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04U -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04U
KR20210000604U KR2020200003555U KR20200003555U KR20210000604U KR 20210000604 U KR20210000604 U KR 20210000604U KR 2020200003555 U KR2020200003555 U KR 2020200003555U KR 20200003555 U KR20200003555 U KR 20200003555U KR 20210000604 U KR20210000604 U KR 202100006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oilet
detergent
cleaning agent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746Y1 (ko
Inventor
서은영
Original Assignee
서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영 filed Critical 서은영
Priority to KR2020200003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4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8')에서 분기된 분기호스(6)에 연결되어 분기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세정제를 공급하도록 세정제 고형분(12)을 수용하는 수용부재(13)가 내장되며, 세척수 탱크(2)로의 세척수 공급수단을 구비하며 급수파이프(7) 속에 배치되는 관형부(111)가 형성된 케이스본체(11)와, 상기 세정제 고형분에서 녹은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를 급수파이프(7)를 통해 좌변기로 보충수로서 공급하는 보충수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용부재(13)와 케이스본체(11)의 바닥과 측벽 사이에 세척수 유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부재(13)의 외주면과 저면에는 돌출부(131)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급수파이프(7) 속에 배치되는 관형부(111)가 케이스 본체의 바닥에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관형부(111) 외측에서 케이스본체(11)의 바닥에 홀(112)들이 형성되어,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 일부는 관형부(111)를 통해 좌변기 상부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9)와 홀(91)들을 통해 좌변기내로 보충하도록 공급되는 한편,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 일부는 케이스 본체(11)의 바닥에 형성된 홀(112)들을 통해 세척수탱크(2)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과도한 세정제 성분에 의한 금속부품과 고무팩킹 등의 부식 방지 효과와, 세정제 투입량 절감과 수질환경 오염 최소화, 급수관내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세정제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A DETERGENT SUPPLY APPARATUS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의 세척수에 세정제가 과도하게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좌변기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물탱크에 세척수를 저장하고, 변기에 형성된 저수부에 미리 소정 량으로 수용된 세척수에 더하여 본 고안은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의 세척수에 세정제가 과도하게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좌변기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탱크로 부터의 세척수를 흘려보내 오물이 세척수와 함께 쓸려내려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변기의 저수부 표면에는 오물이 묻어 악취와 세균이 번식되기 때문에, 잦은 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변기의 저수부 표면에 오물이 묻지 않도록 세정제를 세척수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정제 공급은 예를들어, 물탱크의 세척수에 고형 세정제를 단순히 잠겨 있도록 하여 세정제가 세척수에 풀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변기용 세정제는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알콜계 성분과 염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되어 변기의 표면에 오물에 의한 때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세정작용과 소독작용을 하고 착색된 변기의 파란 물로서 사용자에게 청결감과 심미감은 느끼게 하고 있다.
그러나, 고형의 세정제가 물탱크의 세척수에 잠겨 있음에 따라 세정제 성분이 과도하게 세척수에 녹아서 물탱크의 금속부품을 부식시키고 고무팩킹을 삭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55430호(등록일자 2011년08월30일)에는, 세정제가 저장되며 변기의 저장수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세정제 저장통, 양단이 필 밸브와 플러시 밸브 사이의 급수관에 연결되며, 중앙부의 관경(管徑)(wc)이 주변부의 관경(ws)보다 좁으며, 상기 중앙부에 관통 홀을 포함하는 벤츄리관, 상기 세정제 저장통과 상기 관통 홀을 연결하는 세정제 공급관, 및 상기 세정제 공급관의 관경을 조절할 수 있는 관경 조절 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제는 상기 급수관에 저장수가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벤츄리관 중앙부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세정제 저장통으로부터 상기 급수관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는 벤츄리관의 저장수 입력측에 체크 밸브를 구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세정제 저장통을 세척수 탱크내의 협소한 공간에 수용해야 하는데 불편과 세척수 탱크로의 물의 공급시에 계속하여 세정제가 투입되어 세정제의 과도한 투입의 문제에 따른 종래의 역류방지기의 부품, 팩킹 등의 부식 문제가 여전히 있었다. 