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326A -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 안과용 렌즈, 프레임 및 안경 장비 - Google Patents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 안과용 렌즈, 프레임 및 안경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326A
KR20210006326A KR1020207027337A KR20207027337A KR20210006326A KR 20210006326 A KR20210006326 A KR 20210006326A KR 1020207027337 A KR1020207027337 A KR 1020207027337A KR 20207027337 A KR20207027337 A KR 20207027337A KR 20210006326 A KR20210006326 A KR 20210006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hthalmic lens
strip
fixing means
len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티앙 모리스
티에히 보다흐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21000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6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using screw-threads being integral at least to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B29D11/0094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where the lens material is mounted in a support for mounting onto a cutting device, e.g. a lathe, and where the support is of machinable material, e.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2059/027Grinding;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2/00Frames
    • B29L2012/005Specta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2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안과용 렌즈(20)는 광학적 전방 면(31), 광학적 후방 면(33), 및 둘레 연부(35)를 포함하고, 둘레 연부(35)는 상기 광학적 전방 면 및 광학적 후방 면을 둘러싸고, 안과용 렌즈를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고정 수단을 수반하는 기부 부분(37)을 가지며, 그러한 방법은: - 광학적 전방 면 및 광학적 후방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의 중앙 부분(40)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고정 수단을 갖는 둘레 연부를 결정하는 단계, - 고정 수단 및 상기 중앙 부분 모두를 함께 포함하는, 계획형 제조 장치를 계산하는 단계, -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서, 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계획형 제조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 안과용 렌즈, 프레임 및 안경 장비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본 발명은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안과용 렌즈는 광학적 전방 면, 광학적 후방 면, 및 둘레 연부를 포함하고, 둘레 연부는 상기 광학적 전방 면 및 광학적 후방 면을 둘러싸고, 안과용 렌즈를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고정 수단을 수반하는 기부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 안과용 렌즈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프레임, 및 안경 장비를 설명한다.
전문 안경사의 기술적 부분은 한쌍의 교정 안과용 렌즈를 착용자가 선택한 안경 프레임 내에 장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은 적어도 5개의 주요 동작을 포함한다:
- 선택된 안경 프레임의 둘레 중 하나의 윤곽선의 형상을 나타내는 길이방향 프로파일의 형상을 획득하는 것;
- 필터 필요성 및/또는 착용자의 시력 결함의 보상에 따라 렌즈를 주문하는 것;
- 해당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가공되고 이어서 그 프레임 내에 장착되었을 때, 렌즈가 착용자의 상응하는 눈에 대해서 정확하게 배치되게 하고, 그에 따라 렌즈가 설계된 광학적 기능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대상 안과용 렌즈를 센터링시키는 것, 즉 상기 길이방향 프로파일을 렌즈 상에 적절히 배치 및 배향시키는 것;
- 렌즈를 성형하는 것, 즉 센터링된 길이방향 프로파일의 형상을 가지도록 그 윤곽선을 가공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 렌즈를 프레임과 조립하는 것.
테두리형 안경 프레임에서, 주변부(또는 "테두리")는 렌즈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설계된다. 이어서 성형하는 것은 사면화 동작(beveling operation)을 포함하고, 그러한 사면화 동작은, 안경 프레임의 테두리의 내측 면 주위를 둘러싸는, 일반적으로 베젤로 알려진 결합 릿지(engagement ridge)를, 홈 과의 결합을 위해 렌즈의 둘레 연부 면 전체를 따라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절반-테두리형 안경 프레임에서, 주변부는, 렌즈의 윤곽선의 상단 부분에 해당되는 절반-테두리, 및 렌즈를 절반-테두리에 대해 유지하기 위해서 렌즈의 윤곽선의 하단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스트링을 포함한다. 이어서, 성형하는 것은, 렌즈의 둘레 연부 면을 따라서 결합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홈 형성 동작을 포함하고, 홈의 상단 부분은 절반-테두리의 하단 면을 따라서 제공된 릿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홈의 하단 부분은 스트링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2가지 방법 중 어느 것도 실질적으로 유연하지 못하고, 그 방법들은 안과용 렌즈의 주변부의 형상을, 이러한 방법들로 제조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프로파일만으로 제한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또한 운용이 쉽지 않은데, 이는 그들이 과도한 수작업이 요구되는 (그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최종 구조물을 획득하기 위해서 이하의 2개의 상이한 제조 단계가 필요하다: 첫 번째로, 안과용 렌즈의 중앙 부분을 제조하는 단계 및 두 번째로, 2개의 제시된 방법에 의해서 주변부를 제조하는 단계. 그러한 2개의 방법은 유효 광학적 표면 상에서 일부 광학적 결함을 생성하는 단점을 갖는다. 사실상, 안과용 렌즈의 주변부의 제조 중에, 안과용 렌즈가, 광학적 표면과 접촉되는 지지부에 의해서 유지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 전에 (폴리싱과 같은) 일부 과도한 사후-프로세싱 처리가 안과용 렌즈 표면에서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과도한 사후-프로세싱 처리도 없이, 착용 가능한 안과용 렌즈를 직접적으로 획득하기 위해서, 안과용 렌즈의 제조를 개선하는데 있다.
더 정확하게,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성되고, 그러한 방법은:
- 광학적 전방 면 및 광학적 후방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의 중앙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고정 수단을 갖는 둘레 연부를 결정하는 단계,
- 고정 수단 및 상기 중앙 부분 모두를 함께 포함하는, 계획형 제조 장치(planned manufactured device)를 계산하는 단계, 및
- 안과용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서, 적층 제조 기술(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계획형 제조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서, 고정 수단 및 중앙 부분 모두를 포함하는 계획형 장치는, 제조 단계 이전에 계산된다. 이어서, -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 면을 포함하는 - 중앙 부분, 및 -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 주변부가 하나의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결정하는 단계들은 제조 설정점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러한 제조 설정점 획득 단계 중에 제조 명령어가 수신되거나 생성되고, 상기 제조 명령어는 고정 수단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중앙 부분의 두께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제조 설정점은 전체 안과용 렌즈의 최종 형상을 규정한다.
