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225A -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225A
KR20210005225A KR1020207034574A KR20207034574A KR20210005225A KR 20210005225 A KR20210005225 A KR 20210005225A KR 1020207034574 A KR1020207034574 A KR 1020207034574A KR 20207034574 A KR20207034574 A KR 20207034574A KR 20210005225 A KR20210005225 A KR 20210005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information
gas
alarm dev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529B1 (ko
Inventor
히로시 마지마
다케오 반도
Original Assignee
이와타니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타니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타니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5/0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옥내에 배치되며, 대상 가스를 검출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장치(10)는, 옥내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는 가스 미터(20A)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수단과, 센터 서버(50)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 수단과,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가스 미터(20A)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는 검침 정보 취득 수단(301)과, 검침 정보 취득 수단(301)에 의해 취득된 검침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303)과,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기억 수단(303)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하는 통신 제어 수단(31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본 개시는,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 미터 등의 자동 검침 시스템으로서는, 공중전화 회선을 이용하는 쌍방향 방식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센터 장치와 각 수요가에 설치된 자동 검침용의 가스 미터 사이를 단말기망 제어 장치 구비의 공중전화 회선으로 접속하고, 센터 장치로부터 전화 회선을 통해 가스 미터에 의한 검침 정보를 읽어들인다. 또한, 가스 미터의 검침 정보와 함께, 가스 미터의 안전 정보를 센터 장치에 통보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5423호 공보(특허문헌 1)는, 경보 장치로부터의 경보 전문을 무선 수신하고, 해당 무선 수신한 경보 전문에 기초하여 경보 상태를 단말기망 제어 수단 및 공중전화 회선을 통해 센터 장치에 통보하는 경보 통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보 통보 장치는, 경보 전문의 무선 수신에 따라, 검침 기능 구비 가스 미터에 의한 검침 정보와 함께 당해 가스 미터에 관한 안전 감시 정보를 센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안전 감시 데이터 플래그 일람 중의 미사용 플래그 중의, 수신한 경보 전문에 대하여 미리 대응지어진 플래그를 세트하고, 단말기망 제어 수단에 대한 기동 요구 신호의 송신 후에 단말기망 제어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요구 전문에 따라, 세트된 플래그를 포함하는 응답 전문을 송신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5423호 공보
전형적으로는, 가스 미터에 의한 검침 정보는, 고객마다 미리 지정된 검침일에 정기적으로 센터 장치를 향하여 송신된다. 그러나, 이 지정된 검침일이, 고객의 요망에 의해 집중되어 버린 경우에는, 센터 장치측의 처리의 고부하 혹은 회선 혼잡 등에 의한 통신상의 장애의 발생 때문에, 실제의 검침일이 다음날 이후의 소정일로 어긋나 버린다. 그렇게 되면, 검침 기간이, 전회 검침일로부터 당해 소정일까지의 기간이 되어 버려 고객 서비스상 바람직하지 않다. 특허문헌 1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전혀 교시 내지 시사하고 있지 않다.
본 개시의 어떤 국면에 있어서의 목적은, 가스 미터에 의한 검침 정보를 적절히 취득함으로써,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어떤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옥내에 배치되며, 대상 가스를 검출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장치가 제공된다. 경보 장치는, 옥내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는 가스 미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수단과, 센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 수단과,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가스 미터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는 검침 정보 취득 수단과, 검침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검침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침 정보 취득 수단은, 현재 일시가 지정 검침일의 소정 시각에 도달한 경우에,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당해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송신하도록 가스 미터에 지시함으로써 당해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당해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로서 기억 수단에 기억한다.
바람직하게는, 경보 장치는,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가스 미터로부터 가스가 차단된 것을 나타내는 차단 정보를 취득하는 차단 정보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한다. 차단 정보 취득 수단은, 옥내에 있어서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에,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가스 미터에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송신하고, 검출 정보의 응답으로서 가스 미터로부터 차단 정보를 취득한다. 통신 제어 수단은,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차단 정보를 센터 서버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제어 수단은,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의 센터 서버로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 당해 송신이 실패하고 나서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에 다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제어 수단은,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의 센터 서버로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삭제한다.
