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581U - 규격 용지용 폴더 - Google Patents

규격 용지용 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581U
KR20210002581U KR2020200001614U KR20200001614U KR20210002581U KR 20210002581 U KR20210002581 U KR 20210002581U KR 2020200001614 U KR2020200001614 U KR 2020200001614U KR 20200001614 U KR20200001614 U KR 20200001614U KR 20210002581 U KR20210002581 U KR 202100025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ard paper
edge
folder
pap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250Y1 (ko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김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석 filed Critical 김형석
Priority to KR2020200001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5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5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두 개의 겉면의 양쪽에 각각 접을 수 있는 내면을 구성하고, 이들 내면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마감 부분이 내면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겉면과 내면 사이에 끼운 규격 용지가 마감 부분에 걸려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내면에는 내면을 쉽게 들어올려서 규격 용지를 쉽게 꺼내거나 삽입할 수 있게 절개 부분을 형성하거나, 영수증이나 메모지 그리고 명함 등을 끼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규격 용지를 더욱더 쉽게 보관하거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격 용지와 함께 사용하거나 보관해야 하는 영수증이나 메모지 등도 편리하게 함께 보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규격 용지용 폴더{HOLDER FOR PAPER OF INTERNATIONAL STANDARD PAPER SIZE}
본 고안은 규격 용지용 폴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하는 겉면 사이에 접은 내면의 가장자리를 마감할 때 마감 부분이 이 내면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마감하여 외부에 노출하게 구성함으로, 겉면과 내면 사이로 규격 용지를 끼울 때 규격 용지의 가장자리가 마감 부분에 끼거나 걸리지 않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내면에는 명함이나 영수증 등을 꽂을 수 있게 구성하여 때에 따라 필요한 용지나 명함을 꽂아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겉면에서 쉽게 들출 수 있게 하여 겉면과 내면 사이에 끼운 규격 용지를 쉽게 꺼내거나 기울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리 크기를 정해 놓은 규격 용지는 관련된 내용을 하나의 서류 형태로 제작하고, 이렇게 제작한 서류는 묶음 형태로 서류철을 만들어서 보관하거나 사용한다. 이처럼 규격 용지를 하나로 묶어서 서류철을 만들 때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폴더를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3015호
크기를 조절해 담을 수 있는 서류의 양을 조절하여 저장 공간의 부족과 잉여 공간의 발생을 방지하는 파일 철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가방 파일 철 표면의 모서리에 받는 혹은 박는 것이 가능한 단추를 설치하고, 다른 끈과의 연결을 통해 길어지는 것이 가능한 출입구 봉쇄 끈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파일 철의 몸체에 설치된 단추의 서로 간의 연결/분해를 통해 저장 용량의 확보 혹은 축소를 가능케 해 보관 또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18213호
서류 용지의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클리어 파일 폴더용 비닐 속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클리어 파일 폴더용 비닐 속지는, 전면부와 후면부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수용부를 가지는 속지 몸체; 상기 속지 몸체의 상단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상단 개방부; 상기 전면부의 상단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하 방향으로 파인 형상을 하는 전면 상단 안내 홈; 및 상기 후면부의 상단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하 방향으로 파인 형상을 하는 후면 상단 안내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를 향해 볼 때, 상기 전면 상단 안내 홈은 제1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되고, 상기 후면 상단 안내 홈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2090299호
소량 또는 다량의 문서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문서 수납용 폴더에 관한 것으로, 접착결합되는 결합부에 의해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되는 전면커버와, 하측에 지지부가 연결된 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의 우측에 연결된 내측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문서 수납용 폴더에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는 제1연결부와, 후면커버와 지지부는 제2연결부와, 후면커버와 내측 커버는 제3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2, 3연결부는 다양한 폭으로 접을 수 있도록 간격을 이루며 복수의 접는 선(FL)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가 제2연결부의 접는 선(FL)을 따라 상방으로 먼저 접힌 후 상기 내측 커버는 제3연결부의 접는 선(FL)을 따라 좌측으로 접히게 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중심으로 접혀진 수납부 및 내측 커버는 좌우대칭을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되, 상기 제1연결부의 양측에는 상하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가 좌우로 간격을 이루도록 결합이 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제1연결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비닐수납부의 배면에 형성된 끼움부가 슬라이딩에 의해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두 개의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끼움부와 비닐수납부 사이에 형성된 이음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접이식 문서 수납용 폴더를 제안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연결부에 간격을 이루며 복수의 접는 선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폴더를 다양한 폭으로 접을 수 있어 소량 또는 다량의 문서를 편리하게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면커버 및 후면 커버와 수납부 및 내측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폴더의 제작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통상 몇 매 정도의 많지 않은 규격 용지를 철하거나 보관하는 폴더는 규격 용지를 폴더에 직접 철하지 않고 폴더에 끼워서 보관할 때가 있으나, 이처럼 사용할 때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2) 예를 들어서, 폴더는 접어서 제작하고, 개방한 가장자리를 마감 부분으로 접어서 마감하게 구성하나, 이때 마감 부부분이 바깥 면에 노출되면 미관을 해칠 수 있어, 겉면과 내면 사이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게 제작한다.
