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852A -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852A
KR20210003852A KR1020207033636A KR20207033636A KR20210003852A KR 20210003852 A KR20210003852 A KR 20210003852A KR 1020207033636 A KR1020207033636 A KR 1020207033636A KR 20207033636 A KR20207033636 A KR 20207033636A KR 20210003852 A KR20210003852 A KR 2021000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ball
vertical rail
rail structure
us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쳰-이 랴오
Original Assignee
쳰-이 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쳰-이 랴오 filed Critical 쳰-이 랴오
Publication of KR2021000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1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91Balls fixed to a movable, tiltable or flexible a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tudio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Prosthes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10)가 메인 프레임(12), 수직 레일(28)과 경사 레일(30)을 가진 제1 수직 레일 구조(14), 제1 슬라이딩 베이스, 및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포함한다. 제1 수직 레일 구조(14)는 메인 프레임(12) 상에 배치된다.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는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제1 수직 레일 구조(14)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에 연결된다.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가 사용자의 손으로 받쳐진 다음 위쪽으로 나아갈 때,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는 수직 레일(28) 상의 제1 초기 위치에서 경사 레일(30)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따라 세트 슛을 완료하도록 사용자의 손을 안내한다.

Description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본 기재는 2018년 4월 27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2/663,272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는 정규 출원의 일부이고, 그 전체 내용이 원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세트 슛을 완료하도록 사용자의 손을 안내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슈팅 기술은 농구 선수가 성공적으로 바스켓에 농구공을 넣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중요한 기법이 적절한 손목 움직임이다. 농구 선수가 농구공을 슈팅할 때, 농구 선수는 손목을 당기고 공중을 통해 바스켓에 농구공을 밀어 넣어야 한다. 하지만, 농구 선수가 농구공을 슈팅하는 동안 위팔과 동일한 수직면에 아래팔을 적절하게 배치하지 못하면 손목의 움직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농구 선수가 적절한 손목 동작과 적절한 팔 동작을 모두 개발하도록 훈련시키는 장치를 설계하는 방법이 농구 슈팅 훈련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은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는 메인 프레임, 제1 수직 레일 구조, 제1 슬라이딩 베이스, 및 제1 농구공 모방 부재(basketball imitation member)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홀딩 평면(holding plane) 상에 위치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수직 레일과 경사 레일(oblique rail)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경사 레일은 상기 수직 레일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는 제1 베이스 부재(base member)와 제1 암 부재(arm member)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피복(jacket)하고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1 측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상기 제1 암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는 상기 제1 암 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1 측이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와 마주하고 있다.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사용자의 손으로 받쳐진 다음 위쪽으로 나아갈 때,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상기 수직 레일 상의 제1 초기 위치에서 상기 경사 레일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직 레일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상기 수직 레일에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세트 슛(set shot)을 완료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로 하여금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일직선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움직이게 한 다음 상기 경사 레일을 따라 일직선으로 그리고 비스듬히 움직이게 한다.
본 발명은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는 메인 프레임, 제1 수직 레일 구조, 및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홀딩 평면 상에 위치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수직 레일과 경사 레일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경사 레일은 상기 수직 레일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1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사용자의 손으로 받쳐진 다음 위쪽으로 나아갈 때,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는, 상기 수직 레일 상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경사 레일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일직선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움직인 다음 상기 경사 레일을 따라 일직선으로 그리고 비스듬히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세트 슛을 완료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손을 안내한다.
