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357U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그립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2357U KR20210002357U KR2020200004260U KR20200004260U KR20210002357U KR 20210002357 U KR20210002357 U KR 20210002357U KR 2020200004260 U KR2020200004260 U KR 2020200004260U KR 20200004260 U KR20200004260 U KR 20200004260U KR 20210002357 U KR20210002357 U KR 2021000235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sliding hole
- sliders
- protrusion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기기 그립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기기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홀을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더, 및 한 쌍의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한 쌍의 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됨에 따라 손가락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변형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 기기 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휴대 기기들은 전반적으로 대화면을 구비하여 전후면이 편평하고 두께가 슬림한 바(Bar)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휴대 기기의 형상에 기인해 사용자가 휴대 기기를 그립함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기기 사용 시 낙하 등의 위험성이 존재함은 물론, 만약 상기한 낙하 등에 따라 휴대 기기 파손 시 많은 수리 비용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의 낙하를 방지하고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본 고안은 휴대 기기의 안정적인 그립이 가능한 휴대 기기 그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기기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홀을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더, 및 한 쌍의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한 쌍의 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됨에 따라 손가락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변형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가 제공된다.
돌기부는 슬라이더가 이동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에는 슬라이더가 돌기부를 가로질러 이동 시 받는 저항이 감소되도록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홀은 슬라이더를 슬라이딩홀로 삽입 가능하도록,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딩홀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홀은 슬라이더를 측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슬라이더의 측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의 슬라이딩홀 측 내주면은 슬라이딩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슬라이더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슬라이더의 이동 경로 상에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에는 슬라이더가 기설정치를 초과하는 외력을 받을 시 지지부를 가로질러 넘어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의 슬라이딩홀 중심 측 경사면은 지지부의 슬라이더 측 경사면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슬라이더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그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그립 장치가 휴대 기기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그립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휴대 기기 그립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가 이동됨에 따라 밴드부가 손가락 삽입 가능 공간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그립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휴대 기기 그립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가 이동됨에 따라 밴드부가 손가락 삽입 가능 공간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나타낸 배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 기기 그립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10)에 장착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에 베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120), 슬라이딩홀(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홀(120)을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더(130), 및 한 쌍의 슬라이더(130)와 결합되어 한 쌍의 슬라이더(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됨에 따라 손가락(20)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변형되는 밴드부(140)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슬라이더(130)가 슬라이딩홀(120)을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30)와 결합된 밴드부(140)가 변형되어 손가락(20) 삽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공간에 손가락(20)을 삽입하여 휴대 기기(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그립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베이스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10)는 휴대 기기(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가 휴대 기기(10)에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 및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구성들의 작동 및 구성들 간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베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슬라이딩홀(12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베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130)가 슬라이딩홀(120)을 통해 이동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밴드부(140)가 변형되어 손가락(20) 