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467B1 -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467B1
KR101156467B1 KR1020080112905A KR20080112905A KR101156467B1 KR 101156467 B1 KR101156467 B1 KR 101156467B1 KR 1020080112905 A KR1020080112905 A KR 1020080112905A KR 20080112905 A KR20080112905 A KR 20080112905A KR 101156467 B1 KR101156467 B1 KR 10115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r
patient
hospital
account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995A (ko
Inventor
정희두
Original Assignee
정희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두 filed Critical 정희두
Priority to KR102008011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4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의원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이하 EMR)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이하 PHR)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사가 진료실 단말기에 설치된 EMR 접속 모듈을 이용하여 병의원 내부의 EMR 시스템에 저장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조회하고 작성하면서 동시에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환자의 PHR 계정에 접속하여 PHR 시스템에 저장된 환자의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조회하고 작성할 수 있게 지원하는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R, 전자의무기록, PHR, 개인건강기록

Description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PC-BASE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WEB-BASED PERSONAL HEALTH RECORD ACCOUNT}
본 발명은 병의원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이하 EMR)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이하 PHR)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사가 진료실 단말기에 설치된 EMR 접속 모듈을 이용하여 병의원 내부의 EMR 시스템에 저장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조회하고 작성하면서 동시에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환자의 PHR 계정에 접속하여 PHR 시스템에 저장된 환자의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조회하고 작성할 수 있게 지원하는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의 증상과 병력, 검사결과와 치료내용 등이 포함된 병의원의 의무기록은 전통적으로 환자별 종이차트 형태로 작성되어 병의원 내부의 종이차트 저장소에 보관되었다가 해당 환자가 병의원을 방문하였을 때 진료실로 전달되어 의사가 종이차트의 내용을 조회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의무기 록을 전자적으로 조회하고 기록하며 저장하는 EMR 시스템을 도입하는 병의원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종이차트에 기록된 환자의 의무기록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EMR 시스템에 저장된 환자의 의무기록 데이터 또한 병의원 내부의 서버 등에 저장되어 있는 관계로 환자 본인이나 해당 환자를 진료하는 타 병의원 의료인이 정보를 조회하고 활용하는데 많은 제한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한은 환자가 다른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환자가 연속성 있는 진료를 받는 데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타 병의원에서 시행한 검사결과를 알 수 없어 환자가 동일한 검사를 반복해서 시행 받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각 병의원에 보관된 의무기록 데이터나 과거병력, 약물 복용력 등 환자 개인의 건강정보를 환자 스스로 생성하고 관리함으로써 국내는 물론 해외 어느 의료기관을 방문하더라도 연속적인 건강관리와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개인건강기록(PHR)의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개인건강기록의 운용을 위해 현재까지 대두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환자 스스로 자신의 종이차트를 만들어 관리하는 '종이차트 기반 개인건강기록'(Paper-based PHR), 환자의 PC에 자신의 건강기록을 만들어 관리하는 ‘PC 기반 개인건강기록'(PC-based PHR), 환자가 가지고 다닐 수 있는 USB 메모리스틱이나 스마트카드 등에 자신의 건강기록을 만들어 관리하는 ‘이동식 저장장치 기반의 개인건강기록’(Portable-Storage PHR), 그리고 인터넷 상의 서버에 자신의 건강기록 계정을 만 들어 관리하는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Internet-Based PHR)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 특히 ‘인터넷 기반의 개인건강기록’은 인터넷의 발달과 병의원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개인건강기록의 대표적 운용방식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개별 병의원에서 사용하는 EMR 시스템의 데이터 서식이나 통신방식은 각각의 병의원 환경 및 각 개발사의 여건에 맞게 개별적으로 개발되어, 표준화 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터넷 상의 PHR 계정과 다수의 EMR 시스템이 환자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EMR 시스템이 구축된 병의원에서 의사는 진료실 단말기에 설치된 EMR 접속 모듈을 이용하여 환자를 검색하고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기록한다.
따라서 EMR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를 진료중인 의사가 해당 환자의 인터넷 기반 PHR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기록하기 위해서는 PHR 시스템의 개인건강기록 DB와 EMR 시스템의 전자의무기록DB가 연동되어 두 시스템 간에 해당 환자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PHR 시스템과 표준화되지 않은 다수의 EMR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EMR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연동 표준안을 마련하고 이에 맞게 개별 병의원 EMR을 재구축해야 하는데, 정부 또는 민간포털 등에서 운영하게 될 소수의 PHR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다수의 병의원 EMR 시스템을 수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큰 어려움이 동반된다.
