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704A -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704A
KR20210004704A KR1020190081527A KR20190081527A KR20210004704A KR 20210004704 A KR20210004704 A KR 20210004704A KR 1020190081527 A KR1020190081527 A KR 1020190081527A KR 20190081527 A KR20190081527 A KR 20190081527A KR 20210004704 A KR20210004704 A KR 2021000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re
unit
support
lz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725B1 (ko
Inventor
박지환
박정욱
Original Assignee
제이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7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조하고, 제1 코어부 및 이와 대향하는 제2 코어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코어부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제1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부는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제2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측면과는 이격되도록

Description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Device for manufacturing 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렌즈는 현미경, 확대 망원경(magnifier telescope),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광학 기구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이러한 렌즈는 렌즈 자체로, 또는 렌즈와 함께 다른 기계적 부재나 전자적 부재를 함께 모듈화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렌즈의 형태 및 표면 구성은 렌즈 특성에 영향을 끼치므로 고정밀 공정을 진행하여 렌즈를 형성한다.
이러한 렌즈는 가열 압착 공정을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고, 그 형태도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렌즈 가공의 정밀성이 향상됨에 따라 렌즈를 포함한 렌즈 모듈은 광모듈 또는 광통신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렌즈가 필요한 기술 분야의 고정밀화에 따라 렌즈의 최종 성형물의 크기가 작아지고, 그에 따라 렌즈 원재료의 크기도 점점 작아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가열 및 압축을 통한 성형 시 원하는 정밀한 형태와 특성을 갖는 렌즈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 모듈의 특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렌즈 모듈의 제조 특성을 향상하고, 광특성이 향상된 렌즈 모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조하고, 제1 코어부 및 이와 대향하는 제2 코어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코어부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제1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부는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제2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측면과는 이격되도록 배치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렌즈부의 적어도 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 또는 상기 제2 코어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지지부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렌즈 모듈의 제조 공정을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단부의 일 영역은 상기 렌즈부 제조 공정 중 상기 제1 코어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는 상기 제2 코어부보다 지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부의 압력 제공부 또는 상기 제2 코어부의 압력 제공부의 일 영역에 챔퍼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부의 또는 상기 제2 코어부는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는 렌즈 모듈 제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광특성이 향상된 렌즈 모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방법으로 제조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 모듈을 이용한 광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K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코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E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도 6의 F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코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K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L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일 영역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방법으로 제조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LSU)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모듈(LSU)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LSU)은 구체적으로 렌즈부(LZM) 및 지지부(SPM)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PM)는 렌즈부(LZM)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SPM)는 렌즈부(LZU)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렌즈부(LZM)의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하면서 렌즈부(LZU)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SPM)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이 렌즈부(LZU)와 접하면서 렌즈부(LZU)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SPM)의 일측은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을 발생하는 광원 등의 부재에 대응되거나 인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광이 용이하게 렌즈부(LZM)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SPM)의 단부에는 연결 영역(SPM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영역(SPMb)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원부 또는 광원부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SPMb)은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연결 영역(SPMb)의 외면은 지지부(SPM)의 측면과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결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SPM)의 외면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SPM)의 일 영역은 두께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LZM)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또한 렌즈부(LZM)는 광통신용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에 대응될 수 있다.
렌즈부(LZM)는 제1 단부(LZa) 및 제2 단부(LZb)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단부(LZa) 및 제2 단부(LZb)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을 보는 측면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LZa) 또는 제2 단부(LZb)는 각각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단부(LZa) 및 제2 단부(LZ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LZa)를 통하여 광이 입사되고 제2 단부(LZb)를 통하여 광이 출사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렌즈부(LZM)의 측면과 제1 단부(LZa)의 사이에는 제1 단차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단부(LZa)의 곡면과 렌즈부(LZM)의 측면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지지부(SPM)과 렌즈부(LZM)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렌즈부(LZM)의 측면과 제2 단부(LZb)의 사이에는 제2 단차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2 단부(LZb)의 곡면과 렌즈부(LZM)의 측면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지지부(SPM)과 렌즈부(LZM)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렌즈 모듈을 이용한 광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광 모듈(10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 모듈(10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광 모듈(1000)은 렌즈 모듈(LSU), 베이스(ST), 광원부(LD) 및 하나 이상의 핀(WD)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LSU)은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일 수 있는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ST)에는 광모듈(1000)에 사용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ST)는 지지부(SPM)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SPM)의 연결 영역(SPMb)과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결합될 수 있다.