다양한 수치 및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에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진다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몸통 부착 부재(torso attachment member)를 착용하고 무릎 굽힘 위치에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basketball imitation member)를 받치는 사용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제2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수직으로 제1 초기 위치로 움직이도록 사용자의 몸통을 안내하는 도 2의 몸통 부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경사 레일 부분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도 3의 제1 베이스 부재(base member)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배치된 제동 장치(braking device)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수직 레일 구조로부터 제동 장치를 분리시키기 위해 제1 수직 레일 구조에 대해 회전하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농구공 모방 부재를 받치는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훅 슛(hook shot)을 완료하기 위해 위쪽으로 도 7의 제2 농구공 모방 부재를 받치는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1 수직 레일 구조, 제1 슬라이딩 베이스, 및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 로드(limiting rod)를 통해 제1 암 부재에 연결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제1 농구공 모방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손가락 부착 장치와 손목 부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제1 농구공 모방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도 13의 손가락 부착 장치와 손목 부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농구공 모방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도 13의 손가락 부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도 13의 손가락 부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암 부재에 연결된 농구공 모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커넥터(resilient connector)에 연결된 손목 부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는 메인 프레임(12), 제1 수직 레일 구조(14), 제1 슬라이딩 베이스(sliding base, 16), 제1 농구공 모방 부재(basketball imitation member, 18), 제2 수직 레일 구조(20), 및 몸통 부착 부재(torso attachment member, 22)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2)은 스탠딩 프레임 부분(24)과 가로 프레임 부분(26)을 가지고 있다. 가로 프레임 부분(26)은 스탠딩 프레임 부분(24)에 연결되고, 사용자(예컨대, 농구 선수)가 편리하게 조작하기 위해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가 홀딩 평면(holding plane)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스탠딩 프레임 부분(24)은 홀딩 평면(예컨대, 접지면) 상에 위치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수직 레일 구조(14)는 가로 프레임 부분(26) 상에 배치되고, 수직 레일(28)과 수직 레일(28)의 상단부(P)에 연결된 경사 레일(30)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수직 레일(28)에 대해 경사 레일(3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슈팅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 레일(30)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레일(28)의 상단부(P)(예컨대 힌지에 의해 회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대해 회전한다.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는 제1 베이스 부재(base member, 32)와 제1 암 부재(arm member, 34)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이스 부재(32)는 제1 수직 레일 구조(14)의 제1 측(S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제1 암 부재(34)는 제1 베이스 부재(32)로부터 연장된다. 사용자가 슈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슈팅하는 손으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받칠 수 있도록,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는 제1 암 부재(34)에 연결된다. 실제 적용에서, 근육 훈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에 필러(예를 들어, 물 또는 모래)를 추가하여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 레일 구조(20)는 메인 프레임(1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스탠딩 프레임 부분(24)에 연결된다. 몸통 부착 부재(22)는 사용자의 몸통에 부착하기 위해 제2 수직 레일 구조(2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수직 레일 구조(20)를 따라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사용자의 몸통을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슈팅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자세 안정성을 개선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통 부착 부재(22)는 웨어러블 장비(예컨대, 웨어러블 조끼)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통에 부착될 수 있는 다른 부착 장비(예를 들어, 무릎-어깨 하네스)를 채택할 수 있다. 제2 수직 레일 구조(20)와 몸통 부착 부재(22)가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의 기계적 설계를 단순화하기 위해 생략 가능한 구성 요소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슈팅하는 손으로 받치고 나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위쪽으로 나아가게 하는 동안 사용자가 위팔과 동일한 수직 평면에 아래팔을 적절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는 암 가이드 베이스(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레일 구조(14)의 제1 측(S1)에는 암 가이드 베이스(36)가 배치되고, 암 가이드 베이스(36)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 아래에 위치한다. 암 가이드 베이스(36)는 암 가이드 베이스 상에 이격되어 있는 2개의 가이드 시트(38)를 포함하고, 가이드 시트(38)는 사용자의 위팔과 동일한 수직 평면에서 가이드 시트 사이에 놓인 사용자의 아래팔을 가둔다. 실제 적용에서, 사용자가 동일한 수직 평면에서 사용자의 위팔과 사용자의 아래팔을 정렬시키기 위해, 2개의 가이드 시트(38)는 암 가이드 베이스(36)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수직 레일 구조(14)는 사용자에 대해 2개의 가이드 시트(38)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로 프레임 부분(26)에 대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고 앞뒤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2개의 가이드 시트(38)가 암 가이드 베이스(36)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제1 수직 레일 구조(14)가 가로 프레임 부분(26) 상에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게 하기 위한 기계적 설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종래 기술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따라 더 원활하게 세트 슛(set shot)을 완료하도록 돕기 위해, 수직 레일(2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 레일 대신에 선형 레일일 수 있다.