한편, PHR 시스템과 EMR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이 구현되지 않더라도 의사는 웹브라우저 또는 PHR 접속프로그램을 직접 구동하여 PHR 시스템에 접속한 후 해당 환자의 PHR 아이디를 입력함으로써 PHR 계정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의 입장에서 PHR 계정에 저장된 정보는 질병이나 치료경력, 건강상태, 복용중인 약물정보 등 지극히 중요한 개인정보에 해당하므로 주치의 등 환자 자신이 허가한 대상만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계정에 대한 접속을 선별적으로 허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실제로 의사가 환자의 PHR 계정에 접속하는 과정은 접속을 요청한 진료실 PC에 대한 등록과 해당 환자의 PHR 아이디 입력, 등록된 진료실 단말기에 대한 환자 본인의 PHR 계정 접속 허용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러한 절차는 다른 환자의 PHR 계정에 접속할 경우 뿐 아니라 한번 진료했던 환자를 다음번에 진료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반복해야 하므로 제한된 시간에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의사의 입장에서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PHR 시스템이 이상의 현실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확산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다수의 EMR 시스템을 표준화하여 수정하거나 재구축하지 않으면서도 환자로부터 허가받은 대상만이 PHR 계정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의사가 진료중인 EMR 화면에 해당 환자의 PHR 계정을 편리하게 연동시켜 정보를 조회하고 기록할 수 있는 접속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a) 환자의 진료 개시에 따라 진료실 단말기의 EMR 접속 모듈이 인트라넷으로 연결된 EMR 시스템에 접근하여, 해당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및 병록번호 데이터를 검색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해당 진료실 단말기의 메모리에서 현재 활성화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중 병록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PHR 시스템에 자체 설정된 병의원코드를 이용해 접근하여, PHR 시스템의 병의원인증 테이블에서 상기 추출된 병록번 호가 상기 설정된 병의원코드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추출된 병록번호가 상기 자체 설정된 병의원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PHR 시스템의 병의원인증 테이블에서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된 PHR 아이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된 PHR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해당 환자의 PHR 계정 접속허용코드를 전송하고, PHR 시스템의 환자인증 테이블에 기등록된 접속허용코드와 비교하여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상기 PHR 시스템의 개인건강기록 DB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PHR 계정에 접속하여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읽어들여 기활성화된 해당 환자의 전자의무기록과 함께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상기 추출된 병록번호가 상기 자체 설정된 병의원코드와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PHR 시스템의 병의원인증 테이블에 상기 추출된 병록번호를 해당 병의원코드와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 사이에,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된 PHR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상기 병의원인증 테이블에 상기 환자의 PHR 아이디를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현재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PHR 접속 모듈을 통해 환자의 PHR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가진 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에 자체 설정되는 병의원코드는 해당 병의원에 할당된 병의원의 고유값이거나 병의원 내 각 의사에 할당된 의사의 고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의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에서, 최초 인증시 PHR 시스템의 병의원인증 테이블에 환자의 PHR 계정에 대한 접속허용코드 항목을 추가로 만들어 매칭 등록시킴으로써 추후 환자의 허가에 의한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은 의사가 PHR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환자의 PHR 계정을 입력하고 환자의 접속승인을 획득하는 과정을 매 진료 시 마다 거치지 않으면서 최초 단 한차례의 프로세스만으로 EMR 시스템에 자동으로 연동되는 PHR 계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개별 병원의 환경이나 시스템 개발사의 특성에 따라 개별화되어 있는 EMR 시스템을 표준화시켜 재구축하지 않고서도 EMR 시스템과 PHR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연동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종래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EMR 시스템 및 PHR 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각각 설명하고, 이들을 연동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운영 형태를 설명한 후, 현실적인 대안으로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EMR 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EMR 시스템(20)은 병의원의 진료 업무 중 의무기록 업무를 전산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의무기록을 보관하는 전자의무기록 DB(22)와 각 진료환자의 개별 의무기록에 대한 고유번호를 관리하는 병록번호 DB(21)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병록번호는 일명 차트번호로 불리는 환자 고유번호로서, 각 병의원의 개별 환자 당 하나의 병록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된다.