유리하게, 안과용 렌즈의 이러한 부분들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특정 장비를 이용하는 다른 동작은 필요치 않다.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고정 수단이 적층 제조 기술에 의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고정 수단은 적절한 양태로 정밀하게 직접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사후-프로세싱 처리가 또한 현저하게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적층 제조 기술로 인해서, 고정 수단이 (이전의 방법으로 달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던 또는 가능하지 않았던) 매우 다양한 프로파일에 따라 성형될 수 있다. 예로서, 클리어런스 홀(clearance hole)이, 어떠한 드릴 가공 동작이 없이도, 의도된 형상부 및 위치에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고정 수단은, 상기 둘레 연부의 기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그러한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오버행 부분(overhang portion)을 포함하고;
- 오버행 부분은 스트립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서 횡단면을 가지고, 그러한 횡단면은, 제1 지역과 둘레 연부의 기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더 얇은 폭의 제2 지역보다, 상기 둘레 연부의 기부 부분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제1 지역 내에서 더 넓은 폭을 가지며;
- 양 제조 단계 후에, 방법은:
- 안과용 렌즈의 전방 면 및/또는 후방 면의 적어도 일부를 폴리싱하는 단계; 및
- 둘레 연부의 일부를 폴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양 제조 단계 이후에, 방법은 안과용 렌즈의 전방 면 및/또는 후방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제조 단계는 재료의 층 또는 복셀(voxel)을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병치시키는 것(juxtaposing)에 의해서 실시된다.
본 발명은 또한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를 제공하고, 그러한 안과용 렌즈는 광학적 전방 면, 광학적 후방 면, 및 둘레 연부를 포함하고, 둘레 연부는 상기 광학적 전방 면 및 광학적 후방 면을 둘러싸고, 안과용 렌즈를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고정 수단을 수반하는 기부 부분을 가지며, 광학적 전방 면 및 광학적 후방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의 고정 수단 및 중앙 부분이, 적층 제조 기술만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함께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과용 렌즈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상기 고정 수단 및 상기 중앙 부분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둘레 연부의 기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그러한 스트립은 적어도 하나의 오버행 부분을 포함하며;
- 오버행 부분은 스트립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서 횡단면을 가지고, 그러한 횡단면은, 제1 지역과 둘레 연부의 기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더 얇은 폭의 제2 지역보다, 상기 둘레 연부의 기부 부분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제1 지역 내에서 더 넓은 폭을 가지며;
- 스트립은 도브테일형 횡단면(dovetailed cross-section)을 가지고;
- 오버행 부분은 스트립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며;
- 스트립의 횡단면의 형상이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고;
- 고정 수단은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제조되며;
- 고정 수단은, 돌출되는 또는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둘레 연부의 길이의 작은 부분만을 따라서 연장되는 노치(notch)를 포함하고;
- 노치는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안과용 렌즈를 프레임에 록킹(locking)하기에 적합한 록킹 수단을 수용하며;
- 상기 록킹 수단이 나사 또는 러그(lug)이고;
- 고정 수단은, 측부 면을 포함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 면은 기울어지고, 그러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기는 상기 둘레 연부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고;
- 고정 수단은, 길이방향 트레이스(trace)에 걸쳐 연장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적 전방 면에 대한 상기 길이방향 트레이스의 거리는 상기 둘레 연부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고;
- 고정 수단은,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제1 부분은 홈-형상이고 제2 부분은 사면-형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안과용 렌즈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그러한 프레임은 브리지(bridge), 템플(temple), 및 안과용 렌즈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수단은, 돌출되는 또는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오버행 부분을 포함하는 부조 패턴(relief patter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프레임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부조 패턴은 도브테일형 횡단면을 가지고;
- 프레임은 또한 상기 안과용 렌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기에 적합한 테두리를 포함하고;
- 부조 패턴은,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 및 안과용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 장비로 구성된다.
예(들)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어떠한 것으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실시를 위해서 어떻게 축소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장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고정 수단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고정 수단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적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적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수단의 개략적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적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프레임에 장착된 도 4의 안과용 렌즈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 및 프레임(10) 내로 장착된 (이하에서 또한 렌즈(20)로 지칭되는) 2개의 안과용 렌즈(20)를 포함하는 안경 장비(1)에 적용된다.
각각의 렌즈(20)는 어떠한 교정 효과도 없는 렌즈(예를 들어, 선글라스용 렌즈) 또는 교정 렌즈(예를 들어, 단 초점, 2중 초점 또는 3중 초점 또는 누진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전체-테두리 프레임 및 ("Nylor 프레임"으로도 지칭되는) 절반-테두리 프레임에 적용된다. 이는 또한 무테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유형의 프레임(전체-테두리 또는 절반-테두리 또는 무테 프레임)이 특정 고정 수단과 연관되어, 렌즈(20)를 부착한다.
전체-테두리 프레임에서, 고정 수단은 사면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절반-테두리 프레임에서, 고정 수단은 홈 및 나일론 실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무테 프레임의 경우에, 렌즈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서, 노치가 렌즈(20)의 둘레 부분 내에 드릴 가공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2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한다. 본 발명은 특히 렌즈(20)를 프레임(1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수단의 제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제조 시스템(2)을 도시한다.