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라. 도 2는 몸통 부착 부재(22)를 착용하고 무릎 굽힘 위치에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받치는 사용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2 수직 레일 구조(20)를 따라 수직으로 제1 초기 위치로 움직이도록 사용자의 몸통을 안내하는 도 2의 몸통 부착 부재(2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경사 레일(30)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도 3의 제1 베이스 부재(32)의 측면도이다. 사용자가 몸통 부착 부재(22)를 착용한 후에, 사용자는 2개의 가이드 시트(38) 사이에 아래팔(40)을 넣고, 슈팅하는 손(42)으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받치며, 그런 다음 동일한 수직 평면(즉, 도 2에 도시된 XZ 평면)에서 사용자의 위팔(44)과 사용자의 아래팔(40)을 정렬시키기 위해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적절하게 좌우로 이동시키고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앞뒤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대해 2개의 가이드 시트(38)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농구 슈팅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릅을 구부려서 무릅 굽힘 위치에서 준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무릅을 뻗을 때 제2 수직 레일 구조(20)를 따라 도 2에 도시된 무릅 굽힘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제1 초기 위치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몸통 부착 부재(22)는 사용자의 몸통을 안내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사용자는 슈팅하는 손(42)으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위쪽으로 받쳐서 제1 베이스 부재(32)로 하여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레일(28) 상의 제1 초기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레일(30)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부재(3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 레일(30)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특정 각도(예컨대 30°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가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을 통해 제1 암 부재(34)에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연결함으로써) 제1 암 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하여금 팔로우 스루 동작(follow-through motion)을 완료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전술한 농구 슈팅 훈련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가 동작 제한 목적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농구공을 바스켓에 성공적으로 넣기 위해 적절한 손목 동작과 적절한 팔 동작을 모두 개발하게끔 사용자를 훈련시킬 수 있도록,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는 아래팔(40)이 위팔(44)과 동일한 수직 평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42)을 안내하여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따라 세트 슛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가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42)에 의해 받쳐지지 않는 동안 제1 베이스 부재(32)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의 무게로 인해 경사 레일(30) 상의 슈팅 위치에서 수직 레일(28) 상의 제1 초기 위치로 다시 슬라이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제1 초기 위치에서 제1 베이스 부재(32)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 설계를 추가로 채택함으로써,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가 빠르게 떨어져 사용자에게 우발적으로 손상을 입히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 부재(32)가 경사 레일(30) 상의 슈팅 위치에서 수직 레일(28) 상의 제1 초기 위치로 다시 슬라이딩될 때,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를 제동하기 위해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 상에 배치되는 제동 장치(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도 6을 참조하라.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 상에 배치되는 제동 장치(46)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수직 레일 구조(14)로부터 제동 장치(46)를 분리시키기 위해 제1 수직 레일 구조(14)에 대해 회전하는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구성 요소는 모두 구조나 기능이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관련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는 제1 수직 레일 구조(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제동 장치(46)는 벤딩 암(48)과 제동 패드(braking pad, 50)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암(48)은 제1 베이스 부재(32)로부터 연장된다. 제동 패드(50)는 벤딩 암(48)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의 무게로 인해 벤딩 암(48)과 협력적으로 제1 수직 레일 구조(14)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가 받쳐지지 않을 때 제1 초기 위치에서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를 정지시키기 위해 제동 패드(50)로 하여금 제1 수직 레일 구조(14)와 접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42)으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위쪽으로 나아가게 할 때, 사용자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계속 위쪽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가 벤딩 암(48)과 협력적으로 제1 수직 레일 구조(14)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동 패드(50)로 하여금 제1 수직 레일 구조(14)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제동 설계를 통해,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의 조작 안정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가 훅 슛 훈련 기능을 더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를 받치는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42)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훅 슛을 완료하기 위해 도 7의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를 위쪽으로 받치는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42)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구성 요소는 모두 구조나 기능이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관련 설명을 생략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는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와 제2 슬라이딩 베이스(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베이스(54)는 제2 베이스 부재(56)와 제2 암 부재(58)를 가지고 있다. 