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79U - 구강 관리용 용기 - Google Patents

구강 관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79U
KR20210000579U KR2020190003638U KR20190003638U KR20210000579U KR 20210000579 U KR20210000579 U KR 20210000579U KR 2020190003638 U KR2020190003638 U KR 2020190003638U KR 20190003638 U KR20190003638 U KR 20190003638U KR 20210000579 U KR20210000579 U KR 202100005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ral care
nozzle
outle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424Y1 (ko
Inventor
장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90003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2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5Container fill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는, 세정액을 수용하고 배출구가 마련되는 용기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고 탄성에 의해 개폐를 구현하는 판막 형태의 실링밸브; 및 상기 용기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부의 지지면의 수직축 대비 기울어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강 관리용 용기{Container for oral care}
본 고안은 구강 관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뚜껑에 덜어서 세정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구비될 수 있는 용기를 활용할 수 있으며, 손목의 꺾임이 과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는 구강 관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가정에서 치아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칫솔에 일정량의 치약을 묻힌 후 칫솔을 상하 좌우로 움직이면서 치아를 닦는다. 즉 사용자가 손에 칫솔을 들고 치아가 골고루 닦일 수 있도록 소정 힘을 주면서 칫솔질을 하게 되는바, 상기한 칫솔질은 치아와 잇몸에 과다한 부하를 주지 않도록 적절하게 하게 된다.
또한, 칫솔질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동 칫솔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칫솔부분을 모터 등에 의해 진동시키면서 치아를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통해 구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치아를 닦을 때 칫솔에 치약을 묻혀 사용자가 손을 움직이면서 닦게 되면 칫솔이 치간 사이에 닿지 않아 이물질이 그대로 남는 경우가 발생하는 바와 같이, 구강 관리를 위해 칫솔 이외의 제품이 사용된다.
일례로 가글을 위한 세정액을 이용하거나, 세정액을 전동으로 분사하는 세정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세정액만을 수용하는 가글용 용기는, 세정액이 뚜껑에 덜어진 후 사용될 수 있는데, 뚜껑을 용기에 다시 결합시키는 경우 뚜껑에 묻은 세정액이 다시 용기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어 위생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세정액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세정기는, 건전지/배터리 등과 같이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아 제조 및/또는 구매 비용이 상승되어 사용자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구조가 단순하고 전원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세정액의 세정 효력이 향상될 수 있는 구강 관리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는, 세정액을 수용하고 배출구가 마련되는 용기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고 탄성에 의해 개폐를 구현하는 판막 형태의 실링밸브; 및 상기 용기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부의 지지면의 수직축 대비 기울어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부 지지면의 수직축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부 지지면의 수직축으로부터 10도 내지 45도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일측과 타측이 비대칭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를 향해 기울어지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부는, 세정액의 용량이 표시되는 계량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부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구에서 실링밸브 외측에 마련되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형상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끝단이 꺾이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에 결합되며 입구에 대비하여 출구의 단면적이 감소되는 연장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노즐은, 상기 용기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연장노즐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걸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뚜껑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는, 좌우 둘레면 중 일부분이 수직축을 향해 잘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는, 좌우 둘레면이 굴곡을 가지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밸브는, 다수로 절개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는, 실링밸브를 통해 배출은 허용하되 배출된 세정액이 다시 용기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어 용기부에 저장된 세정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해 전원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구매를 위한 비용이 상승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이 감소될 수 있고, 세정액을 사용자의 입안으로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세정액의 효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제1 형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제2 형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제3 형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제4 형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제5 형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뚜껑에 세정액을 덜어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용기부로부터 세정액이 분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에 