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395U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395U
KR20210002395U KR2020200001340U KR20200001340U KR20210002395U KR 20210002395 U KR20210002395 U KR 20210002395U KR 2020200001340 U KR2020200001340 U KR 2020200001340U KR 20200001340 U KR20200001340 U KR 20200001340U KR 20210002395 U KR20210002395 U KR 202100023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extension
should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김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범 filed Critical 김승범
Priority to KR2020200001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395U/ko
Publication of KR202100023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4Slidable hangers ; Adjustable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하방의 몸통 지지부, 제1몸체, 제2몸체, 상기 후크부에 대해 좌측 하방의 좌측 팔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우측 하방의 우측 팔 지지부, 상기 좌측 어깨 지지부와 확장할 수 있는 좌측 어깨 확장부, 상기 우측 어깨 지지부와 확장할 수 있는 우측 어깨 확장부, 상기 몸통 지지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이웃하게 각각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몸통 확장부, 상기 좌측 팔 지지부의 양측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 및 상기 우측 팔 지지부의 양측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옷걸이{Hanger}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옷걸이는 대체적으로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옷의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지한다.
하지만 이에 의하면 옷의 나머지 부분, 즉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과 팔에 해당하는 부분은 적절하게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구김이 생기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을 통해 옷의 모든 장력을 지탱하기 때문에 그 부분만 늘어나기 쉬운 문제도 있다. 이는 스팀 다리미를 사용할 때 역시 마찬가지이다. 통상적인 옷걸이의 경우 한 손으로 옷을 잡고 평평하게 펼친 다음 다른 한 손으로 그 부분을 다려야 하기 때문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옷을 펼칠 때 다른 부분이 뒤틀려 다시 구김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옷 모양을 잡아주는 옷걸이에서는 셔츠를 옷걸이에 입히고 셔츠를 반듯하게 펼치기 위해서는 셔츠의 단추를 하나하나 잠가야하기 때문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옷이 반듯하게 펼쳐지면서 셔츠의 단추부분에 힘이 가해지면서 단추부분과 단추부분 사이가 벌어지면서 옷을 반듯하게 펼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옷걸이에서 옷을 벗길 때도 단추를 하나하나 풀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옷 모양의 옷걸이의 선행 사례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86867와 20-0490606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옷을 전체적으로 반듯하게 펼칠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하방으로 결합된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고, 앞면과 뒷면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쌍의 앞면 몸통 지지부와 뒷면 몸통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좌측 하방의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는 좌측 팔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우측 하방의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는 우측 팔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좌측 하방으로 몸통지지부와 결합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측 어깨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우측 하방으로 몸통지지부와 결합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우측 어깨 지지부, 상기 좌측 어깨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좌측 어깨 지지부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좌측 어깨 확장부, 상기 우측 어깨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우측 어깨 지지부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우측 어깨 확장부, 상기 몸통 지지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이웃하게 각각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몸통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몸통 확장부, 상기 좌측 팔 지지부의 양측에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보다 긴 좌측 팔 윗측 확장부가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좌측 팔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 상기 우측 팔 지지부의 양측에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보다 긴 우측 팔 윗측 확장부가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우측 팔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몸체,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팔 지지부와 상기 몸통 지지부를 연결 할 수 있는 좌측 팔측 지지부, 좌측 몸통측 지지부, 좌측 관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팔 지지부와 상기 몸통 지지부를 연결 할 수 있는 우측 팔측 지지부, 우측 몸통측 지지부, 우측 관절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좌측 팔 지지부는 상기 좌측 팔측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좌측 몸통측 지지부는 상기 몸통 지지부의 좌측 상단 연결되고, 상기 좌측 팔측 지지부와 상기 좌측 몸통측 지지부는 좌측 관절부로 탈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우측 팔 지지부는 상기 우측 팔측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우측 몸통측 지지부는 상기 몸통 지지부의 우측 상단 연결되고, 상기 우측 팔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몸통측 지지부는 우측 관절부로 탈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 지지부의 