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370A -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370A
KR20210012370A KR1020190089983A KR20190089983A KR20210012370A KR 20210012370 A KR20210012370 A KR 20210012370A KR 1020190089983 A KR1020190089983 A KR 1020190089983A KR 20190089983 A KR20190089983 A KR 20190089983A KR 20210012370 A KR20210012370 A KR 2021001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vehicle body
unit
til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963B1 (ko
Inventor
윤상업
Original Assignee
윤상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업 filed Critical 윤상업
Priority to KR102019008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9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차체부의 주행을 통해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한 다음, 주행 차체부의 상부에 탑재된 회동 베이스부와 고소 작업부를 통해 승용 작업대의 작업 방향과 높이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 위치를 조절하면서 승용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Apparatus for high place works car having horizontal maintenance function}
본 발명은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차체부의 주행을 통해 설정된 지점으로 이동한 다음, 주행 차체부의 상부에 탑재된 회동 베이스부와 고소 작업부를 통해 승용 작업대의 작업 방향과 높이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 위치를 조절하면서 승용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소작업차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와, 작업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로 과수원 등지를 주행하면서 과수의 수확 등의 고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10-2010-0048537호에서 경사가 일정치 않은 농사지(農事地)에서 사용 가능하게 슬라이드 인출 및 회전구조의 아웃 트리거를 전방 및 측방에 각각 구비하여 차량의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의 일측으로 길게 돌출되는 리프트의 일단부에 작업대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작업대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무게중심이 가변되어 이동 및 작업중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대부분의 과수농장이 높은 당도의 과일을 생산하기 위해 일교차가 큰 고지에 형성되고, 또 과수나무의 배수를 좋게 하기 위해 지면이 전체적으로 20도 전후의 경사지로 형성됨과 아울러 평탄하지 못함에 따라 경사진 지면으로 이동시 차량과 작업대가 함께 기울어져 무게중심을 잃고 전복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따랐다.
한편, 특허공개번호 특1997-0000628호 및 특허등록번호 제10-0604017호에서 고소차량이 주행방향에 대해 횡으로 기울기가 조절되어 경사진 장소에서 작업대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주로 고소물건운반용 및 선박외벽에 도장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방향에 대해 횡으로 수평이 조절되는 한정된 기술이다.
따라서, 주행중 어느방향으로 기울어질지를 예측하기 어려운 과수농장의 지면에 대응하여 작업대의 수평유지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또 주행방향에 대해 횡으로 수평유지시 작업대의 높이가 수시로 가변되면서 유동이 심하게 발생되어 고소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따랐다.
JP 2007063015 A JP 2009292234 A KR 2020090007541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차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소 작업부를 고정하는 회동 베이스부가 노면의 경사도에 따라 사방향으로 경사각이 조절되어 회동 베이스부 및 회동 베이스에 고정된 고소 작업부가 항시 수평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주행 및 고소작업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고,
특히, 고소 작업과정에서는 노면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각이 조절된 회동 베이스부의 정형화되게 구속하여, 주행 차체부가 정차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고소 작업과정에 회동 베이스부의 형성각도가 임의 변경됨에 따른 고소작업의 안전성이 저해되거나, 상기 회동 베이스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한 각도 조절부의 부하 발생이 억제되도록 한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는,
차체의 양편에 배치된 주행륜이 각각 배치된 주행 차체부와;
상기 주행 차체부를 구성하는 차체의 상부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정역으로 수평 회전하는 회동 베이스부와;
상기 회동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단부에 승용 작업대가 마련된 고소 작업부; 및
상기 주행 차체부의 차체와 회동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 베이스부를 사방으로 틸팅하여 회동 베이스부의 경사각을 조절하여서, 회동 베이스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경사각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상기 회동 베이스부의 중심부와 차체 사이에 형성되어, 회동 베이스부의 중심부를 틸팅구조로 지지하는 틸팅 지지암 유닛과;