연장노즐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는 도 2d의 노즐과 연장노즐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의 뚜껑이 결합된 상태로 세정액이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에 연장노즐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100)는, 용기부(110), 실링밸브(120), 노즐(130), 연장노즐(140), 뚜껑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아 다양한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예뿐만 아니라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는 편의상 서로 다른 실시예로 구분하였으나, 용기부(110), 실링밸브(120), 노즐(130), 연장노즐(140), 뚜껑부(150) 각각의 형상, 구조 중 하나 이상이 제1 실시예외에도 다른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변형된 구성이 다른 형태 및/또는 다른 실시예들과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조합에 따라 실시예는 증가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형태와 구조 등이 상충되지 않는다면 서로 유사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로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고안에 대하여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더라도 형태 등이 일부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부(110)는, 세정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공지된 다양한 재질이 적용 가능하며, 여기서 용기부(110)의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수용 공간의 축소가 가능하여 세정액의 분출이 가능하면서도 가압이 해제되면 형상이 복귀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례로 PET 등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부(또는 하단부)에 배출구(111)(도 2a 참조)가 마련될 수 있고, 둘레면에는 걸이부재(112)(도 1e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단부에 배출구(111)가 형성되도록 일측(상측 일 수 있음)이 개구되는 통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강 관리용 용기(100)를 사용 시 사용자가 용기부(110)를 잡고서 세정액을 입안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출시키면서도, 용기부(110)의 둘레(측면)를 가압할 수 있게 그립감이 향상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일례로 용기부(110)는, 배출구(111)가 구비되는 일측과 타측이 비대칭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적어도 일부가 배출구(111)를 향해 기울어지는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좌우 둘레면이 굴곡을 가지는 곡면을 이룰 수 있어 좌우 둘레면 중 일부분이 수직축을 향해 잘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부(110)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용기부(110)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배출구(111)의 방향이 수직축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 위치되는 영역은 사용자가 용기부(110)를 두르기 용이한 직경을 가지면서도 손이 위치되는 영역의 상하부는 확관되는 구조를 이루어 수용공간의 부피가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면, 용기부(110)가 상하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일부(상부)가 우측(또는 좌측)으로 편향되어 전체 형상이 꺾이는 구조를 가지거나, 상하 길이 방향에서의 중심부 둘레 전체가 수직축을 향해 잘록하게 이루어지거나,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이 위치되는 영역이 잘록하게 형성되거나, 4개의 손가락이 위치되는 영역이 잘록하면서 엄지에 위치되는 영역의 상부 일부가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이들 형상이 조합되어 또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용기부(110)의 배출구(111)(도 2a 참조)는, 세정액이 배출되는 개구부로서, 용기부(110)의 지지면(바닥면일 수 있음)의 수직축 대비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출구(111)는, 용기부(110) 지지면의 수직축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으며(도 1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치우친 형태), 용기부(110) 지지면의 수직축으로부터 세정액의 토출 방향이 10도 내지 45도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111)는, 용기부(110)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마련되지 않고, 용기부(110)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질 수 있어, 배출구(111)가 사용자를 향해 꺾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세정액을 분출시켜 사용 시 배출구(111)가 사용자의 입안을 향하도록 사용자가 손목을 과도하게 꺾을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구강 관리용 용기(100)는, 과도한 손목 사용으로 유발될 수 있는 손목 터널 증후군 같은 질병의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잘록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용기부(11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용기부(110)의 걸이부재(112)(도 1e 참조)는, 구강 관리용 용기(10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 중일 때 연장노즐(140)이 개별의 장소에 보관될 필요 없이, 용기부(110)와 함께 연장노즐(140)이 보관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연장노즐(140)이 삽입되는 삽입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재(112)의 삽입홀은 상하가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어, 걸이부재(112)는 용기부(110)의 둘레에 'U'자와 같은 단면을 가지는 구조가 부가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 등의 방식으로 용기부(110)에 걸이부재(112)가 고정되거나 용기부(110)와 걸이부재(112)가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고무 재질이 코팅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걸이부재(112)에 고정되는 연장노즐(14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가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링밸브(120)(도 1e, 도 3a, 도 3b 등 참조)는, 배출구(111)에 구비될 수 있고,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해 개폐를 구현하는 판막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실링밸브(120)는, 세정액의 분출을 허용하면서도 배출된 세정액이 다시 용기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노즐(130)은, 배출구(111)에서 실링밸브(120) 