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27U - 굴까는 보조도구 - Google Patents

굴까는 보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27U
KR20210001027U KR2020190004443U KR20190004443U KR20210001027U KR 20210001027 U KR20210001027 U KR 20210001027U KR 2020190004443 U KR2020190004443 U KR 2020190004443U KR 20190004443 U KR20190004443 U KR 20190004443U KR 20210001027 U KR20210001027 U KR 202100010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members
pair
shell ope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108Y1 (ko
Inventor
홍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to KR2020190004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08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6Opening or shucking bi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까는 보조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된 구조로 결합되어 좌우 양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쌍의 회동부재;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의 일단에 상호 대칭되게 상하로 각각 결합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 상기 한 쌍의 상하 회동부재의 전면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하 패각 내측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으면서 일정한 강성한 갖도록 구성되어 상하 손잡이부재의 가압시 상하로 거리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가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손잡이부재의 상하 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하 회동부재의 후단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압축과 팽창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탄발수단; 및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으면서 손잡이부재의 가압시 상호 맞닿도록 구성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굴 패각을 절단 또는 파쇄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상하 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패각 파쇄부재;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굴까는 보조도구{Open-device for oyster-shell}
본 고안은 굴까는 보조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작업으로 굴을 까는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줄이고, 굴까지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굴까는 보조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은 연체동물 부족류(斧足類) 빈치목(貧齒目) 굴 과에 속하는 조개류의 총칭으로,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등의 각종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굴은 주로 강장, 강정, 간기능 강화, 빈혈, 뇌일혈, 신경쇠약, 갑상선 질환 등에 이용되는데, 굴 내의 타우린 성분은 두뇌발달은 물론, 뇌졸중, 동맥경화, 당뇨에 좋으며, 특히 피부미용에도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굴은 상하 2개의 껍데기(패각)가 매우 강하게 닫혀진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것은 상하 껍데기를 내부에서 잡고 있는 폐각근이라고 하는 굴의 강한 근육 때문이다.
생굴은 폐각근으로 인해 매우 강한 힘으로 껍질이 닫힌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폐각근을 그대로 둔 상태로는 도저히 개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굴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이 폐각근을 칼을 이용하여 절단한 후 양 껍질을 개방하여야만 한다.
특히, 생굴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단단한 껍데기를 개방시켜야 되는데, 종래의 경우 대부분 껍데기의 일단부에 뽀족한 칼날을 강제로 집어 넣어 칼날을 일정각도로 돌려 껍데기를 개방하거나, 또는 벤치 등과 같은 별도의 절단 도구를 이용하여 일측단을 절단한 후 절단되어 개방된 틈을 통해 칼을 내측으로 삽입하여 굴의 폐각근을 절단한 후 양쪽 껍데기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섭취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은 굴을 섭취하기 위해 별도의 벤치와 같은 보조도구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큰 번거로움을 유발하게 되고, 또한 일반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껍질 내부에 존재하는 폐각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폐각근을 절단하기 위해 칼을 삽입한 상태에서 칼을 이리저리 휘저으면서 폐각근을 찾아야 하는데 이 경우 폐각근 뿐 아니라 껍데기 내부의 내용물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단하게 닫혀진 껍데기 내측으로 보조도구를 끼워 넣기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다가 뽀쪽한 칼날 끝이 빗나가거나 껍데기 내면에서 미끄러져 굴 껍데기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을 찌르거나 베는 사고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 굴 까는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굴을 깔 경우, 작업자의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물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굴까는 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굴 껍데기를 까는 방법들이 일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계적인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의 부피가 커서 소규모 작업장이나 굴 가공업자,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 실용신안 공개 제20-2015-3811호(공개일: 지렛대에 붙어있는 칼날의 상하이동과 좌우회전이 가능한 지렛대원리의 굴 까기 보조기구) - 특허등록 제10-1939330호(등록일: 2019.01.10, 발명의 명칭: 굴패각 탈피장치) - 특허공개 제10-2013-50614호(공개일: 2013.05.16, 발명의 명칭: 굴패각 제거장치 및 굴패각 제거방법)
