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668A -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668A
KR20210012668A KR1020190090782A KR20190090782A KR20210012668A KR 20210012668 A KR20210012668 A KR 20210012668A KR 1020190090782 A KR1020190090782 A KR 1020190090782A KR 20190090782 A KR20190090782 A KR 20190090782A KR 20210012668 A KR20210012668 A KR 20210012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dust cover
case
stu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092B1 (ko
Inventor
차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42Special features of the plug or cover on the blind end of the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6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에 삽입되는 베어링부와, 베어링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고 스테빌라이저와 연결되는 볼스터드부와, 볼스터드부에 결합되고 케이스부와 베어링부 사이에 삽입되어 볼스터드부와 베어링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부를 포함하여, 기밀성을 유지하여 이물질 유입을 막고,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BALL JOINT FOR VEHICLE SUSPENSION AND METHOD ASSEMB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밀성을 유지하여 이물질 유입을 막고, 원가 절감이 가능한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퍼슨 스트럿트 타입이나 멀티링크 타입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볼조인트는 베어링을 조립하는 케이스와, 서스펜션 부품과 연결되고 베어링에 조립되어 회전하는 볼스터드를 포함한다.
볼스터드와 베어링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그리스가 도포되고,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더스트커버가 볼조인트를 감싸면 상부링과 하부링이 더스트커버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스틸 와이어 형상을 갖는 상부링과 하부링이 회전하는 부품을 커버하는 더스트커버의 상하를 압박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기밀성이 저하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밀성을 유지하여 이물질 유입을 막고, 원가 절감이 가능한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고, 스테빌라이저와 연결되는 볼스터드부; 및 상기 볼스터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어링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볼스터드부와 상기 베어링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로드와 연결되는 케이스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삽입을 유도하는 케이스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의 삽입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 보다 내경이 작아 상기 베어링부의 걸림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부; 상기 제2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결합을 유도하는 제3가이드부; 및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밀착을 유도하는 제4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4가이드부 보다 내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가이드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하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삽입되는 베어링받침부; 및 상기 베어링받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스터드부를 일부 감싸는 베어링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베어링안착부를 절개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베어링안착부의 외측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압박하는 베어링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스터드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구 형상의 스터드삽입부; 상기 스터드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와 결합되는 스터드연결부; 및 상기 스터드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스터드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터드장착부는 상기 스터드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부가 안착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스터드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상단부와 면접촉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터드장착부는 상기 제2장착부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상기 더스트커버부와 결합되는 제3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스트커버부는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어링부 사이에 삽입되는 커버삽입부; 상기 커버삽입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볼스터드부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노출부; 및 상기 커버노출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스터드부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삽입부는 상기 케이스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어링부 사이에 밀착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결합부는 상기 커버노출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스터드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커버결합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스터드부에 의해 구속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은: 케이스부의 내부에 더스트커버부를 삽입하는 단계; 베어링부에 볼스터드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볼스터드부가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베어링부를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볼스터드부와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하부를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하부를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스터드부와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상단부를 상기 볼스터드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볼스터드부를 절곡하여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은: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베어링부를 구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은 별도의 링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더스트커버부의 기밀 유지가 가능하여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은 케이스부에 압입된 더스트커버부가 베어링부에 의해 케이스부에 밀착되어 케이스부와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1)는 케이스부(10)와, 베어링부(20)와, 볼스터드부(30)와, 더스트커버부(4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는 부싱이 포함되는 로드(90)와 연결되고, 베어링부(20)는 케이스부(10)에 삽입된다. 일 예로, 케이스부(10)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할 수 있다.
볼스터드부(30)는 베어링부(2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고, 스테빌라이저(80)와 연결된다. 더스트커버부(40)는 볼스터드부(30)에 결합되고, 케이스부(10)와 베어링부(20) 사이에 삽입되어 볼스터드부(30)와 베어링부(2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예로, 회전 마찰을 억제하기 위해 볼스터드부(30)와 베어링부(20)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주입될 수 있다. 한편, 더스트커버부(40)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케이스부(10)와, 볼스터드부(3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베어링부(20)는 강성을 가지면서 접촉 마찰을 억제하는 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케이스몸체부(11)와, 케이스가이드부(12)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부(11)는 로드(90)와 연결된다. 케이스가이드부(12)는 케이스몸체부(11)의 내부에 형성되고, 베어링부(20)와 더스트커버부(40)의 삽입을 유도한다.
