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237A -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237A
KR20210002237A KR1020190077621A KR20190077621A KR20210002237A KR 20210002237 A KR20210002237 A KR 20210002237A KR 1020190077621 A KR1020190077621 A KR 1020190077621A KR 20190077621 A KR20190077621 A KR 20190077621A KR 20210002237 A KR20210002237 A KR 20210002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vehicle
base body
door trim
re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314B1 (ko
Inventor
권충호
김민찬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77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3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서로 마주하게 설치한 각 뒷문 트림에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는 두 개의 받침대 본체를 구성하고, 때에 따라 펼쳐서 하나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발 받침이 필요할 때 편하게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제공한다. 특히, 각 받침대 본체가 뒷문 트림에 간단한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게 형성한 포켓에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주행 중이라도 누구든지 발 받침이 필요할 때 펼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각 받침대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연약 부분을 형성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받침대 본체를 쉽게 펼치거나 접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FOOTREST FOR REA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양쪽 뒷문에 각각 적어도 한 번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받침대 본체를 구성하고, 사용할 때는 펼쳐서 하나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오랫동안 자동차 실내에 앉아있을 때 발을 올려놓고 편히 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포켓과 같이 뒷문 트림에 미리 형성한 부분에 수납하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를 운전자 중심으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밴이나 SUV 그리고 왜건과 같이 다수의 탑승자가 탑승하는 자동차는 운전자뿐만 아니라 다른 탑승자를 위한 여러 가지 편의시설을 갖춘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여러 가지 편의 시설 중에서, 어린이가 뒷좌석에 앉아서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때 어린이 발이 허공에 떠서 오랫동안 주행함에 따라 다리 저림과 같은 불편함이 생기지 않게 하는 발 받침대(풋 레스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0467호
차량의 시트와 연동하는 풋 레스트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시트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이송시에 풋 레스트(foot rest)가 함께 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 시트의 베이스 측에 이송레일과 시트이송모터가 설치되어, 탑승자가 상기 시트이송모터를 동작시키는 이송 레버를 작동하여 시트를 이송할 수 있는 시트이송부와; 풋 레스트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이송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풋 레스트와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 매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시트 이송부의 시트 이송에 따라 풋 레스트가 연동하여 이송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에 시트의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시트의 위치를 이송하는 경우에 페달뿐 아니라 풋 레스트가 함께 이송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767388호
설치를 위한 별도의 차량 설계나 부품이 요구되지 않으며 휴대 및 수납이 용이한 차량용 풋 레스트가 개시된다. 상기 차량용 풋 레스트는, 탑승자의 발바닥 부분과 접촉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수평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후크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면 하단에서 돌출되어 발뒤꿈치 부분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907596호
차량의 뒷좌석의 탑승자가 동승석을 거쳐 발을 뻗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차량용 풋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1열 시트와 2열 시트 사이에 설치된 파티션; 1열의 동승석 시트가 위치한 상기 파티션의 관통공에 결합하고 하단이 힌지 결합한 풋 레스트; 상기 풋 레스트 전면에 고정 결합하고 양측 단에 제1돌출부가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 내측 하부에 고정 결합하고 양측 단에 제2돌출부가 각각 돌출 형성된 제2 브래킷; 상기 제2 브래킷 내측 하부에 고정 결합하고 제2돌출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여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브래킷; 상기 제3 브래킷의 회전점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여 신축되는 한 쌍의 가스스프링; 상기 동승석 시트 배면에 고정 결합한 시트백 마운트, 및 상기 가스스프링 타단이 각각 힌지 결합하고 시트백 마운트 배면에 고정 결합한 시트백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티션에 결합한 풋 레스트와 동승석 시트가 가스스프링과 힌지 구조로 풋 레스트가 닫힐 때에 가스스프링의 장력으로 풋 레스트를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풋 레스트가 열릴 때에 가스스프링의 유효 스트로크와 제3 브래킷 회전각도로 동승석 시트의 각도와 이동량의 변화에 따라 연동하여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에, 콘솔박스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동승석 시트 및 리어 시트와 더불어 파티션에 결합한 풋 레스트가 한 번에 릴랙스 모드로 자동 개방되어 리어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전방으로 발을 자유롭게 뻗을 수 있어 탑승자의 편의 향상과 차량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하지만, 기존 풋 레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탑승자가 앉은 자리의 바닥 부분에 올려놓고 그 위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한 열에 여러 사람이 앉았을 때는 모든 사람이 풋 레스트 위에 발을 올려놓을 수 없다.
