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883A - 연결된 블랭크 세트 및 블랭크 - Google Patents

연결된 블랭크 세트 및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883A
KR20210010883A KR1020207035624A KR20207035624A KR20210010883A KR 20210010883 A KR20210010883 A KR 20210010883A KR 1020207035624 A KR1020207035624 A KR 1020207035624A KR 20207035624 A KR20207035624 A KR 20207035624A KR 20210010883 A KR20210010883 A KR 20210010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
article
blanks
distanc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이. 재컬리
Original Assignee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1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65D71/504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the element being formed from a flexible sheet provided with slits or apertures intended to be stretched over the articles and adapt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2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상부 맞물림 캐리어를 형성하는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에 관한 것이며, 블랭크들은 행렬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함께 연결되며, 각각의 블랭크는 복수의 상부-수용 구멍을 가지며, 제1 블랭크의 구멍들 중 2개의 인접한 구멍의 각각의 중심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1 블랭크의 모서리 구멍의 중심과 제2 블랭크의 인접한 모서리 구멍의 중심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작으며, 제1 거리(D1)는 제1 블랭크의 상기 모서리 구멍의 중심과 제3 블랭크의 인접한 모서리 구멍의 중심 사이의 제3 거리(D3)보다 작다.

Description

연결된 블랭크 세트 및 블랭크
본 발명은 카톤 및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지는 상부-파지형(top-gripping type)의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된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포장 분야에서 다수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카톤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카톤은 당해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고 소비자가 소비를 위해 일 군의 물품들을 이동, 보관,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데 유용하다. 비용 및 환경을 고려하여, 그러한 카톤 또는 캐리어는 가능한 한 적은 재료로 제작되어야 하고 가능한 한 제작 재료의 낭비가 적어야 한다. 추가 고려사항은 카톤의 강도와 무거운 물품들의 수용과 이동을 위한 적합성이다. 카톤의 내용물이 카톤 내에서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의 패널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으로부터 탭(tap)들이 잘리는 상부 파지 용품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탭은 물품이 상기 구멍에 수용될 때 상기 패널의 평면 밖으로 변위되며, 여기서 상기 탭은 일반적으로 물품의 플랜지 또는 주둥이에 맞물린다.
블랭크의 캐리어로의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연결된 블랭크가 패키지로 동시에 조립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캐리어는 물품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견고해야 한다. 캐리어는 매끄럽거나 슬림한 디자인의 예를 들면 음료 캔과 같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물품을 포장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판지 등으로 형성된 카톤 분야의 개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각각 상부 맞물림 캐리어를 형성하는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을 제공하며, 상기 블랭크들은 행렬 방식으로(in a matrix fashion) 분리 가능하게 함께 연결되며, 각각의 블랭크는 복수의 상부-수용 구멍(top-receiving aperture)을 가지며, 제1 블랭크의 구멍들 중 2개의 인접한 구멍의 각각의 중심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1 블랭크의 모서리(corner) 구멍의 중심과 제2 블랭크의 인접한 모서리 구멍의 중심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작으며, 제1 거리(D1)는 제1 블랭크의 상기 모서리 구멍의 중심과 제3 블랭크의 인접한 모서리 구멍의 중심 사이의 제3 거리(D3)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제1 거리(D1)는 제1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과 대체로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블랭크의 모서리 반경(Rb)은 상기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서리 반경(Rb)은 상기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1/8 인치(3.175mm) 이상 더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거리(D2)는 상기 제3 거리(D3)와 대체로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및 제3 거리(D2, D3) 각각은 각각의 블랭크의 모서리 반경(Rb)의 2배와 대체로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제4 거리(Rs)가 각각의 탭-정의 요소의 외측 단부와 각각의 구멍의 중심 사이에 정의되고, 제4 거리(Rs)는 상기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손가락 구멍의 윤곽 상의 임의의 지점은 상기 손가락 구멍을 둘러싸는 상기 구멍들 중 임의의 하나의 중심 주위에서 최대 직경의 절반(1/2Dc)과 동일한 반경에 의해 획정된 영역 외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부 맞물림 캐리어를 형성하는 블랭크를 제공하며, 상기 블랭크는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들 중 2개의 인접한 구멍의 중심 사이의 제1 거리(D1)는 상기 물품의 최대 직경(Dc)과 대체로 동일하고 상기 블랭크의 모서리 반경(Rb)은 상기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모서리 반경(Rb)은 상기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적어도 1/8 인치(3.175mm) 더 크다.
