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 및 실시예
다음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될 수 있는 화합물의 예를 나타낸다. 화합물 중 일부가 생물학적 검정(biological assay)에서 또한 시험되었고, 결과는 아래에 나타나 있다. 화합물은 메탈로-베타-락타마아제의 억제제로서 활성을 보여주므로, 감염, 특히, 항생제 내성 감염의 치료에 유용하다.
일반 실험
밀봉된 바이알에서 Biotage Initiator+™ 마이크로파 합성기(microwave synthesizer)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파 지원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 문서 전반에서 다음의 약어가 사용되었다:
Bn - 벤질
Boc -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Cbz - 카르복시벤질
DCM - 디클로로메탄
DME - 1,2-디메톡시에탄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 디메틸 설폭사이드
HBTU -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리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인산염
Hoveyda-Grubbs Catalyst® 2세대 - 디클로로[1,3-비스(2,4,6-트리메틸페닐)-2-이미다졸리디닐리덴](2-이소-프로폭시페닐메틸렌)루테늄(II)
NMP - 1-메틸-2-피롤리디논
Pd(dppf)Cl2 -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SEM -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XPhos Pd G2 - 클로로(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분석 방법
모든 1H 및 19F NMR 스펙트럼은 5mm QNP를 갖는 Bruker AVI 500에서 수득하였다. 화학적 이동은 백만분율(δ)로 표시되고, 용매를 기준으로 한다. 결합 상수 J는 헤르츠(Hz)로 표시된다.
LC-MS는 아래에 상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Waters Alliance ZQ(방법 A, B, C 및 E) 또는 Waters Acquity H-class UPLC(방법 D)에서 수득하였다. 파장은 254 및 210 nm이었다.
방법 A
칼럼: YMC-Triart C18, 2.0 × 50 mm, 5 ㎛. 유속: 0.8 mL/분. 주입 부피: 6 ㎕
이동상: A = 물, B = 아세토니트릴, C = 1:1의 물:아세토니트릴 + 1.0% 포름산
방법 B
칼럼: YMC-Triart C18, 2.0 × 50 mm, 5 ㎛. 유속: 0.8 mL/분. 주입 부피: 6 ㎕
이동상: A = 물, B = 아세토니트릴, C = 1:1의 물:아세토니트릴 + 1.0% 암모니아(aq.)
방법 C
칼럼: YMC-Triart C18, 2.0 × 50 mm, 5 ㎛. 유속: 0.8 mL/분. 주입 부피: 6 ㎕
이동상: A = 물, B = 아세토니트릴, C = 1:1의 물:아세토니트릴 + 1.0% 포름산
방법 D
칼럼: CSH C18, 2.1 × 100 mm, 1.7 ㎛. 유속: 0.6 mL/분. 주입 부피: 5 ㎕
이동상: A = 물 + 0.1% 포름산, B = 아세토니트릴 + 0.1% 포름산
방법 E
칼럼: YMC-Triart C18, 2.0 × 50 mm, 5 ㎛. 유속: 0.8 mL/분. 주입 부피: 6 ㎕
이동상: A = 물, B = 아세토니트릴, C = 1:1의 물:아세토니트릴 + 1.0% 암모니아(aq.)
분취용 HPLC 크로마토그래피는 아래에 상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Waters Auto Lynx 질량 유도 분획 수집기(Mass Directed Fraction Collector)를 사용해서 실행되었다.
방법 A
칼럼: CSH C18, 30 × 100 mm, 5 ㎛. 유속: 80 mL/분. 주입 부피: 2500 ㎕.
실행 시간: 6.5분(아래의 기울기 범위(gradient range)) 다음에 1.25분 95%(A에서 %B).
이동상: A = 물 + 0.1% 포름산, B = 아세토니트릴 + 0.1% 포름산
중간체 1: [(벤질옥시)카르보닐]({[4-(디메틸이미뉴밀)-1,4-디하이드로피리딘-1-일]설포닐})아자니드(azanide)
DCM(200 mL) 중의 벤질 알코올(12.0 mL, 116 mmol)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10.0 mL, 115 mmol)를 적가하였다.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8.0 g, 230 mmol)을 소량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DCM(200 mL)으로 희석하고, 물(3 × 20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3.9 g, 96%).
1H NMR (500 MHz, DMSO-d 6) δ 8.44-8.52 (m, 2H), 7.28-7.37 (m, 3H), 7.24-7.27 (m, 2H), 6.93-6.97 (m, 2H), 4.87 (s, 2H), 3.23 (s, 6H).
LC-MS(방법 A): RT = 2.54분, m/z = 336.0 [M + H]+.
중간체 2:
tert
-부톡시카르보닐-[(4-디메틸이미니오-1-피리딜)설포닐]아자니드
DCM(200 mL) 중의 tert-부틸 알코올(4.41 mL, 46.1 mmol)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4.0 mL, 46.1 mmol)를 적가하였다.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1.3 g, 92.1 mmol)을 소량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DCM(100 mL)으로 희석하고, 물(3 × 10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32 g, 53%).
1H NMR (500 MHz, DMSO-d 6) δ 8.42-8.48 (m, 2H), 7.03-7.09 (m, 2H), 3.22 (s, 6H), 1.26 (s, 9H).
LC-MS(방법 A): RT = 2.10분, m/z = 302.1 [M + H]+.
중간체 3: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
H
-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
단계 A: 벤질 1-(벤젠설포닐)-3-브로모-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무수 THF(150 mL) 중의 디이소프로필아민(11.7 mL, 83.5 mmol) 용액을 -78℃로 냉각시킨 다음, n-부틸리튬 용액(헥산 중 2.5 M, 26.7 mL, 66.8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10℃로 가온한 다음, -78℃로 즉시 냉각시켰다. 그 다음에, 무수 THF(50 mL) 중의 1-(벤젠설포닐)-3-브로모-1H-피롤(15.9 g, 55.6 mmol) 용액을 적가하였다.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무수 THF(50 mL) 중의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용액(14.3 mL, 100 mmol)을 90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50 mL)을 적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칭(quench)시킨 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혼합물을 추가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00 mL)으로 희석한 후, 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3 ×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2 × 100 mL), 브라인(brine)(1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gradient elution)}로 정제하여 오렌지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4.4 g, 62%).
추가 재료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에 의해 제1 칼럼에서 즉시 실행된 혼합 분획(mixed fraction)의 재정제에 의해 분리되어 무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5.84 g, 25%).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7.88-7.92 (m, 2H), 7.59-7.64 (m, 1H), 7.56 (d, J=3.47 Hz, 1H), 7.46-7.51 (m, 2H), 7.32-7.40 (m, 5H), 6.39-6.42 (m, 1H), 5.27 (s, 2H).
LC-MS(방법 A): RT = 4.03분, m/z = 419.9/421.9 [M + H]+.
단계 B: 벤질 3-브로모-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무수 THF(150 mL) 중의 벤질 1-(벤젠설포닐)-3-브로모-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0.2 g, 48.1 mmol) 용액에 플루오르화 테트라부틸암모늄 용액(THF 중의 1M, 57.7 mL, 57.7 mmol)을 적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200 m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3 ×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2 × 200 mL), 브라인(2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에 이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DCM, 90:1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 이에 이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THF,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방치시 고형화되는 무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0.27 g, 76%).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9.31 (br s, 1H), 7.45-7.48 (m, 2H), 7.32-7.40 (m, 3H), 6.84 (t, J=3.15 Hz, 1H), 6.34 (t, J=2.84 Hz, 1H), 5.35 (s, 2H).
LC-MS(방법 A): RT = 3.52분, m/z = 278.1/280.1 [M - H]-.
단계 C: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
무수 THF(100 mL) 중의 벤질 3-브로모-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0.27 g, 36.7 mmol)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0℃로 냉각시킨 다음,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2.20 g, 55.0 mmol)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 [(벤질옥시)카르보닐]({[4-(디메틸이미뉴밀)-1,4-디하이드로피리딘-1-일]설포닐})아자니드(13.5 g, 40.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0℃로 냉각시킨 후, 물(100 mL)을 적가하여 반응을 ??칭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3 ×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메탄올, 50:50:0에서 0:100:0, 0:100:0에서 0:90:1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황갈색(tan)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0.5 g, 56%).
1H NMR (500 MHz, DMSO-d 6) δ 7.51-7.56 (m, 2H), 7.26-7.35 (m, 9H), 6.18 (d, J=3.15 Hz, 1H), 5.22 (s, 2H), 4.85 (s, 2H).
LC-MS(방법 A): RT = 3.31분, m/z = 491.0/493.0 [M - H]-.
중간체 4: 벤질 3-(4-피페리딜)-1
H
-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단계 A: tert-부틸 4-(2-벤질옥시카르보닐-1H-피롤-3-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아르곤하에 무수 NMP(10 mL) 중의 tert-부틸 4-에티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422 ㎕, 4.78 mmol)와 벤질 2-이소시아노아세테이트(1.26 g, 7.17 mmol)의 용액에 탄산은(silver carbonate)(132 mg, 478 μ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8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물(100 mL)로 희석하고, 디에틸 에테르(2 × 50 mL)로 추출한 다음, 아세트산에틸(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2 × 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5:25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검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40 mg, 40%).
1H NMR (500 MHz, CDCl3) δ 8.97 (s, 1H), 7.30-7.40 (m, 5H), 6.85 (t, J=2.8 Hz, 1H), 6.15 (t, J=2.8 Hz, 1H), 5.29 (s, 2H), 4.10-4.20 (m, 2H), 3.32 (s, 1H), 2.60-2.80 (m, 2H), 1.81 (br d, J=12.6 Hz, 2H), 1.50-1.60 (m, 2H), 1.50 (s, 9H).
LC-MS(방법 A): RT = 3.95분, m/z = 385.2 [M + H]+
단계 B: 벤질-3-(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1,4-디옥산(4.72 mL, 18.9 mmol) 중의 4M HCl을 실온에서 DCM(5 mL, 메탄올 몇 방울) 중의 tert-부틸 4-(2-벤질옥시카르보닐-1H-피롤-3-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850 mg, 2.21 mmol) 용액에 첨가하였다. 18시간 후, 모든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 제거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697 mg, 98%).
1H NMR (500 MHz, DMSO-d6) δ = 11.73 (br s, 1H), 8.87 (br s, 1H), 8.71 (br s, 1H), 7.49-7.30 (m, 5H), 6.94 (t, J=2.4 Hz, 1H), 6.10 (t, J=2.4 Hz, 1H), 5.28 (s, 2H), 3.35-3.24 (m, 3H), 2.88-2.75 (m, 2H), 1.94-1.83 (m, 2H), 1.81-1.67 (m, 2H).
LC-MS(방법 A): RT = 2.25분, m/z = 285.2 [M + H]+.
중간체 5: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단계 A: tert-부틸-4-[2-벤질옥시카르보닐-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3-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염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2.34 g, 48.9 mmol)을 THF(50 mL)에 첨가하고, 질소하에 -10℃로 냉각시켰다. 냉각되면, THF(30 mL)에 용해된 tert-부틸 4-(2-벤질옥시카르보닐-1H-피롤-3-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6.26 g, 16.3 mmol)를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하면, 반응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후 -10℃로 냉각시켰다. -10℃로 온도를 유지하면서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4.47 g, 17.9 mmol)를 소량씩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하면, 혼합물을 -1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물(40 mL)과 브라인(40 mL)으로 반응을 조심스럽게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2 × 150 mL)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약 10 mL의 아세트산에틸이 남을 때까지 용매를 증발시켰다.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100 mL)로 희석하여 고체를 제공하고, 이를 여과하기 전에 10분 동안 교반하여 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4.6 g, 38%).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방법 B): RT = 3.24분, m/z = 596.5 [M - H]-.
단계 B: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tert-부틸-4-[2-벤질옥시카르보닐-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3-일]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4.6 g, 7.70 mmol)을 1,4-디옥산(20 mL) 중의 4M HCl에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4-디옥산(20 mL)으로 희석하고, 여과하였다. 그 다음에, 여액을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여 고체를 제공하고, 이를 질소의 흐름으로 덮으면서 진공 여과로 건조시켜 황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70 g, 81%).
1H NMR (500 MHz, DMSO-d6) δ 8.65 (br s, 1H), 8.40 (br s, 1H), 7.50 (br d, J=6.9 Hz, 2H), 7.3-7.4 (m, 9H), 6.12 (br s, 1H), 5.27 (s, 2H), 5.00 (s, 2H), 3.3-3.2 (m, 2H), 3.1-3.0 (m, 1H), 2.7-2.6 (m, 2H), 1.8-1.6 (m, 4H).
LC-MS(방법 B): RT = 3.24분, m/z = 498.2 [M + H]+.
중간체 6: {[3-브로모-2-(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
H
-테트라졸-5-일)-1
H
-피롤-1-일]설포닐}[(tert-부톡시)카르보닐]아자니드화 나트륨 및 {[3-브로모-2-(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2
H
-테트라졸-5-일)-1
H
-피롤-1-일]설포닐}[(tert-부톡시)카르보닐]아자니드화 나트륨
단계 A: 5-(3-브로모-1H-피롤-2-일)-1H-테트라졸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1.08 g, 16.6 mmol)을 프로판-2-올(20 mL)과 물(40 mL) 중의 3-브로모-1H-피롤-2-카르보니트릴(1.42 g, 8.3 mmol)과 염화아연(570 mg, 4.2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질소하에서 17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지드화나트륨(1.08 g, 16.6 mmol)으로 재충전하고, 100℃에서 17시간 동안 더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지드화나트륨(1.08 g, 16.6 mmol)으로 재충전하고, 100℃에서 20시간 동안 더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지드화나트륨(500 mg, 8.0 mmol)으로 재충전하고, 100℃에서 20시간 동안 더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80 mL) 중의 수산화나트륨(8.36 g)과 아질산나트륨(11.04 g)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으로 조심스럽게 ??칭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디에틸 에테르(2 × 50 mL)로 추출하였다. 수성 층을 수집하고, 아세트산에틸(60 mL)로 희석하고, 0℃로 냉각시키고, 6M HCl(aq)(pH 14 내지 pH 1)을 적가하여 산성화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아세트산에틸(2 × 40 mL)로 추가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원래의 유기 층과 합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DMF(30 mL)를 여액에 첨가하고, 감압하에 아세트산에틸을 제거하여 DMF 중의 용액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방법 E): RT = 1.19분, m/z = 212.1/214.1 [M - H]-.
