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694A - 듀얼클러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듀얼클러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94A
KR20210001694A KR1020190078162A KR20190078162A KR20210001694A KR 20210001694 A KR20210001694 A KR 20210001694A KR 1020190078162 A KR1020190078162 A KR 1020190078162A KR 20190078162 A KR20190078162 A KR 20190078162A KR 20210001694 A KR20210001694 A KR 20210001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late
piston plate
dual clutch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to KR1020190078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694A/ko
Publication of KR2021000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385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double clutches, i.e. comprising two friction disc mounted on one drive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클러치의 설치 전에 피스톤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구조를 적용하되, 듀얼클러치가 설치된 뒤에는 스토퍼가 피스톤플레이트의 작동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한 듀얼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리어플레이트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듀얼클러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는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캐리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이너 피스톤플레이트의 반경보다 반경방향 내측에서, 이너 피스톤플레이트의 이너 핑거 사이에 마련된 회피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는, 작동 유닛과 결합된 뒤 작동 유닛에 의해 약간 전방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듀얼클러치 어셈블리{Dual Clutch Assembly}
본 발명은 듀얼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클러치의 설치 전에 피스톤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구조를 적용하되, 듀얼클러치가 설치된 뒤에는 스토퍼가 피스톤플레이트의 작동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한 듀얼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상기 변속기에 설치되어, 변속기에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듀얼 클러치의 클러치팩이 동력을 잇거나 동력을 끊도록 하기 위해서는 클러치팩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피스톤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 이동이 제어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피스톤 플레이트의 제어는, 변속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사용하여 피스톤 플레이트가 클러치팩을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는 작동 유닛에 의해 이루어졌다.
작동 유닛은 변속기의 유압이 공급되어야 하는 관계로, 상기 변속기에 밀착 결합되어야 한다. 이에 종래에는, 먼저 작동 유닛을 변속기에 밀착 결합한 뒤 작동 유닛에 듀얼 클러치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듀얼 클러치의 피스톤 플레이트는, 작동 유닛이 듀얼 클러치와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 유닛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듀얼 클러치와 작동 유닛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피스톤 플레이트가 듀얼 클러치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피스톤 플레이트가 듀얼 클러치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에 마련된 핑거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핑거홀에 삽입된 피스톤 플레이트의 핑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핑거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므로, 핑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이너 핑거홀과 아우터 핑거홀 모두에 지지부재를 설치해야 하는바, 지지부재의 설치 개소가 많아 불합리하다. 이에 일부 핑거홀에만 지지부재를 설치한다면 회전 관성에 편심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아울러 핑거홀에 대한 핑거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반복됨에 따라 지지부재가 영향을 받아 그 설치 위치에서 이탈할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
US 9447825B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스톤 플레이트의 이탈 방지 구조가 핑거와 피스톤 플레이트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모든 피스톤 플레이트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된 후 이탈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듀얼 클러치의 피스톤 플레이트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리어플레이트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듀얼클러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가 핑거와 핑거홀의 상대적인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스토퍼는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캐리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간편하다.
상기 스토퍼는 이너 피스톤플레이트의 반경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스토퍼 구조로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뿐만 아니라 이너 피스톤플레이트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이너 피스톤플레이트의 이너 핑거 사이에 마련된 회피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 모두 견고하게 지지하는 위치이면서, 캐리어플레이트에 외측 둘레면과 내측 둘레면을 모두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접합 부위를 회피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듀얼클러치(3)는, 클러치커버(30), 구동축(31), 구동플레이트(32), 캐리어(33), 아우터 클러치팩(51), 이너 클러치팩(52), 외측 종동플레이트(34), 내측 종동플레이트(35),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 및 스토퍼(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커버(30)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1)은, 상기 클러치커버(30)의 중앙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커버(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플레이트(32)는, 상기 구동축(3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31)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클러치커버(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33)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플레이트(3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된 캐리어플레이트(330);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연결되는 환 형의 외측 둘레면(331); 및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측 둘레면(33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측 둘레면(3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클러치팩(51)은 축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치되는 제1마찰재와 제2마찰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이너 클러치팩(52)은 축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치되는 제3마찰재와 제4마찰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재는 상기 외측 둘레면(33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마찰재는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마찰재는 상기 내측 둘레면(332)에 연결되고, 상기 제4마찰재는 상기 내측 종동플레이트(35)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는,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캐리어플레이트(330)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 