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48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482A
KR20210015482A KR1020190094400A KR20190094400A KR20210015482A KR 20210015482 A KR20210015482 A KR 20210015482A KR 1020190094400 A KR1020190094400 A KR 1020190094400A KR 20190094400 A KR20190094400 A KR 20190094400A KR 20210015482 A KR20210015482 A KR 20210015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ealing
sealing member
seating en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수
장인백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5482A/ko
Priority to EP20188998.7A priority patent/EP3771767B1/en
Priority to PCT/KR2020/010184 priority patent/WO2021025402A1/ko
Priority to US16/983,409 priority patent/US20210032796A1/en
Publication of KR2021001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500)가 처리모듈과 가이드덕트(310)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160)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510) 및 아우터필터(550)를 포함하여 순환공기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순환공기를 가이드덕트(310)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거치대(160)에는 실링부재(580)가 조립되는데, 실링부재(580)는 아우터필터(55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필터(550)와 필터거치대(160) 사이를 실링하고, 일부는 상기 이너필터(510)를 향해 돌출되어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580)를 포함한다. 따라서, (i)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아우터필터(550) 사이와 (ii) 필터어셈블리(500)-필터거치대(160) 사이는 실링부재(580)에 의해 실링되어, 순환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를 처리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어셈블리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 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의류 건조기는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히트펌프시스템의 운전을 통해 처리공간(드럼 혹은 옷이 걸린 스팀공간) 내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와 같은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피처리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처리공간을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곧장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응축식(순환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응축식 건조기의 경우는 피처리물을 처리한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필요가 있다.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이물질들이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부품에 붙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물질 여과를 위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에 필터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물질의 여과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터와 필터가 장착되는 부위 사이가 밀착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실링부재가 설치되기도 한다. 실링부재는 고무와 같이 플랙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져 필터와 필터가 장착되는 부분 사이의 공간을 막고, 공기가 필터 주변이 아니라 필터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필터는 다중 필터로 구성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가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어 이물질을 이중으로 걸러낼 수 있는 것이다. 다중 필터가 서로 조립된 후에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면, 순환공기는 안쪽의 이너필터를 거쳐 아우터필터를 통과한 후에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다중 필터를 구성하는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의 사이로 순환공기가 유입되기도 한다.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의 조립부위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으면 그 사이로 순환공기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이너필터는 거치지 못하고 아우터필터만 통과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 사이에 새롭게 실링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는 부품수와 제조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를 의류처리장치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필터와 실링부재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실링부재가 의류처리장치부터 분리되어 실링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가 동작하여 이물질의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분리된 실링부재가 분실될 위험도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실링부재가 없는 제품들도 존재하는데, 이 경우에는 순환공기 중 일부가 필터를 거치지 않고 안쪽으로 유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실링부재를 나중에 추가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미 제조가 완료된 의류처리장치의 필터장착부위에 실링부재 설치를 위한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는 것은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333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필터장착부 사이 뿐 아니라, 필터를 구성하는 이너필터-아우터필터 사이를 실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실링부재를 이용해서 필터-필터장착부 사이와, 필터를 구성하는 이너필터-아우터필터 사이를 모두 실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의 장착/분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섭으로 인해 실링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실링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에 실링부재를 새롭게 추가하여 여과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가 처리모듈과 가이드덕트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 및 아우터필터를 포함하여 순환공기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순환공기를 가이드덕트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거치대에는 실링부재가 조립되는데, 실링부재는 아우터필터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필터와 필터거치대 사이를 실링하고, 일부는 상기 이너필터를 향해 돌출되어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i) 필터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이너필터-아우터필터 사이와 (ii) 필터어셈블리-필터거치대 사이는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되어, 순환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아우터필터에서 필터거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필터와 필터거치대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와, 상기 아우터필터에서 이너필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필터와 이너필터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가 있다. 즉, 이너필터-아우터필터 사이의 틈을 메우는 실링부재(제1실링부)와, 필터어셈블리-필터거치대 사이의 틈을 메우는 실링부재(제2실링부)는 별개가 아니라 하나의 실링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포집성능을 높이면서도 부품수와 제조공수는 증가하지 않아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아우터필터의 안착단은 상기 안착단이 거치되고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 가장자리에 있는 거치단과 상기 이너필터의 상부에서 돌출된 필터헤드의 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아우터필터 및 이너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되면 상기 실링부재의 제1실링부는 필터거치대의 거치단을 향하고 제2실링부는 상기 이너필터의 필터헤드 저면을 향한다. 따라서 이들 실링부들은 필터어셈블리와 필터거치대 사이를 조립하거나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실링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아우터필터의 안착단 저면을 따라 연장되며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한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되 상기 필터거치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착단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감싸는 연결부와, 상기 안착단의 상면을 감싸는 연결부의 외면에서 상기 이너필터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한다. 즉, 실링부재가 필터어셈블리에서도 돌출되어 있는 안착단을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의류처리장치 본체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실링부의 돌출된 끝 부분은 상기 실링부재의 연결부 또는 안착단의 가장자리 보다 이너필터를 수납하는 필터결합공간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후퇴한 위치까지만 연장되고,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안착단의 측면을 감싸는 실링부재의 연결부에서 이너필터를 수납하는 필터결합공간 중심을 향해 안쪽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필터어셈블리를 필터거치대에서 꺼내거나 다시 설치하는 과정에서 필터거치대나 다른 부품과 간섭될 가능성이 낮다.
상기 제1실링부는 돌출된 끝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아우터필터의 안착단 저면에서 점점 이격되되, 상기 아우터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되면 안착단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안착단의 저면과 필터거치대 사이에 밀착된다.
상기 실링부재의 저면결합판, 측면결합판 및 상면결합판은 안쪽에 안착단의 바깥쪽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는 포켓을 만든다. 이러한 포켓을 이용하면 열융착, 진동용착, 초음파 용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링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저면결합판이 결합되는 하부단차면이 만들어져 저면결합판이 안착단의 저면 보다 필터거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안착단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상면결합판이 결합되는 상부단차면이 만들어져 상면결합판이 이너필터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실링부재 자체의 두께 때문에 아우터필터의 전체 두께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는 결합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안착단의 바깥쪽 가장자리 일부와 실링부재의 포켓 내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인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처리모듈(드럼 등)에서 배출된 순환공기는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는데, (i) 필터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이너필터-아우터필터 사이와 (ii) 필터어셈블리-필터거치대 사이는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되어, 순환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순환공기는 다른 경로로 누설되지 않고, 애초에 의도된 순환경로인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도록 유도되므로 이물질의 여과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이너필터-아우터필터 사이의 틈을 메우는 실링부재와, 필터어셈블리-필터거치대 사이의 틈을 메우는 실링부재는 별개가 아니라 하나의 실링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포집성능을 높이면서도 부품수와 제조공수는 증가하지 않아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에는 제1실링부와 제2실링부가 있어서 각각 필터어셈블리-필터거치대 사이와 이너필터-아우터필터 사이를 실링하는데, 이들 실링부들은 필터어셈블리와 필터거치대 사이를 조립하거나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실링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나 사용자가 실링을 위해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링부재에 있는 실링부들은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필터어셈블리의 중심을 향해 후퇴한 위치에 있다. 그래서 필터어셈블리를 필터거치대에서 꺼내거나 다시 설치하는 과정에서 필터거치대나 다른 부품과 간섭될 가능성이 낮고, 결과적으로 실링부재의 분리나 변형을 방지하고 필터어셈블리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는 의류처리장치에 고정된 필터거치대가 아니라 분리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에 설치되고, 특히 필터어셈블리에서도 돌출되어 있는 안착단을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의류처리장치 본체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품의 호환성이 높고 설계의 복잡성이 낮은 장점도 있다.