바람직하게는, 경보 장치는, 통상 시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며, 상용 전원의 정전 시에는 경보 장치의 대체 전원으로서 기능하는 축전 수단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경보 장치는, 옥내에 배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촬상 정보를 취득하는 촬상 정보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한다. 통신 제어 수단은, 옥내에 있어서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에,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촬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상 정보를 센터 서버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경보 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한다. 통신 제어 수단은, 조작 수단이 유저로부터 긴급 지시를 접수한 경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긴급 정보를 센터 서버에 송신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센터 서버와, 옥내에 배치되며, 대상 가스를 검출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가스 경보 기능을 갖는 마스터 경보 장치를 구비한다. 마스터 경보 장치는, 옥내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는 가스 미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가스 미터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검침 정보를 마스터 경보 장치의 제1 메모리에 기억하고, 센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제1 메모리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마스터 경보 장치와, 가스 경보 기능을 갖는 복수의 슬레이브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경보 장치를 더 구비한다. 복수의 슬레이브 경보 장치의 각각은,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가스 미터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검침 정보를 당해 슬레이브 경보 장치의 제2 메모리에 기억하고, 주위에 존재하는 경보 장치를 탐색하고, 탐색에 의해 발견된 제1 경보 장치에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송신한다. 제1 경보 장치가 마스터 경보 장치인 경우, 제1 경보 장치는,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에 송신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가스 미터에 의한 검침 정보를 적절하게 취득함으로써,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경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검침 정보의 송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단 정보의 송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경보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멀티 홉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가 고장난 경우의 국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것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것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시스템 구성>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경보 장치(10, 11)와, 가스 미터(20A, 20B)와, 가전 기기(30)와, 카메라(31)와, 네트워크(40)와, 센터 서버(5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용이화를 위해, 경보 장치(10, 11)가 주택 내에 배치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예를 들어 경보 장치(10, 11)는, 맨션의 각 방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각종 점포 등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경보 장치(10, 11)는, 옥내이면 어떤 장소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주택(201)의 옥내에는, 대상 가스를 검출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가스 경보 기능을 갖는 경보 장치(10), 가전 기기(30) 및 카메라(31)가 배치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가스 미터(20A)는, 주택(201)의 옥외에 배치된다.
주택(202)의 옥내에는, 경보 장치(1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택(202)의 옥내에는, 주택(201)과 마찬가지로 가전 기기 및 카메라 등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스 미터(20B)는, 주택(202)의 옥외에 배치된다.
경보 장치(10)는, 가스 미터(20A)와, 가전 기기(30)와, 카메라(31)와, 경보 장치(11)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경보 장치(1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센터 서버(50)와도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경보 장치(10)는, 복수의 통신 규격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고 있고,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간에서 원활하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경보 장치(11)도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경보 장치(10)는,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인 Wi-Fi(등록 상표) 등을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가스 미터(20A), 가전 기기(30) 및 카메라(3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경보 장치(11)는, 이들 통신 방식으로, 가스 미터(20B)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경보 장치(10)는, 예를 들어 3G(3rd Generation)나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휴대 전화 통신 방식, 혹은 금후 보급이 예상되는 무선 통신 방식인 LPWA(Low Power Wide Area)에 포함되는 LTE-M(Long Term Evolution for Machines)이나 NB-IoT(Narrow Band IoT)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40)를 통해, 센터 서버(5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네트워크(40)는, 휴대 전화에 있어서의 캐리어망, 인터넷망 등을 포함한다.
또한, 경보 장치(10)는, 예를 들어 Wi-SUN(등록 상표)(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을 이용하여 경보 장치(1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Wi-SUN은, 920㎒대를 사용하는 특정 소전력 무선 방식이며, Wi-Fi(등록 상표)보다도 저소비 전력, 도달 거리가 길고, 및 다른 무선과의 전파 간섭을 일으키기 어려운 등의 특징을 갖는다. 920㎒대 방식은, 다른 특정 소전력 무선 방식(400㎒대)보다도 통신 속도가 빠르다는 이점도 갖는다. 또한, 경보 장치(10)는, Wi-SUN을 이용하여 가스 미터(20A), 가전 기기(30) 및 카메라(31)와 무선 통신을 행해도 된다.
가스 미터(20A)는, 주택(201) 내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한다. 가스 미터(20A)는, 가스 유량의 계측 기능, 차단 밸브의 차단 기능, 통신 기능 및 시계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미터(20A)는, 상술한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통신 방식으로, 경보 장치(1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가스 미터(20A)는, 가스 용기(도시 생략)로부터 주택(201)에 마련된 가스 기기(도시 생략)에 흐르는 가스를 계측하고, 검침 정보를 경보 장치(10)에 송신한다. 검침 정보는, 가스 용기로부터 가스 기기에 흐르는 가스의 유량의 적산값이어도 되고, 가스 사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여도 되고, 이들 2 이상이 조합되어도 된다.
가스 미터(20B)는, 경보 장치(11)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주택(202)에 마련된 가스 기기(도시 생략)에 흐르는 가스를 계측하고, 검침 정보를 경보 장치(11)에 송신한다.
가전 기기(30)는, 경보 장치(1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조명 장치, 선풍기, 청소기, 냉장고, 에어컨,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 전자 레인지, 공기 청정기 등이다. 가전 기기(30)는, 경보 장치(10)로부터의 각종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제어를 실행하거나, 각종 정보를 경보 장치(10)에 송신하거나 한다.
카메라(31)는, 경보 장치(1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경보 장치(10)로부터의 지시 정보에 따라서 주택(201)의 옥내 모습을 촬상한다. 또한, 카메라(31)는, 촬상 화상을 경보 장치(10)에 송신한다. 카메라(31)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 CMOS(Complementary Mental Oxide Semiconductor) 방식 그 밖의 방식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카메라(31)는, 줌 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줌 기능 및 초점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포커스 기능 등을 갖는다.