선택적으로, 제4 거리(Rs)가 각각의 탭-정의 요소의 외측 단부와 각각의 구멍의 중심 사이에 정의되고, 제4 거리(Rs)는 상기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구멍의 최대 직경(Da)이 상기 물품의 상단 직경(Dn)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손가락 구멍의 윤곽 상의 임의의 지점은 상기 손가락 구멍을 둘러싸는 상기 구멍들 중 임의의 하나의 중심 주위에서 최대 직경의 절반(1 /2Dc)과 동일한 반경에 의해 획정된 영역 외부에 배치된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선행 단락에서,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제시된 다양한 양태, 실시 예, 예시, 특징 및 대안은 독립적으로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취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또는 요소는 특징의 양립성이 있는 한 모든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요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다른 실시 예에 통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일 실시 예로부터 추출된 상기 특징 또는 요소는 상기 다른 실시 예의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특징에 추가로 또는 그 대체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의 특징 또는 특징들의 조합은 그 실시 예의 다른 특징들과 분리되어 추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일 실시 예의 특징 또는 특징의 조합은 그 실시 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된 블랭크들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블랭크들 중 하나의 평면도이며;
도 2a는 도 1의 블랭크의 일부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카톤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제1 실시 예의 캐리어에 의해 사용되는 1차 제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의 구체적인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의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구체화될 수 있는 모든 방식의 전체 목록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예시, 표본, 모델 또는 패턴으로 역할을 하는 실시 예를 지칭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은 다양하고 대안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특정 구성 요소의 세부 사항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 특징이 과장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공지된 구성 요소, 재료 또는 방법이 본 개시 내용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상세하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 사항은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단지 청구 범위에 대한 기초로서 및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가르치기 위한 대표적인 기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하나 바와 같이, 한 그룹의 1차 제품(예를 들면, 병 또는 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하, 물품(B)이라 함)을 수용 및 운반하기 위한 카톤 또는 캐리어(90)(도 3 참조)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연결된 블랭크(10a-10d)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랭크(10a-10d)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제품 용기 또는 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2차 패키지를 형성한다.
여기 설명된 실시 예에서, 용어 "카톤(carton)" 및 "캐리어(carrier)"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비 한정적인 목적으로, 1차 제품 용기와 같은 물품을 맞물려 운반하기 위한 용기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교시는, 테이퍼진 형상 또는 원통 형상 또는 기타 형상일 수 있는 다양한 제품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용기는 병(예를 들어 금속, 유리 또는 플라스틱 병), 캔(예를 들어 알루미늄 캔), 깡통(tin), 파우치, 패킷 등을 포함한다.
블랭크(10a-10d)는 적합한 기재(substrate)의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적합한 기재"는 판지(paperboard), 골판지, 카드보드(cardboard), 플라스틱,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접을 수 있는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캐리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경우, 하나 이상의 블랭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장 구조체 또는 카톤(90)은 판지 등의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재료의 예는 WestRock Company에서 제조한 찢김 방지성(tear resistant) NATRALOCK® 판지이다. 상기 찢김 방지성 재료는 패키지의 찢김 방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층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전형적으로, 시트 재료의 한 표면은 다른 표면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성된 패키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시트 재료의 표면은 특별히 매끄러울 수 있고, 우수한 인쇄성을 제공하기 위해 클레이 코팅과 같은 코팅 또는 다른 표면 처리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안쪽으로 향하는 시트 재료의 표면에는 코팅, 층, 처리가 제공되거나, 또는 찢김 방지성, 우수한 접착성, 열 밀봉성(heat sealability) 또는 다른 원하는 기능적 특성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특성을 제공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예시 된 실시 예에서, 블랭크(10a, 10b, 10c, 10d)는 예시적인 물품(B)의 예시적인 배열을 포장하기 위한 카톤 또는 캐리어(9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각각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2x3 행렬 또는 어레이 형태의 배열을 가지는 패키지를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3개의 물품의 2열이 제공되고, 물품(B)은 음료 캔이다. 음료 캔은 매끈한(sleek) 또는 슬림한(slim) 디자인의 12 oz(355 ml) 캔일 수 있다; 즉, 물품(B)은 전체 높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예시적인 물품(B)이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물품(B)은 최대 직경 또는 측방향 치수(Dc)를 갖는다(직경(Dc)은 약 2.25 인치 또는 약 58 mm 일 수 있음). 물품(B)은 직경 또는 측방향 치수(Dn)(직경(Dn)은 약 2.125 인치 또는 54.8mm 일 수 있음)를 갖는 상부 또는 천정 폐쇄부(T)를 포함한다. 목부(neck)(N)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목부는 캐리어와 결합하기 위한 언더컷(undercut)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F)를 제공하는 이음매 또는 "차임(chime)(C)"를 형성하기 위해 물품(B)의 측벽에 천정 폐쇄부가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천정 폐쇄부(T)와 물품(B)의 본체(M) 사이의 직경 변화는 7mm 미만이고, 5mm 미만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4mm 미만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매끈한" 또는 "슬림한"은 캐리어(90)와 결합하는 천정 폐쇄부(T)와 물품(B)의 본체(M) 사이의 측방향 치수에 변동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물품을 지칭한다. 물품은 실질적으로 평행면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가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가 도시되어 있으며, 예시된 실시 예에서는 2x2 행렬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 4개의 블랭크(10a, 10b, 10c, 10d)가 있다. 각각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취약하거나 분리 가능한 연결부(42)에 의해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블랭크(10a, 10b, 10c, 10d)에 연결된다. 각 블랭크(10a, 10b, 10c, 10d)는 캐리어(90)의 천정벽 또는 맞물림 패널을 형성하는 메인 패널(12)을 포함한다(도 3 참조).
각각의 메인 패널(12)은 적어도 하나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각각의 메인 패널(12)은 복수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 구체적으로는 2x3 행렬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 6개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대안적인 배열, 예를 들어 2x2 행렬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 4개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가 채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2x3 행렬 또는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6개의 블랭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적인 배열은 1x3 구성으로 배열된 3개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3, RT5)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2x4 행렬 또는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8개의 블랭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적인 배열은 1x2 구성으로 배열된 2개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3) 또는 물품 보유 구조(RT1, RT2)일 수 있고; 이러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2x6 또는 3x4 행렬 또는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12개의 블랭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배열은 1x4 구성으로 배열된 4개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1, RT2)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1x6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6개의 블랭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배열은 2x4 구성으로 배열된 8개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 RT1, RT2)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1x3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3개의 블랭크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 각각은 구조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도 2 및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물품 보유 구조(RT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로부터 분리된 단일 블랭크(10)를 보여준다. 도 2a는 블랭크(10)의 확대된 부분을 보여준다.