상기 회동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와 차체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조절 실린더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체와 회동 베이스부 사이에는 틸팅 지지암 유닛을 중심으로 4개의 조절 실린더 유닛이 등각 배치되어, 상기 각 틸팅 지지암 유닛의 신축에 의해 회동 베이스부는 틸팅 지지암 유닛을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는 사방으로 경사각이 조절되어 수평 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조절 실린더 유닛은, 차체에 하단을 고정한 조절 실린더와; 상기 조절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회동 베이스의 가장자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팅 지지암 유닛은, 차체의 상부에 배치된 하부 지지암과; 상기 회동 베이스의 중심부 저면에 배치되어 하부 지지암과 상하 마주하는 상부 지지암; 및 상기 하부 지지암과 상부 지지암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 지지암과 상부 지지암을 전후 및 좌우로 틸팅구조로 연결하는 십자 이음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십자 이음구는 이음구 몸체의 외측에 4개의 이음핀들이 방사구조로 직교하여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이음핀은 하부 지지암의 양측벽에 전후 틸팅구조로 이음되고, 폭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이음핀은 상부 지지암의 양측벽에 좌우 틸팅구조로 이음되어서, 하부 지지암과 상부 지지암을 전후 및 좌우로 틸팅구조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행 차체부와 회동 베이스부 사이에 회동 베이스부를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는 사방으로 틸팅하여, 회동 베이스부가 항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경사각 조절부를 부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 베이스부 및 회동 베이스부에 탑재된 고소 작업부는, 주행 차체부가 노면의 경사각에 의해 경사지더라도 경사각 조절부에 의해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결과적으로 고소 작업차의 무게 중심이 흐트려져 넘어지거나, 작업자가 경사진 상태로 고소 작업함에 따른 작업이 곤란해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하부 지지암과 상부 지지암 및 십자 이음구를 포함하는 틸팅 지지암 유닛과, 조절 실린더와 연결 조인트를 포함하는 조절 실린더 유닛을 포함하는 독특한 조립 및 구동형태에 의해 작동 안정성이 확보되고, 또 상기 십자 이음구는 상부 지지암과 링크홈부와 링크 돌출부를 통해 볼 조인트 구조로 이음되어서, 틸팅 안정성이 확보되고, 또 회동 베이스부와 고소 작업부를 통해 제공되는 하중과 충격을 분산하므로, 조절 실린더 유닛을 포함하는 경사각 조절부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또한, 고소 작업과정에서는 회동 지지부의 정형화된 구속이 이루어져, 고소 작업과정에 회동 지지부의 형성각도가 임의 변경됨에 따른 고소작업의 안전성이 저해되거나, 상기 회동 지지부를 지지하는 조절 실린더 유닛의 부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소 작업차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 경사각 조절부와 경사각 조절부를 구성하는 십자 이음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 상기 경사각 조절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소 작업차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 경사각 조절부와 경사각 조절부를 구성하는 십자 이음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소 작업차에 있어, 상기 경사각 조절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1)는, 작업자가 탑승한 승용 작업대의 작업 방향과 높이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 위치를 조절하면서 승용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요하는 고소작업 위치에서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고소 작업차(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11)의 양편에 배치된 주행륜(12)을 통해 노면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차체부(10)와; 상기 주행 차체부(10)를 구성하는 차체(11)의 상부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정역으로 수평 회전하는 회동 베이스부(20)와; 상기 회동 베이스부(20)에 마련된 설치부(23)에 고정되며, 단부에 승용 작업대(33)가 마련된 고소 작업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 차체부(10)는 차체(11)의 양편에 궤도형 주행륜(12)이 각각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각 궤도형 주행륜(12)은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각각 제공받아 독립적인 구동을 통해 노면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 차체부(10) 내에는 고하중의 배터리 등이 내설되어, 고소 작업차(1)는 배터리가 내설된 주행 차체부(10)를 통해 무게 중심이 하부에 형성되어서, 회동 베이스부(20)와 고소 작업부(30)에 의해 무게 중심이 흐트려저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예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행 차체부(10)의 상부에 배치된 회동 베이스부(20)는,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11)의 상부에 회동 구조로 배치되며 설치부(23)가 형성된 회동 베이스(22)와; 상기 회동 베이스(22)의 정역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동 베이스(22)의 정역 회전을 도모하는 회동모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 베이스(22)는 회동모터(23)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정역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 베이스부(20)에 형성된 설치부(23)에는 붐대(31)와, 연결암(32)과 승용 작업대(33)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부(30)가 배치되며, 상기 링크구조로 연결된 붐대(31)와 연결암(32)은 각 구동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절첩 및 거상각도가 조절되어서, 승용 작업대의 고소 작업 높이와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 베이스부(20)와 고소 작업부(30)의 세부적인 구성 및 작용은 범용의 것과 대동 소이한 관계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차(1)는 주행 차체부(10)를 통해 노면을 주행하여 설정된 고소 작업위치로 이동한 다음, 회동 베이스부(20)와 고소 작업부(30)에 의해 승용 작업대(33)에 탑승한 작업자가 요하는 고소 작업 높이와 방향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위치에 위치시켜 작업자가 요하는 고소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차(1)는 주로 노면을 불균일한 과수원 등지를 주행하면서 고소 작업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주행 차체부(10)가 위치된 노면의 경사도에 따라 주행 차체부(10)의 상부에 배치된 회동 베이스부(20) 및 고소 작업부(30)의 경사도가 불가피하게 변경된다.
