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77A -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77A
KR20210001177A KR1020190076851A KR20190076851A KR20210001177A KR 20210001177 A KR20210001177 A KR 20210001177A KR 1020190076851 A KR1020190076851 A KR 1020190076851A KR 20190076851 A KR20190076851 A KR 20190076851A KR 20210001177 A KR20210001177 A KR 2021000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ebop
mbop
cell system
sta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호
김재식
이새봄
Original Assignee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9007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177A/ko
Publication of KR2021000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스로의 상태 진단에 기반한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연료 전지(fuel cell)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료 전지 시스템은,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 스택 모듈, EBOP(electronic balance of plant), 및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운전 또는 상태에 관련된 변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변수에 따라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FUEL CEL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OPERATING MODE ACCORDING TO SELF-DECISION}
본 발명은 연료 전지(fuel cell)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스스로의 상태 진단에 기반한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fuel cell)란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 화학 반응은 촉매층 내에서 촉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연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한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다. 연료 전지는 미래 에너지인 수소 에너지 및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핵심 기술로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 중 SOFC(solid oxide fuel cell)은 수소와 탄화수소를 자유롭게 연료로 사용할 수 있고,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은 연료 전지로서, 대기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미래 동력원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fuel cell)의 효과적인 운전을 가능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상태를 자가 판단하여 운전 모드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수명을 보장하면서 효율을 최대화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료 전지(fuel cell) 시스템은,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 스택 모듈, EBOP(electronic balance of plant), 및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운전 또는 상태에 관련된 변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변수에 따라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fuel cell) 시스템은 연료 전지의 수명을 보장하면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의 특성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스스로의 상태 진단에 기반한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다.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 및 산소가 발생한다. 연료 전지는 이 과정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수소 및 산호로부터 전기를 얻는 전기화학적 발전을 수행한다. 즉, 연료 전지는 수소 및 산호로부터 물, 전기, 열을 생산한다. 따라서, 전기 및 열이 동시에 발생하며, 그 구조에 따라 원하는 전압 및 전류가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의 기본 셀에서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연료인 수소를 공급하면, 수소는 연료극의 촉매층에서 수소 이온 및 전자로 산화된다. 그리고, 공기극에서 공급된 산소 및 전해질을 통해 이동한 수소 이온과 외부 도선을 통해 이동한 전자가 결합함으로써, 물을 생성하는 산소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 중, 전자의 외부 흐름이 전류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전기가 발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는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는 기계 설비이다. MBOP는 연료전지 스택에 수소, 산소를 공급하는 기계 장치로 열교환기, 가습기, 개질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핫-박스(HOT-BOX)는 셀(Cell)을 다수 적층(stack)한 전기 화학적 발전기이다. 핫-박스는 연료 전지 스택이라 불리기도 하며, 전극, 전해질 및 분리판으로 구성된 셀이 적층된 구조로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부분으로서,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EBOP(electronic balance of plant)는 DC(direct current)를 AC(alternative current)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설비이다. EBOP는 연료 전지 스택에서 발생된 직류 형태의 전기에너지를 교류 형태로 변환하여 계통으로 발전된 에너지를 전송하고 연료 전지 시스템 제어를 수행한다.
MBOP, 핫-박스, EBOP들을 제어하는 지능형 제어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지능형 제어기는 최적의 운전 모드를 결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 제어기는 AI 기반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의 특성 그래프를 도시한다.
활성화분극(Activation Loss)은 전극 표면에서 전하를 이송해 화학반응을 일으킬 때 발생하는 손실이다. Ohmic 분극(Ohmic Resistance Loss)은 전극의 저항과 전하가 전해질을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저항성분의 손실이다. 농도 분극(Concentration Polarization Loss)은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극에서 반응 물질이 소모됨에 따라 초기 농도를 유지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손실이다. 도 4와 같은 특성 그래프는 연료 전지의 사용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사용 기간이 길어질 수록, 도 4와 같은 그래프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전압-전류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면, 현재 연료 전지의 특성 그래프가 확인될 수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특성 그래프에 기반하여 연료 전지의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 상태에서 주어진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운전 조건을 결정한 후, 적응적으로 운전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연료 전지 시스템은 MBOP, 핫-박스(또는 모듈 또는 스택 모듈), EBOP을 포함하며,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지능형 제어기(예: 임베디드 제어기, 상위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지능형 제어기는 로컬(local) 시스템에 임베디드된 형태이거나, 통신망(예: 이더넷)을 통해 외부에서 제어하는 형태이거나, 또는 양자의 조합일 수 있다.
