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986A - 전지 분리기, 코팅된 전지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분리기, 코팅된 전지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986A
KR20210006986A KR1020207035566A KR20207035566A KR20210006986A KR 20210006986 A KR20210006986 A KR 20210006986A KR 1020207035566 A KR1020207035566 A KR 1020207035566A KR 20207035566 A KR20207035566 A KR 20207035566A KR 20210006986 A KR20210006986 A KR 20210006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orous membrane
additive
membrane
layer
micro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 카렌 샤오
알렌 엠. 돈
스테판 라이나르츠
창칭 왕 아담스
마사아키 오카다
브라이언 알. 스텝
에릭 로버트 화이트
캐서린 체멜레우스키
Original Assignee
셀가드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가드 엘엘씨 filed Critical 셀가드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0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3Polyamide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 단층, 이층 삼층 또는 다층 멤브레인, 분리기 멤브레인, 분리기, 또는 코팅된 분리기가 개시된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 또는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 구성된다. 첨가제는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 및 PCS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에 대한, 또는 전극 표면을 포함하는 금속성 표면과 같은 상이한 재료에 대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접착력을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력 개선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가 없는 유사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의 비교에 근거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기능화된 중합체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능화된 중합체의 기능기는 말레산 무수물(MAH)일 수 있다. 또한,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기 또는 코팅된 분리기가 개시된다. 전지 분리기는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으로 코팅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새롭거나 개선된 분리기, 복합체, 전지, 이차 리튬 이온 전지; 및/또는 상기 분리기, 복합체 또는 전지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지 분리기, 코팅된 전지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microporous) 단층, 이층 삼층 또는 다층 멤브레인(membrane), 분리기(separator) 멤브레인, 분리기, 또는 코팅된 분리기가 개시된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 또는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 구성된다. 첨가제는 코팅,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라미드(polyaramid)-함유 코팅에 대한, 또는 금속성 표면과 같은 상이한 재료에 대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접착력을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력 개선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가 없는 유사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의 비교에 근거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기능화된(functionalized) 중합체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 및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능화된 중합체의 기능기는 말레산 무수물(MAH: maleic anhydride)일 수 있다. 또한,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기 또는 코팅된 분리기가 개시된다. 전지 분리기는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으로 코팅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새롭거나 개선된 분리기, 복합체, 전지, 이차 리튬 이온 전지; 및/또는 상기 분리기, 복합체 또는 전지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장치가 개시된다.
전지 분리기는 Celgard® 건식-연신(dry-stretch) 공정을 포함하는 건식 제조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건식 전지 분리기는 단층 폴리프로필렌(PP), PP/PE/PP로 구성되는 삼층 필름, 또는 다층 필름,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번호 제PCT/US17/61277호에 기술된 (PP)(PP)(PP)/(PE)(PE)(PE)/(PP)(PP)(PP)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다층 구조는 여기서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도입되는 국제 특허 출원 번호 제PCT/US17/61277호에 개시되어 있다. PP는 내산화성으로 인해 전지 분리기의 최외층의 재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특히 우수한 사이클링(cycling) 성능을 제공한다. 삼층 및 다층 구조에서, PE는 내층에 사용되어, 특히 고속 셧다운(shutdown)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고-에너지 리튬 전지 분리기는 오늘날에 세라믹 코팅으로 코팅되는데, 코팅은 유기 또는 무기 입자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고, 바인더는 흔히 중합체 바인더이다. 전지 분리기용 세라믹 코팅은 여기서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도입되는 미국 특허 번호 제6,432,586호에 원래 개시되었다.
공지되었듯이, 세라믹 코팅 및 다른 형태의 코팅에 바인더로서 흔히 사용되는 폴리아라미드 재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층 분리기에 그리고 삼층 및 다층 전지 분리기의 외층에 흔히 사용되는 재료인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특정 폴리올레핀(PO)과 잘 결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대표적인 폴리아라미드는 Kevlar®, Twaron®, New Star® 및 Teijin conex이다. 폴리아라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팅과 PP-함유 층의 접착력을 개선하는 제한된 공지 방법이 있지만, 이 제한된 공지 방법은 추가적인 공정 단계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표면 처리 단계가 코팅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PP-함유 분리기 또는 멤브레인 층에 대한 폴리아라미드 재료를 포함하는 코팅의 접착력을 개선하는 더 단순하거나 더 나은 방법이 필요하다.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개시 또는 발명은 종래의 이슈, 필요 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및/또는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 단층, 이층 삼층 또는 다층 멤브레인, 분리기 멤브레인, 분리기, 코팅된 분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 또는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 구성된다. 첨가제는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 아라미드 코팅, 다른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에 대한, 또는 금속성 표면과 같은 상이한 재료에 대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접착력을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력 개선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가 없는 유사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의 비교에 근거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기능화된 중합체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능화된 중합체의 기능기는 말레산 무수물(MAH)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다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올레핀 및 극성 성분 양쪽 모두를 갖는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산 공중합체, 이오노머(ionomer), 및 말레산-무수물 변성 PP 또는 PE 동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기 또는 코팅된 분리기가 개시된다. 전지 분리기는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과 같은 코팅으로 코팅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새롭거나 개선된 분리기, 복합체, 전지, 이차 리튬 이온 전지; 및/또는 상기 분리기, 복합체 또는 전지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텍스타일(textile)에 사용되거나 텍스타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타일 제품은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laminate) 텍스타일 제품이 개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여기서 기술되는 하나 초과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여기서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및 다른 직포, 부직포, 니트(knit), 코팅, 및/또는 다공성 또는 마이크로다공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텍스타일 또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은 재킷, 바지, 셔츠, 모자, 양말, 속옷, 장갑 또는 반바지와 같은 의류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텍스타일 또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은 텐트, 배낭 또는 방수포(tarp)와 같은 야외 장비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라미네이트 또는 복합 멤브레인, 재료 또는 분리기는 여기서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및 다른 직포, 부직포, 니트, 코팅, 및/또는 다공성 또는 마이크로다공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서, 단일 멤브레인 또는 분리기 또는 라미네이트 또는 복합 멤브레인, 재료 또는 분리기는 원하는 최종 용도, 두께, 디자인, 패턴 등에 따라 엠보싱(embossed), 캘린더링(calendered), 코팅, 처리, 및/또는 추가 가공될 수 있다.
도 1은 여기서 기술된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이다.
도 2는 여기서 기술된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이다.
