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417A -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417A
KR20210005417A KR1020190080938A KR20190080938A KR20210005417A KR 20210005417 A KR20210005417 A KR 20210005417A KR 1020190080938 A KR1020190080938 A KR 1020190080938A KR 20190080938 A KR20190080938 A KR 20190080938A KR 20210005417 A KR20210005417 A KR 2021000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autonomous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명순
우성인
김태식
임다민
박수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5417A/ko
Publication of KR2021000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B60K2370/14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 및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는,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방의 사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 및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에 의해 반환받은 사고 상황이 발생한 인근의 건물 또는 도로 표지물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된 좌표 정보와 매칭되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픽셀 정보를 추출하여 사고 상황을 나타내는 AR 사고 풍선(I1)을 좌표 정보 상단에 출력하는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자율주행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차량 공유 개념이 확대되어 차량을 소유할 일, 그리고 차량을 운전할 일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운전을 할 일이 극히 드물거나 사라진 경우에 불특정의 사고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주행 방식으로도 사고 상황에 대한 회피가 가능하나 불특정 상황에서 탑승자가 사고 상황을 인식하고 직접 운전을 하도록 운전 모드를 전환하거나 자율주행차량에 직접 회피 경로를 명령함으로써, 탑승자의 의사를 존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Accid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and autonomous vehicl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자율주행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차량 공유 개념이 확대되어 차량을 소유할 일, 그리고 차량을 운전할 일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운전을 할 일이 극히 드물거나 사라진 경우에 불특정의 사고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주행 방식으로도 사고 상황에 대한 회피가 가능하나 불특정 상황에서 탑승자가 사고 상황을 인식하고 직접 운전을 하도록 운전 모드를 전환하거나 자율주행차량에 직접 회피 경로를 명령함으로써, 탑승자의 의사를 존중하도록 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차량은 각종 주행 수단에 내장되어 주행 위치 탐색을 통해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장치에 해당하는 차량 단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율주행장치는 주로 선박, 항공기 등에 적용되다가, 최근 들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도 적용되어 예를 들면, 주행 경로, 도로 혼잡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스스로 차량을 운전하거나 주행 상태를 제어한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은 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의 경우, 주행 환경(예를 들면, 전방 차량 인식, 장애물 검출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거나, 주행 환경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스스로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응급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많은 데이터량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이 앞으로 보급되는 경우, 차량공유서비스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자율주행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차량 공유 개념이 확대되어 차량을 소유할 일, 그리고 차량을 운전할 일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운전을 할 일이 극히 드물거나 사라진 경우에 사고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가 사고 상황을 인식하고 직접 운전을 하도록 운전 모드를 전환하거나 자율주행차량에 직접 회피 경로를 명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04940호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가상 계좌 연계 인공지능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INTERWORKING VIRTUAL ACCOUNT USING SELF-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자율주행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차량 공유 개념이 확대되어 차량을 소유할 일, 그리고 차량을 운전할 일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운전을 할 일이 극히 드물거나 사라진 경우에 불특정의 사고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주행 방식으로도 사고 상황에 대한 회피가 가능하나 불특정 상황에서 탑승자가 사고 상황을 인식하고 직접 운전을 하도록 운전 모드를 전환하거나 자율주행차량에 직접 회피 경로를 명령함으로써, 탑승자의 의사를 존중하도록 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 유리창의 내부에 있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으로 사고 상황의 상단 영역에 AR 사고 풍선을 