진료실 단말기(30)는 설치된 EMR 접속 모듈(31)을 통해 상기 EMR 시스템(20)에 접속하여, 병록번호 입력을 통해 개별 진료 환자에 대한 전자의무기록을 검색, 작성 및 수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진료실 단말기(30)는 개별 의사가 단독으로 사용 및 관리하는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수의 의사가 공동으로 사용 및 관리하는 공용 진료 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진료실 단말기(30)와 EMR 시스템(20)이 내부 전산망인 인트라넷(intranet)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해당 병의원의 EMR 시스템(20) 내 전자의무기록 정보의 외부 접근은 차단된다.
다음으로,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PHR 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PHR 시스템(10)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 병의원에 보관된 의무기록 데이터나 과거병력, 약물 복용력 등 환자 개인의 건강정보를 환자 스스로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 계정을 통해 환자 개인의 건강기록정보가 보관 관리되는 개인건강기록 DB(11)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개인건강기록에는 질병이나 치료경력, 건강상태, 복용 중인 약물정보 등 지극히 중요한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환자 자신이 허가한 대상만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관리된다.
사용자 단말기(40)는 설치된 PHR 접속 모듈(41)을 통해 상기 PHR 시스템(10)에 접속하여, 개인 인증 절차를 통해 계정에 접속하여 개인 건강기록 데이터를 검색, 작성 및 수정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40)와 PHR 시스템(10)은 공개 네트워크인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연결될 수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이 가능한 경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은 이상적인 형태의 EMR 시스템 및 PHR 시스템 연동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 병의원에는 자체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되는 EMR 시스템(20A)과 진료실 단말기(30A)가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B 병의원에도 자체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되는 EMR 시스템(20B)과 진료실 단말기(30B)가 구비된다.
이때, 현재 각 병의원의 EMR 시스템(20A, 20B)은 각각의 병의원 환경 및 EMR 시스템 개발사의 여건에 맞게 개별적으로 개발되어 표준화 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면에서는 A EMR 시스템, B EMR 시스템 등으로 도시하였으며, 또한 각각의 EMR 접속 모듈 역시 각각의 EMR 시스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개발되어 있으므로 A EMR 접속 모듈, B EMR 접속 모듈 등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PHR 시스템(10)은 인터넷을 통해 각 병의원의 EMR 시스템(20A, 20B)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EMR 시스템(20A, 20B)과 PHR 시스템(10)이 이상적으로 연동된 경우 PHR 시스템(10)의 개인건강기록 DB(11)에 저장된 데이터와 A EMR 시스템(20A)의 전자의무기록 DB(22A)에 저장된 데이터, B EMR 시스템(20B)의 전자의무기록 DB(22B)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호 간에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의사는 진료실 단말기(30A, 30B) 상의 EMR 접속 모듈(31A, 31B)을 통해 EMR 시스템(20A, 20B)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데이터와 PHR 시스템(10)에 저장된 환자의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동시에 조회하고 기록하면서 환자를 진료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이상적으로 EMR 시스템과 PHR 시스템을 연동시키는 경우라 하더라도, 표준화되지 않은 다수의 EMR 시스템들이 이미 각 병의원에 구축된 현재 상황에서 모든 병의원 EMR 시스템과 PHR 시스템이 연동되는 것은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화의 문제 외에도, 기존에 존재하는 모든 병의원 EMR 시스템을 수정 또는 재구축해야만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MR 시스템 및 PHR 시스템의 연동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 병의원에는 자체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되는 EMR 시스템(200A)과 진료실 단말기(300A)가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B 병의원에도 자체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되는 EMR 시스템(200B)과 진료실 단말기(300B)가 구비된다. 이때, PHR 시스템(100)은 인터넷을 통해 각 병의원의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와 연결된다.