도 3은 여기서 기술된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이다.
도 4는 여기서 기술된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이다.
도 5는 여기서 기술된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이다.
도 6은 여기서 기술된 일 실시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도 7은 여기서 기술된 일 실시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도 8은 여기서 기술된 일 실시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도 9a 및 9b는 비교예의 SEM 이미지이다.
도 10a 및 10b는 여기서 기술된 일 실시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도 11a 및 11b는 여기서 기술된 일 실시형태의 SEM 이미지이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용 전지 분리기로서 또는 분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여기서 기술된다. 여기서 기술되는 일부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종래의 단층 폴리프로필렌(PP), PP/PE/PP로 구성되는 삼층 필름, 또는 다층 필름(2개 이상의 층),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 번호 제PCT/US17/61277호에 기술된 (PP)(PP)(PP)/(PE)(PE)(PE)/(PP)(PP)(PP)와 비교하여 코팅, 금속, 및/또는 폴리아라미드-재료-함유 코팅에 대한 개선된 접착력을 갖는다.
일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수지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부터 제조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여기서 기술된다.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다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보다, 폴리아라미드(또는 폴리-아라미드 또는 아라미드) 포함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과의, 또는 금속성 표면과의 높은 접착력 또는 접착 강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양쪽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다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보다, 폴리아라미드 포함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과의, 또는 금속성 표면과의 높은 접착 강도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의 높은 접착력은 심지어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표면으로의 코팅, 처리, 또는 그 어떤 작업 없이도 구현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라미드와 혼합되지 않는 다른 중합체이다. 폴리아라미드와 혼합되지 않거나, 혼합되거나, 부분적으로 혼합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른 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라미드와 혼합되지 않는 다른 중합체에 더해 사용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동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삼원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혼합되지 않는 임의 중합체에 대한 상용화제(compatibilizer)이다. 예를 들어, 상용화제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혼합되지 않는 임의 중합체의 블렌드를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기능화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올레핀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기능화된 폴리올레핀은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올레핀의 특정 예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MA-HDPE), 말레산 무수물 변성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MA-Co-PP), 및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중합체 폴리프로필렌(MA-Homo-PP)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멤브레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20 wt.%, 0.5 내지 15 wt.%, 1 내지 10 wt.%, 또는 1 내지 5 wt.%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단층 멤브레인, 이층 멤브레인, 삼층 멤브레인 또는 다층 멤브레인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PP 및/또는 PE 멤브레인과 같은 폴리올레핀 단층 멤브레인, 이층 멤브레인, 삼층 멤브레인 또는 다층 멤브레인이다. 일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적어도 하나의 접착력 촉진 첨가제 또는 중합체를 가진 적어도 PP 외층 또는 표면을 갖는 폴리올레핀 단층 멤브레인, 이층 멤브레인, 삼층 멤브레인 또는 다층 멤브레인이다.
이층 멤브레인에서, 이층 멤브레인의 한쪽 또는 양쪽 층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삼층 실시형태에서, 한쪽 또는 양쪽의 최외층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삼층 실시형태에서, 내층 단독 또는 내층 및 한쪽 또는 양쪽의 최외층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 멤브레인에서, 한쪽 또는 양쪽의 최외층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층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층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층 및 한쪽 또는 양쪽의 최외층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층 실시형태에서, 모든 내층 또는 모든 내층 및 한쪽 또는 양쪽의 최외층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존재하는 층 또는 층들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wt.%까지, 25 wt.%까지, 20 wt.%까지, 15 wt.%까지, 10 wt.%까지, 또는 5 wt.%까지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양쪽 최외층은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내고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어떠한 첨가제도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감소된 핀 제거력(pin removal force), 더욱 제어된 기공 크기, 전해질로의 개선된 습윤성, 개선된 이온 포획, 증가된 내구성 또는 인성(toughness)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이들 특성은 개선된 접착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부터 또는 다른 첨가제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또한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 또는 금속성 표면과의 개선된 접착력에 더해 또는 이를 대신하여 상술한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한 표면은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 또는 금속성 표면과의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내고, 멤브레인의 다른 표면은 상술한 특성들 중 하나 이상, 예를 들어 개선된 내구성 또는 인성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은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 또는 금속성 표면과의 개선된 접착력 및 상술한 특성들 중 하나 이상, 예를 들어 개선된 내구성 또는 인성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감소된 핀 제거력 또는 적어도 감소된 핀 제거력 및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 또는 금속성 표면과의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또한 감소된 핀 제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윤활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는 양친성일 수 있다. 윤활제는 또한 지방산 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지방산 염은 리튬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칼륨 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윤활제는 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실록시 기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윤활제는 초-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더욱 제어된 기공 크기 또는 적어도 더욱 제어된 기공 크기 및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 또는 금속성 표면과의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또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제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수지와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전해질로의 개선된 습윤성 또는 적어도 전해질로의 개선된 습윤성 및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과의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개선된 이온 포획 또는 적어도 개선된 이온 포획 및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과의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오노머 첨가제는 이온 포획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또는 층은 증가된 내구성 또는 인성 또는 적어도 증가된 인성 및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과의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낸다. 증가된 인성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가된 인장 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또한 증가된 인성 또는 증가된 인장 강도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이오노머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이오노머는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이해되듯이, 이온-함유 및 비-이온성 반복 기 양쪽 모두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때때로, 이온-함유 반복 기는 이오노머의 25% 미만, 20% 미만 또는 15% 미만을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오노머는 Li-계, Na-계 또는 Zn-계 이오노머일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이오노머의 예는 DuPontTM에 의해 판매되는 Surlyn®, SK Global Chemical로부터 이용가능한 PrimacorTM, Ineos로부터 이용가능한 Eltex®, 및 Solvay로부터 이용가능한 Aquavion®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이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으로 코팅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은 멤브레인의 표면 또는 표면들에 코팅되어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에 대한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은 또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중합체 코팅으로 코팅되는데, 여기서 중합체 코팅은 중합체, 예를 들어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금속성 표면과 직접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표면에 대한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내는 멤브레인의 표면은 금속성 표면과 접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의 양쪽 표면이 금속성 표면과 직접 접촉하거나, 한쪽이 금속성 표면과 접촉하고 한쪽은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과 같은 코팅과 접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코팅, 처리, 또는 그렇지 않으면 개질되어 강도를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코로나(corona) 처리되거나 PE 및/또는 라텍스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수지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부터 제조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또는 멤브레인 층이 개시된다. 첨가제는 다음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한다: (1)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2)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금속성 표면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3)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킨다; (4)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전해질로의 습윤성을 증가시킨다; (5)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이온 포획을 증가시킨다; (6)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인성 또는 인장 강도를 증가시킨다; (7)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기공 크기를 제어한다; (8)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정전기를 감소시킨다; (9) 천공 강도를 증가시킨다; 및 (10)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이온 이동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1개의 첨가제는 이들 기능들 중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 모두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들 기능들 중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 모두를 수행하는 상이한 첨가제가 첨가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세라믹 코팅 또는 중합체 코팅층과 같은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코팅층은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층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기능화된 중합체이다. 예시적인 기능화된 중합체는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물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올레핀의 특정 예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MA-HDPE), 말레산 무수물 변성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MA-Co-PP), 및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중합체 폴리프로필렌(MA-Homo-PP)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금속성 표면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금속성 표면은 금속성 전극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기능화된 중합체이다. 예시적인 기능화된 중합체는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물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올레핀의 특정 예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MA-HDPE), 말레산 무수물 변성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MA-Co-PP), 및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중합체 폴리프로필렌(MA-Homo-PP)을 포함한다.