이와 같이 회동 베이스부(20) 및 고소 작업부(30)가 수평상태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경사진 상태를 형성하면, 회동 베이스부(20)와 고소 작업부(30) 및 주행 차체부(10)의 무게 중심이 편향적으로 형성되어 고소 작업차(1)의 무게 중심이 흐트려져 고소 작업차(1)가 넘어지는 현상이 야기될 수도 있고, 또 작업자는 경사진 승용 작업대(33)에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관계로 안정적이고 안전한 고소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행 차체부(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소 작업부(30)를 설치한 회동 베이스부(20)가, 주행 차체부(10)의 경사도에 따라 유기적으로 경사각을 조절하여 항시 수평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전하고 편안한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에에서는 상기 주행 차체부(10)의 차체(11)와 회동 베이스부(20)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 베이스부(20)를 사방으로 틸팅하여 회동 베이스부(2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서, 회동 베이스부(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경사각 조절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각 조절부(4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 베이스부(20)의 고정 베이스(21)의 중심부와 차체(11) 사이에 형성되어, 회동 베이스부(20)의 중심부를 틸팅구조로 지지하는 틸팅 지지암 유닛(40A)과; 상기 회동 베이스부(20)의 가장자리부와 차체(11)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 베이스부(40A)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조절 실린더 유닛(4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틸팅 지지암 유닛(40A)은 차체(11)의 상부에 배치되며 조인드홈(41a)들이 형성된 하부 지지암(41)과; 회동 베이스부(20)의 중심부 저면에 배치되며, 조인드홈들(42a)이 형성된 상부 지지암(42)과; 상기 하부 지지암(41)과 상부 지지암(42)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 지지암(41)과 상부 지지암(42)을 전후 및 좌우로 틸팅구조로 연결하는 십자 이음구(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십자 이음구(43)는 도 3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음구 몸체(43a)의 외측에, 4개의 이음핀(43b)들이 방사구조로 직교하여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십자 이음구(43)는 하부 지지암(41)과 상부 지지암(42)에 형성된 조인드홈(41a, 42a)에 각 이음핀(43b)을 장입하여서, 하부 지지암(41)과 상부 지지암(42)을 전후 및 좌우로 틸팅구조로 연결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십자 이음구(43)에 형성된 각 이음핀(43b)에, 회동 베어링을 갖는 회동 부쉬편(41b, 42b)을 배치하고, 상기 회동 부쉬편(41b, 42b)를 하부 지지암(41)과 상부 지지암(42)에 형성된 조인드홈(41a, 42a)에 장입하여서, 상기 십자 이음구(43)에 형성된 각 이음핀(43b)은 회동 부쉬편(41b, 42b)을 통해 하부 지지암(41)과 상부 지지암(42)에 전후 및 좌우로 틸팅구조로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 십자 이음구(43)가 탑재한 틸팅 지지암 유닛(40A)에 의해 주행 차체부(10)의 상부에 이격하여 지지된 회동 베이스부(20)는, 십자형 이음구(43)에 마련된 이음핀(43b)을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는 4방향으로 틸팅하여서, 주행 차체부(10)의 상부에 배치된 회동 베이스부(20)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틸팅 지지암 유닛(40A)을 구성하는 상부 지지암(42)에, 하부에 배치된 십자 이음구(43)의 이음구 몸체(43a)의 상부면을 볼 조인드 구조로 지지하는 반구형의 링크돌출부(42c)를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이음구 몸체의 상부에 반구형으로 요입된 링크홈부(42c)를 마련하여서, 상기 상부 지지암(42)과 십자 이음구(43)의 이음구 몸체(43a)는 링크돌출부(42c)와 링크홈부(43c)에 의해 볼 조인드 구조로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십자 이음구(43)는 이음핀(43b)에 의존하여 고하중의 회동 베이스부(20)와 고소 작업부(30)를 틸팅구조로 지지하지 아니하고, 볼 조인드 구조를 이룬 링크 돌출부(42c)와 링크홈부(43c)를 통해 회동 베이스부(20)와 고소 작업부(30)의 하중을 분산하므로, 십자 이음구(43)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 상기 십자 이음부(43)는 볼 조인드 구조를 이룬 링크 돌출부와 링크홈부를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는 사방으로 틸팅되므로, 회동 베이스부(20)의 정형화된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틸팅 지지암 유닛(40A)에 의해 