제1 스플라인 허브(34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종동플레이트(35)는,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 제2 스플라인 허브(35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내측 탄성체(37)를 통해 후방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와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외측 탄성체(39)를 통해 후방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대한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를 덮는 구조이므로, 간접적으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대한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후방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후방에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를 관통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듀얼클러치(3)의 조립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에는 상기 스토퍼(40)가 관통하는 회피 홈(36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토퍼(40)의 설치 위치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뿐만 아니라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와도 중첩되므로,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이탈을 직접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이너 핑거(361)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핑거(361) 사이의 공간을 회피 홈(363)으로 활용할 수 있어,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에 별도로 회피 홈(363)을 가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너 핑거홀(334)이 형성되는 부위 사이에 제1 스토퍼 고정부(335)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위치는 캐리어의 내측 둘레면이 캐리어 플레이트와 용접되는 위치, 그리고 외측 탄성체(39)가 설치되는 위치를 피하는 위치에 해당한다.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전면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 허용되는 거리는,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핑거(381)가 전방으로 연장된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면 아우터 핑거(381)가 아우터 핑거홀(33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기하학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는 상기 스토퍼(40)의 전방 단부가 맞물리는 제1 스토퍼 고정부(335)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에는 상기 스토퍼(40)의 후방 단부가 맞물리는 제2 스토퍼 고정부(3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홀이고,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는 관통홀이며, 상기 스토퍼(40)는, 전방 단부에 수나사산이 구비되고, 후방 단부에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볼트(41)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와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는 관통홀이며, 상기 스토퍼(40)는, 전방 단부에 직경이 확장되는 후크부가 마련되고, 후방 단부에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후크핀(42)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스토퍼(40)는, 전방으로 개방된 분할핀 형상을 구비하고, 전방 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후크부가 마련되고,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분할핀(43)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스토퍼(40)는 리벳(44)일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의 내경은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의 내경보다 더 크도록 설정되어, 조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듀얼클러치(3)는, 변속기의 전면에 결합되는 작동 유닛(6)과 함께 듀얼 클러치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상기 작동 유닛(6)은, 후방으로 개방되는 내측 연통홀(620);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내측 연통홀(620)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연통홀(630); 상기 내측 연통홀(620)와 연통하는 내측 환형 실린더(62); 및 상기 외측 연통홀(630)과 연통하고, 상기 내측 환형 실린더(62)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내측 환형 실린더(62)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환형 실린더(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닛(6)과 듀얼클러치(3)가 결합하면, 작동 유닛(6)의 내측 환형 실린더(62)와 외측 환형 실린더(63)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를 캐리어(33) 쪽으로 눌러 이동시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단 작동 유닛(6)과 듀얼클러치(3)가 결합된 뒤에는,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가 스토퍼(40)와 간섭되지 않아 스토퍼(40)가 지속적인 외력을 받지 않게 되는바, 스토퍼(40)가 분리되어 버릴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듀얼 클러치 구조에 따르면, 스토퍼가 핑거 및 핑거홀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로서 캐리어플레이트와 외측 피스톤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설치되므로, 피스톤 플레이트의 이탈 방지 구조가 핑거와 피스톤 플레이트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에 대해 스토퍼가 직접적으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너 피스톤플레이트 역시 간접적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토퍼 구조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와 이너 피스톤 플레이트에 모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뿐만 아니라 이너 피스톤플레이트에 대해서도 직접적으로 이탈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이너 피스톤플레이트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가 캐리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의 후방으로부터 스토퍼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편하다.
또한, 작동 유닛 듀얼 클러치가 결합된 뒤에는,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 이너 피스톤플레이트 스토퍼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바, 피스톤플레이트의 작동이 스토퍼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아 스토퍼가 분리되어 버릴 우려가 없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클러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듀얼 클러치 어셈블리의 듀얼 클러치와 작동 유닛이 분리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듀얼 클러치 어셈블리의 듀얼 클러치와 작동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듀얼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피스톤플레이트와 스토퍼를 생략한 상태의 듀얼 클러치의 후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다양한 구조의 스토퍼가 설치된 캐리어플레이트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 부분을 확대하여 각각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 상, 듀얼클러치의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축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축방향이라 한다, 전후 방향 또는 축방향은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서, 전방(앞쪽)은 동력원인 어느 일 방향, 가령 엔진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뒤쪽)은 다른 일 방향, 가령 변속기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면(앞면)이란 그 표면이 전방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뒷면)이란 그 표면이 후방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한다.