(2) 특히, 기존 풋 레스트는 통상적으로 한 열에 두 명이 앉은 것을 기준으로 사용 위치를 결정한 경우가 많으므로, 한 열에 세 명이 앉았을 때는 세 명 모두풋 레스트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3) 한편, 기존의 발포폴리프로필렌(EPP)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므로, 어느 정도 경도가 있어 사용에 편의성을 줄 수 있으나, 흡음 성능이 떨어져서 어린이 등이 많이 승차한 때처럼 흡음 성능이 필요할 때는 충분한 흡음 성능을 얻을 수 없다.
(4) 또한, 플로어 패널 위에 물건 등이 떨어지면, 이를 주우려다 넘어져서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0467호 (공개일 : 2006.02.02) 한국등록특허 제10-1767388호 (등록일 : 2017.08.07) 한국등록특허 제10-1907596호 (등록일 : 2018.10.0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서로 마주하게 설치한 각 뒷문 트림에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는 두 개의 받침대 본체를 구성하고, 때에 따라 펼쳐서 하나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발 받침이 필요할 때 편하게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각 받침대 본체가 뒷문 트림에 간단한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게 형성한 포켓에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주행 중이더라도 누구든지 발 받침이 필요할 때 펼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받침대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연약 부분을 형성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받침대 본체를 쉽게 펼치거나 접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는, 자동차의 뒷문 트림(100)을 갖춘 자동차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에서, 상기 각 뒷문 트림(100)에는,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한 두 개의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를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는, 한쪽 끝의 가장자리가 하나의 뒷문 트림(10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멍(112)을 형성하고;, 상기 제2받침대 본체(110")는, 한쪽 끝의 가장자리가 하나의 뒷문 트림(10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상기 걸림 구멍(112)에 강제로 끼워서 걸림과 해제할 수 있는 탄성 고리(1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는, 각각,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각각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쉽게 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약 부분(1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는, 각각, 상기 뒷문 트림(100)에 형성한 포켓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뒷문 트림에 수납한 두 개의 받침대 본체를 펼쳐서 서로 연결하여 발 받침대로 사용하므로, 발 받침대가 필요한 때만 선택적으로 펼쳐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각 발 받침대를 뒷문 트림에 수납하여 필요할 때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발 받침대를 별도로 보관할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필요할 때는 주행 중에도 쉽게 펼쳐서 아무 때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또한, 운전 중에도 뒷문 트림에서 쉽게 인출하여 서로 연결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가 주행 여부에 상관없이 필요할 때 쉽고 신속하게 펼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오랫동안 주행할 때 부은 다리를 발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편히 쉴 수 있고 또한, 실수로 떨어뜨린 물건을 줍다가 넘어지거나 쓰러지더라도 발 받침대를 통해 상해를 입지 않고 안전하게 주울 수 있다.
(5) 특히, 어린이들은 주행 중에 떨어뜨린 물건을 주우려다가 중심을 잡지 못해 신체가 한쪽으로 쏠리면서 넘어질 우려가 있으나, 이처럼 발 받침대를 주행 전에 미리 펼쳐 놓음에 따라 상해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6) 어린이뿐만 아니라 노약자가 장애가 있는 탑승자들도 장시간 동안 이동하더라도 안전하고 편안하게 발을 올려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뒷문 트림에 접어서 보관 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게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펼쳐서 연결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를 접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서로 마주하게 설치한 뒷문 트림(100)에 각각 설치한 두 개의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뒷문 트림(100)에 수납해 놓고 사용할 때만 펼쳐서 서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발 받침대를 보관할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가 주행할 때도 발 받침대가 필요하면 언제든지 펼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는, 각각 적어도 한 번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각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가 차지하는 넓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공간 활용에 한계가 있는 뒷문 트림(100)에도 충분하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는 뒷문 트림(100)에 간단한 도구나 지도 등을 넣어서 다닐 수 있게 미리 구성한 포켓에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별도로 수납공간을 마련하지 않고도 바로 포켓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이미 출고한 차량에 대해서도 이미 뒷문 트림(100)에 갖춰진 포켓에 본 발명에 따른 발 받침대를 바로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C"는 자동차의 시트에서 운전자나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을, "B"는 상기 시트의 한쪽에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한 시트 백을 각각 나타낸다.