(3) 이에, 규격 용지를 겉면과 내면 사이에 끼울 때, 이 규격 용지가 마감 부분에 걸려 정해진 위치에 끼워지지 않아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4) 또한, 이처럼 겉면과 내면 사이에 규격 용지를 끼울 때 규격 용지가 이 마감 부분에 걸려 찢어지거나 접혀서 힘들게 작성한 규격 용지를 다시 프린트하는 등 불편함이 뒤따른다.
(5) 그리고 내면이 규격 용지에 달라붙거나 밀착하여 겉면과 내면 사이에 끼운 규격 용지를 쉽게 빼낼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3015호 (공개일: 2016.12.14)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18213호 (공개일: 2019.02.22) 한국등록특허 제10-2090299호 (등록일: 2020.03.11)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서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두 개의 겉면의 양쪽에 각각 접을 수 있는 내면을 구성하고, 이들 내면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마감 부분이 내면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겉면과 내면 사이에 끼운 규격 용지가 마감 부분에 걸려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규격 용지용 폴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내면에는 내면을 쉽게 들어올려서 규격 용지를 쉽게 꺼내거나 삽입할 수 있게 절개 부분을 형성하거나, 영수증이나 메모지 그리고 명함 등을 끼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규격 용지를 더욱더 쉽게 보관하거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격 용지와 함께 사용하거나 보관해야 하는 영수증이나 메모지 등도 편리하게 함께 보관할 수 있게 한 규격 용지용 폴더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겉면에 철 구멍을 관통 형성함으로, 규격 용지의 매수가 많아지거나 철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언제든지 쉽고 철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규격 용지용 폴더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는, 접음 선(111)을 기준으로 마주하여 접을 수 있게 이루어진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 상기 접는 선(111)과 가장 멀리 있는 가장자리를 연장하여 이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제1 겉면(110)과 마주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한 제1 내면(130); 상기 접는 선(111)과 가장 멀리 있는 가장자리를 연장하여 이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제2 겉면(120)과 마주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되, 한쪽 가장자리가 제2 겉면(120)의 가장자리에 겹쳐지는 제2 내면(140); 상기 제1 겉면(110)의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상기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의 양쪽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두 개의 제1마감부분(150); 및 상기 접는 선(111)과 인접한 상기 제2 겉면(12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상기 제2 겉면(120)과 제2 내면(140)의 한쪽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하나의 제2마감 부분(16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마감 부분(150)은, 상기 제1 내면(130)의 가장자리 위로 덮어서 마감하여 제1마감 부분(150)이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 사이에 끼지 않게 하고;, 상기 제2마감 부분(160)은, 상기 제2 내면(140)의 가장자리 위로 덮어서 마감하여 제2마감 부분(160)이 제2 겉면(120)과 제2 내면(140) 사이에 끼지 않게 하게 마감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내면(130)에는, 제1 슬롯(13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제2 내면(140)에는, 제2 슬롯(141)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면(130)에는, 상기 제1마감 부분(150)으로 마감하지 않은 가장자리에, 상기 제1 겉면(110)에서 제1 내면(130)을 쉽게 들출 수 있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한 절개 부분(1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 겉면(120)과 제4(140) 사이에 삽입하는 규격 용지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철 구멍(122)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실질적으로 규격 용지를 삽입하는 겉면과 내면 사이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마감 부분이 내면 밖으로 노출하게 구성함으로, 겉면과 내면 사이에 규격 용지를 끼울 때 규격 용지가 마감 부분에 걸려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이에, 규격 용지가 마감 부분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서 끼우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규격 용지의 파손을 막아 쉽고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또한, 서로 마주하는 면에 내면을 구성하고, 이 내면에는 슬롯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슬롯을 통해 명함이나 메모지 그리고 영수증과 같이 작은 용지로 이루어진 것을 삽입해서 규격 용지와 함께 보관하거나, 필요할 때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4) 이에, 본 고안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를 펼쳐서 사용할 때는 규격 용지 외에도 필요한 영수증이나 명함 등을 별도로 보관하지 않고 슬롯에 끼워서 보관하므로 편리하면서도 필요할 때 바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5) 세 곳의 가장자리를 마감한 제1 내면에는 마감하지 않은 가장자리에 일정 크기로 절개한 절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이 절개 부분을 통해 제1 내면을 쉽게 들어올려 겉면과 내면 사이에 규격 용지를 쉽게 끼워서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겉면에는 철 구멍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보관해야 할 규격 용지의 매수가 늘어나거나 철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이 철 구멍을 통해 철끈이나 책 철대를 사용하여 쉽게 규격 용지를 철해서 편리하게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제1 겉면(110), 제2 겉면(120), 제1 내면(130), 제2 내면(140), 제1마감 부분(150), 그리고 제2마감 부분(16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마감 부분(150)과 제2마감 부분(160)은 제1 내면(130)과 제2 내면(140)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겉면과 내면 사이에 끼지 않고 마감하게 장착함으로써, 겉면과 내면 사이에 규격 용지를 끼울 때 규격 용지가 마감 부분에 걸려 정해진 위치에 들어가지 않거나 모서리 부분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내면(130)과 제2 내면(140)에는 제1 슬롯(131)과 제2 슬롯(141)을 관통 형성하므로, 명함이나 영수증 그리고 메모지 등을 쉽게 꽂아서 보관하거나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면(130)에는 한쪽 가장자리에 절개 부분(132)을 형성하므로,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 사이에 규격 용지를 끼우려고 할 때 이 절개 부분(132)을 이용하여 쉽게 제1 내면(130)을 들추거나 들어올려 규격 용지를 쉽게 끼울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점선은 접는 선을 나타낸다.
