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401U -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 Google Patents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401U
KR20210002401U KR2020210000152U KR20210000152U KR20210002401U KR 20210002401 U KR20210002401 U KR 20210002401U KR 2020210000152 U KR2020210000152 U KR 2020210000152U KR 20210000152 U KR20210000152 U KR 20210000152U KR 20210002401 U KR20210002401 U KR 202100024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ensor
leak
unit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석
Original Assignee
에스이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이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0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401U/ko
Publication of KR20210002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광학을 이용하여 누액을 측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특정한 위치의 누액을 감지하는 포인트 리크센서와, 특정한 범위 내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에어리얼센서부가 상기 포인트 리크센서와 함께 구비되어 특정한 위치 및 범위 내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Point leak sensor and Hybrid leak sensor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에 광학을 이용하여 누액을 측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특정한 위치의 누액을 감지하는 포인트 리크센서와, 특정한 범위 내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에어리얼센서부가 상기 포인트 리크센서와 함께 구비되어 특정한 위치 및 범위 내의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화학물질을 생산하거나 취급하는 업체에서 크고 작은 인명사고와 경제적 손실 및 환경적 피해가 계속하여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에 대한 대책으로 2015년 1월 화학물질관리법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화학물질관리법이 시행되었음에도 여전히 유해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2015년 화학물질관리법이 시행한 이래로 화학물질 취급 및 관리하는 많은 업체에서 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크나큰 인명사고, 산업재해, 경제적 손실 및 환경적 피해를 줄이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설치하는 제품이 리크 센서(leak sensor)이다. 리크센서의 종류로는 포인트타입(Point type), 케이블타입(Cable type), 밴드타입(Metal Band)이 있으며, 각 센서들은 저마다의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포인트타입 센서는 넓은 지역을 커버하기보다는 작은 지역에 점 단위로 설치되는 특성이 있고, 설치 비용대비 커버 면적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광센서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항시 균등한 조도를 유지해야하고, 감지부에 고정장치를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에 조도변화가 거의 없는 화학약품의 경우 오작동이 자주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포인트타입 센서 상부로 유출되는 약액에 의해 회로기판이 망가트려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학을 이용하지 않고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특정한 위치의 누액을 감지하는 포인트 리크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포인트타입 센서 대비 넓은 면적을 감지할 수 있는 포인트 리크센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포인트타입 센서에서 발생하는 핀홀 현상을 대비하여 보호층이 구성되어 있는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포인트 리크센서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의 내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고정지지턱이 일정 높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며, 외부의 도선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도선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 상기 수납공간의 고정지지턱 하부에서 상기 몸체부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포인트센서부; 상기 포인트센서부가 하방에서 고정 결착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고정지지턱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 사이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누액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제어부; 상기 몸체부의 측면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할 수 있도록 지지판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판; 및 상기 도선주입구를 통해 상기 센싱제어부에 연결되며, 외부의 구동 전력을 상기 센싱제어부에 공급하고, 상기 센싱제어부의 누액 감지 신호를 장치 외부로 송신하는 도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형태를 이루고 있되, 상기 포인트센서부가 관통하여 상기 센싱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포인트센서연결구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싱제어부를 내장하여 상기 고정지지턱 상면에 안착되는 센싱제어부고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와 센싱제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액상 물질로부터 상기 센싱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는 내산성 또는 내약품성 재질의 보호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제어부는,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류전도성 부재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누액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판단부와, 상기 제어판단부에서 감지된 누액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와, 상기 제어판단부에서 감지한 누액 여부에 따른 누액 감지 신호를 상기 도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리크센서는, 상기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일측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 하부에 결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몸체부 외측의 일정한 감지 대상 영역 바닥면에 배치되어 누액 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리얼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이브리드 리크센서는, 상기 포인트센서부와 상기 에어리얼센서부가 결합하는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판 형태의 한 쌍의 체결플레이트; 및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각각의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에어리얼센서부, 포인트센서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둘 이상의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체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리얼센서부는, 전기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밴드 형상의 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 하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호 