단계 B: 5-(3-브로모-1H-피롤-2-일)-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테트라졸 및 5-(3-브로모-1H-피롤-2-일)-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
탄산칼륨(5.04 g, 36.8 mmol)과 2-(클로로메톡시에틸)트리메틸실란(2.19 mL, 12.5 mmol)을 DMF(30 mL) 중의 5-(3-브로모-1H-피롤-2-일)-1H-테트라졸(1.78 g, 8.3 mmol, 단계 A)로부터의 추정된 정량 수득률)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하에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60 mL)로 ??칭시키고, 수성 층을 아세트산에틸(4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브라인과 물의 1:1 용액(2 × 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재료를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0-20% 아세트산에틸/석유 에테르의 기울기)로 정제하여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08 mg, 38%).
LC-MS(방법 A): RT = 3.44분, m/z = 342.1/344.1 [M - H]- 및 RT = 3.58분, m/z = 342.1/344.1 [M - H]-.
단계 C: {[3-브로모-2-(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tert-부톡시)카르보닐]아자니드화 나트륨 및 {[3-브로모-2-(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tert-부톡시)카르보닐]아자니드화 나트륨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109 mg, 2.7 mmol)을 무수 THF(20 mL) 중의 5-(3-브로모-1H-피롤-2-일)-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테트라졸과 5-(3-브로모-1H-피롤-2-일)-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625 mg, 1.82 mmol)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하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ert-부톡시카르보닐-[(4-디메틸이미니오-1-피리딜)설포닐]아자니드(657 mg, 2.18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70℃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 mL)로 ??칭시키고, 감압하에 휘발성 유기물을 제거하였다. 남아 있는 수용액을 아세트산에틸(3 × 3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재료를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5-100% 아세트산에틸/석유 에테르에 이어 0-20% 메탄올/아세트산에틸의 기울기)로 정제하여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514 mg, 52% ).
LC-MS(방법 A): RT = 3.29분, m/z = 521.1/523.1 [M - H]- 및 RT = 3.90분, m/z = 521.1/523.1 [M - H]-.
중간체 7:
tert
-부틸 3-(
tert
-부틸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단계 A: 1-(벤젠설포닐)피롤-3-설포닐 염화물
아세토니트릴(100 mL) 중의 1-(벤젠설포닐)피롤(10 g, 48.3 mmol)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클로로설폰산(6.43 mL, 96.5 mmol)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염화티오닐(3.87 mL, 53.1 mmol)을 적가한 다음,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추가 염화티오닐(704 ㎕, 9.65 mmol)을 첨가한 다음, 1시간 동안 더 환류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얼음(500 g)에 조심스럽게 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칭시켰다. 소결 깔때기(sintered funnel)에서 진공 여과에 의해 침전된 고체를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암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2.1 g, 82%).
1H NMR (500 MHz, DMSO-d 6) δ 8.0-8.0 (m, 2H), 7.7-7.8 (m, 1H), 7.6-7.7 (m, 2H), 7.26 (dd, J=2.4, 3.3 Hz, 1H), 7.17 (dd, J=1.6, 2.5 Hz, 1H), 6.31 (dd, J=1.6, 3.2 Hz, 1H).
LC-MS(방법 A): RT = 3.51분, m/z = 304.1/306.1 [M - H]-.
단계 B: N-tert-부틸-1H-피롤-3-설폰아미드
THF(40 mL) 중의 1-(벤젠설포닐)피롤-3-설포닐 염화물(12.1 g, 39.6 mmol) 용액에 tert-부틸아민(10.4 mL, 98.9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물(80 mL)로 희석한 다음, 수산화리튬 일수화물(4.15 g, 98.9 mmol)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70℃로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2M HCl(aq)로 산성화하고, 아세트산에틸(100 mL)로 분배하였다. 2상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아세트산에틸(2 ×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켜 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6.12 g, 76%).
1H NMR (500 MHz, DMSO-d 6) δ 11.35 (br s, 1H), 7.2-7.2 (m, 1H), 6.85 (s, 1H), 6.8-6.8 (m, 1H), 6.29 (dt, J=1.6, 2.7 Hz, 1H), 1.09 (s, 9H).
LC-MS(방법 A): RT = 2.05분, m/z = 201.3 [M - H]-.
단계 C: 1-벤질-N-tert-부틸-피롤-3-설폰아미드
무수 THF(30 mL) 중의 N-tert-부틸-1H-피롤-3-설폰아미드(3.0 g, 14.8 mmol)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712 mg, 17.80 mmol)을 첨가하였다.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 브롬화벤질(2.64 mL, 22.3 mmol)을 첨가한 후, 2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0℃로 냉각시킨 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50 mL)을 적가하여 혼합물을 ??칭시키고, 생성물을 아세트산에틸(3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40 mL)로 연화(triturate)시키고, 고체를 분리하고, 진공 여과에 의해 건조시켜 황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92 g, 67%).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7.3-7.4 (m, 3H), 7.18 (t, J=2.0 Hz, 1H), 7.1-7.1 (m, 2H), 6.6-6.7 (m, 1H), 6.45 (dd, J=1.7, 3.0 Hz, 1H), 5.05 (s, 2H), 4.29 (s, 1H), 1.26 (s, 9H).
LC-MS(방법 A): RT = 3.26분, m/z = 291.3 [M - H]-.
단계 D: tert-부틸 1-벤질-3-(tert-부틸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무수 THF(60 mL) 중의 1-벤질-N-tert-부틸-피롤-3-설폰아미드(2.92 g, 10.0 mmol)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78℃로 냉각시킨 다음, n-부틸리튬 용액(헥산 중 2.5M, 9.99 mL, 25.0 mmol)을 적가하였다.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무수 THF(20 mL) 중의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2.75 mL, 12.0 mmol)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염화암모늄 용액(50 mL)을 적가하여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3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60:4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93 g, 75%).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7.3-7.3 (m, 3H), 6.9-7.0 (m, 2H), 6.74 (d, J=2.8 Hz, 1H), 6.72 (d, J=2.8 Hz, 1H), 5.79 (s, 1H), 5.47 (s, 2H), 1.43 (s, 9H), 1.24 (s, 9H).
LC-MS(방법 A): RT = 3.87분, m/z = 391.3 [M - H]-.
단계 E: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에탄올(20 mL) 중의 tert-부틸 1-벤질-3-(tert-부틸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500 mg, 1.27 mmol), 탄소 상의 20% 수산화팔라듐(179 mg, 127 μmol) 및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136 mg, 64 μmol)의 현탁액에 포름산암모늄(803 mg, 12.7 mmol)을 첨가한 다음, 질소 대기하에 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그 다음에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추가 포름산암모늄(803 mg, 12.7 mmol)을 첨가한 다음, 밤새 가열 환류시켰다. 추가로, 탄소 상의 20% 수산화팔라듐(179 mg, 127 μmol),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136 mg, 63.69 μmol) 및 포름산암모늄(803 mg, 12.7 mmol)을 첨가한 다음, 밤새 가열 환류시켰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DCM(10 mL)에 재용해시키고, 물(1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40:6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00 mg, 52%).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9.21 (br s, 1H), 6.83 (t, J=2.9 Hz, 1H), 6.75 (t, J=2.9 Hz, 1H), 5.91 (s, 1H), 1.61 (s, 9H), 1.22 (s, 9H).
LC-MS(방법 A): RT = 3.29분, m/z = 301.3 [M - H]-.
중간체 8: 1-메틸-
N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
H-
이미다졸-4-설폰아미드
0℃에서 DCM(20 mL) 중의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아닐린(500 mg, 2.28 mmol)과 피리딘(369 ㎕, 4.56 mmol)의 용액에 1-메틸-1H-이미다졸-4-설포닐 염화물(453 mg, 2.51 mmol)을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반응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50 mL)으로 희석하고, 물(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키고, 여과에 의해 고체를 분리하여 연분홍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677 mg, 82%).
1H NMR (500 MHz, DMSO-d 6) δ 10.46 (s, 1H), 7.88 (s, 1H), 7.73 (s, 1H), 7.53-7.48 (m, 2H), 7.18-7.13 (m, 2H), 3,65 (s, 3H), 1.26 (s, 12H).
LC-MS(방법 B): RT = 2.16분, m/z = 364.2 [M + H]+.
중간체 9:
tert
-부틸-
N
-(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설파모일}에틸)카바메이트
단계 A: N-(4-브로모페닐)-2-(1,3-디옥소-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에탄-1-설폰아미드
클로로포름(10 mL) 중의 4-브로모아닐린(1.05 g, 6.12 mmol) 용액에 2-(1,3-디옥소-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에탄-1-설포닐 염화물(500 mg, 1.83 mmol)을 소량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3일 동안 반응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피리딘(148 ㎕, 1.83 mmol)을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50 mL)으로 희석하고, 물(50 mL), 2M HCl(aq)(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고, 여과하고, 석유 에테르로 세척하여 크림 결정(cream crystal)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534 mg, 71%).
1H NMR (500 MHz, CDCl3) δ 7.86 (dd, J=3.1, 5.3 Hz, 2H), 7.76 (dd, J=3.1, 5.3 Hz, 2H), 7.44 (d, J=8.7 Hz, 2H), 7.25-7.17 (m, 3H), 4.07 (t, J=5.9 Hz, 2H), 3.46 (t, J=5.9 Hz, 2H).
LC-MS(방법 B): RT = 2.58분, m/z = 407.1/409.1 [M - H]-.
단계 B: tert-부틸 N-{2-[(4-브로모페닐)설파모일]에틸}카바메이트
80℃에서 에탄올(10 mL) 중의 N-(4-브로모페닐)-2-(1,3-디옥소-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에탄-1-설폰아미드(534 mg, 1.30 mmol) 용액에 히드라진 수화물(140 ㎕, 1.4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에 의해 고체를 제거하고,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농축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DCM(30 mL)에 현탁시킨 후,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344 ㎕, 1.50 mmol)를 첨가하고, 20℃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 건조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50:5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412 mg, 84%).
1H NMR (500 MHz, CDCl3) δ 7.48-7.40 (m, 3H), 7.19 (br d, J=8.4 Hz, 2H), 5.04 (br s, 1H), 3.60 (q, J=5.8 Hz, 2H), 3.26-3.19 (m, 2H), 1.45 (s, 9H).
LC-MS(방법 B): RT = 2.83분, m/z = 377.2/379.2 [M - H]-.
단계 C: tert-부틸-N-(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설파모일}에틸)카바메이트
무수 1,4-디옥산(20 mL) 중의 tert-부틸 N-{2-[(4-브로모페닐)설파모일]에틸}카바메이트(254 mg, 670 μ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340 mg, 1.34 mmol) 및 아세트산칼륨(197 mg, 2.01 mmol) 용액을 아르곤하에 10분 동안 교반한 후, Pd(dppf)Cl2(24.5 mg, 33.5 μ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아세트산에틸(50 mL)과 물(50 mL)로 희석하고, Celite®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아세트산에틸(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60:4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투명한 검으로서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64 mg 미정제 수득률).
1H NMR (500 MHz, CDCl3) δ 7.78 (d, J=8.4 Hz, 2H), 7.25-7.16 (m, 3H), 5.04 (br t, J=6.1 Hz, 1H), 3.58 (br d, J=4.9 Hz, 2H), 3.29-3.19 (m, 2H), 1.44 (s, 9H), 1.34 (s, 12H).
LC-MS(방법 B): RT = 3.29분, m/z = 425.4 [M - H]-.
중간체 10:
tert
-부틸
N
-[(
tert
-부톡시)카르보닐]-
N
-[1-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
H
-1,3-벤조디아졸-2-일]카바메이트
단계 A: tert-부틸 N-(4-브로모-1-메틸-벤즈이미다졸-2-일)-N-tert-부톡시카르보닐 카바메이트
DCM(10 mL) 중의 4-브로모-1-메틸-1H-1,3-벤조디아졸-2-아민(725 mg, 3.21 mmol)의 교반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447 ㎕, 3.21 mmol)과 di-tert-부틸 디카보네이트(1.54 g, 7.06 mmol)를 첨가하였다. 비등(effervescence)이 멈춘 후,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10 mL)로 희석하고, 물(3 ×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키고, 석유 에테르로 연화시켜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12 g, 81%).
1H NMR (500 MHz, CDCl3) δ 7.48 (d, J=7.8 Hz, 1H), 7.30 (d, J=7.6 Hz, 1H), 7.19 (t, J=7.9 Hz, 1H), 3.64 (s, 3H), 1.42 (s, 18H).
단계 B: tert-부틸 N-[(tert-부톡시)카르보닐]-N-[1-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1,3-벤조디아졸-2-일]카바메이트
질소 대기하에 DME(4 mL) 중의 tert-부틸 N-(4-브로모-1-메틸-벤즈이미다졸-2-일)-N-tert-부톡시카르보닐 카바메이트(388 mg, 910 μ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347 mg, 1.37 mmol), 아세트산칼륨(268 mg, 2.73 mmol) 및 Pd(dppf)Cl2(40 mg, 55 μmol) 용액을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해 90℃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추가 Pd(dppf)Cl2(40 mg, 55 μmol)와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347 mg, 1.37 mmol)으로 재충전하고, 2시간 동안 더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에 현탁시키고, Celite®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 건조시킨 다음,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72 mg, 63%).
1H NMR (500 MHz, CDCl3) δ = 7.80 (dd, J=7.3, 1.0 Hz, 1H), 7.42 (dd, J=8.1, 1.0 Hz, 1H), 7.31 (dd, J=8.1, 7.3 Hz, 1H), 3.62 (s, 3H), 1.42 (s, 18H), 1.39 (s, 12H).
중간체 11:
tert
-부틸
N
-
tert
-부톡시카르보닐-
N
-[6-(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2-yl]카바메이트
단계 A: tert-부틸 N-(6-브로모-[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2-일)-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바메이트
아세토니트릴(20 mL) 중의 6-브로모-[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2-아민(1.00 g, 4.69 mmol)의 교반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720 ㎕, 5.16 mmol)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9 mg, 235 μmol)을 첨가한 다음,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2.25 g, 10.3 mmol)를 첨가하였다. 16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20 mL)에 용해시키고, 물(20 mL)과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2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키고, 석유 에테르로 연화시켜 베이지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29 g, 66%).
1H NMR (500 MHz, CDCl3) δ 8.70 (s, 1H), 7.62 (d, J=1.2 Hz, 2H), 1.47 (s, 18H).
단계 B: tert-부틸 N-tert-부톡시카르보닐-N-[6-(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2-일]카바메이트
질소 대기하에 1,4-디옥산(1.5 mL) 중의 Pd(dppf)Cl2(44 mg, 60.5 μmol), 트리페닐포스핀(16 mg, 60.5 μmol) 및 아세트산칼륨(178 mg, 1.81 mmol)의 교반 용액을 90℃에서 약 5분 동안 가열하였다. 1,4-디옥산(2.5 mL) 중의 tert-부틸 N-(6-브로모-[1,2,4]트리아졸로[1,5-a]피리딘-2-일)-N-tert-부톡시카르보닐-카바메이트(500 mg, 1.21 mmol)와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369 mg, 1.45 mmol) 용액을 가하고, 3시간 동안 가열을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5 mL)로 희석하고, Celite®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3 mL), 물(3 mL) 및 브라인(3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61 mg , 46%).
