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501A - 효모 단백질 - Google Patents

효모 단백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501A
KR20210002501A KR1020207030680A KR20207030680A KR20210002501A KR 20210002501 A KR20210002501 A KR 20210002501A KR 1020207030680 A KR1020207030680 A KR 1020207030680A KR 20207030680 A KR20207030680 A KR 20207030680A KR 20210002501 A KR20210002501 A KR 20210002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protein
hours
insoluble frac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뤼디 메냉
폴랭 스폴라올
이자벨 물리
Original Assignee
르샤프르 에 꽁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샤프르 에 꽁빠니 filed Critical 르샤프르 에 꽁빠니
Publication of KR2021000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8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6Lysis of microorganisms
    • C12N1/063Lysis of microorganisms of yea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6Lysis of microorganisms
    • C12N1/066Lysis of microorganisms by phys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Y301/04Phosphoric diester hydrolases (3.1.4)
    • C12Y301/04001Phosphodiesterase I (3.1.4.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a) 효모 크림을 제공하는 단계;
b) 이 효모 크림을 70 내지 95℃ 의 온도에서 30 초 내지 4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분 내지 3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열적 원형질분리에 노출시키는 단계;
b') 불용성 분획과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c) 불용성 분획을 4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60℃ 의 온도에서 8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8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리보뉴클레아제 및 하나의 글루카나아제의 활성에 적용시키는 단계;
d) 불용성 분획과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은 무미 (taste-free) 이고, 3% 미만의 뉴클레오티드 함량 및 적어도 72%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b') 는 임의적이다. 이 경우, 효모 크림의 열적 원형질분리 후에 수득되는 조성물 전체는 효소적 활성에 적용된다.

Description

효모 단백질
본 발명은 인간 및 동물 영양, 건강 및 웰빙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미생물 유래의,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모 유래의 단백질 분야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은 인간과 동물 조직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영양학적 관점에서, 단백질은 프로테아제와 펩티다아제에 의해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된다. 아미노산은 질소, 탄수화물 및 황과 같은 신체에 필수적인 요소를 제공한다. 신체는 무기질 질소를 유기 분자에 통합하기 위해 고정하지 않고: 따라서 질소는 아미노산에 의해 제공된다. 황-함유 아미노산은 신진대사에 중요한 황을 제공한다. 아미노산은 또한 글루타티온, 크레아틴, 도파민, 세로토닌 등과 같이 생리학적으로 필수적인 단백질, 펩티드 및 저 분자량 물질의 합성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인간 및 동물 영양에 대한 단백질 요구는 결과적으로 세계 인구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동물 단백질에 대한 추가 및/또는 대체 단백질 공급원을 찾을 필요가 있다. 단백질은 이미 식물 (곡물, 콩류) 또는 곤충에서 회수되었다. 미생물 기원의 단백질을 얻는 것은 수세기 동안 알려진 발효 메커니즘에 의존한다. 미생물 단백질은 전체 세포 또는 세포벽의 구성요소이거나 단리된 단백질이다. 인간 식품에 대한 미생물 기원의 단백질의 단점 중 하나는 단리물의 핵산 함량이다. 핵산 대사의 최종 산물 중 하나가, 그의 이화에 필요한 효소 유리카제의 결핍으로 인체가 분해할 수 없는 요산이기 때문에 이 함량은 낮아야 한다. 다른 단점은 예를 들어 미생물로부터 단리하여 얻은 단백질의 추출 수율 또는 순도이다.
예를 들어 효모 세포의 세포 용해 후, 단백질은 통상적으로 ≪고귀한≫ 상, 즉 효모 추출물에 해당하고 맛이 좋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용성 상에서 회수된다. 그러나, 얻어진 단백질 추출물의 의도된 적용에 따라 맛이 불리할 수 있다.
한 동일한 팀의 세 가지 특허는 농축 단백질 추출물의 수득에 관한 것이다.
특허 US3867555 는 핵산 함량이 낮은 단백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세포는 기계적 파열 (고압, 초음파) 또는 화학적 파열 (자가분해, 외부 효소) 되어 단백질이 가용성 분획 내에 남아 있다. 그러나, 이들 단백질은 가수분해의 결과, 즉 아미노산, 펩티드 및 다당류 또는 단순 당과 혼합된다.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고 제거하기 위한 원심분리 후, 단백질이 침전되고 알칼리 처리로 핵산의 가수분해가 가능하며 이들은 이후 여과를 통해 제거된다. 그러나, ≪가수분해되지 않은≫ 단백질의 전체 회수율은 낮다.
특허 US3887431 은 핵산을 분해하기 위해, 효모 용해 후 가용성 분획에서 발견되는 내인성 뉴클레아제의 사용을 개시한다. 진공 농축 단계를 통해 농축된 단백질 추출물과 맛과 냄새가 거의 없는 생성물을 모두 얻을 수 있다.
특허 US3991215 는 세포 파열 후, 가용성 세포질 분획에 초고온 열을 가하여 적은 핵산으로 단백질이 풍부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마지막으로, 영양 또는 식품 보충제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더 나은 순도, 더 나은 수율 및/또는 단백질 추출물을 얻기 위해, 미생물에서 단백질을 단리하는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지침을 따를 수 있다.
발명의 요약
통상의 기술이 취하는 방향과는 반대로,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의 용해 후 수득된 불용성 분획으로부터 미생물 단백질을 단리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신규한 방법은 핵산 함량이 적고, 악취와 냄새가 없고, 수율이 좋은 가수분해되지 않은 단백질의 농축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미생물 효소의 불활성화 및 글루탐산을 포함하는 유리 아미노산의 배지로의 방출을 유도하는 열적 원형질분리 (plasmolysis) 를 통한, 세포 용해로 시작한다. 이들을 글루카나아제 유형의 효소와 리보뉴클레아제 유형의 효소에 적용한 후, 분리 후 불용성 분획은 적어도 72 %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 관심 생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열적 원형질분리 상 후에 1 차 분리가 수행되고, 단백질, 다당류 및 RNA 를 포함하는 불용성 분획 만이 글루카나아제 및 리보뉴클레아제의 작용을 받은 후 다시 분리되어 단백질-풍부 불용성 분획을 유지한다.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은 맛과 냄새가 없으며 핵산이 적다.
