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381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381B1
KR102455381B1 KR1020210052582A KR20210052582A KR102455381B1 KR 102455381 B1 KR102455381 B1 KR 102455381B1 KR 1020210052582 A KR1020210052582 A KR 1020210052582A KR 20210052582 A KR20210052582 A KR 20210052582A KR 102455381 B1 KR102455381 B1 KR 10245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display
option
rotary knob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846A (ko
Inventor
오주현
김영우
김자연
김다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661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807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3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846A/ko
Priority to KR1020210118948A priority patent/KR102511241B1/ko
Priority to KR1020210118947A priority patent/KR102528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381B1/ko
Priority to KR1020230053982A priority patent/KR20230064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편리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집중시키고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환형의 로터리 놉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리 놉 어셈블리;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로터리 놉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되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 있는 상기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에 따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달라지도록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편리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집중시키고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로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가 대표적이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 겸 건조기도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물에 의한 세탁이 아닌 열풍이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셔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하며, 다른 장치와 배타적이고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세탁장치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하도록 세탁기의 전면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컨트롤 패널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 등과 같은 입력부나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각종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입력부, 선택부 그리고 표시부 등을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세탁기의 주기능은 세탁이다. 따라서 각종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선택부(110) 또는 주기능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일례로 로터리 놉 형태로 코스 선택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트롤 패널(100)에는 코스 표시부(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코스 표시부에 대응되도록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여 원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면 상기 코스 표시부(111)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는 로터리 놉(110) 주위에 다양한 세탁 코스가 표시된 코스 표시부(111)가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로터리 놉(1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세탁 코스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스 표시부(111)와 이에 대응되어 점멸되는 LED 표시부(121)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코스 표시부(111)는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인쇄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주기능 수행에 있어서 부가되거나 변경되는 옵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옵션 선택부(120)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례로 세탁(120a), 헹굼(120b), 탈수(120c), 물온도(120d), 건조(120e), 스팀(122), 그리고 예약(123)과 관련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입입력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옵션이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옵션 표시부(122)도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LED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00)은 세탁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130)를 통해서 현재 세탁기의 동작 상태나 사용자의 코스 또는 옵션 선택 상태,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태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세탁기가 헹굼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헹굼 단계 중"이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코스 입력을 기다리는 경우 "세탁 코스를 입력하세요"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시간이나 세탁기가 세탁 코스를 모두 수행하여 동작을 완료하는 데까지 남아있는 시간(잔여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100)에는 세탁기의 전원을 인가하고 해제시키는 전원 입력부(140)와 세탁기 동작을 실행시키거나 일시정지를 위한 시작/일시정지 입력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컨트롤 패널(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컨트롤 패널(100)의 공간상의 문제로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이외에 부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물론, 복잡하고 다양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컨트롤 패널(100)에 구현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과도한 집중과 사전 지식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00) 제조의 어려움이나 고용량의 메모리를 요하게 되어 세탁기 자체가 과도하게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은 각각의 기능이 기설정되거나 세팅된 상태이므로 부가 기능을 위한 확장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선택부들(110, 120)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즉, 특정 시점에서 필요한 선택부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선택부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따라서, 능숙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세탁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의 수가 많고 산재되어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각각의 구성들에 시선을 고정시켜야만 세탁장치에 입력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가전제품의 디자인에서 미니멀 디자인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아울러,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세탁장치에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적어도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시키면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가 큰 무리 없이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코스의 수는 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12 개의 세탁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세탁 코스가 추가가 어렵고, 설령 추가된다 하더라도 코스 선택부(110)를 통하지 않고 별도의 옵션 버튼 등을 통해서 추가된 코스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즉, 동일한 레벨의 코스 선택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코스 선택부(110)가 아닌 다른 선택부(예를 들어, 슈즈 리프레시 코스(124)를 통해서 코스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매우 능숙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추가된 세탁 코스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코스의 선택과 선택된 세탁 코스와 연계되는 옵션의 선택이 용이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택된 정보를 선택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 편이성을 증진시킨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트롤패널에 산재시키지 않고 특정 위치에 집중시킴으로 하여 미니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구비하여 입력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새로운 코스가 추가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컨트롤패널이나 각종 입력부에 인쇄된 문자를 배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코스 