중앙부가 틸팅구조로 지지된 회동 베이스부(20)의 경사각 조절에 따른 작용력을 제공하는 조절 실린더 유닛(40B)은, 차체(11)에 하단을 고정하여 차체에 직립하여 배치된 조절 실린더(44)와; 상기 조절 실린더(44)의 피스톤 로드(44a)의 단부와 회동 베이스부(20)의 가장자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드(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조인드(45)는 볼소켓홈이 형성된 볼 소켓구(45a)와, 상기 볼 소켓부(45a)의 볼소켓홈에 삽입되어 볼 조인드 구조로 연결되는 볼 이음구(45b)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조인드(45)는 조절 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회동 베이스부(20)에 피스톤 로드를 굴절되게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볼 소켓구(45a)와 볼 이음구(45b)는 회동 베이스부(20)의 가장자리부와 조절 실린더(44)의 피스톤 로드(44a) 단부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피스톤 로드(44a)를 회동 베이스부(20)의 가장자리부에 볼 조인드 구조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체(11)와 회동 베이스부(20) 사이에는 틸팅 지지암 유닛(40A)을 중심으로 4개의 조절 실린더 유닛(40B)이 등각 방사구조로 배치되어서, 상기 각 틸팅 지지암 유닛(40B)의 신축에 의해 회동 베이스부(20)는 틸팅 지지암 유닛(40A)을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는 사방으로 경사각이 조절되어 수평 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7과 같이 상기 차체(11)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조절 실린더 유닛(40B)이 신축하면, 고소 작업부(30)가 설치된 회동 베이스부(20)는 전후 방향으로 경사각이 조절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차체(11)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조절 실린더 유닛(40B)이 신축하면, 고소 작업부(30)가 설치된 회동 베이스부(20)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각이 조절된다.
그리하여,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노면 경사도에 따른 주행 차체부(10)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각 조절부(40)는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는 사방으로 경사각을 조절하여서, 노면의 경사도와 상관없이 회동 베이스부(20), 및 회동 베이스부(20)에 설치된 고소 작업부(30)는 항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주행 차체부(10)의 경사각에 따른 조절 실린더 유닛(40B)의 신축은 경사각 계측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조절 실린더 유닛(40B)의 신축에 따른 피스톤 로드와 회동 베이스부(20) 사이는 볼 조인드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 조인드의 굴절에 의해 보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차(1)는 경사각 조절부(40)에 의해 주행 차체부(10)가 지지된 노면의 경사도와 상관없이 회동 베이스부(20), 및 고소 작업부(30)는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소 작업부(30)의 승용 작업대(33)에 탑승한 작업자는 항시 수평상태가 유지되어서, 안전한 고소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각 조절부(40)를 통해 주행 차체부(10)의 경사도에 따라, 회동 베이스부(20)를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는 사방으로 틸팅시켜 회동 베이스부(20)를 수평 상태로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상기 수평 상태로 조절된 회동 베이스부(20)의 정형화된 구속을 도모함으로써 주행 차체부(10)의 정차 후 고속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하고, 또 고소 작업에 따른 조절 실린더 유닛(40B)의 과부하 발생이 억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지지암(41)과 상부 지지암(42) 사이에 배치된 십자 이음구(43)의 이음구 몸체(43a)의 저면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구속돌출부(43d)를 하향 돌출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암(42)에는 십자 이음구(43)의 구속 돌출부(43d)를 압착 구속하는 구속 실린더(50)를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지지암(41)을 중공체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 지지암(41)의 중공부 내에 구속 실린더(50)를 배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구속 실린더(50)의 피스톤 로드(51) 단부에는 반구형의 구속면이 형성된 구속헤드(52)가 배치되며, 상기 구속헤드(52)의 내벽에는 우수한 마찰력을 갖는 고무 등으로 제작된 마찰 