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285A - 하나 이상의 근접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생성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근접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생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285A
KR20170013285A KR1020167034976A KR20167034976A KR20170013285A KR 20170013285 A KR20170013285 A KR 20170013285A KR 1020167034976 A KR1020167034976 A KR 1020167034976A KR 20167034976 A KR20167034976 A KR 20167034976A KR 20170013285 A KR20170013285 A KR 20170013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ali
iot device
devices
p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니타 굽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04W4/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실시형태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는 (i) IoT 환경에서 IoT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 (예컨대, 이동식, 지리적-정적 등) 및/또는 (ii)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 (예컨대, 픽처, 오디오 레코딩 등) 을 식별하는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LI) 를 획득하고, 획득된 ALI 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는 프록시 IoT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선택된 프록시 IoT 디바이스는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는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근접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생성{GENERATING A LOCATION PROFILE OF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BASED ON AUGMENTED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ONE OR MORE NEARBY INTERNET OF THINGS DEVIC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특허 출원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그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원에 명백히 편입되는, 2014 년 6 월 4 일자로 출원된 "GENERATING A LOCATION PROFILE OF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BASED ON AUGMENTED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ONE OR MORE NEARBY INTERNET OF THINGS DEVICES" 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 62/007,720 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실시형태들은 하나 이상의 근접 IoT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ugmented location information; ALI) 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예컨대, 송신 제어 프로토콜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 IP)) 를 이용하는 상호접속된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사물 인터넷 (IoT) 은 단지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이 아니라, 일상적인 객체들이 IoT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애드-훅 (ad-hoc) 시스템 또는 인터넷) 를 통해 판독가능하고, 인식가능하고, 위치가능하고, 어드레싱가능하고, 제어가능할 수 있다는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다수의 시장 추세들은 IoT 디바이스들의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증가하는 에너지 비용은 스마트 그리드 (smart grid) 들과, 전기 자동차 및 공용 충전소들과 같은 미래의 소비를 위한 지원에 있어서 정부의 전략적인 투자들을 추진시키고 있다. 증가하는 건강 관리 비용 및 고령화 인구들은 원격/접속된 건강 관리 및 피트니스 서비스들에 대한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주택에서의 기술적인 혁명은 'N' 플레이 (예컨대, 데이터, 음성, 비디오, 보안, 에너지 관리 등) 를 마켓팅하고 홈 네트워크들을 확장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한 통합을 포함하는, 새로운 "스마트" 서비스들 (예컨대, 스마트 홈 기기들) 에 대한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빌딩들은 기업 설비들을 위한 운영 비용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더 스마트해지고 더 편리해지고 있다.
IoT 를 위한 다수의 핵심 애플리케이션들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들 및 에너지 관리의 영역에서는, 공공설비 회사들이 주택들 및 사업체들로의 에너지의 전달을 최적화할 수 있는 한편, 고객들은 에너지 사용을 더욱 양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주택 및 빌딩 자동화의 영역에서는, 스마트 홈들 및 빌딩들은 기기들로부터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 (plug-in electric vehicle; PEV) 보안 시스템들까지, 주택 또는 사무실에서 가상적으로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대하여 중앙집중화된 제어를 가질 수 있다. 자산 추적의 분야에서는, 기업들, 병원들, 공장들, 및 다른 대형 기구들이 고가의 장비, 환자들, 차량들 등의 로케이션들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 건강 및 웰니스 (wellness) 의 영역에서는, 의사들이 환자들의 건강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한편, 사람들은 피트니스 루틴들의 진전을 추적할 수 있다.
어떤 IoT 디바이스들은 이동식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잘못 배치할 수도 있거나, 그/그녀가 하나 이상의 이동 IoT 디바이스들을 때때로 어디에 배치하였는지를 잊어버릴 수도 있다. 특정한 IoT 환경 내에서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검색에 관련될 세분화도 (granularity) 로 이러한 이동 IoT 디바이스들의 로케이션을 핀포인트 (pinpoint)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다. 예를 들어, 분실된 IoT 디바이스 (예컨대, 셀 전화, 태블릿 PC 등) 를 식별하기 위한 기존의 해결책들은 "분실된" IoT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디바이스 로케이션을 찾아 낼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해 검출가능한 잡음 (예컨대, 주기적인 비프 잡음 또는 다른 경보 사운드) 을 방출하는 것, 또는 분실된 IoT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GPS 로케이션 또는 현재의 WiFi 핫스폿 (hotspot) 또는 셀 타워 (cell tower) 와 같은 대략적인 로케이션 추정치를 보고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잡음의 범위외 (out-of-range) 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IoT 환경이 간단하게 정말로 시끄러울 수 있음), GPS 로케이션은 분실된 디바이스가 IoT 환경 내에서 어디에 위치되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도난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부지를 벗어나는 것과는 반대로) 분실된 디바이스가 특정한 IoT 환경 내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도록 오직 기능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는 (i) IoT 환경에서 IoT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 (예컨대, 이동식, 지리적-정적 (geo-static) 등) 및/또는 (ii)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 (예컨대, 픽처, 오디오 레코딩 등) 을 식별하는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ugmented location information; ALI) 를 획득하고, 획득된 ALI 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는 프록시 (proxy) IoT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선택된 프록시 IoT 디바이스는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는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한다.
개시물의 양태들 및 그 부수적인 장점들의 다수의 더욱 완전한 인식은 용이하게 획득될 것인데, 이것은 개시물의 제한이 아니라 예시를 위하여 전적으로 제시되는 동반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고려될 때에 동일한 사항이 더욱 양호하게 이해되기 때문이다.
도 1a 는 개시물의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high-level)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1b 는 개시물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1c 는 개시물의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1d 는 개시물의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1e 는 개시물의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2a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예시적인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반면, 도 2b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예시적인 수동 IoT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3 은 개시물의 양태에 따라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4 는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예시적인 서버를 예시한다.
도 5 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IoT 환경 (또는 분산된 IoT 네트워크) 의 예를 예시한다.
도 6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하이-레벨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7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도 6 의 프로세스의 일 예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8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도 6 의 프로세스의 또 다른 예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9 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IoT 환경 스캐닝의 일 예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0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도 9 의 프로세스 동안에 이용된 일 예의 스캐닝 기술들의 범위들을 예시한다.
도 11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가 또 다른 IoT 디바이스를,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의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LI) 보고 기능을 위한 프록시로서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12 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도 11 동안에 실행되는 프록시 선택 로직의 더욱 상세한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3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프록시 IoT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ALI 보고 기능의 예를 예시한다.
다양한 양태들은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들 사이의 근접성 검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관련되는 특정 예들을 보여 주기 위하여 다음의 설명 및 관련된 도면들에서 개시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은 이 개시물을 판독할 시에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고, 개시물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구성되고 실시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본원에서 개시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의 관련된 세부사항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단어 "예시적" 은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작용함" 을 의미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이용된다. "예시적" 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익한 것으로 반드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용어 "실시형태들" 은 모든 실시형태들이 논의된 특징, 장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이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들을 오직 설명하고,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실시형태들을 제한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 "a", "an", 및 "the" 는 문맥이 명백히 이와 다르게 표시하지 않으면, 복수 형태들을 마찬가지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들 "포함한다 (comprise)", "포함하는 (comprising)", "포함한다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 (including)" 은 본원에서 이용될 때, 기재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그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다수의 양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액션 (action) 들의 시퀀스들의 측면에서 설명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액션들의 이 시퀀스는, 실행 시에,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하는 세트를 그 안에 저장한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완전히 구체화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도 있고, 이러한 형태들의 전부는 청구된 발명 요지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구상되었다. 게다가, 본원에서 설명된 양태들의 각각에 대하여, 임의의 이러한 양태들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 는 어드레싱가능한 인터페이스 (예컨대, 인터넷 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 IP) 어드레스, 블루투스 (Bluetooth) 식별자 (identifier; ID), 근접장 통신 (near-field communication; NFC) ID 등) 를 가지며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객체 (예컨대, 기기, 센서 등) 를 지칭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는 신속 응답 (quick response; QR) 코드, 라디오-주파수 식별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태그, NFC 태그 등과 같은 수동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모뎀, 트랜시버, 송신기-수신기 등과 같은 능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 (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등에 내장될 수 있고, 및/또는 이들에 의해 제어/모니터링될 수 있고, 로컬 애드-훅 (local ad-hoc)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IoT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위하여 구성될 수 있는 속성들의 특정한 세트 (예컨대, IoT 디바이스가 온 (on) 또는 오프 (off) 인지, 개방 또는 폐쇄된 것인지, 아이들 (idle) 또는 활성 (active) 인지, 태스크 실행을 위하여 이용가능하거나 비지 (busy) 인지 등의 여부와 같은 디바이스 상태 또는 스테이터스 (status), 냉각 또는 가열 기능, 환경 모니터링 또는 레코딩 기능, 발광 기능, 사운드 방출 기능 등) 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이 IoT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어드레싱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기만 한다면, IoT 디바이스들은 냉장고 (refrigerator) 들, 토스터 (toaster) 들, 오븐 (oven) 들, 전자레인지 (microwave) 들, 냉동고 (freezer) 들, 식기 세척기 (dishwasher) 들, 식기 (dishe) 들, 손 도구 (hand tool) 들, 의복 세탁기 (clothes washer) 들, 의복 건조기 (clothes dryer) 들, 보일러 (furnace) 들, 에어컨 (air conditioner) 들, 온도 조절기 (thermostat) 들, 텔레비전 (television) 들, 조명 기구 (light fixture) 들, 진공 청소기 (vacuum cleaner) 들, 스프링클러 (sprinkler) 들, 전기 계량기 (electricity meter) 들, 가스 계량기 (gas meter) 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IoT 디바이스들은 또한, 셀 전화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개인 정보 단말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IoT 네트워크는 인터넷-접속성을 전형적으로 가지지 않는 디바이스들 (예컨대, 식기 세척기들 등) 에 추가하여, "레거시 (legacy)" 인터넷-액세스가능한 디바이스들 (예컨대,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들, 셀 전화들 등) 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a 는 개시물의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은, 텔레비전 (110), 실외 에어컨 유닛 (112), 온도 조절기 (114), 냉장고 (116), 및 세탁기 및 건조기 (118) 를 포함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도 1a 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무선 인터페이스 (108) 및 직접 유선 접속 (109) 으로서 도 1a 에서 도시된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인터페이스 (108) 는 IEEE 802.11 과 같은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IP) 을 준수할 수 있다. 도 1a 는 무선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해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과, 직접 유선 접속 (109) 을 통해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 (118) 를 예시하지만,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 또는 양자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인터넷 (175) 은 다수의 라우팅 에이전트 (routing agent) 들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 (processing agent) 들 (편리성을 위하여 도 1a 에서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한다. 인터넷 (175) 은 이질적인 디바이스들/네트워크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하여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예컨대,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및 IP) 를 이용하는 상호접속된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TCP/IP 는 데이터가 어떻게 포맷되어야 하고, 어드레싱되어야 하고, 송신되어야 하고, 라우팅되어야 하고 목적지에서 수신되어야 하는지를 특정하는 종단-대-종단 (end-to-end) 접속성을 제공한다.
도 1a 에서, 데스크톱 또는 개인용 컴퓨터 (personal computer; PC) 와 같은 컴퓨터 (120) 는 (예컨대, 이더넷 (Ethernet) 접속 또는 Wi-Fi 또는 802.11-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 (120) 는, 예에서, (예컨대, 유선 및 무선 접속성의 양자를 갖는 Wi-Fi 라우터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 (125) 자체에 대응할 수 있는, 모뎀 또는 라우터로의 직접 접속과 같은, 인터넷 (175) 으로의 유선 접속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유선 접속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및 인터넷 (175) 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120) 는 무선 인터페이스 (108) 또는 또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에 접속될 수도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175) 을 액세스할 수도 있다. 데스크톱 컴퓨터로서 예시되지만, 컴퓨터 (120) 는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 스마트폰 등일 수도 있다. 컴퓨터 (120) 는 IoT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및/또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의 네트워크/그룹과 같은 IoT 네트워크/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FiOS, 케이블 모뎀, 디지털 가입자 회선 (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 등과 같은 예를 들어, 광학 통신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 (175)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들 (예컨대, TCP/IP) 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및 인터넷 (17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a 를 참조하면, IoT 서버 (170) 는 인터넷 (175) 에 접속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IoT 서버 (170) 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도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양태에서, IoT 서버 (170) 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임의적이고,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의 그룹은 피어-투-피어 (P2P)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이 무선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접속 (109) 을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의 일부 또는 전부는 무선 인터페이스 (108) 및 직접 유선 접속 (109) 에 독립적인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 (108) 가 Wi-Fi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경우,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의 어떤 것은 서로직접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또는 NFC 인터페이스들 또는 다른 블루투스 또는 NFC-가능형 디바이스들을 가질 수도 있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탐색 방식들은 노드들의 존재, 그 능력들, 및 그룹 멤버십 (group membership) 을 멀티캐스팅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디바이스들은 이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성들 및 후속 상호작용들을 확립할 수 있다.
개시물의 양태에 따르면, 도 1b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b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었던 도 1a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과 동일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 (예컨대, 무선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접속 (109) 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텔레비전 (110), 실외 에어컨 유닛 (112), 온도 조절기 (114), 및 세탁기 및 건조기 (118) 와, 인터넷 (175) 에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 (125) 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접속하는 컴퓨터 (120) 와, 인터넷 (175) 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IoT 서버 (170)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성 및 용이함을 위하여, 도 1b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어떤 컴포넌트들에 관련되는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1a 에서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 본원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b 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IoT 관리자 (130) 또는 IoT 관리자 디바이스 (130) 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될 수도 있는 감독자 디바이스 (supervisor device) (1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음의 설명이 용어 "감독자 디바이스" (130) 를 이용할 경우, 당업자들은 IoT 관리자, 그룹 소유자, 또는 유사한 용어에 대한 임의의 참조들이 감독자 디바이스 (130), 또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또 다른 물리적 또는 논리적 컴포넌트를 지칭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관찰할 수도 있거나, 모니터링할 수도 있거나, 제어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모니터링하거나 관리하기 위하여 무선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접속 (109) 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할 수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인터넷 (175), 그리고 임의적으로 (점선으로서 도시된) IoT 서버 (170) 로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가질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추가로 모니터링하거나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인터넷 (175) 및/또는 IoT 서버 (170) 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단독형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120) 와 같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의 하나일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물리적 디바이스, 또는 물리적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모니터링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에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와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제어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관리하기 위하여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관찰하거나,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선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1b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일부로 될 수 있는 (능동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대조적인) 하나 이상의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될 때에 그 식별자 및 속성들을 또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 바코딩된 디바이스 (barcoded device) 들,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라디오 주파수 (radio frequency; RF) 디바이스들, RFID 태그된 (tagged) 디바이스들, 적외선 (IR) 디바이스들, NFC 태그된 디바이스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능동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들의 속성들에 있어서의 변경들을 검출할 수도 있고, 저장할 수도 있고, 통신할 수도 있고, 이에 대해 작용할 수도 있고, 및/또는 등등과 같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각각 가지는 커피 컵 및 오렌지 쥬스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납장 IoT 디바이스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는, 커피 컵 및/또는 오렌지 쥬스 용기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이 언제 추가되었거나 제거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를 각각 가질 수도 있다. 수납장 IoT 디바이스가 커피 컵 수동 IoT 디바이스 (105) 의 제거를 검출하고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가 오렌지 쥬스 용기 수동 IoT 디바이스 (105) 의 제거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수납장 IoT 디바이스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에서 검출된 활동들에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사용자가 커피 컵으로부터 오렌지 쥬스를 마시기 위하여 커피 컵 및/또는 등등으로부터 오렌지 쥬스를 마시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도 있다.