센터 서버(50)는, 네트워크(40)에 접속되어, 원격지로부터 경보 장치(10) 및 가스 미터(20A)의 감시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서버 장치이다. 센터 서버(50)는, 예를 들어 경보 장치(10)를 통해, 가스 미터(20A)에 검침 요구를 행함으로써 가스 미터(20A)가 갖는 정보를 취득하거나, 차단 요구를 행함으로써 가스 미터(20A)에 가스의 차단을 실행시키거나 한다. 또한, 센터 서버(50)는, 경보 장치(10) 및 경보 장치(11)를 통해, 가스 미터(20B)에 검침 요구 및 차단 요구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주택(201)의 옥내에는, 상기 이외에도, 화재 경보기, 감시용 로봇, 심박수 등의 생체 정보를 취득 가능한 건강 기기 등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경보 장치(10)는,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통신 방식으로, 이들 기기 등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경보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경보 장치(10)는, 주제어부(100)와, 통신부(110)와, 가스 센서(131)와, 스피커(132)와, 조작 인터페이스(I/F)(133)와, GPS 모듈(134)과, LED(light emitting diode)(135)와, 배터리(136)를 포함한다.
주제어부(100)는, 경보 장치(10)에 있어서의 처리 전체를 제어하는 주체이다. 주제어부(100)는, 주요한 컴포넌트로서, 프로세서(102)와, 메인 메모리(104)와, 불휘발성 메모리(10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이루어지고,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104)에 전개하여 실행한다. 프로세서(102)는,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경보 장치(10)의 처리를 실현한다.
메인 메모리(104)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휘발적으로 유지한다. 불휘발성 메모리(106)는, 플래시 메모리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불휘발적으로 유지한다. 이하, 메인 메모리(104) 및 불휘발성 메모리(106)를 총칭하여, 간단히 「메모리」라고도 칭한다.
주제어부(100)는, 상술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장해도 된다. 이 경우, 각각의 컴포넌트를 일체화한, SoC(System-on-a-Chip)의 형태로 실장해도 된다.
통신부(110)는, Bluetooth 모듈(111)과, LTE 모듈(112)과, Wi-SUN 모듈(113)과, Wi-Fi 모듈(114)을 포함한다.
Bluetooth 모듈(111)은, 안테나(121)와 접속되어, Bluetooth 규격에 준거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Bluetooth 모듈(111)은, 예를 들어 BLE(Bluetooth Low Energy)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 및 Classic Bluetooth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이 실행 가능하다. 전형적으로는, 프로세서(102)는, Bluetooth 모듈(111)을 통해, 가스 미터(20A), 가전 기기(30) 및 카메라(31)와 통신한다.
LTE 모듈(112)은, 안테나(122)와 접속되어, LTE, 3G, LTE-M이나 NB-IoT 등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따르는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는, LTE 모듈(112) 및 안테나(122)는, 센터 서버(50)와 경보 장치(10)의 통신에 사용된다.
Wi-SUN 모듈(113)은, 안테나(123)와 접속되어, 920㎒대의 특정 소전력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는, Wi-SUN 모듈(113) 및 안테나(123)는, 경보 장치(10)와 경보 장치(11)의 통신에 사용된다. Wi-Fi 모듈(114)은, 안테나(124)와 접속되어, 무선 LAN 등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따르는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가스 센서(131)는, 대상 가스의 유무를 검출한다. 대상 가스는, 예를 들어 가연성 가스여도 되고, 프로판 및 부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LP 가스여도 되고,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시 가스여도 된다.
스피커(132)는, 프로세서(102)의 지시에 따라서, 음성 출력한다. 예를 들어, 가스 센서(131)에 의해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 프로세서(102)는, 스피커(132)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한다.
조작 인터페이스(133)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지시를 접수한다. 전형적으로는, 조작 인터페이스(133)는, 긴급 연락용 버튼, 경보 정지용 스위치, 점검용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GPS 모듈(134)은, GPS 신호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 신호(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GPS 모듈(134)은, 취득한 위치 정보를 주제어부(100)에 입력한다.
LED(135)는, 프로세서(102)의 지시에 따라서 점멸 또는 점등한다. 예를 들어, 가스 센서(131)에 의해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 프로세서(102)는, LED(135)를 점멸 또는 점등함으로써 경고를 재촉한다.
배터리(136)는, 충방전 가능한 전력 저장 요소이며, 대표적으로는 리튬 이온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 등의 이차 전지로 구성된다. 경보 장치(10)는, AC(Alternative Current) 전원 코드에 의해 상용 전원(150)에 접속되고, 배터리(136)는, 상용 전원(150)에 의해 충전된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136)는, 통상 시(비정전 시)에는 상용 전원(150)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며, 상용 전원(150)의 정전 시에는 경보 장치(10)의 대체 전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경보 장치(11)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2 중의 LTE 모듈(112)(및 안테나(122))을 갖고 있지 않은 점에서 경보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과 다르지만, 이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처리 수순>
경보 장치(10)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침 정보의 송신 방식)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검침 정보의 송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경보 장치(10)가 센터 서버(50)에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경보 장치(10)의 프로세서(102)는, 미리 지정된 검침일(지정 검침일)에 기초하는 검침 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02)는, LTE 모듈(112) 및 네트워크(40)를 통해, 센터 서버(50)로부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당해 검침 타이밍이 도래하였다고 판단한다. 혹은, 프로세서(102)는,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미리 기억된 지정 검침일과 현재 일시를 비교함으로써, 당해 검침 타이밍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프로세서(102)는, 가스 미터(20A)에 대하여, 현시점에서의 검침 정보를 경보 장치(10)에 송신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12).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02)는, Bluetooth 모듈(111)을 통해, 당해 지시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가스 미터(20A)에 송신한다.
