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512A - 에어백용 다층 필름 및 에어백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다층 필름 및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512A
KR20210010512A KR1020207035762A KR20207035762A KR20210010512A KR 20210010512 A KR20210010512 A KR 20210010512A KR 1020207035762 A KR1020207035762 A KR 1020207035762A KR 20207035762 A KR20207035762 A KR 20207035762A KR 20210010512 A KR20210010512 A KR 2021001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layer film
resin
adhesive layer
layer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383B1 (ko
Inventor
미유키 이토
다다요시 마츠무라
유스케 사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3M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5Ceram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35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7Polyolefin particles, e.g.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homopolymers or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60R2021/23514Fabric coated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5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7/00Presence of poly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7/00Presence of polyamide
    • C09J2477/006Presence of polyamid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과 블로킹성의 쌍방을 충분히 양립시킨 에어백용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다층 필름은, 접착층과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유리 전이 온도가 0 ∼ 80 ℃, 융점이 100 ∼ 160 ℃ 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층이,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지의 융점보다 20 ℃ 이상 높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에어백은, 상기 에어백용 다층 필름의 접착층과, 합성 섬유 직물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용 다층 필름 및 에어백
본 발명은 에어백용 다층 필름 및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 섬유 직물의 표면에 열 등에 의해 접착하는 접착층과, 외층을 포함하는 에어백용 다층 필름, 및 상기 에어백용 다층 필름이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합성 섬유 직물에 적층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의 대표적인 용도에는 차재 용도가 있다. 이 용도에서는, 충돌시에 인플레이터가 순시에 작동하여, 접힌 상태의 에어백을 팽창시켜, 승객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중증화를 방지할 수 있다. 최근, 차량의 안전 규제나 안전 의식의 고양으로부터 에어백을 탑재하는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 차량용 에어백에는, 정면 충돌을 상정한 프론트 에어백을 비롯하여, 측면 충돌이나 횡전을 상정한 사이드 에어백 및 사이드 커튼 에어백, 나아가서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외 에어백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이들 에어백에 요구되는 성능으로는, 좁은 스페이스에 컴팩트하게 수납하기 위한 유연성, 팽창시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 특성, 팽창을 일정 시간 유지하기 위한 기밀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관해서는, 측면 충돌과 그것에 수반되는 차량의 횡전으로부터 승객을 지키기 위해서, 프론트 에어백보다 장시간 팽창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보다 높은 기밀성이 요구되고 있다.
에어백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합성 섬유 직물 (본 명세서에 있어서「기포 (基布)」라고도 말한다) 을 지지층으로 하여, 그 표면에는 기밀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배리어성 소재가 피복된다. 이 배리어성 소재에는, 실리콘 고무 (코팅 방식) 나 다층 필름 (열 라미네이트 방식) 이 요구 특성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배리어성 소재로서, 특허문헌 1 에는, 고융점의 수지층과 저융점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기포와 접착하는 저융점의 수지층에는, 85 ∼ 105 ℃ 의 융점을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유리 전이 온도가 상이한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기포와 접착하는 제 1 수지층에 유리 전이 온도가 -10 ℃ 이하인 공중합 폴리아미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965757호 유럽 특허출원 공개 제1518761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 에서는, 기포와 접착하는 접착층에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하기 때문에, 폴리아미드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기포와의 친화성이 부족하여, 접착 강도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 접착 강도가 부족함으로써, 에어백이 팽창했을 때, 기포로부터 다층 필름이 박리되어,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의 배리어성 소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10 ℃ 이하인 공중합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중 어느 것을 접착층에 사용함으로써, 유연성, 접착성은 우수하지만, 분자 구조적인 입체 규칙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결정성이 낮고, 그 결과, 블로킹 (융착) 이 일어나기 쉽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배리어성 소재의 생산 방법에, 생산성이 우수한 인플레이션법 (도 1) 을 채용한 경우에는, 블로업 후의 핀치 롤부에서 블로킹이 발생하여, 그 후의 박리 공정에 있어서 2 장 중첩된 필름을 단독으로 떼어 내는 것이 곤란해져, 필름 파단이나 박리 위치의 변동에 의한 주름이나 감김 엇갈림이 발생하여,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블로킹이 일어나기 쉬운 필름을 감은 제품에서는, 권장력 (卷張力) 이나 보관 중의 온습도 조건 등에 따라, 블로킹이 발생하여, 필름을 인출할 수 없게 된다고 한 보존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접착성과 내블로킹성의 쌍방을 충분히 양립시킨 에어백용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 접착층을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이 특정 범위의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으로 하고, 외층을 접착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지보다 융점이 20 ℃ 높은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 함으로써, 내블로킹성과 접착성을 보다 우수한 밸런스로 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접착층과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유리 전이 온도가 0 ∼ 80 ℃, 융점이 100 ∼ 160 ℃ 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층이,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지의 융점보다 20 ℃ 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다층 필름.
(2)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지가 폴리아미드계 수지인, (1) 에 기재된 에어백용 다층 필름.
(3)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공중합 폴리아미드인, (2) 에 기재된 에어백용 다층 필름.