아래측에 연결되는 스탠드형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형 연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형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형 지지대의 아래측에 연결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앞면 몸통 지지부와 뒷면 몸통 지지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앞면 몸통 지지부와 뒷면 몸통 지지부는 평평한 형태, 입체 형태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 간의 거리,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 간의 거리, 좌측 어깨 확장부의 거리, 우측 어깨 확장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몸체는 직사각형, 반원형, 일방향으로 연장된 몸통과 몸통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 2몸체는 직사각형, 반원형, 일방향으로 연장된 몸통과 몸통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몸체는 다수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몸체는 다수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와 상기 윗면 몸통지지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몸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조절부는 제어기를 구비한 조절부, 수동으로 조절하는 조절부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제어기를 구비한 조절부, 수동으로 조절하는 조절부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는 좌측 어깨 확장부와 우측 어깨 확장부를 옷의 좌측 어깨와 우측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각각 조절하고, 한 쌍의 몸통 확장부를 옷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조절하고, 좌측 팔 확장부와 우측 팔 확장부를 옷의 좌측 팔과 우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각각 조절함으로써 옷을 전체적으로 반듯하게 펼칠 수 있다. 또한 옷걸이에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으로 통풍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스탠드형 지지대와 연결부로 옷걸이를 세울 수 있다. 또한 앞면 몸통지지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몸체와 제2몸체로 단추를 잠그지 않아도 옷을 반듯하게 펼칠 수 있는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옷을 벗길 때에도 단추를 풀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세탁 후 옷을 널 때와 옷을 보관할 때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탁 후 반듯한 상태에서 마르게 되면서 반듯하게 옷이 마르며, 스팀 다리미를 사용할 때 옷을 별도로 바로 잡지 않고도 그대로 다릴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옷을 판매하는 매장의 경우 이를 통해 옷의 모양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으며, 보관 시 주름이 생기지 않아 종업원으로 하여금 추가적인 다림질을 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옷의 모양을 반듯하게 펼쳐진 상태를 보여줄 수 있어 판매자와 구매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한 쌍의 몸통 확장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는 좌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는 우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우측 어깨 확장부는 우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 어깨 확장부는 좌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도 1에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 좌측 팔 지지부 다수개의 관통형 구멍,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더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한 쌍의 몸통 확장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는 좌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는 우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우측 어깨 확장부는 우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 어깨 확장부는 좌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5은 도 3에서 스탠드형 연결부, 스탠드형 지지부, 받침대를 더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6는 도 1에 좌측 관절부와 우측 관절부를 몸통 지지부쪽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2은 도 1에서 한 쌍의 몸통 확장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는 좌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는 우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우측 어깨 확장부는 우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 어깨 확장부는 좌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3은 도 1에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더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한 쌍의 몸통 확장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는 좌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는 우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우측 어깨 확장부는 우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 어깨 확장부는 좌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5은 도 3에서 스탠드형 연결부, 스탠드형 지지부, 받침대를 더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6는 도 1에 좌측 관절부와 우측 관절부를 몸통 지지부쪽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6를 참조하면 옷걸이는 후크부(110), 조절부(111), 좌측 어깨 지지부(121),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우측 어깨 지지부(122), 우측 어깨 확장부(122A), 몸통 지지부(130), 몸통 확장부(130A), 좌측 팔 지지부(141),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우측 팔 지지부(142),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몸통측 지지부(170), 우측 팔측 지지부(171), 우측 관절부(172), 좌측 팔측 지지부(173), 좌측 관절부(174), 받침대(180), 스탠드형 지지부(181), 스탠드형 연결부(182),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0),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2), 제1몸체(201), 제2몸체(202)를 포함한다.