삽입 가능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부착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를 휴대 기기(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는 부착부(150)를 통해 휴대 기기(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15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110)의 위치를 변경하여 휴대 기기(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착부(150)는 접착제, 겔패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감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 이동 시 슬라이더(130)가 휴대 기기(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15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 이동 시 간섭이 방지되도록, 간섭 방지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간섭 방지홀(152)은 후술할 돌출 방지홈(19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형 커버(15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50)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부착부(150)에 이형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형 커버(154)는 부착부(150)에 이물질이 결합되어 부착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시 본 장치를 분리하여 이 후 사용을 위해 이형 커버(154)를 부착해 보관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형 커버(15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50)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부착부(150)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거나 부착부(15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형 커버(154)는 필름, 코팅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160)는 도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가 이동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홀(12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부(160)는 슬라이더(130)의 유동 또는 임의적 이동을 방지하도록 이동된 슬라이더(130)를 이동 반대 방향에서 지지하여 슬라이더(130)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돌기부(160)에는 도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가 돌기부(160)를 가로질러 이동 시 받는 저항이 감소되도록 슬라이더(130)의 이동 방향으로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반대 방향으로는 돌기부(160)에 의해 지지되고, 이동 방향으로는 돌기부(160)에 마련된 경사면을 통해 돌기부(160)를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60)의 경사면은 도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홀(120)을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130)의 이동에 대한 저항의 감소 및 슬라이더(130)의 지지가 보다 유기적으로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160)는 도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돌기부(16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홀(120) 내 보다 넓은 이동 구간에서 상술한 돌기부(160)의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돌기부(160)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130)의 이동 상태가 유지될 위치가 슬라이딩홀(120) 내에서 일정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더(130)의 슬라이딩 홀 내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돌기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홀(120) 내주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돌기(162), 및 슬라이딩홀(120) 내주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돌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30)의 이동된 상태가 슬라이딩홀(120) 내주면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돌기(162) 및 제2 돌기(164)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162)와 제2 돌기(16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30)가 제1 돌기(162)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제1 돌기(162)와 엇갈리게 배치된 제2 돌기(164)는 슬라이더(130)가 제1 돌기(162)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슬라이더(130)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162) 및 제2 돌기(16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홀(120) 내 보다 넓은 이동 구간에서 상술한 제1 돌기(162), 슬라이더(130) 및 제2 돌기(164)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제2 돌기(164)의 경사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162)의 경사면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기(162)는 슬라이더(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주되게 수행하고, 제2 돌기(164)는 상기한 제1 돌기(162)의 역할을 보조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30) 이동 시의 돌기부(160)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삽입홀(17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를 슬라이딩홀(120)로 삽입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10)에 형성되고 슬라이딩홀(12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130)는 삽입홀(170)을 통해 슬라이딩홀(120)로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게 되고, 삽입홀(170)이 슬라이딩홀(120)의 단부에 배치됨에 따라 삽입홀(170)에 의한 슬라이더(130) 이동에 대한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삽입홀(17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를 측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슬라이더(130)의 측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홀(170)을 통한 슬라이더(130)의 삽입이 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30)가 삽입되어 안착된 후 삽입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홀(170)의 슬라이딩홀(120) 측 내주면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홀(1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130)가 삽입홀(170)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홀(170)의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홀(120)로 유도될 수도 있다.