(4)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 12 와 폴리아미드 6 의 공중합체인, (3) 에 기재된 에어백용 다층 필름.
(5)
상기 접착층 100 질량% 에 대하여,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3) 또는 (4) 에 기재된 에어백용 다층 필름.
(6)
상기 접착층이, 안티 블로킹제 및/또는 결정 핵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다층 필름.
(7)
상기 접착층과 상기 외층 사이에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포함되는,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다층 필름.
(8)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다층 필름의 접착층과, 합성 섬유 직물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9)
상기 합성 섬유 직물이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8) 에 기재된 에어백.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킹성이 억제되는 점에서 보존성이 우수함과 함께, 합성 섬유 직물과의 접착성도 우수한 점에서 품질이 안정적인 신뢰성이 높은 에어백이 얻어진다.
도 1 은, 인플레이션법의 일례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얻어진 2 장 중첩된 필름의 내블로킹성의 평가 방법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기포에 다층 필름을 히트 시일한 샘플의 180°박리 테스트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라미네이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상세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및 예시물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 및 균등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다층 필름은, 적어도 2 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그 중, 에어백의 기포와 접착하는 층을 「접착층」이라고 하고, 에어백의 외측에 노출되는 층을 「외층」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용 다층 필름에 의하면, 또한 블로킹성이 억제되는 점에서 보존성도 우수함과 함께, 기포와의 접착성도 우수한 점에서 품질이 안정적인 신뢰성이 높은 에어백이 얻어진다.
이하의 본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은, 접착층과 외층이 적층된 접착층/외층의 2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접착층/중간층/외층의 3 층 구성, 접착층/Glue 층/중간층/Glue 층/외층의 5 층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이외의 다른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외층은, 본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의 양 표면의 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결정성 수지의 블로킹성은, 결정성 (결정화도, 결정화 속도) 이 지배적인 것이 알려져 있었지만, 유리 전이 온도에 의해서도 블로킹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검토의 결과 명확해졌다. 또한, 접착층에 유리 전이 온도와 융점이 특정한 범위인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블로킹성과 접착성의 밸런스가 보다 우수한 에어백용 다층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상기 접착층은, 유리 전이 온도가 0 ∼ 80 ℃ 이고, 융점이 100 ∼ 160 ℃ 인 수지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수지 A 이외에, 다른 수지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A 및 상기 수지 B 는, 1 종이어도 되고, 복수 종이어도 된다.
상기 접착층은, 수지 A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추가로, 상기 수지 B, 후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는, 0 ∼ 8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60 ℃ 이다. 유리 전이 온도의 범위는, 내블로킹성과 융점의 관점에서 정해지는 범위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0 ℃ 이상에서는, 내블로킹성이 더욱 억제되어, 유리 전이 온도를 80 ℃ 이내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융점을 적절한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수지 A 가 복수 종인 경우, 각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수지 A 의 융점은, 100 ∼ 16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140 ℃ 이다. 융점을 1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고온의 사용 환경하에서도 기포와의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라미네이트 가공시의 온도, 압력, 시간 등의 조건의 범위 (프로세스 윈도우라고도 한다) 를 넓게 할 수 있어, 품질이 안정적인 다층 필름이 얻어진다. 한편, 160 ℃ 이하로 함으로써, 적당한 유연성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융점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수지 A 가 복수 종인 경우, 각 수지 A 의 융점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수지 A 가 복수 종 포함되고, 복수의 융해 피크가 있는 경우, 수지 A 의 고온측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 16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140 ℃ 이다.
상기 수지 A 는, 단독 또는 복수의 성분을 블랜드한 혼합물이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극성을 갖는 다른 성분을 블랜드한 혼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 A 로는, 사용 환경에서의 온습도 변화에 대하여, 유연성, 접착성 등의 특성 변화가 작은 점에서,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공중합 폴리아미드 (a-1), 다이머산계 폴리아미드 (a-2),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a-3) 이 바람직하고, 유연성, 접착성, 비용의 관점에서, 공중합 폴리아미드 (a-1) 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 (a-1) 로는, 지방족계 폴리아미드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알려진 모노머 성분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을 2 종 이상 사용하여 공중합한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들 수 있고,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11, 폴리아미드 6/66/1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이머산계 폴리아미드 (a-2) 로는, 천연 식물유의 지방산 (탄소수 18 의 불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올레산, 리놀레산 등)) 을 2 량화한 원료를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a-3) 으로는, 소프트 세그먼트 (비정상) 에 폴리에테르, 하드 세그먼트 (결정상) 에 폴리아미드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다이머산계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도 포함한다) 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 및 접착성이 특히 우수한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6/12 가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수지 A 이외에 상기 수지 B 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층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수지 B 는, 바람직하게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 아이오노머,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저온 환경하에서의 유연성, 접착성의 관점으로부터, 유리 전이 온도가 0 ℃ 미만이고, 융점이 80 ∼ 16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접착층 (100 질량%) 중의 상기 수지 B 의 질량 비율로는, 접착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접착층은, 안티 블로킹제, 활제, 결정 핵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착색제, 충전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접착성 등의 실용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접착층의 내블로킹성이 더욱 향상되는 관점에서, 안티 블로킹제, 결정 핵제, 및/또는 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티 블로킹제 및/또는 결정 핵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안티 블로킹제 및 결정 핵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 블로킹제로는, 가교 폴리스티렌, 가교 아크릴 (PMMA) 수지, 불소 (PTFE) 입자 등의 유기계 입자나 실리카계 입자, 카올린, 탄산칼슘 등의 무기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정 핵제로는, 탤크, 알루미나, 카올린, 고융점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융점이 160 ℃ 초과인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제로는, 지방족계 아마이드, 금속 비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층 (100 질량%) 중의 상기 수지 A 의 질량 비율로는, 접착성과 내블로킹성이 더욱 향상되는 관점에서,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다.