프로세서(102)는, Bluetooth 모듈(111)을 통해, 현시점에서의 검침 정보를 가스 미터(20A)로부터 수신한다(스텝 S14). 프로세서(102)는, 수신한 검침 정보를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로서 메모리(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기억한다(스텝 S16).
프로세서(102)는, LTE 모듈(112)을 통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스텝 S18). 계속해서, 프로세서(102)는, 당해 검침 정보의 센터 서버(50)로의 송신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검침 정보의 송신을 행한 경우에,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센터 서버(5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즉, 타임 아웃이 발생한 경우), 검침 정보가 센터 서버(50)에 도달하지 않았다(즉,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102)는, 검침 정보의 송신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한다.
당해 검침 정보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에는(스텝 S20에 있어서 "예"), 프로세서(102)는 처리를 종료한다. 당해 검침 정보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에는(스텝 S20에 있어서 "아니오"), 프로세서(102)는, 당해 검침 정보의 송신이 실패하고 나서 소정 기간(예를 들어, 1일)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22에 있어서 "아니오"), 프로세서(102)는 스텝 S22의 처리를 실행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스텝 S22에 있어서 "예"), 프로세서(102)는, 스텝 S18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프로세서(102)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재송신한다.
상기에 의하면, 경보 장치(10)는, 가스 미터(20A)로부터 취득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해 둔다. 그리고, 센터 서버(50)측의 처리의 고부하 혹은 회선 혼잡 등에 의한 통신상의 장애가 발생하여, 만약 지정 검침일에 검침 정보를 송신하지 못한 경우라도, 경보 장치(10)는, 센터 서버(50)와 통신 가능해진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검침 기간이 어긋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차단 정보의 송신 방식)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단 정보의 송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경보 장치(10)가 대상 가스를 검출한 경우에, 센터 서버(50)에 가스의 차단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경보 장치(10)의 프로세서(102)는, 가스 센서(131)를 통해, 주택(201)의 옥내에 있어서 대상 가스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 대상 가스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0에 있어서 "아니오"), 프로세서(102)는 스텝 S30의 처리를 실행한다.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30에 있어서 "예"), 프로세서(102)는, Bluetooth 모듈(111)을 통해,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가스 검출 정보를 가스 미터(20A)에 송신한다(스텝 S32). 가스 미터(20A)는, 가스 검출 정보를 수신하면, 차단 밸브를 차단하여 가스 용기로부터의 가스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가스 미터(20A)는, Blutooth 모듈을 통해, 당해 차단이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차단 정보를 경보 장치(10)에 송신한다.
프로세서(102)는, Bluetooth 모듈(111)을 통해, 가스 미터(20A)로부터 차단 정보를 수신하여(스텝 S34), 당해 차단 정보를 현재 일시와 관련지어 메모리에 기억한다(스텝 S36).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02)는, 차단 정보와, 차단이 실행된 차단 일시를 포함하는 차단 관련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프로세서(102)는, LTE 모듈(112)을 통해, 메모리에 기억된 차단 관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스텝 S38). 계속해서, 프로세서(102)는, 차단 관련 정보의 센터 서버(50)로의 송신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
차단 관련 정보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에는(스텝 S40에 있어서 "예"), 프로세서(102)는 처리를 종료한다. 차단 관련 정보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에는(스텝 S40에 있어서 "아니오"), 프로세서(102)는, 차단 관련 정보의 송신이 실패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2). 소정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2에 있어서 "아니오"), 프로세서(102)는 스텝 S42의 처리를 실행한다.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스텝 S42에 있어서 "예"), 프로세서(102)는, 스텝 S38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프로세서(102)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차단 관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재송신한다.
상기에 의하면, 경보 장치(10)는, 가스 미터(20A)에 의해 차단 밸브가 언제 차단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차단 관련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해 둔다. 그리고, 재해 등의 발생에 의해 센터 서버(50)와의 통신이 불능하게 되어 차단 관련 정보를 송신하지 못한 경우라도, 경보 장치(10)는, 센터 서버(50)와의 통신 가능해진 시점에서 차단 관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센터 서버(50)측에서, 어느 시점에서 가스가 차단되었는지를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기능 구성>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경보 장치(1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경보 장치(10)는, 주된 기능 구성으로서, 검침 정보 취득부(301)와, 기억부(303)와, 가스 검출부(305)와, 차단 정보 취득부(307)와, 촬상 정보 취득부(309)와, 조작부(311)와, 통신 제어부(313)와, 장치간 통신부(315)를 포함한다. 기억부(303)는, 메인 메모리(104) 및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의해 실현된다.
검침 정보 취득부(301)는, 가스 미터(20A)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예를 들어, Bluetooth 모듈(111))을 통해, 가스 미터(20A)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한다.
