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022B1 -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022B1
KR100897022B1 KR1020070065644A KR20070065644A KR100897022B1 KR 100897022 B1 KR100897022 B1 KR 100897022B1 KR 1020070065644 A KR1020070065644 A KR 1020070065644A KR 20070065644 A KR20070065644 A KR 20070065644A KR 100897022 B1 KR100897022 B1 KR 10089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uble
lock
ge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351A (ko
Inventor
신만우
강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큐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큐넥스
Priority to KR102007006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0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도어에 설치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잠금부와 내측핸들이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사무실 혹은 주택의 내부에서는 내측핸들의 회전만으로 도어를 신속하게 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키의 작동구조를 외측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 구성하여 비상키몸체의 강제적인 파손시에 중간연결봉이 분리 이탈되어 비상키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의 강제적인 파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고, 내,외측핸들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내,외측몸체와, 상기 내측몸체에 설치되는 이중잠금부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상자를 포함하는 이중잠금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이중잠금부의 하단에는 잠금해제편이 결합되고, 상기 내측핸들의 핸들축에는 핸들스토퍼가 결합되어, 상기 내측핸들의 회전에 의해 핸들스토퍼가 잠금해제편을 들어올려 이중잠금이 해정됨과 동시에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도어록, 이중잠금, 비상키, 잠금해제편, 썸턴

Description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 having dual lock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몸체의 내부와 잠금장치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내측몸체의 정면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이중잠금부의 이동플레이트와 잠금해제편을 나타낸 정면도.
도 5의 (a), (b)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이중잠금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외측몸체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비상키작동장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공회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의 (a), (b)는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기어와 연동기어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잠금장치상자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내측몸체 12 : 썸턴홀
14 : 핸들축홀 15 : 건전지수납함
16 : 내측핸들 18 : 핸들축
20 : 외측몸체 22 : 버튼
24 : 외측핸들 30 : 잠금장치상자
40 : 데드볼트 42 : 데드캠부
44 : 연동부 50 : 래치볼트
52 : 래치캠부 54 : 패닉암
60 : 비상키 100 : 이중잠금부
110 : 이중잠금버튼 112 : 누름부
114 : 홈 120 : 이동플레이트
122 : 결합홀 122a : 1단 결합홀
122b : 2단 결합홀 124 : 결합돌기
130 : 고정플레이트 132 : 스프링
140 : PCB판 150 : 잠금해제편
152 : 삽입홀 200 : 썸턴부
210 : 썸턴 212 : 썸턴축
220 : 수동회전핀 300 : 구동모터
310 : 제1베벨기어 320 : 제2베벨기어
322 : 제1링클립 324 : 제2링클립
400 : 스토퍼부 410 : 핸들스토퍼
412 : 반월편 414 : 돌출부
416 : 핸들축결합홀 420 : 핸들전환플레이트
422 : 스프링 430 : 고정편
440 : 래치작동봉 500 : 비상키작동장치부
510 : 키조작부 512 : 키몸체
514 : 중간연결봉 516 : 구동기어봉
520 : 기어부 522 : 구동베벨기어
524 : 구동변환베벨기어 526 : 중간기어
526a : 돌출부 526b : 테이퍼부
528 : 연동기어 530 : 공회전부
532 : 이동캠 532a : 돌기
532b : 걸림턱 534 : 회전축
535 : 요철(凹凸)부 535a : 요(凹)부
535b : 철(凸)부 536 : 고정캡
본 발명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도어에 설치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잠금부와 내측핸들이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사무실 혹은 주택의 내부에서는 내측핸들의 회전만으로 도어를 신속하게 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키의 작동구조를 외측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 구성하여 비상키몸체의 강제적인 파손시에 중간연결봉이 분리 이탈되어 비상키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의 강제적인 파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잠금이란 기구적인 작동과 전자적인 작동을 한 동작에 의해 동시에 잠금 혹은 기능정지를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도어록의 이중잠금은 반드시 실내에서 내부의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밖에 없는 기능이고, 이 기능을 사용하면 비상키, 암호버튼작동, 리모콘작동 등 외부의 사람이 실내로 들어가기 위한 통상적인 수단으로는 불가능하게되며, 반드시 실내의 조작에 의해서 만이 해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는 핸들의 회전에 의해 잠금 해제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반달걸림쇠를 갖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와 별도로 설치되어 이중으로 잠금되는 잠금걸림쇠를 갖는 보조잠금장치로 되어 있 어 도어를 이중으로 잠그기 위해서는 별개로 부착되어 있는 보조잠금장치를 별도로 조작하여야 잠금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외부에서 잠금장치와 보조잠금장치를 쉽게 열고 실내로 진입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근래에는 반달걸림쇠를 갖는 잠금장치와 잠금걸림쇠를 갖는 보조잠금장치로서 전자적인 작동과 기구적인 작동이 일체로 작동되도록 구성된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또한, 