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816A -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 - Google Patents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816A
KR20210007816A KR1020200035567A KR20200035567A KR20210007816A KR 20210007816 A KR20210007816 A KR 20210007816A KR 1020200035567 A KR1020200035567 A KR 1020200035567A KR 20200035567 A KR20200035567 A KR 20200035567A KR 20210007816 A KR20210007816 A KR 20210007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blade
support assembly
blade support
slid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458B1 (ko
Inventor
에이치. 패노시언 미챌
켈러 조슈아
Original Assignee
터프빌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터프빌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터프빌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0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2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 B25F1/04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brought into working positions by a pivoting or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2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6Several functions combined in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3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comprising retraction means for the blade or the blad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5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cardboard, or 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Kniv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는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메카니즘과 캐리지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지지는 절단 및 스크래퍼 정위들 사이에서 블레이드가 이동하도록 캐리지 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 내에서 블레이드 지지가 완전히 수축된 수축 위치와, 블레이드 지지가 작동상 절단 또는 스크래핑 위치에 있는 신장 위치 및 블레이드 지지가 신장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전환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을 제거하면서 하나의 정위로부터 또 다른 정위로 블레이드 지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 버튼에 의하여 캐리지와 슬라이드 메카니즘은 이동될 수 있다. 점증적으로 진행된 위치들로 신장 위치를 지나 전방으로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 버튼이 연속으로 진행될 때 쌍-안정 메카니즘이 제1 및 제2 정위들 사이에서 블레이드 지지를 교대로 선회시킨다.

Description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SINGLE-ACTION CONVERTIBLE UTILITY KNIFE AND SCRAP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 공구 분야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에 대한 것이다.
유틸리티 나이프는 통상적으로 핸들 또는 하우징 축에 평행인 블레이드 절단 에지를 가지며 절단을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스크래퍼는 통상적으로 핸들 축에 수직이거나 직각이며 창에서 페인트를 긁어내거나 평탄면에서 다른 재료를 스크래핑하는 것과 같이 표면을 스크래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블레이드를 가진다. 보통, 유틸리티 나이프들과 스크래퍼는 두 개의 별개의 수 공구들이다. 이것은 정상적으로 두 개의 별개의 공구들의 구입 및 보관을 필요로 한다.
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한 블레이드를 구비한 유틸리티 나이프는 미국 특허 제3,518,758호에 기재되는 데, 여기서 블레이드는 나이프 핸들 내의 위치에서 노출된 절단 에지를 갖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블레이드는 또한 스크래핑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공구는 다른 손에 의해 공구의 하우징 또는 핸들이 유지되면서 블레이드를 풀기 위하여 한 손으로 노브를 회전하는 것이 필요한 두 개의 손 동작을 필요로 한다. 추가적으로, 블레이드는 수동으로 회전되므로, 블레이드의 터칭이나 핸들링을 필요로 하며, 사용자에게 부상을 발생할 수 있다.
본체 부재 내에 공구 비트 장착 기구를 슬라이드가능하게 내장하도록 구성된 길다란 본체 부재를 포함하는 미국 특허 제8,739,414호에는 유사한 다목적 유틸리티 공구가 개시되었다. 공구는 유틸리티 블레이드 위치 또는 스크래퍼-리퍼 위치와 같은 다른 정위들로 또한 이동될 수 있는 유틸리티 블레이드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도톨도톨한 노브를 블레이드에 근접해서 회전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두 개의 손 동작을 필요로 하며,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블레이드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에게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공구의 결점이 없는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경제적인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쉬운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손을 사용하여 하나의 기능에서 다른 기능으로 공구를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단일 작동이며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로부터 멀리 있는 액튜에이터 버튼의 이동에 의하여 하나의 공구에서 다른 공구로의 전환을 실행할 수 있는 상기 목적들과 같은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전히 추가적인 목적은 사용자를 블레이드의 취급으로부터의 부상에 노출시키지 않고 그리고 사용자의 손을 블레이드에 근접시킬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목적은 노브가 의도치 않게 풀리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충분히 조여지지 않은 경우에도, 노브의 수동 조임이나 부재를 블레이드로 가압하는 다른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사용 중의 고장을 피할 수 있는 설명 중인 유형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및 세로방향 축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 단부에 구멍을 가지는 길다란 내부 채널을 가지는 길다란 하우징 및 상기 채널과 연통하고 상기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길다란 하우징의 측벽의 길다란 구멍을 포함하는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공구이다. 완전히 수축된(fully retracted) 위치와 완전히 신장된(fully extended) 위치 사이에서 상기 내부 채널 내의 상기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캐리지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캐리지는 쌍-안정(bi-stable) 구조의 제1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내의 슬라이드 메카니즘은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캐리지와 같이 이동하고 상기 캐리지에 대해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를 지나 전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은 추가로 상기 쌍-안정 구조의 제2 요소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는 제1 절단 위치와 제2 절단 위치의 두 개의 일반적으로 직각인 정위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지 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블레이드를 고정하도록 제공된다. 액튜에이터 버튼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접근가능하고 상기 캐리지와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상기 완전 신장 정위와 상기 완전히 수축된 정위 사이에서 슬라이드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상기 전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길다란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에 결합된다. 상기 액튜에이터 버튼이 상기 완전 신장 위치로부터 상기 전환 위치로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전방으로 연속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두 개의 직각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와 그 위에 장착된 소정의 블레이드를 교대로 선회시키도록 상기 쌍-안정 구조는 배치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공구의 결점이 없는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경제적인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하기 편리하고 쉬운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손을 사용하여 하나의 기능에서 다른 기능으로 공구를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단일 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일 작동이며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로부터 멀리 있는 액튜에이터 버튼의 이동에 의하여 하나의 공구에서 다른 공구로의 전환을 실행할 수 있는 상기 목적들과 같은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를 블레이드의 취급으로부터의 부상에 노출시키지 않고 그리고 사용자의 손을 블레이드에 근접시킬 필요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노브가 의도치 않게 풀리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충분히 조여지지 않은 경우에도, 노브의 수동 조임이나 부재를 블레이드로 가압하는 다른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사용 중의 고장을 피할 수 있는 설명 중인 유형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를 제공한다.
