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162A - 향미 생성 장치,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향미 생성 장치,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162A
KR20210013162A KR1020207036903A KR20207036903A KR20210013162A KR 20210013162 A KR20210013162 A KR 20210013162A KR 1020207036903 A KR1020207036903 A KR 1020207036903A KR 20207036903 A KR20207036903 A KR 20207036903A KR 20210013162 A KR20210013162 A KR 2021001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electronic component
control device
temperatur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435B1 (ko
Inventor
타케시 아카오
하지메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향미 생성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전자부품과, 제1 전자부품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전자부품과,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2 전자부품은,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센서와 제1 전자부품과의 거리보다 긴 거리 떨어져서 배치된다. 제어 장치는,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2 전자부품의 온도를 검출 또는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향미 생성 장치,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향미 생성 장치,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 대신에, 에어로졸원(源)을 히터와 같은 부하(負荷)로 무화(霧化)하는 것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을 음미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나 향미 생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어로졸 생성 장치나 향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원을 무화시키는 가열 소자, 가열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부하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나 향미 생성 장치는, 사용시에 장치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온도 센서를 가진다. 특허문헌 1은, 온도 센서에 의한 주위 온도의 독취(讀取)값에 근거하여 가열 소자의 가열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나, 온도 센서로 측정한 주위 온도가 한정 임계값을 상회(上回)한 경우에 장치를 사용 불가능하게 하는 것 등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온도 센서로 독취한 주위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할 때에 충전 장치에 의한 전원의 충전을 저지하는 것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079747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7-518733호
제1 특징은, 향미 생성 장치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1 전자부품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전자부품으로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제1 전자부품과의 거리보다 긴 거리 떨어져서 배치되는 제2 전자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자부품의 온도를 검출 또는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1 전자부품은, 상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2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제1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전자부품에 관한 제1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1 조건과는 다른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전자부품에 관한 제2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2 특징 또는 제3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기정(旣定)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전자부품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2 전자부품에 관한 기정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1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1 전자부품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5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취득되는 압력값을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5 특징 또는 제6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향미를 흡입하기 위한 흡구(吸口)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흡구를 통한 유저의 흡인 또는 불어넣기(exhale)에 의해 생긴 압력 변화의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전원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8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전원은, 적어도 전해액 또는 이온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전해액 또는 이온 액체가 응고하는 제1 기정 온도 이하일 경우, 또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기정 온도 이하라고 추정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8 특징 또는 제9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전원은, 리튬이온 이차 전지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전원에서의 전극에 전석(電析)이 발생하는 제2 기정 온도 이하일 경우, 또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기정 온도 이하라고 추정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8 특징 내지 제10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전원에서의 전극의 구조 또는 조성의 변화가 생기는 제3 기정 온도 이상일 경우, 또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3 기정 온도 이상이라고 추정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8 특징 내지 제11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0℃ 미만 또는 60℃ 이상일 경우, 또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0℃ 미만 또는 60℃ 이상이라고 추정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9 특징 내지 제12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보호 제어는, 상기 전원의 충전과 방전 중 적어도 한쪽의 억제와, 경고 신호의 송신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3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香味源)을 가열 또는 무화하는 부하를 가지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4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1 전자부품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는, 원기둥(圓柱) 형상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5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1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상기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량을 억제하는 전열 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제16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전열 억제부는, 상기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7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2 전자부품 사이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5 특징 중 어느 하나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1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2 전자 부품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열전도율은, 상기 제1 부재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 특징은, 제19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전자부품에 면(面)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 특징은, 향미 생성 장치로서, 전원과,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어 장치의 냉각이 불필요한 범위에 속하고, 또한 기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2 특징은, 제21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전원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3 특징은, 제21 특징에서의 향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전원,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커버와, 상기 제1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전원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의 열전도율은, 상기 제1 부재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것을 요지로 한다.
제24 특징은, 전원과,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어장치의 냉각이 불필요한 범위에 속하고, 또한 기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5 특징은, 제24 특징에 기재된 방법을 향미 생성 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인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전원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전원 유닛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도 5는, 향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 도 6은, 부하가 접속된 상태의 무화 유닛 및 배터리 유닛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충전기가 접속된 상태의 충전기 및 배터리 유닛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온도 센서에 의해 취득한 온도를 이용한 제어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 도 9는, 온도 센서에 의해 취득한 온도를 이용한 제어의 다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예를 들면, 충방전(充放電) 가능한 전원이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등과 같은 전자부품은, 사용시에 권장되는 온도 범위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전자부품의 사용 환경에서의 온도인 주위 온도보다 전자부품 자체의 온도를, 온도 센서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전자 시가렛이나 가열식 담배 등과 같이, 향미가 부여된 에어로졸이나 증기를 생성하는 향미 생성 장치, 특히 휴대형의 향미 생성 장치에서는, 장치의 중량, 체적 및 비용은, 유저의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면 가능한 한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를 가지는 향미 생성 장치에서, 어떤 양태(樣態)로 온도 센서를 탑재할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일 양태에 따르면, 향미 생성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1 전자부품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전자부품으로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제1 전자부품과의 거리보다 긴 거리 떨어져서 배치되는 제2 전자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자부품의 온도를 검출 또는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따른 향미 생성 장치에서는, 제1 전자부품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에 의해 제2 전자부품의 온도가 검출 또는 추정된다. 따라서, 제2 전자부품의 내부 또는 근방에 제2 전자부품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용(專用) 온도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향미 생성 장치의 중량, 체적 및 비용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향미 생성 장치)
이하에서, 일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생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전원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전원 유닛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향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부하가 접속된 상태의 무화 유닛 및 배터리 유닛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충전기가 접속된 상태의 충전기 및 배터리 유닛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향미 생성 장치(10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비연소형의 향미 흡인기여도 된다. 향미 생성 장치(100)는, 비흡구단(非吸口端)(E2)으로부터 흡구단(E1)을 향하는 방향인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향미 생성 장치(100)는, 향미를 흡인하는 흡구(141)를 갖는 일측 단부(E1)와, 흡구(141)와는 반대측의 타측 단부(E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향미 생성 장치(100)는, 전원 유닛(110) 및 무화 유닛(120)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무화 유닛(120)은, 케이스(123)와, 케이스(123)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하(121R)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케이스(123)는, 향미 생성 장치의 가장 외측의 외표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무화 유닛(120)은, 전원 유닛(110)에 대해 기계적인 접속부분(111, 121)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무화 유닛(120)과 전원 유닛(110)이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무화 유닛(120) 내의 후술하는 부하(121R)는, 전기적인 접속단자(111t, 121t)를 통해, 전원 유닛(110)에 마련된 전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전기적인 접속단자(111t, 121t)는, 부하(121R)와 전원(10)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구성한다.