어떤 국면에서는, 검침 정보 취득부(301)는, 현재 일시가 지정 검침일의 소정 시각에 도달한 경우에,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송신하도록 가스 미터(20A)에 지시함(즉, 검침 지시를 행함)으로써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한다. 검침 정보 취득부(301)는, 취득된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로서 기억부(303)에 기억한다. 검침 정보 취득부(301)는, 주로, 프로세서(102) 및 통신부(110)에 의해 실현된다.
가스 검출부(305)는, 주택(201)의 옥내에 있어서의 대상 가스의 유무를 검출한다. 가스 검출부(305)는, 주로, 프로세서(102) 및 가스 센서(131)에 의해 실현된다.
차단 정보 취득부(307)는,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가스 미터(20A)로부터 가스가 차단된 것을 나타내는 차단 정보를 취득한다. 어떤 국면에서는, 차단 정보 취득부(307)는, 가스 검출부(305)에 의해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에,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가스 미터(20A)에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송신하고, 당해 검출 정보의 응답으로서 가스 미터(20A)로부터 차단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차단 정보 취득부(307)는, 차단 정보와 현재 일시(즉, 차단 일시)를 관련지은 차단 관련 정보를 기억부(303)에 기억해도 된다.
촬상 정보 취득부(309)는,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카메라(31)에 의해 촬상된 촬상 정보를 취득한다. 촬상 정보 취득부(309)는, 촬상 정보를 기억부(303)에 기억한다. 촬상 정보 취득부(309)는, 주로, 프로세서(102) 및 통신부(110)에 의해 실현된다.
어떤 국면에서는, 촬상 정보 취득부(309)는, 가스 검출부(305)에 의해 가스가 검출된 경우에, 카메라(31)에 기동 지시를 송신하고, 기동된 카메라(31)에 의해 촬상된 촬상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에 의해, 가스 누설의 발생 시의 긴급 사태에 있어서의 옥내의 모습을 기억부(303)에 기억할 수 있음과 함께, 통상 시에는 촬상 정보가 기억되지 않기 때문에, 기억부(303)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조작부(311)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어떤 국면에서는, 조작부(311)는, 유저로부터의 긴급 지시를 접수한다. 조작부(311)는, 주로, 프로세서(102) 및 조작 인터페이스(133)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 제어부(313)는, 제2 통신 모듈(예를 들어, LTE 모듈(112))을 통해, 각종 정보를 센터 서버(50)와 통신한다. 통신 제어부(313)는, 주로, 프로세서(102) 및 통신부(110)에 의해 실현된다.
어떤 국면에서는, 통신 제어부(313)는,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기억부(303)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313)는,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의 센터 서버(50)로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 당해 송신이 실패하고 나서 소정 기간 경과 후(예를 들어, 1일 후)에,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다시 송신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313)는,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의 센터 서버(50)로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 기억부(303)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송신 성공 직후, 혹은 송신 성공으로부터 일정 기간 경과 후(예를 들어, 수개월 후)에 삭제해도 된다. 이에 의해, 기억부(303)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국면에서는, 통신 제어부(313)는,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차단 정보 취득부(307)에 의해 취득된 차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313)는, 기억부(303)에 기억된 차단 관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통신 제어부(313)는, 주택(201)의 옥내에 있어서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에,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촬상 정보 취득부(309)에 의해 취득된 촬상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통신 제어부(313)는, 조작부(311)가 유저로부터 긴급 지시를 접수한 경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어떠한 긴급 사태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직접적으로 긴급 사태를 센터 서버(50)에 연락할 수 있다.
장치간 통신부(315)는, 경보 장치(1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전형적으로는, 장치간 통신부(315)는, 제3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SUN 모듈(113))을 통해, 경보 장치(1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장치간 통신부(315)는, 각종 정보(예를 들어, 검침 정보, 차단 관련 정보, 촬상 정보 및 긴급 정보 등)를 경보 장치(11)로부터 수신한다. 통신 제어부(313)는,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장치간 통신부(315)에 의해 취득된 각종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여기서, 경보 장치(11)는, 상술한 경보 장치(10)의 기능 구성 중, 통신 제어부(313) 이외의 각 기능 구성(즉, 검침 정보 취득부(301), 기억부(303), 가스 검출부(305), 차단 정보 취득부(307), 촬상 정보 취득부(309), 조작부(311), 장치간 통신부(315))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경보 장치(11)에서는,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 차단 관련 정보, 촬상 정보, 긴급 지시 정보 등이 취득된다. 그리고, 경보 장치(11)의 장치간 통신부는, Wi-SUN 모듈을 통해, 이들 정보를 경보 장치(10)에 송신한다.