기능화된 중합체의 양은 멤브레인의 중량을 기준으로,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가 첨가되는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0 wt.%의 범위일 수 있다.
기능화된 중합체의 기능화율(functionalization)은 달라질 수 있다. 기능화율은 주어진 중량으로 존재하는 기능기(예를 들어, MAH 기)의 양, 또는 중합체의 양이다. 기능화된 중합체의 기능화율의 변동으로 인해, 첨가되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기능화된 중합체의 양이 아니라, 기능기의 양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기능기의 양은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및 이에 따라 기능기)가 첨가되는 멤브레인의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및 5 wt.% 사이이다. 단층 멤브레인에서, 기능기의 양은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및 이에 따라 기능기)가 첨가되는 멤브레인의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및 5 wt.% 사이로서 동일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양은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및 이에 따라 기능기)가 첨가되는 멤브레인의 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및 5 wt.% 사이, 0.2 내지 5 wt.% 사이, 0.5 및 5 wt.% 사이, 1 및 5 wt.% 사이, 1.5 및 5 wt.% 사이, 2 및 5 wt.% 사이, 2.5 및 5 wt.% 사이, 3 및 5 wt.% 사이, 3.5 및 5 wt.% 사이, 4 및 5 wt.% 사이, 또는 4.5 및 5 wt.% 사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킨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윤활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술되는 윤활제 또는 윤활유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이해되듯이, 윤활제는 중합체:중합체; 중합체:금속; 중합체:유기재료; 및 중합체:무기재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상이한 표면들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하는 화합물이다. 여기서 기술되는 윤활제 또는 윤활유의 특정 예는 실록산 및 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실록시 기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금속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산 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의 표면 마찰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표면 마찰 변경제(altering agen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첨가제는 블로킹제(blocking agent), 안티(anti)-블로킹제(실리카, 규조토, 탈크, 탄산 칼슘 또는 이들의 조합), 슬립제(slip agent) 또는 안티-슬립제일 수 있다.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5개 이상, 6개 이상, 7개 이상, 8개 이상, 9개 이상 또는 10개 이상의 실록시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여기서 기술되는 윤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록산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듯이, 교대 배치되는 규소 원자(Si) 및 산소 원자(O)의 골격을 갖는 분자의 종류이고, 각 규소 원자는 연결 수소(H)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유기 기, 예를 들어 -CH3 또는 C2H5를 가질 수 있다. 폴리실록산은 일반적으로 고분자량을 갖는, 중합된 실록산이다. 여기서 기술되는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폴리실록산은 고분자량일 수 있고, 또는 일부 경우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은 500,000 내지 1,00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되는 지방산 염도 특히 제한되지 않고, 윤활제로서 작용하는 임의의 지방산 염일 수 있다. 지방산 염의 지방산은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에루크산(erucic acid) 및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금속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및 Ra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금속은 Li, Be, Na, Mg, K 또는 Ca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지방산 염은 리튬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리튬 올레에이트, 나트륨 올레에이트, 나트륨 팔미테이트, 리튬 팔미테이트, 칼륨 스테아레이트 또는 칼륨 올레에이트이다.
여기서 기술되는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지방산 염을 포함하는 윤활제는 200℃ 이상, 210℃ 이상, 220℃ 이상, 230℃ 이상 또는 240℃ 이상의 녹는점을 갖는다. 리튬 스테아레이트(녹는점 220℃) 또는 나트륨 스테아레이트(녹는점 245 내지 255℃)와 같은 지방산 염은 이러한 녹는점을 갖는다. 칼슘 스테아레이트(녹는점 155℃)와 같은 지방산 염은 그렇지 않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칼슘 스테아레이트가 높은 녹는점을 갖는 다른 지방산 금속염, 예를 들어 금속 스테아레이트보다 가공 관점에서 덜 이상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열간(hot) 압출 공정 중에 왁스가 모든 곳에서 분리되어 얻어지는 "스노잉(snowing) 효과"로 불렸던 것 없이, 칼슘 스테아레이트는 800 ppm 초과의 양으로 첨가될 수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특정 이론에 얽매일 필요 없이, 열간 압연 온도 초과의 녹는점을 갖는 지방산 금속염을 이용하는 것은 이 "스노잉"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칼슘 스테아레이트보다 높은 녹는점을 갖는 지방산 염, 특히 200℃ 초과의 녹는점을 갖는 것은 "스노잉" 없이 1% 또는 1,000 ppm 초과의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1% 이상의 양은 개선된 습윤성 및 핀 제거력 개선과 같은 원하는 특성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1 내지 10%, 1 내지 9%, 1 내지 8%, 1 내지 7%, 1 내지 6%, 1 내지 5%, 1 내지 4%, 1 내지 3% 또는 1 내지 2%의 양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PE 및/또는 라텍스 코팅이 한번 코팅되어 핀 제거력을 낮출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전해질로의 습윤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여기서 기술되는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물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화된 중합체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오노머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이온 포획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인성 또는 인장 강도를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기공 크기를 제어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제조되는 중합체 또는 수지와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정전기를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산 공중합체(예를 들어, DuPont의 NucrelTM과 같은, 에틸렌(E) 및 메타크릴산(MAA) 또는 아크릴산(AA)의 공중합체), 이오노머(예를 들어, DuPont의 SurlynTM, SK Global Chemical로부터 이용가능한 PrimacorTM, Ineos로부터 이용가능한 Eltex®, 및 Solvay로부터 이용가능한 Aquavion®), 말레산-무수물 변성 PP 또는 PE 동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수지, 윤활제, 및/또는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 또는 충전제,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단층, 이층, 삼층 또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다. 용어 "층"이 의미하는 것은 0.1 내지 35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단일-압출된 층을 포함한다.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듯이, 단일-압출된 층은 임의의 다른 층 없이 그 자체로 압출된 층이다. 또한, 공-압출된 이층, 삼층 또는 다층 멤브레인의 층들은 각각 "층"인 것으로 고려된다. 공-압출된 이층에서 층의 개수는 2개일 것이고, 공-압출된 삼층에서 층의 개수는 3개일 것이며, 공-압출된 다층 필름에서 층의 개수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또는 4개 이상일 것이다. 이층, 삼층 또는 다층 공-압출 필름에서 층의 정확한 개수는 다이(die) 설계 그리고, 반드시는 아니지만, 공-압출되어 공-압출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어, 공-압출된 이층, 삼층 또는 다층 필름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각각 2개, 3개 또는 4개 이상의 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들 층은 각각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더라도 별도의 층인 것으로 여전히 고려될 것이다. 