내부에서 잠금을 하여도 암호버튼, 리모콘 등의 보조수단을 갖는 사람이라면 외부에서도 쉽게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중잠금된 상태에 있는 도어의 실내에서 이중잠금된 잠금걸림쇠를 해제할 경우에는 별도의 해제버튼(open 버튼)을 눌러주어야만 잠금걸림쇠가 해제되어 이중잠금이 해제된 상태가 되어 내측핸들을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불필요한 선행동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번호 제10-0674684호에는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는데, 그 주요 특징은 실내유닛에 구비된 이중잠금버튼이 눌려졌을 때는 이중잠금되고, 이중잠금버튼이 눌려지지 않았을 때는 이중잠금이 해제되는 전자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실내유닛의 손잡이를 돌림에 의해 연동되면서 이중잠금버튼의 누름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이중잠금 자동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 자동해 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구성은 실내유닛의 손잡이가 이중잠금버튼과 연동되어 있으므로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이중잠금버튼과의 연결부가 파손될 경우 이중잠금이 해제가 되지 않으므로 도어를 내측에서 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데드볼트가 잠금장치상자의 외부로 돌출되는 도중에 내측핸들을 회전시키면, 데드볼트가 다시 잠금장치상자의 내부로 인입되는데 종래에는 데드볼트를 잠금장치상자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던 정역모터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여 데드볼트를 잠금장치상자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식은 갑작스럽게 정역모터의 회전방향을 변화시켜야 하므로 정역모터와 결합되는 기어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어 고장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중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썸턴부와 내측핸들이 분리 구성되어 이중잠금과는 상관없이 내측핸들의 회전만으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동시에 해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다른 부품들이 파손되더라도 내측핸들만 남아 있으면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닫을 경우 데드볼트가 잠금장치상자의 외부로 나오고 있는 도중에 내측핸들을 회전시키면 구동모터의 작동과 상관없이, 구조적으로 데드볼트를 잠금장치상자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역모터 및 기어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어 고장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키의 작동구조를 외측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 구성하여 비상키몸체의 강제적인 파손시에 중간연결봉이 분리 이탈되어 비상키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의 강제적인 파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고, 내,외측핸들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내,외측몸체와, 상기 내측몸체에 설치되는 이중잠금부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상자를 포함하는 이중잠금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이중잠금부의 하단에는 잠금해제편이 결합되고, 상기 내측핸들의 핸들축에는 핸들스토퍼가 결합되어, 상기 내측핸들의 회전에 의해 핸들스토퍼가 잠금해제편을 들어올려 이중잠금이 해정됨과 동시에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측몸체는, 중앙 하부에 형성된 썸턴홀에 끼움 결합되어 데드볼트를 연동시키는 썸턴부와, 상기 썸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중잠금기능을 부여하 는 이중잠금부와, 상기 썸턴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제1베벨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썸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연동되는 제2베벨기어 및 상기 내측핸들의 핸들축과 결합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썸턴부는 상기 썸턴홀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썸턴축을 포함하는 썸턴과, 일측 단부가 상기 썸턴축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은 잠금장치상자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측몸체와 연통되는 수동회전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잠금부는 누름작동에 의해 PCB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이중잠금버튼과, 상기 이중잠금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해 이동하고 하단에 상기 잠금해제편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이중잠금버튼과 이동플레이트를 내측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내측핸들의 핸들축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핸들의 회동을 제한하는 핸들스토퍼와, 상기 핸들스토퍼의 회동을 제한하는 핸들전환플레이트 및 상기 핸들전환플레이트를 내측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측몸체의 하단에는 비상키작동장치부가 상방향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비상키작동장치부는 비상키에 의해 작동되는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내측몸체의 썸턴축에 끼움 결합된 수동회전핀을 연동 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의 일측 상단에 결합되는 공회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키조작부는 비상키가 결합되는 키몸체와, 상기 키몸체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중간연결봉과, 상기 중간연결봉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기어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키조작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직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구동변환베벨기어와, 상기 구동변환베벨기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중간기어 및 상기 중간기어의 타측에 설치되어 썸턴축에 끼움 결합된 수동회전핀을 연동시키는 연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회전부는 상기 