무화 유닛(120)은,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에어로졸원과, 전원(10)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전기적인 부하(121R)를 가진다.
부하(121R)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자이면 된다. 예를 들면, 부하(121R)는, 히터와 같은 발열 소자, 또는 초음파 발생기와 같은 소자여도 된다. 발열 소자로서는, 발열 저항체, 세라믹 히터, 및 유도 가열식 히터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무화 유닛(120)의 더 상세한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무화 유닛(120)은, 리저버(reservoir)(121P)와, 윅(wick)(121Q)과, 부하(121R)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리저버(121P)는, 액상의 에어로졸원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리저버(121P)는, 예를 들면, 수지 웨브(web) 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다공질체(多孔質體)여도 된다. 윅(121Q)은, 리저버(121P)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원을 끌어들이는 액보지(液保持) 부재여도 된다. 윅(121Q)은, 예를 들면, 유리섬유나 다공질 세라믹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부하(121R)는, 윅(121Q)에 보지되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한다. 부하(121R)는, 예를 들면, 윅(121Q)에 권회(捲回)되는 저항 발열체(예를 들면, 전열선)에 의해 구성된다.
외기(外氣)를 유로로 도입하는 입구(125)로부터 유입한 공기는, 유로(122A) 중에서, 무화 유닛(120) 내의 부하(121R) 부근을 통과한다. 부하(121R)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공기와 함께 흡구(141) 쪽으로 흐른다. 이하, 유로(122A)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 중, 입구(125)와 흡구(141) 사이의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이 유로(122A)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수반하여 생기는 기류(氣流)를 통과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로(122A)는, 무화 유닛(120)과 전원 유닛(110)의 접속부로부터, 무화 유닛(120)을 통과하여 흡구(141)에 이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125)가 무화 유닛(120)의 접속부분(121)에 마련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 대신에, 입구(125)는, 전원 유닛(110)의 접속부분(111)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대신에, 입구(125)는, 무화 유닛(120)의 접속부분(121) 및 전원 유닛(110)의 접속부분(111)에 마련되어도 된다. 어느 형태에서도, 입구(125)는, 무화 유닛(120)과 전원 유닛(110)의 접속부에 마련된다.
에어로졸원은, 상온에서 액체여도 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으로서는, 다가(多價)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원은, 가열하는 것에 의해 향끽미(香喫味) 성분을 방출하는 담배원료나 담배원료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온에서 액체인 에어로졸원에 대한 예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이 대신에, 에어로졸원은, 상온에서 고체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하(121R)는, 고체 형상의 에어로졸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고체 형상의 에어로졸원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해 있어도 된다.
무화 유닛(120)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향미 유닛(카트리지)(130)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향미 유닛(130)은, 향미원(香味源)을 수용하는 통체(筒體)(131)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통체(131)는, 공기나 에어로졸 등이 통과 가능한 막부재(膜部材)(133)와 필터(13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막부재(133)와 필터(132)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 내에 향미원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르면, 향미 유닛(130) 내의 향미원은, 무화 유닛(120)의 부하(121R)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한다. 향미원에 의해 에어로졸에 부여되는 향미는, 향미 생성 장치(100)의 흡구(141)로 이동된다.
향미 유닛(130) 내의 향미원은, 상온에서 고체여도 된다. 일례로서, 향미원은,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하는 식물재료의 원료편(原料片)에 의해 구성된다. 향미원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서는, 살담배나 담배원료와 같은 담배재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대신에, 향미원은, 담배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성형체여도 된다. 또한, 향미원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향미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가 흡인성분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吸引口)를 가지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마우스피스는, 무화 유닛(120) 또는 향미 유닛(13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일체 불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서, 전원 유닛(110)의 더 상세한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 유닛(110)은, 케이스(113)와, 케이스(113)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전자부품과, 케이스(113)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전자부품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케이스(113)는, 향미 생성 장치의 가장 외측의 외표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전원 유닛(110)은, 전원(10), 압력 센서(20), 통지부(40), 제어 장치(50) 및 온도 센서(16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술(前述)한 제1 전자부품은, 예를 들면, 제어 장치(50) 또는 압력 센서(20)여도 된다. 또한, 제2 전자부품은, 예를 들면 전원(10)이어도 된다.
