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156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156A
KR20210009156A KR1020190085809A KR20190085809A KR20210009156A KR 20210009156 A KR20210009156 A KR 20210009156A KR 1020190085809 A KR1020190085809 A KR 1020190085809A KR 20190085809 A KR20190085809 A KR 20190085809A KR 20210009156 A KR20210009156 A KR 2021000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user
unit
display means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팔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156A/ko
Priority to EP20179013.6A priority patent/EP3767022A1/en
Priority to US16/903,630 priority patent/US11781260B2/en
Publication of KR2021000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216/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세탁기행정의 시작 또는 정지를 제어하고, 버튼 또는 터치패널로 한 개가 구비되는 동작조작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구성 부품을 제어하는 행정조작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각각 표시하는 문자표시수단 및 세탁기행정의 진행 시간 또는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그래프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전원을 켜거나 끄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부분별로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세탁기{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기본행정과 세탁물의 온도, 세탁기본행정별 수행 강도 등 세부행정을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선택된 세탁기행정의 종류, 세탁기행정의 진행 또는 남은 시간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오염된 의류 등의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물의 담수를 위한 수조,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통, 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물의 무게, 세탁물의 재질 등에 따라서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기본행정을 시간과 강도, 온도 등을 조절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각 세탁기행정별로 수행될 시간, 강도, 온도 등을 세부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다.
도1은 종래 세탁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기본행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각 기본행정별 수행 시간, 강도, 온도, 코스 등의 세부행정을 선택하기 위한 복잡한 조작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세탁기는 다수개의 조작부를 구비하므로, 사용자가 세탁기를 조작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다. 그리고, 세탁기행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복잡한 조작부와 함께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세탁기행정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421157호는 사용자가 비교적 편리하게 세탁기 행정을 조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10-0421157호 또한 세탁기의 세부행정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다수개의 입력부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세탁기행정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421157호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세탁기행정에 관한 정보가 문자 위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가 복잡하고 어려운 세탁기를 조작함으로써 세탁물에 적합한 행정을 선택하지 못하여 세탁물이 훼손되어 버리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또 다른 과제는, 복잡한 조작부와 함께 배치됨으로써 표시부의 가독성이 떨어져, 사용자가 세탁기행정에 관련된 정보를 쉽게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또 다른 과제는, 세탁기 외부의 복잡하게 구성된 조작부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세탁기가 설치된 공간이 정갈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간편한 조작부와 음성인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개로 간편하게 구성되어 세탁기행정의 시작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입력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세탁기행정을 제어하는 행정조작부, 사용자가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쉽게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호표시수단 및 그래프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부분별로 자유롭게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독립적으로 점등이 가능하여 수행중인 기본행정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 나란히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의 점등으로 기본행정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가 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원형 고리 형상을 가져서, 상기 세탁기의 조작부를 정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세탁기행정의 기본행정으로 건조행정을 추가로 표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세탁기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화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 세탁기행정의 시작을 제어하는 동작부화면,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부분별로 점등되는 그래프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 세탁기행정의 정지를 제어하는 표시부화면을 포함하는 화면으로 화면이 변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세탁기행정을 제어하는 행정조작부를 포함하여 스마트 키 형식으로 간편하게 구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세탁기는, 한 개의 전원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세탁기행정을 제어하는 행정조작부, 그래프의 형상을 가지며 부분별로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점등부를 포함하여 간편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점등부는 상기 전원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원형 고리 형상을 가져서, 세탁기의 조작부를 정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등부는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점등이 가능하여,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감지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표시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점등부가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에 활성화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발명의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간편한 조작부 및 음성인식모듈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기본행정 및 세부행정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은 물론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 또는 손이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도 세탁기행정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간편하게 세탁기행정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세부행정을 실수없이 조작할 수 있어서, 세탁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표시부가 간편한 조작부와 함께 배치되고 직관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그래프로 표현되므로, 사용자가 세탁기행정에 관련된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세탁기의 조작부가 간결하게 구성되므로, 사용자에게 세탁기 및 세탁기가 설치된 공간이 정갈하고 편안하다는 느낌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세탁기에 접근하는 경우 이외에는 표시부가 소등되므로, 수면을 방해하거나 눈에 피로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세탁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5는 문자표시수단이 별도로 점등되고 표시부가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는 도3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문자표시수단이 별도로 점등되고 표시부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도3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하나의 점등수단을 구비하고 표시부가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는 도3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하나의 점등수단을 구비하고 표시부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도3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0은 스마트키 형식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도9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4a는 도12의 조작부가 세탁기행정의 종료 또는 음성 인식중인 상황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b는 도12의 조작부가 동작 시간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부재, 성분, 소재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부재, 성분, 소재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2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세탁기는 본체(10), 도어(20), 조작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30)는 상기 본체(10)의 외부 표면에 구비되며,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 등의 행정과(이하, 기본행정이라 한다) 각각의 기본행정의 수행될 시간, 강도, 온도 등을 조절하는 행정(이하 세부행정이라 한다)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모든 행정(이하, 세탁기행정이라 한다)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는, 입력부(110), 행정조작부(120), 표시부(130), 전원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입력부(11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거나 만지면(이하, 터치 입력이라 한다) 반응하는 버튼 