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697A -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스피로피페리딘 알로스테릭 조정제 - Google Patents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스피로피페리딘 알로스테릭 조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697A
KR20210005697A KR1020207034124A KR20207034124A KR20210005697A KR 20210005697 A KR20210005697 A KR 20210005697A KR 1020207034124 A KR1020207034124 A KR 1020207034124A KR 20207034124 A KR20207034124 A KR 20207034124A KR 20210005697 A KR20210005697 A KR 20210005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ane
azaspiro
sulfonamide
oxadiazol
diflu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811B1 (ko
Inventor
브렌단 엠. 크롤리
브라이언 티. 캠벨
해리 알. 초바니안
제임스 아이. 펠스
데오디얼 지. 구이아딘
토마스 제이. 그레쇽
케네스 제이. 레빗
바네사 엘. 라다
이안 엠. 벨
Original Assignee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0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8The ring being spiro-condensed with carbocyclic o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8Bridg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α7 nAChR의 조정제로서 유용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질환 특히 중추 신경계의 장애, 예컨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 장애, 뿐만 아니라 L-도파 유발 이상운동증 및 염증을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기 위한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스피로피페리딘 알로스테릭 조정제
본 개시내용은 α7 nAChR의 조정제로서 유용한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질환 특히 중추 신경계의 장애, 예컨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 장애를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기 위한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α7 nAChR은 Ca2+에 높은 투과성을 갖는 빠른 탈감작 리간드-게이팅 이온 채널이다. 인간 뇌에서, α7 nAChR은 인지와 연관된 영역인 피질 및 해마에서 고도로 발현되며, 예를 들어 문헌 [Breese et al. J. Comp. Neurol. (1997) 387:385-398]을 참조한다. 뉴런에서, α7 nAChR은 시냅스전(pre-synaptic) 구조 및 시냅스후(post-synaptic) 구조 둘 다에 국재화되고, 여기서 수용체의 활성화는 신경전달물질 방출, 뉴런 흥분성 및 세포내 신호전달을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Frazier et al. J. Neurosci. (1998) 18:1187-1195]을 참조한다.
인지 장애는 알츠하이머병 (AD), 정신분열증 및 파킨슨병을 포함하는 많은 신경계 및 정신 질환에서 보편적이고, 콜린성 신호전달에서의 기능장애가 이들 질환의 인지 장애의 원인이 되며, 예를 들어 문헌 [Francis et al.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9) 66:137-147]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AD의 발병기전의 주요 특색은 기저 전뇌핵에서의 콜린성 뉴런의 손실인 반면,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의 억제를 통해 콜린성 전달을 증가시키는 것은 AD의 인지적 증상에 대한 표준 관리이다. α7 nAChR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α7 nAChR의 부분 효능제인 엔세니클린(encenicline)은 알츠하이머병에서 인지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최근 증명되었으며, 예를 들어 문헌 [Moebius H et al., 67th Annual Meeting. Am. Acad. Neurol. (AAN) 2015, Abst P7.100]을 참조한다. α7 nAChR가 정신분열증의 병인에 관련되어 있다는 증거는 정신분열 환자의 뇌에서 뉴런 α7 nAChR의 감소된 발현을 증명하는 연구 및 자기-치료의 형태로 여겨지는, 정신분열 환자는 빈번하게 흡연한다는 관찰로부터 유래한다. 또한, α7 nAChR 단백질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α7 nAChR을 코딩하는 유전자 CHRNA7의 프로모터 영역에서의 변이체는 정신분열증의 증상과 연관되며, 예를 들어 문헌 [Sinkus et al. Neuropharmacology (2015) 96:274-288]을 참조한다. 더욱이, 임상 시험으로부터 축적된 증거는 효능제를 사용하여 α7 nAChR을 활성화하는 것이 인지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Keefe et al. Neuropsychopharmacology (2015) 40:3053-3060 and Bertrand et al. Pharmacology Reviews (2015) 67:1025-1073]를 참조한다. 따라서, α7 nAChR을 표적화하는 것은 다양한 인지 장애와 연관된 인지 장애의 치료를 위한 치료 전략을 대표한다.
파킨슨병 (PD)은 운동 기능의 점진적 결손, 예컨대 진전, 운동완만, 강직 및 손상된 자세 반사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신경변성 질환이다. 질환과 연관된 주요 병리학적 발견은, 선조체에서 도파민성 긴장 손실을 초래하는 흑색질의 도파민성 뉴런의 변성이다. L-도파는 PD에서의 운동 증상에 대한 현행 표준 치료이다. 그러나, PD 환자에서 L-도파를 사용하는 만성 치료는 또한 L-도파 요법의 부작용인 이상운동증을 유발한다. 새로운 증거는 α7 nAChR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여러 동물 모델에서 이상운동증을 급격하게 완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며, 예를 들어 문헌 [Zhang et al. J. Pharmacol. Exp. Ther. (2014) 351:25-32]를 참조한다. 또한, 축적된 증거는 α7 nAChR 효능제를 사용한 전처리가 흑질선조체 뉴런에서 신경변성에 대해 보호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이는 α7 활성화가 또한 질환 조절 특성을 가질 수 있음을 제안하며, 예를 들어 문헌 [Suzuki et al. J. Neurosci. Res. (2013) 91:462-471]을 참조한다. 전반적으로, α7 nAChR은 질환 진행의 호전 및 이상운동증의 관리 둘 다를 위한 매력적인 표적이다.
중추 신경계에서 그의 발현에 더하여, α7 nAChR은 대식세포, 단핵구, 수지상 세포 및 B 및 T 세포를 비롯한 말초 면역 세포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되며, 예를 들어 문헌 [Rosas-Ballina et al. Science (2011) 334:98-101]을 참조한다. 말초 α7 nAChR의 활성화는 콜린성 항염증 경로를 통해 염증유발 시토카인의 방출을 억제하는데 중요하며, 예를 들어 문헌 [Wang et al. Nature (2003) 421:384-388]을 참조한다. 따라서, α7 nAChR은 여러 염증성 질환,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아테롬성동맥경화증에 대한 잠재적 표적이며, 예를 들어 문헌 [WJ de Jonge et al. British J. Pharmacol. (2007) 151:915-929]를 참조한다.
최근 수년간, α7-선택적 양성 알로스테릭 조정제 (PAM)는 AD, PD 및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 장애, 뿐만 아니라 L-도파 유발 이상운동증 및 염증 치료에 대한 치료 접근법으로 제안되어왔다. 내인성 효능제와 무관하게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α7 효능제와 달리, PAM은 신경전달의 시간 및 공간적 완전성을 교란시키지 않으면서 내인성 효능제의 효력을 증가시킨다. α7 PAM의 2개의 부류, 유형 I 및 유형 II가 있고, 이는 조정의 기능적 특성을 기준으로 상이하다. 유형 I PAM (예를 들어 NS1738, 예를 들어 문헌 [Timmermann et al. J. Pharmacol. Exp. Ther. (2007) 323:294-307] 참조)은 수용체 탈감작화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피크 전류에 우세하게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유형 II PAM (예를 들어 PNU120596, 예를 들어 문헌 [Hurst et al. J. Neurosci. (2005) 25:4396-4405] 참조)은 수용체의 탈감작을 현저하게 지연시킨다. 추가적으로, α7 nAChR PAM은, 아마도 수용체의 비-보존된 영역과의 결합을 통해, 관련된 채널 표적에 비해 개선된 선택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α7 nAChR의 양성 알로스테릭 조정을 나타내는 신규한 부류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 및 II의 신규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이들 화합물은 α7 nAChR의 조정, 질환 특히 중추 신경계의 장애 예컨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호전에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적절한 경우에)으로서 및/또는 제약 조성물 성분으로서 유용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 성분으로서, 이들 화합물 및 그의 염이 1차 활성 치료제일 수 있고, 적절한 경우에,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NMDA 수용체 길항제, 베타-세크레타제 억제제, M4 mAChR 효능제 또는 PAM, mGluR2 길항제 또는 NAM 또는 PAM, 5-HT6 길항제, 히스타민 H3 수용체 길항제, PDE4 억제제, PDE9 억제제, HDAC6 억제제, 항정신병제, MAO-B 억제제 및 레보도파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른 치료제와 조합될 수 있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n은 0, 1 또는 2이고;
X는 S(O)2 또는 C(O)이고;
R1은 NRaRb 및 Rc로부터 선택되고;
Ra는 H, (C1-C4)알킬, (C3-C6)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은 R8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b는 H 또는 (C1-C4)알킬이고;
Rc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R9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Rc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1개 이상의 R10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A는 5-원 헤테로아릴 고리이며, OH, 옥소, NR6R7, CN, 알콕시, 할로겐, 아미노알킬, 히드록시알킬,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R 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상기 R 기는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C1-C4)알킬, 또는 O(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2개의 R2는 둘 다가 (C1-C4)알킬이고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되는 경우에 임의로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또는 시클로펜틸 고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R2는 둘 다가 (C1-C4)알킬이고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임의로 함께 가교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가교된 고리는 OH, 할로겐, 또는 (C1-C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3은 H, 할로겐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4는 H, 할로겐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임의로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고리는 OH, 할로겐, 또는 (C1-C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5는 H 또는 (C1-C4)알킬이고;
R6은 H 또는 (C1-C4)알킬이고;
R7은 H 또는 (C1-C4)알킬이고;
R8은 OH, (C1-C4)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R9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R10은 메틸 또는 히드록실이고;
R11은 할로겐, OH, 옥소, CF3, OCF3, CN, (C1-C6)알킬, O(C1-C6)알킬, S(C1-C4)알킬, C=O(C1-C4)알킬, NR12R13, (C=O)NR6R7, (C=O)OR6, (C2-C4)알케닐, (C2-C4)알키닐, (C3-C6)시클로알킬, O(C3-C6)시클로알킬, C=O(C3-C6)시클로알킬, 아릴, O-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은 1개 이상의 할로겐, (C1-C4)알킬, (C3-C6)시클로알킬, CF3, OCF3, OCH3, CN, OH 및 옥소로 임의로 치환되고;
R12는 (C1-C4)알킬,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아릴, 또는 (C=O)R6이고, 각각은 할로겐, (C1-C4)알킬, 및 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13은 (C1-C4)알킬,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아릴, 또는 (C=O)R6이고, 각각은 할로겐, (C1-C4)알킬, 및 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이러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 측면 및 특색은 하기 설명,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추가로 기재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은 α7 nAChR의 양성 알로스테릭 조정제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에서, -X-R1
Figure pct00002
이고, 다른 기는 상기 화학식에 제공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서, R2는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또는 F이고, 다른 기는 상기 화학식, 또는 제1 실시양태에 제공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에서, A는 5-원 헤테로아릴 고리이며, OH, 옥소, NR6R7, CN, 알콕시, 할로겐, 아미노알킬, 히드록시알킬,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의 R 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상기 R 기는 또한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다른 기는 상기 화학식, 또는 제1 및 제2 실시양태에 제공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에서, R은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각각은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다른 기는 상기 화학식, 또는 제1, 제2 및 제3 실시양태에 제공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양태에서, R은 시클로헥실,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또는 이속사졸릴이고, 각각은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다른 기는 상기 화학식, 또는 제1 내지 제4 실시양태에 제공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및 메틸로부터 선택되고, 다른 기는 상기 화학식, 또는 제1 내지 제5 실시양태에 제공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Z는 독립적으로 F, Cl, Br, 메틸, 메톡시, 에틸, 에톡시, 프로필, -CH2OH, -CH2CH2OH, -CF3, -CH2CF3, -OCF3, -OCHF2, -OCH2CF3, 및 시클로프로필로부터 선택되고;
고리 A는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졸릴, 피라졸릴 또는 이미다졸릴이고;
고리 B는 시클로헥실,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또는 이속사졸릴이고;
R3은 H, F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4는 H, F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m은 0, 1 또는 2이고;
Z는 독립적으로 F, Cl, Br, 메틸, 메톡시, 에틸, 에톡시, 프로필, -CH2OH, -CH2CH2OH, -CF3, -CH2CF3, -OCF3, -OCHF2, -OCH2CF3, 및 시클로프로필로부터 선택되고;
고리 A는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또는 티아졸릴이고;
고리 B는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또는 이속사졸릴이고;
R3 및 R4는 둘 다 H이거나, 또는 R3 및 R4는 둘 다 F인
화학식 (II)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예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1R)-1-{5-[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4,4-디플루오로-1-{3-[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C;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E;
(1R)-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D;
(1R)-1-{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메틸-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4-디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3,4-옥사디아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3,4-티아디아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6,7-디히드로-4H-피라졸로[5,1-c][1,4]티아진-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2,4,5,6-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c]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2R)-1,1-디플루오로-2-[5-(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2-[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옥사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거울상이성질체 A;
(1R)-1-[5-(1-에틸-5-메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시클로프로필-5-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R)-1-[5-(2-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2-[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3-옥사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1-[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3-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2,4-디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4-(2-히드록시프로판-2-일)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피리딘-2-일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티오펜-3-일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1-메틸-1H-피라졸-3-일)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2-페닐에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4-({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트-6-일}술포닐)-2,1,3-벤족사디아졸;
6-({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트-6-일}술포닐)-1,3-벤조티아졸;
4-({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트-6-일}술포닐)-5-히드록시-3-메틸-1,2,3-옥사디아졸-3-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N-tert-부틸-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스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N-시클로헥실-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스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N-(피리딘-2-일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N-(이소티아졸-5-일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스아미드;
N-벤질-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스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2-(메틸아미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2-(피롤리딘-1-일)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5-디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시클로헥실-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2-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이미다조[1,2-a]피리딘-7-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5-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3-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5-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클로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시아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디플루오로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클로로-2-(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4-디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4-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2-히드록시프로판-2-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디플루오로메톡시)-4-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4,5-트리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시클로프로필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플루오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시클로프로필-3-메틸-1H-인돌-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프로판-2-일)시클로부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6-디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메틸시클로헥실)-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2-클로로페닐)에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2,5-디플루오로페닐)시클로부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스피로[2.5]옥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덴-1-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시클로프로필}-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페닐시클로부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6-디메틸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스피로[3.3]헵트-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에틸-3-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트리플루오로메틸)-1,3-옥사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에틸-1,3-옥사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5-디메틸이속사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5-디메틸이속사졸-4-일)메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시클로프로필옥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tert-부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3-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7-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3-시클로프로필-1-에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tert-부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4,5,6,7-테트라히드로피라졸로[1,5-a]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5,6-디히드로-4H-피롤로[1,2-b]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1,4,5,6-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c]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시클로프로필-4,5,6,7-테트라히드로-2H-인다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3-시클로프로필피리다진-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피리다진-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프로판-2-일옥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4-디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4H-피라졸로[1,5-c][1,3]티아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3-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프로판-2-일)-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메틸-4,5,6,7-테트라히드로-2H-인다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4,5,6,7-테트라히드로-2H-인다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3-(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3-디히드로-1H-인덴-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페녹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1H-피롤-1-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비페닐-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1-시아노시클로프로필)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피리미딘-2-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1H-피라졸-1-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5-디플루오로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플루오로-2-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메틸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4-페닐-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티아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1-(3,5-디메틸이속사졸-4-일)-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티아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이속사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메틸-1H-이미다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시클로프로필-3,4'-비이속사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4-[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S)-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2-(3-시클로헥실-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1,1-디플루오로-2-[3-(3-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1,1-디플루오로-2-[5-(2-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4,4-디플루오로-1-(3-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4-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4-메틸-1-{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4-트리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4-트리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4-트리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4-트리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4-트리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4-트리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4-트리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2-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1,1-디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1-디플루오로-2-[5-(피페리딘-1-일)-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5-(피페리딘-1-일)-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3'-[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2',2'-디플루오로-3-아자스피로[비시클로[3.2.1]옥탄-8,1'-시클로프로판]-3-술폰아미드; 및
2-[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5-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하기를 포함한다:
(a)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b)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예컨대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 NMDA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메만틴; 베타-세크레타제 억제제 예컨대 베루베세스타트 및 AZD3293; M4 mAChR 효능제 또는 PAM; mGluR2 길항제 또는 NAM 또는 PAM; 5-HT6 길항제 예컨대 이달로피르딘, RVT-101, AVN-101, AVN322, SUVN-502 및 SYN-120; 히스타민 H3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S38093; PDE4 억제제 예컨대 HT0712; PDE9 억제제 예컨대 BI40936; HDAC6 억제제; 항정신병제; LRRK2 억제제; MAO-B 억제제; 및 레보도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a)의 제약 조성물.
(c) 제2 치료제가 클로자핀, 올란자핀, 리스페리돈, 아리피프라졸, 퀘티아핀, 할로페리돌, 록사핀, 티오리다진, 몰린돈, 티오틱센, 플루페나진, 메소리다진, 트리플루오페라진, 클로르프로마진 및 페르페나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정신병제인, (b)의 제약 조성물.
(d) (i)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 및 (ii)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예컨대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과 갈란타민; NMDA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메만틴; 베타-세크레타제 억제제 예컨대 베루베세스타트 및 AZD3293; M4 mAChR 효능제 또는 PAMs; mGluR2 길항제 또는 NAMs 또는 PAMs; 5-HT6 길항제 예컨대 이달로피르딘, RVT-101, AVN-101, AVN322, SUVN-502 및 SYN-120; 히스타민 H3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S38093; PDE4 억제제 예컨대 HT0712; PDE9 억제제 예컨대 BI40936; HDAC6 억제제; 항정신병제; LRRK2 억제제; MAO-B 억제제; 및 레보도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치료제인 제약 조합물이며, 여기서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 및 제2 치료제는 각각 조합물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효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되는 것인 제약 조합물.
(e) 제2 치료제가 클로자핀, 올란자핀, 리스페리돈, 아리피프라졸, 퀘티아핀, 할로페리돌, 록사핀, 티오리다진, 몰린돈, 티오틱센, 플루페나진, 메소리다진, 트리플루오페라진, 클로르프로마진 및 페르페나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정신병제인, (d)의 조합물.
(f) α7 nAChR 활성의 조정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α7 nAChR 활성을 조정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의 용도.
(g)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의 용도.
(h)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의 치료 및/또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의 가능성 또는 증상의 중증도의 감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치료하고/거나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의 가능성 또는 증상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i)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예컨대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 NMDA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메만틴; 베타-세크레타제 억제제 예컨대 베루베세스타트 및 AZD3293; M4 mAChR 효능제 또는 PAM; mGluR2 길항제 또는 NAM 또는 PAM; 5-HT6 길항제 예컨대 이달로피르딘, RVT-101, AVN-101, AVN322, SUVN-502 및 SYN-120; 히스타민 H3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S38093; PDE4 억제제 예컨대 HT0712; PDE9 억제제 예컨대 BI40936; HDAC6 억제제; 항정신병제; LRRK2 억제제; MAO-B 억제제; 및 레보도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효량의 적어도 1종의 제2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h)의 방법.
(j) 제2 치료제가 클로자핀, 올란자핀, 리스페리돈, 아리피프라졸, 퀘티아핀, 할로페리돌, 록사핀, 티오리다진, 몰린돈, 티오틱센, 플루페나진, 메소리다진, 트리플루오페라진, 클로르프로마진 및 페르페나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정신병제인, (i)의 방법.
(k) 대상체에게 (a), (b) 또는 (c)의 제약 조성물, 또는 (d) 또는 (e)의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α7 nAChR 활성의 조정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α7 nAChR 활성을 조정하는 방법.
(l)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의 치료 및/또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의 가능성 또는 증상의 중증도의 감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a), (b) 또는 (c)의 제약 조성물, 또는 (d) 또는 (e)의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치료하고/거나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의 가능성 또는 증상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상기 제공된 화합물 및 염의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실시양태는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양태와 조합될 수 있되, 조합물이 안정한 화합물 또는 염을 제공하고 실시양태의 기재와 일치하는 정도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기 (a) 내지 (l)로 제공된 조성물 및 방법의 실시양태는 또한 실시양태의 조합의 결과인 이러한 실시양태를 포함하여 모든 화합물 및/또는 염의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상기 (a) 내지 (l)에 제시된 제약 조성물, 조합물, 용도 및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그에 사용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기재된 화합물의 실시양태, 측면, 부류, 하위-부류 또는 특색 중 하나의 화합물이다. 이들 모든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임의로 적절한 경우에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수화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i) 하기에서, (ii) 하기를 위한 의약으로서, (iii) 하기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a)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 및 L-도파 유발 이상운동증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b)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 및 L-도파 유발 이상운동증의 치료 및/또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 및 L-도파 유발 이상운동증의 가능성 또는 증상의 중증도의 감소 또는 (c)의약에서의 용도. 이들 용도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예컨대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 NMDA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메만틴; 베타-세크레타제 억제제 예컨대 베루베세스타트 및 AZD3293; M4 mAChR 효능제 또는 PAM; mGluR2 길항제 또는 NAM 또는 PAM; 5-HT6 길항제 예컨대 이달로피르딘, RVT-101, AVN-101, AVN322, SUVN-502 및 SYN-120; 히스타민 H3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S38093; PDE4 억제제 예컨대 HT0712; PDE9 억제제 예컨대 BI40936; HDAC6 억제제; 항정신병제; LRRK2 억제제; MAO-B 억제제; 및 레보도파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2 치료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학 명칭, 일반 명칭 및 화학 구조는 동일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적 화합물이 화학 구조 및 화학 명칭 둘 다를 사용하여 지칭되는 경우, 구조와 명칭 사이에 모호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조가 우선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5-원 헤테로아릴 고리"는 O, N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안정한 불포화 5-원 고리를 지칭한다. 5-원 헤테로아릴 고리는 이 정의의 범주 내에서 푸라닐, 이미다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졸릴, 피롤릴, 테트라졸릴,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릴, 티에닐 및 트리아졸릴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5-원 헤테로아릴 고리"는 푸라닐, 이미다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졸릴, 피롤릴, 테트라졸릴,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릴, 티에닐 및 트리아졸릴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용어 "투여" 및 그의 변형 (예를 들어, 화합물을 "투여하는")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제 (예를 들어,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예컨대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와 조합하여 제공되는 경우에, "투여" 및 그의 변형은 각각 화합물 또는 염과 다른 작용제의 공동 및 순차적 투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알케닐"은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최대 4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C2-C6 알케닐"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케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따라서, "C2-C4 알케닐"은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케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케닐 기는 에테닐, 프로페닐, 부테닐, 3-메틸부테닐 등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알케닐 기는 선형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알케닐 기는 분지형이다.
용어 "알킬"은 그의 수소 원자 중 1개가 결합으로 대체된 지방족 탄화수소 기를 지칭한다. 알킬 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알킬 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C1-C8)알킬]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C1-C6)알킬]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C1-C4)알킬]를 함유한다. 알킬 기의 비제한적 예는 메틸 (Me),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알킬 기는 선형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알킬 기는 분지형이다.
"알킬"이 치환되는 경우에, 상기 "알킬"은 알킬, O-알킬, S-알킬 및 (C=O)-알킬을 포함한다.
용어 "알키닐"은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및 적어도 1개의 탄소 대 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최대 3개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C2-C6 알키닐"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키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따라서, "C2-C4 알키닐"은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키닐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키닐 기는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3-메틸부티닐 등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알키닐 기는 선형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알키닐 기는 분지형이다.