막으로부터 유래된 지질을 여전히 함유하는 단백질 추출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컨대 헥산 또는 에탄올 유형의 용매로의 추출, 초임계 CO2 로의 추출 또는 리파아제 또는 포스포리파아제로 처리 후 용해된 상으로부터 분리로 탈지질화될 수 있다.
수득된 단백질은 영양, 식품 보충제 등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정의
미생물이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현미경으로는 볼 수 있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박테리아 (원핵생물 미생물) 또는 효모 (진핵생물 미생물) 이다. 단수 또는 복수의 효모는 유기물의 발효를 유발할 수 있는 진핵생물 미생물을 나타내는 총칭이다. 효모 중에서, 종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칸디다 (Candida), 피키아 (Pichia), 클루이베로마이세스 (Kluyveromyces) 를 비제한적으로 언급된다.
효모 크림은 용기에서 증식 후 원심분리 후 얻은 효모의 현탁액을 지정하여, 머스트 (must) 라고도 하는 주변 액체로부터 상기 현탁액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증식은 배양 또는, 더 나아가 발효라고도 한다.
단백질은 펩티드 결합을 통해 함께 연결된 아미노산 서열로 형성된 거대분자이다. 그들은 모든 동물 및 식물 세포의 주요 기본 구성요소에 중요하다. 이들은 생명체의 최대 50 건조 중량% 를 차지하며 우리의 일일 에너지 섭취량의 15 내지 20% 를 차지한다. 식품 및 신체 단백질은 몇 가지 주요 대사 기능을 가진 질소 및 아미노산의 주요 공급원이고: 이들은 단백질 합성의 기질, 신체 내 중요한 질소-함유 화합물 (핵산, 일산화질소, 글루타티온 등) 의 전구체 및 에너지 대사의 기질이다.
일반적으로, 농식품에서 단백질 함량은 질소 수준에 6.25 를 곱한 것으로 간주된다 (계수 6.25 는 단백질의 평균 질소 함량으로부터 파생되며, 100/6.25 즉 16% 임). 진정한 단백질이란, 비-단백질성 질소 (예를 들어, 핵산의 질소) 에 의해 유도된 편향에 대해 보정된 실제에 가까운 단백질 함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식으로서, 진정한 단백질의 함량은 전체 질소에서 핵산의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를 뺀 값에 6.25 를 곱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전체 아미노산의 분석에 의해 진정한 단백질의 함량을 평가할 수 있다. 온전한 천연 단백질이란, 살아있는 미생물에서 발견되는 상태의 미생물 단백질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변성된 천연 단백질은 접힘 또는 응고를 통해 잠재적으로 변형된 공간 구조를 갖는다. 단백질은 또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수분해될 수 있다. 원형질분리란 미생물, 바람직하게는 효모, 또는 그것의 구획적 측면의 불침투성의 파열을 의미한다. 막의 투과성에 대한 물의 손실이 추가로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법의 2 가지 주요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1A 는 원형질분리와 효소 가수분해 사이에 분리 단계가 없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B 는 원형질분리 단계 후에 분리가 수행되고 이 분리로부터 유래된 불용성 분획에 대해 효소 가수분해가 수행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 추출물 및 원형질분리 단계에서 수득된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는 공지된 방법으로부터 유래된 소위 통상의 단백질 추출물의 각각의 단백질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임의의 유형의 효모,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동물 영양에서 배경 사용을 갖는 임의의 효모에 적용될 수 있다. 산업적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효모 크림, 즉 효모의 현탁액에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효모는 종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피키아 (Pichia), 칸디다 (Candida), 클루이베로마이세스 (Kluyveromyces), 야로위아 (Yarrowia) 또는 위커하모마이세스 (Wickerhamomyces) 의 효모 중에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피키아 자디니이 (Pichia jadinii) (또한 칸디다 유틸리스 (Candida utilis) 라고도 불림), 피키아 파스토리스 (Pichia pastoris),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락티스 (Kluyveromyces lactis),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마시아누스 (Kluyveromyces marxianus), 야로위아 리폴리티카 (Yarrowia lipolytica), 위커하모마이세스 아노말루스 (Wickerhamomyces anomalus) 등 중에서 선택된다. 이들 효모는 6 내지 11% 의 질소를 포함한다. 질소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킬달 (Kjeldahl) 방법으로 측정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진정한 단백질 함량은 승수 계수 6.25 를 사용하여 이 질소 분석에서 외삽된다.
효모의 배양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하나의 프로토콜은 참고 문헌 ≪ Yeast technology ≫ Gerald Reed and Tilak W. Nagodawithana (ISBN 0-442-31892-8) 284 ~ 293 페이지에 설명되어 있다. 바이오매스라고도하는 상기 배양물은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수확되고 세척될 수 있다. 효모 크림이 수득된다.