패드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 차체부(10)의 경사각에 의해 하부 지지암(41)과 상부 지지암(42) 사이에서 틸팅되어 회동 베이스부(20)를 수평으로 각도를 보정한 십자 이음부(43)는, 구속 실린더(50)에 마련된 피스톤 로드의 진출에 의해 구속 돌출부에 외접하는 구속헤드(52)에 의해 구속 돌출부(43d)가 곡면 구속되어서, 정형화된 구속상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속 실린더(50)의 구속헤드(52)와 십자 이음구(43)와 이격된 상태에서, 각 조절 실린더 유닛(40B)들이 주행 차체부(10)의 경사도에 따라 회동 베이스부(20)를 전후 및 좌우로 틸팅하여 회동 베이스부의 수평이 유지되면, 구속 실린더(50)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피스톤 로드(51)를 통해 구속헤드(52)를 십자 이음구(43)의 저면에 형성된 구속 돌출부(43d)에 곡면 밀착되어 십자 조인드(43)를 물리적으로 구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십자 조인드(43)의 상부는 링크 돌출부에 지지되고, 하부는 구속헤드(52)에 지지된 관계로, 보다 안정적인 구속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십자 조인드(43)를 포함하는 틸팅 지지암 유닛(40A)은 구속헤드(52)가 마련된 구속 실린더(50)에 의해 정형화된 구속상태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고소 작업과정에 고소 작업부(30) 및 회동 베이스부(20)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각 조절 실린더 유닛(40B)의 지지 부하가 가중되거나, 회동 베이스부(20)의 수평도가 흐트려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1. 고소 작업차
10. 주행 차체부 11. 차체
12. 궤도형 주행륜
20. 회동 베이스부 21. 고정 베이스
22. 회동 베이스 23. 설치부
24. 회동모터
30. 고소 작업부 31. 붐대
32. 연결암 33. 승용 작업대
40. 경사각 조절부 40A. 틸팅 지지암 유닛
41. 하부 지지암 41a. 조인드홈
41b. 회동 부쉬편
42. 상부 지지암 42a. 조인드홈
42b. 회동부쉬편 42c. 링크돌출부
43. 십자 이음구 43a. 이음구 몸체
43b. 이음핀 43c. 링크홈부
43c. 반구형 돌기 43d. 구속 돌출부
40B. 조절 실린더 유닛 44. 조절 실린더
44a. 피스톤 로드 45. 연결 조인드
45a. 볼 소켓구 45b. 볼 이음구
45c. 탄성 지지부재
50. 구속 실린더
51. 피스톤 로드 52. 구속헤드

Claims (4)

  1. 차체의 양편에 배치된 주행륜이 각각 배치된 주행 차체부와;
    상기 주행 차체부를 구성하는 차체의 상부에 회동구조로 배치되어, 정역으로 수평 회전하는 회동 베이스부와;
    상기 회동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단부에 승용 작업대가 마련된 고소 작업부; 및
    상기 주행 차체부의 차체와 회동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 베이스부를 사방으로 틸팅하여 회동 베이스부의 경사각을 조절하여서, 회동 베이스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경사각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상기 회동 베이스부의 중심부와 차체 사이에 형성되어, 회동 베이스부의 중심부를 틸팅구조로 지지하는 틸팅 지지암 유닛과;
    상기 회동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와 차체 사이에 배치되어 회동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조절 실린더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와 회동 베이스부 사이에는 틸팅 지지암 유닛을 중심으로 4개의 조절 실린더 유닛이 등각 배치되어, 상기 각 틸팅 지지암 유닛의 신축에 의해 회동 베이스부는 틸팅 지지암 유닛을 중심으로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는 사방으로 경사각이 조절되어 수평 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조절 실린더 유닛은, 차체에 하단을 고정한 조절 실린더와; 상기 조절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회동 베이스의 가장자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지지암 유닛은,
    차체의 상부에 배치된 하부 지지암과; 상기 회동 베이스의 중심부 저면에 배치되어 하부 지지암과 상하 마주하는 상부 지지암; 및
    상기 하부 지지암과 상부 지지암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 지지암과 상부 지지암을 전후 및 좌우로 틸팅구조로 연결하는 십자 이음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 이음구는 이음구 몸체의 외측에 4개의 이음핀들이 방사구조로 직교하여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이음핀은 하부 지지암의 양측벽에 전후 틸팅구조로 이음되고, 폭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이음핀은 상부 지지암의 양측벽에 좌우 틸팅구조로 이음되어서, 하부 지지암과 상부 지지암을 전후 및 좌우로 틸팅구조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KR1020190089983A 2019-07-25 2019-07-25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KR10227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83A KR102278963B1 (ko) 2019-07-25 2019-07-25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83A KR102278963B1 (ko) 2019-07-25 2019-07-25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370A true KR20210012370A (ko) 2021-02-03
