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714U -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714U
KR20210000714U KR2020190003871U KR20190003871U KR20210000714U KR 20210000714 U KR20210000714 U KR 20210000714U KR 2020190003871 U KR2020190003871 U KR 2020190003871U KR 20190003871 U KR20190003871 U KR 20190003871U KR 20210000714 U KR20210000714 U KR 202100007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glass
attached
main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824Y1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2020190003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24Y1/ko
Priority to JP2020001156U priority patent/JP3228578U/ja
Publication of KR202100007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전방에 지지되는 광고지를 조명하기 위해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유리 표면에 전면이 지지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 중앙의 전방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유리 표면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제1벨크로부; 걸이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벨크로부가 부착되도록 상기 암벨크로와 수벨크로 중 나머지 다른 하나로 마련되는 제2벨크로부; 상기 걸이공이 끼워져 걸리도록 마련된 걸이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부와 제2벨크로부는 상기 걸이공이 상기 걸이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호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부착식 광고장치{glass attached type advertising device}
본 고안은 유리에 부착되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리 표면에 부착되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전면의 광고이미지가 매장 외부로 보여지도록 매장의 유리창 내면 쪽에 부착되어 실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에 위치하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행인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적다. 또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광고이미지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광고이미지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는데, 실내에 위치하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조명장치의 보호를 위한 별도의 방수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작면에서도 경제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설치시 통상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큐방에 의해 유리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있다.
큐방은 광고장치가 마치 공중부양된 상태로 유리에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질 수 있게 투명하거나 반투명 처리된 것이 사용됨에 따라 설치상태의 광고장치에 심비감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큐방을 유리 표면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설치작업이 더뎌질 수 있었다.
또 진공압에 의해 부착력을 유지하는 큐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의 침투작용에 의해 진공상태가 약해지기 때문에, 유리부착식 광고장치가 장기간 설치면에 부착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투명 또는 반투명의 큐방의 경우에도 유리와의 질감 차이에 그 위치가 외부로 보여질 수 밖에 없는데, 이와 같은 큐방 다수개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신비감을 더해주기 위해 공중부양된 것처럼 보여지도록 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체를 유리 표면에 쉽게 고정시킴은 물론 유리 표면에 대한 본체의 부착상태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체가 공중부양된 상태로 유리에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지도록 하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를 제공고하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전방에 지지되는 광고지를 조명하기 위해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유리 표면에 전면이 지지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 중앙의 전방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유리 표면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제1벨크로부; 걸이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벨크로부가 부착되도록 상기 암벨크로와 수벨크로 중 나머지 다른 하나로 마련되는 제2벨크로부; 상기 걸이공이 끼워져 걸리도록 마련된 걸이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부와 제2벨크로부는 상기 걸이공이 상기 걸이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호 일치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걸이공은 상기 제1벨크로부 상부의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고, 상기 걸이구와 제2벨크로부는 상기 걸이공과 상기 제1벨크로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유리 표면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벨크로부와 제2벨크로부는 각각 제1접착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접착층을 통해 상기 연장부 전면과 상기 유리 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걸이구가 그 배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전면이 제2접착층을 통해 상기 유리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이공이 걸이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 전면이 그 배면에 지지되는 투명판재;를 더 포함하고, 상호 부착된 상태의 상기 제1벨크로부와 제2벨크로부의 두께의 합은 상기 투명판재와 제2접착층의 두께와 같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걸이공은 상기 복수의 걸이구에 동시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걸이구의 숫자에 대응하는 복수개가 상기 연장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상기 고정유닛을 가리도록 상기 본체가 지지되는 상기 유리 표면의 반대 쪽 표면에 부착되는 은폐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은폐시트의 내곽선은 상기 본체의 외곽선에 맞춰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유리부착식 광고장치에 따르면, 고정유닛이 간단한 걸림구조와 벨크로의 부착력을 이용하여 본체를 유리 표면에 고정시키게 되므로, 본체를 유리 표면에 쉽게 고정시킴은 물론 유리 표면에 대한 본체의 부착상태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의한 유리부착식 광고장치는 본체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배치되는 고정유닛의 분포 영역을 줄이거나 고정유닛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본체가 공중부양된 상태로 유리에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지도록 하는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부착식 광고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리부착식 광고장치가 유리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의 일 변형례로써, 유리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참고로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의 분해 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고, 또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가 유리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를 유리(2) 표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20)을 포함한다.
본체(10) 전방에는 광고지(3)가 지지되고, 본체(10) 내부에는 광고지(3)를 조명하기 위해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30)이 내장된다.
본체(10)는 사각의 얇은 박스 형태로 마련되고, 고정유닛(20)은 본체(10)를 전면이 유리(2) 표면에 지지된 상태로 유리(2)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리부착식 광고장치(1)는 고정유닛(20)을 통해 유리(2) 표면에 직접 고정된 상태에서 광원(30)의 광에 의해 본체(10) 전면의 광고지(3)를 조명하여 광고지(3)에 표현되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다.