연동기어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이동캠과, 상기 연동기어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이동캠과 회전축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기어의 상부에는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캠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테이퍼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동캠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몸체의 내부와 잠금장치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내측몸체의 정면도이고,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이중잠금부의 이동플레이트와 잠금해제편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의 (a), (b)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이중잠금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외측몸체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비상키작동장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공회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의 (a), (b)는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기어와 연동기어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잠금장치상자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사무실 혹은 주택의 도어에 설치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잠금부(100)와 내측핸들(16)이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사무실 혹은 주택의 내부에서는 내측핸들(16)의 회전만으로 도어를 신속하게 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키(60)의 작동구조를 외측몸체(2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 구성하여 비상키몸체의 강제적인 파손시에 중간연결봉(514)이 분리 이탈되어 비상키(6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의 강제적인 파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은 크게 도어의 내,외측 에 설치되는 내,외측몸체(10)(20)와 상기 내,외측몸체(10)(20)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내,외측핸들(16)(24)과, 상기 내측몸체(10)에 설치되는 이중잠금부(100)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상자(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내측핸들(16)의 회전만으로 이중잠금상태를 해정시킴과 동시에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중잠금부(100)의 하단에 잠금해제편(150)이 결합되고, 내측몸체(10)에 형성된 핸들축홀(14)에 끼움 결합되는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에는 핸들스토퍼(410)가 결합되어 상기 내측핸들(16)의 회전에 의해 핸들스토퍼(410)가 잠금해제편(150)을 들어올려 이중잠금을 해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에 끼움 결합되는 래치작동봉(440)이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삽입되어 래치볼트(50)와 데드볼트(40)가 동시에 해정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열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해제편(150)의 상부에는 후술할 이중잠금부(100)의 이동플레이트(120) 하단에 결합되는 삽입홀(152)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상기 핸들스토퍼(410)에 의해 용이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중 내측몸체(10)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썸턴부(200)와, 이중잠금부(100), 구동모터(300), 제2베벨기어(320) 및 스토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썸턴부(200)는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잠금장치상 자(30)의 내부에 설치된 데드볼트(40)를 연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측몸체(10)의 중앙 하부, 즉 상기 핸들축홀(14)의 상부에 형성된 썸턴홀(12)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된다.
상기 썸턴부(200)는 다시 썸턴(210)과 수동회전핀(220)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상기 썸턴(210)은 상기 썸턴홀(12)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썸턴축(2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40)를 작동시켜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동회전핀(220)은 일측 끝단이 상기 썸턴축(212)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고, 중간부는 잠금장치상자(30) 내에 삽입되어 데드캠부(42)에 끼움 결합되며, 반대쪽 끝단에는 외측몸체(20)에 설치되는 공회전부(530) 중 회전축(534)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회전핀(220)은 도어의 내측에서는 썸턴(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에 설치된 데드캠부(42)를 작동시켜 데드볼트(40)를 도어의 내부, 즉 잠금장치상자(30)의 내측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수동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의 외측에서는 비상키(60)를 통해 수동회전핀(220)을 작동시키는 연동기어(528)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찬가지로 데드캠부(42)를 작동시켜 데드볼트(40)를 도어의 내부로 인입시킴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중잠금부(100)는 상기 썸턴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어가 이중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의 (a) 및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내측몸체(10)의 안쪽에 설치된 PCB판(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이중잠금버튼(110)과, 상기 이중잠금버튼(110)의 누름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120) 및 상기 이중잠금버튼(110)과 이동플레이트(120)를 내측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1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중잠금버튼(110)의 끝단에는 누름부(112)가 