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46U - 조립식 랙 - Google Patents

조립식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46U
KR20210001046U KR2020190004470U KR20190004470U KR20210001046U KR 20210001046 U KR20210001046 U KR 20210001046U KR 2020190004470 U KR2020190004470 U KR 2020190004470U KR 20190004470 U KR20190004470 U KR 20190004470U KR 20210001046 U KR20210001046 U KR 202100010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ortion
horizontal
vertical
fasten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4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46U/ko
Publication of KR20210001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Abstract

조립식 랙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의 제1 방향의 선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바; 상기 제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에 일부 겹치도록 적층되는 제2-1 수평부, 상기 제2-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1 수평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2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바; 상기 제1 수평부에 안착되는 제3-1 수평부, 상기 제3-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3 수직부, 및 상기 제3 수직부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수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2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1 수평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3 수직부와 상기 제3-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 사이에서, 상기 제3-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랙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랙{PREFABRICATED RACK}
본 고안은 조립식 랙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데크 하부에는 구조 보강을 위해 L형 부재가 격자무늬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박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L형 부재를 론지(longitudinal stiffener)라고 하고, 선박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L형 부재를 프레임(frame)이라고 한다.
또한, 데크 하부에는 케이블 트레이, 파이프 서포트, 장비 시트 등 각종 의장품이 설치되는데, 이들 의장품은 용접에 의해 데크, 론지 또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선체 건조 공정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선체 도장이 손상되거나 위보기 용접 등으로 인해 의장품 설치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데크 상에 열에 민감하고 무거운 장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추가 대책이 요구되는 문제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체의 구조적 강도 측면을 고려하면 데크, 론지 또는 프레임에 볼트 체결 홀을 가공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의장품 설치 작업의 대부분이 볼트 체결 방식이 아닌 용접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9938호(2014.06.27, 케이블 트레이)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한 쌍의 L형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조립식 랙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의 제1 방향의 선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바; 상기 제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에 일부 겹치도록 적층되는 제2-1 수평부, 상기 제2-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1 수평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2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바; 상기 제1 수평부에 안착되는 제3-1 수평부, 상기 제3-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3 수직부, 및 상기 제3 수직부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수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2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1 수평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3 수직부와 상기 제3-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 사이에서, 상기 제3-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랙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면은 상기 제1 수직부에 연결되는 제1 상면, 및 상기 제1 상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수직부와 상기 제2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상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3-1 수평부의 상면은 상기 제1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의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관통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1 수평부에 안착되는 제4 수평부, 및 상기 제4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제4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4 수평부와 상기 제2-1 수평부에 결합되는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수평부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의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제2 관통 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식 랙은 한 쌍의 L형 부재 중 제1 방향의 선단에 배치된 L형 부재에는 제1 플레이트 바 및 제1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제1 방향의 후단에 배치된 L형 부재에는 제2 플레이트 바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랙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조립식 랙의 분해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조립식 랙의 설치 작업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조립식 랙의 변형 예이고,
도 10은 도 1의 조립식 랙의 다른 설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랙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조립식 랙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랙(10)은 제1 플레이트 바(110), 제2 플레이트 바(120), 제1 고정부재(210), 제1 체결부재(310) 및 제2 체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고정부재(220) 및 제3 체결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 바(110)는 제1 수평부(111) 및 제1 수직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부(111)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X 방향(제1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고, Y 방향(제2 방향)은 X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일 수 있으며, Z 방향(제3 방향)은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한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제1 수직부(113)는 제1 수평부(111)의 X 방향의 선단에서 상향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직부(113)는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다.