출력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고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에 의한 사고 상황 인식이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 및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는,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방의 사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 및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에 의해 반환받은 사고 상황이 발생한 인근의 건물 또는 도로 표지물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된 좌표 정보와 매칭되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픽셀 정보를 추출하여 사고 상황을 나타내는 AR 사고 풍선(I1)을 좌표 정보 상단에 출력하는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상에서 추출된 픽셀 정보의 상단에 AR 사고 풍선(I1)을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AR 사고 풍선(I1)을 생성시,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에 의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사고 상황 지점의 사고 발생부터 현재까지의 항공 사진을 썸네일 이미지로 형성하거나, 실시간 항공 영상을 반투명 처리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마치 현실이 투영되어 인식되는 전면 유리창(110)의 이미지와 AR 사고 풍선(I1) 상의 가상의 이미지가 하나의 현실처럼 인식될 수 있는 AR 영상 정보를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내부 디스플레이(140)로 AR 영상 정보가 아닌 썸네일 이미지 또는 실시간 항공 영상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는,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자율주행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차량 공유 개념이 확대되어 차량을 소유할 일, 그리고 차량을 운전할 일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운전을 할 일이 극히 드물거나 사라진 경우에 불특정의 사고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주행 방식으로도 사고 상황에 대한 회피가 가능하나 불특정 상황에서 탑승자가 사고 상황을 인식하고 직접 운전을 하도록 운전 모드를 전환하거나 자율주행차량에 직접 회피 경로를 명령함으로써, 탑승자의 의사를 존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는, 전면 유리창의 내부에 있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으로 사고 상황의 상단 영역에 AR 사고 풍선을 출력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고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에 의한 사고 상황 인식이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 중 자율주행차량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에 의한 AR 사고 풍선(I1)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자율주행차량(10),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 자율주행차량(10)에 설치된 자율주행차량 장치(100), 네트워크(200),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복수의 드론(500)을 포함하는 드론 그룹(500g)을 포함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10)에서 전방에 사고 상황이 있는 경우, 전면 유리창(110)의 내부에 있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으로 사고 상황의 상단 영역에 AR 사고 풍선(I1)을 출력함으로써, 자율주행차량(10)을 이용하고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를 운영하는 차량 공유자에 의한 사고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 자율주행차량 장치(100),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각 드론(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는 자율주행차량(10)을 이용하기 위한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회원가입 요청에 따라 차량공유 앱을 제공하여,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 상에 차량공유 앱이 실행되면,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로부터 공유자 정보(ID, 비밀번호, 생체 정보,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식별번호(IMEI)) 및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수신한 뒤, 수신된 공유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는 생체 정보를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차량공유 앱 상에서 지문정보를 소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형성된 지문센서로부터 수신하거나,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20)에 형성된 안면인식용 카메라를 이용해 인식된 안면인식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 중 자율주행차량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에 의한 AR 사고 풍선(I1)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는 전면 유리창(110),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센서모듈(130), 내부 디스플레이(140), 저장부(150), 송수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자율주행 모듈(171),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 및 상세 정보 제공 모듈(17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자율주행 모듈(17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400)로 액세스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경로 및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받고, 자율주행 차량(10)에 구성되는 센싱부를 구성하는 4방향 