KR102278963B1 KR102278963B1 (ko) 2021-07-19

Family

ID=7457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983A KR102278963B1 (ko) 2019-07-25 2019-07-25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96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99A (ja) * 1992-10-05 1994-04-26 Fujita Corp 作業機における作業部の支持構造
JP2007063015A (ja) 2005-04-06 2007-03-15 Aichi Corp 高所作業車
KR20090007541U (ko) 2008-01-22 2009-07-27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용 바스켓
JP2009292234A (ja) 2008-06-04 2009-12-17 Tadano Ltd 軌道用作業車
KR20150091961A (ko) * 2014-07-04 2015-08-12 남영석 농업용 붐형 고소 작업 장치
KR20170000371A (ko) * 2016-12-13 2017-01-02 장진만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설치구조
KR101911931B1 (ko) * 2017-06-21 2018-10-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두산테크 전후방 및 좌우측 방향으로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90031213A (ko) * 2019-03-05 2019-03-25 장진만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20190057943A (ko) * 2017-11-21 2019-05-29 (주)효원엔브이 고소 작업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99A (ja) * 1992-10-05 1994-04-26 Fujita Corp 作業機における作業部の支持構造
JP2007063015A (ja) 2005-04-06 2007-03-15 Aichi Corp 高所作業車
KR20090007541U (ko) 2008-01-22 2009-07-27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용 바스켓
JP2009292234A (ja) 2008-06-04 2009-12-17 Tadano Ltd 軌道用作業車
KR20150091961A (ko) * 2014-07-04 2015-08-12 남영석 농업용 붐형 고소 작업 장치
KR20170000371A (ko) * 2016-12-13 2017-01-02 장진만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설치구조
KR101911931B1 (ko) * 2017-06-21 2018-10-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두산테크 전후방 및 좌우측 방향으로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90057943A (ko) * 2017-11-21 2019-05-29 (주)효원엔브이 고소 작업 장치
KR20190031213A (ko) * 2019-03-05 2019-03-25 장진만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963B1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995B1 (ko) 산림장비 및 굴삭기용 레벨링 장치
KR100950953B1 (ko) 이동로봇
CA2088511A1 (en) Platform leveling apparatus
CN110949554B (zh) 一种履带运输车调平装置
JP2008012642A (ja) 移動型ロボット
US4324304A (en) Crawler-type lower machinery
JP2018094998A (ja) 車輪構造体及び車両
JPS58199275A (ja) 高所作業車における重心調整機構
KR102038526B1 (ko) 틸팅 및 롤링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20210012370A (ko) 수평 유지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차
EP1407804B1 (en) Amusement device
US6343799B1 (en) Tilt mechanism for work machine
JPH04325384A (ja) 水平維持機能付き運搬車両
KR100613591B1 (ko) 고소작업차용 탑승함 수평유지장치
JP7346936B2 (ja) アウトリガ装置および作業車
JP2002264801A (ja) 無人搬送車
CN112706852A (zh) 轮腿式机器人
JP7379887B2 (ja) 作業車
KR102584884B1 (ko) 차량용 버켓
JP2005082331A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S63227481A (ja) バツクホウ
JP6842220B1 (ja) 移動式作業台車
JPS6029845Y2 (ja) 乗用田植機
JP3235416U (ja) 複数の作業台が階段状に配置されたトンネル点検車
JP7376207B2 (ja) 不整地移動装置と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