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174A -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174A
KR20210005174A KR1020207034060A KR20207034060A KR20210005174A KR 20210005174 A KR20210005174 A KR 20210005174A KR 1020207034060 A KR1020207034060 A KR 1020207034060A KR 20207034060 A KR20207034060 A KR 20207034060A KR 20210005174 A KR20210005174 A KR 20210005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umulator
energy system
local energy
mobile devic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677B1 (ko
Inventor
벵트 린도프
야콥 스콕스트롬
페르 로센
Original Assignee
이.온 스베리지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온 스베리지 에이비 filed Critical 이.온 스베리지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1000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5/00Arrangements for supplying energy stored within a vehicle to a power network, i.e. vehicle-to-grid [V2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02J13/000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involved in a protection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02J3/32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the battery being on-board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e.g.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power aggregation, use of the battery for network load balancing, coordinated or cooperative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1General power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Abstract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S1);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에 관한 어큐뮬레이터 데이터에 기반하여 어큐뮬레이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 상기 판단된 각각의 어큐뮬레이터 상태 및 상기 판단된 에너지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식 장치(10) 각각을 스코어링(scoring)하는 단계(S3);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의 상기 각각의 스코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중에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될 하나의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하는 단계(S4); 및 상기 선택된 이동식 장치(10)로 상기 제어 정보 및/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서버(40)가 제시된다.

Description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
본 발명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서버에 관한 것이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점점 더 많은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고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예로는 태양 전지판과 풍차가 있다. 그러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계절에 따라서뿐만 아니라 하루 중에도, 시간에 따른 전력 생산의 변동이 커지도록 한다. 이는, 예를 들어, 태양과 바람의 변동 때문이다. 이러한 변동으로 인하여 때때로 특정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에너지의 과잉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정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는 때때로 에너지의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와 같은,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포함하는 이동식 장치를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볼 수도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이동식 장치 형태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때때로 과잉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때로는 에너지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이동식 장치에 관한 어큐뮬레이터 데이터에 기반하여 어큐뮬레이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각각의 어큐뮬레이터 상태 및 상기 판단된 에너지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식 장치 각각을 스코어링(scoring)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 각각의 상기 각각의 스코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 중에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과 연동된 제어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될 하나의 이동식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이동식 장치로 상기 제어 정보 및/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상태"라는 용어는, 에너지와 관련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상태(즉, 로컬 에너지 시스템이 에너지를 필요로 하거나 과잉 에너지가 존재하는 경우)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상태는,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지, 또는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낼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상태는 에너지의 필요 시점 또는 가용 기간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상태"라는 용어는 에너지와 관련한 어큐뮬레이터의 상태(즉, 어큐뮬레이터에 에너지가 필요하거나, 과잉 에너지가 존재하는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큐뮬레이터의 상태는, 어큐뮬레이터의 현재 충전 상태와 어큐뮬레이터의 최소 및/또는 최대 충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 상태는, 어큐뮬레이터의 바람직한 충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 상태는, 어큐뮬레이터가 바람직한 충전 상태에 도달해야 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식 장치를 선택하여, 현재 에너지의 과잉 발생을 겪고 있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고, 로컬 에너지 시스템을 재충전할 수 있다. 엔진에서 화석 연료를 태워 동력을 공급받는 종래의 이동식 장치들이, 전기 모터로 대체되거나, 전기 모터에 의해 추가적으로 동력을 공급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동식 장치는 전기 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자동차, 버스, 트럭, 드론, 로봇, 잔디 깎기 기계, 보트, 비행기, 헬리콥터 등이 있다. 전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장치의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다.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어큐뮬레이터는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는 전기화학적으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어큐뮬레이터는 수소 탱크일 수 있다. 수소 탱크는 이후에 연료 전지에서 전기로 변환될 수 있는 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로컬 에너지 시스템이 현재 에너지 부족을 겪고 있는 경우, 즉 모종의 이유로 충분한 에너지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이동식 장치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가도록 안내되어, 일부 에너지를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해당 지역의 이동식 장치의 활동을 활용하여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할 수 있으며, 충전 또는 다른 이유로 정류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동식 장치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현재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요구에 대한 이동식 장치의 어큐뮬레이터 상태 및 가능한 경우 기타 요구사항을 매칭시킴으로써, 에너지 공급과 수요는 국부적 규모로 매칭될 수 있다. 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고정 어큐뮬레이터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 반대의 경우,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과잉 에너지가 생산되면, 이를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생산이 부족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기 위해,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고정 어큐뮬레이터가 필요할 것이다.