외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경로인 목적지로 향하도록 구동부를 구성하는 조향장치인 조향 핸들, 그리고 가속 페달 및 제동 페달에 대한 자율주행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자율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율주행 모듈(171)은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위치기반으로 자율주행차량 이용신청을 수신하여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GPS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된 위치정보, 또는 센서모듈(130)을 구성하는 GPS 수신장치(133)에 의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활용해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한 자율주행을 제어하여 목적지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 모듈(171)은 자율주행차량(10)의 자율주행차량 장치(100)과의 정체구간 제어 서버(400)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송수신부(160)를 제어한 뒤, 자율주행차량 장치(100)의 센서모듈(130)에 포함된 전, 후, 좌, 우 4방향에 설치된 외부 카메라(131)에 의해 촬영되어 획득된 영상정보, 센서모듈의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획득된 감지센서 범위 내에 있는 차량간의 거리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60)를 제어하고, 빅데이터 서버(400)에 대한 현재의 교통량 정보 질의를 통해 반환된 교통량 정보를 반영한 자율주행차량 장치(100)에 대한 차량 회피를 위한 회피주행 경로정보, 교통상황정보에 따라 최단시간 또는 최단거리에 의해 목적지로 가려는 경로를 의미하는 목적지 경로정보를 생성한 뒤, 자율주행차량(10)에 대한 회피주행 경로정보 및 목적지 경로정보를 활용하여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향하도록 구동부(350)를 구성하는 조향장치인 조향 핸들, 그리고 가속 페달 및 제동 페달에 대한 자율주행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자율주행차량(10)의 자율주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은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드론 그룹(500g)을 구성하는 드론(500) 중 사고 상황을 중심으로 촬영하는 드론(500)의 ID가 추출되어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의 중계에 따라 드론(500)의 항공 사진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60)를 제어한 뒤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은 실시간의 드론(500)의 항공 사진을 전면 유리창(110)의 내부에 덧대는 형태로 형성되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중 자율주행차량(10) 전방의 사고 영역의 좌표 정보에 대해서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에 의해 수신한 뒤, 수신된 좌표 정보와 매칭되는 전면 유리창(100)과 1:1로 덧대어 형성되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의 픽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은 센서모듈(130) 중 전면 유리창(110)의 전체에 화각이 미치는 내부 카메라(134)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에서 건물 또는 도로 표지물 객체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건물 또는 도로 표지물 객체 정보에 대해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로 제공함으로써,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에 의해 현재의 자율주행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각 위치 정보에 따른 사전에 저장된 각 건물 또는 도로 표지물 객체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고 상황이 발생한 인근의 건물 또는 도로 표지물 객체 정보가 추출되어 반환받도록 송수신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에 의해 반환받은 사고 상황이 발생한 인근의 건물 또는 도로 표지물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된 좌표 정보와 매칭되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픽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상에서 추출된 픽셀 정보의 상단에 AR 사고 풍선(I1)을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AR 사고 풍선(I1)을 생성시,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에 의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사고 상황 지점의 사고 발생부터 현재까지의 항공 사진을 썸네일 이미지로 형성하거나, 실시간 항공 영상을 반투명 처리하여 생성함으로써, 마치 현실이 투영되어 인식되는 전면 유리창(110)의 이미지와 AR 사고 풍선(I1) 상의 가상의 이미지가 하나의 현실처럼 인식될 수 있는 AR 영상 정보를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내부 디스플레이(140)로 AR 영상 정보가 아닌 썸네일 이미지 또는 실시간 항공 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도 3에서 도 4로 진행하는 바와 같이, AR 사고 풍선(I1)의 크기를 자율주행차량(10)과 사고 상황 지점간의 거리에 반비례하게 출력할 수 있으며, 사고 상황 지점의 상단에 형성되는 AR 사고 풍선(I1)과 사고 상황 지점을 지시하는 AR 사고 풍선(I1)의 풍선줄(I2)을 전면 유리창(110)의 내부에 덧대는 형태로 형성되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상에서 AR 사고 풍선(I1)의 하단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AR 사고 풍선(I1)과 사고 상황 지점의 좌표를 연결하는 풍선줄(I2)의 곡률은 자율주행차량(10)과 사고 상황 지점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하도록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풍선줄(I2)을 통해 탑승자가 직관적으로 사고 상황 지점을 인식할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에 의해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상에 출력되는 풍선줄(I2)은 자율주행차량(10)에서 사고 상황 지점에 가까이 갈수록 팽팽하게 펴지고, 멀리 있을수록 구부러져서 출력될 수 있다.