1H NMR (500 MHz, CDCl3) δ 8.88 (s, 1H), 7.81 (dd, J=9.0, 1.1 Hz, 1H), 7.67 (dd, J=8.9, 0.9 Hz, 1H), 1.45 (s, 18H), 1.37 (s, 12H).
실시예 1 (나트륨 염):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
H
-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단계 A: {[3-(6-아미노피리딘-3-일)-2-[(벤질옥시)카르보닐]-1H-피롤-1-일]설포닐}[(벤질옥시)카르보닐]아자니드화 나트륨
1,4-디옥산(1.0 mL)과 물(0.5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100 mg, 0.19 mmol), 6-아미노피리딘-3-보론산(33 mg, 0.24 mmol) 및 탄산 나트륨(64 mg, 0.60 mmol)의 혼합물을 5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여 탈기시킨 다음, Pd(dppf)Cl2(15 mg, 0.02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10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 mL)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3 × 3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3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메탄올, 100:0에서 80:2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켜 황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59 mg, 58%).
1H NMR (500 MHz, DMSO-d 6) δ 7.94 (d, J=1.89 Hz, 1H), 7.53 (dd, J=2.36, 8.67 Hz, 1H), 7.40-7.45 (m, J=3.00, 6.50 Hz, 2H), 7.25-7.35 (m, 9H), 6.63 (br s, 2H), 6.57 (d, J=8.83 Hz, 1H), 6.17 (d, J=3.15 Hz, 1H), 5.14 (s, 2H), 4.85 (s, 2H).
LC-MS(방법 A): RT = 2.68분, m/z = 507.0 [M + H]+.
단계 B: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메탄올(4 mL) 중의 {[3-(6-아미노피리딘-3-일)-2-[(벤질옥시)카르보닐]-1H-피롤-1-일]설포닐}[(벤질옥시)카르보닐]아자니드화 나트륨(59 mg, 0.11 mmol) 용액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25 mg, 0.023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 기압 수소하에 6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40℃에서 건조시켜 연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7 mg, 51%).
1H NMR (500 MHz, DMSO-d 6) δ 9.06 (br s, 2H), 8.04 (dd, J=0.63, 1.58 Hz, 1H), 7.60 (dd, J=2.21, 8.51 Hz, 1H), 7.04 (d, J=3.15 Hz, 1H), 6.37 (dd, J=0.95, 8.51 Hz, 1H), 6.13 (d, J=3.15 Hz, 1H), 5.75 (s, 2H).
LC-MS(방법 C): RT = 1.35분, m/z = 281.1 [M - H]-.
실시예 1 (유리 산):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
H
-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3-(6-아미노-3-피리딜)-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40 mL)과 물(10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2.97 g, 5.76 mmol), 6-아미노피리딘-3-보론산(872 mg, 6.32 mmol) 및 제삼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tribasic)(3.83 g, 18.0 mmol)의 혼합물을 15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여 탈기시킨 다음, XPhos Pd G2(474 mg, 0.60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6시간 동안 45℃로 가열하였다. 추가 6-아미노피리딘-3-보론산(249 mg, 1.81 mmol)을 첨가한 다음, 4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추가 6-아미노피리딘-3-보론산(249 mg, 1.81 mmol)과 XPhos Pd G2(474 mg, 0.60 mmol)를 첨가한 후, 45℃에서 2시간 동안 더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0 mL)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3 ×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DCM(30 mL)으로 연화시키고,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메탄올 중의 1M 암모니아, 100:0에서 80:2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였다. 투명한 칼럼 분획(clean column fractions)의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분리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980 mg, 34%).
1H NMR (500 MHz, DMSO-d 6) δ 13.34 (br s, 1H), 7.94 (d, J=1.6 Hz, 1H), 7.88 (br s, 2H), 7.86 (br dd, J=2.2, 9.1 Hz, 1H), 7.4-7.5 (m, 2H), 7.35 (d, J=3.2 Hz, 1H), 7.2-7.3 (m, 8H), 6.88 (d, J=8.8 Hz, 1H), 6.24 (d, J=2.8 Hz, 1H), 5.15 (s, 2H), 4.85 (s, 2H).
LC-MS(방법 A): RT = 2.64분, m/z = 507.1 [M + H]+.
단계 B: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메탄올(50 mL)과 1,4-디옥산(50 mL)의 혼합물 중의 벤질 3-(6-아미노-3-피리딜)-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980 mg, 1.93 mmol) 용액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165 mg, 0.77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수소 대기하에 6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한 다음, 메탄올 용액 중의 1M 암모니아(50 mL)로 세척하고, 이러한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30 mL)로 연화시키고, 고체를 분리하고, 진공 여과에 의해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445 mg, 81%).
1H NMR (500 MHz, DMSO-d 6) δ 8.20 (br s, 2H), 7.99 (d, J=1.9 Hz, 1H), 7.51 (dd, J=2.4, 8.7 Hz, 1H), 7.38 (d, J=3.5 Hz, 1H), 6.50 (d, J=8.8 Hz, 1H), 6.31 (d, J=3.2 Hz, 1H), 6.29 (br s, 2H).
LC-MS(방법 E): RT = 0.91분, m/z = 281.2 [M - H]-.
유리 산을 나트륨 염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절차
에탄올(5 mL)과 물(2.5 mL)의 혼합물 중의 3-(6-아미노-3-피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500 mg, 1.77 mmol)의 현탁액에 2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886 ㎕, 1.77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에탄올(2 × 50 mL)로 공비혼합(azeotrope)시키고, 감압하에 건조시켜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나트륨 염을 제공하였다(539 mg, 100%).
1H NMR (500 MHz, DMSO-d 6) δ 8.88 (br s, 2H), 8.03 (dd, J=0.8, 2.4 Hz, 1H), 7.59 (dd, J=2.5, 8.5 Hz, 1H), 6.99 (d, J=3.2 Hz, 1H), 6.35 (dd, J=0.9, 8.5 Hz, 1H), 6.08 (d, J=3.2 Hz, 1H), 5.72 (s, 2H).
LC-MS(방법 D): RT = 1.90분, m/z = 283.0 [M + H]+.
나트륨 염을 유리 산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절차
DMSO(0.04 mL) 중의 3-(6-아미노-3-피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10 mg, 0.033 mmol) 용액을 물(0.3 mL)로 희석한 다음, 2M HCl(aq)(0.1 mL, 0.2 mmol)을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 침전된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물(0.2 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4 mg, 43%).
1H NMR (500 MHz, DMSO-d 6) δ 8.19 (br s, 2H), 7.98 (dd, J=0.7, 2.5 Hz, 1H), 7.50 (dd, J=2.4, 8.7 Hz, 1H), 7.38 (d, J=3.2 Hz, 1H), 6.49 (d, J=8.5 Hz, 1H), 6.31 (d, J=3.2 Hz, 1H), 6.25 (br s, 2H).
LC-MS(방법 D): RT = 1.52분, m/z = 283.0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으로부터 출발해서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유리 산 또는 나트륨 염)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 용해성을 돕기 위해, 메탄올 중의 7M 암모니아를 수소화 단계에서 공용매(co-solvent)로 사용하였다.
** (시클로헥스-1-엔-1-일)보론산을 사용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한다.
† 종래의 가열하에 스즈키 커플링(Suzuki coupling) 단계를 수행하였다.
‡ 스즈키 커플링 단계의 워크업 중에 HCl(aq) 세척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4 (유리 산): 3-(2-플루오로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2-플루오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4.0 mL)과 물(1.0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200 mg, 0.39 mmol), (2-플루오로페닐)보론산(60 mg, 0.43 mmol) 및 무수 제삼인산칼륨(247 mg, 1.16 mmol)의 혼합물을 5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여 탈기시켰다. XPhos Pd G2(61 mg, 0.08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45℃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3 ×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2M HCl(aq)(2 × 1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0-100% 아세트산에틸/석유 에테르)로 정제하여 황색의 고체/검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42 mg, 72%).
1H NMR (500 MHz, DMSO-d 6) δ 7.42 (d, J=3.15 Hz, 1H), 7.36-7.29 (m, 7H), 7.27-7.21 (m, 5H), 7.19-7.14 (m, 2H), 6.27 (d, J=2.8 Hz, 1H), 5.10 (s, 2H), 4.97 (s, 2H).
19F NMR (471 MHz, DMSO-d 6) δ -115.27 (s, 1F).
LC-MS(방법 A): RT = 3.07분, m/z = 507.1 [M - H]-.
단계 B: 3-(2-플루오로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메탄올(5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2-플루오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142 mg, 0.28 mmol) 용액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59 mg , 0.028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 기압 수소하에 6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한 다음, 메탄올(2 × 40 mL)로 세척하고, 합한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석유 에테르로 연화시킨 다음, 디에틸 에테르/펜탄으로 여과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8.8 mg, 10%).
1H NMR (500 MHz, DMSO-d 6) δ 9.36 (br s, 2H), 7.38 (td, J=7.2, 1.5 Hz, 1H), 7.27-7.23 (m, 1H), 7.13-7.09 (m, 3H), 6.11 (br d, J=1.6 Hz, 1H).
19F NMR (471 MHz, DMSO-d 6) δ -114.19 (s, 1F).
LC-MS(방법 C): RT = 6.35분, m/z = 283.1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으로부터 출발해서 3-(2-플루오로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 종래의 가열하에 스즈키 커플링 단계를 수행하였다.
† 수성 염화암모늄 세척은 스즈키 커플링 단계의 워크업 중에 HCl 세척을 대체하였다.
†† 물 세척은 스즈키 커플링 단계의 워크업 중에 HCl 세척을 대체하였다.
‡ 용해성을 돕기 위해, 메탄올 중의 7M 암모니아를 수소화 단계에서 공용매로 사용하였다.
‡‡ 용해성을 돕기 위해 1,4-디옥산을 수소화 단계에서 공용매로 사용하였다.
‡‡‡ 수소화 단계는 원치 않는 탈벤질화(debenzylation)를 피하기 위해 15분 반응 시간으로 제한되었다.
실시예 34 (염산염): 3-[4-(피페리딘-4-일)페닐]-1-설파모일-1
H
-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단계 A: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4-{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페닐)-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
1,4-디옥산(1.0 mL)과 물(0.5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100 mg, 0.19 mmol), tert-부틸 4-[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93 mg, 0.24 mmol) 및 탄산나트륨(64 mg, 0.60 mmol)의 혼합물을 5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여 탈기시킨 다음, Pd(dppf)Cl2(15 mg, 0.02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10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 mL)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3 × 3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3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메탄올, 100:0에서 90:1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켜 회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5 mg, 19%).
1H NMR (500 MHz, METHANOL-d 4) δ 7.46 (d, J=3.2 Hz, 1H), 7.18-7.30 (m, 10H), 7.08-7.11 (m, 2H), 7.04-7.08 (m, 2H), 6.19 (d, J=3.2 Hz, 1H), 5.14 (s, 2H), 5.00 (s, 2H), 4.22 (br d, J=12.9 Hz, 2H), 2.89 (br s, 2H), 2.70 (tt, J=3.4, 12.1 Hz, 1H), 1.81 (br d, J=12.6 Hz, 2H), 1.57 (dq, J=4.4, 12.7 Hz, 2H), 1.51 (s, 9H).
LC-MS(방법 A): RT = 4.16분, m/z = 672.2 [M - H]-.
단계 B: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설포닐)-3-[4-(피페리딘-4-일)페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DCM(1.0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4-{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페닐)-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25 mg, 0.036 mmol) 용액에 프로판-2-올(1.0 mL) 중의 5M HC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켜 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1 mg, 94%).
1H NMR (500 MHz, METHANOL-d 4) δ 7.52 (d, J=3.2 Hz, 1H), 7.30-7.35 (m, 5H), 7.22-7.30 (m, 5H), 7.18 (br d, J=7.9 Hz, 2H), 7.08 (br d, J=6.9 Hz, 2H), 6.32 (d, J=3.5 Hz, 1H), 5.18 (s, 2H), 5.18 (s, 2H), 3.54 (br d, J=11.0 Hz, 2H), 3.18 (br t, J=12.0 Hz, 2H), 2.92 (br t, J=11.7 Hz, 1H), 2.08 (br d, J=13.9 Hz, 2H), 1.93 (br q, J=11.9 Hz, 2H).
LC-MS(방법 A): RT = 3.06분, m/z = 574.0 [M + H]+.
단계 C: 3-[4-(피페리딘-4-일)페닐]-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메탄올(2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설포닐)-3-[4-(피페리딘-4-일)페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21 mg, 0.034 mmol) 용액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7 mg, 7 μ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 기압 수소하에 6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키고, 진공하에 40℃에서 건조시켜 연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1 mg, 85%).
1H NMR (500 MHz, DMSO-d 6) δ 13.13 (br s, 1H), 8.96 (br s, 1H), 8.87 (br s, 1H), 8.20 (br s, 2H), 7.41 (d, J=3.2 Hz, 1H), 7.38 (d, J=8.2 Hz, 2H), 7.24 (d, J=8.2 Hz, 2H), 6.36 (d, J=3.2 Hz, 1H), 2.99 (br q, J=11.0 Hz, 2H), 2.86 (tt, J=3.0, 12.20 Hz, 1H), 2.40-2.60 (m, 2H), 1.81-1.99 (m, 4H). 2.40-2.60에서의 다중선(multiplet)은 잔류 DMSO 피크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다.
LC-MS(방법 D): RT = 2.18분, m/z = 350.2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으로부터 출발해서 3-[4-(피페리딘-4-일)페닐]-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 종래의 가열하에 스즈키 커플링 단계를 수행하였다.
**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나트륨 염)에 관해서는 종래의 가열하에 스즈키 커플링 단계를 수행하였다.
† 스즈키 커플링 단계의 워크업 중에 HCl(aq) 세척을 수행하였다.
†† 스즈키 커플링 단계의 워크업 중에 수성 염화암모늄 세척을 수행하였다.
‡ 용해성을 돕기 위해, 메탄올 중의 7M 암모니아를 수소화 단계에서 공용매로 사용하였다.
‡‡ Boc 탈보호 단계를 위해 1,4-디옥산 중의 순수한 4M HCl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8 (유리 산): 3-[4-(1-아세틸피페리딘-4-일)페닐]-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3-[4-(1-아세틸피페리딘-4-일)페닐]-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설포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화아세틸(5.6 ㎕, 77.9 μmol)을 DCM(2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4-피페리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50 mg, 82.0 μmol)과 트리에틸아민(40.0 ㎕, 287 μ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투명한 황색 용액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5 mL)과 물(5 mL)로 ??칭시키고, DCM(3 × 1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방치시 고형화되는 투명한 검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42 mg, 83%).