광원부(LD)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다양한 종류의 광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LD)는 상기 베이스(ST)에 배치될 수 있다.
핀(WD)은 하나 이상,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핀(WD)은 광모듈(1000)에 인가되는 다양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핀(WD)은 광원부(L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ST)상에 배치된 다양한 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ST)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핀(WD)은 관통공을 통하여 베이스(ST)의 상부의 부재 또는 광원부(LD)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광특성 거리(DSP)는 광모듈(1000)의 광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광특성 거리(DSP)는 광원부 규격(DLP) 및 광원부 간격(DL1)의 합일 수 있다.
광원부 규격(DLP)은 광원부(LD)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들면 크기에 의존할 수 있다.
광원부 간격(DL1)은 렌즈부(LZM)와 광원부(LD)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K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100)는 제1 코어부(110) 및 제2 코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부(110) 및 제2 코어부(12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코어부(110)와 제2 코어부(120)의 사이에 렌즈 원재료를 배치하여 렌즈부(LZM)를 형성하고, 이 때, 렌즈부(LZM)는 지지부(SPM)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적절한 압력 및 열을 가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코어부(110)의 영역 중 제2 코어부(1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하부 플레이트(LP)가 배치되어 제1 코어부(1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코어부(120)의 영역 중 제1 코어부(1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상부 플레이트(VP)가 배치되어 제2 코어부(1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코어부(110)는 렌즈부(LZM)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예를들면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의 하면인 제1 단부(LZa)의 형태를 성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어부(110)는 제1 본체부(111) 및 제1 압력 전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부(111)는 제1 코어부(110)의 주된 영역으로서 압력원, 예를들면 하부 플레이트(LP)로부터 압력을 제공받는 받침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전달부(112)는 렌즈 원재료와 접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제공하여 렌즈부(LZM)의 제1 단부(LZa)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압력 전달부(112)는 제1 본체부(111)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렌즈부(LZM)의 제1 단부(LZa)의 형태에 대응하는 대응면(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대응면(112a)은 오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부(LZM)은 볼록한 형태의 제1 단부(LZ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전달부(112)는 렌즈부(LZM)를 지지하도록 감싸는 지지부(SPM)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도록 지지부(SPM)의 내측 공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SPM)에 영향을 주거나 지지부(SPM)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코어부(110)의 제1 본체부(111)는 지지부(SPM)보다 큰 폭을 갖고 제1 압력 전달부(112)는 지지부(SPM)와 동일 또는 그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압력 전달부(112)는 지지부(SPM)의 내부 공간의 폭과 동일 또는 그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코어부(110)를 통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 제공 시 지지부(SPM)의 단부, 예를들면 연결 영역(SPMb)가 제1 코어부(110)의 일 영역에 접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본체부(111)의 상면과 제1 압력 전달부(112)의 사이의 일 영역과 접할 수 있다.
제1 코어부(110)를 통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 제공 시 제1 코어부(110)는 도 4를 기준으로 지지부(SPM)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지지부(SPM)의 연결 영역(SPMb)이 일 영역에 접하면 걸림 현상으로 더 이상 제1 코어부(110)는 이동하지 않고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 제공이 정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LZM)의 하면과 지지부(SPM)의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에 도시한 광모듈 구현 시 광 특성에 영향을 주는 광특성 거리(DSP)에 대한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코어부(110)는 제조 시 지면, 또는 공정 진행 공간의 바닥에 지지될 수 있고, 제1 코어부(110)는 기준점으로 작용하고 제2 코어부(120)의 조작으로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광특성 거리(DSP)에 대한 미세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100)는 홀더부(130), 스톱링(150) 및 슬리브(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130)는 하나 이상의 수용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홀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1 코어부(110) 및 제2 코어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130)는 받침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140)는 홀더부(1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지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돌출 지지부(미도시)는 홀더부(130)의 지지 홈(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홀더부(130)의 움직임 특히 회전을 감소 또는 방지하도록 돌출 지지부(미도시)의 측면은 회전체의 형태 대신, 다각형과 유사하도록 하여 걸림부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홀더부(130)는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데, 예를들면 제1 가스 배출구(131a) 및 제2 가스 배출구(131b)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스 배출구(131a) 및 제2 가스 배출구(131b)는 렌즈 원재료에 대한 성형 공정 시 배출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스톱링(150)은 홀더부(13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톱링(150)의 최상면은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단계에서 상부 플레이트(VP)를 통한 가압 시 가압의 한계점으로 작용하여 렌즈부(LZM)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톱링(150)은 복수의 배출구(151)를 가질 수 있다. 