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889B1 -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889B1
KR102285889B1 KR1020190075892A KR20190075892A KR102285889B1 KR 102285889 B1 KR102285889 B1 KR 102285889B1 KR 1020190075892 A KR1020190075892 A KR 1020190075892A KR 20190075892 A KR20190075892 A KR 20190075892A KR 102285889 B1 KR102285889 B1 KR 10228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nal
treatment
retina
pati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578A (ko
Inventor
백승빈
Original Assignee
백승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빈 filed Critical 백승빈
Priority to KR102019007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8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61N2005/0648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light being directed to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막 이미지를 포함하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진단된 망막 질환을 광 파장을 통해 치료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SERVICE APPARATUS FOR RETINA C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망막 이미지를 포함하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진단된 망막 질환을 광 파장을 통해 치료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안구의 주요 부분은 층상 구조로 이루진 관계로 이와 관련된 질환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으며, 층상 구조의 안구 내 조직들이 구조적으로 변형되는 경우라면 시력 저하나 심하게는 시력 상실로 발전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망막은 안구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함과 더불어 혈관 등이 많이 존재하므로 망막의 질환의 경우 타 안과 질환보다 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때문에, 기존에는 망막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오프라인 의료기관에 환자가 직접 방문하여 전문의를 통해 그 병증을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서 고 파장의 레이저를 질환 부위에 조사하거나, 주사요법 등의 치료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환자의 오프라인 의료기관의 방문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존 환경에서는, 환자 개인의 상황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할 수 없는 경우 효율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무엇보다도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전문의 수 부족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하더라도 정확한 병증을 진단하기가 어려운 경우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여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선행특허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1499호 (2019년05월15일)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망막 이미지를 포함하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진단된 망막 질환을 광 파장을 통해 치료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는,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부; 및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삽입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망막 이미지와 매칭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망막 이미지로부터 분할되는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각각에 대해 진단 모델을 개별 할당하여,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별로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횟수가 가장 많은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한 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인 카테고리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 모두를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는, 상기 망막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 점, 망막의 구조, 및 이미지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망막 이미지로부터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는,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이 진단되는 경우, 상기 망막 이미지를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서 망막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하며, 상기 특정 카테고리를 제외한 나머지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상기 망막 이미지를 각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망막치료서비스장치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치료기기로 제공하여, 상기 치료기기에서 상기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상기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상기 환자의 망막에 상기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망막치료서비스장치는, 망막이미지를 포함하여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치료경과정보에 따라 상기 치료컨텐츠에 삽입된 광 파장을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판정단계; 및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삽입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망막 이미지와 매칭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하는 질환판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망막 이미지로부터 분할되는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각각에 대해 진단 모델을 개별 할당하여,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별로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횟수가 가장 많은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한 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인 카테고리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 모두를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는, 상기 망막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 점, 망막의 구조, 및 이미지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망막 이미지로부터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이 진단되는 경우, 상기 망막 이미지를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서 망막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하며, 상기 특정 카테고리를 제외한 나머지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상기 망막 이미지를 각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만으로 환자의 망막 질환을 네트워크 상에서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해당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노출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 및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치료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질환 진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기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컨텐츠의 중계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치료 서비스 환경을 보여주고 잇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치료 서비스 환경은,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인 네트워크(1)를 통해 전송하는 치료기기(10)와 의료기관장치(20), 및 네트워크(1)를 통해 수신되는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치료기기(10)는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VR(Virtual Reality)을 지원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 IPTV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치료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기기(10)는 치료컨텐츠의 재생뿐만이 아니라, 환자의 망막진료정보의 생성 및 저장 그리고 전송이 가능하다.