제조 시스템(2)은 장치(3) 및 지지부(5)를 포함한다. 장치(3)는 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렌즈(20)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적합하다. "적층 제조 기술"이라는 용어는, 통상적인 가공과 같은 감산 제조 방법과 대조적으로, 3D 모델 데이터로부터 물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층 위의 층으로서, 재료들을 접합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국제 표준 ASTM 2792-12에서 정의된 제조 기술을 지칭한다. 그에 따라, 부피 요소(층 또는 복셀)를 병치하는 것에 의해서, 고체 물체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안과용 렌즈는 그에 따라 부피 요소별(volume element by volume element)로, 층별로 제조된다.
적층 제조 방법으로도 지칭되는 적층 기술은, 비제한적으로, 스테레오리소그래피(stereolithography), 마스크 스테레오리소그래피 또는 마스크 투영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중합체 젯팅(polymer jetting),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융합 침착 모델링(FDM)으로 이루어진 목록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적층 제조 기술은, CAD(Computer Aided Design) 파일로 규정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배열에 따라 부피 요소들을 병치하는 것에 의해서 물체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그러한 병치는, 이전에 얻어진 재료 층의 상단부에 재료 층을 구축하는 것 및/또는 이전에 얻어진 부피 요소 다음에 재료 부피 요소를 병치하는 것과 같은 순차적인 동작의 결과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기술의 일차적인 장점은, 빠르게 그리고 비교적 저비용으로 거의 모든 형상 또는 기하형태의 특징부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장치(3)는 제어 유닛(도 1에 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유닛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그러한 명령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제조 시스템(2)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과용 렌즈(20)는 광학적 전방 면(31), 광학적 후방 면(33), 그리고 광학적 전방 면(31) 및 광학적 후방 면(33)을 둘러싸는 둘레 연부(35)를 포함한다.
렌즈의 중앙 축(L)을, 렌즈의 2개의 광학적 면의 중심을 통해서 연장되는 축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횡단면"이라는 문구는, 이러한 중앙 축(L)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단면에 상응할 것이다. 중앙 축(L)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0)의 중앙 부분(40)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부분(40)은 광학적 전방 면(31) 및 광학적 후방 면(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앙 부분(40)은 유효 광학적 부분이다. "유효 광학적 부분"이라는 표현은,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응시 방향이 교차할 수 있는 렌즈(20)의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교정 렌즈의 경우에, 유효 광학적 부분은, 그러한 렌즈를 통해서 진행되는 광학적 빔의 전파 및 전달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유효 광학적 부분은 착용자의 광학적 처방에 맞춰 구성된 렌즈(20)의 부분이다.
(도 13을 제외한) 이하에서, 중앙 부분(40)이 렌즈(20)의 양쪽의 광학적 면 및 이러한 2개의 광학적 면들 사이에 위치된 재료를 포함한다는 것을 고려할 것이다.
둘레 연부(35)는, 전방 광학적 면(31) 및 후방 광학적 면(33)을 둘러싸는 기부 부분(37)을 포함한다. 기부 부분(37)은 고정 수단(50)을 수반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수단(50)은 렌즈(20)를 프레임(1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적합하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50)은 스트립(55, 57)을 포함하고, 그러한 스트립(55, 57)은 렌즈의 전체 윤곽선을 따라서 연장되고 프레임(10)의 유형(전술한 바와 같은 전체-테두리 프레임 또는 절반-테두리 프레임)에 따라서 성형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50)은, 렌즈의 윤곽선의 작은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노치(70, 72) 또는 돌출부(78)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고 전술된 제조 시스템(2)은 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적합하다.
그러한 방법은 중앙 부분(40) 및 둘레 연부(35)를 결정하는 2개의 단계로 시작된다. 이러한 단계들 중에, 장치(3)는 제조 명령어를 생성하거나 수신한다. 이러한 제조 명령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생성되거나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제조 명령어는 렌즈(20)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특히, 제조를 시작하기 전에, 렌즈(20)의 중앙 부분(40) 및 고정 수단(50)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가 생성된다. 대안적으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조 명령어는 중앙 부분(40)의 두께의 일부만을 제조하는 것 그리고 고정 수단(50)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유효 광학적 표면을 형성하는 기하형태적 및 광학적 특징부가 또한 그러한 명령어에 포함될 수 있다.
도중에 제조 명령어가 수신되는 제조 설정점 수신 또는 획득 단계가 렌즈(20)의 제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제조 설정점은 전체 안과용 렌즈(20)의 최종 형상 및 특징부를 규정한다.
이어서, 이러한 제조 설정점을 이용하여, 계획형 제조 장치를 계산한다. 이러한 계획형 제조 장치는 고정 수단(50) 및 중앙 부분(40) 모두를 포함한다.
이어서, 방법은, 적층 제조 기술만을 이용하여, 한 번의 통과로 중앙 부분(40) 및 둘레 연부(35)를 함께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그러한 제조 단계는 이전의 계획형 제조 장치를 기초로 한다.
적층 제조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양 제조 단계는 재료의 층, 방울, 액적(droplet) 또는 복셀을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병치하는 것에 의해서 실시된다. 그에 따라, 중앙 부분(40) 및 (고정 수단(50)을 포함하는) 둘레 연부(35)는 일체형으로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제2 제조 단계는 고정 수단(50), 특히 스트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제1 예에 따라, 고정 수단(50)의 스트립은 사면 형상이다. 이러한 경우는 전체-테두리 프레임에 상응한다. 사면(55)은 길이방향으로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된다. 스트립은, 둘레 연부(35)의 전체 길이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형상으로 프로파일링된다. 이러한 예에서, 스트립의 횡단면은 둘레 연부(35)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제2 예에 따라, 고정 수단(50)의 스트립은 홈 형상이다. 이러한 경우는 절반-테두리 프레임에 상응한다. 홈(57)은 길이방향으로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트립은, 둘레 연부(35)의 길이의 일부에서만, 홈 형상으로 프로파일링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스트립의 횡단면은 둘레 연부(35)의 이러한 부분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또는 홈 형상의 스트립은 측부 면(52, 54, 58, 59)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부 면(52, 54, 58, 59)은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에 대해서 경사진다(그러한 기부 부분(37)은, 횡단면에서, 렌즈의 중앙 축에 평행하다).