홀더부(130)의 제1 가스 배출구(131a) 및 제2 가스 배출구(131b)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배출구(15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은 직접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배출구(151)는 제1 가스 배출구(131a) 및 제2 가스 배출구(131b)와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배출구(151)는 제1 가스 배출구(131a) 및 제2 가스 배출구(131b)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130)의 제1 가스 배출구(131a) 및 제2 가스 배출구(131b)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배출하면서, 성형 공정 단계 진행 시 렌즈 원재료에 가해지는 열이 배출구(15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여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100)의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톱링(150)의 재질을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Steel Use Stainless(SUS)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여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플레이트(VP)와 하부 플레이트(LP)를 통한 열전달 시 이러한 열의 방출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슬리브(160)가 홀더부(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SPM)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코어부(110) 및 제2 코어부(120)를 통한 압력의 제공을 통한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시 지지부(SPM)의 불필요한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는 제1 코어부 및 이와 대향하는 제2 코어부를 통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성형 공정을 진행하고, 결과적으로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1 코어부는 렌즈부의 하면인 제1 단부의 형태를 성형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렌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하측 단부, 예를들면 연결 영역이 제1 코어부의 일 영역에 지지되어 렌즈부의 성형 공정을 진행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코어부를 통한 압력을 가하는 공정의 설정값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광모듈에서 광특성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광특성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부의 제1 본체부는 지지부보다 큰 폭을 갖고, 제1 본체부와 연결된 제1 압력 전달부는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및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렌즈부의 성형을 위한 압력의 효율적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2 코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E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의 F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200)는 제1 코어부(210) 및 제2 코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부(210) 및 제2 코어부(22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코어부(210)와 제2 코어부(220)의 사이에 렌즈 원재료를 배치하여 렌즈부(LZM)를 형성하고, 이 때, 렌즈부(LZM)는 지지부(SPM)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적절한 압력 및 열을 가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코어부(210)의 영역 중 제2 코어부(2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하부 플레이트(LP)가 배치되어 제1 코어부(2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코어부(220)의 영역 중 제1 코어부(2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상부 플레이트(VP)가 배치되어 제2 코어부(2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코어부(220)는 렌즈부(LZM)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예를들면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의 상면인 제2 단부(LZb)의 형태를 성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어부(220)는 제2 본체부(221) 및 제2 압력 전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부(221)는 제2 코어부(220)의 주된 영역으로서 압력원, 예를들면 상부 플레이트(VP)로부터 압력을 제공받는 기저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압력 전달부(222)는 렌즈 원재료와 접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제공하여 렌즈부(LZM)의 제2 단부(LZb)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압력 전달부(222)는 제2 본체부(221) (221)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렌즈부(LZM)의 제2 단부(LZb)의 형태에 대응하는 대응면(222a)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대응면(222a)은 오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부(LZM)은 볼록한 형태의 제2 단부(LZ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압력 전달부(222)는 일 영역에 챔퍼부(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챔퍼부(222c)는 대응면(222a)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챔퍼부(222c)는 대응면(222a)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챔퍼부(222c)를 통하여 제2 압력 전달부(222)의 모서리에서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압력 전달부(222)를 통한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의 성형 시 모서리에서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챔퍼부(222c)는 제2 압력 전달부(222)의 측면과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압력 전달부(222')는 일 영역에 챔퍼부(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챔퍼부(222c')는 대응면(222a')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챔퍼부(222c')는 대응면(222a')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챔퍼부(222c')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을 포함하는 챔퍼부(222c')를 통하여 제2 압력 전달부(222')의 모서리에서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LZM)의 성형 시 렌즈부(LZM)와 제2 압력 전달부(222')간의 밀착력을 향상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잔존 기체로 인한 렌즈부(LZM)의 형태 불량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2 코어부(220)의 제2 본체부(221) 는 일 영역에 경사부(221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경사부(221T)는 제2 본체부(221) 의 영역 중 제2 압력 전달부(222)를 향하는 하면(221b)의 가장자리와 제2 본체부(221) 의 측면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21T)를 통하여 제2 본체부(221) 의 일 영역에서 제2 압력 전달부(222)를 향하는 영역의 폭이 감소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감소폭(W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본체부(221) 의 측면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t)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경사부(221T) 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221T)를 통하여 제2 코어부(220)가 홀더부(230)에 배치시 홀더부(230)와의 간섭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제2 코어부(220)를 통한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는 공정을 안정적으로 진행하여 렌즈부(LZM)의 성형 과정을 정밀하게 진행할 수 있다.