<이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지정 검침일에 검침 정보를 송신하지 못한 경우라도, 경보 장치(10)와 센터 서버(50)의 통신이 가능해진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된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가 센터 서버(50)에 송신되기 때문에, 검침 기간이 어긋나는 일이 없어,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스 차단 시에 있어서 차단 정보를 송신하지 못한 경우라도, 경보 장치(10)와 센터 서버(50)의 통신이 가능해진 시점에서 메모리에 기억된 차단 관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터 서버(50)측에서 가스 차단이 언제 행해졌는지를 보다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공중전화 회선을 통해 가스 미터에 의한 검침 정보를 읽어들이는 방식에 있어서 발생하는 통화 중에 통신을 할 수 없다는 문제도 해소된다. 또한, 통상 시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배터리(136)에 충전되고, 정전 시에는 대체 전원으로서 배터리(136)가 사용되기 때문에, 통신에 의한 경보 장치(10)의 전력 소모를 의식할 필요가 없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서는, 경보 장치(10) 및 복수의 경보 장치(11)에 의한 멀티 홉 통신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보 장치(10)와 경보 장치(11)는, 예를 들어 Wi-SUN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쌍방향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Wi-SUN에서는, 복수의 장치가 버킷 릴레이 방식으로 데이터를 중계하여, 원격지간을 연결하는 멀티 홉 통신에도 대응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경보 장치(10)와 복수의 경보 장치(11)는 멀티 홉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LTE 모듈(112)을 탑재하고, 센터 서버(50)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보 장치(10)를 「마스터 장치(10)」라고도 칭하고, LTE 모듈(112)을 탑재하지 않은 경보 장치(11)를 「슬레이브 장치(11)」라고도 칭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멀티 홉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마스터 장치(10A, 10B, 10C)는, 각각 그룹 A, B, C의 마스터 장치이다. 통신 범위(401, 402, 403)는, 각각 마스터 장치(10A, 10B, 10C)가 Wi-SUN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통신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슬레이브 장치(11A, 11B, 11C)는, 통신 범위(401)에 재권하고 있기 때문에, 그룹 A에 속해 있다. 슬레이브 장치(11C, 11D, 11E)는, 통신 범위(402)에 재권하고 있기 때문에, 그룹 B에 속해 있다. 이것으로부터, 슬레이브 장치(11C)는, 그룹 A 및 B의 양쪽에 속해 있다. 슬레이브 장치(11G, 11F)는, 통신 범위(403)에 재권하고 있기 때문에, 그룹 C에 속해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신규로 참여하는 슬레이브 장치(11)는, 마스터 장치(10)와의 사이에서 통신 루트를 확립하기 위해, 마스터 장치(10), 또는, 네트워크에 이미 참여하고 있는 다른 슬레이브 장치(11)로부터, 통신 루트, 통신 품질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신규 참여하는 슬레이브 장치(11)는, 주위에 존재하는 마스터 장치(10)나 다른 슬레이브 장치(11)를 탐색하기 위한 비콘 요구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송신한다.
마스터 장치(10) 또는 다른 슬레이브 장치(11)가 비콘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면, 비콘 요구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장치(10) 또는 다른 슬레이브 장치(11)는, 비콘 요구 신호에 대한 비콘 응답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송신한다. 신규 참여하는 슬레이브 장치(11)는, 비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이 비콘 응답 신호의 송신원과의 사이에서, 라우팅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여, 통신 루트를 구축한다.
전형적으로는, 마스터 장치(10)는, 동 그룹에 속해 있는 각 슬레이브 장치(11)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당해 각종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여기서, 각 슬레이브 장치(11)는, 대응하는 가스 미터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수신하여, 당해 수신한 검침 정보를 당해 슬레이브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다. 또한, 각 슬레이브 장치는, 상술한 차단 관련 정보 및 촬상 정보 등을 내부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10A)는, 슬레이브 장치(11A, 11B, 11C)의 각각이 내부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는 검침 정보나 차단 정보를 당해 슬레이브 장치(11)로부터 수신한다. 마스터 장치(10A)는, 슬레이브 장치(11A, 11B, 11C)의 각각의 검침 정보 및 차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또한, 슬레이브 장치(11C)는 그룹 B에도 속해 있기 때문에, 슬레이브 장치(11C)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는, 마스터 장치(10B)를 통해 센터 서버(50)에 송신되어도 된다.
여기서, 어떤 마스터 장치(10)가 고장나는 등의 요인에 의해, 당해 마스터 장치(10)가 센터 서버(50) 및 다른 슬레이브 장치(11)와 통신 불가능한 상태로 된 케이스를 상정한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10)가 고장난 경우의 국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마스터 장치(10B)가 고장나는 등의 요인에 의해, 마스터 장치(10B)가 센터 서버(50) 및 다른 슬레이브 장치(11)와 통신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그룹 B에 속해 있는 슬레이브 장치(11D 및 11E)는, 마스터 장치(10B)를 통해 센터 서버(50)에 정보를 송신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슬레이브 장치(11E)는, 예를 들어 비콘 요구 신호를 보내어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장치를 탐색하고, 응답해 온(탐색에 의해 발견된) 슬레이브 장치(11D)와의 통신을 확립한다.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장치(11D)는, 슬레이브 장치(11C)와의 통신을 확립한다. 슬레이브 장치(11C)는, 슬레이브 장치(11B)를 통해 마스터 장치(10A)와 통신 가능하다. 즉, 슬레이브 장치(11E)는, 슬레이브 장치(11D, 11C, 11B)를 통해 마스터 장치(10A)와 통신 가능해진다.