제 1 물품 보유 구조(RT1)은 구멍(A1)을 포함한다. 제1 구멍(A1)은 11면 다각형 또는 11각형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다른 다각형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물품 맞물림 탭(16, 18, 20)이 구멍(A1)의 주변에 배열된다. 각 탭(16, 18, 20)은 메인 패널(12)에 힌지 연결된다.
각 탭(16, 18, 20)은 선형 절단선(11)에 의해 인접한 이웃들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탭(16, 18, 20)은 제 1 측면 에지(19) 및 제 2 측면 에지(21)를 포함한다. 각 탭(16, 18, 20)은 힌지 연결된 에지에 대향하는 자유 단부 에지(23)를 포함한다. 자유 단부 에지들(23)은 구멍(A1) 내에 물품(B) 또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기 위한 맞물림 에지들을 형성한다. 자유 단부 에지(23)는 각각 제 1 구멍(A1)의 다각형 형상의 측면을 획정한다. 탭(16, 18, 20)의 측면 에지를 획정하는 선형 절단선(11)은 각각 제 1 구멍(A1)의 다각형 형상의 정점 또는 모서리로부터 연장한다. 선형 절단선(11)은 제 1 구멍(A1)의 다각형 형상의 각 정점들을 통과하는 개념 원에 대해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선형 절단선(11)은 제 1 구멍(A1)의 다각형 형상의 정점 또는 모서리와 교차하는 제 1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선형 절단선(11)은 제 2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물품 맞물림 탭(16, 18, 20)은 일련의 또는 한 세트의 제 1 물품 맞물림 탭(16), 일련의 또는 한 세트의 제 2 물품 맞물림 탭(18) 및 일련의 또는 한 세트의 제 3 물품 맞물림 탭(20)을 포함한다.
상기 일련의 제 1 물품 맞물림 탭(16)은 물품(B)이 제 1 물품 보유 구조(RT1)에 수용될 때 물품 맞물림 탭이 가장 큰 응력 또는 변형을 받는 영역에서 메인 패널(12) 상에 위치된다.
제 1 호형 절단선(26)이 제 1 물품 맞물림 탭들(16)의 측면 에지들을 획정하는 선형 절단선들(11) 각각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제 1 호형 절단선(26)은 선형 절단선(11)의 제 2 원위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한 쌍의 인접한 제 1 물품 맞물림 탭(16) 사이의 연결 부분(28) 또는 "닉(nick)"을 획정한다.
상기 일련의 제 3 물품 맞물림 탭(20)은 물품(B)이 제 1 물품 보유 구조(RT1)에 수용될 때 물품 맞물림 탭이 최소한의 응력 또는 변형을 받는 영역에서 메인 패널(12) 상에 위치된다.
제 3 호형 절단선(22)이 제 3 물품 맞물림 탭(20)의 측면 에지를 획정하는 선형 절단선(11) 각각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제 3 호형 절단선(22)은 선형 절단선(11)의 제 2 원위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한 쌍의 인접한 제 3 물품 맞물림 탭(20) 사이의 연결부(28) 또는 "닉"을 획정한다. 이러한 연결부(28) 또는 "닉"은 물품(B)이 구멍(A1, A2, A3, A4, A5, A6)에 삽입된 후에도 한 쌍의 인접한 탭(16, 18, 20)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연결부(28)는 각각의 탭(16, 18, 20)을 다음 인접한 탭(16, 18, 20)과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탭(16, 18, 20)이 개념선(P-P)로 표시된 축을 중심으로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거나, 또는 적어도 그러한 흔들림이나 회전을 완화시킨다.
상기 일련의 제 2 물품 맞물림 탭(18)은 제 1 물품 맞물림 탭들(16) 중 하나와 제 3 물품 맞물림 탭들(20) 중 하나 사이의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메인 패널(12)에 위치된다.
제 2 호형 절단선(24, 25)은 제 2 물품 맞물림 탭(18) 각각을 인접한 제 3 물품 맞물림 탭(20)으로부터 분리하는 절단선(11)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 2 호형 절단선(24, 25)은 각각 선형 절단선(11)의 제 2 원위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제 2 물품 맞물림 탭들(18)의 각각과 그것에 인접한 제 3 물품 맞물림 탭(20) 사이에 연결 부분(28) 또는 "닉"을 획정한다.
제 1 및 제 3 호형 절단선(22, 26) 각각은 연관된 선형 절단선에 대해 대칭 적으로 배열된다. 제 2 호형 절단선(24, 25)은 각각 선형 절단선들(11) 중 하나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제 1, 제 2 및 제 3 호형 절단선(26, 24, 25, 22)은 제 1, 제 2 및 제 3 물품 맞물림 탭(16, 18, 20)이 메인 패널(12)의 평면으로부터 변위될 때 메인 패널(12)에 응력 완화를 제공한다.
제 1 및 제 3 호형 절단선(26, 22)은 연관된 각각의 선형 절단선(11)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제 1 호형 절단선(26)은 제 3 호형 절단선(22)보다 치수가 더 크다. 제 1 호형 절단선(26)은 제 1 곡률 반경을 포함하고, 제 3 호형 절단선(22)은 제 2 곡률 반경을 포함하며;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크다.
