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307A -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307A
KR20210011307A KR1020190088604A KR20190088604A KR20210011307A KR 20210011307 A KR20210011307 A KR 20210011307A KR 1020190088604 A KR1020190088604 A KR 1020190088604A KR 20190088604 A KR20190088604 A KR 20190088604A KR 20210011307 A KR20210011307 A KR 20210011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payment
user
automatic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628B1 (ko
Inventor
임재석
Original Assignee
임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석 filed Critical 임재석
Priority to KR1020190088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6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사용자 정보, 제1 단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송수신부가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접근하는 차량의 식별정보, 상기 제1 단말의 포스정보, 및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제2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인접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포스정보를 포함하는 확인요청신호와 자동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로 확인요청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신한 결과,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포스정보와 상기 제1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어 제2 단말이 수신한 포스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완료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제1 단말과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AUTOMATIC PAYMENT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차량을 탑승한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없이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자동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은 이제 유선을 넘어 무선 이동통신 기술로의 급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실생활에 있어서도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의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 인증을 통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권한을 획득하거나 결제를 수행하는 등 각종 서비스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꺼내고, 해당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정보, 결제정보 또는 보안키 등 각종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간편성 측면에서는 만족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에는 사용자가 드라이브 스루(drive-through)를 이용하거나 또는 주차 요금을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탑승한 차량의 창문을 열고 점원 또는 주차 관리인과 대면하거나 카드를 기기에 삽입해야만 했다. 또는, 자동 결제를 하는 경우라 해도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보안키를 입력하는 등의 조작을 해야만 했다.
이 경우에는 모바일 기기에 접근이 어려운 사용자는 편리함보다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최근들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드라이브 스루와 같은 간편한 주문 시스템이 활성화됨에 따라 그로 인한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해외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행위는 음주운전 이상으로 위험하기 때문에 법에의해 강력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차량의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결제를 진행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에 대한 별도의 조작없이 간편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자동결제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복잡한 입력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자동결제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사용자 정보, 제1 단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송수신부가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접근하는 차량의 식별정보, 상기 제1 단말의 포스정보, 및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제2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인접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포스정보를 포함하는 확인요청신호와 자동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로 확인요청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신한 결과,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포스정보와 상기 제1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어 제2 단말이 수신한 포스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완료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제1 단말과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근접하는 차량의 식별정보, 상기 제1 단말의 고유의 포스정보 및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이 상기 제1단말에 인접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확인된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사용자의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포스정보를 포함하는 확인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응답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자동결제 수행하는 단계; 및 자동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정보에 의해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포스정보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어 제2 단말이 수신한 포스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자동결제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복잡한 입력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자동결제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제1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결제 시스템(1)은 제1 단말(10), 서비스 서버(20) 및 제2 단말(30)을 포함하며, 이 자동결제 시스템(1)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통신사 서버(미도시) 및 금융기관 서버(미도시) 등이 유동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제1 단말(10)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단말 또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0)은 결제를 위한 포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단말(10)은 접근하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차량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한 식별정보, 포스(pos)정보 및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함께 송신한다. 이때, 식별정보는 해당 차량의 번호판 정보일 수 있고, 금액정보는 해당 차량의 사용자가 결제해야 하는 금액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0)은 자신의 고유 포스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한다.
이때, 브로드캐스팅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이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고주파 통신, RFID 통신, 비콘 통신 및 NFC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결제 시스템(1)이 주차요금 자동결제를 위해 적용된 경우라면, 제1 단말(10)은 주차 시설의 입구 및/또는 출구 인근에 설치되어 입차 차량 및/또는 출차 차량을 감지하여 관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10)은 차량이 입차할 시에 해당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차량이 출차할 시에 해당 차량의 번호판정보, 자신의 포스정보 및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송신한 후, 자신의 포스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자동결제 시스템(1)이 드라이브 스루를 위해 적용된 경우라면, 제1 단말(10)은 드라이브 스루를 위해 설치된 단말로서, 제1 단말(10)은 차량의 입장 시 또는 주문 시에 해당 차량의 번호판정보를 획득하고, 그 번호판정보, 자신의 포스정보 및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송신한 후, 자신의 포스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한다.