이와 같은 세척수 탱크내의 역류방지기 부품과 팩킹의 부식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또한 탱크내의 세척수가 역류하여 수압이 높은 다른 가구로 흘러들어가거나 팩킹의 부식의 경우에는 하층의 다른 가구로 세정제가 녹은 세척수가 누수되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기도 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55430호(등록일자 2011년08월30일)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변기 세정제 공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수 저장 탱크에 설치된 급수부에서 분기되어 좌변기내에 미리 일정 수위로 공급되는 세척수에만 세정제를 공급되도록 하여 세척수 탱크내의 금속부품과 팩킹 등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개선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척수 탱크(2)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외부의 세척수 공급호스(3)가 연결되고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8')에서 분기된 분기호스(6)에 연결되어 분기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세정제를 공급하도록 세정제 고형분(12)을 수용하는 수용부재(13)가 내장되며, 세척수 탱크(2)로의 세척수 공급수단을 구비하며 급수파이프(7) 속에 배치되는 관형부(111)가 형성된 케이스본체(11)와, 상기 세정제 고형분에서 녹은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를 급수파이프(7)를 통해 좌변기로 보충수로서 공급하는 보충수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13)와 케이스본체(11)의 바닥과 측벽 사이에 세척수 유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부재(13)의 외주면과 저면에는 돌출부(131)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좌변기로의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충수 공급수단으로서 급수파이프(7) 속에 배치되는 관형부(111)가 케이스 본체의 바닥에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관형부(111) 외측에서 케이스본체(11)의 바닥에 홀(112)들이 형성되어,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 일부는 상기 관형부(111)를 통해 좌변기 상부의 내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유로(9)와 홀(91)들을 통해 좌변기내로 보충하도록 공급되는 한편,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 일부는 케이스 본체(11)의 바닥에 형성된 홀(112)들을 통해 세척수탱크(2)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라 세정제 공급장치에 의해 세척수 탱크내의 세척수에 과도한 세정제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탱크내의 금속부품과 고무팩킹 등이 세정제의 성분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와, 세정수가 좌변기에 일정 수위로 미리 공급되는 세척수에만 공급되어 세정제 투입량을 절감할 수 있어 수질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며, 콤팩트한 구조로 급수관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세정제 교체를 쉽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세정제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좌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세정제 공급장치가 채용된 도 1 좌변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좌변기 급수탱크에 장착된 세정제 공급장치의 확대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세정제 공급장치의 세정제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캡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세정제 공급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세정제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2에서 좌변기 급수탱크에서 물을 내릴 때의 세정제 공급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이어서 세척수가 세척수 탱크에 보충되는 동안에 급수파이프로 부터 좌변기의 볼 내측으로 공급되는 잔류 세척수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좌변기(1)의 뒤쪽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조립되는 세척수 탱크(2)에는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호스(3)가 부구(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5)에서 분기된 급수용의 분기호스(6)의 단부가 삽입된 급수파이프(7)에 본 고안의 세정제 공급장치(10)가 설치된다.
도면에서 세척수 탱크 하부의 배출공(8)을 개폐하는 밸브(8')가 제공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8')가 개방되어 탱크(2) 내의 세척수가 좌변기 내측 상부의 배출유로(9)를 통해 좌변기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유로(9)는 좌변기의 본체 상부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홀(91)들을 통해 본체내로 배출된다.
좌변기에서 물을 내린 다음에는 부구(4)의 높이가 낮아져 밸브(5)가 개방됨에 따라 세척수 탱크(2)에 채워지며, 이때 일반적으로 좌변기에서는 오물이 직접 좌변기에 접촉되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분기호스(6)를 통해 분기되어 공급되는 세척수는 급수파이프(7)와 배출공(8)을 통해 좌변기(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 유로(9)들을 통해 좌변기 내로 공급되어 좌변기에는 일정 수위로 세척수가 보충된다.