정확한 개수는 다이 설계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단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하나의 단일-압출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2개의 공-압출된 층 또는 함께 적층된 2개의 단일-압출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삼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3개의 공-압출된 층, 함께 적층된 3개의 단일-압출된 층, 또는 함께 적층된 2개의 공-압출된 층 및 하나의 단일-압출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층은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공-압출된 층, 다른 2개 이상의 공-압출된 층에 적층된 2개 이상의 공-압출된 층, 2개 이상의 공-압출된 층의 2개의 다른 세트와 함께 적층된 2개 이상의 공-압출된 층, 또는 단일-압출된 층에 적층된 3개의 공-압출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혼합물과 조합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제조된 단층 멤브레인이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단층 멤브레인은 다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한쪽 또는 양쪽 층이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이층 멤브레인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다량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삼층 멤브레인이고, 적어도 하나의 층은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삼층의 최외층 중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은 다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적어도 하나의 층이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다층 멤브레인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다층 실시형태 중 적어도 최외층은 다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코팅층 또는 금속성 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고, 핀 제거력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상이한 표면에서 감소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첨가제에 의해 접착력이 증가하고 핀 제거력이 감소하며,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첨가제가 이들 상이한 특성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멤브레인의 최외층 중 한쪽 또는 양쪽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기술된다. 첨가제는 다음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한다: (1)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2)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금속성 표면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3)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킨다; (4)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전해질로의 습윤성을 증가시킨다; (5)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이온 포획을 증가시킨다; (6)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인성 또는 인장 강도를 증가시킨다; (7)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기공 크기를 제어한다; (8)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정전기를 감소시킨다; (9) 천공 강도를 증가시킨다; 및 (10)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이온 이동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1개의 첨가제는 이들 기능들 중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 모두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들 기능들 중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 모두를 수행하는 상이한 첨가제가 첨가된다.
양쪽 최외층이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첨가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층 멤브레인의 내층도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가 시간 경과에 따라, 예를 들어 외층 또는 최외층에서 첨가제의 증발 또는 분해에 의해 멤브레인으로부터 없어질 수 있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층에 있는 첨가제는 외층으로 이동하여 외층 또는 최외층으로부터 없어진 첨가제를 보충할 수 있다.
일부 다층 실시형태에서, 최외층은 0.1 내지 20 마이크론, 1 내지 15 마이크론, 2 내지 10 마이크론, 3 내지 5 마이크론, 0.1 내지 5 마이크론, 0.1 내지 3 마이크론, 0.1 내지 2.5 마이크론, 또는 0.1 내지 2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층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여기서 기술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1 내지 60 마이크론, 1 내지 50 마이크론, 1 내지 40 마이크론, 1 내지 30 마이크론, 1 내지 25 마이크론, 1 내지 20 마이크론, 1 내지 15 마이크론, 1 내지 10 마이크론, 또는 1 내지 5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때때로, 멤브레인은 심지어 5 마이크론보다 얇거나 30 마이크론보다 두꺼울 수 있다. 그러나,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목적을 위해, 얇을수록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고, 특히 20 마이크론 미만, 15 마이크론 미만, 12 마이크론 미만, 또는 10 마이크론 미만이다.
다른 측면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단층, 이층, 삼층 또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기가 기술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일부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코팅은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세라믹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전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이차 리튬 이온 전지가 기술된다.
다른 측면에서, 이차 리튬 이온 전지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직접 접촉하고 여기서 기술되는 전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복합체가 기술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분리기는 이차 리튬 이온 전지의 두 전극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리기는 전지, 리튬 전지, 이차 리튬 전지, 커패시터(capacitor), 슈퍼 커패시터, 하이브리드(hybrid) 전지/커패시터, 셀(cell), 전기화학 셀, 시스템, 모듈(module), 팩(pack)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전지 분리기, 이차 리튬 이온 전지, 커패시터 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장치가 기술된다.
또한,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다공성 또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텍스타일, 필터, HVAC 유닛, 연료 전지, PEM, 습도 제어층, 경피 패치(patch)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사용되거나 이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타일 제품은 여기서 기술되는 임의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기술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이 기술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여기서 기술되는 하나 초과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여기서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및 다른 직포, 부직포, 니트, 코팅 및/또는 다공성 또는 마이크로다공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개시되는 텍스타일 또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은 재킷, 바지, 셔츠, 모자, 양말, 속옷, 장갑 또는 반바지와 같은 의류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서 개시되는 텍스타일 또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은 텐트, 배낭, 방수포와 같은 야외 장비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라미네이트 또는 복합체 멤브레인, 재료 또는 분리기는 여기서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및 다른 직포, 부직포, 니트, 코팅 및/또는 다공성 또는 마이크로다공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서, 단일 멤브레인 또는 분리기 또는 라미네이트 또는 복합체 멤브레인, 재료 또는 분리기는 원하는 최종 용도, 두께, 디자인, 패턴 등에 따라 엠보싱, 캘린더링, 코팅, 처리 및/또는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실시예
MAH 기능화된 중합체가 첨가되었을 경우, 기능기 함량(MAH 함량)이 기능화된 중합체가 첨가되는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5.0 wt.%로 되도록 특정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1을 형성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및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압출하여(단일-압출하여) 단층 필름 전구체를 형성하였다. 용매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후, 압출된 전구체를 연신하여 기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의 데이터는 표 1에서 발견된다.