유리부착식 광고장치(1)는 매장 광고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유리(2)는 매장의 외벽이나 외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리벽이나 유리창을 구성할 수 있다.
전면의 광고지(3)가 매장 외부로 보여지도록 유리부착식 광고장치(1)는 실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벽을 이루는 유리(2)의 실내 쪽 표면에 고정유닛(2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광고지(3)는 광고물의 형상이나 광고물과 관련된 영업내용 등을 포함하는 광고이미지가 형성된 얇고 플랙시블한 필름형태로 마련되고, 광고이미지는 인쇄나 부착 등의 방식으로 광고지(3)에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광고지(3)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마련되고, 광고이미지는 광고지(3)에 실사출력 될 수 있다.
광고지(3)는 본체(10) 전면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 전방에는 투명한 지지플레이트(40)가 결합하고, 지지플레이트(40)와 본체(10) 전면 사이에는 양측과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대(4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41)는 본체(10) 전면과 지지플레이트(40) 사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0)의 외곽 둘레를 따라 측면에는 실크인쇄 처리된 실크인쇄부(40a)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40)가 보호되도록 함은 물론 광고지 없이 홍보내용을 직접 표기하거나 지울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40)의 전면에는 하드코팅필름(hard coating film)(40b)이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실크인쇄부(40a)는 광고지(3) 둘레의 장식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고지(3)는 본체(10) 전면과 지지플레이트(40) 사이에 지지되도록 본체(10) 전방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다.
광원(30)은 광고지(3)가 배치되는 본체(10)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본체(10)에 내장될 수 있다. 본체(10)는 광의 확산이 가능하게 마련된 전면판(11)과, 광원(30)이 전면에 마련된 후면판(12)과, 전면판(11)과 후면판(12)의 사이의 외곽 둘레를 감싸는 지지틀(13)을 구비할 수 있다.
후면판(12)은 에이비에스(ABS) 등의 합성수지를 통해 마련될 수 있으며, 광원(30)으로는 복수의 엘이디모듈(31)이 채용될 수 있다. 엘이디모듈(31)은 띠 형태로 길게 마련된 기판(31a)과, 기판(31a)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된 복수의 엘이디(LED)(31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면판(12)의 배면은 마커펜(marker pen) 등으로 홍보내용을 표기하거나, 표기된 내용을 쉽게 지울 수 있도록 하드코팅(hard coating) 처리될 수 있다. 또 영업내용을 알리기 위한 홍보 책자 등이 수납되도록 후면판(12)의 배면에는 포켓 등이 추가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엘이디모듈(31)은 기판(31a) 배면을 통해 후면판(12)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31a)에는 외부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선(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엘이디모듈(31) 주변의 후면판(12) 내면에는 엘이디(31b)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미도시)이 추가될 수 있다. 물론 엘이디모듈(31)로 공급되는 전원은 건전지나 축전지로도 대체될 수 있다.
전면판(11)은 투명한 합성수지 패널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엘이디(31b)로부터 조사되는 지향성을 갖는 광을 확산시켜 조도 편차를 줄일 수 있게 전면판(11)의 전면에는 광의 확산이 가능하도록 광확산 처리되는 확산조명시트(11a)가 부착될 수 있다. 광원(30)의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조명시트(11a)는 본체(10)의 전면에서 광원(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가리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지지틀(13)을 통해서도 광의 확산이 가능하도록 지지틀(13) 역시 경우에 따라서는 광확산 처리된 소재를 통해 형성되거나, 표면이 광확산 처리될 수 있다.
전면판(11)과 후면판(12)은 지지틀(13) 전방과 후방에 접착제로 본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에는 중앙의 전방 상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50)가 일체로 연장된다. 그리고 고정유닛(20)은 연장부(50)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60)와, 제1고정부(60)가 고정되도록 유리(2) 표면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70)를 포함한다.
연장부(50)는 전면판(11)의 중앙 상부에 전면판(11)과 일체로 마련되고, 전면판(11)과 같은 두께를 가지면서 투명하게 되도록 전면판(11)의 성형시 전면판(11)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60)는 제1벨크로부(61)와 걸이공(62)을 포함하고, 제2고정부(70)는 제1벨크로부(61)가 부착되는 제2벨크로부(71)와 걸이공(62)이 끼워져 걸리도록 마련된 걸이구(72)를 포함한다.
제1벨크로부(61)와 제2벨크로부(71)는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암벨크로(61a)와 수벨크로(71a) 중 어느 하나씩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호 부착될 수 있다.