지지부(18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슬라이더(130)의 이동 경로 상에 베이스부(110)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80)가 슬라이더(13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슬라이더(130)를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더(130)가 슬라이딩홀(120) 내에서 유동하거나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8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가 기설정치를 초과하는 외력을 받을 시 지지부(180)를 가로질러 넘어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130)가 기설정된 수치를 초과한 외력을 받을 경우에만 지지부(180)를 넘어갈 수 있게 되므로, 슬라이더(130) 지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80)에 경사면이 마련되므로 슬라이더(130)가 기설정치를 초과하는 외력을 받을 시, 상기 경사면을 통해 지지부(180)를 넘어갈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80)의 슬라이딩홀(120) 중심 측 경사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80)의 슬라이더(130) 측 경사면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30)가 지지부(180)에 의해 지지되고, 외력을 받아 지지부(180)를 넘어 이동 후 다시 지지되었던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지지부(180)를 넘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18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를 슬라이딩홀(120)의 단부 측에서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130)는 슬라이딩홀(120)의 단부 측에 위치된 후 슬라이딩홀(120)을 따라 이동되므로, 이동의 출발점이 되는 슬라이딩홀(120)의 단부 측에서 슬라이더(130)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는 슬라이더(130)의 이동 여부를 외력을 가할지 여부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80) 중 어느 하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보다 돌출되거나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홀(12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13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지지부(180)에 의해 보다 강하게 지지되어, 이동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고정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지지부(18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30)와 지지부(180) 사이의 지지점이 증가하게 되므로, 슬라이더(130)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부(1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의 이동에 따라 변형된 밴드부(140)의 형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슬라이더(130)의 이동 경로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130)의 이동 경로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지지부(180)에 슬라이더(130)가 지지되어 밴드부(140)의 변형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장치를 그립을 위한 장치 및 휴대 기기(10)를 바닥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돌출 방지홈(19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홀(120)에 삽입된 슬라이더(130)가 베이스부(110)의 면보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이스부(110)에 슬라이딩홀(12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10)의 휴대 기기(10)에의 부착이 용이할 수 있고, 슬라이더(130)가 휴대 기기(10)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 방지홈(19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슬라이더(130)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30)는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홀(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밴드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더(130)와 결합되어 한 쌍의 슬라이더(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됨에 따라 손가락(20)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밴드부(140)에 결합된 슬라이더(130)가 이동되어 한 쌍의 슬라이더(130) 간 간격이 가까워짐에 따라 밴드부(140)는 절곡면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밴드부(140)와 베이스부(110) 사이에 손가락(20)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밴드부(140)는 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부(140)가 형성하는 절곡면이 유연하게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성 재질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TPU는 고무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유연성이 높아 밴드부(140)가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내구성도 높아, 밴드부(140)가 다회의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찢어지거나 밴드부(14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밴드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인쇄된 이미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장치는 다양한 이미지(142)가 밴드부(140)의 외측면에 인쇄되어, 판촉 용도로 사용되거나 휴대 기기(10) 장식의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슬라이더(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홀(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홀(120)을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밴드부(140)의 변형에 의한 손가락(20) 삽입 공간이 슬라이딩홀(120) 상에서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현예들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한 