동일한 폴리프로필렌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였음을 주목해라. 변화시켰던 것은 첨가제(또는 그 결여)이다.
실시예 2(a) -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10%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2(a)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a)의 데이터는 하기 표 1-4에서 발견된다. 실시예 2(a)의 SEM이 또한 하기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실시예 2(b), 4 및 6-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2(b) - 실시예 2(b)는 상이한 연신 조건을 사용하여 특히 기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a)와 동일하다. 실시예 2(b)의 데이터는 하기 표 1-4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실시예 2(a), 4 및 6-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3 - 실시예 3은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10% 말레산 무수물 변성 Co-PP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상이한 연신 조건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의 데이터는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3의 SEM이 또한 하기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4 - 실시예 4는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15%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의 데이터는 하기 표 2 및 4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4의 SEM이 또한 하기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실시예 2(a)와 (b) 및 6-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5 - 실시예 5는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5%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5의 데이터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6 - 실시예 6은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10%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 및 5%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SEPS) 공중합체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6의 데이터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이것은 실시예 2(a), 2(b), 4 및 7-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7 - 실시예 7은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10%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 + 5% 프로필렌-에틸렌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7의 데이터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이것은 실시예 2(a), 2(b), 4, 6 및 8-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8 - 실시예 8은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20%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8의 데이터는 하기 표 4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실시예 2(a), 2(b), 4, 6, 7 및 9-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9 - 실시예 9는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25%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9의 데이터는 하기 표 4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실시예 2(a), 2(b), 4, 6, 7, 8 및 10-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10 - 실시예 10은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30%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것은 실시예 2(a), 2(b), 4, 6, 7, 8, 9 및 11-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11 - 실시예 11은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35%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것은 실시예 2(a), 2(b), 4, 6, 7, 8, 9, 10 및 12-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12 - 실시예 12는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40%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것은 실시예 2(a), 2(b), 4, 6, 7, 8, 9, 10, 11 및 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13 - 실시예 13은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HDPE 대신에 10% 말레산 무수물 변성 동종-PP 및 5%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공중합체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것은 실시예 2(a), 2(b), 4 및 6-12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변성 동종-PP이다.
실시예 14-26 - 실시예 14-26은 2 PP + 첨가제 단층 필름과 1 PE 단층 필름을 적층하여 PP/PE/PP 삼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실시예 27-29 - 실시예 27-29는 상술한 PP + 첨가제를 공-압출하여 공-압출 삼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또한, PE를 공-압출하여 공-압출 삼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2개의 PP + 첨가제 공-압출 삼층과 1개의 PE 공-압출 삼층을 적층하여 (PP/PP/PP)/(PE/PE/PE)/(PP/PP/PP)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였다. 첨가제는 PP + 첨가제 공-압출 삼층 중 하나 또는 모든 층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30 - 실시예 30은 5% 말레산 무수물 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대신에 5% 이오노머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a) - 비교예 1(a)는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상이한 연신 조건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a)의 데이터는 하기 표 1-3에서 발견된다. 비교예 1(a)의 SEM이 또한 하기에서 발견된다.
비교예 1(b) - 비교예 1(b)는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상이한 연신 조건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b)의 데이터는 하기 표 1 및 3에서 발견된다.
비교예 1(c) - 비교예 1(c)는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c)의 데이터는 하기 표 3에서 발견된다.
비교예 1(d) - 비교예 1(d)는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상이한 연신 조건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d)의 데이터는 하기 표 1-3에서 발견된다. 비교예 1(d)의 SEM이 또한 하기에서 발견된다.
결과
표 1 내지 표 5(각각 도 1-5)의 결과를 참고해라.
도 6-8의 5,000X 배율의 SEM 이미지를 참고해라.
도 9-11의 20,000X 배율의 SEM 이미지를 참고해라.
핀 제거력
핀 제거력은 실시예 8 및 비교예 2에 대해 측정하였다.
결과의 간략한 요약
말레산 무수물(MAH) 기능화 수지의 일부 이점은 다음을 포함한 것으로 밝혀졌다:
- 코로나 처리와 같은 처리 없이, 특히 폴리아라미드 코팅, 중합체 코팅된 분리기(PCS) 코팅, 및 얇은 세라믹 코팅(1 마이크론 미만의 나노-분산)으로 코팅하는 능력
- MAH는 5V USABC 용도에서 중요한, 자유 라디칼 제거제(free radical scavenger)로서 작용할 수 있음.
- 전극 접착력 증가
- 정전기 감소
- 습윤성 - 개선된 습윤 속도 및 접촉각을 포함
- 개선된 전극 접착력
- 다른 특성들
20,000X 배율 SEM 이미지가 나타내듯이, 심지어 15%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Celgard® 건식 공정을 이용하여 여전히 형성될 수 있다. 20%까지, 25%까지, 30%까지 또는 그 이상의 양도 Celgard 건식 가공 가능하거나 SEM 이미지에 나타난 것과 같은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SEPS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5 및 6은 SEPS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보다 동등하거나 더 나은 천공을 나타낸다.
PP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7은 감소된 천공 및 낮은 Gurley를 나타낸다.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 측면 또는 목적에 따르면, 본 개시 또는 발명은 종래의 이슈, 필요 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및/또는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 단층, 이층 삼층 또는 다층 멤브레인, 분리기 멤브레인, 분리기, 또는 코팅된 분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 또는 중합체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 구성된다. 첨가제는 코팅,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에 대한, 또는 금속성 표면과 같은 상이한 재료에 대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접착력을 개선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력 개선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가 없는 유사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의 비교에 근거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기능화된 중합체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능화된 중합체의 기능기는 말레산 무수물(MAH)일 수 있다. 또한, 새롭거나 개선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기 또는 코팅된 분리기가 개시된다. 전지 분리기는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으로 코팅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새롭거나 개선된 분리기, 복합체, 전지, 이차 리튬 이온 전지; 및/또는 상기 분리기, 복합체 또는 전지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장치가 개시된다.