외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실링밸브(120)가 생략되는 경우 배출구(111)의 출구에 결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130)은, 형상 변형이 가능할 수 있는데, 다만 용기부(110)와 달리 외력이 없어진 상태에서 형상이 즉시 복원되지 않고, 사용자가 노즐(130)을 구부린 후 사용자가 노즐(130)을 놓더라도 노즐(130)의 형상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130)은, 구부러지는 빨대와 같이 일부 영역에 주름관이 마련되어 구부러짐이 가능하면서도 각도가 변형되게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에 금속 가루가 포함되는 사출물로 이루어져 일정한 형상이 유지되면서도 사용자가 노즐(130)을 구부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노즐(130)은,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끝단이 꺾이는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의 입을 향해 꺾이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노즐(130)은 용기부(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배출구(111)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결합부(135)(도 2a 참조)에 일체로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노즐(140)은, 노즐(130), 실링밸브(120) 또는 배출구(1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입구에 대비하여 출구의 단면적이 감소되어, 세정액이 배출되는 출구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세정액의 분출압을 높일 수 있으므로, 세정액으로 인한 물치실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연장노즐(140)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용기부(11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어, 미 사용시에는 용기부(110)의 걸이부재(112)에 보관될 수 있고, 연장노즐(140)의 착탈 관계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뚜껑부(150)는, 용기부(1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뚜껑부(150)는 세정액의 용량이 표시되며 컵으로 이용될 수 있는 계량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뚜껑부(150)의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뚜껑부(150)의 형상은 변형된 사각형, 사다리꼴 형태 등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뚜껑부(150)는, 노즐(130)의 구비 여부, 노즐(130)의 형태 등에 따라 변형되거나, 세정액이 덜어지는 공간이 확장되기 위한 것으로, 용기부(110)에 결합되는 뚜껑부(15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계량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뚜껑부(150)에 세정액이 충분히 담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도 1b 및 도 1e를 참조하면, 배출구(111)의 반대편 길이가 배출구(111) 측보다 길게 형성되는 뚜껑부(150)의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용기부(110)와 결합되는 부분(배출구(111) 쪽)은 작게 하면서도 배출구(111) 반대 쪽이 확장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충분한 양의 세정액이 담기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용기부(110)의 배출구(111) 부분이 작게 형성되더라도, 배출구(111)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뚜껑부(150)는 세정액이 충분히 담길 수 있도록 배출구(111) 반대편으로 공간이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위함이다.
그리고 뚜껑부(150)가 계량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외주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내외주면 모두에 계량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마크가 마련될 수 있으며(계량 표시선, 도 2a, 도 2b 참조), 마크는 1회 사용량 등의 제정액의 용량이 표시되는 위치에 바/선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용량을 나타낼 수 있는 숫자와 단위가 포함될 수도 있다.
더불어 뚜껑부(150)는, 결합부(135)와 맞닿는 단부에 패킹(151)(도 2a 참조)이 마련될 수 있으며, 패킹(151)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기부(110), 뚜껑부(150) 등의 형태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링밸브(120), 노즐(130), 연장노즐(14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거나 모두 마련될 수도 있으며, 구성의 결합관계가 하나의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예는 후술되는 제2, 3 실시예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100)는, 용기부(110), 실링밸브(120), 노즐(130), 연장노즐(140), 뚜껑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 형태가 가능하다.
용기부(110)는, 세정액이 저장되고, 제1 실시예에 언급되는 결합부(135)가 용기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35)는, 하부에 용기부(110)가 결합되고 상부에 뚜껑부(150)가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의 방식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135)와 용기부(110)의 결합은 결합부(135)가 용기부(110)의 언더컷(113)에 걸리는 구조로 고정될 수 있고, 결합부(135)와 뚜껑부(150)의 결합은, 나사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 결합부(135)와 뚜껑부(150) 각각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35)는, 하단이 용기부(110)의 상단(주둥이 일 수 있음)을 두르고, 상단이 뚜껑부(150)를 두르거나 뚜껑부(150)가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어 중심이 관통되면서 상하가 연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35)는, 중심이 관통되는 구조를 이루어 용기부(110)의 배출구(111)와 연통될 수 있으므로, 실링밸브(120)가 용기부(110)의 배출구(111)에 마련되지 않고 결합부(135)를 가로질러 마련될 수도 있다.
더불어 결합부(135)는, 노즐(13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어, 결합부(135)의 내측 중심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노즐(130)이 돌출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노즐(130)은, 출구를 향해 점차 단면적(내경 및/또는 외경)이 감소되도록 테이퍼지는 구조를 이룰 수 있어, 세정액의 분출형태(물줄기)가 물치실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들은, 노즐(130)이나 연장노즐(140)을 직접 입안으로 향하게 한 후 세정액을 분출시켜 사용하는 것은 물론, 뚜껑부(150)에 세정액을 덜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도 2b 참조), 이는 후술되는 제3 실시예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후술하기로 한다.