용어 "아릴"은 다중고리계 내의 개개의 카르보시클릭 고리가 단일 결합을 통해 서로 융합되거나 부착되며 여기서 적어도 1개의 고리는 방향족인 임의의 모노- 및 폴리-카르보시클릭 고리계를 지칭한다. 적합한 아릴 기는 페닐, 인다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및 비페닐을 포함한다. 아릴 고리계는 적절한 경우에, 특정 고리 원자가 부착된 가변기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아릴 고리계에 대한 치환기는 임의의 고리 원자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단 이러한 부착은 안정한 고리계가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아릴"은 페닐이다.
"아릴"이 치환되는 경우에, 상기 "아릴"은 아릴 및 O-아릴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명시된 성분을 포함하는 생성물, 뿐만 아니라 명시된 성분의 조합으로부터 생성된 임의의 생성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화합물"은 화학식 I 또는 II에 의해 기재된 모든 형태의 화학적 작용제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화학적 작용제는 상이한 형태 예컨대 수화물, 용매화물 및 다형체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킬"은 3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 [(C3-C10) 시클로알킬]하거나, 또는 3 내지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 [(C3-C6) 시클로알킬]하는 임의의 비-방향족 모노-및 폴리-카르보시클릭 고리계를 지칭하며, 여기서 다중고리계 내의 개개의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스피로 고리 융합을 포함하여 융합되거나 또는 단일 결합을 통해 서로 부착된다. 모노시클릭 시클로알킬의 비제한적 예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비시클로[4.1.0]헵틸, 스피로[2.4]헵틸, 스피로[3.3]헵틸, 스피로[2.5]옥틸 및 시클로헵틸을 포함한다. 시클로알킬 기의 고리 탄소 원자는 카르보닐 기로서 관능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시클로알킬 기 (또한 본원에서 "시클로알카노일" 기로 지칭됨)의 예시적인 예는 시클로부타노일:
Figure pct00004
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클로알킬"이 치환되는 경우에, 상기 "시클로알킬"은 시클로알킬, O-시클로알킬 및 (C=O)-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시클로알킬"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에 의해 추구되는, 조직, 시스템,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도출하는 활성 화합물 또는 제약 작용제의 양을 의미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은 치료될 질환 또는 상태의 1종 이상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치료 유효량"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유효량은 질환 또는 상태의 1종 이상의 증상의 중증도 또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 유효량"이다. 용어는 또한 본원에서 α7 nAChR 활성을 조정하기 위해, 따라서 추구하는 반응을 도출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즉, "치료 유효량"). 활성 화합물 (즉, 활성 성분)이 염으로서 투여되는 경우에, 활성 성분의 양에 대한 언급은 화합물의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 형태에 대한 것이다.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및 아이오딘 (대안적으로 플루오로 (F), 클로로 (Cl), 브로모 (Br) 및 아이오도 (I)로 지칭됨)의 원자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은, 5 내지 14개의 고리 원자를 포함하고 고리 원자 중 1 내지 4개는 독립적으로 O, N 또는 S이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 원자이며, 여기서 적어도 1개의 고리가 방향족인 임의의 모노시클릭 또는 멀티시클릭 고리계를 지칭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5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모노시클릭이고, 5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비시클릭이고, 9 또는 1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헤테로아릴 기는 통상적으로 고리 탄소 원자를 통해 연결되나, 단 안정한 화합물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비-탄소 원자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헤테로아릴의 임의의 질소 원자는 상응하는 N-옥시드로 임의로 산화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또한 벤젠 고리에 융합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 기를 포괄한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또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융합된 폴리시클릭 고리계를 포괄하며, 여기서 융합된 폴리시클릭 고리계의 적어도 1개의 고리는 방향족이다. 예를 들어, 용어 "9 내지 10-원 비시클릭 헤테로아릴"은 벤젠 또는 피리딜 고리에 융합된 비-방향족 5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포괄한다. 헤테로아릴의 비제한적 예는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로닐, 벤조푸라닐, 벤조푸라자닐, 벤조피라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족사졸릴, 카르바졸릴, 카르볼리닐, 신놀리닐, 푸라닐, 이미다졸릴, 인돌리닐, 인돌릴, 인돌라지닐, 인다졸릴, 이소벤조푸라닐, 이소인돌릴, 이소퀴놀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나프트피리디닐,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지닐, 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리도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퀴나졸리닐, 퀴놀릴, 퀴녹살리닐, 테트라졸릴, 테트라졸로피리딜,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릴, 티에닐, 트리아졸릴, 디히드로벤조이미다졸릴,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디히드로벤조티오페닐, 디히드로벤족사졸릴, 디히드로인돌릴, 디히드로퀴놀리닐, 메틸렌디옥시벤조일 등 그의 모든 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또한 부분 포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 예컨대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 테트라히드로퀴놀릴 등을 지칭하되, 단 이는 적어도 1개의 방향족 고리를 함유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5-원 헤테로아릴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6-원 헤테로아릴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벤젠 고리에 융합된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 기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은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로닐, 벤조푸라닐, 벤조푸라자닐, 벤조피라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벤조티오페닐, 벤족사졸릴, 카르바졸릴, 카르볼리닐, 신놀리닐, 푸라닐, 이미다졸릴, 인돌리닐, 인돌릴, 인돌라지닐, 인다졸릴, 이소벤조푸라닐, 이소인돌릴, 이소퀴놀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나프트피리디닐,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지닐, 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리도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퀴나졸리닐, 퀴놀릴, 퀴녹살리닐, 테트라졸릴, 테트라졸로피리딜,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릴, 티에닐 또는 트리아졸릴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은 카르바졸릴, 카르볼리닐, 신놀리닐, 푸라닐, 이미다졸릴, 인돌리닐, 인돌릴, 인돌라지닐, 인다졸릴, 이소벤조푸라닐, 이소인돌릴, 이소퀴놀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나프트피리디닐,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지닐, 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리도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퀴나졸리닐, 퀴놀릴, 퀴녹살리닐, 테트라졸릴, 테트라졸로피리딜,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릴, 티에닐 또는 트리아졸릴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은 푸라닐, 이미다졸릴, 인돌리닐, 인돌릴, 인돌라지닐, 인다졸릴, 이소인돌릴, 이소퀴놀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지닐, 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리다지닐,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릴, 티에닐 또는 트리아졸릴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시클릴"은 O, N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3- 내지 10-원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의미하도록 의도되고,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기 (융합된, 가교된 또는 스피로시클릭)를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의 추가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옥사졸린, 이속사졸린, 옥세타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아제티디닐, 1,4-디옥사닐, 헥사히드로아제피닐,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디히드로푸라닐, 디히드로이미다졸릴, 디히드로이소옥사졸릴, 디히드로이소티아졸릴, 디히드로옥사디아졸릴, 디히드로옥사졸릴, 디히드로피라지닐, 디히드로피라졸릴, 디히드로피리디닐, 디히드로피리미디닐, 디히드로피롤릴, 디히드로테트라졸릴, 디히드로티아디아졸릴, 디히드로티아졸릴, 디히드로티에닐, 디히드로트리아졸릴, 테트라히드로푸라닐, 및 테트라히드로티에닐, 및 그의 N-옥시드. 헤테로시클릴 치환기의 부착은 탄소 원자를 통해 또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시클릴"은 옥사졸린, 이속사졸린, 옥세타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아제티디닐, 1,4-디옥사닐, 헥사히드로아제피닐,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또는 티오모르폴리닐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시클릴"은 디히드로푸라닐, 디히드로이미다졸릴, 디히드로이소옥사졸릴, 디히드로이소티아졸릴, 디히드로옥사디아졸릴, 디히드로옥사졸릴, 디히드로피라지닐, 디히드로피라졸릴, 디히드로피리디닐, 디히드로피리미디닐, 디히드로피롤릴, 디히드로테트라졸릴, 디히드로티아디아졸릴, 디히드로티아졸릴, 디히드로티에닐, 디히드로트리아졸릴, 테트라히드로푸라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티에닐이다.
"제약상 허용되는"은 제약 조성물의 성분이 서로 상용성이어야 하며 그의 수용자에게 유해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알츠하이머병 또는 다른 신경계 질환에 대해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하는"은 질환 진행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 (본원에서 대안적으로 "환자"로 지칭됨)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지칭한다.
용어 "치환된"은 지정된 원자 상의 1개 이상의 수소가, 기존의 환경 하에 지정된 원자의 정상적인 원자가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치환이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한다는 전제 하에, 나타낸 기로부터 선택되어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명명된 치환기에 의한 치환은 임의의 원자 상에서 일어나며, 단 그러한 치환은 화학적으로 허용되고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하여야 한다. 치환기 및/또는 가변기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하는 경우에만 허용가능하다. "안정한" 화합물이란, 제조 및 단리될 수 있고 그의 구조 및 특성이 유지되거나 본원에 기재된 목적 (예를 들어, 대상체에게 치료적 또는 예방적 투여)을 위해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충분한 시간의 기간 동안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채로 유지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X는 S(O)2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X는 C(O)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은 NRaRb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은 Rc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a는 H, (C1-C4)알킬, 또는 (C3-C6)시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페닐, 피리디닐, 또는 이소티아졸릴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a는 H 또는 (C1-C4)알킬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a는 H 또는 메틸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a는 H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b는 H 또는 메틸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b는 H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c는 (C1-C4)알킬, 티에닐, 피라졸릴, 벤족사디아졸릴, 벤조티아졸릴,또는 옥사디아졸릴이고, 여기서 상기 티에닐, 피로졸릴, 벤족사디아졸릴, 및 옥사디아졸릴은 1개 이상의 메틸 또는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피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이소티아졸릴, 또는 페닐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c는 메틸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X-R1은 -(C=O)-R1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X-R1
Figure pct00005
이다.
화학식 I 또는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A (또는 고리 A)는 옥사디아졸릴, 티아졸릴, 피라졸릴, 티아디아졸릴, 옥사졸릴, 이미다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푸라닐, 티에닐, 트리아졸릴, 또는 피롤릴이다.
화학식 I 또는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A (또는 고리 A)는 옥사디아졸릴, 티아졸릴, 피라졸릴, 티아디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또는 이미다졸릴이다.
화학식 I 또는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A (또는 고리 A)는 옥사디아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피라졸릴, 이속사졸릴, 또는 티아디아졸릴이다.
화학식 I 또는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A (또는 고리 A)는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또는 티아졸릴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 기는 OH, 옥소, NR6R7, CN, 알콕시, 할로겐, 아미노알킬, 히드록시알킬,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상기 R 기는 또한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 기는 독립적으로 NR6R7, CN, (C1-C4)알콕시, 할로겐, (C1-C4)알킬, (C3-C8)시클로알킬, 페닐, 인다닐,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레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피라졸릴, 이미다조피리디닐, 인돌릴, 테트라히드로피라졸로피리디닐, 디히드로피롤로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라졸로티아졸릴, 및 피페리디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알콕시, 알킬, 시클로알킬, 인다닐,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레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피라졸릴, 이미다조피리디닐, 인돌릴, 테트라히드로피라졸로피리디닐, 디히드로피롤로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라졸로티아졸릴, 및 피페리디닐은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은 (C3-C8)시클로알킬, 페닐, 인다닐,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레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피라졸릴, 이미다조피리디닐, 인돌릴, 테트라히드로피라졸로피리디닐, 디히드로피롤로피라졸릴, 피리다지닐, 피라졸로티아졸릴, 및 피페리디닐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은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은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또는 이속사졸릴이고, 각각은 F, Cl, Br, 메틸, 메톡시, 에틸, 에톡시, 프로필, CF3, CH2CF3, OCH3, OCHF2, OCH2CF3, 시클로프로필, NR6R7 및 C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은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및 이속사졸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및 이속사졸릴은 F, Cl, Br, 메틸, 메톡시, 에틸, 에톡시, 프로필, CF3, CH2CF3, OCH3, OCHF2, OCH2CF3, 시클로프로필, NR6R7 및 C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n은 0, 1, 또는 2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n은 0 또는 1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n은 0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2개의 R2는, 둘 다가 (C1-C4)알킬이고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된 경우에 임의로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또는 시클로펜틸 고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둘 다가 (C1-C4)알킬이고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임의로 함께 가교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가교된 고리는 OH, 할로겐, 또는 (C1-C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메틸 또는 에틸이고, 여기서 상기 메틸 또는 에틸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2개의 R2는, 둘 다가 메틸 또는 에틸이고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된 경우에 임의로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또는 시클로펜틸 고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둘 다가 메틸 또는 에틸이고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임의로 함께 가교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2는 F, 또는 메틸이다.
화학식 I 또는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3은 H, F 또는 메틸이다.
화학식 I 또는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4는 H, F 또는 메틸이다.
화학식 I 또는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임의로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고리는 OH, 할로겐, 또는 (C1-C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화학식 I 또는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임의로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5는 H 또는 메틸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5는 H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6은 H 또는 Me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7은 H 또는 Me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8은 OH, (C1-C4)알킬, 페닐, 피리디닐, 또는 이소티아졸릴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8은 페닐, 피리디닐, 또는 이소티아졸릴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9는 피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페닐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0은 메틸 또는 히드록실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1은 할로겐, OH, 옥소, CF3, OCF3, CN, (C1-C4)알킬, O(C1-C4)알킬, S(C1-C4)알킬, C=O(C1-C4)알킬, NR12R13, (C=O)NR6R7, (C=O)OR6, (C2-C4)알키닐, (C3-C6)시클로알킬, O(C3-C6)시클로알킬, C=O(C3-C6)시클로알킬, 아릴, O-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은 독립적으로 1개 이상의 할로겐, (C1-C4)알킬, (C3-C6)시클로알킬, CF3, OCF3, OCH3, CN, OH 및 옥소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1은 F, Cl, Br, OH, NR12R13, CF3, OCF3, CN, (C1-C4)알킬, O(C1-C4)알킬, (C3-C6)시클로알킬, O(C3-C6)시클로알킬, 페녹시, 페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졸릴, 피롤릴, 또는 이미다졸릴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페녹시, 페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졸릴, 피롤릴, 및 이미다졸릴은 할로겐, (C1-C4)알킬, CN, 및 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플루오로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1은 F, Cl, Br, OH, NR12R13, CF3, OCF3, CN, (C1-C4)알킬, O(C1-C4)알킬, (C3-C6)시클로알킬, O(C3-C6)시클로알킬, 페녹시, 페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졸릴, 피롤릴, 또는 이미다졸릴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페녹시, 페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라졸릴, 피롤릴, 및 이미다졸릴은 할로겐, (C1-C4)알킬, CN, 및 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플루오로로 임의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1은 F, Cl, Br, 메틸, 메톡시, 에틸, 에톡시, 프로필, CF3, CH2CF3, OCH3, OCHF2, OCH2CF3, 시클로프로필, NR12R13, 또는 CN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1은 F, Cl, Br, 메틸, 메톡시, 에틸, 에톡시, 프로필, -CH2OH, -CH2CH2OH, -CF3, -CH2CF3, -OCF3, -OCHF2, -OCH2CF3, 또는 시클로프로필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2는 H 또는 (C1-C4)알킬이다.
화학식 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13은 H 또는 (C1-C4)알킬이다.
화학식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m은 0, 1, 2, 또는 3이다.
화학식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m은 0, 1, 또는 2이다.
화학식 II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m은 0 또는 1이다.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에서, 원자는 천연 동위원소 존재비를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원자 중 1종 이상은 동일한 원자 번호를 갖지만, 자연에서 우세하게 발견되는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는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특정한 동위원소로 인위적으로 농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의 모든 적합한 동위원소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수소 (H)의 상이한 동위원소 형태는 경수소 (1H) 및 중수소 (2H 또는 D)를 포함한다. 경수소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우세한 수소 동위원소이다. 중수소의 풍부화는 특정의 치료 이점, 예컨대 생체내 반감기 증가 또는 투여량 요건 감소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생물학적 샘플의 특징화를 위한 표준으로서 유용한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동위원소-농축된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기술에 의해, 또는 적절한 동위원소-농축된 시약 및/또는 중간체를 사용하여 본원의 반응식 및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과도한 실험 없이 제조할 수 있다.
달리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인용된 모든 범위는 포괄적이다. 예를 들어,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으로 기재된 헤테로아릴 고리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고리를 의미한다. 또한 본원에 언급된 임의의 범위는 그의 범주 내에 그러한 범위 내의 모든 하위-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헤테로원자 N 및 S의 산화된 형태가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유기 분자의 탄소 원자는 종종 유사한 안정한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규소 원자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의 탄소 원자는 종종 안정한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규소 원자로 대체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임의의 가변기 (예를 들어, R)가 임의의 구성성분에서 또는 화학식 I에서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도시하고 기재하는 임의의 다른 화학식에서 1회 초과로 발생하는 경우에, 각 경우에 대한 그의 정의는 모든 다른 경우에서의 그의 정의와 독립적이다. 또한, 치환기 및/또는 가변기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하는 경우에만 허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비대칭 중심을 가질 수 있고, 입체이성질체 또는 개별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모든 이성질체 형태 (단리된 것이든 또는 혼합물이든)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호변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을 언급하는 것은 화합물 그 자체, 또는 임의의 1종의 그의 호변이성질체 그 자체, 또는 2종 이상의 호변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언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알츠하이머병을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α7 nAChR에 의해 매개되는 다른 질환, 예컨대 정신분열증, 수면 장애, 파킨슨병, 자폐증, 미세결실 증후군, 염증성 질환, 통증 장애 (급성 통증, 염증성 통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 포함) 및 인지 장애 (경도 인지 장애 포함)를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예방, 치료 또는 호전될 수 있는 다른 상태는 폐고혈압,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천식, 요실금, 녹내장, 21번 삼염색체증 (다운 증후군),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퇴행성 치매, 네덜란드-유형 아밀로이드증을 동반한 유전성 뇌출혈 (HCHWA-D),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프리온 장애,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진행성 핵상 마비, 두부 외상, 졸중, 췌장염, 봉입체 근염, 다른 말초 아밀로이드증, 당뇨병, 신장 질환, 암 및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알츠하이머병, 인지 장애, 정신분열증, 통증 장애 및 수면 장애를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알츠하이머 유형 치매의 예방, 뿐만 아니라 초기 단계, 중기 단계 또는 말기 단계의 알츠하이머 유형 치매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유용할 수 있는 잠재적 정신분열증 상태 또는 장애는 하기 상태 또는 질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분열증을 비롯한 정신병 (편집형, 붕괴형, 긴장형 또는 미분화형),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 장애, 망상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일반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및 물질-유도된 또는 약물-유도된 (펜시클리딘, 케타민 및 다른 해리성 마취제, 암페타민 및 다른 정신자극제 및 코카인) 정신병 장애, 정동 장애와 연관된 정신병, 단기 반응성 정신병, 분열정동형 정신병, "정신분열증-범주" 장애, 예컨대 분열성 또는 분열형 인격 장애, 또는 정신분열증 및 다른 정신병의 양성 및 음성 증상 둘 다를 포함하는 정신병과 연관된 질병 (예컨대 주요 우울증, 조울병성 (양극성) 장애, 알츠하이머병 및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치매 (알츠하이머병, 허혈, 다발경색 치매, 외상, 혈관 문제 또는 졸중, HIV 질환, 파킨슨병, 헌팅턴병, 픽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주산기 저산소증, 다른 일반 의학적 상태 또는 물질 남용과 연관된 치매)를 비롯한 인지 장애; 섬망, 기억상실 장애 또는 연령 관련 인지 저하.
따라서, 또 다른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병의 예방, 치료 또는 호전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병을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현재, 문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200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의 제4판의 개정 본문에 편집형, 붕괴형, 긴장형 또는 미분화형 정신분열증 및 물질-유발 정신병적 장애를 포함하는 진단 도구가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병"은 DSM-IV-TR에 기재된 정신 장애의 치료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정신 장애에 대한 대안적인 명명법, 질병분류학 및 분류 체계가 존재하며 이러한 체계가 의학 및 과학의 진보에 따라 진화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용어 "정신분열증 또는 정신병"은 다른 진단학적 공급원에 기재된 유사한 장애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유용할 수 있는 잠재적 수면 상태 또는 장애는 수면 질의 증진; 수면 질의 개선; 수면 유지의 증진; 대상체가 수면한 시간을 대상체가 수면을 시도한 시간으로 나눈 것으로부터 계산된 값의 증가; 수면 잠복기 또는 개시 (onset) (잠이 드는데 걸린 시간)의 감소; 수면 곤란의 감소; 수면 연속성의 증가; 수면 동안 각성 횟수의 감소; 야간 각성의 감소; 최초 수면 개시 후 각성에 소비된 시간의 감소; 수면의 총량의 증가; 수면의 단편화의 감소; REM 수면 바우트의 시기, 빈도 또는 지속시간의 변경; 서파 (예컨대 스테이지 3 또는 4) 수면 바우트의 시기, 빈도, 지속시간의 변경; 스테이지 2 수면의 양 및 백분율의 증가; 서파 수면의 촉진; 수면 동안의 EEG-델타 활성의 증진; 주간 각성의 증가; 주간 졸음의 감소; 과다 주간 졸림증의 치료 또는 감소; 불면증; 과다수면; 기면증; 수면 중단; 수면 무호흡; 각성; 야간 근간대성경련; REM 수면 중단; 시차 증후군; 교대 근무자의 수면 장애; 수면이상; 야경증; 우울증과 연관된 불면증; 감정/기분 장애; 뿐만 아니라 수면 보행 및 야뇨증; 및 노화를 동반한 수면 장애; 알츠하이머 일몰증후군; 일주기 리듬성과 연관된 상태뿐만 아니라 시간대를 가로지르는 여행 및 회전식 교대 근무 스케줄과 연관된 정신 및 신체 장애; 부작용으로 REM 수면 감소를 야기하는 약물로 인한 상태; 비-회복적 수면 및 근육 통증에 의해 나타난 증후군 또는 수면 동안의 호흡 장애와 연관된 수면 무호흡; 및 감소된 수면 질로부터 발생하는 상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유용할 수 있는 통증 장애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컨대 포진후 신경통, 신경 손상, "동통", 예를 들어, 외음부통, 환상지통, 신경근 결출,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성 외상성 단일신경병증, 통증성 다발신경병증); 중추성 통증 증후군 (실질적으로 신경계의 임의의 수준에서 임의의 병변에 의해 잠재적으로 유발됨); 수술후 통증 증후군 (예컨대, 유방절제술후 증후군, 개흉술후 증후군, 단단통); 골 및 관절 통증 (골관절염); 반복 동작 통증; 치통; 암 통증; 근막 통증 (근육 손상, 섬유근육통); 수술기주위 통증 (일반외과 수술, 부인과 수술); 만성 통증; 월경곤란증, 뿐만 아니라 협심증과 연관된 통증, 및 다양한 기원의 염증성 통증 (예를 들어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성 질환, 건활막염 및 통풍); 두통; 편두통 및 군발성 두통; 원발성 통각과민; 속발성 통각과민; 원발성 이질통; 속발성 이질통; 또는 중추 감작화로 인한 다른 통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유용할 수 있는 강한 염증 요인을 갖는 잠재적 상태 또는 장애는 하기 상태 또는 질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혈액 시토카인 예를 들어 IL-6 및 TNFα의 증가에 의해 표지되는 당뇨병에서의 전신 염증); 천식; 관절염; 낭성 섬유증; 패혈증; 궤양성 결장염; 염증성 장 질환; 아테롬성동맥경화증; 신경변성 질환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전두측두엽 치매, 피질기저 변성, 픽병, 진행성 핵상 마비, 외상성 뇌 손상, 헌팅턴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과 연관된 신경염증.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이상운동증을 치료 또는 예방 또는 호전시키기 위해, 파킨슨병의 흑질선조체 뉴런의 신경변성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증의 오피오이드 치료에 대한 내성 및/또는 의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및 예를 들어 알콜, 오피오이드 및 코카인의 금단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모 화합물의 유효성을 가지며,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그의 수용자에 대해 독성이 아니면서 달리 유해하지도 않음). 적합한 염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액과 제약상 허용되는 산, 예컨대 염산, 황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벤조산의 용액의 혼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산 부가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다수는 산성 모이어티를 보유하고, 그 경우에 적합한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 및 적합한 유기 리간드와 함께 형성된 염, 예컨대 4급 암모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 (-COOH) 또는 알콜 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약상 허용되는 에스테르는 화합물의 용해도 또는 가수분해 특징을 변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산 부가염은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비술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술포네이트, 푸마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아이오다이드,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메실레이트"), 나프탈렌술포네이트, 니트레이트, 옥살레이트, 포스페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숙시네이트, 술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또한 토실레이트로도 알려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염기성 제약 화합물로부터의 제약상 유용한 염의 형성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산은, 예를 들어 문헌 [P. Stahl et al., Camille G. (eds.)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2002) Zurich: Wiley-VCH; S. Berge et 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977) 66(1):1-19; P. Gould, International J. of Pharmaceutics (1986) 33:201-217; Anderson et al., The Practice of Medicinal Chemistry (1996), Academic Press, New York; and in The Orange Book (Food &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on their website)]에 논의되어 있다.