여기서, 망막진료정보는 환자의 망막 이미지와, 예컨대, 인적 사항, 병력 등의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기(10)는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예: 카메라)과, 부가 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지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의료기관장치(20)는 의료기관에 방문한 환자에 대한 망막진료정보의 생성 및 저장 그리고 전송이 가능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의료기관에서 전문의에 의해 조작되는 컴퓨팅 디바이스(예: 데스크탑, 노트북,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는 환자의 망막 질환 치료를 위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예컨대,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망막은 안구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함과 더불어 혈관 등이 많이 존재하므로 망막의 질환의 경우 타 안과 질환보다 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때문에, 기존에는 망막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오프라인 의료기관에 환자가 직접 방문하여 전문의를 통해 그 병증을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서 고 파장의 레이저를 질환 부위에 조사하거나, 주사요법 등의 치료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환자의 오프라인 의료기관의 방문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존 환경에서는, 환자 개인의 상황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할 수 없는 경우 효율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무엇보다도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전문의 수 부족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하더라도 정확한 병증을 진단하기가 어려운 경우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는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31),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부(32),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33),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부(34), 및 치료컨텐츠를 갱신하는 갱신부(3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획득부(31), 진단부(32), 생성부(33), 제공부(34), 및 갱신부(35)를 포함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래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네트워크(1)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36)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6)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네트워크(1) 상에서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컨텐츠를 통해 진단된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획득부(31)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31)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획득하게 된다.
이때, 획득부(31)는 치료기기(10) 또는 의료기관장치(20)가 전송한 망막진료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기기(10)로부터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댁내에서 환자가 직접 망막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치료기기(10)를 통해 망막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로 전송한 상황을 말한다.
반면, 의료기관장치(20)로부터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환자가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해당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의료기관에서 망막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를 생성하여 의료기관장치(20)를 통해 네트워크(1)로 전송한 상황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회득된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망막 질환을 진단하게 된다.
이때, 진단부(32)는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는, 전술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와 마찬가지로 망막 이미지와 인적 사항 등의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정보는, 예컨대, 기존 망막 질환자의 이력정보, 및 논문 등의 학술 자료로부터 크롤링(crawling)된 학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진단 가능한 망막 질환의 경우, 예컨대, 녹내장 의증, 황반변성, 중심성장액성 망막염, 및 당뇨병성망막병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학습데이터에 따라 보다 다양한 병증의 진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망막 질환뿐만 아니라 망막의 상태로부터 유추 가능한 연관 질환 예컨대, 뇌질환, 심장질환, 면역질환, 당뇨병 등을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방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망막진료정보 내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망막 이미지와 매칭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망막진료정보 내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되는 N개의 망막 질환 카테고리와 각각 비교하는 N 번의 동작을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에 따라 망막 이미지와 매칭되는(망막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 것으로 확인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진단 모델(예: 객체 인식 모델)에서는 예컨대, 하나의 망막 이미지를 기 학습된 다수의 망막 질환 카테고리 중 하나에 일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관계로, 기존의 진단 모델에서는 망막 이미지를 기 학습된 망막 질환 카테고리와 최대한 일치시키려고 하는 경향이 존재한다.
때문에, 기존의 진단 모델 적용 시에는 기 학습된 다수의 카테고리의 학습데이터 중 망막 이미지와 약간의 특징이라도 일치하는 특정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망막 이미지를 해당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으로 매칭시키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망막 이미지를 기 학습된 다수의 망막 질환 카테고리 중 하나와 일치시키는 기존 방식과는 달리, 기 학습된 다수의 망막 질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망막 이미지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반복하여 판단하는 동작을 통해서 망막 질환 인식에 있어서 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망막 질환 인식에 있어서 그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망막 이미지를 분할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망막진료정보 내 망막 이미지를 2 이상의 분할 이미지로 분할하고, 이처럼 분할된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각각에 대해 진단 모델을 개별 할당함으로써,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별로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망막 이미지는, 예컨대, 망막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 점(예: 시신경 유두테, 드루젠), 망막의 구조, 및 이미지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2 이상의 분할 이미지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막 이미지를 M개의 분할 이미지로 분할되고, N개의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M개의 분할 이미지 각각을 N개의 망막 질환 카테고리와 각각 비교하는 M*N 번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단부(32)는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하게 되며, 그 중 카운팅된 횟수가 가장 많은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
물론, 진단부(32)는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한 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인 카테고리가 2 이상인 경우라면, 2 이상의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 모두를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도 있다.