단 여기서 "좌측"과 "우측"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지 절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어깨 지지부(121),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좌측 팔 지지부(141),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좌측 팔측 지지부(173), 좌측 관절부(174),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 등은 옷걸이를 정면(도 1 내지 9의 모습)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그 옷걸이를 배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좌측 어깨 지지부(121),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좌측 팔 지지부(141),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좌측 팔측 지지부(173), 좌측 관절부(174),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 등은 우측 어깨 지지부(122), 우측 어깨 확장부(122A), 우측 팔 지지부(142),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우측 팔측 지지부(171), 우측 관절부(172),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2) 등으로 간주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이 경우 우측 어깨 지지부(122), 우측 어깨 확장부(122A), 우측 팔 지지부(142),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우측 팔측 지지부(171), 우측 관절부(172),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2) 등은 좌측 어깨 지지부(121),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좌측 팔 지지부(141),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좌측 팔측 지지부(173), 좌측 관절부(174),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 등으로 간주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도 1 내지 6의 모습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후크부(110)는 옷걸이를 옷장의 봉, 고리 등에 걸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옷걸이를 특정한 대상에 걸 수만 있다면 후크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어깨 지지부(121)는 후크부(110)로부터 좌측 하방에 위치되어, 옷의 좌측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우측 어깨 지지부(122)는 후크부(110)로부터 우측 하방에 위치되어, 옷의 우측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좌측 어깨 지지부(121)와 우측 어깨 지지부(122)의 각도는 옷의 개별적인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우측 어깨 확장부(122A)로 옷의 개별적인 형태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몸통 지지부(130)는 후크부(110)에 대해 하방에 위치되어, 옷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앞면 몸통 지지부와 뒷면 몸통 지지부(미도시)는 몸통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앞면과 뒷면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몸통 지지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이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고, 한 쌍의 몸통 지지부(미도시)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한쌍의 몸통 지지부(미도시)와 상기 조절부(111)가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한 쌍의 몸통 지지부(미도시)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좌측 팔 지지부(141)는 좌측 팔측 지지부(173)와 연결되고, 좌측 팔측 지지부(173)는 몸통측 지지부(170)와 좌측 관절부(174)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에 좌측 팔 지지부(141)는 옷의 좌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좌측 팔측 지지부(173)와 몸통측 지지부(170)는 좌측 관절부(174)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좌측 관절부(174)는 고리, 볼 조인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우측 팔 지지부(142)는 우측 팔측 지지부(171)와 연결되고, 우측 팔측 지지부(171)는 몸통측 지지부(170)와 우측 관절부(172)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에 우측 팔 지지부(142)는 옷의 우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우측 팔측 지지부(171)와 몸통측 지지부(170)는 우측 관절부(172)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우측 관절부(172)는 고리, 볼 조인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몸통 확장부(130A)는 몸통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이웃하게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대체적으로 몸통 지지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의 배열은 옷의 개별적인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옷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이 일정하다면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면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면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하방으로 갈 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전체적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이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고,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몸통 확장부(130A)와 상기 조절부(111)가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좌측 팔 지지부(141)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면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옷의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은 어깨 측에서 손목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면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는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보다 긴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가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보다 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대체적으로 좌측 팔 지지부(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전체적으로 좌측 팔 지지부(1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나 좌측 팔 지지부(14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고,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와 상기 조절부(111)가 역시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우측 팔 지지부(142)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면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옷의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은 어깨 측에서 손목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면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는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보다 긴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가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보다 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대체적으로 우측 팔 지지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전체적으로 우측 팔 지지부(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나 우측 팔 지지부(14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고,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와 상기 조절부(111)가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0)은 몸통 지지부(130)에 설치된다.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은 좌측 팔 지지부(141)에 설치된다.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2)은 우측 팔 지지부(142)에 설치된다.
몸통 지지부(130)에 회전가능하며 탈착이 가능하게 스탠드형 연결부(182)로 스탠드형 지지부(181)를 연결하며, 스탠드형 지지부(181)와 받침대(180)를 연결되게 설치한다.
제1몸체(201)은 앞면 몸통 지지부의 중앙에 힌지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앞면 몸통 지지부와 제1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제2몸체(202)은 앞면 몸통 지지부의 중앙에 힌지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앞면 몸통 지지부와 제1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또한 제1몸체, 제2몸체와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간의 거리를 조절하기위한 조절부는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제1몸체, 제2몸체와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옷걸이의 구조에 기초하여, 이하 그 옷걸이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서로 최대한 가깝게, 즉 몸통 지지부(130)에 인접해 있고,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좌측 팔 지지부(141)에 최대한 가깝게 인접해 있으며,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우측 팔 지지부(142)에 최대한 가깝게 인접해 있는 것으로 가상한다.