예시적인 염기성 염은 암모늄 염,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리튬 및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예컨대 칼슘 및 마그네슘 염, 유기 염기 (예를 들어, 유기 아민), 예컨대 디시클로헥실아민, t-부틸 아민, 콜린과의 염, 및 아미노산,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과의 염 등을 포함한다. 염기성 질소-함유 기는 작용제, 예컨대 저급 알킬 할라이드 (예를 들어, 메틸, 에틸 및 부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디알킬 술페이트 (예를 들어, 디메틸, 디에틸, 및 디부틸 술페이트), 장쇄 할라이드 (예를 들어, 데실, 라우릴 및 스테아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아릴알킬 할라이드 (예를 들어, 벤질 및 페네틸 브로마이드) 등으로 4급화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 장애, L-도파 유발 이상운동증 및 염증을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는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염 형태로, 작용제의 작용 부위와 활성제의 접촉을 유발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들은 개별적인 치료제로서 또는 치료제의 조합물로서 제약과 함께 이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선택된 투여 경로 및 표준 제약 실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약 담체와 함께 투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유효량의 화합물 및 통상적인 비-독성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및 비히클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의 단위 투여량의 형태로 경구로, 비경구로 (예컨대 피하 주사, 정맥내, 근육내,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 흡입 (예컨대 스프레이 형태)에 의해, 또는 직장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액체 제제 (예를 들어, 현탁액, 시럽, 엘릭시르 등)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통상의 매질, 예컨대 물, 글리콜, 오일, 알콜 등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고체 제제 (예를 들어, 분말, 환제, 캡슐 및 정제)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고체 부형제, 예컨대 전분, 당, 카올린,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경구용 조성물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담체로서 멸균수 및 임의로 다른 성분, 예컨대 용해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주사액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담체는 염수 용액, 글루코스 용액, 또는 염수 및 글루코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방법 및 상기 조성물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성분에 대한 추가적 기재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ed. A. R. Gennaro, Mack Publishing Co., 1990)]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에 0.001 내지 1000 mg/kg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 체중의 투여량 범위로 단일 용량 또는 분할 용량으로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한 투여량 범위는 단일 용량 또는 분할 용량으로 경구로 1일에 0.01 내지 500 mg/kg 체중이다. 또 다른 투여량 범위는 단일 또는 분할 용량으로 경구로 1일에 0.1 내지 100 mg/kg 체중이다. 경구 투여를 위해, 조성물은 치료될 환자에게 투여량의 대증적 조정을 위해 1.0 내지 500 mg의 활성 성분, 특히 1, 5, 10, 15, 20, 25, 50, 75, 100, 150, 200, 250, 300, 400 및 500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한 환자에 대한 구체적 용량 수준 및 투여 빈도는 달라질 수 있고, 사용되는 구체적 화합물의 활성, 그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 및 작용 기간, 연령, 체중, 전반적 건강, 성별, 식이, 투여 방식 및 시간, 배출 속도, 약물 조합물, 특정 상태의 중증도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1종 이상의 치료제와 조합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항알츠하이머병제, 예를 들어 베타-세크레타제 억제제; M1 mAChR 효능제 또는 PAM; M4 mAChR 효능제 또는 PAM; mGluR2 길항제 또는 NAM 또는 PAM; ADAM 10 리간드 또는 활성화제; 감마-세크레타제 억제제, 예컨대 LY450139 및 TAK 070; 감마 세크레타제 조정제; 타우 인산화 억제제; 글리신 수송 억제제; LXR β 효능제; ApoE4 입체형태 조정제; NR2B 길항제; 안드로겐 수용체 조정제; Aβ 올리고머 형성 차단제; 5-HT4 효능제, 예컨대 PRX-03140; 5-HT6 길항제, 예컨대 GSK 742467, SGS-518, FK-962, SL-65.0155, SRA-333 및 크살리프로덴; 5-HT1a 길항제, 예컨대 레코조탄; p25/CDK5 억제제; NK1/NK3 수용체 길항제; COX-2 억제제; LRRK2 억제제; HMG-CoA 리덕타제 억제제; 이부프로펜을 포함한 NSAID; 비타민 E; 항-아밀로이드 항체 (항-아밀로이드 인간화 모노클로날 항체 포함), 예컨대 바피뉴주맙, ACC001, CAD106, AZD3102, H12A11V1; 항염증 화합물 예컨대 (R)-플루르비프로펜, 니트로플루르비프로펜, ND-1251, VP-025, HT-0712 및 EHT-202; PPAR 감마 효능제, 예컨대 피오글리타존 및 로시글리타존; CB-1 수용체 길항제 또는 CB-1 수용체 역 효능제, 예컨대 AVE1625; 항생제 예컨대 독시시클린 및 리팜핀; N-메틸-D-아스파르테이트 (NMDA)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메만틴, 네라멕산 및 EVT101;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예컨대 갈란타민, 리바스티그민, 도네페질, 타크린, 펜세린, 라도스티길 및 ABT-089; 성장 호르몬 분비촉진제 예컨대 이부타모렌, 이부타모렌 메실레이트 및 카프로모렐린; 히스타민 H3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ABT-834, ABT 829, GSK 189254 및 CEP16795; AMPA 효능제 또는 AMPA 조정제, 예컨대 CX-717, LY 451395, LY404187 및 S-18986; MEM1414, HT0712 및 AVE8112를 포함하는 PDE IV 억제제; GABAA 역 효능제; AZD1080, SAR502250 및 CEP16805를 포함하는 GSK3β 억제제; 뉴런 니코틴성 효능제; 선택적 M1 효능제; HDAC 억제제; 및 미세관 친화도 조절 키나제 (MARK) 리간드; 또는 본 발명의 효능, 안전성, 편의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원치 않는 부작용 또는 독성을 감소시키는 수용체 또는 효소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약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 장애, L-도파 유발 이상운동증 및 염증을 예방, 치료 또는 호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조합의 예는 정신분열증의 치료를 위한 작용제와의 조합, 예를 들어 진정제, 수면제, 불안완화제, 항정신병제, 항불안제, 시클로피롤론, 이미다조피리딘, 피라졸로피리미딘, 약한 신경안정제, 멜라토닌 효능제 및 길항제, 멜라토닌성 작용제, 벤조디아제핀, 바르비투레이트, 5HT-2 길항제, 등, 예컨대: 아디나졸람, 알로바르비탈, 알로니미드, 알프라졸람, 아미술프리드, 아미트립틸린, 아모바르비탈, 아목사핀, 아리피프라졸, 벤타제팜, 벤족타민, 브로티졸람, 부프로피온, 부스프리온, 부타바르비탈, 부탈비탈, 카푸리드, 카르보클로랄, 클로랄 베타인, 클로랄 수화물, 클로미프라민, 클로나제팜, 클로페리돈, 클로라제페이트, 클로르디아제폭시드, 클로레테이트, 클로르프로마진, 클로자핀, 시프라제팜, 데시프라민, 덱스클라몰, 디아제팜, 디클로랄페나존, 디발프로엑스, 디펜히드라민, 독세핀, 에스타졸람, 에트클로르비놀, 에토미데이트, 페노밤, 플루니트라제팜, 플루펜틱솔, 플루페나진, 플루라제팜, 플루복사민, 플루옥세틴, 포사제팜, 글루테티미드, 할라제팜, 할로페리돌, 히드록시진, 이미프라민, 리튬, 로라제팜, 로르메타제팜, 마프로틸린, 메클로쿠알론, 멜라토닌, 메포바르비탈, 메프로바메이트, 메타쿠알론, 미다플루르, 미다졸람, 네파조돈, 니소바메이트, 니트라제팜, 노르트립틸린, 올란자핀, 옥사제팜, 파라알데히드, 파록세틴, 펜토바르비탈, 페를라핀, 페르페나진, 페넬진, 페노바르비탈, 프라제팜, 프로메타진, 프로포폴, 프로트립틸린, 쿠아제팜, 퀘티아핀, 레클라제팜, 리스페리돈, 롤레타미드, 세코바르비탈, 세르트랄린, 수프로엘론, 테마제팜, 티오리다진, 티오틱센, 트라카졸레이트, 트라닐시프로마인, 트라조돈, 트리아졸람, 트레피팜, 트리세타미드, 트리클로포스, 트리플루오페라진, 트리메토진, 트리미프라민, 울다제팜, 벤라팍신, 잘레플론, 지프라시돈, 졸라제팜, 졸피뎀, 및 그의 염, 및 그의 조합, 등과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대상 화합물을 물리적 방법, 예를 들어 광선 치료 또는 전기 자극과 함께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레보도파 (선택적 뇌외 데카르복실라제 억제제 예컨대 카르비도파 또는 벤세라지드와 함께 또는 없이), 항콜린제 예컨대 비페리덴 (임의로 그의 히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락테이트 염으로) 및 트리헥시페니딜 (벤즈헥솔) 히드로클로라이드; COMT 억제제 예컨대 엔타카폰, MAO-B 억제제, 항산화제, A2a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 콜린성 효능제, NMDA 수용체 길항제,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및 도파민 수용체 효능제 예컨대 알렌테몰, 브로모크립틴, 페놀도팜, 리수리드, 낙사골리드, 페르골리드 및 프라미펙솔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파민 효능제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예를 들어 알렌테몰 히드로브로마이드, 브로모크립틴 메실레이트, 페놀도팜 메실레이트, 낙사골리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페르골리드 메실레이트의 형태일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페노티아진, 티오크산텐, 헤테로시클릭 디벤즈아제핀, 부티로페논, 디페닐부틸피페리딘 및 인돌론 부류의 신경이완제로부터의 화합물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페노티아진의 적합한 예는 클로르프로마진, 메소리다진, 티오리다진, 아세토페나진, 플루페나진, 페르페나진 및 트리플루오페라진을 포함한다. 티오크산텐의 적합한 예는 클로르프로틱센 및 티오틱센을 포함한다. 디벤즈아제핀의 예는 클로자핀이다. 부티로페논의 예는 할로페리돌이다. 디페닐부틸피페리딘의 예는 피모지드이다. 인돌론의 예는 몰린돌론이다. 다른 신경이완제는 록사핀, 술피리드 및 리스페리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신경이완제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형태, 예를 들어, 클로르프로마진 히드로클로라이드, 메소리다진 베실레이트, 티오리다진 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토페나진 말레에이트, 플루페나진 히드로클로라이드, 플루르페나진 에난테이트, 플루페나진 데카노에이트, 트리플루오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티오틱센 히드로클로라이드, 할로페리돌 데카노에이트, 록사핀 숙시네이트 및 몰린돈 히드로클로라이드일 수 있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페르페나진, 클로르프로틱센, 클로자핀, 할로페리돌, 피모지드 및 리스페리돈은 통상적으로 비-염 형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세토페나진, 알렌테몰, 아리피프라졸, 아미술프리드, 벤즈헥솔, 브로모크립틴, 비페리덴, 클로르프로마진, 클로르프로틱센, 클로자핀, 디아제팜, 페놀도팜, 플루페나진, 할로페리돌, 레보도파, 레보도파와 벤세라지드, 레보도파와 카르비도파, 리수리드, 록사핀, 메소리다진, 몰린돌론, 낙사골리드, 올란자핀, 페르골리드, 페르페나진, 피모지드, 프라미펙솔, 퀘티아핀, 리스페리돈, 술피리드, 테트라베나진, 트리헥시페니딜, 티오리다진, 티오틱센, 트리플루오페라진 또는 지프라시돈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조합의 예는 통증의 치료를 위한 작용제 예를 들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예컨대 아스피린, 디클로페낙, 디플루니살, 페노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케토롤락, 나프록센, 옥사프로진, 피록시캄, 술린닥 및 톨메틴; COX-2 억제제, 예컨대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발데콕시브, 406381 및 644784; CB-2 효능제, 예컨대 842166 및 SAB378; VR-1 길항제, 예컨대 AMG517, 705498, 782443, PAC20030, V114380 및 A425619; 브라디키닌 Bl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SSR240612 및 NVPSAA164; 나트륨 채널 차단제 및 길항제, 예컨대 VX409 및 SPI860; 산화질소 신타제 (NOS) 억제제 (iNOS 및 nNOS 억제제 포함), 예컨대 SD6010 및 274150; 라코사미드를 포함하는 글리신 부위 길항제; 뉴런 니코틴성 효능제, 예컨대 ABT 894; NMDA 길항제, 예컨대 AZD4282; 칼륨 채널 개방제; AMPA/카이네이트 수용체 길항제; 칼슘 채널 차단제, 예컨대 지코노티드 및 NMED160; GABA-A 수용체 IO 조정제 (예를 들어, GABA-A 수용체 효능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MMP) 억제제; 혈전용해제; 오피오이드 진통제 예컨대 코데인, 펜타닐, 히드로모르폰, 레보르파놀, 메페리딘, 메타돈, 모르핀, 옥시코돈, 옥시모르폰, 펜타조신, 프로폭시펜; 호중구 억제 인자 (NIF); 프라미펙솔, 로피니롤; 항콜린제; 아만타딘; 모노아민 옥시다제 Bl5 ("MAO-B") 억제제; 5-HT 수용체 효능제 또는 길항제; mGlu5 길항제, 예컨대 AZD9272; 알파 효능제, 예컨대 AGN XX/YY; 뉴런 니코틴성 효능제, 예컨대 ABT894; NMDA 수용체 효능제 또는 길항제, 예컨대 AZD4282; NKI 길항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및/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SNRI"), 예컨대 둘록세틴; 삼환계 항우울제 약물, 노르에피네프린 조정제; 리튬; 발프로에이트;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리자트립탄; 졸미트립탄; 나라트립탄 및 수마트립탄과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면 질을 향상시키고 수면 장애(sleep disorder) 및 수면 장애(sleep disturbance)를 예방하는 데 유용한 화합물, 예컨대 예를 들어 진정제, 수면제, 불안완화제, 항정신병제, 항불안제, 항히스타민제, 벤조디아제핀, 바르비투레이트, 시클로피롤론, 오렉신 길항제, 알파-1 길항제, GABA 효능제, 5HT-2 길항제 (5HT-2A 길항제 및 5HT-2A/2C 길항제 포함), 히스타민 길항제 (히스타민 H3 길항제 포함), 히스타민 H3 역 효능제, 이미다조피리딘, 약한 신경안정제, 멜라토닌 효능제 및 길항제, 멜라토닌성 작용제, 다른 오렉신 길항제, 오렉신 효능제, 프로키네티신 효능제 및 길항제, 피라졸로피리미딘, T-유형 칼슘 채널 길항제, 트리아졸로피리딘 등, 예컨대: 아디나졸람, 알로바르비탈, 알로니미드, 알프라졸람, 아미트립틸린, 아모바르비탈, 아목사핀, 아르모다피닐, APD-125, 벤타제팜, 벤족타민, 브로티졸람, 부프로피온, 부스프리온, 부타바르비탈, 부탈비탈, 카프로모렐린, 카푸리드, 카르보클로랄, 클로랄 베타인, 클로랄 수화물, 클로르디아제폭시드, 클로미프라민, 클로나제팜, 클로페리돈, 클로라제페이트, 클로레테이트, 클로자핀, 코나제팜, 시프라제팜, 데시프라민, 덱스클라몰, 디아제팜, 디클로랄페나존, 디발프로엑스, 디펜히드라민, 독세핀, EMD-281014, 에플리반세린, 에스타졸람, 에스조피클론, 에트클로리놀, 에토미데이트, 페노밤, 플루니트라제팜, 플루라제팜, 플루복사민, 플루옥세틴, 포사제팜, 가복사돌, 글루테티미드, 할라제팜, 히드록시진, 이부타모렌, 이미프라민, 인디플론, 리튬, 로라제팜, 로르메타제팜, LY-156735, 마프로틸린, MDL-100907, 메클로쿠알론, 멜라토닌, 메포바르비탈, 메프로바메이트, 메타쿠알론, 메티프릴론, 미다플루르, 미다졸람, 모다피닐, 네파조돈, NGD-2-73, 니소바메이트, 니트라제팜, 노르트립틸린, 옥사제팜, 파라알데히드, 파록세틴, 펜토바르비탈, 페를라핀, 페르페나진, 페넬진, 페노바르비탈, 프라제팜, 프로메타진, 프로포폴, 프로트립틸린, 쿠아제팜, 라멜테온, 레클라제팜, 롤레타미드, 세코바르비탈, 세르트랄린, 수프로클론, TAK-375, 테마제팜, 티오리다진, 티아가빈, 트라카졸레이트, 트라닐시프로마인, 트라조돈, 트리아졸람, 트레피팜, 트리세타미드, 트리클로포스, 트리플루오페라진, 트리메토진, 트리미프라민, 울다제팜, 벤라팍신, 잘레플론, 졸라제팜, 조피클론, 졸피뎀, 및 그의 염, 및 그의 조합, 등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물리적 방법의 사용, 예컨대 광 요법 또는 전기 자극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NMDA 수용체 길항제, 예컨대 메만틴과 조합되어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AChEI) 예컨대 도네페질과 조합되어 중등도 내지 중증 알츠하이머 유형 치매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갈란타민, 리바스티그민 또는 도네페질과 조합되어 경도 내지 중등도 알츠하이머 유형 치매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리바스티그민과 조합되어 파킨슨병과 연관된 치매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카르비도파 및 레보도파와 조합되어 진행성 파킨슨병을 앓는 환자에서 운동 변동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합 요법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에, 조합물 중 치료제, 또는 치료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또는 조성물들은 임의의 순서로, 예컨대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공동으로, 함께, 동시에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 요법에서 다양한 활성제의 양은 상이한 양 (상이한 투여량) 또는 동일한 양 (동일한 투여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추가의 치료제는 단일 투여 단위 (예를 들어, 캡슐, 정제 등)의 고정된 양 (투여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α7 nAChR 양성 알로스테릭 조정제 (PAM) 활성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검정을 사용하여 시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α7 nAChR PAM은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동화 패치-클램프 전기생리학 기능적 검정에서 활성을 갖는다. 검정은 전세포, 파퓰레이션 패치 구성으로 이온플럭스(IonFlux) HT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문헌 [Golden et al. Assay Drug Dev. Technol. (2011) 9:608-619]을 참조한다.
화합물을 천연 α7 효능제 아세틸콜린의 존재 및 부재 둘 다 하에 안정하게 HEK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인간 α7 nAChR의 기능을 조정하는 그의 능력에 대해 평가하였다. 일련의 이러한 측정을 상이한 농도에서 수행함으로써, α7 nAChR PAM의 유효 농도 (EC50)를 결정하였다. 문헌 [Spencer et al. Assay Drug Dev. Technol. (2012) 10:313-324]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출발 물질, 시약 및 통상적인 합성 절차를 사용하여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 또는 그의 변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반응에서, 이러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그 자체로 공지된 변형이 또한 사용가능하지만, 보다 상세하게 언급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에 비추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가변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 및 그의 실시를 설명하는 역할만을 한다.
본 발명의 많은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알킨 1.1은 니트릴 옥시드 (옥심 1.2를 PIFA로 처리함으로써 계내 형성됨)와의 [3+2] 고리화첨가에 참여하여 이속사졸 1.3을 제공한다. 니트로알칸 또는 클로로옥심과 같은 다른 니트릴 옥시드 전구체가 이러한 변환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6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산 2.1을 디옥산 중 CDI와 반응시킨 다음, 승온에서 디옥산 중 아미드 옥심 2.2로 처리하여 생성물 2.3을 수득한다. 이러한 변환에서 다른 커플링 시약, 예컨대 EDC 및 HOAt, 및 용매, 예컨대 톨루엔, 디클로로에탄 또는 DMSO가 사용될 수 있다. 2.3이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인 경우에, 혼합물은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1 및 2.2를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로 사용하여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가 풍부한 2.3을 수득할 수 있다. 옥사디아졸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 예컨대 승온에서 에탄올 (또는 다른 용매) 중에서 탄산칼륨 (또는 다른 염기)의 존재 하에 산 2.1의 상응하는 에스테르를 아미드 옥심 2.2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EDC 및 HOAt의 존재 하에 산 2.1을 아미드 옥심 2.2와 반응시키고 이어서 반응 혼합물에 T3P를 첨가하거나 또는 단리된 중간체를 THF 중 TBAF로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7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은 반응식 3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시클로프로판 중간체 3.1은 이제 아미드 옥심을 보유한다. 산 3.2를 디옥산 중 CDI와 반응시키고 이어서 아미드 옥심 3.1로 처리하고 승온으로 가열하여 생성물 3.3을 수득한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8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반응식 4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론산 에스테르 (또는 보로네이트 산 또는 보론산 유도체) 4.1은 팔라듐-촉매 조건 하에 헤테로아릴 브로마이드 (또는 클로라이드, 아이오다이드, 트리플레이트 또는 토실레이트) 4.2와 반응하여 생성물 4.3을 제공한다. 다양한 상이한 촉매 (다른 금속 예컨대 니켈 포함), 리간드, 염기 및 용매가 이 반응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6원 및 5원 헤테로아릴 할라이드 (예컨대 5-클로로-1,2,4-티아디아졸)가 4.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카르바메이트 4.3을 HCl로 처리하여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생성된 피페리딘을 술파미드와 반응시켜 생성물 4.4를 수득한다. 다른 술파밀화 시약 (예를 들어 tert-부틸 (클로로술포닐) 카르바메이트)이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4.4가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인 경우에, 혼합물은 키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4.1 및 4.2를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로 사용하여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가 풍부한 4.4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ct00009
추가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5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승온에서 할로케톤 5.1을 에탄올 중 티오아미드 5.2와 반응시켜 티아졸 5.3을 수득한다. 무른 루이스 산 및 다른 할라이드 및 용매가 또한 이러한 변환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탈수 시약이 5.1과 5.2의 커플링 후에 헤테로사이클의 형성을 완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아민 염기가 반응 동안 형성된 산을 격리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티오아미드가 아미딘에 의해 대체된 5.2의 변형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이미다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염기의 존재 하에 알킬 할라이드로의 처리에 의해 N-알킬화될 수 있다. 이어서 디메틸포름아미딘 보호기를 히드라진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 제거하여 생성물 5.4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pct00010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6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미늄 염 6.1을 승온에서 메탄올 중 HCl의 존재 하에 히드라진 6.2와 반응시켜 피라졸 6.3을 수득한다. 이어서 피라졸 6.3을 탄소 상 수산화팔라듐의 존재 하에 수소로 처리하여 카르복시벤질 보호기를 제거한 후, 생성된 피페리딘을 술파미드와 반응시켜 생성물 6.4를 수득한다.
