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520A -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520A
KR20210012520A KR1020190090379A KR20190090379A KR20210012520A KR 20210012520 A KR20210012520 A KR 20210012520A KR 1020190090379 A KR1020190090379 A KR 1020190090379A KR 20190090379 A KR20190090379 A KR 20190090379A KR 20210012520 A KR20210012520 A KR 20210012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unit
authentication
interval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아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아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아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90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520A/ko
Publication of KR2021001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K9/008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식대상에 대한 생체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생체인식 유닛, 상기 생체인식 유닛과 상기 인식대상 간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검출 유닛, 및 상기 생체특성정보와 상기 간격정보를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인증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NON-CONTACT BIOMETIC APAARATUS}
본 발명은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안요소를 추가하여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시설이나 출입이 통제된 시설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친다. 인증절차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지문을 사용하는 것이 그 일례이다.
지문은 태어나면서 죽을 때가지 같은 형태를 유지하며 외부 요인에 의해 상처가 생기더라도 기존의 형태로 재생된다. 지문의 경우 타인과 같은 형태의 지문을 가질 확률은 10억분의 1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사람마다 본인만의 고유 지문을 가진다고 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지문을 이용하여 본인에 대한 인증절차를 거치는 것은 신뢰성이 보장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출입 통제에 있어서 보안성 높은 인증절차가 가능하다. 이렇게 지문을 통한 인증절차는 필수적으로 지문을 인식하는 기술을 수반해야 한다. 지문 인식기술은 지문이라는 생체특성을 이용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전자적으로 읽어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해 봄으로써 본인 여부를 판별해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기술을 말한다.
지문 인식기술의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광학식과 실리콘칩으로 불리는 반도체 방식이 있다. 광학식은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식으로 강한 빛을 플래튼(Platen)에 쏘아 플래튼에 얹혀진 손끝의 지문 형태를 반사하면 반사된 지문의 이미지가 고굴절 렌즈를 통과해 CCD(빛을 전기로 변환시켜 판독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에 입력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반도체 방식은 피부의 전기전도 특성을 이용해 실리콘칩 표면에 직접 손끝을 접촉시키면 칩 표면에 붙은 지문의 특수한 모양을 전기 신호로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생체학적 특징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생체 인식방법은 지문뿐만 아니라 손가락 정맥인 지정맥을 인식하는 기술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체 인식방법의 경우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이를 검출하기 위한 기계장치에 접촉해야만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위생적인 면에 있어서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요즈음에는 비접촉 방식의 생체 인식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비접촉 방식은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인식장치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지문이나 지정맥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위생적인 부분을 크게 개선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비접촉 방식은 접촉 방식에 비교하여 인식률이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다른 사람의 지문이나 지정맥을 잘못 인식할 여지가 있다. 그리고 이는 곧 보안성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접촉 방식은 보안성에 있어서 장점이 있는 반면 위생성에 있어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비접촉 방식은 위생성에 있어서 장점이 있는 반면 보안성에 있어서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대상의 생체특성과 더불어 인식장치와 인식대상의 간격을 검출하고 이를 인증요소로 사용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인식대상에 대한 생체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생체인식 유닛; 상기 생체인식 유닛이 상기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상기 생체인식 유닛과 상기 인식대상 간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검출 유닛; 및 상기 생체인식 유닛에서 전달되는 생체특성정보와 상기 간격검출 유닛에서 전달되는 간격정보를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인증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특성은 상기 인식대상의 지문, 지정맥, 손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격검출 유닛은 상기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상기 인식대상과 상기 간격검출 유닛 간의 간격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처리 유닛은 기 등록된 인증간격에 설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마진을 설정하기 위한 마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식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생체인식 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생체인식 유닛의 검출 가능범위 내에서 이격정도를 가시화하기 위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증처리 유닛에 인식대상의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인증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인식대상을 위치시키면 상기 인식대상의 상기 생체특성과 상기 인증간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되는 상기 생체특성 및 상기 인증간격을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등록된 