그다음 고압 균질화, 기계적 분쇄, 초음파 붕괴, 반복된 동결-해동 주기, 삼투 충격 또는 효소 용해와 같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를 기계적 또는 화학적 파열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효모는 효모 유형에 따라 조정된 70 내지 95℃ 의 온도에서 열적 원형질분리에 적용된다.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이다. 예를 들어, 이 단계에서 불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세포 및/또는 효소의 내성의 함수로서 온도 및/또는 용해 시간을 조정하는 것은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시간은 30 초 내지 3 시간, 최대 4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분, 5 분, 10 분, 30 분, 45 분, 1 시간, 1 시간 30 분 또는 2 시간, 최대 3 시간, 심지어 4 시간이다. 이 원형질분리 단계는 효모의 변성, 내인성 효소의 비활성화 및 가용성 분획의 방출을 허용하는 막의 투과성을 허용한다. 가용성 분획은 본질적으로 유리 아미노산, 소형 펩티드, 미네랄 및 이들 아미노산 중 일부가 글루탐산과 같은 맛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서, 원형질분리 단계로부터 유래되고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함유하는 전체는 하나 이상의 효소 활성에 적용된다. 이 단계의 목적은 단백질을 공격하지 않으면서, 단백질이 아닌 구성성분의 최대 수를 용해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리보뉴클레아제 활성 (EC 3.1.4.1) 및 글루카나아제 활성 (EC 3.2.1) 이 사용된다. 효소 활성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리보뉴클레아제 활성은 RNA 를 5' 뉴클레오티드로 전환하고 후자를 용해시켜 용해성 분획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여러 리보뉴클레아제, 예를 들어 엔도-뉴클레아제와 엑소-뉴클레아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임의로, 용해성 분획의 맛-향상 특성을 회복하기 위해 AMP 를 IMP 로 전환하기 위해 데아미나아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글루카나제의 작용은 벽 다당류가 가용성 올리고당으로 가용화되도록 할 것이다. 시간과 온도는 사용된 효소의 사양에 따라 조정된다. 온도는 4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60℃ 이다. 시간은 8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4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시간이다. 이 효소 단계는 먼저 뉴클레오티드, 다당류 (총 탄수화물의 약 60%) 및 소량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신규 가용성 분획, 및 두 번째로 본질적으로 단백질을 포함하는 불용성 분획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 단계는 가용성 분획과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현예에서, 원형질분리 단계로부터 유래된 가용성 및 불용성 분획이 분리된다. 가용성 분획은 따로 보관하고 제거하여 효모 추출물로 회수할 수 있다. 불용성 분획은 쉘 (또는 벽), 중합체, 다당류, RNA 및 열에 의해 응고된 단백질을 포함한다. 이 불용성 분획은 유지된다. 이것은 유사한 인큐베이션 프로토콜 (온도, 시간) 에 따라, 위에 표시된 것과 같은 리보뉴클레아제 및 글루카나아제의 효소 활성에 적용되고, 가용성 및 불용성 분획이 분리된다.
최종 가용성 분획은 따로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효소 분해로부터 유래된 최종 불용성 분획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72% 이상, 80% 이상 및 85% 이하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효모는 50 내지 55% 의 ≪ 진정한≫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많은 요소를 제거하고 단백질 농도가 높은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임의로, 이 불용성 분획 중의 지질의 양은 용매 (에탄올, 헥산) 의 작용을 통해 또는 초임계 CO2 를 통해 또는 리파아제 또는 포스포리파아제의 작용을 통해 감소될 수 있다. 80% 초과의 진정한 단백질 순도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리보뉴클레아제 및 글루카나아제의 각각의 작용은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리보뉴클레아제 및 글루카나아제 활성은 동시에 적용된다.
수득된 생성물은 동결-건조되고, 예를 들어 분무 건조 또는 진공 건조에 의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건조되고, 품질 및 특성을 유지하면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효모 크림을 제공하는 단계;
b) 이 효모 크림을 70 내지 95℃ 의 온도에서 1 분 내지 3 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열적 원형질분리에 노출시키는 단계;
c) 전체를 40 내지 65℃ 의 온도에서 8 내지 24 시간의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리보뉴클레아제 및 하나의 글루카나아제의 활성에 적용시키는 단계;
d) 불용성 분획과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은 무미 (taste-free) 이고, 3% 미만의 뉴클레오티드 함량 및 적어도 72%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효모 크림을 제공하는 단계;
b) 이 효모 크림을 70 내지 95℃ 의 온도에서 1 분 내지 3 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열적 원형질분리에 노출시키는 단계;
b') 불용성 분획과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c) 불용성 분획을 40 내지 65℃ 의 온도에서 8 내지 24 시간의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리보뉴클레아제 및 하나의 글루카나아제의 활성에 적용시키는 단계;
d) 불용성 분획을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은 무미 (taste-free) 이고, 3% 미만의 뉴클레오티드 함량 및 적어도 72%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다.
본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은 ≪ 본 발명의 (효모) 단백질 추출물≫ 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반대로, 원형질분리 유래의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공지된 선행 기술 방법에 따라 수득된 효모 단백질 추출물은 ≪ 통상의 단백질 추출물 ≫ 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계 a) 의 효모 크림은 다음 중에서 선택된 효모의 발효로부터 유래된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피키아 (Pichia) 바람직하게는 피키아 자디니이 (Pichia jadinii), 클루이베로마이세스 (Kluyveromyces) 바람직하게는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마시아누스 (Kluyveromyces marxianus) 또는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락티스 (Kluyveromyces lactis), 야로위아 (Yarrowia) 바람직하게는 야로위아 리폴리티카 (Yarrowia lipolytica), 또는 위커하모마이세스 (Wickerhamomyces) 바람직하게는 위커하모마이세스 아노말루스 (Wickerhamomyces anomalus). 유리하게는,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피키아 자디니이 (Pichia jadinii) 또는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마시아누스 (Kluyveromyces marxianus)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이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열적 원형질분리 단계 a) 는 80 내지 9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글루카나아제 및 리보뉴클레아제 활성은 동시에 적용된다.
임의로, 데아미나아제 효소 활성도 적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단계 a) 에서 사용되는 효모 크림은 셀레늄이 풍부한 효모를 함유한다. 셀레늄이 풍부한 효모의 배양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출원 EP 1478732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효모 배양액 중의 셀레늄 함량은 3000 ppm 이상에 이를 수 있다.