우선, 상기 PHR 시스템(100)은 개인 계정을 통해 환자 개인의 건강기록정보가 보관 관리되는 개인건강기록 DB(110)와, 각 EMR 시스템와 PHR 환자 계정의 연동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인증 DB(1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EMR 시스템(200A, 200B)에는 전자의무기록을 보관하는 전자의무기록 DB(220A, 220B)와, 각 진료환자의 개별 의무기록에 대한 고유번호를 관리하는 병록번호 DB(210A, 210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EMR 시스템(200A, 200B)과 병의원의 인트라넷으로 연결되는 상기 진료실 단말기(300A, 300B)는 설치된 EMR 접속 모듈(310A, 310B)을 이용하여 병록번호 입력을 통해 개별 진료 환자에 대한 전자의무기록을 검색, 작성 및 수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료실 단말기(300A, 300B)는 설치된 PHR 접속 모듈(330A, 330B)을 통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상기 PHR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개인 인증 절차를 통해 계정에 접속하여 개인 건강기록 데이터를 검색, 작성 및 수정하게 된다.
상기 PHR 접속 모듈(330A, 330B)은 해당 진료실 단말기(300A, 300B)가 EMR 시스템(200A, 200B)에 접속된 상태에서 PHR 시스템(100)의 해당 환자 계정을 연동시키는데 필요한 인증 프로세스를 담당하는 인증부(332)와 연동된 PHR 환자 계정의 데이터를 개인건강기록 DB(110)로부터 읽어들여 해당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에 중계하는 중계부(331)를 포함한다(도 5 참조).
이때, 상기 PHR 접속 모듈(330A, 330B)은 각 병의원별로 서로 다른 EMR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각각의 EMR 시스템 제조사에 따라 최적화되어 각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기 각각의 시스템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HR 시스템(100)의 인증 DB(120)에는 상기 EMR 시스템(200A, 200B)과 PHR 계정을 연동시키기 위해 PHR 접속 모듈(330A, 330B)의 인증부(332)가 참조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환자인증 테이블(121)과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이 탑재된다.
여기에서 상기 환자인증 테이블(121)은 PHR 아이디 및 접속허용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은 병의원코드, 병록번호 및 PHR 아이디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인증 테이블(121)의 PHR 아이디는 PHR 시스템(100) 내에서 개별 환자의 개인건강기록 계정을 찾는데 필요한 데이터이며, 환자가 PHR 계정을 개설할 때 설정하게 된다.
상기 환자인증 테이블(121)의 접속허용코드는 환자 본인의 PHR 계정에 대한 PHR 접속 모듈의 접속을 허용할 때 사용하는 코드로서, 환자가 PHR 계정을 개설할 때 설정하게 된다.
상기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의 병의원코드는 각 병의원 또는 의사의 고유값으로 PHR 시스템(100) 구축단계에서 사전 입력되게 된다.
이때,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의 PHR 접속 모듈(330A, 330B)의 설치 시 사용자는 해당 병의원의 병의원코드를 검색하여 PHR 접속 모듈(330A, 330B)의 인증부(332)에 등록한다.
상기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의 병록번호는 개별 병의원 EMR 시스템(200A, 200B)의 전자의무기록 DB(220A, 220B)에서 개별 환자의 계정을 찾는데 필요한 고유값으로 PHR 접속 모듈(330A, 330B)의 인증부(332)는 EMR 접속 모듈(310A, 310B)의 작동 시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의 메모리(320A, 320B)로부터 읽어 들인 병록번호를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의 해당 병의원코드에 매칭시켜 등록한다.
상기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의 PHR 아이디는 해당 병의원의 병록번호와 해 당 환자의 PHR 계정을 연계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로, PHR 인증부(332)는 해당 환자의 PHR 계정에 처음으로 접속할 때 환자 본인 또는 환자로부터 PHR 아이디를 확인받은 의사가 입력한 PHR 아이디를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의 해당 병록번호에 매칭시켜 등록한다.
한편, 상기 진료실 단말기(300A, 300B)는 인트라넷을 통해 각 병의원의 EMR 시스템(200A, 200B)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시에 인터넷을 통해 PHR 시스템(100)에 연결되어 있다.