상기 인증간격에 설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마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간격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분류하고 이후 상기 생체특성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접촉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생체특성과 더불어 인식장치와 인식대상 간의 간격을 인증요소로 사용하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식장치를 기준으로 이격정도를 가시화해주는 부재를 추가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인증절차를 보다 직관적으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인식대상에 대한 생체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생체인식 유닛; 상기 생체인식 유닛이 상기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상기 생체인식 유닛과 상기 인식대상 간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검출 유닛; 및 상기 생체인식 유닛에서 전달되는 생체특성정보와 상기 간격검출 유닛에서 전달되는 간격정보를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인증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생체인식 유닛(100)은 인식대상(TH)의 생체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인식대상(TH)은 예컨대, 이용자의 손이 될 수 있으며 생체특성은 이용자의 손에서 검출 가능한 지문(J), 지정맥(P), 손금(S)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생체인식 유닛(100)은 지문을 검출하는 장치이거나, 지정맥을 검출하는 장치이거나, 손금을 검출하는 장치가 될 수 있고, 지문, 지정맥, 손금 중 적어도 2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간격검출 유닛(200)은 생체인식 유닛(100)이 인식대상(TH)의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생체인식 유닛(100)과 인식대상(TH) 간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간격검출 유닛(200)은 사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며, 예컨대 레이저, 적외선, 음파 등을 이용한 거리 측정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증처리 유닛(300)은 생체인식 유닛(100)에서 전달되는 생체특성정보(INF_B)와 간격검출 유닛(200)에서 전달되는 간격정보(INF_D)를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인식대상(TH)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생체특성정보(INF_B)는 생체인식 유닛(100)에서 검출되는 사용자의 지문, 지정맥, 손금 등에 대응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간격정보(INF_D)는 간격검출 유닛(200)에서 검출되는 인식대상(TH)과 생체인식 유닛(100) 간의 간격(D)에 대응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특히, 간격정보(INF_D)는 사용자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예정된 간격(D)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후 다시 설명하겠지만 이 간격정보(INF_D)를 인증요소로 추가하게 되면 그만큼 보안성을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는 인증절차를 위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 지정맥, 손금 등의 생체특성 정보를 의미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생체인식 유닛(100)을 통해 지문, 지정맥, 손금 등과 같은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격검출 유닛(200)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의 인식대상(TH)과 생체인식 유닛(100) 간의 간격(D)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증처리 유닛(300)은 이렇게 검출된 생체특성정보(INF_B)과 간격정보(INF_D)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생체특성정보(INF_B) 뿐 아니라 검출 시점에 대응하는 간격정보(INF_D)를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인증요소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비접촉식 방식에 대비하여 검출 시점과 간격(D)이 추가된 만큼 보안성을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A)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정면도이고, (B)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측면도 및 사용예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우선 (A)에서 볼 수 있듯이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몸체(B)를 포함하고 있으며, 몸체(B)의 상면 중심에는 생체인식 유닛(100)가 배치되고 생체인식 유닛(100)의 일측에는 간격검출 유닛(200)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은 인식대상(TH)에 대한 생체특성을 인식하는 시점에 생체인식 유닛(100)과 인식대상(TH) 간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여기서는 2개의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이 생체인식 유닛(10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하지만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의 개수와 배치되는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인증처리 유닛(3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B)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B)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사용예이다. 사용자는 생체인식 유닛(100)의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D)에 인식대상(TH)을 위치하면, 생체인식 유닛(100)은 인식대상(TH)의 지문, 지정맥, 손금 등의 생체특성을 검출한다. 이때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은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의 생체인식 유닛(200)과 인식대상(TH)의 간격(D)을 검출한다. 이후 인증처리 유닛(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은 생체특성에 대응하는 생체특성정보(INF_B)와 간격(D)에 대응하는 간격정보(INF_D)를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인식대상(TH)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참고로, 인증처리 유닛(300)의 인증절차 결과는 예컨대 출입문이나 경비초소로 전달되며 인증절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A)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은 본체(B)를 기준으로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은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생체인식 유닛(100)과 인식대상(TH) 간의 간격(D)을 검출하면 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이 배치되는 위치는 본체(B)를 기준으로 상부를 향하도록 한정되지 않아도 되며, 인식대상(TH)을 향하도록 배치되기만 하면 된다.