상기한 것은 RF 또는 바코드 통신 인터페이스들의 일부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을 설명하지만,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이러한 통신 능력들을 가지지 않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물리적 객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을 식별하기 위하여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과 연관된 형상들, 크기들, 컬러들, 및/또는 다른 관찰가능한 특징들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적당한 물리적 객체는 그 아이덴티티 (identity) 및 속성들을 통신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일부로 될 수도 있고, 감독자 디바이스 (130) 로 관찰될 수도 있거나, 모니터링될 수도 있거나, 제어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관리될 수도 있다. 또한,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도 1a 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에 결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의 일부로 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관찰될 수도 있거나, 모니터링될 수도 있거나, 제어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관리될 수도 있다.
개시물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 1c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c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은, 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었던, 도 1a 및 도 1b 에서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과 동일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성 및 용이함을 위하여, 도 1c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에서의 어떤 컴포넌트들에 관련되는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1a 및 도 1b 에서 각각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 본원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c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은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과 감독자 디바이스 (130) 사이의 예시적인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예시한다. 도 1c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IoT 감독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의 각각과 통신한다. 또한, IoT 디바이스들 (110 및 114), IoT 디바이스들 (112, 114, 및 116), 및 IoT 디바이스들 (116 및 118) 은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을 구성한다.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은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IoT 디바이스들과 같이, 로컬 영역에서 접속된 IoT 디바이스들의 그룹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인터넷 (175) 에 접속된 IoT SuperAgent (140) 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도 있고 및/또는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하이 레벨에서,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인트라-그룹 (intra-group) 통신들을 관리하는 반면, IoT SuperAgent (140) 는 인터-그룹 (inter-group) 통신들을 관리할 수 있다. 별도의 디바이스들로서 도시되지만, 감독자 디바이스 (130) 및 IoT SuperAgent (140) 는 동일한 디바이스 (예컨대, 도 1a 의 컴퓨터 (120) 와 같은, 단독형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 일 수도 있거나,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IoT SuperAgent (140) 는 액세스 포인트 (125) 의 기능성에 대응할 수도 있거나, 액세스 포인트 (125) 의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IoT SuperAgent (140) 는 IoT 서버 (170) 와 같은 IoT 서버의 기능성에 대응할 수도 있거나, IoT 서버의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IoT SuperAgent (140) 는 게이트웨이 기능성 (145) 을 캡슐화 (encapsulate) 할 수도 있다.
각각의 IoT 디바이스 (110 내지 118) 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를 피어로서 취급할 수 있고, 속성/스키마 (attribute/schema) 업데이트들을 감독자 디바이스 (130) 로 송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가 또 다른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그것은 감독자 디바이스 (130) 로부터 그 IoT 디바이스로의 포인터 (pointer) 를 요청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피어로서의 타겟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공통 메시징 프로토콜 (common messaging protocol; CMP) 을 이용하여 피어-투-피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2 개의 IoT 디바이스들이 CMP-가능형이고 공통 통신 전송을 통해 접속되는 한, 이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에서, CMP 계층 (154) 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152) 의 아래에 있고, 전송 계층 (156) 및 물리적 계층 (158) 의 위에 있다.
개시물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 1d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d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은, 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었던, 도 1a 내지 도 1c 에서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C) 과 동일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성 및 용이함을 위하여, 도 1d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에서의 어떤 컴포넌트들에 관련되는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1a 내지 도 1c 에서 각각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C)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 본원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인터넷 (175) 은 IoT 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는 "자원" 이다. 그러나, 인터넷 (175) 은 조절되는 자원의 단지 하나의 예이고, 임의의 자원은 IoT 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조절될 수 있는 다른 자원들은 전기, 가스, 저장고, 보안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IoT 디바이스는 자원에 접속될 수도 있음으로써 그것을 조절할 수도 있거나, 자원은 인터넷 (175) 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d 는 천연 가스, 가솔린, 온수, 및 전기와 같은 몇몇 자원들 (180) 을 예시하고, 여기서, 자원들 (180) 은 인터넷 (175) 에 추가하여, 및/또는 인터넷 (175) 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은 자원 (180) 의 그 이용을 조절하기 위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스터, 컴퓨터, 및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전기 (자원 (180)) 의 그 이용을 조절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데스크톱 컴퓨터, 전화,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인터넷 (175) (자원 (180)) 에 대한 그 액세스를 조절하기 위하여 Wi-F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난로, 의복 건조기, 및 온탕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가스의 그 이용을 조절하기 위하여 Wi-F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원 (180) 의 그 이용을 조절하기 위한 로직을 가지는, IoT 서버 (170) 와 같은 IoT 서버에 접속될 수도 있다.
개시물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도 1e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e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은, 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었던, 도 1a 내지 도 1d 에서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과 동일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성 및 용이함을 위하여, 도 1e 에서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에서의 어떤 컴포넌트들에 관련되는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1a 내지 도 1d 에서 각각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 본원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은 2 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을 포함한다.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인터넷 (175) 에 접속된 IoT SuperAgent 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도 있고 및/또는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하이 레벨에서, IoT SuperAgent 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사이의 인터-그룹 통신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e 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 (160A) 은 IoT 디바이스들 (116A, 122A, 및 124A) 및 IoT SuperAgent (140A) 를 포함하는 한편, IoT 디바이스 그룹 (160B) 은 IoT 디바이스들 (116B, 122B, 및 124B) 및 IoT SuperAgent (140B)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IoT SuperAgent들 (140A 및 140B) 은 인터넷 (175) 에 접속할 수도 있고, 인터넷 (175) 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고, 및/또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e 는 IoT SuperAgent들 (140A 및 140B) 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2 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을 예시하지만, 당업자들은 임의의 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이 IoT SuperAgent들을 이용하여 서로 적당하게 통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2a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IoT 디바이스 (200A) 의 하이-레벨 예를 예시한다. 외부 외관들 및/또는 내부 컴포넌트들은 IoT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상당히 상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IoT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입력을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는 일부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는 IoT 디바이스들은 도 1a 내지 도 1b 의 무선 인터페이스 (108) 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통신될 수 있다.
도 2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200A) 를 위한 일 예의 구성에서, IoT 디바이스 (200A) 의 외부 케이스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 디스플레이 (226), 전원 버튼 (222), 및 2 개의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226)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 (200A) 의 일부로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oT 디바이스 (200A) 는, WiFi 안테나들, 셀룰러 안테나들, 위성 위치 시스템 (satellite position system; SPS) 안테나들 (예컨대,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안테나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외부 케이스 내에 구축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안테나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통합된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 (200A) 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들로 구체화될 수 있지만, 내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위한 기본적인 하이-레벨 구성은 도 2a 에서 플랫폼 (202) 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플랫폼 (202) 은 도 1a 내지 도 1b 에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유선 인터페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 (command) 들을 수신할 수 있고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202) 은 또한, 로컬 영역에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202) 은, 프로세서 (208) 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될,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8) 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 (206) (예컨대, Wi-Fi 트랜시버, 블루투스 트랜시버, 셀룰러 트랜시버, 위성 트랜시버, GPS 또는 SPS 수신기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208) 는 IoT 디바이스의 메모리 (212)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212) 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판독-전용 메모리 (read-only memory; ROM), 랜덤-액세스 메모리 (random-access memory; RA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플래시 카드 (flash card) 들, 또는 임의의 메모리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들 (214) 은 프로세서 (208) 가 예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226), 전원 버튼 (222),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과, IoT 디바이스 (200A) 와 연관된 센서들, 액츄에이터들, 릴레이 (relay) 들, 밸브들, 스위치들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양한 I/O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고 이러한 다양한 I/O 디바이스들로부터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물의 양태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예컨대, IoT 디바이스 (200A)) 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로직 엘리먼트들은 본원에서 개시된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별 엘리먼트들, 프로세서 (예컨대, 프로세서 (208)) 상에서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206), 프로세서 (208), 메모리 (212), 및 I/O 인터페이스 (214) 는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을 로딩하고, 저장하고, 실행하기 위하여 모두 협력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이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은 다양한 엘리먼트들 상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기능성은 하나의 개별 컴포넌트 내로 편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2a 에서의 IoT 디바이스 (200A) 의 특징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개시물은 예시된 특징들 또는 배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b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의 하이-레벨 예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2b 에서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었던, 도 2a 에서 도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 동일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성 및 용이함을 위하여, 도 2b 에서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서의 어떤 컴포넌트들에 관련되는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2a 에서 예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 본원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b 에서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어떤 다른 컴포넌트들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도 2a 에서 도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 일반적으로 상이할 수도 있다. 그 대신에,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동 IoT 디바이스 (200A) 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가 피제어 IoT 네트워크 내에서 관찰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관리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알려지도록 하는 I/O 인터페이스 (214) 또는 다른 적당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기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I/O 인터페이스 (214) 는,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될 때에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식별자 및 속성들을 또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속성들에 관련되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거나, 저장할 수 있거나, 통신할 수 있거나, 이에 작용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프로세싱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 (200A) 와 같은 능동 IoT 디바이스) 에 제공할 수 있는 바코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라디오 주파수 (RF) 인터페이스, RFID 태그, IR 인터페이스, NFC 인터페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것은 RF, 바코드, 또는 다른 I/O 인터페이스 (214) 의 일부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를 설명하지만,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이러한 I/O 인터페이스 (214) 를 가지지 않는 디바이스 또는 다른 물리적 객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를 식별하기 위하여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형상들, 크기들, 컬러들, 및/또는 다른 관찰가능한 특징들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적당한 물리적 객체는 그 아이덴티티 및 속성들을 통신할 수도 있고, 피제어 IoT 네트워크 내에서 관찰될 수도 있거나, 모니터링될 수도 있거나, 제어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관리될 수도 있다.
도 3 은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300) 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IoT 디바이스 (200A), 인터넷 (175) 에 결합된 임의의 컴포넌트들 (예컨대, IoT 서버 (170))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상기 언급된 통신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도 1a 내지 도 1b 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B)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또는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을 포함한다.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할 경우,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무선 트랜시버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컨대, RF 안테나, MODEM, 변조기 및/또는 복조기 등) 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블루투스, Wi-Fi, Wi-Fi 다이렉트 (Direct), 롱텀 에볼루션 (Long-Term Evolution; LTE) 다이렉트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직렬 접속,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 (Firewire) 접속, 인터넷 (175) 이 액세스될 수 있게 하는 이더넷 (Ethernet) 접속 등) 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 (300) 가 일부의 타입의 네트워크-기반 서버 (예컨대, IoT 서버 (170)) 에 대응할 경우,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예에서, 네트워크-기반 서버를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통신 엔티티들에 접속하는 이더넷 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통신 디바이스 (300) 가 그 로컬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센서류 또는 측정 하드웨어 (예컨대, 가속도계, 온도 센서, 광 센서, 로컬 RF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안테나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수신 및/또는 송신 기능 (들) 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을 더 포함한다. 예에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적어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싱의 타입의 일 예의 구현예들은, 결정들을 수행하는 것, 접속들을 확립하는 것, 상이한 정보 옵션들 사이에서 선택들을 행하는 것, 데이터에 관련된 평가들을 수행하는 것, 측정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디바이스 (300) 에 결합된 센서들과 상호작용하는 것, (예컨대, .wmv 대 .avi 와 같은 상이한 프로토콜들 등의 사이에서) 정보를 하나의 포맷으로부터 또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내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 (state machine) 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함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의 조합)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프로세싱 기능 (들) 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을 더 포함한다. 예에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적어도 비-일시적 (non-transitory) 메모리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컨대, 메모리 제어기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내에 포함된 비-일시적 메모리는 RAM, 플래시 메모리, 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분리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저장 기능 (들) 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을 임의적으로 더 포함한다.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적어도 출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 USB, HDMI 와 같이 비디오 정보를 운반할 수 있는 포트 등),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컨대, 스피커들, USB, HDMI 와 같이 오디오 정보를 운반할 수 있는 포트 등), 진동 디바이스, 및/또는 정보가 출력을 위해 포맷될 수 있거나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사용자 또는 운영자에 의해 실제로 출력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도 2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할 경우,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디스플레이 (226) 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는,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이 로컬 사용자를 가지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과 같은 어떤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제시 기능 (들) 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을 임의적으로 더 포함한다.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카메라,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예컨대,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잭과 같이 오디오 정보를 운반할 수 있는 포트 등),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사용자 또는 운영자로부터 정보가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도 2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할 경우, 로컬 사용자 입력 (325) 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버튼들 (222, 224A, 및 224B), 디스플레이 (226) (터치스크린일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는,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이 로컬 사용자를 가지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과 같은 어떤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또한, 실행될 때,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 입력 수신 기능 (들) 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305) 내지 (325) 의 구성된 로직들은 도3 에서 별도의 또는 별개의 블록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개개의 구성된 로직이 그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305) 내지 (325) 의 구성된 로직들의 기능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과 연관된 비-일시적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어서, (305) 내지 (325) 의 구성된 로직들은 각각,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에 의해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 기능성 (즉, 이 경우, 소프트웨어 실행) 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구성된 로직들 중의 하나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하드웨어는 때때로 다른 구성된 로직들에 의해 대여될 수 있거나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의 프로세서는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으로 포맷할 수 있어서,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과 연관된 하드웨어 (즉, 프로세서) 의 동작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 기능성 (즉, 이 경우, 데이터의 송신) 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다르게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으면, 이 개시물의 전반에 걸쳐 이용된 바와 같은 어구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하드웨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양태를 소환하도록 의도된 것이고,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소프트웨어-단독 구현들로 맵핑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구성된 로직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특정 로직 게이트들 또는 엘리먼트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블록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구성된 로직들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단어 "로직" 을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로직 게이트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서 반드시 구현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로직 사이의 다른 상호작용들 또는 협력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 양태들의 검토로부터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도 4 에서 예시된 서버 (400) 와 같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서버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에서, 서버 (400) 는 위에서 설명된 IoT 서버 (170) 의 하나의 예의 구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4 에서, 서버 (400) 는 휘발성 메모리 (402) 및, 디스크 드라이브 (403) 와 같은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 (401) 를 포함한다. 서버 (400) 는 또한, 프로세서 (401) 에 결합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 (CD) 또는 DVD 디스크 드라이브 (40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 (400) 는 또한, 다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컴퓨터들 및 서버들에 결합되거나 인터넷에 결합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407) 와의 데이터 접속들을 확립하기 위한 프로세서 (401) 에 결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4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의 상황에서, 도 4 의 서버 (400) 는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일 예의 구현예를 예시하고, 이것에 의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네트워크 (407) 와 통신하기 위하여 서버 (400) 에 의해 이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404) 에 대응하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프로세서 (401) 에 대응하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로직 구성 (315) 은 휘발성 메모리 (402), 디스크 (disk) 드라이브 (403) 및/또는 디스크 (disc) 드라이브 (406) 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임의적인 로직 (320) 및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적인 로직 (325) 은 도 4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고, 그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4 는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서와 같이, IoT 디바이스 구현예에 추가하여, 서버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을 돕는다.