특정 예에 따르면, 선택하는 단계의 동작은, 복수의 이동식 장치 중에서, 로컬 에너지 시스템과 연동된 제어 정보가 전송될 하나의 이동식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송하는 단계의 동작은 상기 선택된 이동식 장치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선택된 이동식 장치는 이미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주차장에 주차된 이동식 장치일 수 있다. 이동식 장치 형태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는 에너지가 필요할 수 있다. 선택된 이동식 장치는 동일한 주차장에 주차된 하나 이상의 이동식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이동식 장치는, 이동식 장치 형태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과잉 에너지를 공유할 수 있다. 이동식 장치 형태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과잉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선택된 이동식 장치는 동일한 주차장에 주차된 하나 이상의 이동식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이동식 장치는, 이동식 장치 형태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부터 과잉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세트의 이동식 장치가 주차장에 주차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이동식 장치의 필요에 따라 어떤 장치를 충전/방전할 지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로컬 에너지 시스템을 이동식 장치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선택된 이동식 장치와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주차장의 로컬 충전/방전 시스템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 데이터는 어큐뮬레이터의 현재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및 어큐뮬레이터의 최소 및/또는 최대 충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최대 충전 상태, 최소 충전 상태 및/또는 현재 충전 상태를 포함하는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잠재적으로 적합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이동식 장치의 필요성을 예측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 데이터는 어큐뮬레이터의 바람직한 충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식 장치는, 상기 이동식 장치가 이동을 위해 재활성화되었을 때, 어큐뮬레이터가 바람직한 충전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필요에 따라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식 장치의 일반적인 사용은 어큐뮬레이터의 최대 가용 용량의 일부(예: 절반)만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장치는 이 부분을 초과하는 에너지를 에너지가 필요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방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충전 상태를 알게 됨으로써, 이동식 장치와 로컬 에너지 시스템 간의 에너지 공급 및 수요의 더 나은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반적인 에너지 낭비가 줄어들 수 있다.
바람직한 충전 상태는 충전 상태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제공/흡수하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요구가 더욱 밀접하게 충족되도록, 이동식 장치는 선택한 바람직한 충전 상태 간격 내의 지점까지 충전/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필요는 이동식 장치의 필요에 비해 더욱 최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동식 장치 각각을 스코어링(scoring)하는 동작은, 이동식 장치를 각각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너지 비용을 추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장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은, 이동식 장치를 각각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행위는 주행, 비행, 프로펠링 또는 이동식 장치를 각각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운송하는 기타 활동적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식으로,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접근할 수 없는 이동식 장치는 고려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접근 중이지만 거리가 가까워 어큐뮬레이터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을 정도로 정류의 효율이 떨어지는 이동식 장치는, 이와 유사하게 고려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장치를 충전/방전함으로써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시간은 이동식 장치의 필요에 더 밀접하게 최적화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데이터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이동식 장치의 바람직한 작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작동 시간은, 작동 시간의 시작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작동 시간은, 작동 시간의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시작 시간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부터의 출발 시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는 소유자가 일을 끝낸 후 돌아올 때 로컬 에너지 시스템을 떠나고자 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 각각을 스코어링하는 단계의 동작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 각각에 대한 이동식 장치의 원하는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 각각에 관한 데이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 각각으로부터 이동식 장치를 어큐뮬레이터로 전달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에너지의 양에 관련될 수 있다. 이는, 에너지 제거의 필요성으로 인해, 에너지 충전이 더 많이 필요한 이동식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충전 상태가 바람직한 레벨을 초과하는 이동식 장치는, 에너지 제거가 필요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가도록 안내하지 않을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관한 데이터는 에너지의 가용 기간에 관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식 장치의 충전/방전 활동에 대한 계획을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세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판을 기반으로 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야간 충전 활동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가용 기간은 시간 단위 또는 하루의 일부로 측정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관한 데이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필요, 즉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과 관련될 수 있다. 이는, 충전 상태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 에너지가 필요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는, 이동식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과 관련된 데이터는 에너지가 필요한 기간과 관련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현재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알 경우, 복수의 이동식 장치와 로컬 에너지 시스템 간의 에너지 공급 및 수요의 더 나은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반적인 에너지 낭비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이동식 장치에게 결정된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 각각은 지리적 위치와 연동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장치의 현재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GPS 유닛을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지리적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이동식 장치의 현재 지리적 위치에 관련된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이동식 장치가 가게 될 길을 안내하는 단계의 동작은, 선택된 이동식 장치의 네비게이터로 상기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동식 장치가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네비게이션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자율주행 이동식 장치가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고/있거나, 인간 조작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태양 전지판, 풍력 터빈(wind turbine), 열 에너지 발생기,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이동식 장치, 지역 난방 시스템 또는 지역 냉방 시스템 또는 ectogridTM 과 같은 공유 난방 및 공유 냉방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WO 2017/076868 참조).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태양 전지판 세트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판 공원일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풍력 터빈 세트를 포함하는 풍력 터빈 공원일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지역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하거나 지역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에너지 시스템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적으로'는 제한된 공간 내에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차량, 집, 주택 블록 또는 도시의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주로 지역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지역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소비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시스템이다. 