불용성 분획에서 수득된 생성물은 11.5 건조 물질%, 즉 실제 단백질의 72% (위에 주어진 6.25 의 전환 계수 사용) 이상의 단백질성 질소 함량을 독점적으로 갖는다. 일반적으로, 효모는 최대 질소 함량이 11% 이며, 69% 잠재적인 단백질을 제공한다. 효모는 비-단백질성 질소 물질 (핵산, RNA, DNA) 도 함유한다. 총 질소에서 핵산 질소를 빼면, 효모는 오직 50 내지 55% 의 단백질만 함유한다. 따라서, 최종 불용성 분획에서 얻어진 72% 단백질의 최소 함량은 본 발명의 방법의 특징이다. 이 동일한 불용성 분획에서, 총 뉴클레오티드 함량은 0.8 내지 1.5% 에서 최대 3% 이고, 총 탄수화물 함량은 1 내지 8% (당업자에게 알려진 안트론 분석) 이고, 각 함량은 글루칸의 경우 0.2 내지 4 %, 만난의 경우 0.2 내지 4%, 지질의 경우 7 내지 15%, 미네랄의 경우 1 내지 7% 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효모 단백질 추출물과 선행 기술 추출물, 즉 세포 용해 및 농축 단계 후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을 구별하는 것이 흥미로울 것이며, 이것은 적어도 72% 의 단백질 함량 및 아마도 3% 미만의 뉴클레오티드 함량을 가질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총 지질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유래의 단백질 추출물에, 산 가수분해 후 중량 측정법 및 속슬렛 장치에서 헥산으로의 추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질 수준은 체계적으로 7% 초과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 방법에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은 또한 7% 초과의 지질 함량을 갖는다. 이에 비해, 지질 함량은 ≪ 통상의 ≫ 효모 단백질 추출물에서 1% 미만이다. 지질 함량은 효모 종 또는 균주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제품의 경우, 출발 미생물이 기술 데이터시트에 표시된다. 당업자는 단백질 추출물에서 종/지질 함량 조합을 외삽하고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탈지질화 단계를 거친 본 발명의 효모 단백질 추출물의 경우, 지질 함량은 두 기원을 구별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단백질 추출물의 단백질 용해도 프로파일을 평가하면 비교 분석을 완료할 수 있다. 용해도 백분율은 다음 식으로 결정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N% 는 킬달 (Kjeldahl) 방법에 따라 결정된, 질소 백분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단백질 추출물의 용해도는 물에서 3.5% 미만이다.
이에 비해, ≪ 통상의 ≫ 효모 단백질 추출물은 가용성으로 간주되며 5 내지 10% 의 불용성 원소만을 포함한다.
동일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효모 단백질 추출물과 종래 기술의 단백질 추출물 사이의 분자량 프로파일을 비교하였다. 본 발명으로 수득된 효모 단백질 추출물은 저 분자량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다. 대부분의 단백질 프로파일은 약 40-45 kDa 에 분포된다. 가장 작은 화합물은 소형 펩티드에 해당하는, 약 500 Da 에서 발견된다. 이에 비해, ≪ 통상의 ≫ 효모 단백질의 프로파일은 몇 개의 분자량 피크와 저 분자량에 대해 무시할 수 없는 양을 보여준다. 이들 프로파일을 외삽하고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식품 내 아미노산에 대한 통상의 분석법, 예를 들어 Commission Regulation (EC) N°152/2009 의 공식적인 방법에 의해 분석된 아미노산). 이 비율은 1 에 가깝고, 본 발명의 효모 단백질 추출물의 경우 항상 0.9 보다 높지만, ≪ 통상의 ≫ 효모 단백질 추출물의 경우 0.30 내지 0.8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생성물은 미생물 기원, 즉 비-식물 및 비-동물, 높은 단백질 함량, 낮은 핵산 함량 및 탈지질화 처리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세포막 지질의 잔류 존재를 통해 알려진 단백질 추출물과 차별화된다. 부가적으로, 이것은 무미이다. 그의 미생물 기원은 또한 알레르겐인 것으로 알려지지 않은 원료에서 유래된다는 장점도 있다.
효모 단백질은 이들의 영양 품질의 주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생성물은 하나의 주요 이점: PDCAAS 점수 (단백질 소화율 보정 아미노산 점수) 1 로 표시되는 그 품질, 즉, 카제인 및 난백알부민과 같은 참조 동물성 단백질과 유사한 품질을 갖는 단백질 공급원이다. 단백질 품질을 평가하면 대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영양 및 식품 또는 스포츠 보충제와 관련된 모든 적용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 언급된 적용은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인간 영양, 건강 및 웰빙의 맥락에서, 상기 단백질 추출물은 체중 조절, 스포츠인이나 연로자를 위한 보충제, 식품 보충제 또는 고단백 바 또는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백질 추출물은 예를 들어, 밀크 쉐이크, 버거, 너겟, 식물성 델리 육류, 라비올리 충전재, 미트볼, 귀리 플레이크, 파스타 향료 제제에서 비건-유형 식단을 위한 비-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백질이 풍부한 빵 또는 제빵 제품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들 단백질 추출물은 일부 오늘날의 식물성 단백질 또는 조류 단백질의 특징인 맛, 쓴맛 또는 부적절한 맛 (off-notes) 을 부여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인간 건강에서, 상기 단백질 추출물은 영양 불균형을 치료하기 위해 유아 영양 또는 임상 영양, 즉 구강 또는 장 영양에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단백질 추출물이 셀레늄이 풍부한 효모 크림으로부터 수득될 때, 이것은 면역성을 자극하고/하거나 피부, 모발 및/또는 손톱의 질을 강화하는 식품 보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단백질 추출물은 동물 사료 중의 단백질 공급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단백질 추출물이 셀레늄이 풍부한 효모 크림으로부터 수득될 때, 동물은 단백질과 셀레늄의 조합된 공급의 이점을 가질 것이며, 상기 셀레늄은 셀레노메티오닌 형태로 단백질에 통합되기 때문에 생체이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임의의 구현예에 따라 수득된 적어도 72%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 효모 단백질 추출물의, 체중 조절을 위한, 연로자 또는 스포츠인을 위한, 식품 보충제로서의 용도, 음료, 제빵 제품 또는 식물성 델리 육류에서 비-동물성 단백질의 공급원으로서의 상기 단백질 추출물의 용도, 경구 또는 장내 임상 영양에서의 상기 단백질 추출물의 용도, 또는 동물 영양을 위한 상기 단백질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영양 및/또는 동물 영양을 위한 식품 보충 방법에 관한 것이다:
