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72A -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72A
KR20210000572A KR1020190075878A KR20190075878A KR20210000572A KR 20210000572 A KR20210000572 A KR 20210000572A KR 1020190075878 A KR1020190075878 A KR 1020190075878A KR 20190075878 A KR20190075878 A KR 20190075878A KR 20210000572 A KR20210000572 A KR 2021000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retinal
contents
patien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684B1 (ko
Inventor
백승빈
Original Assignee
백승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빈 filed Critical 백승빈
Priority to KR102019007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6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61N2005/0648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light being directed to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망막 질환에 따른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노출되는 광 파장을 통해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NTENTS PROVIDING APPARATUS FOR RETINA C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자의 망막 질환에 따른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노출되는 광 파장을 통해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안구의 주요 부분은 층상 구조로 이루진 관계로 이와 관련된 질환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으며, 층상 구조의 안구 내 조직들이 구조적으로 변형되는 경우라면 시력 저하나 심하게는 시력 상실로 발전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망막은 안구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함과 더불어 혈관 등이 많이 존재하므로 망막의 질환의 경우 타 안과 질환보다 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때문에, 기존에는 망막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오프라인 의료기관에 환자가 직접 방문하여 전문의를 통해 그 병증을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서 고 파장의 레이저를 질환 부위에 조사하거나, 주사요법 등의 치료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환자의 오프라인 의료기관의 방문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존 환경에서는, 환자 개인의 상황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할 수 없는 경우 효율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무엇보다도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전문의 수 부족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하더라도 정확한 병증을 진단하기가 어려운 경우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환자의 망막 질환에 따른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노출되는 광 파장을 통해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는,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부; 및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삽입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상기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상기 환자의 망막에 상기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부는, 상기 환자의 치료를 위한 치료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치료계정에 접속한 상기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부는, 2 이상의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치료계정에 접속한 상기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의 접속경로로부터 상기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의 사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부는, 상기 2 이상의 치료기기 중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에 지정된 메인치료기기가 아닌 서브치료기기의 접속이 확인되며, 상기 서브치료기기의 접속경로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서브치료기기의 사용 위치가 상기 메인치료기기의 주 사용 위치인 경우, 상기 메인치료기기로의 전환 접속을 상기 서브치료기기에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부는, 상기 메인치료기기의 접속이 임계 시간 또는 임계 횟수 이상 확인된 특정 무선중계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서브치료기기의 접속경로로부터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치료기기로의 전환 접속을 상기 서브치료기기에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블록으로 저장하고, 상기 치료계정에 대한 상기 치료기기의 접속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거래 블록으로부터 상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치료계정 및 상기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을 할당하여, 상기 치료기기로 하여금 상기 치료계정으로의 접속 시 상기 치료기기의 개인키 및 상기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포함한 접속 요청을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접속 요청으로부터 확인되는 공개키가 상기 치료계정의 개인키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치료기기의 접속을 승인하여 상기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되는 상기 거래 블록으로부터 상기 치료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부는,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을 할당하며, 상기 2 이상의 치료기기 중 특정 치료기기가 나머지 치료기기에 대한 상기 치료컨텐츠의 중계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특정 치료기기와 상기 나머지 치료기기 모두에 대한 개별 개인키와 상기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확인하여 상기 치료컨텐츠의 중계를 승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는 상기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치료기기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가 기록된 의료기관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부는, 영상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픽셀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픽셀 값을 통해 상기 광 파장을 구현하거나, 또는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을 상기 광 파장을 삽입한 신규 프레임으로 변경하여 상기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치료기기에 상기 광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영상컨텐츠 및 상기 영상컨텐츠와는 별도로 상기 적어도 일부 프레임 또는 상기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재생시점에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도록 상기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단계; 및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삽입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상기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상기 환자의 망막에 상기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환자의 치료를 위한 치료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치료계정에 접속한 상기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치료기기,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가 기록된 의료기관장치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계는, 영상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픽셀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픽셀 값을 통해 상기 광 파장을 구현하거나, 또는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을 상기 광 파장을 삽입한 신규 프레임으로 변경하여 상기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치료기기에 상기 광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영상컨텐츠 및 상기 영상컨텐츠와는 별도로 상기 적어도 일부 프레임 또는 상기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재생시점에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도록 상기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만으로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해당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광 파장을 노출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 및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치료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기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컨텐츠의 중계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치료 서비스 환경을 보여주고 잇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치료 서비스 환경은,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인 네트워크(1)를 통해 전송하는 치료기기(10)와 의료기관장치(20), 및 네트워크(1)를 통해 수신되는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치료기기(10)는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VR(Virtual Reality)을 지원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 IPTV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치료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기기(10)는 치료컨텐츠의 재생뿐만이 아니라, 환자의 망막진료정보의 생성 및 저장 그리고 전송이 가능하다.
