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190A -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 Google Patents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190A
KR20210006190A KR1020190082193A KR20190082193A KR20210006190A KR 20210006190 A KR20210006190 A KR 20210006190A KR 1020190082193 A KR1020190082193 A KR 1020190082193A KR 20190082193 A KR20190082193 A KR 20190082193A KR 20210006190 A KR20210006190 A KR 2021000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ard
mortise
bolt
door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6190A/ko
Publication of KR2021000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해정시 자동으로 도어가드 볼트를 모티스에서 해정시킬 수 있어 보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본체; 및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일측방향으로 출몰하여 도어가드 부재의 일부가 걸려 문의 완전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가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Door lock mortise with automatic door guard setting function}
본 발명은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과 같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락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Mortise)와, 모티스의 동작을 위해 도어의 실외와 실내 측에 각각 설치되어 모티스의 동작을 구현하는 레버를 구비한다.
통상의 모티스는 실외 또는 실내측 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래치볼트(Latch Bolt), 도어의 잠금을 유지시키는 데드볼트(Dead Bolt), 및 데드볼트의 동작을 위한 전동 또는 수동식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티스는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기계식 키, 비밀번호, 지문 등을 이용해 데드볼트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을 해제한 후, 실외측 레버를 동작시켜 래치볼트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는 실내측에 마련된 개방 버튼으로 데드볼트를 동작시켜서 잠금을 해제하고, 실내측 레버를 동작시켜 래치볼트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내측 도어락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도어(D)의 내측면에 내측본체(1)가 설치되고, 문틀(F)의 가장자리에는 스트라이커(5)가 설치된다. 즉 내측본체(1)에 구비된 데드볼트(미도시)가 스트라이커(5)에 인입되는 것으로 도어(D)의 잠금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실내측 도어락에는 실내측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도어(D)를 일정각도로 개방하여 외부 상황이나 방문자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가드(2)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도어 가드(2)는 도어(D)의 전면에 가드 고정구(3)를 통해 고정되는데, 이때 도어 가드(2)는 가드 고정구(3)에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문틀(F)의 측면에는 가드 스토퍼(4)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내측 본체(1)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도어 가드(2)를 가드 스토퍼(4)에 걸리도록 위치시키면, 사용자는 도어(D)를 일정각도로 개방할 수 있으나, 일정각도 이상에서는 가드 스토퍼(4)에 의해 더 이상 도어(D)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내의 사용자는 일정각도로 개방된 도어(D)의 틈을 통해 외부 상황이나 방문자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는 외부의 침입자가 강제 도어(D)를 완전 개방시켜 침입시도를 한다고 해도, 도어 가드(2)가 가드 스토퍼(4)에 걸리게 됨으로써 도어(D)의 완전 개방이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 가드(2)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잠금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 및 보안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가드(2)는 사용자가 도어 가드(2)를 가드 스토퍼(4)에 걸리게 하거나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문을 열고 실내에 들어온 상태에서 도어 가드(2)를 가드 스토퍼(4)에 거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도어 가드(2)의 기능을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 가드(2)의 구성은 보안상 취약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실내에서 실외로 나가는 경우에도 내부에서 잠금 해제 버튼을 구동시키는 동작과, 수동으로 도어 가드(2)를 가드 스토퍼(4)에서 이탈시키는 동작을 통해 문의 개방이 가능하므로, 종래에는 수동으로 도어 가드(2)를 해정해야 하는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6476호(등록일자: 2018년 7월 03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어락 해정시 자동으로 도어가드 볼트를 모티스에서 해정시킬 수 있어 보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모두 증대할 수 있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본체; 및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일측방향으로 출몰하여 도어가드 부재의 일부가 걸려 문의 완전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가드 볼트를 포함하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가 제공된다.
상기 모티스 본체에는, 상기 도어가드 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기어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시키도록 연결된 작동레버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체에 기어연결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어, 상기 도어가드 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시키는 연결레버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어가드 부재는,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드 몸체, 및 상기 가드 몸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상기 도어 가드 볼트에 걸림되는 가드 고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가드 고리부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은, 상기 도어가드 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서 출몰될 때 상기 도어가드 볼트의 선단이 통과하기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드 부재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에 있어서,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본체; 및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일측방향으로 출몰하는 도어가드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드 볼트는,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이후,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로 자동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이후, 상기 도어가드 볼트의 인입이 수동으로 이루어진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드볼트의 잠금설정과 별도로 도어가드 볼트의 잠금설정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도어락의 보안성능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내측 도어락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가 도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의 작동레버와 구동모터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와 도어가드 볼트가 인출된 상태(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의 회전체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의 제1 회전체를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의 도어가드 볼트와 연결레버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라이커(11)의 일단에 회전축(11a)이 형성되고, 이 회전축(11a)에 가드몸체(1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가드몸체(12)에는 고정핀(P)과 이동홈을 통해 가드 고리부(13)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가드몸체(12)에는 스프링(도면부호 미부여)이 장착되어 가드 고리부(13)가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가드 고리부(13)의 선단에는 걸림공(13a)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공(13a)은 후술되는 도어가드 볼트(40)의 선단(41)이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장공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모티스 본체(23)에는 베터리함(23a)이 장착되고 수동레버(22)가 장착된다. 전방에는 전면커버(21)가 장착되어 모티스 본체(23)의 케이싱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모티스 본체(23)의 내부에는 데드볼트(30)와 에지 볼트(24)가 장착된다. 그리고 모티스 본체(23)에는 가드 고리부(13)의 걸림공(13a)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도어가드 볼트(40)가 장착된다. 또한 데드볼트(30)와 도어가드 볼트(40)를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M)가 제공된다.