형성되어 이중잠금버튼(110)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누름부(112)가 PCB판(140)에 형성된 마이크로버튼(미도시)을 누름으로써 PCB판(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에는 상기 누름부(112)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홀(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홀(122)은 2단으로 구성되어 2단 결합홀(122b)에 걸림되어 있던 누름부(112)가 이중잠금버튼(110)의 누름작동에 의해 눌려지면 누름부(112)의 내측에 형성된 홈(114)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홈(114)에 1단 결합홀(122a)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하단에는 상기 잠금해제편(150)의 삽입홀(152)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2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30)의 좌,우 양측 하단과 잠금해제편(150)의 좌,우 양측 상단 사이에는 스프링(132)이 설치되어 잠금해제편(150)이 내측몸체(10)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중잠금버튼(110)을 누르면 전자적으로는 PCB판(1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모터(30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의 버튼(22) 조작에 의해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고, 기계적으로는 구동모터(300)가 작 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구동모터(300)에 연결 설치된 제1베벨기어(310) 및 제2베벨기어(320)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도어 내측에서의 썸턴(210)에 의한 수동조작이나 도어 외부에서의 비상키(60)에 의해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여 이중잠금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구동모터(300)는 PCB판(140)으로부터 정역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도어를 전자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300)의 하부에는 제1베벨기어(3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베벨기어(310)는 상기 썸턴부(200)의 내측, 즉 내측몸체(10)의 안측으로 수동회전핀(220)에 끼움 결합된 제2베벨기어(320)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베벨기어(320)의 전,후 양측으로는 제1링클립(322)과 제2링클립(324)이 결합되어 제2베벨기어(320)가 상기 수동회전핀(220)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0)가 작동함에 따라 제1베벨기어(31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310)와 연동되어 제2베벨기어(32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베벨기어(320)가 끼움 결합된 수동회전핀(220)이 회전하여 잠금장치상자(30) 내부의 데드캠부(42)를 작동시켜 데드볼트(40)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몸체(10)의 썸턴홀(12) 하부에 형성되는 핸들축홀(14)에는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이 끼움 결합되는데, 상기 핸들축(18)에는 내측핸들(16)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부(400)가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부(400)는 핸들스토퍼(410)와 핸들전환플레이트(420) 및 고정 편(4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핸들스토퍼(410)는 상기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핸들(16)의 회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핸들전환플레이트(420)는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정편(430)은 상기 핸들전환플레이트(420)를 내측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축(18)에 끼움 결합되는 핸들스토퍼(410)는 일측에 반월편(412)이 형성되어 있고, 핸들축(18)이 결합되는 반대쪽 면에는 돌출부(414)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핸들축(18)이 결합되는 핸들축결합홀(4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전환플레이트(420)는 내측몸체(10)의 내측 저면에 설치되는데, 그 상단이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반월편(412)에 의해 눌림작동되도록 핸들전환플레이트(420)와 내측몸체(10)의 저면 사이에는 스프링(422)이 삽입 설치되고, 핸들전환플레이트(420)의 바깥쪽으로는 고정편(430)이 설치되어 핸들전환플레이트(420)를 내측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중잠금상태에 있는 도어를 열기 위하여 내측핸들(16)을 회전시키면 핸들축(18)에 끼움 결합된 핸들스토퍼(410)가 회전하면서 상기 반월편(412)이 잠금해제편(150)을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잠금해제편(150)의 상부에 결합된 이동플레이트(12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1단 결합홀(12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상기 이중잠금버튼(110)의 누름부(112)가 누름부(112)의 끝단에 결합된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2단 결합홀(122b)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어 이중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측몸체(10)의 안쪽 상부에는 구동모터(30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미도시)가 수납되는 건전지수납함(15)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몸체(10)에 대응하여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측몸체(20)에는 비상키(60)에 의해 수동회전핀(220)을 회전시켜 데드볼트(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상키작동장치부(5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비상키작동장치부(500)는 비상키(60)의 복제 등이 쉽지 않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측몸체(2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비상키작동장치부(5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조작부(510)와 기어부(520) 및 공회전부(530)로 구성되는데, 상기 키조작부(510)는 비상키(60)가 끼움 결합되어 비상키(60)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기어부(520)는 상기 키조작부(510)와 연동되어 