이러한 상태로 옷을 옷걸이에 건다. 만약 옷이 셔츠, 카디건, 재킷 등이라면 단추를 풀고 옷걸이에 쉽게 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좌측 팔 지지부(141)와 우측 팔 지지부(142)가 각각 좌측 관절부(174)와 우측 관절부(172)로 몸통 지지부(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바, 좌측 팔 지지부(141) 우측 팔 지지부(142)의 각도를 회전하면서 옷의 개별적인 형태에 맞게 각각 조정하고, 보관시 몸통지지부(130) 방향으로 좌측 팔 지지부(141)와 우측 팔 지지부(142)를 회전하여 보관한다.
이후 사용자의 수동으로, 또는 상기 조절부를 이용하여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옷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가 좌측 팔 지지부(1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옷의 좌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조절하고, 마찬가지로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가 우측 팔 지지부(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옷의 우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조절한다.
이에 의하면 옷을 전체적으로 반듯하게 펼칠 수 있다. 따라서 옷을 전체적으로 반듯하게 펼친 상태에서 건조를 시키기 때문에 다림질을 한 것처럼 반듯하게 옷이 건조되게 된다. 또한 세탁 후 옷을 널 때와 옷을 보관할 때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스팀 다리미를 사용할 때 옷을 별도로 손으로 잡지 않고도 그대로 다릴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시에는 각 확장부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우측 관절부(172)와 좌측 관절부(174)를 회전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에 용이하다.
한편 옷을 판매하는 매장의 경우 이를 통해 옷의 모양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어 판매자와 구매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보관 시 생기는 주름을 최소화하여 셔츠 매장에서 매번 다림질을 하는 직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조절부를 분리하여 한 쌍의 앞면 몸통 지지부(미도시)와 뒷면 몸통 지지부(미도시)와 몸통 확장부(130A),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좌측 어깨 확장부(121A)와 우측 어깨 확장부(122A)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좌측 및 우측 팔 지지부(141, 142)가 팔꿈치 관절에 해당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박과 하박으로 구분되어 상박 지지부와 하박 지지부로 각각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 및 우측 팔 확장부(141A, 142A)는 상박 지지부로부터 멀어지거나 상박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박 확장부와 하박 지지부로부터 멀어지거나 하박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박 확장부로 각각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관통형 구멍이 포함된 옷걸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옷걸이에 옷을 걸고 건조를 시켜주면 된다.
관통형 구멍이 포함된 옷걸이는 반듯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0)와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와 우측 팔 지지부 다수개의 관통형 구멍(192)를 통해 통풍 효과를 높여주어 더욱 빠르게 건조를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옷을 반듯하게 펼친 상태에서 건조시키기 때문에 다림질을 한 것처럼 반듯하게 옷기 건조되게 된다. 또한 세탁 후 옷을 널 때와 옷을 보관할 때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풍효과를 높여주어 옷의 습기를 낮추어 줄 수 있다. 또한 스팀 다리미를 사용할 때 옷을 별도로 손으로 잡지 않고 그대로 다릴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시에는 각 확장부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우측 관절부(172)와 좌측 관절부(174)를 회전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2은 도 1에서 한 쌍의 몸통 확장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는 좌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는 우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우측 어깨 확장부는 우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 어깨 확장부는 좌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3은 도 1에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더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한 쌍의 몸통 확장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는 좌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는 우측 팔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우측 어깨 확장부는 우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측 어깨 확장부는 좌측 어깨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5은 도 3에서 스탠드형 연결부, 스탠드형 지지부, 받침대를 더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6는 도 1에 좌측 관절부와 우측 관절부를 몸통 지지부쪽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6를 참조하면 옷걸이는 후크부(110), 조절부(111), 좌측 어깨 지지부(121),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우측 어깨 지지부(122), 우측 어깨 확장부(122A), 몸통 지지부(130), 몸통 확장부(130A), 좌측 팔 지지부(141),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우측 팔 지지부(142),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몸통측 지지부(170), 우측 팔측 지지부(171), 우측 관절부(172), 좌측 팔측 지지부(173), 좌측 관절부(174), 받침대(180), 스탠드형 지지부(181), 스탠드형 연결부(182),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0),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2), 제1몸체(201), 제2몸체(202)를 포함한다.