전원(10)은, 향미 생성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비축한다. 전원(10)은, 전원 유닛(110)에 대해 착탈 가능해도 된다. 전원(10)은, 예를 들면 리튬이온 이차 전지와 같은 재충전 가능한 전지여도 된다.
이차 전지는, 정극(正極)과, 부극(負極)과, 정극과 부극을 이간(離間)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와, 전해액(電解液) 또는 이온 액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전해액 또는 이온 액체는, 예를 들면 전해질(電解質)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된다. 리튬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정극은 예를 들면 리튬산화물과 같은 정극재에 의해 구성되고, 부극은 예를 들면 흑연과 같은 부극재에 의해 구성된다. 전해액은, 예를 들면 리튬염 유기 용매여도 된다.
압력 센서(20)는, 흡구(141)를 통한 유저의 흡인 또는 불어넣기(exhale)에 의해 생긴 향미 생성 장치(10) 내의 압력 변화의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센서(20)는, 비흡구측으로부터 흡구측을 향하여 흡인되는 공기의 유량(즉,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기압에 따른 출력값(예를 들면,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출력하는 센서여도 된다. 압력 센서의 출력값은, 압력의 차원(次元)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압력의 차원 대신에 흡인되는 공기의 유량이나 유속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압력 센서로서, 예를 들면, 콘덴서 마이크로폰 센서나 공지의 유량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통지부(40)는, 각종 정보를 유저에게 알리기 위한 통지를 발한다. 통지부(40)는, 예를 들면 LED와 같은 발광 소자여도 된다. 이 대신에, 통지부(40)는, 소리를 발생하는 음향 소자, 또는 진동을 발하는 바이브레이터여도 된다. 또한, 통지부(40)는, 발광 소자, 음향 소자, 바이브레이터의 임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지부(40)는, 향미 생성 장치(100)의 임의 개소(箇所)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지부(40)는, 제어 장치(50)에 마련되어 있다. 통지부(40)가 발광 소자일 경우, 캡(330)은 투광성(透光性)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통지부(40)에 의해 발광된 광은, 캡(330)을 통과하여 외부에 조사된다. 본 실시형태 대신에, 통지부(40)는, 유저에게 통지를 인식시킬 수 있다면, 어디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 장치(50)는, 향미 생성 장치(10)의 각종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0)는, 부하(121R)로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해도 된다. 향미 생성 장치(100)는, 부하(121R)와 전원(10)을 전기적으로 접속 및 절단 가능한 스위치(14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도 6 참조). 스위치(140)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개폐된다. 스위치(140)는, 예를 들면 MOSFET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스위치(140)가 ON이 되면, 전원(10)으로부터 부하(121R)로 전력이 공급된다. 한편, 스위치(140)가 OFF가 되면, 전원(10)으로부터 부하(121R)로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다. 스위치(140)의 ON/OFF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전원 유닛(110)은, 부하(121R)의 동작을 요구하는 신호인 동작 요구 신호를 출력 가능한 요구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요구 센서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눌러지는 누름 버튼, 또는 전술한 압력 센서(20)여도 된다. 제어 장치(50)는, 부하(121R)로의 동작 요구 신호를 취득하여 부하(121R)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을 생성한다. 구체적 일례에서는, 제어 장치(50)는, 부하(121R)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을 스위치(140)로 출력하고, 이 지령에 따라 스위치(140)가 ON이 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50)는, 전원(10)으로부터 부하(121R)로의 급전(給電)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원(10)으로부터 부하(121R)로 전력이 공급되면, 부하(121R)에 의해 에어로졸원이 기화 또는 무화된다.
또한, 전원 유닛(110)은, 전원(10)의 출력 전압을 취득 또는 추정 가능한 전압 센서(15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50)는, 전압 센서(150)의 출력값에 따라 소정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0)는, 전압 센서(150)로부터의 출력값에 의해, 전원(10)의 잔량(殘量)이나 전원(10)의 이상을 검지(檢知)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는, 전원(10)의 잔량의 저하나 전원(10)의 이상을 검지하면, 통지부(40)의 제어에 의해 유저에게 통지를 행해도 된다.
전원 유닛(110)은, 전원(10)을 충전하는 충전기(200)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7 참조). 충전기(200)가 전원 유닛(110)에 접속되었을 때, 충전기(200)는 전원 유닛(110)의 전원(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충전기(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원 유닛(110)의 한 쌍의 전기단자는, 부하(121R)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원 유닛(110)의 한 쌍의 전기단자(111t)와 같아도 된다. 이 대신에, 충전기(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원 유닛(110)의 한 쌍의 전기단자는, 한 쌍의 전기단자(111t)와는 별개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 장치(50)는, 충전기(200)가 접속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판정부는, 예를 들면, 충전기(200)가 접속되는 한 쌍의 전기단자끼리 사이의 전위차(電位差)의 변화에 근거하여, 충전기(200)의 접속 유무를 판정하는 수단이어도 된다. 판정부는, 이 수단으로 한정되지 않고, 충전기(200)의 접속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어도 된다.
향미 생성 장치(100)의 구조를 간이화(簡易化)할 목적에서는, 충전기(200)의 프로세서(250)는, 전원 유닛(110)의 제어 장치(50)와 통신 불능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충전기(200)의 프로세서(250)와 제어 장치(50)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용 단자는 불필요하다. 환언하면, 충전기(200)와의 접속 인터페이스에서, 전원 유닛(110)이 가지는 전기단자는, 주정모선용(主正母線用)과 주부모선용(主負母線用) 2개뿐이어도 된다.