여기서, 망막진료정보는 환자의 망막 이미지와, 예컨대, 인적 사항, 병력 등의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기(10)는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예: 카메라)과, 부가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지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의료기관장치(20)는 의료기관에 방문한 환자에 대한 망막진료정보의 생성 및 저장 그리고 전송이 가능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의료기관에서 전문의에 의해 조작되는 컴퓨팅 디바이스(예: 데스크탑, 노트북,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는 환자의 망막 질환 치료를 위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예컨대,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망막은 안구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함과 더불어 혈관 등이 많이 존재하므로 망막의 질환의 경우 타 안과 질환보다 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때문에, 기존에는 망막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오프라인 의료기관에 환자가 직접 방문하여 전문의를 통해 그 병증을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서 고 파장의 레이저를 질환 부위에 조사하거나, 주사요법 등의 치료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환자의 오프라인 의료기관의 방문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존 환경에서는, 환자 개인의 상황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할 수 없는 경우 효율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무엇보다도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전문의 수 부족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하더라도 정확한 병증을 진단하기가 어려운 경우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는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31),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부(32),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33), 및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부(3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획득부(31), 진단부(32), 생성부(33), 및 제공부(34)를 포함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래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네트워크(1)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35)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5)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네트워크(1) 상에서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컨텐츠를 통해 진단된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획득부(31)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31)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획득하게 된다.
이때, 획득부(31)는 치료기기(10) 또는 의료기관장치(20)가 전송한 망막진료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기기(10)로부터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댁내에서 환자가 직접 망막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치료기기(10)를 통해 망막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로 전송한 상황을 말한다.
반면, 의료기관장치(20)로부터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환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해당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의료기관에서 망막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를 생성하여 의료기관장치(20)를 통해 네트워크(1)로 전송한 상황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망막 질환을 진단하게 된다.
이때, 진단부(32)는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는, 전술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와 마찬가지로 망막 이미지와 인적 사항 등의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정보는, 예컨대, 기존 망막 질환자의 이력정보, 및 논문 등의 학술 자료로부터 크롤링(crawling)된 학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진단 가능한 망막 질환의 경우, 예컨대, 녹내장 의증, 황반변성, 중심성장액성 망막염, 및 당뇨병성망막병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학습데이터에 따라 보다 다양한 병증의 진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망막 질환뿐만 아니라 망막의 상태로부터 유추 가능한 연관 질환 예컨대, 뇌질환, 심장질환, 면역질환, 당뇨병 등을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성부(33)는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33)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망막 질환이 진단되면, 진단된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생성부(33)는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해 처방(선택)된 광 파장을 영상컨텐츠에 삽입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 파장은,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이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저파장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망막 질환 별 고유의 파장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망막 질환의 정도에 따라 그 노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영상컨텐츠는, 예컨대, 다운로드 또는 구매 가능한 기존 영상컨텐츠(예: 뮤직비디오, 영화, 개인영상컨텐츠)이거나,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신규 생성되는 영상컨텐츠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방식에 따라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생성부(33)는 영상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픽셀 값을 변경하여 변경 된 픽셀 값을 통해 광 파장을 구현하거나, 또는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을 광 파장을 삽입한 신규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33)는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치료기기(10)에 광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영상컨텐츠 원본 그대로와 치료기기(10)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도록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료기기(10)에서는 영상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영상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치료를 위한 광 