상기 접착층 (100 질량%) 중의 상기 첨가제의 질량 비율로는, 접착성과 내블로킹성의 관점에서,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접착층 100 질량% 에 대한 상기 수지 A (예를 들어, 공중합 폴리아미드 등) 의 질량 비율은, 접착성과 내블로킹성의 관점에서,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 10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 100 질량% 이다.
(외층)
상기 외층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에 사용되는 상기 수지는, 상기 수지 A 의 융점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외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접착층의 융점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에 사용되는 상기 수지의 융점은, 상기 수지 A 의 융점보다 20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25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이상 높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외층에 사용되는 상기 수지의 융점은, 기포와의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사용하는 가열 롤에 대한 융착 (첩부) 용이성에 의해 정해지며, 수지 A 의 융점보다 20 ℃ 이상 높은 융점의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열 롤에 대한 융착이 일어나기 어려워, 안정적인 라미네이트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 중에 수지 A 가 복수 종 포함되는 경우, 및/또는 외층 중에 수지가 복수 종 포함되는 경우, 혼합 수지의 상기 융점은 층 중에 포함되는 혼합 수지에 귀속되는 융해 피크 온도 중, 가장 고온측에 나타나는 융해 피크 온도로 해도 된다.
외층에 사용되는 상기 수지로는, 기밀성, 내마모성, 유연성, 강도, 데드 폴드성 (접어졌을 때에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내성을 의미한다), 난연성, 미끄러짐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외층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수지 A 로서 예시한 폴리아미드계 수지 (a-1, a-2, a-3) 를 들 수 있고, 단독 또는 복수를 블랜드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소프트 세그먼트에 폴리에테르 성분을 사용한 타입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형), 소프트 세그먼트에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사용한 타입 (폴리에스테르-폴리에스테르형)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
상기 중간층으로는, 예를 들어,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레핀 공중합 수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을 단독 또는 복수를 블랜드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들 수 있고, 유연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올레핀 공중합 수지 또는/및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lue 층)
상기 Glue 층은, 각 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층으로, 예를 들어, 산 변성 폴리에틸렌,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극성이 있는 관능기를 갖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및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층 등을 들 수 있고, 사용되는 용도에서의 내열성 등에 대한 요구를 감안하여,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lue 층은, 1 종의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복수 종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다층 필름)
본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은, 적어도 2 층 이상의 필름이고, 필름의 총 두께는 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50 ㎛ 이다. 이들 범위는, 강도와 유연성의 밸런스에 의해 정해지고, 두께 5 ㎛ 이상에서는 강도가 양호해지고, 100 ㎛ 이하에서는 유연성이 양호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 (100 %) 에 대한 상기 외층의 두께 비율은, 유연성과 내마모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20 ∼ 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400 % 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다층 필름이, 외층/Glue 층/중간층/Glue 층/접착층의 5 층 구성인 경우, 상기 접착층의 두께 (100 %) 에 대한 상기 각 층의 두께 비율로는, Glue 층은 10 ∼ 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간층은 50 ∼ 10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층은 10 ∼ 50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다층 써큘러 다이에서 각 층을 포함하는 용융 수지를 공압출하여,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 T 다이로부터 용융 수지를 공압출하고, 캐스트 롤로 필름을 냉각 고화하는 T 다이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인플레이션 성형은,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법을 사용한 경우, 다이 온도로는, 170 ∼ 280 ℃ 를 들 수 있다. 또, 써큘러 다이의 립 외형으로는 50 ∼ 500 ㎜, 립 클리어런스로는 0.5 ∼ 10 ㎜ 를 들 수 있다. 또, 블로업비로는 1 ∼ 10 배, 에어링 온도로는 -30 ∼ 50 ℃, 써큘러 다이와 핀치 롤 사이의 거리로는 1 ∼ 100 m, 인취 속도로는 1 ∼ 200 m/분을 들 수 있다.