한편 모티스 본체(23)에는 구동모터(M)와 기어연결된 작동레버(60)가 설치된다. 이때 작동레버(60)는 제1 회전체(55)가 결합되어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레버(60)가 구동되고, 작동레버(60)에 연결된 데드볼트(30)를 모티스 본체(23)로부터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체(55)의 외주측으로 제2 회전체(50)가 결합된다. 이때 제2 회전체(50)의 일부에는 연결레버(45)가 기어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체(50)가 회전되는 것으로 연결레버(45)가 선회되며, 연결레버(45)의 선회에 의해 도어가드 볼트(40)가 모티스 본체(23)로부터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즉 연결레버(45)는 도어가드 볼트(40)를 모티스 본체(23)의 내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모티스 본체(23)의 후면측으로는 후면 커버(25)가 장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모티스 본체(23)의 내부에 데드볼트(30)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데드볼트(30)는 작동레버(60)의 선회동작에 의해 모티스 본체(23)의 일측면에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작동레버(60)는 제1 회전체(55)와 제2 회전체(50)와 결합된 조립체로 제공된다. 즉 제1 회전체(55)에는 평기어가 형성되고, 이 평기어에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M1; 도 5 참조)가 기어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제1 회전체(55)와 조립된 작동레버(60)를 선회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체(50)의 외주면 일부에는 연결기어(58; 도 9 참조)가 형성된다. 이 연결기어(58)는 연결레버(45)와 기어 연결되어 구동모터(M)의 구동력으로 연결레버(45)를 자동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레버(45)는 도어가드 볼트(40)의 단부의 연결홈(47; 도 11 참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M)가 작동되어 제2 회전체(50)를 선회시키면, 제2 회전체(50)에 기어 연결된 연결레버(45)가 일정반경으로 선회되고, 이를 통해 도어가드 볼트(40)을 모티스 본체(23)에서 자동으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데드볼트(30)가 작동레버(60)에 의해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설정에 따라 데드볼트(30)를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시킨 상태(도어락 해정상태)에서 도어가드 볼트(40)는 인출된 상태(도어가드 안전모드 상태; 도 8의 (B) 참조)를 취하게 된다. 즉 인증 등에 의해 모티스 본체(23)의 데드볼트(30)가 인입되어 문의 개방은 가능하지만 도어가드 볼트(4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그의 선단(41; 도 7참조)이 가드 고리부(13)의 걸림공(13a; 도 2 참조)에 걸리게 됨으로써 문의 완전 개방을 제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을 닫는 경우에는 에지볼트(24)가 스트라이커(11)에 의해 눌러지고, 이 신호를 제어부가 받아서 구동모터(M)를 작동하게 하게된다. 작동된 구동모터(M)는 회전체(55,50)에 조립된 작동레버(60)를 선회시킴으로써 데드볼트(30)를 모티스 본체(23)로부터 인출시키게 된다(잠금상태). 또한 이 상태에서 도어가드 볼트(40)에 대한 인출을 위해서는 설정에 따라 데드볼트(30)의 인출을 완료한 시점(예를 들어 90도)에서 추가 회전하도록 구동모터(M)가 제어된다. 그에 따라 제1 회전체(55)가 90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제2 회전체(50)가 제1 회전체(50)에 부하구간에 맞물려 연결레버(4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레버(4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어가드 볼트(40)를 모티스 본체(23)의 외부로 인출시키게 된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데드볼트(30)와 도어가드 볼트(40)가 모티스 본체(23)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데드볼트(30)는 스트라이커(11)에 인입된 상태(일명: 잠김상태)를 설정하고, 또한 도어가드 볼트(40)는 가드고리부(13)의 걸림공(13a)을 통과하여 인출된 상태(도어가드 안전모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을 일정 반경만큼만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와 문을 완전개방하고자 하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모티스 본체(23)의 실내측면에는 2개의 작동버튼(B1,B2)이 제공된다. 제1 작동버튼(B1)은 데드볼트 작동용 버튼이고, 제2 작동버튼(B2)은 도어가드 볼트 작동용 버튼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작동버튼(B1)은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에는 데드볼트(30)만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돌출된 상태의 도어가드 볼트(40)가 가드 고리부(13)의 걸림공(13a)에 걸리되어 문의 완전개방이 불가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데드볼트(30)가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된 후, 도어가드 볼트(40)를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문의 완전개방이 불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문을 완전 개방하여 외부로 나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2 작동버튼(B2)을 누르게 되고, 그러면 구동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레버(45)를 구동시켜 도어가드 볼트(40)를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즉 도 8의 (a)의 상태와 같이 도어가드 볼트(40)가 모티스 본체(23)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가드 고리부(13)의 걸림공(13a)을 통과하여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된다. 그에 따라 도어가드 볼트(40)가 가드 고리부(13)로부터 간섭 해제됨으로써 문을 완전개방시켜 외부로 나갈 수 있게 된다.