쌍의 슬라이더(130) 중 어느 하나만 이동됨에 따라 다른 하나 측으로 손가락(20)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c)는 한 쌍의 슬라이더(130) 모두가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딩홀(120)의 중앙 측으로 손가락(20)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이와 같은 경우에 한 쌍의 슬라이더(130) 각각의 이동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손가락(20) 삽입 공간이 슬라이딩홀(120) 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슬라이더(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홀(120)에 삽입된 후 슬라이딩홀(120)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딩홀(120)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는 바디부(132), 및 바디부(132)와 베이스부(110)를 연결하고 슬라이딩홀(12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에 따라, 휴대 기기 그립 장치(100)는 한 쌍의 슬라이더(130)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 슬라이더(136)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슬라이더(130)는 슬라이딩홀(12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추가 슬라이더(136)는 슬라이딩홀(120)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슬라이더(130)를 이동시킴에 따라 복수의 손가락(20)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해당 공간에 여러 손가락(20)을 삽입해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 기기(10)를 그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휴대 기기
20: 손가락
100: 휴대 기기 그립 장치
110: 베이스부
120: 슬라이딩홀
130: 슬라이더
132: 바디부
134: 연결부
136: 추가 슬라이더
140: 밴드부
142: 이미지
150: 부착부
152: 간섭 방지홀
154: 이형 커버
160: 돌기부
162: 제1 돌기
164: 제2 돌기
170: 삽입홀
180: 지지부
190: 돌출 방지홈
20: 손가락
100: 휴대 기기 그립 장치
110: 베이스부
120: 슬라이딩홀
130: 슬라이더
132: 바디부
134: 연결부
136: 추가 슬라이더
140: 밴드부
142: 이미지
150: 부착부
152: 간섭 방지홀
154: 이형 커버
160: 돌기부
162: 제1 돌기
164: 제2 돌기
170: 삽입홀
180: 지지부
190: 돌출 방지홈
Claims (5)
- 휴대 기기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홀을 따라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됨에 따라 손가락 삽입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변형되는 밴드부; 및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딩홀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의 단부에 배치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슬라이더를 측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측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상기 슬라이딩홀 측 내주면은 상기 슬라이딩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휴대 기기 그립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4260U KR200495364Y1 (ko) | 2020-04-14 | 2020-11-24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286U KR200492747Y1 (ko) | 2020-04-14 | 2020-04-14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KR2020200004260U KR200495364Y1 (ko) | 2020-04-14 | 2020-11-24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1286U Division KR200492747Y1 (ko) | 2020-04-14 | 2020-04-14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2357U true KR20210002357U (ko) | 2021-10-22 |
KR200495364Y1 KR200495364Y1 (ko) | 2022-05-06 |
Family
ID=737876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1286U KR200492747Y1 (ko) | 2020-04-14 | 2020-04-14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KR2020200004260U KR200495364Y1 (ko) | 2020-04-14 | 2020-11-24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1286U KR200492747Y1 (ko) | 2020-04-14 | 2020-04-14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553771B2 (ko) |
JP (1) | JP3231318U (ko) |
KR (2) | KR200492747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6044A (en) * | 2020-04-10 | 2021-12-22 | Henning Victor |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
KR200492747Y1 (ko) * | 2020-04-14 | 2020-12-03 | 윤여신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JP1706579S (ja) * | 2020-10-14 | 2022-02-01 | 携帯電話機ホルダー | |
USD972548S1 (en) * | 2020-10-30 | 2022-12-13 | Momostick Co., Ltd. | Mobile phone case with a holder |
JP1727276S (ja) * | 2020-10-30 | 2022-10-12 | 携帯電話機ホルダー | |
KR200496438Y1 (ko) | 2021-06-09 | 2023-01-31 | 윤여신 | 탈착형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USD959418S1 (en) * | 2021-09-24 | 2022-08-02 | Lu Zhou | Phone case |
CA218956S (en) * | 2022-01-26 | 2023-11-30 | Momostick Co Ltd | Mobile phone holder |
WO2024122854A1 (ko) * | 2022-12-07 | 2024-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그립을 보조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332Y1 (ko) * | 2012-01-09 | 2013-12-09 | 주식회사 다스텍 | 모바일 기기 케이스 |
KR101717074B1 (ko) * | 2015-10-26 | 2017-03-17 | 신호용 |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 |
KR101743265B1 (ko) | 2016-04-15 | 2017-06-02 | 구광서 |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48750U (ko) * | 1990-08-29 | 1992-04-24 | ||
US8374657B2 (en) * | 2009-02-27 | 2013-02-12 | Rich Interdonato | Finger holder for handheld communication units |