한편, 진단부(32)는 전술한 방식을 통해 환자의 망막 질환이 진단되는 경우,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으로 진단된 특정 카테고리에서 망막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하며, 반면 특정 카테고리를 제외한 나머지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각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하여 진단 모델을 훈련시킴으로써, 추후 망막 질환의 진단 정확도를 제고하게 된다.
생성부(33)는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33)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망막 질환이 진단되면, 진단된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생성부(33)는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해 처방(선택)된 광 파장을 영상컨텐츠에 삽입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 파장은,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이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저파장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망막 질환 별 고유의 파장 값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망막 질환의 정도에 따라 노출 주기 및 노출 시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영상컨텐츠는, 예컨대, 다운로드 또는 구매 가능한 기존 영상컨텐츠(예: 뮤직비디오, 영화, 개인영상컨텐츠)이거나,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신규 생성되는 영상컨텐츠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방식에 따라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생성부(33)는 영상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픽셀 값을 변경하여 변경 된 픽셀 값을 통해 광 파장을 구현하거나, 또는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을 광 파장을 삽입한 신규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33)는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치료기기(10)에 광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영상컨텐츠 원본 그대로와 치료기기(10)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도록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료기기(10)에서는 영상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영상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치료를 위한 광 파장을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공부(34)는 치료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34)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치료기기(10)로 제공함으로써, 치료기기(10)가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이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치료컨텐츠에 삽입된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공부(34)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환자 별 치료계정을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치료계정에 접속되는 치료기기(10)에 대해서 치료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34)는 치료계정에 접속한 치료기기(10)의 접속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경로로부터 치료기기(10)가 사용되는 사용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만약, 2 이상의 치료기기에 대해 치료컨텐츠를 병행하여 제공하는 경우라면, 치료계정에 접속한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의 접속경로로부터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의 사용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사용 위치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치료기기 간 전환 접속을 요청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는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에 메인치료기기(10_1)와 서브치료기기(10_2)가 병행하여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메인치료기기(10_1)는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에 암실 효과가 필요한 경우 이러한 암실 효과를 지원할 수 있는 HMD일 수 있으며, 서브치료기기(10_2)는 암실 효과를 지원하지 않는 여타의 장치 예컨대, 환자가 소지한 스마트 폰 또는 댁내 IPTV 등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부(34)는 메인치료기기(10_1)가 치료계정에 접속한 접속경로를 a로 확인할 수 있고, 서브치료기기(10_2)가 치료계정에 접속한 접속경로를 b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경로를 토대로 메인치료기기(10_1)와 서브치료기기(10_2) 간 전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제공부(34)는 치료계정에 접속된 치료기기가 환자의 망막 질환 치료에 지정된(암실 효과가 지원하는) 메인치료기기(10_1)가 아닌 서브치료기기(10_2)이며, 이러한 서브치료기기(10_2)의 접속 경로(b)로부터 확인되는 서브치료기기(10_2)의 사용 위치가 메인치료기기(10_1)의 주 사용 위치(예: 댁내)인 경우, 메인치료기기(10_1)로의 전환 접속을 서브치료기기(10_2)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34)는 메인치료기기(10_1)의 과거 접속경로(a)로부터 메인치료기기(10_1)의 접속이 임계 시간 또는 임계 횟수 이상 확인된 특정 무선중계장치의 식별정보가 서브치료기기(10_2)의 접속 경로(b)로부터 확인되는 경우, 메인치료기기(10_1)로의 전환 접속을 서브치료기기(10_2)에 요청한다.
즉, 제공부(34)는 메인치료기기(10_1)의 과거 접속경로(a)로부터 메인치료기기(10_1)의 접속이 임계 시간 또는 임계 횟수 이상 확인된 특정 무선중계장치의 식별정보를 메인치료기기(10_1)의 주 사용 위치(예: 댁내)와 매칭시켜 저장하게 되며, 만약 서브치료기기(10_2)의 접속 경로(b)로부터 메인치료기기(10_1)의 주 사용 위치(예: 댁내)와 매칭된 상기 특정 무선중계장치의 식별정보가 확인되는 경우라면, 서브치료기기(10_2)의 현재 사용 위치를 메인치료기기(10_1)의 주 사용 위치인 것으로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치료컨텐츠의 보안성 강화를 목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제공부(34)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블록으로 저장하고, 치료기기(10)에 대한 치료계정의 접속이 승인되는 경우에 한해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치료기기(1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공부(34)는 치료계정이 생성되면, 치료계정과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인 인증키를 할당하게 된다.