따라서, 슬레이브 장치(11E)는,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검침 정보(혹은, 차단 정보 등)를 마스터 장치(10A)에 송신한다. 마스터 장치(10A)는, 슬레이브 장치(11E)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혹은, 차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슬레이브 장치(11)는, 탐색에 의해 발견된 장치 K1에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각종 정보 P를 송신한다. 그리고, 탐색된 장치 K1이 마스터 장치(10)인 경우에는, 장치 K1은, 당해 슬레이브 장치(11)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각종 정보 P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한편, 탐색된 장치 K1이 슬레이브 장치(11)인 경우에는, 장치 K1은, 또한 자신에 의해 탐색된 다른 장치 K2에 각종 정보 P를 송신한다.
또한, 도 6 및 도 7 중의 통신 루트는 일례이며, 다른 통신 루트가 채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장치(11E)가 탐색에 의해 슬레이브 장치(11C)를 발견한 경우에는, 슬레이브 장치(11E)는, 슬레이브 장치(11D)를 통하지 않고 슬레이브 장치(11C)와의 통신을 확립한다. 또한, 슬레이브 장치(11C)는, 탐색에 의해 마스터 장치(10A)를 발견한 경우에는, 슬레이브 장치(11B)를 통하지 않고 마스터 장치(10A)와의 통신을 확립한다. 이 경우, 슬레이브 장치(11E)는, 슬레이브 장치(11C)를 통해 마스터 장치(10A)와 통신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 형태]
(1)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보 장치(10, 11)는, 가스 미터에 의한 검침 정보를 취득하고 있지만, 가스 미터 이외의 각종 미터와 통신함으로써 각종 미터에 의한 검침 정보를 또한 취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경보 장치(10, 11)는, 예를 들어 Bluetooth 모듈을 통해, 수도의 사용량을 계측하는 수도 미터로부터 검침 정보(예를 들어, 수도 사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전기(전력)의 사용량을 계측하는 전기 미터로부터 검침 정보(예를 들어, 전기 사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경보 장치(10)는, 이들 검침 정보를 센터 서버(5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라이프 라인인 가스·전기·수도의 검침 정보를 일괄 관리함으로써 고객 서비스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컴퓨터를 기능시켜, 상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부속되는 플렉시블 디스크, CD(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2차 기억 장치, 주기억 장치 및 메모리 카드 등의 일시적이 아닌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혹은, 컴퓨터에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에 의해,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모듈 중, 필요한 모듈을 소정의 배열로 소정의 타이밍에 호출하여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프로그램 자체에는 상기 모듈이 포함되지 않고 OS와 협동하여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은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프로그램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의 일부에 내장되어 제공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도, 프로그램 자체에는 상기 다른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모듈이 포함되지 않고, 다른 프로그램과 협동하여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에 내장된 프로그램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다.
(3) 상술한 실시 형태로서 예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구성의 일례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를 생략하는 등, 변경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 밖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나 구성을 적절히 채용하여 실시하는 경우여도 된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10, 11: 경보 장치
20A, 20B: 가스 미터
30: 가전 기기
31: 카메라
40: 네트워크
50: 센터 서버
100: 주제어부
102: 프로세서
104: 메인 메모리
106: 불휘발성 메모리
110: 통신부
111: Bluetooth 모듈
112: LTE 모듈
113: Wi-SUN 모듈
114: Wi-Fi 모듈
121, 122, 123, 124: 안테나
131: 가스 센서
132: 스피커
133: 조작 인터페이스
134: GPS 모듈
136: 배터리
150: 상용 전원
201, 202: 주택
301: 검침 정보 취득부
303: 기억부
305: 가스 검출부
307: 차단 정보 취득부
309: 촬상 정보 취득부
311: 조작부
313: 통신 제어부
315: 장치간 통신부
401, 402, 403: 통신 범위
1000: 정보 처리 시스템

Claims (10)

  1. 옥내에 배치되며, 대상 가스를 검출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장치이며,
    상기 옥내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는 가스 미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수단과,
    센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 수단과,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는 검침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검침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검침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상기 센터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정보 취득 수단은,
    현재 일시가 상기 지정 검침일의 소정 시각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당해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가스 미터에 지시함으로써 당해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당해 현재 일시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경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가스가 차단된 것을 나타내는 차단 정보를 취득하는 차단 정보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차단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옥내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가스 미터에 상기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검출 정보의 응답으로서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상기 차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차단 정보를 상기 센터 서버에 송신하는, 경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의 상기 센터 서버로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 당해 송신이 실패하고 나서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상기 센터 서버에 다시 송신하는, 경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의 상기 센터 서버로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삭제하는, 경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 시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상용 전원의 정전 시에는 상기 경보 장치의 대체 전원으로서 기능하는 축전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경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에 배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촬상 정보를 취득하는 촬상 정보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옥내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가스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촬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상 정보를 상기 센터 서버에 송신하는, 경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이 상기 유저로부터 긴급 지시를 접수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긴급 정보를 상기 센터 서버에 송신하는, 경보 장치.