도 4 및 도 5의 경우 모두에서, 스트립이 오버행 부분(60, 66)을 또한 포함함에 따라, 고정 수단(50)이 보강된다. 이러한 오버행 부분(60, 66)은 프레임(10)의 상응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오버행 부분(60, 66)은, 렌즈 스트립을 프레임(10) 내에서 유지하는 것을 개선하는 비-복귀 메커니즘(non-return mechanism)에 상응한다. 그에 따라, 렌즈(20)는 프레임(10) 내로 힘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오버행 부분(60, 66)을 이용하는 것은, 렌즈(20)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홈 또는 사면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다.
오버행 부분(60, 66)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제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버행 부분(60, 66)의 형상이 설명될 수 있다. 오버행 부분(60, 66)은, 기부 부분(37)의 위에서 또는 아래에서, 스트립의 측부 면에 대해서 부조로 함몰되거나 돌출된 횡단면을 갖는다.
사면 형상 스트립의 경우의 오버행 부분(60)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오버행 부분(60)은 스트립의 하나의 측부 면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 횡단면은 도브테일 형상을 갖는다.
대안예로서, 오버행 부분(60, 66)이 없이 스트립이 제조될 수 있다.
(오버행 부분(60)을 포함하는) 스트립의 제1 지역(62) 및 제2 지역(64)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역(62)은, 제2 지역(64) 보다,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다. 이러한 제2 지역(64)은 제1 지역(62)과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 사이에 위치된다. 비-복귀 메커니즘을 생성하기 위해서, 제1 지역(62)의 폭은 제2 지역(64)의 폭보다 넓다.
전체 스트립이 프로파일링되기 때문에, 오버행 부분(60)은 렌즈의 전체 윤곽선에 걸쳐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대안예로서, 오버행 부분(66)이 둘레 연부(35) 내에 제조될 수 있다. 오버행 부분(66)은 그에 따라 스트립의 하나의 측부 면 내에서 (그리고 둘레 연부(35) 내에서) 함몰된다.
예로서, 절반-테두리 프레임의 경우에, 스트립은 프로파일링되나, 렌즈의 윤곽선의 상부 부분을 따라서만 연장된다.
힘으로 프레임(10) 내로 삽입되는 오버행 부분(60)을 이용하는 것은, 유리하게, 렌즈(20) 만을 프레임(10)의 부분에 고정하고, 프레임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 렌즈(20)를 유지하기 위해서 나일론 실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도 6에 도시된 대안예와 같이, 스트립의 횡단면의 형상이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경우에, 스트립은 홈 형상이고, 홈(45)의 폭은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진다. 또한, 홈 형상의 스트립은 여기에서 길이방향 트레이스에 걸쳐 연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적 전방 면(31)에 대한 이러한 길이방향 트레이스의 거리는 둘레 연부(35)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진다. 이러한 특징은 사면 형상의 스트립의 경우에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트립은 도브테일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대안예로서, 측부 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기가 둘레 연부(35)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은 사면 형상이다. 사면(47)은 2개의 측부 면(48, 49)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부 면(48, 49)의 기울기는 사면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진다. 도 7에 도시된 예에 따라, 측부 면(48)의 제1 부분(48a)은 동일 측부 면(48)의 제2 부분(48b)보다 덜 경사진다. 이러한 예에서, 사면은 대칭적이다. 따라서, 측부 면(49)의 제3 부분(49a)의 기울기는 동일 측부 면(49)의 제4 부분(49b)보다 덜 경사진다.
도 8에 도시된 다른 대안예에서와 같이, 스트립은 2개의 부분, 즉 제1 부분(68) 및 제2 부분(67)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부분(68)은 홈 형상으로 제조되고, 제2 부분(67)은 사면 형상으로 제조된다. 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하는 것은 동일한 스트립 상에서 양쪽 프로파일들을 동시에 제조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는 반면, 이전의 방법은 그러한 프로파일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과도한 수작업이 요구되는 (그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층 제조 기술은 둘레 연부(35) 내에 클리어런스 홀(71)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클리어런스 홀(71)은 다른 특정 장치를 이용하여 드릴 가공되지 않는다. 클리어런스 홀은, 고정 수단이 층별로 형성될 때, 제조된다. 예로서, 클리어런스 홀(71)은 프레임(10)의 템플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런스 홀(71)의 연부는, 렌즈의 보다 양호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한 또는 렌즈의 미감을 개선하기 위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고정 수단(50)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가능한 방식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 수단(50)은, 렌즈 윤곽선 중의 나머지 윤곽선 내에 함몰된 노치(70)를 포함한다. 노치(70)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노치(70)는 둘레 연부(35)의 길이의 작은 부분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10에서, 노치(70)는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경우에, 함몰된 노치가 다른 형상을 갖는다. 노치는, 렌즈(20)를 프레임(10)에 록킹하기에 적합한 록킹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록킹 수단은 나사 또는 러그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록킹 수단은 노치(72) 내에 삽입된 나사(75)이고, 그러한 노치는 적층 기술에 의해서 얻어진 탭 가공된 홀(tapped hole)이다.
