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622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622B1
KR102257622B1 KR1020140182069A KR20140182069A KR102257622B1 KR 102257622 B1 KR102257622 B1 KR 102257622B1 KR 1020140182069 A KR1020140182069 A KR 1020140182069A KR 20140182069 A KR20140182069 A KR 20140182069A KR 102257622 B1 KR102257622 B1 KR 10225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display unit
display
co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597A (ko
Inventor
김영우
김자연
오주현
김다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622B1/ko
Priority to PCT/KR2015/011347 priority patent/WO2016085130A1/ko
Priority to US15/528,944 priority patent/US10563335B2/en
Publication of KR2016007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622B1/ko
Priority to KR1020230053982A priority patent/KR20230064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에 설치되고,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메커니즘;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며 선택된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명령 입력부; 상기 조작부의 구동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 및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명령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편리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로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가 대표적이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 겸 건조기도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물에 의한 세탁이 아닌 열풍이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셔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하며, 다른 장치와 배타적이고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세탁장치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하도록 세탁기의 전면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컨트롤 패널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 등과 같은 입력부나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각종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입력부, 선택부 그리고 표시부 등을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세탁기의 주기능은 세탁이다. 따라서 각종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선택부(110) 또는 주기능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일례로 로터리 놉 형태로 코스 선택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트롤 패널(100)에는 코스 표시부(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코스 표시부에 대응되도록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여 원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면 상기 코스 표시부(111)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는 로터리 놉(110) 주위에 다양한 세탁 코스가 표시된 코스 표시부(111)가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로터리 놉(1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세탁 코스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스 표시부(111)와 이에 대응되어 점멸되는 LED 표시부(121)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코스 표시부(111)는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인쇄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주기능 수행에 있어서 부가되거나 변경되는 옵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옵션 선택부(120)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례로 세탁(120a), 헹굼(120b), 탈수(120c), 물온도(120d), 건조(120e), 스팀(122), 그리고 예약(123)과 관련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입입력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옵션이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옵션 표시부(122)도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LED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00)은 세탁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130)를 통해서 현재 세탁기의 동작 상태나 사용자의 코스 또는 옵션 선택 상태,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태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세탁기가 헹굼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헹굼 단계 중"이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코스 입력을 기다리는 경우 "세탁 코스를 입력하세요"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시간이나 세탁기가 세탁 코스를 모두 수행하여 동작을 완료하는 데까지 남아있는 시간(잔여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100)에는 세탁기의 전원을 인가하고 해제시키는 전원 입력부(140)와 세탁기 동작을 실행시키거나 일시정지를 위한 시작/일시정지 입력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컨트롤 패널(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컨트롤 패널(100)의 공간상의 문제로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이외에 부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물론, 복잡하고 다양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컨트롤 패널(100)에 구현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과도한 집중과 사전 지식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00) 제조의 어려움이나 고용량의 메모리를 요하게 되어 세탁기 자체가 과도하게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은 각각의 기능이 기설정되거나 세팅된 상태이므로 부가 기능을 위한 확장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선택부들(110, 120)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즉, 특정 시점에서 필요한 선택부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선택부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따라서, 능숙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세탁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의 수가 많고 산재되어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가 세탁장치에 입력된 정보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들에 시선을 고정시켜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가전제품의 디자인에서 미니멀 디자인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아울러,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세탁장치에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적어도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시키면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가 큰 무리 없이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코스의 수는 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12 개의 세탁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세탁 코스가 추가가 어렵고, 설령 추가된다 하더라도 코스 선택부(110)를 통하지 않고 별도의 옵션 버튼 등을 통해서 추가된 코스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즉, 동일한 레벨의 코스 선택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코스 선택부(110)가 아닌 다른 선택부(예를 들어, 슈즈 리프레시 코스(124)를 통해서 코스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매우 능숙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추가된 세탁 코스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트롤패널에 산재되지 않고 특정 위치에 집중될 수 있는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에 인쇄되는 문자를 배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세탁 코스의 선택 및 옵션의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세탁 코스들 중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메커니즘;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세탁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또는 입력)하며 선택된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명령 입력부; 상기 