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861A - Paper container with cap - Google Patents

Paper container with c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861A
KR20210003861A KR1020207033766A KR20207033766A KR20210003861A KR 20210003861 A KR20210003861 A KR 20210003861A KR 1020207033766 A KR1020207033766 A KR 1020207033766A KR 20207033766 A KR20207033766 A KR 20207033766A KR 20210003861 A KR20210003861 A KR 2021000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ont panel
inlet
top edge
pap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코우야 나카무라
토모유키 나가미
요시타카 요네다
아야사 오쿠라
요시히로 우라노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859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189312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050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209982A/en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8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4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present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 본체 내에 있어서의 액상물의 잔류를 적게 할 수 있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이며, 사각 통모양의 몸통부(6)와 바닥부(7)와 평탄한 꼭대기부(8)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9)와, 꼭대기부(8)에 마련된 입구마개(10)로 이루어지고, 입구마개(10)를 꼭대기부(8)의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하고, 몸통부(6)는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 또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 분기해서 바닥부(7) 방향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제1 바닥부 모서리부(13(A))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로 둘러싸인 제1 오목부(16)를 형성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stopper capable of smoothly ejecting a liquid substance from the container body and reducing the residual liquid substance in the container body, and has a rectangular cylindrical body portion 6 ), a container body (9) consisting of a bottom (7) and a flat top (8), and an inlet plug (10) provided at the top (8), and the inlet plug (10) is attached to the top (8). ) Of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and the trunk portion 6 is located at the first top edge portion 12 (A) and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 or a loca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edge (11 (A)) as the starting point (S), branching from the starting point (S) and extending toward the bottom (7), and the first bottom A first concave portion 16 was formed, which was connected at a position between until it reached the corner portion 13 (A) and surrounded by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for forming an end point E.

Description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Paper container with cap

본 발명은, 우유나 주스 등의 액체 음료나 액체 세제 등의 액상물이나, 젤리나 크림 등의 점조물, 과실편 등의 고형 모양의 음식을 믹스한 액체 음료 등의 액상물을 수용하는 플랫 톱형 꼭대기부(頂部)를 가지는 입구마개(口栓)가 달린 종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t top type that accommodates a liquid product such as a liquid beverage such as milk or juice, a liquid detergent such as a liquid detergent, a viscous product such as jelly or cream, a liquid beverage such as a mixture of solid food such as fruit slices It relates to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stopper having a top part (頂部).

종래부터, 우유나 주스 등의 액체 음료나 액체 세제 등의 액상물이나, 젤리나 크림 등의 점조물, 과실편 등의 고형 모양의 음식을 믹스한 액체 음료 등의 액상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하로 개구하는 사각통 형상의 통모양 몸통부(胴部)와 그 통모양 몸통부의 위쪽 개구를 밀봉하는 평탄한 꼭대기부와 상기 통모양 몸통부의 아래쪽 개구를 밀봉하는 바닥부(底部)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꼭대기부에 마련된 입구마개로 이루어지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liquid substances such as liquid beverages such as milk or juice, liquid substances such as liquid detergents, viscous substances such as jelly or cream, and liquid beverages mixed with solid foods such as fruit pieces, A container body comprising a rectangular cylindrical body that opens up and down, a flat top that seals the upper opening of the cylindrical body, and a bottom that seals the lower opening of the cylindrical body. Wow,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made of an inlet plug provided at the top is widely used.

이와 같은,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소위 플랫 톱형의 꼭대기부를 가지는 입구마개가 달린 용기는, 근래 갖가지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입구마개 본체와 캡으로 이루어지는 나사식의 주출구 마개(注出口栓)를, 그 입구마개 본체의 선단과, 평탄한 상면 바로 옆(直近)의 짧은변을 잇는 가상 직선과 상면과의 올려본각(仰角)이, 액체용 종이 용기를 기울여서 액상물을 주출하는(따라 내는) 입구마개 본체의 주출각(注出角)보다 커지는 바와 같은 근방의 위치에 장착한 것에 의해, 액상물의 주출시에, 액상물이 상면의 전단부에 접촉해서 액흘림 등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용 종이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Such a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having a so-called flat top-shaped top portion having a flat top surface has been improved in recent years, for example, a screw-type spout stopper consisting of an inlet plug body and a cap.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ip of the main body of the inlet plug and the short side of the flat top surface, and the raised bone angle between the top surface, tilts the paper container for liquid to pour out the liquid. The inside) prevents the liqui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causing liquid spillage when the liquid is ejected by installing it at a position near the spout angle of the main body of the inlet plug. A paper container for liquid is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또, 입구마개로부터 액상물을 따라 내기 쉽게 하는 것으로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장의 측면 패널로 이루어지는 몸통부(71)와, 바닥부(72)와 경사진 평탄한 꼭대기부(73)로 이루어지고, 꼭대기부(73)가 한쌍의 수평이고 높이가 다른 평행한 변(74, 75)과 한쌍의 경사진 평행한 변(76, 77)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꼭대기부(73)에 입구마개(78)를 부착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In addition, it is easy to pour out liquid from the inlet plug, and as shown in FIG. 20, the body portion 71 made of four side panels, the bottom portion 72 and the inclined flat top portion 73 are used. The top portion 73 is a rectangular inclined surface consisting of a pair of horizontal and parallel sides 74 and 75 of different heights and a pair of inclined parallel sides 76 and 77, and the top portion ( A paper container 70 with an inlet plug in which an inlet plug 78 is attached to 73) is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76674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076674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5580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35580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액체용 종이 용기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사각통 형상의 통모양 몸통부의 상부에 플랫 톱형의 꼭대기부를 가지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에 의하면,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액상물의 주출은, 일반적으로 용기 본체를 기울여서 입구마개로부터 액상물의 주출을 하고 있다.According to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stopper having a flat top-shaped top on the upper part of a square-shaped cylindrical body as exemplified in the liquid paper contain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liquid substance contained therein is ejected. In general, the container body is inclined and liquid is ejected from the inlet plug.

이 때, 용기 본체 내를 입구마개를 향해 흐르는 액상물의 유속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의 몸통부가 사각통 형상이기 때문에, 경사진 하측에 있는 대략 직각을 보이는 몸통부 모서리부(角部)에 접하는 액상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크고, 그 때문에, 액상물의 위쪽 부분의 유속은 빠르고, 아래쪽 부분의 유속은 느려진다.At this time, in the flow rate of the liquid substance flowing through the container body toward the inlet stopper, the body of the container body has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liquid substance in contact with a substantially right angle of the body at an inclined lower side The resistance to flow is large, and therefore, the flow velocity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iquid material is fast, and the flow velocity in the lower portion becomes slow.

그 때문에, 액상물의 주출에 원활함이 부족하고, 그리고, 액상물에 비중이 큰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알갱이가 들어있는 옥수수 스프나 알갱이가 들어있는 감귤 주스와 같은 경우, 고형물이 아래쪽으로 가라앉아 몸통부 모서리부 내에 쌓여(체류하여), 그 주출이 곤란해지고, 용기 본체 내에 잔류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For this reason, when the smoothness of the liquid substance is not smoothly poured out, and the liquid substance contains a solid substance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for example, corn soup containing grains or citrus juice containing grains.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lid material sinks downward and accumulates (stays) in the corners of the trunk, making it difficult to extract and remains in the container body.

또, 액상물이, 젤리나 크림 등의 점조물인 경우, 점조물이 몸통부의 내면에 들러붙어, 그 주출이 곤란해지고, 용기 본체 내에 잔류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liquid substance is a viscous substance such as jelly or crea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scous substance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making it difficult to extract, and remaining in the container body.

또, 도 20에 도시하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에 의하면, 한쌍의 수평이고 높이가 다른 평행한 변(74, 75)과 한쌍의 경사진 평행한 변(76, 77)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꼭대기부(73)에 입구마개(78)를 부착했으므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를 세운 상태에서, 경사진 꼭대기부(73)에 경사 공간에 의한 공기 체류부(공기가 괸 곳)(79)가 생긴다(도 21 참조.). 이 상태로부터,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를, 경사진 꼭대기부(73)의 낮은 쪽의 변(74)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한 상태로 해서 액상물을 주출하면(도 22 참조.), 용기 본체(80)의 내면에서 공기 체류부(79)가 입구마개(78)의 개구 상부에 걸리고, 입구마개(78)의 개구가 액상물로 가로막히지 않아, 액상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입구마개(78)의 개구 상부로부터 용기 본체(80)에 공기가 막힘없이 들어가고, 공기 체류부(79)로 직접 빠지게 되어, 입구마개(78)를 흐르는 액상물의 출렁거림(고동침)이 적게 억제되어, 액상물의 주출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aper container 70 with an inlet cap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shown in FIG. 20, a pair of horizontal and parallel sides 74 and 75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a pair of inclined parallel sides ( Since the inlet stopper 78 is attached to the top portion 73, which is a rectangular inclined surface made of 76, 77), the paper container 70 with the inlet plug is erected, and the inclined top portion 73 is inclined. An air retention portion (a place where air was drawn) 79 is formed by the space (see Fig. 21). From this state, when the paper container 70 with an inlet stopper is inclined so that the lower side 74 of the inclined top part 73 faces downward, the liquid is ejected (see Fig. 22). ),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80, the air retention portion 79 is caught on the top of the opening of the inlet stopper 78, and the opening of the inlet stopper 78 is not blocked by liquid material, so the inlet is accompanied by the ejection of the liquid material. Air enters the container body 80 from the top of the opening of the stopper 78 without clogging, and is directly discharged into the air retention portion 79, thereby reducing the fluctuation of liquid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stopper 78 (pinching needle). , It is easy to pour out liquid.