제1 수평부(111)의 상면은 제1 수직부(113)에 연결되는 제1 상면(111a), 및 제1 상면(111a)보다 낮게 배치되는 제2 상면(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평부(111)의 하면을 기준으로, 제1 상면(111a)의 Z 방향으로의 높이는 제2 상면(111b)의 Z 방향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평부(111)의 상면은 제1 상면(111a)과 제2 상면(111b)의 경계에서 단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상면(111a)은 X 방향을 따라 제1 수직부(113)와 제2 상면(1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면(111b)에는 제1 수평부(111)를 Z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 홀(111c)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관통 홀(111c)에는 제1 체결부재(310) 및 제2 체결부재(320)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1 관통 홀(111c)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처럼 조립식 랙(10)이 결합되는 한 쌍의 L형 부재 사이의 간격이 달라져도 제1 체결부재(310)가 제1 관통 홀(111c)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관통 홀(111c)의 나머지 영역을 케이블 트레이 등과 같은 의장품의 설치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제2 플레이트 바(120)는 제2-1 수평부(121), 제2 수직부(123) 및 제2-2 수평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수평부(121)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고, 제1 수평부(111)의 X 방향의 후단에 일부 겹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제2-1 수평부(121)에는 제2-1 수평부(121)를 Z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 홀(12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관통 홀(121a)에는 제1 체결부재(310) 및 제3 체결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2 관통 홀(121a)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처럼 조립식 랙(10)이 결합되는 한 쌍의 L형 부재 사이의 간격이 달라져도 제1 체결부재(310)가 제2 관통 홀(121a)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관통 홀(121a)의 나머지 영역을 케이블 트레이 등과 같은 의장품의 설치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제2 수직부(123)는 제2-1 수평부(121)의 X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직부(123)는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다.
제2-2 수평부(125)는 제2 수직부(123)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제2-1 수평부(1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 수평부(125)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고, 제2-1 수평부(121)와 Z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2 수평부(125)의 X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1 수평부(121)의 X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제2-1 수평부(121)에는 제2-2 수평부(125)와 간섭하지 않고 제2 고정부재(220)가 안착될 수 있는 영역과 제1 체결부재(310) 및 제3 체결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는 제3-1 수평부(211), 제3 수직부(213) 및 제3-2 수평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수평부(211)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고, 제1 수평부(111)의 제2 상면(111b)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3 수직부(213)는 제3-1 수평부(211)의 X 방향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서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수직부(213)는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고, 제1 수직부(113)와 X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1 수평부(211)의 상면은 제3-1 수평부(211)의 X 방향의 선단과 제3 수직부(213)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상면(211a), 및 제3 수직부(213)와 제3-1 수평부(211)의 X 방향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상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상면(211a)은 제1 상면(111a)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거나 제1 상면(111a)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평부(111)의 하면을 기준으로, 제1 상면(111a)의 Z 방향의 높이는 제3 상면(211a)의 Z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수 있다. 따라서, L형 부재의 하면에 제1 상면(111a)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L형 부재의 하면과 제2 상면(111b) 사이의 틈새로 제3-1 수평부(211)를 삽입할 수 있다.
제4 상면(211b)에는 제3-1 수평부(211)를 Z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관통 홀(211c)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관통 홀(211c)에는 제2 체결부재(3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3-2 수평부(215)는 제3 수직부(213)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제1 수직부(213)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2 수평부(215)는 제3 상면(211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으며, 제3-1 수평부(211)와 Z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220)는 제4 수평부(221) 및 제4 수직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수평부(221)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고, 제2-1 수평부(121)에 안착될 수 있다.
제4 수평부(221)에는 제4 수평부(221)를 Z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4 관통 홀(22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4 관통 홀(221a)에는 제3 체결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4 수직부(223)는 제4 수평부(221)의 X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수직부(223)는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상일 수 있고, 제2 수직부(123)와 X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310)는 제1 수평부(111)와 제2-1 수평부(121)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 바(120)를 제1 플레이트 바(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재(310)는 제1 관통 홀(111c) 및 제2 관통 홀(121a)에 결합되는 제1 볼트(311), 및 제1 볼트(311)에 체결되는 제1 너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320)는 제1 수평부(111)와 제3-1 수평부(211)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고정부재(210)를 제1 플레이트 바(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재(320)는 제1 관통 홀(111c) 및 제3 관통 홀(211c)에 결합되는 제2 볼트(321), 및 제2 볼트(321)에 체결되는 제2 너트(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330)는 제2-1 수평부(121)와 제4 수평부(221)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고정부재(220)를 제2 플레이트 바(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체결부재(330)는 제2 관통 홀(121a) 및 제4 관통 홀(221a)에 결합되는 제3 볼트(331), 및 제3 볼트(331)에 체결되는 제3 너트(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조립식 랙의 설치 작업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립식 랙(10)은 한 쌍의 L형 부재(20)에 결합될 수 있다.
L형 부재(20)는 L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빔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선체 데크(30)의 하부에 구조 보강을 위해 배치되는 론지 또는 프레임일 수 있다.
한 쌍의 L형 부재(20)는 X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L형 부재(20)에 결합된 조립식 랙(10)에는 화재감지기(40)와 같은 각종 장비가 설치된 장비 시트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장비 시트는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제1 관통 홀(111c)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장비 시트를 설치하기 위한 용접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조립식 랙의 변형 예이고, 도 10은 도 1의 조립식 랙의 다른 설치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립식 랙(10)은 L형 부재(20)와 접촉하는 부분에 영구자석(M)을 구비하여 L형 부재(20)에 보다 강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한 쌍의 조립식 랙(10)을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하고, 한 쌍의 조립식 랙(10)을 연결부재(50)에 의해 상호간에 고정시킴으로써 L형 부재(2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연결부재(50)는 조립식 랙(10)의 제1 관통 홀(111c) 또는 제2 관통 홀(121a)에 볼트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조립식 랙 20: L형 부재
30: 데크 40: 화재감지기
50: 연결부재 110: 제1 플레이트 바
111: 제1 수평부 111a: 제1 상면
111b: 제2 상면 111c: 제1 관통 홀
113: 제1 수직부 120: 제2 플레이트 바
121: 제2-1 수평부 121a: 제2 관통 홀
123: 제2 수직부 125: 제2-2 수평부
210: 제1 고정부재 211: 제3-1 수평부
211a: 제3 상면 211b: 제4 상면
211c: 제3 관통 홀 213: 제3 수직부
215: 제3-2 수평부 220: 제2 고정부재
221: 제4 수평부 221a: 제4 관통 홀
223: 제4 수직부 310: 제1 체결부재
311: 제1 볼트 313: 제1 너트
320: 제2 체결부재 321: 제2 볼트
323: 제2 너트 330: 제3 체결부재
331: 제3 볼트 333: 제3 너트