조작부의 구동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 및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명령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패널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가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메커니즘은, 상기 조작부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기어부; 상기 제2기어부에 연결되어 조작부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형성된 엔코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 신호는 상기 엔코더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평기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와 상기 제1기어부 사이에서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은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기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횡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횡단면 크기를 구비하는 투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재에는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조작부를 향하여 돌출된 원형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부재는 투명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돌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폭방향 일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방면에 결합되는 지지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디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시트, 및 상기 엔코더와 상기 제2기어부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코더는 상기 제2설치시트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엔코더의 회전 인식부는 상기 제2기어부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바디에는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입력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버튼은 상기 조작부에 구비된 상기 명령 입력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 버튼은 상기 명령 입력부가 눌림에 따라서 함께 눌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상기 조작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에서 6시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은 상기 조작부의 관통홀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LCD)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트롤패널에 산재되지 않고 특정 위치에 집중될 수 있는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패널에 인쇄되는 문자를 배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세탁 코스의 선택 및 옵션의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 메커니즘과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 메커니즘과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조작 메커니즘과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에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에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특정 세탁코스를 시작시켰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행정 중 화면을 타나낸다.
도 9a 및 9b는 디스플레이부에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X축 방향을 세탁장치의 폭방향, Y축 방향을 세탁장치의 전후방향, Z축 방향을 세탁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는 표준세탁, 아기옷, 삶음, 스피드워시, 알러지케어, 스팀클리닝, 기능성의류, 침구클리닝, 찬물세탁, 린제리/울, 이불 및 헹굼/탈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은 세탁 강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및 탈수 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10),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220),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설치되는 조작부(310), 상기 조작부(310)의 전방면(즉, 상면)에 구비되는 명령 입력부(311), 상기 조작부(310)의 구동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 및 하나 이상의 옵션을 표시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부(24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10)은 세탁장치(20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210) 내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드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터브 및 드럼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면(211)에는 상기 드럼 내로 세탁물을 유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도어(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30)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230)를 열고 닫을 때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23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30)의 중앙부는 상기 드럼 내측이 보이도록 투명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212)의 전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면(21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2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의 전방부가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212)에서 상기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이 상기 컨트롤패널(220)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212)은 상기 캐비닛(210)의 설치면에 평행한 편평부, 상기 편평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편평부와 상기 경사부를 연결하는 경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가 상기 컨트롤패널(2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평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경계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전방 모서리가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면(211)의 상부 모서리와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면(211)보다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폭방향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10)는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패널(22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10)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 중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상기 조작부(310)의 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상기 조작부(310)의 전방면에서 상기 조작부(31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상기 조작부(310)의 전방면에서 최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상기 조작부(310)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310)의 둘레방향 일부가(또는 일측이) 상기 명령 입력부(311)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1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항상 상기 조작부(310)의 최하측(즉, 세탁장치(200)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조작부(310)의 6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조작부(310)의 회전과 관계 없이, 조작부(310)의 최하측의 부분이 상기 명령 입력부(311)가 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또는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선택된 코스를 실행 및/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명령을(즉, 신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외부 압력에 의해 눌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입력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또는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미리 선택된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310)의 구동(회전)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 및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에 대한 세탁 코스 아이콘,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에 각각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옵션 아이콘 및 