본 고안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굴까는 보조도구를 개량하여 사용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많은 노동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굴까는 작업 수행중 작업자들이 다치는 안전사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굴까는 보조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는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된 구조로 결합되어 좌우 양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쌍의 회동부재;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의 일단에 상호 대칭되게 상하로 각각 결합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전면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하 패각 내측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으면서 일정한 강성한 갖도록 구성되어 손잡이부재의 가압시 상하로 거리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 상기 손잡이부재의 상하 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후단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압축과 팽창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탄발수단; 상기 손잡이부재의 가압시 상호 맞닿도록 구성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굴 패각을 절단 또는 파쇄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패각 파쇄부재;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따는 보조도구는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된 구조로 결합되어 좌우 양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쌍의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각 일단에 상호 대칭되게 상하로 결합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 동작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 닫혀진 상하 패각 내측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으면서 일정한 길이와 강성을 갖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부재의 전방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 상기 손잡이부재의 상하 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후단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압축과 팽창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탄발수단; 상기 손잡이부재의 가압시 상호 맞닿도록 구성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패각을 절단 또는 파쇄할 수 있도록 상하 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패각 파쇄부재; 상기 한 쌍의 패각 개방부재 중 어느 일측 제1 패각 개방부재가 패각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2 패각 개방부재가 패각의 일측 테두리부에 걸리도록 선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제2 패각 개방부재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회동부재측으로 제2 패각 개방부재를 후퇴시키고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제2 패각 개방부재를 본래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2 패각 개방부재의 후단부와 회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의 어느 일측 후단에는 패각에서 분리된 내용물을 집어 낼 수 있는 내용물 인출 갈고리가 더 구비되어 패각에서 분리된 내용물의 인출이 더욱 편리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는 공구(工具)의 한 종류인 펜치 모양 및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하 회동되는 상하 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 손잡이부재의 가압시 서로 맞닿아 그 사이에 놓여진 굴의 패각을 파쇄 또는 절단하는 패각파쇄부재가 구비되어 굴 패각의 일단을 파쇄한 후 회동부재의 전면에 구비된 패각개방부재를 이용하여 상하 패각을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하므로 굴까는 작업을 종래보다 한층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의 경우, 패각내측으로 삽입되는 패각 개방부재의 삽입깊이를 적당하게 조절해주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어 굴 패각을 열기 위해 작업자가 무리하게 힘을 가하다가 다치는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 까는 보조도구의 외관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의 각 단계별 사용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를 이용해 패각에서 분리된 내용물을 인출하는 상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 까는 보조도구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수직 절단 단면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는 공구(工具)의 한 종류인 펜치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한 체 굴까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구비되는 회동부재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상하 회동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가 구비되고, 손잡이부재와 대향되는 회동부재의 타측으로 얇은 판재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길이와 강성을 갖는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손잡이부재의 상하동작으로 굴 패각 내측으로 삽입된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격시키는 동작에 의해 닫혀진 굴 패각(껍데기)을 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고안에 따른 굴까기 보조도구에는 한 쌍의 상하 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 패각파쇄부재가 구비되어 손잡이부재의 가압시 상하 패각파쇄부재가 상호 맞닿으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굴 패각을 절단 또는 파쇄할 수 있도록 하여 절단된 패각쪽으로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여 굴까기 작업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표시되는 방향성 용어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하되,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쪽을 내측 또는 후방(후단)측으로 표현하고, 굴을 까기 위해 굴과 접촉하는 쪽을 외측 또는 전방(전단)측으로 표현한다.