1H NMR (500 MHz, METHANOL-d 4) δ 7.37 (d, J=3.2 Hz, 1H), 7.29-7.19 (m, 11H), 7.17-7.15 (m, 2H), 7.12-7.11 (m, 2H), 6.17 (d, J=3.2 Hz, 1H), 5.16 (s, 2H), 4.95 (s, 2H), 4.70-4.65 (m ,1H), 4.07-4.02 (m, 1H), 2.79 (tt, J=12.2, 3.6 Hz, 1H), 2.72 (td, J=13.0, 2.4 Hz, 1H), 2.15 (s, 3H), 1.92-1.84 (m, 2H), 1.67 (qd, J=12.7, 4.3 Hz, 1H), 1.57 (qd, J=12.7, 4.3 Hz, 1H). 하나의 양성자는 잔류 용매 피크에 의해 가려진다.
LC-MS(방법 A): RT = 3.43분, m/z = 616.2 [M + H]+.
단계 B: 3-[4-(1-아세틸-4-피페리딜)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메탄올(2 mL) 중의 벤질 3-[4-(1-아세틸-4-피페리딜)페닐]-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42.0 mg, 68.2 μmol) 용액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2 mg, 18.8 μ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 기압 수소하에 5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2 × 10 mL)로 세척하고 여액을 수집하고,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3 × 5 mL)로 연화시키고, 감압하에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9 mg, 57%).
1H NMR (500 MHz, DMSO-d 6) δ 9.06 (br s, 2H), 7.42 (d, J=8.0 Hz, 2H), 7.15 (d, J=8.0 Hz, 2H), 7.06 (br s, 1H), 6.19 (br d, J=3.0 Hz, 1H), 4.55-4.50 (m, 1H), 3.95-3.90 (m, 1H), 3.12 (td, J=13.2, 2.7 Hz, 1H), 2.73 (tt, J=12.0, 3.6 Hz, 1H), 2.55-2.50 (m, 1H), 2.03 (s, 3H), 1.82-1.74 (m, 2H), 1.59 (qd, J=12.6, 4.2 Hz, 1H), 1.43 (qd, J=12.6, 4.2 Hz, 1H). 2.55-2.50에서의 1H 다중선은 DMSO 피크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다.
LC-MS(방법 D): RT = 6.59분, m/z = 390.3 [M - H]-.
실시예 49 (유리 산): 3-[4-[1-(디메틸설파모일)피페리딘-4-일]페닐]-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1-(디메틸설파모일)-4-피페리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화 N,N-디메틸설파모일(30.0 ㎕, 0.28 mmol)을 DMF(5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4-피페리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170 mg, 0.28 mmol)과 트리에틸아민(78 ㎕, 0.56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하에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5 mL)과 2M HCl(aq)(10 mL)로 ??칭시키고, 초음파 처리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원하는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14 mg, 60%). 재료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방법 A): RT = 2.12분, m/z = 681.1 [M + H]+.
단계 B: 3-[4-[1-(디메틸설파모일)피페리딘-4-일]페닐]-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메탄올(5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1-(디메틸설파모일)-4-피페리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114 mg, 0.17 mmol) 용액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36 mg, 0.017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 기압 수소하에 5.5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2 × 10 mL)로 세척하고, 여액을 수집하고,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3 × 5 mL)로 연화시키고, 감압하에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를 제공하였다. 분취용 HPLC(방법 A, 1.78 - 1.90분)를 사용하여 미정제 재료를 정제해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7 mg, 20%).
1H NMR (500 MHz, DMSO-d 6) δ 13.15 (br s, 1H), 8.22 (br s, 2H), 7.38-7.31 (m, 3H), 7.26-7.24 (m, 2H), 6.33 (br s, 1H), 3.70-3.60 (m, 2H), 2.95 (td, J=12.3, 2.2 Hz, 2H), 2.76 (s, 6H), 1.85-1.83 (m, 2H), 1.69-1.61 (m, 3H).
LCMS(방법 C): RT = 7.26분, m/z = 455.2 [M - H]-.
실시예 50 (유리 산): 3-[4-[1-(2-벤질옥시에틸)-4-피페리딜]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1-(2-벤질옥시에틸)-4-피페리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벤질 2-브로모에틸 에테르(130 ㎕, 0.8 mmol)를 DMF(2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4-피페리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430 mg, 0.7 mmol)과 탄산칼륨(292 mg, 2.1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하에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3 ×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1:1의 물:브라인(3 × 15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메탄올, 100:0에서 80:2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98 mg, 60%).
1H NMR (500 MHz, DMSO-d 6) δ 9.24 (br s, 1H), 7.41-7.37 (m, 6H), 7.34-7.25 (m, 12H), 7.17 (d, J=8.1 Hz, 2H), 6.20 (d, J=2.9 Hz, 1H), 5.14 (s, 2H), 4.86 (s, 2H), 4.59 (s, 2H), 3.79-3.76 (m, 2H), 3.61-3.58 (m, 2H), 3.39-3.36 (m, 2H), 3.15-3.07 (m, 2H), 2.80 (br t, J=11.8 Hz, 1H), 2.04-2.01 (m, 2H), 1.95-1.86 (m, 2H).
LC-MS(방법 A): RT = 3.81분, m/z = 708.4 [M + H]+.
단계 B: 3-[4-[1-(2-벤질옥시에틸)-4-피페리딜]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공용매로서 메탄올 중의 7M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1-(2-벤질옥시에틸)-4-피페리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156 mg, 0.22 mmol)를 수소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00 mg, 94%).
1H NMR (500 MHz, DMSO-d 6) δ 12.50 (br s, 1H), 8.65 (br s, 2H), 7.45 (br d, J=8.1 Hz, 2H), 7.39-7.34 (m, 4H), 7.32-7.28 (m, 1H), 7.20-7.09 (m, 3H), 6.23 (d, J=3.2 Hz, 1H), 4.52 (s, 2H), 3.80-3.75 (m, 2H), 3.44-3.37 (m, 2H), 3.11-2.98 (m, 2H), 2.82-2.66 (m, 3H), 1.54 (br s, 4H). 2.82-2.66에서의 다중선은 용매 피크에 의해 가려진다.
LC-MS(방법 A): RT = 3.08분, m/z = 484.2 [M + H]+.
실시예 51 (염산염): 3-[4-(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단계 A: 4-[2-벤질옥시카르보닐-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3-일]벤조산, 나트륨 염
1,4-디옥산(10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504 mg, 976 μmol)과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조산(706 mg, 1.42 mmol)의 용액에 XPhos Pd G2(76 mg, 98 μmol)를 첨가한 다음, 물(3 mL) 중의 제삼인산칼륨(621 mg, 2.93 mmol)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7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DCM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여과에 의해 침전물을 분리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40 mg, 26%).
1H NMR (500 MHz, DMSO-d 6) δ 7.83 (d, J=8.0 Hz, 2H), 7.40-7.37 (m, 4H), 7.34-7.26 (m, 10H), 6.30 (d, J=3.0 Hz, 1H), 5.16 (s, 2H), 4.86 (s, 2H).
LC-MS(방법 B): RT = 3.28분, m/z = 533.3 [M-H]-.
단계 B: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HBTU(106 mg, 281 μmol)를 DMF(3 mL) 중의 4-[2-벤질옥시카르보닐-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3-일]벤조산, 나트륨 염(125 mg, 224 μmol), tert-부틸 N-(3-아미노프로필)카바메이트(41 mg, 234 μ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1 mg, 702 μ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75 mL)을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아세트산에틸(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5 mg, 47%).
LC-MS(방법 A): RT = 3.52분, m/z = 689.6 [M - H]-.
단계 C: 벤질-3-[4-(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페닐]-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10 mL) 중의 4M HCl을 DCM(5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75 mg, 105 μmo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2 g SCX 카트리지에 넣고, 메탄올로 용리시킨 다음, 메탄올 중의 3M 암모니아로 용리시켰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52 mg, 84%).
1H NMR (500 MHz, DMSO-d 6) δ 8.58 (t, J=6.0 Hz ,1H), 7.77 (d, J=8.5 Hz, 2H), 7.63 (br s, 3H), 7.43-7.39 (m, 4H), 7.34-7.26 (m, 9H), 6.30 (d, J=3.0, 1H), 5.16 (s, 2H), 4.86 (s, 2H), 3.37-3.30 (m, 2H), 2.85 (t, J=7.5 Hz, 2H), 1.81 (m, 2H). 3.37-3.30에서의 다중선은 잔류하는 물의 피크에 의해 가려진다.
LC-MS(방법 B): RT = 2.60분, m/z = 589.5 [M - H]-.
단계 D: 3-[4-(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DCM(5 mL)을 벤질 3-[4-(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페닐]-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52 mg, 88 μmol)에 첨가한 다음, 1,4-디옥산(0.8 mL) 중의 4M HCl 용액을 첨가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메탄올(10 mL)과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10 m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 2시간 동안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150 mL)로 용리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디에틸 에테르와 석유 에테르의 혼합물로 연화시켜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2 mg, 62%).
1H NMR (500 MHz, DMSO-d 6 ) δ 8.78-8.72 (m, 1H), 8.56 (br s, 2H), 7.99 (br s, 3H), 7.84 (d, J=8.0 Hz, 2H), 7.58 (d, J=8.0 Hz, 2H), 7.24 (s, 1H), 6.35 (d, J=2.5 Hz, 1H), 3.37-3.32 (m, 2H), 2.84 (t, J=7.0 Hz, 2H), 1.83 (quin, J=7.0 Hz, 2H). 3.37-3.32에서의 다중선은 잔류하는 물의 피크에 의해 가려진다.
LC-MS(방법 A): RT = 1.80분, m/z = 365.3 [M - H]-.
실시예 52 (나트륨 염): 3-(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설파모일-1
H
-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단계 A: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6-(벤질옥시)피리딘-3-일]-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
1,4-디옥산(1.0 mL)과 물(0.5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170 mg, 0.33 mmol), 6-(벤질옥시)피리딘-3-보론산(92 mg, 0.41 mmol) 및 탄산나트륨(109 mg, 1.02 mmol)의 혼합물을 5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여 탈기시킨 다음, Pd(dppf)Cl2(26 mg, 0.034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13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 mL)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3 × 3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3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0-100% 아세트산에틸/DCM, 그 다음에, 0-20% MeOH/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켜 황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13 mg, 55%).
1H NMR (500 MHz, DMSO-d 6) δ 8.16 (dd, J=2.5, 0.4 Hz, 1H), 7.65 (dd, J=8.6, 2.5 Hz, 1H), 7.47-7.44 (m, 2H), 7.41-7.36 (m, 4H), 7.34-7.24 (m, 10H), 6.80 (dd, J=8.6, 0.4 Hz, 1H), 6.23 (d, 3.2 Hz, 1H), 5.35 (s, 2H), 5.13 (s, 2H), 4.85 (s, 2H).
LC-MS(방법 A): RT = 4.21분, m/z = 598.0 [M + H]+.
단계 B: 3-(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메탄올(5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6-(벤질옥시)피리딘-3-일]-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113 mg, 0.18 mmol) 용액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40 mg, 0.2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1 기압 수소하에 6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키고, 잔류 고체를 진공하에 40℃에서 건조시켜 갈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47 mg, 85%).
1H NMR (500 MHz, DMSO-d 6) δ 11.56 (br s, 1H), 8.68 (br s, 2H), 7.66 (br s, 1H), 7.58 (dd, J=9.5, 2.8 Hz, 1H), 7.18 (br s, 1H), 6.27 (d, J=9.5 Hz, 1H), 6.23 (d, J=2.8 Hz, 1H).
LC-MS(방법 D): RT = 0.41분, m/z = 284.1 [M + H]+.
실시예 53 (염산염): 3-(2-아미노-1,3-벤조티아졸-4-일)-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단계 A: tert-부틸 N-(4-브로모-1,3-벤조티아졸-2-일)-N-tert-부톡시카르보닐 카바메이트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46 mg, 2.0 mmol)을 DCM(100 mL) 중의 4-브로모-1,3-벤조티아졸-2-아민(4.63 g, 20.2 mmol), 트리에틸아민(2.8 mL, 20.2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9.70 g, 44.5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DCM(2 × 30 mL)으로 세척하고, 추출물을 원래의 유기 층과 합하고, 2M HCl(aq)(5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97 g, 46%).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방법 A): RT: 4.48분, m/z = 427.1/429.1 [M - H]-.
단계 B: [2-[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벤조티아졸-4-일]보론산
질소 대기하에 1,4-디옥산(9 mL) 중의 tert-부틸 N-(4-브로모-1,3-벤조티아졸-2-일)-N-tert-부톡시카르보닐 카바메이트(1.5 g, 3.49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1.77 g, 6.99 mmol), Pd(dppf)Cl2(128 mg, 175 μmol) 및 아세트산칼륨(1.03 g, 10.48 mmol)의 교반 용액을 8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20 mL)로 희석하고, Celite®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킨 다음, 디에틸 에테르(20 mL)에 재용해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3 × 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키고, 석유 에테르(20 mL)에 재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90:10에서 80:2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한 다음, 석유 에테르로 연화시키고, 여과하여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595 mg, 43%).
1H NMR (500 MHz, CDCl3) δ 7.94 (dd, J=7.2, 1.1 Hz, 1H), 7.88 (dd, J=7.9, 1.1 Hz, 1H), 7.36 (t, J=7.6 Hz, 1H), 6.55 (s, 2H), 1.62 (s, 18H).
단계 C: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2-[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벤조티아졸-4-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질소 대기하에 DME(4 mL)와 물(1 mL)의 혼합물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브로모-1H-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화 나트륨(500 mg, 970 μmol), [2-[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벤조티아졸-4-일]보론산(421 mg, 1.07 mmol), XPhos Pd G2(76 mg, 97 μmol) 및 제삼인산칼륨(618 mg, 2.91 mmol)의 용액을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해 4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키고 여과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DCM과 1M HCl(aq) 사이에 분배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농축시켜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600 mg, 81%).
1H NMR (500 MHz, CDCl3) δ 7.71-7.55 (m, 2H), 7.31 (br s, 1H), 7.25-7.16 (m, 6H), 7.07-6.96 (m, 3H), 6.57 (br d, J=6.7 Hz, 2H), 6.20 (d, J=2.7 Hz, 1H), 4.95 (s, 2H), 4.67 (s, 2H), 1.43 (s, 18H).
단계 D: 3-[2-[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벤조티아졸-4-일]-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2-[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벤조티아졸-4-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600 mg, 786 μmol)를 수소화시켜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57 mg, 84%).