내측몸체(10)의 썸턴축(212)에 끼움 결합된 수동회전핀(220)을 회전시킴으로써 데드캠부(42)를 작동시켜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공회전부(530)는 상기 기어부(520)의 일측 상단, 즉 후술할 연동기어(528)의 상단에 결합되어 도어의 내측에서 썸턴부(200)를 작동시켜 수동회전핀(220)이 회전할 경우 공회전하여 수동회전핀(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부(520) 및 키조작부(510)가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키조작부(510)는 비상키(60)가 끼움 결합되는 키몸체(512)와, 상기 키몸체(512)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중간연결봉(514)과, 상기 중간연결봉(514)의 상부에 역시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구동기어봉(516) 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부(520)는 상기 키조작부(510)의 상단, 즉 구동기어봉(516)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522)와, 상기 구동베벨기어(522)와 직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봉(516)의 회전 구동력을 직각으로 전달시켜주는 구동변환베벨기어(524)와, 상기 구동변환베벨기어(524)의 일측에 일직선 상으로 설치되는 중간기어(526)와, 상기 중간기어(526)의 타측에 일직선 상으로 맞물리도록 하여 썸턴축(212)에 끼움 결합된 수동회전핀(220)을 작동시키는 연동기어(52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기어(526)의 상부에는 돌출부(526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26a)의 일측에는 테이퍼부(526b)가 형성되어 후술할 공회전부(530)의 이동캠(532)이 상기 테이퍼부(526b)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회전부(530)는 상기 연동기어(528)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캠(532)과, 상기 연동기어(528)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수동회전핀(220)이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534)과, 상기 이동캠(532)과 회전축(534)이 이탈되지 않도록 외측몸체(20)에 고정시키는 고정캡(5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캠(532)의 외주연에는 상기 중간기어(526)에 형성된 테이퍼부(526b)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여 돌기(532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내주연에는 걸림턱(532b)이 서로 마주보도록 돌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534)의 외주연에는 요철(凹凸)부(535)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캠(532)의 내주연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532b)이 상기 요철(凹凸)부(535) 중 요(凹)부(535a)에 위치했을 경우 이동캠(532)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돌기(532a)가 중간기어(526)의 테이 퍼부(526b)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이동캠(532)이 상승하면서 상기 걸림턱(532b)이 회전축(534)의 요(凹)부(535a)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534)은 연동기어(528)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비상키작동장치부(500)는 외부에서 침입을 위해 키몸체(512)를 강제적으로 파손시켜 키몸체(512)를 외측몸체(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빼내게 되면, 중간연결봉(514)이 분리 이탈되도록 한 것으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동회전핀(220)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중간연결봉(514)이 분리 이탈되어 수동회전핀(220)의 끝단에 형성된 연동기어(528)를 회전시키는 구동베벨기어(522), 구동변환베벨기어(524) 및 중간기어(526)를 구동시킬 수가 없어 비상키(60)의 작동이 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의 강제적인 파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을 도어의 내측에서 열 때는 내측핸들(16)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이중잠금 상태와는 상관없이 도어를 열 수 있다.
즉, 이중잠금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에 끼움 결합된 래치작동봉(440)은 내측핸들(16)의 위쪽에 설치되는 썸턴부(200) 및 이중잠금부(100)와는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내측핸들(16)의 회전만으로 도 어를 열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 모습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데드볼트(40)와 래치볼트(50)가 도어틀(미도시)의 내부에 삽입되어 잠금상태에 있는 것인데, 이때 내측핸들(16)을 회전시키면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에 끼움 결합되어 래치캠부(52)에 연결 설치된 래치작동봉(440)이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캠부(52)를 회전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캠부(52)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패닉암(54)이 데드캠부(42)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연동부(44)를 연동시키면서 데드캠부(42)도 래치캠부(52)와 마찬가지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내측핸들(16)을 회전시키면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에 끼움 결합된 래치작동봉(44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래치작동봉(440)이 회전하면서 래치캠부(52)와 데드캠부(42)를 동시에 작동시키면서, 도어틀(미도시)에 삽입되어 있는 래치볼트(50)와 데드볼트(40)를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끌어당김으로서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 모습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 구성은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어가 이중잠금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내측핸들(16)의 회전에 의해 이중잠금상태가 풀림과 동시에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도어를 이중잠금시키는 과정과 이중잠금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이중잠금시키기 위해서는 내측몸체(10)의 썸턴부(200) 상부에 설치된 이중잠금부(100) 중 이중잠금버튼(110)을 눌러주면 된다.