접촉하거나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는 전기전도성 재질의 한 쌍의 센싱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는, 일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와 결합하고, 타단은 감지 대상 영역의 임의의 장소에 위치하여, 일단에서 타단까지 교차되지 않는 원형 또는 다각형 라인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플레이트는, 감지 대상 영역에 걸쳐 원형 또는 다각형 폐루프를 이루고 있으며, 폐루프로부터 돌출된 일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리크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는 하부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광학을 이용하지 않고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특정한 위치의 누유를 감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포인트타입 센서 대비 넓은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포인트타입 센서에서 발생하는 핀홀 현상을 대비하여 보호층이 구성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리크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크센서의 포인트센서부와 에어리얼센서부가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크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L자형 에어리얼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에어리얼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리크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포인트 리크센서(100)는,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수납공간(111)이 형성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40); 상기 수납공간(111)에 위치하되 개방된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를 통해 바닥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져 특정한 위치에 떨어진 액체를 감지하는 포인트센서부(120); 상기 수납공간(11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누액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제어부(130);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110)가 바닥에 고정 및 지지를 할 수 있도록 측면하단부에서 돌출형성된 고정지지판(112); 나사못 등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지지판(112)을 관통하여 바닥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지판(112)에 형성된 지지판결합공(114);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센싱제어부(130)에 제공하도록 상부커버(140)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센싱제어부(130)에서 발생한 누액 감지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도선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인트 리크센서(100)는 기존의 광학을 이용해 측정하던 포인트타입 센서를 대체하며, 특정한 위치에 떨어진 액체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어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있던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의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전기가 흐르게 되고, 이러한 통전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센싱제어부(130)를 통해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여 특정한 위치에 떨어진 액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포인트 리크센서(100)는 누액이 예상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에 액체가 감지되면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센싱제어부(130)에서 그 전류의 변화값에 따라 누액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부(110)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개방된 상하면을 관통하는 수납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 하단에는 바닥에 고정 및 지지를 할 수 있도록 측면부에서 돌출형성된 고정지지판(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지판(112) 일측에는 나사못 등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판결합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상기 나사못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140)가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커버(140)는 상부는 폐쇄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140)의 하부의 형상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상부커버(140)가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수납공간(111)에는 한 쌍의 전기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특정한 위치에 떨어진 액체를 감지하는 포인트센서부(12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인트센서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수납공간(111)에서 위치하되, 바닥에 떨어져 있는 액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가 위치하는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포인트센서부(120)를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상기 포인트 리크센서(100)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바닥이 금속 등 전기전도성을 띄고 있는 경우 누액이 발생하지 않아도 상기 포인트센서부(120)가 오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인트센서부(120)를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도선부(170)는 상기 센싱제어부(130)에 외부의 전력을 공급해주며, 상기 센싱제어부(130)에서 발생한 누액 감지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도선부(170)가 상기 수납공간(111)에 위치해 있는 상기 센싱제어부(1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커버(140)에는 도선주입구(142)가 형성한다.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의 위쪽에는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누액여부를 알려주는 센싱제어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포인트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센싱제어부(130)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특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 내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지지턱(113)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센싱제어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더이상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못한다.