1H NMR (500 MHz, DMSO-d 6) δ 7.89 (d, J=7.8 Hz, 1H), 7.52 (br d, J=7.5 Hz, 1H), 7.30 (t, J=7.8 Hz, 1H), 7.15 (br s, 1H), 6.42 (d, J=3.1 Hz, 1H), 1.52 (s, 18H).
LC-MS(방법 A): RT = 3.89분, m/z = 537.3 [M-H]-.
단계 E: 3-(2-아미노-1,3-벤조티아졸-4-일)-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DCM(3 mL) 중의 3-[2-[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3-벤조티아졸-4-일]-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132 mg, 245 μmol)의 교반 용액에 TFA(0.6 mL, 8.10 mmol)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에 재용해시켰다. 여기에 1,4-디옥산 중의 4M HCl을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헹구어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68 mg, 66%).
1H NMR (500MHz, DMSO-d 6) δ 8.33-8.24 (m, 1H), 8.20 (s, 2H), 7.77 (br d, J=6.6 Hz, 1H), 7.53 (d, J=2.7 Hz, 1H), 7.37 (br s, 1H), 7.27 (s, 1H), 7.23-7.16 (m, 3H), 6.36 (d, J=3.1 Hz, 1H).
LC-MS(방법 A): RT = 2.29분, m/z = 337.2 [M - H]-.
실시예 54 (유리 산): 3-벤질-1-설파모일-1
H
-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메틸 3-벤질-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메틸 2-이소시아노아세테이트(1.8 mL, 20.2 mmol)와 (프롭-2-인-1-일)벤젠(2.1 mL, 16.8 mmol)을 NMP(30 mL)에 첨가하고, 여기에 탄산은(463 mg, 1.68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물(100 mL)로 ??칭시키고, 디에틸 에테르(2 × 100 mL)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검정색 액체를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 중의 40-100% 디에틸 에테르)로 정제하여 오렌지색의 액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7 g, 47%).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8.96 (br s, 1H), 7.29-7.22 (m, 4H), 7.20-7.15 (m, 1H), 6.82 (t, J=2.8 Hz, 1H), 6.04 (t, J=2.7 Hz, 1H), 4.18 (s, 2H), 3.86 (s, 3H).
단계 B: 3-벤질-1H-피롤-2-카르복시산
메틸 3-벤질-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0 g, 4.65 mmol)를 에탄올(25 mL)과 물(7.5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92.43 mg, 6.9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 6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에서 3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초기 부피의 50%까지 증발시키고, 물(50 mL)로 희석하고, 수성 층을 디에틸 에테르(75 mL)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에, 수성 층을 2M HCl(aq)로 산성화시켜 고체를 제공하고, 이를 여과하고 밤새 공기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00 mg, 75%).
1H NMR (500 MHz, DMSO-d 6) δ 12.26 (br s, 1H), 11.46 (br s, 1H), 7.28-7.19 (m, 4H), 7.18-7.11 (m, 1H), 6.81 (t, J=2.8 Hz, 1H), 5.92 (t, J=2.7 Hz, 1H), 4.08 (s, 2H).
단계 C: 벤질 3-벤질-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3-벤질-1H-피롤-2-카르복시산(680 mg, 3.38 mmol), 브롬화벤질(606 mg, 3.55 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369 mg, 4.39 mmol)을 DMF(30 mL)에 첨가하고, 5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100 mL)로 ??칭시키고, 디에틸 에테르(2 × 75 mL)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황색의 검을 제공하였다. 검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디에틸 에테르와 그 다음에 아세트산에틸 중의 1:1 디에틸 에테르)로 정제하여 황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00 mg, 57%). 이것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방법 B): RT = 3.91분, m/z = 290.3 [M - H]-.
단계 D: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설포닐)-3-벤질-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벤질 3-벤질-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430 mg, 1.48 mmol)를 THF(20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106 mg, 2.21 mmol)을 첨가한 후, 질소하에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벤질옥시)카르보닐]({[4-(디메틸이미뉴밀)-1,4-디하이드로피리딘-1-일]설포닐})아자니드(496 mg, 1.48 mmol)를 한 번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에서 18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혼합물을 2M HCl(aq)(50 mL)과 물(50 mL)로 ??칭시키고, 디에틸 에테르(2 × 75 mL)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검정색 검을 제공하였다. 혼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 중 20% 내지 40% 디에틸 에테르, 100% 디에틸 에테르, 및 마지막으로 1:1의 디에틸 에테르: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여 어두운 색의 검(dark gum)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50 mg, 46%).
LC-MS(방법 B): RT = 2.44분, m/z = 503.2 [M - H]-.
단계 E: 3-벤질-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벤질 3-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350 mg, 693 μmol)와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7.4 mg, 69 μmol)을 에탄올(20 mL)에 첨가하고, 수소 기체의 대기하에(700 mg, 346 mmol)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증발시켜 황색의 검을 제공하였다. 이것을 최소량의 디에틸 에테르(1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석유 에테르 중의 20%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고체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고, 공기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90 mg, 44%).
1H NMR (500 MHz, DMSO-d 6) δ 8.89 (br s, 2H), 7.28-7.19 (m, 4H), 7.18-7.10 (m, 2H), 5.90 (d, J=3.1 Hz, 1H), 4.10 (s, 2H).
LC-MS(방법 E): RT = 0.71분, m/z = 279.2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메틸 2-이소시아노아세테이트 및 해당 알킨으로부터 출발해서 3-벤질-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56 (유리 산): 3-(아닐리노메틸)-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3-[(N-tert-부톡시카르보닐아닐리노)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불활성 대기하에, tert-부틸 N-페닐-N-프롭-2-이닐-카바메이트(1.0 g, 4.32 mmol)와 탄산은(596 mg, 2.16 mmol)을 무수 1,4-디옥산(20 mL)에 현탁시키고, 100℃로 가열하였다. 무수 1,4-디옥산(5 mL) 중의 벤질 2-이소시아노아세테이트(757 mg, 4.32 mmol)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고,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알루미늄 호일로 둘러싼 다음, 100℃에서 19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100 mL)로 세척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에틸 에테르(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1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디에틸 에테르,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22 g, 69%).
1H NMR (500 MHz, CDCl3) δ 8.95 (br s, 1H), 7.37-7.31 (m, 5H), 7.24-7.21 (m, 2H), 7.17 (m, 2H), 7.11 (m, 1H), 6.86 (t, J=2.5 Hz, 1H), 6.33 (t, J=2.5 Hz, 1H), 5.21 (s, 2H), 5.07 (s, 2H), 1.43 (s, 9H).
LC-MS(방법 B): RT = 4.14분, m/z = 405.4 [M - H]-.
단계 B: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N-tert-부톡시카르보닐아닐리노)메틸]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 나트륨 염
무수 THF(15 mL) 중의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360 mg, 9.00 mmol) 현탁액을 질소 대기하에 -10℃로 냉각시킨 다음, 무수 THF(10 mL) 중의 벤질 3-[(N-tert-부톡시카르보닐아닐리노)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22 g, 3.00 mmol) 용액을 온도가 -5℃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30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로 재냉각시켰다. 온도가 -5℃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반응 혼합물에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821 mg, 3.3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재냉각시키고, 50:50의 물:브라인(100 mL)을 적가하여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50 mg, 39%).
1H NMR (500 MHz, DMSO-d 6) δ 7.48-7.42 (m, 2H), 7.32-7.23 (m, 11H), 7.14-7.10 (m, 3H), 6.59 (d, J=2.5 Hz, 1H), 5.14 (s, 2H), 4.87 (s, 2H), 4.78 (s, 2H), 1.35 (s, 9H).
LC-MS(방법 B): RT = 2.73분, m/z = 618.5 [M - H]-.
단계 C: 벤질 3-(아닐리노메틸)-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15 mL) 중의 4M HCl을 DCM(5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N-tert-부톡시카르보닐아닐리노)메틸]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 나트륨 염(750 mg, 1.21 mmo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DCM(70 mL)과 물(70 mL)을 첨가하고, 상을 분리하고, DCM(50 mL)으로 수성 상을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90:1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오렌지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50 mg, 56%).
1H NMR (500 MHz, DMSO-d 6) δ 7.53-7.48 (m, 2H), 7.42 (s, 1H), 7.45-7.30 (m, 10H), 7.06 (t, J=7.5 Hz, 2H), 6.63-6.58 (m, 3H), 6.22 (d, J=3.0 Hz, 1H), 5.33 (s, 2H), 5.05 (s, 2H), 4.28 (s, 2H).
LC-MS(방법 B): RT = 2.59분, m/z = 518.4 [M - H]-.
단계 D: 3-(아닐리노메틸)-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 3-(아닐리노메틸)-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350 mg, 674 μmol)를 수소화시켜 베이지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02 mg, 44%).
1H NMR (500 MHz, DMSO-d 6) δ 8.34 (br s, 2H), 7.29 (d, J=3.0 Hz, 1H), 7.12-7.00 (m, 2H), 6.57 (d, J=8.0 Hz, 2H), 6.55-6.45 (m, 1H), 6.17 (d, J=3.0 Hz, 1H), 4.36 (s, 2H).
LC-MS(방법 A): RT = 1.99분, m/z = 294.3 [M - H]-.
실시예 57 (염산염): 3-(피페리딘-4-일)-1-설파모일-1
H
-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100 mg, 0.19 mmol)을 메탄올(10 mL)에 용해시키고,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으로 퍼지(purge)하고, 대기를 질소로 세 번 교체하였다.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79.71 mg, 0.0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대기를 진공으로 퍼지하고 수소(1 기압, 풍선)로 대체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미리 컨디셔닝된 Celite® 패드(메탄올)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2 × 30 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백색의 고체를 제공하였다.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3 × 10 mL)로 연화시키고, 감압하에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41 mg, 68%).
1H NMR (500 MHz, METHANOL-d 4) δ 7.47 (d, J=3.2 Hz, 1H), 6.25 (d, J=3.2 Hz, 1H), 3.56 (tt, J=12.1, 3.5 Hz, 1H), 3.50-3.45 (m, 2H), 3.11 (td, J=13.1, 2.5 Hz, 2H), 2.09 (br d, J = 13.2 Hz, 2H), 1.85 (qd, J=13.2, 3.8 Hz, 2H).
LCMS(방법 C): RT = 0.65분, m/z = 274.1 [M + H]+.
실시예 58 (유리 산): 3-(1-아세틸피페리딘-4-일)-1-설파모일-1
H
-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3-(1-아세틸피페리딘-4-일)-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설포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0℃에서 DCM(10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60 mg, 112 μmo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39 ㎕, 281 μmol)을 첨가한 다음, 염화아세틸(9.6 ㎕, 135 μ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2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20 mL), 1M HCl(aq)(20 mL), 물(20 mL), 브라인(2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8 mg, 46%).
1H NMR (500 MHz, CDCl3) δ 7.51 (br s, 1H), 7.38-7.20 (m, 3H), 7.19-7.04 (m, 8H), 5.78 (br s, 1H), 4.99 (br s, 2H), 4.86 (s, 2H), 4.41 (br d, J=12.9 Hz, 1H), 3.58-3.45 (m, 1H), 2.91 (br t, J=11.8 Hz, 1H), 2.41 (br t, J=12.8 Hz, 1H), 1.98 (s, 3H), 1.92 (br s, 1H), 1.52-1.33 (m, 2H), 1.32-1.13 (m, 2H).
LC-MS(방법 A): RT = 2.90분, m/z = 540.0 [M + H]+.
단계 B: 3-(1-아세틸피페리딘-4-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3-(1-아세틸피페리딘-4-일)-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설포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8 mg, 52 μmol)를 수소화시켜 연황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3 mg, 70%).
1H NMR (500 MHz, CD3OD) δ 7.20-7.14 (m, 1H), 6.08 (d, J=2.5 Hz, 1H), 4.59 (br d, J=11.7 Hz, 1H), 3.95 (br d, J=11.3 Hz, 1H), 3.60 (br s, 1H), 3.27-3.07 (m, 1H), 2.65 (br t, J=12.8 Hz, 1H), 2.11 (s, 3H), 1.89 (br d, J=12.3 Hz, 1H), 1.83 (br d, J=12.6 Hz, 1H), 1.62-1.43 (m, 2H).
LC-MS(방법 D): RT = 0.43분, m/z = 314.1 [M - H]-.
실시예 59 (유리 산): 3-(1-메틸설포닐-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3-(1-메틸설포닐-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DCM(5 mL) 중의 벤질 3-(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286 mg, 0.89 mmol)의 현탁액을 0℃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310 ㎕, 2.23 mmol)을 첨가한 다음, 염화메탄설포닐(83 ㎕, 1.07 mmol)을 첨가하였다. 5시간 후, 혼합물을 DCM(50 mL)으로 희석하고, 2M HCl(aq)(2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디에틸 에테르,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46 mg, 76%).
1H NMR (500 MHz, CDCl3) δ = 8.95 (br s, 1H), 7.44-7.32 (m, 5H), 6.86 (t, J=2.4 Hz, 1H), 6.17 (t, J=2.4 Hz, 1H), 5.29 (s, 2H), 3.89-3.77 (m, 2H), 3.32-3.20 (m, 1H), 2.77 (s, 3H), 2.68-2.56 (m, 2H), 1.99-1.88 (m, 2H), 1.76-1.66 (m, 2H).
LC-MS(방법 A): RT = 0.46분, m/z = 361.2 [M - H]-.
단계 B: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1-메틸설포닐-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무수 THF(4 mL) 중의 벤질 3-(1-메틸설포닐-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46 mg, 0.68 mmol)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81 mg, 2.04 mmol)을 한 번에 첨가하였다. 5분 후,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킨 후,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186 mg, 0.75 mmol)를 한 번에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2시간 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5 mL)을 빠르게 적가한 다음, 아세트산에틸(60 mL)을 적가하였다. 유기물을 물(10 mL), 브라인(5 mL)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한 다음,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25:75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77 mg, 45%).
1H NMR (500 MHz, DMSO-d 6) δ= 7.58-7.50 (m, 2H), 7.39-7.25 (m, 10H), 6.10-5.99 (m, 1H), 5.21 (s, 2H), 4.87 (s, 2H), 3.57-3.50 (m, 2H), 3.42-3.28 (m, 1H), 2.90-2.77 (m, 5H), 1.74-1.67 (m, 2H), 1.60-1.48 (m, 2H). 3.42-3.28에서의 다중선은 물 피크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다.
LC-MS(방법 A): RT = 3.38분, m/z = 574.3 [M - H]-.
단계 C: 3-(1-메틸설포닐-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1-메틸설포닐-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177 mg, 0.31 mmol)를 수소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96 mg, 84%).