상기와 같이 이중잠금버튼(110)을 눌러주면, 이동플레이트(120)의 결합홀(122) 중 2단 결합홀(122b)에 결합되어 있던 누름부(112)가 밀려 들어가면서 PCB판(140)에 형성된 마이크로버튼(미도시)을 누르게 되어 PCB판(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구동모터(3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중잠금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누름부(112)는 상기 2단 결합홀(122b)을 이탈하게 되고, 누름부(112)의 끝단에 형성된 홈(114)이 결합홀(122)에 위치하게 되어 이동플레이트(1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홈(114)이 1단 결합홀(122a)에 걸림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1단 결합홀(122a)과 2단 결합홀(122b) 사이의 경계부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이동플레이트(12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중잠금상태는 내측핸들(16)을 회전시킴으로써 해제시킬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핸들(16)의 회전에 의해 내측핸들(16)의 핸들축홀(18)에 끼움 결합된 핸들스토퍼(41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핸들스토퍼(410)가 회전하면서 핸들스토퍼(410)의 일측에 형성된 반월편(412)이 이동플레이트(12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24)에 결합된 잠금해제편(150)을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해제편(150)은 고정플레이트(130)의 양 측면 하단과 스프링(132)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진동하지 않고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잠금해제편(150)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플레이트(120)도 상승하게 되면서 이중잠금버튼(110)의 홈(114)이 1단 결합홀(122a)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이중잠 금버튼(110)은 누름부(112)에 결합된 스프링(미도시)의 탄발력에 의해 내측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중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누름부(112)가 2단 결합홀(122b)에 결합되어 있는 원상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내측핸들(16)의 회전에 의해 이중잠금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핸들(16)의 핸들축홀(18)에 끼움 결합된 래치작동봉(440)이 래치캠부(52)와 데드캠부(42)를 동시에 작동시키면서, 도어틀(미도시)에 삽입되어 있는 래치볼트(50)와 데드볼트(40)를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끌어당김으로서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중잠금이 해제되면 도어의 외측에서도 도어를 열고 들어갈 수 있게 되는데, 그 방법은 크게 외측몸체(20)에 형성된 버튼(22)을 조작하여 도어를 여는 방법과, 비상키(60)를 이용하여 도어를 여는 방법이 있다.
먼저, 외측몸체(20)에 형성된 버튼(22)을 조작하여 도어를 여는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가 잠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외측몸체(20)에 설치된 버튼(22)을 조작하여 메모리된 암호와 일치하게 되면, 내측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PCB판(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모터(300)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00)의 하부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310)와, 상기 제1베벨기어(310)와 수직으로 연동되도록 설치된 제2베벨기어(3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베벨기어(320)에 삽입 결합된 수동회전핀(220) 및 수동회전핀(220)이 끼움 결합된 썸턴(21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수동회전핀(220)의 회전에 의해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에서 수동회전핀(220)에 끼움 결합된 데드캠부(42)가 회전하면서 데드볼트(40)를 도어틀로부터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데드볼트(40)가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도어의 외측몸체(20)에 설치된 외측핸들(24)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측핸들(20)과 결합된 래치작동봉(440)이 회전하면서 래치캠부(52)를 회전시켜 래치볼트(50)를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되어 외측핸들(24)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잡아당기면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썸턴축(212)에 결합되는 수동회전핀(220)의 반대쪽 끝단에 연결 설치되는 공회전부(530)의 회전축(534)은 이동캠(532)과 결합된 상태가 아니므로 공회전하게 되어 연동기어(528)를 작동시키지 못하므로 수동회전핀(220)이 회전하더라도 기어부(520) 및 키조작부(510)는 작동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비상키(60)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 때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어의 외측에서 외측몸체(20)의 하부에 설치된 키몸체(512)에 비상키(60)를 끼워 넣고 회전시키면 키몸체(512)가 회전하면서, 상기 키몸체(512)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는 중간연결봉(514)과 구동기어봉(516)을 통해 상기 구동기어봉(516)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522)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구동베벨기어(52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522)와 수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된 구동변환베벨기어(524)와 상기 구동변환베벨기어(524)의 일측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되는 중간기어(526) 및 연동기어(528) 또한 회전하게 된 다.