특히, 실링부재에는 아우터필터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포켓이 있고, 이러한 포켓을 이용하면 열융착, 진동용착, 초음파 용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링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를 필터어셈블리에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낮아지고, 기존의 필터어셈블리에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아우터필터의 가장자리에는 실링부재의 포켓과 대응하는 단차면(하부단차면, 상부단차면)이 있어서, 실링부재 자체의 두께 때문에 아우터필터의 전체 두께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증가한 두께로 인해 이너필터 또는 필터거치대와의 조립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방지되고, 필터어셈블리가 조립된 후에도 전체구조가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필터어셈블리의 아우터필터는 가소성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고, 실링부재는 스티렌(styrene)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만들어진 후에 서로 융착을 통해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금형을 이용한 인서트사출공정 없이도 실링부재를 필터어셈블리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여기에 결합된 부품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면프레임에서 필터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면프레임의 뒤쪽 구성을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프레임과 필터프레임이 설치되는 필터거치대의 구성만을 따로 표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9는 도 5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아우터필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아우터필터가 펼쳐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아우터필터에서 실링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아우터필터에서 실링부재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아우터필터와 실링부재의 일부 구성을 도 1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아우터필터와 실링부재의 일부 구성을 도 1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0에서 아우터필터와 실링부재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C-C'선에 대한 단면도.
도 19는 도 16의 D-D'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시스템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피처리물인 의류나 침구류를 열처리한 후에,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피처리물을 처리하고 처리모듈(본 실시례에서는 드럼)을 빠져나온 순환공기에는 린트 등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걸러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처리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필터어셈블리(500)가 있다. 아래에서는 필터어셈블리(5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의류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 이외에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 히트펌프시스템이 포함되는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서 캐비넷(110) 등 외부구조들은 점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크게 캐비넷(110), 처리모듈(200, 이하 드럼이라 함), 히트펌프시스템, 순환팬(도시되지 않음), 배수통(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의류처리장치의 아래쪽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고, 별도의 세척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응축수를 이용해서 히트펌프시스템을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먼저 캐비넷(1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설치공간이 있는 통체로 구성되는데, 다수개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캐비넷(110)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고, 설치공간은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10)의 재질은 금속이지만, 합성수지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 캐비넷(110)의 외관형상은 대략 육면체 구조이지만 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넷(110)의 전면에는 도어(112)가 있고, 도어(112) 안쪽에는 피처리물 투입구(113)가 있다. 상기 피처리물 투입구(113)는 도어(112)를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의류 등 피처리물을 드럼(2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1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져 내부공간을 볼 수 도 있고, 힌지를 이용해서 개폐되는데, 접이방식이나 슬라이딩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캐비넷(110)의 아래쪽에는 하부프레임(120)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캐비넷(110)의 설치공간 바닥쪽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히트펌프시스템을 비롯하여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하부프레임(120)은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120)의 위쪽 공간을 통해서 열처리를 마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입출력패널(130)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배수통(700)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코스의 선택을 인가받기 위한 입력부(132)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40)이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140)은 캐비넷(110)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넓은 판형상이다. 상기 전면프레임(140)의 중앙에는 도어가 열리면 외부와 연결되는 투입구(113)가 있다. 도시된 상기 전면프레임(140)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면에서 F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을 가리키고, R은 후방을 가리킨다.
상기 전면프레임(140)의 후면에는 프론트서포터(150)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서포터(150)는 드럼(20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전면프레임(140)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드럼(200)은 프론트서포터(150)와 리어서포터(240)에 각각 그 양쪽 끝이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프론트서포터(150)는 대략 원형의 틀 형상이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데, 개방된 부분은 투입구(113)의 일부로 볼 수 있다. 프론트서포터(150)의 형상은 드럼(200)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서포터(150)에는 필터거치대(16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거치대(160)는 필터어셈블리(500)가 설치되는 일종의 고정틀 역할을 하는데, 프론트서포터(15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필터거치대(160)는 순환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드럼(200)에서 나온 순환공기는 필터어셈블리(500)를 통과하게 된다. 다만, 필터거치대(160)와 필터어셈블리(50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소정의 틈이 있고, 그 틈으로 순환공기가 유입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틈을 줄여 순환공기가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필터거치대(160)의 구성은 아래에서 필터어셈블리(500)의 구성을 설명할 때 다시 한번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는 드럼(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드럼(200)은 캐비넷(110) 내의 롤러(2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210)는 드럼(200)의 외면에 맞닿도록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전후면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는 고온의 건조 열풍이 통과하면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는데, 이때 상기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200)의 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을 드럼(200)을 사이에 두고 도어(112)가 있는 전방쪽에는 프론트서포터(150)가 있고, 후방쪽인 배면에는 리어서포터(240)가 있다. 드럼(200)은 프론트서포터(150)와 리어서포터(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열교환모듈(300)을 살펴보면, 열교환모듈(300)은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인 증발기와 응축기, 그리고 순환팬을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모듈(300)은 이들 부품을 감싸 그 내부에 순환유로를 만드는 부품들(330,340,35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모듈(300)의 반대쪽에는 압축기, 드럼모터 등이 설치되는데, 도 1에는 다른 부품에 가려서 표현되어 있지 않다.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개구에 가까운 프론트서포터(150)의 아래쪽에는 가이드덕트(310)가 설치된다. 가이드덕트(310)는 상기 열교환모듈(300)과 필터어셈블리(5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이드덕트(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필터어셈블리(500)와 아래에서 설명될 열교환가이드(330)를 연결한다. 가이드덕트(310)는 드럼(200) 내부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한 순환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아웃렛덕트(310)로 볼 수도 있고, 그 자체가 일종의 순환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을 보면 드럼(200)의 후방측개구에는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있는데, 리어덕트커넥터(320)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드럼(200)의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어덕트커넥터(320)는 드럼(200)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인렛덕트(320)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모듈(300)의 양쪽 끝에는 각각 가이드덕트(310)와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위치하여 열교환 전/후의 공기가 유입/배출될 수 있다.