이와 같은 효과는, 공기 체류부(79)에 있어서, 액상물의 액면(F)과 꼭대기부(73)의 내면과의 대면 간격이 비어 있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이 대면 간격의 거리가 짧으면, 입구마개(78)의 개구에 공기 체류부(79)가 걸린 상태에서 액상물을 추출할 수 있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의 기울임 각도가 작아진다. 그러면, 액상물의 주출을 조금씩밖에 행할 수 없어, 액상물을 재빠르게 주출할 수가 없다. 또, 입구마개(78)의 개구에 공기 체류부(79)가 걸린 상태에서 액상물을 주출할 수 있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의 기울임 각도의 범위도 좁아지기 때문에,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의 기울임 각도의 조정이 어렵고, 또 잘못해서 기울임 각도를 크게 해 버리면 액상물로 입구마개(78)의 개구가 가로막혀 액상물의 출렁거림이 생기므로, 액상물을 용이하게 또한 원활하게 주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꼭대기부(73)의 경사 각도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를 크게 기울여도 입구마개(78)의 개구에 공기 체류부(79)가 걸려, 액상물을 용이하게 또한 재빠르게 추출할 수 있도록, 액상물의 액면(F)과 꼭대기부(73)의 내면과의 대면 간격이 충분히 빈 공기 체류부(79)를 형성할 수 있는 각도인 것이 요망된다.Such an effect is obtained by an empty space between the liquid surface F of the liquid substan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part 73 in the air retaining portion 79.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aces is shor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aper container 70 with the inlet plug capable of extracting the liquid substance while the air retaining portion 79 is held in the opening of the inlet plug 78 decreases. Then, the liquid substance can only be poured out little by little, and the liquid substance cannot be poured out quickly. In addition, the r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aper container 70 with an inlet plug capable of ejecting liquids while the air retaining portion 79 is held in the opening of the inlet plug 78 is also narrowe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aper container 70, and if the inclination angle is increased by mistake, the opening of the inlet stopper 78 is blocked with liquid material, causing the liquid material to fluctuate. It becomes difficult to pour out. For this reas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op portion 73 is, even if the paper container 70 with the inlet plug is inclined largely, the air retaining portion 79 is caught in the opening of the inlet plug 78, so that liquids can be easily and In order to be able to extract quickly, the distance between the liquid surface F of the liquid substan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portion 73 is desired to be an angle capable of forming a sufficiently empty air retention portion 79.

그러나, 반면에, 꼭대기부(73)의 경사를 크게 하면, 경사 분만큼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의 키가 커지므로(높이가 높아지므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의 수납시나 운반시 등에 지나친 장소를 차지해 버리거나, 또, 재료가 가외로(여분으로)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However, on the other hand, if the inclination of the top part 73 is increased, the height of the paper container 70 with the inlet stopper increases (because the height increases), so that the paper container 70 with the inlet stopper increases. There arises a problem that an excessive space is occupied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and additional (extra) materials are required.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repeated test studie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have come to achiev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 본체 내에 있어서의 액상물의 잔류를 적게 할 수 있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capable of smoothly pouring out a liquid substance from the container body and reducing the residual amount of the liquid substance in the container bod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정면(正面) 패널·우측면 패널·배면 패널·좌측면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각 통모양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아래쪽 개구를 밀봉하는 바닥부와, 몸통부의 위쪽 개구를 밀봉하는 평탄한 꼭대기부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꼭대기부에 마련된 입구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마개는, 상기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 중의, 정면 패널의 꼭대기변(頂邊)과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꼭대기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정면 패널·상기 우측면 패널·상기 배면 패널·상기 좌측면 패널 사이에 형성된 4개의 몸통부 모서리부 중, 상기 입구마개가 마련된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 사이의 제1 몸통부 모서리부에,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로부터 조금(약간) 떨어진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그 기점으로부터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로 분기해서 바닥부 방향을 향해 연장존재(延在)하고, 상기 정면 패널의 저변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밑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닥부 모서리부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折線部)로 둘러싸인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cylindrical body made of a front panel, a right side panel, a rear panel, and a left side panel, and a bottom portion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 A container body composed of a flat top portion sealing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portion, and an inlet plug provided on the top portion, wherein the inlet plug is of the front panel among the four top edge portions in the top portion.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top edge formed by the top side and the top side of either left or right side panel, and the trunk portion includes the front panel, the right side panel, the rear panel, and the top Among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trunk portion formed between the left panel, the first body portion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forming a first top edge portion provided with the inlet stopper, 1 A starting point is a top corner or a position slightly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corner, and branches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front pane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nd extends toward the bottom (延在) and connects at a position between the bottom side of the front panel and the first bottom edge formed by the bottom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nd forms two recesses as end poin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concave portion surrounded by a line portion is formed.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입구마개는, 상기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 중의, 상기 정면 패널의 꼭대기변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꼭대기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액상물의 주출시에,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입구마개가 근접한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가 아래쪽으로 되도록 기울여서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 사이의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가 홈통모양(gutter shape)으로 되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액상물을 상기 입구마개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가 있다. 또, 내용물이 점조물인 경우는, 몸통부 내면에 들러붙은 점조물이 몸통부 내면으로부터 벗겨져 떨어져서 홈통모양의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에 모을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액상물을 원활하게 주출할 수 있고, 액상물의 잔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stopper is formed by the top side of the front panel and the top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mong the four top edge portions at the top. Since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orner of the top, when the liquid substance contained therein is poured out, the container body is tilted so that the first top corner of the close to the inlet stopper is downward, so that the first top The first body portion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forming a minor edge portion has a gutter shape, so that th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can be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plug. In addition, when the contents are viscous articles, viscous article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can be peeled off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nd collected at the corners of the first barrel-shaped portion. Thereby, the liquid substance can be smoothly poured out and the residual liquid substance can be reduced.

또,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 사이의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에,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그 기점으로부터으로부터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로 분기해서 바닥부 방향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상기 정면 패널의 밑변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밑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닥부 모서리부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으로 하는 상기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로 둘러싸인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를 내면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오목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가 완만한 융기(솟아오름)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trunk portion between the front panel forming the first top edge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 little from the first top edge portion or the first top edge portion A distant position is taken as a starting point, branched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front panel and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nd extends toward the bottom, and is present on the bottom side of the front panel and the bottom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Since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at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bottom portion formed by the edge portion and is surrounded by the curved line portions for forming the two concave portions as an end point, the first body portion corner is on the inner surface side. As view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has a gentle bulge (rising)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이 융기에 의해 상기 제1 오목부의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측의 선단 부분이 상기 입구마개 방향을 향해 경사면으로 되고, 이 경사면에 의해 액상물을 주출할 때의 액상물의 유속이 늘어나서(빨라져서), 액상물을 원활하게 주출할 수 있고, 액상물의 잔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액상물이 고형물을 포함하는 바와 같은 경우나 점조물인 경우라도 원활하게 주출할 수 있고, 액상물의 잔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Due to this bulge, the tip portion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on the sid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top portion becomes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inlet plug direction, and the flow velocity of the liquid substance when the liquid substance is poured out by this slope increases (fastens), Liquids can be smoothly poured out, and residuals of liquids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even when the liquids contain solids or viscous substances, they can be smoothly poured out, reducing the residuals of liquids. I can make it.

