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079A -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079A
KR20210009079A KR1020190085632A KR20190085632A KR20210009079A KR 20210009079 A KR20210009079 A KR 20210009079A KR 1020190085632 A KR1020190085632 A KR 1020190085632A KR 20190085632 A KR20190085632 A KR 20190085632A KR 20210009079 A KR20210009079 A KR 20210009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ank
plate
main plate
t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889B1 (ko
Inventor
최명종
Original Assignee
(주) 백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백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백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8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8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6Rail fastenings allowing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rails, so far as not included in the preceding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01B9/4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71/2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using towing tanks or model basins for desig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시험에서 예인전차의 이동을 위한 전차레일의 고정 장치를 일괄적으로 받쳐 장치 전체구성의 일체성을 도모하면서 장치의 설치위치를 효율적으로 조정함을 제공하도록, 예인수조에 대응하여 고정 설치하되 전차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지중에 매립 설치된 프레임구조체 상에 전차레일을 지지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를 거치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전차레일을 기준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되되 수직관통된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좌우 한 쌍의 대칭구조를 이루며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 측단에 대응하여 그립 형태로 밀착 고정하는 레일클램프부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관통홀 상에 연결 결합하여 상하 수직방향을 향한 위치를 조정하되, 상기 전차레일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구조체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을 결속상태로 지지하여 1차 접합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면 접촉하여 2차 접합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Carriage Rail Fix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owing Tank}
본 발명은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시험에서 예인전차의 이동을 위한 전차레일의 고정 장치를 일괄적으로 받쳐 장치 전체구성의 일체성을 도모하면서 장치의 설치위치를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저항, 조종 및 내항 성능은 대부분 선박을 건조하기 앞서서 예인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하여 추정하게 되며, 여기서 예인수조는 큰 규모의 직사각형 수조의 평행한 두 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예인전차가 설치된 수조로 각종 해양 환경과 선박 운항 상태를 모사하여 실험을 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선박의 모형실험은 예인전차에 선박 모형을 매달아 일정한 속도로 예인하여 선박의 항주 조건을 모사하거나 한쪽 끝에 파도를 만들어내는 조파기를 설치하여 해양의 파도를 모사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특히, 실제 선박의 동력 성능 예측과 항주 특성을 판단하는 실험이 자주 수행되는데 이를 위해 실선을 일정 비율로 줄인 모형선이 사용된다.
이러한 모형실험에서 계측된 결과는 실선 스케일로 확장되기 때문에 작은 오차라도 실선에서는 큰 차이로 나타난다. 따라서 모형실험에서는 가능한 높은 정밀도로 실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예인전차는 레일을 따라 움직이므로 레일에 대한 정확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모형선에 대한 예인전차의 상대운동이 계측결과에 반영되어 오차가 생기는데 이를 막기 위하여 예인전차의 전차레일은 아주 정밀하게 가공되어 설치되어야 하며 직진도와 평행도가 일정해야 한다.