이때,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생성된 치료컨텐츠는,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 가능한 거래 블록으로 생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이 경우, 제공부(34)는 치료기기(10)로부터 치료기기(10)의 개인키 및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포함하는 치료계정으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게 되며, 이에 대해 수신된 개인키가 인증키 리스트에 존재하고, 공개키 또한 리스트 상 치료계정의 개인키와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치료기기(10)에 대한 치료계정의 접속을 승인한다.
이렇게 되면 제공부(34)는 치료기기(10)에 대한 접속 승인에 따라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되는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치료기기(10)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앞선 예시와 마찬가지로 2 이상의 치료기기에 대해 치료컨텐츠를 병행하여 제공하는 경우라면, 이러한 2 이상의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을 할당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토대로 치료기기 간에 치료컨텐츠를 중계하여 전송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는 서브치료기기(10_2)가 메인치료기기(10_1)에 대한 치료컨텐츠 중계 전송을 요청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무선랜 접속만을 지원하는 메인치료기기(10_1)가 네트워크(1) 접속이 불가하여 기지국 접속을 지원하는 서브치료기기(10_2)를 통해서만 치료계정에 접속 가능한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부(34)는 서브치료기기(10_2)로부터 서브치료기기(10_2) 개인키와 치료계정의 공개키는 물론, 메인치료기기(10_1)가 전송한 메인치료기기(10_1)의 개인키와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포함한 중계 요청을 수신하게 되며, 이에 대해 수신된 개인키가 모두 인증키 리스트에 존재하고, 공개키 또한 리스트 상 치료계정의 개인키와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서브치료기기(10_2)를 통한 치료컨텐츠의 중계 전송을 승인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공부(34)는 서브치료기기(10_2)를 통한 중계 전송 승인에 따라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되는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서브치료기기(10_2)로 전송함으로써, 서브치료기기(10_2)로 하여금 수신된 치료컨텐츠를 메인치료기기(10_1)로 중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갱신부(35)는 치료컨텐츠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갱신부(35)는 치료컨텐츠를 제공한 이후 치료기기(10) 또는 의료기관장치(20)로부터 망막이미지를 포함하여 획득되는 환자의 치료경과정보에 따라 치료컨텐츠 삽입된 광 파장을 갱신하게 된다.
즉, 갱신부(35)는 망막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치료경과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진단부(32)로 하여금 망막 질환의 호전 상태(현재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치료컨텐츠에 삽입된 광 파장의 노출 주기 및 시간 등을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의 구성에 따르면,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만으로 환자의 망막 질환을 네트워크 상에서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해당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광 파장을 노출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 및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획득부(31)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획득한다(S10).
이때, 획득부(31)는 치료기기(10) 또는 의료기관장치(20)가 전송한 망막진료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기기(10)로부터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댁내에서 환자가 직접 망막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치료기기(10)를 통해 망막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로 전송한 상황을 말한다.
반면, 의료기관장치(20)로부터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는, 의료기관에서 망막진료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의료기관에서 망막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를 생성하여 의료기관장치(20)를 통해 네트워크(1)로 전송한 상황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회득된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망막 질환을 진단한다(S20).
이때, 진단부(32)는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는, 전술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와 마찬가지로 망막 이미지와 인적 사항 등의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정보는, 예컨대, 기존 망막 질환자의 이력정보, 및 논문 등의 학술 자료로부터 크롤링(crawling)된 학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진단 가능한 망막 질환의 경우, 예컨대, 녹내장 의증, 황반변성, 중심성장액성 망막염, 및 당뇨병성망막병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학습데이터에 따라 보다 다양한 병증의 진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망막 질환뿐만 아니라 망막의 상태로부터 유추 가능한 연관 질환 예컨대, 뇌질환, 심장질환, 면역질환, 당뇨병 등을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동작 흐름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진단부(32)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망막진료정보 내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한다(S22).