드럼(200)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고 고온 다습해진 공기는 전방측개구를 통해 배출되어 필터어셈블리(500) 방향으로 유입된다.(도 2의 화살표 ①, ②참조) 이때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는 상하방향과 측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순환공기가 위쪽(도 2의 화살표 ① 방향)과 옆쪽(도 2의 화살표 ②방향)에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공기는 아웃렛덕트(310)인 가이드덕트(310)를 통해 배출되고(도 3의 화살표 ④참조), 열교환가이드(330)에 의해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된다.열교환가이드(330)는 가이드덕트(310)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공기가 열교환가이드(330)를 거치면서 하부프레임(12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어 열교환모듈(300)로 유입된다.
여기서 열교환모듈(300)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열교환가이드(33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가 나란히 설치된다. 열교환모듈(300)은 하부프레임(12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모듈(300)은 열교환가이드(330)와 아래에서 설명될 순환팬설치부(350) 사이를 연결하는 구획하우징(340)에 의해 측면이 감싸진다. 그리고 열교환모듈(300)의 상부는 베이스커버(400)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다. 도면부호 410,450은 베이스커버(400)를 구성하는 두개의 부품을 나타낸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순환유로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드럼(200) 내의 건조 대상물인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고,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다시금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필터어셈블리(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필터어셈블리(500)는 처리모듈인 드럼(200)과 가이드덕트(310) 사이에 위치해서 순환공기의 이물질을 포집한 후에 가이드덕트(310) 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처리모듈인 드럼(200)과 가이드덕트(310)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160)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데,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510) 및 아우터필터(550)를 포함하여 순환공기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순환공기를 상기 가이드덕트(3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공기의 유동구조를 보면, 필터어셈블리(500)는 필터거치대(160)를 통해 위쪽으로 노출되어 순환공기를 받아들인 후에,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 아래쪽과 옆쪽으로 배출한다. 도 5의 화살표④를 보면, 필터어셈블리(5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아래쪽으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필터어셈블리(500)의 옆쪽으로도 배출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필터어셈블리(500)의 옆쪽은 가이드덕트(310)에 의해 감싸져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이처럼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친 순환공기는 이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순환공기를 필터어셈블리(5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순환공기가 필터어셈블리(500) 내부를 거치지 않고 필터어셈블리(500)-필터거치대(160) 사이의 틈이나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아우터필터(550) 사이의 틈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실링부재(580)가 설치된다. 이러한 실링부재(580)는 필터어셈블리(50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필터거치대(160)에서 분리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어셈블리(500)를 필터거치대(160)에서 분리한 후에, 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에는 일종의 촘촘한 그물망인 메쉬망(M)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메쉬망(M)으로 인해 순환공기는 통과하지만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한다. 참고로 도 3 이후에는 구조의 이해를 위해 필터어셈블리(500)에서 메쉬망(M)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터거치대(16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필터수납공간(162)이 있어서 필터어셈블리(500)를 수용한다. 그리고 필터수납공간(162)의 가장자리에는 거치단(163)이 있는데, 거치단(163)에 필터어셈블리(500)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은 필터거치대(1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데, 평면방향으로 보면 대략 사각형상의 입구가 있고, 거치단(163)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은 아래쪽의 가이드덕트(310)와 연결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순환공기는 가이드덕트(310)의 아래쪽(도 3의 화살표 ④방향)으로 배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쳐 나온 순환공기는 가이드덕트(310)에서 모여 아래쪽으로 안내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거치대(160) 자체도 프론트서포터(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필터어셈블리(500)가 필터거치대(160)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500)와 필터거치대(160)의 사이는 기본적으로 밀착이 되지만 일체로 구성된 것은 아니므로 어느 정도 틈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틈으로 유입된 순환공기는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가이드덕트(310)로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4에서 점선 부분이 필터어셈블리(500)와 필터거치대(160)의 사이를 나타내며, 이 부분이 실링부재(580)로 차폐하고자 하는 부분 중 일부다.
도 4의 확대도면을 보면,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아우터필터(550)와 아우터필터(550)가 안착되는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 사이에 실링부재(580)가 끼어진 상태를 볼 수 있다. 실링부재(580)는 필터어셈블리(500)를 필터거치대(16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아우터필터(550)와 거치단(163) 사이에서 압축된다.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도 실링부재(580)가 실링하는데, 이 부분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순환공기가 필터어셈블리(500)를 통과하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순환공기는 드럼(200)에서 나와 필터어셈블리(50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데, 상대적으로 더 위쪽으로 돌출된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 윗부분과 측면부분을 통해서 유입된다.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가 상하방향과 측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순환공기가 위쪽(화살표 ① 방향)과 옆쪽(화살표 ②방향)에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화살표 ③ 방향과 같이 필터어셈블리(500)의 여과공간(T)을 거친 후에 메쉬망(M)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배출되거나 옆쪽으로 배출된다. 화살표 ④와 같이 일부 공기는 옆쪽으로 배출되어서 가이드덕트(310) 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아래쪽으로 바로 이동하여 가이드덕트(310)의 하단(315)으로 토출될 수도 있다. 어느 방향으로 배출되어도 메쉬망(M)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에는 각각 메쉬망(M)이 있기 때문에 이중으로 이물질 여과가 이루어진다.
도 6에는 필터어셈블리(500)와 필터거치대(160)만 표현되어 있는데, 필터어셈블리(500)가 필터거치대(160)에 장착되면 필터어셈블리(500)의 아래쪽, 즉 메쉬망(M)이 끼워지는 본체는 필터거치대(160)의 아래로 노출된다. 이 노출된 부분은 가이드덕트(310)에 의해 감싸지기 때문에 메쉬망(M)을 통해 배출된 순환공기는 가이드덕트(310)를 따라 최종적으로는 아래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거치대(160)는 필터어셈블리(500)에 의해 여과된 순환공기가 배출되는 것은 방해하지 않도록 필터어셈블리(500)의 위쪽만 거치하고 있다. 도 6의 점선(S)은 필터어셈블리(500)와 필터거치대(160)의 사이를 나타내며, 이 부분도 실링부재(580)로 차폐하고자 하는 부분 중 일부다.
도 7을 보면 필터어셈블리(500)와 필터거치대(160)가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먼저 필터거치대(160)의 구성을 보면 필터거치대(160)의 골격은 아래쪽으로 연장된 짧은 덕트 형태의 거치몸체(161)가 만들고, 거치몸체(161)의 위쪽에는 거치헤드(165)가 있다. 거치헤드(165)는 프론트서포터(150)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거치헤드(165)에서 거치몸체(16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필터수납공간(162)이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의 주변 가장자리에는 필터어셈블리(500)가 거치되는 거치단(163)이 곡면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거치단(163)은 필터수납공간(162)을 감싸므로 필터수납공간(162)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거치단(163)은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과 대응하는 면적과 형상으로 만들어져, 필터어셈블리(500)가 안착되면 통일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거치단(163)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형상이다.