또한,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는 부재의 설명 중 두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측을 내측면으로 표현하여 각 부재의 구성과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는 중앙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10,11)를 기준으로 일측에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재(20,21)와, 상기 손잡이부재(20,21)의 대향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20,21)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손잡이부재(20,21)의 가압시 상호 맞닿는 한 쌍의 패각 파쇄부재(60,6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0,11)의 후방측에는 상하 회동부재(10,11)간에 일정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 탄성적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탄발수단(5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좀 더 상술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는 공구(工具)의 한 종류인 펜치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측에 구비된 한 쌍의 회동부재(10,11)는 고정부(13)를 기준으로 상하로 결합되어 좌우측단이 고정부(13)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10,11)의 일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손잡이부재(20,21)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하측 손잡이부재(20,2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되, 상하 간격은 회동부재(10,11)의 후방측에 수직으로 결합된 탄발수단(50)을 통해 적절한 간격이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20,21)의 각 내측면에는 손잡이부재(20,21)의 가압시 서로 맞닿아 그 사이에 위치하는 굴의 패각을 절단하거나 파쇄할 수 있는 패각 파쇄부재(60,61)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각파쇄부재(60,61)는 단단한 굴의 패각 일부분을 사용자가 손잡이부재(20,21)를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절단 또는 파쇄하기 용이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잦은 사용에 따라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각파쇄부재(60,61)의 절단모서리부(63)는 패각 절단을 위해 상하 패각파쇄부재의 가압시 패각이 미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형 또는 톱니형 물림부(6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손잡이부재(20,21)의 작은 가압력으로 패각을 절단 또는 파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재(20,21)의 대향측인 회동부재(10,11)의 전방측에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으면서 비교적 두께가 얇은 판재형의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가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어 회동부재(10,11)의 회동 동작에 따라 서로 원근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는 굴의 상하 패각 사이로 끼워넣어 패각을 개방시키거나 또는 개방된 패각의 내측면에 달라붙어 있는 내용물(굴)을 떼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두께는 얇으면서 견고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선단부 또는 측단부에는 칼날이 형성되어 패각 내면에 달라붙어 있는 관자부위를 떼어내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는 회동부재(10,11)의 후방측에 구비된 탄발수단(50)의 상하 팽창력에 의해 회동부재(10,11)의 후단부가 들려지면서 손잡이부재(20,21)도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회동부재(10,11)의 전방측은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되어 회동부재(10,11)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도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굴을 까기 위해서 종래의 굴 까는 보조도구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회동부재(10,11)를 한손으로 감싼 상태에서 전방측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다른 손으로 잡고 있는 굴의 패각 내측으로 끼워 넣어 회동부재(10,11)를 일측 또는 양측방향으로 돌리면서 닫혀진 패각을 열 수 있다.
하지만, 굴의 패각은 쉽게 열리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패각 내측으로 강제로 진입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또한 제 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패각 내측으로 진입시켰다 할지라도 회동부재(10,11)를 돌리면서 패각 내측에 구비된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적합한 각도로 개방시키는 것도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여 패각의 개방을 더욱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를 이용하여 패각을 개방시키는 사용상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를 이용하여 굴까기 작업을 할 경우,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패각 내측으로 진입시키 용이하도록 먼저 손잡이부재(20,21)의 내측면에 구비된 패각 파쇄부재(60,61) 사이에 패각(200)의 일부를 진입시킨 후에 손잡이부재(20,21)를 가압하여 패각의 일부분을 절단 또는 파쇄한다.
손잡이부재(20,21)의 동작으로 패각 파쇄부재(60,61)가 서로 접촉하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패각(200)의 일부분을 절단하거나 파쇄하게 되면 상하층으로 이루어진 패각 사이에 일정한 틈새가 보이거나 벌어지게 되고, 벌어진 틈새 사이로 제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일정 깊이 삽입시킨다.
물론, 한 쌍의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패각(200) 내측으로 진입시킨 후에 회동부재(20,11)를 잡고 돌려서 패각을 개방시킬 수도 있지만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돌려서 열리는 패각의 개방각이 작기 때문에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의 회동 후 양손으로 상하층 패각을 잡고 더 벌려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그렇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측이 절단된 패각(200) 내측으로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일정 깊이 진입시킨 후에 손잡이부재(20,21)를 가압하면 상하측 손잡이부재(20,21)의 상하 이동거리(또는 높이)에 비례해서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가 상하로 이격되면서 손쉽게 패각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재(20,21)의 가압으로 패각을 개방시키게 되면, 패각의 개방각도 또한 패각 개방부재(40,41)의 회전시 벌어진 패각의 개방각도보다 훨씬 큰 각도로 패각을 열수가 있어 굴까기 작업을 한층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패각(200)을 개방시킨 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0,11)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의 선단부를 일측 패각의 내면에 달라붙어 있는 내용물(250) 밑으로 밀어넣어 패각근(관자부위)을 절단시키면 내용물이 패각에서 분리된다.