더불어 결합부(135)와 뚜껑부(150) 사이에 씰링이 이루어지도록 뚜껑부(150)의 단부에 패킹(151)이 마련되는 것을 언급한 바가 있는데, 패킹(151)은 결합부(135)에서 뚜껑부(150)가 맞닿는 내측 둘레면에 즉 결합부(135)의 내측에 접착 등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연장노즐(140)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노즐(130), 실링밸브(120) 또는 배출구(111)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면, 연장노즐(140)은 노즐(130)의 하부를 관통하여 노즐(130)의 상부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연장노즐(140)과 노즐(130)이 서로 마주하여 맞닿는 면에 나사산이 각각 마련되어 나사 방식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공지된 다양한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연장노즐(140)은, 노즐(130)과 동일 유사하게 형상이 변형가능할 수도 있고,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끝단이 꺾이는 형상을 이룰 수도 있어, 도 2e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출구가 사용자를 향해 마련될 수 있다.
뚜껑부(150)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각형, 사다리꼴 형태 등의 단면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a를 참조하면, 뚜껑부(150)는 뾰족한 구조의 노즐(130)을 막도록 뚜껑부(150)의 내측에 돌출구조물(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구조물은 노즐(130)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돌출 구조가 아닌 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뚜껑부(150)의 외측 단부에 마련되는 패킹(151)과 유사하게 고무 재질의 패킹이 뚜껑부(150)의 내부에도 마련되어 노즐(130)의 단부를 폐쇄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앞서 언급된 패킹(151)은, 결합부(135)의 내측에서 뚜껑부(150)의 단부가 맞닿도록 마련될 수 있고, 결합부(135)에 뚜껑부(150)가 결합 시 패킹(151)에 뚜껑부(150)가 밀착되어 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130)이 뾰족한 구조를 이루도록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연장노즐(140)이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노즐(130)의 길이가 짧거나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3 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용 용기(100)는, 용기부(110), 실링밸브(120), 연장노즐(140), 뚜껑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노즐(130)이 생략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용기부(110)에 마련되는 배출구(111)는, 실링밸브(12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밸브(120)는, 원형/다각형 등의 판막 형태로 이루어져, 배출구(111)의 둘레면에 일단인 외곽 둘레 전체가 고정될 수 있고,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중심부가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연질의 실링밸브(120)가 실링밸브(120)에 대비하여 강도가 높은 용기부(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링밸브(120)는, 판막의 외곽은 서로 연결된 형태이고, 중심부는 다수로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다수의 절개선이 가로, 세로 등의 방향으로 서로 가로지르게 마련되어 십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도 3a 참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곽 또한 절개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십자에 대비하여 절개선이 더 많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링밸브(120)는, 일정한 외력이 발생될 때 중심부의 절개선이 벌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어(도 3b 참조), 사용자가 용기부(110)를 가압하여 용기부(110)의 내압이 음압이 되는 경우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분출압으로 배출구(111)를 개방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용기부(110)를 가압하는 힘을 놓으면 용기부(110)의 내외부 압력이 동일해져 실링밸브(120)의 형태가 배출구(111)를 막는 막의 형태로 복원됨으로써 배출구(111)를 폐쇄할 수 있다.
게다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연장노즐(140)이 실링밸브(120)에 결합되는 경우, 실링밸브(120)는 턱(121)이 형성되어 연장노즐(14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관리용 용기(100)는, 뚜껑부(150)를 컵/계량컵으로 이용하여 세정액을 덜어 사용할 수 있으며(도 3b 참조), 이와 달리 연장노즐(140)을 실링밸브(120) 및/또는 배출구(111)에 설치하여 세정액을 분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장노즐(140)은, 밸브(120) 및/또는 배출구(111)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걸림돌기(141)가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41)는 상하로 이격되게 한 쌍 마련될 수 있고, 걸림돌기(141)가 이격된 거리는 밸브(120) 및/또는 배출구(111)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어, 밸브(120) 및/또는 배출구(111)의 상하에 간섭되어 연장노즐(140)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실링밸브(120)를 통해 배출은 허용하되 배출된 세정액이 다시 용기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어 용기부(110)에 저장된 세정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해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의 용기부(110)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되지 않아 사용자의 비용 부담이 감소될 수 있으면서도, 세정액을 사용자의 입안으로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어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고, 물치실과 같은 기능으로 세정액을 분사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세정액의 효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구강 관리용 용기 110: 용기부
111: 배출구 112: 걸이부재
120: 실링밸브 130: 노즐
135: 결합부 140: 연장노즐
150: 뚜껑부 151: 패킹

Claims (17)

  1. 세정액을 수용하고 배출구가 마련되는 용기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고 탄성에 의해 개폐를 구현하는 판막 형태의 실링밸브; 및
    상기 용기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부의 지지면의 수직축 대비 기울어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부 지지면의 수직축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부 지지면의 수직축으로부터 10도 내지 45도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일측과 타측이 비대칭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를 향해 기울어지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세정액의 용량이 표시되는 계량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서 실링밸브 외측에 마련되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형상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끝단이 꺾이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결합되며 입구에 대비하여 출구의 단면적이 감소되는 연장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노즐은,
    상기 용기부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연장노즐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걸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뚜껑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좌우 둘레면 중 일부분이 수직축을 향해 잘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좌우 둘레면이 굴곡을 가지는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밸브는,
    다수로 절개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용 용기.