여기서, 포스정보는 서비스 서버(20)에 기 저장된 제1 단말(10)에 대한 정보로서, 서비스 서버(20)는 해당 제1 단말(1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20)는 제1 단말(10)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면, 그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사용자의 단말, 즉, 제2 단말(30)이 제1 단말(10)에 인접해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20)는 결제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제2 단말(30)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에 의해 자신의 차량정보, 단말정보 등을 입력 받아 관리하며, 그 정보들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가 아니더라도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해당 차량을 통한 결제가 기설정된 다른 사람의 단말을 통해 이뤄지도록 설정해둘 수도 있다. 즉, 운전자의 단말이 아닌 차량을 탑승하고 있는 동승자의 단말을 통한 결제 또한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확인요청신호에는 앞서 수신한 결제정보에 포함된 포스정보는 물론, 근거리통신활성화 신호가 더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는 제2 단말(30)로부터 응답정보를 수신하면, 앞서 제1 단말(10)로부터 수신한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자동결제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20)는 별도의 단말 또는 서버와 승인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단말(30)은 자동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제2 단말(30)은 서비스 서버(20)로부터 확인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그 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포스정보와 브로드캐스팅 되고 있는 포스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제2 단말(30)은 두 포스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응답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송신한다.
이때, 제2 단말(30)은 제1 단말이 브로드캐스팅하고 있는 포스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모드가 온(ON)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2 단말(30)은 서비스 서버(20)로부터 확인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그 확인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통신모드를 온하고, 이미 온(ON)되어 있는 상태였다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30)을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제1 단말(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단말(30)은 자동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기기로서, 모두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1 단말(10)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면(S201), 그 차량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한다(S203).
이후, 제1 단말(10)은 해당 차령의 식별정보, 제1 단말(10)의 포스정보 및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20)로 송신하고(S205), 자신의 포스정보, 즉, 제1 단말(10)의 포스정보를 제2 단말(20)이 수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을 통해 브로드캐스팅 한다(S207).
한편, 서비스 서버(20)는 그 수신된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다(S209).
예를 들어, 식별정보에 차량의 번호판정보가 포함된 경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정보 중 해당 번호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자동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서비스에 가입 시 자신의 인적사항, 단말정보, 차량정보 등을 저장하게 되는데, 서비스 서버(20)는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이 저장된 사용자정보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즉,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정보에서 결제정보에 포함된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단말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정보를 확인한다.
이로써, 사용자정보가 확인되면, 서비스 서버(20)는 해당 단말, 즉, 제2 단말(30)로 제2 단말(30)이 제1 단말(10)에 인접해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211). 이 확인요청신호에는 앞서 S207단계에서의 결제정보에 포함된 포스정보와 근거리통신활성화 신호가 함께 포함된다.
제2 단말(30)은 서비스 서버(20)로부터 확인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근거리 통신모드를 온한 후(S213), 브로드캐스팅 되고 있는 포스정보를 제1 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S215).
이후, 제2 단말(30)은 S211단계에서의 확인 요청에 포함된 포스정보와 S215단계에서 수신한 포스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17), 그 확인 결과에 따른 응답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송신한다(S219).
서비스 서버(20)는 그 수신한 응답정보를 확인하고(S221), 확인 결과, 두 포스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해당 결제와 관련한 기관의 단말 또는 서버를 통해 자동결제를 수행한다(S223).