기저부(223)는 제2 본체부(221) 의 영역 중 제2 압력 전달부(222)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영역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본체부(221)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본체부(221) 의 큰 폭은 제2 코어부(220)가 홀더부(230)에 배치되어 렌즈부(LZM)에 대한 성형 공정 중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코어부(220)가 제1 코어부(210) 방향으로 비정상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기저부(223)의 영역 중 제1 코어부(210)를 향하는 영역은 걸림부(223p)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코어부(220)의 기저부(223)와 인접한 제2 본체부(221) 의 측면의 영역에 오목부(221g)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21g)를 통하여 제2 코어부(220)가 홀더부(230)의 내측에 배치 시 홀더부(230)에 제2 코어부(220)의 걸림부(223p가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제2 코어부(220)과 홀더부(230)간의 공간을 확보하여 제2 코어부(220) 및 홀더부(230)간의 마찰로 인한 상호 손상, 파손 또는 변형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2 코어부(220)의 제2 압력 전달부(222)는 렌즈부(LZM)를 지지하도록 감싸는 지지부(SPM)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도록 지지부(SPM)의 내측 공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SPM)에 영향을 주거나 지지부(SPM)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코어부(220)의 제2 본체부(221) 는 지지부(SPM)보다 큰 폭을 갖고 제2 압력 전달부(222)는 지지부(SPM)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2 압력 전달부(222)는 지지부(SPM)의 내부 공간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어부(210)는 제2 코어부(22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1 코어부(110)와 동일하거나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200)는 홀더부(230), 스톱링(250) 및 슬리브(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230)는 하나 이상의 수용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홀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1 코어부(210) 및 제2 코어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230)는 받침부(240)에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240)는 홀더부(2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지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돌출 지지부(미도시)는 홀더부(230)의 지지 홈(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홀더부(230)의 움직임 특히 회전을 감소 또는 방지하도록 돌출 지지부(미도시)의 측면은 회전체의 형태 대신, 다각형과 유사하도록 하여 걸림부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홀더부(230)는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데, 예를들면 제1 가스 배출구(231a) 및 제2 가스 배출구(231b)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스 배출구(231a) 및 제2 가스 배출구(231b)는 렌즈 원재료에 대한 성형 공정 시 배출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스톱링(250)은 홀더부(23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톱링(250)의 최상면은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단계에서 상부 플레이트(VP)를 통한 가압 시 가압의 한계점으로 작용하여 렌즈부(LZM)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톱링(250)은 복수의 배출구(251)를 가질 수 있다. 홀더부(230)의 제1 가스 배출구(231a) 및 제2 가스 배출구(231b)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배출구(25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은 직접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배출구(251)는 제1 가스 배출구(231a) 및 제2 가스 배출구(231b)와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배출구(251)는 제1 가스 배출구(231a) 및 제2 가스 배출구(231b)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230)의 제1 가스 배출구(231a) 및 제2 가스 배출구(231b)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배출하면서, 성형 공정 단계 진행 시 렌즈 원재료에 가해지는 열이 배출구(25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여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200)의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톱링(250)의 재질을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Steel Use Stainless(SUS)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여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플레이트(VP)와 하부 플레이트(LP)를 통한 열전달 시 이러한 열의 방출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슬리브(260)가 홀더부(2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SPM)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코어부(210) 및 제2 코어부(220)를 통한 압력의 제공을 통한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시 지지부(SPM)의 불필요한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는 제1 코어부 및 이와 대향하는제2 코어부를 통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성형 공정을 진행하고, 결과적으로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2 코어부는 제2 본체부 및 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 압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압력 제공의 효율성 및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어부의 제2 압력 전달부는 일 영역, 예를들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챔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부의 성형 시 렌즈부의 모서리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2 압력 전달부의 가장자리의 파손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어부의 제2 본체부는 일 영역에 측면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경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제2 본체부의 폭은 경사부가 없는 영역에서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코어부를 감싸는 홀더부와의 간섭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제2 코어부를 통한 렌즈부의 성형 과정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어부는 제2 압력 전달부가 형성된 영역의 반대 영역에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저부는 제2 본체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하여 기저부의 일 영역이 