Claims (6)

  1.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의 제1 방향의 선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바;
    상기 제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에 일부 겹치도록 적층되는 제2-1 수평부, 상기 제2-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1 수평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2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바;
    상기 제1 수평부에 안착되는 제3-1 수평부, 상기 제3-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3 수직부, 및 상기 제3 수직부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수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2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1 수평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3 수직부와 상기 제3-1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 사이에서, 상기 제3-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면은 상기 제1 수직부에 연결되는 제1 상면, 및 상기 제1 상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수직부와 상기 제2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상면 상에 안착되는 조립식 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1 수평부의 상면은 상기 제1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상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조립식 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의 제1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관통 홀에 결합되는 조립식 랙.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수평부에 안착되는 제4 수평부, 및 상기 제4 수평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후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제4 수직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4 수평부와 상기 제2-1 수평부에 결합되는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랙.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수평부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의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제2 관통 홀에 결합되는 조립식 랙.
KR2020190004470U 2019-11-05 2019-11-05 조립식 랙 KR202100010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70U KR20210001046U (ko) 2019-11-05 2019-11-05 조립식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70U KR20210001046U (ko) 2019-11-05 2019-11-05 조립식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46U true KR20210001046U (ko) 2021-05-13

Family

ID=7591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470U KR20210001046U (ko) 2019-11-05 2019-11-05 조립식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4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38B1 (ko) 2013-03-22 2014-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38B1 (ko) 2013-03-22 2014-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809B2 (en) Relay rack
US7806467B2 (en) Structure of rear portion of car body
JP6523426B2 (ja) 取付金具、取付ユニット、及び鉄道車両
JP6118123B2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US20130033065A1 (en) Beam in a Vehicle Door and a Method of Rustproofing a Vehicle Door
EP2448448B1 (en) Support frame for arranging module units in a service vehicle
EP2247469B1 (en) Bumper beam for a vehicle.
KR20210001046U (ko) 조립식 랙
KR20180072673A (ko) 해상 부체 구조물
CN110023228A (zh) 用于连接电梯轿厢的两个侧壁元件的轿厢拐角支架
EP2404809B1 (en) Draw beam
JP4244199B2 (ja) ラックのフレーム構造
KR101284854B1 (ko) 선체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JP5405931B2 (ja) 形状保持部材付き天井野縁、天井野縁ユニット及び天井面の構造
KR101786030B1 (ko) 컨테이너선의 가이드 구조
JP2018154210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CN217743631U (zh) 一种用于货架层板的支撑结构及货架
KR20140003637U (ko) 선박의 천장패널 지지용 앵글 구조체
KR100692152B1 (ko) 버스용 프론트 바디 조립구조
EP3272576B1 (en) A component for outfitting vehicle interiors
CA2827092A1 (en) Aerodynamic fittings for trailer crossmembers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JP4393219B2 (ja) キャビネット構造
CN220157086U (zh) 一种清选筛箱及收割机
JP6592326B2 (ja) 苗箱収納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