시작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항목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옵션 아이콘 및 상기 시작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항목들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 항목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조작부 관통홀(312, 도 2 및 3 참조)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입력 항목들이 인식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서 구현되는 상기 입력 항목들은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에 대응하는 위치로서, 상기 입력 항목들이 표시되는 원형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형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입력 항목들과 코스 및 옵션에 대한 정보(설명)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원형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입력 항목들은 상기 원형 디스플레이 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부에는 선택된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옵션에 대한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 5 참조)는 상기 조작부(310) 및 상기 명령 입력부(31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310) 및 상기 명령 입력부(31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입력 항목들 및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되는 코스 및 옵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에 대해서는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설치되는 조작 메커니즘(300, 도 3 및 4 참조)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이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 메커니즘(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X축은 폭방향을 나타내고, Z축은 상하방향(높이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전후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2 내지 4를 함께 참조하면, 조작부(310)는 중앙부에 관통홀(312, 이하 "조작부 관통홀"이라고도 함)을 구비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310)는 원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조작부 관통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310)는 컨트롤패널(22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패널(220)로부터 상기 조작부(310)의 상면만이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0)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접촉한 상태로 상기 조작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화면이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을 통하여 인식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화면을 세탁장치(200)의 전방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전술한 조작부(310)를 구비하는 조작 메커니즘(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메커니즘(300)은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1기어부(330), 상기 제1기어부(3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기어부(340),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형성된 엔코더(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 메커니즘(300)은 조작부(310), 제1기어부(330), 제2기어부(340), 제2기어부(240) 및 엔코더(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330)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조작부(3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310)가 회전 조작될 때,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310)의 하측에서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제1기어부(3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부(3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제1기어부(3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기어부(3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330)가 회전될 때 상기 제2기어부(34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제1기어부(33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어부(330) 및 상기 제2기어부(340)는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기어부(330)에는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1기어부 관통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링 형태의 조작부(310)의 내주면(315)의 적어도 일부상기 제1기어부 관통홀(322)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형 링 형태의 조작부(310)의 내주면(315)은 하측을 향하여(즉, 상기 제1기어부(330)측을 항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작부(310)의 내주면(315)은 상기 제1기어부 관통홀(322)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제2기어부(340)에 연결되어 조작부(310)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형성된 회전 인식부(35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인식부(351)는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 중심에 형성된 연결홀(341)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기어부(340)가 회전될 때, 상기 엔코더(350)의 회전 인식부(351) 역시 회전되면서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 피치(또는 회전 각도)가 상기 엔코더(350)에서 인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부(310)의 회전은 상기 제1기어부(330) 및 상기 제2기어부(340)를 통해 상기 엔코더(350)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 피치(또는 각도)를 인식하여 후술할 제어부(도 5 참조)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엔코더(350)를 통해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 메커니즘(300)은 상기 조작부(310)와 상기 제1기어부(33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은 상기 지지부재(320)를 통해 상기 제1기어부(3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기 조작부(310) 하측 및 상기 제1기어부(33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력이 상기 제1기어부(330)에 전달되도록 상기 조작부(310) 및 상기 제1기어부(330)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기 조작부(310)와 상기 제1기어부(330) 사이에서 상기 조작부(310) 및 상기 제1기어부(330)에 각각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은 상기 지지부재(320), 상기 제1기어부(330) 및 상기 제2기어부(340)를 통해 상기 엔코더(350)의 회전 인식부(351)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 피치(또는 회전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상기 조작부(310)와 디스플레이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부재(370)는 상기 상기 조작부(3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횡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횡단면 크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부재(3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정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투명부재(3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정면을 덮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부재(370)는 상기 제1기어부(3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기 조작부(310), 상기 지지부재(320), 상기 제1기어부(330), 상기 투명부재(37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부재(370)는 투명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화면은 상기 투명부재(370) 및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을 통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부재(370)에는 상기 조작부(310)를 향하여 돌출된 원형 돌출부(37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부재(370)에는 상기 조작부(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조작부(310)를 향하여 돌출된 원형 돌출부(371)가 형성될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 돌출부(371)은 조작부 관통홀(3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310)의 내주면(312)은 아래쪽으로(즉, 상기 원형 돌출부(37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10)의 내주면(312)은 