걸림부로서 홀더부에 걸려서 압력 제공의 제한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제1 코어부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술한 제1 코어부의 동작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코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 영역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K의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L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의 일 영역이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300)는 제1 코어부(310) 및 제2 코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부(310) 및 제2 코어부(32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코어부(310)와 제2 코어부(320)의 사이에 렌즈 원재료를 배치하여 렌즈부(LZM)를 형성하고, 이 때, 렌즈부(LZM)는 지지부(SPM)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적절한 압력 및 열을 가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코어부(310)의 영역 중 제2 코어부(32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하부 플레이트(LP)가 배치되어 제1 코어부(3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코어부(320)의 영역 중 제1 코어부(3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상부 플레이트(VP)가 배치되어 제2 코어부(3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코어부(310)는 렌즈부(LZM)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예를들면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의 하면인 제1 단부(LZa)의 형태를 성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어부(320)는 렌즈부(LZM)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예를들면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의 상면인 제2 단부(LZb)의 형태를 성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어부(320)는 제1 본체부(311) 및 제1 압력 전달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11)는 제1 코어부(310)의 주된 영역으로서 압력원, 예를들면 하부 플레이트(LP)로부터 압력을 제공받는 바닥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전달부(312)는 렌즈 원재료와 접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제공하여 렌즈부(LZM)의 제1 단부(LZa)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압력 전달부(312)는 제1 본체부(311)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렌즈부(LZM)의 제1 단부(LZa)의 형태에 대응하는 대응면(312a)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대응면(312a)은 오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부(LZM)은 볼록한 형태의 제2 단부(LZ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전달부(312)는 일 영역에 챔퍼부(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챔퍼부(312c)는 대응면(312a)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챔퍼부(312c)는 대응면(312a)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챔퍼부(312c)를 통하여 제1 압력 전달부(312)의 모서리에서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압력 전달부(312)를 통한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의 성형 시 모서리에서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챔퍼부(312c)는 제1 압력 전달부(312)의 측면과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챔퍼부(312c)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을 포함하는 챔퍼부(312c)를 통하여 제1 압력 전달부(312)의 모서리에서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LZM)의 성형 시 렌즈부(LZM)와 제1 압력 전달부(312)간의 밀착력을 향상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잔존 기체로 인한 렌즈부(LZM)의 형태 불량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1 코어부(310)는 일 영역에 경사부(315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코어부(310)는 제1 본체부(311)와 제1 압력 전달부(312)의 사이에 중간부(315)를 포함할 수 있고, 중간부(315)는 렌즈부(LZM)에 대한 성형 공정 시 지지부(SPM)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부(315)는 제1 본체부(311)보다 작은 폭을 갖고 제1 압력 전달부(312)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어부(310)의 경사부(315T)는 중간부(315)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경사부(315T)는 중간부(315)의 영역 중 제1 압력 전달부(312)를 향하는 상면의 가장자리와 중간부(315)의 측면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315T)를 통하여 중간부(315)의 일 영역에서 제1 압력 전달부(312)를 향하는 영역의 폭이 감소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감소폭(W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중간부(315)의 측면을 기준으로 각도(t)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경사부(315T) 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315T)를 통하여 제1 코어부(310)를 통한 렌즈부(LZM)에 대한 성형 시 지지부(SPM)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 중간부(315)가 지지부(SPM)와 간섭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제1 코어부(310)가 용이하게 렌즈부(LZM)의 성형을 위한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 제공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바닥부(313)는 제1 본체부(311)의 영역 중 제1 압력 전달부(312)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바닥부(313)와 제1 본체부(311)의 사이에 그루브(311g)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그루브(311g)에는 제1 코어부(310)를 통한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중 제1 코어부(310)의 진동이나 불필요한 움직임을 감소하도록 고정 부재등을 삽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간부(315)는 상측부(315a) 및 하측부(3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부(315a)는 제1 압력 전달부(312)와 연결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하측부(315b)는 제1 본체부(311)와 연결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측부(315b)는 상측부(315a)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어부(310)를 통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 제공 시 지지부(SPM)의 단부, 예를들면 연결 영역(SPMb)이 제1 코어부(310)의 일 영역에 접할 수 있고, 예를들면 중간부(315)의 하측부(315b)의 상면의 일 영역과 접할 수 있다.
