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737B1 - 지문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737B1
KR102251737B1 KR1020200018154A KR20200018154A KR102251737B1 KR 102251737 B1 KR102251737 B1 KR 102251737B1 KR 1020200018154 A KR1020200018154 A KR 1020200018154A KR 20200018154 A KR20200018154 A KR 20200018154A KR 102251737 B1 KR102251737 B1 KR 10225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fingerprints
authentication
recogniz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일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주)비티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티비엘 filed Critical (주)비티비엘
Priority to KR102020001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정보의 유출가 유출될 경우 시스템에 접근을 막을 수 있도록 복수의 지문을 등록하여 지문 유출에 따른 시스템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문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지문 중 기준이 되는 제1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S20)하고, 복수의 지문 인식 시 지문과 지문 사이의 시간의 갭을 설정(S20)하며, 복수의 지문 중 서브가 되는 제2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S30)하며, 지문 인식 시간에 따라 위급상황에 따른 인증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통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문 정보가 노출되더라도 복수의 지문에 따른 횟수와 인식 시간에 따른 갭을 설정하는 지문의 인증 방식에 의해 타인이 쉽게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므로 지문 정보에 따른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문 인증방법{Fingerprint cert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지문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문 정보의 유출가 유출될 경우 시스템에 접근을 막을 수 있도록 복수의 지문을 등록하여 지문 유출에 따른 시스템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문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이 극히 유지되는 특수시설이나 일반 가정 및 아파트 등의 출입통제시스템,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 시스템을 비롯하여 ATM이나 모바일 폰 등에서 신원확인을 위해 생체인식에 의한 인증기술이 보편화되고 있다.
생체인식에 의한 인증기술이 각광을 받는 이유는 인증에 사용되는 지문, 홍채, 목소리, 얼굴, 혈관 등은 사람마다 다르고 소지의 불편함이 없을 뿐 아니라, 도용이나 모조의 위험성이 적고, 일생동안 잘 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중 특히 지문인식은 편리성이나 보안성 그리고 경제성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현재 가장 많이 상용화되어 있다.
지문인식은 크게 광학식과 반도체식 있으며 반도체식에는 온도, 압력, 정전용량 방식 등이 있다. 또한, 사용방법으로 분류되는 지문인식 방식에는 지문 전체를 한번에 감지하는 방식과 지문을 스캔함에 의해 지문의 일부분을 연속적으로 감지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 장치는 인증의 편리성과 정확성 및 경제성에 불구하고, 모조지문에 의한 허위인증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허위 인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효과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사용자의 생체 특징 중에서 하나만을 이용하는 단일생체인식의 한계에서 벗어나, 지문+얼굴이나, 지문+음성, 얼굴+홍채 등 두 가지 이상의 생체특징을 인식하는 다중생체인식 방식을 통하여 허위인증을 방지하고 동일인이 아닌 타인으로 인식을 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종 생체인식을 통한 다중 생체인식은 인식 대상이 상이하여 시스템 구현이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2916호(2008.10.13. 공고)의 '이중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은 광학식센서부를 구동하여 광학식 지문인식방법에 따라 사용자 지문의 제1지문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센서부를 통해 상기 지문의 제2지문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지문영상으로부터 특징점 데이터인 제1지문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지문영상으로부터 특징점 데이터인 제2지문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기 등록된 등록 지문 데이터 중에 상기 제1지문데이터 또는 제2지문데이터와 매칭되는 것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지문데이터 및 제2지문데이터에 대한 인증이 각각 성공한 경우에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인증이 최종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선행문헌의 지문인식장치는 광학식 지문인식과 반도체식 지문인식을 동시에 수행하여 모조 지문 감별과 타인 인식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지문 데이터와 제2지문 데이터를 등록 지문 데이터와 비교함에 있어, 병렬적으로 검색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지문 데이터에 대한 검색만으로 나머지 지문 데이터와의 매칭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은 복수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반도체식 센서와 광학식 센서가 반드시 필요하고, 이러한 반도체식과 광학식 센서를 구성하기 위한 지문인식장치의 개발에 따른 비용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반도체식 또는 광학식 센서를 통해 복수의 지문을 인식하더라도 지문정보가 유출되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2916호(2008.10.13. 공고)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문 정보가 노출되더라도 복수의 지문에 따른 횟수와 인식시간에 따라 인증 방식을 달리 할 수 있도록 한 지문 인증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의 지문 중 기준이 되는 제1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S20)하고, 복수의 지문 인식 시 지문과 지문 사이의 시간의 갭을 설정(S20)하며, 복수의 지문 중 서브가 되는 제2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S30)하며, 지문 인식 시간에 따라 위급상황에 따른 인증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통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증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지문 및 제2지문은, 동일한 지문을 2회 이상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지문 및 제2지문은, 서로 다른 지문을 2회 이상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간의 갭은, 지문을 인식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소정 시간 이하일 때에는 위급상항에서 지문의 인증이 이루어진 것으로 시스템에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간의 갭은, 지문을 인식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소정 시간 이상일 때에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지문의 인증이 이루어진 것으로 시스템에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각기 다른 지문이 2회 이상 인식되는 경우,