상기 원형 돌출부(371)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10)의 내주면(312)이 상기 원형 돌출부(371)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310)의 내주면(312)의 직경은 상기 원형 돌출부(37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원형 돌출부(37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형 돌출부(371)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축 기능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형 돌출부(37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폭방향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폭방향 일측(예를 들어, 폭방향 우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보다 작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영상 또는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기어부(330)의 회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기어부(340)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 돌출부(37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폭방향 일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형태를 구비하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영상은 상기 조작부(310)의 조작부관통홀(312)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원형으로 화면 또는 형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 상기 원형 돌출부(317)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은 모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표시장치(LCD)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사각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CD)로 형성되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영상은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 및 상기 원형 돌출부(31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원형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20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후방면(배면)에 결합되는 지지 바디(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바디(360)는 상기 세탁장치(2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바디(36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시트(361), 및 상기 엔코더(350)와 상기 제2기어부(340)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시트(36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바디(360)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시트(36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바디(360)의 폭방향 타측에는 상기 엔코더(350)와 상기 제2기어부(340)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시트(3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설치시트(361) 및 상기 제2설치시트(362)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설치시트(361) 및 상기 제2설치시트(362)는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제2설치시트(362)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제2설치시트(362)에서 상기 엔코더(3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코더(350)에 구비된 회전 인식부(351)는 상기 제2기어부(34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인식부(351)는 상기 제2기어부(340)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 홀(341)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바디(360)에는 상기 조작부(310)에 마련된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입력된 명령이 제어부(도 5 참조)로 전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제어되도록 하는 입력 버튼(363)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버튼(363)은 상기 제1설치시트(36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버튼(363)은 상기 제1설치시트(36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배치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버튼(363)은 상기 제1설치시트(36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버튼(363)은 상기 조작부(310)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조작부(310)에 마련된 상기 명령 입력부(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 버튼(363)은 상기 조작부(310)에 구비된 상기 명령 입력부(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 버튼(363)은 상기 명령 입력부(311)가 눌림에 따라서 함께 눌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조작부(310)에 하나의 명령 입력부(311)가 구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조작부(310)가 회전되어 상기 입력 버튼(363)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310)의 부분이 명령 입력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조작부(310)의 회전 및 상기 조작부(310)에서 상기 입력 버튼(363)에 대응하는 위치의 가압(누름)을 통하여, 세탁장치(200)와 관련된 모든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입력, 세탁 코스의 선택, 옵션의 변경, 선택된 세탁 코스의 시작 및 예약 시간의 설정을 포함하는 세탁장치(200)의 조작은 모두 상기 하나의 조작부(310)의 회전 및 상기 하나의 명령 입력부(3110)를 통한 명령의 입력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명령 입력부(311)는 상기 조작부(310)의 전방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363)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조작부(310)의 전방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36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조작부(310)의 전방면이 상기 명령 입력부(311)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즉,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하여) 조작부(310)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명령 입력부(311)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입력 버튼(363)은 제어부(도 5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누르면, 상기 입력 버튼(363)이 함께 눌리면서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입력된 명령이 상기 제어부로 전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조작 메커니즘을 통한 조작이 제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조작 메커니즘과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세탁장치(200)는 제어부(288) 및 전원 입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290)는 세탁장치(20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입력부(290)는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장치(20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조작 메커니즘(300) 및 입력 버튼(3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80)는 조작 메커니즘(300)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조작 메커니즘(300)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 및 상기 전원 입력부(290)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10)가 회전되면,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력은 지지부재(320), 제1기어부(330) 및 제2기어부(34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제2기어부(340)에 연결된 엔코더(35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조작부(31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한 회전 각도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280)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엔코더(35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 각도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입력 항목들이 순차적으로 발광(또는 활성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10)에 마련된 명령 입력부(311)가 조작되면, 상기 명령 입력부(311)의 하측에서 상기 명령 입력부(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입력 버튼(363)이 작동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10)에 마련된 명령 입력부(311)가 눌리면, 상기 명령 입력부(311)의 하측에서 상기 명령 입력부(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입력 버튼(363)이 함께 눌린다.