또, 상기 제1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의 융기에 의해,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에 평활면이 형성되고, 이 평활면과 상기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를 사이에 둔(협지한)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측측면 패널과의 각도가 커지므로,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에 접하는 액상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은, 종래의 액체용 종이 용기에 있어서의 대략 직각을 보이는 몸통부 모서리부보다 작아져, 액상물의 유속을 빠르게 함과 동시에, 액상물에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경우라도 고형물이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 사이에 끼거나, 또, 액상물이 점조물인 경우라도 상기 몸통부의 내면에 들러붙어 버린다고 하는 바와 같은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액상물이 고형물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나 점조물인 경우라도, 원활하게 주출할 수 있고, 액상물의 잔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a smooth surface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by the elevation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formed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smooth surface and the curved line portion for forming the two concave portions Since the angle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side panel interposed therebetween increases, the resistance to the flow of the liquid in contact with the corner of the first body 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in the conventional liquid paper container. It is smaller than the corners of the body portion showing the, and at the same time, it speeds up the flow rate of the liquid substance, and the solid substance is caught between the corners of the first body part, or the liquid substance is Even if it is a viscous materi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stick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when a liquid material contains a solid material or even if it is a viscous material, it can be smoothly poured out. Residual can be reduced.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는, 정면 패널측이 낮고 배면 패널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low front panel side and a high rear panel side.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꼭대기부는, 정면 패널측이 낮고 배면 패널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액상물의 주출시에,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기울이면,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의 대각선 상에 있는 배면 패널의 꼭대기변과 측면 패널의 꼭대기변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이하,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라고 한다.)가 상측으로 되고, 기울였을 때의 상기 용기 본체의 꼭대기부에 형성되는 공기 체류부의 꼭짓점(頂点)은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로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since the top portion has a low front panel side and a high slope side, when the liquid is ejected, when the first top edge is tilted with the first top edge facing downward, the The edg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top edge portion) formed by the top edge of the rear panel and the top edge of the side panel on the diagonal of the first top edge portion becomes the upper side, and the above when inclined. The vertex of the air retention portion form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becomes the second top edge.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기울였을 때, 액면과 꼭대기부 내면과의 대면 간격이, 꼭대기부를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했을 때의 도 7에 도시하는 종래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에 비해 커진다. 이 결과, 액상물의 주출시에, 상기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종래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보다도 크게 기울여도, 상기 입구마개의 개구의 상부와 공기 체류부와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액상물의 출렁거림(고동침)을 억제하여 액상물을 주출할 수 있으므로, 액상물의 주출을 용이하게 또한 재빠르고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As a result, when inclined with the first top edge facing downward, the conventional space shown in Fig. 7 when the facing distance between the liquid surface and the top inner surface is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It is larger than a paper container with an opening cap of. As a result, when the liquid substance is ejected, even if the paper container with the inlet stopper is tilted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aper container with the inlet stopp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inlet plug and the air retaining portion, Since the liquid substance can be poured out by suppressing the swaying of the liquid substance, the liquid substance can be extracted easily, quickly and smoothly.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기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길이가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면 패널의 높이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cave portion has a length from a starting point to an end point of 50% or more of a height of the front panel in the trunk por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오목부의 기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길이를 상기 정면 패널의 높이의 5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벽면으로부터의 고형물이나 점조물의 박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어, 고형물이나 점조물을 원활하게 주출할 수가 있다. 또, 기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길이를 높이의 50% 이상으로 하면, 용기의 아이캐치성을 높일 수 있어, 디자인성(意匠性)이 높은 용기로 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by making the lengt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 point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to be 50% or more of the height of the front panel,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omote the peeling of the solid or viscous material from the wall surface. , Solids or viscous substances can be smoothly poured out. Further, when the lengt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 point is 50% or more of the height, the eye catchability of the container can be improved, and a container having high design can be obtained.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그의 수평 방향의 가장 넓은(最廣) 부위의 폭이,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면 패널의 폭의 10% 이상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width of the widest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the width of the front panel in the trunk por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10% and less than 30% of.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오목부는, 그의 수평 방향의 가장 넓은 부위의 폭을,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면 패널의 폭의 10% 이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고형물 등의 내용물이 모서리부에 쌓이거나, 들러붙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의 잔류를 막아, 원활하게 주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1 오목부는, 그의 수평 방향의 가장 넓은 부위의 폭을,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면 패널의 폭의 30% 미만으로 하고 있으므로, 용기를 성형하는 충전기(充塡機) 내에서 용기를 확실하게 꽉 쥘(파지할) 수 있어, 용기의 성형을 안정되게 행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ncave portion has a width of the widest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10% or more of the width of the front panel in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contents such as solids It can b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or sticking to the part, and it can prevent the remaining of the contents, so that it can be poured out smoothly.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ncave portion has a width of the widest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less than 30% of the width of the front panel in the body portion, in a filling machine for molding the container The container can be firmly gripped (held), and the container can be formed stably.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로서, 판지(板紙) 기재의 적어도 이면측에 실란트(sealant)를 적층한 종이 용기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곳인, 몸통부 세로 꺾은선(折線)을 거쳐 연접해 있는 정면 패널·우측면 패널·배면 패널·좌측면 패널과, 상기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곳인, 상기 정면 패널·배면 패널의 상단에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꼭대기면 패널 및 좌측면 패널·우측면 패널의 상단에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꺾은면(折面) 패널과, 상기 꼭대기면 패널과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에 봉지부(封止部) 가로 꺾은괘선(折罫線)을 거쳐 각각 연접해 있는 봉지 패널과, 상기 정면 패널·배면 패널의 하단에 바닥부 가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바닥면 패널 및 좌측면 패널·우측면 패널의 하단에 바닥부 가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내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정면 패널의 상단에 연접해 있는 꼭대기면 패널에는,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로 되는, 상기 정면 패널의 상단의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과, 상기 꼭대기면 패널과 상기 한쌍의 꺾은면 패널 중의 어느 한쪽의 꺾은면 패널과의 사이에 가지는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과의 교점에 근접한 위치에 입구마개 부착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곳인, 상기 교점에 이어지는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과의 사이의 몸통부 세로 꺾은선은, 상기 교점 또는 상기 교점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그 기점으로부터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로 분기해서, 상기 정면 패널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상기 정면 패널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과의 교점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으로 하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곳인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를 가지는 한 장의 공백 시트(blank sheet)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s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ca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made of a paper container material in which a sealant is laminated on at least the back side of a cardboard substrate, The front panel, the right panel, the rear panel, and the left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vertical line of the body, and the top of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which is a place forming the top, A pair of opposing top panels and a pair of facing panel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horizontal line at the top of the left and right panels and connected through a horizontal line. , An encapsulation panel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op panel and the side panel through a horizontally curved ruled line, and a horizontally curved line at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A pair of opposed bottom panels and a pair of opposed inner panel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horizontal line at the bottom portion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bottom panel and the left panel and the right side panel,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ross section, and at the top of the front panel In the connected top panel, a horizontal broken line at the top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which becomes the first top edge, and between the top panel and any one of the pair of broken panel panels. An opening for attaching an inlet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broken line at the top of the branch, and the front panel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and the side panel on ei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are formed at a location that forms the corner of the first trunk. The vertical dashed line of the trunk portion between the intersecting point or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intersection is a starting point, and branch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front panel and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nd the bottom horizontal dashed line of the front panel It extends toward the bottom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nd extends toward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and the bottom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o a blank sheet having two curved lines for forming the first concave portions, which are connect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intersections of the broken lines and the end points. do.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장의 공백 시트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since it is formed into a single blank sheet,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정면 패널·우측면 패널·배면 패널·좌측면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각 통모양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아래쪽 개구를 밀봉하는 바닥부와, 몸통부의 위쪽 개구를 밀봉하는 평탄한 사각형의 꼭대기부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꼭대기부에 마련된 입구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꼭대기부는, 정면 패널측이 낮고 배면 패널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입구마개는, 상기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 중의, 정면 패널의 꼭대기변과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꼭대기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a square cylindrical body made of a front panel, a right panel, a rear panel, and a left side panel, a bottom portion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portion, and a flat square shape sealing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portion. A container body composed of a top portion and an inlet plug provided on the top portion, the top portion has a low front panel side and a high inclined rear panel side, and the inlet plug includes 4 in the top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top edge portion formed by the top edge of the front panel and the top edge of either left or right side of the top edge portions of the dog.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꼭대기부는, 정면 패널측이 낮고 배면 패널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입구마개는, 상기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 중의, 정면 패널의 꼭대기변과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꼭대기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액상물의 주출시에,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기울이면,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의 대각선 상에 있는 배면 패널의 꼭대기변과 측면 패널의 꼭대기변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이하,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라고 한다.)가 상측으로 되고, 기울였을 때의 상기 용기 본체의 꼭대기부에 형성되는 공기 체류부의 꼭짓점은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로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the top portion has a low front panel side and a high inclined rear panel side, and the inlet stopper is the top of the front panel among the four top edge portions in the top portion. Since it is provid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top edge portion formed by the side and the top edge of either left or right side panel, when the liquid is poured out, when the first top edge is tilted with the first top edge facing downward, The edge portion formed by the top edge of the rear panel and the top edge of the side panel on the diagonal of the first top edg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top edge portion) is on the upper side, and when inclined. The vertex of the air holding portion form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becomes the second top edge.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기울였을 때, 액면과 꼭대기부 내면과의 대면 간격이, 꼭대기부를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했을 때의 도 7에 도시하는 종래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에 비해 커진다. 이 결과, 액상물의 주출시에, 상기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종래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보다도 크게 기울여도, 상기 입구마개의 개구의 상부와 공기 체류부와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액상물의 출렁거림(고동침)을 억제하여 액상물을 주출할 수 있으므로, 액상물의 주출을 용이하게 또한 재빠르고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As a result, when inclined with the first top edge facing downward, the conventional space shown in Fig. 7 when the facing distance between the liquid surface and the top inner surface is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It is larger than a paper container with an opening cap of. As a result, when the liquid substance is ejected, even if the paper container with the inlet stopper is tilted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aper container with the inlet stopp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inlet plug and the air retaining portion, Since the liquid substance can be poured out by suppressing the swaying of the liquid substance, the liquid substance can be extracted easily, quickly and smooth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지 않는 용기에 비해 용기 본체로부터의 액상물의 주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기 본체 내에 있어서의 액상물의 잔류를 적게 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a container not us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substance in the container body can be ejected more smoothly and It can reduce the residual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종이기의 대각선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오목부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 오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 오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오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오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1 오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 오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액상물을 주출할 때의 입구마개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액상물의 주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공백 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계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몸통부 대각선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개략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액상물을 주출할 때에 용기 본체를 기울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공백 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개략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액상물을 주출할 때에 용기 본체를 기울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1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an embodiment of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per machine with an entrance plug shown in Fig. 2 as viewed from a diagonal side.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irst concave por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Fig. 1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inlet plug when a liquid substance is poured out.
12 is an explanato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quid substance is poured.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blank sheet for forming a container body of the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1;
Fig. 1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ap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inlet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14 as viewed from above.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14 view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body.
17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explanatory view of FIG. 16.
Fig. 1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is inclined when a liquid substance is poured out.
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a blank sheet for molding the container body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14;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viewed from above.
Fig. 2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explanatory view of Fig. 20;
Fig. 2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is tilted when a liquid substance is poured out.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1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도 13은 본 발명에 관계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1은 제1 예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대각선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제1 오목부의 설명도, 도 5∼도 10은 제1 오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액상물을 주출할 때의 입구마개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액상물의 주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13은 도 1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공백 시트(blank sheet)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 to 13 show a first example of an embodiment of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of the first exampl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diagonal side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first concave portion, and FIGS.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Fig. 1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inlet plug when the liquid is poured out,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iquid material being poured out,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blank sheet for molding the container body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1.

제1 예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1)는, 정면 패널(2), 우측면 패널(3), 배면 패널(4), 좌측면 패널(5)로 이루어지는 사각 통모양의 몸통부(6)와, 몸통부(6)의 아래쪽 개구부를 밀봉하는 바닥부(7)와, 몸통부(6)의 위쪽 개구부를 밀봉하는 평탄한 꼭대기부(8)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9)와, 꼭대기부(8)에 마련된 입구마개(10)로 이루어지고, 제1 예에서는, 용기 본체(9)는, 후술하는 한 장의 공백 시트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The paper container 1 with an inlet cap of the first example includes a square cylindrical body 6 consisting of a front panel 2, a right panel 3, a rear panel 4, and a left panel 5, and , A container body 9 composed of a bottom portion 7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6, and a flat top portion 8 sealing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6, and a top portion 8 ), and in the first example, the container body 9 is formed from a blank sheet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에서 말하는 평탄한 꼭대기부(8)란, 예를 들면 게이블 톱형과 같이 꼭대기부(8)가 볼록(凸)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정면측과 배면측의 높이가 다르고,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꼭대기부는 평탄한 꼭대기부(8)에 포함된다.The flat top (8) here means that the top (8) is not convex, such as a gable top, and the heights of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are different and become inclined. The apex which is located is contained in the flat top (8).

꼭대기부(8)에 마련된 입구마개(10)는, 꼭대기부(8)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11) 중의, 정면 패널(2)의 꼭대기변(2a)과 우측면 패널(3), 좌측면 패널(5)의 어느 하나의 꼭대기변(3a, 5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예에서는, 정면 패널(2)의 꼭대기변(2a)과 우측면 패널(3)의 꼭대기변(3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inlet stopper 10 provided in the top part 8 is the top side 2a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side panel 3 of the four top edge parts 11 in the top part 8 ,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formed by either top side 3a, 5a of the left side panel 5. In the first example, it is formed by the top side 2a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top side 3a of the right side panel 3.

여기에서 말하는 근접한 위치란, 꼭대기부(8)의 중심 위치로부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측에 다가간(접근한) 위치이고, 근접한 위치로서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The proximal position referred to herein is a position approaching (approaching) the first top corner 11 (A) side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p 8, and as a proximate position, the first top corner 11 ( The closer to A)), the more preferable.

몸통부(6)는, 정면 패널(2), 우측면 패널(3), 배면 패널(4), 좌측면 패널(5) 사이에 형성된 4개의 몸통부 모서리부(12) 중, 입구마개(10)가 마련된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를 형성하는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 사이의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 또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으로부터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로 분기해서 바닥부(7)를 향해 연장존재하고, 바닥부(7)에 있어서의 4개의 바닥부 모서리부(13) 중의, 정면 패널(2)의 밑변(2b)과 우측면 패널(3)의 밑변(3b)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닥부 모서리부(13(A))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로 둘러싸인 제1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The trunk portion 6 is an inlet plug 10 among four corner portions of the trunk portion 12 formed between the front panel 2, the right panel 3, the rear panel 4, and the left panel 5 In the first trunk edge portion 12 (A) between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side panel 3 forming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provided,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A)) or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edge (11(A)) as the starting point (S), and branching from the starting point (S) to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3) It extends toward the bottom portion 7 and, among the four bottom edge portions 13 of the bottom portion 7, the bottom side 2b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bottom side of the right side panel 3 ( The first bottom part formed by 3b) is connected at the position between until it reaches the first bottom corner part 13 (A), and is surrounded by two curved lines 14 and 15 for forming the concave part as the end point E. 1 The recess 16 is formed.