- 본 발명에 따른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의 임의의 구현예를 실행함으로써 효모 단백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 상기 단백질 추출물을 체중 조절을 위한, 연로자 또는 스포츠인을 위한, 식품 보충제로서 인간 개체에게, 및/또는 단백질 섭취로서 동물에게 각각 투여하는 단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의 최종 가용성 분획은 또한 따로두고 사용될 수 있다. 총 탄수화물 함량이 높기 때문에 이것은 달콤한 주스에 필적가능하다. 총 탄수화물 함량은 45 내지 70 % 이다. 이들 탄수화물은 글루칸 (25 내지 40%) 과 만난 (25 내지 35 %) 의 형태로 되어 있어, 특히 동물 건강을 위한 면역자극을 위해 이 가용성 분획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글루카나아제의 유형에 따라, 유리 글루코오스도 방출될 수 있다. 이 가용성 분획은 총 뉴클레오티드가 풍부하며, 더욱 특히 AMP 가 데아미나아제에 의해 IMP 로 전환될 때 5'-GMP 및 5'-IMP 가 풍부하다. 따라서 이것은 또한 맛 향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AMP 가 IMP 로 변환되지 않는 경우, 생성물은 특허 출원 FR1762074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쓴맛 또는 부적절한 맛 (off-notes) 을 차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의 조성은 또한 다양한 미생물, 특히 박테리아에 대한 좋은 성장 기질이 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로부터 농축 단백질 추출물 (>75%) 의 제조
약 10 건조 물질% 의 질소에, 높은 질소 함량의 효모에 도달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의 발효를 수행한다. 이 발효의 머스트에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16-18 건조 물질% 의 효모에서 효모 크림을 수득하고, 이 크림을 세척한다.
실험실에서 질소가 풍부하고 세척된 이 크림 3 kg 에 대해 열적 원형질분리를 수행하고: 교환기를 사용하여 크림의 온도를 70 내지 95℃ 사이에서 선택한 온도로 가져온 다음, 3 kg 의 크림을 온수 욕조에 담긴 비커에 인큐베이션되도록 방치한다. 크림을 교반 상태로 두고 비커에서 크림의 온도를 2 시간 동안 유지한다. 그다음 반응 매질의 온도를 60℃ 로 낮춘다. 분획을 500 mL 삼각 플라스크 (Erlenmeyer flask) 로 옮긴다. 온도가 60℃ 로 조정된 온수 욕조에 삼각 플라스크를 담근다. 하기 용량의 효소를 추가한다: 2 개의 글루카나아제 혼합물 0.2 % (크림 100 g 당 g) 및 엔도 및 엑소-리보뉴클레아제 혼합물 0.1 %. 교반하면서 1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되도록 방치한다. 인큐베이션 후 원심분리한다. 유리 뉴클레오티드, 다당류 및 소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가용성 분획을 따로 보관한다. 불용성 분획은 효모 단백질 추출물이다. 3 회 세척 후, 이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13.0 % 질소, 3 % 총 뉴클레오티드 및 4.7 % 총 탄수화물, 즉 77 % 순수 단백질.
실시예 2: 방법 1 의 변형에 따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로부터 농축 단백질 추출물 (75%) 의 제조
실시예 1 에 기술된 방법의 변형에서, 열적 원형질분리 후 원심분리에 의해 유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상청액으로부터 불용성 분획을 분리한다. 불용성 분획을 폐기된 상청액의 부피에 등가인 주요 물의 부피에 취해서 다시 원심분리한다. 이 작업을 총 3 회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물질을 함유하는 16 건조 물질 % 에서 2 kg 의 불용성 분획을 회수한다. 분획을 500 mL 삼각 플라스크로 옮긴다. 온도가 60℃ 로 조정된 온수 욕조에 삼각 플라스크를 담그고 앞의 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나머지 방법에 적용한다.
최종적으로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12.2 % 질소, 1.4 % 총 뉴클레오티드 및 2.9 % 총 탄수화물, 즉 75 % 순수 단백질.
실시예 3: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로부터 농축 단백질 추출물 (>80 %) 의 제조
열적 원형질분리, 원심분리 및 세척 단계를 통해 실시예 2 에 기술된 프로토콜에 따라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물질을 함유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의 불용성 분획을 제조한다.
이 분획의 건조 추출물을 14% 및 pH 를 효소의 최적 pH 로 조정한다. 다음 효소 용량의 존재 하에 60℃ 에서 18 시간 동안 온수 욕조에 담근 삼각 플라스트에서 이 분획 200 g 을 교반하면서 인큐베이션한다: 글루카나아제의 순수한 액체 제제 0.2 % 및 엔도 및 엑소-리보뉴클레아제 혼합물 0.1 %. 원심분리에 의해 불용성 분획을 수집하고 3 회 세척한다.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은 13.6 % 질소, 2.4 % 총 뉴클레오티드 및 4.2 % 총 탄수화물, 즉 83 % 순수 단백질을 포함한다.
실시예 4: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로부터 농축 단백질 추출물 (75%) 의 빠른 제조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의 한 변형에서, 인큐베이션 시간은 8 시간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면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은 12.5 % 질소, 3 % 총 뉴클레오티드 및 4.4 % 총 탄수화물, 즉 75 % 순수 단백질을 포함한다.
실시예 5: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로부터 농축 단백질 추출물 (80 %) 의 제조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의 한 변형에서, 단백질 추출물은 추출 전에 5 부피의 에탄올로 건조되고, 세척되고, 배수되고 다시 진공 상태에서 건조된다. 그러면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은 13.3 % 질소, 2 % 총 뉴클레오티드 및 3.1 % 총 탄수화물, 즉 81 % 순수 단백질을 포함한다.