도 5 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IoT 환경 (또는 분산된 IoT 네트워크) (500) 의 예를 예시한다. 도 5 에서, IoT 환경 (500) 은 회의실 (505), 복수의 사무실들 (510 내지 535), 및 주방 (540) 을 갖는 사무실 공간이다. 사무실 공간 내에서, IoT 디바이스 A (예컨대, 비디오 프로젝터), IoT 디바이스 B (예컨대, 연기 검출기), IoT 디바이스 C (예컨대, 경보 클록), 및 IoT 디바이스 D (예컨대, 셀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핸드셋 디바이스) 는 회의실 (505) 내에 위치되고, IoT 디바이스 E (예컨대, 셀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핸드셋 디바이스) 는 사무실 (510) 내에 위치된다. 또한, IoT 디바이스 F (예컨대, 냉장고), IoT 디바이스 G (예컨대, 온도 조절기),IoT 디바이스 H (예컨대, 믹서기), IoT 디바이스 I (예컨대, 커피 메이커), 및 IoT 디바이스 K (예컨대, 연기 검출기) 는 주방 (540) 내에 위치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도 5 의 IoT 환경 (500) 은 사무실에 관한 것이지만, IoT 환경들의 다수의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예컨대, 거주 주택들, 소매점들, 차량들, 경기장들 등).
또한, IoT 디바이스들 A...K 의 각각에 대한 연관된 전력 스테이터스가 도 5 에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들 A, E, G, H, 및 I 는 콘센트 (outlet) 로 플러깅되는 반면, IoT 디바이스들 B, C, D, 및 K 는 오직 배터리-급전식 (콘센트-접속되지 않음) 이고, 다양한 정도들의 배터리 전력을 가진다. 도 5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력 스테이터스는 IoT 디바이스가 배터리-급전식 또는 콘센트-급전식 (즉, 플러그-인) 인지 여부의 단지 표시보다 더욱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IoT 디바이스 F) 및 온도 조절기 (IoE 디바이스 G) 는 (예컨대, 냉동고 해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온도/습도 상태들을 항상 유지하는 위하여 등) 콘센트 내로 항상 플러깅될 수도 있는 반면, IoT 디바이스들 E, G, H, 및 I 는 현재, 그러나 오직 단속적으로 (intermittently) 플러그 인 될 수도 있다 (예컨대, IoT 디바이스 E 는, 현재 충전하고 있지만, 그것이 플러그 인 되지 않는 동작 주기들을 이력적으로 거치는 이동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IoT 디바이스들 G, H, 및 I 는 전기를 절감하기 위하여 비-업무 시간들 동안에는 셧오프 (shutoff) 또는 콘센트-접속해제될 수도 있는 등).
어떤 IoT 디바이스들은 이동식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잘못 배치할 수도 있거나, 그/그녀가 하나 이상의 이동 IoT 디바이스들을 때때로 어디에 배치하였는지를 잊어버릴 수도 있다. 특정한 IoT 환경 내에서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검색에 관련될 세분화도로 이러한 이동 IoT 디바이스들의 로케이션을 핀포인트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다. 예를 들어, 분실된 IoT 디바이스 (예컨대, 셀 전화, 태블릿 PC 등) 를 식별하기 위한 기존의 해결책들은 "분실된" IoT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디바이스 로케이션을 찾아 낼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해 검출가능한 잡음 (예컨대, 주기적인 비프 잡음 또는 다른 경보 사운드) 을 방출하는 것, 또는 분실된 IoT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GPS 로케이션 또는 현재의 WiFi 핫스폿 또는 셀 타워와 같은 대략적인 로케이션 추정치를 보고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잡음의 범위외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IoT 환경이 간단하게 정말로 시끄러울 수 있음), GPS 로케이션은 분실된 디바이스가 IoT 환경 내에서 어디에 위치되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도난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부지를 벗어나는 것과는 반대로) 분실된 디바이스가 특정한 IoT 환경 내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도록 오직 기능할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이에 따라, 상기 언급된 예들로부터의 분실된 IoT 디바이스와 같은 타겟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근접 IoT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LI) 를 획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대략적인 로케이션 추정치들 (예컨대, GPS 로케이션, WiFi 핫스폿 또는 라우터 식별 등) 과 달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ALI 는 사용자가 타겟 IoT 디바이스가 특정한 IoT 환경 내에서 어디에 위치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6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하이-레벨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주어진 IoT 디바이스는 주어진 IoT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관련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LI) 를 획득한다.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관련된 ALI 는 (i) IoT 환경에서 주어진 IoT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 및/또는 (ii)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을 집합적으로 식별한다 (600).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ALI" 는 디바이스-특정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각각으로부터 획득되는 ALI 를 개별적으로 지칭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컨대, 주어진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제 1 ALI, IoT 디바이스 2 에 대한 제 2 ALI 등을 획득함). 주어진 IoT 디바이스가 다수의 IoT 디바이스들에 관련된 ALI 를 획득할 경우,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관점으로부터의 용어 "ALI" 는 다수의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된 ALI 의 집합 또는 누적을 지칭한다. 이것에 의하여, 문맥에 따라서는, "ALI" 가 디바이스-특정 ALI, 또는 디바이스-특정 ALI 들의 집합의 어느 하나를 지칭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분류들은 IoT 디바이스들의 타입 (들) 및/또는 IoT 디바이스들의 로케이션-기술 명칭 (들) 을 식별할 수 있고, 로케이션 연관성을 암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지리적-정적 냉장고로서 분류된 IoT 디바이스는 주방 내에 있을 가능성이 있고, 사용자는 냉장고 및 주방이 어디에 위치되는지를 알 가능성이 있고, 이것은 사용자가 타겟 IoT 디바이스에 모이는 것을 도울 것임). 또 다른 예에서, 주택이 2 개의 냉장고들 (주방에 하나 및 지하층에 하나) 을 가질 경우, 사용자는 이 디바이스들을 "주방 냉장고" 및 "지하층 냉장고" 로서 명명할 수 있고, 이 로케이션-기술 디바이스 명칭들은 2 개의 냉장고들에 대한 개개의 ALI 들의 일부로 될 수 있고, 이것은 사용자가 타겟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에 모이는 것을 도울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은 예컨대, 근접 IoT 디바이스들이 그 주변환경들의 사진들을 찍게 함으로써, 다양한 방법들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이 사진들이 사용자에게 송신될 때, 사용자는 사진들에서 도시된 일반적인 영역의 인식에 기초하여, 타겟 IoT 디바이스 자체가 사진들에서 객체로서 도시되는 것에 기초하여 (예컨대, 이 경우, 카메라와 타겟 IoT 디바이스 사이의 각도 또는 방위가 ALI 의 일부로서 이용될 수 있음) 등등으로,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에 모일 수 있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은 오디오 레코딩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레코딩은, 사용자가 타겟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에 모이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건조 머신이 건조 사이클을 실행하는 것과 같은, 인식가능한 사운드를 레코딩할 수도 있음).
600 에서 ALI 를 획득한 후, 주어진 IoT 디바이스는 ALI 에 기초하여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605). 예에서, 로케이션 프로파일은 600 에서 획득된 ALI 의 전부를 집합시킴으로써, 605에서 간단하게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주어진 IoT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 포함된 정보의 관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600 에서 획득된 ALI 의 필터링된 버전이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파퓰레이팅 (populate) 되도록, 하나 이상의 필터링 규칙들을 600 에서 획득된 ALI 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600 에서 획득된 ALI 의 일부 또는 전부는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파퓰레이팅될 수도 있다.
주어진 IoT 디바이스는 또한,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에 관련된 주어진 IoT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캡처된 ALI 에 기초하여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임의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 (610). 예를 들어, 근접 IoT 디바이스들에 의해 캡처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로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파퓰레이팅하는 것에 추가하여, 주어진 IoT 디바이스는 또한, 주어진 IoT 디바이스가 이미지 캡처 능력을 가졌던 것으로 가정하여, 그 자신의 캡처된 이미지로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파퓰레이팅할 수 있다 (예컨대, 주어진 IoT 디바이스는 지형지물을 도시하는 픽처를 촬영하고, 이 픽처는, 주어진 IoT 디바이스가 지형지물에 근접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잠재적으로, 지형지물의 카메라 각도 또는 방위가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로케이션을 추가로 핀포인트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또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음). 또한, 주어진 IoT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또 다른 디바이스로 임의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615). 예를 들어, 주어진 IoT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잘못 배치되고 사용자가 주어진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찾아 내는 것을 시도하고 있는 시나리오에서는, 615 에서, 로케이션 프로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또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주어진 IoT 디바이스가 아동에 의해 동작되고 부모는 그/그녀의 아동의 로케이션을 찾아 내는 것을 시도하고 있는 시나리오에서는, 615 에서, 로케이션 프로파일이 부모에 의해 동작되고 있는 또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는 등과 같다.
도 7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도 6 의 프로세스의 일 예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특히, 도 7 에서, 도 6 의 프로세스는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수행된다. 도 7 을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적어도 하나의 단거리 기술 (short-range technology; SRT) 을 이용하여 도 5 로부터의 IoT 환경 (500) 과 같은 IoT 환경을 스캐닝한다 (700). 적어도 하나의 SRT 는 근접장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전송,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Low Energy; LE) 전송, 블루투스 전송 및 WiFi 전송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상이한 SRT 타입들에 대응할 수 있다. 700 의 스캐닝은 도 9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최저-범위 SRT 를 스캐닝함으로써 시작하고, 그 다음으로, 충분한 ALI 가 획득될 때까지 더 긴-범위 (longer-range) SRT 들로 연속적으로 스캐닝하는 반복 스캐닝 프로세스를 통해,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700 의 스캐닝은 IoT 디바이스 1 의 동작 환경에 기초하여 적절한 타겟 SRT 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에서 동작할 경우에 블루투스를 선택, 집에서 동작할 경우에 WiFi 를 선택 등). 추가의 예에서,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캐닝은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들을 통해 근접 디바이스들에 의해 송출된 브로드캐스트 탐색 정보를 청취 (listening) (예컨대, 블루투스 또는 WiFi 를 통해 송출된 디바이스 광고 메시지들을 청취)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700 의 스캐닝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들 2...4 는 각각 705, 710, 및 715 에서, ALI 를 IoT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등) 를 통해 IoT 디바이스들로 전달한다. 705 내지 715 에서 ALI 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된 IoT 통신 인터페이스는, 개개의 IoT 디바이스가 700 의 스캐닝을 통해 최초로 컨택 (contact) 되게 하였던 SRT 에 일반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 2 가 IoT 디바이스 1 의 블루투스 범위 내에 있고 블루투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최초로 컨택되었을 경우, IoT 디바이스 2 는 예에서의 705 에서, 그 ALI 를 블루투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 1 로 전송할 수 있다. 예에서, 705 내지 715 에서 ALI 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된 IoT 통신 인터페이스는, IoT 디바이스 1 이 개개의 IoT 디바이스 (들) 가 탐색되었던 대응하는 SRT (들) 를 통한 개개의 IoT 디바이스 (들) 로부터의 ALI 에 대한 요청들을 등록하는 것에 기초하여, 개개의 IoT 디바이스가 700 의 스캐닝을 통해 최초로 컨택되게 하였던 SRT 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요청들은 예에서의 700 의 스캐닝과 연관하여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도 7 의 실시형태에서, 705 에서 IoT 디바이스 2 에 의해 제공된 ALI 는 IoT 디바이스 2 의 디바이스 분류를 식별하고, 710 에서 IoT 디바이스 3 에 의해 제공된 ALI 는 IoT 디바이스 3 의 디바이스 분류뿐만 아니라, IoT 디바이스 3 의 당면한 환경 (또는 당면한 주변환경들) 의 기술 정보의 양자를 식별하고, 715 에서 IoT 디바이스 4 에 의해 제공된 ALI 는 IoT 디바이스 4 의 디바이스 분류뿐만 아니라, IoT 디바이스 4 의 당면한 환경 (또는 당면한 주변환경들) 의 기술 정보의 양자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2 에 대한 ALI 는 IoT 디바이스 2 를 텔레비전인 것으로서 식별할 수도 있고, IoT 디바이스 3 에 대한 ALI 는 IoT 디바이스 3 을 차고 보안 카메라로서 식별할 수도 있고 (예컨대, 700 의 스캐닝과 함께 IoT 디바이스 1 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 3 에 의해 동시에 캡처되는 픽처를 포함할 수도 있고, IoT 디바이스 4 에 대한 ALI 는 IoT 디바이스 4 를 전화로서 식별할 수도 있다.