여기서 전차레일을 예인수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차레일을 지지하는 다수의 고정 장치가 길이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데, 다수의 고정 장치가 각각 지지하는 전차레일과 예인수조 사이 간격이 서로 달라서 전차레일에 지구곡률이 형성됨에 따라 전차레일의 진직도(straightness)를 정밀하게 교정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전차레일의 고정 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31301호(2018.12.14.)에는 레일을 선박 시험용 예인수조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 고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레일 하부면에 위치되되, 전방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레일체어블록; 상기 레일체어블록의 전방부를 연직방향으로 관통하고, 하단이 상기 예인수조에 고정되되, 각각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이 마련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높이조절부재;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레일체어블록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일체어블록과 인접한 면에 제1만곡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높이조절부재; 하부면이 상기 레일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레일체어블록의 후방부 상부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레일 클램프; 상기 레일 클램프를 관통하되, 상기 레일체어블록과 나사 결합되는 레일 클램프 고정수단; 및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레일체어블록과 결합되되, 일측 말단이 상기 레일의 측부와 접촉되고, 타측 말단이 상기 돌출부로부터 일부 노출된 미세보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는, 한 쌍의 제2높이조절부재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제1만곡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 클램프 고정수단은, 상기 레일 클램프를 관통하면서 상기 레일체어블록의 상부면에 결속되는 제1체결부재와, 중앙이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재가 관통되면서, 하부면에 제2만곡부가 형성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레일 클램프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2체결부재의 하부면과 접촉되되, 중앙이 관통된 관통구를 가지고, 상부면에 상기 제2만곡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제3만곡부가 형성된 제3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레일의 평행도 조절이 간편하면서 조립 오차를 최소화하며 레일의 설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평행도 조절이 용이한 선박 시험장치의 레일 고정용 지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예인수조의 사용기간(대략 20년 이상) 동안 토압이나 지각변동 등의 영향으로 전차레일이 설치된 수조의 뒤틀림 현상 등이 발생하여 주기적인 측정 및 교정 작업이 요구되는데,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지그 즉 고정 장치 자체적으로 전차레일의 미세한 위치조정에 따른 교정이 가능하지만 복수의 제1높이조절부재 자체가 각각 예인수조를 비롯한 특정 구조물에 개별적으로 용접접합시켜 고정 장치 자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전차레일의 뒤틀림이나 지반침하 등이 극심하여 자체적인 교정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전체적으로 철거해야만 하므로 고정 장치의 위치조정에 따른 재설치가 어렵고, 전체적으로 해체하여 재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931301호 (2018.12.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차레일을 지지 고정하는 고정 장치의 하부를 받쳐 구조물 상에 일괄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고정 장치의 해체 및 재설치가 용이하여 교정작업에 따른 편의성 및 신속성을 높이고, 고정 장치의 교정범위를 넘어 전체적인 위치조정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는 예인수조에 대응하여 고정 설치하되 전차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지중에 매립 설치된 프레임구조체 상에 전차레일을 지지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를 거치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전차레일을 기준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되되 수직관통된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좌우 한 쌍의 대칭구조를 이루며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 측단에 대응하여 그립 형태로 밀착 고정하는 레일클램프부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관통홀 상에 연결 결합하여 상하 수직방향을 향한 위치를 조정하되, 상기 전차레일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구조체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을 결속상태로 지지하여 1차 접합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면 접촉하여 2차 접합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좌우 한 쌍의 대칭구조를 이루게 형성하고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 측단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되 상기 전차레일에 대하여 좌우 측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하는 미세교정부를 구성한다.
상기 미세교정부는,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차레일에 대응하여 관통된 가이드공을 형성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가이드공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가이드공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에 나사 결합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차레일의 측단에 파지 접촉하는 패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레일클램프부는,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 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접촉하여 누름 압착하는 파지클램프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파지클램프를 고정토록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를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접합 고정되고 상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을 결속 지지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가이드홈 상에 결속 결합하며 측 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나사공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좌우 