따라서, 생산된 에너지는 생산되는 장소에서 소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는, 그러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추가적인 에너지가 필요하거나, 초과 에너지를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이동식 장치를 현재 기결정된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한 이동식 장치로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수신기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기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관한 데이터 및, 어큐뮬레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에 관한 어큐뮬레이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 상태 판단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상태 - 상기 에너지 상태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관한 상기 데이터에 기반함 - 를 판단하고;
어큐뮬레이터 판단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식 장치 각각에 대한 어큐뮬레이터 상태 - 상기 이동식 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어큐뮬레이터 상태는 상기 각각의 이동식 장치의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에 기반함 - 를 판단하고;
스코어링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식 장치 각각을 스코어링하되, 각각의 스코어는 상기 각각의 결정된 어큐뮬레이터 상태 및 상기 결정된 에너지 상태에 기반하고;
상기 스코어링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 중에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과 연동된 제어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될 하나의 이동식 장치를 선택하되,
상기 수신기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과 연동된 상기 제어 정보 및/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이동식 장치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러한 서버는, 영역을 통과하는 이동식 장치가 서버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제1 양태에 기타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영역 내 로컬 에너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에너지 필요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된 방법의 특징은, 적용 가능한 경우 제2 양태에도 적용된다. 과도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내용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적용 범위는 아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된 장치의 특정 구성 요소에 제한되지 않으며 장치 및 방법에서 설명된 동작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하나"등의 관사는 문맥상 명확히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닛"에 대한 언급은 여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는" 및 이와 유사한 문구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측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대신 발명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 및 영역의 크기는 예시를 위해 과장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동일한 참조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호 연결된 복수의 이동식 장치, 서버 및 로컬 에너지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서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이동식 장치에게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는 완전성을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온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복수의 이동식 장치(10A, 10B, 10C),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및 서버(40)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이동식 장치(10A, 10B, 10C),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및 서버(40)는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은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이다. 이러한 통신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본원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이 경우, 각각의 이동식 장치(10A, 10B, 10C)는 전기 자동차로 예시된다. 전기 자동차는 이동식 장치(10)의 예시일 뿐이다. 이동식 장치(10)는 전기 모터에 의해 추진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버스, 트럭, 드론, 로봇, 잔디 깎기 기계, 보트, 비행기 및 헬리콥터가 있다.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에 저장된다.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어큐뮬레이터(20)는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는 전기화학적으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어큐뮬레이터는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 탱크일 수 있다. 수소는 이후 연료 전지에서 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20)는, 이동식 장치(10)가 이동식 장치를 추진하는 것과 같이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20)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많은 이동식 장치는 상당한 용량의 어큐뮬레이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늘날 시장에 나와있는 전기 자동차는 용량이 40 ~ 120kWh 정도인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몇 시간, 또는 심지어 며칠 동안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백업 공급으로 충분할 수 있다. 특히, 어큐뮬레이터를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전기 자동차 중 일부도, 어큐뮬레이터를 방전할 수 있는 기능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이후에 V2G (Vehicular to Grid) 시스템이라고 참조된다. 따라서, V2G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식 장치(10)는 탑재된 어큐뮬레이터(20)를 충전할 뿐만 아니라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방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식 장치(10)의 탑재된 어큐뮬레이터(20)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을 위한 백업 어큐뮬레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이동식 장치(10A, 10B, 10C)를 참조하지 않는 경우, "이동식 장치(10)"라는 용어가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될 것이다. 이동식 장치(10) 각각은 현재 지리적 위치와 연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에는 GPS 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풍력 터빈으로서 도시된다. 대안적으로,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태양 전지판, 열 에너지 발생기, 지역 난방 시스템, 지역 냉방 시스템, 공유 난방 및 공유 냉방 시스템, 또는 에너지의 지역 생성이 가능한 임의의 시스템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어큐뮬레이터(20)를 가지는 다른 이동식 장치(10)가 될 수도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지리적 위치와 연동될 수 있다. 지리적 위치는 에너지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 투입될 수 있는 위치이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이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할 필요가 없는 대신, 이동식 장치(10) 또는 다른 임의의 종류의 에너지 소비 장치와 같은 에너지 소비 장치에 연결된 경우에만, 에너지, 예를 들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과잉 에너지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속하는 고정 어큐뮬레이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의 조합으로,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된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일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 생산의 잠재적인 큰 변동으로 인해, 어큐뮬레이터가 필요할 수 있다. 각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를 대비한 고정 어큐뮬레이터를 설계하는 것은 에너지 시스템 전체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V2G 시스템은 특정 시간 순간에는 일부 로컬 에너지 시스템이 과잉 에너지를 가지고, 다른 시간 순간에는 에너지 부족을 가지는 문제를 완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서버(40)의 더 상세한 개략도는 도 2와 관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서버(40)는 트랜시버(transceiver)(42), 제어 회로(44) 및 메모리(48)를 포함한다.
