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033A - 어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어류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033A
KR20210006033A KR1020190081778A KR20190081778A KR20210006033A KR 20210006033 A KR20210006033 A KR 20210006033A KR 1020190081778 A KR1020190081778 A KR 1020190081778A KR 20190081778 A KR20190081778 A KR 20190081778A KR 20210006033 A KR20210006033 A KR 20210006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fish
washed
plat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8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6033A/ko
Publication of KR2021000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여러대의 세척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어류의 세척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세척 대상 어류로부터 세척홀 보다 작은 크기의 어류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어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 대상 어류와 세척수가 내부에 투입되도록 통체 형상으로 형성된 세척통과, 상기 세척통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세척통 내부에 투입된 세척 대상 어류를 세척수에 의해 고루 세척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체와, 상기 세척통의 내 측면에 서로 다른 두 개가 쌍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각각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도록 상기 레일홈에 양측이 끼워져 상기 세척통의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되고, 결합시에는 상기 세척통의 내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수공간이 확보됨과 동시에 세척통의 내부가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세척통 내부에서 어류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 및 어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복수개의 세척홀이 형성된 세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류 세척장치{DEVICE FOR CLEANING FISH}
본 발명은 멸치나 새우 등과 같은 어류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할 어종 및 크기에 적합한 세척홀이 형성된 세척판을 용이하게 교체 설치함으로써, 여러대의 세척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어류의 세척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어류를 세척하면서 세척홀 보다 작은 크기의 어류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어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포획한 이후에는 크기와 종류별로 선별작업을 수행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세척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어류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세척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세척장치는 원형으로 된 이중구조의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통의 외주면과 바닥면에 세척수 및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세척홀이 구비된 세척통과, 세척통의 중심부에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세척 대상 어류를 세척통 내에서 회전시키며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도록 하는 회전체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의 세척홀이 세척통마다 설정된 크기와 형태로 타공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 대상이 되는 어류의 종류 및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그에 부합하는 크기와 형태의 세척홀이 형성된 세척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대의 세척장치를 구비해야 했다.
이로 인해 여러 종의 어류는 물론이고 특정 어류만을 선택하여 세척하는 경우에도 어류의 크기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어류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여러대의 세척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세척장치를 사용 및 보관하기 위한 장소(공간)를 확보해야 하는 비용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세척통은 내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날개가 세척통에 담긴 세척 대상 어류를 빠짐없이 회전시키며 세척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세척통의 내면을 원형으로 형성시킨 경우에는 회전날개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어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세척홀을 통해 신속히 배출됨에 따라, 어류를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물을 이용해 오랜시간 세척해야 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어류 세척장치를 이용해 어류를 세척하는 데 경우에는 많은 세척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또한 다량의 세척수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과다한 물 사용으로 인한 재화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965672호(2019.03.29.등록, 수산물세척장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775호(2014.01.22.공개,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의 세척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크기와 형태의 세척홀이 형성된 세척판을 세척통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세척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어류와 크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어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세척통에 설치되는 세척판에 의해 세척통 내부가 각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어류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어류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어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세척통에 설치된 세척판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어류를 세척하는 동안 세척판이 임의로 유동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어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 대상 어류와 세척수가 내부에 투입되도록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세척된 어류를 꺼내기 위한 인출도어(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복수개의 배수홀(12a)이 형성된 하부지지판(12)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판(12)의 하측으로는 어류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 및 어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수관(13)이 설치된 세척통(10)과, 상기 세척통(10)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세척통(10) 내부에 투입된 세척 대상 어류를 회전시키며 세척수에 의해 고루 세척되도록 하는 회전날개(22)로 구성된 회전체(20)와, 상기 세척통(10)의 내 측면에 서로 다른 두 개가 쌍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각각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레일홈(41)이 형성된 가이드레일(40)과,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4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도록 상기 레일홈(41)에 양측이 끼워져 상기 세척통(10)의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되고, 결합시에는 상기 세척통(10)의 내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수공간이 확보됨과 동시에 세척통(10)의 내부가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세척통(10) 내부에서 어류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 및 어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복수개의 세척홀(51)이 형성된 세척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40)과 세척판(50)은 상기 세척통(10)의 내 측면이 5각 내지 12각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통(10)의 내 측면 또는 외 측면에는 결속홀(16)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속구(15)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판(50)에는 상기 세척통(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홀(16)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56)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구(55)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판(50)과 세척통(10)은 상기 결속홀(16)과 고정홀(56)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부재(6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세척장치는 세척통 내부에 설치되는 세척판을 세척 대상 어류 및 그 어류의 크기에 부합되게 교체할 수 있고, 세척통 내부에 설치되는 세척판이 각형을 이룬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하나의 세척장치를 이용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어류를 세척할 수 있어 어류의 세척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키면서도 어류의 세척효율은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류 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판에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세척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세척통 내부에 투입된 세척수가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판이 체결부재를 통해 세척통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류 세척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류 세척장치는 크게 세척통(10), 회전체(20), 가이드레일(40) 및 세척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세척통(10)은 멸치나 새우 등의 세척할 대상 어류 및 세척수가 내부에 투입될 수 있는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세척통(10)의 일측에는 세척을 끝낸 어류를 꺼낼 수 있도록 인출도어(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척통(10)의 하부에는 상하로 복수개의 배수홀(12a)이 형성된 하부지지판(12)이 설치된다.