본 고안에 따라 세정제 공급장치(10)가 상기한 급수파이프(7)에 배치되어 세척수 탱크에 보충되는 세척수와 함께 좌변기내에 보충되는 세척수에 고형분에서 녹은 세정제가 공급됨으로써, 탱크내의 세척수에 세정제가 과도하게 함유되지 않아 탱크내의 금속부품이나 고무팩킹과 같은 부품들의 부식이 방지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세정제 공급장치(10)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호스(6)에 연결되어 분기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세정제를 공급하도록 세정제 고형분(12)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 고형분에서 녹은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를 급수파이프(7)를 통해 좌변기로 보충수로서 공급하는 보충수 공급수단과, 세척수 탱크(2)로의 세척수 공급수단을 구비하며 급수파이프(7)에 장착된 케이스본체(1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는 세척수 탱크(2)로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수단으로서 케이스 본체(11)의 저면에서 상기 관형부(111) 외측에 형성된 홀(112)들을 포함하며, 또한 좌변기로의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충수 공급수단으로서 급수파이프(7) 속에 배치되는 관형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는 급수파이프(7) 상단에 배치되는 반경이 확장된 상부에 세정제 고형분(12)을 수용하는 수용부재(13)를 내장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상단에는 급수용 분기호스(6)와 연결되는 연결부(14)가 형성된 캡(15)이 결합된다.
상기 세정제 고형분을 수용하는 수용부재(13)는 그 외주면과 저면에 돌출부(131)들이 이격되어 형성되어서 수용부재(13)와 케이스본체(11)의 바닥과 측벽 사이에 세척수 유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4)를 통해 케이스본체(11)로 공급된 급수는 수용부재(13)에서 고형분(12)과 접촉하여 녹은 세정제가 수용부재(13) 상단을 넘쳐 케이스본체(11)와 수용부재(1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다음, 케이스본체(11)의 저면에서 관형부(111) 외측에 형성된 홀(112)들을 통해 하부로, 즉 세척수 탱크(2)로 배출됨과 함께 관형부(111)로도 유동하여 배출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1)내의 세정제 고형분(12)이 녹아서 소모된 다음에는 케이스본체에서 캡(15)을 분리하여 새로운 세정제 고형분을 투입하여 계속하여 세정제 급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사용상태도에서 있어서, 사용자가 물을 내리면 밸브(8')가 개방되어 세척수 탱크(2) 속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공(8)과 좌변기 상부의 내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유로(9)와 홀(91)들을 통해 좌변기내로 공급되어 좌변기의 오물을 세척수와 함께 내려보내게 된다.
그런 다음에 부구(4)에 연결된 밸브(8')가 개방된 상태에서 분기호스(6)를 통해 세척수가 케이스본체(11)로 공급되고, 케이스본체(11)의 수용부재(13)로 유입되어 그 속에 수용된 고형분(12)에서 녹은 세정제와 함께 세척수는 케이스본체(11)와 수용부재(1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일부는 케이스본체(11)의 저면에 형성된 홀(112)들을 통해 세척수탱크(2)로 공급되는 한편, 일부는 관형부(111)로 배출되어 유로(9)와 홀(91)들을 통해 좌변기로 공급되어 오물이 변기내에 직접 묻지 않도록 일정 수량으로 채워진다.