반경방향 또는 방사 방향이라 함은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 상기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원심방향이라 하고, 상기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구심방향이라 한다.
둘레방향 또는 원주방향이라 함은 상기 회전축의 주위를 둘러싸는 방향을 의미한다. 외주라 함은 외측 둘레, 내주라 함은 내측 둘레를 의미한다. 따라서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을 등지는 방향의 면이고,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을 바라보는 방향의 면을 의미한다.
둘레방향 측면이라 함은 그 면의 법선이 둘레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듀얼클러치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의 듀얼클러치 어셈블리는, 듀얼클러치(3)와, 상기 듀얼클러치(3)의 후방에 연결되는 작동 유닛(6)을 포함한다. 작동 유닛(6)은 변속기(9)의 축방향 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듀얼클러치(3)는, 작동 유닛(6)이 상기 변속기(9)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 유닛(6)의 전방에 설치된다.
작동 유닛(6)은 dCSC(dual concentric slave cylinder)일 수 있고, 상기 듀얼클러치(3)는 습식 구조일 수 있다. 즉 듀얼클러치(3) 내부에는 변속기(9)로부터 유입되는 오일이 공급되고, 이로써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유닛(6)은 변속기(9)의 전면에 밀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61)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마운팅플레이트(61)의 외측 둘레에는 이어홀(612)이 형성되고, 체결부재인 볼트(64)가 상기 이어홀(612)을 관통하여 변속기(9)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마운팅플레이트(61)는 변속기(9)에 밀착 설치된다.
마운팅플레이트(61)를 포함하는 본체에는 회전축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변속기(9)의 이너 샤프트(91)와 아우터 샤프트(92)가 관통된다. 본체의 외측 둘레에는 내측 환형 실린더(62)와 외측 환형 실린더(63)가 구비된다. 내측 환형 실린더(62)와 외측 환형 실린더(63)는 동심 배치되고, 축방향 후방으로 폐쇄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마운팅플레이트(61)에는, 상기 내측 환형 실린더(62)와 연통하는 내측 연통홀(620)과, 외측 환형 실린더(63)와 연통하는 외측 연통홀(630)이 마련된다. 외측 연통홀(630)은 내측 연통홀(620)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61)가 변속기(9)에 밀착 설치되면, 변속기의 유압이 상기 외측 연통홀(630)과 내측 연통홀(620)을 통해 상기 외측 환형 실린더(63)와 내측 환형 실린더(62)에 유입되거나, 그로부터 유출된다.
내측 환형 실린더(62)와 외측 환형 실린더(63)에는, 실린더의 보어 형성 방향(축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내측 환형 피스톤(621)과 외측 환형 피스톤(631)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내측 환형 피스톤(621)의 전방 단부에는, 환형의 내측 클러치 베어링(623)이 설치되고, 외측 환형 피스톤(631)의 전방 단부에는, 환형의 외측 클러치 베어링(633)이 설치된다. 상기 내측 클러치 베어링(623)은 듀얼클러치(3)의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의 후면에 접하고, 상기 외측 클러치 베어링(633)은 듀얼클러치(3)의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의 후면에 접한다. 상기 내측 클러치 베어링(623)과 외측 클러치 베어링(633)은, 내측 환형 피스톤(621)과 외측 환형 피스톤(631)에 대해,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를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내측 단부는, 상기 내측 환형 피스톤(621)과 외측 환형 피스톤(6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듀얼클러치(3)의 전방 단부에는, 고정단이 되는 클러치커버(30)가 마련된다. 클러치커버(30)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의 내측 단부에는 구동축(3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31)과 클러치커버(30)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고, 오일 씰이 개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클러치커버(30)의 외주면에는 미도시된 커버와 밀착되어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는 오일 씰이 개재될 있다. 상기 구동축(31)을 통해서는 엔진 등으로부터 토크가 입력된다.