제1벨크로부(61)는 암벨크로(61a)와, 암벨크로(61a)를 연장부(50) 전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층(6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벨크로부(71)는 수벨크로(71a)와, 수벨크로(71a)를 유리(2) 표면에 접착시키는 접착층(7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61b, 71b)는 제1접착층을 이룰 수 있다.
접착층(61b,71b)은 양면테이프를 통해 마련되고, 연장부(50) 전면이나 유리(2)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층(61b,71b)의 부착면은 부착 전까지 이형지(미도시)로 덮어져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벨크로부(61)와 제2벨크로부(71)는 걸이공(62)이 걸이구(7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호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본체(10)를 유리(2) 표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쉽게 되도록 하면서 유리(2) 표면에 대한 본체(10)의 부착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고정유닛(20)의 구성에 따르면, 걸이공(62)을 걸이구(72)에 걸리도록 끼운 상태에서 연장부(50)를 유리(2) 표면 쪽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호 일치되어 있는 제1벨크로부(61)와 제2벨크로부(71)가 서로 부착되면서 본체(10)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므로, 걸이공(62)을 걸이구(72)에 걸면서 연장부(50)를 유리(2) 표면 쪽으로 누르는 간단한 연속동작을 통해 유리(2) 표면에 대한 본체(10)의 고정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걸이구(72)에 의한 본체(10)의 지지력과, 제1벨크로부(61)와 제2벨크로부(71) 사이의 부착력이 함께 더해져 유리(2) 표면에 대한 본체(10)의 고정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고정유닛(20)을 통해 본체(10)가 유리(2) 표면에 고정된 상태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본체(10)를 고정시키는 벨크로부와 걸이구조가 본체(10)의 중앙 상부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고정유닛(20)의 구조에서는 본체(10)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배치되는 고정유닛(20)의 분포 영역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유닛(20)이 매장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기가 용이하게 되므로, 매장 외부에서 보았을 때 본체(10)가 공중부양된 상태로 유리(1)에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지도록 하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걸이공(62)은 제1벨크로부(61) 상부의 연장부(50)에 연장부(5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걸이구(72)와 제2벨크로부(71)는 걸이공(62)과 제1벨크로부(6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유리(2) 표면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걸이공(62)을 걸이구(72)에 거는 과정에서는 제1벨크로부(61)와 제2벨크로부(71)에 의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를 수평이 맞춰진 안정적인 자세에서 유리(2) 표면에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걸이공(62)과 제1벨크로부(61)는 본체(10)의 중심선 상에 중앙이 위치하고, 중앙 양측이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걸이구(72)를 형성하기 위해 유리(20) 표면에는 투명판재(73)가 결합된다. 투명판재(73)는 전면이 접착층(73a)을 통해 제1벨크로부(71) 상부의 유리(2) 표면에 부착되고, 걸이구(72)는 투명판재(73)의 배면에 투명판재(73)의 배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이공(62)이 걸이구(72)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장부(50)의 상부 전면은 투명판재(73)의 배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데, 제1고정부(60)가 제2고정부(7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부(50) 전면과 투명판재(73) 배면 사이가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호 부착된 상태의 제1벨크로부(61)와 제2벨크로부(71)의 두께의 합은 투명판재(73)와 접착층(73a)의 두께의 합과 같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73a)은 제2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판재(73)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이 투명한 수지재질을 통해 원형이나 각형을 이루는 얇은 판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내광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가 큰 폴라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판재(73)는 강화유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는 유리(20) 표면에 장기간 접촉된 상태에서도 손상될 우려가 적으며, 외부의 햇빛 등에 장기간 노출된 상태에서도 변형의 우려가 없게 된다.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부착식 광고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 4와 같이, 걸이구(72)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되고, 걸이공(62)은 복수의 걸이구(72)에 동시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이구(72)의 숫자에 대응하는 복수개가 연장부(50)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는 본체(10)를 지지하는 복수의 걸이구(72)로 본체(10)의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고, 유리(2) 표면에 부착되는 투명판재(73)의 숫자를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본체(10)를 지지하는 걸이구(72)의 숫자를 달리 할 수 있게 되므로, 본체(10)의 무게에 대응하여 유리(2) 표면에 고정되는 본체(10)의 고정력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유리부착식 광고장치(1)는 고정유닛(20)을 가리도록 본체(10)가 지지되는 유리(2) 표면의 반대 쪽 표면에 부착되는 은폐시트(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은폐시트(80)는 고정유닛(20)의 사이즈보다 큰 스티커 형태로 마련되고, 매장 외부 쪽에서 고정유닛(20)을 가리도록 유리(2) 표면에 부착됨에 따라 매장 외부로 고정유닛(20)이 노출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가 공중부양된 상태로 유리(1)에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지도록 하는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은폐시트(80)는 광고이미지를 구비하여 광고지(3)의 광고효과를 높이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 매장 외부에서 보았을 때, 본체(10)와 은폐시트(80) 사이에 틈이 형성되거나, 연장부(50) 저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은폐시트(80)는 그 내곽선이 본체(10)의 외곽선에 맞춰지도록 유리(2)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1: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2: 유리