1H NMR (500 MHz, DMSO-d 6) δ= 13.30 (br s, 1H), 8.03 (br s, 2H), 7.39 (d, J=3.2 Hz, 1H), 6.32 (d, J=3.2 Hz, 1H), 3.67-3.60 (m, 2H), 3.25-3.16 (m, 1H), 2.89 (s, 3H), 2.81-2.73 (m, 2H), 1.85-1.79 (m, 2H), 1.69-1.58 (m, 2H).
LC-MS(방법 A): RT = 0.66분, m/z = 350.2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벤질 3-(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으로부터 출발해서 3-(1-메틸설포닐-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62 (유리 산): 3-[1-(2-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3-[1-[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DMF(1.60 mL)에 현탁된 벤질 3-(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200 mg, 0.62 mmol)과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트산(109 mg, 0.62 mmol)을 0℃로 냉각시켰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90 ㎕, 2.24 mmol)을 첨가한 다음, HBTU(283 mg, 0.75 mmol)를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40 mL)를 첨가하고, 유기물을 물(2 × 10 mL), 브라인(10 mL)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25:75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폼(foam)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47 mg, 90%).
1H NMR (500 MHz, CDCl3) δ= 8.97 (br s, 1H), 7.43-7.32 (m, 5H), 6.86-6.83 (m, 1H), 6.14-6.10 (m, 1H), 5.60-5.53 (m, 1H), 5.33-5.25 (m, 2H), 4.69-4.61 (m, 1H), 4.03-3.88 (m, 2H), 3.72-3.65 (m, 1H), 3.45-3.37 (m, 1H), 3.03-2.93 (m, 1H), 2.63-2.54 (m, 1H), 1.95-1.86 (m, 2H), 1.48-1.42 (m, 11H).
LC-MS(방법 A): RT = 3.49분, m/z = 440.4 [M - H]-.
단계 B: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1-[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불활성 대기하에, 무수 THF(1.22 mL) 중의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104 mg, 2.60 mmol)의 교반 현탁액을 -10℃로 냉각시켰다. THF(1.2 mL) 중의 벤질 3-[1-[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44 mg, 553 μmol) 용액을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0℃로 냉각시켰다.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241 mg, 0.97 mmol)를 5분에 걸쳐 고체로서 소량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고, -10℃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3 mL)을 첨가하였다. 아세트산에틸(50 mL)을 첨가하고, 유기물을 물(2 × 10 mL), 브라인(10 mL)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메탄올, 100:0에서 20:8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04 mg, 56%).
1H NMR (500 MHz, DMSO-d 6) δ= 7.58-7.52 (m, 2H), 7.37-7.21 (m, 10H), 6.70-6.65 (m, 1H), 5.98-5.94 (m, 1H), 5.21 (s, 2H), 4.86 (s, 2H), 4.42-4.31 (m, 1H), 3.84-3.71 (m, 3H), 2.99-2.90 (m, 1H), 2.88-2.78 (m, 1H), 2.42-2.32 (m, 1H), 1.68-1.59 (m, 2H), 1.42-1.35 (m, 11H).
LC-MS(방법 A): RT = 3.76분, m/z = 653.5 [M - H]-.
단계 C: 벤질 3-[1-(2-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660 ㎕, 2.63 mmol) 중의 4M HCl을 DCM(2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1-[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202 mg, 0.31 mmol) 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메탄올 중의 1M 암모니아, 100:0에서 50:5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28 mg, 75%).
1H NMR (500 MHz, DMSO-d 6) δ= 7.58-7.52 (m, 2H), 7.70-7.40 (m, 9H), 7.32 (br s, 3H), 5.93-5.90 (m, 1H), 5.20 (s, 2H), 4.84 (s, 2H), 4.44-4.37 (m, 1H), 3.85-3.67 (m, 3H), 3.02-2.87 (m, 2H), 2.54-2.44 (m, 1H), 1.72-1.65 (m, 2H), 1.53-1.42 (m, 1H), 1.37-1.26 (m, 1H). 2.54-2.44에서의 다중선은 잔류 용매 신호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다.
LC-MS(방법 A): RT = 2.83분, m/z = 553.4 [M - H]-.
단계 D: 3-[1-(2-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공용매로서 메탄올 중의 7M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3-[1-(2-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128 mg, 230 μmol)를 수소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1 mg, 89%).
1H NMR (500 MHz, DMSO-d 6) δ= 7.95 (br s, 5H), 7.02-6.96 (m, 1H), 5.97-5.91 (m, 1H), 4.52-4.40 (m, 1H), 3.81-3.69 (m, 3H), 3.66-3.57 (m, 1H), 3.08-2.98 (m, 1H), 2.67-2.59 (m, 1H), 1.80-1.72 (m, 2H), 1.59-1.26 (m, 2H).
LC-MS(방법 A): RT = 0.80분, m/z = 329.3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벤질 3-(4-피페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으로부터 출발해서 3-[1-(2-아미노아세틸)-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64 (염산염): 3-[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단계 A: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1-[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199 mg, 400 μmol),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프로파논산(85 mg, 420 μ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48 ㎕, 2.00 mmol)을 DMF(20 mL)에 첨가한 다음, HBTU(151 mg, 400 μ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10 mL)로 ??칭시킨 다음, 2M HCl(aq)(5 mL)로 산성화하여 고체를 제공하고, 이를 10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100% 아세트산에틸로 용리)로 정제한 다음, 메탄올(2 mL)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연화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05 mg, 75%).
LC-MS(방법 B): RT = 2.31분, m/z = 683.4 [M + H]+.
단계 B: 벤질 3-[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4-피페리딜]-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1-[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200 mg, 292 μmol)를 1,4-디옥산(5 mL) 중의 4M HCl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여 고체를 제공하고, 이를 질소하에 여과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89 mg, 52%).
1H NMR (500 MHz, DMSO-d 6 ) δ= 8.21 (br s, 3H), 7.52-7.50 (m, 2H), 7.41-7.27 (m, 9H), 6.24-6.11 (d, J=3.9 Hz, 1H), 5.30 (s, 2H), 5.05 (s, 2H), 4.12-4.00 (m, 2H), 3.71-3.62 (m, 2H), 3.15-3.08 (m, 1H), 1.72-1.66 (m, 2H), 1.56 (s, 6H), 1.43-1.31 (m, 2H).
LC-MS(방법 B): RT = 2.20분, m/z = 583.3 [M + H]+.
단계 C: 3-[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3-[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4-피페리딜]-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89 mg, 143 μmol)을 수소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2 mg, 53%).
1H NMR (500 MHz, DMSO-d 6 ) δ= 8.20 (br s, 3H), 8.09 (br s 2H), 7.37 (d, J=2.8 Hz, 1H), 6.26 (d, J=2.8 Hz, 1H), 4.45-4.21(br m, 2H), 3.13-2.80 (br s, 3H), 1.88-1.79 (m, 2H), 1.60 (s, 6H), 1.51-1.39 (m, 2H).
LC-MS(방법 B): RT = 0.32분, m/z = 357.3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4-피페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으로부터 출발해서 3-[1-(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일)-4-피페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염산염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 단계 A와 C만을 따르는 비-Boc 보호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수행
실시예 70 (유리 산): 3-(1-아세틸아제티딘-3-일)-1-설파모일-
1H
-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tert-부틸 3-[2-(벤젠설포닐)에틸]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
아르곤하에 -20℃에서 무수 THF(15 mL) 중의 메탄설포닐벤젠(843 mg, 5.40 mmol) 용액에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THF 중 1M 용액, 11.3 mL, 11.3 mmol)를 적가하고, 반응을 -2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클로로티메틸실란(754 ㎕, 5.94 mmol)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THF(3 mL) 중의 tert-부틸 3-포르밀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1.00 g, 5.40 mmol) 용액을 적가하고, -20℃에서 3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50 mL)으로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2 ×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디에틸 에테르, 100:0에서 25:75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검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939 mg, 54%).
1H NMR (500 MHz, CDCl3) δ 7.89 (d, J=7.4 Hz, 2H), 7.73-7.54 (m, 3H), 7.12 (dd, J=15.0, 8.0 Hz, 1H), 6.40 (dd, J=15.1, 1.1 Hz, 1H), 4.13 (t, J=8.5 Hz, 2H), 3.80 (dd, J=8.7, 5.6 Hz, 2H), 3.39-3.31 (m, 1H), 1.45 (s, 9H).
LC-MS(방법 B): RT = 3.38분, m/z = 322.3 [M - H]-.
단계 B: 벤질 3-{1-[(ter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3-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0℃에서 아르곤하에 무수 THF(10 mL) 중의 tert-부톡시화칼륨(521 mg, 4.65 mmol) 현탁액에 벤질 2-이소시아노아세테이트(610 mg, 3.48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무수 THF(10 mL) 중의 tert-부틸 3-[2-(벤젠설포닐)에테닐]아제티딘-1-카르복실레이트(939 mg, 2.90 mmol)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고, 실온으로 3시간 동안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50 mL)으로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2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50 mL),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5:25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검으로서 원하는 제품을 제공하였다(420 mg, 41%).
1H NMR (500 MHz, CDCl3) δ 9.03 (br s, 1H), 7.41-7.33 (m, 5H), 6.90 (t, J=2.8 Hz, 1H), 6.34 (t, J=2.7 Hz, 1H), 5.26 (s, 2H), 4.27-4.20 (m, 3H), 3.90 (br s, 2H), 1.44 (s, 9H).
LC-MS(방법 A): RT = 3.77분, m/z = 355.3 [M - H]-.
단계 C: 벤질 3-(1-아세틸아제티딘-3-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DCM(5 mL) 중의 벤질 3-{1-[(tert-부톡시)카르보닐]아제티딘-3-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10 mg, 589 μmol) 용액에 1,4-디옥산(1.0 mL, 4.0 mmol) 중의 4M HCl을 첨가하고, 반응을 2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 건조시키고, 메탄올에 재용해시키고, 다시 농축시킨 다음, 디에틸 에테르에 슬러리화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10 mL)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247 ㎕, 1.77 mmol)과 염화아세틸(54 ㎕, 886 μmol)을 첨가하고, 2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20 mL)으로 희석하고, 물(20 mL)과 브라인(2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6 mg, 43%).
1H NMR (500 MHz, CDCl3) δ 9.14 (br s, 1H), 7.41-7.28 (m, 5H), 6.92 (t, J=2.9 Hz, 1H), 6.31 (t, J=2.6 Hz, 1H), 5.33-5.24 (m, 2H), 4.42-4.25 (m, 3H), 4.17-3.95 (m, 2H), 1.85 (s, 3H).
LC-MS(방법 A): RT = 2.76분, m/z = 297.3 [M - H]-.
단계 D: 벤질 3-(1-아세틸아제티딘-3-일)-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설포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0℃에서 아르곤하에 무수 THF(4 mL) 중의 벤질 3-(1-아세틸아제티딘-3-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76 mg, 255 μmol) 용액에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31 mg, 764 μmol)을 소량씩 첨가하고, 반응을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70 mg, 280 μmol)를 첨가하고, -10℃에서 교반하고, 18시간 동안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30 mL)으로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2 × 3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물을 브라인(3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DCM:메탄올, 100:0에서 95:5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한 다음,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아세트산에틸:메탄올, 100:0에서 92:8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7 mg, 21%).
1H NMR (500 MHz, CD3OD) δ 7.51 (d, J=3.1 Hz, 1H), 7.46 (br d, J=7.0 Hz, 2H), 7.40-7.18 (m, 9H), 6.22 (d, J=3.1 Hz, 1H), 5.43-5.23 (m, 2H), 5.01-4.92 (m, 2H), 4.29-4.10 (m, 2H), 4.07-3.97 (m, 2H), 3.87 (br dd, J=9.3, 5.8 Hz, 1H), 1.78(s, 3H).
LC-MS(방법 A): RT = 3.10분, m/z = 512.2 [M + H]+.
단계 E: 3-(1-아세틸아제티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 3-(1-아세틸아제티딘-3-일)-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설포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7 mg, 53 μmol)를 수소화시켜 연베이지색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5 mg, 94%).
1H NMR (500 MHz, CD3OD) δ 7.15 (br d, J=2.9 Hz, 1H), 6.18 (br d, J=2.9 Hz, 1H) 4.51-4.33 (m, 1H), 4.30 (br t, J=6.6 Hz, 1H), 4.20 (br t, J=9.2 Hz, 1H), 4.00 (br t, J=7.2 Hz, 1H), 3.90-3.74 (m, 1H), 1.77(s, 3H).
LC-MS(방법 A): RT = 1.76분, m/z = 286.2 [M - H]-.
실시예 71 (나트륨 염): 3-(2-피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단계 A: 벤질 3-(2-피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탄산은(567 mg, 2.06 mmol)을 무수 1,4-디옥산(15 mL) 중의 2-에티닐피리딘(0.42 mL, 4.11 mmol)의 탈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하에 100℃로 가열하였다. 무수 1,4-디옥산(2.5 mL) 중의 벤질 2-이소시아노아세테이트(864 mg, 4.93 mmoL)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더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 패드를 디에틸 에테르(4 × 50 mL)와 물(3 × 20 mL)로 번갈아 세척하였다. 생성된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80:20에서 40:6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46 mg, 65%).
1H NMR (500 MHz, DMSO-d 6) δ 12.0 (br s, 1H), 8.56-8.54 (m, 1H), 7.79 (br d, J=7.9 Hz, 1H), 7.66 (td, J=7.7, 1.8 Hz, 1H), 7.37-7.35 (m, 4H), 7.35-7.29 (m, 1H), 7.24-7.21 (m ,1H), 7.06 (t, J=2.7 Hz, 1H), 6.50 (t, J=2.7 Hz, 1H), 5.25 (s, 2H).
LC-MS(방법 A): RT = 2.05분, m/z = 277.3 [M - H]-.
단계 B: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2-피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무수 THF(2.5 mL) 중의 벤질 3-(2-피리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746 mg, 2.68 mmol) 용액을 질소하에 -10℃에서 무수 THF(4 mL) 중의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193 mg, 8.0 mmol)의 교반 현탁액에 10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하면,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40분 동안 교반하고, -10℃로 재냉각시켰다.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733 mg, 2.95 mmol)를 5분의 기간에 걸쳐 소량씩 첨가하고, 첨가를 완료하면,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재냉각시키고, 1:1의 물:브라인(10 mL)을 적가하여 ??칭시켰다. 용액을 아세트산에틸(3 × 25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브라인(2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80:2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05 mg, 51%).
1H NMR (500 MHz, DMSO-d 6) δ 8.43 (br d, J=4.7 Hz, 1H), 7.70 (td, J=7.8, 1.8 Hz, 1H), 7.48 (d, J=7.8 Hz, 1H), 7.43-7.40 (m, 2H), 7.33-7.26 (m, 8H), 7.21 (d, J=3.1 Hz, 1H), 7.17-7.14 (m, 1H), 6.49 (d, J=3.1 Hz, 1H), 5.19 (s, 2H), 4.83 (s, 2H).