패각의 내면에서 내용물이 분리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21)의 후단에 구비된 내용물 인출 갈고리(30)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찍어서 패각에서 최종 분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는 굴까기 전에 패각의 일부를 절단 또는 파쇄시킨 후에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손잡이부재(20,21)의 상하동작을 통해 이격시킴으로써 닫혀진 패각을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고, 개방된 패각의 내면에 달라붙은 내용물은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를 이용해 분리시킨 후에 내용물 인출 갈고리(30)를 이용하여 패각에서 꺼내면 되므로 종래의 어려웠던 굴까기 작업이 한층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의 외관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2의 수직절단 단면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동작구조와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중 상하 어느 일측, 도시된 예에서는 제2 패각 개방부재(41a)에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걸림부(4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걸림부(43)가 형성된 제2 패각개방부재(41a)의 고정단측은 회동부재(11)에 설치된 완충수단(15)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후방으로 일정거리 후퇴 후 이동이 정지되고, 외력이 제거될 경우 본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하측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a)의 선단부는 서로 맞닿아 일정길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후에 그 선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어느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측 제2 패각 개방부재(41a)에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부(43)가 형성되어 패각을 개방시킨 후 내용물(250)을 패각의 내면에서 분리시킬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3)가 형성되지 않은 제1 패각 개방부재(40)만을 내용물(250) 밑으로 밀어 넣고 걸림부(43)가 구비된 제2 패각 개방부재(41a)는 일측 패각테두리부(220)에 걸리도록 한다.
따라서, 패각테두리부(220)에 걸린 제2 패각 개방부재(41a)는 패각 내측으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고 완충수단(15)의 압축 깊이만큼 후퇴하는 동안 상부측 제1 패각 개방부재(40)는 패각 내측으로 집입이 이루어지면서 내용물(250)을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까는 보조도구는 걸림부(43)가 구비된 제2 패각 개방부재(41a)의 후퇴 거리만큼 상부측 제1 패각 개방부재(40)는 패각 내측으로 더 진입한 후에 내용물을 따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작업 중에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가하더라도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는 더 이상 패각 내측으로 진입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자가 제1 패각 개방부재(40)의 과도한 진입으로 인해 패각을 잡고 있는 손이 칼날부에 의해 다치거나 패각의 날카로운 모서리부에 힘을 가하는 다른 손이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패각의 내용물을 떼어내기 위해 내용물과 패각 내측면 사이로 진입한 제1 패각 개방부재(40)의 좌우 움직임을 통해 내용물의 분리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걸림부(43)가 패각 테두리부(2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 패각 개방부재(40)의 좌우측 움직임에 맞춰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패각 개방부재(40)의 움직임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한 굴까기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10, 11 : 회동부재 13 : 고정핀
15 : 완충수단 20, 21 : 손잡이부재
30 : 내용물(굴) 인출 갈고리
40 : 제1 패각 개방부재 41,41a : 제2 패각 개방부재
43 : 걸림부
50 : 탄발수단 60, 61 : 패각 파쇄부재
63 : 물림부 100 : 굴까는 보조도구
200 : 패각(굴) 220 : 패각 테두리부
250 : 내용물

Claims (3)

  1.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13)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된 구조로 결합되어 좌우 양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쌍의 회동부재(10,11);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10,11)의 일단에 상호 대칭되게 상하로 각각 결합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21);
    상기 회동부재(10,11)의 전면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하 패각 내측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으면서 일정한 강성한 갖도록 구성되어 손잡이부재(20,21)의 가압시 상하로 거리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
    상기 손잡이부재(20,21)의 상하 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부재(10,11)의 후단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압축과 팽창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탄발수단(50);
    상기 손잡이부재(20,21)의 가압시 상호 맞닿도록 구성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굴 패각을 절단 또는 파쇄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재(20,21)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패각 파쇄부재(60,61);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까는 보조도구.
  2.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13)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된 구조로 결합되어 좌우 양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쌍의 회동부재(10,11);
    상기 회동부재(10,11)의 각 일단에 상호 대칭되게 상하로 결합되어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 동작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21);
    닫혀진 상하 패각 내측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으면서 일정한 길이와 강성을 갖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부재(10,11)의 전방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패각 개방부재(40,41a);
    상기 손잡이부재(20,21)의 상하 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동부재(10,11)의 후단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압축과 팽창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탄발수단(50);
    상기 손잡이부재(20,21)의 가압시 상호 맞닿도록 구성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패각을 절단 또는 파쇄할 수 있도록 상하 손잡이부재(20,21)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패각 파쇄부재(60,61);
    상기 한 쌍의 패각 개방부재 중 어느 일측 제1 패각 개방부재(40)가 패각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2 패각 개방부재(41a)가 패각의 일측 테두리부에 걸리도록 선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제2 패각 개방부재(41a)에 형성되는 걸림부(43); 및
    상기 걸림부(43)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회동부재(10,11)측으로 제2 패각 개방부재(41a)를 후퇴시키고 외력이 제거될 경우 제2 패각 개방부재(41a)를 본래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2패각 개방부재(41a)의 후단부와 회동부재(11)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15);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까는 보조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20,21)의 후단에는 패각에서 분리된 내용물을 집어 낼 수 있는 내용물 인출 갈고리(3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까는 보조도구.