이때, 상기 연동기어(528)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회전부(530)에 의해 수동회전핀(220)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비상키(60)를 약 90도 정도 회전시킬때 까지는 데드볼트(40)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동기어(528)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이동캠(532)의 내측 벽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532b)이, 연동기어(528)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동회전핀(220)이 내부에 끼움 결합된 회전축(534)의 외주연에 형성된 요철(凹凸)부(535) 중 철(凸)부(535b)에 걸림되어 분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연동기어(528)가 회전하더라도 수동회전핀(220)은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계속해서 비상키(60)를 돌리면 기어부(520)가 회전하면서 이동캠(532)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돌기(532a)가 중간기어(526)의 돌출부(526a)에 형성된 테이퍼부(526b)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캠(532)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이동캠(532)은 상승하면서 내측 벽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532b)이 회전축(534)의 외주연에 형성된 요철(凹凸)부(535) 중 요(凹)부(535a)에 끼움 결합되어 공회전 상태가 끝나면서 연동기어(528)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534)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534)에 끼움 결합된 수동회전핀(22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동회전핀(220)의 회전에 의해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에서 상기 수동회전핀(220)에 끼움 결합된 데드캠부(42)가 작동되면서 데드볼트(40)를 도어틀로부터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데드볼트(40)가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외측핸들(24)을 회전시키면 외측핸들(24)과 결합된 래치작동봉(440)이 회전하면서 래치캠부(52)를 회전시켜 래치볼트(50)를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로 인입시키게 되어 외측핸들(24)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잡아당기면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의 외측에서 누군가가 침입을 위해 키몸체(512)를 강제적으로 파손시켜 키몸체(512)를 외측몸체(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빼내게 되면, 중간연결봉(514)이 분리 이탈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동회전핀(220)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중간연결봉(514)이 분리 이탈되어 수동회전핀(220)을 회전시키는 기어부(520)의 구동베벨기어(522), 구동변환베벨기어(524), 중간기어(526) 및 연동기어(528)를 구동시킬 수가 없어 비상키(60)의 작동이 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의 강제적인 파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의하면, 내측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중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잠금부 및 썸턴부와 내측핸들이 분리 구성되어 이중잠금과는 상관없이 내측핸들의 회전만으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동시에 해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다른 부품들이 파손되더라도 내측핸들만 남아 있으면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키의 작동구조를 외측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 구성하여 비상키의 복제가 쉽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키몸체의 강제적인 파손시에 중간연결봉이 분리 이탈되어 비상키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의 강제적인 파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 및 방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Claims (10)

  1. 도어의 내,외측에 설치되고, 내,외측핸들(16)(24)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내,외측몸체(10)(20)와, 상기 내측몸체(10)에 설치되는 이중잠금부(100)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상자(30)를 포함하는 이중잠금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이중잠금부(100)의 하단에는 잠금해제편(150)이 결합되고, 상기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에는 핸들스토퍼(410)가 결합되어, 상기 내측핸들(16)의 회전에 의해 핸들스토퍼(410)가 잠금해제편(150)을 들어올려 이중잠금이 해정됨과 동시에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몸체(10)는,
    중앙 하부에 형성된 썸턴홀(12)에 끼움 결합되어 데드볼트(40)를 연동시키는 썸턴부(200)와,
    상기 썸턴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중잠금기능을 부여하는 이중잠금부(100)와,
    상기 썸턴홀(1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제1베벨기어(310)가 구비된 구동모터(300)와,
    상기 썸턴부(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310)와 연동되는 제2베벨기어(320) 및,
    상기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과 결합되는 스토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썸턴부(200)는 상기 썸턴홀(12)에 회동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썸턴축(212)을 포함하는 썸턴(210)과, 일측 단부가 상기 썸턴축(212)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은 잠금장치상자(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측몸체(20)와 연통되는 수동회전핀(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잠금부(100)는 누름작동에 의해 PCB판(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이중잠금버튼(110)과, 상기 이중잠금버튼(110)의 누름작동에 의해 이동하고 하단에 상기 잠금해제편(150)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24)가 돌출 형성된 이동플레이트(120) 및 상기 이중잠금버튼(110)과 이동플레이트(120)를 내측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400)는 상기 내측핸들(16)의 핸들축(18)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핸들(16)의 회동을 제한하는 핸들스토퍼(410)와, 상기 핸들스토퍼(410)의 회동을 제한하는 핸들전환플레이트(420) 및 상기 핸들전환플레이트(420)를 내측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편(4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몸체(20)의 하단에는 비상키작동장치부(500)가 상방향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비상키작동장치부(500)는 비상키(60)에 의해 작동되는 키조작부(510)와, 상기 키조작부(51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내측몸체(10)의 썸턴축(212)에 끼움 결합된 수동회전핀(220)을 연동시키는 기어부(520) 및 상기 기어부(520)의 일측 상단에 결합되는 공회전부(5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조작부(510)는 비상키(60)가 결합되는 키몸체(512)와, 상기 키몸체(51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중간연결봉(514)과, 상기 