도 1은 완전히 수축된 블레이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유사하나 공구를 유틸리티 나이프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동작중인 신장된 위치의 블레이드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에 유사하나 동작 중의 스크래퍼 위치를 도시하며;
도 4는 그의 동작중의 부품들을 도시하는, 도 1에 도시된 유틸리티 나이프의 분리된 도면이며;
도 4A는 블레이드 캐리어와 블레이드 그리고 액튜에이터 레버와 그 위에 장착된 스프링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블레이드 캐리어의 정면도이며;
도 5는 추가적인 내부 구조, 캐리지 조립체와 액튜에이터 버튼에 결합된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도시하며 액튜에이터 버튼이 위에 장착된 하우징의 하나의 크램셸 또는 일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이며;
도 6A는 캐리지 위의 트랙을 추종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드 메카니즘에 결합된 트랙 종동자 메카니즘의 사시도 상태의 부분 분리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 도시의 트랙의 확대된 상부 평면도이며;
도 6C는 트랙의 경사부들의 각각의 단부들에서 낙하부 또는 불연속부를 도시하기 위하여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트랙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에 유사하며, 완전히 수축된 위치의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노출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크램셸의 하나가 제거되어 도시되며;
도 8은 도 2 도시와 같은 유틸리티 나이프로서 동작하여 기능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조립체가 신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구성 부품들의 위치를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유사하며;
도 9는 유틸리티 나이프로부터 스크래퍼 위치로 공구를 전환하기 위하여 블레이드가 회전되거나 또는 젖혀진 후이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도 3 도시와 같이 동작하는 스크래퍼 위치로 내측으로 이동되기 전의 전환 위치 또는 영역에 있는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도시하며;
도 10은 스크래퍼 위치들로 이동됨에 따라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회전하는 부품들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9에 유사하며;
도 11은 스크래퍼 동작 모드 동안의 하우징에 접촉 지지되도록 액튜에이터 버튼이 해제되고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수축된 후의 도면으로 도 10에 유사하며;
도 12는 블레이드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구성 부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도 1 도시 공구의 측면도이며;
도 13은 블레이드가 도 2 도시의 수축 또는 유틸리티 블레이드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2에 유사하며;
도 14는 동작 위치들 사이에서 회전할 때 하우징을 제거하기 위하여 신장 위치를 지나 전환 위치로 외측으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이동될 때를 도시하는 도 면으로 도 13에 유사하며;
도 15는 도 14에 유사하나 조립체가 하우징에 접하도록 후방으로 이동되기 전에 스크래퍼 위치 또는 정위로 블레이드 조립체가 회전되거나 젖혀진 것을 도시하며;
도 16은 트랙 종동자가 스크래퍼 위치에 블레이드를 유지하도록 위치되는 도면으로 도 15에 유사하고;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래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블레이드 조립체가 하우징에 접촉하도록 구동된 후의 도 16에 유사한 도면이며;
도 18은 블레이드 조립체를 블레이드 절단 정위로 회전시거나 또는 젖히기 직전의 전환 위치로 블레이드 조립체를 진행시킨 것을 예시하며;
도 19는 블레이드 조립체가 블레이드를 절단 또는 유틸리티 블레이드 위치로 향하도록 회전된 후의 도면으로 도 18에 유사하며;
도 20은 블레이드 조립체가 공구의 유틸리티 기능을 제공하도록 신장된 위치로 이동된 후의 도 19에 유사하며;
도 21은 액튜에이터 버튼이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의 수축된 위치로 이동된 후의 도면으로 도 20에 유사하며; 및
도 22는 액튜에이터 버튼이 공구 하우징 상부에 위치되고 캐리지 조립체가 액튜에이터 버튼의 위치를 수용하도록 변형된 공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면들을 참조하면, 여기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들은 전체를 통해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고,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 및 스크래퍼 공구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10)로 표시된다.
공구(10)는 그러한 공구들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은 두 개의 뚜껑이 달린 크램셸(clamshell)(12a, 12b)로 형성될 수 있는 핸들이나 손 그립으로 기능하기에 적합한 세로방향 축을 형성하는 길다란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이나 핸들(12)은 전방 단부(12c)와 후방 단부(12d)를 가진다. 크램셸들이 도시와 같이 조립될 때, 그들은 축(12')을 형성하고 전방 단부(12c)에서 구멍(14')을 가지는 길다란 내부 채널(14)을 형성한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구(10)는 도 1에서 수축된 위치에 도시된 내부 블레이드를 가진다. 그러나, 공구는 블레이드를 접촉하거나 또는 취급하지 않고 도 2 도시와 같은 유틸리티 나이프 모드 또는 도 3 도시와 같은 스크래퍼(scraper) 모드로 신속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리지(16)가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부 채널(14)을 따라 다수의 위치들로 축(12')을 따라 이동하도록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다. 캐리지(16)는 후방판의 이동과 같이 세로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후방판(16a)과, 후방판(16a)에 고정된 결합 캐리지 부재(16b)를 포함한다. 결합 캐리지 부재(16)는 주조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후방판(16a)에는 도시와 같이 셸(12a) 내측에 트랙(40)을 따라 캐리지(16)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탭들이나 가이드 부재(16')가 구비된다.