일 예로, 케이스몸체부(11)는 원통 형상을 하는 케이스부(10)의 외측면을 의미하고, 케이스가이드부(12)는 케이스부(10)의 내부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고정링이 삭제되므로, 케이스몸체부(11)에는 고정링 결합을 위한 형상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이드부(12)는 제1가이드부(121)와, 제2가이드부(122)와, 제3가이드부(123)와, 제4가이드부(124)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부(121)는 케이스몸체부(11)의 하부에 형성되고, 베어링부(20)의 삽입을 유도한다.
제2가이드부(122)는 제1가이드부(1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가이드부(121) 보다 내경이 작아 베어링부(20)의 걸림을 유도한다. 일 예로, 베어링부(20)는 제2가이드부(122)의 하측면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123)는 제2가이드부(122)의 상부에 형성되고, 더스트커버부(40)의 결합을 유도한다. 일 예로, 제3가이드부(123)는 자체 형상에 의해 더스트커버부(40)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외, 제3가이드부(123)에는 결합력 증대를 위해 별도의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다.
제4가이드부(124)는 제3가이드부(123)의 상부에 형성되고, 더스트커버부(40)의 밀착을 유도한다. 일 예로, 제4가이드부(124)는 케이스몸체부(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123)는 더스트커버부(4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제2가이드부(122)와 제4가이드부(124) 보다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더스트커버부(40)는 제3가이드부(123)에 삽입되어 압입될 수 있다.
제4가이드부(124)는 상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4가이드부(124)에 더스트커버부(40)가 밀착되고, 베어링부(20)가 더스트커버부(40)를 가압하여 더스트커버부(40)의 기밀성을 높이고, 케이스부(1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케이스몸체부(11)의 하단부는 절곡되어 제1가이드부(121)에 삽입된 베어링부(20)를 지지한다. 일 예로, 케이스몸체부(11)는 하단부의 두께가 하방으로 갈수록 얇아지고, 컬링가공 방식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삽입된 베어링부(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20)는 베어링받침부(21)와 베어링안착부(22)를 포함한다.
베어링받침부(21)는 케이스부(10)의 하부에 삽입된다. 일 예로, 베어링받침부(21)는 제1가이드부(121)에 삽입되고, 제2가이드부(122)의 하측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몸체부(11)의 하단부는 구부러져 삽입된 베어링받침부(21)를 구속할 수 있다.
베어링안착부(22)는 베어링받침부(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볼스터드부(30)를 일부 감싼다. 일 예로, 베어링안착부(22)는 라운드진 형상을 하여 구 형상의 볼을 감싸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20)는 베어링절개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베어링절개부(23)는 베어링안착부(22)를 절개하여 홀을 형성한다. 일 예로, 베어링절개부(23)는 베어링안착부(22)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개되도록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볼스터드부(30)가 상방에서 베어링안착부(22)에 삽입될 때, 베어링안착부(22)가 확장된 후 복원되어 볼스터드부(30)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20)는 베어링돌기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돌기부(24)는 베어링안착부(22)의 외측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더스트커버부(40)를 압박한다. 일 예로, 베어링돌기부(24)는 베어링안착부(22)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4가이드부(124)와 접촉된 더스트커버부(40)를 가압하여 더스트커버부(4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터드부(30)는 스터드삽입부(31)와, 스터드연결부(32)와, 스터드장착부(33)를 포함한다.
스터드삽입부(31)는 베어링부(20)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구 형상을 한다. 일 예로, 스터드삽입부(31)는 베어링안착부(22)에 삽입될 수 있다.
스터드연결부(32)는 스터드삽입부(31)에서 연장되고, 스테빌라이저(80)와 결합된다. 일 예로, 스터드연결부(32)는 스테빌라이저(8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스터드장착부(33)는 스터드연결부(32)에 형성되고, 더스트커버부(40)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더스트커버부(40)의 상단부는 스터드장착부(33)에 결합되어 더스트커버부(40)에 내장된 베어링부(20)와 스터드삽입부(3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장착부(33)는 제1장착부(331)와 제2장착부(332)를 포함한다.
제1장착부(331)는 스터드연결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더스트커버부(40)가 안착된다. 제2장착부(331)는 스터드연결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제1장착부(331)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2장착부(332)는 더스트커버부(40)의 상단부와 면접촉된다.