반응식 6
Figure pct00011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7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산 7.1을 1,4-디옥산 중 CDI와 반응시키고 이어서 승온에서 아실 히드라진 7.2로 처리하고 이어서 생성된 아미드를 승온에서 옥시염화인 (V)으로 처리하여 탈수시켜 생성물 7.3을 수득한다. 이러한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커플링 시약 및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탈수 시약, 예컨대 버지스(Burgess) 시약 또는 트리플산 무수물이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pct00012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8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HATU 및 NMM의 존재 하에 산 7.1을 아실 히드라진 7.2와 반응시킨다. 이러한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커플링 시약 및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아미드를 라웨슨(Lawesson) 시약으로 처리하고, 승온으로 가온하여 티아디아졸 생성물 8.1을 수득한다. 다른 티오화 시약, 예컨대 P4S10 및 헥사메틸디실록산 또는 헥사메틸디실라티안 및 용매, 예컨대 1,4-디옥산이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티오화 후에 헤테로사이클의 형성을 완료시키기 위해 탈수 시약, 예컨대 PTSA가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8
Figure pct00013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9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의 존재 하에 승온에서 아미드 9.1을 할로케톤 9.2와 반응시켜 옥사졸 9.3을 수득한다. 다른 무른 루이스 산, 예컨대 삼플루오린화붕소 디에틸 에테레이트 및 할라이드, 예컨대 클로라이드 또는 아이오다이드가 이러한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탈수 시약이 9.1과 9.2의 커플링 후에 옥사졸의 형성을 완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6에서와 같이, 이어서 2-단계 순서를 이용하여 술파미드 9.4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9
Figure pct00014
본 발명의 추가의 위치이성질체 옥사졸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0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할로케톤 10.1을 승온에서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의 존재 하에 아미드 10.2와 반응시켜 옥사졸 10.3을 제공한다. 무른 루이스 산 및 다른 할라이드 및 용매가 또한 이러한 변환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탈수 시약이 10.1과 10.2의 커플링 후에 헤테로사이클의 형성을 완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아민 염기가 반응 동안 형성된 산을 격리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디메틸포름아미딘 보호기를 히드라진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 제거하여 생성물 10.4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pct00015
본 발명의 추가의 화합물은 반응식 11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산 7.1을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HATU와 반응시키고, 이어서 아미노 케톤 11.1로 처리한 다음, 생성된 아미드를 옥시염화인 (V)으로 처리하여 고리화탈수시켜 생성물 11.2를 수득한다. 이러한 변환을 실시하기 위해 다른 커플링 및 탈수 시약 및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11
Figure pct00016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2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속사졸 1.3을 라니(Raney) 니켈로 처리하여 비닐위치 아미드 12.1을 제공한다. 이어서 비닐위치 아미드 12.1을 클로라닐 및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P4S10과 반응시켜 이소티아졸 12.1을 수득할 수 있다. 다른 티오화 시약, 예컨대 라웨슨 시약이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12
Figure pct00017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반응식 13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피라졸 13.1을 산소의 존재 하에 구리-촉매된 조건 하에 아릴 보론산 13.2와 반응시켜 생성물 13.3을 수득한다. 대안적으로, 불활성 분위기 하에 염기 및 적합한 리간드의 존재 하에 팔라듐 또는 구리 촉매와 함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할라이드를 13.2 대신에 사용하여 13.3과 유사한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카르바메이트 13.3을 HCl로 처리하여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생성된 피페리딘을 술파미드와 반응시켜 생성물 13.4를 수득한다. 다른 술파밀화 시약 (예를 들어, tert-부틸 (클로로술포닐) 카르바메이트, 이어서 HCl을 사용한 Boc 기의 제거)이 이러한 변형에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13
Figure pct00018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14.6은 하기 반응식 14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승온에서 포스포란 14.2와의 반응에 의해 케톤 14.1의 비티히(Wittig) 올레핀화로 출발하여 생성물 14.3을 제공한다. 이어서 α,β-불포화 에스테르 14.3을 전구체 14.4를 수소화나트륨으로 처리함으로써 형성된 일리드와 반응시켜 시클로프로판 14.5를 제공한다. 다른 염기, 예컨대 칼륨 tert-부톡시드가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14.1을 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으로의 처리에 의해 상응하는 말단 올레핀으로 전환시킨 다음, 로듐, 구리 또는 팔라듐 촉매의 존재 하에 에틸 디아조아세테이트와 반응시켜 화합물 14.5의 에틸 에스테르 유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삼- 및 사치환된 올레핀이 이러한 후자의 변환에 사용되어 보다 높은 치환도를 갖는 시클로프로판을 제공할 수 있다. 키랄 리간드가 이들 카르벤 삽입 반응 (예컨대 구리 (I) 트리플레이트의 존재 하에 사용되는 (R,R)-(-)-2,2'-이소프로필리덴비스(4-tert-부틸-2-옥사졸린))에 사용되어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풍부 생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시클로프로판 14.5를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에 의해 비누화시켜 산 14.6을 제공한다.
반응식 14
Figure pct00019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15.5는 하기 반응식 15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DIBAL로의 처리에 의한 α,β-불포화 에스테르 14.3의 환원에 이어서 생성된 알릴 알콜을 DMAP 및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아세트산 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해 상응하는 아세테이트 15.1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출발한다. 다른 환원 시약, 아세틸화 시약 및 염기가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릴 아세테이트 15.1은 아이오딘화나트륨의 존재 하에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메탄으로 처리하여 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화시켜 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 15.2를 수득할 수 있다. 다른 디플루오로카르벤 공급원 (예컨대 (브로모디플루오로메틸)트리메틸실란 또는 소듐 클로로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개시제 (예컨대 테트라알킬암모늄 염)가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15.2의 아세테이트 기의 제거는 탄산칼륨으로의 처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생성된 알콜은 TEMPO와의 반응에 의해 상응하는 산으로 산화된다. 이어서 상기 산을 벤질 브로마이드로 처리하여 벤질 에스테르 15.3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에스테르 15.3을 HCl로 처리하여 Boc 기를 제거하고, 생성된 피페리딘을 술파미드와 반응시켜 생성물 15.4를 수득할 수 있다. 벤질 에스테르의 제거를 수소의 존재 하에 탄소 상 팔라듐으로의 처리로 달성하여 산 15.5를 제공할 수 있다.
반응식 15
Figure pct00020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3.1은 하기 반응식 16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 순서는 산 2.1로 출발하며, 이는 HATU 및 NMM의 존재 하에 염화암모늄과의 커플링에 의해 아미드 16.1로 전환된다 (다른 커플링 시약 및 염기가 또한 이 반응에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아미드 16.1은 POCl3으로 탈수되고 (다른 탈수 시약을 또한 사용할 수 있음), 이어서 생성된 니트릴을 히드록실아민으로 처리하여 아미드 옥심 3.1을 수득한다.
반응식 16
Figure pct00021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17.6은 반응식 17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승온에서 포스포란 17.2와의 반응에 의해 케톤 17.1의 비티히 올레핀화로 출발하여 말단 올레핀 17.3을 제공한다. 이어서 알켄 17.3을 그럽스(Grubbs) 촉매TM 2세대의 존재 하에 비닐 보로네이트 17.4와 반응시켜 비닐 보로네이트 17.5를 수득한다. 다른 교차-복분해 촉매 (예컨대 잔(Zhan) 촉매 또는 호베이다-그럽스(Hoveyda-Grubbs) 촉매)가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비닐 보로네이트 17.5를 아이오딘화나트륨의 존재 하에 (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메탄으로 처리하여 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화시켜 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 17.6을 수득할 수 있다. 다른 디플루오로카르벤 공급원 (예컨대 (브로모디플루오로메틸)트리메틸실란 또는 소듐 클로로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개시제 (예컨대 테트라알킬암모늄 염)가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17
Figure pct00022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5.1은 하기 반응식 18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디클로로메탄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산 7.1의 용액을 옥살릴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아실 클로라이드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아실 클로라이드를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에 이어서 HCl과 반응시켜 클로로케톤 5.1을 수득한다. 상기 클로로케톤은 아세톤 중 아이오딘화나트륨으로 처리함으로써 상응하는 아이오다이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응식 18
Figure pct00023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6.1은 하기 반응식 19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순서는 (메톡시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를 LiHMDS로 처리한 다음, 생성된 일리드를 알데히드 19.1과 반응시켜 엔올 에테르 19.2를 수득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이어서 엔올 에테르 19.2를 예비형성된 빌스마이어-하크(Vilsmeier-Haack) 시약 (DMF를 POCl3으로 처리하여 형성됨)에 첨가하여 이미늄 염 6.1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9
Figure pct00024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20.4는 반응식 20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DIBAL로의 처리에 의한 α,β-불포화 에스테르 14.3의 환원에 이어서 생성된 알릴 알콜을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BSCl과의 반응에 의해 상응하는 실릴 에테르 20.1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출발한다. 다른 환원 시약, 실레이트화 시약 및 염기가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릴 실릴 에테르 20.1을 TBAI 및 수산화나트륨의 존재 하에 디브로모(플루오로)메탄으로 처리하여 브로모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화시켜 브로모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 20.2를 수득할 수 있다. 염화암모늄의 존재 하에 Zn으로 처리하여 브로모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 20.2을 환원시키고 이어서 TBAF와의 반응에 의해 실릴 에테르를 탈보호시켜 플루오로시클로프로판 알콜 20.3을 수득할 수 있다. 알콜 20.3의 2단계 산화를, 먼저 DMP로 처리한 다음, 생성된 알데히드를 아염소산나트륨과 반응시켜 산 20.4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반응식 20
Figure pct00025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13.1은 반응식 2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순서는 산 21.1을 CDI로 처리하고, 생성된 아실 이미다졸을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웨인렙(Weinreb) 아미드를 수득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이어서 웨인렙 아미드를 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로 처리하여 알키닐 케톤 21.2를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알키닐 케톤 21.2를 히드라진으로 처리하여 피라졸 13.1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1
Figure pct00026
본 발명의 중간체, 예컨대 22.4는 반응식 22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22.1을 n-부틸리튬으로 처리하고 생성된 일리드를 피페리디논 14.1과 반응시켜 알켄 22.2를 수득하는 것으로 출발한다. 이어서 알켄 22.2를 로듐 아세테이트의 존재 하에 에틸 디아조아세테이트와 반응시켜 시클로프로판 22.3을 수득할 수 있다. 구리 또는 팔라듐과 같은 다른 금속이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키랄 리간드를 이들 카르벤 삽입 반응 (예컨대 구리 (I) 트리플레이트의 존재 하에 사용되는 (R,R)-(-)-2,2'-이소프로필리덴비스(4-tert-부틸-2-옥사졸린))에 사용되어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풍부 생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시클로프로판 22.3을 수산화나트륨으로의 처리에 의해 비누화시켜 산 22.4를 제공한다.
반응식 22
Figure pct00027
중간체, 예컨대 알킨 1.1은 하기 반응식 2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알콜 23.1을 데스-마르틴(Dess-Martin) 퍼아이오디난으로의 처리에 의해 산화시켜 알데히드 23.2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산화 시약 (예컨대 콜린(Collin) 시약, PCC 또는 PDC)이 이들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알데히드 23.2를 탄산칼륨의 존재 하에 디메틸 (1-디아조-2-옥소프로필)포스포네이트와 반응시켜 알킨 9.1을 수득할 수 있다. 다른 염기가 이러한 변환에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23
Figure pct00028
상기 반응식의 화합물 및 중간체는 본 발명의 대안적 화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유사한 중간체를 포함하는 다른 반응식에서 합성 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일부 경우에 상기 반응식을 수행하는 순서는 반응을 용이하게 하고 원치 않는 반응 생성물을 회피하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기 합성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익숙한 다양한 보호기 전략은 반응을 용이하게 하고 원치 않는 반응 생성물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최종 생성물은, 예를 들어 치환기의 조작에 의해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이들 조작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통상적으로 공지된 환원, 산화, 알킬화, 아실화 및 가수분해 반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오직 예시를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라세미 혼합물이 생성되는 경우에, 거울상이성질체는 최종 생성물의 단리 후에 또는 적합한 중간체에서 SFC 역상 또는 정상 키랄 분해 조건을 사용하여 분리될 수 있고, 이어서 개별적으로 단일 이성질체로 가공된다. 대안적인 방법론이 또한 이러한 주요 중간체의 합성 및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가능하고 적절한 경우에 비대칭 방법론 (예를 들어 키랄 촉매작용, 보조제)이 사용될 수 있다. 시약, 용매, 온도 및 다른 반응 조건의 정확한 선택이 의도된 생성물의 성질에 따라 좌우된다.
하기 약어가 본문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중간체 1
Figure pct00034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단계 A: 에틸 (1R)-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400 mL) 중 6-벤질 1-에틸 (1R)-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44.6 g, 141 mmol) (Brown et al. J. Med. Chem. (2014) 57:733-758)의 용액에 수산화팔라듐 (20% w/w, 활성탄 상, 4.94 g, 7.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배기시키고 수소 (약 1 atm)로 재충전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세척하면서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84.3 [M+H].
단계 B: 에틸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 (400 mL) 중 에틸 (1R)-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25.6 g, 140 mmol)의 용액에 술파미드 (40.7 g, 42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5℃로 가온하고,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술파미드 (9.00 g, 93.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되도록 하고,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0:100에서 5:9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63.1 [M+H].
단계 C: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푸란 (270 mL) 및 메탄올 (135 mL) 중 에틸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50.0 g, 191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 (2 M, 286 mL, 57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일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20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의 수용액 (12 M)을 사용하여 천천히 pH = 5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35.1 [M+H].
중간체 2
Figure pct00035
(1R)-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A: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4 mL) 중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 (1.20 g, 2.93 mmol)의 용액에 HATU (1.15 g, 3.02 mmol), 염화암모늄 (0.392 g, 7.32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1.13 mL, 10.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34.0 [M+H].
단계 B: (1R)-1-시아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아세토니트릴 (39 mL) 중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1.84 g, 7.89 mmol)의 용액에 옥시염화인 (1.47 mL, 15.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16.1 [M+H].
단계 C: (1R)-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메탄올 (14 mL) 중 (1R)-1-시아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0 g, 6.04 mmol)의 용액에 히드록실아민의 수용액 (50% w/w, 3.50 mL, 57.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49.1 [M+H].
중간체 3
Figure pct00036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1-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단계 A: 6-tert-부틸 1-메틸 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4 mL) 및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0에 기재됨) (1.0 g, 3.43 mmol)의 용액에 헥산 중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의 용액 (2 M, 9.44 mL, 18.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메탄올 (15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5: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50.0 [M-tBu+H].
단계 B: 6-tert-부틸 1-메틸 2,2-디플루오로-1-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78℃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6-tert-부틸 1-메틸 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200 mg, 0.66 mmol) 및 아이오도메탄 (0.85 mL, 13.6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헥산 중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용액 (2 M 0.98 mL, 1.9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한 다음, 주위 온도로 가온하고, 3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3 mL) 및 물 (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5: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64.0 [M-tBu+H].
단계 C: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1-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메탄올 (3 mL), 테트라히드로푸란 (3 mL), 및 물 (1.5 mL) 중 6-tert-부틸 1-메틸 2,2-디플루오로-1-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130 mg, 0.41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163 mg, 4.0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물 (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추출하였다. 수성 상을 염화수소의 수용액 (2 M)을 사용하여 pH = 3으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4
Figure pct00037
1-[3-(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2,2-디플루오로-1-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본질적으로 중간체 17에 기재된 절차에 따르지만, tert-부틸 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대신에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1-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3) 및 2-(디플루오로메톡시)-N'-히드록시피리딘-4-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대신에 N-히드록시-2,5-디메틸벤즈이미드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34.0 [M+H].
중간체 5
Figure pct00038
4,4-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단계 A: tert-부틸 4-[2-(벤질옥시)-2-옥소에틸리덴]-3,3-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톨루엔 (20 mL) 중 tert-부틸 3,3-디플루오로-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 g, 4.3 mmol)의 용액에 벤질 2-(트리페닐포스포라닐리덴)아세테이트 (2.62 g, 6.3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0℃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물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75:2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12.1 [M-tBu+H].
단계 B: 1-벤질 6-tert-부틸 4,4-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10℃에서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 0.196 g, 4.90 mmol) 및 디메틸술폭시드 (15 mL)의 혼합물에 디메틸술폭시드 중 트리메틸술폭소늄 아이오다이드의 용액 (5.2 M, 10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디메틸술폭시드 중 tert-부틸 4-[2-(벤질옥시)-2-옥소에틸리덴]-3,3-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 (6.6 M, 5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80:2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26.2 [M-tBu+H].
단계 C: 벤질 4,4-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2 mL) 중 1-벤질 6-tert-부틸 4,4-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312 mg, 0.818 mmol)의 용액에 1,4-디옥산 중 HCl의 용액 (4 M, 1.0 mL, 4.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82.2 [M+H].
단계 D: 벤질 4,4-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 (4 mL) 중 벤질 4,4-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255 mg, 0.802 mmol)의 용액에 술파미드 (231 mg, 2.41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68 mL, 1.2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5:4:1에서 50:38: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61.2 [M+H].
단계 E: 4,4-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불활성 분위기 하에 벤질 4,4-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250 mg, 0.694 mmol)를 함유하는 용기에 활성탄 상 팔라듐 (10% w/w, 74 mg, 0.069 mmol) 및 메탄올 (3.5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약 1 atm)의 분위기 하에 두고,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의 패드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MS: m/z = 271.1 [M+H].
중간체 6
Figure pct00039
6-(tert-부톡시카르보닐)-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단계 A: tert-부틸 3-플루오로-4-(2-메톡시-2-옥소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밀봉가능한 용기에 들은 톨루엔 (115 mL) 중 tert-부틸 3-플루오로-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0 g, 46.0 mmol)의 용액에 메틸 2-(트리페닐포스포라닐리덴)아세테이트 (26.2 g, 78 mmol)를 첨가하고, 용기를 밀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0℃로 가온하고, 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헥산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75:2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18.1 [M-tBu+H].
단계 B: 6-tert-부틸 1-메틸 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0℃에서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 2.51 g, 62.7 mmol) 및 디메틸술폭시드 (200 mL)를 함유하는 용기에 트리메틸술폭소늄 아이오다이드 (14.26 g, 64.8 mmol)를 1.5시간에 걸쳐 조금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메틸술폭시드 (50 mL) 중 tert-부틸 3-플루오로-4-(2-메톡시-2-옥소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6.03 g, 22.1 mmol)의 용액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 및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의 혼합물 (225 mL)에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암모늄 (2 x 100 mL)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의 포화 수용액 (1 x 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60:4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32.1 [M-tBu+H].
단계 C: 6-(tert-부톡시카르보닐)-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푸란 (64 mL) 및 메탄올 (20 mL) 중 6-tert-부틸 1-메틸 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4.86 g, 16.9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 (1 M, 34 mL, 3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5℃로 가온하고,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HCl의 수용액 (12.1 M, 2.79 mL, 34.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 (2 x)과 공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15 mL)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18.1 [M-tBu+H].
중간체 7
Figure pct00040
4-플루오로-N'-히드록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메탄올 (190 mL) 중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 (15.0 g, 79.3 mmol)의 용액에 히드록실아민의 수용액 (50% w/w, 48 mL, 78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2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70:3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23.3 [M+H].
중간체 8
Figure pct00041
4-메틸-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단계 A: tert-부틸 3-메틸-4-메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술폭시드 (45 mL) 중 tert-부틸 3-메틸-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95 g, 13.9 mmol)의 용액에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7.42 g, 20.8 mmol) 및 포타슘 tert-부톡시드 (2.33 g, 20.8 mmo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20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3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70:3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12.2 [M+H].
단계 B: 6-tert-부틸 1-에틸 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42 mL) 중 tert-부틸 3-메틸-4-메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78 g, 13.2 mmol)의 용액에 로듐(II) 아세테이트 이량체 (0.582 g, 1.32 mmol)를 첨가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중 에틸 디아조아세테이트의 용액 (2.19 M, 18.0 mL, 39.4 mmol)을 주위 온도에서 7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2 x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6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60:4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98.2 [M+H].
단계 C: 에틸 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 중 6-tert-부틸 1-에틸 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의 용액 (63 mL)에 1,4-디옥산 중 HCl의 용액 (4 M, 31.5 mL, 12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D: 에틸 4-메틸-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 (50 mL) 중 에틸 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3.07 g, 13.1 mmol)의 용액에 술파미드 (3.78 g, 39.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2.74 mL, 19.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0℃로 가온하고,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10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0:0에서 95: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77.2 [M+H].
단계 E: 4-메틸-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푸란 (36 mL) 및 메탄올 (18 mL) 중 에틸 4-메틸-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5.63 g, 21.5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 (2 M, 37.0 mL, 74.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7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5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염산의 수용액 (12 M)을 사용하여 pH = 5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49.1 [M+H].
중간체 9
Figure pct00042
(1R)-1-(클로로아세틸)-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딘 (0.1 mL) 중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 (500 mg, 2.13 mmol)의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0.558 mL, 6.5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 (6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고,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의 용액 (2 M, 3.90 mL, 7.8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1,4-디옥산 중 염화수소의 용액 (4 M, 2.92 mL, 11.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용액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22.0 [M+H].
중간체 10
Figure pct00043
(1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단계 A: tert-부틸 4-(2-메톡시-2-옥소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톨루엔 (100 mL) 중 tert-부틸 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40 g, 42.2 mmol)의 용액에 메틸 2-(트리페닐포스포라닐리덴)아세테이트 (17.6 g, 52.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0℃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헥산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00.1 [M-tBu+H].
단계 B: tert-부틸 4-(2-히드록시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78℃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60 mL) 중 tert-부틸 4-(2-메톡시-2-옥소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7.54 g, 29.5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디이소부틸암모늄 히드라이드의 용액 (1 M, 60.0 mL, 60.0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가온되도록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디이소부틸암모늄 히드라이드의 용액 (1 M, 40.0 mL, 40.0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8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로쉘 염의 수용액 (0.5 M)을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95.2 [M+Na-tBu].
단계 C: tert-부틸 4-(2-아세톡시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 tert-부틸 4-(2-히드록시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5.80 g, 25.5 mmol)의 용액에 피리딘 (4.13 mL, 51.0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312 g, 2.55 mmol), 및 아세트산 무수물 (4.82 mL, 51.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25:7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92.2 [M+Na].
단계 D: tert-부틸 2-(아세톡시메틸)-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질소의 분위기 하에 밀봉가능한 용기 중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 중 tert-부틸 4-(2-아세톡시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3.23 g, 12.0 mmol)의 용액에 아이오딘화나트륨 (0.899 g, 6.00 mmol) 및 트리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실란 (4.43 mL, 30.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용기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아이오딘화나트륨 (0.899 g, 6.00 mmol) 및 트리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실란 (4.43 mL, 30.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되도록 하고, 물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64.1 [M-tBu+H].