예를 들어, N개의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망막진료정보 내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되는 N개의 망막 질환 카테고리와 각각 비교하는 N 번의 동작을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에 따라 망막 이미지와 매칭되는(망막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 것으로 확인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진단부(32)는 위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망막 이미지와 매칭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할 수 있다(S22-S23).
그런 다음, 생성부(33)는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망막 질환이 진단되면, 진단된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한다(S30).
이때, 생성부(33)는 환자의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해 처방(선택)된 광 파장을 영상컨텐츠에 삽입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부(33)는 영상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픽셀 값을 변경하여 변경 된 픽셀 값을 통해 광 파장을 구현하거나, 또는 연속된 2 이상의 프레임을 광 파장을 삽입한 신규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33)는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치료기기(10)에 광 파장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영상컨텐츠 원본 그 대로와 치료기기(10)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도록 치료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료기기(10)에서는 영상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영상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치료를 위한 광 파장을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공부(34)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컨텐츠가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치료기기(10)로 제공함으로써, 치료기기(10)가 치료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이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치료컨텐츠에 삽입된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S40).
이를 위해, 제공부(34)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환자 별 치료계정을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치료계정에 접속되는 치료기기(10)에 대해서 치료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치료컨텐츠의 보안성 강화를 목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제공부(34)는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블록으로 저장하고, 치료기기(10)에 대한 치료계정의 접속이 승인되는 경우에 한해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치료기기(1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치료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제공부(34)는 치료계정이 생성되면, 치료계정과 치료기기 각각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에 대응하는 개인키 쌍인 인증키를 할당하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생성된 치료컨텐츠를,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 가능한 거래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한다(S41-43).
나아가, 제공부(34)는 치료기기(10)로부터 치료기기(10)의 개인키 및 치료계정의 공개키를 포함하는 치료계정으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개인키가 인증키 리스트에 존재하며, 공개키 또한 리스트 상 치료계정의 개인키와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치료기기(10)에 대한 치료계정의 접속을 승인한다(S44).
이 후, 제공부(34)는 이러한 접속 승인에 따라 치료계정의 개인키로 식별되는 거래 블록으로부터 치료컨텐츠를 획득하여 치료기기(10)로 제공한다(S45).
한편, 갱신부(35)는 치료컨텐츠를 제공한 이후 치료기기(10) 또는 의료기관장치(20)로부터 망막이미지를 포함하여 획득되는 환자의 치료경과정보에 따라 치료컨텐츠 삽입된 광 파장을 갱신한다(S50).
즉, 갱신부(35)는 망막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치료경과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진단부(32)로 하여금 망막 질환의 호전 상태(현재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치료컨텐츠에 삽입된 광 파장의 노출 주기 및 시간 등을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서 치료컨텐츠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환자의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망막진료정보만으로 환자의 망막 질환을 네트워크 상에서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해당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환자의 망막에 광 파장을 노출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 및 치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환자의 망막 질환에 따른 치료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치료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노출되는 광 파장을 통해 환자의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치료기기
20: 의료기관장치
30: 망막치료서비스장치
31: 획득부 32: 진단부
33: 생성부 34: 제공부
35: 갱신부

Claims (16)

  1.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부; 및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삽입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망막 이미지와 매칭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하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망막 이미지로부터 분할되는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각각에 대해 진단 모델을 개별 할당하여,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별로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하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횟수가 가장 많은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하며,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는,
    상기 망막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 점, 망막의 구조, 및 이미지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망막 이미지로부터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한 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인 카테고리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 모두를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이 진단되는 경우, 상기 망막 이미지를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서 망막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하며, 상기 특정 카테고리를 제외한 나머지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상기 망막 이미지를 각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치료서비스장치는,
    상기 치료컨텐츠를 치료기기로 제공하여, 상기 치료기기에서 상기 치료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상기 치료컨텐츠를 시청중인 상기 환자의 망막에 상기 광 파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치료서비스장치는,