접촉각 시험:
ASTM D5725: 자동화된 접촉각 시험기를 이용한 시트화된(sheeted) 재료의 표면 습윤성 및 흡수성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이 시험 방법은 특정화된 시험 조건 하에서 필름의 평탄한 견본과 접촉하는 시험 액체의 접촉각을 측정한다. 자동화된 장비는 평탄한 견본의 상단에서 고착 방울(sessile drop)의 각도를 관측 및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목적을 충족하도록 기술되었다. 이들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수많은 변경 및 적응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아주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및 본질적인 속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명세서보다는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고해야 한다.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가 개시된다. 이들 및 다른 구성요소가 여기서 개시되고, 이들 구성요소의 조합, 서브세트, 상호작용, 그룹 등이 개시될 경우, 이들의 각각의 다양한 개별적 및 집합적 조합 및 치환의 특정 참고가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을 수 있지만, 각각은 모든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여기서 구체적으로 고려되고 기술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개시된 방법에서의 단계를 포함하여, 본원의 모든 측면에 적용된다. 따라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추가적인 단계가 있을 경우, 이러한 추가적인 단계 각각은 개시된 방법의 특정 실시형태 또는 실시형태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구조 및 방법의 상술한 기재는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되었다. 실시예는 베스트 모드를 포함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개시하고, 또한 장치 또는 시스템의 제조와 이용 및 도입된 방법의 수행을 포함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가 발명을 실시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실시예는 철저한 것으로, 또는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단계 및/또는 형태에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많은 변형 및 변경이 상기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는 건식 공정 멤브레인 또는 전구체에 특히 잘 적합할 수 있지만, 건식 공정 공압출, 습식 공정, 습식 공정 공압출, BNBOPP 캐스트(cast) 필름, BNBOPP 캐스트 필름 공압출, 계단식 슬롯 다이(cascaded slot die) 압출, 적층된 버전(version), 코팅된 제품, 엠보싱되거나 캘린더링된 버전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멤브레인 또는 전구체가 마찬가지로 커버 및 기술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특징은 어떠한 조합으로도 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방법의 단계는 물리적으로 가능한 어떠한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해지고,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발생하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는 이들이 청구항의 문자 언어와 다르지 않은 구조적 요소를 갖는다면, 또는 이들이 청구항의 문자 언어와 크지 않은 차이로 동등한 구조적 요소를 포함한다면,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첨부된 청구항의 구성 및 방법은 여기서 기술된 특정 구성 및 방법에 의해 범위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나타나거나 기술된 것 이외의 구성 및 방법의 다양한 변형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여기서 기술된 특정의 대표적인 구성 및 방법 단계만이 구체적으로 기술되더라도, 또한 구성 및 방법 단계의 다른 조합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단계, 요소, 성분 또는 구성의 조합이 여기서 명확하게 또는 덜 언급될 수 있고, 그러나,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더라도, 단계, 요소, 성분 및 구성의 다른 조합이 포함된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달리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는 한 복수 대상물을 포함한다. 범위는 "약" 하나의 특정 값부터, 및/또는 "약" 다른 특정 값까지로서 여기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될 때, 다른 실시형태는 하나의 특정 값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 값까지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선행사 "약"의 사용에 의해, 값이 근사치로 표현될 때, 특정 값이 다른 실시형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각 범위의 종점이 다른 종점과 관련하여, 그리고 다른 종점과 관계없이 유효한 것으로 또한 이해될 것이다. "선택적" 또는 "선택적으로"는 이후에 기술되는 사건 또는 상황이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것, 그리고 설명이 상기 사건 또는 상황이 일어나는 예를 및 그것이 일어나지 않는 예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항에 걸쳐, 용어 "포함하다" 그리고 "포함하는" 및 "포함한다"와 같은 상기 용어의 변형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다른 첨가제, 성분, 정수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및 "~로 구성되는"은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제공하도록 "포함하는"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는 "~의 예"를 의미하고 바람직하거나 이상적인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와 같은"은 제한적인 의미로 사용되지 않지 않고, 설명적이거나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언급된 것 이외에, 명세서 및 청구항에 사용되는 기하구조, 치수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수치는 적어도 청구항의 범위에 균등론의 적용을 제한하는 시도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유효숫자의 수 및 통상의 라운딩 접근법에 비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흔히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인용된 공개문헌 및 거기에 인용된 재료는 특히 참고로 도입된다.
부가적으로, 여기서 예시적으로 개시된 발명은 여기서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요소 없이도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54)

  1.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수지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부터 제조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으로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또는 층은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코팅, PCS 코팅과의, 및/또는 전극과 같은 금속성 표면과의 접착력 또는 접착 강도를 나타내되, 상기 접착력 또는 접착 강도는 단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사이의 접착력 또는 접착 강도와 비교하여 높고, 첨가제는 멤브레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wt.%의 양으로 존재하며, 선택적인 코팅은 폴리아라미드 또는 금속성 표면을 포함하며,
    높은 접착력은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예비-코팅 또는 예비-처리 없이 나타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코팅을 갖고, 폴리아라미드(또는 폴리-아라미드 또는 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코팅과의 접착 강도는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코팅 및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의 접착 강도와 비교하여 높은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라미드와 비-혼화성 또는 비-상용성인 다른 중합체 또는 수지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및 다른 중합체 또는 수지의 조합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은 동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삼원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기능화된 중합체,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 및 SEPS 또는 SEBS와 같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멤브레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5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멤브레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멤브레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은 단층 멤브레인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은 이층 멤브레인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이층 멤브레인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이층 멤브레인의 양쪽 층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5. 제13항에 있어서,
    이층 멤브레인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4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까지, 또는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까지의 양으로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6.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은 다층 멤브레인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7. 제16항에 있어서,
    다층 멤브레인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8. 제17항에 있어서,
    다층 멤브레인 중 적어도 하나의 최외층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9. 제17항에 있어서,
    다층 멤브레인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4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까지, 또는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까지의 양으로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0. 제18항에 있어서,
    다층 멤브레인 중 적어도 하나의 최외층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5 wt.% 까지,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까지, 또는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5 wt.% 까지의 양으로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1.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감소된 핀 제거력, 더욱 제어된 기공 크기, 개선된 전해질로의 습윤성, 개선된 이온 포획, 증가된 인성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2. 제2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감소된 핀 제거력을 나타내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3. 제22항에 있어서,
    감소된 핀 제거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개선된 접착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동일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4. 제22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적어도 하나의 윤활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5. 제24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양친성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6. 제24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지방산 염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7. 제26항에 있어서,
    지방산 염은 리튬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및 칼륨 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8. 제24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실록시 기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29. 제28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초-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0. 제2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더욱 제어된 기공 크기를 나타내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1. 제3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제조되는 중합체 또는 수지와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2. 제2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개선된 전해질로의 습윤성을 나타내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3. 제2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개선된 이온 포획을 나타내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4. 제2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증가된 인성을 나타내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5. 제3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6.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은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코팅과 높은 접착 강도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코팅으로 코팅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7. 제36항에 있어서,
    코팅은 폴리아라미드 및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8. 제1항에 있어서,
    금속성 표면과 접착 강도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금속성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3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코팅되거나 처리됨으로써,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에 의해 또는 PE 라텍스 코팅을 제공함으로써 접착 강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기.