선택과 옵션 선택이 용이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환형의 로터리 놉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리 놉 어셈블리;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로터리 놉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되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 있는 상기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에 따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달라지도록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선택 시, 상기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상하 배치나 좌우 배치 등을 통해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광투과부; 상기 복수 개의 광투과부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광원; 단일 터치부; 그리고 상기 단일 터치부와 대응되는 단일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부는 아이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이 광투과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아이콘 형상을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아이콘은 상하 배치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통해서만 빛이 방출되면, 빛이 방출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가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단일 터치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이격되며 이를 통해 상기 단일 스위치를 누르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일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복수 개의 입력 정보 중 특정 입력 정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의 위치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광원의 위치도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 개의 광원의 밝기 차이로 인해 특정 입력 정보가 다른 입력 정보에 비해서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최대와 최소의 두 레벨 또는 최대, 중간 그리고 최소의 세 레벨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세탁 코스 화면이 표시될 때의 예약 옵션 진입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옵션 화면이 표시될 때의 옵션 설정 완료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옵션 진입을 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에서 예약 설정을 위한 옵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예약 설정을 위한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옵션은, 상기 특정 세탁 코스 내에서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세탁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은,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종료 시점을 지연시키고, 지연되는 시간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예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세탁수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를 개별적으로 선택하도록 일대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옵션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선택부 중 특정 옵션 선택부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옵션의 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옵션이 설정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옵션 선택부는, 광투과부; 상기 광투과부에 대응하는 광원; 그리고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부는 아이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투과부 자체가 아이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최대, 중간 그리고 최소의 세 레벨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코스 화면에서는 기본 옵션 선택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옵션 선택부의 광투과부를 통해서 아이콘이 가시적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스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옵션 선택부의 선택이 가능하고 어떠한 옵션인지 파악할 수 있다.
예약 옵션 화면에서는 기본 옵션 선택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기본 옵션 선택과 관련된 옵션 선택부는 가시적으로 보여지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즉, 옵션 선택부의 광투과부를 통해서 빛이 투과되지 않게 된다. 즉, 광원이 Off로 제어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기본 옵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기본 옵션과 관련된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옵션 선택부 중 특정 옵션 선택부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되는 LED는 다른 옵션 선택부에 대응되는 LED 보다 더욱 밝게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밝기 제어를 통해서 현재 선택된 옵션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옵션이 무엇인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동일한 검정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옵션 선택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옵션 선택부는 서로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환형의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의 세탁 코스를 대변하는 아이콘 형상의 광투과부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광투과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광원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코에는 부가 아이콘이 구비되며, 상기 부가 아이콘은 상기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세탁 코스 외에 부가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부가 아이콘은 사용 빈도수가 낮은 세탁 코스에 대응될 수도 있다.
상기 데코에는 전원 입력부와 시작/일시정지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며,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상기 특정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광원의 밝기를 다른 나머지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광원에 비해 밝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언어에 해당하는 문자의 인쇄가 배제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언어가 인쇄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언어가 배제되고 언어와 무관한 아이콘들이 구비될 수 있다.
반면에,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언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는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도 다양한 언어에 대해서 탄력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터리 놉 어셈블리는 로터리 놉과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기 때문에, 로터리 놉과 엔코더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 놉과 엔코더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로터리 놉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엔코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로터리 놉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엔코더 장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양자는 기어 맞물림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로터리 놉의 회전은, 디스플레이 장착부, 엔코더 장착부 그리고 엔코더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놉,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는 윈도우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단일 터치부 그리고 데코는 컨트롤패널의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로터리 놉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들은 컨트롤패널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패널 또는 캐비닛의 전면에는 최소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만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으로 로터리 놉으로 집중되어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집중과 미니멀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종래의 코스 선택을 위한 로터리 놉 그리고 기본적인 옵션 선택을 위한 버튼에 대한 감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환형의 로터리 놉;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수행을 위한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는 모두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환형의 로터리 놉;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수행을 위한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코스화면일 때 표시되는 입력 정보와 상기 옵션 화면일 때 표시되는 입력 정보가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는 