US20110309117A1 (en) * | 2010-06-16 | 2011-12-22 | Kyle Roberts | Hold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TWD148860S (zh) * | 2011-11-22 | 2012-08-21 | 宏碁股份有限公司 | 手持電子裝置 |
CN105722361A (zh) * | 2014-12-01 | 2016-06-29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和电子设备保护壳 |
CN205039893U (zh) * | 2015-10-20 | 2016-02-17 | 朴振奎 | 一种手机支架 |
KR101705819B1 (ko) * | 2016-06-30 | 2017-02-10 | 여창기 | 매직 푸시 |
US20190055062A1 (en) * | 2017-08-21 | 2019-02-21 | Dublyu, LLC | Fully collapsible handle system and device |
KR101832922B1 (ko) * | 2017-09-26 | 2018-02-27 | 유현주 |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
KR101986914B1 (ko) * | 2017-11-27 | 2019-06-21 |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
US10856633B2 (en) * | 2018-01-17 | 2020-12-08 | Scooch, LLC | Bistable spring stand and housing for a handheld device |
US10463126B2 (en) * | 2018-02-12 | 2019-11-05 | Jarrod Mallory | Interchangeable finger-grip attachment case |
US10623543B2 (en) * | 2018-07-18 | 2020-04-14 | Samsonite Ip Holdings S.Àr.L. | Stand for mobile device |
USD877154S1 (en) * | 2018-07-18 | 2020-03-03 | Samsonite Ip Holdings S.Àr.L. | Stand for mobile device |
JP7434279B2 (ja) * | 2018-10-18 | 2024-02-20 | チン ソン,ポー |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と一緒に使用するための保持装置及び保持装置を使用する方法 |
KR101979629B1 (ko) * | 2018-12-19 | 2019-05-17 | 여창기 | 다용도 홀더 |
USD894167S1 (en) * | 2019-01-29 | 2020-08-25 | Nlu Products, L.L.C. | Transparent case with adjustable strap for an electronic device |
USD894889S1 (en) * | 2019-01-29 | 2020-09-01 | Nlu Products, L.L.C. | Case with adjustable strap for an electronic device |
USD905040S1 (en) * | 2019-08-22 | 2020-12-15 | Catalyst Medium Four, Inc. |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
USD916073S1 (en) * | 2019-08-30 | 2021-04-13 | Superior Communications, Inc. | Mobile device stand |
US11452365B2 (en) * | 2019-11-22 | 2022-09-27 | Shawshank Ledz Inc. | Grip device to enable a number of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attachment thereto |
KR200492747Y1 (ko) * | 2020-04-14 | 2020-12-03 | 윤여신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USD937250S1 (en) * | 2020-07-22 | 2021-11-30 | Christophe Jakobuco | Back cover for mobile telephones |
US10911587B1 (en) * | 2020-10-23 | 2021-02-02 | Bennett A. Duval | Universal grip band assembly |
-
2020
- 2020-04-14 KR KR2020200001286U patent/KR200492747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24 KR KR2020200004260U patent/KR200495364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1-18 JP JP2021000153U patent/JP3231318U/ja active Active
- 2021-01-28 US US17/160,902 patent/US1155377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332Y1 (ko) * | 2012-01-09 | 2013-12-09 | 주식회사 다스텍 | 모바일 기기 케이스 |
KR101717074B1 (ko) * | 2015-10-26 | 2017-03-17 | 신호용 |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 |
KR101743265B1 (ko) | 2016-04-15 | 2017-06-02 | 구광서 |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747Y1 (ko) | 2020-12-03 |
US11553771B2 (en) | 2023-01-17 |
KR200495364Y1 (ko) | 2022-05-06 |
US20210315339A1 (en) | 2021-10-14 |
JP3231318U (ja) | 2021-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5364Y1 (ko)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
KR200492746Y1 (ko) |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 |
KR101252750B1 (ko) |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용 시트, 및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방법 | |
US20120085013A1 (en) | Protector for firearm rail | |
PL1651022T3 (pl) | Uchwyt do wspornika elementu konstrukcyjnego | |
JPH08314571A (ja) | ペン入力情報機器 | |
US20090307821A1 (en) | Hand Protection Structure | |
US9784406B1 (en) | Pivotal device for a support of an electric device | |
KR200470332Y1 (ko) | 모바일 기기 케이스 | |
US11247358B2 (en) | Pivotal neck razor | |
JP2009124652A (ja) | 携帯機器用装着具および携帯機器 | |
US20070132254A1 (en) | Apparatus for gripping articles | |
US20230239387A1 (en)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ATE342559T1 (de) | Dokumentenhalter | |
CN113301822B (zh) | 头盔配合系统 | |
CN209375882U (zh) | 一种弹性头戴支架及头戴耳机 | |
US10772404B1 (en) | Interchangeable covers for a mobile device accessory | |
WO2019130257A1 (en) | Protective case for a smartphone with passive audio feature | |
CN109841174B (zh) | 排列布告装置 | |
KR102670682B1 (ko) | 탈부착 휴대폰 거치대 | |
KR20230161846A (ko) | 휴대형 단말기 홀더 | |
JP4209170B2 (ja) | フィルム一体型キートップ | |
EP1696640B1 (en) | Ergonomic clip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JP2006297042A (ja) | マニキュアの保護具 | |
JP2009147992A (ja) | 携帯機器用装着具および携帯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