노치 및 록킹 수단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은, 렌즈(20)가 프레임(10) 내에서 단지 활주될 때,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노치 및 록킹 수단의 조합은 렌즈(20)를 프레임(10) 내에서 쐐기화(wedge)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12에 도시된 대안예로서, 고정 수단(50)은 돌출부(78)를 포함한다. 돌출부(78)는 도브테일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렌즈 윤곽선의 나머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돌출 형상이 힘으로 프레임(10) 내에 형성된 적절한 홀 내로 삽입되어, 렌즈(20)를 프레임(10)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실제로, 고정 수단(50)을 포함하여, 렌즈(20)의 중앙 부분(40) 및 둘레 연부(35)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구축된다. 대안예로서, 이들이 상이한 재료들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거나, 상이한 특성을 가지도록 상이한 방식들로 프로세스된 동일 재료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 연부를 위해서 가시광선 범위 내에서 큰 광흡수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가지는 한편, 중앙 부분을 위해서 사용되는 재료가 투명할 수 있거나 상이한 흡수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시 링(myopic ring)으로도 지칭되는, 렌즈 연부 상의 내부 반사를 제한하기 위해서, 또는 렌즈 연부를 통해서 유입되는 광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서, 둘레 연부를 위해, 가시광선 파장(약 380 nm 내지 780 nm 또는 적어도 약 400 nm 내지 700 nm)의 대부분을 흡수하는 고 흡수성 재료를 이용하는 것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중앙 부분 재료 굴절률과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예에서, 이러한 재료는, 렌즈 연부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전반사를 줄일 수 있도록, 중앙 부분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고 흡수성 재료의 두께가, 예를 들어 1 mm 미만, 유리하게 0.5 mm 미만, 바람직하게 0.1 mm 미만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한 두께는 흡수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그러나 너무 두꺼울 필요가 없이 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 흡수성 재료가, 홈 또는 사면 형상으로, 고정 수단(50)의 전체를 구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거나, 고정 수단의 부분으로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면 형상을 가지는 고정 수단을 구축하는 경우에, 사면 형상의 절반, 예를 들어 내부 부분이 중앙 부분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한편, 사면의 최외측 부분은 고 흡수성 재료를 이용하여 구축된다. 대안적으로, 고 흡수성 재료가, 사면 또는 홈의 표면 상에 배치된 적절하게 동일한 두께의 유일한 층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로서, 흡수 부분이 렌즈의 둘레 연부의 최외측 부분 상에 반드시 있을 필요가 없고, 고정 수단 내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중앙 부분 재료 층의 일부 사이에 내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근시 링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고 흡수성 재료의 기하형태가 고정 수단과 별개로 관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재료를 갖는 렌즈가, 예를 들어 상이한 재료들을 제공하고 하나의 단일 잉크젯 프린터 장치를 통한 동일한 프로세스에서 전체 렌즈를 구축하는 적어도 2개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는, 잉크젯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중앙 부분은, 단일 재료를 이용하여, 제1 적층 제조 기술(예를 들어, 스테레오리소그래피 또는 잉크젯)로 구축될 수 있다. 이어서, 둘레 연부가 제2 적층 제조 기술(스테레오리소그래피 또는 잉크젯)을 이용하여, 중앙 부분 상에서 직접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즈의 두께의 부분만이 이러한 단계 중에 제조될 수 있다(이러한 경우에, "중앙 부분"만이 렌즈의 2개의 광학적 면 중 하나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의 제1 부분(80)이 미리 형성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어서, 적층 제조에 의해서 제2 부분(81)을 적층하여, 렌즈를 완성한다. 예로서, 착용자의 광학적 처방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렌즈의 나머지에 재료의 두께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렌즈의 제2 부분(81)은, 제1 부분(80) 및 (스트립(82)을 포함하는) 둘레 연부(35)를 덮는 부분을 포함하고, 그러한 부분 및 둘레 연부(35)는 한 번의 통과로 함께 제조된다.
예로서, 제1 부분(80)은 대량-생산으로 획득되는 표준 블랭크 렌즈일 수 있다. 제1 예에 따라, 블랭크 렌즈는, 안경에 장착될 때 착용자를 향해서 배향되도록 구성된, 최종 표면을 갖는 후방 면을 갖는다(그에 따라 후방 면이 처리된다). 블랭크 렌즈는 또한 전방 면을 포함한다. 이어서, 제2 부분(81)은, 연부 상에서 블랭크 렌즈를 둘러싸는 추가적인 재료로, 전방 면 상에서 적층 제조에 의해서 제조된다. 다른 예에 따라, 제2 부분(81)은 후방 면의 부분에만 그리고 블랭크 렌즈의 연부의 부분에만 침착된다. 대안적으로, 제2 부분(81)은 후방 면 상에서 또는 전방 면의 일부 상에서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80)이 또한 이전 단계에서 적층 제조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제1 부분(80)은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부가된 값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전기-광학적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기-광학적 시스템"은, 시스템의 작용 기능(active function)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 자극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스위칭 가능 기능(작용 기능)을 갖는 시스템이다. 렌즈의 작용 기능은 다양한 유형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참조로 포함되는 US625075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렌즈의 색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콘트라스트를 보강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이는 또한, 결정된 편광화(polarisation) 방향으로 광을 필터링하는 것에 의해서 콘트라스트를 보강하도록 구성된 기능일 수 있다. 이는 가변 광 투과를 갖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전기변색 유형일 수 있다. 렌즈의 작용 기능은 회절 또는 홀로그래픽 광학적 요소일 수 있다. 렌즈의 작용 기능은 화소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광학적 시스템에 의해서 제공되는 기능은, 액정 또는 다른 전기-활성화 구성요소의 활성화를 통해서 제어되는, 프레넬 유형(Fresnel type) 또는 알바레즈 및 로만 굴절 유형(Alvarez and Lohmann refractive type)일 수 있다. 전기-광학적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실제 세계의 장면 위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열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광학적 시스템은 광-안내 광학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렌즈(20)가 제조된다. 