서로 구획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전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광투과부에서 빛이 투과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광투과부에서만 빛이 투과되거나 다른 광투과부에서 투과되는 빛보다 밝게 빛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특정 광투과부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기본 옵션 선택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옵션 선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만을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옵션 선택부는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옵션 선택부는 세탁수의 온도, 세탁 세기 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정도를 각각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본 옵션 선택부는 각각 광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코스의 선택과 선택된 세탁 코스와 연계되는 옵션의 선택이 용이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택된 정보를 선택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 편이성을 증진시킨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트롤패널에 산재시키지 않고 특정 위치에 집중시킴으로 하여 미니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구비하여 입력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새로운 코스가 추가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컨트롤패널이나 각종 입력부에 인쇄된 문자를 배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각종 아이콘에 대응하는 광원의 밝기를 다단계로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면서도 로터리 놉을 통한 코스 선택이 효과적으로 가능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3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예약 옵션 화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4는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헹굼 옵션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5는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부가 코스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6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부가 코스 화면이 표시된 다른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7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200, 도 7참조)이나 세탁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컨트롤패널(200)은 세탁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복잡하고 다양한 입력부 또는 선택부와 디스플레이를 로터리 놉(410)을 중심으로 집중시킨 사용자 인터페이스(30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다양한 입력부나 디스플레이가 산재되지 않고, 로터리 놉(410)을 중심으로 최소의 입력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질적으로 모두 포함하거나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환형의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디스플레이(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440)에는 코스 정보와 옵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LCD, LE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터치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가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로 인해 생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의 고성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생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뿐만 아니라 안내 화면(미도시)이나 코스 진행 화면(미도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세탁의 목적이나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도 2에는 10 개의 세탁 코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 코스의 수는 아이콘(425)의 수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가 아이콘(427)을 통해 새로운 세탁 코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터리 놉(410)을 통해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에서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을 잡고 회전시키면 기설정된 순서대로 선택되는 코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리 놉(410)을 통한 코스 선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다. 따라서, 로터리 놉(410)을 통한 코스 선택에 익숙해진 사용자가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부담이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세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0)에는 초기 안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코스를 선택하세요"라는 문구를 갖는 초기 안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 선택을 위하여 로터리 놉(410)을 회전시킴에 따라, 복수 개의 세탁 코스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의 화면을 코스 화면이라 할 수 있다. 도 2에는 코스 화면의 일례로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코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준 세탁 코스의 코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을 1 피치 더 회전시키면 다음 코스에 해당하는 코스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코스 화면에 표시되는 코스가 선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코스 화면에는 코스명뿐만 아니라 선택된 특정 코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전력, 코스 수행 시간 그리고 코스 내의 행정에 관한 정보들이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는 코스를 선택하는 로터리 놉(4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시선을 옮기거나 분산시키기 않고도 선택되는 코스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언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언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코스명은 각각의 언어에 따라 정해지는데, 언어가 달라지더라도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에는 코스명이 컨트롤패널 전면에 인쇄된 형태로 구비되게 된다. 하나의 세탁장치 제조업체에서 제조하는 세탁장치는 국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를 갖는 여러 나라에서 판매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언어에 따라 하드웨어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 되는 것이다. 그러나,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로터리 놉(41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디스플레이로 인해, 달라지는 언어에 대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각각의 언어에 맞게 컨트롤패널을 제작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 코스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코스에 따라서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행정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코스에 따라, 예를 들어 각 행정들의 수행 시간, 수행 횟수 그리고 드럼 구동 패턴이 서로 다르게 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세탁 코스는 기본적인 설정값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표준 세탁 코스의 기본 설정값은, 60℃의 세탁수 온도, 표준의 세탁 강도, 3회의 헹굼 그리고 강한 탈수를 갖는다. 이러한 기본 설정값은 각각의 코스마다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특정 코스에는 이러한 변경이 제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시작/일시정지 입력부(421)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가장 기본적인 세탁장치의 사용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시작이 입력 되면, 세탁장치는 선택된 특정 코스에 따라 구동을 시작하고, 기설정된 행정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코스를 종료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코스에는 다양한 옵션이 선택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값 또는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의 선택은 특정 세탁 코스의 선택을 전제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은 코스 내에 포함되는 행정들 각각의 조건을 변경시키는 것, 부가적인 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그리고 코스의 수행 완료 시간을 변경하는 것(예약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옵션은 세탁수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를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옵션 변경은 복수 개의 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4 가지의 옵션을 기본 옵션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수 강도 옵션은 강, 중 그리고 