그리고 이너필터(510)를 보면 이너필터(510)는 대략 사각틀의 이너바디(511)와 그 상부에 연결된 필터헤드(520)가 골격을 만든다. 상기 이너바디(511)는 서로 떨어져 있는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필터공간이 있다.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는 서로 연결되어 접히거가 펼쳐지는 구조일 수 있는데, 도 7에는 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는 서로 별개물일 수도 있다.
상기 이너바디(511)의 측면과 저면에는 각각 메쉬망(M)이 결합되어 필터공간을 감싸는데, 도면부호 515는 메쉬망(M)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부(515)를 나타낸다. 이너필터(510)에 결합되는 메쉬망(M)은 아우터필터(550)에 결합되는 메쉬망(M)과 함께 이중필터를 구성하는데, 두 메쉬망(M)의 구멍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필터(510)의 메쉬망(M) 보다 아우터필터(550)의 메쉬망의 구멍크기가 더 작게 되면, 이너필터(510)에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리지고 아우터필터(550)에서 보다 작은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이러한 구멍크기는 통기성을 해치지 않은 선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메쉬망(M)의 재질은 섬유, 합성수지, 금속 모두 가능하며, 강도보강을 위한 스텐레스망, 탄소섬유망도 가능하다.
도면부호 516은 메쉬망(M)이 설치되기 전에는 빈공간인 이너여과홀(516)인데, 이너여과홀(516)은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에 각각 있고,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의 아래쪽에도 있다. 따라서 메쉬망(M)은 이너필터(510)의 측면과 아래쪽을 가로 막는 형태로 이너여과홀(516)을 가로 질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511)의 측면에는 아우터필터(550)의 내면에 걸려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519)가 돌출되고, 그 위쪽에는 필터헤드(520)가 있다. 필터헤드(520)는 이너바디(511) 보다 더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을 사이에 두고 필터헤드(520)의 저면(521)이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필터헤드(520)는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너필터(510)가 거치단(163)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필터헤드(520)의 위쪽에는 상부유입부(523)가 있고, 상부유입부(523) 사이사이에는 상부홀(524)이 관통된다. 그리고 필터헤드(520)의 옆쪽에는 측면유입부(525)가 있고 측면유입부(525) 사이사이에는 측면홀(526)이 관통된다. 상부유입부(523)와 측면유입부(525)는 서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다수의 리브들이 그릴 형태를 만든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부홀(524)과 측면홀(526)이 모두 사각형상이지만, 다각형상이나 원형일 수 있고 그 크기도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상면홀(524)과 측면홀(526)은 필터헤드(520)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해서 순환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로 돕는다.
상기 필터헤드(520)에는 제1조립부(528)가 있는데, 상기 제1조립부(528)는 필터헤드(520)의 한쪽, 보다 정확하게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안쪽 공간을 향한 후방에서 필터헤드(520)의 일부가 움푹들어간 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조립부(528)는 후술할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에 있는 제2조립부(576)와 맞물려 오조립을 방지하고 일종의 작은 손잡이(529)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필터헤드(520)에는 손잡이(529)가 있다. 상기 손잡이(529)는 필터헤드(520)의 위쪽 일부가 안쪽으로 들어가 만들어지는데, 사용자는 손잡이(529)를 잡고 필터어셈블리(500)를 필터거치대(160)에서 뽑을 수 있다. 손잡이(529)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안쪽 공간을 향한 후방에 있게 때문에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는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아우터필터(550)를 보면, 상기 아우터필터(550)는 이너필터(510)와 조립되어 이중필터를 구성하고, 필터거치대(160)의 필터수납공간(162)으로 삽입된다. 이너필터(510)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아우터필터(550)는 이너필터(510)의 형상과 비슷하지만 그 안쪽에 필터공간은 이너필터(510)의 이너바디(511) 보다 크다.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골격을 만드는 아우터바디(551)도 이너바디(511)와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서로 떨어져 있는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필터공간이 있다.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는 서로 연결되어 접히거가 펼쳐지는 구조일 수 있는데, 도 7에는 아래쪽의 힌지부(554)를 기준으로 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을 보면 펼쳐진 상태가 있다.
상기 아우터바디(551)의 측면과 저면에는 각각 메쉬망(M)이 결합되어 필터공간을 감싸는데, 도면부호 555는 메쉬망(M)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부(555)를 나타낸다. 아우터필터(550)에 결합되는 메쉬망(M)은 이너필터(510)에 결합되는 메쉬망(M)과 함께 이중필터를 구성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메쉬망(M)의 구멍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메쉬망(M)의 재질은 섬유, 합성수지, 금속 모두 가능하며, 강도보강을 위한 스텐레스망, 탄소섬유망도 가능하다.
도면부호 556은 메쉬망(M)이 설치되기 전에는 빈공간인 아우터여과홀(556)인데, 아우터여과홀(556)은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에 각각 있고,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의 아래쪽에도 있다. 따라서 메쉬망(M)은 아우터필터(550)의 측면과 아래쪽을 가로 막는 형태로 아우터여과홀(556)을 가로 질러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아우터여과홀(556)은 제1아우터바디(552)에 있는 제1아우터여과홀(556A), 제2아우터바디(553)에 있는 제2아우터여과홀(556B), 그리고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 사이에 있는 제3아우터여과홀(566C)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메쉬망(M)으로 감싸진다.
상기 아우터바디(551)의 측면에는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의 조립을 위한 조립수단(579)이 있는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수단(579)은 제1아우터바디(552)에 있는 조립편(579A)과 제2아우터바디(553)에 있는 조립후크(579B)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조립수단(579)은 이와 달리 다른 구조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조립되거나 억지끼움구조 또는 클립구조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557은 아우터필터(550)의 외면이 필터거치대(160)의 필터수납공간(162) 내면과 어느 정도 이격될 수 있게 하는 스페이서다.