또한, 향미 생성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전원(10)으로의 충전 전류를 차단 또는 저하시키는 정지부(18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정지부(180)는, 예를 들면 MOSFET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 장치(50)는, 정지부(180)를 OFF로 하는 것에 의해, 전원 유닛(110)이 충전기(200)에 접속되어 있었다고 해도, 전원(10)으로의 충전 전류를 강제적으로 차단 또는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전용(專用) 정지부(180)를 마련하지 않아도, 제어 장치(50)가 스위치(140)를 OFF로 함으로써, 전원(10)으로의 충전 전류를 강제적으로 차단 또는 저하시켜도 된다.
외부 전원(210)이 교류 전원일 경우, 충전기(200)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인버터(AC/DC 컨버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충전기(200)는, 전원(10)으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5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충전기(200)는, 필요에 따라, 전류계(230)나 전압계(24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전류계(230)는, 충전기(200)로부터 전원(10)으로 공급하는 충전 전류를 취득한다. 전압계(240)는, 충전기(200)가 접속되는 한 쌍의 전기단자 사이의 전압을 취득한다. 환언하면, 전압계(240)는, 전원(10)의 출력 전압을 취득한다. 충전기(200)의 프로세서(250)는, 전류계(230) 및/또는 전압계(240)로부터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전원(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전원(10)이 리튬이온 이차 전지일 경우, 프로세서(250)는 공지의 CC-CV(정전류(定電流)-정전압(定電壓)) 충전에 의해, 전원(10)의 충전을 제어해도 된다. 또한, 충전기(200)는, 인버터가 출력하는 직류의 전압을 취득하는 전압 센서나, 인버터가 출력하는 직류의 전압을 승압(昇壓) 및/또는 강압(降壓) 가능한 컨버터를,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어 장치(50)는, 충전기(200)가 전기단자(111t)에 접속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판정 수단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전기단자(111t)끼리 사이의 전위차, 또는 한 쌍의 전기단자(111t) 중 적어도 한쪽의 전위의 변화에 근거하여, 충전기(200)의 접속 유무를 판정하면 된다.
(온도 센서)
전원 유닛(110)에 설치된 온도 센서(160)는, 전술한 제1 전자부품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다. 온도 센서(160)는, 제1 전자부품의 온도를 취득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케이스(1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자부품이 제어 장치(50)일 경우, 공간절약화의 관점에서, 온도 센서(160)는, 제1 전자부품으로서의 제어 장치(50)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온도 센서(160)는, 제어 장치(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 경우, 제어 장치(50)는, 예를 들면 온도 센서(160)를 내장한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온도 센서(160)는, 제어 장치(50)에 내장되지 않고, 제어 장치(50)의 케이싱 표면이나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전자부품이 압력 센서(20)일 경우에는, 온도 센서(160)는, 압력 센서(20)의 내부 또는 근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전원(10)(제2 전자부품)은, 온도 센서(160)로부터, 온도 센서(160)와 제1 전자부품의 거리보다 긴 거리 떨어져 배치된다. 즉, 전원(10)과 온도 센서(160)의 거리는, 온도 센서(160)와 제1 전자부품(제어 장치(50) 또는 압력 센서(20))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센서(160)가 제어 장치(50)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온도 센서(160)와 제어 장치(50) 사이의 거리는 영이다.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2 전자부품인 전원(10)의 온도를 검출 또는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의 검출값 또는 추정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제1 전자부품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160)에 의해 전원(10)의 온도가 검출 또는 추정된다. 따라서, 전원(10)의 내부 또는 근방에 전원(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용 온도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향미 생성 장치(100)의 중량, 체적 및 비용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에 의해, 제1 전자부품의 온도와, 제2 전자부품인 전원(10)의 온도 양쪽 모두를 검지 또는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온도 센서(160)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수반하여 생기는 기류에 의한 냉각 효과가 가장 높은 위치 이외에 배치된다. 이 경우, 온도 센서(160)는, 기류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전원(10)의 온도의 검출값 또는 추정값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흡구(141)로부터 보아서 입구(125)보다 멀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125)로부터 유입하는 외기는 흡구(141)를 향해 흐르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은, 통상, 입구(125)와 흡구(141) 사이에서 강하다. 따라서, 온도 센서(160)가 흡구(141)로부터 보아서 입구(125)보다 멀리 배치되어 있으면, 온도 센서(160)는 기류에 의한 냉각 효과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정밀하게 검출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0)는, 기체가 흐르는 유로(122A)의 바깥으로서, 향미 생성 장치(100)의 내부, 즉 케이스(113)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여도, 온도 센서(160)는 기류에 의한 냉각 효과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검출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3)에 의해 향미 생성 장치(100)의 주위로부터 격리(隔離)되기 때문에, 온도 센서(160)는 주위 온도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10)은, 흡구(141)로부터 보아 입구(125)보다 멀리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온도 센서(160)는, 흡구(141)로부터 보아 전원(10)보다 멀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원(10)이, 입구(125)로부터 흡구(141)에 이르는 유로(122A)와 온도 센서(16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원(10)이 바람막이로서 기능하여, 온도 센서(16)에 기류가 노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160)는 기류에 의한 냉각 효과의 영향을 더 받기 어려워진다.