(에어백)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은, 상기 다층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합성 섬유 직물 (기포)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섬유 직물을 구성하는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함염소계 섬유, 함불소계 섬유, 폴리아세탈계 섬유, 폴리설폰계 섬유,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섬유 (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섬유 (PEEK), 전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이미드계 섬유,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즈비스옥사졸계 섬유 (PBO), 비닐론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 탄화규소계 섬유, 알루미나계 섬유, 유리계 섬유, 카본계 섬유, 스틸계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강도, 비중, 비용, 다층 필름과의 접착 강도 등의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층과, 상기 합성 섬유 직물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의 제조 방법으로는, 가열 롤을 사용하여, Roll to Roll 로 연속적으로 라미네이트하는 열 라미네이트법, 감압하여 단발적으로 라미네이트하는 진공 라미네이트법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다층 필름의 상기 접착층과, 상기 합성 섬유 직물 (기포) 을, 예를 들어, 가열 온도가 120 ∼ 160 ℃ 인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은, 프론트 에어백, 사이드 에어백, 사이드 커튼 에어백, 차외 에어백 등의 차량용 에어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이드 커튼 에어백은 측면 충돌시의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지키는 것에 더하여, 횡전시에는 승객을 사이드 루프로부터 방출시키지 않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는, 사이드 루프 전체를 순시에 막음과 동시에 프론트 에어백에 비해 장시간, 팽창 상태를 지속시킬 필요가 있어, 기밀성은 물론, 배리어성 소재와 기포의 접착 강도가 보다 더욱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리어 소재에는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원료와 그 표기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 각 원료의 유리 전이 온도 (Tg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및 융점 (Tm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은 후술하는 동적 점탄성 측정기 및 DSC 를 사용하여 얻어진 값이다.
<접착층>
(수지 A)
CoPA1 : 상품명「Ube Nylon 7128B」 (우베 흥산 제조) 공중합 폴리아미드 6/12 (Tg = 47 ℃, Tm = 128 ℃)
CoPA2 : 상품명「Grilon BM13SBG」 (EMS-CHEMIE 제조) 공중합 폴리아미드 6/12 (Tg = 18 ℃, Tm = 134 ℃)
CoPA3 : 상품명「Griltex 1299A」 (EMS-CHEMIE 제조) 다원계 공중합 폴리아미드 (Tg = 17 ℃, Tm = 104 ℃)
(수지 B)
m-PE : 상품명「Admer NF587」 (미츠이 화학 제조) 산 변성 폴리에틸렌 (Tg = -24 ℃, Tm = 121 ℃)
L-TPAE : 상품명「UBESTA XPA 9040F1」 (우베 흥산 제조) 저융점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Tg = -43 ℃, Tm = 133 ℃)
(첨가제)
접착층에 첨가한 첨가제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수지에 첨가할 때에는, 미리 첨가제를 5 질량%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를 토시바 기계 제조 2 축 압출기「TEM-18SS」에 의해, 온도 180 ℃, 스크루 회전수 100 rpm 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펠릿타이즈한 것을 준비하고, 이 펠릿 (마스터 배치) 과 수지와 드라이 블랜드하였다. 그 후, 후술하는 방법으로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다층 필름을 제막 (製膜) 하였다.
·안티 블로킹제 (AB 제) : 상품명「실톤 JC-70」 (미즈사와 화학 제조), 성분명 : 소듐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 형상 : 구상, 평균 입자경 : 7 ㎛
·결정 핵제 (NA 제) : 상품명「마이크로 에이스 P-8」 (니폰 탤크 제조), 성분명 : 탤크, 형상 : 인편상, 평균 입자경 : 3.3 ㎛
<Glue 층>
m-PE : 상품명「Admer NF587」 (미츠이 화학 제조) 산 변성 폴리에틸렌 (Tg = -24 ℃, Tm = 121 ℃)
<중간층>
LLDPE : 상품명「Umerit 3570FC」 (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 제조) 메탈로센계 폴리에틸렌 (Tg < -70 ℃, Tm = 122 ℃)
OBC : 상품명「INFUSE 9500」 (다우·케미컬 제조) 폴리올레핀 블록 코폴리머 (Tg = -51 ℃, Tm = 120 ℃)
m-PE : 상품명「Admer NF587」 (미츠이 화학 제조) 산 변성 폴리에틸렌 (Tg = -24 ℃, Tm = 121 ℃)
<외층>
H-TPAE : 상품명「UBESTA XPA 9063 F1」 (우베 흥산 제조) 고융점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Tg = 24 ℃, Tm = 172 ℃)
이하에, 각 물성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융점)
도요 정기 제작소 제조 프레스 성형기「P2-30T-400」로 150 ㎛ 두께의 시트를 제작하고, DSC (퍼킨엘머 제조「다이아몬드 DSC」) 를 사용하여 10 ℃/분의 승온 속도로 얻어진 융해 피크 온도를 융점으로 하였다. 또한 프레스 성형 조건은 이하의 조건에 따라서 샘플을 채취하였다.
(유리 전이 온도)
도요 정기 제작소 제조 프레스 성형기「P2-30T-400」로 0.9 ㎜ 두께의 시트를 제작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기 (안톤파 제조「MCR301」) 로 손실 정접 tanδ 를 측정하고, 손실 정접 tanδ 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로 하였다.