가. 제1 겉면과 제2 겉면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접는 선(1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은 각각 규격 용지의 크기보다 조금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들 겉면과 후술할 내면 사이에 규격 용지를 삽입했을 때 규격 용지가 외부로 노출하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나. 제1 내면
제1 내면(13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 겉면(110)의 한쪽 가장자리를 연장하여 이 제1 겉면(110)에 접을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내면(130)은 상기 접는 선(111)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 내면(13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 겉면(110)과 비교하여 세로 변과는 길이가 같고 가로변과의 길이는 짧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겉면(110)과 중첩하게 제1 내면(130)을 접었을 때 서로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를 후술할 제1마감 부분(160)으로 마감했을 때 마감되지 않은 쪽을 통해 규격 용지를 삽입하여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보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제1 내면(130)의 가로변의 길이가 제1 겉면(110)의 가로변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제1 겉면(110)에서 이 제1 내면(130)이 들뜨게 위로 들어올려 규격 용지를 더욱더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면(13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제1 슬롯(131)을 관통 형성한다. 이때 제1 슬롯(131)은 규격 용지의 하부 가장자리에 가깝게 관통 형성함으로써, 이 제1 슬롯(131)에 얇은 종이나 메모지 그리고 영수증 등을 꽂았을 때 일부가 제1 슬롯(131) 안으로 들어가서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의 가장자리 부분에 닿고, 일부가 제1 슬롯(131) 밖으로 돌출하여 메모지나 영수증 등을 쉽게 꽂아서 보관하거나 빼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면(13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 겉면(110)과의 사이에 규격 용지를 삽입할 수 있게 개방한 가장자리에 절개 부분(132)을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 부분(132)은 통상 서로 마주하여 밀착한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 사이에 규격 용지를 끼우려면 제1 내면(130)이 제1 겉면(110)에서 들뜨거나 쉽게 들려야만 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이처럼 개방한 가장자리에 절개 부분(132)을 절개하여 형성함으로써, 제1 겉면(110)에 밀착한 제1 내면(130)이 쉽게 들뜨게 하여 이들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 사이로 규격 용지를 쉽게 끼워서 보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 내면(13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규격 용지의 적어도 절반, 가장 바람직하게는 규격용지의 2/3 정도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제2 내면
제2 내면(14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2 겉면(120)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서로 마주하게 접을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내면(140)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접는 선(111)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가장자리를 연장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두 개의 겉면과 두 개의 내면이 서로 나란한 형태가 되게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폴더(100)를 제작할 때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내면(14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명함을 꽂을 수 있도록 관통 형성한 제2 슬롯(141)을 관통 형성한다. 이때, 제2 슬롯(141)에는 명함을 꽂을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상관없이 제2 슬롯(141)을 통해 끼워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내면(14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2 겉면(120)의 한쪽 모서리를 기준으로 제2 내면(140) 면적의 1/4 정도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내면(140)의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양쪽의 가장자리가 개방되게 형성함으로써, 개방한 부분이 많아 제2 겉면(120)과 제2 내면(140) 사이로 규격 용지를 쉽게 빼낼 수 있어 자주 빼내거나 끼워서 보는 규격 용지를 보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 내면(140)의 전체 형상은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직각인 양변이 제2 겉면(120)에 밀착하게 구성함으로써, 빗변 부분이 규격 용지를 삽입할 때 잘 걸리지 않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라. 제1마감 부분