렌즈를 프레임(10)에 장착하기 전에, 일부 폴리싱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첫 번째로, 광학적 전방 면 및 광학적 후방 면을 폴리싱하여, 착용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는 광학적 결함을 제거한다. 다른 가공 단계가 광학적 전방 면 및 광학적 후방 면 상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예로서, 소정 유형의 코팅을 안과용 렌즈에 부가하는 것과 같은, 제조-후 처리가 렌즈에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는, 2개의 주 면(전방 면 및 후방 면) 및 둘레 연부를 포함하는 중간 광학적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적층 제조에 의해서 초기에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중간 광학적 장치에서, 그 2개의 주 면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최종 광학적 렌즈의 예상되는 최종 재료 두께보다 더 두꺼운 미리 결정된 재료 두께를 포함한다. 이어서, 미리 결정된 더 두꺼운 재료의 두께에 대해서 차감 제조 단계를 실시한다. 그러한 단계는, 렌즈의 이러한 부분을 위한 최종 표면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제1 예에 따라, 표면의 기하형태를 정밀하게 형성하기 위해서, 종종 폴리싱 단계와 함께, 디지털 표면 가공 선반 기계 또는 밀링 기계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예에 따라, 미리 결정된 더 두꺼운 두께는, 어떠한 선반 또는 밀링 기계를 이용하지 않고도, 폴리싱 단계를 거친 후에 전술한 최종 표면을 형성하도록 계산된 형상을 갖는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더 두꺼운 재료의 두께가 주 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전체에 걸쳐 존재한다. 그러한 대안예가, 참조로 포함된 WO2014195654 및 WO2015086981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제조 후 처리가 또한, 광학 산업, 그리고 특히 안과 산업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은 부가 값 층(added value layer)의 형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부가 값의 비-배타적인 목록은 이하의 부가 값 중 임의의 것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임의의 2개의 주 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서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부가 값은: 제조 단계에서 남은 임의의 거친 패치를 평활화하도록 구성된 평활화 층, 편광화 층, 광색성 층(photochromic layer), 틴팅된 층, 선택된 범위의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 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염료 또는 광 흡수 성분을 포함하는 필터링 층, 당업계에서 프라이머 층으로 종종 알려진 충격 방지 층, 경질 코트 층으로도 알려진 긁힘 방지 층, 정전기 방지 층, 가시광선 광을 부분적으로 반사하도록 구성된 거울 층, 반사 방지 간섭적인 층들의 적층체 또는 마이크로-구조화된 표면과 같은 반사 방지 층, 방오 층과 같은 탑코트 층, 김서림 방지, 소수성 층, 소유성 층, 또는 친수성 층이다. 부가 값 중 일부가 동일한 주어진 층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하고: 예를 들어, 경질 코트 또는 프라이머가 또한 일부 필터링 염료, 광색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심지어 틴팅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반사 방지 층이 정전기 방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 값의 일부가, 안과 산업에서 일반적인 프로세스에 의해서 또는 적층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서 침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제조 단계가, 제조-후 처리에 앞서서, 나열된 부가 값의 일부를 적층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안과용 렌즈가 본 발명의 적층 제조 단계에 앞서서 실현된 제1 부분(80)을 포함하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부분(80)은, 적용예에 따라, 제1 부분(80)의 전체에서 또는 그 면들 중 임의의 면에서, 전술한 부가 값 중 일부를 초기에 수반할 수 있다.
(제조-후 처리를 포함하여) 안과용 렌즈(20)가 완성될 때, 그러한 안과용 렌즈가 프레임(10) 내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브리지(14), 2개의 테두리(16), 템플(12) 및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테두리(16)는 각각의 안과용 렌즈(20)를 둘러싼다. 브리지(14)는 2개의 테두리(16)를 연결한다. 부착 수단은 각각의 테두리(16) 내에 위치된다.
부착 수단은 안과용 렌즈(20)를 고정하기에 적합하다. 상응 렌즈(20)의 고정 수단(50)에 대해서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각각의 부착 수단이 설계된다. 도 14는, 고정 수단(50)이 (도 4에서 앞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을 포함할 때, 렌즈(20)의 고정 수단(50)을 프레임(10)의 부착 수단 내로 서로 록킹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따라, 부착 수단(90)은 부조 패턴(92)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조 패턴(92)은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부조 패턴(92)의 형상은 렌즈(20)의 고정 수단(50)에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부조 패턴(92)은, 테두리(16) 및 오버행 부분(94)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을 포함한다.
부조 패턴(92)이 또한 스트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트립은, 렌즈(20)의 둘레 연부(35) 상에서 성형된 스트립과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스트립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20)의 고정 수단(50)을 피팅하기 위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이 베젤 형상일 수 있다.
렌즈(20)의 고정 수단(50)을 피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전체-테두리 프레임의 경우에, 프레임(10)의 스트립은 전체 테두리(16)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절반-테두리 프레임의 경우에, 프레임(10)의 스트립은 테두리(16)의 일부만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변형예에서, 부조 패턴(92)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렌즈(20)의 고정 수단(50)에 일치되는 돌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변형예에서, 안과용 렌즈가, 안과용 렌즈로부터 분리되도록 정해진 홀더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경우에, 고정 수단, 렌즈의 중앙 부분, 및 홀더는 동일한 계획형 적층 제조 장치에서 동시에 함께 제조된다. 따라서, 제조 파일 또는 제조 명령어는, 중앙 부분, 고정 수단 및 홀더를 동시적인 방식으로 적절하게 제조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조는 이어서 기계의 주입 노즐을 통한 재료의 연속적인 주입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재료 주입이 중단되지 않게 보장하도록 또는 1초 미만으로 중단되게 보장하도록, 제조 명령어가 바람직하게 생성된다.