· 측정 모드 : 토션 (측정 어태치먼트 : SRF10)
· 샘플 : 두께 = 0.9 ㎜ 폭 = 10 ㎜ 측정 스팬 = 38 ㎜
· 노멀 포스 : -0.3 N
· 오실레이션 각 : 0.1 %
· 주파수 : 1 Hz
· 승온 속도 : 2 ℃/분
(내블로킹성)
인플레이션법 (도 1) 에 의해, 후술하는 조건으로 제막한 다층 필름을 2 장 중첩 상태로 권취하고, 즉시 (권취하고 나서 10 분 이내) 박리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의 방법은, 필름의 단부의 양면 (도 2) 에 니치반 제조「셀로테이프」 (등록상표) 를 첩합하고, 다층 필름 표면에 대해 수직의 방향으로 2 장의 셀로테이프를 동시에 당겨, 박리했을 때의 저항 (관능) 과 횟수로 평가하였다. 이 때, 중첩한 다층 필름이 박리되지 않고, 셀로테이프가 박리된 경우에는, 동일한 장소에 새로운 셀로테이프를 첩합하고, 동일한 박리 시험을 반복하였다. 이 시험을 동일한 샘플에 대해 장소를 바꾸어 3 개 지점을 평가하고, 3 개 지점 박리될 때까지의 횟수를 평균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또한 다층 필름이 박리된다는 것은, 접착층끼리의 계면이 1 ㎝ 이상의 길이로 분리된 상태를 말한다.
-기준-
◎ (매우 우수) : 1 회의 박리 테스트로, 대부분 저항없이 박리될 수 있다.
○ (우수) : 1 회의 박리 테스트로 박리될 수 있지만, 저항이 있다.
△ (양호) : 2 회 ∼ 5 회의 박리 테스트로 박리된다.
× (열등) : 6 ∼ 20 회의 박리 테스트로 박리된다.
×× (열악) : 20 회의 박리 테스트로도 박리되지 않는다.
(접착 강도)
하기의 조건에 따라 히트 시일을 실시한 샘플에 있어서, 박리 시험시에 다층 필름이 연신되어 박리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다층 필름의 외층 표면 전체에 니치반 제조「셀로테이프」를 첩합한 후, 인장 시험기 (시마즈 제작소 제조「오토 그래프 AG-IS」) 로 180°박리 시험 (도 3) 을 5 회 실시하고, 각각의 최대값의 평균을 접착 강도로 하였다. 또한 180°박리 시험을 실시했을 때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 샘플의 상태 조정 : 23 ℃ -50 %RH 의 조건에서 2 일간 보관
· 박리 테스트 : 23 ℃ -50 %RH
· 척 사이 : 30 ㎜ (접착부가 척 사이의 중앙이 되도록 장착)
· 박리 속도 : 5 ㎜/분
<히트 시일>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을 10 ㎜ (W) ×70 ㎜ (L) 의 사이즈로 잘라내어, 다층 필름의 접착층과 폴리아미드 66 제 기포를 중첩하고, 테스터 산업 제조「히트 실러 TB-70-B」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접착하였다.
· 시일 바 사이즈 : 5 ㎜W × 300 ㎜L
· 접착 모드 : 히트 시일
· 시일 압력 : 0.4 ㎫ 게이지압 (실린더 내경 = 50 ㎜)
· 시일 시간 : 2 초
· 접착 온도 설정 : 130 ℃, 140 ℃, 150 ℃ (상부와 하부의 시일 바 설정 온도)
(유연성)
후술하는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열 라미네이트 가공한 샘플 (상기 폴리아미드 66 제 기포와 실시예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의 적층제) 을 루프 스티프니스 테스터 (도요 정기 제조 DA 형) 에 의해, 루프가 눌려 찌부러질 때의 저항 (최대값) 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고, 다층 필름이 루프의 외측이 되도록 세팅하고, 샘플을 바꾸어 3 회 측정을 실시하여, 평균값 (1 ㎝ 폭으로 환산) 을 구하였다.
· 샘플의 상태 조정 : 23 ℃ -50 %RH 의 조건에서 2 일간 보관
· 샘플의 폭 (기포의 위 (緯) 방향) : 20 ㎜
· 척 사이 (기포의 경 (經) 방향) : 50 ㎜
· 시험 (압축) 속도 : 3.3 ㎜/분
<라미네이트>
실시예에서 얻어진 다층 필름과, 상기 폴리아미드 66 제 기포 (섬도 = 235 tex, 단사수 = 72, 섬유 밀도 : 경 = 76 개/inch, 위 = 74 개/inch) 를 중첩하고, 라미네이터 (도 4) 를 사용하여, 실리콘 고무 롤측에 다층 필름이 접하도록 하여 접착하였다. 이 때의 라미네이트 조건은 이하와 같다.
· 온도 : 160 ℃
· 롤 속도 : 0.3 m/분
· 선압 : 2.3 ㎏/㎝
(다층 필름의 제작 방법)
다층 써큘러 다이를 사용하고, 인플레이션법 (도 1) 에 의해 원하는 다층 필름을 2 장 중첩된 상태로 3 인치 지관에 권취하였다. 이 때, 튜브상 필름의 내면측 (3b) 이 접착층, 외면측 (3a) 이 외층이 되도록 제막을 실시하였다. 제막 조건은 이하와 같다.