후방판(16a)과 결합하는 캐리지 부재(16b)의 전방 또는 선단 단부들에는 정렬 홀(16c, 16d)들이 구비된다. 설명되는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의 레일(36b)용 가이드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향하는 태브(16e, 16f)들이 구비된다. 설명되는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용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정지부로서 기능하도록 후방판(16a)에는 경사된 컷아웃 태브(26)가 구비된다. 후방판(16a)이 최전방 또는 전환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단부(12c)를 향하여 전방 방향으로 가해진 외력에 반응하여 압축 스프링이 압축될 수 있도록 도시와 같이 압축 스프링(34)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로방향 태브(28a, 28b)들이 구비된다. 장력 스프링(32)은 일 단부에서 소정의 적절한 방식으로 후방판(16a)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12)의 후방 단부(12d)에 인접한 부분에 고정된다. 장력 스프링(32)은 하우징의 후방 단부(12d)를 향하여 캐리지(16)를 정상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바이어싱 부재이다. 캐리지(16)는 스프링(32)에 의하여 가해지는 장력에 대항하여 전방 단부(12c)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수동으로 가압될 수 있다.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는 블레이드(20)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블레이드(20)는 경사된 에지(20a, 20b)들과 절단 에지(20c)를 가지는 종래의 유틸리티 블레이드일 수 있다.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는 블레이드의 전방 측면 또는 에지(20a)의 노출과 도시와 같은 후방 에지(18b)와 절단 에지(20c)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최대화하기 위하여 각도가 형성된 전방 에지(18a)를 가진다.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는 도 4 도시와 같이, 전방 단부에서 블레이드 위로의 돌기(22a)와, 말단 단부에서의 유사한 돌기(22b)를 가진다. 또한 도 4A와 4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의 일 표면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은 각각 캠 표면(18d' 및 18e')를 가지는 대향하는 캠 부분(18d, 18e)을 형성하는 작동 레버(18c)로서 기능하는 일반적으로 길다란 부분이다. 구멍나 홀(16d)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캠 표면(18d', 18e')들 사이에는 원형 또는 원통형 돌기(18f)가 구비된다.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미도시)의 다른 측에는 후방판(16a)에서 구멍 또는 홀(16c)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유사한 돌기가 구비되므로, 캐리지(16)에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액튜에이터 레버 부분(18c)의 자유 단부로부터 신장하는 것은 원형 돌기(18g)이며 여기에 오버-데드-센터(ODC)(over-dead-center) 스프링(24)이 결합되고, 그의 일 단부는 액튜에이터 레버(18c)에 선회하게 고정되고 다른 단부 또는 자유 단부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합 캐리지 부재(16b) 내의 표면에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는 블레이드를 고정하고 복수의 축방향 위치들과 두 개의 직각 정위들 사이에서 캐리지와 같이 회전가능하고 직선으로 운동하기 위하여 캐리지(1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직각 정위들은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가 공구의 축(12')에 일반적으로 평행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정위와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가 축에 일반적으로 직각이거나 수직인 도 3에 도시된 제2 정위를 포함한다.
캐리지의 수축된 위치, 신장된 위치, 전환 및 다른 중간 위치들을 포함해서 캐리지와 같이 이동하도록 캐리지(16)에 결합되도록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은 구성된다. 슬라이드 메카니즘은 상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향하는 레일(36b)들과, 도시와 같이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이격된 슬롯(36d)들이 구비된 돌출 스프링 핑거(36c)가 형성된 본체(36a)를 포함한다. 레일(36b)들은 후방판(16a) 위에 태브(16e, 16f)들 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길다란 암(36e)은 일 단부에서 본체(36a)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암은 본체(36a)에 관련해서 분절 작동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으로 축방향 정위에 관련해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암의 홀 또는 구멍 내의 핀(36f)은 분절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암(36e)의 전방 또는 자유 단부에는 결합 캐리지 부재(16b)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쌍-안정 구조의 요소로서 기능하는 핀 또는 트랙 종동자(36g)가 구비된다.
액튜에이터 버튼(38)은 하우징(12) 외측에서 접속가능하고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가, 하우징을 제거하면서 하나의 정위에서 다른 정위로 자유로이 전환시키기 위하여, 하우징 내에서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의 적어도 수축된 위치와,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작동의 절단 또는 스크래퍼 위치에 있는 신장된 위치 및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캐리지의 최전방 위치에 이동되는 전환 위치를 포함하는 채널을 따르는 다수의 위치들 사이에 캐리지(16)와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을 슬라이딩하기 위하여 길다란 구멍(12')을 통하여 슬라이드 메카니즘(36)에 결합된다. 액튜에이터 버튼(38)은 슬롯(36d)들 내에 수용된 태브(38a, 38b)(도시 없음)들에 의하여 슬라이드 메카니즘(36)에 결합한다.
굽은 태브(16e, 16f)들은 레일(36b)을 외측으로 신장시키는 가이드로서 기능하므로 캐리지(16)가 그의 최대 전방 또는 전환 위치에 도달하면 복귀 스프링(34)의 스프링 복원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한 전방 압력이 액튜에이터 버튼(38)에 가해질 때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은 고정 캐리지(16)에 대해 축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지(16)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의 신장 위치를 지나 적어도 수축 위치, 신장 위치 및 전환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 도시와 같은 완전 수축 위치로 이동되도록 캐리지와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수축 위치의 제거를 고려하므로, 블레이드 조립체는 단지 신장되거나 작동 및 전환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20)는 항상 노출 유지된다.