트랜시버(42)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와 개별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시버(42)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트랜시버(42)는 서버(40)가 이동식 장치(10) 및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등의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및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은 또한 서버(40)와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통신은 데이터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 다운로드 및/또는 업로드, 메시지 수신 또는 송신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데이터는 서버(40),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및/또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각각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처리는 데이터를 메모리, 예를 들어 서버(40)의 메모리(48) 내에 저장하고,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44)는 서버(40)의 기능 및 동작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44)는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4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6)는 서버(40)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48)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48)는 버퍼,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이동식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기타 적합한 장치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반적 장치에서, 메모리(48)는 장기 데이터 저장을 위한 비 휘발성 메모리 및, 제어 회로(48)를 위한 시스템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8)는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해 제어 회로(44)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메모리(48)와 제어 회로(44) 사이에 수반되는 제어 라인 및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서버(40)의 기능 및 동작은 상기 서버(40)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 메모리(48))에 저장되는 실행 가능한 논리 루틴(예: 코드 라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 회로(44)에 의해 실행된다(예를 들어, 프로세서(46) 사용). 또한, 서버(40)의 기능 및 동작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서버(40)와 관련된 추가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설명된 기능 및 동작은, 대응하는 장치가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었다고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기능 및 동작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러한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일부 조합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어 회로(44)는 어큐뮬레이터 상태 판단 기능(50)을 실행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 상태 판단 기능(50)은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의 어큐뮬레이터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 상태 판단 기능(50)은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에 관한 다음 어큐뮬레이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어큐뮬레이터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20)의 현재 충전 상태(SOC);
어큐뮬레이터(20)에 대하여 가능한 최대 또는 최소 SOC;
어큐뮬레이터(20)를 충전할 때의 전압 허용 오차(voltage tolerance);
이동식 장치(10)가 예를 들어 특정 블록, 도시 구역, 교외 등에 주차하도록 요청한 지리적 영역;
어큐뮬레이터 크기(예: kWh 단위로 측정됨);
SOC가 낮은 경우(예: 10 % 미만),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 표시; 및
어큐뮬레이터가 방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고, 그러한 경우 허용되는 방전량에 대한 표시(예: SOC 60 %까지).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에 관한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20)의 현재 SOC)이 상기 이동식 장치(10)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에 관한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에 가능한 최대 또는 최소 SOC 또는 어큐뮬레이터를 충전할 때의 전압 허용 오차)이, 메모리(48) 내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9)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각 엔트리는 어큐뮬레이터(20) 및/또는 이동식 장치(10)에 대한 ID에 연결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ID는 특정 유형의 어큐뮬레이터(20)에 대한 ID 일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ID는 특정 유형의 어큐뮬레이터(20) 각각에 대해 고유한 ID일 수 있다. 이동식 장치(10)의 ID는 특정 유형의 이동식 장치(10)에 대한 ID 일 수 있다. 이동식 장치(10)의 ID는 각각의 특정 이동식 장치(10)에 대해 고유 한 ID 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9)는 이후 국부적으로 저장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49)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여 컴파일(compile)된 분산 데이터베이스이다. 어큐뮬레이터(20)에 관한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20)에 관한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기결정될 수 있다.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의 어큐뮬레이터 상태는, 어큐뮬레이터(20)가 충전이 필요하거나, 어큐뮬레이터(20)에서 에너지를 제거해야 한다는 표시일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 상태는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격 레벨, 즉 어큐뮬레이터 충전에 허용되는 최대 가격, 또는 방전의 경우 네거티브 가격(negative price)의 요청일 수 있다. 추가 정보는 또한, "시간 X에서 SOC는 적어도 Y 일 필요가 있다"와 같은 유형의, 시간 측면을 포함하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44)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 상태 판단 기능(52)을 실행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 에너지 상태 판단 기능(52)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 에너지 상태 판단 기능(52)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다음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위치(지리적 위치);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에 관한 정보, 및 가능한 경우 측정된 에너지의 과잉 및 부족의 양;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거나 필요로 하는 시기와 기간에 관한 정보:
에너지 과잉 또는 부족에 따라 음수 또는 양수일 수 있는, 가격 제안(kWh 당 가격);
이동식 장치(10)를 수용하기 위한 전류 용량;
최소/최대 충전 전력; 및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이용 가능 시간(예를 들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폐쇄 시간에는 주차장에 수용될 수 있음).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상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에 관한 정보 및, 가능한 경우 측정된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의 양;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거나 필요로 하는 시기와 기간에 관한 정보; 가격 제안(kWh 당 가격)(에너지 과잉 또는 부족에 따라 음수 또는 양수일 수 있음); 이동식 장치(10)를 수용하기 위한 전류 용량; 또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이용 가능 시간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상기 데이터 중 하나 이상, 예를 들어, 최소/최대 충전 전력; 또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가용 시간이 데이터베이스(49)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9)의 각 엔트리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ID에 연결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위의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상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기결정 되어있을 수 있다. 복수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각각의 에너지 상태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에너지 제거가 필요하거나,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에너지 공급이 필요하다는 표시일 수 있다. 