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드럼의 회전 RPM을 서로 달리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헹굼 횟수 옵션은 헹굼 없음에서부터 헹굼 4회까지 5 단계의 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옵션은 예약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약 옵션은 코스가 종료되는 시점을 지연시키는 옵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시간이 소요되는 특정 코스가 선택되는 경우, 코스 종료의 시점을 현재로부터 4시간 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탁장치는 2시간의 대기 시간을 갖고 나머지 2시간 동안 선택된 코스를 수행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예약 옵션은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즉, 귀가하는 시간에 맞춰 세탁이 종료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 종료를 기다리거나 세탁 종료된 세탁물이 세탁장치 내에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관적이고 미니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갖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선택 시점에 따라서, 복수 개의 입력 정보(461, 46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입력부가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상기 로터리 놉(410)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사용자가 터치나 가압함으로써 선택되는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461, 462)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시점에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의 선택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가시적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에서 시계 모양의 아이콘(461)이 표시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계 모양의 아이콘을 통해 입력 정보가 시간과 관계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약과 관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시계 모양의 아이콘(461)을 보고 예약이라는 입력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표준 세탁"이라는 코스 화면에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표준 세탁"을 선택한 후 표준 세탁 코스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시점을 지연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가 직접적으로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약이라는 입력 정보(즉, 시계 모양의 아이콘)가 표시된 입력부(46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440)는 코스 화면에서 옵션 화면으로 전환한다. 즉,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의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예약 진입을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도 3에는 예약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코스 화면에서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즉, 예약 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예약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시계 형태가 표시되고 현재 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코스명과 완료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완료시간은 현재로부터 몇 시간 후 세탁이 종료되는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 3으로 화면이 전환되었음을 전제로 하면, 현재로부터 2시간 20분 지연 후 표준 코스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준 코스는 1시간 10분 동안 수행되어 현재로부터 3시간 30분 후 종료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예약 변경 또는 지연 시간 변경은 로터리 놉(410)을 돌리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코스 화면이 아닌 옵션 화면, 특히 예약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에서는 로터리 놉(410)이 예약 시간 변경을 위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리 놉(410)을 시계 방향으로 1 피치씩 돌림에 따라, 일례로 10분 또는 30분씩 지연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1피치씩 10분 또는 30분씩 지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물론, 지연 시간 설정 범위와 단위는 기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가 일례로 로터리 놉(410)을 통해 예약 시간을 결정한 후,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통해서 예약 설정을 완료했다는 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예약 설정을 완료했다는 입력을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일례로 예약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약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해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는 다시 옵션 화면에서 코스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시간 정보는 1시간 10분에서 3시간 30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진입과 옵션 변경 후 옵션 설정 완료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 하나의 입력부(460)를 통해서 복수 개의 입력 또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입력부의 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코스 선택 시점과 코스 선택 후 옵션 선택 시점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입력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시점에 따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선택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인지를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의 오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정보가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 자체에 표시되기 때문에, 더욱 직관적으로 입력부(460)를 선택하는 의미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코스 선택 시점과 코스 선택 후 옵션 선택 시점의 구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서 코스 화면 표시 시점과 옵션 화면 표시 시점의 구분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 화면에서는 시간 아이콘의 표시(461) 그리고 옵션 화면에서는 OK 표시(462)가 나타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구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코스 화면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가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의 선택 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예약 옵션 진입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예약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 완료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코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물론, 이때의 코스 화면은 변경된 옵션이 반영된 코스 화면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아이콘(461, 462)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아이콘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입력 정보의 선택적 표시는 광원의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의 밝기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상기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상기 디스플레이(440)뿐만 아니라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의 이동을 최소함과 동시에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옵션은 예약 옵션뿐만 아니라 기본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세탁 코스 내에서 기본 옵션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옵션을 변경하기 위하여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4 가지의 기본 옵션 선택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본 옵션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코스 화면에서, 사용자는 일례로 헹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하여 헹굼 옵션에 해당하는 옵션 선택부(473)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473)의 선택은 사용자가 옵션 선택부(473)를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헹굼 옵션 선택부(473)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440)에는 헹굼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즉, 제어부는 헹굼 옵션 선택부(473)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옵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하게 된다. 도 4에는 헹굼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헹굼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헹굼 횟수와는 다른 헹굼 횟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헹굼 횟수 3회라는 기본 설정을 2회로 설정할 수 있다.