제 2 절단선(24, 25)은 각각 연관된 각각의 선형 절단선(11)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제 2 절단선(24, 25)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제 2 물품 맞물림 탭(18)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제 2 부분은 제 3 물품 맞물림 탭(2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 2 절단선(24, 25) 각각의 제 1 부분은 제 1 곡률 반경을 포함하고, 제 2 절단선(24, 25) 각각의 제 2 부분은 은 제 2 곡률 반경을 포함하며;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크다.
제 2 절단선(24, 25)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제 1 호형 절단선(26)의 절반 및 제 3 호형 절단선(22)의 절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절단선(24, 25)은 비대칭 'C'-모양의 절단을 형성하는 반면, 제1 및 제3 절단선(26, 22)은 대칭 'C'-모양의 절단을 형성한다. 제 2 절단선(24, 25)은 제 1 물품 맞물림 탭(16)의 변위시 더 높은 응력을 받는 메인 패널(12)의 제 1 영역과 제3 물품 맞물림 탭(20)의 변위시 더 낮은 응력을 받는 메인 패널(12)의 제 2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 사용된다. 제 1 탭들(16)이 위치되는 메인 패널(12)의 더 높은 응력 영역이 발생하며 이는 물품(B)이 각각의 구멍(A1, A2, A3, A4, A5, A6)에 삽입될 때 제 1 탭들(16)이 메인 패널(12)의 더 낮은 응력 영역에 배치된 제 3 탭들(20)보다 더 높은 굽힘 응력을 겪기 때문이다.
제 3 물품 맞물림 탭들(20)의 각각은 메인 패널(12)에 제공된 제 2 선형 절단선(17)에 의해 부분적으로 획정된다.
각각의 제 2 선형 절단선(17)은 한 쌍의 인접한 호형 절단선(26, 24, 25, 22)의 각각과 이격된 관계로 상기 한 쌍의 인접한 호형 절단선(26, 24, 25, 2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물품 맞물림 탭들(18) 중 하나에 인접한 제 3 물품 맞물림 탭들(20) 각각은 제 1 호형 절단선(26) 및 제 2 호형 절단선(24, 25) 모두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제 1 호형 절단선(26)과 제 2 호형 절단선(24, 25) 사이에 배치된 제 2 선형 절단선(17)을 포함한다. 나머지 제 3 물품 맞물림 탭(20)은 한 쌍의 인접한 제 1 호형 절단선(26) 각각과 이격된 관계로 한 쌍의 인접한 제 1 호형 절단선(26) 사이에 배치된 제 2 선형 절단선(17)을 포함한다.
제 2 선형 절단선(17)은 메인 패널(12)에 대해 제 3 물품 맞물림 탭들(20) 각각의 접힘을 용이하게 한다.
제 2 선형 절단선(17)은 제 3 물품 맞물림 탭들(20) 각각을 메인 패널(12)에 힌지 연결하는 직선 또는 선형 접힘선(1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제 1 물품 보유 구조(RT1)는 구멍(A1)의 주변 주위에 배열된 11개의 탭(16, 18, 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물품 맞물림 탭(16, 18, 20)은 메인 패널(12)상의 위치에 따라 치수가 변할 수 있다. 제 1 물품 맞물림 탭(16)은 제 1 폭을 가질 수 있고, 제 2 물품 맞물림 탭(18)은 제 2 폭을 가질 수 있고 제 3 물품 맞물림 탭(20)은 제 3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3 폭은 제 2 폭보다 클 수 있으며, 제2 폭은 차례로 제 1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탭(16)의 맞물림 에지(E1, E2)를 형성하는 자유 단부 에지(23)는 제 2 또는 제 3 탭(18, 20)의 자유 단부 에지(23) 또는 맞물림 에지보다 치수가 더 작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패널(12)의 영역에 위치하고,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에 물품(B)이 수용될 때, 가장 큰 응력 또는 변형을 받는 물품 맞물림 탭(16, 18, 20)은 최소한의 응력 또는 변형을 받는 메인 패널(12)의 영역에 위치된 물품 맞물림 탭(16, 18, 20)보다 치수가 더 작다.
메인 패널(12)은 선택적으로 손잡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구조는 한 쌍의 손잡이 구멍(H)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손잡이 구멍(H) 각각은 메인 패널(12)로부터 잘린다. 한 쌍의 손잡이 구멍(H) 중 하나는 제 1 쌍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및 제 2 쌍의 물품 보유 구조(RT3, RT4) 사이의 중앙에 배치된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구멍(H) 중 하나는 주변을 포함하며 이 주변은 물품(B)의 최대 직경(Dc) 이상의 거리만큼 구멍(A1, A2, A3, A4)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구멍(H) 중 다른 하나는 제 2 쌍의 물품 보유 구조(RT3, RT4)와 제 3 쌍의 물품 보유 구조(RT5, RT6) 사이의 중앙에 배치된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 구멍(H) 중 상기 다른 하나는 주변을 포함하며 이 주변은 물품(B)의 최대 직경(Dc) 이상인 거리만큼 구멍(A3, A4, A5, A6)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다.
선택적으로, 메인 패널(12)의 측면 및/또는 단부 에지는 곡선 또는 물결 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
메인 패널(12)의 모서리는 둥글고, 이 모서리들은 곡률 반경(Rb)을 갖는 호를 획정한다. 이 호의 중심은 맨 끝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5, RT6)의 구멍(A1, A2, A5, A6)의 중심에 있을 수 있다.