특히,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각각의 에너지 상태는 하나 이상의 이동식 장치(10)로 전달 가능한 에너지의 양 또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의해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44)는 스코어링 기능(54)을 실행할 수 있다. 스코어링 기능(54)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 또는 내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될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중에서 하나의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하여 선택된 이동식 장치(10)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이다. 제어 정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로, 선택된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로/로부터 에너지를 충전/방전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네비게이션 정보는 선택된 이동식 장치(10)에게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이다. 네비게이션 정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지리적 위치 및 선택된 이동식 장치(10)의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스코어링은, 복수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상태와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 상태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코어링은, 기설정된 선호도와 같은, 다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스코어링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될 것이며, 또한 몇 가지 예를 통해 예시될 것이다. 스코어링 기능(54)은 비교기(compar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는 스코어를 비교하고, 스코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비교기는 예를 들어, 최고 스코어를 가지는 하나의 특정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기는 임계값 이상의 점수를 가지는 이동식 장치(10)의 서브 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44)는 인스트럭션 기능(56)을 실행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 기능(56)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 또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결정된 이동식 장치(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이동식 장치(10)의 충전기/방전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의 조합으로, 인스트럭션 기능(56)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수신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충전기/방전기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네비게이션 정보는 선택된 이동식 장치(10)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정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대한 지리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대한 지리적 위치에 관한 정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식별자 및/또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실제 지리적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장치(10)에서 조작자 또는 네비게이션 컴퓨터는 이후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이동식 장치(10)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위치 및 이동식 장치(1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44) 및/또는 선택된 이동식 장치(10)는 가이딩 기능(58)을 실행할 수 있다. 가이딩 기능(58)은 또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지리적 위치 및/또는 선택된 이동식 장치(10)의 지리적 위치에 관련된 지리적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이동식 장치(10)의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네비게이션 데이터는 선택된 이동식 장치(10)가 선택된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도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내비게이션 데이터는 인스트럭션 기능(56)에 의해 이동식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GPS에 의해, 이동식 장치(10) 및/또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대한 지리적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지리적 위치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대해 기결정되고 데이터베이스(49)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동식 장치(10)의 네비게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이동식 장치(10)는 방향을 안내 받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되어 선택된 이동식 장치(10)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이다. 제어 정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로/로부터 선택된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로부터/로 에너지를 충전/방전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 정보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된 이동식 장치(10)로부터의 에너지의 충전/방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충전기/방전기를 제어하는 방법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충전기/방전기는 이동식 장치(10)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기/방전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이동식 장치(10)가 이미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되거나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도달하여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바로 연결되면, 제어 정보가 이동식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정보는 이동식 장치(10)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될 때 이동식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와 관련하여, 제어 정보는 이동식 장치(10)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될 때 로컬 에너지 시스템의 충전기/방전기로 전송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또는 이동식 장치(10) 중 하나에 배치된 충전기/방전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연결된 이동식 장치(10)로부터 에너지의 충전/방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서버(40)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으며, 탑재된 어큐뮬레이터(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40)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의 어큐뮬레이터(20)의 어큐뮬레이터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판단한다. 어큐뮬레이터 상태는 어큐뮬레이터의 충전이 필요한지 또는 어큐뮬레이터가 방전이 가능한지, 즉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관련될 수 있다. 서버(40)는 또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대한 에너지 상태와 연동된 정보를 판단한다. 에너지 상태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과 관련될 수 있다. 이후, 서버(40)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상태에 대한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 상태, 즉 상이한 이동식 장치의 요구(이동식 장치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지 또는 에너지를 제거해야 하는지)에 대해 어큐뮬레이터 상태를 매칭할 수 있다. 일 세트, 즉 하나 이상을 매칭함으로써, 이동식 장치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관련된 네비게이션 정보 및/또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관련된 제어 정보는 이후 하나 이상의 결정된 이동식 장치(10)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동식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이동식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이동식 장치(10)의 요구에 대응하는 요구를 갖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 라우팅(routed)될 수 있다.
매칭 절차의 세부 사항과 에너지 요구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에 관한 데이터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A, 10B, 10C) 중에서 이동식 장치(10A)가 과잉 에너지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동식 장치(10A)의 어큐뮬레이터(20)는 완전히 충전된다. 이동식 장치(10B)는 가까운 미래에 이동식 장치(10B)의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에너지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동식 장치(10C)는 에너지가 부족하여 곧 에너지가 고갈될 것이다.