720 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그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 파퓰레이팅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들 2...N 의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ALI 를 선택한다. 720 에서 ALI 를 선택한 후, IoT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선택된 ALI 를 파퓰레이팅함으로써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725). 도 7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oT 디바이스 1 은 또한, 도 6 의 610 에서와 같이, IoT 디바이스 1 자체에 의해 캡처된 정보 (예컨대, 사진 등) 로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임의적으로 파퓰레이팅할 수도 있고, IoT 디바이스 1 은 또한, 도 6 의 615 에서와 같이 생성 후에,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또 다른 디바이스로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아동에 의해 동작되도록, 그/그녀의 아동을 찾고 있는 부모 디바이스로, IoT 디바이스 1 을 잘못 배치하였던 사용자에게, 등등) 임의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ALI 에 추가된 어떤 데이터는 그 대응하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개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1 을 도시하는 사진은, IoT 디바이스 1 이 카메라에 상대적인 특정한 위치 (예컨대, 카메라의 좌측 또는 우측) 에 위치되는 것으로 추론될 수 있는, 카메라와 IoT 디바이스 1 사이의 연관된 카메라 각도 또는 방위를 보조하기 위하여 분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진 자체가 포함될 수 있거나, 상대적인 로케이션 설명이 보고될 수 있거나 (예컨대, "당신의 전화가 카메라의 외쪽 10 피트 (feet) 에 위치되어 있음"), 또는 양자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일부 ALI 는 다른 ALI 보다 훨씬 더 관련된 것으로 (또는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720 의 선택은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의 포함을 위하여 더 많은 관련된 ALI 를 선택하도록 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정적" 디바이스 분류를 갖는 근접 IoT 디바이스의 검출은 일반적으로 근접 "이동" IoT 디바이스의 검출보다 더욱 관련될 것이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지리적-정적 IoT 디바이스는 IoT 환경 내의 그 현재의 위치에서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IoT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아마도 지리적-정적인 반면, 이동 전화는 아마도 지리적-정적이 아닌데, 이것은 냉장고들이 이동 전화들보다 훨씬 덜 빈번하게 IoT 환경 내에서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하여, IoT 디바이스 1 이 지리적-정적 IoT 디바이스에 근접하다는 지식은, IoT 디바이스 1 이 이동 IoT 디바이스에 근접하다는 지식과 비교하여, IoT 디바이스 1 의 현재의 로케이션을 확인하는 것에 관련될 가능성이 더 많다. 그러나, IoT 디바이스 1 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예컨대, 블루투스가 아니라 WiFi 를 통해 오직 도달가능한) 지리적-정적 IoT 디바이스는 (예컨대, 블루투스 또는 NFC 에 의해 도달가능한) 더 근접한 이동 IoT 디바이스보다 더 적은 관련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근접 IoT 디바이스가 그 주변환경들의 동시 사진을 촬영 (또는 다른 타입들의 동시 데이터를 수집) 하기 위한 능력을 가질 경우, 사진 자체는 근접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분류가 이동식 또는 지리적-정적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IoT 디바이스 1 의 로케이션을 전달하는 것에 대하여 매우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720 의 선택은 720 에서,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어느 ALI 를 파퓰레이팅할 것인지에 대한 그 판단에 대한 인자들의 세트를 가중화할 수 있다. 이 인자들의 세트는 특정한 ALI 를 제공하는 대응하는 근접 IoT 디바이스에 대하여, (i) 대응하는 근접 IoT 디바이스가 지리적-정적 (예컨대, 냉장고, 오븐, 텔레비전, 주 침실 램프, 가족실 텔레비전 또는 가족실 포토 프레임 등) 또는 비-지리적-정적 (예컨대, 전화, iPad, 킨들 등) 인지 여부, (ii) 대응하는 근접 IoT 디바이스가 지리적-정적이 아니라, 그 당면한 환경에 관련된 동시 정보 (예컨대, 픽처 또는 사진 등) 를 제공하는지 여부, (iii) 대응하는 근접 IoT 디바이스가 비-지리적-정적이지만, 위치시키기가 용이한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 (예컨대, 차량 블루투스 제어기, 이것에 의하여, 차량은 이동식이지만, 사용자는 그/그녀의 차량이 어디에 위치되는지를 아는 것으로 정상적으로 예상될 것임), (iv) 대응하는 근접 IoT 디바이스가 이를 통해 도달가능한 전송 메커니즘 (예컨대, 블루투스를 통해 도달가능한 냉장고는 주어진 IoT 디바이스가 주방 내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반면, WiFi 를 통해 도달가능한 텔레비전은 주어진 IoT 디바이스가 텔레비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덜 관련됨) 및/또는 (v) ALI 의 품질 (예컨대, ALI 는 사진에 대응할 수도 있지만, 방이 어두울 경우, 사진은 그 열악한 품질로 인해 로케이션 프로파일로부터 제외될 수도 있음) 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표 1 은 근접 IoT 디바이스들 X, Y, 및 Z 으로부터 제공된 상이한 타입들의 ALI 에 기초한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일 예의 생성을 도시한다. 표 1 에서, 각각의 행 상에서의 각각의 열거된 예는 서로 독립적이고, 이러한 개개의 IoT 디바이스들 X, Y, 및 Z 는 예 #1 반드시 예 #2에 관련 (또는 이와 상관) 되지 않도록 등과 같이 예들마다 변동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 #1 에서, IoT 디바이스 X 는 WiFi 를 통해 "이동 전화"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Y 는 블루투스 LE 를 통해 사진과 함께 "지리적-정적 가족실 TV"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Z 는 블루투스를 통해 "지리적-정적 냉장고"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로케이션 프로파일은 IoT 디바이스 Y 로부터의 사진과, 지리적-정적 냉장고로서의 IoT 디바이스 Z 의 식별을 포함한다. 이 경우, IoT 디바이스 X 의 "이동 전화" 의 디바이스 분류는, WiFi 가 블루투스 LE 또는 블루투스보다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고 이동 전화들은 지리적-정적이 아니기 때문에 생략되고, 따라서, IoT 디바이스 X 의 ALI 는 IoT 디바이스들 Y 또는 Z 로부터의 ALI 에 비교하여 덜 신뢰성 있거나 유익하다.
(상기) 표 1 로부터의 예 #2 에서는, IoT 디바이스 X 가 블루투스 LE 를 통해 "이동 전화"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또한, 그 현재의 로케이션에서 이동 전화에 의해 촬영된 사진 (예컨대, 동시 사진) 을 포함하고, IoT 디바이스 Y 는 WiFi 를 통해 "지리적-정적 주 침실 램프"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Z 는 블루투스를 통해 "지리적-정적 냉장고"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로케이션 프로파일은 IoT 디바이스 X 로부터의 사진과, 지리적-정적 냉장고로서의 IoT 디바이스 Z 의 식별을 포함한다. 이 경우, IoT 디바이스 Y 의 "지리적-정적 주 침실 램프" 의 디바이스 분류는, WiFi 가 블루투스 LE 또는 블루투스보다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고 더 근접한 지리적-정적 기준 포인트가 이용가능 (즉, 지리적-정적 냉장고 또는 IoT 디바이스 Z) 하기 때문에 생략되고, 따라서, IoT 디바이스 Y 의 ALI 는 IoT 디바이스들 X 또는 Z 로부터의 ALI 에 비교하여 덜 신뢰성 있거나 유익하다.
(상기) 표 1 로부터의 예 #3 에서는, IoT 디바이스 X 가 WiFi 를 통해 "이동 전화"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Y 는 WiFi 를 통해 "지리적-정적 주 침실 램프"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Z 는 블루투스를 통해 "지리적-정적 냉장고"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로케이션 프로파일은 지리적-정적 냉장고로서의 IoT 디바이스 Z 의 식별을 포함한다. 이 경우, IoT 디바이스 X 의 "이동 전화" 로서의 디바이스 분류는, 그것이 지리적-정적일 뿐만 아니라 WiFi 를 통해 수신되기 때문에 생략되고, IoT 디바이스 Y 의 "지리적-정적 주 침실 램프" 의 디바이스 분류는, WiFi 가 블루투스보다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고 더 근접한 지리적-정적 기준 포인트가 이용가능 (즉, 지리적-정적 냉장고 또는 IoT 디바이스 Z) 하기 때문에 생략되고, 따라서, IoT 디바이스 X 및 Y 의 ALI 는 IoT 디바이스 Z 으로부터의 ALI 에 비교하여 덜 신뢰성 있거나 유익하다.
(상기) 표 1 로부터의 예 #4 에서는, IoT 디바이스 X 가 WiFi 를 통해 "이동 전화"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Y 는 WiFi 를 통해 "지리적-정적 주 침실 램프"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Z 는 블루투스를 통해 "자동차" 의 디바이스 분류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로케이션 프로파일은 자동차로서의 IoT 디바이스 Z 의 식별을 포함한다. 이 경우, IoT 디바이스 X 의 "이동 전화" 로서의 디바이스 분류는, 그것이 지리적-정적이 아닐 뿐만 아니라 WiFi 를 통해 수신되기 때문에 생략되고, IoT 디바이스 Y 의 "지리적-정적 주 침실 램프" 의 디바이스 분류는, WiFi 가 블루투스보다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생략된다. 이 경우, 자동차는 지리적-정적이 아니더라도, 자동차는 사용자들이 양호한 기준 포인트로서 인식하고 작동시키기가 용이하고, 따라서, IoT 디바이스 X 및 Y 의 ALI 는 IoT 디바이스 Z 로부터의 ALI 에 비교하여 덜 신뢰성 있거나 유익하다.
도 7 은 예를 예시하고, 이것에 의하여, ALI 는 다수의 근접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고 그 다음으로 필터링되지만, 근접 IoT 디바이스들이 탐색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다양한 기준들에 기초하여 필터링될 수 있어서, 오직 어떤 IoT 디바이스들이 ALI 를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ALI 는 다양한 근접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필터링될 수 있거나 (즉, 도 7), 근접 IoT 디바이스들이 먼저 필터링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ALI 를 더욱 선택적으로 요청하기 위하여 타겟화될 수 있다 (즉, 도 8). 물론, 이 구현예들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고, 이것에 의하여, 근접 IoT 디바이스들은 ALI 를 요청하기 전에 필터링되거나 차단되고, 그 후에 수신된 ALI 는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파퓰레이팅되기 전에 별도로 필터링되거나 차단된다. 일반적으로, 근접 IoT 디바이스들이 ALI 를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기준들은 ALI 가 도 7 의 720 에서 어떻게 선택될 수 있는지와 유사하다.
도 8 을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적어도 하나의 단거리 기술 (short-range technology; SRT) 을 이용하여 도 5 로부터의 IoT 환경 (500) 과 같은 IoT 환경을 스캐닝한다 (800). 적어도 하나의 SRT 는 근접장 통신 (NFC) 전송,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LE) 전송, 블루투스 전송 및 WiFi 전송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상이한 SRT 타입들에 대응할 수 있다. 800 의 스캐닝은 도 9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최저-범위 SRT 를 스캐닝함으로써 시작하고, 그 다음으로, 충분한 ALI 가 획득될 때까지 더 긴-범위 SRT 들로 연속적으로 스캐닝하는 반복 스캐닝 프로세스를 통해,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800 의 스캐닝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들 2...4 는 각각 805, 810, 및 815 에서, IoT 디바이스들 2...4 를 특징화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IoT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등) 를 통해 IoT 디바이스 1 로 전송한다. IoT 디바이스들의 스캐닝은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및/또는 유니캐스트를 통해 달성될 수 있고, 예컨대,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캐닝은 멀티캐스트로서 송출될 수 있고, 근접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응답은 유니캐스트로서 IoT 디바이스 1 로 송출될 수 있다. 805 내지 815 에서 ALI 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된 IoT 통신 인터페이스는, 개개의 IoT 디바이스가 800 의 스캐닝을 통해 최초로 컨택되게 하였던 SRT 에 일반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 2 가 IoT 디바이스 1 의 블루투스 범위 내에 있고 블루투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최초로 컨택되었을 경우, IoT 디바이스 2 는 예에서의 805 에서, 그 ALI 를 블루투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 1 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 의 실시형태에서는, 805, 810, 및 815 에서 IoT 디바이스 1 로 전달된 디바이스 정보가 도 7 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디바이스 분류들 (예컨대, "이동 전화", "지리적-정적 냉장고" 등) 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디바이스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ALI 로서 자격부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그 주변환경들의 사진을 캡처하기 위한 특정한 IoT 디바이스의 능력과 같은 능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820 에서, IoT 디바이스는 805, 810, 및 815 에서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ALI 를 취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을 선택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 분류와 같은 일부 ALI 를 이미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820 에서의 선택은 어떤 시나리오들에서 추가적인 ALI 를 요청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들의 선택으로서 해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를 통해 도달가능한 보안 카메라는 카메라를 갖는 지리적-정적 디바이스가 더 짧은-범위 (short-range) SRT 를 통해 이용가능한지 등등의 경우에 820 에서의 선택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720 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것과 동일한 타입의 고려사항들은 또한, 720 이 IoT 디바이스 1 에서 이미 수신된 ALI 를 필터링하는 것에 관련되고 820 이 ALI 를 요청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들을 필터링하는 것에 관련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820 의 선택에 관련된다.
820 에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을 선택한 후, IoT 디바이스 1 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ALI 를 요청한다 (825). 825 에서 요청된 ALI 는, ALI 가 도 7 의 프로세스에 관련하여 더욱 타겟화된 방식으로 요청되기 때문에, 타겟화된 ALI 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7 에서, IoT 탐색된 IoT 디바이스들은 700 동안에 전송된 스캐닝 비콘 또는 신호에 응답하여 그 ALI 를 IoT 디바이스 1 에 제공하는 반면, IoT 디바이스 1 은 도 8 에서의 탐색된 IoT 디바이스들 중으로부터 타겟화된 ALI 를 요청하기 위한 개별적인 IoT 디바이스들을 선택한다. 도 8 의 실시형태에서는, IoT 디바이스들 2 및 4 가 820 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에서, IoT 디바이스 3 은, 그 ALI 가 낮은 관련성을 가지는 것 (예컨대, IoT 디바이스 3 이 카메라 능력을 갖지 않는 WiFi-접속된 이동 전화임) 으로 간주되거나, 충분한 ALI 가 이미 획득된 것 (예컨대, IoT 디바이스 3 이 블루투스 LE-접속된 지리적-정적 냉장고임) 의 어느 하나 때문에 선택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820 의 선택은 임의의 선택을 행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3 이 자신을 810 에서 블루투스 LE-접속된 지리적-정적 마이크로파인 것으로 보고할 경우, 이것은 단독으로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파퓰레이팅하기 위한 충분한 ALI 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추가적인 ALI 수집은 스킵 (skip) 될 수 있다. 825 에서 요청을 전달하기 위하여 이용된 IoT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 정보가 예 (예컨대, 블루투스 LE, 블루투스 등) 에서의 805 및 815 에서 수신되는 IoT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상이한 선택된 IoT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다.