또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탁기행정의 시작과 정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10)를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행정이 시작되고, 세탁기행정 수행 중에 사용자가 상기 동작조작부(110)를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행정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본체(10)에 간단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입력부(110)는 원 형상, 사각형 형상, 타원 형상 등의 공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행정조작부(12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행정조작부(120)는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세탁기의 기본행정 및 세부행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행정조작부(120)는 음성입력부(170-1), 음성신호처리부(170-2)를 포함하는 음성인식모듈(17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구성 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세탁기 근처에서 음성으로 명령어를 말하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모듈(170)을 구성하는 상기 음성입력부(170-1)에서 음성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를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로 전송한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는 상기 음성입력부(170-1)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를 기초로 세탁기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검출하여,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구성 부품을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기초로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구성 부품을 제어하고,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을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로 전송한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된 제어 결과값을 상기 표시부(130) 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음성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본행정 또는 세부행정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전송된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은 상기 표시부(130)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거나, 상기 음성출력부(160)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부(160)는 종래의 세탁기에 구비되는 공지의 스피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에 관한 명령을 상기 행정조작부(120)를 통하여 입력한 다음 상기 입력부(110)를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행정을 시작할 수도 있고, 상기 입력부(110)를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행정을 시작한 다음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에 관한 명령을 상기 행정조작부(120)를 통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에 관한 명령을 상기 행정조작부(120)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입력부(110)를 터치 입력만하여 단순히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세탁기는 기설정된 기본행정을 기설정된 온도, 강도, 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표시부(13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사용자에게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LCD(액정표시기), LED(발광다이오드) 등의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문자 및 도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기호표시수단 및 그래프 형상을 가지는 그래프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깜빡임 등의 점등을 통하여 세탁기행정의 종료 또는 세탁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중인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수행되고 있는 세탁기행정의 진행 시간 또는 남은 시간 등(이하, 동작 시간이라 한다)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며, 다양한 곡선 또는 직선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의 자유로운 범위를 가지는 부분이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독립적으로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이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원형의 고리 형상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특정 색상으로 점점 채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이 1시간이 되면 원형의 고리 형상이 특정 색상으로 전부 채워지도록 구성하고,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이 1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원형의 고리 형상이 다른 색상으로 다시 점점 채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세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본행정의 종류 또는 현재 수행중인 기본행정의 종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며, 한글 등의 문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한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 별개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 나란히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의 점등으로 기본행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5는 기호표시수단이 별도로 점등되고 표시부가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는 도3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기호표시수단이 별도로 점등되고 표시부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도3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상기 기호표시수단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는 별개로 점등되어 기본행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원 형상의 상기 입력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1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고,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원형 고리 형상이 색상A로 점점 채워진다. 그리고,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60분이 될 때 상기 제1 원형 고리 형상은 색상A로 전부 채워지며,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원형 고리 형상이 반시계 방향으로 색상B로 점점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제1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가로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직사각형 형상이 색상C로 점점 채워진다. 그리고,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60분이 될 때 상기 제1 직사각형 형상은 색상C로 전부 채워지며,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직사각형 형상이 상기 가로 일방향으로 색상D로 점점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상기 그래프표시수단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현재 수행중이거나 선택된 기본행정을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는 별도로 점등되어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헹굼행정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헹굼'을 의미하는 기호표시수단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기본행정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행정들을 의미하는 기호표시수단이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호표시수단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 별도로 점등되어 기본행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의 위치와는 독립하여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도7은 하나의 점등수단을 구비하고 표시부가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는 도3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하나의 점등수단을 구비하고 표시부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도3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의 점등으로 기본행정 및 동작 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원 형상의 상기 입력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2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고,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2 원형 고리 형상이 색상E로 점점 채워진다. 그리고,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60분이 될 때 상기 제2 원형 고리 형상은 색상E로 전부 채워지며,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원형 고리 형상이 반시계 방향으로 색상F로 점점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제2 직사각형 형상이고,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가로 일방향으로 상기 제2 직사각형 형상이 색상G로 점점 채워진다. 