제1 코어부(310)를 통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 제공 시 제1 코어부(310)는 도 12를 기준으로 지지부(SPM)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지지부(SPM)의 연결 영역(SPMb)이 중간부(315)의 하측부(315b)의 일 영역에 접하면 걸림 현상으로 더 이상 제1 코어부(310)는 지지부(SPM)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고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 제공이 정지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의 걸림 현상으로 렌즈부(LZM) 성형 공정 중 중간부(315)의 최상면은 지지부(SPM)와 접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SPM)에 대한 보호가 용이하고 렌즈부(LZM)에 대한 정밀한 성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LZM)의 하면과 지지부(SPM)의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에 도시한 광모듈 구현 시 광 특성에 영향을 주는 광특성 거리(DSP)에 대한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측부(315b)와 상측부(315a)의 사이에는 홈부(315g)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홈부(315g)를 통하여 지지부(SPM)과 중간부(315)간의 불필요한 마찰로 인한 비정상적인 간섭이나 손상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출홈(315h)이 중간부(315)에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배출홈(315h)은 중간부(315)의 상측부(315a)로부터 하측부(315b)에 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렌즈부(LZM)에 대한 성형 공정 중 발생한 압력은 지지부(SPM)과 제1 코어부(310)의 사이에 잔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중간부(315)의 최상면과 지지부(SPM)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잔존하는 압력 또는 잔존하는 불필요한 기체는 배출홈(315h)을 통하여 중간부(315)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고, 지지부(SPM)의 내측 공간의 불필요한 압력 증가를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배출홈(315h)는 중간부(315)의 측면에 하나 이상, 예를들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코어부(310)의 제1 압력 전달부(312)는 렌즈부(LZM)를 지지하도록 감싸는 지지부(SPM)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도록 지지부(SPM)의 내측 공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SPM)에 영향을 주거나 지지부(SPM)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렌즈부(LZM)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제2 코어부(320)는 제1 코어부(3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2 코어부(220)와 동일하거나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300)는 홀더부(330), 스톱링(350) 및 슬리브(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330)는 하나 이상의 수용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홀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1 코어부(310) 및 제2 코어 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330)는 받침부(340)에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340)는 홀더부(3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지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돌출 지지부(미도시)는 홀더부(330)의 지지 홈(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홀더부(330)의 움직임 특히 회전을 감소 또는 방지하도록 돌출 지지부(미도시)의 측면은 회전체의 형태 대신, 다각형과 유사하도록 하여 걸림부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홀더부(330)는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데, 예를들면 제1 가스 배출구(331a) 및 제2 가스 배출구(331b)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스 배출구(331a) 및 제2 가스 배출구(331b)는 렌즈 원재료에 대한 성형 공정 시 배출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스톱링(350)은 홀더부(33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톱링(350)의 최상면은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단계에서 상부 플레이트(VP)를 통한 가압 시 가압의 한계점으로 작용하여 렌즈부(LZM)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톱링(350)은 복수의 배출구(351)를 가질 수 있다. 홀더부(330)의 제1 가스 배출구(331a) 및 제2 가스 배출구(331b)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배출구(35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은 직접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배출구(351)는 제1 가스 배출구(331a) 및 제2 가스 배출구(331b)와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배출구(351)는 제1 가스 배출구(331a) 및 제2 가스 배출구(331b)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330)의 제1 가스 배출구(331a) 및 제2 가스 배출구(331b)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배출하면서, 성형 공정 단계 진행 시 렌즈 원재료에 가해지는 열이 배출구(35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여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300)의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톱링(350)의 재질을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Steel Use Stainless(SUS)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여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플레이트(VP)와 하부 플레이트(LP)를 통한 열전달 시 이러한 열의 방출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슬리브(360)가 홀더부(3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SPM)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코어부(310) 및 제2 코어부(320)를 통한 압력의 제공을 통한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시 지지부(SPM)의 불필요한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는 제1 코어부 및 이와 대향하는제2 코어부를 통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성형 공정을 진행하고, 결과적으로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1 코어부는 제1 본체부 및 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1 압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압력 제공의 효율성 및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부의 제1 압력 전달부는 일 영역, 예를들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챔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부의 성형 시 렌즈부의 