도 8 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들 2 및 4 는 830 및 835 에서 요청된 ALI 를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프로파일 생성을 위하여 이용하기 위한 ALI 를 선택한다 (840) (예컨대, 도 7 의 720 과 유사함). 840 에서 ALI 를 선택한 후, IoT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선택된 ALI 를 파퓰레이팅함으로써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845) (예컨대, 도 7 의 725 와 유사함). 도 8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oT 디바이스 1 은 또한, 도 6 의 610 에서와 같이, IoT 디바이스 1 자체에 의해 캡처된 정보 (예컨대, 사진 등) 로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임의적으로 파퓰레이팅할 수도 있고, IoT 디바이스 1 은 또한, 도 6 의 615 에서와 같이 생성 후에,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또 다른 디바이스로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아동에 의해 동작되도록, 그/그녀의 아동을 찾고 있는 부모 디바이스로, IoT 디바이스 1 을 잘못 배치하였던 사용자에게, 등등) 임의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9 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IoT 환경 스캐닝의 일 예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9 에 대하여 설명된 IoT 환경 스캐닝은 예에서 도 7 의 700 또는 도 8 의 800 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900 에서 로케이션 결정 절차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900 의 결정은 IoT 디바이스 1 의 로케이션을 핀포인트하는 것을 시도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예컨대, 아내는 쇼핑 몰에서 그녀의 남편을 찾고 있고, 쇼핑 몰에서 그 현재의 로케이션을 확인하기 위하여 남편의 IoT 디바이스에 핑 (ping) 하고, 개인은 그/그녀의 IoT 디바이스를 분실하였고, 그 현재의 로케이션을 산출하기 위하여 핑을 "분실된" IoT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등).
900 에서 로케이션 결정 절차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한 후, IoT 디바이스 1 은 IoT 환경 내에서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탐색을 위하여 이용하기 위한 제 1 SRT 를 선택한다 (905). 예에서, 제 1 SRT 는 IoT 디바이스 1 의 동작 환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1 이 자동차 내에 위치될 경우, 제 1 SRT 는 블루투스에 대응할 수도 있는 반면, IoT 디바이스가 쇼핑 몰 내에 위치될 경우, 제 1 SRT 는 WiFi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SRT 는 최단 절대적 범위를 갖는 SRT 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만, 이것은 확실히 가능함), 오히려 그 대신에 환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 1 SRT 는 개개의 IoT 환경 내의 IoT 통신 인터페이스들로서 이용되는 이용가능한 SRT 들 중에서 최단 유효 범위를 갖는 SRT 에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지만, 이것은 모든 구현예들에서 그러할 필요가 없다. 도 1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SRT 는 IoT 환경 (1000) 내의 NFC 전송에 대응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제 1 SRT 는 제 1 유효 범위 (1005) 를 가진다. IoT 디바이스 1 은 제 1 SRT 를 이용하여 그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탐색하는 것을 시도하고 (910),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ALI 로 스캐닝에 응답한다 (915). 도 9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915 에서의 ALI 는 (예컨대, 제 1 SRT 를 통한 IoT 디바이스 1 로부터의 탐색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 내에서) 탐색 절차에 대한 보충적 절차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탐색 절차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920 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그 IoT 환경 스캐닝을 또 다른 더 높은-범위 SRT 로 확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IoT 디바이스 1 이 그 취득된 ALI 가 920 에서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충분한 것으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스는 임의의 추가적인 SRT 들로 스캐닝하는 것을 시도하지 않으면서 960 으로 진행한다. 대안적으로, IoT 디바이스 1 이 하나 이상의 더 높은-범위 SRT 들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ALI 의 취득을 시도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스는 925 로 진행한다. 920 에서 스캐닝을 확장하기 위한 판단은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동작 환경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자동차 내에 위치될 경우, 블루투스는 블루투스 스캐닝이 성공적이지 않은 등의 경우에 임의의 스캐닝 확장 없이 근접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스캐닝하도록 선택될 수 있음). 또 다른 인자는 제 1 SRT 를 통해 이미 획득된 ALI 의 품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사진을 갖는 지리적-정적 ALI 를 이미 수신하였을 경우, IoT 디바이스 1 은 920 에서, 또 다른 SRT 를 통해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스캐닝하지 않도록 판단할 수도 있음). 다른 한편으로, 수신된 ALI 가 충분한 로케이션 확실성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IoT 디바이스 1 은 920 에서, 다른 SRT 통신 매체들을 통해 스캐닝하는 것을 계속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와 같은 제 1 SRT 를 통해 수신된 ALI 가 블루투스 헤드셋 근처에 있을 경우,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이 그/그녀의 인접 환경에서 어디에 위치되는지를 알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IoT 디바이스 1 은 WiFi 를 통해 스캐닝하는 것을 계속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음). 상기 언급된 인자들은 또한, 후속 스캐닝 확장 판단들 (예컨대, 940 등) 을 갖는 맥락에서 고려될 수 있다.
925 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IoT 환경 내에서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탐색을 위하여 이용하기 위한 제 2 SRT 를 선택한다. 도 1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SRT 는 IoT 환경 (1000) 내의 블루투스 LE 전송에 대응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제 2 SRT 는 제 1 유효 범위 (1005) 보다 더 멀리 연장되는 제 2 유효 범위 (1010) 를 가진다. 예에서, 제 2 SRT 는 개개의 IoT 환경 내의 IoT 통신 인터페이스들로서 이용되는 이용가능한 SRT 들 중에서 제 2 최단 유효 범위를 갖는 SRT 에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지만, 이것은 모든 구현예들에서 그러할 필요가 없다. IoT 디바이스 1 은 제 2 SRT 를 이용하여 그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탐색하는 것을 시도하고 (930),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ALI 로 스캐닝에 응답한다 (935). 도 9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935 에서의 ALI 는 (예컨대, 제 2 SRT 를 통한 IoT 디바이스 1 로부터의 탐색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 내에서) 탐색 절차에 대한 보충적 절차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탐색 절차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940 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그 IoT 환경 스캐닝을 또 다른 더 높은-범위 SRT 로 확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IoT 디바이스 1 이 그 취득된 ALI 가 940 에서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충분한 것으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스는 임의의 추가적인 SRT 들로 스캐닝하는 것을 시도하지 않으면서 960 으로 진행한다. 대안적으로, IoT 디바이스 1 이 하나 이상의 더 높은-범위 SRT 들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ALI 의 취득을 시도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스는 945 로 진행한다.
945 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IoT 환경 내에서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탐색을 위하여 이용하기 위한 제 3 SRT 를 선택한다. 도 1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SRT 는 IoT 환경 (1000) 내의 블루투스 전송에 대응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제 3 SRT 는 제 1 유효 범위 (1005) 또는 제 2 유효 범위 (1010) 보더 더 멀리 연장되는 제 3 유효 범위 (1015) 를 가진다. 예에서, 제 3 SRT 는 개개의 IoT 환경 내의 IoT 통신 인터페이스들로서 이용되는 이용가능한 SRT 들 중에서 제 3 최단 유효 범위를 갖는 SRT 에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지만, 이것은 모든 구현예들에서 그러할 필요가 없다. IoT 디바이스 1 은 제 3 SRT 를 이용하여 그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탐색하는 것을 시도하고 (950),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ALI 로 스캐닝에 응답한다 (955). 도 9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955 에서의 ALI 는 (예컨대, 제 3 SRT 를 통한 IoT 디바이스 1 로부터의 탐색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 내에서) 탐색 절차에 대한 보충적 절차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탐색 절차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9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9 의 반복 스캐닝 또는 탐색 절차는 충분한 ALI 가 취득될 때까지 더욱 더 많은 SRT 들을 이용하여 계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SRT (예컨대, 유효 범위 (1020) 를 갖는 도 1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WiFi 전송) 는 제 3 SRT 후에 이용될 수 있는 등등과 같다. 또한, 도 9 의 실시형태가 설명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단일 SRT 가 반복마다 시도되지만, 2 개 이상의 SRT 들이 임의의 특정한 반복 동안에 함께 시도될 수 있다 (예컨대, 먼저, 블루투스를 시도하고, 그 다음으로, 블루투스를 재-시도하면서 WiFi 로 확장하는 등).
충분한 ALI 가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생성을 위하여 취득된 후, IoT 디바이스 1 은 그 취득된 ALI 중으로부터,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이용되어야 할 ALI 를 선택하고 (960) (예컨대, 도 7 의 720 및/또는 도 8 의 840 과 유사함), 그 다음으로, 선택된 ALI 를 갖는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965). 도 9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oT 디바이스 1 은 또한, 도 6 의 610 에서와 같이, IoT 디바이스 1 자체에 의해 캡처된 정보 (예컨대, 사진 등) 로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임의적으로 파퓰레이팅할 수도 있고, IoT 디바이스 1 은 또한, 도 6 의 615 에서와 같이 생성 후에,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또 다른 디바이스로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아동에 의해 동작되도록, 그/그녀의 아동을 찾고 있는 부모 디바이스로, IoT 디바이스 1 을 잘못 배치하였던 사용자에게, 등등) 임의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0 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서, 특정한 IoT 디바이스에 대한 ALI 는 특정한 IoT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ALI 를 요청하는 또 다른 IoT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13 에 대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록시" IoT 디바이스가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ALI 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기존에는, IoT 환경 (500) 에서의 각각의 IoT 디바이스가 IoT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자신의 통신들을 또한 송신하면서, 인입 통신들에 대한 IoT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개별적으로 담당할 것이고, 이것은 부분적으로, 그렇게 행할 수 없는 임의의 IoT 디바이스가 어떤 경우에도 IoT 환경 (500) 내에서 동작할 수 없는 것으로 가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각의 IoT 디바이스가 IoT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자신의 통신들을 송신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지금부터 설명되는 바와 같이, IoT 환경 (500) 에서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들에 대해 불균형한 부담을 지운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가 "전력-제한된" 것인지 여부는 하나의 IoT 디바이스의 전력 자원들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디바이스의 전력 자원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대적 용어이다. 예로서 도 5 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K 는 14 % 의 배터리 레벨을 가지고, 68 % 의 배터리 레벨을 갖는 IoT 디바이스 B 보다 더욱 전력 제한될 수도 있어서, IoT 디바이스 K 는 IoT 디바이스 B 보다 더욱 전력 제한된다. IoT 디바이스 E 는 전원 (또는 콘센트) 으로 플러깅되지만, 오직 단속적으로 콘센트-접속되는 것으로 예상되어, IoT 디바이스 E 는 IoT 디바이스 F 가 더욱 신뢰성 있는 전력 공급 장치를 가진다는 등등으로 인해, IoT 디바이스 F 보다 더욱 전력-제한되는 것으로서 해독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 C 가 36 % 의 배터리 레벨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예컨대, 경보 클록들이 핸드셋 또는 태블릿 디바이스들과 비교하여 더 낮은 양의 전력을 일반적으로 이용하므로)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 D 보다 더 느린 전력-소비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어서, IoT 디바이스 C 가 더 낮은 배터리 레벨을 가지더라도, IoT 디바이스 D 는 IoT 디바이스 C 보다 더욱 전력 제한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IoT 디바이스들은 다른 IoT 디바이스들과 비교하여 더욱 중대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경보 클록이 전력을 손실시킬 경우, 경보가 누락될 수도 있지만, 연기 검출기가 전력을 손실시킬 경우에는, 생면들 및 재산의 양자가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기 검출기가 경보 클록보다 더욱 신뢰성 있는 전력을 가지더라도, 연기 검출기는 경보 클록보다 더욱 전력 제한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프록시 ALI 방식에 대한 것이고, 이것에 의하여,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ALI 를 제공하는 기능 ("ALI 보고 기능") 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디바이스로 전달된다.