제1 예에 따르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데이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에너지가 필요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서의 에너지 생산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서의 현재 에너지 수요보다 적을 수 있다. 스코어링 기능(54)의 스코어링은, 이동식 장치(10A)를 높게, 이동식 장치(10B)는 그만큼 높지 않도록, 이동식 장치(10C)는 가장 낮게 스코어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장치(10A)의 스코어는 10, 이동식 장치(10B)의 스코어는 5, 이동식 장치(10C)의 스코어는 1인, 1 ~ 10 의 스케일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어큐뮬레이터 데이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이 과잉 에너지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서의 에너지 생산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서의 현재 에너지 배출량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식 장치(10C)는 높게 스코어링될 것이고, 이동식 장치(10B)는 다시 중간으로 스코어링될 것이고, 이동식 장치(10A)는 가장 낮게 스코어링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식 장치(10C)의 스코어는 10, 이동식 장치(10B)의 스코어는 5, 이동식 장치(10A)의 스코어는 1인, 1 ~ 10 의 스케일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에 속하는 어큐뮬레이션 데이터는 이동식 장치(10)가 주차를 요청하는 지리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장치(10B, 10C)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이 포함된 지리적 영역에 주차되도록 설정된 유일한 이동식 장치(10)인 경우, 1-10 스케일로 스코어링되는 것은 이동식 장치(10B, 10C)뿐이다. 이러한 경우, 이동식 장치(10A)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이 이동식 장치(10A)가 주차할 계획인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0으로 스코어링될 수 있다. 물론,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또는 이동식 장치(10)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 또는 바람직한 상황을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가이딩 기능(54)의 스코어링이 이동식 장치(10)를 스코어링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파라미터 중 하나의 예는 풍력보다 태양광 발전을 선호하거나, 화석 연료 기반 전력보다 재생 가능 전력을 선호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특정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가 방전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이고, 이 경우, 예를 들어 60%의 SOC까지 허용되는 방전량에 대한 표시일 수도 있다.
전술된 예시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요구와 관련한 이동식 장치(10)의 요구 각각에 기초하여, 탑재된 어큐뮬레이터(20)를 가지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중 하나 이상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 가는 길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식 장치(10)가 바람직한 SOC의 범위를 가지도록, 예를 들어, 30% ~ 70% 또는 20% ~ 50%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이 행해지면, 가이딩 기능(54)은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식 장치(10)가 향하도록 안내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소유자는 자신의 직장에서 정류하기를 원한다. 전기 자동차는 30% ~ 50%의 바람직한 충전 상태를 가지도록 설정되고 이것을 서버(40)에 통신한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A)은 최대 용량이고 로컬 에너지 시스템(30C)은 거의 빈 상태이다. 이에 따라, 가이딩 기능(54)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C)의 희망 SOC 범위에 도달하기 위해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지라도, 로컬 에너지 시스템(30A)이 더 많은 방전을 필요로 하고, 더 높게 스코어링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요인들도 작용할 수 있다.
도 3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의 동작은 전술된 서버(40)의 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방법의 동작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장치에서 수행되는 유사한 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동일하게 인식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결정 단계(S1)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상태를 확인한다. 에너지 상태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결정 단계(S1)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기결정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가 미리 알려져 있을 수 있다. 결정 단계(S1)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측정 또는 추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데이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로 전달 가능한 에너지의 양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데이터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필요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데이터는 에너지의 가용 기간에 관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어큐뮬레이터(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의 어큐뮬레이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S2)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이동식 장치의 에너지 상태는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에 포함된 어큐뮬레이터 데이터에 기반한다. 결정 단계(S2)는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에 관한 기결정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정 단계(S2)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 등,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에 관해 미리 알려진 측정 또는 추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장치(10)에 관한 데이터의 예는 위에 나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에 속하는 데이터는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의 현재 충전 상태 및/또는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의 최대 충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장치(10)에 관한 데이터는 이동식 장치(10)의 어큐뮬레이터(20)의 바람직한 충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충전 상태는 충전 상태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이동식 장치(10) 각각에 대해 스코어링하는 단계(S3)를 더 포함한다. 스코어링은 이동식 장치(10) 각각에 대한 결정된 어큐뮬레이터 상태 및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대한 결정된 에너지 상태에 기초한다. 이동식 장치(10) 각각에 대한 스코어링 단계의 동작(S3)은, 이동식 장치(10)를 각각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너지 비용을 추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장치를 이동시키는 행위는 이동식 장치를 각각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행위는 주행, 비행, 프로펠링 또는 이동식 장치를 각각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으로 운송하는 기타 활동적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20)에 관한 데이터는 어큐뮬레이터(20)를 포함하는 이동식 장치(10)의 바람직한 작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작동 시간은 작동 시간의 시작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작동 시간은 작동 시간의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시작 시간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의 출발 시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드론인 이동식 장치(10)의 경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에너지는 회진(回進)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스코어링의 결과,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에 대한 스코어가 결정될 것이다. 스코어는, 예를 들어, 1 ~ 10의 스케일에 있어야 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중에서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관련된 제어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될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하는 단계(S4)를 더 포함한다. 선택 단계(S4)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의 스코어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선택 단계(S4)는 가장 높은 스코어를 가지는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 단계(S4)는 임계값 이상의 점수를 가지는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 및/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선택된 이동식 장치(10)로 전송함으로써 선택된 이동식 장치(10)에게 지시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이동식 장치(10)를 현재 기결정된 지리적 영역 내에 위치한 이동식 장치로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이동식 장치(10)가 이동하려고 하는 곳 안으로 지리적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지리적 영역 및 지리적 장소에 기반하여 스코어링될 복수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와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식 장치(10)는 소형 비행 드론, 엑소-스켈레톤(exo-skeleton) 또는 잠수함과 같이 전기 자동차 이외의 것일 수 있으며, 어큐뮬레이터가 있는 임의의 이동식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식 장치는 또한 자율주행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동식 장치의 주 과제는 특정 지리적 영역 내의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 부족을 밸런싱하기 위한 이동식 어큐뮬레이터가 되는 것이다. 그러한 이동식 장치의 예는, 유체로 채워진 탱크 형태의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일 수 있다. 유체를 가열하여, 유체 내에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비 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유체는 물 또는 글리콜(glycol)과 같은 동결 방지제와 혼합된 물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열 에너지 기반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서 에너지의 과잉과 부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도면, 개시 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이 이해되고 영향 받을 수 있다.