KR2020190004443U 2019-11-04 2019-11-04 굴까는 보조도구 KR200495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43U KR200495108Y1 (ko) 2019-11-04 2019-11-04 굴까는 보조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43U KR200495108Y1 (ko) 2019-11-04 2019-11-04 굴까는 보조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27U true KR20210001027U (ko) 2021-05-12
KR200495108Y1 KR200495108Y1 (ko) 2022-03-07

Family

ID=7591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443U KR200495108Y1 (ko) 2019-11-04 2019-11-04 굴까는 보조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8696A1 (en) * 2021-01-05 2022-07-14 Cicchini Gianluca Shell open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371Y1 (ko) 2023-04-04 2023-10-20 김영희 일체형 전복용 칼 겸용 뿔소라용 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2655A1 (en) * 1981-02-05 1982-08-19 Bruce Albert Whatman An oyster or scallop opener
JP2009082060A (ja) * 2007-09-28 2009-04-23 Yosix:Kk カキ殻剥き具およびカキ殻剥き方法
KR20120018959A (ko) * 2010-08-24 2012-03-06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껍데기 제거구
KR101202297B1 (ko) * 2011-11-23 2012-11-16 김경배 착탈형 새우 껍질제거기
KR20130050614A (ko) 2011-11-08 2013-05-16 정용한 굴패각 제거 장치 및 굴패각 제거 방법
KR20150003811U (ko) 2014-04-10 2015-10-20 종 득 신 지렛대에 붙어있는 칼날의 상하이동과 좌우회전이 가능한 지렛대원리의 굴 까기 보조기구
KR20170069577A (ko) * 2015-12-11 2017-06-21 권재열 다용도 가위
KR101939330B1 (ko) 2018-05-28 2019-01-16 조기준 굴패각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2655A1 (en) * 1981-02-05 1982-08-19 Bruce Albert Whatman An oyster or scallop opener
JP2009082060A (ja) * 2007-09-28 2009-04-23 Yosix:Kk カキ殻剥き具およびカキ殻剥き方法
KR20120018959A (ko) * 2010-08-24 2012-03-06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껍데기 제거구
KR20130050614A (ko) 2011-11-08 2013-05-16 정용한 굴패각 제거 장치 및 굴패각 제거 방법
KR101202297B1 (ko) * 2011-11-23 2012-11-16 김경배 착탈형 새우 껍질제거기
KR20150003811U (ko) 2014-04-10 2015-10-20 종 득 신 지렛대에 붙어있는 칼날의 상하이동과 좌우회전이 가능한 지렛대원리의 굴 까기 보조기구
KR20170069577A (ko) * 2015-12-11 2017-06-21 권재열 다용도 가위
KR101939330B1 (ko) 2018-05-28 2019-01-16 조기준 굴패각 탈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8696A1 (en) * 2021-01-05 2022-07-14 Cicchini Gianluca Shell ope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08Y1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1027U (ko) 굴까는 보조도구
CN201439203U (zh) 多用途剪刀
US3846908A (en) Clam, oyster and nut cracker
US20230001591A1 (en) Knife with replaceable blade
US1171241A (en) Tool for dressing fish, &c.
US7455576B1 (en) Oyster split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30134585A1 (en) Shellfish shucking tool
US10933543B2 (en) Multipurpose scissors
CA1219711A (en) Oyster opener
US1084230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utting avocados
JP4275181B2 (ja) 殻付き生カキの殻開け用ナイフ
US20030213131A1 (en) Nut piercer
KR102122637B1 (ko) 굴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한 굴 박신 자동화 기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 박신 방법
US20040262586A1 (en) Staple remover
CN205756996U (zh) 一种用于剥虾的钳子
US1821953A (en) Tack puller or pliers
CN214678713U (zh) 一种快速去皮的新型核桃钳
CN217743917U (zh) 一种开生蚝装置
CN205685405U (zh) 一种用于牛排的快速切块工具
KR200240191Y1 (ko) 생굴박신용 칼
CN216803527U (zh) 一种多功能剪刀
US11849734B1 (en) Crab shell cutter
FR2822021A1 (fr) Dispositif pour le traitement des souches en vue de leur extraction et de leur debitage sur site
US20040163494A1 (en) Opener for variety of ring-pull containers
CN214963198U (zh) 一种鹰勾指甲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