3: 광고지 10: 본체
11: 전면판 20: 고정유닛
30: 광원 40: 지지플레이트
50: 연장부 60: 제1고정부
61: 제1벨크로부 62: 걸이공
70: 제2고정부 71: 제2벨크로부
72: 걸이구

Claims (5)

  1. 전방에 지지되는 광고지를 조명하기 위해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유리 표면에 전면이 지지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 중앙의 전방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유리 표면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제1벨크로부;
    걸이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벨크로부가 부착되도록 상기 암벨크로와 수벨크로 중 나머지 다른 하나로 마련되는 제2벨크로부;
    상기 걸이공이 끼워져 걸리도록 마련된 걸이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부와 제2벨크로부는 상기 걸이공이 상기 걸이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호 일치하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공은 상기 제1벨크로부 상부의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고,
    상기 걸이구와 제2벨크로부는 상기 걸이공과 상기 제1벨크로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유리 표면에 상하로 배치되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크로부와 제2벨크로부는 각각 제1접착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접착층을 통해 상기 연장부 전면과 상기 유리 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걸이구가 그 배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전면이 제2접착층을 통해 상기 유리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걸이공이 걸이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 전면이 그 배면에 지지되는 투명판재;를 더 포함하고,
    상호 부착된 상태의 상기 제1벨크로부와 제2벨크로부의 두께의 합은 상기 투명판재와 제2접착층의 두께와 같게 마련된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걸이공은 상기 복수의 걸이구에 동시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걸이구의 숫자에 대응하는 복수개가 상기 연장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을 가리도록 상기 본체가 지지되는 상기 유리 표면의 반대 쪽 표면에 부착되는 은폐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은폐시트의 내곽선은 상기 본체의 외곽선에 맞춰지는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KR2020190003871U 2019-09-20 2019-09-20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KR200493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71U KR200493824Y1 (ko) 2019-09-20 2019-09-20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JP2020001156U JP3228578U (ja) 2019-09-20 2020-03-31 ガラス付着式広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71U KR200493824Y1 (ko) 2019-09-20 2019-09-20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14U true KR20210000714U (ko) 2021-03-30
KR200493824Y1 KR200493824Y1 (ko) 2021-06-14

Family

ID=7301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71U KR200493824Y1 (ko) 2019-09-20 2019-09-20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28578U (ko)
KR (1) KR20049382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37Y1 (ko) * 2005-04-07 2005-08-30 정남수 광고용 전단물
KR200443580Y1 (ko) * 2007-11-05 2009-02-25 김승묵 차량용 다기능 표시판
KR20170027470A (ko) * 2015-09-02 2017-03-10 김상현 유리부착용 조명식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37Y1 (ko) * 2005-04-07 2005-08-30 정남수 광고용 전단물
KR200443580Y1 (ko) * 2007-11-05 2009-02-25 김승묵 차량용 다기능 표시판
KR20170027470A (ko) * 2015-09-02 2017-03-10 김상현 유리부착용 조명식 광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824Y1 (ko) 2021-06-14
JP3228578U (ja)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9510A1 (en) Marker board
KR20010043085A (ko) 확산 반사성 필름을 갖춘 조명 사인 하우징
KR200493824Y1 (ko) 유리부착식 광고장치
US9208704B2 (en) Hybrid self illuminated and actively back lit signage for printed graphics
JP3126054U (ja) 表示装置
BRPI0616876A2 (pt) marcador de trajetória
US20070256343A1 (en) Frame for holding pictures or prints
KR101795351B1 (ko) 유리부착용 조명식 광고장치
CN207230250U (zh) 柔性led灯条
CN203703713U (zh) 墙角线灯装置
JP2017089374A (ja) 建築物壁面の装飾成形品
JP2010145971A (ja) 額縁
KR20060090403A (ko) 유연성과 착탈수단을 겸비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1434429B1 (ko) 모자이크로 이루어지는 광고 건물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광고판
KR102015965B1 (ko) 양면형의 el표지판
KR102230722B1 (ko) 조명 무조명 일체형 실내 광고판
CN218969147U (zh) 一种新型哑光膜
US20150321446A1 (en) Color reflective article and materi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277025A1 (en) Fine line gridable light panel
KR20070076715A (ko) 걸이형 보드
CN218588599U (zh) 带光源托板和置物架
CN210402944U (zh) 一种抗菌抗弯折标识牌
KR200318920Y1 (ko) 투명게시판
JP3150304U (ja) 標示体展示用発光パネル装置
JP6362760B2 (ja) 広告表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