Claims (13)

  1.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데이터 -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 가능한 과잉 에너지, 상기 에너지의 가용 기간 및/또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 및 상기 에너지가 필요한 기간을 포함함 - 에 기반하여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S1);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에 관한 어큐뮬레이터 데이터 -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0)의 현재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20)의 최소 및/또는 최대 충전 상태를 포함함 - 에 기반하여 어큐뮬레이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
    상기 판단된 각각의 어큐뮬레이터 상태 및 상기 판단된 에너지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식 장치(10) 각각을 스코어링(scoring)하는 단계(S3);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각각의 상기 각각의 스코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중에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될 하나의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하는 단계(S4); 및
    상기 선택된 이동식 장치(10)로 상기 제어 정보 및/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0)의 바람직한 충전 상태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직한 충전 상태는 충전 상태의 범위(interval)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장치(10) 각각을 스코어링(scoring)하는 단계의 동작(S3)은, 상기 이동식 장치(10)를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너지 비용을 추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20)에 관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0)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식 장치(10)의 바람직한 작동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태양 전지판, 풍력 터빈(wind turbine) 및 열에너지 발생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이동식 장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지역 난방 시스템 및 지역 냉방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은 공용 난방 시스템 및 공용 냉방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10)를, 기결정된 지리적 영역 내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 이동식 장치로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의 동작(S4)은,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중에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가 전송될 하나의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의 동작은 상기 선택된 이동식 장치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은 다른 이동식 장치이며, 상기 선택된 이동식 장치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에 연결된 이동식 장치로서 선택되는, 방법.
  13. 로컬 에너지 시스템(30) 내 에너지의 과잉 또는 부족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서버(40)에 있어서, 상기 서버(40)는:
    수신기(42) 및 제어 회로(44)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기(42)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데이터 -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 가능한 과잉 에너지, 상기 에너지의 가용 기간 및/또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 및 상기 에너지가 필요한 기간을 포함함 - 및, 어큐뮬레이터(20)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식 장치(10)에 관한 어큐뮬레이터 데이터 -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0)의 현재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20)의 최소 및/또는 최대 충전 상태를 포함함 -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회로(44)는:
    로컬 에너지 시스템 상태 판단 기능(52)을 사용하여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의 에너지 상태 - 상기 에너지 상태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에 관한 상기 데이터에 기반함 - 를 판단하고;
    어큐뮬레이터 판단 기능(50)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식 장치(10) 각각에 대한 어큐뮬레이터 상태 - 상기 이동식 장치(10) 각각에 대한 상기 어큐뮬레이터 상태는 상기 각각의 이동식 장치(10)의 상기 어큐뮬레이터 데이터에 기반함 - 를 판단하고;
    스코어링(scoring) 기능(54)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식 장치(10) 각각을 스코어링하되, 각각의 스코어는 상기 각각의 결정된 어큐뮬레이터 상태 및 상기 결정된 에너지 상태에 기반하고;
    상기 스코어링 기능(54)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식 장치(10) 중에서,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제어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될 하나의 이동식 장치(10)를 선택하되,
    상기 수신기(42)는 상기 로컬 에너지 시스템(30)과 연동된 상기 제어 정보 및/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선택된 이동식 장치(10)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서버(40).