단 여기서 "좌측"과 "우측"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지 절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어깨 지지부(121),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좌측 팔 지지부(141),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좌측 팔측 지지부(173), 좌측 관절부(174),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 등은 옷걸이를 정면(도 1 내지 9의 모습)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그 옷걸이를 배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좌측 어깨 지지부(121),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좌측 팔 지지부(141),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좌측 팔측 지지부(173), 좌측 관절부(174),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 등은 우측 어깨 지지부(122), 우측 어깨 확장부(122A), 우측 팔 지지부(142),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우측 팔측 지지부(171), 우측 관절부(172),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2) 등으로 간주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이 경우 우측 어깨 지지부(122), 우측 어깨 확장부(122A), 우측 팔 지지부(142),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우측 팔측 지지부(171), 우측 관절부(172),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2) 등은 좌측 어깨 지지부(121),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좌측 팔 지지부(141),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좌측 팔측 지지부(173), 좌측 관절부(174),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 등으로 간주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도 1 내지 6의 모습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후크부(110)는 옷걸이를 옷장의 봉, 고리 등에 걸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옷걸이를 특정한 대상에 걸 수만 있다면 후크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어깨 지지부(121)는 후크부(110)로부터 좌측 하방에 위치되어, 옷의 좌측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우측 어깨 지지부(122)는 후크부(110)로부터 우측 하방에 위치되어, 옷의 우측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좌측 어깨 지지부(121)와 우측 어깨 지지부(122)의 각도는 옷의 개별적인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좌측 어깨 확장부(121A), 우측 어깨 확장부(122A)로 옷의 개별적인 형태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몸통 지지부(130)는 후크부(110)에 대해 하방에 위치되어, 옷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앞면 몸통 지지부와 뒷면 몸통 지지부(미도시)는 몸통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앞면과 뒷면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몸통 지지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이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고, 한 쌍의 몸통 지지부(미도시)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한쌍의 몸통 지지부(미도시)와 상기 조절부(111)가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한 쌍의 몸통 지지부(미도시)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좌측 팔 지지부(141)는 좌측 팔측 지지부(173)와 연결되고, 좌측 팔측 지지부(173)는 몸통측 지지부(170)와 좌측 관절부(174)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에 좌측 팔 지지부(141)는 옷의 좌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좌측 팔측 지지부(173)와 몸통측 지지부(170)는 좌측 관절부(174)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좌측 관절부(174)는 고리, 볼 조인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우측 팔 지지부(142)는 우측 팔측 지지부(171)와 연결되고, 우측 팔측 지지부(171)는 몸통측 지지부(170)와 우측 관절부(172)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에 우측 팔 지지부(142)는 옷의 우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우측 팔측 지지부(171)와 몸통측 지지부(170)는 우측 관절부(172)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우측 관절부(172)는 고리, 볼 조인트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몸통 확장부(130A)는 몸통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이웃하게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대체적으로 몸통 지지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의 배열은 옷의 개별적인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옷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이 일정하다면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면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면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하방으로 갈 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전체적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이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고,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몸통 확장부(130A)와 상기 조절부(111)가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좌측 팔 지지부(141)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면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옷의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은 어깨 측에서 손목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면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는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보다 긴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가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보다 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대체적으로 좌측 팔 지지부(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전체적으로 좌측 팔 지지부(1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나 좌측 팔 지지부(14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고,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와 상기 조절부(111)가 역시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우측 팔 지지부(142)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면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옷의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은 어깨 측에서 손목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면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는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보다 긴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가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보다 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대체적으로 우측 팔 지지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전체적으로 우측 팔 지지부(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나 우측 팔 지지부(14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고,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와 상기 조절부(111)가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0)은 몸통 지지부(130)에 설치된다.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은 좌측 팔 지지부(141)에 설치된다.
우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2)은 우측 팔 지지부(142)에 설치된다.
몸통 지지부(130)에 회전가능하며 탈착이 가능하게 스탠드형 연결부(182)로 스탠드형 지지부(181)를 연결하며, 스탠드형 지지부(181)와 받침대(180)를 연결되게 설치한다.