미끄럼 이동하게 위치 조정하는 베이스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의하면 고정 장치 중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1차 접합 고정하여 일체화된 고정 장치를 프레임구조체 상에 2차 접합 고정하므로, 전체적인 내구성 증진시켜 레일의 지지효율 및 고정지지수명을 연장하고 고정 장치 전체를 일괄적으로 철거한 후 재설치가 용이하여 고정 장치의 재설치 교정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 시공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메인플레이트의 제1실시예를 적용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메인플레이트의 제2실시예를 적용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은 예인수조에 대응하여 고정 설치하되 전차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지중에 매립 설치된 프레임구조체 상에 전차레일을 지지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를 거치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전차레일을 기준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되되 수직관통된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좌우 한 쌍의 대칭구조를 이루며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 측단에 대응하여 그립 형태로 밀착 고정하는 레일클램프부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관통홀 상에 연결 결합하여 상하 수직방향을 향한 위치를 조정하되, 상기 전차레일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구조체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을 결속상태로 지지하여 1차 접합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면 접촉하여 2차 접합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인수조에 대응하여 고정 설치하되 전차레일(R)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지중에 매립 설치된 프레임구조체(F) 상에 전차레일(R)을 지지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있어서, 메인플레이트(10)와, 레일클램프부(20)와, 미세교정부(30)와, 높이조절부(40)와, 베이스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상기 전차레일(R)을 지지 고정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 상기 전차레일(R)의 하부를 면 접촉하여 거치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레일클램프부(20) 및 상기 높이조절부(40), 미세교정부(30)의 구성이 각각 개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장착 지지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차레일(R)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상부 접촉면이 평탄한 평면을 조성하는 안착지지부(1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차레일(R)이 안착되는 안착지지부(13)의 접촉면에 소정의 탄력성과 신축성을 갖는 밀착패드(15)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안착지지부(13)에 밀착패드(15)를 구비토록 구성하여 상기 안착지지부(13) 상에 접촉한 상기 전차레일(R)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레일클램프부(20)로부터 상기 전차레일(R)의 압착 고정시 우수한 밀착력을 도모하여 전차레일(R)의 고정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밀착패드(15)는 상기 안착지지부(13)의 전체 면적대비 1/3~1/5의 면적에만 적용하므로, 상기 미세교정부(30)에 의한 전차레일(R)의 미세조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는 상기 전차레일(R)을 기준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일클램프부(20) 및 상기 높이조절부(4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특히 상기 높이조절부(40)가 장착될 수 있게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관통홀(11)을 형성한다.
상기 레일클램프부(20)는 상기 전차레일(R)이 상기 메인플레이트(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안착지지부(13) 상에 위치한 상기 전차레일(R)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레일클램프부(2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안착지지부(13)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며 한 쌍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레일클램프부(2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차레일(R)의 하부 측단에 대응하여 그립 형태로 밀착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전차레일(R)의 하부 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접촉하여 누름 압착하는 파지클램프(2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대응하여 상기 파지클램프(21)를 고정토록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23)를 구성한다.
상기 파지클램프(21)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에 상기 고정볼트(23)로부터 나사 결합된 고정위치에서 상기 안착지지부(13)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차레일(R)을 구속한다.
상기 전차레일(R)을 누름 압착하는 상기 파지클램프(21)의 일단은 하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을 이루므로, 상기 전차레일(R)의 경사면 상에 원활한 압착 접촉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미세교정부(3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안착지지부(13) 상에 위치한 상기 전차레일(R)에 대하여 좌우 측 방향으로 미세하게 위치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미세교정부(3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클램프부(20)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에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며 한 쌍을 이루게 형성한다.
상기 미세교정부(30)는 상기 전차레일(R)의 하부 측단에 대응하여 좌우 측 방향으로의 면 접촉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지지플랜지(31) 및 체결너트(33), 조절볼트(35), 패드부재(37)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플랜지(31)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에 상향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차레일(R)에 대응하여 직선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32)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너트(33)는 상기 지지플랜지(31)의 가이드공(32)에 대응하여 일면이 면 접촉 지지되게 위치하고, 상기 조절볼트(35)와 나사 결합하게 구성한다.