파장을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공부(34)는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34)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치료기기(10)로 제공함으로써, 치료기기(10)가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이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치료컨텐츠에 삽입된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공부(34)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환자 별 치료계정을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치료계정에 접속되는 치료기기(10)에 대해서 치료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34)는 치료계정에 접속한 치료기기(10)의 접속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경로로부터 치료기기(10)가 사용되는 사용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만약, 2 이상의 치료기기에 대해 치료컨텐츠를 병행하여 제공하는 경우라면, 치료계정에 접속한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의 접속경로로부터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의 사용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사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치료기기 간 전환 접속을 요청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는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에 메인치료기기(10_1)와 서브치료기기(10_2)가 병행하여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메인치료기기(10_1)는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에 암실 효과가 필요한 경우 이러한 암실 효과를 지원할 수 있는 HMD일 수 있으며, 서브치료기기(10_2)는 암실 효과를 지원하지 않는 여타의 장치 예컨대, 환자가 소지한 스마트 폰 또는 댁내 IPTV 등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부(34)는 메인치료기기(10_1)가 치료계정에 접속한 접속경로를 a로 확인할 수 있고, 서브치료기기(10_2)가 치료계정에 접속한 접속경로를 b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경로를 토대로 메인치료기기(10_1)와 서브치료기기(10_2) 간 전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제공부(34)는 치료계정에 접속된 치료기기가 환자의 망막 질환 치료에 지정된(암실 효과가 지원하는) 메인치료기기(10_1)가 아닌 서브치료기기(10_2)이며, 이러한 서브치료기기(10_2)의 접속경로(b)로부터 확인되는 서브치료기기(10_2)의 사용 위치가 메인치료기기(10_1)의 주 사용 위치(예: 댁내)인 경우, 메인치료기기(10_1)로의 전환 접속을 서브치료기기(10_2)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34)는 메인치료기기(10_1)의 과거 접속경로(a)로부터 메인치료기기(10_1)의 접속이 임계 시간 또는 임계 횟수 이상 확인된 특정 무선중계장치의 식별정보가 서브치료기기(10_2)의 접속경로(b)로부터 확인되는 경우, 메인치료기기(10_1)로의 전환 접속을 서브치료기기(10_2)에 요청한다.
즉, 제공부(34)는 메인치료기기(10_1)의 과거 접속경로(a)로부터 메인치료기기(10_1)의 접속이 임계 시간 또는 임계 횟수 이상 확인된 특정 무선중계장치의 식별정보를 메인치료기기(10_1)의 주 사용 위치(예: 댁내)와 매칭시켜 저장하게 되며, 만약 서브치료기기(10_2)의 접속경로(b)로부터 메인치료기기(10_1)의 주 사용 위치(예: 댁내)와 매칭된 상기 특정 무선중계장치의 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라면, 서브치료기기(10_2)의 현재 사용 위치를 메인치료기기(10_1)의 주 사용 위치인 것으로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치료컨텐츠의 보안성 강화를 목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제공부(34)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블록으로 저장하고, 치료기기(10)에 대한 치료계정의 접속이 승인되는 경우에 한해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치료기기(1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공부(34)는 치료계정이 생성되면, 치료계정과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인 인증키를 할당하게 된다.
이때,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생성된 치료컨텐츠는,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 가능한 거래 블록으로 생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이 경우, 제공부(34)는 치료기기(10)로부터 치료기기(10)의 개인키 및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포함하는 치료계정으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게 되며, 이에 대해 수신된 개인키가 인증키 리스트에 존재하고, 공개키 또한 리스트 상 치료계정의 개인키와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치료기기(10)에 대한 치료계정의 접속을 승인한다.
이렇게 되면 제공부(34)는 치료기기(10)에 대한 접속 승인에 따라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되는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치료기기(10)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앞선 예시와 마찬가지로 2 이상의 치료기기에 대해 치료컨텐츠를 병행하여 제공하는 경우라면, 이러한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을 할당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토대로 치료기기 간에 치료컨텐츠를 중계하여 전송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는 서브치료기기(10_2)가 메인치료기기(10_1)에 대한 치료컨텐츠 중계 전송을 요청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무선랜 접속만을 지원하는 메인치료기기(10_1)가 네트워크(1) 접속이 불가하여 기지국 접속을 지원하는 서브치료기기(10_2)를 통해서만 치료계정에 접속 가능한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부(34)는 서브치료기기(10_2)로부터 서브치료기기(10_2) 개인키와 치료계정의 공개키는 물론, 메인치료기기(10_1)가 전송한 메인치료기기(10_1)의 개인키와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포함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게 되며, 이에 대해 수신된 개인키가 모두 인증키 리스트에 존재하고, 공개키 또한 리스트 상 치료계정의 개인키와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서브치료기기(10_2)를 통한 치료컨텐츠의 중계 전송을 승인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공부(34)는 서브치료기기(10_2)를 통한 중계 전송 승인에 따라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되는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서브치료기기(10_2)로 전송함으로써, 서브치료기기(10_2)로 하여금 수신된 치료컨텐츠를 메인치료기기(10_1)로 중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의 구성에 따르면,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만으로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해당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광 파장을 노출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 및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획득부(31)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획득한다(S10).