메인 패널(12)은 적어도 함께 적층된 판지 기재 및 찢김 방지 층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판지 기재와 찢김 방지 층 사이에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판지 기재의 재료는 예를 들어 중량이 약 10 pt.부터, 바람직하게는 약 11 pt.부터 약 14 pt.까지의 범위에 이르는 임의의 통상적인 판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의 예로 WestRock Company에서 제조한 12-포인트 SBS 보드 또는 CNK 보드가 있다. 판지 기재는 표백되거나 표백되지 않은 보드일 수 있다. 보드는 인쇄 방법 및 보드 조성물과의 호환성을 위해 선택된 통상적인 코팅으로 적어도 한면이, 선택적으로, 적층 반대 면이 코팅될 수 있다.
찢김 방지 층은 판지 기재의 코팅되지 않은 면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기재에 고정될 수 있다. 찢김 방지 층은 적층 구조에 강인성을 부여한다. 적합한 찢김 방지 재료는 찢김 방지 적층된 시트 재료, 예를 들어, NATRALOCK®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N축 배향된 필름 예를 들면 MYLAR®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2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배향된 나일론, 교차-적층된 폴리올레핀 또는 고밀도 폴리올레핀이다. 이 재료들의 배향 및 교차-적층된 구조는 찢김 방지 특성에 기여한다. 또한, 찢김 방지성은 압출된 메탈로센-촉매 폴리에틸렌(mPE)과 같은 찢김 방지성 재료의 화학적 특성에 기인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찢김 방지 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층일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mPE가 사용되는 실시 예에서, 접착층을 통합할 필요가 없다. 높은 수준의 찢김 방지성을 갖는 다른 적절한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같은 폴리올레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은 찢김 방지 층을 기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기재와 찢김 방지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랭크(10a, 10b, 10c, 10d)에 대한 물품(B)의 위치는 개념 선(CP)으로 표시된다. 개념 선(CP)은 블랭크(10a, 10b, 10c, 10d)에 대한 도 4에 도시된 물품(B)의 본체의 원통형 벽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에 대한 24개의 물품(B)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물품(B)은 6개 물품씩 4개의 별개 그룹으로 배치된다.
각 물품(B)은 블랭크(10a, 10b, 10c, 10d) 중 하나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의 구멍(A1, A2, A3, A4, A5, A6) 중 하나와 정렬된다. 물품들(B)의 관형 축선들은 구멍(A1, A2, A3, A4, A5, A6) 중 하나의 중심과 정렬된다.
한 물품 그룹을 갖는 각 물품(B)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이웃과 접촉하거나 적어도 밀접하게 배치된다. 한 그룹의 물품(B)은 인접 그룹의 가장 가까운 인접 물품(B)으로부터 거리(z)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는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가 모든 물품 그룹들에 동시에 적용될 때, 인접하게 배치된 블랭크(10a, 10b, 10c, 10d) 각각이 물품(B)에 대해 메인 패널(12)의 충분히 두꺼운 부분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거리(z)에 의한 물품 그룹들의 이격은 물품(B)의 본체(M)의 측벽에 대하여 천정 폐쇄부 및/또는 목부 사이의 직경 차이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도 4에 표시된 것과 같은 "매끄러운" 또는 "슬림한" 디자인의 물품을 포장할 때 특히 중요하다.
각각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폭(W)을 포함한다. 메인 패널(12)은 수용하는 물품 그룹(B)의 폭보다 더 넓게 마련되며, 메인 패널(12)의 에지는 물품(B)의 원통형 측벽(CP)의 위치로부터 거리(y)만큼 떨어져 있으며, 여기서 y =(1/2z).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최대 폭(2W)을 포함한다.
각 블랭크(10a, 10b, 10c, 10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길이(L)를 포함한다. 메인 패널(12)은 수용하는 물품 그룹(B)의 길이보다 더 길게 마련되며, 메인 패널(12)의 에지는 물품(B)의 원통형 측벽(CP)의 위치로부터 거리(y)만큼 떨어져 있으며, 여기서 y =(1/2z).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최대 길이(2L)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패널(12)의 외부 둘레는 평평한 블랭크 형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그룹(B)로부터 거리(y) 이상의 거리로 이격된다.
따라서 메인 패널(12)은 물품 그룹을 둘러싸는 경계 영역을 포함한다.
구멍(A1, A2, A3, A4, A5, A6)은 최대 측방향 치수 또는 직경(Da)을 가진다.