즉, 도어가드 볼트(40)는 데드볼트(30)가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된 이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자동으로 모티스 본체(23)의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문의 완전개방이 허용됨으로써 내부의 사용자가 외부로 나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작동버튼(B1,B2)을 통해 데드볼트(30)와 도어가드 볼트(40)를 개별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적동버튼을 통해 복합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회전체(55)에는 걸림돌기(56)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회전체(50)에는 이 걸림돌기(56)가 간섭되지 않는 무부하 영역(52)과, 제1 회전체(55)의 걸림돌기(56)가 간섭되어 제2 회전체(50)를 연동시키는 걸림턱(51; 즉 부하 영역)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M)가 제1 회전체(55)를 회전시키면 제1 회전체(55)에 결합된 작동단(61)에 의해 데드볼트(30)를 모티스 본체(23)에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체(55)의 걸림돌기(56)는 제2 회전체(50)의 무부하 영역(52) 내에서 이동됨으로써 데드볼트(30)를 구동시키는 동작에서는 제2 회전체(50)는 연동되지 않는다.
반면 도어가드 볼트(40)를 인입 및 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M)는 데드볼트(30)를 구동시킨 회전반경에서 제1 회전체(55)를 추가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회전체(55)의 걸림돌기(56)가 제2 회전체(50)의 걸림턱(51)에 맞닿게 됨으로써 제1 회전체(55)와 제2 회전체(50)가 연동되고, 제2 회전체(50)가 회전되면 이와 기어 연결된 연결레버(45)를 선회시키게 되어, 결국에는 연결레버(45)에 연결된 도어가드 볼트(40)를 모티스 본체(23)에서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데드볼트(30)의 잠금설정과 별도로 도어가드 볼트(40)의 잠금설정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문의 일부를 개방하여 외부 상황이나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상황에서는 외부에서 문의 완전개방이 불가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M)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가드 안전모드 상태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 스트라이커
11a: 선회축
12: 가드몸체
13: 가드 고리부
21: 전면커버
22: 수동레버
23: 모티스 본체
24: 에지볼트
25: 후면커버
30: 데드볼트
40: 도어가드 볼트
41: 선단
47: 연결홈
50: 제2 회전체
51: 걸림턱
52: 무부하 영역
55: 제1 회전체
56: 걸림돌기
57: 회전턱
58: 연결기어
60: 작동레버
61: 작동단
62: 작동기어

Claims (7)

  1. 도어가드 부재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에 있어서,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본체; 및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일측방향으로 출몰하고 상기 도어가드 부재의 일부에 연결되어 문의 완전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가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 본체에는,
    상기 도어가드 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에 기어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시키도록 연결된 작동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기어연결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어, 상기 도어가드 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시키는 연결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드 부재는,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드 몸체, 및
    상기 가드 몸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상기 도어 가드 볼트에 걸림되는 가드 고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6. 재5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고리부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은, 상기 도어가드 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출몰될 때 상기 도어가드 볼트의 선단이 통과하기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7. 도어가드 부재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에 있어서,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본체; 및 상기 모티스 본체에서 일측방향으로 출몰하는 도어가드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드 볼트는,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이후,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로 자동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이후, 상기 도어가드 볼트의 인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KR1020190082193A 2019-07-08 2019-07-08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KR20210006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193A KR20210006190A (ko) 2019-07-08 2019-07-08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193A KR20210006190A (ko) 2019-07-08 2019-07-08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190A true KR20210006190A (ko) 2021-01-18

Family

ID=7423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193A KR20210006190A (ko) 2019-07-08 2019-07-08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61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121B1 (en) Mortise lockset with internal clutch
KR100897022B1 (ko)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1311812B1 (ko)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CA2422445A1 (en) Quick install door knob assembly
KR101436602B1 (ko)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TWI748958B (zh) 閂鎖總成及操作一鎖之方法
KR20110052832A (ko) 도어록 해정장치
KR100516150B1 (ko)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KR20210006190A (ko)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KR10187647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 도어락 장치
KR101653781B1 (ko)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KR102014746B1 (ko) 도어락의 해정 조립체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410865B1 (ko) 실내측, 실외측 손잡이 각각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 장치
KR100786338B1 (ko) 전자도어락의 백셋
CN211173464U (zh) 插芯锁
KR102060741B1 (ko) 구동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는 도어락의 자동 해정 조립체
CN109653602B (zh) 包括弹键闩自动松开结构的数字门锁
KR101719956B1 (ko) 도어락용 모티스
KR20190066437A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KR100788320B1 (ko) 원터치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200463035Y1 (ko) 안티패닉형 도어락의 내측 손잡이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