그 결과, 자동결제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20)는 결제완료정보를 제1 단말(10)로 송신하고(S225), 또한 마찬가지로 그 결제완료정보를 제2 단말(30)로 송신한다(S227). S225단계 및 S227단계가 실행되는 순서는 변경 가능하며, 동시에 이뤄질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서 S221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두 포스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S223단계는 생략되고, S225단계 및 S227단계에서 결제완료정보 대신 결제불승인정보가 각각 송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제1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제1 단말(10)은 송수신부(11), 획득부(12), 생성부(13), 저장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1)는 자동결제를 위한 각종 정보 또는 응답 등을 서비스 서버(20) 및/또는 제2 단말(30)과 상호 송수신한다. 특히, 송수신부(11)는 차량의 식별번호, 자신의 포스정보 및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송신하거나, 서비스 서버(20)로부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1)는 필요에 따라 자신의 고유 포스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한다. 이때, 포스정보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결제승인 및 결제불승인 할때까지) 브로드캐스팅 될 수 있다. 브로드개스팅되는 고유 포스정보는 보안을 위해 OTP(One Time Password)와 같은 토큰으로 대체도 가능하다.
획득부(12)는 차량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차량의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식별정보는 해당 차량의 번호판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생성부(13)는 획득부(12)에 의해 획득된 식별정보, 자신의 포스정보 및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생성한다.
저장부(14)는 획득부(12)에 의해 획득된 식별정보, 자신의 포스정보, 해당 사용자의 이용정보 등 각종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서버(20)를 포함한 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들을 필요에 따라 저장한다.
제어부(15)는 차량의 접근이 감지되면, 그 접근하는 차량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20)로 송신한 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자신의 포스정보를 브로드캐스팅 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요금 자동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20)는 송수신부(21), 저장부(22), 확인부(23), 생성부(24) 및 제어부(25)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는 자동결제를 위한 각종 정보 또는 신호 등을 제1 단말(10) 및/또는 제2 단말(30)과 상호 송수신한다. 특히, 송수신부(21)는 제1 단말(10)로부터 차량의 식별정보, 포스정보 및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 단말(30)로 제1 단말(10)에 인접해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확인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저장부(22)는 자동결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정보로써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2)는 제1 단말(10)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내역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2)는 자동결제 서비스를 위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단말(10)에 대한 정보, 즉, 포스 장치의 포스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확인부(23)는 제1 단말(10)로부터 수신된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는데, 구체적으로 저장부(22)에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정보 중 결제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정보를 확인한다.
생성부(24)는 제2 단말(30)에게 제1 단말(10)에 인접해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인 확인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부(24)는 확인요청신호를 생성할 시, 제1 단말(10)의 포스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또한 근거리통신활성화 신호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생성부(24)는 제2 단말(30)에 대해 수행한 자동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결제완료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15)는 제1 단말(10)로부터 결제정보가 수신되면, 그 결제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대응하는 제2 단말(30)로 확인 요청을 송신하고, 이후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단말(10)로부터 응답정보가 수신되면, 그 응답정보를 기반으로 자동결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응답정보를 확인한 결과, 만약 두 포스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자동결제를 수행하고, 그 자동결제에 의한 결제완료정보를 제1 단말(10) 및/또는 제2 단말(3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두 포스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결제불승인정보를 제1 단말(10) 및/또는 제2 단말(3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부(25)에서 자동 결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그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 자동결제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확인 정보에 자동 응답함으로써 간편하게 자동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드라이브 스루(drive-through) 또는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창문을 열고 카드를 주고받거나, 모바일에 보안키를 입력하는 등의 동작을 하지 않고도 결제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자동결제 시스템 10: 제1 단말
20: 서비스 서버 30: 제2 단말
11: 송수신부 12: 감지부
13: 생성부 14: 저장부
15: 제어부 21: 송수신부
22: 저장부 23: 확인부
24: 생성부 25: 제어부

Claims (10)

  1.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사용자 정보, 제1 단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송수신부가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접근하는 차량의 식별정보, 상기 제1 단말의 포스정보, 및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제2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인접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의 포스정보를 포함하는 확인요청신호와 자동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단말로 확인요청신호를 발송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신한 결과,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포스정보와 상기 제1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어 제2 단말이 수신한 포스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완료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제1 단말과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정보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포스정보를 상기 제2 단말이 수신하여 생성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요청신호는
    상기 제2 단말의 근거리 통신모드를 온(ON) 하도록 하는 근거리통신활성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의 근거리 통신모드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통신활성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단말의 근거리 통신모드가 온(ON)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6.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근접하는 차량의 식별정보, 상기 제1 단말의 고유의 포스정보 및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이 상기 제1단말에 인접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확인된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사용자의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포스정보를 포함하는 확인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응답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자동결제 수행하는 단계; 및
    자동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정보에 의해 상기 확인요청신호에 포함된 포스정보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어 제2 단말이 수신한 포스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자동결제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결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정보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포스정보를 상기 제2 단말이 수신하여 생성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결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접근한 차량의 번호판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결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요청은,
    상기 제2 단말의 근거리 통신모드를 온(ON) 하도록 하는 근거리통신활성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결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의 근거리 통신모드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통신활성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단말의 근거리 통신모드가 온(ON)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결제 방법.