단계 E: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50 mL) 중 tert-부틸 2-(아세톡시메틸)-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5.68 g, 17.8 mmol)의 용액에 탄산칼륨 (7.37 g, 53.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메탄올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pH = 5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22.1 [M-tBu+H].
단계 F: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아세토니트릴 (10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4.93 g, 17.9 mmol)의 용액에 4-메틸모르폴린-4-옥시드 수화물 (24.0 g, 178 mmol) 및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루테네이트 (0.625 g, 1.78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산 (1 M)의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성 층을 물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셀라이트®의 패드 상에서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36.1 [M-tBu+H].
단계 G: 1-벤질 6-tert-부틸 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0 mL) 중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5.18 g, 17.9 mmol)의 용액에 HATU (10.1 g, 26.7 mmol), 벤질 알콜 (2.77 mL, 26.7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9.32 mL, 53.3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26.2 [M-tBu+H].
단계 H: 벤질 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25 mL) 중 1-벤질 6-tert-부틸 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4.70 g, 12.3 mmol)의 용액에 1,4-디옥산 중 염화수소의 용액 (4 M, 12.3 mL, 49.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82.2 [M+H].
단계 I: (1R)-벤질 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 (60 mL) 중 벤질 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3.92 g, 12.3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58 mL, 18.5 mmol) 및 술파미드 (3.56 g, 37.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술파미드 (3.56 g, 37.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52:36: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라세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라세미체를 SFC에 의해 키랄팩 AD-H 칼럼을 사용하여 메탄올:이산화탄소 - 40:60으로 용리시키면서 분해하였다. 용리된 제1 주요 피크는 (1R)-벤질 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표제 화합물이었고, 용리된 제2 주요 피크는 (1S)-벤질 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였다.
MS: m/z = 361.2 [M+H].
단계 J: (1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1R)-벤질 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1.20 g, 3.33 mmol)가 들은 용기에 불활성 분위기 하에 활성탄 상 팔라듐 (10% w/w, 0.354 g, 0.333 mmol)을 첨가하였다. 메탄올 (17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수소 (약 1 atm)의 분위기 하에 두고,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의 패드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71.1 [M+H].
중간체 11
Figure pct00044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A: (1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디클로로메탄 (200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11 mL) 중 (1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0) (10.8 g, 40.0 mmol)의 용액에 염화암모늄 (6.5 g, 122 mmol), HATU (18.3 g, 48.0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20 mL, 182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여과하고, 침전물을 감압 하에 건조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70.1 [M+H].
단계 B: (2R)-2-시아노-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아세토니트릴 (100 mL) 중 (1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6.16 g, 22.9 mmol)의 용액에 옥시염화인 (4.26 mL, 45.8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93.1 [M+CH3CN+H].
단계 C: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메탄올 (4 mL) 중 (2R)-2-시아노-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320 mg, 1.27 mmol)의 용액에 히드록실아민의 수용액 (50% w/w, 1.00 mL, 16.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일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85.2 [M+H].
중간체 12
Figure pct00045
3-시클로프로필-N'-히드록시이속사졸-4-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A: 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카르복스아미드
디클로로메탄 (22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2.2 mL) 중 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카르복실산 (0.758 g, 4.95 mmol)의 용액에 HATU (2.06 g, 5.42 mmol), 염화암모늄 (0.545 g, 10.2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1.60 mL, 14.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4 x 20 mL)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 x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60:3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53.2 [M+H].
단계 B: 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카르보니트릴
아세토니트릴 (11 mL) 중 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카르복스아미드 (330 mg, 2.17 mmol)의 용액에 옥시염화인 (0.404 mL, 4.3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온하고, 1.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차가운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30 mL)을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 x 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DMSO-d6) δ 9.75 (s, 1 H), 2.13 - 2.06 (m, 1 H), 1.18 - 1.10 (m, 2 H), 1.03 - 0.97 (m, 2 H).
단계 C: 3-시클로프로필-N'-히드록시이속사졸-4-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에탄올 (5.80 mL) 중 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카르보니트릴 (230 mg, 1.72 mmol)의 용액에 히드록실아민 (0.841 mL, 13.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 (3 x) 및 아세토니트릴 (2 x)과 공증발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68.1 [M+H].
중간체 13
Figure pct00046
N'-히드록시-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A: 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미드
디클로로메탄 (9.5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0.50 mL) 중 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388 mg, 2.00 mmol)의 용액에 염화암모늄 (267 mg, 5.00 mmol), HATU (837 mg, 2.20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0.660 mL, 6.0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52:36: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94.1 [M+H].
단계 B: 5-시아노-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
아세토니트릴 (10 mL) 중 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카르복스아미드 (365 mg, 1.89 mmol)의 용액에 옥시염화인 (0.352 mL, 3.78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옥시염화인 (0.352 mL, 3.78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5℃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되도록 하고,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의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C: (R)-N'-히드록시-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메탄올 (1.6 mL) 중 5-시아노-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 (135 mg, 0.771 mmol)의 용액에 히드록실아민의 수용액 (50% w/w, 0.400 mL, 6.5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5℃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09.1 [M+H].
중간체 14
Figure pct00047
2-(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이소니코틴산
단계 A: 메틸 5-브로모-2-(디플루오로메톡시)이소니코티네이트
아세토니트릴 (100 mL) 중 메틸 5-브로모-2-히드록시이소니코티네이트 (2.00 g, 8.62 mmol)의 용액에 소듐 클로로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 (4.00 g, 26.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0:1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84.0 [M+H].
단계 B: 메틸 2-(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
1,4-디옥산 (4.50 mL) 및 물 (0.50 mL) 중 5-브로모-2-(디플루오로메톡시)이소니코티네이트 (282 mg, 1.00 mmol) 및 인산칼륨 (424 mg, 2.00 mmol)의 용액에 1,1'-비스(디-tert-부틸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디클로라이드 (65.2 mg, 0.100 mmol) 및 2,4,6-트리메틸-1,3,5,2,4,6-트리옥사트리보리난 (251 mg, 2.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1,4-디옥산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0:1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18.1 [M+H].
단계 C: 2-(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이소니코틴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 메틸 2-(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이소니코티네이트 (110 mg, 0.507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 (1 M, 1.52 mL, 1.5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0℃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염산 (1 M)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 1로 조정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04.1 [M+H].
중간체 15
Figure pct00048
(1R)-1-{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
단계 A: (1R)-6-[(벤질옥시)카르보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에탄올 (30 mL) 중 6-벤질 1-에틸 (1R)-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Brown et al. J. Med. Chem. (2014) 57:733-758) (2.0 g, 6.3 mmol)의 교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 (1 M, 19 mL, 1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물 (2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의 수용액 (2 M)을 첨가하여 pH = 4로 조정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90.0 [M+H].
단계 B: 벤질 (1R)-1-(히드록시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2 mL) 중 (1R)-6-((벤질옥시)카르보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100 mg, 0.35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보란 디메틸 술피드 착물 (10 M, 0.07 mL, 0.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메탄올을 기체 발생이 멈출 때까지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0:50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76.1 [M+H].
단계 C: 벤질 (1R)-1-포르밀-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3 mL) 중 벤질 (1R)-1-(히드록시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70 mg, 0.25 mmol)의 용액에 데스-마르틴 퍼아이오디난 (162 mg, 0.38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5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2 x 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75:2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74.1 [M+H].
단계 D: 벤질 (1S)-1-(2-메톡시비닐)-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78℃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메톡시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188 mg, 0.55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의 용액 (1 M, 0.531 mL, 0.53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벤질 (1R)-1-포르밀-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50 mg, 0.1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75:2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02.1 [M+H].
단계 E: N-[2-{(1R)-6-[(벤질옥시)카르보닐]-6-아자스피로[2.5]옥트-1-일}-3-메톡시프로프-2-엔-1-일리덴]-N-메틸메탄아미늄 카르보네이트
0℃에서 클로로포름 (1 mL) 중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32 mL, 0.42 mmol)의 용액에 옥시염화인 (0.039 mL, 0.4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0℃로 가온하고, 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1S)-벤질 1-(2-메톡시비닐)-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25 mg, 0.0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탄산칼륨의 수용액 (0.83 M, 1 mL, 0.8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3 mL)로 희석하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2 x 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57.1 [M+H].
단계 F: 벤질 (1R)-1-{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4 mL) 중 (R)-N-(2-(6-((벤질옥시)카르보닐)-6-아자스피로[2.5]옥탄-1-일)-3-메톡시알릴리덴)-N-메틸메탄아미늄 카르보네이트 (150 mg, 0.42 mmol)의 용액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히드라진 (806 mg, 4.20 mmol) 및 염산의 수용액 (2 M, 2.10 mL, 4.2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 10으로 조정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75:2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72.1 [M+H].
단계 G: (1R)-1-{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
메탄올 (5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 벤질 (1R)-1-{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50 mg, 0.32 mmol)의 용액에 활성탄 상 수산화팔라듐 (10% w/w, 22.3 mg, 0.03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수소의 분위기 (25 psi) 하에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38.1 [M+H].
중간체 16
Figure pct00049
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카르보히드라지드
디클로로메탄 (4.0 mL) 중 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카르복실산 (300 mg, 1.97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중 옥살릴 클로라이드의 용액 (2 M, 2.96 mL, 5.9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디클로로메탄 (4.0 mL) 및 메탄올 (0.16 mL, 3.94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0.60 mL, 1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 메탄올 - 100:0에서 95: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67.0 [M+H].
중간체 17
Figure pct00050
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A: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메탄올 (26 mL) 중 1-벤질 6-tert-부틸 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6-디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0에 기재됨) (500 mg, 1.31 mmol)의 용액에 탄소 상 팔라듐 (10% w/w, 42 mg, 0.03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수소의 분위기 하에 주위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세척하면서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36.1 [M-tBu+H].
단계 B: tert-부틸 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2-디클로로에탄 (12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1.2 mL) 중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386 mg, 1.325 mmol)의 용액에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330 mg, 1.72 mmol),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126 mg, 0.928 mmol), 및 2-(디플루오로메톡시)-N'-히드록시피리딘-4-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A7) (350 mg, 1.7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4.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2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2 x 20 mL)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 x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61:39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03.2 [M-tBu+H].
단계 C: 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1,4-디옥산 (4.3 mL) 중 tert-부틸 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393 mg, 0.858 mmol)의 용액에 1,4-디옥산 중 HCl의 용액 (4 M, 4.30 mL, 17.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59.2 [M+H].
중간체 18
Figure pct00051
(1R)-1-[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
단계 A: 벤질 (1R)-1-카르바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60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3.0 mL) 중 (1R)-6-[(벤질옥시)카르보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5에 기재됨) (1.95 g, 6.74 mmol)의 용액에 HATU (2.69 g, 7.07 mmol), N-메틸모르폴린 (2.97 mL, 27.0 mmol), 및 염화암모늄 (1.44 g, 26.9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7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7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3 x 75 mL)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 x 7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40:45:1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89.2 [M+H].
단계 B: 벤질 (1R)-1-[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중 벤질 (1R)-1-카르바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06 mg, 0.369 mmol)의 용액에 2-브로모-1-(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에타논 (중간체 E1)(76.2 mg, 0.330 mmol) 및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00 mg, 0.39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5℃로 가온하고, 3.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70:3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89.3 [M+H].
단계 C: (1R)-1-[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
에틸 아세테이트 (1.5 mL) 및 메탄올 (2 mL) 중 벤질 (1R)-1-[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22 mg, 0.057 mmol)의 용액에 탄소 상 수산화팔라듐 (20% w/w, 4.0 mg, 5.7 μ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의 분위기 하에 두고, 주위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55.1 [M+H].
중간체 19
Figure pct00052
2-시클로프로폭시이소니코틴산
주위 온도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8 mL) 중 수소화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 64.5 mg, 1.61 mmol)의 혼합물에 시클로프로판올 (94.0 mg, 1.61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기체 발생이 멈춘 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메틸 2-플루오로이소니코티네이트 (250 mg, 1.61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염산의 수용액 (1 M)을 사용하여 pH = 1로 조정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아세토니트릴:물 - 0:100에서 95: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80.0 [M+H].
중간체 20
Figure pct00053
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3-카르복실산
단계 A: 에틸 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공기의 분위기 하에 1,2-디클로로에탄 (50 mL) 중 에틸 4-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1.00 g, 6.49 mmol)의 용액에 시클로프로필보론산 (1.11 g, 13.0 mmol) 및 탄산나트륨 (1.38 g, 13.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로 가온하고, 2,2'-비피리딘 (1.01 g, 6.49 mmol) 및 아세트산구리 (II) (1.18 g, 6.4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95.0 [M+H].
단계 B: 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 mL) 중 에틸 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425 mg, 2.19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 (1 M, 9.00 mL, 9.0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일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산의 수용액 (1 M)을 사용하여 pH = 1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89.1 [M+Na].
중간체 21
Figure pct00054
N'-히드록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단계 A: tert-부틸 1-카르바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28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1.4 mL) 중 6-(tert-부톡시카르보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1.50 g, 5.88 mmol)의 용액에 HATU (2.30 g, 6.05 mmol), 염화암모늄 (1.35 g, 25.2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2.60 mL, 23.7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물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55.2 [M+H].
단계 B: 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1,4-디옥산 (6.0 mL) 및 메탄올 (3.0 mL) 중 tert-부틸 1-카르바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703 mg, 2.76 mmol)의 용액에 디옥산 중 HCl (6.91 mL, 27.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55.1 [M+H].
단계 C: 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625 mg, 2.76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30 mL, 16.5 mmol)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0.344 mL, 4.41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75 mL)를 생성된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33.2 [M+H].
단계 D: 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보니트릴
아세토니트릴 (25 mL) 중 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702 mg, 2.75 mmol)의 용액에 옥시염화인 (0.940 mL, 10.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얼음 및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의 혼합물 (25 mL)에 천천히 부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3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 x 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35:49:16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15.3 [M+H].
단계 E: N'-히드록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에탄올 (8.60 mL) 중 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보니트릴 (370 mg, 1.73 mmol)의 용액에 히드록실아민의 수용액 (50% w/w, 0.969 mL, 17.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48.2 [M+H].
중간체 22
Figure pct00055
2-아지도-1-(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에타논
단계 A: 3-시클로프로필-N-메톡시-N,5-디메틸이속사졸-4-카르복스아미드
디클로로메탄 (20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2.0 mL) 중 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995 mg, 5.95 mmol)의 용액에 HATU (2.49 g, 6.55 mmol), 4-메틸모르폴린 (1.96 mL, 17.8 mmol), 및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639 mg, 6.5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4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1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0:0에서 95: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11.1 [M+H].
단계 B: 1-(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에타논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 3-시클로프로필-N-메톡시-N,5-디메틸이속사졸-4-카르복스아미드 (1.04 g, 4.95 mmol)의 용액에 톨루엔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1.4 M, 7.70 mL, 9.89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하고,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3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60:4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66.0 [M+H].
단계 C: 2-브로모-1-(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에타논
0℃에서 메탄올 (14 mL) 중 1-(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에타논 (682 mg, 4.13 mmol)의 용액에 브로민 (0.25 mL, 4.85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되도록 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4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44.0 [M+H].
단계 D: 2-아지도-1-(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에타논
아세토니트릴 (11 mL) 중 2-브로모-1-(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에타논 (856 mg, 3.51 mmol)의 용액에 아지드화나트륨 (342 mg, 5.2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4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3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07.1 [M+H].
중간체 23
Figure pct00056
1-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단계 A: 에틸 1-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1,2-디클로로에탄 (40 mL) 중 에틸 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1.00 g, 4.80 mmol)의 용액에 시클로프로필보론산 (0.825 g, 9.61 mmol) 및 탄산나트륨 (1.02 g, 9.6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로 가온하고, 2,2'-비피리딘 (0.750 g, 4.80 mmol) 및 아세트산구리 (II) (0.873 g, 4.8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95:5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49.1 [M+H].
단계 B: 1-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테트라히드로푸란 (9 mL) 중 에틸 1-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368 mg, 1.48 mmol)의 용액에 수성 수산화나트륨 (1 M, 4.5 mL, 4.5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산 (1 M)의 수용액의 첨가에 의해 pH = 1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21.0 [M+H].
중간체 24
Figure pct00057
(2R)-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2-(아이오도아세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단계 A: (1R)-6-{[(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술파모일}-2,2-디플루오로-N-메톡시-N-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 mL) 중 (1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0) (700 mg, 2.59 mmol)의 용액에 HATU (1083 mg, 2.85 mmol), 4-메틸모르폴린 (0.997 mL, 9.07 mmol), 및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303 mg, 3.11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옥살릴 클로라이드 (3.11 mL, 6.2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3 x)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40:45:1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69.2 [M+H].
단계 B: (2R)-2-(클로로아세틸)-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78℃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4 mL) 중 (1R)-6-{[(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술파모일}-2,2-디플루오로-N-메톡시-N-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200 mg, 0.543 mmol)의 용액에 클로로아이오도메탄 (0.162 mL, 2.17 mmol)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메틸리튬 브로민화리튬 착물의 용액 (1.5 M, 1.09 mL, 1.63 mmol)을 순차적으로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하고, 2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유기 층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2 x)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40:45:1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58.1 [M+H].
단계 C: (2R)-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2-(아이오도아세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아세톤 (0.60 mL) 중 (2R)-2-(클로로아세틸)-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65 mg, 0.18 mmol)의 용액에 아이오딘화나트륨 (27.2 mg, 0.18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유기 층을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50.1 [M+H].
중간체 25
Figure pct00058
5-클로로-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
단계 A: 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5(4H)-온
주위 온도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0 mL) 중 4-플루오로-N'-히드록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500 mg, 2.25 mmol)의 용액에 1,1'-티오카르보닐디이미다졸 (501 mg, 2.8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5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고, 삼플루오린화붕소 디에틸 에테레이트 (1.43 mL, 11.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3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72:28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0.83 (m, 1 H), 7.70 (m, 1 H), 7.54 (m, 1 H), 7.41 (m, 1 H).
단계 B: 5-클로로-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
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5(4H)-온 (180 mg, 0.68 mmol)이 들은 플라스크에 옥시염화인 (3.0 mL, 3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중에 재용해시켰다. 물 (차가운, 5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2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9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0 (m, 1 H), 7.54 (m, 1 H), 7.36 (m, 1 H).
중간체 26
Figure pct00059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단계 A: tert-부틸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메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톨루엔 (60 mL) 중 4,4,5,5-테트라메틸-2-비닐-1,3,2-디옥사보롤란 (7.03 g, 45.6 mmol)의 용액에 tert-부틸 4-메틸렌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3.0 g, 15.2 mmol) 및 디클로로[1,3-비스(2,4,6-트리메틸페닐)-2-이미다졸리디닐리덴][[5-[(디메틸아미노)술포닐]-2-(1-메틸에톡시-O)페닐]메틸렌-C]루테늄(II) (0.56 g, 0.7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2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5:5에서 9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24.1 [M-100+H].
단계 B: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tert-부틸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메틸렌)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0 g, 3.09 mmol)의 용액에 트리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실란 (4.40 g, 30.9 mmol) 및 아이오딘화나트륨 (0.23 g, 1.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되도록 하고, 물 (1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80:2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59.2 [M-tBu+CH3CN+H].
중간체 27
Figure pct00060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
본질적으로 중간체 35에 기재된 절차에 따르지만, 3-브로모-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 대신에 5-클로로-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 (중간체 25)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94.1 [M+H].
중간체 28
Figure pct00061
2,2-디플루오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단계 A: 벤질 2,2-디플루오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30 mL) 중 벤질 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0에 기재됨) (2.58 g, 9.17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3.84 mL, 27.5 mmol)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07 mL, 13.8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3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9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82.1 [M+Na].
단계 B: 2,2-디플루오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메탄올 (50 mL) 및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벤질 2,2-디플루오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레이트 (2.9 g, 8.1 mmol)의 용액에 활성탄 상 팔라듐 (습윤, 10% w/w, 0.86 g, 0.8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의 분위기 (30 psi) 하에 두고,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70.0 [M+H].
중간체 29
Figure pct00062
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디클로로메탄 (48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4.80 mL) 중 2-(디플루오로메톡시)이소니코틴산 (5.0 g, 26 mmol)의 용액에 HATU (10.1 g, 50.4 mmol), 염화암모늄 (5.66 g, 105 mmol), 및 N-메틸모르폴린 (12.2 mL, 58.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7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 (2 x 30 mL)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 x 3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80:20에서 15:8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189.1 [M+H].
중간체 30
Figure pct00063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단계 A: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메톡시(메틸)카르바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6-(tert-부톡시카르보닐)-2,2-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0에 기재됨) (4.0 g, 13.7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5.74 mL, 41.2 mmol),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4.45 g, 27.5 mmol) 및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01 g, 20.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5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0:10에서 75:2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35.1 [M+H].
단계 B: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프로피올로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메톡시(메틸)카르바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2.0 g, 5.98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의 용액 (0.5 M, 120 mL, 59.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15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5:5에서 75:2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3.48 - 3.58 (m, 4 H), 3.37 (s, 1 H), 2.55 - 2.65 (m, 1 H), 1.51 - 1.89 (m, 4 H), 1.44 (s, 9 H).
단계 C: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에탄올 (1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프로피올로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700 mg, 2.34 mmol)의 용액에 히드라진 (85% w/w, 353 mg, 9.3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0:10에서 75:2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14.0 [M+H].
중간체 31
Figure pct00064
1,1-디플루오로-2-{1-[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A: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1-[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4-디옥산 (1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0) (200 mg, 0.64 mmol)의 용액에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산 (265 mg, 1.28 mmol), 탄산세슘 (416 mg, 1.28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312 mg, 2.55 mmol), 및 아세트산구리 (II) (116 mg, 0.64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산소의 분위기 (15 psi) 하에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1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75:2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76.0 [M+H].
단계 B: 1,1-디플루오로-2-{1-[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1-[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30 mg, 0.06 mmol)가 들은 플라스크에 1,4-디옥산 중 염화수소 (4 M, 2.0 mL, 8.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76.0 [M+H].
중간체 32
Figure pct00065
6-(tert-부톡시카르보닐)-2-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단계 A: tert-부틸 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4-(2-히드록시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750 mg, 3.30 mmol)의 용액에 이미다졸 (337 mg, 4.95 mmol) 및 tert-부틸클로로디메틸실란 (547 mg, 3.6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5:5에서 9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42.1 [M+H].
단계 B: tert-부틸 1-브로모-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1 mL) 중 tert-부틸 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리덴}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0 mg, 0.29 mmol)의 용액에 브로모디플루오로메탄 (192 mg, 1.46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 (10.8 mg, 0.0292 mmol), 및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 (50%, 1.0 mL, 0.2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0℃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5: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51.9 [M-100+H].
단계 C: tert-부틸 1-{[(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에탄올 (1 mL) 중 tert-부틸 1-브로모-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50 mg, 0.11 mmol)의 용액에 아연 (29 mg, 0.44 mmol) 및 염화암모늄 (36 mg, 0.6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로 가온하고, 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5: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18.0 [M-tBu+H].