중간연결봉(514)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기어봉(5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520)는 상기 키조작부(5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522)와, 상기 구동베벨기어(522)와 직각으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구동변환베벨기어(524)와, 상기 구동변환베벨기어(524)의 일측에 설치되는 중간기어(526) 및 상기 중간기어(526)의 타측에 설치되어 썸턴축(212)에 끼움 결합된 수동회전핀(220)을 연동시키는 연동기어(5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부(530)는 상기 연동기어(528)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이동캠(532)과, 상기 연동기어(528)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534)과, 상기 이동캠(532)과 회전축(534)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캡(5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어(526)의 상부에는 일측에 테이퍼부(526b)가 형성된 돌출부(526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캠(532)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532a)가 상기 테이퍼부(526b)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동캠(532)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20070065644A 2007-06-29 2007-06-29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089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644A KR100897022B1 (ko) 2007-06-29 2007-06-29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644A KR100897022B1 (ko) 2007-06-29 2007-06-29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51A KR20090001351A (ko) 2009-01-08
KR100897022B1 true KR100897022B1 (ko) 2009-05-25

Family

ID=4048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644A KR100897022B1 (ko) 2007-06-29 2007-06-29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3166A1 (zh) * 2018-12-28 2020-07-02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锁机构、锁具及开锁方法
KR102242083B1 (ko) * 2021-03-19 2021-04-19 강희식 도어록의 도어핸들 위치 변경장치 및 외부키를 통한 도어록의 잠금 강제 해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81B1 (ko) * 2009-02-11 2011-03-29 주식회사 아이레보 방범기능이 강화된 전자식 문 잠금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BR112012002537A2 (pt) * 2009-08-03 2017-08-08 Combi Lock conjunto de fechadura
KR101034037B1 (ko) * 2010-11-23 2011-05-12 주식회사 시스텍원 디지털 도어락
KR200465833Y1 (ko) * 2011-10-14 2013-03-1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비상키실린더와 결합하는 섬턴의 공회전 구조
KR101372590B1 (ko) * 2012-08-01 2014-03-11 정화수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101359303B1 (ko) * 2012-08-02 2014-02-10 (주)디에스이 박스용 록커
CN104878995B (zh) * 2015-05-08 2017-04-12 宁波市海希尔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
US11536052B2 (en) * 2018-02-12 2022-12-27 Xiamen Make Security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storage cabinet lock
CN110043137B (zh) * 2019-05-06 2023-11-03 厦门美科安防科技股份有限公司 无源挂锁
CN110685502B (zh) * 2019-09-27 2024-04-02 厦门美科物联科技有限公司 多功能门锁
CN111608494A (zh) * 2020-06-15 2020-09-01 中山市无敌虎锁业有限公司 一种全自动安全锁体
CN113266216A (zh) * 2021-05-20 2021-08-17 光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有源挂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754A (ja) *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20040069314A (ko) * 2004-07-16 2004-08-05 김상민 도어록 메커니즘
KR100656273B1 (ko) 2005-05-30 2006-12-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KR100728658B1 (ko) 2006-07-21 2007-06-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풀림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3754A (ja) *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20040069314A (ko) * 2004-07-16 2004-08-05 김상민 도어록 메커니즘
KR100656273B1 (ko) 2005-05-30 2006-12-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KR100728658B1 (ko) 2006-07-21 2007-06-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풀림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3166A1 (zh) * 2018-12-28 2020-07-02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锁机构、锁具及开锁方法
CN111630235A (zh) * 2018-12-28 2020-09-04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锁机构、锁具及开锁方法
CN111630235B (zh) * 2018-12-28 2021-10-15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锁机构、锁具及开锁方法
KR102242083B1 (ko) * 2021-03-19 2021-04-19 강희식 도어록의 도어핸들 위치 변경장치 및 외부키를 통한 도어록의 잠금 강제 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351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022B1 (ko) 이중잠금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480508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0910386B1 (ko)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모티스
KR101436602B1 (ko)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20090102979A (ko) 도어락 모티스
JP3788968B2 (ja) 電気錠
CN112282514A (zh) 一种复位结构、防猫眼开锁结构及具有换向功能的防盗锁
KR101771196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KR101873396B1 (ko)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10187647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 도어락 장치
KR20180060394A (ko) 푸시풀 전환이 용이한 푸시풀 도어락
KR101410865B1 (ko) 실내측, 실외측 손잡이 각각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 장치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777640B1 (ko) 개선된 내부구조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CN109898926A (zh) 一种门锁具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CN108193941A (zh) 一种智能防盗门
CN212271848U (zh) 一种全自动安全锁体
WO2014107048A1 (ko) 푸쉬-풀 도어락
JP3099000U (ja) 電子錠
KR102219675B1 (ko) 래치볼트 자동 풀림식 디지털 도어록 모티스
CN218715862U (zh) 一种多控式锁体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