일단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그의 전환 위치에 도달하면 캐리지(16)는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충분한 힘이 액튜에이터 버튼(38)에 가해지고 압축 스프링(34)이 압축될 때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은 압축 스프링(34)의 작용에 대항해서 캐리지(16)에 대해 축을 따라 전방으로 점차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이유로서 핀이나 표면 트랙 종동자(36g)를 지지하고, 슬라이드 메카니즘(36)과 암(36e)을 이동시킨다. 액튜에이터 버튼이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의 전환 위치에서 해제되는 경우 스프링(34)에 의하여 핀(36g)은 설명될 이유로써 후방으로 점차로 이동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크램셸(12b)의 내측이 결합 캐리지 부재(16b)의 반대 측면과 같이 도시되며, 부가적으로 스프링(34)에 결합하도록 태브(28a, 28b)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태브(36i)를 도시한다. 크램셸(12b)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메카니즘(36) 위에 돌기(36h 및 36i)를 수용하도록 정렬된 갭들이나 잠금 리세스(44a-44c)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상부 및 하부의 정렬된 세그먼트들이나 스트립(42a-42d)들이 형성된다. 소정 위치에 캐리지(16)를 적극적으로 또는 신뢰성 있게 고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대향하는 세트의 스트립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부 또는 바닥 위의 단지 하나의 세트의 스트립들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갭이나 리세스(44c)는 캐리지를 전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갭이나 리세스(44a)는 수축된 위치에 블레이드 조립체(18)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갭이나 리세스(44b)는 신장 위치에 캐리지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돌기(36h, 36i)들이 갭이나 리세스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채널(14)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액튜에이터 버튼(38)을 가압함으로써 선택된 갭이나 리세스가 획득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은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액튜에이터 버튼(38)은 이어서 캐리지(16)와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의 세로방향 또는 축방향 이동에 의하여 소정의 바람직한 잠금 위치에서 해제될 수 있다.
결합 캐리지 부재(16b)의 내측면(도 5)에는 암(36e)에 장착된 핀(36g)이나 트랙 종동자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쌍-안정 구조의 또 다른 요소로서 기능하는 연속적인 리세스 트랙이나 루프(48)가 구비된다. 핀(36g)과 트랙(48)은 같이 핀이나 종동자(36g)를 파지하는 연속적인 폐쇄된 트랙(48)을 형성하는 표면을 갖는 표면 트랙 종동자 구조를 형성한다.
도 6A-6C를 참조하면, 트랙(48)은 도시와 같은 더 큰 “V” 또는 “U” 내의 작은 “V” 삽입물 형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경사된 램프(48a-48d)들로 형성된 폐쇄된 루프 또는 트랙이다. 각 램프의 단부에는 계단부 또는 감축부(48a'-48d')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각각의 트랙들이나 램프들의 시작부에는 4개의 휴지 위치들이 부호(A-D)로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위치(A)는 유틸리티 나이프의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의 휴지 위치 또는 블레이드의 절단 위치를 표시한다. 위치(B)는 블레이드 조립체가 스크래퍼 위치로 젖혀지거나 또는 회전되는 위치이다. 위치(C)는 블레이드의 스크래퍼 위치에 있을 때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의 휴지 위치를 표시한다. 위치(D)는 블레이드의 절단 위치 또는 블레이드 조립체가 유틸리티 나이프로 역 방향으로 젖혀지거나 또는 회전되는 위치이며, 그 후에 표면 종동자 메카니즘은 위치(A)로 복귀한다. 위치(D)와 위치(A) 사이의 축방향 거리가 53임에 반해 위치(D)와 위치(C)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52이다. 캐리지(16)가 도 9와 10에 도시된 전환 위치들에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으면 가이드 메커니즘(36)과 압축 스프링(34)은 적어도 53과 같은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의 점증하는 운동을 확실히 보장하도록 배치된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튜에이터 버튼(38)이 전환 영역 내에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 위치를 지나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이동시키도록 연속으로 진행될 때 절단 및 스크래핑 위치들 사이에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선회시킴으로써 두 개의 각도상 정위들 사이에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를 교대로 선회시키기 위한 쌍-안정 구조로서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의 핀(36g)과 트랙이나 홈(48) 사이의 결합이 기능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쌍-안정 구조는 트랙 종동자 핀(36g)과 트랙 또는 홈(48)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을 적어도 포함하고 압축 스프링(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액튜에이터 버튼(38)의 연속적인 진행에 의하여 두 개의 각도상 위치들 사이에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선회시킬 수 있는 소정의 쌍-안정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A와 4B 도시의 액튜에이터 레버 또는 캠(18c)과 원형 돌기(18f)가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소정의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별개의 부품들일 수 있다.
오버-데드-센터(over-dead-center)(ODC) 스프링(24)에는 레버나 캠 부분(18e)의 자유 단부에서 원통부(18g) 둘레에 느슨하게 결합된 루프가 일 단부(24a)에 구비된다. 스프링(24)의 다른 자유 단부(24b)는 공구의 작동 동안 단부(24b)가 유지, 보유, 또는 제한되는 결합 캐리지 부재(16b)의 코너 리세스(16g)(도 5) 내에 한정되도록 배치된다. 액튜에이터 레버 또는 캠(18c)이 회전됨에 따라 스프링(24)은 굽혀지고 스프링(24)의 데드 센터 상태(dead center condition)를 통과할 때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의 교대적인 위치나 정위로 이동하기 위하여 스프링(24)은 이완 상태로 변형되고,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와 같이 액튜에이터 레버 또는 캠(18c)을 추진하거나 지원한다. 그러므로, 오버-데드-센터-상태(over-dead-center condition)를 지나 굽혀지도록 스프링(24)을 가압하기 위하여 액튜에이터 버튼(38)이 충분히 전방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24)은 하나의 정위에서 다른 정위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의 이동을 촉진한다. 스프링(24)이 이러한 작용을 제공하는 것으로 개시되지만, 이 기술 분야의 보통의 기술자에게는 다른 정도의 이점을 제공하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다른 ODC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스프링(32 및 34)들은 바람직하나 선택적이고 공구는 그러한 스프링이 없이 작동되고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축방향 운동이 수동으로 적용된다.