그리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약액으로 인하여 보드나 전기 회로의 파손 및 화재가 발생하는 핀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커버(140)와 센싱제어부(130)의 사이에는 보호층(190)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층(190)을 형성하여 상기 센싱제어부(130)에는 물 또는 약액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종래에 발생하던 상기 센싱제어부(130)의 파손이나 화재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190)의 소재는 내산성 또는 내약품성 수지로써, 에폭시(epoxy) 또는 실리콘(silic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층(190)은 상기 상부커버(140)와 몸체부(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층(190)을 형성하는 소재는 액체 상태 또는 겔(Gel) 상태로 외부에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140)에는 상기 보호층(190)을 형성하기 위한 액상 또는 겔상의 소재를 외부에서 주입하며 공급할 수 있도록 보호층주입구(141)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보호층주입구(141)을 통해 외부에서 주입되는 액상 또는 겔상의 소재가 상기 센싱제어부(130)의 하부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센싱제어부고정부(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센싱제어부고정부(160)는 상기 센싱제어부(130)가 내장되어 상기 고정지지턱(113)에 안착되며, 상기 보호층(190)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주입된 후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센싱제어부(130)를 고정 및 지지해주는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싱제어부고정부(160)에는 상기 포인트센싱부(120)와 센싱제어부(1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포인트센서연결구(16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센싱제어부(130)는, 상기 포인트센싱부(120)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제어판단부와, 상기 제어판단부에서 누액을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18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알림부(180)를 LED로 구성하였다. 하지만, 반드시 LED로만 가능한 것은 아니고 작업 환경에 따라서는 빛 말고도 소리나 진동 등 사용자 혹은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는 알림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판단부에서 판단한 누설된 검지 대상물질이 존재하는 여부에 대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송신부가 구성되며, 설치 환경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도선부(170)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도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크센서(200)의 포인트센서부(120)와 에어리얼센서부(210)이 체결부(220)에 의해 결합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리크센서(200)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자형 에어리얼센서부(210)의 모습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에어리얼센서부(210)의 모습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하이브리드 리크센서(2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포인트 리크센서(100)에 에어리얼센서부(210)이 결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앞에서 설명한 상기 포인트 리크센서(1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아래에서는 에어리얼센서부(210)과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리크센서(200)는 종래의 포인트타입 센서 대비 넓은 면적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정한 위치의 누액을 감지하는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와, 일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일정한 감지 대상 영역에 배치되어 누액 여부를 센싱하는 에어리얼센서부(2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와 에어리얼센서부(210)을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부(220)가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20)는, 상기 포인트센싱부와 에어리얼센싱부가 결합하는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리얼센싱부가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진 체결플레이트(222)와; 상기 체결플레이트(222)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상기 포인트센싱부, 에어리얼센싱부 및 체결플레이트(222)를 한번에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부재(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관계를 조금 더 자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의 하부에 에어리얼센서부(210)의 일단을 겹쳐놓게 되고, 상기 에어리얼센서부(210)의 하부에는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의 하면과 동일한 면적의 상기 체결플레이트(222)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플레이트(222)의 아래쪽에서 상기 포인트센서부(120)가 위치해 있는 상방으로 한번에 관통하여 볼트 등 체결부재(221)를 이용하여 이들을 결합시키게 된다. 볼트 등의 체결부재(221)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의 하면에는 일정한 깊이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며, 상기 에어리얼센서부(210)와 체결플레이트(22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물론, 볼트 등을 이용한 나사결합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와 에어리얼센서부(210)를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 역시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220)에 의해 상기 포인트센서부(120)와 에어리얼센서부(210)는 결합이 되며, 이로 인해 특정한 위치에 떨어진 액체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어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있던 상기 에어리얼센서부(210)에 액체로 인해 서로 연통됨으로써 전기가 흐르게 되고, 이러한 통전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센싱제어부(130)를 통해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여 액체가 떨어진 위치와 애체의 종류를 판단하여 누액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리얼센서부(21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 타입의 플레이트(212)와, 일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 하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호 접촉하거나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전기전도성 재질의 한 쌍의 센싱라인(21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리얼센서부(210)의 형태는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12)의 구조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상기 플레이트(212)는 일단에서 시작하여 타단에서 끝날 때까지 한번도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라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둘째, 일단에서 시작되어 다시 일단으로 돌아오는 원형 또는 다각형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첫 번째 상기 플레이트(212)의 형태는 일단에서 시작하여 타단에서 끝날 때까지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는 ㄱ자형, ㄴ자형 및 ㄷ자형 등과 같이 서로 만나지도 않고 교차되지도 않는 형태로서, 이외에도 작업환경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두 번째 상기 플레이트(212)의 형태는 ㅇ자형, ㅁ자형, 8자형 등과 같이 일단에서 시작되어 다시 일단으로 돌아오는 폐루프 형태로서, 역시 이러한 형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례로 설명한 것이며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센싱라인(211)은 상기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앞서 언급하였듯이 서로 만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다.