제1몸체(201)은 앞면 몸통 지지부의 중앙에 힌지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앞면 몸통 지지부와 제1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제2몸체(202)은 앞면 몸통 지지부의 중앙에 힌지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앞면 몸통 지지부와 제1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또한 제1몸체, 제2몸체와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간의 거리를 조절하기위한 조절부는 공지된 조합의 기어-풀리나 랙-피니언 또는 그밖에 전기적 구동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제1몸체, 제2몸체와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옷걸이의 구조에 기초하여, 이하 그 옷걸이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는 서로 최대한 가깝게, 즉 몸통 지지부(130)에 인접해 있고,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는 좌측 팔 지지부(141)에 최대한 가깝게 인접해 있으며,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는 우측 팔 지지부(142)에 최대한 가깝게 인접해 있는 것으로 가상한다.
이러한 상태로 옷을 옷걸이에 건다. 만약 옷이 셔츠, 카디건, 재킷 등이라면 단추를 풀고 옷걸이에 쉽게 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좌측 팔 지지부(141)와 우측 팔 지지부(142)가 각각 좌측 관절부(174)와 우측 관절부(172)로 몸통 지지부(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바, 좌측 팔 지지부(141) 우측 팔 지지부(142)의 각도를 회전하면서 옷의 개별적인 형태에 맞게 각각 조정하고, 보관시 몸통지지부(130) 방향으로 좌측 팔 지지부(141)와 우측 팔 지지부(142)를 회전하여 보관한다.
이후 사용자의 수동으로, 또는 상기 조절부를 이용하여 한 쌍의 몸통 확장부(130A)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옷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가 좌측 팔 지지부(1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옷의 좌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조절하고, 마찬가지로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가 우측 팔 지지부(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옷의 우측 팔에 해당하는 부분의 폭에 상응하도록 조절한다.
이에 의하면 옷을 전체적으로 반듯하게 펼칠 수 있다. 따라서 옷을 전체적으로 반듯하게 펼친 상태에서 건조를 시키기 때문에 다림질을 한 것처럼 반듯하게 옷이 건조되게 된다. 또한 세탁 후 옷을 널 때와 옷을 보관할 때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스팀 다리미를 사용할 때 옷을 별도로 손으로 잡지 않고도 그대로 다릴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시에는 각 확장부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우측 관절부(172)와 좌측 관절부(174)를 회전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에 용이하다.
한편 옷을 판매하는 매장의 경우 이를 통해 옷의 모양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어 판매자와 구매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보관 시 생기는 주름을 최소화하여 셔츠 매장에서 매번 다림질을 하는 직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조절부를 분리하여 한 쌍의 앞면 몸통 지지부(미도시)와 뒷면 몸통 지지부(미도시)와 몸통 확장부(130A), 좌측 팔 윗측 확장부(141A)와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141B), 우측 팔 윗측 확장부(142A)와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142B), 좌측 어깨 확장부(121A)와 우측 어깨 확장부(122A)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좌측 및 우측 팔 지지부(141, 142)가 팔꿈치 관절에 해당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박과 하박으로 구분되어 상박 지지부와 하박 지지부로 각각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 및 우측 팔 확장부(141A, 142A)는 상박 지지부로부터 멀어지거나 상박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박 확장부와 하박 지지부로부터 멀어지거나 하박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박 확장부로 각각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관통형 구멍이 포함된 옷걸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옷걸이에 옷을 걸고 건조를 시켜주면 된다.