온도 센서(160)는, 적어도 유저에 의한 흡인 중에 대기 개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330)에 대기 개방의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대기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센서(160)는, 부압(負壓)에 의해 생기는 공기류에 의한 공랭 효과를 받기 어렵다. 따라서,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검출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160)는, 온도 센서(16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주면(主面)이 제1 면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면」은, 유저에 의한 흡인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기류의 벡터(vector) 중 가장 긴 벡터의 방향, 또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수반하는 부압에 의해 생기는 이차적인 기류의 벡터 중 가장 긴 벡터의 방향을 따르는 면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전자부품의 주면은, 전자부품의 가장 넓은 면에 의해 정의된다. 온도 센서(160)가 제어 장치(50)에 내장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전자부품의 주면은, 제어 장치(50)의 주면에 상당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50)가 부분적으로 원기둥 형상일 경우, 제어 장치(50)의 주면은, 원기둥의 저면(底面)에 상당하는 면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로(流路)(122A)는, 소정 방향 A를 따라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유저에 의한 흡인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기류의 벡터 중 가장 긴 벡터의 방향, 또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수반하는 부압에 의해 생기는 이차적인 기류의 벡터 중 가장 긴 벡터의 방향은, 소정 방향 A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 경우, 전술한 「제1 면」은, 소정 방향 A를 따르는 면에 의해 규정된다. 이때, 온도 센서(160)는, 온도 센서(16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주면이, 소정 방향 A를 따르는 면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160)는, 온도 센서(16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주면과, 제1 면과 직교하는 제2 면 사이의 각도가, 당해 주면과 전술한 제1 면 사이의 각도보다 작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면」이 소정 방향 A를 따르는 면에 의해 규정되는 경우, 「제2 면」은 소정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160)는, 온도 센서(16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주면이 전술한 제1 면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면」이 소정 방향 A를 따르는 면에 의해 규정되는 경우, 온도 센서(16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주면이 소정 방향 A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온도 센서(160)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50)의 주면이 소정 방향 A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16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주면이, 유저에 의한 흡인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기류의 벡터 중 가장 긴 벡터의 방향, 또는 유저에 의한 흡인에 수반하는 부압에 의해 생기는 이차적인 기류의 벡터 중 가장 긴 벡터의 방향에 대해 경사질수록, 온도 센서(16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주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의 성분이 줄어든다. 따라서, 기류에 의한 온도 센서(160)의 냉각 효과가 억제된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50)와 온도 센서(16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양태에서는, 온도 센서(160)는, 제어 장치(50)에 내장되어 있다.
전원 유닛(110)은,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제1 부재(300)와,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와, 전원(10)과의 사이,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부재는, 압력 센서(20) 및/또는 기재(基材)(3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부재(20, 310)는, 전원(10)에 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재(300)는, 예를 들면 통 모양의 부재여도 된다. 온도 센서(160)가, 제1 부재(3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싸여 있으면, 온도 센서(160)는 기류 및 주위 온도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전원(10)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검출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160)는, 제1 부재(300)와 제2 부재(20, 310)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양태에서는, 기재(310)는, 압력 센서(20)를 둘러싸며, 제어 장치(50)보다 전원(10)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재(310)는,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와, 전원(1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향미 생성 장치(100)는,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와, 케이스(113)와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량을 억제하는 전열 억제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전열 억제부는, 예를 들면 제1 부재(300)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열 억제부, 즉 제1 부재(300)는,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 억제부는, 예를 들면 SUS제의 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SUS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열 억제부의 열전도율은, 예를 들면, 24(W/m·℃) 이하여도 된다. 전열 억제부가,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와, 케이스(113)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13)로 열이 전달되기 어려워져, 케이스(113)가 지나치게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3)를 통해 주위 온도가 온도 센서(160)로 전달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검출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재(300)에 캡(300)과 기재(310)가 감합(嵌合)되는 것에 의해, 제어 장치(50) 및 온도 센서(160)를 감싸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은, 전술한 개구(114)에 의해 대기 개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열 억제부로서의 제1 부재(300)와 케이스(113)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 제1 부재(300) 및/또는 케이스(113)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이들의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해도 된다. 이 경우여도, 케이스(113)로 열이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케이스(113)를 통해 주위 온도가 온도 센서(160)로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300)와 케이스(1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공기층)도 전열 억제부로서 기능한다. 즉, 제1 부재(300)와 케이스(113) 사이의 공기가 단열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케이스(113)로 열이 더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케이스(113)를 통해 주위 온도가 온도 센서(160)로 더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향미 생성 장치(100)는,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와, 전원(10)(제2 전자부품)과의 사이,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는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열전도 부재는, 전원(10)과,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와의 사이의 열의 전도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 열전도 부재는, 압력 센서(20) 및/또는 기재(310)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원(10)에서 발생한 열은, 압력 센서(20) 및/또는 기재(310)를 통해 온도 센서(160)에 전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재, 즉 압력 센서(20) 및/또는 기재(310)의 열전도율은, 제1 부재(300)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재(310)는, 예를 들면 결정(結晶) 실리콘과 같은 금속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전원(10)에서 발생한 열은, 제1 부재(300) 내에서 온도 센서(160) 쪽을 향해 전도하기 쉽다. 따라서,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취득할 수 있다.
전술한 양태 대신에, 전술한 열전도 부재는, 제1 부재(300)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열전도 부재로서 제1 부재(300)는, 예를 들면 SUS제의 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SUS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원(10)에서 발생한 열은, 제1 부재(300)를 통해 온도 센서(160)로 전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재(310)의 열전도율은 상대적으로 낮아도 되고, 기재(310)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와 같은 수지(樹脂)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결정 실리콘 대신에 실리콘 수지를 기재(310)로 이용함으로써, 전원 유닛(110) 내의 전자부품을 고정하기 쉬워진다.