  9. 센터 서버와,
    옥내에 배치되며, 대상 가스를 검출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가스 경보 기능을 갖는 마스터 경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경보 장치는,
    상기 옥내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는 가스 미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검침 정보를 상기 마스터 경보 장치의 제1 메모리에 기억하고,
    상기 센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상기 센터 서버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마스터 경보 장치와, 상기 가스 경보 기능을 갖는 복수의 슬레이브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경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경보 장치의 각각은,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지정 검침일에 있어서의 검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검침 정보를 당해 슬레이브 경보 장치의 제2 메모리에 기억하고,
    주위에 존재하는 경보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에 의해 발견된 제1 경보 장치에 상기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경보 장치가 상기 마스터 경보 장치인 경우, 상기 제1 경보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지정 검침일의 검침 정보를 상기 센터 서버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207034574A 2018-05-02 2019-03-04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263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8854 2018-05-02
JP2018088854A JP6654661B2 (ja) 2018-05-02 2018-05-02 情報処理システム
PCT/JP2019/008360 WO2019211942A1 (ja) 2018-05-02 2019-03-04 警報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225A true KR20210005225A (ko) 2021-01-13
KR102263529B1 KR102263529B1 (ko) 2021-06-09

Family

ID=6838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574A KR102263529B1 (ko) 2018-05-02 2019-03-04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654661B2 (ko)
KR (1) KR102263529B1 (ko)
CN (1) CN111771369B (ko)
MY (1) MY185973A (ko)
SG (1) SG11202009912TA (ko)
TW (1) TWI722421B (ko)
WO (1) WO201921194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984A (ko) * 1997-12-27 1999-07-15 송재인 가스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89182A (ko) * 2001-05-21 2002-11-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JP2008035423A (ja) 2006-07-31 2008-02-14 Yazaki Corp 警報通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451A (ja) * 1994-06-07 1995-12-22 Hitachi Home Tec Ltd 端末装置
JPH10320675A (ja) * 1997-05-16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警報システム
JP2002203288A (ja) * 2000-10-25 2002-07-19 Sekisui House Ltd 移動体通信端末を利用した建物内外監視システムおよび建物内外監視方法
JP3823814B2 (ja) * 2001-02-28 2006-09-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4236106A (ja) * 2003-01-31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端末システム、情報端末装置、情報通知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113457A (ja) * 2008-11-05 2010-05-20 Ricoh Elemex Corp ガス漏れ警報システム
CN102592424A (zh) * 2012-02-27 2012-07-18 苏州明上系统科技有限公司 无线抄表通信系统
CN103632519A (zh) * 2012-08-29 2014-03-12 胡燕祝 一种燃气泄漏监控与远程抄表系统
CN103065438B (zh) * 2012-11-30 2016-04-13 上海万康无线智能控制系统有限公司 具有无线通信功能的燃气报警系统
CN104217500A (zh) * 2013-06-04 2014-12-17 大庆英辰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燃气计量方法、系统和智能燃气表
CN204129936U (zh) * 2014-09-04 2015-01-28 烟台腾联信息科技有限公司 远程燃气抄表系统
CN204288490U (zh) * 2014-12-15 2015-04-22 江苏中科君达电子科技有限公司 自组网无线远程水表抄表智能控制系统
JP6648754B2 (ja) * 2015-03-25 2020-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05541382U (zh) * 2016-02-17 2016-08-31 四川智联正邦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物联网技术的智慧燃气计量远程抄表管理系统
WO2017221529A1 (ja) * 2016-06-24 2017-12-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検針システムおよび検針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984A (ko) * 1997-12-27 1999-07-15 송재인 가스 경보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89182A (ko) * 2001-05-21 2002-11-2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JP2008035423A (ja) 2006-07-31 2008-02-14 Yazaki Corp 警報通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04696A (zh) 2020-01-16
WO2019211942A1 (ja) 2019-11-07
JP6654661B2 (ja) 2020-02-26
TWI722421B (zh) 2021-03-21
MY185973A (en) 2021-06-14
SG11202009912TA (en) 2020-11-27
CN111771369A (zh) 2020-10-13
JP2019195146A (ja) 2019-11-07
CN111771369B (zh) 2022-04-01
KR102263529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2178B2 (en) Location management system
CN100501789C (zh) 传感器网络系统管理方法及管理装置、中继网络的管理方法及管理装置
KR20170013285A (ko) 하나 이상의 근접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생성
ES2539366T3 (es) Procedimiento y red para compartir datos de sensor entre terminales móviles
JP2013516938A (ja) ポータブル端末で近距離無線ネットワークの自動接続の方法及び装置
US8982754B2 (en) I/O driven node commissioning in a sleeping mesh network
KR20180135177A (ko) 무선 단말기 및 무선 단말기의 통신방법
JP20201743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9031571A1 (ja) 通信方法、通信装置、及び管理装置
JP5721223B2 (ja) 放射線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263529B1 (ko)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JP6655590B2 (ja) 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および携帯端末
US20170332319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683086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EP2889578B1 (en) Indoor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data
JP2015162737A (ja) 携帯端末装置
CN220173421U (zh) 一种自组网温度监测系统
CN116723569B (zh) 支持应急通信的多模定位方法及系统
US20230328653A1 (en) Mains powered device which rebroadcasts a beacon signal multiple times
JP673197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301085B2 (ja) ユーザ装置およびエリア情報通知方法
JP2024063467A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2024014550A (ja)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測位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ネットワーク測位方法
JP2014175863A (ja) データ送受信モジュール及び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2005094472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