그리고,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60분이 될 때 상기 제2 직사각형 형상은 색상G로 전부 채워지며, 세탁기의 동작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직사각형 형상이 상기 가로 일방향으로 색상H로 점점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 나란히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기본행정은, 상기 선택된 기본행정을 의미하는 상기 기호표시수단과 인접하는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의 일부분이 점등됨으로써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헹굼행정이 선택된 경우에는, '헹굼'을 의미하는 기호표시수단과 인접하는 상기 원형 고리 형상 또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일부분이 특정 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개의 기본행정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행정들을 의미하는 기호표시수단과 인접하는 상기 원형 고리 형상 또는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일부분이 특정 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상기 기호표시수단이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의 점등을 이용하여 기본행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 나란히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전원부(14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본체(10)의 외부 표면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버튼 또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공지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종래 세탁기의 전원부의 구성 및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는, 디스플레이부(210), 행정조작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패널,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공지의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깜빡임 등의 점등을 통하여 세탁기행정의 종료 또는 세탁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중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세탁기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또는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화면이 변할 수 있는 스마트키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세탁기의 전원을 켜거나 끄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전원부화면(210-1),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 세탁기행정을 시작할 수 있는 동작부화면(210-2), 수행중인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으로 세탁기행정을 정지할 수 있는 표시부화면(210-3)을 포함하는 화면들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화면이 변할 수 있다.
도10은 스마트키 형식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도9의 조작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을 참조하여, 스마트키 형식의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세탁기가 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전원부화면(210-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을 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부화면(210-1)을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의 전원이 켜진다.
세탁기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동작부화면(210-2)으로 화면이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동작부화면(210-2)을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행정이 시작된다.
사용자는 상기 동작부화면(210-2)을 터치 입력하기 전에 세탁기행정에 관한 명령어를 말하고 상기 동작부화면(210-2)을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행정을 시작하거나, 상기 동작부화면(210-2)을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행정이 시작된 다음 세탁기행정에 관한 명령어를 말하여 세탁기행정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명령어를 말하지 않고 상기 동작부화면(210-2)을 터치 입력만하여 단순히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세탁기는 기설정된 기본행정을 기설정된 온도, 강도, 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표시부화면(210-3)으로 화면이 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화면(210-3)은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 마찬가지로,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부분별로 자유롭게 점등되는 그래프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화면(210-3)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행정조작부(120)를 음성으로 제어하여 세탁기행정의 세부행정을 변경할 수 있고, 수행중인 세탁기행정을 정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화면(210-3)을 터치 입력하거나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이 정지되도록 명령어를 말하여 수행중인 세탁기행정을 정지할 수 있다.
수행중인 세탁기행정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표시부화면(210-3)은 세탁기행정의 종료를 문자 등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표시부화면(210-3)은 불빛이 깜빡이도록 점등되거나 종료를 의미하는 문자를 표시하거나 특정 색상으로 화면을 변경하는 등의 방법으로 세탁기행정의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화면(210-3)에 표시되는 세탁기행정의 종료를 확인하고 세탁기의 상기 도어(20)를 열어 세탁물을 수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전원부화면(210-1)으로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전원부화면(210-1)을 길게 누르거나 만지면 세탁기의 전원이 꺼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행정조작부(12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행정조작부(120)는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세탁기의 기본행정 및 세부행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기 행정조작부(1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1의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제어시스템과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을 표시하는 구성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50)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기초로 세탁기행정을 제어한 다음,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을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로 전송하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된 제어 결과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10)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전송된 제어 결과값은 상기 표시부화면(210-3)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거나, 상기 음성출력부(160)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조작부는, 전원부(340), 행정조작부(120), 점등부(3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전원부(34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본체(10)의 외부 표면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는 버튼 또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공지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종래 세탁기의 전원부의 구성 및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행정조작부(12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행정조작부(120)는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기초로 세탁기의 기본행정 및 세부행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기 행정조작부(1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3의 음성인식제어시스템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제어시스템과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을 표시하는 구성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50)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기초로 세탁기행정을 제어한 다음,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을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로 전송하면,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70-2)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된 제어 결과값을 상기 점등부(330)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전송된 제어 결과값은 상기 점등부(330)에 의하여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 등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거나, 상기 음성출력부(160)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원부(340)를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켠 다음, 세탁기행정을 상기 행정조작부(320)를 통해서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점등부(33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점등부(330)는 상기 전원부(340)를 둘러싸는 폐회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340)가 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점등부(330)는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등부(330)는 세탁기행정과 관련된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부분별로 자유롭게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14a는 도12의 조작부가 세탁기행정의 종료 또는 음성 인식중인 상황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4b는 도12의 조작부가 동작 시간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점등부(330)가 하나의 색상으로 점등이 가능한 경우에는 깜빡이도록 또는 회전을 표시하도록 부분별로 자유롭게 점등되어 세탁기행정의 종료, 세탁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중인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1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점등부(330)가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부분별로 자유롭게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기 표시부(130)처럼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는 감지센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세탁기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공지의 동작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 상기 디스플레이부(210), 상기 점등부(330), 상기 전원부(140, 340)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세탁기 근처에 접근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세탁기 근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세탁기가 소등되어 빛을 발산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세탁기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탁기의 상기 전원부(140)를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의 전원이 켜진다.