어느 경우여도, 전원(10)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도 부재를 통해 온도 센서(160)에 전달되기 쉽기 때문에,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정밀하게 취득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0) 및 제어 장치(50)와, 전원(10)(제2 전자부품)과의 사이,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는 전술한 열전도 부재는, 전원(10)과는 다른 열원, 예를 들면 부하(121R)에 의해 발생한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 일례에서는, 당해 열전도 부재는, 부하(121R)와 이간(離間)해 있어도 된다. 또한, 당해 열전도 부재와 전원(10) 사이의 거리는, 당해 열전도 부재와 부하(121R)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원 유닛(110)은, 향미 생성 장치(10)의 내부에, 온도 센서(160)를 감싸는 수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용체는, 온도 센서(160)뿐만 아니라, 제어 장치(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있어도 된다. 수용체는, 예를 들면 통체(筒體)와 같은 것이어도 되고, 봉지(封止) 수지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센서(160)는, 봉지 수지에 의해 봉지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센서(160)는 기류의 영향을 더 받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의 온도를 더 정밀하게 검출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는 원기둥(圓柱)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압력 센서(20)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는 원기둥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부재(300)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장치(50) 및/또는 압력 센서(20)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가 원기둥 형상이기 때문에, 향미 생성 장치(10) 전체의 외형을 기둥 형상, 더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상으로 하기 쉽다. 이에 의해, 향미 생성 장치(10)를, 종래의 궐련 담배의 형상을 닮은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160)는, 전원(10)으로부터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로 독취(讀取)된 출력값으로부터 전원(10)의 온도를 추정해도 된다. 즉, 온도 센서(160)의 위치에서는, 전원(10)의 온도와는 약간 다른 온도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미리 실험에 의해, 전원(10)의 실제 온도와,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과의 차이를 측정해 두는 것에 의해,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으로부터, 전원(10)의 온도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8은, 온도 센서(160)에 의해 취득한 온도를 이용한 제어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는, 향미 생성 장치(100),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50)가 가동하고 있을 동안에 제어 장치(50)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전원(10)의 충전 중과 방전 중의 적어도 한쪽에서 실행된다. 전원(10)에 높은 부하가 걸리는 충전 중에서는, 제어 장치(50)는, 이하에 설명하는 전원(10)의 보호를 포함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원(10)의 방전이란, 예를 들면, 전원(10)으로부터 부하(121R)로의 전력의 공급 등을 의미한다.
우선,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To)을 취득한다(스텝 S100).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To)이 제1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제1 전자부품에 관한 제1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102, S104).
본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제어에서는, 제1 전자부품은 제어 장치(50)이며, 제1 조건은 제어 장치(50)의 추천 동작 온도의 범위 외(外)와 같은 조건이다. 예를 들면, 제1 조건은, 「To>85℃, 또는 To<-40℃」와 같은 조건이다. 즉,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To)이 제1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제어 장치(50)는, 제어 장치(50) 자신의 추천 동작 온도의 범위 외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50)는, 제1 제어로서, 전원(10)의 충전 또는 방전을 금지하고, 제어 장치(50) 자신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스텝 S104). 또한, 제어 장치(50)는, 필요에 따라, 통지부(40)에 의해 유저에게 이상을 통지해도 된다.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To)이 전술한 제1 조건과는 다른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전원(10)에 관한 제2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112, S114).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조건은, 전원(10)에 있어 추천 동작 온도의 범위와는 다른 온도 범위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S114의 제2 제어는, 전원(10)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전원(10)의 전해액 또는 이온 액체가 응고하는 제1 기정(旣定) 온도 이하일 경우, 또는 전원(10)의 온도가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1 기정 온도 이하라고 추정되는 경우, 제2 제어로서 전원(10)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면 된다. 보호 제어는, 전원(10)의 충전과 방전 중 적어도 한쪽의 억제 또는 금지와, 경고 신호의 송신 중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 제어로서의 경고 신호의 송신은, 제어 장치(50)가 통지부(40)에 대해 행한다. 즉, 제어 장치(50)는, 통지부(40)에 의해 유저에게 전원의 이상을 통지할 수 있다.
전원(10)의 충전과 방전 중 적어도 한쪽의 억제 또는 금지는, 제어 장치(50)가 스위치(140) 또는 스위치(180)를 일시적으로 또는 상시(常時) OFF로 하는 것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10)의 전해액 또는 이온 액체가 응고하는 것과 같은 온도 범위에서, 전원(10)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기정 온도는, 예를 들면 0℃이다. 전원(10)의 온도가 0℃ 미만이 되면, 전원(10) 내의 수분, 예를 들면 전해액 중의 수분이 응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10)의 열화(劣化)가 촉진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범위에서는 전원(10)의 사용을 억제 또는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텝 S112, S114에서의 구체예로서,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전원(10)에서의 전극에 전석(電析)이 발생하는 제2 기정 온도 이하일 경우, 또는 전원(10)의 온도가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2 기정 온도 이하라고 추정되는 경우, 전원(10)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특히, 전원(10)이 리튬이온 이차 전지일 경우, 저온에서 전원(10)에 높은 부하가 걸리면, 부극의 표면에 금속 리튬의 석출(析出)(전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전술한 것과 같은 보호 동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기정 온도는,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실험에 의해 특정해 두면 된다.
또한, 스텝 S112, S114에서의 구체예로서,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전원(10)에서의 전극의 구조 또는 조성의 변화가 생기는 제3 기정 온도 이상일 경우, 또는 전원(10)의 온도가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3 기정 온도 이상이라고 추정되는 경우, 전원(10)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전원(10)의 온도가 극도로 높아지면, 전극의 구조 또는 조성의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장치(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보호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기정 온도는, 예를 들면 60℃여도 된다.