다시 도 7을 보면,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아우터바디(551) 위쪽에는 안착단(560)이 돌출된다. 상기 안착단(560)은 아우터바디(551) 보다 더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560)은 아우터필터(550)의 중심에 있는 삽입구(558)의 가장자리를 둘러 돌출되는 일종의 얇은 처마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안착단(560)이 돌출되어 있어서 거치단(163)에 걸리는데, 이를 위해서 거치단(163)과 안착단(560)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상기 안착단(560)에는 실링부재(580)가 결합된다. 상기 실링부재(580)는 필터어셈블리(500)-필터거치대(160) 사이(도 8 및 도 9의 화살표 ⑤ 방향 참조)와 아우터필터(550)-이너필터(510) 사이(도 8 및 도 9의 화살표 ⑤ 방향 참조)의 실링을 위한 것으로, 하나의 실링부재(580)가 이러한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이란, 순환공기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틈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실링부재(580)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에 일체로 만들어지지만, 분리가능한 형태로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단(560)의 구조를 보다 잘 보기 위해서 실링부재(580)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도 12 내지 도 15를 보면, 안착단(560)은 드럼을 기준으로 할 때 내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안착단부(563)와,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안착단부(565)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제1안착단부(563)와 제2안착단부(565)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그 위치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상기 제1안착단부(563)에는 단차면(564)이 있다. 상기 단차면(564)은 상기 제1안착단부(563)의 끝부분 일부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인데, 단차면(564)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여기에 실링부재(580)가 결합되더라도 실링부재(580)의 두께로 인해 제1안착단부(563) 전체 두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차면(564)은 하부단차면(564A)과 상부단차면(564B)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제1안착단부(563)의 저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링부재(580)의 연결부(585)에 있는 저면결합판(585A)이 결합되는 하부단차면(564A)이 있다. 그리고, 그 반대면에 해당하는 제1안착단부(563)의 상면에는 상부단차면(564B)이 있는데, 여기에는 연결부(585)의 상면결합판(585C)이 결합된다. 이러한 단차면(564)은 실링부재(580)가 아래쪽의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과 위쪽에 있는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 저면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해준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차면(564)은 제1안착단부(563)에만 있지만, 이러한 단차면(564)은 제2안착단부(565)에도 있을 수도 있다.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안착단(560)의 저면(561)에는 결합리브(564')가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안착단부(563)의 저면에는 결합리브(564')가 돌출되는데, 이렇게 돌출된 결합리브(564')는 상기 제1안착단부(563)의 바깥쪽 가장자리 일부와 아래에서 설명될 실링부재(580)의 포켓(P) 내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리브(564')는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리브(564')가 아우터필터(550)와 실링부재(580)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2와 도 15를 보면, 상기 제2안착단부(565)에는 조립슬롯(566)이 있다. 상기 조립슬롯(566)은 제2안착단부(565)의 상면에 움푹 들어간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여기에는 실링부재(580)의 연결부(585)에서 분기되는 상면결합판(585C)의 일부가 삽입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슬롯(566)은 상기 제2안착단부(565)를 따라서 연장되지만 제1안착단부(563)까지 이어지지는 않는다. 조립슬롯(566)이 생략되고 실링부재(580)가 제2안착단부(565) 외면에 직접 조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은 돌출되어 있고, 하부단차면(564A), 상부단차면(564B) 및 조립슬롯(566)이 있어서 실링부재(580)가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580)는 고무, 실리콘, 탄성이 있는 재질의 합성수지 등 기밀(氣密) 기능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처럼, 실링부재(580)는 의류처리장치에 고정된 필터거치대(160)가 아니라 분리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500)에 설치되고, 특히 필터어셈블리(500)에서도 돌출되어 있는 안착단(560)을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의류처리장치 본체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품의 호환성이 높다.
상기 실링부재(580)는 상기 아우터필터(550)에 인서트사출, 열융착, 초음파융착 또는 레이저용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열융착방식이 사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아우터필터(550)는 가소성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실링부재(580)는 스티렌(styrene)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만들어진 후에 서로 융착을 통해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스티렌(styrene)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질(이하, TPS라고 함)은 폴리스티렌 세그먼트(polystyrene segment)와 유연한 폴리올레핀 구조의 엘라스토머 세그먼트(elastomer segment)로 구성되어 있는데, 경도(Shore A)는 4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이중에서 폴리스티렌 세그먼트(polystyrene segment)는 가소성 플라스틱로 만들어지는 아우터필터(550)의 재질와 유사한 성질을 가져, 서로 융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아우터필터(550)는 고융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180°내지 210°의 고온에서 융착작업을 할 수 있다.
실링부재(580)의 구조를 보면, 먼저 실링부재(580)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실링부재(580)는 상기 아우터필터(550)를 구성하는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에 각각 조립되는데, 제1아우터바디(552)에 조립되는 실링부재(580A)는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고, 제2아우터바디(553)에 조립되는 실링부재(580B)도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는 것이다.
하나의 실링부재(580)는 필터어셈블리(500)-필터거치대(160) 사이와 이너필터(510)-아우터필터(550) 사이를 모두 실링해줄 수 있다. 실링부재(580)는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조립되는 아우터필터(550)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아우터필터(550)와 필터거치대(160) 사이를 실링하고, 일부는 상기 이너필터(510)를 향해 돌출되어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를 실링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조를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실링부재(580)는 세장(細長)형 구조인데,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에 맞는 형상을 갖는다. 앞서 설명한 대로 실링부재(580)는 열융착방식으로 아우터필터(550)에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실링부재(580)는 안착단(560)의 가장자리에 잘 끼워질 수 있도록 포켓(P)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인서트사출이나 접착제를 통한 부착도 가능하다.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실링부재(580)는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에 각각 조립되는데, 두 실링부재(580A, 580B)의 형상이 약간 다르다. 이것은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의 형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제1아우터바디(552)에는 제2조립부(576)가 돌출되어 있어서 이부분은 회피해야 하고, 제2아우터바디(553)에는 오조립방지편(559)이 있어서 이부분을 회피해야 한다. 따라서 두 실링부재(580A, 580B)는 조립되는 대상에 맞게 서로 다른 부분도 갖게 되지만, 이를 제외한 부분은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진다.
제1아우터바디(552)에 조립되는 실링부재(580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실링부재(580A)에는 길게 연장되는 베이스(581)가 있고, 베이스(581)에는 제1실링부(583)와 제2실링부(587)가 있다. 상기 베이스(581)는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저면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581)는 안착단(560) 중에서 제1안착단부(563)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581)는 안착단(560)에 결합을 위한 부분이므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실링부재(580)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물론 베이스(581) 자체도 실링역할을 하는데, 베이스(581)는 아우터필터(550)와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참고로 안착단(560) 중에서 제1안착단부(563)에 결합되는 베이스에는 도면부호 581A를 부여하고, 제2안착단부(565)에 결합되는 베이스에는 도면부호 581B를 부여하여 구별하였다.
상기 베이스(581)에는 제1실링부(583)가 연결된다. 상기 제1실링부(583)는 상기 베이스(581)의 한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되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실링부(583)는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을 향해 돌출되는 것인데, 이것은 필터어셈블리(500)가 필터거치대(160)에 거치될 때 제1실링부(583)가 자연스럽게 거치단(163)에 눌리면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를 통해 기밀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제1실링부(583)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전체를 둘러 만들어지는데, 제1안착단부(563)에 있는 제1실링부(583A)와 제2안착단부(565)에 있는 제1실링부(583B)는 끊어짐 없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실링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2실링부(587)도 제2조립부(576)로 인한 회피부(589)를 제외한 부분에는 만들어져 있다. 즉, 제1안착단부(563)와 제2안착단부(565) 모두 제2실링부(587)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에서 제1안착단부(563)에 결합된 제2실링부에는 도면부호 587A를 부여하였고, 제2안착단부(565)에 결합된 제2실링부에는 도면부호 587B를 부여하여 구별하였다.