이때, 획득부(31)는 치료기기(10) 또는 의료기관장치(20)가 전송한 망막진료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기기(10)로부터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댁내에서 환자가 직접 망막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치료기기(10)를 통해 망막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로 전송한 상황을 말한다.
반면, 의료기관장치(20)로부터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의료기관에서 망막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의료기관에서 망막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를 생성하여 의료기관장치(20)를 통해 네트워크(1)로 전송한 상황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망막 질환을 진단한다(S20).
이때, 진단부(32)는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는, 전술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와 마찬가지로 망막 이미지와 인적 사항 등의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정보는, 예컨대, 기존 망막 질환자의 이력정보, 및 논문 등의 학술 자료로부터 크롤링(crawling)된 학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진단 가능한 망막 질환의 경우, 예컨대, 녹내장 의증, 황반변성, 중심성장액성 망막염, 및 당뇨병성망막병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학습데이터에 따라 보다 다양한 병증의 진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망막 질환뿐만 아니라 망막의 상태로부터 유추 가능한 연관 질환 예컨대, 뇌질환, 심장질환, 면역질환, 당뇨병 등을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생성부(33)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망막 질환이 진단되면, 진단된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한다(S30).
이때, 생성부(33)는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해 처방(선택)된 광 파장을 영상컨텐츠에 삽입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부(33)는 영상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픽셀 값을 변경하여 변경 된 픽셀 값을 통해 광 파장을 구현하거나, 또는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을 광 파장을 삽입한 신규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33)는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치료기기(10)에 광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영상컨텐츠 원본 그 대로와 치료기기(10)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도록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료기기(10)에서는 영상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영상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치료를 위한 광 파장을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공부(34)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치료기기(10)로 제공함으로써, 치료기기(10)가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이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치료컨텐츠에 삽입된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S40).
이를 위해, 제공부(34)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환자 별 치료계정을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치료계정에 접속되는 치료기기(10)에 대해서 치료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치료컨텐츠의 보안성 강화를 목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제공부(34)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블록으로 저장하고, 치료기기(10)에 대한 치료계정의 접속이 승인되는 경우에 한해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치료기기(1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치료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제공부(34)는 치료계정이 생성되면, 치료계정과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인 인증키를 할당하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 가능한 거래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한다(S41-43).
나아가, 제공부(34)는 치료기기(10)로부터 치료기기(10)의 개인키 및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포함하는 치료계정으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개인키가 인증키 리스트에 존재하며, 공개키 또한 리스트 상 치료계정의 개인키와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치료기기(10)에 대한 치료계정의 접속을 승인한다(S44).
이 후, 제공부(34)는 이러한 접속 승인에 따라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되는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치료기기(10)로 제공한다(S4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만으로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해당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광 파장을 노출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 및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환자의 망막 질환에 따른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노출되는 광 파장을 통해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치료기기
20: 의료기관장치
30: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31: 획득부 32: 진단부
33: 생성부 34: 제공부

Claims (16)

  1.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부; 및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삽입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상기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상기 환자의 망막에 상기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부는,
    상기 환자의 치료를 위한 치료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치료계정에 접속한 상기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2 이상의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치료계정에 접속한 상기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의 접속경로로부터 상기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의 사용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2 이상의 치료기기 중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에 지정된 메인치료기기가 아닌 서브치료기기의 접속이 확인되며, 상기 서브치료기기의 접속경로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서브치료기기의 사용 위치가 상기 메인치료기기의 주 사용 위치인 경우, 상기 메인치료기기로의 전환 접속을 상기 서브치료기기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메인치료기기의 접속이 임계 시간 또는 임계 횟수 이상 확인된 특정 무선중계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서브치료기기의 접속경로로부터 확인되는 경우, 상기 메인치료기기로의 전환 접속을 상기 서브치료기기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블록으로 저장하고, 상기 치료계정에 대한 상기 치료기기의 접속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거래 블록으로부터 상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치료계정 및 상기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을 할당하여, 상기 치료기기로 하여금 상기 치료계정으로의 접속 시 상기 치료기기의 개인키 및 상기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포함한 접속 요청을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접속 요청으로부터 확인되는 공개키가 상기 치료계정의 개인키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치료기기의 접속을 승인하여 상기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되는 상기 거래 블록으로부터 상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을 할당하며,