지능형 제어기는 단위 모듈(예: 6/24/120kW) 별 병렬 운전 및 단위 모듈 고장 시 부하 분담을 조정한다. 또한, 지능형 제어기는 시퀀스 제어(예: heat-up, operation mode, cool-down 등을 제어), 피드백 제어(예: 유량 제어, 온도 제어, 압력 제어 등), EBOP 제어(예: 전력 제어, 스택 상태 정보(물질 전달 저항 등) 제어)를 담당하고, 운전 중 실시간 감시를 통해 운전 변수를 변경할 수 있고, 상태 제어 및 예측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지능형 제어기의 상태 감시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스택 모듈의 수명 및 발전 출력량 중 원하는 사항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운영도 가능하다. 단위 모듈의 교체 가능으로, 시스템의 운전 지속성도 확보된다. 예를 들어, 개별 독립 운전, 통합 병렬 운전, 부하 변동 운전 등의 다양한 방식들이 지원될 수 있다.
지능형 제어기는 동작 중에 연료 전지의 상태를 감시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운전 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능형 제어기는 트립(trip)을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지능형 제어기는 트립 또는 시스템 정지 시 신속한 원인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동율이 증대될 것이다. 예를 들어, 주 성분 분석은 운전 및 제어 변수를 이원화하여 상태 감시/진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AI(artificial intelligent)-RNN(recurrent neural network) 기반의 진단이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명 종료 시점까지의 정상 상태 변경에 따른 기준치 재설정 및 트립 시 정밀 진단이 가능하다. RNN 기반의 진단은 실시간 데이터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지능형 제어기는 동작 중 정상 상태 판별 및 정지 시 정밀 진단을 위해 RNN을 이용할 수 있다. RNN은 외부의 다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얻어진 데이터 등으로 훈련 또는 학습될 수 있다.
지능형 제어기의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로 인해, 연료 전지 시스템의 효율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지능형 제어기는 주어진 정책에 따라 연료 전지의 운전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 모드를 제어함은 운전에 관련된 변수들 또는 연료 전지의 상태에 관련된 변수들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변수는 온도, 유량, 압력 등을 포함한다.
제어를 위한 정책은 수명 우선 또는 출력량 우선 또는 효율 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가동 기한이 아직 채워지지 아니한 경우, 수명 우선의 정책에 따라 운전 모드가 제어될 수 있다. 이후, 가동 기한이 경과하면, 남은 기간 동안 출력량 또는 효율 우선의 정책에 따라 운전 모드가 제어될 수 있다.
운전 중 상태 감시로서, 지능형 제어기는 이상 설정 값 변경(정상 상태 바뀜), 이상에 따른 운전 변수 변경, 고장 예측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정지 시 고장 정밀 진단으로서, 지능형 제어기는 고장 근본 원인 분석, 조치 방안 분석, 사례 검색 DB(database)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운전 중 또는 정지 시 상태 감시 및 분석을 위해, 지능형 제어기는 도 3과 같은 셀 전압 및 전류 밀도 관계 그래프와 같은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능형 제어기는 셀 전압에 따른 전류 밀도 측정 값을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
    스택 모듈;
    EBOP(electronic balance of plant); 및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의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운전 또는 상태에 관련된 변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변수에 따라 상기 MBOP, 상기 스택 모듈, 상기 EBOP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190076851A 2019-06-27 2019-06-27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210001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51A KR20210001177A (ko) 2019-06-27 2019-06-27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51A KR20210001177A (ko) 2019-06-27 2019-06-27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77A true KR20210001177A (ko) 2021-01-06

Family

ID=7412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851A KR20210001177A (ko) 2019-06-27 2019-06-27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2284B2 (ja) 水素供給システム
JP2019173082A (ja) 水素製造システム
US7222001B2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fuel cell-based power generation units
WO2004093212A2 (en) Dual power source switching control
CN101521288B (zh) 基于燃料电池系统的电压性能的电流限制的增益调度控制
CN113897618B (zh) 水电解系统
JP4021880B2 (ja) 燃料電池の調整および温度制御
KR102216850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연료 전지 관리 시스템
KR102216852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연료 전지 시스템
US6696190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Pereira et al. Neural generalized predictive control for tracking maximum efficiency and maximum power points of PEM fuel cell stacks
EP1587157A2 (en) Fuel cell operation method
KR102152020B1 (ko) 전류 차단에 기반한 자가 진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216851B1 (ko) Mbop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219866B1 (ko) 출력전압에 기반하여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216853B1 (ko) 플랜트의 운전 방식을 설정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210001177A (ko) 자가 판단에 따라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JP7229476B2 (ja) 水素発生システム
JP2020178517A (ja) 蓄電池システム
Satpathy et al. Mathematical modelling and voltage control of fuel cell
KR101656993B1 (ko) 실시간 부하 추종이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487263A (ja) 燃料電池発電プラント
KR20120086655A (ko) 연료전지시스템
KR102219860B1 (ko) 자가 진단 모드를 구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216849B1 (ko) 연료 전지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제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