도 11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 ("IoT 디바이스 1") 가 또 다른 IoT 디바이스 ("IoT 디바이스 2") 를,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의 ALI 보고 기능을 위한 프록시로서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도 11 을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세트의 탐색을 트리거링한다 (1100). 1100 의 탐색은 수동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은 IoT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메시지들에 대하여 IoT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니터링함) 또는 능동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은 근접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메시지들을 구하기 위하여 멀티캐스트 탐색 핑을 송신할 수 있음) 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100 의 탐색이 능동 또는 수동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IoT 디바이스들 2...N 은 송신하는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을 포함하는 어나운스먼트 메시지 (announcement message) 를 IoT 디바이스 1 로 각각 송신한다 (1105 및 1110). 1105 및 1110 의 메시지들은 예에서 멀티캐스트 메시지들로서 구성될 수 있지만, 편의상, 1105 및 1110 의 개개의 메시지들은 도 11 에서 IoT 디바이스 1 로 전달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1105 및 1110 의 메시지들에 의해 보고될 수 있는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의 예들은 도 12 에 대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보고된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 1 은 어느 디바이스들이 예컨대, 이 디바이스들에 의해 지원된 인터페이스들에 기초하여 프록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1 이 블루투스를 통해 그 ALI 를 분배하는 것에 관심 있을 경우, IoT 디바이스 1 은 1105 또는 1110 에서 블루투스를 통해 응답하지 않았던 IoT 디바이스들을 필터링하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예컨대, WiFi 디바이스들이 제외되는 등). 이에 따라, IoT 디바이스 1 의 ALI 보고 기능을 위한 프록시는 ALI 보고 기능에 대한 희망하는 인터페이스 타입 (예컨대, 블루투스, WiFi 등)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11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oT 디바이스 1 은 하나 이상의 트리거링 이벤트들에 응답하여 도 11 의 프로세스를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1 은 IoT 디바이스 1 보다 덜 전력-제한되는 임의의 IoT 디바이스들이 IoT 디바이스 1 을 위한 프록시로서 작동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것이 새로운 IoT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마다 탐색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전력 스테이터스들이 특히, 배터리-급전식 IoT 디바이스들 또는 단속적 플러그-인 IoT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도 11 의 프로세스는 주기적으로 (예컨대, 매 30 분 등)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1 의 프로세스는 IoT 디바이스 1 의 열화하는 전력 상태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어떤 백분율 미만으로 떨어지거나 어떤 시간 전에 고갈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배터리 레벨을 가질 때마다, IoT 디바이스 1 이 그 전원이 가까운 미래에 덜 신뢰성 있게 되는 것으로 예상하는 단속적 플러그-인 디바이스일 경우 등) 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1 의 프로세스는 IoT 디바이스가 (예컨대, 그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슬립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1105 및 1110 으로부터의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들 2...N 을 검출하고, 그 다음으로, ALI 보고 기능을 위한 프록시로서 작동하기 위한 검출된 IoT 디바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1115).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검출된 IoT 디바이스들은 인터페이스 타입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어서, ALI 보고 기능에 대한 희망하는 인터페이스 타입을 지원하지 않는 임의의 검출된 IoT 디바이스들이 1115 의 선택으로부터 제외된다. 도 11 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ALI 보고 기능을 위한 프록시로서 작동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 2 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은 IoT 디바이스 1 을 대신하여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것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ALI 보고 기능을 위한 프록시로서 IoT 디바이스 2 를 선택한 후, IoT 디바이스 1 은 프록시로서 작동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2 와 조정한다 (1120).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1 은 IoT 디바이스 1 을 대신하여 송신되어야 할 ALI 메시지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하여 IoT 디바이스 2 에 명령할 수 있다 (예컨대, 그것은 그 ALI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프록시 디바이스 상에서 "SendALI (디바이스 ID, app ID, ALI msg ID, 프록시 플래그를 갖는 ALI 메시지, TTL)" 인터페이스를 호출하고, 이것에 의하여, 프록시 플래그는 프록시에 의해 송신된 ALI 정보가 IoT 디바이스 1 자체와는 반대로 프록시로부터 발신된 것으로서 표기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함).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1 은 디바이스 분류 (예컨대, "자동차", "텔레비전", "이동 전화", "거실 포토 프레임", "지하층 연기 검출기" 등) 와 같은 ALI 및/또는 IoT 디바이스 1 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에 관련된 정보 (예컨대, 그 주변환경에서 IoT 디바이스 1 또는 또 다른 IoT 디바이스에 의해 캡처된 사진 등) 를 IoT 디바이스 2 에 제공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 2 는 하나의 예에서,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ALI 를 주기적으로 송신된 ALI 메시지 내로 패키징할 수 있거나 (예컨대, 디바이스 분류 등을 포함함), 대안적으로, 요청될 때에 ALI 정보를 명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IoT 디바이스 2 가 임의의 인입하는 ALI 관련된 메시지들을 언제 IoT 디바이스 1 로 포워딩하는지를 알도록, 정의된 웨이크-업 스케줄 (예컨대, 30 초마다 1 초 동안 등) 을 IoT 디바이스 2 에 제공할 수 있고, 필터링 기준들을 IoT 디바이스 2 에 임의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1 이 스케줄링된 웨이크-업 시간들 사이에서 슬립으로 가는 것을 허용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필터링 기준들은 특정한 메시지가 IoT 디바이스 1 로 송신되어야 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2 에 의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들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4 가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캡처된 현재의 사진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IoT 디바이스 1 의 ALI 의 일부로서 IoT 디바이스 2 에서 유지된 사진이 너무 오래된 것일 경우, IoT 디바이스 2 는 IoT 디바이스 4 에 제공하기 위한 업데이트된 사진을 획득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1 을 핑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IoT 디바이스 5 가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캡처된 현재의 오디오 레코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오디오 레코딩이 IoT 디바이스 2 에서 전혀 유지되지 않을 경우, IoT 디바이스 2 는 IoT 디바이스 4 에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레코딩을 획득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1 을 핑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경우들에는, 프록시 IoT 디바이스 2 가 그것이 IoT 디바이스 1 로부터 수신하였던 ALI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 1 을 대신하여 답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4 가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캡처된 사진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IoT 디바이스 1 의 ALI 의 일부로서 IoT 디바이스 2 에서 유지된 사진이 충분히 최근일 경우, IoT 디바이스 2 는 그 사진을 IoT 디바이스 4 에 제공할 것이고, 이것은 사진이 프록시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다는 것을 표시할 것이다.
도 11 의 실시형태에서는, 1120 의 조정이 성공적이고 IoT 디바이스 2 가 IoT 디바이스 1 을 위한 프록시로서 작동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 2 는 주기적으로 및/또는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명시적 ALI 요청들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 1 을 대신하여 ALI 메시지 ("ALI #1") 를 송신하는 것을 시작한다 (1123). 도 11 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 2 는, IoT 디바이스 2 가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ALI 를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도록 명시적으로 요청받을 때까지, 또는 ALI #1 과 연관된 TTL 이 만료될 때까지 중의 어느 하나까지 ALI #1 = 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 1 은 전력 오프하도록 허용되고 슬립으로 간다 (1125). 주기적으로, IoT 디바이스 1 은 그 정의된 웨이크-업 스케줄에 따라 웨이크 업 한다 (1130). 어웨이크 (awake) 동안, IoT 디바이스 1 은 1140 에서, 그 ALI 를 업데이트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그 주변환경들의 새로운 사진을 촬영할 경우, 그것은 IoT 디바이스 2 에 의해 제공되는 더 과거의 사진을 IoT 디바이스 1 의 ALI 로서 대체할 수 있음). IoT 디바이스 1 이 1140 에서, ALI #1 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스는 1125 로 복귀하고, IoT 디바이스 1 은 다음 웨이크-업 주기까지 슬립으로 다시 간다. 1140 에서는, IoT 디바이스 1 이 ALI #1 을 변경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를 가정하여, ALI 보고 기능이 ALI #1 로부터 ALI #2 로 전환되도록, IoT 디바이스 1 이 IoT 디바이스 2 와 조정한다 (1145 및 1150). 도 11 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 2 는, 그것이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정지하도록 명시적으로 요청받을 때까지, 또는 ALI #2 와 연관된 TTL 까지 중의 어느 하나까지 ALI #2 를 송신할 수 있다.
1140 후의 일부 포인트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전력을 오프하도록 허용되고, 슬립으로 간다 (1160) (예컨대, 1125 와 유사함). 주기적으로, IoT 디바이스 1 은 ALI #2 에 대한 변경이 행해질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1175), 그 웨이크-업 스케줄에 따라 웨이크 업 한다 (1165) (예컨대, 1130 과 유사함).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1 은 ALI #2 를 상이한 ALI 메시지로 변경할 것인지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그 주변환경들의 새로운 사진을 촬영할 경우, 그것은 IoT 디바이스 2 에 의해 제공되는 더 과거의 사진을 IoT 디바이스 1 의 ALI 로서 대체할 수 있음), 또는 IoT 디바이스 1 을 대신하여 IoT 디바이스 2 에 의한 모든 ALI 메시지들의 송신을 정지시킬 것인지 (예컨대, IoT 디바이스 1 이 플러그 인 되는 그 전력 스테이터스로 인해 어웨이크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 1 이 1175 에서, ALI #2 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스는 1160 로 복귀하고, IoT 디바이스 1 은 다음 웨이크-업 주기까지 슬립으로 다시 간다. 1175 에서는, IoT 디바이스 1 이 ALI 보고 기능을 완전히 취소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므로, 1180 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ALI 보고 기능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2 와 협상한다. 따라서, 1185 에서, IoT 디바이스 2 는 ALI #2 를 송신하는 것을 정지시키고,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ALI 보고 기능을 중단시킨다.
도 11 을 참조하면, 메시지들의 클래스는 그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 (들) 와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1 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타입들은 ALI 보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 (들) 를 설정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sendALI (디바이스 ID, app ID, ALI msg ID, ALI msg, TTL, 송신 세부사항들);
deleteALI (디바이스 ID, app ID, ALI msg ID); 및
replaceALI (디바이스 ID, app ID, 과거 ALI msg ID, 새로운 ALI msg ID, ALI msg, TTL),
이것에 의하여, sendALI() 는 ALI #1 을 구성하기 위하여, 1120 에서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IoT 디바이스 2 로 전송되고, replaceALI() 는 ALI #2 를 구성하기 위하여, 1145 에서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IoT 디바이스 2 로 전송되고, deleteALI() 는 ALI #2 를 취소하기 위하여, 1180 에서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IoT 디바이스 2 로 전송된다. sendALI() 메시지-타입은 프록시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프록시 플래그는 프록시 ALI 메시지들을 송신할 때에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 (들) 에 의해 스스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타입은 ALI 보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 (들) 를 설정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receiveALIrequest (필터링 기준들 [임의적], 웨이크-업 스케줄, 원래의 디바이스 컨택 어드레스)
이것에 의하여, receiveALIrequest 는 IoT 디바이스 2 에 도달하는 ALI 요청들이 IoT 디바이스 1 로 언제 전달되어야 하는지를 특정함으로써 ALI 보고 기능을 구성하기 위하여, 1120 에서, IoT 디바이스 1 에 의해 IoT 디바이스 2 로 전송된다 (예컨대, IoT 디바이스 4 가 IoT 디바이스 2 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ALI 의 타입을 요청할 경우, IoT 디바이스 2 는 요청된 ALI 를 제공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1 을 핑할 수도 있는 등). 도 11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웨이크-업 스케줄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고정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1 이 IoT 디바이스 1 의 배터리-레벨이 84 % 일 때에 IoT 디바이스 2 를 그 프록시로서 확립할 경우, 웨이크-업 스케줄은 제 1 레벨로 초기화될 수 있다. 그러나, IoT 디바이스 1 의 배터리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 스케줄링된 웨이크-업은 IoT 디바이스 1 이 웨이크-업들 사이의 더 긴 시간의 주기들 동안에 슬립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도 12 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도 11 의 1100 내지 1115 동안에 실행되는 프록시 선택 로직의 더욱 상세한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2 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근접 IoT 디바이스들 2...N 의 세트를 탐색한다 (1200) (예컨대, 도 11 의 1100-1100 과 유사함). 1205 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근접 IoT 디바이스들 2...N 의 세트와 연관된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을 결정한다 (1205).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은 (i) ALI 프록싱 기능성이 근접 IoT 디바이스들 2...N 의 세트에 의해 지원되는지 여부를 특정하는 것, (ii) 근접 IoT 디바이스들 2...N 의 세트에서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전력 스테이터스, 및/또는 (iii) 근접 IoT 디바이스들 2...N 의 세트에서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지리적-정적 스테이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양태 (i) 은 특정한 IoT 디바이스들이 다른 IoT 디바이스들을 대신하여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지 아닌지 여부에 속한다. 이것은 ALI 프록싱 기능성을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의 일부로서 광고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주어진 기초적인 인터페이스 (예컨대, 블루투스, WiFi 등) 를 통해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희망될 수도 있고, 이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임의의 IoT 디바이스는 ALI 보고 기능을 위한 프록시로서 작동할 수 없다. 양태 (ii) 는 또 다른 IoT 디바이스가 프록시 선택에서의 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는 IoT 디바이스 1 보다 더욱 또는 덜 전력 제한되는지 여부를 추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양태 (iii) 은 프록시 선택에서의 추가적인 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지리적-정적 스테이터스는 특정한 IoT 디바이스가 IoT 환경 내에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예상되는지 아닌지 여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아마도 지리적-정적인 반면, 이동 전화는 아마도 지리적-정적이 아닌데, 이것은 냉장고들이 이동 전화들보다 훨씬 덜 빈번하게 IoT 환경에 진입하거나 이탈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1205 에서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을 결정한 후, IoT 디바이스 1 은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에 기초하여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탐색된 세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를 선택하기 위한 판단 로직을 실행한다 (1210). 다음으로, IoT 디바이스 1 은 IoT 환경에서의 IoT 디바이스들로의 송신을 위하여 ALI 를 그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로 전송한다 (1215). IoT 디바이스 1 은, 1215 의 일부로서, 예컨대, 주기적으로 송신된 ALI 메시지로서 또는 온-디맨드 (on-demand) 방식의 어느 하나로 ALI 를 어떻게 송신할 것인지를 특정하는 선택된 프록시 디바이스로의 sendALI() 메시지에서의 임의적인 "송신 세부사항들" 필드를 통해 송신 세부사항들을 임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1210 에서 실행될 수 있는 상이한 프록시 선택은 이하의 표 2 에서 설명된다. 표 2 에서는, IoT 디바이스 1 이 그 연관된 디바이스 세부사항들과 함께, 프록시 후보들 #1 및 #2 를 탐색하였고, IoT 디바이스 1 을 위한 프록시로서 작동하기 위한 이 프록시 후보들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를 선택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표 2 에서, ALI 보고 기능은 "ARF" 로 단축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상기) 표 2 를 참조하면, 다수의 상이한 프록시 선택 규칙 예들이 제공된다. 표 2 로부터의 예들 1 및 2 에서는, IoT 디바이스 1 보다 덜 전력-제한되고,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며 (바람직하게는) 지리적-정적인 단일 IoT 디바이스가 프록시로서 선택된다. 표 2 로부터의 예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1 은 80 % 에서 배터리-급전되고, 프록시 후보 #1 은 단속적으로 콘센트-접속되면서,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고, 프록시 후보 #2 는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프록시 후보 #1 은 프록시로서 선택된다. 표 2 로부터의 예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1 은 80 % 에서 배터리-급전되고, 프록시 후보 #1 은 지리적-정적이고, 단속적으로 콘센트-접속되면서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고, 프록시 후보 #2 는 지리적-정적이 아니고, 30 % 에서 배터리 급전되면서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므로, 프록시 후보 #1 은 프록시로서 선택된다.
표 2 로부터의 예 3 을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80 % 에서 배터리-급전되고, 프록시 후보 #1 은 지리적-정적이고, 단속적으로 콘센트-접속되면서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고, 프록시 후보 #2 는 지리적-정적이고, 90 % 에서 배터리 급전되면서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한다. 이 경우, 프록시 후보 #2 는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이 선택은 부분적으로, 프록시 후보 #1 이 단속적으로 콘센트-접속되는 반면, 프록시 후보 #2 는 콘센트-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비-단속적 (non-intermittent) 전원을 액세스하기 때문에 행해질 수 있다.
표 2 로부터의 예 4 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75 % 에서 배터리-급전되는 높은-우선순위 연기 검출기이고, 프록시 후보들 #1 및 #2 는 각각 ALI 보고 기능을 각각 지원하는 낮은-우선순위 경보 클록들이다. 프록시 후보 #1 은 90 % 에서 배터리-급전되는 반면, 프록시 후보 #2 는 60 % 에서 배터리-급전된다. 이 예에서, 프록시 후보 #1 은 그것이 IoT 디바이스 1 보다 더 많은 배터리 전력을 가지기 때문에,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또한, 프록시 후보 #2 는 경보 클록들에 비해 연기 검출기들의 더 높은 우선순위로 인해,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중복적으로 선택된다. 예에서, ALI 보고 기능은, 프록시 후보들 #1 및 #2 에서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ALI 메시지들이 교대하는 시퀀스로 프록시 후보들 #1 및 #2 에 의해 송신되도록, 프록시 후보들 #1 및 #2 사이에서 인터리빙 (interleaving) 될 수 있다.