사용자는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하고 상기 입부력(110)를 터치 입력하거나, 상기 입력부(110)를 터치 입력한 다음 세탁기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함으로써 세탁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명령어를 말할 때, 상기 표시부(130)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는 세탁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중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세탁기행정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성으로 사용자는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작동중인 세탁기의 세탁기행정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의 정지에 필요한 명령어를 말하거나 상기 입력부(110)를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행정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중인 세탁기의 세탁기행정을 변경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세탁기 근처에서 음성으로 필요한 명령어를 말하여 세탁기행정을 변경할 수 있다.
세탁기행정이 종료된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서 사용자는 세탁기행정의 종료를 알 수 있고,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여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전원부(140)를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끌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탁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의 상기 전원부화면(210-1)을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의 전원이 켜지고, 상기 전원부화면(210-1)은 상기 동작부화면(210-2)으로 변한다.
사용자는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하고 상기 동작부화면(210-2)을 터치 입력하거나, 상기 동작부화면(210-2)을 터치 입력한 다음 세탁기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함으로써 세탁기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동작부화면(210-2)은 상기 표시부화면(210-3)으로 변한다. 한편, 사용자가 명령어를 말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10)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는 세탁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중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세탁기행정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화면(210-3)의 표시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성으로 사용자는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을 알 수 있다.
작동중인 세탁기의 세탁기행정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의 정지에 필요한 명령어를 말하거나 상기 표시부화면(210-3)을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행정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동중인 세탁기의 세탁기행정을 변경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음성으로 필요한 명령어를 말하여 세탁기행정을 변경할 수 있다.
세탁기행정이 종료된 경우, 상기 표시부화면(210-3)의 표시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세탁기행정의 종료를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여 세탁물을 수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전원부화면(210-1)으로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전원부화면(210-1)을 길게 누르거나 만지면 세탁기의 전원이 꺼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세탁기의 전원부(340)를 터치 입력하면 세탁기의 전원이 켜진다.
세탁기의 전원이 켜진 후, 사용자는 세탁기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함으로써 세탁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세탁기행정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점등부(330)의 점등으로 사용자는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 등을 알 수 있고, 상기 음성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의 제어 결과값을 알 수도 있다.
그리고, 작동중인 세탁기의 세탁기행정의 정지, 변경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음성으로 세탁기행정의 정지, 변경에 필요한 명령어를 말하여 세탁기행정을 정지시키거나 변경할 수 있다.
세탁기행정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점등부(330)의 점등 또는 상기 음성출력부(16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서 사용자는 세탁기행정의 종료를 알 수 있고,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여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전원부(340)를 터치 입력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세탁기는, 간편한 조작부 및 음성인식모듈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기본행정 및 세부행정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세탁기행정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간편하게 세탁기행정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세부행정을 실수없이 조작할 수 있어서, 세탁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표시부가 간편한 조작부와 함께 배치되고 직관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그래프로 표현되므로, 사용자가 세탁기행정에 관련된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세탁기의 조작부가 간결하게 구성되므로, 사용자에게 세탁기 및 세탁기가 설치된 공간이 정갈하고 편안하다는 느낌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세탁기에 접근하는 경우 이외에는 표시부가 소등되므로, 수면을 방해하거나 눈에 피로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 본체 20 : 도어
30 : 조작부 110 : 입력부
120 : 행정조작부 130 : 표시부
130-1 : 기본행정표시 130-2 : 동작시간표시
140, 340 : 전원부 150 : 제어부
160 : 음성출력부 170 : 음성인식모듈
170-1 : 음성입력부 170-2 : 음성신호처리부
210 : 디스플레이부 210-1 : 전원부화면
210-2 : 동작부화면 210-3 : 표시부화면
330 : 점등부

Claims (16)

  1. 버튼 또는 터치패널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세탁기행정을 시작 또는 정지하는 입력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 및 상기 음성인식모듈에 의하여 인식된 음성을 기초로 세탁기행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행정조작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각각 표시하는 기호표시수단 및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을 표시하는 그래프표시수단을 포함하는 표시부; 및
    버튼 또는 터치패널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전원이 온 오프 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부분별로 독립적으로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 경과 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는 독립적으로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상기 그래프표시수단과 나란히 인접하여 배치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상기 입력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폐회로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의 외주연에 배치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표시수단은 건조행정을 추가로 표시하는, 세탁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세탁기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활성화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표시수단은 상기 음성인식모듈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중인 것을 점등으로 표시하는, 세탁기.