제2 베이스 부재(56)는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제1 베이스 부재(32)와 대향하는 제1 수직 레일 구조(14)의 제2 측(S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암 부재(58)는 제2 베이스 부재(56)로부터 연장된다.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는, 사용자가 후킹 동작(hooking motion)을 수행하기 위해 슈팅하는 손으로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를 받칠 수 있도록 제2 암 부재(58)에 연결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근육 훈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러(예를 들어, 물 또는 모래)를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에 추가함으로써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의 무게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는, 제2 베이스 부재(56)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레일(30) 상의 후킹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특정 각도(예컨대, 30°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을 통해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를 제2 암 부재(58)에 연결하여)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 암 부재(5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하여금 팔로우 스루 동작을 완료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으로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를 받치고 나서 위쪽으로 나아가게 하는 동안 사용자의 위팔과 동일한 수직 평면에 사용자의 아래팔을 위치시키기 위해 전술한 팔 위치 설정 설계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관련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유추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슈팅하는 손(42)으로 제2 농구공 모방 부재(52)를 받치고 나서 위쪽으로 나아가게 하여 제2 베이스 부재(58)로 하여금 도 7에 도시된 수직 레일(28) 상의 제2 초기 위치에서 도 8에 도시된 경사 레일(30) 상의 후킹 위치로 슬라이딩하게 함으로써,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따라 훅 슛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는 사용자가 전술한 농구 후킹 훈련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농구공을 바스켓에 성공적으로 후킹하게끔 적절한 손목 동작과 적절한 팔 동작을 모두 개발하도록 사용자를 훈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움직임 제한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라.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1 수직 레일 구조(14),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 및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구성 요소는 모두 구조나 기능이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관련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0)는 메인 프레임(12), 제1 수직 레일 구조(14),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 몸통 부착 부재(102), 및 풀리 트랜스미션 장치(pulley transmission device, 104)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2)은 스탠딩 프레임 부분(24)과 가로 프레임 부분(26)을 가지고 있다. 가로 프레임 부분(26)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 스탠딩 프레임 부분(24)을 따라 위쪽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예컨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는 사용자의 이마 코와 정렬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은 스탠딩 베이스(25)를 더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스탠딩 베이스(25)는 사용자가 그 위에 서 있을 수 있도록 스탠딩 프레임 부분(24)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런 다음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0)의 관련 훈련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수직 레일 구조(14)는 가로 프레임 부분(26) 상에 배치되고, 수직 레일(28)과 수직 레일(28)에 연결된 경사 레일(30)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수직 레일(28)에 대해 경사 레일(30)의 경사 각도(바람직하게는 10°~ 30°)를 조절하여 슈팅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 레일(30)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레일(2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예를 들어, 힌지에 의해 연결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가로 프레임 부분(26)에 대해 제1 수직 레일 구조(14)의 경사 각도(바람직하게는45° ~ 90°)를 조절하여 슈팅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수직 레일 구조(14)는 가로 프레임 부분(26)에 대해(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0)의 구조적 설계를 단순화하기 위해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가 생략 가능한 구성 요소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중공 레일 튜브(hollow rail tube)일 수 있고, 제1 수직 레일 구조 안에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없이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다.