도 5가 3개의 고정 위치들에 슬라이드 메카니즘(36)과 캐리지(16)를 고정하기 위하여 태브들과 돌기들(36h)을 수용하기 위한 3개의 갭들이나 리세스(44a-44d)들을 형성하는 스트립(42a-42d)들을 도시하지만, 캐리지, 그러므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에 대해 추가적인 체결 위치들이나 정지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세로방향 길이를 따라 추가적인 갭들을 형성하는 추가적인 스트립들이 제공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레이드를 완전히 신장시키는 대신, 절단 에지(20a)의 단지 작은 부분이나 말단만이 노출되도록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신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그 안의 내용물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자들이나 카툰을 절단할 때 이것은 유용하다.
공구의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액튜에이터 버튼(38)이 최후방 위치에 있는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의 완전 수축 위치가 도시된다. 태브 부분(36h 및 36i)은 갭들이나 리세스(44a)(도 5) 내에 있다. 이 때, 핀이나 트랙 종동자(36g)는 트랙(48)(도 6B)의 지점(A)에 위치된다. 유틸리티 나이프 또는 절단 모드로 사용하기 위하여 블레이드(20)를 신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면, 액튜에이터 버튼(38)이 내측으로 가압되어, 스프링 핑거(36c)를 굽혀서 리세스 또는 갭(44a)에서 돌기(36h, 36i)를 이동시킨다. 이로써 캐리지(16)와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은 하우징의 전 단부(12c)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태브들이나 돌기(36h, 36i)들이 갭이나 리세스(44b)에 정렬될 때, 액튜에이터 버튼(38)이 해제되면, 돌기들이 거기에 수용되어 캐리지(16)와 슬라이드 메커니즘(36)을 추가적인 세로방향 또는 축방향 운동으로부터 체결한다. 이 위치에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는 도 2와 8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핀이나 트랙 종동자(36g)는 여전히 트랙의 지점(A)(도 6B)에 위치된다. 공구를 유틸리티 나이프로부터 스크래퍼로 전환하는 것이 요청되면 액튜에이터 버튼(38)이 다시 눌러지고, 이로써 캐리지와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의 추가적인 전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돌기들이나 태브(36h 및 36i)들은 갭들이나 리세스(44c)들로 이동되어 체결되어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된 위치에 배치한다.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는 이제 하우징(12)을 제거하면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가 회전할 수 있고 하나의 정위로부터 다른 정위로 젖혀질 수 있는 최외측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나이프로부터 스크래퍼 모드로의 전환을 실행하기 위하여 액튜에이터 버튼(38)은 내측으로 전방으로 가압된다. 전환 위치에서, 캐리지(16)는 채널(14)에서 그의 최전방 위치로 이동되었으므로 캐리지는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은 캐리지(16)와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의 정상적으로 정렬된 위치들로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역전시키려는 압축 스프링(34)의 작용에 대해 점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슬라이딩 메카니즘(36)을 이제 고정 캐리지(16)로 상대적으로 진행시키면 핀이나 트랙 종동자(36g)는 지점(A)으로부터 전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도 9B와 10으로 볼 때) 이동하고 지점(B)으로 거리(53)만큼 경사부(48a)를 따라 이동한다. 경사부(48d) 단부에서의 계단(48d')에 기인해서 핀이나 트랙 종동자(36g)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경로(48d)를 따라 이동할 수 없다. 핀(36g)이 지점(B)에 도달할 때 암(36e)의 자유 단부는 액튜에이터 레버(18c)의 하부 부분(18e)에 결합하고 표면(18e')에 힘을 가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액튜에이터 레버(18c)를 회전시키며, 이는 블레이드가 스크래퍼 위치 또는 정위로 향하도록 전체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 시점에서 액튜에이터 버튼(38)을 해제하면 슬라이딩 메카니즘(36)이 후방으로 거리(52)만큼 점차로 이동하고 이와 함께 암(36e)과 핀 또는 종동자(36g)를 당겨서, 핀(36g)을 도 6B의 위치(C)로 가져온다. 핀(36g)은 불연속부(48a')에 기인해서 경사부(48a)를 따라 복귀할 수 없고 트랙 부분(48b)을 따라 경로를 따라야 한다. 액튜에이터 버튼(38)이 해제될 때 스프링(32)은 전체 블레이드 조립체로 하여금 후방으로 이동시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 위의 돌출부(22a, 22b)들을 구멍(14')의 양 측면의 상부 및 하부 접촉면(12e, 12f)에 접촉시킨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수 “l”을 슬롯이나 구멍(14')(도 13)의 높이”h”보다 다소 크게 구성함으로써 보장된다. 도 13에서, 블레이드 조립체(18)의 높이”h”에 의하여 조립체는 도시와 같은 유틸리티 나이프 모드 또는 위치의 슬롯을 관통해서 연장할 수 있다. 더욱이, “l”을 h보다 더 크게 바람직하게 전체 하우징의 높이인 “H”에 더 근접시킴으로써 하우징이나 핸들(12)에 완전히 결합 접촉하는 것을 보장하는 거리로서 거리”l”는 선택된다.