평소에는 한 쌍의 센싱라인(211)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포인트센서부(120)를 통해 연결된 센싱제어부(130)에서 전류값이 측정되지 않지만, 누액이 발생하는 경우 한 쌍의 센싱라인(211)이 액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센싱제어부(130)에서 전류값이 측정되어 누액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212)는 반드시 전기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대표적으로 에틸렌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ETFE) 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TFE) 등과 같은 비도전성 불소계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 혹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포인트센서부(120)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 하부커버(150)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형태로 여닫을 수 있다. 물론 상기 하부커버(15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을 닫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에어리얼센서부(210)을 통해서 특정한 지역에 누액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이브리드 리크센서(200)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특정한 위치의 누액을 감지하는 포인트 리크센서(100)와 특정한 범위 내에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에어리얼센서부(210)가 동시에 이루어져 특정한 위치 및 범위 내에 누액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포인트 리크센서
110 - 몸체부
111 - 수납공간 112 - 지지판
113 - 고정지지턱 114 - 지지판결합공
120 - 포인트센서부
130 - 센싱제어부
140 - 상부커버
141 - 보호층주입구 142 - 도선주입구
150 - 하부커버
160 - 센싱제어부고정부
161 - 포인트센서연결구
170 - 도선부
180 - 알림부
190 - 보호층
200 -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210 - 에어리얼센서부
211 - 센싱라인 212 - 플레이트
220 - 체결부
221 - 체결부재 222 - 체결플레이트

Claims (10)

  1.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의 내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고정지지턱이 일정 높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며, 외부의 도선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도선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
    상기 수납공간의 고정지지턱 하부에서 상기 몸체부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포인트센서부;
    상기 포인트센서부가 하방에서 고정 결착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고정지지턱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 사이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누액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제어부;
    상기 몸체부의 측면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할 수 있도록 지지판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판; 및
    상기 도선주입구를 통해 상기 센싱제어부에 연결되며, 외부의 구동 전력을 상기 센싱제어부에 공급하고, 상기 센싱제어부의 누액 감지 신호를 장치 외부로 송신하는 도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리크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형태를 이루고 있되, 상기 포인트센서부가 관통하여 상기 센싱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포인트센서연결구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싱제어부를 내장하여 상기 고정지지턱 상면에 안착되는 센싱제어부고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포인트 리크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센싱제어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액상 물질로부터 상기 센싱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는 내산성 또는 내약품성 재질의 보호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리크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제어부는,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류전도성 부재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누액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판단부와, 상기 제어판단부에서 감지된 누액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와, 상기 제어판단부에서 감지한 누액 여부에 따른 누액 감지 신호를 상기 도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리크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일측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 하부에 결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몸체부 외측의 일정한 감지 대상 영역 바닥면에 배치되어 누액 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리얼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센서부와 상기 에어리얼센서부가 결합하는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판 형태의 한 쌍의 체결플레이트; 및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각각의 상기 체결플레이트와 에어리얼센서부, 포인트센서부를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둘 이상의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체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리얼센서부는,
    전기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밴드 형상의 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의 한 쌍의 전기전도성 부재 하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호 접촉하거나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는 전기전도성 재질의 한 쌍의 센싱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일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와 결합하고, 타단은 감지 대상 영역의 임의의 장소에 위치하여, 일단에서 타단까지 교차되지 않는 원형 또는 다각형 라인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리크센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감지 대상 영역에 걸쳐 원형 또는 다각형 폐루프를 이루고 있으며, 폐루프로부터 돌출된 일단은 상기 포인트센서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리크센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하면을 폐쇄하는 하부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리크센서.
KR2020210000152U 2020-04-21 2021-01-18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KR202100024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152U KR20210002401U (ko) 2020-04-21 2021-01-18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788 2020-04-21
KR2020210000152U KR20210002401U (ko) 2020-04-21 2021-01-18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788 Division 2020-04-21 2020-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01U true KR20210002401U (ko) 2021-10-29

Family

ID=7826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152U KR20210002401U (ko) 2020-04-21 2021-01-18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40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1754B2 (en) Sensor for detecting leakage of a liquid
US5188143A (en)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US6308728B1 (en) Spill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US20130305815A1 (en) Oil leak detection device
KR101555682B1 (ko) 누수감지장치
US20060176061A1 (en) Fluid detection cable
KR102063253B1 (ko)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KR100659462B1 (ko) 누액 검출기
KR101006708B1 (ko) 누액감지 경보장치, 및 그 경보방법 및 그 시공방법
JP5760027B2 (ja) 有機液体検出用センター
KR20100138523A (ko)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101610053B1 (ko) 누수감지센서
US6901946B2 (en) Modular spill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KR20210002401U (ko) 포인트 리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리크센서
KR101882189B1 (ko) 건축물에 배선된 배전케이블의 누전 차단형 트레이장치
KR101939652B1 (ko) 발열구조를 갖는 리크감지센서용 케이스
KR102087562B1 (ko) 누액센서장치와 누액감지시스템
KR102126902B1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
CN108766641B (zh) 一种深海用水密电缆
CN213907208U (zh) 一种密封防潮电力工井检测装置
KR100855280B1 (ko) 누수용 수분감지장치
KR102142107B1 (ko) 상하수도 누수 자가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7372B1 (ko) 누액 감지 센서
KR102040640B1 (ko) 누액 감지센서
KR20090006520A (ko) 가스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