상세 정보 제공 모듈(174)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로부터 사고 상황의 피해자 수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60)를 제어한 뒤, 피해자 수, 즉 인명 피해의 정도에 따라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의 AR 사고 풍선(I1)에 피해자의 수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차량(10)이 응급팀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 피해자의 수를 빨간색 점으로 출력함으로써, 즉각적인 응급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세 정보 제공 모듈(174)은 자율주행차량(10)의 루프의 상부면에 빔 프로젝터가 있고, 대규모의 피해자가 발생한 사고 상황의 경우, 프로젝터에 대한 제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공으로 사고 상황을 알리는 홀로그램(119 응급차 등)을 출력함으로써, 멀리서도 사고 상황과 연관된 자율주행차량(10)의 위치로 접근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10 : 자율주행차량
20 : 공유자 스마트 디바이스
100 : 자율주행차량 장치
110 : 전면 유리창
120 :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
130 : 센서모듈
140 : 내부 디스플레이
150 : 저장부
160 : 송수신부
170 : 제어부
200 : 네트워크
300 : 사고 정보 제공 서버
400 : 빅데이터 서버
500 : 드론
500g : 드론 그룹

Claims (5)

  1.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 및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를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자율주행차량 장치(100)는,
    사고 정보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방의 사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 및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에 의해 반환받은 사고 상황이 발생한 인근의 건물 또는 도로 표지물 객체 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된 좌표 정보와 매칭되는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픽셀 정보를 추출하여 사고 상황을 나타내는 AR 사고 풍선(I1)을 좌표 정보 상단에 출력하는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 상에서 추출된 픽셀 정보의 상단에 AR 사고 풍선(I1)을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AR 사고 풍선(I1)을 생성시, 전방 사고 수신 모듈(172)에 의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사고 상황 지점의 사고 발생부터 현재까지의 항공 사진을 썸네일 이미지로 형성하거나, 실시간 항공 영상을 반투명 처리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마치 현실이 투영되어 인식되는 전면 유리창(110)의 이미지와 AR 사고 풍선(I1) 상의 가상의 이미지가 하나의 현실처럼 인식될 수 있는 AR 영상 정보를 투명 전면 터치스크린(120)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AR 기반 정보 제공 모듈(173)은,
    내부 디스플레이(140)로 AR 영상 정보가 아닌 썸네일 이미지 또는 실시간 항공 영상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90080938A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KR20210005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938A KR20210005417A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938A KR20210005417A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17A true KR20210005417A (ko) 2021-01-14

Family

ID=7414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938A KR20210005417A (ko) 2019-07-04 2019-07-04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54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8080A (zh) * 2021-06-22 2021-09-24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无人车提醒行人或车辆避让的方法、装置、无人车
KR20220115695A (ko) 2021-02-09 2022-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사고 예측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04940호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가상 계좌 연계 인공지능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INTERWORKING VIRTUAL ACCOUNT USING SELF-DRIVING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695A (ko) 2021-02-09 2022-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사고 예측 시스템
CN113428080A (zh) * 2021-06-22 2021-09-24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无人车提醒行人或车辆避让的方法、装置、无人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2300B1 (en) Method and system to construct surrounding environment for autonomous vehicles to make driving decisions
US119945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maging device, computer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oving body device
KR101741433B1 (ko)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22341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mobile object to estimate the mobile object's self-position
US20210058173A1 (en) Vehicle remote instruction system
WO2020188928A1 (ja) データ通信に基づいて意思決定を行うシステム
WO202011619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移動体制御装置、及び、移動体
CN111216127A (zh) 一种机器人控制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KR20220020804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JP2019014300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43714B2 (ja) 露光制御装置、露光制御方法、プログラム、撮影装置、及び、移動体
JP2018514016A (ja) 車両支援システム
KR20210098445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이동체 제어 장치, 및 이동체
KR20210005417A (ko)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장치
WO2020183892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移動体装置
WO2023102911A1 (zh) 数据采集方法、数据展示方法、数据处理方法、飞行器的降落方法、数据展示系统及存储介质
WO2019130483A1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03422B1 (ko) 자율성 극대화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자율성 제공 서버
WO2020085101A1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39634A (ko)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05757A (ko) 자율주행차량의 응급상황 처리 시스템, 그리고 자율주행차량 장치
US20220148430A1 (en) Sharing traveled pathway data
KR102235274B1 (ko) 자율주행차량 기반의 추월 우선권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단말
KR20230028248A (ko) 제어 장치, 투영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10090314A (ko) 시뮬레이터 출력 화면에 기반한 원격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