시스템에서는 위급상황에서 인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문 정보가 노출되더라도 복수의 지문에 따른 횟수와 인식 시간에 따른 갭을 설정하는 지문의 인증 방식에 의해 타인이 쉽게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므로 지문 정보에 따른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인에 의해 사용자의 지문이 노출되어 시스템의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경우, 제1지문과 제2지문이 어떠한 것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타 사용자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페이크지문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인에 의해 사용자 자신이 직접 지문을 시스템의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경우에 제1지문과 제2지문에 사이에 설정한 시간의 갭에 의해 정상적인 거래 상태인지 아니면 비정상적인 거래인지를 시스템에서 파악하여 이에 대응하므로 불법적인 상황에 대해 바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인증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인증방법에 의해 제1지문과 제2지문이 동일한 지문이 인식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인증방법에 의해 제1지문과 제2지문이 서로 다른 지문이 인식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인증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문 인증방법은 복수의 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고, 복수의 지문 인식 시 지문과 지문 사이의 시간의 갭을 설정하며, 지문 인식 시간에 따라 위급상황에 따른 인증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여 지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문 인증방법은 동일 지문을 2회 이상 인식하여 지문 인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다른 지문을 2회 이상 인시하여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인증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인증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지문 인식방법은 제1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과정과, 제1지문을 인식한 상태에서 시간의 갭을 설정하여 하는 시간의 갭을 설정과정과, 시간의 갭을 설정한 상태에서 제2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제2지문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문의 인식은 동일한 복수의 지문을 2회 이상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한다. 예를들어, 복수의 동일 지문이라 함은, 엄지를 2회 이상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거나 또는 검지를 2회 이상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한다.
상기의 지문은 엄지와 검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중지, 약지, 소지를 이용하여 동일 지문을 2회 이상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할 수 있으며, 복수의 지문에 따른 횟수와 인식시간에 따라 인증 방식을 달리 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지문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복수의 지문 중 제1지문은 기준이 되며, 이러한 기준이 되는 지문을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이 사용자에게 주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한 상태에서 제2지문을 인식할 때 시간의 갭을 설정한다.
상기 시간의 갭은 지문을 인식하는 사용자가 직접설정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예를 들어, 제1지문을 인식한 후 약 5초 또는 약 7초 이상의 시간의 갭을 두고 제2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면, 이러한 시간의 갭은 사용자의 지문에 따른 시간이 함께 설정되어 시스템(예: ATM기기, 금융서버 등)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제2지문을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여 서브 지문을 인식한다.
상기 서브 지문은 즉, 제2지문은 제1지문과 동일한 지문이거나 또는 다른 손가락의 지문이다. 상기 제2지문은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거나 또는 검지, 중지, 약지, 소지손가락 중 하나의 지문 중 하나이다.
상기와 같이 제1지문, 시간의 갭 및 제2지문을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문이 노출된다 하여도 기준이 되는 제1지문과 서브가 되는 지문의 종류가 어떠한 것이지 명확하기 않기 때문에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페이크지문에 의해서는 인식될 수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타인에 의해 직접 자신의 지문을 인식하는 경우, 제1지문을 인식한 상태에서 시간의 갭을 달리하여 제2지문을 인식하므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에 처해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상적익 거래 상태에서의 시간을 5초 이상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제1지문을 인식한 후 제2지문을 5초 이하에서 인식시키면, 시스템은 시간의 갭 설정 값이 상이하므로 이를 정상적인 거래로 판단하지 않고 위급한 상황으로 판단하여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업체 또는 경찰서 등에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 따른 지점의 위치 및 위급상황에 따른 신호를 인가하여 위급상황을 모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인식되는 제1지문과 제2지문은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된 제1지문에서 특징점을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하고, 제2지문에서도 특징점을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하여 이를 데이터화 한다.