제1마감 부분(15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 겉면(110)의 양쪽 가장자리에 연장하여 형성한다. 특히, 상기 제1마감 부분(150)은 제1 겉면(110)의 가장자리와 여기에 중첩하게 접은 제1 내면(130)의 가장자리를 한 번에 접어서 마감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제1마감 부분(150)이 제1 내면(130)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제1 내면(130)에 일체로 부착하여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 사이에 끼지 않게 제1 내면(130)에 밀착하게 구성한다. 이에,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 사이에 규격 용지를 끼워서 보관하려고 할 때 규격 용지의 모서리 부분이 제1마감 부분(150)에 걸리거나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하면서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마. 제2마감 부분
제2마감 부분(16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2 내면(140)을 제2 겉면(120)에 마주하게 접었을 때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제2 겉면(12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한다. 즉, 상술한 접는 선(111)과 인접한 제2 겉면(12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이 가장자리에 겹치는 제2 내면(140)의 가장자리를 함께 마감하기 위한 부분이다. 특히, 상기 제2마감 부분(160)은 제2 겉면(120)의 가장자리와 여기에 중첩하게 접은 제2 내면(140)의 가장자리를 한 번에 접어서 마감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제2마감 부분(160)이 제2 내면(140)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제2 겉면(120)과 제2 내면(140) 사이에 끼지 않도록 이 제2 내면(140)에 일체로 부착하여 구성한다. 이에, 제2 겉면(120)과 제2 내면(140) 사이에 규격 용지를 끼워서 보관하려고 할 때 규격 용지의 모서리 부분이 제2마감 부분(160)에 걸리거나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하면서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작한 폴더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도 4]에서는 규격 용지로 A4와 메모지 그리고 명함을 삽입한 예를 보여주고, [도 5]는 슬롯에 메모지와 영수증 그리고 명함을 각각 삽입한 예를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겉면과 내면 사이에 규격 용지를 삽입할 때 규격 용지의 모서리가 마감 부분에 걸리지 않아 규격 용지를 쉽고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규격 용지를 삽입할 때는 절개 부분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롯을 통해 영수증이나 메모지 그리고 명합 등을 꽂아서 함께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규격 용지용 폴더는, [도 6]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 중 적어도 하나에 철 구멍(122)을 추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추가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는, [도 6]과 같이,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 중 적어도 하나에 철 구멍(122)을 관통 형성한 것이다. 철 구멍(122)은 서류를 묶어서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철끈이나 철대를 끼워서 규격 용지를 제2 겉면(120)에 고정하여 보기 위해 사용하기 위한 구멍이다. 도면에서는, 제2 겉면(120)에 철 구멍(122)을 형성한 것을 예로 보여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겉면(110)에만 철 구멍(122)을 형성하거나,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에 각각 철 구멍(122)을 형성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때에 따라 규격 용지를 폴더에 고정하지 않고 쉽게 삽입하거나 꺼내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철끈이나 철대로 폴더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10: 제1 겉면
111: 접는 선
120: 제2 겉면
130: 제1 내면
131, : 제1, 제2 슬롯
132: 절개 부분
140: 제2 내면
150: 제1마감 부분
160: 제2마감 부분

Claims (4)

  1. 접음 선(111)을 기준으로 마주하여 접을 수 있게 이루어진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 상기 접는 선(111)과 가장 멀리 있는 가장자리를 연장하여 이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제1 겉면(110)과 마주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한 제1 내면(130); 상기 접는 선(111)과 가장 멀리 있는 가장자리를 연장하여 이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제2 겉면(120)과 마주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되, 한쪽 가장자리가 제2 겉면(120)의 가장자리에 겹쳐지는 제2 내면(140); 상기 제1 겉면(110)의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상기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의 양쪽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두 개의 제1마감부분(150); 및 상기 접는 선(111)과 인접한 상기 제2 겉면(12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상기 제2 겉면(120)과 제2 내면(140)의 한쪽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하나의 제2마감 부분(160);을 포함하되,
    상기 제1마감 부분(150)은, 상기 제1 내면(130)의 가장자리 위로 덮어서 마감하여 제1마감 부분(150)이 제1 겉면(110)과 제1 내면(130) 사이에 끼지 않게 하고,
    상기 제2마감 부분(160)은, 상기 제2 내면(140)의 가장자리 위로 덮어서 마감하여 제2마감 부분(160)이 제2 겉면(120)과 제2 내면(140) 사이에 끼지 않게 하게 마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 용지용 폴더.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내면(130)에는, 제1 슬롯(13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제2 내면(140)에는, 제2 슬롯(141)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 용지용 폴더.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내면(130)에는,
    상기 제1마감 부분(150)으로 마감하지 않은 가장자리에, 상기 제1 겉면(110)에서 제1 내면(130)을 쉽게 들출 수 있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한 절개 부분(1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 용지용 폴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겉면(110)과 제2 겉면(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 겉면(120)과 제4(140) 사이에 삽입하는 규격 용지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철 구멍(122)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 용지용 폴더.