가. 뒷문 트림
뒷문 트림(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앞문과 뒷문을 갖춘 자동차에서, 뒷문의 실내 측에 장착한 트림을 말한다.
이러한 뒷문 트림(100)은 자동차 실내에 노출하는 부분이므로, 미관과 함께 디자인적 감각 그리고 소음 성능 등을 개선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뒷문 트림(100)에는 뒷유리를 개폐할 수 있는 스위치, 간단한 물건 등을 담을 수 있는 포켓, 탑승자가 팔을 기댈 수 있는 팔걸이 등 다양한 부가 시설을 갖춘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나. 제1받침대 본체
제1받침대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뒷문 트림(1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한다.
특히,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한쪽은 상기 뒷문 트림(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은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받침대 본체를 구성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는, [도 3]과 같이, 길이 중간 부분이 적어도 한 번 꺾일 수 있게 연약 부분(115)을 형성한다. 연약 부분(115)은 제1받침대 본체(1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가 되도록 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이 띠 부분을 통해 쉽게 접을 수 있게 한 부분이다. 이외에도, 힌지나 핀 등을 이용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한쪽 끝을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제1받침대 본체(110')는 상술한 연약 부분(115)과 같은 형태로 한쪽 끝 가장자리를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이 부분을 뒷문 트림(100)에 접착제나 열 융착 또는 볼트나 스크루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제1받침대 본체(110')의 한쪽 끝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제1 핀(111)을 돌출 형성하고, 이 제1 핀(111)이 뒷문 트림(100)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는 뒷문 트림(100)에 직접 장착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를 뒷문 트림(100)에 형성하는 포켓 내부에 수납하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만들지 않고도 쉽게 설치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는 접었을 때 포켓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제1받침대 본체(110')의 재질을 연질로 제작하여 다양한 크기로 접을 수 있게 하여 포켓 안에 수납할 수 있도록 접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다른 한쪽 끝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멍(112)을 형성한다. 걸림 구멍(112)은 후술할 제2받침대 본체(110")의 한쪽에 형성한 탄성 고리(114)가 끼워지게 하여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를 하나로 연결하게 하거나 분리하게 할 때 사용한다.
다. 제2받침대 본체
제2받침대 본체(1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한쪽 가장자리를 뒷문 트림(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게 하는 구성, 그리고 이렇게 접은 제2받침대 본체(110")는 뒷문 트림(100)에 직접 수납하게 하거나 이 뒷문 트림(100)에 미리 형성한 포켓에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구성 등이 상술한 제1받침대 본체(110")와 같다. 이에, 여기서는 제1받침대 본체(110')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13"은 제2받침대 본체(110")를 뒷문 트림(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할 때 사용하는 제2핀을 나타내다.