LC-MS(방법 A): RT = 2.93분, m/z = 490.3 [M - H]-.
단계 C: 3-(2-피리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2-피리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705 mg, 1.38 mmol)을 수소화시켜 황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73 mg, 75%).
1H NMR (500 MHz, DMSO-d 6) δ 8.93 (br s, 2H), 8.50-4.47 (m, 1H), 8.04 (br d, J=7.8 Hz, 1H), 7.63 (td, J=7.8, 1.8 Hz, 1H), 7.13 (ddd, J=7.4, 4.5, 0.8 Hz, 1H), 7.00 (d, J=3.1 Hz, 1H), 6.51 (d, J=3.1 Hz, 1H).
LC-MS(방법 A): RT = 1.73분, m/z = 266.2 [M - H]-.
실시예 72 (나트륨 염): 3-(시클로프로필메톡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단계 A: 메틸 3-(시클로프로필메톡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브로모메틸)시클로프로판(588 mg, 4.36 mmol)을 DMF(5 mL) 중의 메틸 3-히드록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615 mg, 4.36 mmol)와 탄산칼륨(993 mg, 7.19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0 mL)과 디에틸 에테르(100 mL)를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에틸 에테르(7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50:5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연황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고, 이는 방치시 고형화되었다(177 mg, 42%).
1H NMR (500 MHz, CDCl3) δ 8.58 (s, 1H), 6.75 (t, J=3.0 Hz, 1H), 5.91 (t, J=3.0 Hz, 1H), 3.86 (m, 5H), 1.31 (m, 1H), 0.64-0.60 (m, 2H), 0.38-0.35 (m, 2H).
LC-MS(방법 B): RT = 2.61분, m/z = 194.3 [M - H]-.
단계 B: 벤질 3-(시클로프로필메톡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디-n-부틸주석 산화물(40 mg, 161 μmol)을 벤질 알코올(1.7 mL, 16.1 mmol) 중의 메틸 3-(시클로프로필메톡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314 mg, 1.61 mmo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4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진공 증류에 의해 벤질 알코올을 제거하여 갈색의 고체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50:5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한 다음, 최소 부피의 DCM에 용해시키고, 석유 에테르로 침전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10 mg, 71%).
1H NMR (500 MHz, CDCl3) δ 8.56 (s, 1H), 7.51-7.47 (m, 2H), 7.39-7.33 (m, 2H), 7.33-7.26 (m, 1H), 6.75 (t, J=3.0 Hz, 1H), 5.90 (t, J=3.0 Hz, 1H), 5.33 (s, 2H), 3.86 (d, J=7.0 Hz, 2H), 1.37-1.23 (m, 1H), 0.63-0.59 (m, 2H), 0.37-0.34 (m, 2H).
LC-MS(방법 B): RT = 3.54분, m/z = 270.3 [M - H]-.
단계 C: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시클로프로필메톡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무수 THF(10 mL) 중의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138 mg, 3.45 mmol)의 교반 현탁액을 질소 대기하에 -10℃로 냉각시켰다. 무수 THF(5 mL) 중의 벤질 3-(시클로프로필메톡시)-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312 mg, 1.15 mmol) 용액을 온도가 -5℃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30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로 재냉각시켰다. 온도가 -5℃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315 mg, 1.26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재냉각시키고, 50:50의 물:브라인(100 mL)을 적가하여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3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고 석유 에테르로 연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70 mg, 12%).
1H NMR (500 MHz, CD3OD) δ 7.35-7.32 (m, 3H), 7.17 (m, 2H), 7.13-7.07 (m, 6H), 5.88 (d, J=3.5 Hz, 1H), 5.12 (s, 2H), 4.84 (s, 2H), 3.68 (d, J=7.0 Hz, 2H), 1.05 (m, 1H), 0.43-0.40 (m, 2H), 0.17-0.14 (m, 2H).
LC-MS(방법 B): RT = 2.42분, m/z = 483.3 [M - H]-.
단계 D: 3-(시클로프로필메톡시)-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3-(시클로프로필메톡시)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30 mg, 61.9 μmol)을 수소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6 mg, 34%).
1H NMR (500 MHz, CD3OD) δ 7.16 (d, J=2.5 Hz, 1H), 6.07 (d, J=2.5 Hz, 1H), 3.86 (s, 2H), 1.24 (br s, 1H), 0.60-0.52 (m, 2H), 0.36-0.30 (m, 2H).
LC-MS(방법 A): RT = 2.47분, m/z = 259.3 [M - H]-.
실시예 73 (나트륨 염): 3-피롤-1-일-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단계 A: 에틸 3-(디알릴아미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브롬화알릴(3.72 g, 30.8 mmol)을 실온에서 무수 DMF(10 mL) 중의 에틸 3-아미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26 g, 14.7 mmol)와 탄산칼륨(5.07 g, 36.7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75 mL)을 첨가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100 mL)를 첨가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60:4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66 g, 48%).
1H NMR (500 MHz, CDCl3) δ 8.59 (br s, 1H), 6.74 (t, J=3.0 Hz, 1H), 5.94-5.86 (m, 3H), 5.19-5.12 (m, 4H), 4.30 (q, J=7.0 Hz, 2H), 3.82 (d, J=6.0 Hz, 4H), 1.34 (t, J=7.0 Hz, 3H).
LC-MS(방법 B): RT = 3.53분, m/z = 233.4 [M - H]-.
단계 B: 1-tert-부틸 2-에틸 3-(디알릴아미노)피롤-1,2-디카르복실레이트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08 mg, 884 μmol)을 실온에서 DCM(20 mL) 중의 에틸 3-(디알릴아미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04 g, 4.4 mmol)와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2.41 g, 11.1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을 첨가하여 ??칭시키고, DCM(100 mL)을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DCM(1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44 g, 97%).
1H NMR (500 MHz, CDCl3) δ 7.12 (d, J=3.5 Hz, 1H), 5.93 (d, J=3.5 Hz, 1H), 5.87-5.80 (m, 2H), 5.16 (m, 1H), 5.14-5.12 (m, 3H), 4.25 (q, J=7.5 Hz, 2H), 3.84 (d, J=6.0 Hz, 4H), 1.55 (s, 9H), 1.31 (t, J=7.5 Hz, 3H).
단계 C: 1-tert-부틸 2-에틸 3-(2,5-디하이드로피롤-1-일)피롤-1,2-디카르복실레이트
Hoveyda-Grubbs Catalyst® 2세대(30 mg, 47.3 μmol)를 DCM(10 mL) 중의 1-tert-부틸 2-에틸 3-(디알릴아미노)피롤-1,2-디카르복실레이트(158 mg, 473 μmo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내에서(in vacuo)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60:4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황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12 mg, 77%).
1H NMR (500 MHz, CDCl3) δ 7.12 (d, J=3.5 Hz, 1H), 5.84 (m, 2H), 5.79 (d, J=3.5 Hz, 1H), 4.62 (q, J=7.5 Hz, 2H), 4.17 (s, 4H), 1.55 (s, 9H), 1.33 (t, J=7.5 Hz, 3H).
LC-MS(방법 B): RT = 3.96분, m/z = 207.2 [M + H - Boc]+.
단계 D: 에틸 3-(2,5-디하이드로피롤-1-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TFA(2.1 mL, 27.0 mmol)를 실온에서 DCM(10 mL) 중의 1-tert-부틸 2-에틸 3-(2,5-디하이드로피롤-1-일)피롤-1,2-디카르복실레이트(1.3 g, 4.26 mmol)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 TFA(1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칼륨(30 mL), DCM(75 mL) 및 물(50 mL)의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황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566 mg, 64%).
1H NMR (500 MHz, CDCl3) δ 8.42 (br s, 1H), 6.75 (t, J=3.0 Hz, 1H), 5.88-5.64 (m, 2H), 5.76 (t, J=3.0 Hz, 1H), 4.30-4.26 (m, 6H), 1.34 (t, J=7.0 Hz, 3H).
단계 E: 벤질 3-피롤-1-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에틸 3-(2,5-디하이드로피롤-1-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566 mg, 2.7 mmol), 벤질 알코올(2.97 g, 27.4 mmol) 및 디-n-부틸주석 산화물(68 mg, 274 μmol)의 혼합물을 4일 동안 160℃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내(in vacuo)에서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갈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35 mg, 18%).
1H NMR (500 MHz, CDCl3) δ 9.01 (br s, 1H), 7.36-7.30 (m, 5H), 7.02 (t, J=2.0 Hz, 2H), 6.88 (t, J=3.0 Hz, 1H), 6.29 (t, J=3.0 Hz, 1H), 6.25 (t, J=2.0 Hz, 2H), 5.27 (s, 2H).
LC-MS(방법 B): RT = 3.58분, m/z = 265.3 [M - H]-.
단계 F: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피롤-1-일-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 나트륨 염
무수 THF(5 mL) 중의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61 mg, 1.52 mmol)의 현탁액을 질소 대기하에 -10℃로 냉각시켰다. 무수 THF(5 mL) 중의 벤질 3-피롤-1-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35 mg, 507 μmol) 용액을 온도가 -5℃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30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로 재냉각시켰다. 온도가 -5℃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139 mg, 558 μ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재냉각시키고, 50:50의 물:브라인(100 mL)을 적가하여 ??칭시켰다. 수성 상을 아세트산에틸(3 × 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브라인(1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0:10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연갈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85 mg, 30%).
1H NMR (500 MHz, DMSO-d 6) δ 7.41-7.39 (m, 2H), 7.34-7.27 (m, 9H), 6.92 (t, J=2.0 Hz, 2H), 6.20 (d, J=3.5 Hz, 1H), 6.12 (t, J=2.0 Hz, 2H), 5.14 (s, 2H), 4.87 (s, 2H).
LC-MS(방법 B): RT = 2.49분, m/z = 478.3 [M - H]-.
단계 G: 3-피롤-1-일-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옥시카르보닐-(2-벤질옥시카르보닐-3-피롤-1-일-피롤-1-일)설포닐-아자니드, 나트륨 염(85 mg, 177 μmol)을 수소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0 mg, 32%).
1H NMR (500 MHz, CD3OD) δ 7.17 (d, J=3.0 Hz, 1H), 6.99 (s, 2H), 6.20-6.14 (m, 1H), 6.11 (s, 2H).
LC-MS(방법 A): RT = 2.46분, m/z = 254.2 [M - H]-.
실시예 74 (유리 산): 4-에틸-3-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4-에틸-3-페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덱-7-엔(1.44 mL, 9.62 mmol)을 THF(7.5 mL)와 프로판-2-올(2.5 mL)의 혼합물 중의 벤질 2-이소시아노아세테이트(927 mg, 5.29 mmol)와 [2-니트로부트-1-엔일]벤젠(8.53 g, 4.81 mmol)의 용액에 5분에 걸쳐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50 mL)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3 ×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연황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07 g, 73%).
1H NMR (500 MHz, DMSO-d 6) δ 11.66 (br s, 1H), 7.35-7.23 (m, 8H), 7.12-7.09 (m, 2H), 6.90 (d, J=3.5 Hz, 1H), 5.11 (s, 2H), 2.28 (q, J=7.5 Hz, 2H), 0.99 (t, J=7.5 Hz, 3H).
LC-MS(방법 A): RT = 4.09분, m/z = 304.3 [M - H]-.
단계 B: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4-에틸-3-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
무수 THF(10 mL) 중의 벤질 4-에틸-3-페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47 g, 4.8 mmol)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 -10℃로 냉각시키고,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578 mg, 14.4 mmol)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가온하고,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키고, 벤질 N-클로로설포닐카바메이트(1.32 g, 5.30 mmol)를 소량씩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고 30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키고, 물(10 mL)과 브라인(10 mL)을 적가하여 ??칭시켰다. 용액을 아세트산에틸(3 × 2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메탄올, 95:5:0에서 0:100:0, 0:100:0에서 0:80:2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연황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49 mg, 13%).
1H NMR (500 MHz, DMSO-d 6) δ 7.36-7.29 (m, 8H), 7.25-7.18 (m, 6H), 7.08-7.06 (m, 2H), 5.03 (s, 2H), 5.01 (s, 2H), 2.57 (q, J=7.5 Hz, 2H), 0.96 (t, J=7.5 Hz, 3H).
LC-MS(방법 A): RT = 4.27분, m/z = 517.3 [M - H]-.
단계 C: 4-에틸-3-페닐-1-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3-(6-아미노피리딘-3-일)-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나트륨 염(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벤질-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4-에틸-3-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염(349 mg, 0.64 mmol)을 수소화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61 mg, 84%).
1H NMR (500 MHz, DMSO-d 6) δ 12.93 (br s, 1H), 8.56 (br s, 2H), 7.37-7.32 (m, 2H), 7.28-7.26 (m, 1H), 7.23-7.22 (m, 2H), 7.10 (br s, 1H), 2.24 (q, J=7.5 Hz, 2H), 0.97 (t, J=7.5 Hz, 3H).
LCMS(방법 A): RT = 3.16분, m/z = 293.3 [M - H]-.
실시예 75 (유리 산): 4-메틸-3-페닐-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4-메틸-3-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아르곤하에 0℃에서 무수 THF(20 mL) 중의 벤질 4-메틸-3-페닐-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500 mg, 1.72 mmol) 용액에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103 mg, 2.57 mmol)을 소량씩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벤질옥시)카르보닐]({[4-(디메틸이미뉴밀)-1,4-디하이드로피리딘-1-일]설포닐})아자니드(633 mg, 1.89 mmol)를 첨가하고, 70℃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50 mL)으로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2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물(50 mL), 브라인(50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에서 아세트산에틸로)를 통해 정제하여 베이지-황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20 mg, 14%).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7.30-7.40 (m, 11H), 7.10-7.20 (m, 3H) 6.79 (d, J=6.9 Hz, 2H), 5.17 (s, 2H), 5.02 (s, 2H) 1.80-1.90 (m, 3H).
LC-MS(방법 A): RT = 4.09분, m/z = 505.0 [M + H]+.
단계 B: 4-메틸-3-페닐-1-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시산
메탄올(15 mL) 중의 벤질 1-(벤질옥시카르보닐설파모일)-4-메틸-3-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104 mg, 206 μmol) 용액에 탄소 상의 10% 팔라듐(50% 습윤, 11.0 mg, 103 μmol)을 첨가하고, 수소하에 2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여 고체를 제공하였다. 고체를 펜탄으로 연화시키고 건조시켜 올리브색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41 mg, 64%).
1H NMR (500 MHz, DMSO-d 6 ) δ 8.25 (br s, 2H), 7.20-7.40 (m, 6H), 1.85 (s, 3H).