도 6B에서 점(C)에 핀(36g)을 위치시키고 다시 액튜에이터 버튼(38)을 더욱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34)의 압축력을 극복해서 다시 후방판(16a)에 관련해서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을 전방으로 진행시킨다. 암(36e)과 종동자 핀(36g)을 진행시키면 핀은 이제 경사부(48C) 위로 이동하고 48c'에서 계단이나 불연속부 위로 점(D)으로 낙하한다. 핀(36g)이 위치(D)로 이동될 때 암(36e)의 자유 단부는 액튜에이터 레버 또는 캠(18c)의 부분(18d)의 표면(18d')에 힘을 가하여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18)를 도 1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또는 선회시켜서 블레이드를 유틸리티 나이프 위치 또는 모드로 복귀시킨다. 일단 이러한 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액튜에이터 버튼(38)의 해제에 의하여 압축 스프링(34)은 캐리지(16)에 관련해서 슬라이드 메카니즘(36)을 거리(53)만큼 점차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핀(36g)을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이 핀은 이제 경사부(48d)를 위로 이동시키고, 불연속부(48d')를 지나 이동하여 도 6B의 위치(A)에서 다시 정박된다. 블레이드는 다시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유틸리티 나이프로서 사용 후, 액튜에이터 버튼(38)은 도 1과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황으로 공구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다시 내향으로 가압되고 후방으로 밀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의 예로 단지 고려된다. 더욱이,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도시되고 설명되는 정확한 구성과 작동으로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따라서, 모든 적절한 수정들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및 세로방향 축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 단부에서 단부 개구와 길다란 하우징의 측벽에서 상기 채널과 연통하고 상기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길다란 구멍을 가지는 길다란 내부 채널을 가지는 길다란 하우징;
    제1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내의 완전히 수축(후퇴)된 위치와 상기 단부 구멍을 지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완전히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내부 채널 내에서 상기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지;
    상기 제1 요소에 결합된 제2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와 상기 완전히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캐리지와 같이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며 상기 캐리지의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를 지나 전환 위치로 이동가능한 상기 채널 내의 슬라이드 메카니즘;
    블레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로서, 제1의 절단 정위와 제2의 스크래핑 정위의, 두 개의 일반적으로 직각인 정위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지 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접근가능하고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와 완전히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과 상기 캐리지를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전환 위치로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길다란 구멍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에 결합되는 액튜에이터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 사이의 상기 결합은 상기 액튜에이터 버튼이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에서 상기 전환 위치로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연속으로 진행될 때 상기 두 개의 직각 정위들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와 그 위에 장착된 소정의 블레이드를 교대로 선회시키도록 배치되는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공구.
  2. 청구항 1에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에는 제1 결합면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상기 스크래핑 정위로 이동되고 상기 캐리지와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이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로 이동되어, 스크래핑 동안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하우징에 전달될 때 상기 제1 결합면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단부 구멍에 인접한 제2 결합면이 구비되는 공구.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 결합면은 상기 단부 구멍의 반대 측면들에서 상기 하우징에 두 개의 인접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은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상기 스크래핑 정위로 이동되고 작동상의 스크래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인접면들에 정렬되어 접촉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 위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두 개의 지지면들을 포함하는 공구.
  4. 청구항 1에서, 상기 캐리지의 위치를 적어도 상기 신장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체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공구.
  5. 청구항 4에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 및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도록 배치되는 공구.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절단 정위에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는 일반적으로 상기 축에 평행이고 상기 스크래핑 정위에서 절단 에지는 일반적으로 상기 축에 수직인 공구.
  7. 청구항 1에서, 상기 캐리지를 상기 후방 단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길다란 하우징과 상기 캐리지 사이에 작용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공구.
  8. 청구항 1에서, 상기 액튜에이터 버튼이 해제될 때 상기 캐리지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의 상기 전환 위치로부터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로 역전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수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과 상기 캐리지 사이에 작용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공구.
  9. 청구항 1에서,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이 상기 완전히 신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전환 위치로 진행될 때 상기 캐리지에 결합하고 상기 정위들의 하나로부터 상기 정위들의 다른 정위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의 상기 선회를 지원하도록 배치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 위의 ODC(over-dead-center)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공구.
  10.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요소는 캠 종동자이고 상기 제2 요소는 트랙 또는 홈이며 상기 제2 요소는 상기 트랙 또는 홈에 결합된 캠 종동자인 공구.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트랙 또는 홈은 상기 캐리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캠 종동자는 상기 트랙 또는 홈 내에 캡처링된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에 결합되는 공구.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캠 종동자는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의 일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암과 상기 트랙 또는 홈 내에 수용되고 따르도록 형성된 상기 암의 또 다른 단부에서의 종동자 핀을 포함하는 공구.
  13. 청구항 11에서, 상기 트랙 또는 홈은 연속적이며 상기 캠 종동자가 상기 트랙 또는 홈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항상 진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종동자 핀을 점차로 상승시키고 상기 연속적인 경사부들 사이에서 상기 종동자 핀을 강하시키는 복수의 연속적인 경사부들을 포함하는 공구.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트랙 또는 홈은 상기 축에 관련해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두 개의 선단 또는 전방 위치들을 가지고 상기 두 위치들의 하나로의 상기 종동자 핀의 운동에 의하여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는 두개의 직각인 정위들의 하나로부터 다른 정위로 이동하는 공구.
  15.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로부터의 블레이드의 기능을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및 축을 형성하며 전방 단부에서 구멍을 가지는 길다란 내부 채널을 가지는 길다란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다수의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내부 채널 내에서 상기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캐리지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두 개의 정위들 사이에서 블레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리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에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단계;
    하나의 정위로부터 다른 정위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작동상 절단 또는 스크래핑 위치에 있는 신장된 위치와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가 상기 신장된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는 전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캐리지와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메카니즘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액튜에이터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캐리지를 상기 전환 위치로 전방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전환 위치로 상기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위치를 지나 전방으로 상기 액튜에이터 버튼을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튜에이터 버튼이 전방으로 연속으로 진행될 때 절단 및 스크래핑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선회시킴으로써 쌍-안정 메카니즘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정위들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 조립체를 교대로 선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로부터 블레이드의 기능 전환 방법.