단계 D: tert-부틸 1-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tert-부틸 1-{[(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400 mg, 1.07 mmol)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용액 (1 M, 5.35 mL, 5.3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0:10에서 80:2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04.0 [M-tBu+H].
단계 E: tert-부틸 1-플루오로-2-포르밀-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tert-부틸 1-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50 mg, 0.19 mmol)의 용액에 데스-마르틴 퍼아이오디난 (164 mg, 0.3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75:25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75 - 9.81 (m, 1 H); 3.37 - 3.58 (m, 3 H); 3.22 - 3.34 (m, 1 H); 2.31 (brd, J = 18.0 Hz, 1 H); 1.64 - 1.84 (m, 3 H); 1.53 - 1.59 (m, 1 H); 1.45 (s, 9 H); 1.20 - 1.33 (m, 1 H).
단계 F: 6-(tert-부톡시카르보닐)-2-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주위 온도에서 t-BuOH (0.5 mL) 중 tert-부틸 1-플루오로-2-포르밀-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5 mg, 0.06 mmol)의 용액에 2-메틸부트-2-엔 (20 mg, 0.29 mmol) 및 물 (0.5 mL) 중 아염소산나트륨 (16 mg, 0.17 mmol)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28 mg, 0.23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3.39 - 3.57 (m, 3 H); 1.96 (dd, J1 =18.4 Hz, J2 = 2.6 Hz, 1 H); 1.55 - 1.80 (m, 5 H); 1.46 (s, 10 H).
중간체 33
Figure pct00066
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2-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일)-1,2,4-옥사디아졸 히드로클로라이드
본질적으로 중간체 17에 기재된 절차에 따르지만, tert-부틸 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대신에 6-(tert-부톡시카르보닐)-2-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32) 및 2-(디플루오로메톡시)-N'-히드록시피리딘-4-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대신에 4-플루오로-N-히드록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60.0 [M+H].
중간체 34
Figure pct00067
3-브로모-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
1,4-디옥산 (2 mL) 및 물 (0.2 mL) 중 3-브로모-5-클로로-1,2,4-티아디아졸 (60 mg, 0.30 mmol)의 용액에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산 (62.5 mg, 0.30 mmol), 탄산칼륨 (125 mg, 0.90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22.01 mg, 0.0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3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추출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26.7, 328.7 [M+H].
중간체 35
Figure pct00068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A: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tert-아밀 알콜 (2 mL) 중 3-브로모-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 (중간체 34) (65 mg, 0.20 mmol)의 용액에 탄산세슘 (0.40 mL, 0.60 mmol),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26) (89 mg, 0.24 mmol), 및 클로로{[디(1-아다만틸)-n-부틸포스핀]-2-(2-아미노비페닐)}팔라듐(II) (13.3 mg, 0.0199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0:10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38.1 [M-tBu+H].
단계 B: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70 mg, 0.14 mmol)가 들은 플라스크에 1,4-디옥산 중 HCl의 용액 (4 M, 10 mL, 4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94.1 [M+H].
중간체 36
Figure pct00069
1-에티닐-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메탄올 (15 mL) 중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 (1.0 g, 5.2 mmol)의 용액에 디메틸 (1-디아조-2-옥소프로필)포스포네이트 (1.20 g, 6.25 mmol) 및 탄산칼륨 (2.16 g, 15.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1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1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3 - 7.65 (m, 1 H); 7.47 - 7.40 (m, 1 H); 7.22 - 7.27 (m, 1 H); 3.35 (s, 1 H).
중간체 37
Figure pct00070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단계 A: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포르밀-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0에 기재됨) (760 mg, 2.74 mmol)의 용액에 데스-마르틴 퍼아이오디난 (2.33 g, 5.4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20 mL)을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95:5에서 9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20.1 [M-tBu+H].
단계 B: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히드록시이미노)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에탄올 (2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포르밀-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0 g, 3.6 mmol) 및 탄산나트륨 (0.78 g, 7.3 mmol)의 용액에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51 g, 7.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9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1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히드록시이미노)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772 mg, 2.66 mmol) 및 1-에티닐-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중간체 36) (500 mg, 1.33 mmol)의 용액에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1.71 g, 3.9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7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1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92:8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21.1 [M-tBu+H].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주위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50 mg, 0.11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mL, 2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77.1 [M+H].
중간체 38
Figure pct00071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단계 A: tert-부틸 2-에티닐-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1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포르밀-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7에 기재됨) (210 mg, 0.76 mmol)의 용액에 탄산칼륨 (210 mg, 1.53 mmol) 및 디메틸 (1-디아조-2-옥소프로필)포스포네이트 (293 mg, 1.5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2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85:1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257.1 [M-tBu+CH3CN+H].
단계 B: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3-[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메탄올 (12 mL) 중 tert-부틸 2-에티닐-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500 mg, 1.84 mmol) 및 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 옥심 (916 mg, 4.42 mmol)의 용액에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2.38 g, 5.5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7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1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95: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21.2 [M-tBu+H].
단계 C: tert-부틸 2-{3-아미노-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크릴로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Ar 하에 에탄올 (25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400 mg, 0.84 mmol)의 용액에 라니 니켈 (4.93 mg, 0.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의 분위기 (약 40 psi) 하에 두고, 40℃로 가온하고, 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불활성 기체로 퍼징하고,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에탄올 (100 mL)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79.1 [M+H].
단계 D: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톨루엔 (10 mL) 중 tert-부틸 2-{3-아미노-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크릴로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380 mg, 0.79 mmol)의 용액에 오황화인 (530 mg, 2.38 mmol) 및 클로라닐 (586 mg, 2.38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5℃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5 mL), 에틸 아세테이트 (5 mL), 탄산나트륨 (421 mg, 3.97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84 mL, 7.9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1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9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93.1 [M+H].
단계 E: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880 mg, 0.50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93.1 [M+H].
중간체 39
Figure pct00072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단계 A: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1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히드록시이미노)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7에 기재됨) (772 mg, 2.66 mmol) 및 1-에티닐-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중간체 36) (500 mg, 1.33 mmol)의 용액에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아이오도]벤젠 (1.71 g, 3.98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92:8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21.1 [M-tBu+H].
단계 B: tert-부틸 2-{1-아미노-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옥소프로프-1-엔-1-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Ar 하에 에탄올 (1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속사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00 mg, 0.21 mmol)의 용액에 라니 니켈 (1.2 mg, 0.02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의 분위기 (약 40 psi) 하에 두고, 35℃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불활성 기체로 퍼징하고, 셀라이트®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에탄올 (100 mL)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79.3 [M+H].
단계 C: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주위 온도에서 톨루엔 (8 mL) 중 tert-부틸 2-{1-아미노-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옥소프로프-1-엔-1-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60 mg, 0.33 mmol)의 용액에 오황화인 (223 mg, 1.00 mmol) 및 클로라닐 (247 mg, 1.0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5℃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5 mL), 에틸 아세테이트 (5 mL), 탄산나트륨 (177 mg, 1.67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0.39 mL, 1.6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15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1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92:8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37.2 [M-tBu+H].
단계 D: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주위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70 mg, 0.11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 38.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93.1 [M+H].
하기 표에 나타낸 중간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변형과 유사한 변환의 결과로서 기재되거나 제조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체와 유사하게 제조되었다. 필요한 출발 물질은 본원에 기재되어 있거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문헌에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되었다. 간단한 보호기 전략은 일부 경로에서 적용되었다.
표 INT-A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표 INT-B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표 INT-C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표 INT-D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표 INT-E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실시예 1
Figure pct00085
(1R)-1-{5-[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1 mL) 중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40.4 mg, 0.198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32.1 mg, 0.19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2) (44.7 mg, 0.1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24:57:19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17.1 [M+H].
1H NMR (DMSO-d6) δ 8.26 (s, 1 H), 7.94 (d, J = 8.0 Hz, 1 H), 7.73 (d, J = 8.1 Hz, 1 H), 6.71 (s, 2 H), 3.17 - 3.09 (m, 1 H), 3.08 - 2.95 (m, 2 H), 2.85 - 2.75 (m, 1 H), 2.70 (s, 3 H), 2.28 - 2.17 (m, 1 H), 1.81 - 1.59 (m, 4 H), 1.28 - 1.17 (m, 2 H).
실시예 2
Figure pct00086
(1R)-1-[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1 mL) 중 2,5-디메틸벤조산 (30.0 mg, 0.200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32.4 mg, 0.20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2) (49.7 mg, 0.20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52:36: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63.2 [M+H].
1H NMR (DMSO-d6) δ 7.82 (s, 1 H), 7.37 (d, J = 7.7 Hz, 1 H), 7.34 (d, J = 7.9 Hz, 1 H), 6.72 (s, 2 H), 3.12 (d, J = 6.7 Hz, 1 H), 3.02 (dt, J = 15.1, 7.5 Hz, 2 H), 2.78 (t, J = 8.2 Hz, 1 H), 2.56 (s, 3 H), 2.36 (s, 3 H), 2.18 (dd, J = 7.8, 6.2 Hz, 1 H), 1.83 - 1.56 (m, 4 H), 1.19 (dd, J = 7.5, 5.2 Hz, 2 H).
실시예 3
Figure pct00087
4,4-디플루오로-1-{3-[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C
1,4-디옥산 (2 mL) 중 4,4-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5) (93.0 mg, 0.344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61.4 mg, 0.37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N'-히드록시-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벤즈이미드아미드 (81.0 mg, 0.34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술파미드 (50.0 mg, 0.5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52:36: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SFC에 의해 키랄팩 AD-H 칼럼을 사용하여 에탄올:이산화탄소 - 20:80으로 용리시키면서 분해하였다. 용리된 제1 주요 피크는 4,4-디플루오로-1-{3-[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A이었고, 용리된 제2 주요 피크는 4,4-디플루오로-1-{3-[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B이었고, 용리된 제3 주요 피크는 4,4-디플루오로-1-{3-[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C, 표제 화합물이었고, 용리된 제4 주요 피크는 4,4-디플루오로-1-{3-[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D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C: MS: m/z = 469.2 [M+H].
1H NMR (DMSO-d6) δ 7.69 (d, J = 7.9 Hz, 1 H), 7.60 (s, 1 H), 7.55 (t, J = 8.0 Hz, 1 H), 7.31 (dd, J = 8.3, 1.9 Hz, 1 H), 7.08 (s, 2 H), 4.89 (q, J = 8.7 Hz, 2 H), 3.53 - 3.41 (m, 1 H), 3.38 - 3.23 (m, 1 H), 3.14 - 2.98 (m, 2 H), 2.92 (dd, J = 9.1, 6.2 Hz, 1 H), 1.99 - 1.83 (m, 2 H), 1.75 (dd, J = 8.9, 5.5 Hz, 1 H), 1.63 - 1.54 (m, 1 H).
실시예 4
Figure pct00088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E
단계 A: tert-부틸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밀봉가능한 용기에 들은 1,4-디옥산 (18 mL) 중 6-(tert-부톡시카르보닐)-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6) (955.6 mg, 3.50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854 mg, 5.27 mmol)을 첨가하고, 용기를 밀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1,4-디옥산 (6 mL) 중 3-(디플루오로메톡시)-N'-히드록시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843 mg, 4.1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로 가온하고, 1.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70:3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84.2 [M-tBu+H].
단계 B: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tert-부틸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실레이트 (1.04 g, 2.32 mmol)가 들은 용기에 1,4-디옥산 중 HCl의 용액 (4 M, 12 mL, 48.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40.2 [M+H].
단계 C: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E
1,4-디옥산 (12 mL) 중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913 mg, 2.31 mmol)의 용액에 술파미드 (571 mg, 5.94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644 mL, 4.6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75:25에서 0:10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SFC에 의해 키랄팩 AD-H 칼럼을 사용하여 에탄올:이산화탄소:수산화암모늄 - 30:70:0.2으로 용리시키면서 분해하였다. 용리된 제1 주요 피크는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A이었고, 용리된 제2 주요 피크는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B이었고, 용리된 제3 주요 피크는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C이었고, 용리된 제4 주요 피크는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D이었고, 용리된 제5 주요 피크는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E, 표제 화합물이었고, 용리된 제6 주요 피크는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F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E: MS: m/z = 419.2 [M+H].
1H NMR (CD3OD) δ 7.91 (d, J = 7.8 Hz, 1 H), 7.78 (s, 1 H), 7.55 (t, J = 8.0 Hz, 1 H), 7.33 (d, J = 8.1 Hz, 1 H), 6.91 (t, J = 73.6 Hz, 1 H), 4.39 (d, J = 47.3 Hz, 1 H), 3.64 - 3.55 (m, 1 H), 3.30 - 3.24 (m, 1 H), 2.75 - 2.66 (m, 1 H), 2.63 - 2.56 (m, 1 H), 2.32 - 2.24 (m, 1 H), 1.78 - 1.71 (m, 1 H), 1.71 - 1.65 (m, 1 H), 1.55 (t, J = 5.5 Hz, 1 H).
실시예 5
Figure pct00089
(1R)-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80 mL) 중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 (5.00 g, 21.3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5.19 g, 32.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3.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4-플루오로-N'-히드록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7) (4.98 g, 22.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2일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술파미드 (1.03 g, 10.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의 용액 (30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7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3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0:0에서 96:4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헥산: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21.1 [M+H].
1H NMR (DMSO-d6) δ 7.97 - 7.86 (m, 2 H), 7.75 (td, J = 8.3, 2.3 Hz, 1 H), 6.77 (s, 2 H), 3.22 - 3.12 (m, 1 H), 3.10 - 3.01 (m, 1 H), 3.02 - 2.92 (m, 1 H), 2.69 - 2.58 (m, 1 H), 2.53 - 2.45 (m, 1 H), 1.84 - 1.78 (m, 1 H), 1.78 - 1.72 (m, 1 H), 1.72 - 1.66 (m, 1 H), 1.65 - 1.59 (m, 1 H), 1.43 (dd, J = 8.3, 4.7 Hz, 1 H), 1.34 (t, J = 5.0 Hz, 1 H).
실시예 6
Figure pct00090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D
1,4-디옥산 (5.0 mL) 중 4-메틸-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8) (300 mg, 1.21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206 mg, 1.2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0.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4-플루오로-N'-히드록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7) (341 mg, 1.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2일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술파미드 (116 mg, 1.2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60:4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3개 주요 용리 피크를 수득하였으며, 각각은 표제 화합물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이었다. 제1 주요 피크는 4종의 이성질체를 함유하였고, 제2 주요 피크는 2종의 이성질체를 함유하였고, 제3 주요 피크는 2종의 이성질체를 함유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용리된 제1 주요 피크를 SFC에 의해 키랄팩 AD-H 칼럼을 사용하여 메탄올:이산화탄소 - 12:88으로 용리시키면서 분해하였다. 용리된 제1 주요 피크는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A이었고, 용리된 제2 주요 피크는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B이었고, 용리된 제3 주요 피크는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C이었고, 용리된 제4 주요 피크는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D, 표제 화합물이었다.
부분입체이성질체 D: MS: m/z = 435.2 [M+H].
1H NMR (DMSO-d6) δ 7.96 - 7.87 (m, 2 H), 7.75 (dt, J = 8.4, 4.2 Hz, 1 H), 6.72 (s, 2 H), 3.21 - 3.13 (m, 1 H), 3.13 - 3.05 (m, 1 H), 2.92 (d, J = 9.0 Hz, 1 H), 2.55 (dd, J = 8.3, 5.7 Hz, 1 H), 2.35 (t, J = 10.6 Hz, 1 H), 1.97 (t, J = 10.7 Hz, 1 H), 1.64 - 1.58 (m, 1 H), 1.55 (d, J = 14.1 Hz, 1 H), 1.43 (dd, J = 8.3, 5.0 Hz, 1 H), 1.26 (t, J = 5.2 Hz, 1 H), 1.04 (d, J = 6.9 Hz, 3 H).
실시예 7
Figure pct00091
(1R)-1-{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단계 A: (1R)-N,N-디메틸-N'-{[1-(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티아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일)술포닐)포름이미드아미드
에탄올 (1 mL) 중 (1R)-N'-{[1-(2-클로로아세틸)-6-아자스피로[2.5]옥탄-6-일]술포닐}-N,N-디메틸포름이미드아미드 (중간체 9) (100 mg, 0.31 mmol)의 용액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티오아미드 (68.7 mg, 0.3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후속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순도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89.1 [M+H].
단계 B: (1R)-1-{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에탄올 (2 mL) 중 (1R)-N,N-디메틸-N'-{[1-(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티아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일)술포닐)포름이미드아미드 (152 mg, 0.31 mmol)의 용액에 히드라진 (0.5 mL, 0.3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아세토니트릴:물: 수산화암모늄 - 48:52:0.05에서 78:22:0.0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33.9 [M+H].
1H NMR (400 MHz, CD3OD): δ 7.90 (d, J = 7.9 Hz, 1 H), 7.83 (s, 1 H), 7.57 (t, J = 8.1 Hz, 1 H), 7.36 (d, J = 8.4 Hz, 1 H), 7.23 (s, 1 H), 3.25 - 3.27 (m, 1 H), 3.02 - 3.08 (m, 1 H), 2.95 (dd, J1 = 7.9 Hz, J2 = 3.5 Hz, 1 H), 2.17 (dd, J1 = 8.3 Hz, J2 = 5.7 Hz, 1 H), 1.66 - 1.75 (m, 2 H), 1.52 - 1.66 (m, 3 H), 1.21 (t, J = 5.3 Hz, 1 H), 1.03 (dd, J1 = 8.6 Hz, J2 = 5.0 Hz, 1 H).
실시예 8
Figure pct00092
(1R)-1-{5-[4-메틸-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2.4 mL) 중 4-메틸-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30 mg, 0.14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30.4 mg, 0.1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키고, (R)-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2) (53.7 mg, 0.2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아세토니트릴:물:수산화암모늄 - 27:73:0.05에서 57:43:0.0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21.0 [M+H].
1H NMR (400 MHz, CD3OD): δ 7.62 (s, 1 H), 5.48 - 5.65 (m, 1 H), 5.29 - 5.44 (m, 1 H), 3.24 - 3.30 (m, 1 H), 3.08 - 3.23 (m, 2 H), 2.87 - 2.95 (m, 1 H), 2.40 (s, 3 H), 2.15 - 2.22 (m, 1 H), 1.62 - 1.89 (m, 4 H), 1.33 (t, J = 5.3 Hz, 1 H), 1.20 - 1.27 (m, 1 H).
실시예 9
Figure pct00093
(2R)-2-[5-(1,4-디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1 mL) 중 1,4-디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28.1 mg, 0.201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35.8 mg, 0.22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57.0 mg, 0.20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5℃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24:57:19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89.3 [M+H].
1H NMR (DMSO-d6) δ 7.54 (s, 1 H), 6.79 (s, 2 H), 4.15 (s, 3 H), 3.41 - 3.25 (m, 1 H), 3.24 - 3.13 m, 1 H), 3.13 - 2.98 (m, 2 H), 2.94 - 2.81 (m, 1 H), 2.31 (s, 3 H), 2.02 - 1.83 (m, 4 H)
실시예 10
Figure pct00094
(2R)-2-{5-[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1 mL) 중 2-디플루오로메톡시이소니코틴산 (37.9 mg, 0.201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35.8 mg, 0.22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57.0 mg, 0.20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5℃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24:57:19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38.2 [M+H].
1H NMR (DMSO-d6) δ 8.57 (d, J = 5.2 Hz, 1 H), 7.91 (d, J = 5.1 Hz, 1 H), 7.80 (t, J = 72 Hz, 1 H), 7.69 (s, 1 H), 6.81 (s, 2 H), 3.39 (d, J = 12.0 Hz, 1 H), 3.22 - 3.12 (m, 1 H), 3.12 - 3.00 (m, 2 H), 2.98 - 2.88 (m, 1 H), 2.03 - 1.83 (m, 4 H).
실시예 11
Figure pct00095
(2R)-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0.9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0 mL) 중 (2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0) (54.1 mg, 0.20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13.6 mg, 0.10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57.5 mg, 0.30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3-시클로프로필-N'-히드록시이속사졸-4-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2) (36.8 mg, 0.22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24:57:19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02.2 [M+H].
1H NMR (DMSO-d6) δ 9.59 (s, 1 H), 6.80 (s, 2 H), 3.72 (d, J = 11.1 Hz, 1 H), 3.22 - 2.95 (m, 3 H), 2.90 - 2.73 (m, 1 H), 2.37 (ddd, J = 13.3, 8.4, 5.1 Hz, 1 H), 2.09 - 1.85 (m, 4 H), 1.15 - 1.04 (m, 2 H), 1.01 - 0.89 (m, 2 H).
실시예 12
Figure pct00096
(2R)-1,1-디플루오로-2-{3-[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0.9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0 mL) 중 (2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0) (54.1 mg, 0.20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13.6 mg, 0.10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57.5 mg, 0.30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N'-히드록시-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3) (45.8 mg, 0.22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24:57:19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43.2 [M+H].
1H NMR (DMSO-d6) δ 7.85 (d, J = 1.9 Hz, 1 H), 7.11 (d, J = 1.9 Hz, 1 H), 6.81 (s, 2 H), 5.57 - 5.39 (m, 2 H), 3.79 (d, J = 11.5 Hz, 1 H), 3.22 - 3.12 (m, 1 H), 3.12 - 2.99 (m, 2 H), 2.86 - 2.72 (m, 1 H), 2.12 - 1.88 (m, 4 H).
실시예 13
Figure pct00097
(2R)-2-{5-[2-(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1.1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2 mL) 중 2-(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이소니코틴산 (중간체 14) (50.0 mg, 0.246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33.5 mg, 0.246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70.8 mg, 0.36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98.0 mg, 0.34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24:57:19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52.1 [M+H].
1H NMR (DMSO-d6) δ 8.44 (s, 1 H), 7.81 (t, J = 72.7 Hz, 1 H), 7.63 (s, 1 H), 6.80 (s, 2 H), 3.40 (d, J = 12.0 Hz, 1 H), 3.22 - 3.13 (m, 1 H), 3.11 - 3.00 (m, 2 H), 2.96 - 2.85 (m, 1 H), 2.57 (s, 3 H), 2.04 - 1.84 (m, 4 H).
실시예 14
Figure pct00098
(2R)-1,1-디플루오로-2-{5-[1-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0.9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0 mL) 중 1-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39.0 mg, 0.201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27.3 mg, 0.201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57.8 mg, 0.301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80.0 mg, 0.28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95:5에서 25:7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43.2 [M+H].
1H NMR (DMSO-d6) δ 8.21 (s, 1 H), 6.80 (s, 2 H), 4.24 (s, 3 H), 3.44 (d, J = 12.0 Hz, 1 H), 3.25 - 3.12 (m, 1 H), 3.12 - 2.99 (m, 2 H), 2.96 - 2.83 (m, 1 H), 2.04 - 1.86 (m, 4 H).
실시예 15
Figure pct00099
(1R)-1-{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3 mL) 중 (1R)-1-{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 (중간체 15) (100 mg, 0.30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062 mL, 0.45 mmol) 및 술파미드 (85 mg, 0.8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10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아세토니트릴:물: 수산화암모늄 - 43:57:0.05에서 73:27:0.0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17.1 [M+H].