일 예로, 더스트커버부(40)의 상단부는 제1장착부(331)와 제2장착부(332) 사이에 삽입되어 스터드연결부(3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더스트커버부(40)의 상단부가 제1장착부(331)와 제2장착부(332) 사이에 압입될 수 있다. 그 외, 더스트커버부(40)의 상단부는 접착제에 의해 제1장착부(331)와 제2장착부(33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장착부(33)는 제3장착부(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장착부(333)는 제2장착부(332)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더스트커버부(40)와 결합된다.
일 예로, 제3장착부(333)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하방으로 얇아지고, 컬링가공 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구부러져 제1장착부(331)와 제2장착부(332) 사이에 삽입된 더스트커버부(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커버부(40)는 커버삽입부(41)와, 커버노출부(42)와, 커버결합부(43)를 포함한다.
커버삽입부(41)는 케이스부(10)와 베어링부(20) 사이에 삽입된다. 일 예로, 커버삽입부(41)는 더스트커버부(40)의 하부에 형성되고, 케이스부(10)의 상방에서 케이스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케이스부(10)의 내측에 압입될 수 있다.
커버노출부(42)는 커버삽입부(4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볼스터드부(30) 일부를 감싼다. 일 예로, 커버노출부(42)는 중앙부가 상하부 보다 외경이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노출부(42)는 볼스터드부(30) 회전시 볼스터드부(3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도록 충분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결합부(43)는 커버노출부(4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볼스터드부(30)와 결합된다. 일 예로, 커버결합부(43)는 스터드장착부(33)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삽입부(41)는 제1삽입부(411)와 제2삽입부(412)를 포함한다.
제1삽입부(411)는 케이스부(10) 내측에 결합된다. 일 예로, 제1삽입부(411)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3가이드부(123)에 압입될 수 있다.
제2삽입부(412)는 제1삽입부(4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케이스부(10)와 베어링부(20) 사이에 밀착된다. 일 예로, 제2삽입부(412)는 베어링안착부(22)의 상부와 제4가이드부(124) 사이에 배치되고, 베어링돌기부(24)의 압박으로 제4가이드부(12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결합부(43)는 제1결합부(431)와 제2결합부(432)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431)는 커버노출부(42)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볼스터드부(30)의 외측에 결합된다. 일 예로, 제1결합부(431)의 상하 길이는 제1장착부(331)와 제2장착부(332)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어, 제1결합부(431)가 제1장착부(331)와 제2장착부(332) 사이에 압입될 수 있다.
제2결합부(432)는 제1커버결합부(43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볼스터드부(30)에 의해 구속된다. 일 예로, 제2결합부(432)는 제2장착부(332)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장착부(333)가 절곡되어 제2결합부(432)를 감싸면, 제2결합부(432)는 구속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부(10)의 내부에 더스트커버부(40)를 일부 삽입한다(S10). 즉, 더스트커버부(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커버삽입부(41)를 케이스부(10)에 삽입하고, 케이스부(10)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부(123)에 제1삽입부(411)를 압입한다.
그리고, 베어링부(20)에 볼스터드부(30)를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한다(S20). 즉, 구 형상을 하는 스터드삽입부(31)를 상측이 오픈된 베어링안착부(22)에 삽입한다.
케이스부(10)와 더스트커버부(40) 간의 결합이 완료되고, 베어링부(20)와 볼스터드부(30) 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볼스터드부(30)가 더스트커버부(40)를 관통하도록 베어링부(20)를 케이스부(10)에 삽입한다(S30).