예컨대, (B)의 인식대상(TH)의 상부 즉, 손등의 위쪽에 제1 및 제2 간격검출 유닛(200A, 200B)이 배치되어도 되며 이는 곧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 인식대상(TH)과 간격검출 유닛(200)의 간격을 통해서도 생체인식 유닛(100)과 인식대상(TH)의 간격(D)을 상대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인식대상(TH)에 대한 생체특성을 검출하여 생체특성정보(INF_B)를 생성하고, 또한 인식대상(TH)의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 인식대상(TH)과 생체인식 유닛(100)과의 상대거리를 검출하여 간격정보(INF_D)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인증절차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생체특성정보(INF_B)와, 검출하는 시점에 대응하는 간격정보(INF_D)를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이를 인증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가 인증처리 유닛에 인식대상의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인증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인식대상을 위치시키면 상기 인식대상의 상기 생체특성과 상기 인증간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되는 상기 생체특성 및 상기 인증간격을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등록 단계(S100)는 사용자가 생체인식 유닛(100)을 통해 자신의 생체특성과 간격검출 유닛(200)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인증간격을 등록하기 위한 단계로서,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 등록 단계(S110)와 인증간격 마진 설정 단계(S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 등록 단계(S110)는 인증절차 이전에 최초로 사용자의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을 등록하는 단계로서 생체인식 유닛(1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특성을 인증처리 유닛(300)에 제공하고, 간격검출 유닛(2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인증간격을 인증처리 유닛(300)에 제공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후 다시 설명하겠지만, 인증처리 유닛(300)은 이때 제공되는 생체특성과 인증간격을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생체특성 검출 단계(S200)에서 검출되는 생체특성인 생체특성정보(INF_B)와 인증간격인 간격정보(INF_D)를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지만 인증간격은 생체인식 유닛(100)과 인식대상(TH)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증시 약간의 흔들림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인증간격 마진 설정 단계(S120)를 포함한다.
인증간격 마진 설정 단계(S120)는 최초 등록된 인증간격에 예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마진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예컨대 최초 등록된 인증간격이 5cm라면 사용자는 예컨대 2cm의 마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증처리 유닛(300)은 5cm를 중심으로 4cm~6cm를 유효 인증간격으로 판단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도 1 에는 도시 되지 않았지만, 인증처리 유닛(300)은 기 등록된 인증간격에 설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마진을 설정하기 위한 마진 설정부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증 단계(S200)는 사용자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 검출 단계(S210), 정보 비교 단계(S220), 인증 완료 단계(S230), 및 인증 실패 단계(S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 검출 단계(S210)는 생체인식 유닛(100)이 인식대상(TH)의 생체특성을 검출하고 간격검출 유닛(200)이 인식대상(TH) 간의 간격(D)을 검출하는 단계이며, 이는 도 1 및 도 2 에서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보 비교 단계(S220)는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 등록 단계(S110)에서 등록된 생체특성과 인증간격과 같은 사용자 정보와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 검출 단계(S210)에서 검출된 생체특성정보(INF_B)와 간격정보(INF_D)를 비교한다. 인증처리 유닛(300)은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동일한 경우(같음) 인증 완료 단계(S230)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다름) 인증 실패 단계(S240)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중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증간격의 경우 마진을 설정하여 인증간격에 대한 판단 기준을 합리적으로 완화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특성과 인증간격을 인증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특성과 인증간격에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인증처리 유닛(300)은 인증간격을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생체특성을 구분하고 이후 이렇게 구분된 생체특성을 비교함으로써 보다 빠른 비교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1억명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떤 사용자의 인증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일발적으로 최대 1억번의 비교를 수행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증간격을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인증간격이 10 구간으로 구분된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증절차를 위하여 최대 기존 대비 1/10의 비교를 수행하기만 하면 되며, 이는 곧 인증 결과를 보다 빠르게 도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가 등록한 인증간격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 의 (A)는 영상을 이용한 표시 유닛이며, (B)는 물리적인 부재를 이용한 표시 유닛이다.