1H NMR (400 MHz, CDCl3): δ 7.67 (s, 1 H), 7.52 - 7.60 (m, 2 H), 7.44 - 7.47 (m, 1 H), 7.25 (s, 1 H), 7.15 - 7.18 (s, 1 H), 4.29 - 4.30 (m, 2 H), 3.34 - 3.26 (m, 2 H), 3.10 - 3.15 (m, 2 H), 1.79 - 1.81 (m, 1 H), 1.60 - 1.70 (m, 2 H), 1.40 - 1.52 (m, 2 H), 0.94 - 0.96 (m, 1 H), 0.72 - 0.75 (m, 1 H).
실시예 16
Figure pct00100
(2R)-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3,4-옥사디아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단계 A: (2R)-2-({2-[(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카르보닐]히드라지닐}카르보닐)-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1.5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0.20 mL) 중 (1R)-2,2-디플루오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0) (80 mg, 0.3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24 mg, 0.18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91 mg, 0.4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카르보히드라지드 (중간체 16) (54 mg, 0.32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8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3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0:0에서 95: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19.2 [M+H].
단계 B: (2R)-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3,4-옥사디아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아세토니트릴 (1.5 mL) 중 (2R)-2-({2-[(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카르보닐]히드라지닐}카르보닐)-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50 mg, 0.12 mmol)의 용액에 옥시염화인 (0.022 mL, 0.2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5℃로 가온하고, 10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30 mL)에 천천히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7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01.4 [M+H].
1H NMR (DMSO-d6) δ 7.62 (d, J = 2.0 Hz, 1 H), 6.99 (d, J = 2.0 Hz, 1 H), 6.82 (s, 2 H), 4.25 (tt, J = 7.4, 3.9 Hz, 1 H), 3.58 (d, J = 11.8 Hz, 1 H), 3.20 - 3.12 (m, 1 H), 3.12 - 3.03 (m, 2 H), 2.98 - 2.86 (m, 1 H), 2.03 - 1.87 (m, 4 H), 1.22 - 1.04 (m, 4 H).
실시예 17
Figure pct00101
(2S)-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3,4-티아디아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1.50 mL) 중 (2R)-2-({2-[(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카르보닐]히드라지닐}카르보닐)-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실시예 16에 기재됨) (50 mg, 0.115 mmol)의 용액에 라웨슨 시약 (97 mg, 0.2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5℃로 가온하고, 3.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17.4 [M+H].
1H NMR (DMSO-d6) δ 7.57 (d, J = 1.9 Hz, 1 H), 6.98 (d, J = 1.9 Hz, 1 H), 6.81 (s, 2 H), 4.18 (tt, J = 7.4, 3.9 Hz, 1 H), 3.77 (d, J = 12.5 Hz, 1 H), 3.20 - 3.07 (m, 2 H), 3.07 - 2.96 (m, 1 H), 2.96 - 2.85 (m, 1 H), 2.03 - 1.80 (m, 4 H), 1.22 - 1.06 (m, 4 H).
실시예 18
Figure pct00102
(2R)-2-[5-(6,7-디히드로-4H-피라졸로[5,1-c][1,4]티아진-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0.9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0 mL) 중 6,7-디히드로-4H-피라졸로[5,1-c][1,4]티아진-3-카르복실산 (36.8 mg, 0.20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27.2 mg, 0.20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57.5 mg, 0.30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59.7 mg, 0.21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24:57:19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33.2 [M+H].
1H NMR (DMSO-d6) δ 8.17 (s, 1 H), 6.78 (s, 2 H), 4.43 - 4.32 (m, 2 H), 4.23 (s, 2 H), 3.28 - 3.10 (m, 4 H), 3.10 - 2.97 (m, 2 H), 2.93 - 2.82 (m, 1 H), 2.00 - 1.82 (m, 4 H).
실시예 19
Figure pct00103
(2R)-1,1-디플루오로-2-{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0.9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0 mL) 중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르복실산 (38.8 mg, 0.20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27.2 mg, 0.20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57.5 mg, 0.30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59.7 mg, 0.21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95:5에서 25:7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43.2 [M+H].
1H NMR (DMSO-d6) δ 8.91 (s, 1 H), 6.78 (s, 2 H), 4.03 (s, 3 H), 3.37 - 3.24 (m, 1 H), 3.22 - 3.09 (m, 1 H), 3.10 - 2.97 (m, 2 H), 2.95 - 2.79 (m, 1 H), 2.04 - 1.83 (m, 4 H).
실시예 20
Figure pct00104
(2R)-1,1-디플루오로-2-[5-(2-메틸-2,4,5,6-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c]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0.9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0 mL) 중 2-메틸-2,4,5,6-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c]피라졸-3-카르복실산 (33.2 mg, 0.20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27.2 mg, 0.20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57.5 mg, 0.300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68.2 mg, 0.24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5℃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90:10에서 0:10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15.2 [M+H].
1H NMR (DMSO-d6) δ 6.79 (s, 2 H), 4.13 (s, 3 H), 3.39 - 3.26 (m, 1 H), 3.24 - 3.12 (m, 1 H), 3.11 - 2.97 (m, 2 H), 2.91 - 2.81 (m, 3 H), 2.69 (t, J = 7.3 Hz, 2 H), 2.43 (p, J = 7.4 Hz, 2 H), 2.02 - 1.82 (m, 4 H).
실시예 21
Figure pct00105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2.25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0.25 mL) 중 2,2-디플루오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28) (135 mg, 0.501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77 mg, 0.50 mmol)에 이어서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15 mg, 0.60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4-플루오로-N'-히드록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이미드아미드 (122 mg, 0.55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5℃로 가온하고, 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5℃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5:4:1에서 50:38: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아세토니트릴:물: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 10:90:0.1에서 95:5:0.1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56.2 [M+H].
1H NMR (DMSO-d6) δ 8.00 - 7.91 (m, 2 H), 7.77 (t, J = 8.1 Hz, 1 H), 3.77 (d, J = 11.2 Hz, 1 H), 3.37 - 3.29 (m, 1 H), 3.28 - 3.18 (m, 2 H), 3.03 - 2.94 (m, 1 H), 2.90 (s, 3 H), 2.06 (s, 2 H), 2.02 - 1.90 (m, 2 H).
실시예 22
Figure pct00106
(2R)-1,1-디플루오로-2-[5-(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1.4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5 mL) 중 1,3,4-트리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46.2 mg, 0.30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40.8 mg, 0.30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86.0 mg, 0.45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102 mg, 0.36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52:36: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03.2 [M+H].
1H NMR (DMSO-d6) δ 6.79 (s, 2 H), 4.07 (s, 3 H), 3.34 (d, J = 12.6 Hz, 1 H), 3.23 - 3.13 (m, 1 H), 3.12 - 2.98 (m, 2 H), 2.95 - 2.81 (m, 1 H), 2.24 (s, 3 H), 2.17 (s, 3 H), 2.02 - 1.85 (m, 4 H).
실시예 23
Figure pct00107
(1R)-1-[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0.50 mL) 중 (1R)-1-[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 (중간체 18) (13.7 mg, 0.047 mmol)의 용액에 술파미드 (24 mg, 0.2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70:3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65.1 [M+H].
1H NMR (DMSO-d6) δ 9.07 (s, 1 H), 8.33 (s, 1 H), 6.72 (s, 2 H), 3.16 - 3.06 (m, 1 H), 3.06 - 2.91 (m, 2 H), 2.80 - 2.67 (m, 1 H), 2.18 (dd, J = 8.5, 5.7 Hz, 1 H), 2.10 (ddd, J = 13.4, 8.3, 5.0 Hz, 1 H), 1.73 - 1.50 (m, 5 H), 1.21 - 1.13 (m, 2 H), 1.07 - 0.98 (m, 2 H), 0.90 - 0.81 (m, 2 H).
실시예 24
Figure pct00108
(2R)-1,1-디플루오로-2-{2-[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옥사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단계 A: (2R)-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2-{2-[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옥사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에틸 아세테이트 (1.48 mL) 중 (2R)-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2-(아이오도아세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중간체 24) (133 mg, 0.296 mmol)의 용액에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77 mg, 0.37 mmol) 및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95 mg, 0.3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염화나트륨 (1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포화 수용액 (10 mL)으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면서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HCl의 수용액 (1 M)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40:45:1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511.2 [M+H].
단계 B: (2R)-1,1-디플루오로-2-{2-[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옥사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메탄올 (1.41 mL) 중 (2R)-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2-{2-[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옥사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72 mg, 0.14 mmol)의 용액에 히드라진 (0.0443 mL, 1.4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40:45:1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56.2 [M+H].
1H NMR (500 MHz, CDCl3) δ 7.95 (dd, J = 8.6, 5.4 Hz, 1 H), 7.66 (s, 1 H), 7.53 (dd, J = 8.9, 2.5 Hz, 1 H), 7.46 - 7.32 (m, 1 H), 4.35 (s, 2 H), 3.49 - 3.28 (m, 2 H), 3.19 (m, 2 H), 2.49 (d, J = 13.7 Hz, 1 H), 2.03 (m, 1 H), 1.89 (m, 1 H), 1.78 (m, 1 H), 1.65 (m, 1 H).
실시예 25
Figure pct00109
(2R)-2-[5-(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0.9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0 mL) 중 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3-카르복실산 (중간체 20) (33.2 mg, 0.20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30.8 mg, 0.20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49.8 mg, 0.26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62.5 mg, 0.22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52:36: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15.3 [M+H].
1H NMR (DMSO-d6) δ 7.91 (s, 1 H), 6.80 (s, 2 H), 3.91 - 3.81 (m, 1 H), 3.39 - 3.25 (m, 1 H), 3.21 - 3.10 (m, 1 H), 3.10 - 2.99 (m, 2 H), 2.91 - 2.80 (m, 1 H), 2.27 (s, 3 H), 2.02 - 1.84 (m, 4 H), 1.15 - 0.98 (m, 4 H).
실시예 26
Figure pct00110
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거울상이성질체 A
1,4-디옥산 (2 mL) 중 5-클로로-5-메톡시벤조산 (93.0 mg, 0.501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89.0 mg, 0.55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N'-히드록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21) (124 mg, 0.49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52:36: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라세미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SFC에 의해 키랄팩 AS-H 칼럼을 사용하여 메탄올:이산화탄소 - 25:75으로 용리시키면서 분해하였다. 용리된 제1 주요 피크는 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거울상이성질체 A, 표제 화합물이었고, 용리된 제2 주요 피크는 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거울상이성질체 B였다.
MS: m/z = 398.2 [M+H].
1H NMR (DMSO-d6) δ 7.94 (d, J = 2.7 Hz, 1 H), 7.71 (dd, J = 9.0, 2.7 Hz, 1 H), 7.33 (d, J = 9.1 Hz, 1 H), 3.93 (s, 3 H), 3.36 - 3.27 (m, 1 H), 3.21 (t, J = 5.4 Hz, 2 H), 3.11 (ddd, J = 11.1, 7.3, 3.5 Hz, 1 H), 2.98 (ddd, J = 11.1, 7.0, 3.3 Hz, 1 H), 2.87 (s, 3 H), 2.19 (dd, J = 7.9, 6.2 Hz, 1 H), 1.77 - 1.56 (m, 3 H), 1.26 - 1.13 (m, 2 H).
실시예 27
Figure pct00111
(1R)-1-[5-(1-에틸-5-메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1 mL) 중 1-에틸-5-메틸-1H-피라졸-3-카르복실산 (31.0 mg, 0.201 mmol)의 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32.7 mg, 0.20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2) (50.0 mg, 0.20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HPLC에 의해 아세토니트릴:물: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 5:95:0.1에서 95:5:0.1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67.3 [M+H].
1H NMR (DMSO-d6) δ 6.74 (s, 1 H), 6.72 (s, 2 H), 4.18 (q, J = 7.4 Hz, 2 H), 3.13 - 3.07 (m, 1 H), 3.06 - 2.93 (m, 2 H), 2.79 - 2.72 (m, 1 H), 2.35 (s, 3 H), 2.17 - 2.10 (m, 1 H), 1.73 - 1.55 (m, 4 H), 1.35 (t, J = 7.2 Hz, 3 H), 1.21 - 1.12 (m, 2 H).
실시예 28
Figure pct00112
(1R)-1-[5-(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단계 A: (1R)-N-[2-(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2-옥소에틸]-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 중 2-아지도-1-(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에타논 (중간체 22) (157 mg, 0.761 mmol)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200 mg, 0.76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물 (0.05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4 Å 분자체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실산 (중간체 1) (0.196 g, 0.837 mmol), HATU (0.347 mg, 0.913 mmol), 및 4-메틸모르폴린 (0.25 mL, 2.274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8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5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0:0에서 95: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97.2 [M+H].
단계 B: (1R)-1-[5-(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아세토니트릴 (1 mL) 중 (1R)-N-[2-(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2-옥소에틸]-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아미드 (45 mg, 0.11 mmol)의 용액에 옥시염화인 (0.013 mL, 0.13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5℃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2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2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0:0에서 50:5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79.1 [M+H].
1H NMR (DMSO-d6) δ 7.33 (s, 1 H), 6.73 (s, 2 H), 3.19 - 3.08 (m, 1 H), 3.07 - 2.91 (m, 2 H), 2.76 - 2.67 (m, 1 H), 2.53 (s, 3 H), 2.19 (dd, J = 8.4, 5.6 Hz, 1 H), 1.99 (ddd, J = 13.3, 8.2, 5.0 Hz, 1 H), 1.74 - 1.62 (m, 2 H), 1.61 - 1.47 (m, 2 H), 1.22 - 1.12 (m, 2 H), 1.01 (dd, J = 8.3, 2.5 Hz, 2 H), 0.88 - 0.79 (m, 2 H).
실시예 29
Figure pct00113
(2R)-2-{5-[1-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주위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 (1.4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0.15 mL) 중 1-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카르복실산 (중간체 23) (66.0 mg, 0.300 mmol)의 용액에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40.8 mg, 0.30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86.0 mg, 0.45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102 mg, 0.36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5℃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96:3:1에서 52:36:12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69.2 [M+H].
1H NMR (DMSO-d6) δ 7.74 (s, 1 H), 6.80 (s, 2 H), 4.31 (dt, J = 7.1, 3.6 Hz, 1 H), 3.39 (d, J = 11.7 Hz, 1 H), 3.23 - 3.13 (m, 1 H), 3.11 - 3.00 (m, 2 H), 2.95 - 2.85 (m, 1 H), 2.02 - 1.87 (m, 4 H), 1.30 - 1.22 (m, 2 H), 1.22 - 1.13 (m, 2 H).
실시예 30
Figure pct00114
(2R)-2-[5-(2-시클로프로필-5-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2-디클로로에탄 (1.6 mL) 및 디메틸술폭시드 (0.16 mL) 중 2-시클로프로필-5-메틸벤조산 (37.2 mg, 0.211 mmol)의 용액에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43.8 mg, 0.229 mmol),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19.2 mg, 0.141 mmol), 및 (1R)-2,2-디플루오로-N'-히드록시-6-술파모일-6-아자스피로[2.5]옥탄-1-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 (중간체 11) (50 mg, 0.18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로 가온하고, 2.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되도록 하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질소의 스트림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HPLC에 의해 아세토니트릴:물 - 20:80에서 95:5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25.2 [M+H].
1H NMR (DMSO-d6) δ 7.76 (s, 1 H), 7.39 (d, J = 8.0 Hz, 1 H), 7.11 (d, J = 8.0 Hz, 1 H), 6.81 (s, 2 H), 3.33 (s, 1 H), 3.16 (s, 1 H), 3.11 - 3.01 (m, 2 H), 2.89 (d, J = 6.6 Hz, 1 H), 2.61 - 2.53 (m, 1 H), 2.35 (s, 3 H), 1.97 (d, J = 6.9 Hz, 3 H), 1.95 - 1.88 (m, 1 H), 0.97 (d, J = 8.5 Hz, 2 H), 0.70 (q, J = 5.8 Hz, 2 H).
실시예 31
Figure pct00115
(2R)-2-[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단계 A: (2R)-2-[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4-일]-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에틸 아세테이트 (0.83 mL) 중 (2R)-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2-(아이오도아세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중간체 24) (74.5 mg, 0.166 mmol)의 용액에 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카르복스아미드 (31.5 mg, 0.207 mmol) 및 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53.3 mg, 0.207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염화나트륨 (1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포화 수용액 (10 mL)으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여과물의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중탄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 (2 x), HCl의 수용액 (1 M) 및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황산마그네슘)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60:30:10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56.3 [M+H].
단계 B: (2R)-2-[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메탄올 (0.92 mL) 중 (2R)-2-[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4-일]-N-[(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42 mg, 0.092 mmol)의 용액에 히드라진 (0.0289 mL, 0.92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 100:0:0에서 70:23:7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01.2 [M+H].
1H NMR (500 MHz, CDCl3) δ 8.82 (s, 1 H), 7.54 (s, 1 H), 4.34 (s, 2 H), 3.45 (m, 1 H), 3.33 - 3.24 (m, 2 H), 3.11 (m, 1 H), 2.55 - 2.52 (m, 1 H), 2.49 (d, J = 13.8 Hz, 1 H), 1.97 (m, 2 H), 1.79 - 1.70 (m, 1 H), 1.71 - 1.63 (m, 1 H), 1.17 - 1.07 (m, 4 H).
실시예 32
Figure pct00116
2-[3-(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본질적으로 실시예 21에 기재된 절차에 따르지만, 4-플루오로-N'-히드록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이미드아미드 대신에 N'-히드록시-2,5-디메틸벤젠카르복스이미드아미드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98.3 [M+H].
1H NMR (DMSO-d6) δ 7.70 (s, 1 H), 7.29 (s, 2 H), 3.69 (d, J = 11.4 Hz, 1 H), 3.31 - 3.20 (m, 3 H), 3.10 - 3.03 (m, 1 H), 2.90 (s, 3 H), 2.48 (s, 3 H), 2.35 (s, 3 H), 2.14 - 2.03 (m, 2 H), 2.02 - 1.91 (m, 2 H).
실시예 33
Figure pct00117
(1R)-1-[5-(2-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본질적으로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르지만,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산 대신에 2-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49.1 [M+H].
1H NMR (DMSO-d6) δ 8.00 (d, J = 7.8 Hz, 1 H), 7.56 (t, J = 7.4 Hz, 1 H), 7.46 (d, J = 7.6 Hz, 1 H), 7.42 (t, J = 7.5 Hz, 1 H), 6.71 (s, 2 H), 3.17 - 3.10 (m, 1 H), 3.07 - 2.98 (m, 2 H), 2.62 (s, 3 H), 2.19 (t, J = 6.9 Hz, 1 H), 1.80 - 1.73 (m, 1 H), 1.72 - 1.59 (m, 3 H), 1.20 (d, J = 7.0 Hz, 2 H).
실시예 34
Figure pct00118
(2R)-2-[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본질적으로 실시예 30에 기재된 절차에 따르지만, 2-시클로프로필-5-메틸벤조산 대신에 2,5-디메틸벤조산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399.2 [M+H].
1H NMR (DMSO-d6) δ 7.85 (s, 1 H), 7.42 - 7.35 (m, 2 H), 6.79 (s, 2 H), 3.32 (s, 1 H), 3.20 - 3.14 (m, 1 H), 3.10 - 3.01 (m, 2 H), 2.92 - 2.85 (m, 1 H), 2.58 (s, 3 H), 2.37 (s, 3 H), 2.03 - 1.88 (m, 4 H).
실시예 35
Figure pct00119
(2R)-2-{2-[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3-옥사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본질적으로 실시예 24에 기재된 절차에 따르지만, 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 대신에 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29)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37.2 [M+H].
1H NMR (500 MHz, CDCl3) δ 8.31 (d, J = 5.2 Hz, 1 H), 7.67 (d, J = 5.3 Hz, 1 H), 7.65 (s, 1 H), 7.64 - 7.36 (t, J = 74.5 Hz, 1 H), 7.46 (s, 1 H), 4.36 (s, 2 H), 3.48 - 3.44 (m, 1 H), 3.41 - 3.18 (m, 2 H), 3.14 - 3.09 (m, 1H), 2.50 (d, J = 13.6 Hz, 1 H), 2.04 - 1.92 (m, 2 H), 1.78 - 1.73 (m, 1 H) 1.67 - 1.60 (m, 1 H).
실시예 36
Figure pct00120
1,1-디플루오로-2-{1-[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2 mL) 중 1,1-디플루오로-2-{1-[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중간체 31) (23.7 mg, 0.0576 mmol)의 용액에 술파미드 (24.3 mg, 0.253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04 mL, 0.2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5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으로 추출하고,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아세토니트릴:물:수산화암모늄 - 36:64:0.1에서 66:34:0.1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54.9 [M+H].
1H NMR (400 MHz, CD3OD) δ 7.80 (s, 1 H), 7.67 - 7.70 (m, 1 H), 7.59 - 7.60 (m, 2 H), 6.43 (s, 1 H), 3.34 - 3.35 (m, 1 H), 3.00 - 3.31 (m, 3 H), 2.63 - 2.66 (m, 1 H), 1.93 - 1.96 (m, 2 H), 1.75 - 1.79 (m, 2 H).
실시예 37
Figure pct00121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4-디옥산 (2 mL) 중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 히드로클로라이드 (중간체 35) (61 mg, 0.14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43.1 mg, 0.43 mmol) 및 술파미드 (68.2 mg, 0.71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5℃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5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된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 50:50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S: m/z = 472.8 [M+H].
1H NMR (400 MHz, CDCl3): δ 7.71 (dd, J1 = 8.4 Hz, J2 = 5.6 Hz, 1 H), 7.58 (dd, J1 = 8.8 Hz, J2 = 2.0 Hz, 1 H), 7.40 - 7.57 (m, 1 H), 4.43 (br, 2 H), 3.39 - 3.42 (m, 1 H), 3.29 - 3.31 (m, 1 H), 3.15 - 3.18 (m, 2 H), 2.99 (d, J = 12.8 Hz, 1 H), 2.13 - 2.19 (m, 2 H), 1.99 - 2.01 (m, 2 H).
하기 표에 나타낸 실시예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변형과 유사한 변환의 결과로서 기재되거나 제조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조되었다. 필요한 출발 물질은 본원에 기재되어 있거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문헌에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되었다. 간단한 보호기 전략은 일부 경로에서 적용되었다.