  41. 제40항의 분리기를 포함하는 이차 리튬 이온 전지.
  42. 이차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제40항의 전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복합체.
  43. 제40항 내지 제42항의 전지 분리기, 전지 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장치.
  44.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수지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부터 제조되고, 첨가제는 산 공중합체, 이오노머, 및 말레산-무수물 변성 PP 또는 PE 동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수지에서 선택되는 기능화된 중합체이며, 첨가제는 다음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폴리아라미드 함유 코팅, 세라믹 코팅, 중합체 코팅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전극과 같은 금속성 표면의 접착력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전해질로의 습윤성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이온 포획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인성 또는 내구성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기공 크기를 제어함;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정전기를 감소시킴;
    천공 강도를 증가시킴; 및/또는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이온 이동을 증가시킴.
  45.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46. 제45항에 있어서,
    코팅층은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47. 제44항에 있어서,
    기능화된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48.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금속성 표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49. 제48항에 있어서,
    금속성 표면은 전극 재료,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0. 제48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기능화된 중합체,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의 조합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1. 제50항에 있어서,
    기능화된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2.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3. 제52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윤활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4. 제53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양친성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5. 제53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지방산 염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6. 제55항에 있어서,
    지방산 염은 리튬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및 칼륨 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7. 제53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실록시 기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8. 제53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초-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59.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전해질로의 습윤성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0.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1.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이온 포획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2.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인성 또는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3.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기공 크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4. 제6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제조되는 중합체 또는 수지와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5.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정전기를 감소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6.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2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7.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3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8.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4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69.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5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0.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6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1.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7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2.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8개, 적어도 9개, 또는 10개 모두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3. 제44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단층, 이층 또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4. 제73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단층 멤브레인이고 제조되는 수지 또는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5. 제73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이층 멤브레인이고 제조되는 수지 또는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6. 제73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다층 멤브레인이고 제조되는 수지 또는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7. 제7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다층 멤브레인 중 적어도 하나의 최외층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8.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고, 핀 제거력은 동일 또는 상이한 첨가제에 의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상이한 표면에서 감소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79.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대해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고, 동일 또는 상이한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상이한 표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기능을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80. 제44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기.
  81. 제80항의 분리기를 포함하는 이차 리튬 이온 전지.
  82. 이차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제80항의 전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복합체.
  83. 제80항 내지 제82항의 전지 분리기, 전지 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장치.
  84. 멤브레인의 최외층들을 포함하고, 멤브레인 중 하나의 최외층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며, 첨가제는 다음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폴리아라미드-함유 코팅층, 세라믹 코팅층 및 중합체-함유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전극을 포함하는 금속성 표면의 접착력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전해질로의 습윤성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이온 포획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인성 또는 내구성을 증가시킴;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기공 크기를 제어함;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정전기를 감소시킴;
    천공 강도를 증가시킴; 및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이온 이동을 증가시킴.
  85. 제84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양쪽 최외층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86. 제85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최외층들은 상이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87. 제85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최외층들은 동일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88. 제84항에 있어서,
    최외층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은 0.1 내지 5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89. 제84항에 있어서,
    최외층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은 0.1 내지 3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0. 제84항에 있어서,
    최외층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은 0.1 내지 2.5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1. 제84항에 있어서,
    최외층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은 0.1 내지 2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2. 제84항에 있어서,
    최외층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은 1 내지 2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3. 제84항에 있어서,
    최외층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은 1 내지 15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4. 제84항에 있어서,
    최외층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은 2 내지 1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5. 제84항에 있어서,
    최외층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은 3 내지 5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층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6.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코팅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7. 제96항에 있어서,
    코팅층은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8. 제96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올레핀 기, 극성 기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기능화된 중합체, 또는 기능화된 중합체 및 엘라스토머의 조합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99. 제98항에 있어서,
    기능화된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0.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금속성 표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1. 제100항에 있어서,
    금속성 표면은 전극 재료,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2. 제100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극성 기, 올레핀 기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기능화된 중합체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3. 제102항에 있어서,
    기능화된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4.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5. 제104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은 윤활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6. 제105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양친성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7. 제105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지방산 염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8. 제107항에 있어서,
    지방산 염은 리튬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및 칼륨 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09. 제105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실록시 기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0. 제105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초-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1.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전해질로의 습윤성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2.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핀 제거력을 감소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3.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이온 포획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4.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인성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5. 제1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6.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기공 크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7. 제1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이 제조되는 중합체 또는 수지와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8.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정전기를 감소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19.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2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0.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3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1.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4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2.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5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3.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6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4.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7개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5.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상기 기능들 중 적어도 8개, 적어도 9개, 또는 10개 모두를 달성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6. 제84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전체 두께는 1 내지 60 마이크론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7. 제84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전체 두께는 1 내지 50 마이크론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8. 제84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전체 두께는 1 내지 40 마이크론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29. 제84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전체 두께는 1 내지 30 마이크론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30. 제84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전체 두께는 1 내지 20 마이크론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31. 제84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의 전체 두께는 1 내지 15 마이크론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32. 제84항 내지 제131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기.
  133. 제132항의 분리기를 포함하는 이차 리튬 이온 전지.
  134. 이차 리튬 이온 전지용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제132항의 전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복합체.
  135. 제132항 내지 제134항의 전지 분리기, 전지 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장치.
  136.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산 공중합체, 이오노머, 및 말레산-무수물 변성 PP 또는 PE 동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37. 제44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산 공중합체, 이오노머, 및 말레산-무수물 변성 PP 또는 PE 동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38. 제84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산 공중합체, 이오노머, 및 말레산-무수물 변성 PP 또는 PE 동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인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139. 제44항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텍스타일 제품.