KR1020200035567A 2019-07-09 2020-03-24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 KR102259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06,186 2019-07-09
US16/506,186 US10589436B1 (en) 2019-07-09 2019-07-09 Single-action convertible utility knife and scrap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816A true KR20210007816A (ko) 2021-01-20
KR102259458B1 KR102259458B1 (ko) 2021-06-02

Family

ID=6952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67A KR102259458B1 (ko) 2019-07-09 2020-03-24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10589436B1 (ko)
EP (1) EP3763494B1 (ko)
JP (1) JP6806308B1 (ko)
KR (1) KR102259458B1 (ko)
CN (1) CN112207860B (ko)
AR (1) AR118714A1 (ko)
AU (1) AU2020201755B1 (ko)
BR (1) BR102020008889A2 (ko)
CA (1) CA3071844C (ko)
CH (1) CH716404B9 (ko)
CL (1) CL2020000884A1 (ko)
CO (1) CO2020003945A1 (ko)
EC (1) ECSP20025670A (ko)
IL (1) IL272454B2 (ko)
JO (1) JOP20200113B1 (ko)
NO (1) NO20200488A1 (ko)
NZ (1) NZ762510A (ko)
PE (1) PE20210212A1 (ko)
PH (1) PH12020000068A1 (ko)
RS (1) RS20200405A1 (ko)
RU (1) RU2748918C1 (ko)
SA (1) SA120410799B1 (ko)
TR (1) TR202004538A2 (ko)
TW (1) TWI739302B (ko)
UA (1) UA123654C2 (ko)
UY (1) UY38735A (ko)
ZA (1) ZA202002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4014B2 (en) * 2018-08-16 2021-08-31 Stanley Black & Decker, Inc. Sliding blade carriage with blade release
US11433560B2 (en) * 2020-02-07 2022-09-06 Vincent Leon Giles Drywall knife
CN112171722A (zh) * 2020-09-04 2021-01-05 广州宝瑰贸易有限公司 指推式安全刀具
US20220104678A1 (en) * 2020-10-01 2022-04-07 Yu-Chen Tsai Tile scraper structure
US11752613B2 (en) 2021-05-11 2023-09-12 Andrew Christian Manually operated convertible utility knife and scrap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670A1 (en) * 2009-06-20 2010-12-23 Hyde Tools, Inc. Retractable blade scraper having a blade-storage drawer and a blade slide with upper and lower blade-clamping members
US20110138566A1 (en) * 2006-11-02 2011-06-16 Frenway Products Inc. Adjustable and replaceable scraper
CN102837323A (zh) * 2011-06-21 2012-12-26 上海昆杰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刀架
US20140290070A1 (en) * 2013-03-27 2014-10-02 Thomas Jay LANDWEHR Scraper hand tool
US20200085271A1 (en) * 2014-09-07 2020-03-19 Mario E. Magnani Dual-bladed scraper with a rotatable blade-retaining head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300A (en) * 1913-01-24 1913-11-18 Thomas J Littleton Jr Combination garment-knife.
US2164050A (en) * 1935-11-13 1939-06-27 Brown John Clark Razor blade holder
US2071562A (en) * 1936-02-11 1937-02-23 Nelson Jennings Scraper
US2107736A (en) * 1936-03-26 1938-02-08 Huber Henry Blade holder
US2094260A (en) * 1936-07-18 1937-09-28 Samuel C Brody Cutting device
US2133087A (en) * 1937-03-09 1938-10-11 Eric W Ericsson Scraper
US2242900A (en) * 1938-12-02 1941-05-20 Bender Jacob Armin Combination implement
US2257314A (en) * 1939-04-29 1941-09-30 Jr Charles P Shinn Scraper
US2662284A (en) * 1949-04-20 1953-12-15 Russell Hicks Knife construction having a sliding blade
US2650422A (en) * 1951-06-22 1953-09-01 John F Soltow Roofing knife having a reversible and retractable blade
US2870537A (en) * 1958-03-14 1959-01-27 Ortner Samuel Pocket safety knife
US3063147A (en) * 1959-07-01 1962-11-13 Kastar Inc Adjustable tool
US3176395A (en) * 1963-12-27 1965-04-06 David H Warner Photoengraver's saber
US3518758A (en) * 1967-10-24 1970-07-07 Robert A Bennett Utility knife with movable and rotatable blade
US3667122A (en) * 1971-05-12 1972-06-06 Pacific Handy Cutter Inc Safety razor blade holder
US4100677A (en) * 1977-02-15 1978-07-18 Jeff Adolph L Precision cutting tool
US4617736A (en) * 1984-08-02 1986-10-21 Mccrary Mark W Swivel headed scraping device
EP0232554A1 (en) * 1986-02-10 1987-08-19 Mario Bruno Circular multi-purpose pocket minitool
US4955138A (en) 1989-01-13 1990-09-11 Warner Manufacturing Company Utility blade scraper
RU2040380C1 (ru) * 1990-11-29 1995-07-25 Николай Антонович Потапов Нож
US5440811A (en) * 1994-01-11 1995-08-15 L. J. Smith, Inc. Adjustable/indexable scraping tool
US5890293A (en) * 1995-09-21 1999-04-06 Gamba; Gregory G. Cutting tool having blade holder assembly
TW359221U (en) * 1997-10-14 1999-05-21 Xiu-Mei Peng Hand tool for easy to cut and easy to scrap
US6598301B2 (en) 2000-06-02 2003-07-29 American Safety Razor Company Multi-purpose razor blade tool