또한 세척통(10)에는 하부지지판(12)을 통해 배출된 세척수 및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4)이 설치되며, 배출관(14)에는 세척수 및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밸브(14a)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세척통(10)은 복수개의 지지다리(14)에 의해 배출관(14)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지면에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지지판(12)은 세척통(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세척통(10)의 바닥면은 배출관(14)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배수홀(12a)을 통해 배출된 세척수 및 이물질을 하부지지판(12)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수집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 수집된 세척수 및 이물질이 배출관(14)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회전체(20)는 세척통(10)의 중심부에 세척통(1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21)과, 이러한 회전체(20)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세척통(10) 내부에 투입된 세척 대상 어류를 회전시키면서 세척수에 의해 고루 세척되도록 하는 회전날개(22)를 포함하여 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날개(22)는 세척통(10)에 투입된 세척 대상 어류가 세척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것인 만큼, 회전축(21)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하부지지판(12)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회전날개(22)는 세척 대상 어류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면서도 회전체(20)에 작용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회전축(21)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의 구동수단(30)은 세척통(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21)에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거나, 체인이나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력을 전달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가이드레일(40)은 세척통(10)의 내 측면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레일(40)의 일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레일홈(41)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레일(40)은 서로 다른 두 개가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지되, 쌍을 이루는 각각의 가이드레일(40)에 형성된 레일홈(41)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쌍을 이루는 각각의 레일홈(41)에 후술할 세척판(40)의 양측부가 끼워져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가이드레일(40)은 서로 다른 한 쌍이 서로 접촉되거나 또는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세척통(1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가이드레일(40)을 매개로 세척판(50)을 세척통(10)에 설치하였을 때 세척통(10)의 내부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형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세척판(50)은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가이드레일(4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세척통(10)의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세척판(50)의 양측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4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각각의 레일홈(41)에 끼워진다.
이러한 세척판(50)이 세척통(10) 내부에 결합된 경우에는, 세척판(50)이 세척통(10)의 내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는 배수공간이 확보되고, 세척통(10)을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세척통(10)의 내부가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척판(50)은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세척통(10) 내 측면에 가이드레일(40)이 설치되는 위치와 각각의 가이드레일(40)에 레일홈(41)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5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세척판(50)에는 세척통(10)의 내부에서 어류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 및 어류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복수개의 세척홀(51)이 형성된다.
여기서 세척홀(51)은 세척 대상 어류보다는 작은 크기이면서 세척수와 세척 대상 어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세척홀(51)의 크기와 형상은 도 3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어류 세척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류를 세척하기에 앞서 세척통(10)에는 세척판(50)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때에 설치되는 세척판(50)은 세척할 대상 어류와 그 어류의 크기를 감안해 적합한 크기와 형태의 세척홀(51)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면 되며,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40)의 레일홈(41)에 세척판(50)의 양측을 끼워 설치하면 된다.
여기서 적합한 크기와 형태의 세척홀(51)이란 세척 대상 어류는 빠져나가지 않으면서도 어류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와, 세척 대상 어류보다 작은 크기의 어류와, 어류를 세척하는 동안 어류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세척판(50)을 설치함에 따라 형성되는 세척통(10)의 각 형상은 세척 대상 어류의 크기와 투입량을 감안해, 그에 알맞는 각 형상을 이루도록 세척판(50)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통(10)에 세척판(50)을 설치한 이후에는 멸치나 새우 등의 세척할 대상 어류와 세척수를 세척통(10) 내부에 투입하고, 세척 대상 어류와 세척수의 투입을 완료한 이후에는 구동수단(30)을 구동시켜 회전체(20)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체(20)를 회전시키기에 앞서 세척할 대상 어류와 세척수를 세척통(10) 내부에 투입하고나서 세척통(10)의 투입구 즉, 세척통(10)의 개구된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세척통(1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덮개(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회전체(20)가 구동수단(3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세척통(10)에 투입된 세척 대상 어류와 세척수는 회전날개(22)에 의해 회전체(20)의 회전방향으로 세척통(10) 내부를 이동하면서 각형으로 설치된 세척판(50)에 부딪히게 된다.