제1 오목부(16)를 형성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는, 제1 예에서는, 그 기점(S)을 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 하고 있지만,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로서 설정해도 좋다. 기점(S)을,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로 설정하는 경우, 기점(S)은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35㎜ 이내의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기점(S)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고형물이나 점조물을 원활하게 주출할 수가 있다.The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forming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are, in the first example, the starting point S as one top edge portion 11 (A). ,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may be set as the starting point S. When the starting point (S) is set to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edge (11(A)), the starting point (S) is within 35mm from the first top edge (11(A))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By setting the starting point S in this range, a solid substance or a viscous substance can be smoothly poured out.

또,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의 종점(E)을 제1 바닥부 모서리부(13(A))로 하고 있지만, 제1 바닥부 모서리부(13(A))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 종점(E)을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기점(S)으로부터 종점(E)까지의 길이(L)가 몸통부(6)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2)의 높이(H)의 10% 이상이면, 고형물이나 점조물의 벽면으로부터의 박리를 촉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점(S)으로부터 종점(E)까지의 길이(L)가 높이(H)의 50% 이상이면, 벽면으로부터의 고형물이나 점조물의 박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어, 고형물이나 점조물을 원활하게 주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 기점(S)으로부터 종점(E)까지의 길이(L)를 높이(H)의 50% 이상으로 하면, 용기의 아이캐치성을 높일 수 있어, 디자인성이 높은 용기로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end point E of the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is set as the first bottom edge portion 13 (A), but the first bottom edge portion 13 (A) You may set the end point E at the position until this time. In this case, if the length (L) from the starting point (S) to the end point (E) is 10% or more of the height (H) of the front panel 2 in the body 6,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solid or viscous object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promote the peeling of.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f the length (L) from the starting point (S) to the end point (E) is 50% or more of the height (H), the separation of solids or viscous substances from the wall surface will be more effectively promoted. It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can be used, and solids or viscous substances can be smoothly poured out. In addition, when the length L from the starting point S to the end point E is 50% or more of the height H, the eye catchability of the container can be improved, and a container with high design can be obtained.

또, 제1 오목부(16)는, 그의 수평 방향의 가장 넓은 부위의 폭(W1)이, 몸통부(6)에 있어서의 정면 패널(2)의 폭(W2)의 10% 이상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폭 W1을 폭 W2의 1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형물 등의 내용물이 모서리부에 쌓이거나, 들러붙거나 해서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을 원활하게 주출할 수가 있다. 또, 폭 W1을 폭 W2의 30% 미만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용기를 성형하는 충전기 내에서 용기를 확실하게 꽉 쥘 수 있어, 용기의 성형을 안정되게 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has a width W1 of the widest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10% or more and less than 30% of the width W2 of the front panel 2 in the trunk portion 6. It is preferable (see Fig. 4). By setting the width W1 to 10% or more of the width W2, the contents such as solids ar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or sticking to the corners and the contents remain, and the contents can be smoothly ejected. Further, by setting the width W1 to less than 30% of the width W2, the container can be reliably held in a filling machine for molding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can be stably formed.

또, 제1 예에서는, 제1 오목부(16)를 형성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와 제1 바닥부 모서리부(13(A))를 잇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되어 있지만, 좌우 대칭이 아니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first example, the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forming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are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and the first bottom portion edge Although it is symmetrical about the virtual line connecting the part 13(A), it may not be symmetrical left and right.

도 5∼도 10은,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로 형성되는 제1 오목부(16)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5 to 10 show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formed by two broken line portions 14 and 15 for forming the concave portion.

또, 제1 예에서는,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와 대각선 상에 있는 제2 몸통부 모서리부(12(B))에,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와 대각선 상에 있는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11(B)) 또는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11(B))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 배면 패널(4)과 좌측면 패널(5)로 분기해서 바닥부(7)를 향해 연장존재하고, 배면 패널(4)의 밑변(4b)과 좌측면 패널(5)의 밑변(5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바닥부 모서리부(13(B))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7, 18)로 둘러싸인 제2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example, the first trunk edge portion 12 (A) and the second trunk portion edge portion 12 (B) on a diagonal line,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A position away from the second top edge (11 (B)) or the second top edge (11 (B)) on the diagonal of the and is the starting point (S), and the rear panel (4) from the starting point (S). ) And the left side panel (5), extending toward the bottom (7), and formed by the bottom side (4b) of the rear panel (4) and the bottom side (5b) of the left side panel (5). The second concave portion 19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at the position between until it reaches the bottom edge portion 13 (B), and is surrounded by two concave portions 17 and 18 for forming the end point E. Has been.

이와 같이 구성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1)는, 용기 본체(9)의 몸통부(6)에 있어서의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 또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로 분기해서 바닥부(7) 방향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제1 바닥부 모서리부(13(A))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로 둘러싸인 제1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를 내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오목부(16)에 의해서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가 완만한 융기(20)가 형성되고, 제1 오목부(16)에 있어서의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측의 선단 부분이 입구마개(10) 방향을 향해 경사면(21)으로 된다(도 12 참조.).The paper container 1 with an inlet stopp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irst top edge portion 11 on the first trunk edge portion 12 (A) in the trunk portion 6 of the container body 9 (A)) Or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edge (11 (A)) as the starting point (S), and branching from the starting point (S) into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3), (7) It extends toward the direction, connects at the position between until it reaches the first bottom edge portion 13 (A), and forms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as end points (E). Since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surrounded by) is formed, when the first concave portion 12 (A) is viewed from the inner surface side,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causes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12 (A)) is a gentle ridge 20 is formed,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on the side of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is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plug 10 It becomes the inclined surface 21 toward (refer FIG. 12).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액상물의 주출시에는, 용기 본체(9)를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가 아래쪽으로 되도록 기울여서 행하는 것에 의해(도 11, 도 12 참조.),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가 홈통모양으로 되어 용기 본체(9) 내의 액상물을 입구마개(10) 방향으로 유도하고, 액상물을 원활하게 주출시킨다.When pouring out the liquid substance contained therein, the container body 9 is tilted so that the first top edge 11 (A) and the first trunk edge 12 (A) are downward. (See Fig. 11 and Fig. 12.), the first body corner 12 (A) has a trough shape to guide th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9 to the inlet stopper 10, and smooth the liquid. Let it out.

그리고, 홈통모양으로 되는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는, 제1 오목부(16)에 의한 융기(20)가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2(A))측의 선단 부분이 입구마개(10) 방향을 향해 경사면(21)으로 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9) 내를 입구마개(10) 방향을 향해 흐르는 액상물은, 이 경사면(21)에 의해 액상물의 유속이 늘어나서(빨라져서), 액상물을 원활하게 주출시킨다.In addition, in the first trunk portion 12 (A) having a trough shape, the first top edge portion 12 (A) side in which the ridge 20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is formed. Since the tip portion is an inclined surface 21 toward the inlet cap 10, the liquid substance flowing in the container body 9 toward the inlet cap 10 is reduced by the inclined surface 21. It stretches (fastens) and smoothly pours out the liquid.

또, 제1 오목부(16)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의 융기(20)에 의해,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평활면(22)이 형성되고, 이 평활면(22)과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를 사이에 둔(협지한)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5)과의 각도가 커지므로,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접하는 액상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은, 종래의 액체용 종이 용기에 있어서의 대략 직각을 보이는 몸통부 모서리부보다 작아져, 액상물의 유속을 빠르게 함과 동시에, 액상물이 고형물을 포함하는 바와 같은 경우라도 고형물이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 사이에 끼거나, 또, 액상물이 점조물인 경우라도 몸통부(6)의 내면에 들러붙어 버린다고 하는 바와 같은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Further, by the protrusion 20 of the first trunk portion 12 (A) formed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the smooth surface 22 is formed on the first trunk portion 12 (A). ) Is formed, and the angle between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5 between the smooth surface 22 and the two curved lines 14 and 15 for forming the concave portion increases. , The resistance to the flow of liquid water in contact with the first body edge 12(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in the conventional liquid paper container, thereby increasing the flow velocity of liquid water. At the same time, even when the liquid material contains solid material, the solid material is caught between the corners 12 (A) of the first body part, or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6 even when the liquid material is a viscous material. It become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what is said to stick to.

또, 제1 예에서는,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와 대각선 상에 있는 제2 몸통부 모서리부(12(B))에,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와 대각선 상에 있는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11(B)) 또는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11(B))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으로부터 배면 패널(4)과 좌측면 패널(5)로 분기해서 바닥부(7)를 향해 연장존재하고, 배면 패널(4)의 밑변(4b)과 좌측면 패널(5)의 밑변(5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바닥부 모서리부(13(B))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7, 18)로 둘러싸인 제2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주출시에, 용기 본체(9)를 잡았을 때, 제2 몸통부 모서리부(12(B))가 손바닥측으로 향하고, 제2 몸통부 모서리부(12(B))의 제2 오목부(19)가 손바닥에 닿으므로, 모서리부에 의한 아픈 느낌(痛感)이 없어 잡기 쉬워, 단단히(제대로) 꽉 쥘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example, the first trunk edge portion 12 (A) and the second trunk portion edge portion 12 (B) on a diagonal line,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A position away from the second top edge (11 (B)) or the second top edge (11 (B)) on a diagonal line is the starting point (S), and from the starting point (S) the rear panel ( 4) and the left side panel (5), extending toward the bottom portion (7), and formed by the bottom side (4b) of the rear panel (4) and the bottom side (5b) of the left side panel (5). 2 The second concave portion 19 is connect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bottom edge portion 13 (B) and is surrounded by two curved lines 17 and 18 for forming the concave portion as the end point E. Because it is formed, when the container main body 9 is held at the time of pouring out, the second trunk edge portion 12 (B) faces toward the palm, and the second trunk edge portion 12 (B) is 2 Since the concave portion 19 touches the palm, it is easy to grasp because there is no sore sensation due to the corners, and it can be held firmly (properly).

도 13은, 제1 예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1)를 성형하는 공백 시트(30A)의 1예를 도시한다.Fig. 13 shows an example of a blank sheet 30A for molding the paper container 1 with an inlet cap of the first example.

공백 시트(30A)는, 판지 기재의 적어도 이면측에 실란트를 적층한 종이 용기 재료로 이루어지고, 몸통부 세로 꺾은선(31, 32, 33)을 거쳐 몸통부(6)를 형성하는 곳인 정면 패널(2), 우측면 패널(3), 배면 패널(4), 좌측면 패널(5)이 연접해 있다.The blank sheet 30A is made of a paper container material in which a sealant is laminated on at least the back side of a cardboard substrate, and is a front panel in which the trunk portion 6 is formed through the trunk vertical broken lines 31, 32, 33 (2), the right panel 3, the rear panel 4, and the left panel 5 are connected.