구동축(31)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구동축(3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구동플레이트(32)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32)는 구동축(31)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31)과 일체로 회전한다. 구동플레이트(32)의 외주면에는 요철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32)의 후방에는 캐리어(33)가 설치된다. 캐리어(33)는,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캐리어플레이트(330)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반경방향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둘레면(331)과, 상기 외측 둘레면(331)보다 반경방향 내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내측 둘레면(33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와 외측 둘레면(331)은 일체로 가공되고, 내측 둘레면(332)은 별도로 가공된 후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 구조가 예시된다. 그러나 캐리어플레이트(330)의 구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 둘레면(331)은 상기 구동플레이트(32)의 외주면에 마련된 요철형상과 상보적인 형태의 요철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플레이트(32)가 상기 외측 둘레면(331)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끼워질 때, 이들의 요철형상은 서로 형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외측 둘레면(331)은 회전 방향으로 상호 구속되고,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캐리어(33)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플레이트(32)의 외주면의 전방에는 제1스냅링(321)이 끼워져, 상기 구동플레이트(32)를 상기 외측 둘레면(331)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외측 둘레면(331)과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는 아우터 클러치팩(51)이 설치된다. 아우터 클러치팩(51)은, 전후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마찰재와 제2마찰재를 구비한다. 제1마찰재와 제2마찰재는, 전후 방향으로 상호 압착된 상태에서 회전 방향으로 상호 구속된다. 제1마찰재의 외주면은 상기 외측 둘레면(331)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1마찰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 둘레면(331)의 요철형상과 상보적인 요철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우터 클러치팩(51)의 전방 단부는, 상기 구동플레이트(3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내측 둘레면(332)과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는 이너 클러치팩(52)이 설치된다. 이너 클러치팩(52)은, 전후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3마찰재와 제4마찰재를 구비한다. 제3마찰재와 제4마찰재는, 전후 방향으로 상호 압착된 상태에서 회전 방향으로 상호 구속된다. 제3마찰재의 외주면은 상기 내측 둘레면(332)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내측 둘레면(332)에는 요철형상이 구비될 수 있고, 제3마찰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측 둘레면(332)의 요철형상과 상보적인 요철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너 클러치팩(52)의 전방 단부에는 구속링(3321)이 설치될 수 있다. 구속링(3321)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측 둘레면(332)의 요철형상과 상보적인 요철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구속링(3321)이 내측 둘레면(332)에 형합되며 삽입되고, 상기 구속링(3321)의 전방에는 제2스냅링(332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냅링(3322)은 구속링(3321)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구속링(3321)은 상기 이너 클러치팩(52)의 전방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상기 캐리어(33) 사이에는 외측 종동플레이트(34)가 배치된다.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외측 종동플레이트(34)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마찰재의 내주면이 연결된다. 외측 종동플레이트(34)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외주면과 제2마찰재의 내주면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요철형상이 각각 마련되고, 이들이 형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와 상기 캐리어(33) 사이에는, 내측 종동플레이트(35)가 배치된다. 상기 내측 종동플레이트(35)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내측 종동플레이트(35)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제4마찰재의 내주면이 연결된다. 내측 종동플레이트(35)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외주면과 제4마찰재의 내주면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요철형상이 각각 마련되고, 이들이 형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는, 회전축과 정렬되는 이너 스플라인 허브(341)가 연결된다. 이너 스플라인 허브(341)는 상기 변속기(9)의 이너 샤프트(91)와 결합되어 상기 이너 샤프트(91)에 토크를 전달한다.
상기 내측 종동플레이트(3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는, 회전축과 정렬되는 아우터 스플라인 허브(351)가 연결된다. 아우터 스플라인 허브(351)는 이너 스플라인 허브(341)보다 축방향으로 더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스플라인 허브(341)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진다. 상기 아우터 스플라인 허브(351)는 상기 변속기(9)의 아우터 샤프트(92)와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샤프트(92)에 토크를 전달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 및 이너 스플라인 허브(341)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된다. 상기 이너 스플라인 허브(341)와 상기 내측 종동플레이트(35) 및 아우터 스플라인 허브(351)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플라인 허브(351)와와 상기 캐리어(33)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 및 이너 스플라인 허브(341)와, 상기 내측 종동플레이트(35) 및 아우터 스플라인 허브와, 상기 캐리어(33) 간의 상대적인 회전이 상호 지지된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는 상기 이너 클러치팩(52)보다 반경방향 내측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36)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33)의 함몰부(36)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는 베어링이 마련되고, 상기 캐리어(33)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베어링을 통해 상기 작동 유닛(6)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서 상기 이너 클러치팩(52)의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너 핑거홀(334)이 마련된다. 이너 핑거홀(334)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서 상기 아우터 클러치팩(51)의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아우터 핑거홀(333)이 마련된다. 아우터 핑거홀(333)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후방에는, 상기 함몰부(36)에서 상기 이너 핑거홀(334)에 이르는 구간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의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가 마련된다.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는,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복수 개의 이너 핑거(361)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이너 핑거(361)는 각각 복수 개의 이너 핑거홀(334)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클러치팩(52)의 후단부와 마주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후방이면서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후방에는, 상기 함몰부(36)에서 상기 아우터 핑거홀(333)에 이르는 구간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의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가 마련된다.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아우터 핑거(381)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아우터 핑거(381)는 각각 복수 개의 아우터 핑거홀(333)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클러치팩(52)의 후단부와 마주한다.