KR1020207034060A 2018-04-30 2019-04-26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 KR102481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70083.2 2018-04-30
EP18170083.2A EP3565079A1 (en) 2018-04-30 2018-04-30 Handling surplus and/or deficit of energy in a local energy system
PCT/EP2019/060768 WO2019211199A1 (en) 2018-04-30 2019-04-26 Handling surplus and/or deficit of energy in a local energ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174A true KR20210005174A (ko) 2021-01-13
KR102481677B1 KR102481677B1 (ko) 2022-12-28

Family

ID=6209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060A KR102481677B1 (ko) 2018-04-30 2019-04-26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14479A1 (ko)
EP (2) EP3565079A1 (ko)
KR (1) KR102481677B1 (ko)
CN (1) CN112673537A (ko)
WO (1) WO201921119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6194A1 (en) * 2010-05-10 2011-11-10 Emalfarb Hal A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20120245750A1 (en) * 2011-03-25 2012-09-2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ic vehicle charging scheduling system
US20120249068A1 (en) * 2009-12-24 2012-10-04 Hitachi Ltd Power Grid Control System Using Electric Vehicle, Power Grid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WO2014033944A1 (ja) * 2012-09-03 2014-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の充電支援システムおよび充電支援方法
WO2017076868A1 (en) * 2015-11-04 2017-05-11 E.On Sverige Ab A district thermal energy distribu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6075B2 (en) * 2008-06-16 2012-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charging transaction interface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transactions
US7880339B2 (en) * 2009-02-03 2011-02-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solation circuitry and method for hiding a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 of an associated processing circuit
JP5439242B2 (ja) * 2010-03-18 2014-03-12 株式会社東芝 エネルギーナビゲーション制御装置、エネルギ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ナビゲータ
JP5395764B2 (ja) * 2010-08-24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方法、充電監視制御センタ、車載カーナビ装置、および電力系統安定化システム
US20150345962A1 (en) * 2014-05-27 2015-12-03 Atieva, Inc. Automated Vehicle Route Scheduling and Optimization System
US10011183B2 (en) * 2016-03-09 2018-07-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Optimized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plug-in electric vehicle
DE102016212026A1 (de) * 2016-07-01 2018-01-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Stabilisierung eines Versorgungsnetzes
DE102017113845A1 (de) * 2017-06-22 2018-12-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ladestation mit einem Energiespeicher
EP3565078A1 (en) * 2018-04-30 2019-11-06 E.ON Sverige AB Handling surplus and/or deficit of energy in local energy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9068A1 (en) * 2009-12-24 2012-10-04 Hitachi Ltd Power Grid Control System Using Electric Vehicle, Power Grid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US20110276194A1 (en) * 2010-05-10 2011-11-10 Emalfarb Hal A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20120245750A1 (en) * 2011-03-25 2012-09-2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ic vehicle charging scheduling system
WO2014033944A1 (ja) * 2012-09-03 2014-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の充電支援システムおよび充電支援方法
WO2017076868A1 (en) * 2015-11-04 2017-05-11 E.On Sverige Ab A district thermal energy distribu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73537A (zh) 2021-04-16
WO2019211199A1 (en) 2019-11-07
EP3788693A1 (en) 2021-03-10
EP3565079A1 (en) 2019-11-06
KR102481677B1 (ko) 2022-12-28
US20210114479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861B1 (ko)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
CN102164772B (zh) 用于控制运载工具能量存储装置的方法和系统
CN107031430B (zh) 用于在驾驶路线的多个位置上给电动车辆充电的控制策略
US9725169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an unmanned air vehicle
US8983657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vehicles deployed in a worksite
EP268619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ultiple storage devices
US20200406780A1 (en) Modular electric battery-powered systems and methods
US20170174092A1 (en) Mobile energy storage and method for providing energy to a consumer
EP2826688A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power usage of a vehicle
CA2952372C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to reduce utility cost
WO2018177921A1 (en) Smart charging with energy planning and grid optimalization
GB2561409A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ange of a vehicle
KR102113270B1 (ko) 철도역사 및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차량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Salah et al. Simultaneous electric vehicles scheduling and optimal charging in the business context: case study
CN115803559A (zh) 用于为车辆加注进行准备的方法
CN108233445B (zh) 用于交通工具的充电控制方法和装置
KR102481677B1 (ko) 로컬 에너지 시스템 내 에너지의 과잉 및/또는 부족을 처리하는 방법
Gade The new battery management system in electric vehicle
WO2023085334A1 (ja) 移動体充電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充電方法
JP2020174489A (ja) 電池システム、鉄道車両および電池管理方法
JP7136785B2 (ja) 電力システム、蓄電装置、電力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移動体
Kumar et al. A Comprehensive Power Management Approach for Hydrogen Fuel-cell-Based Hybrid EVs Using PID Controller
CN117360829B (zh) 一种基于无人机的自动换电管理方法及装置
US20220089058A1 (en) Predicting charging time for battery of electrified vehicle
US20210129687A1 (en) System and process for utilizing a deployable flex range battery to augment a prim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