단면으로 표현된 도 17을 참고하면 보다 명확한데, 상기 제1실링부(583)는 돌출된 끝 부분(583'')으로 갈수록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저면에서 점점 이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링부(583)는 상기 베이스(581)에 연결된 한쪽 끝(583') 보다 돌출된 바깥쪽 부분(583'')의 두께가 더 얇은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제1실링부(583)의 탄성력을 높이되, 제1실링부(583)가 베이스(581)에 연결된 부분은 두껍게 하여 연결부(585)위의 강도는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17에서 도면부호 K1은 제1실링부(583)가 거치단(163)에 눌려 탄성변형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실링부(583)는 베이스(581)를 따라 연장되는데, 아우터필터(550)의 제1안착단부(563)의 저면 쪽에 위치하는 제1실링부(583)에는 도면부호 583A를 부여하고, 제2안착단부(565)의 저면 쪽에 위치하는 제1실링부(583)에는 도면부호 583B를 부여하였다. 이들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제1실링부(583)로 볼 수도 있다.
도 18을 보면, 제2안착단부(565)의 단면구조인 관계로 단면에는 제1실링부(583)만 표현되어 있지만, 제2안착단부(565)의 상면에 제2실링부(587)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9는 도 16의 D-D' 선에 대한 단면도로 제2안착단부(565)에 있는 제1실링부(583)와 제2안착단부(565)에 있는 제2실링부(587)가 서로 다른 위치에 표현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연결되어 있다. 도 19에서 안착단(560)의 저면 중에서 제1안착단부(563) 쪽 저면은 561A, 제2안착단부(565) 쪽 저면은 561B로 부호를 구별하였다.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 8을 보면 제1실링부(583)가 실링기능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제1실링부(583)는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에 눌려 위쪽으로 탄성변형되어 거치단(163)-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사이를 가로 막고 있다. 물론, 제1실링부(583)와 함께 베이스(581)도 아우터필터(550)와 거치단(163) 사이에서 압축되어 실링역할을 해준다. 상기 베이스(581)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과 거치단(163) 사이를 가로 질러 길게 연장되어 기밀성을 높이고 있고, 여기에 더해 제1실링부(583)가 탄성변형되면서 안착단(560)과 거치단(163) 사이의 틈새 입구를 막고 있기 때문에 실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살표 ⑤방향으로의 순환공기 투입을 막을 수 있다.
만약 안착단(560)과 거치단(163) 사이의 틈새로 순환공기가 유입되면 필터어셈블리(500)를 전혀 거치지 않고 가이드덕트(310) 아래쪽으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이 전혀 걸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베이스(581)와 제1실링부(583)가 협력해서 기밀성을 높이고, 순환공기가 여과공간(T)을 통과하도록 유도해준다.
그리고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제1실링부(583)의 돌출된 끝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링부재(580)의 연결부(585) 또는 안착단(560)의 가장자리 보다 이너필터(510)를 수납하는 필터결합공간(또는 여과공간(T))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후퇴한 위치까지만 연장된다. 다시 말해 제1실링부(583)의 끝부분이 연결부(585) 또는 안착단(560) 보다 더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터어셈블리(500)의 조립이나 분해과정에서 제1실링부(583)의 끝부분이 외부와 간섭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시 도 12를 보면, 상기 베이스(581)에서 제1실링부(583)의 반대편 쪽으로는 연결부(585)가 연장되고, 연결부(585)에는 제2실링부(587)가 있다. 상기 연결부(585)는 상기 베이스(581)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착단(560)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감싼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부(585)는 제1안착단부(563)의 바깥쪽 끝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실링부(587)는 상기 안착단(560)의 상면을 감싸는 연결부(585)의 외면에서 상기 이너필터(510)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이와 같이, 제1실링부(583)와 제2실링부(587)는 연결부(58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그 사이에 끊어지는 부분이 없다. 따라서 제1실링부(583)와 제2실링부(587)가 하나의 실링부재(580)에 존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링부재(580)가 끊어진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순환공기를 차단함으로써 기밀성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해서 상기 연결부(585)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상기 연결부(585)는 저면결합판(585A), 측면결합판(585B) 및 상면결합판(585C)이 서로 연결되어 대략 'ㄷ'자 형상을 만든다. 저면결합판(585A)은 상기 제1안착단부(563)의 저면에 밀착되고, 측면결합판(585B)은 상기 저면결합판(585A)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1안착단부(563)의 돌출된 측면을 감싼다. 그리고 상면결합판(585C)은 상기 측면결합판(585B)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1안착단부(563)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2실링부(587)는 상기 상면결합판(585C)에서 돌출된다.
이처럼 대략 'ㄷ'자 형상의 연결부(585) 안쪽에는 제1안착단부(563)의 바깥쪽 가장자리 일부(563', 도 17참조)가 삽입되는 포켓(P)이 만들어진다. 상기 포켓(P)에 제1안착단부(563)의 바깥쪽 끝 일부(563')가 삽입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제1안착단부(563)의 단차면(564)이 포켓(P)에 삽입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안착단(560) 하부단차면(564A)에는 결합리브(564')가 있어서, 포켓(P)과 단차면(564)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587)를 보면, 상기 제2실링부(587)는 연결부(585)의 측면결합판(585B)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아우터필터(550)와 이너필터(510) 사이를 실링해준다. 상기 제2실링부(587)는 상기 안착단(560)의 상면을 감싸는 상면결합판(585C)의 외면에서 상기 이너필터(510) 방향으로 더 돌출되기 때문에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에서 압축되어 실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제2실링부(587)가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가장자리와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 아래쪽 사이에서 제2실링부(587)가 실링기능을 한다. 상기 제2실링부(587)는 탄성에 의해 압축되면서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의 틈을 막고 있는데, 이에 따라 화살표⑥ 방향으로 유입되는 순환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만약 순환공기가 화살표⑥ 방향으로 유입된다면, 아우터필터(550)의 메쉬망(M)은 통과하지만 이너필터(510)의 메쉬망(M)은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 포집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제2실링부(587)는 상기 안착단(560)의 측면을 감싸는 실링부재(580)의 연결부(585)에서 이너필터(510)를 수납하는 필터결합공간(또는 여과공간(T))의 중심을 향해 안쪽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다. 즉, 제2실링부(587)가 연결부(585)의 중심에 있지 않고 안쪽에 위치하는 것인데, 이는 제2실링부(587)를 되도록 안쪽에 두어, 제2실링부(587)의 돌출구조로 인해 외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을 보면, 상기 제2실링부(587)의 단면형상을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는데, 상기 제2실링부(587)는 상기 실링부재(580)의 연결부(585)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동시에 중심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커지는 횡단면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2실링부(587)는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에 의해 아래쪽(도 17의 화살표 K2방향)으로 눌릴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실링부(587)의 횡단면형상은 대략 반원인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2를 보면, 실링부재(580)에는 회피부(589)가 있다. 상기 회피부(589)는 아우터필터(550)의 제2조립부(576)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이 부분에는 연결부(585)가 생략된다. 상기 회피부(589)가 있는 부분에는 베이스(581)만 제1안착단부(563)의 저면에 결합되어 실링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실링부(583)와 제2실링부(587)는 연결부(585)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실링부재(580)가 중간에 끊어진 구조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실링부(583)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저면에 결합되고 제2실링부(587)는 안착단(56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부(583)도 제2실링부(587)와 같이 리브형태의 돌출구조일 수도 있고, 반대로 제2실링부(587)가 제1실링부(583)처럼 외팔보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실링부(583)와 제2실링부(587)가 탄성변형을 통해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12에서 제2아우터바디(553)에 조립되는 실링부재(580B)를 보면, 연결부(585)가 오조립방지편(559)을 회피하여 중심 부분에만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580B)의 양쪽 끝까지 제1실링부(583)가 연결되지만, 제2실링부(587)는 연결부(585)가 존재하는 곳에만 있다. 즉, 오조립방지편(559)을 회피한 부분에는 제2실링부(587)가 없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대로 이러한 구조는 이너필터(510)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에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제2아우터바디(553)에 조립되는 실링부재(580)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제1실링부(583)는 제1실링부(583)는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에 눌려 위쪽으로 탄성변형되어 거치단(163)-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사이를 가로 막고 있다. 물론, 제1실링부(583)와 함께 베이스(581)도 아우터필터(550)와 거치단(163) 사이에서 압축되어 실링역할을 해준다. 따라서 화살표 ⑤방향으로의 순환공기 투입을 막을 수 있다.