세척통(10)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 세척판(50)에 부딪힌 세척 대상 어류와 세척수는 일시적으로 회전이 제한된 상태가 되고, 세척판(50)에 부딪힌 세척 대상 어류와 세척수는 비중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게 되어, 어류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세척수가 어류의 표면을 세척하게 되므로, 어류의 세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판(50)이 세척통(10) 내에서 각형을 이루도록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세척통(10)에 투입된 세척수는 회전체(20)가 회전함에 따라 곧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어류를 충분히 세척하고 난 이후에 이물질과 함께 세척홀(51)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류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는 세척판(50)에 형성된 세척홀(51)을 통해 세척통(10)과 세척판(50)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된 배수공간을 통해 측방으로 배수되고, 이 배수공간으로 배수된 세척수는 세척통(10) 내에서 어류가 세척되는 공간에서 하향 이동된 세척수와 함께 하부지지판(12)에 형성된 배수홀(12a)을 통해 세척통(10)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배수관(13)으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세척 대상 어류의 세척을 마치고 난 이후에는 인출도어(11) 측에 설치된 세척판(50)을 설정된 높이로 들어올리고, 이후 인출도어(11)을 개방시켜 세척된 어류를 세척통(10)으로부터 꺼내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세척장치는 세척 대상 어류 및 그 어류의 크기에 부합하는 크기와 형태의 세척홀(51)이 형성된 세척판(50)을 세척통(10) 내부에 쉽고 편리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어 하나의 세척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어류와 크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기존과 같이 세척홀(51)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여러대의 세척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세척통(10)에 설치되는 세척판(50)은 세척통(10) 내부가 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세척 대상 어류가 세척수에 의해 충분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류의 세척효율은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어류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 및 이물질은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세척통(10)의 내부는 상기한 가이드레일(40) 및 세척판(50)에 의해 5각형 내지 12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전체(20)가 회전하면서 어류를 세척하는 동안 각각의 세척판(50)이 세척수의 회전 속도를 낮춰주면서도 세척수가 세척홀(51)을 통해 신속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류의 세척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척통(10)의 내부가 3각 또는 4각 형상을 이루도록 세척판(50)을 설치한 경우에는 세척통(10)의 내부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한 번에 어류를 세척할 수 있는 양이 적어지게 되거나, 회전날개(22)와 모서리 부분 사이가 너무 멀어지게 되어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어류를 제대로 세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12각형을 초과하여 세척판(5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세척통(10)의 내부가 거의 원형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세척판(50)의 설치하지 않은 상태 즉, 원통 형상의 세척통과 비교하여 세척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통(10)과 세척판(50)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결속구(15)와 고정구(55)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속구(15)와 고정구(55) 각각에는 체결부재(6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결속홀(16)과 고정홀(56)이 형성된다.