LC-MS(방법 D): RT = 3.96분, m/z = 281.0 [M + H]+.
실시예 76 (유리 테트라졸): 3-(1-메틸-1
H
-피라졸-4-일)-2-(1
H
-테트라졸-5-일)-1
H
-피롤-1-설폰아미드
단계 A: tert-부틸 N-{[3-(1-메틸-1H-피라졸-4-일)-2-(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카바메이트와 tert-부틸 N-{[3-(1-메틸-1H-피라졸-4-일)-2-(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카바메이트
물(3 mL)과 1,4-디옥산(12 mL) 중의 나트륨 {[3-브로모-2-(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tert-부톡시)카르보닐]아자니드와 나트륨 {[3-브로모-2-(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tert-부톡시)카르보닐]아자니드(514 mg, 0.94 mmol), 1-메틸피라졸-4-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196 mg, 0.95 mmol) 및 제삼인산칼륨(599 mg, 2.8 mmol)의 용액을 5분 동안 질소로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XPhos Pd G2(148 mg, 0.19 mmol)를 첨가한 후, 2.5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45℃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 mL)과 아세트산에틸(3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아세트산에틸(2 × 20 mL)로 추가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래의 유기 층과 합하고, 2M HCl(aq)(3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10-100% 아세트산에틸/석유 에테르에 이어, 0-20% 메탄올/아세트산에틸의 기울기)로 정제하고, DCM/펜탄으로 연화시키고, 감압하에 건조시켜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316 mg, 64%).
LCMS(방법 A): RT = 3.00분, m/z = 523.3 [M - H]- 및 RT = 3.48분, m/z = 523.3 [M - H]-.
단계 B: 3-(1-메틸-1H-피라졸-4-일)-2-(1H-테트라졸-5-일)-1H-피롤-1-설폰아미드
프로판-2-올 중 5M HCl(2 mL) 중의 tert-부틸 N-{[3-(1-메틸-1H-피라졸-4-일)-2-(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카바메이트와 tert-부틸 N-{[3-(1-메틸-1H-피라졸-4-일)-2-(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카바메이트(100 mg, 0.19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베이지색 고체를 제공하고, 이를 메탄올(3 × 5 mL)로 공비혼합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3 × 5 mL)로 연화시키고, 용매를 따라 내고, 남은 고체를 감압하에 건조시켜 베이지색의 고체를 제공하였다. 고체를 분취용 HPLC(방법 A, 1.0 내지 1.11분)를 통해 정제하여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7 mg, 46%).
1H NMR (500 MHz, DMSO-d 6 ) δ 8.45 (br s, 2H), 7.57 (br s, 1H), 7.46 (d, J=2.6 Hz, 1H), 7.20 (br s, J=2.1 Hz, 1H), 6.64 (d, J=2.6 Hz, 1H), 3.76 (s, 3H).
LC-MS(방법 D): RT = 2.67분, m/z = 295.0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나트륨 {[3-브로모-2-(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tert-부톡시)카르보닐]아자니드와 나트륨 {[3-브로모-2-(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1H-피롤-1-일]설포닐}[(tert-부톡시)카르보닐]아자니드 또는 분리된 이성질체로부터 출발해서 3-(1-메틸-1H-피라졸-4-일)-2-(1H-테트라졸-5-일)-1H-피롤-1-설폰아미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80 (유리 산): 1-(4-플루오로페닐)-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4-플루오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DCM(1 mL) 중의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00 mg, 0.33 mmol), (4-플루오로페닐)보론산(185 mg, 1.32 mmol), 아세트산구리(II)(90 mg, 0.50 mmol) 및 피리딘(107 ㎕, 1.32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3 mL)으로 희석하고, 물(2 × 3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70:3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100 mg, 76%).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7.2-7.3 (m, 2H), 7.1-7.2 (m, 2H), 6.77 (d, J=2.8 Hz, 1H), 6.75 (d, J=2.8 Hz, 1H), 5.99 (s, 1H), 1.27 (s, 9H), 1.23 (s, 9H).
LC-MS(방법 A): RT = 3.88분, m/z = 419.1 [M + Na]+.
단계 B: 1-(4-플루오로페닐)-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DCM(1 mL) 중의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4-플루오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100 mg, 0.25 mmol)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 번 공비혼합시키고, 디에틸 에테르(3 mL)로 연화시키고, 밤새 감압하에 30℃에서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54 mg, 75%).
1H NMR (500 MHz, DMSO-d 6) δ 13.50 (br s, 1H), 7.43 (dd, J=4.9, 8.7 Hz, 2H), 7.33 (t, J=8.8 Hz, 2H), 7.20 (d, J=2.5 Hz, 1H), 7.04 (br s, 2H), 6.62 (d, J=2.5 Hz, 1H).
19F NMR (471 MHz, DMSO-d 6) δ- 113.74 (s, 1F).
LC-MS(방법 C): RT = 4.72분, m/z = 283.1 [M - H]-.
추가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로부터 출발해서 1-(4-플루오로페닐)-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83 (유리 산): 1-(4-메톡시페닐)-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4-메톡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
탈기된 DMF(1 mL) 중의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20 mg, 66 μmol), 4-요오드아니솔(31 mg, 132 μmol), 탄산칼륨(27 mg, 198 μmol), 요오드화구리(I)(10 mg, 33 μmol) 및 트랜스 N,N'-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5.6 mg, 40 μmol)의 현탁액을 질소 대기하에서 밤새 10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50:50의 물:브라인(10 mL)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에틸(3 ×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50:50의 물:브라인(3 × 5 mL)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반응을 세 번 반복하고, 미정제 생성물을 합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40:6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연한 오렌지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세 번의 반응에서 총 46 mg, 57%).
1H NMR (500 MHz, CHLOROFORM-d) δ 7.1-7.2 (m, 2H), 6.9-7.0 (m, 2H), 6.75 (d, J=2.8 Hz, 1H), 6.73 (d, J=2.8 Hz, 1H), 6.00 (s, 1H), 3.86 (s, 3H), 1.28 (s, 9H), 1.23 (s, 9H).
LC-MS: RT = 3.88분, m/z = 431.0 [M + Na]+.
단계 B: 1-(4-메톡시페닐)-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DCM(1 mL) 중의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4-메톡시페닐)피롤-2-카르복실레이트(46 mg, 113 μmol)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 번 공비혼합시키고, 디에틸 에테르(4 mL)로 연화시키고, 감압하에 30℃에서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29 mg, 87%).
1H NMR (500 MHz, DMSO-d 6) δ 13.40 (br s, 1H), 7.3-7.3 (m, 2H), 7.13 (d, J=2.8 Hz, 1H), 7.0-7.0 (m, 4H), 6.59 (d, J=2.8 Hz, 1H), 3.80 (s, 3H).
LC-MS(방법 C): RT = 2.32분, m/z = 295.1 [M - H]-.
실시예 84 (유리 산): 1-벤질-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DCM(1 mL) 중의 tert-butyl 1-벤질-3-(tert-부틸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실레이트(80 mg, 204 μmol)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 번 공비혼합시키고, 디에틸 에테르(4 mL)로 연화시키고, 감압하에 40℃에서 건조시켜 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5 mg, 61%).
1H NMR (500 MHz, DMSO-d 6) δ 13.66 (br s, 1H), 7.3-7.4 (m, 2H), 7.2-7.3 (m, 2H), 7.1-7.1 (m, 2H), 6.86 (br s, 2H), 6.54 (d, J=2.8 Hz, 1H), 5.54 (s, 2H).
LC-MS(방법 C): RT = 2.13분, m/z = 279.1 [M - H]-.
실시예 85 (유리 산): 1-(시클로프로필메틸)-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단계 A: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시클로프로필메틸)피롤-2-카르복실레이트
THF(2 mL) 중의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100 mg, 331 μmol)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16 mg, 400 μmol)을 첨가하였다.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 (브로모메틸)시클로프로판(47 ㎕, 496 μmol)을 첨가한 후,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3 mL)을 적가하여 ??칭시키고, 아세트산에틸(3 × 3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석유 에테르:아세트산에틸, 100:0에서 60:40까지의 기울기 용리)로 정제하여 무색의 오일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95 mg, 81%).
1H NMR (500 MHz, CDCl3) δ = 6.80 (d, J=2.7 Hz, 1H), 6.65 (d, J=2.7 Hz, 1H), 5.69 (s, 1H), 4.10 (d, J=7.0 Hz, 2H), 1.64 (s, 9H), 1.28-1.24 (m, 1H), 1.23 (s, 9H), 0.64-0.58 (m, 2H), 0.35-0.29 (m, 2H).
LC-MS(방법 A): RT = 3.88분, m/z = 379.2 [M + Na]+.
단계 B: 1-(시클로프로필메틸)-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
DCM(1 mL) 중의 tert-부틸 3-(tert-부틸설파모일)-1-(시클로프로필메틸)피롤-2-카르복실레이트(95 mg, 267 μmol)는 1-(4-플루오로페닐)-3-설파모일-피롤-2-카르복시산(단계 B)과 유사한 방식으로 탈보호시켜 회백색의 고체로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36 mg, 55%).
1H NMR (500 MHz, DMSO-d 6) δ = 13.68 (br s, 1H), 7.18 (d, J=2.7 Hz, 1H), 6.84 (br s, 2H), 6.48 (d, J=2.7 Hz, 1H), 4.13 (d, J=7.0 Hz, 2H), 1.29-1.19 (m, 1H), 0.52-0.47 (m, 2H), 0.39-0.34 (m, 2H).
LC-MS(방법 C): RT = 4.83분, m/z = 243.3 [M - H]-.
생물학적 데이터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합물의 작용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메탈로-β-락타마아제 억제 검정에서 시험하였다. 결과는 효소 활성을 50% 억제하는 데 필요한 시험 물품의 농도(IC50)로서 보고된다. 화합물은 시험된 메탈로-β-락타마아제의 강력하고 특이적인 억제와 일치하는 IC50 값을 나타내었다.
메탈로-β-락타마아제 효소 기능의 억제는 1.5 nM NDM-1, 100 μM 니트로세핀(nitrocefin), 및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pH 7.5의 완충제(50 mM HEPES, 150 mM NaCl, 0.1 mM ZnSO4, 20 ㎍/mL PEG4000)에서 37℃에서 수행되었다. 490 nm에서의 흡광도(Absorbance)는 30분 동안 1분마다 BMG LABTECH FLUOstar Omeg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IC50s은 GraphPad Prism을 사용하여 화합물의 Log10 농도에 대한 분당 OD의 평균 증가로부터 결정되었다. 데이터는 아래 표 1에 제공된다.
[표 1]
MIC는 임상검사 표준 연구소(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의 배양액 미량희석 지침(broth microdilution guidelines)(Cockerill et al., 2012)에 따라 MHB-II(양이온 조절된 Mueller-Hinton Broth pH 7.4)에서 항균제의 연속 희석에 세균을 노출시켜 결정되었다.
조합물 MIC는 MHB-II에 4 mg/L 시험 물품을 첨가하여 MIC 결정에 대해 설명한 대로 수행되었다.
세포 독성(Cytotoxicity)은 웰당 2×105개의 세포 밀도로 접종된 인간 Hep G2 세포(ATCC HB-8065)에서 평가하고,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두 배 희석한 일련의 시험 물품에 세포를 노출시켰다. 24시간 노출 후,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CellTiter-Glo®(Promega, WI, USA)를 사용하여 세포의 생존력(viability)을 결정하였다. 결과는 세포 생존력을 50%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시험 물품의 농도(CC50)로서 보고된다.
다음 문헌 참조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검정 방법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 이러한 방법과 관련하여 이들 문서의 개시내용은 구체적으로 본원에 포함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각각의 이들 문서에서 방법의 개시내용은 본 발명의 교시 및 개시내용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래에서 마지막 두 개의 참조문헌은 상승작용(synergy)의 존재를 확립 및 입증하는 방법론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본원에 기술된 절차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메로페넴과 같은 카르바페넴 사이의 상승작용 활성을 입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COCKERILL, F.R., WICKLER, M.A., ALDER, J., DUDLAY, M.N., ELIOPOULOS, G.M., FERRARO, M.J., HARDY, D.J. ANDHECHT, D.W., HINDLER, J.A., PATEL, J.B., POWEL, M., SWENSON, J.M., THOMPRON, J.B., TRACZEWSKI, M.M., TURNIDGE, J.A., WEINSTEIN, M.P., & ZIMMER, B.L. 2012. Methods 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 (M07-A9). Wayn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ILLAI, S.K., MOELLERING, R.C., & ELIOPOULOS, G.M. 2005. Antimicrobial combinations. In: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p. 365-440.
BURKHART, C.G., BURKHART, C.N., & ISHAM, N. 2006. Synergistic Antimicrobial Activity by Combining an Allylamine with Benzoyl Peroxide with Expanded Coverage against Yeast and Bacterial Species.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54(2): 341-344.
생물학 데이터
본 발명의 화합물이 시험되고, 아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로페넴 활성의 현저한 향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된 모든 화합물은 메로페넴만을 사용하는 기준선 연구(baseline study)에 비해 다양한 상이한 세균주에 대한 메로페넴 활성의 현저한 향상을 초래하였다. 시험된 화합물 중 일부는 메로페넴 단독과 비교해서 메로페넴 MIC를 10배 또는 20배 이상 향상시켰다. 이들 시험된 화합물 중 가장 활성이 적은 화합물조차도 메로페넴 단독과 비교해서 메로페넴 MIC를 적어도 4배 향상시킨 활성을 나타내었다. 화합물은 메로페넴과 함께 사용시 광범위한 상이한 세균에 대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균주의 일차 패널(primary panel), 표 2의 I ~ V 열(column)에 대해 시험되었다. 적절하게는, 추가 조사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화합물은 세균주의 이차 패널(secondary panel), 표 2의 VI과 VII 열에 대해 시험되었다.
[표 2] 메로페넴 조합물 M IC (㎍/mL)
표의 단서. 위의 표 2와 아래 표 3의 다음 문자는 ㎍/ml 단위의 MIC{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을 나타낸다: A ≤ 0.1, B ≤ 1, C ≤ 5, D ≤ 10, E ≤ 40 및 F ≤ 80.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이미페넴과 조합하여 시험되었다. 이미페넴을 항생제로 사용하는 결과는 또한 아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균 활성의 현저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시험된 모든 화합물은 이미페넴만을 사용하는 기준선 연구에 비해 다양한 상이한 세균주에 대한 이미페넴 활성의 현저한 향상을 초래하였다.
화합물은 표 3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세균주의 일차 패널, I ~ V 열에 대해 시험되었다.
[표 3]
화합물은 또한 세포독성이 시험되었다. 아래 표 4의 데이터는 시험된 화합물이 어떠한 현저한 세포독성 활성도 나타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표 4] 세포독성 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