실시예 6:  피키아 자디니이 (Pichia jadinii) 로부터 농축 단백질 추출물의 제조
효모의 질소 함량이 9 건조 물질% 의 범위에서 수득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피키아 자디니이 (Pichia jadinii) 의 발효를 수행한다. 이 발효의 머스트에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11-13 건조 물질% 의 효모 크림을 수득하고, 이 크림을 세척한다.
실험실에서, 균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2 시간 동안 70 내지 95℃ 의 온도에서 이 질소가 풍부한 크림 3 kg 에 열적 원형질분리를 수행한다. 원심분리에 의해 불용성 분획을 수집하고 3 회 세척한다.
이 분획의 건조 추출물을 11-13% 및 pH 를 효소의 최적 pH 로 조정한다. 다음 효소 용량의 존재 하에 60 ℃ 에서 18 시간 동안 온수 욕조에 담근 삼각 플라스트에서 이 분획 200 g 을 교반하면서 인큐베이션한다: 글루카나아제의 순수한 액체 제제 0.2 % 및 엔도 및 엑소-리보뉴클레아제 혼합물 0.1 %. 원심분리에 의해 불용성 분획을 수집하고 3 회 세척한다. 그러면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은 11.7 % 질소, 1.4 % 총 뉴클레오티드 및 13.3 % 총 탄수화물, 즉 72 % 순수 단백질을 포함한다.
실시예 7: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마시아누스 (Kluyveromyces marxianus) 로부터 농축 단백질 추출물의 제조
효모의 질소 함량이 8 건조 물질% 의 범위에서 수득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마시아누스 (Kluyveromyces marxianus) 의 발효를 수행한다. 이 발효의 머스트에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효모 크림을 수득하고, 이 크림을 세척한다. 열적 원형질분리, 원심분리를 적용하고, 불용성 분획을 세척하고 이전에 설명한 프로토콜에 따라 글루칸과 엔도 및 엑소 리보뉴클레아제를 함유하는 효소의 혼합물로 인큐베이션한다. 추가로 원심분리하고 단백질을 함유하는 불용성 분획을 세척한다.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은 11.8 % 질소, 1.3 % 총 뉴클레오티드 및 8.8 % 총 탄수화물, 즉 72 % 순수 단백질을 포함한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된 ≪ 불용성 ≫ 단백질 추출물 중의 총 지질의 분석 및 선행 기술에 따른 세포 용해 후 효모의 가용성 부분으로부터 추출된 ≪ 통상의 ≫ 효모 단백질 추출물의 지질 함량과 비교.
사용된 방법은 산 가수분해 후 속슬렛 장치에서 헥산으로 추출한 중량측정법이다. 이 방법은 EC 규제 번호 152/2009 에 기술되어 있다. 결과는 아래의 표 1 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의 3 개 배치로부터, 이들 결과는 추출물 100 g 당 지질 함량이 10 내지 11 g 에 가깝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비해, 용해된 효모의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수득된 선행 기술의 효모 단백질 추출물은 추출물 100 g 당 1 g 미만의 지질 함량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9: 단백질 용해도 프로파일의 결정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추출물의 배치 1 로부터 유래된 샘플 (실시예 8 참조) 에서, 단백질 용해도 프로파일은 수용액에서 3 가지 상이한 pH 값에서 최종 단백질 농도 2 % (w/v) 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주위 온도에서 교반 하에 60 분의 가용화 시간 후, 상청액을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고 상청액 중의 총 질소 함량을 표준 NF EN ISO 5983-2 에 따라 킬달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pH 값에 대해, 용해도 백분율은 하기 식으로 결정되었다:
Figure pct00004
수득된 결과는 3.5 % 미만이었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단백질 추출물 및 ≪ 통상의 ≫ 단백질 추출물의 각각의 분자량 프로파일의 결정.
전술한 바와 같이, ≪ 본 발명의 단백질 추출물 ≫ 은 용해된 효모 세포의 불용성 분획으로부터 수득된 효모 단백질 추출물을 지칭한다. 반대로, ≪ '통상의' 효모 단백질 추출물 ≫ 은 용해된 효모 세포의 가용성 분획에서 추출하여 얻은 효모 단백질을 지칭한다. 추출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백질 추출물은 수성 조건에서 가용성이 아니다. 가용화 및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을 위한 특정 조건이 개발되었다.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도 2 의 방법 SEC1):
- 5 mL 의 이동상에 10 mg 의 샘플을 용해함 (90℃ 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 하에),
- 40℃ 에서 Agilent® PL 겔 컬럼, 20 μm MIXED-A (2000 내지 40,000 g/mol, PS 등가) 에서 수득된 용액을 분석함.
이동상: DMSO/LiCl 0.25 M.
RI (굴절률) 및 UV (280 nm) 검출기.
≪ 통상의 ≫ 효모 단백질 추출물에 사용된 방법 (도 2 의 방법 SEC2) 은 OIV 모노그래프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Vine and Wine) 에서 가져왔다.
- 샘플의 물에 가용화함;
- SUPERDEX 200 10/300 GL 컬럼에 대해 분석함 (10 000 내지 600,000 Da, 구형 단백질 등가물; 1,000 내지 100,000 g/mol, 덱스트란 등가물).
이동상: 포스페이트 완충액 + 0.25 M NaCl, pH 7.2
214, 260 및 280 nm 에서의 UV 검출.