· 다이 온도 설정 : 210 ℃
· 써큘러 다이 : 립 외형 = 95 ㎜, 립 클리어런스 = 3 ㎜
· 블로업비 : 1.1 배
· 에어링 온도 : 22 ℃
· 핀치 롤 직전의 필름 표면 온도 : 32 ℃
· 써큘러 다이 ∼ 핀치 롤 사이 거리 : 2.4 m
· 인취 속도 : 12 m/분
(다층 필름의 조성 분석, 열적 특성 측정 방법)
접착층과 외층을 갖는 다층 필름에 있어서, 접착층 중에 포함되는 성분을 특정하는 방법의 예로는, 적외 분석법, NMR 법에 의해 특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융점, 결정화 온도를 구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다층 필름이 접착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2 종 2 층 필름의 경우에는, 직접, 다층 필름을 원하는 크기로 샘플링하고, 상기 서술한 융점의 측정 방법에 따라, 구할 수도 있다. 다층 필름이 접착층과 외층 사이에 중간층을 갖는 3 종 3 층 이상의 다층 필름의 경우, 접착층만 추출 가능한 용매 (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등) 에 침지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이베포레이터로 용매와 고형분을 분리하여, 고형분을 상기 서술한 융점의 측정 방법에 따라, 구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층 구성이「접착층/외층」으로 이루어지는 2 종 2 층의 다층 필름이고, 여기서, 접착층에는 CoPA1, 외층에 H-TPAE 를 사용하여 다층 써큘러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두께 45 ㎛ 의 2 종 2 층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CoPA1 (유리 전이 온도 Tg = 47 ℃, Tm = 128 ℃) 은, 내블로킹성 및 접착성 (접착 온도 범위, 강도) 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2]
층 구성이「접착층/중간층/외층」으로 이루어지는 3 종 3 층의 다층 필름이고, 여기서, 접착층과 외층에 사용한 수지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중간층에는 LLDPE 와 m-PE 를 각각 50 질량% 를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써큘러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두께 45 ㎛ 의 3 종 3 층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이 실시예 2 는 실시예 1 에 비해 접착층의 두께가 얇아져 있지만, 내블로킹성 및 접착성 (접착 온도 범위, 강도) 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3]
층 구성이「접착층/Glue 층/중간층/Glue 층/외층」으로 이루어지는 4 종 5 층의 다층 필름이다. 접착층은 CoPA1, Glue 층은 m-PE, 중간층은 LLDPE 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외층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접착제층 전체를 100 질량% 로 했을 때의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얻어진 다층 필름도 제막성, 외관은 양호하고, 접착층, 내블로킹성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4]
접착층에는, CoPA1 을 80 질량%, 안티 블로킹제「실톤 JC-70」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2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접착층에 안티 블로킹제가 첨가된 것에 의해, 접착성을 저해하지 않고, 내블로킹성이 더욱 개선이 도모되었다.
[실시예 5]
접착층에는, CoPA1 을 90 질량%, 결정 핵제「마이크로 에이스 P-8」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1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결정 핵제가 접착층에 첨가된 것이라도 접착성을 저해하지 않고, 내블로킹성이 더욱 개선되어 있었다.
[실시예 6]
접착층에는, CoPA1 을 60 질량%, 결정 핵제「마이크로 에이스 P-8」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10 질량%, 안티 블로킹제「실톤 JC-70」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3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접착층에 안티 블로킹제와 결정 핵제를 병용함으로써 내블로킹성이 보다 더욱 개선이 도모되었다.
[실시예 7]
접착층에는, CoPA1 을 20.8 질량%, CoPA2 를 39.2 질량%, 결정 핵제「마이크로 에이스 P-8」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10 질량%, 안티 블로킹제「실톤 JC-70」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3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접착층에 CoPA2 (Tg = 18 ℃ 의 다원계 공중합 폴리아미드) 를 배합해도 내블로킹성 및 접착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8]
중간층에, LLDPE 와 OBC 를 각각 50 질량% 로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중간층이 LLDPE 만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실시예 6) 보다, 중간층의 LLDPE 에 OBC (Tg = -51 ℃ 의 폴리올레핀 블록 폴리머) 를 배합한 실시예 8 은 유연성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9]
접착층에는, CoPA1 을 11 질량%, m-PE 를 49 질량%, 결정 핵제「마이크로 에이스 P-8」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10 질량%, 안티 블로킹제「실톤 JC-70」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3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접착층의 공중합 폴리아미드 (CoPA1) 에 변성 폴리에틸렌 (m-PE) 을 배합해도 제막성, 필름의 외관은 양호하고, 또한 접착성, 유연성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10]
접착층에는, CoPA1 을 40.4 질량%, L-TPAE 를 19.6 질량%, 결정 핵제「마이크로 에이스 P-8」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10 질량%, 안티 블로킹제「실톤 JC-70」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3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접착층의 공중합 폴리아미드 (CoPA1) 에 저융점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L-TPAE) 를 배합해도 제막성, 필름의 외관은 양호하고, 또한 접착성, 유연성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11]
접착층에는, CoPA1 을 1.2 질량%, m-PE 를 19.6 질량%, L-TPAE 를 39.2 질량%, 결정 핵제「마이크로 에이스 P-8」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10 질량%, 안티 블로킹제「실톤 JC-70」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3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접착층의 공중합 폴리아미드 (CoPA1) 에 산 변성 폴리에틸렌 (m-PE) 과 저융점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를 배합해도 제막성, 필름의 외관은 양호하고, 또한 접착성, 유연성도 양호하였다.