각도 제한 설계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와 제1 암 부재(34)에 더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는 제1 암 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한 로드(limiting rod, 17)를 더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제한 로드(17)는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의 제한 슬롯(19)을 통해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에 침투하고,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의 회전을 적절한 각도 범위(바람직하게는 30° ~ 60°)로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슈팅하는 손에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가 미끄러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실제 적용에서,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 상에 손가락을 확고하게 놓을 수 있도록, 부착 설계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에 더 적용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 슈팅 훈련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부착 장치(106)(바람직하게는 도 14에 도시된 3개의 벨크로 스트랩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와 손목 부착 장치(108)(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손목 밴드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부착 장치(106)와 손목 부착 장치(108)는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는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 상에 형성된 선형 가이드 레일(110)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손가락 부착 장치(106)가 슬라이딩 블록(107)을 통해 선형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손가락 부착 장치(106)는 선형 가이드 레일(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블록(107)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손가락(예컨대 검지, 중지, 및 약지)을 각각 손가락 부착 장치(106)에 부착시키고 손목을 손목 부착 장치(108)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사용자가 슈팅하는 손으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들어올리는 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손가락을 펴도록 돕기 위해 적절한 위치로 손가락 부착 장치(106)와 손목 부착 장치(108)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 상에 손가락을 더 확고하게 놓을 수 있도록, 2개의 손가락 부착 장치(10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검지, 중지, 및 약지를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 상에 각각 부착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손가락을 위한 각각의 2개의 손가락 부착 장치(106)는 2개의 호형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어 손가락 부착을 더 유연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 부착 부재(102)는 풀리 트랜스미션 장치(104)에 연결되고,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사용자의 몸통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자의 몸통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슈팅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자세 안정성을 개선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통 부착 부재(102)는 사용자의 몸통에 부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벨트 장비(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무릅-어깨 하네스)일 수 있다. 또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 트랜스미션 장치(104)는 스탠딩 프레임 부분(24) 상에 배치되고 풀리 어셈블리(114)와 견인력 적용 장치(pulling force applying device, 116)를 포함한다(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7개의 텐션 스프링(117)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풀리 어셈블리(114)를 복수의 중량원판(weight plate)에 연결하는 것과 같이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설계를 채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풀리 어셈블리(114)가 가로 프레임 부분(26)과 몸통 부착 부재(102)에 각각 연결되어, 가로 프레임 부분(26)과 몸통 부착 부재(102)로 하여금 풀리 어셈블리(114)의 트랜스미션을 통해 함께 움직이게 한다. 풀리 어셈블리(114)의 풀리 트랜스미션 설계의 관련 설명은 종래 기술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사용자가 몸통 부착 부재(102)를 착용한 후에, 사용자가 슈팅하는 손으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받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무릎을 구부려 농구 슈팅을 위한 준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몸통 부착 부재(102)는 사용자가 무릅을 뻗을 때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사용자의 몸통을 안내할 수 있고(이 과정 동안, 몸통과 발 근육 훈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텐션 견인력 적용 장치(tension pulling force applying device, 116)의 텐션이 증가될 수 있음), 그런 다음 사용자는 슈팅하는 손으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위쪽으로 나아가게 함으로써, 제1 베이스 부재(32)로 하여금 수직 레일(28)에서 경사 레일(30)로 슬라이딩하게 하여 세트 슛을 완료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풀리 어셈블리(114)의 강철 케이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풀리 어셈블리(114)에 연결되도록 휠 핸들 장치(118)를 이용함으로써, 스탠딩 프레임 부분(24)을 따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가로 프레임 부분(26)을 구동하여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원하는 높이로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예컨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는 사용자의 이마 코와 정렬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농구공 모방 설계를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암 부재에 연결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의 측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는 바람직하게는 제1 암 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반구형 어댑터일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회전 베어링(35)이 반구형 어댑터로 하여금 제1 암 부재(34)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슈팅하는 손(11)으로 트레이닝 농구공 모방 부재(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들어올려 반구형 어댑터와 일치시킴으로써, 정확한 슈팅 위치에서 슈팅하는 손(11)을 정밀하게 움직이도록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8은 탄성 커넥터(resilient connector, 120)(예를 들어, 스프링이나 고무 바)에 연결된 손목 부착 장치(108)의 측면도이고, 손목 부착 장치(108)(바람직하게는 손목 밴드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가 탄성 커넥터(120)를 통해 제1 베이스 부재(32)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손목을 손목 부착 장치(108)에 부착한 다음 슈팅하는 손으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들어올리는 동안 바스켓에 농구공을 넣기 위해 적절한 손목 동작과 적절한 팔 동작을 개발하도록 사용자를 훈련시킨다.