각 단백질 프로파일은 도 2 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효모의 단백질 추출물 프로파일은 약 45 kDa 에 분포하고 저 분자량 (범위 2-10 kDa) 의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다. 비교해 보면, ≪ 통상의 ≫ 효모의 단백질 추출물 프로파일은 크게 상이하다: 이것은 저 분자량 범위, 2-10 kDa 에서 2 개의 뚜렷한 피크를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더 뚜렷하고 더 퍼진 피크를 갖는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EU EC 규정 번호 152/2009 에 주어진 공식적인 방법에 따라 총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하면 다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이는 본 발명의 효모 단백질 추출물에서 1 (또는 100 %) 에 매우 가깝고 항상 0.9 (또는 90 %) 보다 높다 (실시예 8 에서 지질이 분석된 3 개의 배치에 대한 결정). 이것은 출원인의 ≪ 통상의 ≫ 효모 단백질 추출물 및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추출물의 경우 통상적으로 0.30 내지 0.85 (30 내지 85 %) 이다.  
실시예 11: 셀레늄이 풍부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의 배양물로부터 농축 단백질 추출물 (>75%) 의 제조
셀레늄이 풍부한 효모 크림의 배치를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 에 기재된 단백질 추출 방법에 적용하였다. 이 효모 크림 중의 셀레늄 함량은 3200 ppm 에 가깝다.
수득된 단백질 추출물 중의 총 질소 함량은 13.5 % 였고, 진정한 단백질 함량은 76.7 % 였다. 총 셀레늄 함량은 4,750 ppm (mg Se/kg, 건조) 이었다. 셀레노메티오닌 함량은 84 % 였다 (Eq. Se/Se tot). 이에 비해, 생체이용가능한 유기 셀레늄의 공급원인 셀렌화 효모 SelSaf®3000 는 셀레노메티오닌 함량이 63 % 이다.

Claims (14)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a) 효모 크림을 제공하는 단계;
    b) 이 효모 크림을 70 내지 95℃ 의 온도에서 30 초 내지 4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분 내지 3 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열적 원형질분리에 노출시키는 단계;
    c) 전체를 4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60℃ 의 온도에서 8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8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리보뉴클레아제 및 하나의 글루카나아제의 활성에 적용시키는 단계;
    d) 불용성 분획과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은 무미 (taste-free) 이고, 3% 미만의 뉴클레오티드 함량 및 적어도 72%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2.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a) 효모 크림을 제공하는 단계;
    b) 이 효모 크림을 70 내지 95℃ 의 온도에서 30 초 내지 4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분 내지 3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열적 원형질분리에 노출시키는 단계;
    b') 불용성 분획과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c) 불용성 분획을 4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60℃ 의 온도에서 8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8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리보뉴클레아제 및 하나의 글루카나아제의 활성에 적용시키는 단계;
    d) 불용성 분획과 가용성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은 무미 (taste-free) 이고, 3% 미만의 뉴클레오티드 함량 및 적어도 72%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데아미나아제 활성이 또한 단계 c) 에서 적용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모가 종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피키아 (Pichia), 칸디다 (Candida), 클루이베로마이세스 (Kluyveromyces), 야로위아 (Yarrowia), 위커하모마이세스 (Wickerhamomyces) 중에서 선택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효모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피키아 자디니이 (Pichia jadinii),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마시아누스 (Kluyveromyces marxianus) 중에서 선택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서 사용된 효소가 동시에 사용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이 또한 7 % 초과의 지질 함량을 갖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 에서 수집된 불용성 분획을 에탄올, 용매 또는 초임계 CO2 로 처리하여 지질을 제거하고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80 % 로 증가시키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 에서 사용된 효모 크림이 셀레늄이 풍부한 효모를 함유하는 효모 단백질을 수득하는 방법.
  10. 인간 영양에서의,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수득된, 적어도 72 %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 효모 단백질 추출물의 용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체중 조절, 연로자 또는 스포츠인을 위한 식품 보충제로서의 용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음료, 제빵 제품 또는 식물성 델리 육류에서 비-동물성 단백질의 공급물로서의 용도.
  13. 제 10 항에 있어서, 경구 또는 장내 임상 영양에서의 용도.
  14. 동물 영양에서의,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수득된, 적어도 72 % 의 진정한 단백질 함량을 갖는 효모 단백질 추출물의 용도.
KR1020207030680A 2018-04-27 2019-04-26 효모 단백질 KR20210002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3748A FR3080521B1 (fr) 2018-04-27 2018-04-27 Proteines de levures
FR1853748 2018-04-27
PCT/EP2019/060750 WO2019207111A1 (fr) 2018-04-27 2019-04-26 Proteines de lev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501A true KR20210002501A (ko) 2021-01-08

Family

ID=6259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680A KR20210002501A (ko) 2018-04-27 2019-04-26 효모 단백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11602156B2 (ko)
EP (1) EP3784047A1 (ko)
JP (1) JP7433243B2 (ko)
KR (1) KR20210002501A (ko)
CN (2) CN117752009A (ko)
AU (1) AU2019260558A1 (ko)
BR (1) BR112020021753A2 (ko)
CA (1) CA3097196A1 (ko)
FR (1) FR3080521B1 (ko)
IL (1) IL278272B2 (ko)
MA (1) MA52349A (ko)
MX (1) MX2020011347A (ko)
SG (1) SG11202010543QA (ko)
WO (1) WO2019207111A1 (ko)
ZA (1) ZA2020062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0521B1 (fr) 2018-04-27 2021-07-09 Lesaffre & Cie Proteines de levures
EP3685681A1 (en) 2019-01-23 2020-07-29 Lesaffre et Compagnie A yeast product,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it, for use as a prebiotic agent
CN117119909A (zh) * 2021-02-22 2023-11-24 易普有限公司 微生物来源材料及其生产方法
CN114027390A (zh) * 2021-11-26 2022-02-11 安琪纽特股份有限公司 一种酵母蛋白、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175153A1 (en) * 2022-03-18 2023-09-21 Fumi Ingredients B.V. A microbial cell extract, method for obtaining said microbial cell extract and use of said microbial cell extract