세척수 탱크(2)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면이 도 3과 같이 부구(4)에 도달하면, 부구(4)가 세워지면서 밸브(5)를 작동시켜 급수 공급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정제 공급장치는 좌변기에서 세척수가 오물과 함께 배출된 다음에 분기호스(6)와 급수파이프(7)를 통해 케이스본체(11)의 수용부재(13)에 수용된 세정제 고형분(12)를 거치면서 세정제가 녹아 세척수와 함께 세척수 탱크(2)에 채워지기 때문에 세정제가 과도하게 녹지 않으면서 좌변기내에 오물때가 침적되지 않게 하고 악취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세정제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세척수 탱크내의 밸브의 금속부품과 팩킹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좌변기의 고장 발생 또는 세척수의 누수 발생으로 인한 하층의 가구에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좌변기에 세척수에 세정제를 공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좌변기 2 : 탱크
3 : 공급호스 4 : 부구
5 : 밸브 6 : 분기호스
7 : 급수파이프 8 : 배출공
8' : 밸브 9 : 배출유로
10 : 세정제 공급장치
11 : 케이스 12 : 세정제 고형분
13 : 연결부재 14 : 걸림부재

Claims (1)

  1. 세척수 탱크(2)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외부의 세척수 공급호스(3)가 연결되고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부구(4)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8')에서 분기된 분기호스(6)에 연결되어 분기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세정제를 공급하도록 세정제 고형분(12)을 수용하는 수용부재(13)가 내장되며, 세척수 탱크(2)로의 세척수 공급수단을 구비하며 급수파이프(7) 속에 배치되는 관형부(111)가 형성된 케이스본체(11)와, 상기 세정제 고형분에서 녹은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를 급수파이프(7)를 통해 좌변기로 보충수로서 공급하는 보충수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13)와 케이스본체(11)의 바닥과 측벽 사이에 세척수 유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부재(13)의 외주면과 저면에는 돌출부(131)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좌변기로의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충수 공급수단으로서 급수파이프(7) 속에 배치되는 관형부(111)가 케이스 본체의 바닥에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관형부(111) 외측에서 케이스본체(11)의 바닥에 홀(112)들이 형성되어,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 일부는 상기 관형부(111)를 통해 좌변기 상부의 내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유로(9)와 홀(91)들을 통해 좌변기내로 보충하도록 공급되는 한편, 세정제가 함유된 세척수 일부는 케이스 본체(11)의 바닥에 형성된 홀(112)들을 통해 세척수탱크(2)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2020200003555U 2019-09-03 2020-09-29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200493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55U KR200493746Y1 (ko) 2019-09-03 2020-09-29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901 2019-09-03
KR2020200003555U KR200493746Y1 (ko) 2019-09-03 2020-09-29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901 Division 2019-09-03 2019-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04U true KR20210000604U (ko) 2021-03-11
KR200493746Y1 KR200493746Y1 (ko) 2021-05-31

Family

ID=7487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555U KR200493746Y1 (ko) 2019-09-03 2020-09-29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267A (ko) 2022-04-07 2023-10-16 공광열 좌변기용 세정제 자동 공급유닛
KR102647536B1 (ko) 2023-07-19 2024-03-14 주식회사 바이오켐코리아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55U (ko) * 1994-06-11 1996-01-22 가변저항기
KR20070095980A (ko) * 2005-01-20 2007-10-01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약액 분배 장치 및 약제
KR200455430Y1 (ko) 2009-01-05 2011-09-05 주식회사 중일테크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KR20180107868A (ko) * 2017-03-23 2018-10-04 김용문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55U (ko) * 1994-06-11 1996-01-22 가변저항기
KR20070095980A (ko) * 2005-01-20 2007-10-01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약액 분배 장치 및 약제
KR200455430Y1 (ko) 2009-01-05 2011-09-05 주식회사 중일테크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KR20180107868A (ko) * 2017-03-23 2018-10-04 김용문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267A (ko) 2022-04-07 2023-10-16 공광열 좌변기용 세정제 자동 공급유닛
KR102647536B1 (ko) 2023-07-19 2024-03-14 주식회사 바이오켐코리아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46Y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681B1 (ko)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KR200493746Y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102237401B1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CN108797733B (zh) 供水装置和马桶
US8453272B2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JP2007314973A (ja) 洋風便器装置
JP5821082B2 (ja) 洗浄タンクの給水装置
US20140020164A1 (en) System for Delivering Chemicals to a Toilet Bowl
KR20210034840A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KR20210054862A (ko) 좌변기 세정제 공급장치
KR200383575Y1 (ko)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KR200480074Y1 (ko)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배출장치
JP2006291451A (ja) 水洗大便器
JP2023511341A (ja) 超節水型洋式便器
JP5302850B2 (ja) 便器装置
JP5610988B2 (ja) 水洗式便器
KR20190001335U (ko) 양변기 청결 기구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JPH11140939A (ja) 再利用水を使用する便器の洗浄システム
JP2019203256A (ja) 便器システム
KR20230144267A (ko) 좌변기용 세정제 자동 공급유닛
KR200220454Y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제 투입용기
KR102626579B1 (ko) 변기의 세정장치
JP4516634B2 (ja) 洗浄タンク装置
JP4815253B2 (ja) 液剤射出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