한편, 상기 제2받침대 본체(1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1받침대 본체(110')와 비교하여 이 제1받침대 본체(110')의 걸림 구멍(112)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탄성 고리(114)로 대체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탄성 고리(114)는, [도 4]와 같이, 고리 부분이 강제로 탄성 변형할 수 있게 구성한 고리로, 상술한 걸림 구멍(112)에 맞춰서 끼운 다음 누르면 걸림 작용을 하여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가 하나로 연결이 되고, 누르는 방향과 반대로 힘을 가하면 분리하게 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고리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뒷문 트림에 접을 수 있게 각각 받침대 본체를 갖추고, 사용할 때는 펼쳐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뒷문 트림에 수납하거나 포켓 안에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발 받침대를 별도로 보관하지 않으면서도 주행할 때도 언제든지 발 받침대를 꺼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뒷문 트림
110', 110" : 제1, 제2받침대 본체
111, 113 : 제1, 제2 핀
112 : 걸림 구멍
114 : 탄성 고리
115 : 연약 부분
C : 시트 쿠션
B : 시트 백

Claims (3)

  1. 자동차의 뒷문 트림(100)을 갖춘 자동차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에서,
    상기 각 뒷문 트림(100)에는, 적어도 한 번 접을 수 있게 구성한 두 개의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를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는, 한쪽 끝의 가장자리가 하나의 뒷문 트림(10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멍(112)을 형성하고,
    상기 제2받침대 본체(110")는, 한쪽 끝의 가장자리가 하나의 뒷문 트림(10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다른 한쪽 끝에는 상기 걸림 구멍(112)에 강제로 끼워서 걸림과 해제할 수 있는 탄성 고리(1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2. 제1항에서,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는, 각각,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각각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쉽게 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약 부분(1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받침대 본체(110')와 제2받침대 본체(110")는, 각각,
    상기 뒷문 트림(100)에 형성한 포켓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KR1020190077621A 2019-06-28 2019-06-28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KR10221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621A KR102218314B1 (ko) 2019-06-28 2019-06-28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621A KR102218314B1 (ko) 2019-06-28 2019-06-28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37A true KR20210002237A (ko) 2021-01-07
KR102218314B1 KR102218314B1 (ko) 2021-02-23

Family

ID=7412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621A KR102218314B1 (ko) 2019-06-28 2019-06-28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3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049U (ko) * 1995-04-27 1996-11-19 이중호 자동차용 보조시트
KR20060010467A (ko) 2004-07-28 2006-02-0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와 연동되는 풋레스트 이송 시스템
KR20090006361U (ko) * 2007-12-21 2009-06-2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 승객용 발 받침대
KR20150112473A (ko) * 2014-03-28 2015-10-07 김가희 차량용 매트
KR101767388B1 (ko) 2015-12-24 2017-08-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풋 레스트
KR101907596B1 (ko) 2017-06-07 2018-10-12 주식회사 케이씨모터스 차량의 풋 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049U (ko) * 1995-04-27 1996-11-19 이중호 자동차용 보조시트
KR20060010467A (ko) 2004-07-28 2006-02-0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와 연동되는 풋레스트 이송 시스템
KR20090006361U (ko) * 2007-12-21 2009-06-2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 승객용 발 받침대
KR20150112473A (ko) * 2014-03-28 2015-10-07 김가희 차량용 매트
KR101767388B1 (ko) 2015-12-24 2017-08-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풋 레스트
KR101907596B1 (ko) 2017-06-07 2018-10-12 주식회사 케이씨모터스 차량의 풋 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314B1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895B2 (en) Seat configura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interior
US9610898B2 (en) Deployable center console
US10457171B2 (en) Flexible motor vehicle work surface for laptops and tablets
US8449028B2 (en) Vehicle seat
US20090218869A1 (en) Collapsible Seat and System
US10829020B2 (en) Vehicle seating arrangement
KR102218314B1 (ko) 자동차용 뒷좌석 발 받침대
JPH1159240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の施蓋構造
JP2001001805A (ja) 車両用センタシートの取付構造
JP2000185581A (ja) 自動車
ES2925272T3 (es) Vehículo de movilidad
KR200367990Y1 (ko) 좌석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WO2023054401A1 (ja) 乗り物用内装ユニット及び乗り物
KR100401741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20230128628A (ko) 자동차의 보조석용 다용도 수납장치
KR200300112Y1 (ko) 자동차용 조수석 시트 다리받침대
JPH0140759Y2 (ko)
JP2532615Y2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240060340A (ko) 차량의 폴딩 시트
KR100825252B1 (ko) 자동차용 접이식 좌석
JP2003135206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20070004299A (ko) 자동차용 접이식 의자
JP2011251602A (ja) 車両用シート
KR20100066635A (ko) 차량 장착용 절첩식 발판
JP2001328472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