정면 패널(2), 배면 패널(4)의 상단에는,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4, 35)을 거쳐 꼭대기부(8)를 형성하는 곳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꼭대기면 패널(36, 37)이 연접하고, 우측면 패널(3), 좌측면 패널(5)의 상단에는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8, 39)을 거쳐 꼭대기부(8)를 형성하는 곳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꺾은면 패널(40, 41)이 연접해 있다. 꺾은면 패널(40, 41)에는, 꼭대기부 비스듬한 꺾은선(42, 43)이 부여되어 있다. 또, 꼭대기면 패널(36, 37)과 꺾은면 패널(40, 41)의 상단에는, 봉지부 가로 꺾은선(44, 45, 46, 47)을 거쳐 봉지 패널(48, 49, 50, 51)이 연접해 있다.At the top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rear panel (4), a pair of top panels (36, 37) facing each other, where the top portion (8) is formed via the top horizontal line (34, 35). A pair of bent panels facing each other, which is a place where the tops of the right panel 3 and the left panel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top 8 via the top horizontal break lines 38 and 39 40, 41) are connected. The bent surface panels 40 and 41 are provided with diagonally curved lines 42 and 43 at the top. 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top panel 36 and 37 and the folded panel 40 and 41, the encapsulation panel 48, 49, 50, 51 through the encapsulation portion horizontal broken line 44, 45, 46, 47 This is connected.

정면 패널(2), 배면 패널(4)의 하단에는, 바닥부 가로 꺾은선(52, 53)을 거쳐 바닥부(7)를 형성하는 곳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바닥면 패널(54, 55)이 연접하고, 우측면 패널(3), 좌측면 패널(5)의 하단에는, 바닥부 가로 꺾은선(56, 57)을 거쳐 바닥부(7)를 형성하는 곳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내면 패널(58, 59)이 연접해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rear panel 4, a pair of bottom panels 54 and 55 facing each other, which is a place where the bottom 7 is formed via a horizontal line 52 and 53 at the bottom. A pair of inner panels facing each other, which is a place where the bottom part 7 is formed via the horizontal bottom line 56 and 57 at the lower end of the right panel 3 and the left panel 5 58, 59) are connected.

또한, 공백 시트(30A)의 일측 개방단 가장자리에는, 사이드실(side seal) 세로 꺾은선(60)을 거쳐 공백 시트(30A)의 타측 개방단 가장자리에 실링되는 사이드실 패널(61)이 연접해 있다.In addition, to the edge of one open end of the blank sheet 30A, a side seal panel 61 which is sealed to the edge of the other open end of the blank sheet 30A through a side seal vertical line 60 is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이와 같이 구성된, 공백 시트(30A)의 정면 패널(2)의 상단에 연접해 있는 꼭대기면 패널(36)에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 되는, 정면 패널(2)의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4)과, 꼭대기면 패널(36)과 꺾은면 패널(40) 사이에 가지는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62)과의 교점(63)에 근접한 위치에 입구마개 부착용 개구부(64)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top panel 36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2 of the blank sheet 30A configured in this way, the front panel 2 is formed of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An opening for attaching an inlet plug (64)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tersection (63) of the top horizontal line (34) and the top vertical line (62) between the top panel (36) and the folded surface panel (40). ) Is formed.

또한, 공백 시트(30A)가, 판지 소재와 실란트 사이에 알루미늄 시트를 적층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백 시트(30A)의 판지 소재의 부분을 커팅하고, 알루미늄 시트 부분을 남긴 상태로 해서 형성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blank sheet 30A is formed by laminating an aluminum sheet between a cardboard material and a sealant, it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cardboard material of the blank sheet 30A and leaving the aluminum sheet part. good.

또,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를 형성하는 곳인, 교점(63)에 이어지는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 사이의 몸통부 세로 꺾은선(31)은, 교점(63) 또는 교점(63)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로 분기해서, 정면 패널(2)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2)과 우측면 패널(3)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6)를 향해 연장존재하고, 정면 패널(2)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2)과 우측면 패널(3)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6)과의 교점(65)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제1 오목부(16)를 형성하는 곳인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roken line 31 between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3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point 63, which is the place where the first body corner 12 (A) is formed, is an intersection ( 63) or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intersection (63) as the starting point (S), branching from the starting point (S) into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3, and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2 (52) and the bottom of the right side panel (3) extending toward the horizontal line 56, and the bottom side of the front panel (2) 52 and the bottom side of the right panel (3) Two broken line portions 14 and 15 for forming the recesses, which are the places where the first recess 16 is formed as the end point (E) and connect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intersection point 65 with (56). Have.

또, 본 예에서는,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와 대각선 상에 있는 제2 몸통부 모서리부(12(B))를 형성하는 곳인, 배면 패널(4)과 좌측면 패널(5) 사이의 몸통부 세로 꺾은선(33)은, 배면 패널(4)의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5)과, 꼭대기면 패널(37)과 꺾은면 패널(41) 사이에 가지는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66)과의 교점(67)을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 배면 패널(4)과 좌측면 패널(5)로 분기해서, 배면 패널(4)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3)과 좌측면 패널(5)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7)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배면 패널(4)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3)과 좌측면 패널(5)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7)과의 교점(68)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제2 오목부(19)를 형성하는 곳인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7, 18)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rear panel 4 and the left side panel (rear panel 4) and the left side panel (which are the places where the first trunk edge portion 12 (A)) and the second trunk portion edge portion 12 (B) are formed diagonally. 5) The vertical trunk line 33 between the rear panel 4 is a horizontal line 35 at the top of the rear panel 4, and the vertical line between the top panel 37 and the curved side panel 41. The intersection point 67 with the line 66 is the starting point (S), and branching from the starting point (S) into the rear panel 4 and the left panel 5, the bottom of the rear panel 4 is a horizontal line (53) and the bottom of the left panel (5) extend toward the horizontal line (57), the bottom of the rear panel (4), the horizontal line (53) and the bottom of the left panel (5) The broken line portions 17 and 18 for forming two recesses, which are connect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break lines 57 and the intersection point 68 and form the second recess 19 as the end point E. ).

본 예에서는, 제1 오목부(16)를 형성하는 곳인,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의 기점(S)에 있어서는, 정면 패널(2)의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4)과, 꼭대기면 패널(36)과 꺾은면 패널(40) 사이에 가지는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62)과의 교점(63)을 기점(S)로 하고 있지만, 교점(63)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해도 좋다.In this example, at the starting point S of the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which are the locations where the first concave portions 16 are formed, the top horizontal broken line 34 of the front panel 2 ), and the intersection (63) of the top vertical line (62) between the top panel (36) and the bent panel (40) is taken as the starting point (S), but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intersection (63). May be used as the starting point (S).

또,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의 종점(E)에 있어서는, 정면 패널(2)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2)과 우측면 패널(3)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6)과의 교점(65)을 종점(E)으로 하고 있지만, 정면 패널(2)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2)과 우측면 패널(3)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6)과의 교점(65)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이면 좋다.In addition, in the end point E of the broken line portions 14 and 15 for forming the two concave portions, the horizontal broken line 52 at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horizontal broken line at the bottom of the right panel 3 ( 56) is the end point (E), but the intersection of the bottom horizontal broken line 52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bottom horizontal broken line 56 of the right panel 3 ( It is good if it is the position between until it reaches 65).

또, 제2 오목부(19)를 형성하는 곳인,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7, 18)의 기점(S)에 있어도, 배면 패널(4)의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5)과, 꼭대기면 패널(37)과 꺾은면 패널(41) 사이에 가지는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66)과의 교점(67)을 기점(S)로 하고 있지만, 교점(67)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even at the starting point (S) of the two concave portions 17 and 18, which are the places where the second concave portions 19 are formed, the top horizontal broken line 35 of the rear panel 4 and , The intersection (67) of the top vertical line (66) between the top panel (37) and the bent panel (41) is taken as the starting point (S), but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intersection (67) is the starting point. It is good also as (S).

또,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7, 18)의 종점(E)에 있어서는, 배면 패널(4)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3)과 좌측면 패널(5)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7)과의 교점(68)을 종점(E)으로 하고 있지만, 배면 패널(4)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3)과 좌측면 패널(5)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7)과의 교점(68)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이면 좋다.In addition, in the end point (E) of the broken line portions 17 and 18 for forming the two concave portions, the horizontal broken line 53 at the bottom of the rear panel 4 and the horizontal broken line at the bottom of the left panel 5 Although the intersection 68 with (57) is set as the end point (E), the bottom horizontal broken line 53 of the rear panel 4 and the bottom horizontal broken line 57 of the left panel 5 are It is good if it is a position between until it reaches the intersection 68.

도 1∼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14는 제2 예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우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를 몸통부 대각선 방향으로 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개략 종단면 설명도, 도 18은 액상물을 주출할 때에 용기 본체를 기울인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도 14에 도시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의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공백 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 to 12 show a secon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cap of the second example,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llustrated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viewed from above,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cap shown in FIG. 14 view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FIG. 17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explanatory view of FIG. Fig. 19 is a plan view showing a blank sheet for molding the container body of the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shown in Fig. 14 when the silver liquid is poured out.

제2 예에 대해서, 제1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In the second exampl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xampl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제2 예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1)는, 제1 예와 마찬가지로, 정면 패널(2), 우측면 패널(3), 배면 패널(4), 좌측면 패널(5)로 이루어지는 사각 통모양의 몸통부(6)와, 몸통부(6)의 아래쪽 개구부를 밀봉하는 바닥부(7)와, 몸통부(6)의 위쪽 개구부를 밀봉하는 평탄한 사각형의 꼭대기부(8)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9)와, 꼭대기부(8)에 마련된 입구마개(10)로 이루어지고,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9)는, 후술하는 한 장의 공백 시트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The paper container 1 with an inlet stopper of the second example, as in the first example, has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consisting of a front panel 2, a right panel 3, a rear panel 4, and a left panel 5. A container body comprising a body (6), a bottom (7)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6), and a flat rectangular top (8) sealing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6). 9) and an inlet plug 10 provided on the top portion 8, and in this example, the container body 9 is formed from a blank sheet to be described later.

꼭대기부(8)는,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 패널(2)측이 낮고 배면 패널(4)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꼭대기부(8)의 경사각(θ)은 1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θ)이 10° 이상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상물을 주출할 때에 용기 본체(9)를 기울였을 때에, 입구마개로부터의 공기의 빠짐이 좋은 공기 체류부를 형성할 수 있어, 입구마개(10)를 흐르는 액상물의 출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경사각(θ)이 30° 이하이면, 액상물이 음료인 경우에, 입구마개에 직접 입을 대고 마셔도, 코가 꼭대기면에 닿는 일 없이, 용이하게 마실 수가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top portion 8 has an inclined surface where the front panel 2 side is low and the rear panel 4 side is high.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top portion 8 is 10° or more and 30° or less. If the inclination angle θ is 10° or more, as described later, when the container body 9 is inclined when the liquid is poured out, an air retention portion with good air escape from the inlet plug can be formed. (1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flickering of liquid water flowing through it. If the angle of inclination (θ) is 30° or less, when the liquid is a beverage, it can be easily drunk without touching the top surface of the nose even if it is drunk with the mouth plug directly.