만약 안착단(560)과 거치단(163) 사이의 틈새로 순환공기가 유입되면 필터어셈블리(500)를 전혀 거치지 않고 가이드덕트(310) 아래쪽으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이 전혀 걸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베이스(581)와 제1실링부(583)가 협력해서 기밀성을 높이고, 순환공기가 여과공간(T)을 통과하도록 유도해준다.
그리고 도 9를 보면, 제2실링부(587)가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가장자리와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 아래쪽 사이에서 제2실링부(587)가 실링기능을 한다. 상기 제2실링부(587)는 탄성에 의해 압축되면서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의 틈을 막고 있는데, 이에 따라 화살표⑥ 방향으로 유입되는 순환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만약 순환공기가 화살표⑥ 방향으로 유입된다면, 아우터필터(550)의 메쉬망(M)은 통과하지만 이너필터(510)의 메쉬망(M)은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 포집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실링부(583)와 제2실링부(587)가 필터어셈블리(500)-필터거치대(160) 사이 뿐 아니라 이너필터(510)-아우터필터(550) 사이도 실링을 해주는데, 제1실링부(583)와 제2실링부(587)는 연결부(58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그 사이에 끊어지는 부분이 없다. 따라서 제1실링부(583)와 제2실링부(587)가 하나의 실링부재(580)에 존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링부재(580)가 끊어진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순환공기를 차단함으로써 기밀성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통(700)은 드럼(200)의 좌측 상부 또는 우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배수통(700)이 드럼(20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수커버(710)는 배수통(7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전면부에서 좌측 상단 또는 우측 상단에 배치된다. 배수커버(710)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배수통(700)에 집수된 응축수를 비우기 위해서 배수커버(710)를 당기면, 배수통(700)이 배수커버(710)와 함께 물통지지프레임(720)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제어부(800)가 설치된다. 제어부(800)는 입력부(132)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800)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필터어셈블리(500)에 의한 공기유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드럼(200)에서 나온 고온의 순환공기는 바로 아래쪽에 연결된 필터어셈블리(500)를 통해 가이드덕트(310)로 빠져나간다. 이때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는 상하방향과 측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순환공기가 위쪽(도 5의 화살표 ① 방향)과 옆쪽(도 5의 화살표 ②방향)에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일부 순환공기는 이너필터(510)를 통하지 않고, 필터어셈블리(500)와 필거 사이나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흐름은 도 8과 도 9의 화살표 ⑤, ⑥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링부재(580)가 이러한 흐름을 차단하여 공기의 누설을 방지해준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실링부(583)는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에 눌려 위쪽으로 탄성변형되어 거치단(163)-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사이를 가로 막고 화살표 ⑤의 공기유동을 차단한다. 물론, 제1실링부(583)와 함께 베이스(581)도 아우터필터(550)와 거치단(163) 사이에서 압축되어 실링역할을 해준다. 상기 베이스(581)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과 거치단(163) 사이를 가로 질러 길게 연장되어 기밀성을 높이고 있고, 여기에 더해 제1실링부(583)가 탄성변형되면서 안착단(560)과 거치단(163) 사이의 틈새 입구를 막고 있기 때문에 실링성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제2실링부(587)가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가장자리와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 아래쪽 사이에서 제2실링부(587)가 공기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제2실링부(587)는 탄성에 의해 압축되면서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의 틈을 막고 있는데, 이에 따라 화살표⑥ 방향으로 유입되는 순환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순환공기가 세어나갈 수 있는 경로를 하나의 실링부재(580)가 모두 차단해준다. 결과적으로 순환공기는 이너필터(510)는 상하방향과 측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순환공기가 위쪽(도 5의 화살표 ① 방향)과 옆쪽(도 5의 화살표 ②방향)으로만 유입될 수 있고, 여과공간(T)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배출되게 유도된다.