이때, 베어링안착부(22)는 커버삽입부(41)를 압박하고, 스터드연결부(32)는 더스트커버부(4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볼스터드부(30)와 더스트커버부(40)를 결합한다(S40). 즉, 더스트커버부(40)의 상단부를 볼스터드부(30)의 외측에 결합한 다음, 볼스터드부(30) 일부를 절곡하여 더스트커버부(40)의 상단부를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431)가 제1장착부(331)와 제2장착부(332) 사이에 압입되면, 제3장착부(333)를 컬링 가공하여 제2결합부(432)를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부(10)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케이스부(10)에 삽입된 베어링부(20)를 구속할 수 있다(S50). 즉, 베어링받침부(21)가 케이스부(10)의 하방에서 제1가이드부(121)에 삽입되면, 케이스부(10)의 하단부를 컬링 가공하여 베어링부(20)를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은 별도의 링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더스트커버부(40)의 기밀 유지가 가능하여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은 케이스부(10)에 압입된 더스트커버부(40)가 베어링부(20)에 의해 케이스부(10)에 밀착되어 케이스부(10)와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부 11 : 케이스몸체부
12 : 케이스가이드부 20 : 베어링부
21 : 베어링받침부 22 : 베어링안착부
30 : 볼스터드부 31 : 스터드삽입부
32 : 스터드연결부 33 : 스터드장착부
40 : 더스트커버부 41 : 커버삽입부
42 : 커버노출부 43 : 커버결합부

Claims (19)

  1.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고, 스테빌라이저와 연결되는 볼스터드부; 및
    상기 볼스터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어링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볼스터드부와 상기 베어링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로드와 연결되는 케이스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삽입을 유도하는 케이스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의 삽입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 보다 내경이 작아 상기 베어링부의 걸림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부;
    상기 제2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결합을 유도하는 제3가이드부; 및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밀착을 유도하는 제4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4가이드부 보다 내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4가이드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하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삽입되는 베어링받침부; 및
    상기 베어링받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스터드부를 일부 감싸는 베어링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베어링안착부를 절개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베어링안착부의 외측으로 하나 이상 돌출되어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압박하는 베어링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드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구 형상의 스터드삽입부;
    상기 스터드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와 결합되는 스터드연결부; 및
    상기 스터드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스터드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장착부는
    상기 스터드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부가 안착되는 제1장착부; 및
    상기 스터드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상단부와 면접촉되는 제2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장착부는
    상기 제2장착부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상기 더스트커버부와 결합되는 제3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커버부는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어링부 사이에 삽입되는 커버삽입부;
    상기 커버삽입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볼스터드부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노출부; 및
    상기 커버노출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스터드부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삽입부는
    상기 케이스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베어링부 사이에 밀착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부는
    상기 커버노출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스터드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커버결합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스터드부에 의해 구속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16. 케이스부의 내부에 더스트커버부를 삽입하는 단계;
    베어링부에 볼스터드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볼스터드부가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베어링부를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볼스터드부와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하부를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하부를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드부와 상기 더스트커버부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상단부를 상기 볼스터드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볼스터드부를 절곡하여 상기 더스트커버부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베어링부를 구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조립방법.
KR1020190090782A 2019-07-26 2019-07-26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 KR102575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82A KR102575092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82A KR102575092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668A true KR20210012668A (ko) 2021-02-03
KR102575092B1 KR102575092B1 (ko) 2023-09-06

Family

ID=7457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782A KR102575092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49703A (zh) * 2024-01-12 2024-02-13 宁波可挺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气动式自清理汽车后下控制臂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931A (ja) * 1996-09-30 1998-06-09 Bridgestone Corp スタビライザー用リンク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50686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조향 링키지의 타이로드 엔드
KR20000055498A (ko) * 1999-02-06 2000-09-05 밍 루 볼 조인트
KR20130019742A (ko)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용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JP2017215048A (ja) * 2017-08-22 2017-12-07 日本発條株式会社 カシメ方法及びカシメ用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931A (ja) * 1996-09-30 1998-06-09 Bridgestone Corp スタビライザー用リンク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50686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조향 링키지의 타이로드 엔드
KR20000055498A (ko) * 1999-02-06 2000-09-05 밍 루 볼 조인트
KR20130019742A (ko)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용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JP2017215048A (ja) * 2017-08-22 2017-12-07 日本発條株式会社 カシメ方法及びカシメ用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49703A (zh) * 2024-01-12 2024-02-13 宁波可挺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气动式自清理汽车后下控制臂
CN117549703B (zh) * 2024-01-12 2024-03-22 宁波可挺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气动式自清理汽车后下控制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092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4018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3168229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装置
JPH08159147A (ja) ロッドエンド軸受装置
JPH04302726A (ja) 滑りブッシュ構造
KR101446446B1 (ko) 볼 조인트 및 볼 조인트 제조 방법
CN107614900B (zh) 球窝接头
EP2657552A2 (en) Ball joint
US6817599B2 (en) Vibration damping bushing
KR20210012668A (ko) 차량 서스펜션용 볼조인트 및 그 조립방법
JP6313555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10839B1 (ko)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EP3726078A1 (en) Sliding bearing
KR101470799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부시
KR101766111B1 (ko) 내부 구성요소의 회전이 가능한 부시와 이를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바 어셈블리
JP2001295886A (ja) 防振装置
JP5896206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8270698A (ja) 防振ブッシュ
WO2021085306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20150033479A (ko) 로어암 부시장치
US11773900B2 (en) Bearing arrangement
JP2004293572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152941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101992323B1 (ko) 더스트 씰 조립체
JP6943424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2019211058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