현재 상당 수의 병의원들은 진료 중 환자 진료에 필요한 약품정보나 관련 논문 등을 병원 외부의 웹사이트에서 검색하기 위해 진료실 단말기(300A, 300B)를 인터넷에 접속시켜두고 있으며, 인터넷이 차단된 단말기의 경우에도 보안상 문제가 없고 진료에 필요한 특정 사이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속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진료실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PHR 시스템(100)에 직접 접속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에는 EMR 시스템(200A, 200B) 접속을 위한 EMR 접속 모듈(310A, 310B) 외에 PHR 접속을 위한 별도의 PHR 접속 모듈(330A, 330B)이 설치되는데, 이 PHR 접속 모듈(330A, 330B)은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의 메모리(320A, 320B)로부터 EMR 접속 모듈(310A, 310B)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event)의 메시지값을 읽어 들여 EMR 시스템(200A, 200B)과 PHR 환자계정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EMR 접속 모듈(310A, 310B)은 EMR 시스템(200A, 200B)의 전자의무기록 DB(220A, 220B)에서 선택된 환자의 데이터를 읽어 들여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키며, 의사는 디스플레이 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기록을 작성한다. 이때, EMR 접속 모듈(310A, 310B)이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의 화면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이벤트는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의 메모리(320A, 320B)에 고유한 메시지(message)값을 저장시키는데, 국내외 모든 EMR 접속 모듈(310A, 310B)은 화면에 현재 진료중인 환자의 병록번호를 기본적으로 표시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동일 단말기에 설치된 별도의 프로그램이 진료실 단말기(300A, 300B)의 메모리(320A, 320B)에서 해당 환자의 병록번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벤트의 메시지값을 읽어 들일 경우 EMR 시스템(200A, 200B)의 병록번호 DB(210A, 210B)에 접속하거나 EMR 접속 모듈(310A, 310B)과의 연계 없이도 현재 진료중인 환자의 병록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통해 좀 더 설명하면, 진료실 단말기(300)의 PHR 접속 모듈(3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부(332)과 중계부(331)로 구성된다.
상기 인증부(332)는 EMR 접속 모듈(310)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한 이벤트의 메시지값을 메모리(320)로부터 읽어 들여 현재 진료중인 환자의 병록번호를 확인하는 역할과, PHR 시스템(100)의 인증 DB(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EMR 시스템(200)과 PHR 계정을 연동시키는데 필요한 인증 프로세스를 담당한다.
상기 중계부(331)는 상기 인증부(332)가 인증한 개인건강기록 DB(110)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데이터를 진료실 단말기(300)의 화면에 보여주고 기록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의사는 자신의 진료실 단말기(300)에서 EMR 접속 모듈(310)과 PHR 접속 모듈(330)을 구동시킨 후 환자 진료를 시작하게 된다(S10).
이때, 상기 진료실 단말기(300)는 개별 의사가 단독으로 사용 및 관리하는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수의 의사가 공동으로 사용 및 관리하는 공용 진료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진료실 단말기(300)의 PHR 접속 모듈(330)에 자체 설정되는 병의원코드는 각 병원의 병원 규모 및 진료 형태를 고려하여 해당 병의원에 할당된 병의원의 고유값이거나 병의원 내 각 의사에 할당된 의사의 고유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HR 접속 모듈(330)의 구동 시, 현재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PHR 접속 모듈(330)을 통해 환자의 PHR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가진 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로그인 과정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대개 진료실로 환자가 들어오면 의사는 진료실 단말기(300)의 EMR 접속 모듈(310)을 통해 EMR 시스템(200)에서 해당 환자를 검색하여 선택하는데, 이때 상기 EMR 접속 모듈(310)은 EMR 시스템(200)의 병록번호 DB(210)에서 해당 환자의 EMR 계정을 확인한 후 전자의무기록 DB(220)에서 해당 환자의 데이터를 읽어 들여 병록번호와 함께 진료실 단말기(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료실 단말기(300)의 PHR 접속 모듈(330)은 인증부(332)를 통해 해당 진료실 단말기(300)의 메모리(320)에서 해당 병록번호 디스플레이 이벤트의 메시지값을 읽어 현재 EMR 접속 모듈(330)에 디스플레이된 환자의 병록번호를 확인하게 된다(S20).
그리고 상기 진료실 단말기(300)의 PHR 접속 모듈(330)은 인증부(332)를 통해 상기 PHR 시스템(100)의 인증 DB(120)에 접근하고, 해당 인증 DB(120) 내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을 참조하여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에 상기 S20 단계에서 확인된 병록번호가 해당 진료실 단말기(300)의 병의원코드와 매칭되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30).