이때, 상기 명령 입력부(311)가 눌린 신호는(즉, 상기 입력 버튼(363)이 눌린 신호는) 상기 제어부(28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상기 명령 입력부(311)가 눌린 신호(즉, 상기 입력 버튼(363)이 눌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의 입력, 상기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의 입력 및 선택된 세탁 코스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 또는 설명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에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조작부(310)가 미리 결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또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원 입력부(29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세탁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310)를 미리 결정된 각도(예를 들어, 360도) 이상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미리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2 내지 3초) 이상 누르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입력부(290)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2 내지 3초) 이상 지속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세탁장치(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전원 입력부(290)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세탁장치(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 입력부(2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부(310)를 회전시키거나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눌러사 상기 세탁장치(2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서 구현되는 화면 또는 영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에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0)는 원형 링 형태의 조작부(310)에 대응하는 원형 디스플레이 영역(245)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형 디스플레이 영역(245)은 상기 조작부(310)에 형성된 조작부 관통홀(3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 관통홀(312)을 통하여 상기 원형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240)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스 선택 화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241-1 ~ 241-9) 및 하나의 추가 코스 아이콘(24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241-1 ~ 241-9) 및 하나의 추가 코스 아이콘(242)이 선택적으로 발광(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스 선택 화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선택된 코스의 명칭을 포함하는 선택된 코스의 설명 및 소요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세탁 코스 아이콘들(241-1 ~ 241-9)은 표준세탁, 아기옷, 삶음, 스피드워시, 알러지케어, 스팀클리닝, 기능성의류, 침구클리닝, 찬물세탁, 린제리/울, 이불 및 헹굼/탈수를 위한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표시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241-1 ~ 241-9) 및 추가 코스 아이콘(242)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제어부(28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3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표시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241-1 ~ 241-9) 및 하나의 추가 코스 아이콘(242)이 순차적으로 발광 또는 활성화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른 신호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엔코더(350)를 통해 제어부(28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280)는 상기 엔코더(350)를 통해 전달된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스 선택 화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둘레방향 일측에 환경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243)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241-1 ~ 241-9), 추가 코스 아이콘(242) 및 상기 설정 아이콘(243)이 순차적으로 발광 또는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부(28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코스 선택 화면에는 선택(selet) 문구(S)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 문구(S)는 조작부(310)에서 명령 입력부(311)가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코스 선택 화면에서 6시 방향에 선택 문구(S)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310)에서 상기 선택 문구(S)가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명령 입력부(311)가 위치한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원하는 코스의 선택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설정 아이콘(243)이 발광될 때, 사용자가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240)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화면(미도시)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설정 화면에는 화면 밝기, 사용 언어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조작부(310)의 조작 및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한 신호의 입력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40)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추가 코스 아이콘(242)이 발광될 때,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둘레방향을 다라서 상기 세탁 코스 아이콘들과 다른 복수 개의 추가 세탁 코스 아이콘들(미도시)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세탁 코스는 상기 제어부(280)에 구비되는 메모리(미도시)를 통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241-1 ~ 241-9)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상기 선택된 코스를 입력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의해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241-1 ~ 241-9) 중 스피드 워시 아이콘(241-3)이 선택되고,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옵션 설정을 위한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옵션 설정 화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에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옵션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4-1 ~ 244-4), 예약 아이콘(244-5), 시작 아이콘(244-6)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옵션 아이콘(244-1 ~ 244-4)은 세탁 강도 아이콘(244-1), 세탁수 온도 아이콘(244-1), 헹굼 횟수 아이콘(244-3) 및 탈수 강도 아이콘(244-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옵션 설정 화면에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선택된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4-1 ~ 244-4), 예약(dealy) 아이콘(244-5) 및 시작(start) 아이콘(244-6)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10)의 조작(회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4-1 ~ 244-4), 예약 아이콘(244-5) 및 시작 아이콘(244-6)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활성화)되도록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옵션 아이콘(244-1 ~ 244-4)이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하여 복수 개의 옵션 아이콘(244-1 ~ 244-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된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하여 세탁수 온도 아이콘(244-2)을 발광 또는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세탁수 온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명령 입력부(311)는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선택된 옵션의 값을 변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옵션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탁수 온도에 대한 정보(또는 설정 값)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반경방향 중앙부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변경을 원하는 옵션과 관련된 옵션 아이콘을 발광시킬 수 있고,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상기 변경을 원하는 옵션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 설정 화면에는 추가 옵션 아이콘(244-7) 및 되돌림(back) 아이콘(244-8)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가 옵션 아이콘(244-7) 및 되돌림(back) 아이콘(244-8) 역시,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4-1 ~ 244-4), 예약 아이콘(244-5) 및 시작 아이콘(244-6)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옵션 아이콘(244-7)이 발광(활성화)된 상태에서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4-1 ~ 244-4)과 다른 옵션 아이콘들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되돌림(back) 아이콘(244-8)이 발광(활성화)된 상태에서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코스 선택 화면이 다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작부(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되돌림 아이콘(244-8)이 선택되고,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상기 코스 선택 화면이 다시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코스 및 설정된 옵션에 따라 세탁장치(200)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작(start) 아이콘(244-6)이 발광된 상태에서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시작 아이콘(244-6)이 선택되도록(발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미리 선택된 코스 및 옵션에 따라서 세탁장치(20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작 아이콘(244-6)은 옵션 설정 화면에서만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시작 아이콘(244-6)은 코스 선택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으며, 옵션 설정 화면에서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스 선택 화면을 통한 코스의 선택하고, 옵션 선택 화면을 확인한 후에 세탁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세탁장치(200)의 구동 중(즉, 행정 중)에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특정 세탁코스를 시작시켰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행정 중 화면을 타나낸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세탁 코스의 선택 및 옵션의 설정을 완료한 후에 세탁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세탁장치(200)가 구동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영역(245)에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 코스의 정보 및 세탁 완료까지 남은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세탁장치(200)가 구동되는 동안에,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245)에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 코스의 정보 및 세탁 완료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245)에는 현제 진행중인 행정(예를 들어, 세탁 행정(washing))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245)의 둘레방향 일측에는 일시정지(pause) 문구(246)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시정지 문구(246)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310)에 마련된 명령 입력부(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시정지 문구(246)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서 6시 방향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310)에서 상기 일시정지 문구(246)가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부분이 명령 입력부(311)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에 따른 세탁장치(200)의 구동 중에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세탁장치(200)의 구동을 일시 정시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9b는 디스플레이부에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초기의 예약 설정 화면을 나타내고, 도 9b는 조작부(310)를 소정 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예약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7과 도 9a 및 9b를 함께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옵션 설정 화면에서, 조작부(310)의 회전에 의해 예약 아이콘이 선택되고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는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 표시될 수 있다(도 9a 참조).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는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아날로그 시계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예약 시간이 선택되고,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하여 예약 설정이 완료되도록(도 9b 참조), 상기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의 예약 설정 화면에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가 부채꼴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채꼴 형태의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의 면적을 통하여 세탁 소요 시간 역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245)에서 명령 입력부(3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인 6시방향에는 되돌림(back) 문구(248)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예약 설정을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310)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45)에 표시되는 화면을 이전 화면(즉, 옵션 설정 화면)으로 되돌릴 수 있다.