홀더는 특히, 적층 제조 장치를 전술한 프로세싱 후 처리(폴리싱 처리, ...) 중 하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기계 내에 고정할 수 있는 홀더일 수 있다.
홀더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층 제조 장치를 선택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적층 제조 단계 중에 적층 제조 장치와 협력하도록 정해진 홀더일 수 있고, 그러한 적층 제조 장치 및 홀더는 동일 단계에서 적층 제조된다. 특히, 그러한 홀더는 안과용 렌즈의 연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안과용 렌즈와 접촉되어 유지된다.
홀더는, 부서질 수 있는(frangible) 또는 취약한 부분을 통해서 또는 얇고 용이하게 절단 또는 파괴되는 부분을 통해서 안과용 렌즈에 고정되는, 부서질 수 있는 홀더일 수 있다.
홀더는 추가적으로 고정 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안과용 렌즈의 윤곽의 일부 또는 전부 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정 수단이 여전히 계산될 수 있고, 적층 제조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는, 이미 미리-제조된 고정 수단을 드러내거나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프로세싱 후 단계에서 홀더를 여전히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안과용 렌즈, 그 연부 또는 고정 수단의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홀더를 렌즈로부터 절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렌즈로부터 홀더를 절단하는 것은 고정 수단을 형성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렌즈의 전체 윤곽을 절단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 고정 수단은 중앙 부분 내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고정 수단은 렌즈를 ("절반-테두리 프레임"으로도 지칭되는) 비-원형 프레임 또는 ("드릴 가공된 프레임" 또는 "비-테두리형 프레임"으로도 지칭되는) 천공형 프레임(pierced frame)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홀더는, 렌즈의 윤곽의 일부 상에서, 절단될 필요가 있는 많은 수의 접합부를 이용하여 렌즈에 연결될 수 있고, 그러한 접합부의 절단 행동은, 그러한 접합부를 포함하지 않는 윤곽의 부분에 비교할 때, 이미 형성된 고정 수단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는다.
달리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는 한,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실시예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예시적으로 개시된 발명은,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 또는 단계가 없이도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제시된 구성, 조성, 설계 또는 단계의 상세 부분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Claims (24)

  1. 프레임(10)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2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안과용 렌즈(20)는 광학적 전방 면(31), 광학적 후방 면(33), 및 둘레 연부(35)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 연부는 상기 광학적 전방 면(31) 및 상기 광학적 후방 면(33)을 둘러싸고, 상기 안과용 렌즈(20)를 상기 프레임(10)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고정 수단(50)을 수반하는 기부 부분(37)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 상기 광학적 전방 면(31) 및 상기 광학적 후방 면(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안과용 렌즈(20)의 중앙 부분(40)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고정 수단(50)을 갖는 상기 둘레 연부(35)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고정 수단(50) 및 상기 중앙 부분(40) 모두를 함께 포함하는, 계획형 제조 장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 상기 안과용 렌즈(20)를 형성하기 위해서, 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계획형 제조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은, 상기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45, 48, 55, 57)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45, 48, 55, 57)은 적어도 하나의 오버행 부분(60, 66)을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 부분(60, 66)은 상기 스트립(45, 48, 55, 57)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서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횡단면은, 제1 지역(62)과 상기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 사이에 위치된 더 얇은 폭의 제2 지역(64)보다, 상기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제1 지역(62) 내에서 더 넓은 폭을 가지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제조 단계 후에:
    - 상기 안과용 렌즈(20)의 전방 면(31) 및/또는 후방 면(33)의 적어도 일부를 폴리싱하는 단계; 및
    - 상기 둘레 연부(35)의 일부를 폴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제조 단계 이후에, 상기 안과용 렌즈(20)의 전방 면(31) 및/또는 후방 면(33)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단계는 재료의 층 또는 복셀을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병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실시되는, 방법.
  7. 광학적 전방 면(31), 광학적 후방 면(33), 및 둘레 연부(35)를 포함하는, 프레임(10)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20)로서, 상기 둘레 연부(35)는, 상기 광학적 전방 면(31) 및 상기 광학적 후방 면(33)을 둘러싸고 상기 안과용 렌즈(20)를 상기 프레임(1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고정 수단(50)을 수반하는 기부 부분(37)을 가지는, 안과용 렌즈(20)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전방 면(31) 및 상기 광학적 후방 면(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안과용 렌즈(20)의 고정 수단(50) 및 중앙 부분(40)이, 적층 제조 기술만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함께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렌즈(2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 및 상기 중앙 부분(40)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안과용 렌즈(2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은, 상기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45, 48, 55, 57)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45, 48, 55, 57)은 적어도 하나의 오버행 부분(60, 66)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2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 부분(60, 66)은 상기 스트립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서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횡단면은, 제1 지역(62)과 상기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 사이에 위치된 더 얇은 폭의 제2 지역(64)보다, 상기 둘레 연부(35)의 기부 부분(37)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제1 지역(62) 내에서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안과용 렌즈(20).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또는 상기 스트립(55)의 부분(60)이 도브테일형 횡단면을 가지는, 안과용 렌즈(20).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 부분(60, 66)이 상기 스트립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안과용 렌즈(20).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45)의 횡단면의 형상이 상기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는, 안과용 렌즈(20).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이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제조되는, 안과용 렌즈(20).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은, 돌출되는 또는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둘레 연부(35)의 길이의 작은 부분만을 따라서 연장되는 노치(70, 78)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2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70)는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안과용 렌즈(20)를 상기 프레임(10)에 록킹하기에 적합한 록킹 수단을 수용하는, 안과용 렌즈(2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이 나사(75) 또는 러그인, 안과용 렌즈(20).