KR1020190088604A 2019-07-22 2019-07-22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 KR10240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04A KR102409628B1 (ko) 2019-07-22 2019-07-22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04A KR102409628B1 (ko) 2019-07-22 2019-07-22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307A true KR20210011307A (ko) 2021-02-01
KR102409628B1 KR102409628B1 (ko) 2022-06-16

Family

ID=7457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604A KR102409628B1 (ko) 2019-07-22 2019-07-22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6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997A (ko) * 2011-09-22 2013-04-01 유비벨록스(주) 차량용 엔에프씨를 이용한 비용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5670A (ko) * 2013-06-13 2014-12-24 인포뱅크 주식회사 메시지를 이용한 주차비 처리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US20150379650A1 (en) * 2014-06-27 2015-12-31 Ebay Inc. Communication of orders and payments in a drive through using wireless beacons
KR101761368B1 (ko) * 2016-06-30 2017-08-04 대경전자시스템 (주) 주차료 자동정산 시스템
KR20180137081A (ko) * 2017-06-15 2018-12-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대화형 차량장치를 이용한 주유결제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997A (ko) * 2011-09-22 2013-04-01 유비벨록스(주) 차량용 엔에프씨를 이용한 비용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5670A (ko) * 2013-06-13 2014-12-24 인포뱅크 주식회사 메시지를 이용한 주차비 처리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US20150379650A1 (en) * 2014-06-27 2015-12-31 Ebay Inc. Communication of orders and payments in a drive through using wireless beacons
KR101761368B1 (ko) * 2016-06-30 2017-08-04 대경전자시스템 (주) 주차료 자동정산 시스템
KR20180137081A (ko) * 2017-06-15 2018-12-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대화형 차량장치를 이용한 주유결제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628B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TW200302005A (en) Toll charging system and toll charging method
TW201640450A (zh) 用於進出控制系統的系統、方法和電腦程式
KR102077659B1 (ko) 무선랜 장치 및 상기 무선랜 장치를 이용한 차량 인증 방법
US20170068959A1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429515B1 (ko) 차량번호 모바일 인식 기반 주차관리시스템
KR101890857B1 (ko) 위치 기반 오프라인 모바일 자동 결제방법
JP2017027249A (ja) 電子認証システム及び電子認証方法並びに電子認証プログラム
KR102409628B1 (ko) 모바일 기기 기반의 자동결제 장치 및 방법
KR20190142065A (ko) 드라이브스루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36601B1 (ko) Nfc를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 등록시스템 및 등록방법
US104199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rectly transferring information from a first mobile transmitting component to a stationary server device via a second mobile transmitting component
KR20040063245A (ko) 무인 택시 보안관제 시스템
CN113851012A (zh) 自动寻车方法及装置、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6215988A (ja) 認証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認証方法
KR102437970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모션 패턴을 이용한 2차 인증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369668B1 (ko) 차량 번호에 기반을 둔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15736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픽처 터치 패턴을 이용한 인증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80127765A (ko) 강의자 단말기를 이용한 출결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CN115320540B (zh) 车辆控制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63246B1 (ko) 차량과 생체정보를 이용한 신원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4147A (ko) 대화형 차량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 간 음파 통신을 이용한 주차결제 제공 방법
CN111698320A (zh) 信息处理方法、系统及装置以及车载配件
JP2023019299A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JP2007267156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