헹굼 횟수의 변경은 로터리 놉(4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로터리 놉(410)을 돌림에 따라 헹굼 횟수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헹굼 횟수 3회에서 2회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로터리 놉(410)을 반시계방향으로 1 피치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헹굼 횟수의 변경은 헹굼 옵션 선택부(473)을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헹굼 옵션 선택부(473)을 누를 때마다 헹굼 횟수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헹굼 횟수를 변경한 후,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화면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특정 헹굼 횟수의 선택 완료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입력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전술한 예약 옵션 설정 완료와 마찬가지로 일례로 OK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즉, 헹굼 옵션 설정 완료를 의미하는 OK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에서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옵션 설정 완료라는 입력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옵션인 세탁수 온도, 세탁 강도 그리고 탈수 강도도 마찬가지임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헹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헹굼 옵션 선택부(473)은 다른 옵션 선택부(471, 472, 474) 보다 더욱 밝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2에서와 같은 예약 설정 화면에서는 옵션 선택이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예약 설정 화면에서는 이러한 선택부(471 내지 474)가 표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코스의 선택과 옵션의 선택은 모두 로터리 놉(410)과 디스플레이 영역(430)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사용자의 손과 시선이 분산되지 않고 특정 영역에 집중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즉, 로터리 놉(410)의 조작과 이에 따른 로터리 놉 내측의 디스플레이에 의한 화면이 즉각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매우 용이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옵션의 선택과 변경 그리고 옵션 설정의 완료가 로터리 놉(410) 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도 매우 용이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놉(11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코스 표시부(121)가 구비된다. 따라서, 로터리 놉(110)이 회전됨에 따라 발광되는 코스 표시부의 위치가 가변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도 이와 유사한 환형의 데코(420)와 상기 데코에 구비되는 아이콘(4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코스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은 도형이나 그림 형태로 각각의 세탁 코스를 직관적으로 대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425)은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언어가 달라짐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세탁장치가 판매되는 장소의 언어와 무관하기 때문에 미니멀 디자인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은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콘(425)을 통해서 옵션 변경 등의 과정에서 전제로 선택된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420)에는 각각의 세탁 코스를 대변하는 아이콘뿐만 아니라 부가 아이콘(4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아이콘(427)은 상기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세탁 코스 외에 부가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의류의 재질이 다양해 지고 기능성 의류들의 사용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세탁 코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세탁장치에는 새로운 세탁 코스가 부가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새로운 세탁 코스가 부가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쉽게 노출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세탁 코스의 부가가 시도되지 않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자가 아닌 부가 아이콘을 통해서 사용자가 쉽게 부가된 세탁 코스를 확인하고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제공되는 세탁 코스 중에서도 사용 빈도가 매우 낮은 세탁 코스가 있을 수 있다.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가 항상 사용자에게 노출될 필요는 없다. 그렇다고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를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를 상기 부가 아이콘(427)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아이콘(425)의 수가 지나치게 많아져 식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부가 아이콘(427)은 기본 세탁 코스 외에 새로이 추가되는 세탁 코스 및/또는 사용 빈도수가 높은 기본 세탁 코스 외에 빈도수가 낮은 기본 세탁 코스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을 돌림에 각각의 기본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더욱 밝게 표시된다. 이후, 로터리 놉(410)을 더욱 돌리면 상기 부가 아이콘이 더욱 밝게 표시된다. 이때, 부가 아이콘에 해당하는 코스가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게 된다.
새로운 코스가 3 개인 경우에는, 로터리 놉(410)을 2 피치 돌릴 때까지는 여전히 부가 아이콘이 더욱 밝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로터피 놉(410)을 1 피치 돌리면 이에 해당하는 새로운 코스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것이다.