US6484404B1 (en) * 2001-10-16 2002-11-26 Liang-Shen Kao Multi-functional exacting knife structure
DE10208345C1 (de) * 2002-02-27 2003-08-21 Beermann Kg Martor Argentax Messer
US20040237312A1 (en) * 2003-05-22 2004-12-02 Hector Hernandez Knife with trigger actuator for retractable blade
US6951055B1 (en) 2004-06-25 2005-10-04 Collins Walter W Folding utility knife
US7185435B1 (en) * 2005-11-09 2007-03-06 Awi Acquisition Company Utility knife with dual blades
US7316070B2 (en) * 2005-11-15 2008-01-08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Self-retracting utility knife
DE102005057213B3 (de) 2005-11-29 2007-03-22 Martor Kg Messer
JP4851242B2 (ja) * 2006-06-06 2012-01-11 オルファ株式会社 セーフティカッターナイフ
US8739414B2 (en) * 2007-10-25 2014-06-03 Quirky Inc. Multi-purpose utility tool
DE102007052060A1 (de) * 2007-10-30 2009-05-07 Martor Kg Messer
DE102008019441A1 (de) * 2008-04-17 2009-10-22 Martor Kg Messer
US7797835B2 (en) * 2008-02-07 2010-09-21 Min Zheng Zeng Foldable knife with disposable blades
US8732957B2 (en) * 2008-04-17 2014-05-27 Martor Kg Retractile-blade utility knife
US8307556B2 (en) * 2009-06-19 2012-11-13 ADCO Industries—Technologies, L.P. Utility cutter
DE102010023680A1 (de) * 2010-06-14 2011-12-15 Martor Kg Messer
US8689450B2 (en) * 2011-04-29 2014-04-08 Acme United Corporation Knife having a reversible carriage
US20120304472A1 (en) * 2011-06-02 2012-12-06 Simon Medhurst Multi-angle hand held cutting tool
US10124495B2 (en) * 2012-12-19 2018-11-13 Slice, Inc. Retractable utility knife
DE202013007112U1 (de) * 2013-08-09 2014-11-13 Martor Kg Messer
USD750463S1 (en) * 2015-02-04 2016-03-01 Lawrence Julius Sonne Handle for applicator
CN208358864U (zh) * 2018-05-08 2019-01-11 徐玉清 一种安全美工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8566A1 (en) * 2006-11-02 2011-06-16 Frenway Products Inc. Adjustable and replaceable scraper
WO2010147670A1 (en) * 2009-06-20 2010-12-23 Hyde Tools, Inc. Retractable blade scraper having a blade-storage drawer and a blade slide with upper and lower blade-clamping members
CN102837323A (zh) * 2011-06-21 2012-12-26 上海昆杰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刀架
US20140290070A1 (en) * 2013-03-27 2014-10-02 Thomas Jay LANDWEHR Scraper hand tool
US20200085271A1 (en) * 2014-09-07 2020-03-19 Mario E. Magnani Dual-bladed scraper with a rotatable blade-retaining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200488A1 (en) 2021-01-11
CH716404A2 (fr) 2021-01-15
CL2020000884A1 (es) 2020-06-19
CA3071844C (en) 2021-04-27
PH12020000068A1 (en) 2021-11-22
UY38735A (es) 2020-08-31
EP3763494B1 (en) 2024-04-10
UA123654C2 (uk) 2021-05-05
RS20200405A1 (sr) 2021-09-30
IL272454B2 (en) 2024-04-01
CH716404B1 (fr) 2023-04-28
RU2748918C1 (ru) 2021-06-01
IL272454B1 (en) 2023-12-01
NZ762510A (en) 2022-05-27
PE20210212A1 (es) 2021-02-03
JOP20200113A1 (ar) 2021-01-09
EP3763494A1 (en) 2021-01-13
KR102259458B1 (ko) 2021-06-02
CH716404B9 (fr) 2023-06-30
IL272454A (en) 2021-01-31
TR202004538A2 (tr) 2021-01-21
CN112207860A (zh) 2021-01-12
ECSP20025670A (es) 2021-05-31
JP6806308B1 (ja) 2021-01-06
AU2020201755B1 (en) 2021-01-28
CA3071844A1 (en) 2020-06-19
ZA202002814B (en) 2021-01-27
JP2021010716A (ja) 2021-02-04
TWI739302B (zh) 2021-09-11
BR102020008889A2 (pt) 2021-01-19
CN112207860B (zh) 2021-10-26
SA120410799B1 (ar) 2022-09-25
TW202102348A (zh) 2021-01-16
CO2020003945A1 (es) 2020-06-09
JOP20200113B1 (ar) 2022-09-15
US10589436B1 (en) 2020-03-17
AR118714A1 (es)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7816A (ko) 단일-작동의 전환가능한 유틸리티 나이프와 스크래퍼
US6053908A (en) Ratchet assembly for surgical instrument
US5802722A (en) One handed knife
EP2511056B1 (de) Sicherheits-Messer
US20090223063A1 (en) Dual bladed utility knife
US5794357A (en) One piece compound lock for tape measure
EP1232841A2 (en) Cutter cassette and cutting device using the same
US6098291A (en) Pipe cutter
JP2002324623A (ja) カード排出装置
US6305249B1 (en) Adjustable wrench
US7694824B2 (en) Clam shell type receptacle
US6660951B2 (en) Canceling structure of combination switch
JP3863837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S648489B2 (ko)
CN220218572U (zh) 一种回弹定位两用刀具
JP3745307B2 (ja) 扉用のラッチ装置
JPH0744297Y2 (ja) 切断具
CN116872258A (zh) 一种回弹定位两用刀具
KR101139159B1 (ko) 루스 리프 고리 장치
KR200309679Y1 (ko) 문구용 칼 잠금장치
JP3157653B2 (ja) カセット案内装置
JPS645382Y2 (ko)
GB2310685A (en) Reversable latch
JPS6052563B2 (ja) 可変抵抗器
JPH015784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