관통형 구멍이 포함된 옷걸이는 반듯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몸통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0)와 좌측 팔 지지부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191)와 우측 팔 지지부 다수개의 관통형 구멍(192)를 통해 통풍 효과를 높여주어 더욱 빠르게 건조를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옷을 반듯하게 펼친 상태에서 건조시키기 때문에 다림질을 한 것처럼 반듯하게 옷기 건조되게 된다. 또한 세탁 후 옷을 널 때와 옷을 보관할 때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풍효과를 높여주어 옷의 습기를 낮추어 줄 수 있다. 또한 스팀 다리미를 사용할 때 옷을 별도로 손으로 잡지 않고 그대로 다릴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시에는 각 확장부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우측 관절부(172)와 좌측 관절부(174)를 회전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원치 않는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후크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하방으로 결합된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고, 앞면과 뒷면에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쌍의 앞면 몸통 지지부와 뒷면 몸통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좌측 하방의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는 좌측 팔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우측 하방의 다수 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는 우측 팔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좌측 하방으로 몸통지지부와 결합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측 어깨 지지부,
    상기 후크부에 대해 우측 하방으로 몸통지지부와 결합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우측 어깨 지지부,
    상기 좌측 어깨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좌측 어깨 지지부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좌측 어깨 확장부,
    상기 우측 어깨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우측 어깨 지지부를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우측 어깨 확장부,
    상기 몸통 지지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이웃하게 각각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몸통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몸통 확장부,
    상기 좌측 팔 지지부의 양측에 좌측 팔 아래측 확장부보다 긴 좌측 팔 윗측 확장부가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좌측 팔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
    상기 우측 팔 지지부의 양측에 우측 팔 아래측 확장부보다 긴 우측 팔 윗측 확장부가 이웃하게 배치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우측 팔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몸체,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앞면 몸통지지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몸체를 포함하는 옷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팔 지지부와 상기 몸통 지지부를 연결 할 수 있는 좌측 팔측 지지부, 좌측 몸통측 지지부, 좌측 관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팔 지지부와 상기 몸통 지지부를 연결 할 수 있는 우측 팔측 지지부, 우측 몸통측 지지부, 우측 관절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좌측 팔 지지부는 상기 좌측 팔측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좌측 몸통측 지지부는 상기 몸통 지지부의 좌측 상단 연결되고,
    상기 좌측 팔측 지지부와 상기 좌측 몸통측 지지부는 좌측 관절부로 탈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우측 팔 지지부는 상기 우측 팔측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우측 몸통측 지지부는 상기 몸통 지지부의 우측 상단 연결되고,
    상기 우측 팔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몸통측 지지부는 우측 관절부로 탈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옷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지지부의 아래측에 연결되는 스탠드형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형 연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형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형 지지대의 아래측에 연결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앞면 몸통 지지부와 뒷면 몸통 지지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몸통 지지부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앞면 몸통 지지부와 뒷면 몸통 지지부는 평평한 형태, 입체 형태 중의 하나인 옷걸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좌측 팔 확장부 간의 거리, 한 쌍의 우측 팔 확장부 간의 거리, 좌측 어깨 확장부의 거리, 우측 어깨 확장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는 직사각형, 반원형, 일방향으로 연장된 몸통과 몸통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 2몸체는 직사각형, 반원형, 일방향으로 연장된 몸통과 몸통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 중의 하나인 옷걸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는 다수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몸체는 다수개의 관통형 구멍을 포함하는 옷걸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와 상기 윗면 몸통지지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몸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조절부는 제어기를 구비한 몸체조절부, 수동으로 조절하는 몸체조절부 중의 하나인 몸체조절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제어기를 구비한 조절부, 수동으로 조절하는 조절부 중의 하나인 조절부

KR2020200001340U 2020-04-21 2020-04-21 옷걸이 KR202100023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40U KR20210002395U (ko) 2020-04-21 2020-04-21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40U KR20210002395U (ko) 2020-04-21 2020-04-21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95U true KR20210002395U (ko) 2021-10-29

Family

ID=7826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340U KR20210002395U (ko) 2020-04-21 2020-04-21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39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1916B (zh) 折叠衣架的改良结构
CN112423629B (zh) 衣架
KR20210002395U (ko) 옷걸이
US11478097B2 (en) Collapsible hanger cover
KR20220000615U (ko) 연결식 옷걸이
KR20210001521U (ko) 연결식 옷걸이
KR200486867Y1 (ko) 옷걸이
JP3134544U (ja) 速乾ハンガー
KR102079746B1 (ko) 다기능 옷걸이 건조대
TWM611514U (zh) 可收折衣架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KR200490606Y1 (ko) 옷걸이
JP5189685B1 (ja) 速乾物干し具
KR200494282Y1 (ko) 셔츠용 집게
JP4002779B2 (ja) 二重ハンガー
JP2005034579A (ja) アームハンガー
CN212691913U (zh) 多杆衣架及取暖器
US528991A (en) Adolphe c
CN213488257U (zh) 一种两用折叠衣架
CN209854404U (zh) 一种多功能晾衣架
JP7079911B2 (ja) ハンガー装置
KR20220037648A (ko) 건조대 겸용 옷걸이
CN208857550U (zh) 一种带架子的烘干机
CN210227728U (zh) 一种多功能衣架
CN209703139U (zh) 晾衣机拓展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