  18. 제7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은, 측부 면(48, 49; 52, 54; 58, 59)을 포함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45, 48, 55, 57)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 면(48, 49; 52, 54)은 기울어지고, 상기 면(48, 49; 52, 54)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기는 상기 둘레 연부(35)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는, 안과용 렌즈(20).
  19. 제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은, 길이방향 트레이스에 걸쳐 연장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적 전방 면(31)에 대한 상기 길이방향 트레이스의 거리는 상기 둘레 연부(35)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는, 안과용 렌즈(20).
  20. 제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은, 적어도 제1 부분(68) 및 제2 부분(67)을 포함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68)은 홈-형상이고 상기 제2 부분(67)은 사면-형상인, 안과용 렌즈(20).
  21. 브리지(14), 템플(12), 및 안과용 렌즈(20)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20)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프레임(10)으로서,
    상기 부착 수단(90)은, 돌출되는 또는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오버행 부분(94)을 포함하는 부조 패턴(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10).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 패턴(92)이 도브테일형 횡단면을 가지는, 프레임(10).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기에 적합한 테두리(16)를 포함하고, 상기 부조 패턴(92)은, 상기 테두리(16)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 또는 사면 형상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프레임(10).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레임(10) 및 제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과용 렌즈(20)를 포함하는 안경 장비(1).
KR1020207027337A 2018-05-09 2019-05-07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 안과용 렌즈, 프레임 및 안경 장비 KR202100063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305574.8A EP3567417A1 (en) 2018-05-09 2018-05-09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to be mounted in a frame, ophthalmic lens, frame and eyeglasses equipment
EP18305574.8 2018-05-09
PCT/EP2019/061734 WO2019215188A1 (en) 2018-05-09 2019-05-07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to be mounted in a frame, ophthalmic lens, frame and eyeglasses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326A true KR20210006326A (ko) 2021-01-18

Family

ID=6221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337A KR20210006326A (ko) 2018-05-09 2019-05-07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 안과용 렌즈, 프레임 및 안경 장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87136B2 (ko)
EP (2) EP3567417A1 (ko)
JP (1) JP2021523409A (ko)
KR (1) KR20210006326A (ko)
CN (1) CN112074775A (ko)
BR (1) BR112020021175A2 (ko)
WO (1) WO20192151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4496A1 (fr) * 1979-08-29 1981-03-06 Berman Marvin Procede et dispositif de reglage et de fixation de verres de lunettes sur une monture et lunettes en comportant application
US4313652A (en) 1979-08-29 1982-02-02 Marvin Be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eyeglass lens adjustment and retention
US6938277B2 (en) 1999-07-13 2005-09-06 Arthur Charles Lindahl Removable eyewear member
US6250759B1 (en) 1999-12-22 2001-06-26 Peakvision, Llc Eyeglass lens with multiple optical zones having varying optical properties for enhanced visualization of different scenes in outdoor recreational activities
US8641188B2 (en) * 2006-01-13 2014-02-04 Switch Vision, Llc Eyewear frames with magnetic lens attachments
CN201029009Y (zh) 2007-02-08 2008-02-27 王复烟 无框眼镜镜片的固定结构
US8636360B2 (en) 2009-08-12 2014-01-28 Ronald C. Wiand Beveling wheel, method for forming a beveled lens for use with eyeglasses and a beveled lens
FR2964336B1 (fr) * 2010-09-07 2012-09-14 Essilor Int Procede de detourage d'une lentille ophtalmique
TW201347741A (zh) * 2012-05-24 2013-12-01 High Rainbow Ent Co 護目鏡之鏡片與鏡框組合結構
TWI539201B (zh) * 2012-11-07 2016-06-21 Quick release glasses
FR3006622B1 (fr) 2013-06-07 2015-07-17 Essilor In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FR3014355B1 (fr) 2013-12-11 2016-02-05 Essilor In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DE102014000107B4 (de) * 2014-01-10 2016-04-07 Technische Hochschule Köln Verfahren zur Verglasung einer Brillenfassung
JP6697657B2 (ja) 2015-06-22 2020-05-27 東海光学株式会社 眼鏡レンズ製造システム
US10012846B1 (en) * 2015-12-28 2018-07-03 Joseph Santinelli Rimless eye 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21175A2 (pt) 2021-01-19
EP3567417A1 (en) 2019-11-13
EP3791228A1 (en) 2021-03-17
WO2019215188A1 (en) 2019-11-14
JP2021523409A (ja) 2021-09-02
CN112074775A (zh) 2020-12-11
US11787136B2 (en) 2023-10-17
US20210308971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3340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t least one ophthalmic lens
KR102188864B1 (ko)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및 시스템
US104421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 ophthalmic lens
AU2006238511B2 (en) Ophthalmic lens comprising a layer having a variable refractive index
US20190265507A1 (en) Eyeglasses equipment including a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eyeglasses equipment
CN113196145B (zh) 用于制造眼科镜片的方法和装置
KR20210006326A (ko)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안과용 렌즈의 제조 방법, 안과용 렌즈, 프레임 및 안경 장비
CN114521244A (zh) 眼科镜片、其制造方法以及包括眼科镜片的眼睛配戴物
JP2016057324A (ja) レンズ用材料ブロックの加工方法
US20190151152A1 (en) Corrective Lens and Shield in Unitary Structure and Method
KR20230020395A (ko) 둘레 쇼울더를 갖는 웨이퍼를 포함하는 전기변색 렌즈
US2022000402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cal equipment adapted to a wearer and processing device for determining an optical equipment adapted to a wearer
JP2012215640A (ja)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2012215642A (ja) 眼鏡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