한편, 예약 설정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부채꼴 형태의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 역시 이동(즉,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작부(310)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부채꼴 형태의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예약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가 조작부(310)를 회전시키면, 명령 입력부(3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디스플레이 영역(245)에는 예약완료(OK) 문구(249)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가 원하는 세탁 완료 시간에 위치될 때, 사용자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눌러서 예약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상기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가 원하는 세탁 완료 시간에 위치될 때,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설정된 예약 시간에 기초하여 세탁장치(200)가 구동되도록 상기 세탁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200 세탁장치 210 캐비닛
220 컨트롤패널 230 도어
240 디스플레이부 280 제어부
290 전원 입력부 300 조작 메커니즘
310 조작부 330 제1기어부
340 제2기어부 350 엔코더

Claims (17)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컨트롤패널;
    상기 컨트롤패널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세탁 코스들 중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부를 구비하는 조작 메커니즘;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세탁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며 선택된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명령 입력부;
    상기 조작부의 구동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 및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명령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메커니즘은,
    상기 조작부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기어부;
    상기 제2기어부에 연결되어 조작부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형성된 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 신호는 상기 엔코더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패널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가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평기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제1기어부 사이에서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은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기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횡단면 크기에 대응하는 횡단면 크기를 구비하는 투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재에는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조작부를 향하여 돌출된 원형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투명 아크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돌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폭방향 일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방면에 결합되는 지지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디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시트, 및 상기 엔코더와 상기 제2기어부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상기 제2설치시트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엔코더의 회전 인식부는 상기 제2기어부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에는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입력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은 상기 조작부에 구비된 상기 명령 입력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 버튼은 상기 명령 입력부가 눌림에 따라서 함께 눌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상기 조작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부는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에서 6시 방향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은 상기 조작부의 관통홀을 통해 인식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40182069A 2014-11-26 2014-12-17 세탁장치 KR10225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69A KR102257622B1 (ko) 2014-12-17 2014-12-17 세탁장치
PCT/KR2015/011347 WO2016085130A1 (ko) 2014-11-26 2015-10-27 세탁장치
US15/528,944 US10563335B2 (en) 2014-11-26 2015-10-27 Washer
KR1020230053982A KR20230064595A (ko) 2014-11-26 2023-04-25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69A KR102257622B1 (ko) 2014-12-17 2014-12-17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97A KR20160073597A (ko) 2016-06-27
KR102257622B1 true KR102257622B1 (ko) 2021-05-28

Family

ID=5634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069A KR102257622B1 (ko) 2014-11-26 2014-12-17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3682B2 (en) 2016-06-14 2019-02-12 Doosan Machine Tools Co., Ltd. Posi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rotation center of a tilting hea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190B1 (ko) * 2005-05-10 2012-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이얼스위치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282948B1 (ko) * 2006-11-16 201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컨트롤 장치
KR20140005484A (ko) * 2012-07-04 2014-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다이얼이 구비된 세탁장치
KR20140103763A (ko) * 2013-02-19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97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658B1 (ko) 세탁장치
US20120036900A1 (en) Washing machine
US10563335B2 (en) Washer
KR102248073B1 (ko) 세탁장치
EP2913430B1 (en) Operating device
EP3225731B1 (en) Washing machine
US20090201124A1 (en) Input device of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7118895B2 (ja) 衣類処理装置
KR20090131826A (ko) 세탁장치의 입력장치
KR102257622B1 (ko) 세탁장치
US20140062278A1 (en) Method of operating a domestic appliance, and domestic appliance having an ergonomic operator control apparatus
KR102254893B1 (ko) 세탁장치
KR102271435B1 (ko) 세탁장치
US20120137739A1 (en) Washing machine
KR102455381B1 (ko) 세탁장치
KR102511241B1 (ko) 세탁장치
KR20230064595A (ko) 세탁장치
KR102423500B1 (ko) 의류처리장치
EP43653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837724B1 (en) Laundry machine equipped with a user interface with a start-up procedure
KR2023000387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1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0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7124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30001311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