상기 함몰부(36)와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 사이에는,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를 후방으로 탄성 가세하는 내측 탄성체(37)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 탄성체(37)는, 일 예로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와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를 후방으로 탄성 가세하는 외측 탄성체(39)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 탄성체(39)는, 일 예로서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의 후방에는 상술한 외측 클러치 베어링(633)이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의 후방에는 상술한 내측 클러치 베어링(623)이 접할 수 있다.
작동 유닛(6)이 듀얼클러치(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클러치 베어링(633)과 내측 클러치 베어링(623)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후방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내측 탄성체(37)와 외측 탄성체(39)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더라도, 이너 핑거(361)와 아우터 핑거(381)는 이너 핑거홀(334)과 아우터 핑거홀(333)에서 빠지지 않고,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는 캐리어(33)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작동 유닛(6)이 듀얼클러치(3)에 결합되기 전에는, 외측 클러치 베어링(633)과 내측 클러치 베어링(623)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후방 이동을 규제하지 아니하므로, 내측 탄성체(37)와 외측 탄성체(39)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가 캐리어(33)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에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가 캐리어(33)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더 멀어지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스토퍼 구조를 제공한다.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는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캐리어(33) 사이에 배치되므로,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후방 이동거리를 규제하는 것만으로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이탈 역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에 연결되며, 축방향과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원주 방향으로 3개소 이상의 위치에 등간격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4개의 위치에 스토퍼(40)가 설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에는 제2 스토퍼 고정부(382)가 마련되고,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서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스토퍼 고정부(33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와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는 모두 홀 형상일 수 있다.
캐리어(33)의 전방에는 클러치팩(51, 52) 및 이와 관련한 구조가 배치되므로, 상기 스토퍼(40)는 제1 스토퍼 고정부(335)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여, 스토퍼(40)가 캐리어(33)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의 직경은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후방에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를 관통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쉽게 연결될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스토퍼(40)의 전방 단부는 제1 스토퍼 고정부(335)에 확실히 고정되는 반면 스토퍼(40)의 후방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에 대해 슬라이드 자유롭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스토퍼(4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직경이 큰 단면의 헤드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가 스토퍼(4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는 전후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가 차지하는 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에 대한 후방 이동 제한 기능을 충분히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0)는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이너 핑거(361) 사이를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이너 핑거(361) 사이의 공간을, 스토퍼(40)와 간섭되지 않는 회피 홈(363)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에 별도로 회피 홈(363)을 가공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제1 스토퍼 고정부(3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핑거홀(3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에 대한 제1 스토퍼 고정부(335)와 이너 핑거홀(334)의 반경방향 거리는 상호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공교롭게도, 이너 핑거홀(334)이 형성된 부분은, 캐리어의 내측 둘레면이 캐리어 플레이트와 용접되는 위치를 피하는 위치에 해당하면서, 동시에 외측 탄성체(39)가 설치되는 위치를 피하는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스토퍼(40)의 설치와 작동에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전면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 허용되는 거리는,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핑거(381)가 전방으로 연장된 거리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그러면 아우터 핑거(381)가 아우터 핑거홀(33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기하학적으로 규제된다. 상기 스토퍼(40)의 축방향 연장 길이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 유닛(6)과 듀얼클러치(3)가 결합하면, 작동 유닛(6)의 내측 환형 실린더(62)와 외측 환형 실린더(63)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를 캐리어(33) 쪽으로 약간 눌러 이동시킨다. 