[실시예 12]
접착층에는, CoPA1 을 30.6 질량%, CoPA3 을 29.4 질량%, 결정 핵제「마이크로 에이스 P-8」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10 질량%, 안티 블로킹제「실톤 JC-70」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CoPA1) 를 3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 ㎛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접착층의 공중합 폴리아미드 (CoPA1) 에 다원계 공중합 폴리아미드 (CoPA3) 를 배합해도 제막성, 필름의 외관은 양호하고, 또한 접착성, 유연성도 양호하였다.
[비교예 1]
접착층의 CoPA1 대신에 L-TPAE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지만, 필름 제막 단계에서 블로킹이 강하여, 박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접착 강도의 평가를 할 수 없었다. 또한 이 때의 접착층에 사용한 L-TPAE (프레스 시트) 의 유리 전이 온도는 -43 ℃, 융점은 133 ℃ 이고, 결정화 온도는 99 ℃ 였다.
[비교예 2]
접착층의 수지에 L-TPAE 를 60 질량%, 결정 핵제「마이크로 에이스 P-8」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L-TPAE) 를 10 질량%, 안티 블로킹제「실톤 JC-70」을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베이스 수지 : L-TPAE) 를 30 질량% 채취하고, 드라이 블랜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의 층 구성, 첨가제의 첨가 질량 비율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내블로킹성, 접착성은 떨어지는 결과였다.
Figure pct00001
표 1 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접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특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내블로킹성이 개선되고, 결정 핵제, 안티 블로킹제를 첨가함으로써, 내블로킹성은 보다 더욱 개선이 도모된다. 또, 접착층의 융점을 특정한 범위로 함으로써 접착의 프로세스 윈도우가 확대되고, 나아가서는 접착층 중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 강도도 우수한 특성이 얻어졌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필름 제막시의 블로킹이 일어나기 어려운 점에서 안정적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합성 섬유 직물과의 접착성도 우수한 점에서 에어백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다층 써큘러 다이
2 : 에어링
3 : 다층 필름
3a : 외면측 (외층)
3b : 내면측 (접착층)
4 : 디플레이터
5 : 핀치 롤
6 : 가이드 롤
7 : 셀로테이프
8 : 접착층끼리의 중첩부
9 : 폴리아미드 66 제 기포
10 : 카프톤 점착 테이프
11 : 척
12 : 가압 롤 (실리콘 고무 라이닝)
13 : 가열 롤 (크롬 도금 가공)

Claims (9)

  1. 접착층과 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유리 전이 온도가 0 ∼ 80 ℃, 융점이 100 ∼ 160 ℃ 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층이,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지의 융점보다 20 ℃ 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다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상기 수지가 폴리아미드계 수지인, 에어백용 다층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공중합 폴리아미드인, 에어백용 다층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 12 와 폴리아미드 6 의 공중합체인, 에어백용 다층 필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100 질량% 에 대하여, 상기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1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에어백용 다층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안티 블로킹제 및/또는 결정 핵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에어백용 다층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상기 외층 사이에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포함되는, 에어백용 다층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다층 필름의 접착층과, 합성 섬유 직물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직물이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에어백.
KR1020207035762A 2018-08-08 2019-08-06 에어백용 다층 필름 및 에어백 KR102532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9588 2018-08-08
JPJP-P-2018-149588 2018-08-08
PCT/JP2019/030926 WO2020032032A1 (ja) 2018-08-08 2019-08-06 エアバッグ用多層フィルム及びエア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512A true KR20210010512A (ko) 2021-01-27
KR102532383B1 KR102532383B1 (ko) 2023-05-12

Family

ID=6941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762A KR102532383B1 (ko) 2018-08-08 2019-08-06 에어백용 다층 필름 및 에어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90242B2 (ko)
EP (1) EP3835139B1 (ko)
JP (1) JP7177839B2 (ko)
KR (1) KR102532383B1 (ko)
CN (1) CN112512871B (ko)
MX (1) MX2021001068A (ko)
WO (1) WO2020032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3562A (zh) 2020-02-07 2022-09-02 旭化成株式会社 气囊用多层复合体和气囊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6783A1 (en) * 1997-11-26 1999-06-03 Cryovac, Inc. Multilayer heat-shrinkable thermoplastic film
JP2006083263A (ja) * 2004-09-15 2006-03-30 Toyobo Co Ltd 熱可塑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US20070065614A1 (en) * 2003-09-16 2007-03-22 Collano Xiro Ag Laminated material, particularly for an airbag,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irbag, passive restraint systems comprising an airbag, and gas-tight polyamide polymer film
US20080075903A1 (en) * 2006-09-22 2008-03-27 Ramesh Keshavaraj Multilayer film dry lamination of airbag fabrics
JP4965757B2 (ja) 1999-04-13 2012-07-04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オキュパント・リストレイント・システムズ・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カーゲー 繊維ガスバッグ材料、保護クッション及び材料製造方法
KR20140070444A (ko) * 2012-11-30 2014-06-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사이드 커튼 에어백용 라미네이팅 원단
KR101518761B1 (ko) 2011-02-01 2015-05-11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대화형 디스플레이 유닛
KR20170094951A (ko) * 2016-02-12 2017-08-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6332A1 (fr) 1986-12-30 1988-08-03 S.A. Acec Transport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décoder un signal-code
JP5778768B2 (ja) 2010-06-28 2015-09-16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硬化性樹脂組成物
EP2776508B1 (en) 2011-11-10 2018-06-27 FRX Polymers, Inc.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JP6399932B2 (ja) 2012-02-10 2018-10-03 ピーエイチピー ファイバ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PHP Fibers GmbH テープヤーン
TR201905967T4 (tr) * 2013-08-13 2019-05-21 Asahi Chemical Ind Dokunmuş kumaş.