여기에서, 상기 제 S30 단계의 확인 결과,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에서 해당 병록번호가 해당 병의원코드와 매칭되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PHR 접속 모듈(330)의 인증부(332)는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에 해당 병록번호를 해당 병의원코드와 매칭시켜 등록한다(S40).
다음으로, 상기 진료실 단말기(300)의 PHR 접속 모듈(330)은 인증부(332)를 통해 상기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을 참조하여 해당 병록번호에 매칭된 PHR 아이디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게 된다(S50).
여기에서, 상기 제 S50 단계의 확인 결과,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에서 해당 병록번호에 매칭된 PHR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PHR 접속 모듈(330)의 인증부(332)는 해당 PHR 접속 모듈(330)이 구동되는 단말기의 화면상에 PHR 아이디 입력창을 띄워 PHR 아이디 입력을 요청하고, 환자 본인 또는 환자로부터 PHR 아이디를 확인한 의사가 해당 환자의 PHR 아이디를 입력하면 PHR 접속 모듈(330)의 인 증부(332)는 상기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에 해당 PHR 아이디를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시켜 등록한다(S60).
다음으로,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PHR 시스템(100)의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에 병의원코드와 병록번호, 그리고 PHR 아이디가 모두 매칭되게 되면, 상기 PHR 접속 모듈(330)의 인증부(332)는 PHR 접속 모듈(330)이 구동되는 단말기의 화면에 입력창을 띄워 접속허용코드의 입력을 요청하고, 환자가 접속허용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PHR 시스템(100)의 환자인증 테이블(121)을 조회하여 환자가 PHR 계정 개설 당시 입력한 접속허용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70).
다음으로, 상기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PHR 접속 모듈(330)의 중계부(331)는 상기 PHR 시스템(100)의 개인건강기록 DB(110)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PHR 계정에 접속하여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읽어 들여 진료실 단말기(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키고, 의사는 상기 PHR 접속 모듈(330)에 의해 구동되는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와 상기 EMR 접속 모듈(310)에 의해 구동되는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함께 조회하거나 기록하면서 진료업무를 수행한다(S80).
이상의 과정은 해당 환자의 진료가 끝나고 의사가 EMR 접속 모듈(310)을 이용하여 다음 환자의 병록번호를 검색하고 선택하면서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PHR 접속 모듈(330)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PHR 시스템(100)의 인증 DB(120)에 저장된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시키게 된다. 그 결과, 해당 병의원의 병록번호에 한번 매칭된 환자의 PHR 계정은 이후 별도의 PHR 아이디 입력이나 환자의 승인과정 없이도 현재 진료중인 EMR 화면과 자동으로 연동되어 보여지게 된다.
즉, 환자가 두번째로 진료할 때부터는 상기 PHR 접속 모듈(330)이 자동적으로 환자의 병록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환자에 대하여 기매칭된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을 통해 확인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보다 빠른 PHR 계정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S70 단계의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은 기술된 것과 같이 매번 진료시 환자에 의하여 허가되는 프로세스를 밟을 수도 있지만, PHR 시스템(100)의 병의원인증 테이블(122)에 환자의 PHR 계정에 대한 접속허용코드 항목을 추가로 만들어 매칭 등록시킴으로써 환자의 허가에 의한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을 생략하고 즉시 처리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EMR 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PHR 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이상적인 형태의 EMR 시스템 및 PHR 시스템 연동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MR 시스템 및 PHR 시스템의 연동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HR 시스템과 진료실 단말기 간의 접속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HR 시스템의 인증 DB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Claims (6)

  1. 인트라넷을 기반으로 하고 표준화되지 않은 다수의 EMR 시스템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PHR 시스템 간 데이터 연동을 위한 접속 방법에 있어서,
    (a) 환자의 진료 개시에 따라 진료실 단말기의 EMR 접속 모듈이 인트라넷으로 연결된 EMR 시스템에 접근하여, 해당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및 병록번호 데이터를 검색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해당 진료실 단말기의 메모리에서 현재 활성화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중 병록번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PHR 시스템에 자체 설정된 병의원코드를 이용해 접근하여, PHR 시스템의 병의원인증 테이블에서 상기 추출된 병록번호가 상기 설정된 병의원코드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1) 상기 추출된 병록번호가 상기 자체 설정된 병의원코드와 매칭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PHR 시스템의 병의원인증 테이블에 상기 추출된 병록번호를 해당 병의원코드와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
    (d) 상기 추출된 병록번호가 상기 자체 설정된 병의원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PHR 시스템의 병의원인증 테이블에서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된 PHR 아이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1)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된 PHR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상기 병의원인증 테이블에 상기 환자의 PHR 아이디를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