KR2020190003638U 2019-09-02 2019-09-02 구강 관리용 용기 KR200494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38U KR200494424Y1 (ko) 2019-09-02 2019-09-02 구강 관리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38U KR200494424Y1 (ko) 2019-09-02 2019-09-02 구강 관리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79U true KR20210000579U (ko) 2021-03-10
KR200494424Y1 KR200494424Y1 (ko) 2021-10-08

Family

ID=7487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38U KR200494424Y1 (ko) 2019-09-02 2019-09-02 구강 관리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24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358A (ja) * 1992-09-10 1994-08-30 Procter & Gamble Co:The 便器のボウルのリムの下での送出範囲を改善した、便器ボウル洗浄剤用噴射ディスペンサ
JP3011989U (ja) * 1994-12-02 1995-06-06 俊光 橘 歯科用洗浄容器装置
KR20110083085A (ko) * 2010-01-13 2011-07-20 소대화 치아 및 구강 세정장치
JP2012062065A (ja) * 2010-09-14 2012-03-29 Lion Corp 液体用吐出容器及び容器入り液体洗浄剤
KR200468764Y1 (ko) * 2013-06-10 2013-09-02 김진영 구강 세정기
KR20140038695A (ko) * 2012-09-21 2014-03-31 성열규 휴대용 워터젯
KR20140122647A (ko) * 2013-04-10 2014-10-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치간 세정장치
KR20190084793A (ko) * 2018-01-09 2019-07-17 박경임 코 세척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358A (ja) * 1992-09-10 1994-08-30 Procter & Gamble Co:The 便器のボウルのリムの下での送出範囲を改善した、便器ボウル洗浄剤用噴射ディスペンサ
JP3011989U (ja) * 1994-12-02 1995-06-06 俊光 橘 歯科用洗浄容器装置
KR20110083085A (ko) * 2010-01-13 2011-07-20 소대화 치아 및 구강 세정장치
JP2012062065A (ja) * 2010-09-14 2012-03-29 Lion Corp 液体用吐出容器及び容器入り液体洗浄剤
KR20140038695A (ko) * 2012-09-21 2014-03-31 성열규 휴대용 워터젯
KR20140122647A (ko) * 2013-04-10 2014-10-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치간 세정장치
KR200468764Y1 (ko) * 2013-06-10 2013-09-02 김진영 구강 세정기
KR20190084793A (ko) * 2018-01-09 2019-07-17 박경임 코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424Y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751B2 (en) Liquid dispensing hair brush
KR101226323B1 (ko) 구강 보호용 위생 칫솔
KR101160429B1 (ko) 구강 관리 칫솔
US9332827B2 (en) Oral care kit and dispenser for use with the same
EP3153130B1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US5746531A (en) Hairbush and container with dispenser
JP5606328B2 (ja) 口腔ケア歯ブラシ
RU2639974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 колпачком
US20050233279A1 (en) Oral composition applicator devices including movable applicator surface and related methods
KR20210000579U (ko) 구강 관리용 용기
US20080003048A1 (en) Dentifrice-Dispensing Toothbrush
KR20130018285A (ko) 구강 관리 기구
EP3068262B1 (en) Oral care implement with cover member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WO2001013816A1 (en) Dental floss dispenser
US20050058501A1 (en) Disposable toothpaste dispensing toothbrush
US10426252B2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US20050232683A1 (en) Oral composition applicator devices including piercing section and related methods
RU83393U1 (ru) Однораз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истки зубов
JP2567137Y2 (ja) 頭髪用エアゾール製品
US20050232686A1 (en) Oral composition applicator devices including cap-actuated dispensing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