  10.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화면이 변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세탁기행정을 제어하는 행정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전원을 온 오프하는 전원부화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세탁기행정을 시작하는 동작부화면;
    세탁기행정의 동작 시간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부분별로 독립적으로 점등되는 그래프로 표시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화면을 사용자가 터치 입력 하면 세탁기행정이 정지되는,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원형 고리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세탁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세탁기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활성화되는, 세탁기.
  14. 버튼 또는 터치패널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전원이 온 오프 되는 전원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 및 상기 음성인식모듈에 의하여 인식된 음성을 기초로 세탁기행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행정조작부; 및
    상기 전원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폐회로의 구조를 가지고,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부분별로 독립적으로 점등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점등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점등부는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는, 세탁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세탁기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부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된 경우 활성화되는, 세탁기.
KR1020190085809A 2019-07-16 2019-07-16 세탁기 KR20210009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09A KR20210009156A (ko) 2019-07-16 2019-07-16 세탁기
EP20179013.6A EP3767022A1 (en) 2019-07-16 2020-06-09 A washing machine
US16/903,630 US11781260B2 (en) 2019-07-16 2020-06-17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09A KR20210009156A (ko) 2019-07-16 2019-07-16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56A true KR20210009156A (ko) 2021-01-26

Family

ID=7108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809A KR20210009156A (ko) 2019-07-16 2019-07-16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81260B2 (ko)
EP (1) EP3767022A1 (ko)
KR (1) KR202100091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0900B (zh) * 2019-05-27 2023-05-23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793A (en) * 1994-11-18 1997-12-09 Kabushiki Kaisha Toshiba Washing machine with operation panel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switches
JP2002253892A (ja) 2001-02-28 2002-09-10 Hitachi Ltd 洗濯機、表示操作パネル及びこの表示操作パネルを備えた家庭電化機器
US8976126B2 (en) * 2010-09-02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2092445A2 (en) * 2010-12-30 2012-07-0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US9798455B2 (en) * 2012-10-29 2017-10-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perating device
KR101994693B1 (ko) * 2012-12-05 201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102024086B1 (ko) * 2012-12-28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102175295B1 (ko) * 2014-01-09 2020-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WO2016085130A1 (ko) * 2014-11-26 201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106283485B (zh) * 2015-05-14 2019-1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显示方式
KR102442974B1 (ko) * 2017-08-08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KR101991592B1 (ko) * 2017-12-22 2019-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음성 인식에 기반하여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2498007B1 (ko) * 2018-01-08 2023-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 및 동작방법
KR20190085809A (ko)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증강된 팔찌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17688A1 (en) 2021-01-21
US11781260B2 (en) 2023-10-10
EP3767022A1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390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9477317B1 (en) Sanitarily operating a multiuser device using a touch free display
TWI521117B (zh) washing machine
KR102498007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시스템 및 동작방법
KR10264703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3351B1 (ko) 의류처리장치
CN107924271A (zh) 包括配置为外部或内部触摸屏的操作装置的家用器具
US10563335B2 (en) Washer
WO2014024401A1 (ja)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洗濯機
CN106708377A (zh) 家用电器
EP3225731A1 (en) Washer
KR20210009156A (ko) 세탁기
CN107012645B (zh) 洗衣机
JP6289861B2 (ja) 洗濯機
WO2024027173A1 (zh) 控制面板、方法、装置、介质、设备及衣物处理设备
KR20120100624A (ko) 비데의 히든 디스플레이 장치 및 히든 디스플레이 방법.
WO2020013092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WO2018003319A1 (ja) 洗濯装置の操作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6246530B2 (ja) 洗濯機
KR20110045441A (ko) 세탁기용 동작 표시 장치
KR102257622B1 (ko) 세탁장치
CN208384538U (zh) 一种线控器触控屏
JP2014042560A (ja) 遊技機
JP2019208888A (ja) 衣類処理装置
JP2018079363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