주어진 블랭크(10a, 10b, 10c, 10d)의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및 제 6 구멍(A1, A2, A3, A4, A5, A6) 중 어느 하나의 중심은 상기 블랭크(10a, 10b, 10c, 10d)의 구멍(A1, A2, A3, A4, A5, A6)의 인접한 하나의 중심으로부터 치수(D1)만큼 이격되며, 치수(D1)은 실질적으로 Dc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D1 = Dc). 주어진 한 물품 그룹의 물품들(B)의 원통 축선들은 유사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 1 블랭크(10a)의 제 1 구멍(A1)의 중심은 제 2 블랭크(10b)의 인접한 구멍(A2)의 중심으로부터 치수(D3)만큼 이격되고, 치수(D3)는 치수(Dc)와 치수(z)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D3 = Dc + z). 각 물품들(B)의 원통 축선은 유사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 1 블랭크(10a)의 제 1 구멍(A1)의 중심은 제 3 블랭크(10c)의 인접한 구멍(A5)의 중심으로부터 치수(D2)만큼 이격되고, 치수(D2)는 치수(Dc)와 치수 z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D2 = Dc + z). 각 물품들(B)의 원통 축선은 유사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 1 보유 구조(RT1)의 절단선(26)은 제 3 보유 구조(RT1)의 절단선(26)으로부터 적어도 거리(x)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각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의 절단선(26)은 인접한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의 절단선(26)으로부터 적어도 거리(x)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구멍(A1, A2, A3, A4, A5, A6) 중 하나의 중심과 구멍(A1, A2, A3, A4, A5, A6)을 둘러싸는 탭(16, 18, 20) 각각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치수(Rs)로 주어진다. 탭(16, 18, 20) 각각의 외측 단부는 방사상 절단선(11)의 원위 단부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거리(Rs)는 물품(B)의 최대 직경(Dc)의 절반 이하이다(Rs ≤ 1/Dc). 거리(Rs)는 구멍(A1, A2, A3, A4, A5, A6)의 최대 직경(Da)의 절반보다 크다(Ra > 1/2Da).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은 각각 구멍(A1, A2, A3, A4, A5, A6) 각각으로부터 그리고 각각의 구멍(A1, A2, A3, A4, A5, A6)과 관련된 복수의 물품 맞물림 탭(16, 18, 2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개구(opening)를 획정한다. 상기 개구는 내부에 수용될 물품(B)의 최대 직경(Dc)보다 작을 수 있는 직경 또는 최대 측방향 치수를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블랭크(10a, 10b, 10c, 10d)의 각 모서리는 둥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둥근 모서리는 모서리 반경(Rb)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모서리 반경(Rb)은 물품(B)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크다(Rb > 1/2Dc). 일부 실시 예에서, 모서리 반경(Rb)는 물품(B)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1/8 인치(3.175mm) 더 크고, 다른 실시 예에서 모서리 반경(Rb)은 물품(B)의 최대 직경(Dc)절반보다 1/8 인치(3.175mm)를 초과하여 더 크다.
치수(D2, D3)는 일반적으로 모서리 반경(Rb)의 두 배가 될 수 있다(D2 = D3
Figure pct00001
2Rb).
치수(D2, D3)는 치수(D1)보다 크다(D1 < D2; D1 < D3).
손잡이 구멍들(H)은 각각 4개의 인접하게 배치된 물품(B) 사이의 공극과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손잡이 구멍들(H)은 각각 메인 패널(12)의 에지를 획정하는 윤곽을 포함한다.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 각각은 연결 브릿지 부분 또는 연결 닉(42)에 의해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 중 인접하게 배치된 블랭크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인접하게 배치된 블랭크들은 블랭크(10a, 10b, 10c, 10d)의 외측 에지의 짧은 선형 섹션(40)(도 2 참조)에 걸쳐 접촉할 수 있다.
블랭크(10)로부터 캐리어(90)의 구성으로 돌아가면,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가 물품(B)의 복수 그룹에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는 물품(B)의 그룹들에 대해 낮아진다.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 각각의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 각각은 물품(B)의 그룹들 중 하나의 각각의 물품(B)과 정렬된다. 물품(B)의 일부는 메인 패널(12)을 통과한다. 물품 보유 구조(RT1, RT2, RT3, RT4, RT5, RT6)의 각각의 탭(16, 18, 20)은 메인 패널(12)의 평면 밖으로 접히고 물품(B)의 차임(C)(이것은 플랜지(F)를 제공할 수 있음, 도 4 참조) 아래에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탭(16, 18, 20)은 물품(B)를 잡거나 유지하고 물품(B)이 메인 패널(12)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한다. 조립된 캐리어(9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블랭크(10a, 10b, 10c, 10d) 각각은 상부 맞물림 캐리어(90)를 형성하며, 그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각 물품(B)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는 구멍(A1, A2, A3, A4, A5)을 포함하는 메인 패널(12)을 포함한다. 메인 패널(12)은 제 1 및 제 2 구멍(A1, A2, A3, A4, A5, A6)의 각각의 주위에 형성된 일련의 환형 탭(16, 18, 20)을 더 포함한다. 일련의 환형 탭(16, 18, 20) 각각은, 물품(B)을 지탱하도록 물품(B)이 각각의 구멍(A1, A2, A3, A4, A5, A6) 안으로 수용될 때, 탭(16, 18, 20)이 접힘 선(31)을 중심으로 메인 패널(12)의 평면 밖으로 구부려지도록 메인 패널(12)에 연결된다.
캐리어(90)의 또 다른 선택적인 특징은, 일단 블랭크(10a, 10b, 10c, 10d)의 각각이 복수의 블랭크(10a, 10b, 10c, 10d)로부터 분리되면, 메인 패널(12)이 캐리어(90)의 다른 부분이 연결되지 않은 둘레에 의해 획정되는 것이다. 즉, 캐리어(90)는 다른 패널에, 예를 들면 물품 그룹의 측면들 주위로 연장되는 측면 또는 단부 벽 패널 등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메인 패널(12)의 둘레는 자유로운, 절단된 또는 힌지되지 않은 에지에 의해 전체적으로 획정된다.