이상과 같은 전원(10)의 보호, 특히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보호와 같은 관점에서,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0℃ 미만 또는 60℃ 이상일 경우, 또는 전원(10)의 온도가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0℃ 미만 또는 60℃ 이상이라고 추정되는 경우, 전원(10)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스텝 S112, S114). 보호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와 같이,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기정 조건(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제어 장치(50)(제1 전자부품)에 관한 제어(전술한 제1 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전원(10)(제2 전자부품)에 관한 기정 제어(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제어 장치(50)의 냉각이 불필요한 범위에 속하고, 또한 기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전원(10)의 보호 제어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50)는, 단일 온도 센서(160)에 의해, 제어 장치(50)의 보호와, 전원(10)의 보호의 양쪽 모두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는, 예를 들면 전원(10)의 충전 중 또는 방전 중에 반복해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10)의 보호 제어(스텝 S114)를 실시한 후에,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정상인 범위로 돌아왔을 경우, 전원(10)의 보호 제어를 해제해도 된다. 즉, 이 경우, 제어 장치(50)는, 전원(10)의 충전 또는 방전을 가능하게 하면 된다.
도 9는, 온도 센서(160)에 의해 취득한 온도를 이용한 제어의 다른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서, 우선,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To)을 취득한다(스텝 S100).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To)이 제1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제1 전자부품에 관한 제1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102, S204). 본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제어에서는, 제1 전자부품은 압력 센서(20)이며, 제1 조건은 압력 센서(20)의 출력값의 변경과 같은 조건이다.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To)이 제1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제어 장치(50) 또는 압력 센서(2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압력 센서(20)에 의해 취득되는 압력값을 교정한다(스텝 S204).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상태 방정식에 의해 상관(相關)을 가진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따라 압력 센서(20)를 교정함으로써, 온도가 변화했다고 해도, 유저의 흡인력과 압력 센서(20)의 출력값의 관계를 균일화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To)이 전술한 제1 조건과는 다른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전원(10)에 관한 제2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112, S114).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조건은, 전원(10)에 있어 추천 동작 온도의 범위와는 다른 온도 범위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S114의 제2 제어는, 전원(10)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여도 된다.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전원(10)에 있어 추천 동작 온도의 범위와는 다른 온도 범위일 경우, 압력 센서(20)의 교정은 불필요하다. 또한, 전원(10)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에 관한 플로우(스텝 S112, S114)는,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압력 센서(20)가 교정된 경우, 제어 장치(50)는, 교정된 압력 센서(20)를 이용하여, 유저의 흡인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는, 유저의 흡인 동작을 검출하면, 스위치(140)를 ON으로 하고, 부하(121R)에 전력을 공급하면 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전술한 플로우에서는,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지나치게 크거나 지나치게 작을 경우, 제어 장치(50)가 OFF가 되거나, 전원(10)의 보호 제어가 행해지거나 한다. 이 대신에, 제어 장치(50)는, 도시하지 않은 온조(溫調) 기구를 이용하여, 전원(10) 등의 전자부품의 온도가 적절한 범위가 되도록 온도 제어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지나치게 클 경우, 온조 기구는, 제어 장치(50)나 전원(10)을 냉각하면 된다. 또한, 온도 센서(160)의 출력값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 온조 기구는, 제어 장치(50)나 전원(10)을 가열하면 된다.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전술한 플로우는, 제어 장치(50)가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는, 전원 유닛(110)에 전술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억 매체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향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에어로졸원과, 향끽미 성분을 발생하는 담배원료나 담배원료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미원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이 대신에, 향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원과 향미원 중 어느 한쪽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향미」라는 용어는, 향미원 혹은 에어로졸원으로부터 생성되는 향끽미 성분, 또는, 향미원 또는 에어로졸원에 유래하는 향끽미 성분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서 규정되어도 되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인 부하(121R)는, 에어로졸원에 작용하여 에어로졸원을 기화 또는 무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전기적인 부하(121R)는, 향미원 또는 향미 유닛을 가열하여 향미를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기적인 부하(121R)는, 에어로졸원과 향미원의 양쪽 모두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2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1 전자부품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전자부품으로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제1 전자부품과의 거리보다 긴 거리 떨어져서 배치되는 제2 전자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자부품의 온도를 검출 또는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부품은, 상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제1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전자부품에 관한 제1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1 조건과는 다른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전자부품에 관한 제2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기정(旣定)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전자부품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2 전자부품에 관한 기정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부품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취득되는 압력값을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향미를 흡입하기 위한 흡구(吸口)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흡구를 통한 유저의 흡인 또는 불어넣기(exhale)에 의해 생긴 압력 변화의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전원인, 향미 생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적어도 전해액 또는 이온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전해액 또는 이온 액체가 응고하는 제1 기정 온도 이하일 경우, 또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기정 온도 이하라고 추정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리튬이온 이차 전지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전원에서의 전극에 전석(電析)이 발생하는 제2 기정 온도 이하일 경우, 또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기정 온도 이하라고 추정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11.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전원에서의 전극의 구조 또는 조성의 변화가 생기는 제3 기정 온도 이상일 경우, 또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3 기정 온도 이상이라고 추정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12. 청구항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0℃ 미만 또는 60℃ 이상일 경우, 또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0℃ 미만 또는 60℃ 이상이라고 추정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보호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13. 청구항 9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제어는, 상기 전원의 충전과 방전 중 적어도 한쪽의 억제와, 경고 신호의 송신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香味源)을 가열 또는 무화(霧化)하는 부하(負荷)를 가지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향미 생성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부품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는, 원기둥(圓柱) 형상인 향미 생성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상기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서 전달되는 열량을 억제하는 전열 억제부를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전열 억제부는, 상기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향미 생성 장치.