외측 환형 피스톤(631)과 내측 환형 피스톤(621)이 가장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는, 약간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단 작동 유닛(6)과 듀얼클러치(3)가 결합된 뒤에는,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와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가 스토퍼(40)와 간섭되지 않아 스토퍼(40)가 지속적인 외력을 받지 않게 되는바, 스토퍼(40)가 분리되어 버릴 우려가 없다. 즉 스토퍼(40)의 직경은 제2 스토퍼 고정부(382)의 홀의 직경보다 작고, 작동 유닛(6)이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를 약간 전방으로 민 상태를 유지하여 스토퍼(40)의 헤드부와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뒷면이 만나지 않게 되므로, 일단 듀얼클러치(3)와 작동 유닛(6)이 체결된 후에는, 스토퍼(40)에 어떠한 간섭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스토퍼(40)의 설치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홀이고,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는 그보다 직경이 큰 관통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0)는, 전방 단부에 수나사산이 구비되고, 후방 단부에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볼트(41)일 수 있다. 그러면,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 후방에서 볼트(41)를 체결함으로써, 스토퍼(4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와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는 관통홀이며,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의 직경은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40)는, 전방 단부에 직경이 확장되는 후크부가 마련되고, 후방 단부에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후크핀(42)일 수 있다. 그러면,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 후방에서 후크핀을 전방으로 눌러 억지 끼움으로써, 스토퍼(4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40)는, 전방으로 개방된 분할핀 형상을 구비하고, 전방 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후크부가 마련되고,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분할핀(43)일 수 있다. 이는 도 7의 후크핀과 대비하여, 압입 시 요구되는 압입력이 낮아, 스토퍼(40)를 더욱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40)는 리벳(44)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의 직경이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더 작기 때문에, 리벳(44)의 전방 단부는 제1 스토퍼 고정부(335)에 단단히 고정되는 반면, 리벳(44)의 후방 단부는 제2 스토퍼 고정부(382)에 대해 헐겁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토크 컨버터
3: 듀얼클러치
30: 클러치커버
31: 구동축
32: 구동플레이트
321: 제1스냅링
33: 캐리어
330: 캐리어플레이트
331: 외측 둘레면
332: 내측 둘레면
3321: 구속링
3322: 제2스냅링
333: 아우터 핑거홀
334: 이너 핑거홀
335: 제1 스토퍼 고정부(홀, 너트홀, 관통홀)
36: 함몰부
34: 외측 종동플레이트
341: 이너 스플라인 허브(제1 스플라인 허브)
35: 내측 종동플레이트
351: 아우터 스플라인 허브(제2 스플라인 허브)
36: 이너 피스톤플레이트
361: 이너 핑거
363: 회피 홈
37: 내측 탄성체(코일 스프링)
38: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
381: 아우터 핑거
382: 제2 스토퍼 고정부(홀)
39: 외측 탄성체(판스프링)
40: 스토퍼
41: 볼트
42: 후크핀
43: 분할핀
44: 리벳
51: 아우터 클러치팩
52: 이너 클러치팩
6: 작동 유닛(dCSC; dual concentric slave cylinder)
61: 마운팅플레이트
612: 이어홀
62: 내측 환형 실린더
620: 내측 연통홀
621: 내측 환형 피스톤
623: 내측 클러치 베어링
63: 외측 환형 실린더
630: 외측 연통홀
631: 외측 환형 피스톤
633: 외측 클러치 베어링
64: 체결부재(볼트)
9: 변속기
91: 이너 샤프트
92: 아우터 샤프트
W: 용접

Claims (13)

  1.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러치커버(30);
    상기 클러치커버(30)의 중앙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커버(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31);
    상기 구동축(3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31)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클러치커버(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동플레이트(32);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플레이트(3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된 캐리어플레이트(330),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연결되는 환 형의 외측 둘레면(331), 및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측 둘레면(33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측 둘레면(332),을 구비하는 캐리어(33);
    축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치되는 제1마찰재와 제2마찰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마찰재가 상기 외측 둘레면(331)에 연결되는 아우터 클러치팩(51);
    축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치되는 제3마찰재와 제4마찰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마찰재가 상기 내측 둘레면(332)에 연결되는 이너 클러치팩(52);
    상기 구동플레이트(32)와 캐리어플레이트(330)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제2마찰재와 연결되고,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 제1 스플라인 허브(341)가 연결되는 외측 종동플레이트(34);