캐리어(90)의 또 다른 선택적인 특징은, 메인 패널(12)이 볼록하게 만곡된 모서리와 오목하게 만곡된 모서리를 포함하는 둘레에 의해 획정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볼록하게 만곡된 모서리의 곡률 반경은 상기 오목하게 만곡된 모서리의 곡률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개시는 개선된 물품 보유 구조를 갖는 상부 맞물림 유형의 캐리어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보유 구조는 물품 삽입시 구부려지는 물품 맞물림 탭들을 포함한다. 이 탭들은 물품과 맞물려 물품을 캐리어의 패널 내에 유지하거나 고정한다. 탭들의 구조는 캐리어 패널 내에서 탭들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가장 큰 응력을 받는 탭, 일반적으로 패널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거나 인접한 보유 구조의 탭에 매우 근접한 탭에는 절단선 형태의 응력 완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상기 절단선은 탭의 측면 에지에 근접하게 제공되며, 탭이 잘려지거나 형성되는 패널과 탭 사이의 접힘선을 중단하거나 획정한다.
탭의 치수는 캐리어의 패널에서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높은 응력 영역에 배치된 탭은 더 적은 응력을 받는 탭보다 너비가 더 작을 수 있다.
캐리어는 유사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블랭크와 동시에 한 그룹의 물품에 적용되도록 구성된 한 블랭크로부터 형성된다. 블랭크 및 추가 블랭크는 각각의 물품 그룹들에 적용시 서로 분리 가능하다. 블랭크는 수용되는 물품 그룹을 둘러싸는 경계 또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돌출 에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천정", "바닥", "베이스", "전면", "후면", "단부", "측면", "내측", "외측", "상부" 및 "하부"와 같은 방향 참조는 각각의 패널을 그러한 배향으로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이들 패널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힌지 연결" 및 "접힘선"은 블랭크의 힌지 특징부를 한정하거나, 블랭크의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블랭크에 대해 최적의 패널 접힘 위치를 나타내는 모든 종류의 선을 지칭한다. "힌지 연결"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반드시 단일의 접힘선만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제로, 힌지 연결은 2개 이상의 접힘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접힘선 각각은 모양이 직선형/선형 또는 만곡형/곡선형일 수 있다. 선형 접힘선이 힌지 연결을 형성할 때, 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서로에 대해 약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곡선형 접힘선이 힌지 연결을 형성할 때, 이들은 곡선형 접힘선들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형상화된 패널을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연결의 전형적인 예는 2개의 지점에서 교차하여 그 사이에 타원형 패널을 형성하는 한 쌍의 호형 접힘선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연결은 하나 이상의 선형 접힘선 및 하나 이상의 곡선형 접힘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연결의 전형적인 예는 2개의 지점에서 교차하여 반달 모양의 패널을 그 사이에 형성하는 선형 접힘선과 호형 접힘선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접힘선"은 다음 중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자국낸 선(scored line), 양각 새김선, 음각 새김선, 천공들의 선, 짧은 슬릿들의 선, 하프-컷(half-cuts)들의 선, 단일 하프-컷, 중단된 절단선(interrupted cutline), 정렬된 슬릿들의 선, 자국들의 선 및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
힌지 연결 및 접힘선은 각각, 천공, 천공들의 선, 짧은 슬릿들의 선, 하프-컷들의 선, 단일 하프-컷, 절단선, 중단된 절단선, 슬릿들, 자국들,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포함하여 블랭크의 기재에 형성되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요소들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및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들의 선은 접힘선 및/또는 분리선을 형성하는 약함 정도로 치수를 정하거나 설계할 수 있다. 이 천공들의 선은 접힘을 용이하게 하고 파단을 견디거나, 접힘을 용이하게 하고 더 많은 노력에 의한 파단을 용이하게 하거나, 적은 노력으로의 파단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렬된(in registry with)"의 문구는 세워진 카톤에서 2개 이상의 요소, 예를 들면 두 개의 겹치는 패널들 중 제1 패널에 형성된 구멍과 두 개의 겹치는 패널들 중 제2 패널에 형성된 제2 구멍의 정렬을 지칭한다. 서로 정렬된 상기 요소들은 겹치는 패널들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의 구멍이 제1 패널과 겹쳐진 배열로 배치되는 제2 패널의 제2 구멍과 "정렬되는" 경우, 구멍의 에지는 제2 구멍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패널의 두께의 방향에서, 제2 구멍과 정렬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각각 상부 맞물림 캐리어를 형성하는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들은 행렬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함께 연결되며, 각각의 블랭크는 복수의 상부-수용 구멍을 가지며, 제1 블랭크의 구멍들 중 2개의 인접한 구멍의 각각의 중심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1 블랭크의 모서리 구멍의 중심과 제2 블랭크의 인접한 모서리 구멍의 중심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작으며, 제1 거리(D1)는 제1 블랭크의 상기 모서리 구멍의 중심과 제3 블랭크의 인접한 모서리 구멍의 중심 사이의 제3 거리(D3)보다 작은,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거리(D1)는 제1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과 대체로 동일한,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블랭크의 모서리 반경(Rb)은 상기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큰,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반경(Rb)은 상기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1/8 인치(3.175mm) 이상 더 큰,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D2)는 상기 제3 거리(D3)와 대체로 동일한,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거리(D2, D3) 각각은 각각의 블랭크의 모서리 반경(Rb)의 2배와 대체로 동일한,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
  7. 제 1 항에 있어서,
    제4 거리(Rs)가 각각의 탭-정의 요소의 외측 단부와 각각의 구멍의 중심 사이에 정의되고, 제4 거리(Rs)는 상기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 이하인,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
  8. 제 1 항에 있어서,
    손가락 구멍의 윤곽상의 임의의 지점은 상기 손가락 구멍을 둘러싸는 상기 구멍들 중 임의의 하나의 중심 주위에서 최대 직경의 절반(1/2Dc)과 동일한 반경에 의해 획정된 영역 외부에 배치되는, 한 세트의 연결된 블랭크들.