도 5에는 추가된 새로운 코스의 일례로 수영복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가 아이콘을 통해서 추가되는 새로운 코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하드웨어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코스 선택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코스의 추가, 선택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수용복 코스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코스일 수도 있다. 수용복을 세탁하기 위한 코스의 사용 빈도는 매우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 빈도가 낮은 코스를 상기 부가 아이콘(427)에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가 항상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추가된 새로운 코스의 일례로 마찬가지로 수영복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5에서와는 달리 코스명이 아닌 코스를 설명하는 문구가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화면이 번갈아가면서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추가된 코스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440)에서 이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는 "NEW"라는 문구를 통해서 추가된 코스임을 명확히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코(420)에 구비되는 아이콘(425)은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가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에 비해서 시각적으로 달라짐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표준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에 비해서 더욱 밖게 표시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세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장 먼저 세탁 코스가 선택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원이 인가되면 가장 먼저 복수 개의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모든 아이콘이 동일한 밝기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터리 놉(4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아이콘만 더욱 밝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아이콘(425)뿐만 아니라 부가 아이콘(427)의 밝기의 정도는 복수 개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최저 레벨(혹은 OFF 상태), 중간 레벨 그리고 최고 레벨로 제어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와 세탁 코스로 선택될 수 없는 상태에서 최저 레벨일 수 있다. 세탁 코스로 선택될 수 있는 상태에서 중간 레벨일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코스로 선택된 상태에서 최고 레벨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표준 세탁 코스가 선택되었기 때문에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아이콘이 최고 레벨이며 나머지 아이콘들은 중간 레벨이라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는 세탁 코스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이콘들의 밝기 레벨 차이를 통해서 직관적인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는 표준 세탁 코스가 선택됨을 전제로 예약 옵션 변경 그리고 헹굼 옵션 변경이 수행되는 일례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옵션 변경은 이미 표준 세탁 코스의 선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의 코스 변경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아이콘은 최고 레벨로 나타나고 나머지 아이콘들은 최저 레벨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스 선택과 옵션 선택 사이에서 선후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 427)은 광투과부(426)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입력 정보들도 광투과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코(420)에는 전원 입력부(422)와 시작/일시정지 입력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21, 422)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421, 422)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가 모두 로터리 놉(410)에 집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부(421, 422)들을 의미하는 아이콘들도 광투과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디스플레이(440)와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 그리고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복수 개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의 원 영역은 디스플레이(440),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 그리고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로 서로 구획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더미 영역(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동일한 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검정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 전체가 하나의 블랙 디스플레이처럼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실제로는 일부분만 디스플레이인 것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가의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고도 마치 터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 만족감 및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디스플레이 효과는 전술한 광투과부들을 통해서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왜냐하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투과부를 통해 빛이 투과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모든 아이콘들이 마치 사라진 것처럼 보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에 대응되는 광투과부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에 대응되는 광투과부에서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440)도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치 블랙 디스플레이인 것처럼 보여질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코스 아이콘들(425, 427)에 대응하는 광투과부(426)를 통해서도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마치 인쇄된 형태의 문자나 언어가 없는 미니멀 디자인이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는 컨트롤패널(20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00)의 전면에는 로터리 놉(410)과 데코(420)가 노출되며 나머지 구성들은 컨트롤패널(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패널(200)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430)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터리 놉(410)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로터리 놉(410)의 회전은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에 전달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의 회전은 다시 엔코더 장착부(437)로 전달된다. 상기 엔코더 장착부(437)의 회전으로 인해 엔코더(439)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엔코더(439)의 회전 신호는 제어부(435)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는 PCB에 장착되는 컨트롤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디스플레이(44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440)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로터리 놉(410)과 디스플레이 장착부(436)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로터리 놉(410)의 후방에 엔코더(439)를 위치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엔코더(439)에 상기 로터리 놉(410)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의 반경 방향 외측에 엔코더 장착부(437)를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과 상기 엔코더 장착부(437)는 서로 기어 형태로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데코(42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로터리 놉(410)의 일부가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와 형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430)의 전면에는 윈도우(431)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462)의 단일 터치부(462a)가 위치된다.
상기 윈도우(431)와 단일 터치부(462)의 후방에는 입력부 하우징(432)과 LED PCB(43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하우징(432)은 옵션 입력부(471 내지 474)에 대응되는 4개의 터치 감지부(471a)와 상기 단일 터치부(462a)에 대응되는 택트 스위치(462b)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LED PCB(433)에는 상기 옵션 입력부(471 내지 474)에 각각 대응되는 광원으로 복수 개의 LED(471b)와 상기 단일 터치부(462)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LED(462c, 462d)가 구비될 수 있다.
