊田合成株式会社 導通遮断装置
JP2014049300A (ja) * 2012-08-31 2014-03-17 Toyoda Gosei Co Ltd 導通遮断装置
JP6406189B2 (ja) * 2015-09-11 2018-10-17 豊田合成株式会社 導通遮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7998A2 (fr) 2014-02-04 2015-08-13 Autoliv Development Ab Coupe-circuit pyrotech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33729A1 (en) 2021-07-29
US11387062B2 (en) 2022-07-12
CN112106164A (zh) 2020-12-18
JP6955528B2 (ja) 2021-10-27
JP2019212612A (ja) 2019-12-12
DE112019002824T5 (de) 2021-02-25
WO2019235082A1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5756A (ko) 전기 회로 차단 장치
WO2020204154A1 (ja) 遮断装置
KR20170007855A (ko) 특히 고전압에서 고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전기 차단 스위치
JP2023165880A (ja) 電気回路遮断装置
JP7496527B2 (ja) 遮断装置
KR20220083968A (ko) 기계적 파단 및 용단이 조합된 다중 파단구 여기 퓨즈
KR20210013688A (ko) 전기 회로 차단 장치
CA1083646A (en) Gas evolving clamp for current limiting fuse
US4709222A (en) Fuse device
CN115036160B (zh) 一种瞬时开断器及其复合灭弧方法
CN217387062U (zh) 断路器及车辆
CN110491749B (zh) 一种外部驱动型快速开关结构
WO2023182045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CN217955795U (zh) 一种熔断器的熔体切断结构
CN109741998B (zh) 一种断路器
WO2023063395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JP7494109B2 (ja) 電気回路遮断装置
WO2023063393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WO2022210354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KR20230148647A (ko) 벤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각형 이차전지
CN116190174A (zh) 断路器
SU1119095A1 (ru) Плавка вставка предохранител (ее варианты)
CN115274376A (zh) 一种熔断器的熔体切断结构
KR20230130037A (ko) 전기 회로 차단 장치
CN115132537A (zh) 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