    망막이미지를 포함하여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치료경과정보에 따라 상기 치료컨텐츠에 삽입된 광 파장을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
  10. 청구항 1, 청구항 5, 및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망막 이미지를 포함한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망막 질환 별 진단정보를 학습한 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망막진료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을 진단하는 판정단계; 및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과 매칭되는 광 파장을 삽입한 치료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망막 이미지를 망막 질환 별로 구분된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망막 이미지와 매칭되는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하는 질환판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망막 이미지로부터 분할되는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각각에 대해 진단 모델을 개별 할당하여,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별로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의 학습데이터와 반복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횟수가 가장 많은 특정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을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마다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횟수를 카운팅한 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임계 횟수 이상인 카테고리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 모두를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분할 이미지는,
    상기 망막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 점, 망막의 구조, 및 이미지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망막 이미지로부터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단계는,
    상기 환자의 망막 질환이 진단되는 경우, 상기 망막 이미지를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서 망막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하며, 상기 특정 카테고리를 제외한 나머지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상기 망막 이미지를 각 카테고리의 망막 질환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학습데이터로서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치료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075892A 2019-06-25 2019-06-25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92A KR102285889B1 (ko) 2019-06-25 2019-06-25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92A KR102285889B1 (ko) 2019-06-25 2019-06-25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78A KR20210000578A (ko) 2021-01-05
KR102285889B1 true KR102285889B1 (ko) 2021-08-03

Family

ID=7414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892A KR102285889B1 (ko) 2019-06-25 2019-06-25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8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0908A (ja) 2007-03-30 2008-10-16 Toshiba Corp 映像判別方法および映像判別装置
US20190043193A1 (en) * 2017-08-01 2019-02-07 Retina-Ai Llc Systems and Methods Using Weighted-Ensemble Supervised-Learning for Automatic Detection of Retinal Disease from Tomograms
US20190114771A1 (en) * 2017-10-12 2019-04-18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437B1 (ko) * 2014-11-14 2021-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202017104953U1 (de) * 2016-08-18 2017-12-04 Google Inc. Verarbeiten von Fundusbildern unter Verwendung von Maschinenlernmodellen
KR20190051499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칼라세븐 스마트통신기기 기반의 저출력 광선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0908A (ja) 2007-03-30 2008-10-16 Toshiba Corp 映像判別方法および映像判別装置
US20190043193A1 (en) * 2017-08-01 2019-02-07 Retina-Ai Llc Systems and Methods Using Weighted-Ensemble Supervised-Learning for Automatic Detection of Retinal Disease from Tomograms
US20190114771A1 (en) * 2017-10-12 2019-04-18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78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35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information
WO2022212921A1 (en) Continually learning audio feedback engine
US201302539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involving crowdsourcing
CN109492675B (zh) 医学影像的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2251925B1 (ko) 근골격계 이상예측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Teikari et al. Embedded deep learning in ophthalmology: making ophthalmic imaging smarter
KR102190771B1 (ko) 치료용 어플리케이션의 치험 시스템, 치료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 장치, 및 치료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EP3850638B1 (en) Processing fundus camera image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trained using other modalities
WO2017205924A1 (en) An adaptive incentivised education platform
TW201346824A (zh) 產生、管理與分享數位處方箋的系統與方法
US202301400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procedure preparation
Shakshuki et al. An adaptive user interface in healthcare
EP41969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skin condi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ptions
KR102192164B1 (ko) 생체 이미지 진단 시스템, 생체 이미지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CN116685261A (zh) 使用自动编码器神经网络处理脑数据
WO2022046127A1 (en) Health platform
KR102304684B1 (ko) 망막치료컨텐츠제공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5889B1 (ko) 망막치료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51319A (ko)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694790B2 (en) Matching a subject to resources
US202301365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vision analysis
US11308615B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improving medical diagnoses
CN117561577A (zh) 人工智能建模以建议场几何模板
US20160350506A1 (en) Systems and methods to model and measure joint disorder treatment efficacy
KR20170049994A (ko) 걸음걸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