최종적으로 순환공기는 화살표 ③ 방향과 같이 필터어셈블리(500)의 여과공간(T)을 거친 후에 메쉬망(M)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배출되거나 옆쪽으로 배출된다. 화살표 ④와 같이 일부 공기는 옆쪽으로 배출되어서 가이드덕트(310) 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아래쪽으로 바로 이동하여 가이드덕트(310)의 하단(315)으로 토출될 수도 있다. 어느 방향으로 배출되어도 결과적으로 메쉬망(M)을 통과하게 되고, 이중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캐비넷 112: 도어
120: 하부프레임 140: 전면프레임
150: 프론트서포터 160: 필터거치대
163: 거치단 200: 드럼
300: 열교환모듈 310: 가이드덕트
330: 열교환가이드 400: 베이스커버
500: 필터어셈블리 510: 이너필터
520: 필터헤드 550: 아우터필터
560: 안착단 580: 실링부재
581: 베이스 583: 제1실링부
585: 연결부 587: 제2실링부
700: 배수통 800: 제어부

Claims (20)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개방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를 열교환모듈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와,
    상기 처리모듈과 가이드덕트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 및 아우터필터를 포함하여 순환공기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순환공기를 상기 가이드덕트로 공급하는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필터거치대에 조립되는 아우터필터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필터와 필터거치대 사이를 실링하고, 일부는 상기 이너필터를 향해 돌출되어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에는 아우터필터에서 필터거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필터와 필터거치대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와, 상기 아우터필터에서 이너필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필터와 이너필터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가 있는 의류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필터에는 상기 이너필터가 삽입되는 아우터필터의 삽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단이 돌출되되 상기 안착단은 상기 이너필터와 필터거치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안착단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아우터필터에 일체로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아우터필터의 안착단은 상기 안착단이 거치되고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 가장자리에 있는 거치단과 상기 이너필터의 상부에서 돌출된 필터헤드의 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아우터필터 및 이너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되면 상기 실링부재의 제1실링부는 필터거치대의 거치단을 향하고 제2실링부는 상기 이너필터의 필터헤드 저면을 향하는 의류처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아우터필터의 안착단 저면을 따라 연장되며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한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되 상기 필터거치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착단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감싸는 연결부와,
    상기 안착단의 상면을 감싸는 연결부의 외면에서 상기 이너필터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의 돌출된 끝 부분은 상기 실링부재의 연결부 또는 안착단의 가장자리 보다 이너필터를 수납하는 필터결합공간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후퇴한 위치까지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안착단의 측면을 감싸는 실링부재의 연결부에서 이너필터를 수납하는 필터결합공간 중심을 향해 안쪽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는 의류처리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돌출된 끝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아우터필터의 안착단 저면에서 점점 이격되되, 상기 아우터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되면 안착단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안착단의 저면과 필터거치대 사이에 밀착되는 의류처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한쪽 끝 보다 돌출된 바깥쪽 부분의 두께가 더 얇은 의류처리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실링부재의 연결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커지는 횡단면형상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연결부는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 밀착되는 저면결합판과, 상기 저면결합판에서 연결되고 상기 안착단의 돌출된 측면을 감싸는 측면결합판과, 상기 측면결합판에서 연결되고 상기 안착단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상면결합판에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저면결합판, 측면결합판 및 상면결합판은 안쪽에 안착단의 바깥쪽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는 포켓을 만드는 의류처리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저면결합판이 결합되는 하부단차면이 만들어져 저면결합판이 안착단의 저면 보다 필터거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안착단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상면결합판이 결합되는 상부단차면이 만들어져 상면결합판이 이너필터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는 결합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안착단의 바깥쪽 가장자리 일부와 실링부재의 포켓 내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의류처리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아우터필터에 인서트사출, 열융착, 초음파융착 또는 레이저용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필터는 가소성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실링부재는 스티렌(styrene)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질로 만들어지는 의류처리장치.
  17.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개방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를 열교환모듈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와,
    상기 처리모듈과 가이드덕트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순환공기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상기 가이드덕트로 공급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거치대에 고정되는 아우터필터와,
    상기 아우터필터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와,
    상기 아우터필터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필터와 필터거치대 사이를 실링하고 일부는 상기 이너필터를 향해 돌출되어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에는 아우터필터에서 필터거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필터와 필터거치대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와, 상기 아우터필터에서 이너필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우터필터와 이너필터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가 있고, 상기 아우터필터에는 상기 이너필터가 삽입되는 아우터필터의 삽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단이 돌출되되 상기 안착단은 상기 이너필터와 필터거치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안착단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아우터필터에 일체로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아우터필터의 안착단은 상기 안착단이 거치되고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 가장자리에 있는 거치단과 상기 이너필터의 상부에서 돌출된 필터헤드의 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아우터필터 및 이너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되면 상기 실링부재의 제1실링부는 필터거치대의 거치단을 향하고 제2실링부는 상기 이너필터의 필터헤드 저면을 향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아우터필터의 안착단 저면을 따라 연장되며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한쪽 끝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되 상기 필터거치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착단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감싸는 연결부와,
    상기 안착단의 상면을 감싸는 연결부의 외면에서 상기 이너필터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94400A 2019-08-02 2019-08-02 의류처리장치 KR20210015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400A KR20210015482A (ko) 2019-08-02 2019-08-02 의류처리장치
EP20188998.7A EP3771767B1 (en) 2019-08-02 2020-07-31 Laundry treatment device
PCT/KR2020/010184 WO2021025402A1 (ko) 2019-08-02 2020-08-03 의류처리장치
US16/983,409 US20210032796A1 (en) 2019-08-02 2020-08-03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400A KR20210015482A (ko) 2019-08-02 2019-08-0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482A true KR20210015482A (ko) 2021-02-10

Family

ID=7189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400A KR20210015482A (ko) 2019-08-02 2019-08-0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32796A1 (ko)
EP (1) EP3771767B1 (ko)
KR (1) KR20210015482A (ko)
WO (1) WO2021025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4909A1 (zh) * 2021-08-23 2023-03-02 海信冰箱有限公司 干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333A (ko) 2010-05-07 2011-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7067A (ja) * 2006-05-17 2007-11-29 Sharp Corp 洗濯乾燥機
JP4246761B2 (ja) * 2006-09-27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989734B1 (ko) * 2008-06-03 201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DE102012209124A1 (de) * 2012-05-30 2013-12-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n entnehmbaren Filter eines Haushaltsgeräts
EP2682515A1 (en) * 2012-07-06 2014-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EP2843122B1 (en) * 2013-08-28 2017-02-0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drying air filter for a laundry dryer and a laundry dryer
KR101730317B1 (ko) * 2015-08-04 2017-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EP3562988B1 (en) * 2016-12-29 2022-02-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laundry dryer comprising a filter assembly and a method to clean a filter assembly
KR102366458B1 (ko) * 2017-03-02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333A (ko) 2010-05-07 2011-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1767A1 (en) 2021-02-03
WO2021025402A1 (ko) 2021-02-11
EP3771767B1 (en) 2023-11-29
US20210032796A1 (en)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6158B2 (en) Dryer
CN109338685B (zh) 衣物烘干机
RU2539402C2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бытовой сушилки для белья и бытовая сушилка для белья, снабженная таким фильт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EP1863970B1 (en) Laundry dryer
US20060272173A1 (en) Laundry dryer
KR102201868B1 (ko) 의류건조기
JP6043952B2 (ja) 衣類乾燥機
KR2021001548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76777A (ko) 의류처리장치
JP7015100B2 (ja) 糸屑濾過装置および衣類乾燥機
KR20190068428A (ko) 의류 처리 장치
US11618990B2 (en) Dryer
CN112342727A (zh) 一种洗衣机
CN111021008B (zh) 衣物干燥装置
CN111051600A (zh) 衣物处理装置
CN219586412U (zh) 衣物处理设备
CN112323415B (zh) 面盖组件、工作台装置以及衣物处理设备
CN112301651B (zh) 衣物处理设备及其工作台组件
CN219586411U (zh) 衣物处理设备
CN112301621B (zh) 衣物处理设备
CN112301662B (zh) 送风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2301664B (zh) 送风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116219680A (zh) 衣物处理设备
CN116463831A (zh) 一种过滤支架、线屑过滤装置及衣物处理装置
CN116180404A (zh) 衣物处理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