  18.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2 전자부품 사이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
  19.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2 전자 부품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열전도율은, 상기 제1 부재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향미 생성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전자부품에 면(面)하는, 향미 생성 장치.
  21. 전원과,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어 장치의 냉각이 불필요한 범위에 속하고, 또한 기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향미 생성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전원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커버와,
    상기 제1 전자부품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전원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의 열전도율은, 상기 제1 부재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향미 생성 장치.
  24. 전원과,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어장치의 냉각이 불필요한 범위에 속하고, 또한 기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전원을 보호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5. 청구항 24에 기재된 방법을 향미 생성 장치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207036903A 2018-05-31 2018-05-31 향미 생성 장치,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84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1045 WO2019229955A1 (ja) 2018-05-31 2018-05-31 香味生成装置、香味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162A true KR20210013162A (ko) 2021-02-03
KR102584435B1 KR102584435B1 (ko) 2023-09-27

Family

ID=6869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903A KR102584435B1 (ko) 2018-05-31 2018-05-31 향미 생성 장치,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2063974B2 (ko)
EP (1) EP3804544B1 (ko)
JP (1) JP6871483B2 (ko)
KR (1) KR102584435B1 (ko)
CN (1) CN112165876B (ko)
PL (1) PL3804544T3 (ko)
RU (1) RU2767021C1 (ko)
TW (1) TWI763864B (ko)
WO (1) WO2019229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82A (ko) *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자동으로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54965B1 (ko) * 2020-02-13 2022-0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239280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2239279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57655U (zh) * 2014-10-24 2015-02-18 林光榕 红外感应温控电子烟
KR20150058436A (ko) * 2012-10-19 2015-05-28 니코벤처스 홀딩스 리미티드 전자식 증기 제공 장치
US20170119052A1 (en) * 2015-10-30 2017-05-0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20170250552A1 (en) * 2014-10-17 2017-08-31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Battery assembly and charg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cigaret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1968A1 (en) * 2010-05-07 2011-11-10 Carolyn Rierson Carpenter Filtered Cigarette With Modifiable Sensory Characteristics
UA114898C2 (uk) * 2011-10-27 2017-08-28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а утворення аерозолю з вдосконаленим утворенням аерозолю
PL2790537T3 (pl) * 2011-12-18 2019-06-28 Nu Mark Innovations Ltd Układ ładowania papierosów elektronicznych zawierający elektroniczny papieros z magnetycznym stykiem elektrycznym w postaci pierścienia zewnętrznego
CN111466616A (zh) * 2013-11-21 2020-07-31 方特慕控股第四私人有限公司 电子香烟和记录吸烟数据的方法
DE202014101125U1 (de) * 2014-03-12 2014-03-27 EWWK UG (haftungsbeschränkt) Elektronische Zigarette oder Pfeife
TWI681691B (zh) 2014-04-30 2020-01-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裝置及其控制方法
JP6330639B2 (ja) 2014-12-01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58145B2 (ja) * 2015-03-30 2018-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及び電子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6464941B2 (ja) * 2015-06-25 2019-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灯具
US20170303590A1 (en) * 2016-04-25 2017-10-26 Lunatech, Llc Electronic vaporizing device with weather detection functiona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436A (ko) * 2012-10-19 2015-05-28 니코벤처스 홀딩스 리미티드 전자식 증기 제공 장치
JP2017079747A (ja) 2012-10-19 2017-05-18 ニコ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電子蒸気供給装置
US20170250552A1 (en) * 2014-10-17 2017-08-31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Battery assembly and charg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cigarette
CN204157655U (zh) * 2014-10-24 2015-02-18 林光榕 红外感应温控电子烟
US20170119052A1 (en) * 2015-10-30 2017-05-0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02815A (zh) 2020-01-16
JP6871483B2 (ja) 2021-05-12
EP3804544B1 (en) 2024-01-03
JPWO2019229955A1 (ja) 2020-12-10
CN112165876B (zh) 2023-09-08
PL3804544T3 (pl) 2024-04-08
EP3804544A4 (en) 2021-06-23
CN112165876A (zh) 2021-01-01
KR102584435B1 (ko) 2023-09-27
US12063974B2 (en) 2024-08-20
EP3804544A1 (en) 2021-04-14
TWI763864B (zh) 2022-05-11
US20210076745A1 (en) 2021-03-18
RU2767021C1 (ru) 2022-03-16
WO2019229955A1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8206B2 (ja) 香味生成装置
KR20210013162A (ko) 향미 생성 장치, 향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ES2893118T3 (es) Unidad de calentamiento con cavidad
KR10216841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제어 유닛 및 방법
JP6898049B2 (ja) 電子蒸気供給システム
EP3845081A1 (en) Flavor component delivery device
JP2020072700A5 (ko)
CN109195654A (zh) 气溶胶输送装置
JP7308174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の制御ユニ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05386B1 (ja) 香味生成装置
JP6786737B2 (ja) 香味生成装置
JP6781856B2 (ja) 香味生成装置
JP2020146048A (ja) 香味生成装置
RU27803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ации аромата
JP2024507465A (ja) エアロゾル発生アセンブリ用の加熱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エアロゾル発生アセンブリ
CN117615683A (zh) 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