CN105473389B (zh) * 2013-08-26 2018-07-10 东洋纺株式会社 气囊用涂层布
JP6226649B2 (ja) 2013-09-05 2017-11-08 住友精化株式会社 熱融着接着剤
WO2016031056A1 (ja) * 2014-08-29 2016-03-03 グンゼ株式会社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JP2017036530A (ja) 2015-08-13 2017-02-16 住商エアバッ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基布
KR20170052048A (ko) 2015-11-03 2017-05-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융접착필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6783A1 (en) * 1997-11-26 1999-06-03 Cryovac, Inc. Multilayer heat-shrinkable thermoplastic film
JP4965757B2 (ja) 1999-04-13 2012-07-04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オキュパント・リストレイント・システムズ・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カーゲー 繊維ガスバッグ材料、保護クッション及び材料製造方法
US20070065614A1 (en) * 2003-09-16 2007-03-22 Collano Xiro Ag Laminated material, particularly for an airbag,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irbag, passive restraint systems comprising an airbag, and gas-tight polyamide polymer film
JP2006083263A (ja) * 2004-09-15 2006-03-30 Toyobo Co Ltd 熱可塑性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US20080075903A1 (en) * 2006-09-22 2008-03-27 Ramesh Keshavaraj Multilayer film dry lamination of airbag fabrics
KR101518761B1 (ko) 2011-02-01 2015-05-11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대화형 디스플레이 유닛
KR20140070444A (ko) * 2012-11-30 2014-06-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사이드 커튼 에어백용 라미네이팅 원단
KR20170094951A (ko) * 2016-02-12 2017-08-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383B1 (ko) 2023-05-12
JP7177839B2 (ja) 2022-11-24
US20210316692A1 (en) 2021-10-14
EP3835139B1 (en) 2024-05-01
CN112512871A (zh) 2021-03-16
CN112512871B (zh) 2023-03-14
EP3835139A1 (en) 2021-06-16
WO2020032032A1 (ja) 2020-02-13
EP3835139A4 (en) 2021-09-08
US11390242B2 (en) 2022-07-19
MX2021001068A (es) 2021-04-12
JPWO2020032032A1 (ja)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9601B2 (en) Conformable multilayer films
US8541077B2 (en) Oriented multi-layer shrink labels
KR100786005B1 (ko) 다층 지방족 폴리에스터 필름
EP2049333B1 (en) Conformable and die-cuttable machine direction oriented labelstocks and labels, and process for preparing
WO2000018555A9 (en) Method of molding or curing a resin material at high temperatures using a multilayer release film
SE454662B (sv) Vermekrympbar flerskiktsforpackningsfilm, som er baserad pa etensampolymerer
MX2007015590A (es) Peliculas elastomericas de capas multiples de bajo costo que tienen una serie baja permanente.
JP2008062493A (ja) オレフィン系シュリンクフィルム
CN103038301A (zh) 具有泡沫膜背衬层的胶粘带
KR102532383B1 (ko) 에어백용 다층 필름 및 에어백
KR101243463B1 (ko) 다층 폴리올레핀계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다층 폴리올레핀계 연신 필름
US20130136904A1 (en) Winder Liner for Unvulcanized Rubber Material
JP2004170468A (ja) ポリオレフィン系シュリンクラベル
WO2021157733A1 (ja) エアバッグ用多層複合体及びエアバッグ
JP2021123296A (ja) エアバッグ用多層フィルム及びエアバッグ
WO2022168961A1 (ja) エアバッグ用多層複合体
WO2021157725A1 (ja) エアバッグ用基布及びそれを含むエアバッグ
TW201912416A (zh) 切割用基體薄膜
WO1999064533A1 (en) Multilayer adhesive film
JP4678932B2 (ja) ストレッチラベル用チューブ体
US20230037446A1 (en) Recyclable multilayer film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2120862A (ja) 外観に優れた非晶性オレフィン系筒状シュリンクラベル及びその製造法
WO2023161144A1 (en) Machine direction oriented packaging film with cavities
JPH06328560A (ja) 多層共押出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