    상기 2 이상의 치료기기 중 특정 치료기기가 나머지 치료기기에 대한 상기 치료컨텐츠의 중계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특정 치료기기와 상기 나머지 치료기기 모두에 대한 개별 개인키와 상기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확인하여 상기 치료컨텐츠의 중계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는
    상기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치료기기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가 기록된 의료기관장치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영상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픽셀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픽셀 값을 통해 상기 광 파장을 구현하거나, 또는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을 상기 광 파장을 삽입한 신규 프레임으로 변경하여 상기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치료기기에 상기 광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영상컨텐츠 및 상기 영상컨텐츠와는 별도로 상기 적어도 일부 프레임 또는 상기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재생시점에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도록 상기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12.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단계; 및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삽입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상기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상기 환자의 망막에 상기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환자의 치료를 위한 치료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치료계정에 접속한 상기 치료기기에 대해 상기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치료기기, 또는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가 기록된 의료기관장치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영상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픽셀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픽셀 값을 통해 상기 광 파장을 구현하거나, 또는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을 상기 광 파장을 삽입한 신규 프레임으로 변경하여 상기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치료기기에 상기 광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영상컨텐츠 및 상기 영상컨텐츠와는 별도로 상기 적어도 일부 프레임 또는 상기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재생시점에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도록 상기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75878A 2019-06-25 2019-06-25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0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78A KR102304684B1 (ko) 2019-06-25 2019-06-25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78A KR102304684B1 (ko) 2019-06-25 2019-06-25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72A true KR20210000572A (ko) 2021-01-05
KR102304684B1 KR102304684B1 (ko) 2021-09-23

Family

ID=7414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878A KR102304684B1 (ko) 2019-06-25 2019-06-25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183B1 (ko) * 2022-09-22 2023-08-29 주식회사 비욘드메디슨 환자의 턱 관절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제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492B1 (ko) * 2016-08-08 2018-01-1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망막 질환 광치료기
KR20180038359A (ko) * 2016-10-06 2018-04-16 (주)화이바이오메드 무선구동 스마트 콘택트렌즈
JP2018147386A (ja) * 2017-03-08 2018-09-20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診療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眼科診療情報処理方法
KR20190051499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칼라세븐 스마트통신기기 기반의 저출력 광선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492B1 (ko) * 2016-08-08 2018-01-1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망막 질환 광치료기
KR20180038359A (ko) * 2016-10-06 2018-04-16 (주)화이바이오메드 무선구동 스마트 콘택트렌즈
JP2018147386A (ja) * 2017-03-08 2018-09-20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診療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眼科診療情報処理方法
KR20190051499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칼라세븐 스마트통신기기 기반의 저출력 광선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183B1 (ko) * 2022-09-22 2023-08-29 주식회사 비욘드메디슨 환자의 턱 관절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제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684B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913B2 (ja) エネルギーベース療法デバイスの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画像ベースのガイダンス
KR102549451B1 (ko) 의사가 가치-기반 지불을 위한 품질 측정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 환자-대향 모바일 기술
US20200388363A1 (en) Extended reality medical report generating system
KR102068451B1 (ko) 합성 게놈 변형-기반의 보안 트랜잭션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30093829A1 (en) Instruct-or
KR102190771B1 (ko) 치료용 어플리케이션의 치험 시스템, 치료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 장치, 및 치료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CN109741802A (zh) 数据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12130288A1 (en) Virtual machine for processing medical data
WO2012130289A1 (en) Processing of digital data, in particular medical data by a virtual machine
TW201346824A (zh) 產生、管理與分享數位處方箋的系統與方法
CN105656893B (zh) 通过直接获取医疗影像数据实现医院无胶片化的方法
US20210103859A1 (en) Health car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5768360A (zh) 用于医疗过程准备的系统和方法
KR102304684B1 (ko)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51319A (ko)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101423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digital data to an individual
JP2009232967A (ja) マッサージシステム及びマッサージサービス提供方法
KR101156467B1 (ko)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KR102285889B1 (ko)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317224A1 (en) Patient specified health record on blockchain
US11049611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procedure management
KR102572183B1 (ko) 환자의 턱 관절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제 제공 시스템
US20240164711A1 (en) Method for improv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iagnosis procedures and treatment plans
WO2022091623A1 (ja) 治療用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システム、治療用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方法、治療用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プログラム、及び端末
JP6340494B1 (ja) 治療用アプリケーションの治験システム、治験管理用サーバ、および治験管理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