우선, 도 4 의 (A)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유닛(400A)은 예컨대, 홀로그램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제1 표시 유닛(400A)에서 출력되는 입체 영상에는 생체인식 유닛(100)을 기준으로 이격정도를 가시화하여 가늠할 수 있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A)에서는 이격정도에 따라 점선과 같은 눈금(L1)이 표시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며, 다른 일례로는 가로층으로 구분되는 색깔을 영상화하여 색깔별로 생체인식 유닛(100)과의 이격정도를 가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 의 (B)를 참조하면, 제2 표시 유닛(400B)은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막대 형상에는 마찬가지로 생체인식 유닛(100)을 기준으로 이격정도를 가시화하여 가늠할 수 있는 눈금(L2)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표시 유닛(400A) 및 제2 표시 유닛(400B) 등을 통해 사용자가 생각하고 있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가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인증절차시 인식대상(TH)을 어디에 위치할지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표시 유닛(400A)과 제2 표시 유닛(400B)에서 제공되는 이격정도는 생체인식 유닛(100)이 검출할 수 있는 검출 가능범위 내로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검출 가능 범위는 생체인식 유닛(100)이 인식대상(TH)을 실질적으로 검출 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 유닛은 생체인식 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는 인식대상(TH)의 위치에 따라 글자나, 숫자, 색깔, 모양 등이 표시됨으로써 마찬가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인식대상(TH)을 어디에 위치할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는 표시 유닛을 통해 인식장치를 기준으로한 이격정도를 가시화해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인증절차를 보다 직관적으로 손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생체인식 유닛 200 : 간격검출 유닛
300 : 인증처리 유닛

Claims (8)

  1. 인식대상에 대한 생체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생체인식 유닛;
    상기 생체인식 유닛이 상기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상기 생체인식 유닛과 상기 인식대상 간의 간격을 검출하기 위한 간격검출 유닛; 및
    상기 생체인식 유닛에서 전달되는 생체특성정보와 상기 간격검출 유닛에서 전달되는 간격정보를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인식대상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인증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특성은 상기 인식대상의 지문, 지정맥, 손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검출 유닛은 상기 생체특성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상기 인식대상과 상기 간격검출 유닛 간의 간격을 검출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처리 유닛은 기 등록된 인증간격에 설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마진을 설정하기 위한 마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식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생체인식 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생체인식 유닛의 검출 가능범위 내에서 이격정도를 가시화하기 위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6. 사용자가 인증처리 유닛에 인식대상의 생체특성 및 인증간격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인증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인식대상을 위치시키면 상기 인식대상의 상기 생체특성과 상기 인증간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되는 상기 생체특성 및 상기 인증간격을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등록된 상기 인증간격에 설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마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간격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우선적으로 분류하고 이후 상기 생체특성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적촉 생체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90379A 2019-07-25 2019-07-25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KR20210012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79A KR20210012520A (ko) 2019-07-25 2019-07-25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79A KR20210012520A (ko) 2019-07-25 2019-07-25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520A true KR20210012520A (ko) 2021-02-03

Family

ID=7457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379A KR20210012520A (ko) 2019-07-25 2019-07-25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5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9970B2 (ja) 無線端末の機能への制御アクセス
US8816817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US10853624B2 (en) Apparatus and method
US11997087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US20110242304A1 (en) Biometeric authentication apparatus
US20200074198A1 (en) Contactless multiple body part recognition method and multiple body part recognition device, using multiple biometric data
US20120249297A1 (en) Consent Biometrics
KR20090011127U (ko) 다중 생체인식 장치
JP6897831B2 (ja) 認証装置、防犯システム、認証装置によ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220423A1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KR101511916B1 (ko) 다중 인식이 가능한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US9269008B2 (en)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10067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safety of electrically operated folding partitions
KR20210012520A (ko) 비접촉 생체 인식 장치
KR100716743B1 (ko) 등록된 지문 수에 따라 비교 인증 기준값을 자동으로조정하는 지문 인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251737B1 (ko) 지문 인증방법
KR101540890B1 (ko) 다중 인식이 가능한 비접촉식 생체 인식 장치
CN109583168B (zh) 解锁控制方法及电子装置
KR101992024B1 (ko) 사용자 인증 장치 및 이의 정맥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TWI547882B (zh) 生物特徵辨識系統、辨識方法、儲存媒體及生物特徵辨識處理晶片
US11587363B2 (en) Sensor system for checking palm vein patterns
JP7151830B2 (ja) 情報処理装置、防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1866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70031107A (ko) 다중구조의 근거리 영상감지에 의한 객체 인증 방법
Serbin et al.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BASED ON PERSON’S BEHAVIOR IN M-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