  9. 상부 맞물림 캐리어를 형성하는 블랭크로서,
    상기 블랭크는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들 중 2개의 인접한 구멍의 중심 사이의 제1 거리(D1)는 상기 물품의 최대 직경(Dc)과 대체로 동일하고 상기 블랭크의 모서리 반경(Rb)은 상기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큰, 블랭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모서리 반경(Rb)은 상기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보다 1/8 인치(3.175mm) 이상 더 큰, 블랭크.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4 거리(Rs)가 각각의 탭-정의 요소의 외측 단부와 각각의 구멍의 중심 사이에 정의되고, 제4 거리(Rs)는 상기 블랭크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물품의 최대 직경(Dc)의 절반 이하인, 블랭크.
  12.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멍의 최대 직경(Da)이 상기 물품의 상단 직경(Dn)보다 작은, 블랭크.
  13. 제 9 항에 있어서,
    손가락 구멍의 윤곽상의 임의의 지점은 상기 손가락 구멍을 둘러싸는 상기 구멍들 중 임의의 하나의 중심 주위에서 최대 직경의 절반(1/2Dc)과 동일한 반경에 의해 획정된 영역 외부에 배치되는, 블랭크.
KR1020207035624A 2018-05-16 2019-05-15 연결된 블랭크 세트 및 블랭크 KR20210010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2170P 2018-05-16 2018-05-16
US62/672,170 2018-05-16
PCT/US2019/032407 WO2019222341A1 (en) 2018-05-16 2019-05-15 Set of connected blanks and bl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883A true KR20210010883A (ko) 2021-01-28

Family

ID=6665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624A KR20210010883A (ko) 2018-05-16 2019-05-15 연결된 블랭크 세트 및 블랭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1261014B2 (ko)
EP (1) EP3793916A1 (ko)
JP (1) JP2021524423A (ko)
KR (1) KR20210010883A (ko)
CN (1) CN112399951B (ko)
AU (1) AU2019271191A1 (ko)
BR (1) BR112020023370A2 (ko)
CA (1) CA3100500A1 (ko)
CL (1) CL2020002972A1 (ko)
MX (1) MX2020012353A (ko)
WO (1) WO2019222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33049A (ja) * 2018-07-27 2021-12-02 ウエストロック・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 カートンおよびそのためのブランク
DE202019106962U1 (de) 2019-12-13 2020-01-16 Karl Knauer Kg Zuschnitt für eine Aufnahmevorrichtung für Getränkeverpackungen
US11608225B2 (en) * 2020-01-20 2023-03-21 John MANNINEN Container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laying recyclable objects
USD980069S1 (en) 2020-07-14 2023-03-07 Ball Corporation Metallic dispensing lid
USD996981S1 (en) * 2020-07-17 2023-08-29 Fishbone Packaging Inc. Container carrier
CA3218629A1 (en) * 2021-05-13 2022-11-17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Article carriers and blank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2364A (en) * 1963-11-20 1967-02-07 Burton Machine Corp John Apparatus for applying carriers to bottles and the like
US4518081A (en) * 1983-02-18 1985-05-21 Larosiere Pierre J De Multi-unit tear-away container carrier
AU4044993A (en) * 1992-04-17 1993-11-18 Imperial Packaging, Inc. Multiple container carriers and machine for installing carriers on containers
US5551566A (en) * 1995-04-06 1996-09-03 Riverwood International Corporation Can clip carrier
SE522020C2 (sv) * 2001-07-03 2004-01-07 Smurfit Munksjoe Packaging Ab Bärbar hållare av papp
WO2017192472A1 (en) * 2016-05-02 2017-11-09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Blank for forming an article carrier
CA2984682A1 (en) * 2017-02-03 2018-08-03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Carton and blank therefor
CA3052447A1 (en) * 2017-02-03 2018-08-09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Carton and blank therefor
CN207417510U (zh) * 2017-11-03 2018-05-29 泉州亿达家用电器实业有限公司 瓶盖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99951B (zh) 2023-01-13
US11261014B2 (en) 2022-03-01
US20240034533A1 (en) 2024-02-01
US11780661B2 (en) 2023-10-10
MX2020012353A (es) 2021-04-28
WO2019222341A1 (en) 2019-11-21
CN112399951A (zh) 2021-02-23
EP3793916A1 (en) 2021-03-24
CA3100500A1 (en) 2019-11-21
AU2019271191A1 (en) 2020-12-03
BR112020023370A2 (pt) 2021-02-09
US20210229886A1 (en) 2021-07-29
US20220177210A1 (en) 2022-06-09
JP2021524423A (ja) 2021-09-13
CL2020002972A1 (es)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6550B2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CN110520367B (zh) 纸盒及其坯件
KR20210010883A (ko) 연결된 블랭크 세트 및 블랭크
KR20190002623A (ko) 물품 캐리어용 블랭크
KR20230028366A (ko) 물품 캐리어 및 블랭크
WO2021188751A1 (en) Package,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for
JP2023520368A (ja) 物品のキャリアおよびそのためのブランク
KR20210037678A (ko) 카톤 및 카톤용 블랭크
US20220396406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11987434B2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30322458A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KR20240044436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KR20230162655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KR20230095063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KR20220041103A (ko) 물품 캐리어 및 이를 위한 블랭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