모서리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압력 전달부의 가장자리의 파손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부의 일 영역에 측면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코어부는 제1 본체부와 제1 압력 전달부의 사이에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중간부는 제1 본체부의 폭 및 제1 압력 전달부의 폭의 사이의 값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어부의 중간부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제1 코어부의 중간부의 폭은 경사부가 없는 영역에서의 중간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코어부의 중간부를 감싸는 지지부와의 간섭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제1 코어부를 통한 렌즈부의 성형 과정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부는 제1 압력 전달부가 형성된 영역의 반대 영역에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닥부와 제1 본체부의 사이에는 설정 깊이만큼 일 영역이 제거된 것과 유사한 형태로서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에 고정 부재를 삽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핀 형태의 고정 부재를 삽입하여 제1 코어부의 불필요한 진동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중간부가 상측부 및 하측부를 포함하고 상측부는 지지부의 내측에 대응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하고 하측부는 상측부보다 큰 폭을 가져 지지부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제1 코어부를 통한 압력 제공의 공정 중에 지지부에 대한 압력 제공 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코어부를 통한 정밀한 렌즈부 성형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출홈을 상기 중간부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연결하도록 형성하여 지지부의 내측 공간에 지지부와 제1 코어부로 인한 압력의 증가 및 불필요한 잔존 기체를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제2 코어부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술한 제2 코어부의 동작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400)는 제1 코어부(410) 및 제2 코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부(410) 및 제2 코어부(4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는 복수개의 제1 코어부(410) 및 제2 코어부(420)의 쌍이 도시되어 있고, 예를들면 6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제1 코어부(410) 및 제2 코어부(420)의 쌍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8개의 쌍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더부(430)는 하나 이상의 수용홀(IH)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홀(IH)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1 코어부(410) 및 제2 코어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6개의 수용홀(IH)이 개시되어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개수의 수용홀(IH)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8개의 수용홀(IH)을 구비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430)는 기둥과 같은 형태, 예를들면 곡면의 외면을 포함할 수 있고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홀더부(430)는 받침부(440)에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440)는 홀더부(4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지지부(442)를 구비할 수 있고, 돌출 지지부(442)는 홀더부(430)의 지지 홈(432)에 대응될 수 있다. 이 때 홀더부(430)의 움직임 특히 회전을 감소 또는 방지하도록 돌출 지지부(442)의 측면은 회전체의 형태 대신, 다각형과 유사하도록 하여 걸림부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홀더부(430)는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는데, 예를들면 제1 가스 배출구(431a) 및 제2 가스 배출구(431b)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스 배출구(431a) 및 제2 가스 배출구(431b)는 렌즈 원재료에 대한 성형 공정 시 배출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스톱링(450)은 홀더부(43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톱링(450)의 최상면은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단계에서 상부 플레이트(VP)를 통한 가압 시 가압의 한계점으로 작용하여 렌즈부(LZM)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톱링(450)은 복수의 배출구(451)를 가질 수 있다. 홀더부(430)의 제1 가스 배출구(431a) 및 제2 가스 배출구(431b)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배출구(45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은 직접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배출구(451)는 제1 가스 배출구(431a) 및 제2 가스 배출구(431b)와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배출구(451)는 제1 가스 배출구(431a) 및 제2 가스 배출구(431b)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더부(430)의 제1 가스 배출구(431a) 및 제2 가스 배출구(431b)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배출하면서, 성형 공정 단계 진행 시 렌즈 원재료에 가해지는 열이 배출구(45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여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400)의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톱링(450)은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톱링(450)의 재질을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Steel Use Stainless(SUS)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여 보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플레이트(VP)와 하부 플레이트(LP)를 통한 열전달 시 이러한 열의 방출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톱링(450)은 받침부(440)와 독립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톱링(450)은 받침부(440)와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슬리브(460)가 홀더부(4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SPM)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코어부(410) 및 제2 코어부(420)를 통한 압력의 제공을 통한 렌즈부(LZM)의 성형 공정 시 지지부(SPM)의 불필요한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듈은 복수 개의 제1 코어부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코어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더부를 포함하고, 이를 감싸는 스톱링을 포함하여 복수의 렌즈부에 대한 성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를 위한 렌즈 원재료에 대한 압력 제공과 함께 열을 가하는 공정을 진행 시 성형 공정 중에 열이 필요한 공간에 잔류하도록 하여 성형 공정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공정 후에 불필요한 열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렌즈 모듈 제조시 불필요한 열로 인한 불량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LZM: 렌즈부