또, 꼭대기부(8)의 경사각(θ)의 상한값은, 꼭대기부(8)의 경사를 따라 경사져 있는 입구마개(10)의 상면 상측단과 꼭대기부(8)의 상측단, 즉, 배면 패널(4)의 꼭대기변(4a)의 높이가 일치하는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꼭대기부(8)의 경사각(θ)이, 꼭대기부(8)의 상측단, 즉, 배면 패널(4)의 꼭대기변(4a)이 입구마개(10)의 상면 상측단보다도 높아지는 큰 각도로 해도, 그것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체류부에 의한 액상물의 출렁거림을 억제하는 효과에 변화가 없어지고, 이와 같은 큰 각도로 하면, 그 만큼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1)의 키가 커지고(높이가 높아지고), 또, 재료도 많이 들게(소요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top portion 8 is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plug 10 and the upper end of the top portion 8 that are inclined along the slope of the top portion 8, that is, the rear panel (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top side 4a of 4) coincide. Even if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top (8) is at a larger angle than the upper end of the top (8), that is, the top (4a) of the rear panel (4)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let (10) , There is no change in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fluttering of liquids due to the air retaining portion formed by it, and if it is set at such a large angle, the height of the paper container 1 with the inlet stopper increases (height increases ), and also requires a lot of ingredients.

꼭대기부(8)에 마련된 입구마개(10)는, 제1 예와 마찬가지로, 꼭대기부(8)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11) 중의, 정면 패널(2)의 꼭대기변(2a)과 우측면 패널(3), 좌측면 패널(5)의 어느 하나의 꼭대기변(3a, 5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는 정면 패널(2)의 꼭대기변(2a)과 우측면 패널(3)의 꼭대기변(3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entrance plug 10 provided in the top part 8 is the top side 2a of the front panel 2 among the four top edge parts 11 in the top part 8, similarly to the first example. And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formed by either of the top sides 3a and 5a of the right side panel 3 and the left side panel 5. In this example,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is formed by the top side 2a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top side 3a of the right side panel 3.

여기에서 말하는 근접한 위치란, 꼭대기부(8)의 중심 위치로부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측에 다가간(접근한) 위치이고, 근접한 위치로서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다.The proximal position referred to herein is a position approaching (approaching) the first top corner 11 (A) side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top 8, and as a proximate position, the first top corner 11 ( The closer to A)), the more preferable.

또, 제2 예에서는, 제1 예와 마찬가지로, 몸통부(6)는, 정면 패널(2), 우측면 패널(3), 배면 패널(4), 좌측면 패널(5) 사이에 형성된 4개의 몸통부 모서리부(12) 중, 입구마개(10)가 마련된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를 형성하는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 사이의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로 분기해서 바닥부(7)를 향해 연장존재하고, 바닥부(7)에 있어서의 4개의 바닥부 모서리부(13) 중의, 정면 패널(2)의 밑변(2b)과 우측면 패널(3)의 밑변(3b)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닥부 모서리부(13(A))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로 둘러싸인 제1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xample, as in the first example, the trunk portion 6 is formed between the front panel 2, the right side panel 3, the rear panel 4, and the left side panel 5. Among the minor edge portions 12, the first body edge portion between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side panel 3 forming a first top edge portion 11 (A) provided with an inlet stopper 10 ( In 12 (A)),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is used as the starting point S, and from the starting point S,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3 are branched to the bottom portion 7 ), and formed by the bottom side (2b)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bottom side (3b) of the right side panel (3) among the four bottom edge portions 13 of the bottom portion 7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that is connect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first bottom edge portion 13 (A) and is surrounded by two curved lines 14 and 15 for forming the concave portion as the end point E. ) Is formed.

제1 오목부(16)를 형성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는, 제2 예에서는 제1 예와 마찬가지로, 그 기점(S)을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 하고 있지만,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로서 설정해도 좋다. 기점(S)을,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로 설정하는 경우, 기점(S)은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35㎜ 이내의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forming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are, in the second example, as in the first example, the starting point S as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 A)), but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may be set as the starting point S. When the starting point (S) is set to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edge (11(A)), the starting point (S) is within 35mm from the first top edge (11(A))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이와 같이 구성된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1)에서는, 꼭대기부(8)는, 정면 패널(2)측이 낮고 배면 패널(4)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입구마개(10)는, 꼭대기부(8)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11) 중의, 정면 패널(2)의 꼭대기변(2a)과 우측면 패널(3)의 꼭대기변(3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액상물의 주출시에,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기울이면,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의 대각선 상에 있는 배면 패널(4)의 꼭대기변(4a)과 좌측면 패널(5)의 꼭대기변(5a)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11(B))가 상측으로 되고, 기울였을 때의 용기 본체(9)의 꼭대기부(8)에 형성되는 공기 체류부(23)의 꼭짓점은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11(B))로 된다(도 18 참조.).In the paper container 1 with an inlet plug configured in this way, the top portion 8 h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low front panel 2 side and a high rear panel 4 side, and the inlet plug 10 is a top The first top edge formed by the top side 2a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top side 3a of the right side panel 3 of the four top edge 11 in the part 8 Since it is provid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portion 11 (A), when the liquid is poured out, when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is inclined while facing downward,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The second top edge (11(B)) formed by the top side (4a) of the rear panel (4) on the diagonal of (A)) and the top side (5a) of the left side panel (5) The vertex of the air retaining portion 23 formed on the top portion 8 of the container body 9 when it is turned upward and is inclined becomes the second top edge portion 11 (B) (see Fig. 18). ).

이것에 의해,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를 하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기울였을 때, 액상물의 액면(F)과 꼭대기부(8)의 내면과의 대면 간격이, 꼭대기부(73)를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했을 때의 도 20에 도시하는 종래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에 비해 커진다. 이 결과, 액상물의 주출시에,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1)를 종래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70)보다도 크게 기울여도, 입구마개(10)의 개구의 상부와 공기 체류부(23)와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액상물의 출렁거림을 억제하여 액상물을 주출할 수 있으므로, 액상물의 주출을 용이하게 또한 재빠르고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is inclined in a downward-facing state, the facing distance between the liquid surface F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portion 8 is equal to the top ( When 73) is formed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it is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paper container 70 with an inlet cap shown in Fig. 20. As a result, when the liquid substance is ejected, even if the paper container 1 with the inlet stopper is tilted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aper container 70 with the inlet stopper,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inlet plug 10 and the air retention portion 23 ),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communication with the liquid substance, and the liquid substance can be ejected by suppressing the swaying of the liquid substance, so that the liquid substance can be ejected easily, quickly and smoothly.

또, 제2 예에서는, 제1 예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9)의 몸통부(6)에 있어서의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 또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으로부터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로 분기해서 바닥부(7) 방향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제1 바닥부 모서리부(13(A))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로 둘러싸인 제1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를 내면측에서 보았을 때, 제1 오목부(16)에 의해서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완만한 융기(20)가 형성되고, 제1 오목부(16)에 있어서의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측의 선단 부분이 입구마개(10) 방향을 향해 경사면(21)으로 된다(도 17 참조.).In addition, in the second example, similarly to the first example, in the first trunk edge portion 12 (A) of the trunk portion 6 of the container body 9,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 A)) or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edge (11 (A)) as the starting point (S), and branching from the starting point (S) into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3), (7) It extends toward the direction, connects at the position between until it reaches the first bottom edge portion 13 (A), and forms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as end points (E). Since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surrounded by) is formed, when the first concave portion 12 (A) is viewed from the inner surface side,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causes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A gentle ridge 20 is formed in 12 (A)), and the tip portion on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sid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faces the inlet plug 10 direction. It becomes the inclined surface 21 toward (refer FIG. 17).

이것에 의해,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액상물의 주출시에는, 용기 본체(9)를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가 아래쪽으로 되도록 기울여서 행하는 것에 의해,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가 홈통모양으로 되어 용기 본체(9) 내의 액상물을 입구마개(10) 방향으로 유도하여, 액상물을 원활하게 주출시킬 수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liquid substance contained therein is poured out, the container body 9 is placed so that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and the first body portion edge portion 12 (A) are downward. By tilting it, the first trunk portion 12 (A) becomes a trough shape, and the liquid substance in the container body 9 is guided toward the inlet stopper 10, so that the liquid substance can be smoothly poured out. .

그리고, 홈통모양으로 되는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는, 제1 오목부(16)에 의한 융기(18)가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2(A))측의 선단부분이 입구마개(10) 방향을 향해 경사면(21)으로 되어 있으므로, 용기 본체(9) 내를 입구마개(10) 방향을 향해 흐르는 액상물은, 이 경사면(21)에 의해 액상물의 유속이 늘어나고(빨라지고), 액상물의 주출시에 입구마개(10)를 흐르는 액상물의 출렁거림을 적게 억제하는 것과 아울러, 액상물을 원활하게 주출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trunk portion 12 (A) having a trough shape, the first top edge portion 12 (A) side in which the ridge 18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is formed. Since the tip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21 toward the inlet cap 10, the liquid substance flowing in the container body 9 toward the inlet cap 10 is reduced by the inclined surface 21. When the liquid is elongated (faster) and the liquid substance flowing through the inlet plug 10 is reduced, the liquid substance can be smoothly discharged.

또, 제1 오목부(16)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의 융기(20)에 의해,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평활면(22)이 형성되고, 이 평활면(22)과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를 사이에 둔(협지한)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5)과의 각도가 커지므로,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에 접하는 액상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은, 종래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에 있어서의 대략 직각을 보이는 몸통부 모서리부보다 작아져, 액상물의 유속을 빠르게 함과 동시에, 액상물이 고형물을 포함하는 바와 같은 경우라도 고형물이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 사이에 끼거나, 또, 액상물이 점조물인 경우라도 몸통부(6)의 내면에 들러붙어 버린다고 하는 바와 같은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Further, by the protrusion 20 of the first trunk portion 12 (A) formed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16, the smooth surface 22 is formed on the first trunk portion 12 (A). ) Is formed, and the angle between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5 between the smooth surface 22 and the two curved lines 14 and 15 for forming the concave portion increases. , The resistance to the flow of liquid water in contact with the first body edge portion 12 (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portion showing a substantially right angle in a conventional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stopper, thereby reducing the flow velocity of the liquid material. At the same time, even when the liquid contains solids, the solids are caught between the corners of the first body 12 (A), or the body 6 even when the liquid is a viscous material. It become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what is said to stick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도 19는, 제2 예의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1)를 성형하는 공백 시트(30B)의 1예를 도시한다.Fig. 19 shows an example of a blank sheet 30B for molding the paper container 1 with an inlet cap of the second example.