KR2020200001614U 2020-05-14 2020-05-14 규격 용지용 폴더 KR200495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614U KR200495250Y1 (ko) 2020-05-14 2020-05-14 규격 용지용 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614U KR200495250Y1 (ko) 2020-05-14 2020-05-14 규격 용지용 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581U true KR20210002581U (ko) 2021-11-23
KR200495250Y1 KR200495250Y1 (ko) 2022-04-08

Family

ID=7871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614U KR200495250Y1 (ko) 2020-05-14 2020-05-14 규격 용지용 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50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013U (ko) * 1989-11-01 1991-06-28
KR20140058257A (ko) * 2012-11-06 2014-05-14 박용규 서류 홀더
JP2015208901A (ja) * 2014-04-25 2015-11-24 マルマン株式会社 バインダー用のホルダー兼用折畳みガイドプレート
KR20160143015A (ko) 2015-06-04 2016-12-14 박정호 붙임 파일철
KR20190018213A (ko) 2017-08-14 2019-02-22 이태일 클리어 파일 폴더용 비닐 속지
KR20190001058U (ko) * 2017-10-25 2019-05-07 김선문 서류홀더
KR102090299B1 (ko) 2018-12-06 2020-03-18 (주)엘리트프랜즈 다단 접이식 문서 수납용 폴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013U (ko) * 1989-11-01 1991-06-28
KR20140058257A (ko) * 2012-11-06 2014-05-14 박용규 서류 홀더
JP2015208901A (ja) * 2014-04-25 2015-11-24 マルマン株式会社 バインダー用のホルダー兼用折畳みガイドプレート
KR20160143015A (ko) 2015-06-04 2016-12-14 박정호 붙임 파일철
KR20190018213A (ko) 2017-08-14 2019-02-22 이태일 클리어 파일 폴더용 비닐 속지
KR20190001058U (ko) * 2017-10-25 2019-05-07 김선문 서류홀더
KR102090299B1 (ko) 2018-12-06 2020-03-18 (주)엘리트프랜즈 다단 접이식 문서 수납용 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250Y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204B2 (en) Pocket folder and blank for making same
US9296247B2 (en) Multiple pocket fold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773195B2 (en) Notebook with portfolio cover
ES2312645T3 (es) Tarjeta de felicitacion.
CA2574890A1 (en) Sheet retaining devices such as binders having pockets with corner locks
US6332630B1 (en) Bound folder
JP4656532B2 (ja) バンド型ファイル用シート封筒
KR200495250Y1 (ko) 규격 용지용 폴더
US11541681B2 (en) Integrated document holder
KR102248925B1 (ko) 양면 포켓이 형성되는 파일 커버
MXPA05006811A (es) Cubierta que oculta alambre para libros encuadernados con alambre.
KR200344514Y1 (ko) 서류 보관용 화일
JP3086109B2 (ja) ファイル
JP3199667U (ja) レポートパッド
JP2002019350A (ja) ファイル
US20070125835A1 (en) File portfolio pocket with attachment hinge
JP3222022U (ja) ノートカバー
KR102177669B1 (ko) 임의적인 풀림이 방지되는 일체형의 잠금 기능이 구비된 메모수첩커버
JP3121002U7 (ko)
JP3121002U (ja) 紙類ホルダー
JP2006218713A (ja) ポケット付書類カバー
KR200436237Y1 (ko) 출석부
KR20170002304U (ko) 노트 및 노트의 연결끈 결속방법
JP3144190U (ja) ファイル
JP2004223780A (ja) 書類等の収容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