상기 조절볼트(35)는 상기 지지플랜지(31)의 가이드공(32)에 대응하여 상기 전차레일(R)을 향해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33)에 나사 결합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한다. 즉, 상기 미세교정부(30)에서는 상기 레일클램프부(20)의 고정볼트(23)가 상기 파지클램프(21)를 고정하기 전 헐겁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교정부(30)의 조절볼트(35)를 회전조작하여 직선 이동시키므로 상기 전차레일(R)에 대한 측 방향으로의 위치 보정을 도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패드부재(37)는 상기 조절볼트(35)의 끝단에 설치되되 상기 조절볼트(3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며 상기 전차레일(R)의 측단에 파지 접촉한다.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 상에 안착 고정되는 상기 전차레일(R)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구조체(F)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높이조절부(4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서 4개의 코너 즉 상기 관통홀(11) 상에 수직으로 연결 결합하여 상기 메인플레이트(10)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위치 조정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들을 일체로 지지한 채 상기 프레임구조체(F)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는 상기 프레임구조체(F) 상에 면 접촉 상태로 접합 고정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에서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기초하여 조립된 본 발명의 구성들(예를 들면, 레일클램프부(20) 및 미세교정부(30), 높이조절부(40) 등이 설치된 메인플레이트(10))을 상부에 접합 고정한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는 상부에 상기 높이조절부(40)의 하단을 결속상태로 지지한 채 상기 높이조절부(4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 상에 1차 용접하여 접합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하면은 상기 프레임구조체(F) 상에 면 접촉한 채 외측 둘레 테두리를 2차 용접하여 접합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정 장치의 전반적인 재설치 과정에서 상기 높이조절부(40)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 상에 용접된 1차 용접부위는 유지한 채 상기 프레임구조체(F)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 간에 2차 용접된 부위만을 제거 분리한 후 재설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다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차레일(R)에 대하여 좌우 측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게 유동가능한 구조로서, 하부플레이트(51) 및 상부플레이트(53)로 구분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51)는 상기 프레임구조체(F) 상에 접합 고정되고, 상면에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홈(52)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53)는 상기 높이조절부(40)의 하단을 결속 지지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51)의 가이드홈(52) 상에 유동가능하게 결속 결합한다.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53)는 상기 하부플레이트(51)와의 결합 관계를 유지하면서 측 방향으로의 미끄럼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53)에는 측 방향으로 암나사를 구비한 나사공(54)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53)의 위치 조정을 위해 조작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하부플레이트(51)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53)의 나사공(54)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53)를 좌우 미끄럼 이동하게 위치 조정하는 베이스조절수단(55)을 구성한다. 즉, 상기 베이스조절수단(55)의 회전 조작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플레이트(53)의 좌우 선택적 위치 조정을 도모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의하면 고정 장치 중 높이조절부의 구성을 1차 접합 고정하여 일체화된 고정 장치를 프레임구조체 상에 2차 접합 고정하므로, 전체적인 내구성 증진시켜 레일의 지지효율 및 고정지지수명을 연장하고 고정 장치 전체를 일괄적으로 철거한 후 재설치가 용이하여 고정 장치의 재설치 교정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 시공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메인플레이트 11 : 관통홀
13 : 안착지지부 15 : 밀착패드
20 : 레일클램프부 21 : 파지클램프
23 : 고정볼트 30 : 미세교정부
31 : 지지플랜지 32 : 가이드공
33 : 체결너트 35 : 조절볼트
37 : 패드부재 40 : 높이조절부
50 : 베이스플레이트 51 : 하부플레이트
52 : 가이드홈 53 : 상부플레이트
54 : 나사공 55 : 베이스조절수단
R : 전차레일 F : 프레임구조체

Claims (5)

  1. 예인수조에 대응하여 고정 설치하되 전차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지중에 매립 설치된 프레임구조체 상에 전차레일을 지지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전차레일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를 거치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전차레일을 기준으로 좌우로 연장 형성되되 수직관통된 복수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좌우 한 쌍의 대칭구조를 이루며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 측단에 대응하여 그립 형태로 밀착 고정하는 레일클램프부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관통홀 상에 연결 결합하여 상하 수직방향을 향한 위치를 조정하되, 상기 전차레일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구조체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을 결속상태로 지지하여 1차 