제2 예의 공백 시트(30B)는, 제1 예의 공백 시트(30A)와 마찬가지로, 판지 기재의 적어도 이면 측에 실란트를 적층한 종이 용기 재료로 이루어지고, 몸통부 세로 꺾은선(31, 32, 33)을 거쳐 몸통부(6)를 형성하는 곳인 정면 패널(2), 우측면 패널(3), 배면 패널(4), 좌측면 패널(5)이 연접해 있다.The blank sheet 30B of the second example, similarly to the blank sheet 30A of the first example, is made of a paper container material in which a sealant is laminated on at least the back side of a cardboard substrate, and the trunk vertical broken lines 31, 32, 33 The front panel 2, the right panel 3, the rear panel 4, and the left panel 5, which are the places where the body 6 is formed via ), are connected.

정면 패널(2), 배면 패널(4)의 상단에는,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4, 35)을 거쳐 꼭대기부(8)를 형성하는 곳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꼭대기면 패널(36, 37)이 연접하고, 우측면 패널(3), 좌측면 패널(5)의 상단에는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8, 39)을 거쳐 꼭대기부(8)를 형성하는 곳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꺾은면 패널(40, 41)이 연접해 있다. 꺾은면 패널(40, 41)에는, 꼭대기부 비스듬한 꺾은선(42, 43)이 부여되어 있다. 또, 꼭대기면 패널(36, 37)과 꺾은면 패널(40, 41)의 상단에는, 봉지부 가로 꺾은선(44, 45, 46, 47)을 거쳐 봉지 패널(48, 49, 50, 51)이 연접해 있다.At the top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rear panel (4), a pair of top panels (36, 37) facing each other, where the top portion (8) is formed via the top horizontal line (34, 35). A pair of bent panels facing each other, which is a place where the tops of the right panel 3 and the left panel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top 8 via the top horizontal break lines 38 and 39 40, 41) are connected. The bent surface panels 40 and 41 are provided with diagonally curved lines 42 and 43 at the top. 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top panel 36 and 37 and the folded panel 40 and 41, the encapsulation panel 48, 49, 50, 51 through the encapsulation portion horizontal broken line 44, 45, 46, 47 This is connected.

정면 패널(2), 배면 패널(4)의 하단에는, 바닥부 가로 꺾은선(52, 53)을 거쳐 바닥부(7)를 형성하는 곳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바닥면 패널(54, 55)이 연접하고, 우측면 패널(3), 좌측면 패널(5)의 하단에는, 바닥부 가로 꺾은선(56, 57)을 거쳐 바닥부(7)를 형성하는 곳인,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내면 패널(58, 59)이 연접해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rear panel 4, a pair of bottom panels 54 and 55 facing each other, which is a place where the bottom 7 is formed via a horizontal line 52 and 53 at the bottom. A pair of inner panels facing each other, which is a place where the bottom part 7 is formed via the horizontal bottom line 56 and 57 at the lower end of the right panel 3 and the left panel 5 58, 59) are connected.

또한, 공백 시트(30B)의 일측 개방단 가장자리에는, 사이드실 세로 꺾은선(60)을 거쳐 공백 시트(30B)의 타측 개방단 가장자리에 실링되는 사이드실 패널(61)이 연접해 있다.Further, to the edge of one open end of the blank sheet 30B, a side seal panel 61 which is sealed to the edge of the other open end of the blank sheet 30B is connected via a side seal vertical broken line 60.

이와 같이 구성된, 공백 시트(30B)의 정면 패널(2)의 상단에 연접해 있는 꼭대기면 패널(36)에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11(A))로 되는, 정면 패널(2)의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4)과, 꼭대기면 패널(36)과 꺾은면 패널(40) 사이에 가지는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62)과의 교점(63)에 근접한 위치에 입구마개 부착용 개구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백 시트(30B)가, 판지 소재와 실란트층 사이에 알루미늄 시트를 적층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백 시트(30B)의 판지 소재의 부분을 커팅하고, 알루미늄 시트 부분을 남긴 상태로 해서 형성해도 좋다.In the top panel 36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2 of the blank sheet 30B configured in this way, the front panel 2 is formed of the first top edge portion 11 (A). An opening for attaching an inlet plug (64)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tersection (63) of the top horizontal line (34) and the top vertical line (62) between the top panel (36) and the folded surface panel (40). ) Is formed. In addition, when the blank sheet 30B is formed by laminating an aluminum sheet between the cardboard material and the sealant layer, a portion of the cardboard material of the blank sheet 30B is cut and formed with the aluminum sheet part left behind. Also good.

또, 제1 몸통부 모서리부(12(A))를 형성하는 곳인, 교점(63)에 이어지는 정면 패널(2)과 측면 패널(3) 사이의 몸통부 세로 꺾은선(31)은, 교점(63) 또는 교점(63)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하고, 기점(S)으로부터 정면 패널(2)과 우측면 패널(3)로 분기해서, 정면 패널(2)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2)과 우측면 패널(3)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6)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정면 패널(2)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2)과 우측면 패널(3)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6)과의 교점(65)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E)으로 하는 제1 오목부(16)를 형성하는 곳인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broken line 31 between the front panel 2 and the side panel 3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point 63, which is the place where the first body corner 12 (A) is formed, is an intersection ( 63) or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intersection (63) as the starting point (S), branching from the starting point (S) into the front panel 2 and the right panel 3, and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2 (52) and the bottom of the right side panel (3) extending toward the horizontal line 56, and the bottom side of the front panel (2) 52 and the bottom side of the right panel (3) Two broken line portions 14 and 15 for forming the recesses, which are the places where the first recess 16 is formed as the end point (E) and connect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intersection point 65 with (56). Have.

본 예에서는, 오목부(16)를 형성하는 곳인,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의 기점(S)에 있어서는, 정면 패널(2)의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34)과, 꼭대기면 패널(36)과 꺾은면 패널(40) 사이에 가지는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62)과의 교점(63)을 기점(S)로 하고 있지만, 교점(63)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S)으로 해도 좋다.In this example, at the starting point (S) of the two concave portions 14 and 15, which are the locations where the concave portions 16 are formed, the top horizontal dashed line 34 of the front panel 2 and , The starting point (S) is the intersection (63) between the top panel (36) and the folding panel (40) with the vertical broken line (62) at the top, but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intersection (63). It is good also as (S).

또,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14, 15)의 종점(E)에 있어서는, 정면 패널(2)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2)과 우측면 패널(3)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6)과의 교점(65)을 종점(E)으로 하고 있지만, 정면 패널(2)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2)과 우측면 패널(3)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56)과의 교점(65)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이면 좋다.In addition, in the end point E of the broken line portions 14 and 15 for forming the two concave portions, the horizontal broken line 52 at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horizontal broken line at the bottom of the right panel 3 ( 56) is the end point (E), but the intersection of the bottom horizontal broken line 52 of the front panel 2 and the bottom horizontal broken line 56 of the right panel 3 ( It is good if it is the position between until it reaches 65).

1: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
2: 정면 패널
2a: 꼭대기변
2b: 밑변
3: 우측면 패널
3a: 꼭대기변
3b: 밑변
4: 배면 패널
4a: 꼭대기변
4b: 밑변
5: 좌측면 패널
5a: 꼭대기변
5b: 밑변
6: 몸통부
7: 바닥부
8: 꼭대기부
9: 용기 본체
10: 입구마개
11: 꼭대기부 모서리부
11(A):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
11(B): 제2 꼭대기부 모서리부
12: 몸통부 모서리부
12(A): 제1 몸통부 모서리부
12(B): 제2 몸통부 모서리부
13(A): 제1 바닥부 모서리부
13(B): 제2 바닥부 모서리부
14, 15: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
16: 제1 오목부
17, 18: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
19: 제2 오목부
20: 융기
21: 경사면
22: 평활면
23: 공기 체류부
30A, 30B: 공백 시트
31, 32, 33: 몸통부 세로 꺾은선
34, 35: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
36, 37: 꼭대기면 패널
38, 39: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
40, 41: 꺾은면 패널
42, 43: 꼭대기부 비스듬한 꺾은선
44, 45, 46, 47: 봉지부 가로 꺾은선
48, 49, 50, 51: 봉지 패널
52, 53: 바닥부 가로 꺾은선
54, 55: 바닥면 패널
56, 57: 바닥부 가로 꺾은선
58, 59: 내면 패널
60: 사이드실 세로 꺾은선
61: 사이드실 패널
62: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
63: 교점
64: 입구마개 부착용 개구부
65: 교점
66: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
67, 68: 교점
S: 기점
E: 종점
F: 액면
1: Paper container with cap
2: front panel
2a: top side
2b: base
3: right side panel
3a: top side
3b: base
4: back panel
4a: top side
4b: base
5: left side panel
5a: top side
5b: base
6: body
7: bottom
8: top
9: container body
10: entrance plug
11: top corner
11(A): first top edge
11(B): 2nd top edge
12: body corner
12(A): Corner of the first body portion
12(B): corner of the second body part
13(A): first bottom corner
13(B): second bottom edge
14, 15: curved line portion for forming a concave portion
16: first recess
17, 18: curved line portion for forming a concave portion
19: second recess
20: bump
21: slope
22: smooth surface
23: air retention unit
30A, 30B: blank sheet
31, 32, 33: vertical trunk line
34, 35: horizontal line at the top
36, 37: top panel
38, 39: top horizontal line
40, 41: bent panel
42, 43: oblique line at the top
44, 45, 46, 47: horizontal line of the bag
48, 49, 50, 51: bag panel
52, 53: horizontal line at the bottom
54, 55: floor panel
56, 57: horizontal line at the bottom
58, 59: inner panel
60: side sill vertical line
61: side sill panel
62: top vertical line
63: intersection
64: opening for attaching the inlet plug
65: intersection
66: top vertical line
67, 68: intersection
S: starting point
E: end point
F: face value

Claims (6)