또한, 메인 프레임의 구조적 설계를 단순화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 설계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구 슈팅 훈련 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구성 요소는 모두 구조나 기능이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여기서는 관련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 슈팅 훈련 장치(200)는 메인 프레임(202), 제1 수직 레일 구조(14), 제1 슬라이딩 베이스(16), 및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프레임(202)은 바닥판(204)과 텔레스코픽 로드(telescopic rod, 206)를 포함한다. 사용자(예컨대 농구 선수)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끔 농구 슈팅 훈련 장치(200)를 홀딩 평면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바닥판(204)은 홀딩 평면(예컨대 접지면) 상에 위치하는 데 사용된다. 텔레스코픽 로드(206)는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 제1 수직 레일 구조(14)와 바닥판(204)에 신축 자재하게(telescopically) 연결된다(예컨대,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는 사용자의 이마 코와 정렬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수직 레일 구조(14)와 텔레스코픽 로드(206)에 연결될 휠 핸들 장치(208)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휠 핸들 장치(208)를 회전시켜 메인 프레임(202)에 대해 앞뒤로 움직이도록 제1 수직 레일 구조(14)를 구동함으로써 신체 유형에 따라 제1 농구공 모방 부재(18)를 적절한 위치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206)의 텔레스코픽 구조 설계와 휠 핸들 장치(208)의 구동 기계적 설계의 관련 설명은 종래 기술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농구 슈팅 훈련 장치와 방법의 수많은 수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즉시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로서,
    홀딩 평면(holding plane) 상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제1 수직 레일 구조 -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수직 레일과 경사 레일(oblique rail)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경사 레일은 상기 수직 레일의 상단에 연결됨 -;
    제1 베이스 부재(base member)와 제1 암 부재(arm member)를 가진 제1 슬라이딩 베이스 -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피복(jacket)하고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1 측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제1 암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됨 -; 및
    상기 제1 암 부재에 연결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basketball imitation member) -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1 측이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와 마주하고 있음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사용자의 손으로 받쳐진 다음 위쪽으로 나아갈 때,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상기 수직 레일 상의 제1 초기 위치에서 상기 경사 레일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직 레일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상기 수직 레일에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세트 슛(set shot)을 완료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로 하여금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일직선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움직이게 한 다음 상기 경사 레일을 따라 일직선으로 그리고 비스듬히 움직이게 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홀딩 평면 상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 부분과 스탠딩 프레임 부분(standing frame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 부분은 상기 스탠딩 프레임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상기 가로 프레임 부분 상에 배치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스탠딩 프레임 부분에 연결되는 제2 수직 레일 구조; 및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무릅 굽힘 위치에서 상기 제1 초기 위치로 위쪽으로 나아가는 주기 동안 상기 제2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무릅 굽힘 위치에서 상기 제1 초기 위치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사용자의 몸통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 수직 레일 구조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몸통에 부착되는 몸통 부착 부재(torso attachment member)
    를 더 포함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스탠딩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딩 베이스를 더 가지고 있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는,
    몸통 부착 부재; 및
    풀리 트랜스미션 장치(pulley transmission device)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리 트랜스미션 장치는,
    상기 가로 프레임 부분과 상기 몸통 부착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가로 프레임 부분과 상기 몸통 부착 부재로 하여금 풀리 어셈블리의 트랜스미션을 통해 함께 움직이게 하는 풀리 어셈블리; 및
    상기 풀리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력 적용 장치(pulling force applying device)
    를 포함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1 측에는 암 가이드 베이스(arm guide base)가 배치되고, 상기 암 가이드 베이스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암 가이드 베이스는 상기 암 가이드 베이스 상에 이격되어 있는 2개의 가이드 시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2개의 가이드 시트는 상기 사용자의 위팔과 동일한 수직 평면에서 상기 2개의 가이드 시트 사이에 놓인 상기 사용자의 아래팔을 가두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동일한 수직 평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팔과 상기 사용자의 아래팔을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2개의 가이드 시트는 상기 암 가이드 베이스 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2개의 가이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로 프레임 부분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앞뒤로 회전 가능한,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상기 경사 레일 상의 상기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특정 각도로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암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하여금 팔로우 스루 동작(follow-through motion)을 완료하게 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는,