표 2 로부터의 예 5 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40 % 에서 배터리-급전되고, 프록시 후보들 #1 및 #2 는 각각 영구적으로 콘센트-접속되고 ALI 보고 기능을 각각 지원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프록시 후보들 #1 및 #2 의 인터페이스-지원 및 전력 스테이터스들은 동일하므로, IoT 디바이스 1 은 부차적인 기준들에 기초하여 개개의 프록시 후보들 #1 및 #2 사이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IoT 디바이스 1 은 프록시 후보 #1 까지의 그 거리가 22.3 미터인 반면, 프록시 후보 #2 까지의 그 거리가 0.7 미터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가정한다. 더욱 인접한 IoT 디바이스가 프록시로서 더욱 양호하게 동작하도록 예상된다는 가정 하에서, 프록시 후보 #2 는 IoT 디바이스 1 까지의 그 더욱 근접한 인접성에 기초하여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에서, 동일한 IoT 환경에서의 IoT 디바이스 1 과 임의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사이의 인접성은 "PROXIMITY DETEC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SOUND CHIRPS" 이라는 명칭인 미국 특허 공개 제 2015/0029880 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운드 처프 (sound chirp) 들을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예 5 와 유사한 표 2 로부터의 예 6 을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 1 은 40 % 에서 배터리-급전되고, 프록시 후보들 #1 및 #2 는 각각 지리적-정적이고, 영구적으로 콘센트-접속되고,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한다. 그러나, 예 6 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프록시 후보들 #1 및 #2 가 상이한 방향들 (예컨대, 북쪽 및 남쪽) 에서 IoT 디바이스 1 로부터 각각 15.0 미터 떨어져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IoT 디바이스 1 은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프록시 후?燻? #1 및 #2 의 양자를 중복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프록시 후보들 #1 및 #2 는 IoT 환경 내에서 서로로부터 떨어져 확산되므로, 프록시 후보들 #1 및 #2 의 양자를 프록시들로서 선택하는 것은 IoT 환경 내에서 IoT 디바이스 1 의 유효 범위를 연장할 수 있다.
도 13 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프록시 IoT 디바이스 ("IoT 디바이스 2") 에 의해 구현되는 ALI 보고 기능의 예를 예시한다. 도 13 을 참조하면, 도 11 의 1100 내지 1120 이 수행되고, 이것에 의하여, IoT 디바이스 2 가 IoT 디바이스 1 을 대신하여 ALI 보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록시 IoT 디바이스로서 선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IoT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 2 를 프록시로서 설정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2 와 조정한 후, IoT 디바이스 1 은 슬립으로 가고 (1300), IoT 디바이스 2 는 (예컨대, ALI 에 대한 요청들과 같은) IoT 디바이스 1 로 타겟화되는 임의의 메시지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IoT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1305). IoT 디바이스 2 는 임의적으로, IoT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록시 플래그를 갖는 프록시 ALI 메시지 (예컨대, 도 11 로부터의 ALI #1 또는 #2) 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1310). 예에서, 1310 에서 송신된 (임의적인) 프록시 ALI 메시지들은 IoT 디바이스 1 의 디바이스 분류와 같은,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ALI 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ALI 의 전부, 임의의 높은-대역폭 ALI 가 주기적 브로드캐스트로서 대신에 온-디맨드 방식으로 오직 전송되도록 한 캡처된 미디어와 같은 높은-대역폭 ALI 를 제외한 ALI 의 전부 등) 를 포함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 1 이 여전히 슬립되어 있는 동안에는, IoT 디바이스 3 은 IoT 디바이스 1 에 관련된 ALI 를 요청하기 위하여 IoT 디바이스 1 을 컨택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IoT 디바이스 3 은 결정에 기초하여 ALI 요청을 생성하고,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를 통해 IoT 환경 내의 IoT 통신 인터페이스 상에서 ALI 요청을 송신한다 (1315). 제 1 예에서, 1315 의 ALI 요청에 대한 타겟 어드레스는 IoT 디바이스 1 의 어드레스 (또는 식별자) 에 대응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IoT 디바이스 2 는 1305 로부터의 모니터링을 통해 IoT 디바이스 1 로 타겟화된 임의의 ALI 요청들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예에서는, IoT 디바이스 3 이 1310 의 프록시 ALI 메시지로부터의 프록시 플래그를 통해, IoT 디바이스 2 가 전달을 위하여 IoT 디바이스 1 로 보내진 ALI 요청들을 수집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도 있으므로, 1315 의 ALI 요청에 대한 타겟 어드레스는 IoT 디바이스 2 의 어드레스 (또는 식별자) 에 대응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경우, IoT 디바이스 2 는 1305 로부터의 연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인해 1315 로부터 ALI 요청을 수신하지만, IoT 디바이스 1 은 IoT 디바이스 1 이 이 포인트에서 여전히 슬립이기 때문에 ALI 요청을 수신하지 않는다 (1320). 1325 에서, IoT 디바이스 2 는 1315 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 1 에 대한 ALI 를 IoT 디바이스 3 으로 송신한다. 도 13 의 검토로부터 인식되는 바와 같이, 1315 내지 1325 는 어떤 구현예들에 대하여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임의적인 단계 (1310) 가 ALI 가 1310 으로부터의 프록시 ALI 메시지들 내에서 제공되도록 수행되는 구현예에서는, IoT 디바이스들이 프록시로부터 "보충적" ALI 를 요청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1310 으로부터의 프록시 ALI 메시지들은 더 낮은-대역폭 ALI (예컨대, 디바이스 분류 정보) 를 포함할 수도 있는 반면, "보충적" 또는 온-디맨드 ALI 는 더 높은-대역폭 ALI (예컨대, 국소적으로 캡처된 사진들, 사운드 레코딩들 등) 를 포함할 수도 있다. 1325 의 ALI 는 IoT 디바이스 2 에 의해 IoT 디바이스 1 을 대신하여 IoT 디바이스 3 으로 송신 (또는 중계) 되므로, 1325 에서 송신된 ALI 는 IoT 디바이스 3 에 의해 획득되는 ALI 의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을 구성한다.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은 예에서 도 6 내지 도 10 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ALI 취득 절차 동안에 IoT 디바이스 3 에 의해 획득된 ALI 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의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의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들은 본원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둘 모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 교환가능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그 기능성의 측면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과, 전체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종속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함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의 조합)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분리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정보를 저장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일체적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IoT 디바이스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태들에서는, 설명된 기능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하나의 장소로부터 또 다른 장소까지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의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희망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하게 칭해진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twisted pair), DSL, 또는 무선 기술들 예컨대, 적외선, 라디오 (radio), 및 마이크로파 (microwave) 를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소프트웨어가 송신될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무선 기술들 예컨대,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는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CD, 레이저 디스크 (laser disc), 광학 디스크 (optical disc), DVD,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 disc) 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통상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및/또는 레이저들로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한 개시물은 개시물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도시하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원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작동들은 임의의 특별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가 없다. 또한, 개시물의 엘리먼트들은 단수 형태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30)

  1. IoT (Internet of Things)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i) 상기 IoT 환경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 및/또는 (ii)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을 식별하는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ugmented location information; ALI)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ALI 에 기초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로케이션 프로파일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상기 로케이션 프로파일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로부터 타겟화된 ALI 를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연관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평가하는 단계로서, 평가되는 상기 연관된 디바이스 정보는 (i)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가 지리적-정적 또는 비-지리적-정적인지 여부, (ii)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가 그 당면한 주변환경에 관련된 동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지 여부, (iii)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가 비-지리적-정적이지만, 사용자가 위치시키기에 용이한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 및/또는 (iv) 전송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가 상기 IoT 디바이스에 의해 도달가능한, 상기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상기 연관된 디바이스 정보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타겟화된 ALI 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획득된 ALI 를 획득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파퓰레이팅되어야 할 상기 획득된 ALI 의 일부 또는 전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각각으로부터의 상기 획득된 ALI 를 평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획득된 ALI 는, (i) 상기 획득된 ALI 로부터의 연관된 IoT 디바이스가 지리적-정적 또는 비-지리적-정적인지 여부, (ii) 상기 획득된 ALI 가, 상기 획득된 ALI 가 획득되는 상기 연관된 IoT 디바이스의 당면한 환경에 관련된 동시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 (iii) 상기 획득된 ALI 가 획득되는 상기 연관된 IoT 디바이스가 비-지리적-정적이지만, 사용자가 위치시키기에 용이한 것으로 예상되는지 여부, (iv) 전송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획득된 ALI 가 획득되는 상기 연관된 IoT 디바이스가 상기 IoT 디바이스에 의해 도달가능한, 상기 전송 메커니즘, 및/또는 (v) 상기 획득된 ALI 의 품질에 기초하여 평가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각각으로부터의 상기 획득된 ALI 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하는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로케이션 프로파일 내에서 상기 획득된 ALI 의 일부 또는 전부를 파퓰레이팅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IoT 환경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 근처의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을 식별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범위를 갖는 제 1 단거리 기술을 이용하여 기준들의 주어진 세트를 충족시키는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단계;
    기준들의 상기 주어진 세트를 충족시키는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들이 상기 제 1 단거리 기술을 통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 1 범위보다 더 긴 범위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거리 기술들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ALI 는 기준들의 상기 주어진 세트를 충족시키는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검출하는 주어진 단거리 기술의 연관된 범위에 대응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상기 당면한 주변환경들을 식별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상기 당면한 주변환경들의 사진 및/또는 상기 사진에 기초한 제 1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상기 당면한 주변환경들에서 방출된 사운드들을 캡처하는 오디오 레코딩, 및/또는 상기 오디오 레코딩에 기초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환경적 특성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환경적 특성에 기초하여 단거리 기술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거리 기술을 이용하여 기준들의 주어진 세트를 충족시키는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의 상기 환경적 특성은 홈 환경 (home environment) 이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단거리 기술은 상기 홈 환경에서 검출되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기초한 WiFi 인,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의 상기 환경적 특성은 차량내 환경이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단거리 기술은 상기 차량내 환경에서 검출되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기초한 블루투스인,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ALI 는 전력-절감 방식의 일부로서 주어진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상기 획득된 ALI 의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프록시 IoT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주어진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을 포함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ALI 의 상기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은 상기 주어진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상기 프록시 IoT 디바이스에 의해 주기적 프록시 송신 내에서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ALI 의 상기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은 상기 주어진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상기 프록시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획득된 ALI 의 상기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ALI 의 상기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의 제 1 부분은 상기 주기적 프록시 송신으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획득된 ALI 의 상기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의 제 2 부분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IoT 환경 내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자를 보조하도록 구성된 사용자-중심적 로케이션 설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의 각각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IoT 환경 내에서 위치시키기에 용이한 것으로 예상된 디바이스의 클래스를 식별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은 상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지리적-정적 기기 또는 이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는 차량인,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케이션 프로파일에, 상기 IoT 디바이스에 의해 캡처되는 ALI 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환경 내에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8. IoT 환경에 속하는 전력-제한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근접 IoT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연관된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록시 IoT 디바이스로서 작동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근접 IoT 디바이스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ALI 보고 기능에 따라 상기 IoT 환경 내에서의 분배를 위하여,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프록시 IoT 디바이스로, (i)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분류, 또는 (ii)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을 식별하는 ALI 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프록시 IoT 디바이스가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상기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는 예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에서 상기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전력-제한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ALI 보고 기능을 조절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웨이크 업 (wake up) 하면서,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전력-제한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슬립 모드로부터의 주기적 웨이크 업 동안에 상기 ALI 보고 기능에 대한 조절을 구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ALI 보고 기능에 대한 상기 조절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프록시 IoT 디바이스와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전력-제한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ALI 보고 기능에 대한 업데이트된 ALI 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조절은 상기 ALI 보고 기능을 취소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전력-제한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2. IoT 환경에 속하는 프록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록시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바이스 세부사항들을 상기 IoT 환경에서의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에 보고하는 단계;
    상기 보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i)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분류, 및/또는 (ii) 또는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을 식별하는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LI) 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LI 를 상기 IoT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 분배함으로써,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ALI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프록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LI 보고 기능은,
    상기 IoT 환경을 통해 상기 ALI 의 일부 또는 전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상기 ALI 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상기 ALI 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프록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LI 보고 기능에 대한 조절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와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프록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은 상기 ALI 보고 기능에 대한 업데이트된 ALI 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조절은 상기 ALI 보고 기능을 취소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프록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LI 는 상기 IoT 환경 내에서 상기 전력-제한된 IoT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자를 보조하도록 구성된 사용자-중심적 로케이션 설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프록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분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IoT 환경 내에서 위치시키기에 용이한 것으로 예상된 디바이스의 클래스를 식별하는, IoT 환경에 속하는 프록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8. 메모리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IoT 환경 내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IoT 환경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 근처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 및/또는 (ii)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당면한 주변환경들을 식별하는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 (ALI) 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ALI 에 기초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IoT 환경 내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ALI 는 전력-절감 방식의 일부로서 주어진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상기 획득된 ALI 의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프록시 IoT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주어진 IoT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프록시-중계된 ALI 부분을 포함하는, IoT 환경 내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IoT 환경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 근처의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분류들을 식별하고, 상기 메모리에 결합된 상기 프로세서는, 기준들의 주어진 세트를 충족시키는 근접 IoT 디바이스들이 제 1 단거리 기술을 통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제 1 범위보다 더 긴 범위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거리 기술들을 이용하여 검색을 반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범위를 갖는 상기 제 1 단거리 기술을 이용하여 기준들의 상기 주어진 세트를 충족시키는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된 ALI 는 기준들의 상기 주어진 세트를 충족시키는 상기 근접 IoT 디바이스들을 검출하는 주어진 단거리 기술의 연관된 범위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상기 당면한 주변환경들을 식별하고,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상기 당면한 주변환경들의 사진 및/또는 상기 사진에 기초한 제 1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의 상기 당면한 주변환경들에서 방출된 사운드들을 캡처하는 오디오 레코딩, 및/또는 상기 오디오 레코딩에 기초한 제 2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ALI 는 상기 IoT 환경 내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자를 보조하도록 구성된 사용자-중심적 로케이션 설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IoT 환경 내의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KR1020167034976A 2014-06-04 2015-05-28 하나 이상의 근접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생성 KR20170013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07720P 2014-06-04 2014-06-04