정면 패널·우측면 패널·배면 패널·좌측면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각 통모양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아래쪽 개구를 밀봉하는 바닥부와, 몸통부의 위쪽 개구를 밀봉하는 평탄한 꼭대기부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꼭대기부에 마련된 입구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구마개는, 상기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 중의, 정면 패널의 꼭대기변과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꼭대기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정면 패널·상기 우측면 패널·상기 배면 패널·상기 좌측면 패널 사이에 형성된 4개의 몸통부 모서리부 중, 상기 입구마개가 마련된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 사이의 제1 몸통부 모서리부에,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그 기점으로부터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로 분기해서 바닥부 방향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상기 정면 패널의 저변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밑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닥부 모서리부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으로 하는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로 둘러싸인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
A container body comprising a square cylindrical body made of a front panel, a right panel, a rear panel, and a left panel, a bottom part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and a flat top part sealing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and the above It is composed of an entrance plug provided on the top,
The inlet stopper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top edge formed by the top edge of the front panel and the top edge of either left or right side panel among the four top edge portions in the top portion, ,
The body portion includes the front panel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anel, the right side panel, the rear panel,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which form a first top edge corner portion provided with the inlet stopper among four corner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left side panel. At a first body edge portion between either side panel, the first top edge portion or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first top portion edge portion as a starting point, and the front panel and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starting point It diverges to the side panel of and extends toward the bottom, and continues at a posi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and the first bottom edg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plug,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concave portion is formed surrounded by a broken line portion for forming two concave portions as end poi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는, 정면 패널측이 낮고 배면 패널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portion is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anel side is low and the rear panel side is a high inclined surf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기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길이가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면 패널의 높이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cap, wherein a length from a starting point to an end point is 50% or more of a height of the front panel in the body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그의 수평 방향의 가장 넓은 부위의 폭이,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면 패널의 폭의 10% 이상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rst concave portion, wherein the width of the widest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10% or more and less than 30% of the width of the front panel in the body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지 기재의 적어도 이면 측에 실란트를 적층한 종이 용기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를 형성하는 곳인, 몸통부 세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정면 패널·우측면 패널·배면 패널·좌측면 패널과, 상기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곳인, 상기 정면 패널·배면 패널의 상단에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꼭대기면 패널 및 좌측면 패널·우측면 패널의 상단에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꺾은면 패널과, 상기 꼭대기면 패널과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에 봉지부 가로 꺾은괘선을 거쳐 각각 연접해 있는 봉지 패널과, 상기 정면 패널·배면 패널의 하단에 바닥부 가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바닥면 패널 및 좌측면 패널·우측면 패널의 하단에 바닥부 가로 꺾은선을 거쳐 연접해 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내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정면 패널의 상단에 연접해 있는 꼭대기면 패널에는, 상기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로 되는, 상기 정면 패널의 상단의 꼭대기부 가로 꺾은선과, 상기 꼭대기면 패널과 상기 한쌍의 꺾은면 패널 중의 어느 한쪽의 꺾은면 패널 사이에 가지는 꼭대기부 세로 꺾은선과의 교점에 근접한 위치에 입구마개 부착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몸통부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곳인, 상기 교점에 이어지는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 사이의 몸통부 세로 꺾은선은, 상기 교점 또는 상기 교점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그 기점으로부터 상기 정면 패널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로 분기해서, 상기 정면 패널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을 향해 연장존재하고, 상기 정면 패널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과 상기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바닥부 가로 꺾은선과의 교점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의 위치에서 이어지고 종점으로 하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곳인 2개의 오목부 형성용 꺾은선부를 가지는 한 장의 공백 시트(blank sheet)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front panel, a right panel, a rear panel, a left panel, which is made of a paper container material in which a sealant is laminated on at least the back side of the cardboard substrate,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vertical line of the trunk portion, which forms the body portion; A pair of top panels facing each other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ront panel and rear panel through a horizontal line at the top, and the top of the left and right panels, which form the top, through a horizontal line at the top. A pair of bent panels facing each other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op panel and the side surface An encapsulation panel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horizontally curved line at the top of the panel, and a pair of bottom and left side panels facing each other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horizontally curved line at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and rear panel. A pair of opposite inner panels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ight panel through a horizontal line at the bottom,
In the top panel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a horizontal broken line at the top of the top of the front panel and one of the top panel and the pair of bent panel are formed as the first top edge. An opening for attaching an inlet plug is form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broken line of the top part between the bent panels,
The vertically broken line of the trunk portion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point, which is a location where the first trunk portion is formed, is taken as a starting point at the intersection point or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intersection point. Dividing from the starting point into the front panel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extends toward the horizontal broken line and the bottom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nd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It has two curved line portions for forming the first concave portion, which are connected at a position between the sub-horizontal broken line and the horizontal broken line of the bottom of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nels and form the first concave portion as an end point.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lded from a blank sheet.
정면 패널·우측면 패널·배면 패널·좌측면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각 통모양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아래쪽 개구를 밀봉하는 바닥부와, 몸통부의 위쪽 개구를 밀봉하는 평탄한 사각형의 꼭대기부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꼭대기부에 마련된 입구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꼭대기부는, 정면 패널측이 낮고 배면 패널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입구마개는, 상기 꼭대기부에 있어서의 4개의 꼭대기부 모서리부 중의, 정면 패널의 꼭대기변과 좌우 어느 한쪽의 측면 패널의 꼭대기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꼭대기부 모서리부에 근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구마개가 달린 종이 용기.A container body consisting of a square cylindrical body made of a front panel, a right panel, a rear panel, and a left panel, a bottom part sealing the lower opening of the body part, and a flat square top part sealing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part, , Consisting of an inlet stopper provided on the top portion, the top portion has a low front panel side and a high inclined rear panel side, and the inlet plug is one of four top edge portions in the top portion, A paper container with an inlet clos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a first top edge formed by a top side of a front panel and a top side of either left or right side panel.
KR1020207033766A 2018-04-27 2019-04-26 Paper container with cap KR2021000386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85924A JP2019189312A (en) 2018-04-27 2018-04-27 Paper container with mouth stopper
JPJP-P-2018-085924 2018-04-27
JPJP-P-2018-105079 2018-05-31
JP2018105079A JP2019209982A (en) 2018-05-31 2018-05-31 Paper container having mouth plug
PCT/JP2019/017843 WO2019208751A1 (en) 2018-04-27 2019-04-26 Paper container with stop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861A true KR20210003861A (en) 2021-01-12

Family

ID=6829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766A KR20210003861A (en) 2018-04-27 2019-04-26 Paper container with cap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147110A1 (en)
EP (1) EP3786077A4 (en)
KR (1) KR20210003861A (en)
CN (1) CN112203940A (en)
AU (1) AU2019259357A1 (en)
CA (1) CA3098276A1 (en)
PH (1) PH12020551711A1 (en)
SG (1) SG11202010523TA (en)
TW (1) TWI794479B (en)
WO (1) WO201920875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5296S1 (en) 2018-10-19 2023-08-15 Elopak As Blank for packaging container
USD995293S1 (en) 2018-10-19 2023-08-15 Elopak As Blank for packaging container
JP1707643S (en) * 2019-12-10 2022-02-16 Food packaging sheet
USD941144S1 (en) * 2020-01-10 2022-01-18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blank
USD940555S1 (en) * 2020-01-10 2022-01-11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blank
USD965426S1 (en) * 2020-01-10 2022-10-04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USD965427S1 (en) * 2020-01-10 2022-10-04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USD941143S1 (en) * 2020-01-10 2022-01-18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blank
USD942854S1 (en) * 2020-01-10 2022-02-08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blank
USD940554S1 (en) * 2020-01-10 2022-01-11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blank
USD940553S1 (en) * 2020-01-10 2022-01-11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blank
NO20210888A1 (en) * 2021-07-08 2023-01-09 Elopak As Paper-based or paperboard-based container and related method
WO2023190989A1 (en) * 2022-03-30 2023-10-05 日本製紙株式会社 Mouth-spout-equipped paper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580A (en) 2003-07-18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for liquid
JP2007076674A (en) 2005-09-13 2007-03-29 Toppa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for liqui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057Y2 (en) * 1985-04-19 1992-02-26
TR199801867T2 (en) * 1996-03-21 1998-12-2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The packaging box and the untreated part for the manufacture of the box.
JP2002154534A (en) * 2000-11-20 2002-05-28 Toppa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for liquid
JP2004284616A (en) * 2003-03-20 2004-10-14 Dainippo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for liquid with spout
SE529424C2 (en) * 2005-08-17 2007-08-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Opening device
GB0809082D0 (en) * 2008-05-20 2008-06-25 Elopak Syste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 blanks and containers
ATE554018T1 (en) * 2009-08-17 2012-05-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MULTI-LAYER FILM PACKAGING MATERIAL FOR PRODUCING SEALED PACKAGINGS FOR POURABLE FOOD PRODUCTS
JP2012197082A (en) * 2011-03-18 2012-10-18 Toppan Printing Co Ltd Blank and rectangular parallelepiped paper container for liquid using the same
USD733556S1 (en) * 2013-07-26 2015-07-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ing container
EP3219633B1 (en) * 2016-03-17 2020-12-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sheet packaging material
DE102016003826A1 (en) * 2016-04-04 2017-10-05 Sig Technology Ag Packing jacket, packaging and method of making a package
JP2018030651A (en) * 2017-11-29 2018-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aper beverage container with spo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580A (en) 2003-07-18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for liquid
JP2007076674A (en) 2005-09-13 2007-03-29 Toppa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for liq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6077A4 (en) 2022-01-19
PH12020551711A1 (en) 2021-06-21
WO2019208751A1 (en) 2019-10-31
CN112203940A (en) 2021-01-08
CA3098276A1 (en) 2019-10-31
EP3786077A1 (en) 2021-03-03
US20210147110A1 (en) 2021-05-20
TWI794479B (en) 2023-03-01
AU2019259357A1 (en) 2020-12-17
TW202000538A (en) 2020-01-01
SG11202010523TA (en)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3861A (en) Paper container with cap
CN1071685C (en) Container formed of lamination sheet
US3144976A (en) Liquid filled pouch with straw
US8783506B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CN104870330B (en) Beverage can lid
KR20030074655A (en) Container
KR20210131959A (en) Pouches with Multiple Storage Spaces
CN101365630B (en) Pourout tool
CN211140189U (en) Anti-overflow lid
JP2019189312A (en) Paper container with mouth stopper
GB2438391A (en) Container with anti-glug pouring effect
JP2019209982A (en) Paper container having mouth plug
JP2021062900A (en) Paper container with spout stopper
US3851860A (en) Pitcher
JP7411375B2 (en) Paper container with spout
CN215286350U (en) Falling type instant beverage bottle cap
KR200495501Y1 (en) Spoon-coupled cutting-type packaging container
KR200491225Y1 (en) Edible oil packing pouch having an exhaust flow path with the functon of blocking air in the open state
NO844394L (en) CONTAINER AND SUBJECT FOR PREPARING THIS
CN218490398U (en) Bubble cap type package
JP2021062902A (en) Paper container with spout stopper
CN213385153U (en) Novel liquid containing box
KR200386523Y1 (en) A beverage vessel for preventing a bubble
CN212830047U (en) Milk box convenient to empty
JP2021062901A (en) Paper container with spout st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