여기서 첨부한 도면에는 고정구(55)에 형성된 고정홀(56)이 고정구(55)의 일측 끝단부까지 개구된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고정홀(56)과 결속홀(16)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체결부재(60)를 통해 용이하게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의 고정홀(56)은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세척판(50)을 끼워 결합하였을 때 결속홀(16)과 일치하는 위치에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결속구(15)는 세척통(10)의 내 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세척통(10)의 외 측면에 결속구(15)를 설치하고 고정구(55)는 이러한 결속구(15)에 체결부재(60)를 통해 결속될 수 있도록 세척판(50)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고정구(50)는 세척판(50)이 세척통(10)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 뿐만 아니라 결속구(15)가 세척통(10)의 외 측면에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결속구(15)가 세척통(10)의 외 측면 상단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
Figure pat00001
'자 또는 '
Figure pat00002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속구(15)가 세척통(10)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에는 '
Figure pat00003
'자 또는 '
Figure pat00004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의 체결부재(60)는 일반적인 육각볼트 또는 렌치볼트가 사용되거나, 이들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나, 결합과 분리의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나비볼트와 같이 손잡이가 달린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40)을 통해 세척통(10)에 설치된 세척판(50)이 체결부재(60)를 통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세척판(50)을 세척통(10)에 설치하였을 때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어류를 세척하는 동안 세척판(50)이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임의로 유동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세척통 11 : 인출도어
12 : 하부지지판 12a : 배수홀
13 : 배수관 14 : 지지다리
15 : 결속구 16 : 결속홀
20 : 회전체 21 : 회전축
22 : 회전날개
30 : 구동수단
40 : 가이드레일 41 : 레일홈
50 : 세척판 51 : 세척홀
55 : 고정구 56 : 고정홀
60 : 체결부재

Claims (3)

  1. 세척 대상 어류와 세척수가 내부에 투입되도록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세척된 어류를 꺼내기 위한 인출도어(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복수개의 배수홀(12a)이 형성된 하부지지판(12)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판(12)의 하측으로는 어류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 및 어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수관(13)이 설치된 세척통(10);
    상기 세척통(10)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수단(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세척통(10) 내부에 투입된 세척 대상 어류를 회전시키며 세척수에 의해 고루 세척되도록 하는 회전날개(22)로 구성된 회전체(20);
    상기 세척통(10)의 내 측면에 서로 다른 두 개가 쌍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각각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레일홈(41)이 형성된 가이드레일(40);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4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도록 상기 레일홈(41)에 양측이 끼워져 상기 세척통(10)의 상하 방향으로 분리 결합되고, 결합시에는 상기 세척통(10)의 내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수공간이 확보됨과 동시에 세척통(10)의 내부가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세척통(10) 내부에서 어류를 세척하는데 사용된 세척수 및 어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복수개의 세척홀(51)이 형성된 세척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0)과 세척판(50)은 상기 세척통(10)의 내 측면이 5각 내지 12각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10)의 내 측면 또는 외 측면에는 결속홀(16)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속구(15)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판(50)에는 상기 세척통(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홀(16)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56)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구(55)가 설치되며, 상기 세척판(50)과 세척통(10)은 상기 결속홀(16)과 고정홀(56)에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부재(60)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세척장치.
KR1020190081778A 2019-07-08 2019-07-08 어류 세척장치 KR20210006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78A KR20210006033A (ko) 2019-07-08 2019-07-08 어류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78A KR20210006033A (ko) 2019-07-08 2019-07-08 어류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033A true KR20210006033A (ko) 2021-01-18

Family

ID=7423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778A KR20210006033A (ko) 2019-07-08 2019-07-08 어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60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09B1 (ko) * 2021-09-27 2022-01-18 (주)유일육가공 육류 세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775A (ko) 2012-07-12 2014-01-22 강용석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의 세척장치
KR101965672B1 (ko) 2018-11-03 2019-04-03 강기덕 수산물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775A (ko) 2012-07-12 2014-01-22 강용석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의 세척장치
KR101965672B1 (ko) 2018-11-03 2019-04-03 강기덕 수산물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09B1 (ko) * 2021-09-27 2022-01-18 (주)유일육가공 육류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475B2 (en) Conveyer apparatus for discharging chips
AU2014311178B2 (en) Machine for washing omasum of cattle
JP6407862B2 (ja) 食品処理装置
CN103951002B (zh) 固液分离装置
CN205922740U (zh) 一种黄颡鱼产品加工设备
KR20210006033A (ko) 어류 세척장치
KR101683253B1 (ko) 건과실 분리장치
KR101027156B1 (ko) 절삭칩,오일 원심 분리기
CN207401255U (zh) 一种柴油机油多级过滤装置
CN201131265Y (zh) 除鱼鳞机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CN108576868B (zh) 洗果干果一体机
KR101645678B1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CN215049594U (zh) 一种便于清洗的畜禽粪污处理装置
CN107350203A (zh) 一种农业作物根部清洗装置
US7261628B2 (en) Dual operation tripe washing and refining machine
CN209226643U (zh) 一种用于污水处理厂的除油撇渣装置
KR101347221B1 (ko) 협잡물 배출 블레이드를 갖는 사일로
CN108577726B (zh) 水槽洗碗机用垃圾破碎器的控制方法
CN109602040B (zh) 一种果蔬清洗装置
JP4472829B2 (ja) 沈砂洗浄装置
CN217089502U (zh) 一种蔬菜清洗装置
KR1020096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4718884U (zh) 一种用于销钉生产的油污清洗装置
KR1008256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