    제2 베이스 부재와 제2 암 부재를 가진 제2 슬라이딩 베이스 -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2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암 부재는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됨 -; 및
    상기 제2 암 부재에 연결된 제2 농구공 모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농구공 모방 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손으로 받쳐진 다음 위쪽으로 나아갈 때,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훅 슛(hook shot)을 완료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수직 레일 상의 제2 초기 위치에서 상기 경사 레일 상의 후킹 위치(hooking position)로 슬라이딩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농구공 모방 부재는, 상기 제2 베이스 부재가 상기 경사 레일 상의 상기 후킹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특정 각도로 상기 제2 농구공 모방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암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하여금 팔로우 스루 동작을 완료하게 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가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의 무게로 인해 상기 경사 레일 상의 상기 슈팅 위치에서 상기 수직 레일 상의 상기 제1 초기 위치로 다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를 제동하기 위해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 상에 배치된 제동 장치(braking device)
    를 더 포함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제동 장치는 벤딩 암과 제동 패드(braking pad)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 암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동 패드는 상기 벤딩 암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는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의 무게로 인해 상기 벤딩 암과 협력적으로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동 패드로 하여금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받쳐지지 않을 때 상기 제1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를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와 접촉하게 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는,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위쪽으로 나아갈 때 상기 벤딩 암과 협력적으로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동 패드로 하여금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레일은, 상기 수직 레일에 대해 상기 경사 레일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수직 레일의 상단에 대해 회전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홀딩 평면 상에 위치하는 텔레스코픽 로드(telescopic rod)와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로드는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와 상기 바닥판에 신축 자재하게(telescopically) 연결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부착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 상에는 선형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부착 장치는 상기 선형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블록을 가지고 있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부착 장치는 상기 호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손목 부착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이스는 상기 제1 암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한 로드(limiting rod)를 더 가지고 있고, 상기 제한 로드는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의 제한 슬롯을 통해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에 침투하고,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는 반구형 어댑터이고, 상기 반구형 어댑터는 트레이닝 농구공 모방 부재(training basketball imitation member)와 매칭되기 위해 상기 제1 암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21.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로서,
    홀딩 평면(holding plane) 상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제1 수직 레일 구조 -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수직 레일과 경사 레일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경사 레일은 상기 수직 레일의 상단에 연결됨 -; 및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1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제1 농구공 모방 부재(basketball imitation member)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가 사용자의 손으로 받쳐진 다음 위쪽으로 나아갈 때,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세트 슛(set shot)을 완료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수직 레일 상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경사 레일 상의 슈팅 위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일직선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움직인 다음 상기 경사 레일을 따라 일직선으로 그리고 비스듬히 움직이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는 중공 레일 튜브(hollow rail tube)이고, 상기 제1 농구공 모방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제1 베이스 부재(base member)와 탄성 커넥터(resilient connector)를 가진 제1 슬라이딩 베이스 -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를 피복(jacket)하고 상기 제1 수직 레일 구조의 제1 측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탄성 커넥터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됨 -; 및
    상기 탄성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연결된 손목 부착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KR1020207033636A 2018-04-27 2019-04-26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KR20210003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3272P 2018-04-27 2018-04-27