  140. 제84항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텍스타일 제품.
  141. 제44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142. 제141항에 있어서,
    제44항에 따른 2개 이상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143. 제141항에 있어서,
    제44항에 따른 3개 이상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144. 제14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직포, 부직포, 다공성 또는 마이크로다공성 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145. 제84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146. 제145항에 있어서,
    제84항에 따른 2개 이상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147. 제145항에 있어서,
    제84항에 따른 3개 이상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148. 제14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직포, 부직포, 다공성 또는 마이크로다공성 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149. 제139항에 따른 텍스타일 제품을 포함하는 의류 또는 야외 장비.
  150. 제140항에 따른 텍스타일 제품을 포함하는 의류 또는 야외 장비.
  151. 제141항에 따른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을 포함하는 의류 또는 야외 장비.
  152. 제145항에 따른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을 포함하는 의류 또는 야외 장비.
  153. 제1항의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텍스타일 제품.
  154.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또는 수지 및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부터 제조되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또는 층은 폴리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코팅, PCS 코팅과의, 및/또는 전극과 같은 금속성 표면과의 접착력 또는 접착 강도를 나타내되, 상기 접착력 또는 접착 강도는 단지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 사이의 접착력 또는 접착 강도와 비교하여 높으며, 높은 접착력은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다공성 멤브레인의 예비-코팅 또는 예비-처리 없이 나타나는,
    라미네이트 텍스타일 제품 또는 의류 또는 야외 장비.
KR1020207035566A 2018-05-10 2019-05-10 전지 분리기, 코팅된 전지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KR20210006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9531P 2018-05-10 2018-05-10
US62/669,531 2018-05-10
US201862670048P 2018-05-11 2018-05-11
US62/670,048 2018-05-11
PCT/US2019/031690 WO2019217797A1 (en) 2018-05-10 2019-05-10 Battery separators, coated battery separators, batteries, and relate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986A true KR20210006986A (ko) 2021-01-19

Family

ID=6846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566A KR20210006986A (ko) 2018-05-10 2019-05-10 전지 분리기, 코팅된 전지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57701A1 (ko)
EP (1) EP3811439A4 (ko)
JP (1) JP2021523527A (ko)
KR (1) KR20210006986A (ko)
CN (1) CN112470331B (ko)
WO (1) WO2019217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2508A1 (en) * 2020-07-16 2023-03-2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7980452A (zh) * 2021-08-09 2024-05-03 贝克顿·迪金森公司 添加剂改性的热塑性弹性体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9226C (zh) * 2000-01-10 2006-02-01 Lg化学株式会社 高结晶聚丙烯微孔薄膜,多组分微孔薄膜及其制备方法
US6432586B1 (en) 2000-04-10 2002-08-13 Celgard Inc. Separator for a high energ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JP2010195047A (ja) * 2000-09-18 2010-09-09 Ube Ind Ltd ポリアミド積層二軸延伸フィルム
JP4201255B2 (ja) * 2003-04-09 2008-12-24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ム
EP1541338B1 (en) * 2003-12-01 2007-05-09 Icopal Plastic Membranes A/S Membran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8057887B2 (en) * 2005-08-17 2011-11-15 Rampart Fibers, LLC Composite materials including high modulus polyolefin fibers
JP2010531367A (ja) * 2007-04-27 2010-09-2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相溶化ポリマー配合物からのマイクロポーラスフィルム
DE102009028145A1 (de) * 2009-07-31 2011-02-03 Evonik Degussa Gmbh Keramische Membranen mit Polyaramid-Faser haltigen Supportmateriali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Membranen
JP5712629B2 (ja) * 2010-01-21 2015-05-07 東レ株式会社 多孔性フィルムおよび蓄電デバイス
US20110223486A1 (en) * 2010-03-12 2011-09-15 Xiaomin Zhang Biaxially oriented porous membranes, composit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WO2013005683A1 (ja) * 2011-07-01 2013-01-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多孔膜、製造方法、及び用途
JP2014112480A (ja) * 2012-12-05 2014-06-19 Dic Corp 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
JP6282458B2 (ja) * 2013-12-13 2018-02-2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巻回素子、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巻回素子の製造方法
KR102299957B1 (ko) * 2014-07-30 2021-09-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다층 복합 다공막의 제조방법
JP6382051B2 (ja) * 2014-09-30 2018-08-29 旭化成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
JP6627616B2 (ja) * 2015-04-15 2020-01-0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多孔性フィルム、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電池
KR20170019522A (ko) * 2015-08-11 2017-02-22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다공성 다층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JP6987053B2 (ja) * 2015-11-11 2021-12-22 セルガード エルエルシー ミクロ層膜、改良された電池セパレータ、および製造および使用の方法
KR20180082549A (ko) * 2015-11-13 2018-07-18 어플라이드 라이프사이언시스 앤드 시스템스 엘엘씨 동물에게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자동 시스템 및 방법
JP6682964B2 (ja) * 2016-04-01 2020-04-1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3799665A4 (en) * 2018-05-10 2022-02-02 Celgard, LLC MICROLATTED DIAPHRAGMS, BATTERY SEPARATORS, BATTERIES AND RELATED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1439A1 (en) 2021-04-28
CN112470331A (zh) 2021-03-09
JP2021523527A (ja) 2021-09-02
CN112470331B (zh) 2024-03-01
WO2019217797A1 (en) 2019-11-14
US20210257701A1 (en) 2021-08-19
EP3811439A4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0382B2 (ja) 自立性を備えた寸法安定性を呈する微多孔質ウェブ
US7781094B2 (en) Microporous composite membrane and its production method and use
US11807733B2 (en) Functionalized porous membran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CN107078259B (zh) 微孔片材产品及制备和使用其的方法
KR102137377B1 (ko)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JP7185634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KR102157492B1 (ko) 적층 폴리올레핀 미세 다공막,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것들의 제조 방법
US10135054B2 (en) Battery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791612B (zh) 用於浸漬之基底膜、經改良之浸漬產物,及其相關方法
EP3853926A1 (en) Multilayer membranes, separators, batteries, and methods
KR20200142595A (ko) 마이크로층 멤브레인, 전지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KR20210006986A (ko) 전지 분리기, 코팅된 전지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KR102121252B1 (ko)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