WO2024089645A1 (en) * 2022-10-28 2024-05-02 Danstar Ferment Ag High protein yeast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54010A (en) * 1941-09-17 1943-06-16 Distillers Co Yeas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eparation of dry yeast products
DE850286C (de) * 1943-09-19 1952-09-22 Phrix Werke Ag Verfahren zur Gewinnung eines schlagfaehigen Eiweisses aus Hefezellrueckstaenden
US3867555A (en) 1972-11-29 1975-02-18 Anheuser Busch Manufacture of yeast protein isolate having a reduced nucleic acid content by an alkali process
GB1460030A (en) * 1972-11-29 1976-12-31 Anheuser Busch Yeast protein isolate yeast glycan and yeast extract
US3887431A (en) 1972-11-29 1975-06-03 Anheuser Busch Yeast protein isolate with reduced nucleic acid content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3991215A (en) 1974-02-11 1976-11-09 Anheuser-Busch, Incorporated Manufacture of yeast protein isolate having a reduced nucleic acid content by a thermal process
JPS52130992A (en) 1976-04-26 1977-11-02 Kirin Brewery Preparation of yeast protein
US4080260A (en) * 1976-08-18 1978-03-21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rotein extraction from yeast cells
DD153462A3 (de) 1978-06-10 1982-01-13 Horst Luther Verfahren zur gewinnung von protein fuer die menschliche ernaehrung
DK174835B1 (da) 2002-03-15 2003-12-15 Pharma Nord Aps Selengærproduk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selengærprodukt samt anvendelse af produktet til fremstilling af en fødevare, et kosttilskud, eller et lægemiddel
CA2625982C (en) * 2005-10-14 2023-01-03 Chr. Hansen A/S Composition comprising enzymatically digested yeast cell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FR2905562B1 (fr) * 2006-09-12 2009-07-17 Lesaffre Et Compangie Sa Nouvelle preparation de phosphodiesterase d'orgine vegetale
JP2009137916A (ja) 2007-12-10 2009-06-25 Kirin Yakult Nextstage Co Ltd 肥満改善用組成物
FR2927254B1 (fr) * 2008-02-12 2010-03-26 Lesaffre & Cie Utilisation de substances actives naturelles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therapeutiques
WO2010096382A1 (en) 2009-02-17 2010-08-26 Novus International In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proteins containing selenium using yeast cells
PL2675910T3 (pl) * 2011-02-17 2017-06-30 Dsm Ip Assets B.V. Sposób wytwarzania kompozycji zawierającej 5'-rybonukleotydy
JP2013053083A (ja) 2011-09-01 2013-03-21 Kohjin Life Sciences Co Ltd 酵母タンパクの製法
FR3034101B1 (fr) * 2015-03-24 2019-07-12 Lesaffre Et Compagnie Extrait de levure et son utilisation pour le collage de mouts et de boissons
FR3074811B1 (fr) 2017-12-13 2019-12-27 Lesaffre Et Compagnie Extrait de levure riche en ribonucleotides et son utilisation pour le masquage de gouts indesirables et de notes aromatiques indesirables
FR3080521B1 (fr) 2018-04-27 2021-07-09 Lesaffre & Cie Proteines de lev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010543QA (en) 2020-11-27
US11937620B2 (en) 2024-03-26
CN112105267A (zh) 2020-12-18
MX2020011347A (es) 2021-01-15
JP2021521839A (ja) 2021-08-30
CN117752009A (zh) 2024-03-26
FR3080521A1 (fr) 2019-11-01
JP7433243B2 (ja) 2024-02-19
IL278272B2 (en) 2024-04-01
IL278272A (ko) 2020-12-31
EP3784047A1 (fr) 2021-03-03
MA52349A (fr) 2021-03-03
CA3097196A1 (fr) 2019-10-31
US11602156B2 (en) 2023-03-14
WO2019207111A1 (fr) 2019-10-31
IL278272B1 (en) 2023-12-01
ZA202006252B (en) 2022-01-26
BR112020021753A2 (pt) 2021-01-26
AU2019260558A1 (en) 2020-11-26
US20210267230A1 (en) 2021-09-02
FR3080521B1 (fr) 2021-07-09
US20230165271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2501A (ko) 효모 단백질
Marson et al. Spent brewer’s yeast as a source of high added value molecules: A systematic review on its characteristics, processing and potential applications
US10196430B2 (en) Effective use of yeast and yeast extract residue
KR101577079B1 (ko) 효모 자기분해물
Tao et al. Yeast extract: characteristics, production, applications and future perspectives
Ma et al. Yeast proteins: The novel and sustainable alternative protein in food applications
US20090324778A1 (en) Novel preparation of phosphodiesterase of plant origin
JP4651361B2 (ja) グルタミン酸高含有酵母エキ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40041072A1 (en) Non-alcoholic functional beverage with a malt base or based on non-alcoholic beer or a water-aroma base enriched with amino acids and dietary fibre as well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alcoholic functional beverage with a malt base or based on non-alcoholic beer or a water-aroma base, enriched with amino acids and dietary fibre
RU2788404C2 (ru) Дрожжевые белки
JP3653132B2 (ja) 低アレルゲン化米の製造方法及び加工食品の製造方法
CN108185109A (zh) 一种星鳗酶解蛋白浓缩液的加工方法
CN112608365B (zh) 一种减轻体重的发酵型小分子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2143909A (ja) 酵母由来の可溶性食物繊維含有素材
KR20150139904A (ko) 구리 함유 효모 추출물, 그 제조방법, 식품 및 야채의 녹색 유지복원제
Alves Fracionamento de levedura residual cervejeira para produção de biomoléculas de alto valor agregado
JP2013172711A (ja) 抗酸化組成物、二糖類水解酵素活性阻害組成物、整腸組成物、ダイエット組成物、飲食品、及びアラビノースの選択的製造方法
KR20220122231A (ko) 저온, 저염 발효와 효소 분해를 이용한 수산 유래 조미 엑기스 제조 방법
JP2022047226A (ja) 植物たんぱく臭マスキング用食品素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