SPM: 지지부
110, 210, 310, 410: 제1 코어부
120, 220, 320, 420: 제2 코어부
100, 200, 300, 400: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Claims (5)

  1. 적어도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조하고, 제1 코어부 및 이와 대향하는 제2 코어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코어부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제1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어부는 제2 본체부, 상기 제2 본체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렌즈부를 성형하기 위한 렌즈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제2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 및 상기 제2 코어부는 상기 렌즈부의 측면과는 이격되도록 배치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렌즈부의 적어도 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 또는 상기 제2 코어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지지부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렌즈 모듈의 제조 공정을 진행하도록 형성된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단부의 일 영역은 상기 렌즈부 제조 공정 중 상기 제1 코어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부는 상기 제2 코어부보다 지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부의 압력 제공부 또는 상기 제2 코어부의 압력 제공부의 일 영역에 챔퍼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부의 또는 상기 제2 코어부는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KR1020190081527A 2019-07-05 2019-07-05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KR10232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27A KR102327725B1 (ko) 2019-07-05 2019-07-05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27A KR102327725B1 (ko) 2019-07-05 2019-07-05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704A true KR20210004704A (ko) 2021-01-13
KR102327725B1 KR102327725B1 (ko) 2021-11-18

Family

ID=7414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27A KR102327725B1 (ko) 2019-07-05 2019-07-05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474A1 (ko) * 2021-11-26 2023-06-01 노바옵틱스 주식회사 논다이싱 타입 웨이퍼마스크가 구비되는 적외선 렌즈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렌즈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747A (ja) * 1993-04-21 1994-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モールド用金型
JPH0911063A (ja) * 1995-06-29 1997-01-14 Olympus Optical Co Ltd 接合レンズ心出し装置
JP2003023201A (ja) * 2001-07-05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る成形金型と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8164853A (ja) * 2006-12-27 2008-07-17 Hitachi Maxell Ltd 光学素子の製造方法、光学素子用成形型及び光学素子
JP2009040658A (ja) * 2007-08-10 2009-02-26 Hitachi Maxell Ltd 光学素子成形装置及び鏡筒付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20150115504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747A (ja) * 1993-04-21 1994-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モールド用金型
JPH0911063A (ja) * 1995-06-29 1997-01-14 Olympus Optical Co Ltd 接合レンズ心出し装置
JP2003023201A (ja) * 2001-07-05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る成形金型と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8164853A (ja) * 2006-12-27 2008-07-17 Hitachi Maxell Ltd 光学素子の製造方法、光学素子用成形型及び光学素子
JP2009040658A (ja) * 2007-08-10 2009-02-26 Hitachi Maxell Ltd 光学素子成形装置及び鏡筒付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20150115504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474A1 (ko) * 2021-11-26 2023-06-01 노바옵틱스 주식회사 논다이싱 타입 웨이퍼마스크가 구비되는 적외선 렌즈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렌즈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725B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3181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20180275376A1 (en) Photograph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9507117B2 (en) Lens module
US9904031B2 (en) Lens module
CN108627941B (zh) 塑胶镜筒、相机模块及电子装置
US11262526B2 (en) Lens module
KR20140014955A (ko) 렌즈 모듈
US20160161699A1 (en) Lens module
JP2014123151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9759885B2 (en) Lens module
JP5804881B2 (ja) 直接描画露光装置用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WO2014057666A1 (ja) 光結合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
US10215927B2 (en) Al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position of optical fiber bore ferrule
KR20210004704A (ko)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TW201640166A (zh) 雷射寫入光學路由安排系統及方法
US7986470B2 (en) Aperture stop and lens module
US893416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20090316283A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lens group
JP2020021064A (ja) 光学レンズおよび光学レンズユニット
JP6985462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US10461496B2 (en) Self-aligning laser assembly
KR102306106B1 (ko) 렌즈 모듈
KR102381780B1 (ko) 렌즈 모듈
US20140082935A1 (en) Method for passive alignment of optical components to a substrate
KR101444622B1 (ko) 렌즈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