US62/663,272 2018-04-27
PCT/CN2019/084618 WO2019206287A1 (en) 2018-04-27 2019-04-26 Basketball shooting trai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852A true KR20210003852A (ko) 2021-01-12

Family

ID=6829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636A KR20210003852A (ko) 2018-04-27 2019-04-26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758811B1 (ko)
JP (1) JP2021518788A (ko)
KR (1) KR20210003852A (ko)
CN (1) CN112041039B (ko)
BR (1) BR112020021827A2 (ko)
CA (1) CA3096155A1 (ko)
MX (1) MX2020011365A (ko)
PH (1) PH12020551752A1 (ko)
TW (1) TWI753248B (ko)
WO (1) WO20192062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204A (ko) 2021-04-15 2022-10-25 주식회사 하이퍼트레이닝 농구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S1690U1 (sr) 2020-12-03 2021-01-29 Kovacevic Dusan Naprava za trening košarkaša
CN116764175A (zh) * 2021-11-10 2023-09-19 张赐东 一种篮球教学用运球投篮训练设备
TWI790897B (zh) * 2022-01-13 2023-01-21 馬一中 投籃訓練裝置
CN114733173A (zh) * 2022-03-15 2022-07-12 孟武钢 一种标准投篮动作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5527A (en) * 1983-02-07 1986-01-21 Burchett Barry 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human by feedback enhanced learning
CN85102082B (zh) * 1985-04-01 1987-10-28 刘振东 篮球投篮技术定性、定量、定型练习器
US4717149A (en) * 1986-04-17 1988-01-05 Juhl Mark J Free throw shooting practice device
US4623148A (en) * 1986-04-17 1986-11-18 Juhl Mark J Free throw shooting practice device
CN2105978U (zh) * 1991-11-25 1992-06-03 夏国滨 投篮练习器
US5374226A (en) * 1992-04-15 1994-12-20 Grahm; Norman B.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strength, flexibility and span of a hand
CN2133335Y (zh) * 1992-04-20 1993-05-19 夏国滨 投篮练习器
US5599016A (en) * 1994-10-07 1997-02-04 Larkin; Martin Muscle-memory method and basketball training aid
US5688212A (en) * 1996-09-24 1997-11-18 Walker; Guy M. Binx Rota-flex freestanding rotational motion and relative displacement training apparatus
CN2279189Y (zh) * 1996-11-11 1998-04-22 史为民 万能健身器
US7077766B2 (en) * 2004-06-30 2006-07-18 Bennett Robert A Basketball training device
CN2761222Y (zh) * 2004-11-30 2006-03-01 西安电子科技大学 篮球投篮训练器
CN2865792Y (zh) * 2006-02-06 2007-02-07 臧鸣放 篮球训练手套
US7582030B2 (en) * 2007-05-10 2009-09-01 Lapergola Gary Basketball training glove
WO2010033803A2 (en) * 2008-09-19 2010-03-25 Garner Tracy A Basketball training aid
US8113969B1 (en) * 2010-09-07 2012-02-14 Michael Martin Magic arc
CN103357158B (zh) * 2012-04-08 2016-03-23 黄颖峰 张力篮球投篮技能形成器
US9731181B2 (en) * 2012-10-08 2017-08-15 Albert R. Klunick Ball shooting training apparatus
CN103691118B (zh) * 2013-12-17 2016-01-06 大连海洋大学 投篮姿势训练器
CN204485257U (zh) * 2015-04-04 2015-07-22 杜静衡 一种篮球投射训练姿势矫正器
US9227130B1 (en) * 2015-04-20 2016-01-05 Joshua Burdick Tennis training device
CN105251173B (zh) * 2015-11-23 2017-08-29 唐山师范学院 体育锻炼引体向上训练装置
US10315089B2 (en) * 2015-11-23 2019-06-11 Chien-Yi Liao Basketball shooting training device
CN205815051U (zh) * 2016-07-01 2016-12-21 山西大同大学 一种新型篮球训练装置
CN206434769U (zh) * 2016-12-16 2017-08-25 武汉百利恒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健身器械配重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204A (ko) 2021-04-15 2022-10-25 주식회사 하이퍼트레이닝 농구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36093A (ko) 2021-04-15 2023-09-26 김광연 훈련 강도 및 훈련 모드 설정이 가능한 농구 훈련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21827A2 (pt) 2021-02-23
EP3758811B1 (en) 2023-06-07
EP3758811A1 (en) 2021-01-06
JP2021518788A (ja) 2021-08-05
EP3758811C0 (en) 2023-06-07
TWI753248B (zh) 2022-01-21
WO2019206287A1 (en) 2019-10-31
CA3096155A1 (en) 2019-10-31
EP3758811A4 (en) 2021-12-08
CN112041039B (zh) 2022-08-12
PH12020551752A1 (en) 2021-07-26
MX2020011365A (es) 2020-11-24
TW201945047A (zh) 2019-12-01
CN112041039A (zh)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3852A (ko) 농구공 슈팅 훈련 장치
US4826158A (en) Body stretching and exercising device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US7056224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7846077B2 (en) Oblique abdominal trainer
US9199111B2 (en) Exercise apparatus
CN103083870A (zh) 具有摆动的使用者支承装置的侧三角肌锻炼器械
US5143372A (en) Football training device
KR102007398B1 (ko) 농구 슈팅 훈련 기기
US20140323277A1 (en) Exercise Bench with Rotating Torso Support
CN204932161U (zh) 一种用于起立和踏步康复训练机器人
CN108601970B (zh) 具有移动用户支撑件的三头肌推举锻炼器械
US10843058B2 (en) Basketball shooting training device
CN114100069B (zh) 一种舞蹈柔韧训练装置
US5628632A (en) Pivotable torso exercise support
CN106621201B (zh) 护颈椎仰卧起坐锻炼器
US20140228188A1 (en) Yoga Framework Assistant
KR102308174B1 (ko) 상지근력강화를 위한 재활운동머신
KR20140031593A (ko) 체중을 이용한 복합 운동기구
CN112774116B (zh) 一种健身康复用肌肉康复器
US20180104531A1 (en) Moving Exercise Apparatus
CN114569408A (zh) 一种用于肌肉康复理疗设备
JP3175736U (ja) 水泳の練習器材の構造
CN111991775A (zh) 一种倒立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