    (e) 해당 병록번호와 매칭된 PHR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PHR 시스템에서 해당 환자의 PHR 계정 접속허용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PHR 시스템에서 전송받은 PHR 계정 접속허용코드가 해당 환자의 PHR 아이디에 매칭되고 환자인증 테이블에 기등록된 접속허용코드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e-1) 상기 (e) 단계의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에서, 최초 인증시 PHR 시스템의 병의원인증 테이블에 환자의 PHR 계정에 대한 접속허용코드 항목을 추가로 만들어 매칭 등록시킴으로써 추후 환자의 허가에 의한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을 생략하는 단계; 및
    (f) 상기 PHR 계정 접속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상기 PHR 시스템의 개인건강기록 DB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PHR 계정에 접속하여 개인건강기록 데이터를 읽어들여 기활성화된 해당 환자의 전자의무기록과 함께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에 자체 설정되는 병의원코드는 해당 병의원에 할당된 병의원의 고유값이거나 병의원 내 각 의사에 할당된 의사의 고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진료실 단말기의 PHR 접속 모듈이 현재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PHR 접속 모듈을 통해 환자의 PHR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가진 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80112905A 2008-11-13 2008-11-13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KR10115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05A KR101156467B1 (ko) 2008-11-13 2008-11-13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905A KR101156467B1 (ko) 2008-11-13 2008-11-13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995A KR20100053995A (ko) 2010-05-24
KR101156467B1 true KR101156467B1 (ko) 2012-06-18

Family

ID=4227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905A KR101156467B1 (ko) 2008-11-13 2008-11-13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354B2 (en) 2012-10-15 2016-02-02 Imprivata, Inc. Secure access supersession on shared workst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79B1 (ko) * 2011-05-03 2013-02-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5862B1 (ko) * 2021-03-29 2022-03-17 유정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의료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571144A (zh) * 2021-07-06 2021-10-29 上海市第一人民医院 基于人工智能的ct扫描图像的云病历管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060A (ko) * 2003-04-02 2004-10-08 박종호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개인 단말기를 통한 신분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91671A (ko) * 2005-02-16 2006-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060A (ko) * 2003-04-02 2004-10-08 박종호 무선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개인 단말기를 통한 신분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91671A (ko) * 2005-02-16 2006-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354B2 (en) 2012-10-15 2016-02-02 Imprivata, Inc. Secure access supersession on shared work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995A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8557B2 (ja) Bcn(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データ利用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30218599A1 (en) Dual-access security system for medical records
KR100538579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무기록서식 관리 방법
CA2432141C (en) Computer oriented record administration system
CN111243690A (zh) 分享电子医疗健康记录的方法与系统
US20040054657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0538584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TWI700707B (zh) 取得電子醫療健康記錄的方法與系統
KR20010098884A (ko)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80177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ntegration of electronic medical health records
US20030014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ient care management
EP2729913B1 (en) Methods for remotely acces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without having prior authorization
KR101156467B1 (ko) 병의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 개인건강기록 계정 간의 진료실 pc 기반 접속 방법
KR101073655B1 (ko) 의사와 환자 간의 설명처방 전달 방법
US20110251854A1 (en) Pc-based access method betwee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internet-based personal health record account
JP2002203045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医療データ管理装置
US20110270621A1 (en) Patient-related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ithin the scope of an evaluation operation
JP2001357129A (ja) 診療情報の管理システム
Diaz et al. Scalable management architecture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based on blockchain
JP2006155536A (ja) 個別qrコードを用いたqrコードリーダー付インターネット接続可能携帯端末による簡易認証予約システムおよび方法
CH709951A2 (de) Ein computerimplementiertes Patientendatensystem und ein Verfahren, welches davon Gebrauch macht.
JP5157236B2 (ja) 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0538573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JP2005011051A (ja) ポイントサービス提供方法
JP7143468B1 (ja) 投薬情報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