    상기 외측 종동플레이트(34)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제4마찰재와 연결되고,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 제2 스플라인 허브(351)가 연결되는 내측 종동플레이트(35);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내측 탄성체(37)를 통해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와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외측 탄성체(39)를 통해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대한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후방 이탈을 막는 스토퍼(40);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후방에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를 관통하여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 연결되는, 듀얼 클러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에는 상기 스토퍼(40)가 관통하는 회피 홈(363)이 구비된, 듀얼 클러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는 이너 피스톤플레이트(36)의 이너 핑거(361) 사이를 관통하는, 듀얼 클러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전면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 허용되는 거리는,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핑거(381)가 전방으로 연장된 거리보다 작은, 듀얼 클러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330)에는 상기 스토퍼(40)의 전방 단부가 맞물리는 제1 스토퍼 고정부(335)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피스톤플레이트(38)에는 상기 스토퍼(40)의 후방 단부가 맞물리는 제2 스토퍼 고정부(382)가 구비되는, 듀얼 클러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홀이고,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는 관통홀이며,
    상기 스토퍼(40)의 전방 단부에는 수나사산이 구비되고,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듀얼 클러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와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는 관통홀이며,
    상기 스토퍼(40)의 전방 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후크부가 마련되고,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듀얼 클러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와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는 관통홀이며,
    상기 스토퍼(40)는 전방으로 개방된 분할핀 형상을 구비하고, 전방 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후크부가 마련되고, 후방 단부에는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듀얼 클러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는 리벳인, 듀얼 클러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 고정부(382)의 내경은 상기 제1 스토퍼 고정부(335)의 내경보다 더 큰, 듀얼 클러치.
  12. 변속기의 전면에 결합되는 작동 유닛(6); 및
    상기 작동 유닛(6)의 전방에서 상기 작동 유닛(6)과 결합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듀얼클러치(3);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닛(6)은,
    후방으로 개방되는 내측 연통홀(620);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내측 연통홀(620)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연통홀(630);
    상기 내측 연통홀(620)와 연통하는 내측 환형 실린더(62); 및
    상기 외측 연통홀(630)과 연통하고, 상기 내측 환형 실린더(62)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내측 환형 실린더(62)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환형 실린더(63);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어셈블리.
KR1020190078162A 2019-06-28 2019-06-28 듀얼클러치 어셈블리 KR20210001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62A KR20210001694A (ko) 2019-06-28 2019-06-28 듀얼클러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162A KR20210001694A (ko) 2019-06-28 2019-06-28 듀얼클러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94A true KR20210001694A (ko) 2021-01-06

Family

ID=7412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162A KR20210001694A (ko) 2019-06-28 2019-06-28 듀얼클러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6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7825B2 (en) 2010-12-21 2016-09-20 Borgwarner Inc. Clutch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7825B2 (en) 2010-12-21 2016-09-20 Borgwarner Inc. Clutch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6429B2 (en) Wedge clutch with tapered profile and cage
KR101288218B1 (ko) 다판식 마찰 결합 기구
KR102320702B1 (ko) 제어 시스템의 피스톤의 행정을 제한할 수 있는 안전 베어링을 구비한 습식 이중 클러치
KR10155876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US9982723B2 (en) Rotating clutch pack assembly
KR20160042387A (ko) 습식 이중 클러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US7201261B2 (en) Bridging clutch for a hydrodynamic clutch device enclosed by a housing
US10316899B2 (en) Caged wedge clutch
US10480589B2 (en) Fluid draining through clutch plates having separator features
CN110914089B (zh) 混合动力模块
US8727087B2 (en) Torque transmission arrangement, particularly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CN109661526A (zh) 紧凑的双离合器机构和包括这种双离合机构的变速器系统
WO2018118290A1 (en) Outer hub wedge clutch
EP3141771B1 (en) Double clutch assembly
JP6173814B2 (ja) クラッチ
US20220136593A1 (en) Friction engaging device
KR20210001694A (ko) 듀얼클러치 어셈블리
JP2015190472A (ja) 自動変速機
KR20220162651A (ko)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JP6197742B2 (ja) 自動変速機
KR20180016297A (ko) 듀얼-클러치 메카니즘 및 그러한 듀얼-클러치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변속기 시스템
JP2018151027A (ja) 湿式多板クラッチ
JP5986868B2 (ja) クラッチ
JP2019158020A (ja) クラッチ装置
JP6194834B2 (ja) 自動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