상기 제1지문과 제2지문에서 추출한 특징점 데이터에 시간의 갭에 따른 시간 데이터를 결합하여 사용자별로 이를 저장한 후,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여 일련의 행위를 위한 권리 획득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실제 사용자인지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인에 의해 사용자의 지문이 노출되어 시스템의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경우, 제1지문과 제2지문이 어떠한 것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타 사용자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페이크지문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는 타인에 의해 사용자 자신이 직접 지문을 시스템의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경우에 제1지문과 제2지문에 사이에 설정한 시간의 갭에 의해 정상적인 거래 상태인지 아니면 비정상적인 거래인지를 시스템에서 파악하여 이에 대응하므로 불법적인 상황에 대해 바로 대처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6)

  1. 복수의 지문 중 기준이 되는 제1지문을 2회 이상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S10)하며,
    복수의 지문 인식 시 지문과 지문 사이의 시간의 갭을 설정(S20)하고,
    복수의 지문 중 서브가 되는 제2지문을 2회 이상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S30)하며,
    지문 인식 시간에 따라 위급상황에 따른 인증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통해 설정이 이루어지고,
    등록된 복수의 지문 중 제1지문은 기준되며, 등록된 복수의 지문 중 기준이 되는 제1지문과 제2지문이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만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이 사용자에게 주어지고,
    상기 지문은 엄지와 검지, 중지, 약지, 소지를 이용하여 동일 지문을 2회 이상 또는 각기 다른 지문을 2회 이상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횟수와 인식시간에 따라 제1지문과 결합되는 제2지문의 결합을 달리하여 인증 방식을 다르게 하며,
    상기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제1지문과 제2지문이 인식되는 시간의 갭이 설정시간 이하 일 때, 시스템에서는 위급상황에서 인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증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의 갭은,
    지문을 인식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소정 시간 이상일 때에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지문의 인증이 이루어진 것으로 시스템에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증방법.
  6. 삭제
KR1020200018154A 2020-02-14 2020-02-14 지문 인증방법 KR10225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54A KR102251737B1 (ko) 2020-02-14 2020-02-14 지문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54A KR102251737B1 (ko) 2020-02-14 2020-02-14 지문 인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737B1 true KR102251737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154A KR102251737B1 (ko) 2020-02-14 2020-02-14 지문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726B1 (ko) * 2021-07-12 2022-09-15 (주)비티비엘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916B1 (ko) 2007-02-05 2008-10-13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이중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67494A (ko) * 2012-11-26 2014-06-05 크루셜텍 (주)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KR20160041432A (ko) * 2014-10-07 2016-04-18 로직큐브(주) 지문인식장치의 경보방법 및 시스템
KR20170082435A (ko) * 2016-01-06 2017-07-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순열 패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90027362A (ko) * 2019-02-25 2019-03-14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생체정보를 이용한 금고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916B1 (ko) 2007-02-05 2008-10-13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이중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67494A (ko) * 2012-11-26 2014-06-05 크루셜텍 (주)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KR20160041432A (ko) * 2014-10-07 2016-04-18 로직큐브(주) 지문인식장치의 경보방법 및 시스템
KR20170082435A (ko) * 2016-01-06 2017-07-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순열 패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90027362A (ko) * 2019-02-25 2019-03-14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생체정보를 이용한 금고의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726B1 (ko) * 2021-07-12 2022-09-15 (주)비티비엘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WO2023287182A1 (ko) * 2021-07-12 2023-01-19 (주)비티비엘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0903A (en) Method of providing secure user access
US6700998B1 (en) Iris registration unit
AU776356B2 (en)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which uses biometrics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for use with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KR100862916B1 (ko) 이중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282671A1 (en) Multi-parameter biometric authentication
EP1418486A2 (en) Fingerprint-based authentication apparatus
JP2006059282A (ja) 生体特徴情報に基づく認証方法
JP2005317049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方法
JP2009230459A (ja) 認証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WO2018090471A1 (zh) 一种指纹认证方法及装置
JP3816708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個人認証方法
WO2021220423A1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KR102251737B1 (ko) 지문 인증방법
KR101511916B1 (ko) 다중 인식이 가능한 생체 인식 장치 및 방법
CA2273279A1 (en) Biometric security encryption system
KR100882281B1 (ko) 생체인식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US97731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fingerprint templates
KR20030030083A (ko) 복수의 임계값을 이용한 지문에 의한 개인인증장치 및 방법
KR20060065818A (ko) 등록된 지문 수에 따라 비교 인증 기준값을 자동으로조정하는 지문 인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WO2021157686A1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記録媒体
Cucinotta et al. Hybrid fingerprint matching on programmable smart cards
Kumar et al. Biometric Security System fo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KR20210155298A (ko) 다중 지문인식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사용 방법
JP2007041759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方法
JP2001291103A (ja) 指紋認証装置、指紋認証方法及び指紋認証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指紋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