US62/007,720 2014-06-04
US14/723,195 2015-05-27
US14/723,195 US20150358777A1 (en) 2014-06-04 2015-05-27 Generating a location profile of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based on augmented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one or more nearby internet of things devices
PCT/US2015/033018 WO2015187465A1 (en) 2014-06-04 2015-05-28 Generating a location profile of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based on augmented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one or more nearby internet of things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285A true KR20170013285A (ko) 2017-02-06

Family

ID=5343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976A KR20170013285A (ko) 2014-06-04 2015-05-28 하나 이상의 근접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생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58777A1 (ko)
EP (1) EP3152926A1 (ko)
JP (1) JP2017524285A (ko)
KR (1) KR20170013285A (ko)
CN (1) CN106416142A (ko)
WO (1) WO201518746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094A (ko) * 2019-08-16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38828A3 (ko) * 2018-12-28 2020-10-0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플랫폼 서버 및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164148A3 (ko) * 2021-01-29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대방 전자 장치와 함께 광고 패킷을 방송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4195A1 (en) * 2013-09-09 2015-03-12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power savings through intelligent synchronizing of data
US10111071B2 (en) * 2014-09-19 2018-10-2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Bluetooth low energy automation mesh network
US9871830B2 (en) * 2014-10-07 2018-01-16 Cisco Technology, Inc. Internet of things context-enabled device-driven tracking
US10291595B2 (en) 2014-12-18 2019-05-14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onnecting network devices
FR3031209A1 (fr) * 2014-12-24 2016-07-01 Orange Gestion d'entites electroniques pour la creation d'un fil d'actualites
US9967906B2 (en) 2015-01-07 2018-05-08 Cisco Technology, Inc. Wireless roaming using a distributed store
US10045150B2 (en) 2015-03-30 2018-08-07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sensing user location in an IoT system
EP3298758A1 (en) 2015-05-18 2018-03-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ed profiling and context dependent cooperative iot management operations
CN104968037B (zh) * 2015-05-29 2018-07-06 乐鑫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代理设备的低功耗物联网实现方法
US20160358215A1 (en) * 2015-06-02 2016-12-08 Quixey, Inc. Generating Advertisements based on Proximate Computing Devices
US9749420B2 (en) 2015-06-24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via an infrastructure device
US9654564B2 (en) * 2015-06-24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via a remote control proxy device
KR102077238B1 (ko) * 2015-07-01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설립 방법
US9974015B2 (en) 2015-07-03 2018-05-15 Afero, Inc. Embedded internet of things (IOT) hub for integration with an applian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729528B2 (en) 2015-07-03 2017-08-08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US9847569B2 (en) 2015-07-03 2017-12-19 Afero, Inc. Modular antenna for integration with an internet of things (IOT) hub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111070B2 (en) * 2015-07-03 2018-10-23 Afero, Inc. Embedded internet of things (IOT) hub slot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985837B2 (en) 2015-07-23 2018-05-29 Cisco Technology, Inc. Refresh of the binding tables between data-link-layer and network-layer addresses on mobility in a data center environment
US10547503B2 (en) * 2015-07-30 2020-01-28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connected device usage profile management
US10863422B2 (en) * 2015-08-03 2020-12-08 Convida Wireless, Llc Mechanisms for ad hoc service discovery
US9959558B2 (en) * 2015-08-18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cards as advertisements
US10028225B2 (en) * 2015-08-26 2018-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usage of internet services on mobile devices
US9954956B2 (en) * 2015-08-26 2018-04-24 Intel IP Corporation Secure discovery and connection to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 a wireless local-area network
WO2017037905A1 (ja) * 2015-09-02 2017-03-09 サン電子株式会社 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70029869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 장치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419877B2 (en) * 2015-10-07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178530B2 (en) * 2015-12-14 2019-01-08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sset and crowd tracking in an IoT system
US11588776B1 (en) * 2015-12-14 2023-02-21 Amazon Technologies, Inc. Publish-subscribe message updates
WO2017111833A1 (en) * 2015-12-26 2017-06-29 Intel Corporation Reusable device management in machine-to-machine systems
US9980220B2 (en) * 2016-02-01 2018-05-22 Cisco Technology, Inc.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remote management techniques
TWM523925U (zh) * 2016-02-25 2016-06-11 蕭如宣 物聯網整合平台
US10448454B1 (en) * 2016-03-21 2019-10-15 EMC IP Holding Company LLC Self-organizing distributed task coordination for ad-hoc computing environment
US10861002B2 (en) * 2016-05-27 2020-12-08 Afero, Inc. Internet of things (IoT) credit card tracking system
KR102525539B1 (ko) * 2016-06-03 202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US10375079B2 (en) * 2016-06-29 2019-08-06 Mcafee, Llc Distributed communication between internet of things devices
WO2018004642A1 (en) * 2016-07-01 2018-01-04 Intel Corporation Dynamic user interface in machine-to-machine systems
US11256828B1 (en) 2016-07-05 2022-02-22 Wells Fargo Bank, N.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oT devices by agent device
US10212639B2 (en) * 2016-07-26 2019-02-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ata path selection for narrow band wireless communication
US9781259B1 (en) 2016-07-27 2017-10-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t location track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326204B2 (en) 2016-09-07 2019-06-18 Cisco Technology, Inc. Switchable, oscillating near-field and far-field antenna
US10531236B2 (en) * 2016-11-03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iversal mute for internet of things enabled devices
KR102608996B1 (ko) * 2016-12-16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탐색 대상 기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002526B1 (en) * 2016-12-20 2018-06-19 Arrayent, Inc. Internet-of-things systems and methods
EP3560249A1 (en) 2016-12-23 2019-10-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nodes and methods for relative position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0325112B2 (en) 2016-12-29 2019-06-18 T-Mobile Usa, Inc. Privacy breach detection
US11782570B2 (en) * 2017-02-23 2023-10-10 Jue-Hsuan Hsiao Integration platform of internet of things and virtual device
KR102249598B1 (ko) * 2017-03-24 2021-05-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아이오티 디바이스 동작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7222376B (zh) * 2017-05-12 2020-11-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多协议运行控制装置和方法
US10440723B2 (en) 2017-05-17 2019-10-08 Cisco Technology, Inc. Hierarchical channel assignment in wireless networks
US10555341B2 (en) 2017-07-11 2020-02-04 Cisco Technology, Inc. Wireless contention reduction
US10440031B2 (en) 2017-07-21 2019-10-08 Cisco Technology, Inc. Wireless network steering
US10701531B2 (en) 2017-08-09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Environmental sensing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WI650987B (zh) * 2017-08-09 2019-02-11 梁峻維 低耗電藍牙物聯裝置
WO2019045745A1 (en) 2017-08-31 2019-03-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DEVICE INSTALLATION SYSTEM
US10735981B2 (en) 2017-10-10 2020-08-0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ayer 2 fast re-switch for a wireless controller
US11184452B2 (en) * 2017-10-13 2021-11-23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roxy computer
US10819707B1 (en) * 2017-10-31 2020-10-27 NortonLifeLoc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ating a user's physical location
US20190156589A1 (en) 2017-11-22 2019-05-2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communicable integration of an automobile system and a toll system
US10375667B2 (en) 2017-12-07 2019-08-06 Cisco Technology, Inc. Enhancing indoor positioning using RF multilateration and optical sensing
KR102385263B1 (ko) * 2018-01-04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홈 로봇 및 이동형 홈 로봇의 제어 방법
US10732624B2 (en) 2018-05-22 2020-08-0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User data digestion for autonomous car implementation
US10659460B2 (en) 2018-05-22 2020-05-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Two factor vehicle authentication
US10990109B2 (en) 2018-05-22 2021-04-2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Integrated connectivity of devices for resource transmission
US10655974B2 (en) 2018-05-22 2020-05-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routing and data services for user events based on real-time vehicle location
US10673618B2 (en) 2018-06-08 2020-06-02 Cisco Technology, Inc. Provisioning network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using a native blockchain platform
US10505718B1 (en) 2018-06-08 2019-12-10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for registering user equipment (UE) in wireless networks using a native blockchain platform
US10873636B2 (en) 2018-07-09 2020-12-22 Cisco Technology, Inc. Session management in a forwarding plane
US11510168B2 (en) * 2018-07-23 2022-11-22 Pricewaterhousecooper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proximal groupings of electronic devices
WO2020022622A1 (ko) * 2018-07-23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US10671462B2 (en) 2018-07-24 2020-06-0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management across a network
WO2020022780A1 (en) * 2018-07-25 2020-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 connection
US11252040B2 (en) 2018-07-31 2022-02-15 Cisco Technology, Inc. Advanced network tracing in the data plane
US10735209B2 (en) 2018-08-08 2020-08-04 Cisco Technology, Inc. Bitrate utilization feedback and control in 5G-NSA networks
US10284429B1 (en) 2018-08-08 2019-05-0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subscriber resources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623949B2 (en) 2018-08-08 2020-04-14 Cisco Technology, Inc. Network-initiated recovery from a text message delivery failure
US10949557B2 (en) 2018-08-20 2021-03-16 Cisco Technology, Inc. Blockchain-based auditing, instantiation and maintenance of 5G network slices
US10374749B1 (en) 2018-08-22 2019-08-06 Cisco Technology, Inc. Proactive interference avoidance for access points
US10567293B1 (en) 2018-08-23 2020-02-18 Cisco Technology, Inc. Mechanism to coordinate end to end quality of service between network nodes and service provider core
US10652152B2 (en) 2018-09-04 2020-05-12 Cisco Technology, Inc. Mobile core dynamic tunnel end-point processing
US10230605B1 (en) 2018-09-04 2019-03-12 Cisco Technology, Inc. Scalable distributed end-to-end performance delay measurement for segment routing policies
US10779188B2 (en) 2018-09-06 2020-09-15 Cisco Technology, Inc. Uplink bandwidth estimation over broadband cellular networks
US11558288B2 (en) 2018-09-21 2023-01-17 Cisco Technology, Inc. Scalable and programmable mechanism for targeted in-situ OAM implementation in segment routing networks
US10285155B1 (en) 2018-09-24 2019-05-07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user equipment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on on user plane
AU2018445615A1 (en) * 2018-10-16 2021-06-03 Kone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segregat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data within a shared data network
US10601724B1 (en) 2018-11-01 2020-03-24 Cisco Technology, Inc. Scalable network slice based queuing using segment routing flexible algorithm
KR20200074690A (ko) * 2018-12-1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120973A (ko) * 2019-04-04 2020-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45678B2 (en) * 2019-06-05 2022-02-08 Cisco Technology, Inc. Root network device causing execution of network service operations on behalf of constrained wireless network device in a low power and lossy network
US11048965B2 (en) * 2019-06-11 2021-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misplaced objects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11595818B2 (en) * 2019-06-24 2023-02-28 Forescout Technologies, Inc. Adaptive scanning
CN110245300A (zh) * 2019-07-11 2019-09-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电搜索方法及智能终端
US11176744B2 (en) * 2019-07-22 2021-1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pping sensor data using a mixed-reality cloud
KR20190094128A (ko) * 2019-07-23 2019-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IoT 기기 정보 제공 방법, IoT 기기 정보 제공 장치 및 지능형 컴퓨팅 디바이스
US10848567B1 (en) * 2019-11-29 2020-11-24 Cygnus, LLC Remote support for IoT devices
US11652891B2 (en) 2020-04-22 2023-05-16 At&T Mobility Ii Llc Dynamic and optimal selec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hubs in cellular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P990199A0 (en) * 1999-04-22 1999-05-13 Griffith University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050001902A1 (en) * 2003-02-27 2005-01-06 Randall Brogan Simplified user interface for an image capture device
JP2005141620A (ja) * 2003-11-10 2005-06-02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の選択方法、情報処理装置、検索サーバ、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075100A1 (en) * 2004-09-28 2006-04-06 Nokia Corporation System, device, softwar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UPnP support on devices
JP2008131301A (ja) * 2006-11-20 2008-06-05 Sony Corp 位置情報処理方法、位置情報処理システム、位置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139114A1 (en) * 2006-12-06 2008-06-12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user location based on association with seamless mobility context
JP5274192B2 (ja) * 2008-10-07 2013-08-28 Kddi株式会社 位置推定システム、位置推定サーバおよび位置推定方法
US9306813B2 (en) * 2009-12-23 2016-04-05 Apple Inc. Efficient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in a peer-to-peer networking environment with cooperative advertisement
EP2600109A3 (en) * 2011-11-30 2015-03-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calibration of a sensor unit and accessory comprising the same
US9143894B2 (en) * 2011-12-22 2015-09-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ximity and context based deduction of position for a GPS enable computing device
JP2013201581A (ja) * 2012-03-23 2013-10-03 Fujitsu Ltd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プログラム、無線通信装置、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30343343A1 (en) * 2012-03-30 2013-12-26 Mohammad Shahid Motion-Based Management of a Wireless Processor-Based Device
US9179021B2 (en) * 2012-04-25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 and connection based photo sharing
JP6114507B2 (ja) * 2012-06-12 2017-04-12 株式会社富士通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作業実績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38440B2 (en) 2013-07-29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detec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sound chirp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828A3 (ko) * 2018-12-28 2020-10-0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플랫폼 서버 및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03094A (ko) * 2019-08-16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64148A3 (ko) * 2021-01-29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대방 전자 장치와 함께 광고 패킷을 방송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4285A (ja) 2017-08-24
EP3152926A1 (en) 2017-04-12
CN106416142A (zh) 2017-02-15
WO2015187465A1 (en) 2015-12-10
US20150358777A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3285A (ko) 하나 이상의 근접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증강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프로파일의 생성
CN107094372B (zh) 用于实现低能量iot设备之间的快速连接的iot设备
US9413827B2 (en) Context aware actions among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10051068B2 (en) Mechanisms to route IoT notifications according to user activity and/or proximity detection
US9438440B2 (en) Proximity detec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sound chirps
EP2959663B1 (en) Controlling many different devices from a smart controller
EP3146733B1 (en) Triggering commands on a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broadcasted event notifications
US9989942B2 (en) Preemptively triggering a device a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ased on a motion-based prediction of a user initiating the device action
JP6392788B2 (ja) IoTデバイス用の解析エンジン
US20160073482A1 (en) Implementing a target lighting scene in a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a mobile light output device
US20150199610A1 (en) Determining indoor location using pattern matching of proximal peer-to-peer devices
US20160127460A1 (en) Multi-hop wireless peer-to-peer discovery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