표 EX-A
Figure pct00122
Figure pct00123
표 EX-B
Figure pct00124
Figure pct00125
Figure pct00126
표 EX-C
Figure pct00127
Figure pct00128
Figure pct00129
Figure pct00130
표 EX-D
Figure pct00131
Figure pct00132
Figure pct00133
표 EX-E
Figure pct00134
Figure pct00135
Figure pct00136
Figure pct00137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Figure pct00140
Figure pct00141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표 EX-F
Figure pct00144
Figure pct00145
Figure pct00146
표 EX-G
Figure pct00147
Figure pct00148
Figure pct00149
표 EX-H
Figure pct00150
Figure pct00151
표 EX-I
Figure pct00152
Figure pct00153
Figure pct00154
Figure pct00155
표 EX-J
Figure pct00156
Figure pct00157
표 EX-K
Figure pct00158
Figure pct00159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α7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활성의 양성 알로스테릭 조정제로서의 유용성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론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 α7의 직접 활성화 (효능작용) 및 아세틸콜린-유발 α7 전류의 강화는 하기와 같이 결정하였다:
자동화 패치-클램프 전기생리학
기능적 검정 (검정 A)
자동화 패치-클램프 전기생리학은 전세포, 파퓰레이션 패치 구성으로 이온플럭스(IonFlux) HT (플럭시온 바이오사이언시스 인크.(Fluxion Biosciences Inc.),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천연 α7 효능제 아세틸콜린의 존재 및 부재 둘 다 하에 α7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기능을 조정하는 그의 능력에 대해 평가하였다. 인간 RIC-3 및 인간 α7 (프레시스이온(PrecisION) hnAChR α7/RIC-3, 유로핀스 파마(Eurofins Pharma), 세인트 찰스, 미주리주) 둘 다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 세포주를 175 cm2 삼중-층 조직 배양 플라스크 내에서, 10% 열-불활성화 태아 소 혈청, 1% 비필수 아미노산, 0.625 μg/mL 퓨로마이신, 및 400 μg/mL 제네티신이 보충된 DMEM/F-12 성장 배지에서 90% 이하 전면생장률로 배양하였다. 검정 직전에, 세포를 먼저 성장 배지를 흡인하고, 둘베코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로 세척하고, 이어서 플라스크에 10 mL의 아큐타제(Accutase) (이노베이티브 셀 테크놀로지스(Innovative Cell Technologies), 샌디에고, 캘리포니아주)를 첨가하고 이어서, 37℃에서 5분 동안 배양하여 탈착시켰다. 이어서, 탈착된 세포를 40 mL의 25 mM HEPES가 보충된 CHO-혈청-무함유 배지를 첨가하여 회복시키고, 패치-클램프 검정 전에 50 mL 원추형 튜브에서 20분 동안 서서히 요동시켰다. 회복 후에, 세포를 컴팩트 벤치 탑 원심분리기에서 1분 동안 1,000 RPM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펠릿화하고; 회복 배지를 흡인하고 세포를 외부 기록 용액 (150 mM NaCl, 5 mM KCl, 2 mM CaCl2, 1 mM MgCl2, 10 mM HEPES, 12 mM 덱스트로스) 중에 5.0 x 106개의 세포/mL로 재현탁시켰다. 세포 현탁액을 미리 탈이온 H2O로 헹궈지고 프라이밍된 이온플럭스 HT 파퓰레이션 패치 플레이트의 세포 유입구 웰에 첨가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DMSO 중에 연속 희석하고 이어서 40 μM 아세틸콜린을 외부 기록 용액에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외부 기록 용액 중에 최종 시험 농도로 재현탁시키고; 이어서 시험 화합물을 이온플럭스 HT 파퓰레이션 패치 플레이트로 옮겼다. 내부 기록 용액 (110 mM TrisPO4, 28 mM TrisBase, 0.1 mM CaCl2, 2 mM MgCl2, 11 mM EGTA, 4 mM MgATP)을 사전에 세포 및 시험 화합물을 로딩한 이온플럭스 HT 패치 플레이트의 내부 기록 용액 유입구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이온플럭스 HT 기기에 로딩하였다. 이온플럭스 HT 상에서 프로토콜을 실행하여 세포를 포획하고, 세포들로 분해하고, 전세포 기록 배위를 확립하고; 세포를 실험 지속기간 동안 -60 mV의 유지 전위에서 전압-클램핑하였고, 모든 실험은 실온에서 수행하였고, 이온플럭스 HT 주입 압력은 용액 적용에 대해 8 psi였다. 전세포 배위를 확립한 후에, 외부 기록 용액을 기록 챔버로 120초 동안 관류하고 이어서 40 μM 아세틸콜린을 1초 동안 적용하고 즉시 외부 기록 용액으로 60초 동안 세척하였다. 후속 시험 화합물 효과에 대한 전류 반응으로서 기능하는 40 μM 아세틸콜린-유발 α7 전류를 40 μM 아세틸콜린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상대적으로 정량하였다. 이어서, 시험 화합물을 α7 전류 반응을 유발 또는 조정하는 그의 능력에 대해 여러 농도에서 평가하고; 3개의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기록당 상승 용량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시험 화합물 효능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외부 기록 용액 중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을 시험 화합물의 최저 농도에서 출발하여 58초 동안 농도 시리즈로 시험되도록 적용하고; 58초 화합물 적용 기간의 초기 20초는, 20초 지속시간 동안 5,000 샘플/초의 속도로 수집된 데이터 수집 스위프를 동반했다. 시험 화합물 양성 알로스테릭 조정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58초 시험 화합물 단독 적용 기간 직후에, 40 μM 아세틸콜린을 함유하는 외부 기록 용액 중에 희석된 동일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1초 동안 적용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시험 화합물 및 천연 수용체 효능제 아세틸콜린을 공적용하고, 시험 화합물의 강화 효과를 관찰하였다. 40 μM 아세틸콜린을 함유하는 외부 용액 중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의 1초 적용은 20초 지속시간 동안 5,000 샘플/초의 속도로 수집된 데이터 수집 스위프를 동반했고, 그 후에 단지 외부 기록 용액만을 42초 동안 적용하였다. 이러한 단지 외부 기록 용액만을 사용한 42초 세척 후에, 농도 시리즈에서 다음으로 가장 높은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세틸콜린의 부재 하에 이어서 존재 하에 적용하고,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수집했다. 시험 화합물 효능제 및 양성 알로스테릭 조정제 활성을 3개의 상승 농도에서 평가한 후에, 실험을 종결하고 이온플럭스 HT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누설 감산을 수행하였다. 피크 전류 진폭 및 곡선하 면적 (AUC) 둘 다를 독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전류 스위프에 대해 정량화하고, 시험 화합물 효과를 하기와 같이 정량화하였다.
시험 화합물 효능제 활성은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 효능작용 = (Y/X) x 100
시험 화합물 강화제 활성은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 강화 = [(Z/X) x 100] - 100
X = 40 μM 아세틸콜린에 의해 유발된 피크 전류 진폭 (또는 AUC)
Y = 외부 기록 용액 중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에 의해 유발된 피크 전류 진폭 (또는 AUC)
Z = 40 μM 아세틸콜린을 함유하는 외부 기록 용액 중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에 의해 유발된 피크 전류 진폭 (또는 AUC)
이에 따라, 40 μM 아세틸콜린 단독과 동일한 전류 진폭을 유발한 시험 화합물은 100%의 계산치 %효능작용을 나타낼 것이다. 40 μM 아세틸콜린 단독으로부터 유발된 전류의 2배의 전류 진폭을 유발한, 40 μM 아세틸콜린과 공적용된 시험 화합물은 100%의 계산치 %강화를 나타내는 반면에, 40 μM 아세틸콜린 단독과 동일한 전류 진폭을 유발한, 40 μM 아세틸콜린과 공적용된 시험 화합물은 어떠한 강화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특징화될 것이다.
피크 전류 진폭 또는 곡선하 면적 (AUC)에 의해 유도된 효능제 및 강화 데이터는 하기와 같은 레벤버그-마쿼트(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4-파라미터 로지스틱 피팅을 사용하여 그래프화하고 피팅하였다: y = A + ((B-A)/(1+((C/x)^D))), 여기서
A = 최소값
B = 최대값
C = EC50
D = 기울기
x = 시험 화합물 농도
y = %효능작용 또는 %강화.
자동화 패치-클램프 전기생리학 기능적 검정 (검정 A)에서의 본 발명의 선택된 화합물에 대한 효력 데이터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160
Figure pct00161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효력은 A (EC50 0.1 ≤ μM); B (0.1 μM < EC50 ≤ 0.5 μM); C (0.5 μM < EC50 ≤ 5 μM); D (5 μM < EC50 ≤ 50 μM)으로 규정됨
자동화 패치-클램프 전기생리학 기능적 검정 (검정 A)에서의 본 발명의 선택된 화합물의 전기생리학 EC50 값을 하기 표에 제공한다:
Figure pct00164
Figure pct00165
Figure pct00166
Figure pct00167
상기 논의된 다양한 특색 및 기능 및 다른 특색 및 기능, 또는 그의 대안이 많은 다른 상이한 시스템 또는 적용으로 바람직하게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견 또는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대안, 변형, 변경 또는 개선이 여기서 후속적으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또한 하기 청구범위에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168

    상기 식에서,
    n은 0, 1 또는 2이고;
    X는 S(O)2 또는 C(O)이고;
    R1은 NRaRb 및 Rc로부터 선택되고;
    Ra는 H, (C1-C4)알킬, (C3-C6)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은 R8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b는 H 또는 (C1-C4)알킬이고;
    Rc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R9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Rc는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1개 이상의 R10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A는 5-원 헤테로아릴 고리이며, OH, 옥소, NR6R7, CN, 알콕시, 할로겐, 아미노알킬, 히드록시알킬,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R 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상기 R 기는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C1-C4)알킬, 또는 O(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2개의 R2는 둘 다가 (C1-C4)알킬이고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되는 경우에 임의로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또는 시클로펜틸 고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R2는 둘 다가 (C1-C4)알킬이고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임의로 함께 가교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가교된 고리는 OH, 할로겐, 또는 (C1-C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3은 H, 할로겐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4는 H, 할로겐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임의로 함께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고리는 OH, 할로겐, 또는 (C1-C4)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5는 H 또는 (C1-C4)알킬이고;
    R6은 H 또는 (C1-C4)알킬이고;
    R7은 H 또는 (C1-C4)알킬이고;
    R8은 OH, (C1-C4)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R9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R10은 메틸 또는 히드록실이고;
    R11은 할로겐, OH, 옥소, CF3, OCF3, CN, (C1-C6)알킬, O(C1-C6)알킬, S(C1-C4)알킬, C=O(C1-C4)알킬, NR12R13, (C=O)NR6R7, (C=O)OR6, (C2-C4)알케닐, (C2-C4)알키닐, (C3-C6)시클로알킬, O(C3-C6)시클로알킬, C=O(C3-C6)시클로알킬, 아릴, O-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은 1개 이상의 할로겐, (C1-C4)알킬, (C3-C6)시클로알킬, CF3, OCF3, OCH3, CN, OH 및 옥소로 임의로 치환되고;
    R12는 (C1-C4)알킬,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아릴, 또는 (C=O)R6이고, 각각은 할로겐, (C1-C4)알킬, 및 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13은 (C1-C4)알킬, 헤테로시클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아릴, 또는 (C=O)R6이고, 각각은 할로겐, (C1-C4)알킬, 및 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X-R1
    Figure pct00169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는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또는 F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는 5-원 헤테로아릴 고리이며, OH, 옥소, NR6R7, CN, 알콕시, 할로겐, 아미노알킬, 히드록시알킬,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의 R 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상기 R 기는 또한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은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각각은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은 시클로헥실,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또는 이속사졸릴이고, 각각은 R1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및 메틸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170

    상기 식에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Z는 독립적으로 F, Cl, Br, 메틸, 메톡시, 에틸, 에톡시, 프로필, -CH2OH, -CH2CH2OH, -CF3, -CH2CF3, -OCF3, -OCHF2, -OCH2CF3, 및 시클로프로필로부터 선택되고;
    고리 A는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졸릴, 피라졸릴 또는 이미다졸릴이고;
    고리 B는 시클로헥실,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또는 이속사졸릴이고;
    R3은 H, F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4는 H, F 또는 (C1-C4)알킬이고, 여기서 상기 알킬은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9. 제8항에 있어서,
    m은 0, 1 또는 2이고;
    Z는 독립적으로 F, Cl, Br, 메틸, 메톡시, 에틸, 에톡시, 프로필, -CH2OH, -CH2CH2OH, -CF3, -CH2CF3, -OCF3, -OCHF2, -OCH2CF3, 및 시클로프로필로부터 선택되고;
    고리 A는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또는 티아졸릴이고;
    고리 B는 페닐, 피라졸릴, 피리디닐 또는 이속사졸릴이고;
    R3 및 R4는 둘 다 H이거나, 또는 R3 및 R4는 둘 다 F인
    화학식 (II)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R)-1-{5-[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4,4-디플루오로-1-{3-[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C;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E;
    (1R)-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부분입체이성질체 D;
    (1R)-1-{2-[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메틸-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4-디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디플루오로메톡시)-5-메틸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1-[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3,4-옥사디아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3,4-티아디아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6,7-디히드로-4H-피라졸로[5,1-c][1,4]티아진-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2,4,5,6-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c]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2R)-1,1-디플루오로-2-[5-(1,3,4-트리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2-[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옥사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거울상이성질체 A;
    (1R)-1-[5-(1-에틸-5-메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시클로프로필-5-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옥사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R)-1-[5-(2-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2-[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3-옥사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1-[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3-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2,4-디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4-(2-히드록시프로판-2-일)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피리딘-2-일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티오펜-3-일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1-메틸-1H-피라졸-3-일)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2-페닐에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4-({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트-6-일}술포닐)-2,1,3-벤족사디아졸;
    6-({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트-6-일}술포닐)-1,3-벤조티아졸;
    4-({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트-6-일}술포닐)-5-히드록시-3-메틸-1,2,3-옥사디아졸-3-윰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N-tert-부틸-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스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N-시클로헥실-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스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N-(피리딘-2-일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N-(이소티아졸-5-일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스아미드;
    N-벤질-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카르복스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3-[2-(메틸아미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2-(피롤리딘-1-일)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5-디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시클로헥실-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2-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3-(이미다조[1,2-a]피리딘-7-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3-[5-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3-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5-시클로프로필-3-(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클로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시아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브로모-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디플루오로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클로로-2-(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4-디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4-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2-히드록시프로판-2-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디플루오로메톡시)-4-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4,5-트리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시클로프로필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플루오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시클로프로필-3-메틸-1H-인돌-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프로판-2-일)시클로부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6-디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메틸시클로헥실)-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2-클로로페닐)에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2,5-디플루오로페닐)시클로부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스피로[2.5]옥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덴-1-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시클로프로필}-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페닐시클로부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6-디메틸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스피로[3.3]헵트-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에틸-3-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트리플루오로메틸)-1,3-옥사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에틸-1,3-옥사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2,2,2-트리플루오로에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5-디메틸이속사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5-디메틸이속사졸-4-일)메틸]-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1H-이미다졸-1-일)-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시클로프로필옥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tert-부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3-메틸이미다조[1,2-a]피리딘-7-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3-시클로프로필-1-에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tert-부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4,5,6,7-테트라히드로피라졸로[1,5-a]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5,6-디히드로-4H-피롤로[1,2-b]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1,4,5,6-테트라히드로시클로펜타[c]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2-시클로프로필-4,5,6,7-테트라히드로-2H-인다졸-3-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3-시클로프로필피리다진-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피리다진-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프로판-2-일옥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4-디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4H-피라졸로[1,5-c][1,3]티아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1-시클로프로필-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5-[3-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프로판-2-일)-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1-시클로프로필-4-메틸-1H-피라졸-5-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메틸-4,5,6,7-테트라히드로-2H-인다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4,5,6,7-테트라히드로-2H-인다졸-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3-(트리플루오로메틸)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3-디히드로-1H-인덴-4-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페녹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1H-피롤-1-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비페닐-3-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1-시아노시클로프로필)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피리미딘-2-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1H-피라졸-1-일)페닐]-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일]-1,2,4-옥사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5-디플루오로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5-플루오로-2-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2-메틸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5-(3-시클로프로필-5-메틸이속사졸-4-일)-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4-페닐-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티아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R)-1-[1-(3,5-디메틸이속사졸-4-일)-1H-피라졸-4-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2-(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3-티아졸-4-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2-(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딘-4-일]이속사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4-(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메틸-1H-이미다졸-2-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2-(3'-시클로프로필-3,4'-비이속사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4-[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옥사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S)-1-[3-(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2-(3-시클로헥실-1,2,4-옥사디아졸-5-일)-1,1-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1,1-디플루오로-2-[3-(3-플루오로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S)-1,1-디플루오로-2-[5-(2-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R)-1,1-디플루오로-2-[5-(2-메틸페닐)-1,3,4-티아디아졸-2-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4,4-디플루오로-1-(3-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4,4-디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4-메틸-1-{3-[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4-일]-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4-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4-트리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4-트리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4-트리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3-시클로프로필이속사졸-4-일)-1,2,4-옥사디아졸-5-일]-1,1,4-트리플루오로-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4-트리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4-트리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4-트리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티아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플루오로-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2-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2-{3-[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5-일}-1,1-디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5-[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소티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5-(5-클로로-2-메톡시페닐)-1,2,4-옥사디아졸-3-일]-6-(메틸술포닐)-6-아자스피로[2.5]옥탄;
    1,1-디플루오로-2-[5-(피페리딘-1-일)-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디플루오로-2-[5-(피페리딘-1-일)-1,2,4-티아디아졸-3-일]-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3'-[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2',2'-디플루오로-3-아자스피로[비시클로[3.2.1]옥탄-8,1'-시클로프로판]-3-술폰아미드; 및
    2-[5-(2,5-디메틸페닐)-1,2,4-옥사디아졸-3-일]-1,1-디플루오로-5-메틸-6-아자스피로[2.5]옥탄-6-술폰아미드.
  11. (i)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ii)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NMDA 수용체 길항제; 항정신병제; MAO-B 억제제; 및 레보도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4. α7 nAChR 활성의 조정 또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α7 nAChR 활성을 조정하거나 또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앓는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6.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앓는 환자에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상기 환자를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앓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KR1020207034124A 2018-05-01 2019-04-29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스피로피페리딘 알로스테릭 조정제 KR102587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5091P 2018-05-01 2018-05-01
US62/665,091 2018-05-01
PCT/US2019/029561 WO2019212927A1 (en) 2018-05-01 2019-04-29 Spiropiperidine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697A true KR20210005697A (ko) 2021-01-14
KR102587811B1 KR102587811B1 (ko) 2023-10-11

Family

ID=6642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124A KR102587811B1 (ko) 2018-05-01 2019-04-29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스피로피페리딘 알로스테릭 조정제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11332463B2 (ko)
EP (1) EP3788043A1 (ko)
JP (1) JP7073533B2 (ko)
KR (1) KR102587811B1 (ko)
CN (1) CN112119076A (ko)
AR (1) AR115065A1 (ko)
AU (1) AU2019262917B2 (ko)
BR (1) BR112020022088A8 (ko)
CA (1) CA3098583C (ko)
CL (2) CL2020002820A1 (ko)
CO (1) CO2020013462A2 (ko)
CR (1) CR20200509A (ko)
EA (1) EA202092608A1 (ko)
EC (1) ECSP20067907A (ko)
GE (1) GEP20227409B (ko)
IL (1) IL278154A (ko)
JO (1) JOP20200272A1 (ko)
MA (1) MA52482A (ko)
MX (1) MX2020011489A (ko)
NI (1) NI202000074A (ko)
PE (1) PE20210052A1 (ko)
PH (1) PH12020551779A1 (ko)
SG (1) SG11202010459XA (ko)
UA (1) UA126834C2 (ko)
WO (1) WO2019212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7493B2 (en) 2017-03-10 2019-07-23 Selenity Therapeutics (Bermuda), Ltd. Metalloenzyme inhibitor compounds
US20220119351A1 (en) * 2019-05-02 2022-04-21 Merck Sharp & Dohme Corp. Spiropiperidine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WO2021091751A1 (en) * 2019-11-05 2021-05-14 Merck Sharp & Dohme Corp. Spiropiperidine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US20230139156A1 (en) * 2019-12-19 2023-05-04 Curia Spain, S.A.U.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of upadacitinib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5256A1 (en) * 2016-03-22 2017-09-28 Merck Sharp & Dohme Corp.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L2004000754A1 (es) * 2003-04-11 2005-02-25 Janssen Pharmaceutica Nv Uso de compuestos derivados de 4-fenil-4-(1h-imidazol-2-il)piperidina, como agonistas delta-opioides no peptidicos, para preparar un medicamento util en prevenir o tratar trastornos del sistema nervioso central.
MX2010003155A (es) 2007-10-04 2010-04-01 Hoffmann La Roche Derivados de ciclopropil aril amida y uso de los mismos.
KR101925971B1 (ko) 2011-01-28 2018-12-06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피리돈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US9062013B2 (en) 2011-02-02 2015-06-23 Bionomics Limited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the α7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and uses thereof
UA111746C2 (uk) 2011-07-08 2016-06-10 Х. Луннбек А/С Позитивні алостеричні модулятори нікотинового рецептора ацетилхоліну
US8598213B2 (en) 2011-07-08 2013-12-03 H. Lundbeck A/S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WO2014006120A1 (en) 2012-07-06 2014-01-09 H. Lundbeck A/S New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JP2015529651A (ja) 2012-08-01 2015-10-08 メルク・シャープ・アンド・ドーム・コーポレーションMerck Sharp & Dohme Corp. α7ニコチン性アセチルコリン受容体モジュレーターおよびそれらの使用−I
EP2905279A4 (en) 2012-10-02 2016-04-20 Sumitomo Dainippon Pharma Co Ltd imidazole
EP2928860A1 (en) 2012-12-10 2015-10-14 H. Lundbeck A/S New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US10208081B2 (en) 2014-11-26 2019-02-19 Enanta Pharmaceuticals, Inc. Bile acid derivatives as FXR/TGR5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0072864B (zh) 2015-12-24 2022-05-27 基因泰克公司 Tdo2抑制剂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5256A1 (en) * 2016-03-22 2017-09-28 Merck Sharp & Dohme Corp.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26834C2 (uk) 2023-02-08
CO2020013462A2 (es) 2020-11-10
PE20210052A1 (es) 2021-01-08
EP3788043A1 (en) 2021-03-10
CA3098583C (en) 2023-05-16
JP7073533B2 (ja) 2022-05-23
IL278154A (en) 2020-11-30
SG11202010459XA (en) 2020-11-27
KR102587811B1 (ko) 2023-10-11
CL2020002820A1 (es) 2021-02-19
CL2021001795A1 (es) 2021-12-24
WO2019212927A1 (en) 2019-11-07
MA52482A (fr) 2021-03-10
AU2019262917B2 (en) 2021-12-23
JP2021523102A (ja) 2021-09-02
MX2020011489A (es) 2020-12-07
JOP20200272A1 (ar) 2020-11-01
PH12020551779A1 (en) 2021-06-07
CR20200509A (es) 2020-12-23
EA202092608A1 (ru) 2021-03-02
AU2019262917A1 (en) 2020-11-05
AR115065A1 (es) 2020-11-25
BR112020022088A8 (pt) 2023-02-07
GEP20227409B (en) 2022-09-12
ECSP20067907A (es) 2021-02-26
US11332463B2 (en) 2022-05-17
NI202000074A (es) 2021-03-05
TW202014419A (zh) 2020-04-16
CN112119076A (zh) 2020-12-22
CA3098583A1 (en) 2019-11-07
US20210070745A1 (en) 2021-03-11
BR112020022088A2 (pt)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552B1 (ko) 니코틴산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알로스테릭 조정제
KR102587811B1 (ko)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스피로피페리딘 알로스테릭 조정제
AU2004231087A1 (en) Benzoxazinyl-amidocyclopentyl-heterocyclic modulators of chemokine receptors
JP7221944B2 (ja) ニコチン性アセチルコリン受容体のヘテロアリールアロステリックモジュレーター
TWI839355B (zh) 菸鹼乙醯膽鹼受體之螺哌啶異位調節劑
EA042108B1 (ru) Спиропиперидиновые аллостерические модуляторы никотиновых ацетилхолиновых рецепторов
BR112018069456B1 (pt) Composto útil como modulador de a7 nAChR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o mesmo, sua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seu uso
EA035585B1 (ru) Аллостерические модуляторы никотиновых ацетилхолиновых рецепторов
NZ785933A (en)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