접합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면 접촉하여 2차 접합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좌우 한 쌍의 대칭구조를 이루게 형성하고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 측단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되 상기 전차레일에 대하여 좌우 측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하는 미세교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세교정부는, 상기 메인플레이트 상에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차레일에 대응하여 관통된 가이드공을 형성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가이드공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가이드공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에 나사 결합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차레일의 측단에 파지 접촉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클램프부는, 상기 전차레일의 하부 측단에 수직방향으로 접촉하여 누름 압착하는 파지클램프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파지클램프를 고정토록 나사 결합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구조체 상에 접합 고정되고 상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단을 결속 지지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가이드홈 상에 결속 결합하며 측 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나사공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좌우 미끄럼 이동하게 위치 조정하는 베이스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KR1020190085632A 2019-07-16 2019-07-16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KR10226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32A KR102263889B1 (ko) 2019-07-16 2019-07-16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32A KR102263889B1 (ko) 2019-07-16 2019-07-16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79A true KR20210009079A (ko) 2021-01-26
KR102263889B1 KR102263889B1 (ko) 2021-06-11

Family

ID=7431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32A KR102263889B1 (ko) 2019-07-16 2019-07-16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8968A (zh) * 2021-12-29 2022-04-12 武汉武船重型装备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的压板组件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664A (ko) * 2007-05-25 2008-11-28 (주) 아시아방재연구원 진동차단 성능이 우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1526820B1 (ko) * 2014-11-07 2015-06-08 조영철 레일 플로팅 격리 지지장치
KR101678589B1 (ko) * 2014-11-21 2016-11-23 빌트원 주식회사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KR101931301B1 (ko) 2018-02-20 2018-12-20 주식회사 마린스페이스 평행도 조절이 용이한 선박 시험장치의 레일 고정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664A (ko) * 2007-05-25 2008-11-28 (주) 아시아방재연구원 진동차단 성능이 우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1526820B1 (ko) * 2014-11-07 2015-06-08 조영철 레일 플로팅 격리 지지장치
KR101678589B1 (ko) * 2014-11-21 2016-11-23 빌트원 주식회사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KR101931301B1 (ko) 2018-02-20 2018-12-20 주식회사 마린스페이스 평행도 조절이 용이한 선박 시험장치의 레일 고정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8968A (zh) * 2021-12-29 2022-04-12 武汉武船重型装备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的压板组件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889B1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68754B (zh) 振动试验夹具
KR101148155B1 (ko) 레일 용접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용접방법
CN104227302B (zh) 用于支架体的整体焊接及检测装置
KR20210009079A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CN109406256A (zh) 一种添加预应力的涂层织物膜材顶破试验装置
CN110640699B (zh) 一种能够夹持任意空间复杂管路的夹具装置
KR101129874B1 (ko) 점용접 시편 제작용 거치대
ES2853553T3 (es) Sistema y método para probar una unión de filete
US5837014A (en) Truss table with integrated positioning stops
CN109708957B (zh) 一种凸轮轴硬度检测夹具
CN209379216U (zh) 一种电除尘器阴极线调节定位结构
KR101931301B1 (ko) 평행도 조절이 용이한 선박 시험장치의 레일 고정용 지그
CN204287121U (zh) 一种探轮调零架及其调零系统
CN209069143U (zh) 一种钢架结构件的综合检测装置
CN211519803U (zh) 一种用于船舶建造中型设备安装的可调节基座
CN208846029U (zh) 一种并列式声强传感器固定夹持装置
CN104535660A (zh) 探轮调零架、调零系统及其方法
KR102410208B1 (ko) 스프링클램프를 이용한 2-점 지지방식의 레일 받침
CN211453133U (zh) 一种机电制造钢板材强度测试装置
CN211206204U (zh) 一种液晶屏内部粘贴力测试用夹具
CN109596434B (zh) e型弹条扣压力测试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CN219736987U (zh) 一种沥青混合料圆柱体试件厚度切割的固定夹具
JP2520989Y2 (ja) 工作物の直角・平行設定装置
CN110576943B (zh) 一种甲板轨道定位工装及甲板轨道铺设方法
CN220079587U (zh) 一种轨距可调的双轨扣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