LED(471b)는 4 개의 기본 옵션에 각각 대응되도록 4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의 밝기는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ED(462c, 462d)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462)에서의 입력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이들의 밝기는 서로 달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데코(420)의 후방에는 제어부(435)를 이루는 메인 PC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PCB에는 각각의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LED(425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425a)와 상기 데코(420) 사이에는 LED 서포터(434)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도우(431),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단일 터치부(462a) 그리고 데코(420)에는 광투과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광투과부 자체가 아이콘 형태일 수 있다. 즉, 아이콘 모양 부분을 통해서만 실질적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을 통해 투과되는 빛의 밝기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들 광투과부는 각각의 광원과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광원은 LED 일 수 있다. 제어부(435)는 이들 광원들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밝기의 레벨은 전술한 바와 같이 3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밝기의 제어는 복수 개의 LED에 대한 on/off 제어 또는 듀티비(duty ratio)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광원 특히 LED의 제어는 광투과부를 통해서 표시되는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보여주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즉, 선택이나 입력이 필요하거나 가능한 상태에서는 광투과부를 통해서 빛이 투과되어 선택과 입력이 가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광투과부의 아이콘 형상으로 인해 어떠한 선택과 입력이 가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 반면, 선택이나 입력이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오인 혼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입력부에서 현재 상태에서 따라 어떠한 입력이 가능한지 선택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입력부의 수의 감소, 사용자의 편의 그리고 사용자의 오인 혼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3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400 : 로터리 놉 어셈블리
410 : 로터리 놉 420 : 데코
430 : 디스플레이 영역 440 : 디스플레이
460 : 단일 가변형 입력부 471 내지 474 : 옵션 선택부

Claims (1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로터리놉;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리 놉에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로터리 놉과 다른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변형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가변형 입력부는 모두 상기 로터리 놉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로터리 놉 내측에서 서로 분리 또는 구획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로터리 놉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별도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입력부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면 상기 입력 또는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놉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윈도우에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명령을 수신받도록 구비되는 단일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로터리 놉이 선택한 명령을 변경하는 명령이나, 확정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놉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가변형 입력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형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변경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된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 있는 상기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에 따라 상기 가변형 입력부의 입력과 대응되는 명령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형 입력부의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코스 또는 옵션이 확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형 입력부의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코스 또는 옵션이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옵션의 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가변형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옵션이 설정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 코스 또는 옵션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복수개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복수개의 명령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내용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명령 중 상기 가변형 입력부의 입력과 대응되는 명령을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210052582A 2014-11-26 2021-04-22 세탁장치 KR102455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582A KR102455381B1 (ko) 2014-11-26 2021-04-22 세탁장치
KR1020210118948A KR102511241B1 (ko) 2021-04-22 2021-09-07 세탁장치
KR1020210118947A KR102528674B1 (ko) 2021-04-22 2021-09-07 세탁장치
KR1020230053982A KR20230064595A (ko) 2014-11-26 2023-04-25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181A KR102248073B1 (ko) 2014-11-26 2014-11-26 세탁장치
KR1020210052582A KR102455381B1 (ko) 2014-11-26 2021-04-22 세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181A Division KR102248073B1 (ko) 2014-11-26 2014-11-26 세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948A Division KR102511241B1 (ko) 2021-04-22 2021-09-07 세탁장치
KR1020210118947A Division KR102528674B1 (ko) 2014-11-26 2021-09-07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846A KR20210047846A (ko) 2021-04-30
KR102455381B1 true KR102455381B1 (ko) 2022-10-17

Family

ID=8380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582A KR102455381B1 (ko) 2014-11-26 2021-04-22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3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190B1 (ko) * 2005-05-10 2012-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이얼스위치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40005484A (ko) * 2012-07-04 2014-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다이얼이 구비된 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846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658B1 (ko) 세탁장치
KR102248073B1 (ko) 세탁장치
US10563335B2 (en) Washer
KR10206800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표시 방식
EP3225731B1 (en) Washing machine
JP2019501724A (ja) 多ドラム洗濯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64335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42329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866005A (zh) 旋钮机构及带有旋钮机构的家电
CN106149278A (zh) 一种基于洗/干衣机用旋钮式编码器的控制方法
CN106480657B (zh) 一种洗衣机
CN106245267B (zh) 一种基于洗/干衣机用编码器与显示屏的控制方法
KR102455381B1 (ko) 세탁장치
KR102511241B1 (ko) 세탁장치
EP3168356B2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 rotational user interface element
KR20230064595A (ko) 세탁장치
CN109423837B (zh) 洗衣机和用于选择洗衣机的洗涤模式的方法
EP245552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CN109487501B (zh) 一种操作面板、洗衣设备及洗衣设备的控制方法
KR102257622B1 (ko) 세탁장치
KR102254893B1 (ko) 세탁장치
KR102271435B1 (ko) 세탁장치
JP2010142325A (ja) 洗濯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4200688A (ja) コントロールパネル、コントロールパネルの制御方法及びコントロールパネルが設けられた衣類処理装置
JP2010142324A (ja) 洗濯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